KR100846790B1 -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90B1
KR100846790B1 KR1020060073122A KR20060073122A KR100846790B1 KR 100846790 B1 KR100846790 B1 KR 100846790B1 KR 1020060073122 A KR1020060073122 A KR 1020060073122A KR 20060073122 A KR20060073122 A KR 20060073122A KR 100846790 B1 KR100846790 B1 KR 10084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utput
service
logic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7014A (en
Inventor
이종호
이광기
정운교
글렌 에이. 아담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790B1/en
Priority to MX2008001421A priority patent/MX2008001421A/en
Priority to JP2008524902A priority patent/JP2009503603A/en
Priority to CN2006800285207A priority patent/CN101238724B/en
Priority to CA002616255A priority patent/CA2616255A1/en
Priority to PCT/KR2006/003078 priority patent/WO2007018381A1/en
Priority to EP06823623A priority patent/EP1913770A4/en
Publication of KR2007001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서로 다른 다수의 출력 포트에 연결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ple screens, and in order to dynamically configure a plurality of screens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on a physical display screen, And to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ple screens. ≪ RTI ID = 0.0 > [0002] < / RTI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는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 및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processing module for generating a screen for expressing a received service and an output module for searching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creen.

다중 스크린, 논리 스크린, 출력 스크린, OCAP, 포트 Multi screen, Logical screen, Output screen, OCAP, Port

Description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ple scree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iP 스크린이 배치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iP screen is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logical screen and an outpu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퍼(mapper)를 포함하는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A to 3E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including a ma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ource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bstract service and a non-abstrac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논리 스크린 및 출력 스크린에서의 속성 정보 및 인터페이스 종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ttribute information and interface types in a logical screen and an output screen.

도 7은 논리 스크린의 'z-order' 속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z-order' attribute of a logical screen.

도 8a 및 도 8b는 논리 스크린의 'Display_Area' 속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 다.8A and 8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the 'Display_Area' attribute of the logical screen.

도 9는 두 개의 서비스가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되어 출력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wo services are mapped to one output screen and outpu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11A-11B are flow 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ure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oftware architecture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API 레이어를 구성하는 모듈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of modules constituting an API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에서 도시된 각 모듈들에 의하여 복수 개의 서비스를 논리 스크린을 통하여 출력 스크린에 나타내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ervices on an output screen through a logical screen by the respective modules shown in FIG.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포트 검색 및 변경을 위한 코드의 예시도이다.16A to 16B are exemplary views of codes for output port search and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3에서 도시된 각 모듈들에 의하여 논리 스크린에 표현되는 서비스가 교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FIG.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changing services represented on a logical screen by the respective modules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900 :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900: Multi-screen device

910 : 방송 신호 수신 모듈910: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920 : 저장 매체920: Storage medium

930 : 외부 입력 모듈930: External input module

940 :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940: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950 : 서비스 처리 모듈950: service processing module

960 : 출력 모듈960: Output module

965 :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965: User /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970 : 디스플레이 화면970: Display screen

980 : 저장 매체980: Storage medium

990 : 외부 출력 모듈990: External output module

본 발명은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서로 다른 다수의 출력 포트에 연결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constructing the multiple scre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a plurality of screens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on a physical display screen, To a plurality of different output ports, and to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ple screens.

종래의 디지털 TV 또는 디지털 셋톱 박스(set-top box)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에서는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하나의 컨텐츠만 보여주거나, 또는 하나의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주화면과 부화면의 두 가지 화면을 동시에 보여 주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In a convention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TV or a digital set-top box, only one piece of content is displayed on one physical display screen, or two pieces of main screen and sub-screen are displayed on one physical display screen It is common to show the screen at the same time.

이 때, 주화면과 부화면을 동시에 보여 주는 경우라 하더라도 방송 수신 장치에서 이미 정해진 몇 가지 방식으로만 두 화면을 배치할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주화면에 보여지는 컨텐츠의 경우에만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가 재생되고, 부화면을 통해서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일부 요소만 제한적으로 재생된다.At this time, even if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only two screens can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manner in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ll the elements (video, audio, data or a combination thereof) constituting the content are reproduced only in the case of the content shown on the main screen, and only a par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content is reproduced in a limited manner through the sub-screen.

또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로서 위성 방송,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과 같은 방송 서비스 외에도 DVD와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된 외부 기기 등이 있는데, 이렇게 다양한 소스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어떻게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낼 지에 대해서도 제한적으로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o broadcasting services such as satellite broadcasting,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cable broadcasting, there are a storage medium such as a DVD or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as a source for providing contents. And whether or not it will be displayed.

한편, MHP (Multimedia Home Platform), ACAP (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OCAP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등과 같은 인터렉티브 TV(Interactive TV)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스크린은 하나라고 가정한다.On the other hand, in an application program environment for an interactive TV such as a MHP (Multimedia Home Platform), an ACAP (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and an OCAP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Is assumed to be one.

예를 들어, 인터렉티브 TV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환경에서는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규격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데, HAVi UI 표준에서 스크린의 개수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실제 사용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스크린은 하나인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 보통이다.For example, in an application program environment for an interactive TV, a structure of a user interface (UI) according to the HAVi (Home Audio / Video Interoperability) standard is adopted. In the HAVi UI standard, In actual use, however, it is usually assumed that there is only one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screen.

이러한 환경에서는, 복수의 컨텐츠들을 다수의 독립적인 스크린을 통해 보여 주면서, 동시에 각각의 스크린에 표현된 컨텐츠에 대해 디코딩, 디지털 신호 처리,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 처리 등을 수행하거나, 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라이프 사이클(life-cycle)과 리소스(resource) 사용을 각각의 스크린 별로 제어하기 어렵다.In such an environment, a plurality of contents are displayed on a plurality of independent screens, and at the same time, decod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user interaction processing, and the like are performed on the contents displayed on each screen, It is difficult to control life-cycle and resource usage on a screen-by-screen basis.

따라서, 다양한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providing various contents on a display screen in various ways.

본 발명은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서로 다른 다수의 출력 포트에 연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 plurality of screens to a plurality of different output ports in order to dynamically configure a plurality of screens to provide a plurality of contents on a physical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는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 및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processing module for generating a screen for expressing a received service, and an output module for searching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creen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는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 및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와 상기 스크린간의 연결 관계를 변경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processing module for generating a screen for expressing a received service, and an output module for chang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and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은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multiple 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screen for representing a received service and searching for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은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와 상기 스크린간이 연결 관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multiple scree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screen for representing a received service and chang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creen and the scree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block diagrams or process flowcharts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ple scree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poi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combinations of blocks and flowchart illustrations in the process flow diagram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ose instructions, which are executed through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creating means for performing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s) are also capable of producing manufacturing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 (s).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perform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 (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 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actually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기본적인 개념을 정의하도록 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ic concep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서비스(service)'는 하나의 묶음으로 표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서, 다수의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들이 하나의 서비스를 이루게 된다.A 'service' is a multimedia content represented by a bundle, and a plurality of service components form a single service.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는 서비스(service)를 구성하는 일 부분으로서, 비디오 컴포넌트(video component), 오디오 컴포넌트(audio component), 데이터 컴포넌트(data component) 등을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컴포넌트(data component)는 서비스(service) 내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가리킨다.A 'service component' is a part of a service and includes a video component, an audio component, a data component, and the like. In this case, a data component refers to an application existing in a service.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Unbound Application)과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Service Bound Application)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채널과 관련되지 않으므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채널 전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실행을 위한 자원이 원활하게 할당된다. 모니터 어플리케이션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는 특수한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된다.In addition, an application can be distinguished as an unbound application and a service bound application. Since the unbound application is not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channel,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not affected by channel switching. In addition, since they generally have a high priority, resources for execution are allocated smoothly. A monitor application is a special unbound application that can have the highest priority.

한편,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과 관련된 것으로서,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결정적인(critical) 시스템 기능은 수행하지 않으며, 자원에 대한 경쟁이 발생하는 경우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보다 자원 할당을 포기할 가능성이 더욱 크다. 서비스 바운드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전송 중인 스 트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형과 전송 중인 스트림에 무관하게 동작하는 비연동형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service-bound application is associated with a transport stream and is generally given a lower priority than an unbound application. Service bound applications do not perform critical system functions and are more likely to give up allocation of resources than unbound applications when there is competition for resources. The service-bound application has an interworking type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stream currently being transmitted and a non-interworking type that operates irrespective of the stream being transmitted.

'서비스 컨텍스트(service context)'는 서비스(service)를 실행하는데 관계되는 각종 리소스(resource), 디바이스(device), 실행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비스(service)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객체를 나타낸다.A service context includes various resources related to execution of a service, a device, execu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service context includes an object that can control the execution of a service .

'디스플레이 화면(physical display device)'은 서비스(service)의 내용이 실제로 표현되는 물리적인 장치(device), 서비스의 내용이 출력되는 외부 출력 포트(output port) 또는 서비스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를 의미한다.A 'physical display device' refers to a physical device in which contents of a service are actually represented, an external output port through which contents of the service are output, or a storage device in which services are stored .

'출력 스크린(display screen)'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제로 출력되는 스크린으로서, 임의의 서비스가 출력 스크린에 직접 설정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표현되거나, 출력 스크린의 일정한 영역으로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출력된다.An 'output screen' is a screen that is actually output on a display screen, in which arbitrary services are directly set on the output screen and are represented on the display screen, or at least one logical screen mapped to a certain area of the output screen is displayed And is output through the screen.

'논리 스크린(logical screen)'은 임의의 서비스가 표현되는 공간으로서, 출력 스크린에 매핑되기 전에는 메모리상에 가상적으로만 존재하며 실제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표현되지 않는다.A 'logical screen' is a space in which an arbitrary service is represented, and is virtually present only in the memory before being mapped to the output screen, and is not displayed on the actual display screen.

또한,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은 백그라운드 스틸 이미지(background still image), 비디오 래스터(video ratser) 그리고 그래픽 래스터(graphic raster)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그래픽 래스터(graphic raster)는 텍스트(text), 선(line), 컬러(color) 그리고 이미지(image)가 합성되거나, 비디오 프레임들이 혼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may also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background still image, a video raster and a graphic raster, wherein the graphic raster is text (text) A line, a color, and an image may be synthesized, or a mixture of video frames may be provided.

'메인 서비스(main service)'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 또는 리모컨을 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API를 통해 주 서비스로서 선택한 서비스를 의미하며, 메인 서비스가 표현되는 스크린을 '메인 스크린(main screen)'이라고 한다.The 'main service' means a service selected by the user as a main service through a menu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r a remote control or an application via an API. A 'main screen' .

'PiP 서비스(Picture-in-Picture service)'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 또는 리모컨을 통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API를 통해 메인 스크린 내에서 부 서비스로서 선택한 서비스를 의미하며, PiP 서비스는 'PiP 스크린(Picture-in-Picture screen)' 또는 메인 스크린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Picture-in-Picture service' refers to a service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menu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r a remote control or an application as a sub service in the main screen through an API, and the PiP service is a 'PiP screen Picture-in-Picture screen 'or on the main screen.

'PiP 스크린(Picture-in-Picture screen)'은 도 1의 (a) 내지 (d)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스크린 내의 일부 영역을 차지하는 스크린과, 도 1의 (e) 및 (f)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스크린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동시에 보여지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또한 도 1의 (g) 및 (h)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와 영역에 보여지거나, 다른 스크린과 겹쳐져서 표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Picture-in-Picture screen' includes a screen occupying a partial area in another screen as shown in FIGS. 1 (a) to 1 (d) And a screen that is simultaneously displayed in an area that does not overlap with other screens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displayed in an arbitrary position and area within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s. 1 (g) and 1 (h)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screen which is expressed by overlapping another scree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logical screen and an outpu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는 논리 스크린(210, 212, 214)을 통하여 표현될 수 있고, 이러한 논리 스크린들은 소정의 매핑 블록(230)에 의해 출력 스크린(220, 222, 224)으로 매핑되어 표현될 수 있다.2, a service may be represented by logical screens 210, 212, 214, which are mapped to output screens 220, 222, 224 by a given mapping block 230, .

이 때, 220으로 참조되는 출력 스크린은 210과 212로 참조되는 논리 스크린 이 매핑되어 표현되고 있고, 222로 참조되는 출력 스크린은 212와 214로 참조되는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어 표현되고 있으며, 224로 참조되는 출력 스크린은 210, 212 및 214로 참조되는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어 표현되고 있다.At this time, an output screen 220 is represented by mapping a logical screen 210 and 212, and an output screen 222 is represented by a logical screen 212 and 214, The output screen is represented by mapping the logical screen 210, 212, and 214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서비스가 표현되는 적어도 1이상의 논리 스크린은 매핑 블록(230)에 의해 출력 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으로 매핑될 수 있다.As such, at least one logical screen in which the service is represented may be mapped to any area of the output screen by the mapping block 230.

한편, 매핑 블록(230)은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을 매핑하도록 하는 다양한 정보의 집합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예로서, 논리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되는 영역의 좌표 정보, 논리 스크린 및 출력 스크린을 구별하는 식별 정보, 출력 스크린에 다수의 논리 스크린이 표현되는 순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pping block 230 can be understood as a collection of various information for mapping 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Examples of such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of an area to which the logical screen is mapped to the output scre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istinguish 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information on the order in which a plurality of logical screens are represented on the output screen, .

매핑 블록(230)은 논리 스크린의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 스크린의 일정한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즉, 매핑 블록(230)은 논리 스크린에 대한 스케일링(scaling) 기능 및 위치 할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도 3a 내지 도 3e에서는 이러한 매핑 블록, 즉 매퍼(mapper)를 포함하는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The mapping block 230 may change the size of the logical screen and allocate it to a certain area of the output screen. That is, the mapping block 230 shows a configuration of a screen including such a mapping block, i.e., a mapper, in FIGS. 3A to 3E capable of performing a scaling function and a position allocation function for a logical screen .

도 3a를 참조하면, 백그라운드 스틸 이미지(background still image)(B), 비디오 래스터(video ratser)(V) 그리고 그래픽 래스터(graphic raster)(G)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메인 스크린은 매퍼(mapper)에 의해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출력 스크린의 전체에 매핑된다. 그리고 비디오 성분만을 갖는 PiP 스크린은 매퍼(mapper)에 의해 그 크기가 작아지면서 출력 스크린의 일정 영역에 매핑된다. 이 때, 매핑된 PiP 스크린은 메인 스크린 위에 놓여지게 되며 이는 Z 값에 의해 결정 된다. Z는 z-order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z-order 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오버레이 스크린(overlay screen)이 상기 출력 스크린과 합성될 수 있는데, 오버레이 스크린은 가장 바깥 쪽에 놓여지는 특별한 스크린으로서, 예를 들어 자막(caption)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PiP 스크린은 도 3a에서와 같이 비디오 성분만을 갖을 수도 있으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 스틸 이미지(background still image)(B), 비디오 래스터(video raster)(V) 그리고 그래픽 래스터(graphic raster)(G)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3A, a main screen made up of a combination of a background still image B, a video raster V, and a graphic raster G is displayed by a mapper It is mapped to the entire output screen, keeping the size intact. A PiP screen having only a video component is mapped to a certain area of the output screen by a mapper. At this time, the mapped PiP screen is placed on the main screen, which is determined by the Z value. Z represents a z-order value, and the z-order will be described later. An overlay screen may also be combined with the output screen, which is a special screen that is placed on the outermost surface,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aption. The PiP screen may have only a video component as shown in FIG. 3A, but a background still image B, a video raster V, and a graphic raster, as shown in FIG. 3B, (G).

도 3c를 참조하면, 백그라운드 스틸 이미지(B), 비디오 래스터(V) 그리고 그래픽 래스터(G)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메인 스크린은 매퍼(mapper)에 의해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출력 스크린의 전체에 매핑된다. 그리고 비디오 성분만을 갖는 2개의 PiP 스크린들(#1, #2)이 각각 매퍼(mapper)에 의해 그 크기가 작아지면서 출력 스크린의 일정 영역으로 매핑된다. 이 때, 매핑된 PiP 스크린들은 메인 스크린 위에 놓여지게 되며 이 때 Z 값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오버레이 스크린(overlay screen)이 상기 출력 스크린과 합성될 수 있다. 스크린 구성은 도 3c에서와 같이 비디오 성분만을 갖는 복수의 PiP 스크린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그라운드 스틸 이미지(B), 비디오 래스터(V) 그리고 그래픽 래스터(G)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PiP 스크린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C, a main screen made up of a combination of a background still image B, a video raster V and a graphic raster G is mapped to the entire output screen while being kept in size by a mapper. The two PiP screens (# 1, # 2) having only video components are mapped to a certain area of the output screen as their sizes are reduced by a mapper,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apped PiP screens are placed on the main screen, where the Z values can be kept the same. Also, an overlay screen may be combined with the output screen. The screen configur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P screens having only video components as in FIG. 3C, but may be a combination of a background still image B, a video raster V, and a graphic raster G as shown in FIG. 3D A plurality of PiP screens may be formed.

도 3e에서는 POP 스크린이 도시되고 있는데, PiP 스크린이 메인 스크린의 내부에서 표현되는 스크린이라고 한다면, 종래의 POP 스크린은 메인 스크린의 외부에서 표현되는 스크린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백그라운드 스틸 이 미지(B), 비디오 래스터(V) 그리고 그래픽 래스터(G)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POP 스크린들(#1, #2)이 각각 매퍼(mapper)에 의해 그 크기가 작아지면서 출력 스크린의 일정 영역으로 매핑된다. 이 때, 매핑된 POP 스크린들(#1, #2)의 Z 값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오버레이 스크린(overlay screen)이 상기 출력 스크린과 합성되어 표현될 수 있다.In Fig. 3E, a POP screen is shown. If a PiP screen is a screen represented inside the main screen, it can be understood that a conventional POP screen is a screen displayed outside the main screen. 3E, a plurality of POP screens # 1 and # 2 made up of a combination of a background still image B, a video raster V and a graphic raster G are respectively enlarged by a mapper Is mapped to a certain area of the output screen. At this time, the Z values of the mapped POP screens (# 1, # 2) can be kept the same. An overlay screen may then be combined with the output screen and rendered.

또한, 매핑 블록(230)은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로 작성되어 실행되는 인터페이스, 함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정보들을 파라미터로 하여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과의 관계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The mapping block 2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rface, a function, or the like, which is written and executed in various computer program languages. The mapping block 230 may generate or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using the above information as parameters.

또한, 매핑 블록(230)은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 간에 매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mapping block 230 may also be implemented in hardware to perform a mapping function between 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출력 스크린에는 다양한 소스(source)들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들이 표현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데, 도 4에서 이를 나타내고 있다. In the output screen, services provided from various sources can be expressed and output through a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로서, 지상파 방송(320), 케이블 방송(330)과 같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가 있고, PVR(Personal Video Recorder)(340)과 같이 소정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되고 있지 않으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In general, there are a source for providing a broadcast service such as a terrestrial broadcast 320 and a cable broadcast 330 as a source for providing a service, and a service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such as a PVR (Personal Video Recorder) There is also a source to provid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sources that provide service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may also be included herein.

이 때, 방송 수신 장치(310)는 이러한 소스들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고, 각각의 서비스를 표현하는 논리 스크린을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310 receives a service from these sources and generates a logical screen representing each service.

그리고 나서, 기 설정된 방식,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된 방 식에 따라 임의의 서비스가 출력 스크린에 직접 설정되어 디스플레이 화면(350)을 통하여 표현되거나, 출력 스크린의 일정한 영역으로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논리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하면(350)을 통하여 출력된다. 도 4에서는 지상파 방송(320), 케이블 방송(330) 그리고 PVR(34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디스플레이 화면(350)을 통해 표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Then, any service may be directly set on the output screen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screen 35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a method set by the user or the application, or may be expressed in at least one logical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350). 4 shows that a service provided by the terrestrial broadcast 320, the cable broadcast 330, and the PVR 34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350. [

도 4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의 예로서, 지상파 방송(320), 케이블 방송(330), PVR(Personal Video Recorder)(340)을 도시하고 있지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묶음으로 표현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한다면 본 발명에서의 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4 shows a terrestrial broadcast 320, a cable broadcast 330, and a personal video recorder (PVR) 340 as an example of a service providing source. However, the source for providing the service is not limited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cluded in the source of multimedia contents.

한편, 본 발명에서의 서비스에는 추상 서비스(abstract service)와 비추상 서비스(non-abstract service)가 있는데 이를 도 5a와 도 5b에서 각각 도시하고 있다.In the meantime,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bstract service and a non-abstract service, which are shown in FIGS. 5A and 5B, respectively.

추상 서비스(abstract service)는 방송 신호로부터 실시간 전달되는 서비스가 아닌 방송 채널에 대하여 독립된 서비스로서,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 중에서 비디오 컴포넌트, 오디오 컴포넌트가 없이, 데이터 컴포넌트, 즉 어플리케이션만으로 이루어진 서비스가 추상 서비스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규격에서 언바운드 어플리케이션들로 이루어진 서비스가 여기에 속한다.An abstract service is an independent service for a broadcast channel, not a real-time service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ignal. The service includes a video component, an audio component, and a data component, . &Lt; / RTI &gt; For example, here is a service made up of unbound applications in the 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OCAP) specification.

비추상 서비스(non-abstract service)는 추상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A non-abstract service can be understood as a service other than an abstract service.

본 발명에서는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 각각에 대하여 독립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상 서비스는 논리 스크린을 거치지 않고 직접 출력 스크린에 설정되고, 비추상 서비스는 논리 스크린에 표현되어 추상 서비스가 설정된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출력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서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 모두 각각 별도의 논리 스크린에 매핑된 후 각각의 논리 스크린이 하나의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될 수도 있다. 즉, 추상 서비스와 비추상 서비스는 각각 독립된 형태로서 출력 스크린에 표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dependence can be given to each abstract service and non-abstract service. For example, the abstract service may be set directly on the output screen without going through the logical screen, and the non-visual service may be mapped to the output screen where the abstract service is rendered on the logical screen. Then, the output screen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screen, so that the abstract service and the non-abstract service can be independently expressed on one output screen. In addition, each of the abstract service and non-local service may be mapped to a separate logical screen, and then each logical screen may be mapped to a single output screen. In other words, the abstract service and the non-abstract service can be represented on the output screen as independent forms.

한편, 본 발명에서의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은 각각 별도의 객체로서 정의될 수도 있으나, '스크린'이라는 하나의 객체가 갖는 속성 정보에 따라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으로서 기능하거나 출력 스크린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as separate objects, but depending on the property information of one object 'screen', the 'screen' may function as a logical screen or an output screen have.

즉, 스크린 객체에 관한 속성 정보들 중에서 타입(Type) 정보를 통해서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인지 출력 스크린인지를 알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screen is a logical screen or an output screen through type information among attribute information about the screen object.

이러한 스크린 객체의 속성 정보로서, 'Type', 'z-order', 'Display_Area', 'Visibility', 'Associated_Display_Screen', 'Associated_Service_Contexts', 'OutputPort' 등과 같은 속성 정보들이 있다.Attributes such as 'Type', 'z-order', 'Display_Area', 'Visibility', 'Associated_Display_Screen', 'Associated_Service_Contexts', 'OutputPort'

도 6은 스크린 객체의 속성 정보와 이러한 속성 정보들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6 show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creen object and the types of interfaces for processing these attribute information.

'Type' 속성(510)은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인지 출력 스크린인지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이다.The 'Type' attribute 510 is attribut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screen is a logical screen or an output screen.

'z-order' 속성(520)은 논리 스크린들이 출력 스크린 상에서 표현될 때 z축 상에서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서는 논리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 상에서 z-order 속성에 따라 어떻게 보여지는지를 예시하고 있다.The 'z-order' attribute 520 is for determining the order on the z-axis when the logical screens are rendered on the output screen, and FIG. 7 illustrates how the logical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z- .

도 7에서 출력 스크린(610) 상에는 제1 논리 스크린(620)과 제2 논리 스크린(630)이 일정한 영역에 매핑되어 표현되고 있다. 이 때, 제1 논리 스크린(620)이 출력 스크린 상에서 표현되고, 그 위로 제2 논리 스크린(630)이 표현되고 있다. 즉, z축 방향으로 출력 스크린(610), 제1 논리 스크린(620) 그리고 제2 논리 스크린(630)의 순서로 표현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제1 논리 스크린(620)의 z-order 속성값이 1로, 제2 논리 스크린(620)의 z-order 속성값이 2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z-order 속성값은 출력 스크린의 z축 상에서 논리 스크린이 표현되는 순서를 가리키는 정보라면 어떠한 숫자 또는 문자 형태도 가능하다.In FIG. 7, the first logical screen 620 and the second logical screen 630 are mapped o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put screen 610. At this time, the first logical screen 620 is represented on the output screen, and the second logical screen 630 is represented thereon. That is, in the z-axis direction, the output screen 610, the first logical screen 620, and the second logical screen 630 are represented in this order. In this case, the z-order attribute value of the first logical screen 620 With this one, the z-order attribute value of the second logical screen 620 can be set to two. In this case, the z-order attribute value can be any number or character type, as long as the information indicates the order in which the logical screen is represented on the z-axis of the output screen.

'Display_Area' 속성(530)은 논리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에 매핑되어 출력될 출력 스크린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데, 도 8a 및 도 8b에서 이를 예시하고 있다.The 'Display_Area' attribute 530 indicates information on the area of the output screen where the logical screen is mapped to the output screen, which is illustrated in FIGS. 8A and 8B.

도 8a은 논리 스크린(710)이 출력 스크린(720)의 전체 영역에 매핑되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8b는 논리 스크린(730)이 출력 스크린(740)의 일부 영역에 매핑되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8A shows that the logical screen 710 is mapped to the entire area of the output screen 720 and FIG. 8B shows that the logical screen 730 is mapped and output to a partial area of the output screen 740 have.

이 때, 'Display_Area' 속성(530)을 나타내는 정보는 출력 스크린 상의 2차원 좌표 정보이거나, 출력 스크린 상에서의 특정 위치 및 상기 특정 위치로부터의 오프셋(offset)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splay_Area' attribute 530 may be expressed as two-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output screen, or as a specific position on the output screen and an offset value from the specific position.

'Visibility' 속성(540)은 논리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 상에 보여질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속성으로서, 이 속성 값을 변경함으로써, 논리 스크린을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게 하거나 사라지게 할 수 있다.The 'Visibility' attribute 540 is an attribute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logical screen is to be displayed on the output screen, by changing the value of this property, the logical screen can be made visible or disappear on the physical display screen.

'Associated_Display_Screen' 속성(550)은 해당 논리 스크린과 연결을 맺은 출력 스크린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출력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논리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여지지 않거나, 다른 외부 출력으로 보내지지 않는다.The 'Associated_Display_Screen' property 550 indic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utput screens connected to the logical screen. Logical screens that are not connected to the output screen are not shown on the display screen or sent to other external outputs.

'Associated_Service_Contexts' 속성(560)은 논리 스크린 또는 출력 스크린 자신에게 연결된 서비스 컨텍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서비스 컨텍스트에 설정된 서비스가 논리 스크린 또는 출력 스크린에 표현된다.The 'Associated_Service_Contexts' attribute 560 indicates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contexts associated with the logical screen or the output screen itself, wherein the services set in the service context are represented on a logical screen or an output screen.

'OutputPort' 속성(570)은 출력 스크린이 출력되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출력 스크린이 출력되는 대상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 유/무선 통신 매체, 각종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Port' attribute 570 indicates information about an object to which the output screen is output. The output screen may include a display scree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various storage media, and the like.

한편, 도 6에 도시된 속성 정보에 대한 값을 알아 오거나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이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성 정보의 값을 설정하거나, 논리 스크린을 출력 스크린과 연결하기 위한 'set' 인터페이스, 속성 정보의 값을 추가하거나 또는 논리 스크린을 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한 'add' 인터페이스, 속성 정보의 값을 알아 오기 위한 'get' 인터페이스, 속성 정보의 값을 삭제하기 위한 'remove' 인터페이스 등이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기 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스(process), 함수(function), 프로시저(procedure), 메소드(method)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interfaces for recognizing or changing the values of the attribute information shown in FIG. 6 may be provi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values of attribute information may be set or a logical screen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screen An 'add' interface for adding a value of property information or connecting a logical screen to a service, a 'get' interface for obtaining a value of property information, a ' remove 'interface. These interfaces can be understood as processes, functions, procedures, and methods that perform each function.

예컨대, 'getDisplayScreen(void)' 메소드는 현재 스크린과 연관된 출력 스크린을 반환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현재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인 경우에는 연관된 출력 스크린이 반환되고, 현재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인 경우에는 현재 스크린에 대한 참조 정보가 반환되며, 현재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이지만 연관된 출력 스크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ULL'이 반환된다.For example, the 'getDisplayScreen (void)' method returns the output screen associated with the current screen. For example, if the current screen is a logical screen, the associated output screen is returned; if the current screen is an output screen,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current screen is returned; if the current screen is a logical screen but no associated output screen 'NULL' is returned.

또 다른 예로, 'public void setDisplayArea(HScreenRectangle rect) throws SecurityException, IllegalStateException' 메소드는 현재의 논리 스크린을 연관된 출력 스크린의 소정의 영역으로 매핑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파라미터로 제공되는 인스턴스는 'org.havi.ui' 패키지의 'HScreenRectangle' 클래스 타입으로서, 2차원 위치 정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setDisplayArea(HScreenRectangle rect)' 메소드에 대한 예외 처리로서, 'SecurityException' 예외와 'IllegalStateException' 예외가 수행될 수 있다. 'IllegalStateException' 예외는 현재의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이 아니거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특성상 현재의 논리 스크린과 연관된 출력 스크린의 영역이 변경될 수 없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ublic void setDisplayArea (HScreenRectangle rect) throws SecurityException, IllegalStateException' method provides the ability to map the current logical screen to a given area of the associated output screen. The parameterized instance is the 'HScreenRectangle' class type in the 'org.havi.ui' package, which has two-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The 'SecurityException' exception and the 'IllegalStateException' exception can be performed as exception handling for the 'setDisplayArea (HScreenRectangle rect)' method above. An 'IllegalStateException' exception may be thrown if the current screen is not a logical screen, or because the nature of the hardware or software platform can not change the area of the output screen associated with the current logical screen.

또 다른 예로, 'getDisplayArea(void)' 메소드는 현재 스크린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HScreenRectangle' 클래스의 형태로 반환한다. 만일, 현재의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인 경우에는 'HScreenRectangle(0,0,1,1)'과 동일한 값을 갖는 'HScreenRectangle' 정보를 반환하고, 현재의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인 경우에는 연관된 출력 스크린에서 상기 논리 스크린이 차지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가 반환된다. 그리고, 현재의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이지만, 연관된 출력 스크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ULL' 값이 반환된다.As another example, the 'getDisplayArea (void)' method returns information about the area of the current screen in the form of the 'HScreenRectangle' class. If the current screen is an output screen, it returns 'HScreenRectangl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value as 'HScreenRectangle (0,0,1,1)', and if the current screen is a logical screen, Information about the area occupied by the logical screen is returned. And, if the current screen is a logical screen but there is no associated output screen, a value of 'NULL' is returned.

위에서 언급된 각각의 인터페이스 이름은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명칭에 불과하므로, 그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능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Each of the above-mentioned interface names is only a name for showing each function, and thus should be understood as its function, not limited to the name.

도 9는 두 개의 서비스가 두 개의 논리 스크린에 각각 설정되고 하나의 출력 스크린에 매핑되어 출력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wo services are set on two logical screens and mapped to one output screen and output.

도 9를 참조하면, 제1 서비스는 비디오/오디오/데이터의 3가지 서비스 컴포넌트가 모두 존재하는 서비스이며, 제2 서비스는 비디오 컴포넌트와 오디오 컴포넌트만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대한 제약 사항을 두지 않으며, 도 9의 경우는 하나의 가능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9, the first service is a service in which all three service components of video / audio / data exist, and the second service is an example in which only a video component and an audio component exis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service component, and FIG. 9 shows one possible example.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가 종래의 방식과 유사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지만, 본 발명을 따를 경우 매핑(mapping)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개수의 제한 없이 복수 개의 서비스를 다양한 위치에 독립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service and the second servic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 a similar manner to the conventional metho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rvices It can be expressed independently at various location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스크린 제공 장치(900)는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940), 서비스 처리 모듈(950), 출력 모듈(960) 그리고 사용자/어플리 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965)을 포함한다. 10, a multi-screen providing apparatus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940, a service processing module 950, an output module 960, and a user /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965 do.

이 때,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source)로서, 방송 신호 수신 모듈(910), 저장 매체(920) 또는 외부 입력 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가 출력되는 매체로서 디스플레이 화면(970), 저장 매체(980) 또는 외부 출력 모듈(99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source for providing the service may include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910, a storage medium 920, or an external input module 930, , A storage medium 980, or an external output module 990.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term &quot; module &quo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or an ASIC, and the module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a module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a module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module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module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940)은 방송 신호 수신 모듈(910), 저장 매체(920) 또는 외부 입력 모듈(93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서비스를 구성하는 다 양한 구성 정보들, 예를 들어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 등을 수신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940 receives variou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configuring a service such as multimedia contents from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910, the storage medium 920 or the external input module 930, for example, Information or data information.

이 때, 방송 신호 수신 모듈(910)은 위성, 지상파 또는 케이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모듈이고, 저장 매체(920)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 등이 저장된 기기를 나타내고, 외부 입력 모듈(93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같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기기로부터 서비스를 구성하는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 등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모듈로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910 is a module for receiving and delivering satellite, terrestrial, or cable broadcast signals, and the storage medium 920 represents a device in which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data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input module 930 may be understood as a module for receiving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data information, or the like constituting a service from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such as a network interface module.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940)은 수신된 서비스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복원하는데, 이 때 복수의 서비스를 복원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원된 서비스는 추상 서비스 또는 비추상 서비스를 포함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940 restores the service using the received service components, and can restore a plurality of services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restored service includes an abstract service or an invisible service.

또한, 여기에서, '복수의 서비스'란 예를 들어 방송 신호 수신 모듈(910)에서 전달되는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의미할 수도 있고, 방송 신호 수신 모듈(910)과 저장 매체(920)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2개의 이상의 서비스를 의미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services may be two or more services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910 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910 and the storage medium 920, Or two or more services that are &lt; / RTI &gt;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940)에서 복원되는 서비스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965)을 통한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에 따라 복원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어느 서비스를 어떤 스크린에 연결할 지 선택할 수 있다.The service restor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940 may be restor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or application through the user /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965. [ At this time, the user or application can select which service to connect to which screen.

서비스 처리 모듈(950)은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940)에 의해 복원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논리 스크린 및 출력 스크린을 생성한다.The service processing module 950 generates a logical screen and an output screen for expressing the service restor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940.

출력 모듈(960)은 출력 스크린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서비스 처리 모듈(950)에 의해 생성된 논리 스크린들을 매핑하고 출력한다. 이 때, 출력 스크린 상으로의 매핑은 이미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965)을 통하여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The output module 960 maps and outputs the logical screens generated by the service processing module 950 to a predetermined area on the output screen. At this time, the mapping onto the output screen may already be set or may be set by the user or application via the user /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965. [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940)에 의해 복원된 서비스는 서비스 처리 모듈(950)에서 논리 스크린과 연결되지 않고 출력 스크린과 직접 연결되어 출력 모듈(96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restor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940 may be output by the output module 960 directly to the output screen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logical screen at the service processing module 950.

출력 모듈(960)에 의해 출력 스크린은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970)을 통하여 출력되거나, 저장 매체(98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 매체(980)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이 가능하고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DVD, DVD-ROM, BD(Blu-ray Disc)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The output module 960 may output the output screen through the physical display screen 970 o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980. Here, the storage medium 980 is a computer-readable and includes a floppy disk, a hard disk, a CD-ROM, a DVD, a DVD-ROM, a Blu-ray Disc (BD)

또한, 외부 출력 모듈(990)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기기로 전달될 수도 있다.It may also be delivered to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via the external output module 990.

이를 위하여, 출력 모듈(960)은 출력 스크린이 제공되는 다수의 출력 포트(output port)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이미 설정된 기본 출력 포트 또는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965)을 통하여 지정된 출력 포트를 통하여 출력 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output module 9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put ports to which an output screen is provided, in which case, through a pre-established basic output port or user /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965, An output screen may be provided.

여기서, 출력 모듈(960)은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처리 모듈(950)에 의하여 생성된 스크린 중 특정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하는 것이다.Here, the output module 960 may retrieve the output port associated with the screen. That is, one of the screens generated by the service processing module 950 is searched for an output port connected to a specific screen.

출력 모듈(960)에 의하여 검색되는 스크린으로는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논리 스크린 및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는 출력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screen retrieved by the output module 960 includes at least one of a logical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is executed and an output screen on which the logical screen is mapped.

또한, 출력 모듈(960)에 의하여 검색되는 출력 스크린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논리 스크린이 매핑된 스크린일 수 있으며, 논리 스크린의 매핑 없이 어플리케이션이 직접 실행되는 스크린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screen retrieved by the output module 960 may be a screen to which the logical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s mapped, or may be a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directly executed without mapping the logical screen.

그리고, 출력 모듈(960)은 하나의 스크린에 대한 출력 포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여 스크린과 매핑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965)를 통하여 스크린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화면(970), 저장 매체(980) 또는 외부 출력 모듈(990)로 전송할 수 있는데, 출력 모듈(960)은 각 경로로의 출력 포트를 별도로 생성하여 스크린과 매핑할 수 있는 것이다.The output module 960 may generate at least one output port for one screen and map it to the screen. In other words, the user or application may transmit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screen to the display screen 970, the storage medium 980 or the external output module 990 via the user /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965, ) Can create output ports for each path separately and map them to the screen.

또한, 출력 모듈(960)은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와 스크린간의 연결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크린과 제 1 출력 포트가 매핑되어 있고, 제 2 스크린과 제 2 출력 포트가 매핑되어 있는 상태에서, 출력 모듈(960)은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에 따라 제 1 스크린을 제 2 출력 포트에 연결시키고, 제 2 스크린을 제 1 출력 포트에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utput module 960 may chang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and the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creen. For example, in a state that the first screen and the first output port are mapped and the second screen and the second output port are mapped, the output module 960 outputs the first screen 2 output port and the second screen to the first output port.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965)을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복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모듈(965)을 통하여 다수의 출력 스크 린 중 임의의 출력 스크린을 선택할 수도 있다.The user or application can select or restore the desired service through the user /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965. [ In addition, a user or an application may select any output screen among a plurality of output screens through the user / application interface module 965. [

도 10에 도시된 각 모듈들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분리되어 도시되고 있으므로,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각각 다른 모듈들과의 결합도 가능하다.Since each of the modules shown in FIG. 10 is separately shown according to each function, in actual implementation, it is possible to combine with other modules.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11A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데이터 정보 등은 예를 들어 MPEG 스트림과 같은 소정의 포맷에 따라 전달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서비스를 실행하는 장치는 상기와 같은 정보들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서비스를 복원하게 된다(S1010). 이 때, 복원되는 서비스는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선택되거나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나타나는 메뉴나 리모컨을 이용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API를 이용하여 어느 서비스를 어떤 스크린에 연결할 지 선택할 수 있다. In general,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constituting multimedia contents are deliver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such as an MPEG stream, for example. Therefore, the device executing the service such as the multimedia contents receives the above information and restores the corresponding service (S1010). At this time, the restored service can be selected or preset by the user or the application. The user can select which services to connect to which screen using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r the remote control or the application using the API.

한편, 데이터 정보는 서비스 내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PiP 스크린에서 실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 정보(signal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예로서, MHP 규격에 따른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과 OCAP 규격에 따른 XAIT(eXtended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등이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상기 시그널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information includes appl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existing in the servic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ncludes signal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on the PiP screen. Examples of the application information include an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AIT) according to the MHP standard and an extended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XAIT) according to the OCAP standard, and the signal information can be added to the application information.

그리고 나서, 상기 복원된 서비스를 본 발명에 따른 논리 스크린에서 표현되도록 설정하고(S1020), 상기 논리 스크린을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 한 후(S1030), 디스플레이 화면,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출력 스크린이 제공된다(S1040).Then, the restored service is set to be represented in the logical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020), the logical screen is mapped to the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030), and then the display screen, The output screen is provided (S1040).

도 11b는 출력 스크린이 제공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로서, 출력 모듈(960)은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명령에 따라 출력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S1050)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S1060). 즉,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출력 포트 검색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출력 모듈(960)은 현재 출력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하고, 출력 포트 변경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출력 모듈(960)은 현재 스크린에 연결된 출력 포트를 다른 출력 포트로 연결함으로써 그 연결 관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11B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output screen. The output module 960 may search for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output screen (S1050) or change the output por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a user or an application (S1060) . That is, when a control command for searching for an output port is inputted from a user or an application, the output module 960 searches for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current output screen, and when a control command for changing the output port is inputted, You can change the connection by connecting the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current screen to another output port.

한편, 도 11a 내지 도 11b에서는 복원된 서비스가 논리 스크린을 거쳐 출력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으나, 논리 스크린을 거치지 않고 직접 출력 스크린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11A to 11B, the restored service is expressed as being provided through an output screen via a logical screen, but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direct output screen without going through a logical screen.

또한, 사용자가 PiP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2가지 모드로서 PiP 서비스가 표현될 수 있는데 제1 모드에서는 PiP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논리 스크린 예컨대 PiP 스크린이 생성되지 않고, 메인 스크린에서 선택된 PiP 서비스의 비디오 컴포넌트만 표현되고, 제2 모드에서는 모드에서는 PiP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논리 스크린이 생성되어 생성된 PiP 스크린 내에서 선택된 PiP 서비스가 표현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PiP service, the PiP service can be expressed as two modes. In the first mode, a separate logical screen for the PiP service, for example, a PiP screen is not generated, In the second mode, a separate logical screen for the PiP service is generated and the selected PiP service is displayed in the generated PiP screen.

한편, 도 11a 내지 도 11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서비스가 출력 스크린으로 매핑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스크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서비스가 다수의 논리 스크린을 통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하나의 출력 스크린 내의 임 의의 영역으로 매핑될 수 있다.11A to 11B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one service is mapped to an output scree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services may be displayed on a plurality of logical screens or directly on one output screen And can be mapped to arbitrary regions.

따라서, 출력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an output screen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screen, the user or the application can execute a plurality of services.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ure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oftware architecture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100)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Device Driver Layer)(1110), API 레이어(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Layer)(112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1130)를 포함한다.12, the software architecture 1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driver layer 1110, an API layer 1120, and an application layer 1130 .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11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들을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이 때, 서비스 컴포넌트의 예로서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또는 데이터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device driver layer 1110 receives and decodes service components constituting a service from various sources providing multimedia contents. At this time, examples of service components include vide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r data information.

API 레이어(1120)는 논리 스크린 및 출력 스크린을 생성하고, 서비스, 논리 스크린, 출력 스크린 간의 매핑을 수행한다.The API layer 1120 generates a logical screen and an output screen, and performs a mapping between the service, 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어플리케이션 레이어(1130)는 서비스가 표현되는 논리 스크린을 사용자가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API 레이어(1120)로 전달하여 해당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layer 113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dynamically configure the logical screen on which the service is represented or may transmit a user's command to the API layer 1120 to perform a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have.

한편,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1130)를 통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1110)로 하여금 출력 스크린을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출력하도 록 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1110)에 의해 출력 스크린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user can cause the device driver layer 1110 to output the output screen through the physical display screen or store the output screen on the storage medium through the application layer 1130. [ In addition, the device driver layer 1110 may transmit the output screen to another device via the network.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1110)는 상기 출력 스크린을 제공하는 다수의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다수의 출력 포트는 API 레이어(1120)에 존재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device driver layer 1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put ports for providing the output screen, but a plurality of output ports may exist in the API layer 1120. [

한편, 다수의 논리 스크린을 출력 스크린 상에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API 레이어(1120)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MultiScreenManager' 모듈, 'MultiScreenContext' 모듈, 'MultiScreenContextListener' 모듈 그리고 'MultiScreenContextEvent' 모듈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이러한 모듈들의 관계를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다.In order to dynamically configure a plurality of logical screens on the output screen, the API layer 1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ftware modules, in which a 'MultiScreenManager' module, a 'MultiScreenContext' module, a 'MultiScreenContextListener' MultiScreenContextEvent 'module as an examp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odules is shown in FIG.

'MultiScreenManager' 모듈(1210)은 'MultiScreenContext' 모듈을 관리하면서, 원하는 스크린을 찾거나 스크린들간의 디바이스 공유 정보를 알려 주거나, 'MultiScreenContextListener' 모듈(1250)의 등록 또는 해제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manages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finds a desired screen, informs device sharing information between screens, and plays a role of registering or releasing the 'MultiScreenContextListener' module 1250.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은 스크린 객체(1220)와 연관되어 스크린 객체에 대한 인터페이스 객체로서,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의 인터페이스 동작에 따라 스크린 객체가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으로 스크린의 유형이 결정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되고 있는 다양한 속성 정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set', 'add', 'get', 'remove' 인터페이스들은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is an interface object for a screen object in association with the screen object 1220, and the screen object is determined as 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interface operation of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And various attribute information shown in Fig. 6 can be set. The aforementioned 'set', 'add', 'get', and 'remove' interfaces may be provided by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MultiScreenContextEvent' 모듈(1240)은 'MultiScreenContext' 인터페이스 객체(1230)에 의하여 스크린 객체(1220)의 속성 정보들이 바뀐 경우, 이를 알려주기 위한 이벤트 클래스(event class)이고, 'MultiScreenContextListener' 모듈(1250)은 'MultiScreenContextEvent' 모듈(1240)에 의한 이벤트를 수신하고자 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클래스에 구현될 수 있는 리스너 인터페이스(listener interface) 객체이다.The 'MultiScreenContextEvent' module 1240 is an event class for notifying when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screen object 1220 is changed by the 'MultiScreenContext' interface object 1230 and the 'MultiScreenContextListener' module 1250 Is a listener interface object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class to receive an event by the 'MultiScreenContextEvent' module 1240.

한편, 어플리케이션 (1260)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1130)에서 동작하는 모듈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게 하고, 출력 스크린에 다수의 논리 스크린을 원하는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application 1260 is a module operating in the application layer 1130, allowing a user to select a desired service and freely arranging a plurality of logical screens on an output screen according to a desired form.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1260)은 사용자가 논리 스크린을 동적으로 배치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에 관한 명령들을 MultiScreenManager 모듈(1210)로 전달하면, MultiScreenManager 모듈(1210)은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을 통하여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Thus, if the application 1260 passes commands to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about dynamically arranging and managing the logical screen to the user,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sends a command to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via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To perform an operation.

한편,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은 스크린 객체(1220)와 연관되어 도 6에 도시된 스크린 객체(1220)의 속성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함수 또는 메소드(method)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can manage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creen object 1220 shown in FIG. 6 in association with the screen object 1220 and can include various functions or methods for such management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ultiScreenManager 모듈(1210)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1110)로부터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컴포넌트들을 수신하여 논리 스크린 또는 출력 스크린에서 표현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기능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모듈을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may receive service components provided from various sources from the device driver layer 1110 and may operate to be expressed in a logical screen or an output screen. Of course, this function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module, not shown.

도 14는 도 13에서 도시된 각 모듈들에 의하여 복수 개의 서비스를 논리 스크린을 통하여 출력 스크린에 나타내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ervices on an output screen through a logical screen by the respective modules shown in FIG.

우선, MultiScreenManager 모듈(1210)은 하나의 출력 스크린과 실행될 서비스 개수만큼의 논리 스크린을 생성한다(S1310).First,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generates one output screen and a number of logical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ervices to be executed (S1310).

그리고 나서, MultiScreenManager 모듈(1210)은 각각의 논리 스크린을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이어(11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와 연결시킨다(S1320). 이 때, 각각의 논리 스크린에 대하여, 연결할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컨텍스트 객체를 파라미터로 하여 논리 스크린 객체의 'addServiceContext'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addServiceContext' 메소드는 논리 스크린과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소드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n,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associates each logical screen with the service received from the device driver layer 1110 (S1320). At this time, for each logical screen, the 'addServiceContext' method of the logical screen object can be called with the service context object for the service to be connected as a parameter. Here, the 'addServiceContext' method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performing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logical screen and the service, and can be provided by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논리 스크린과 서비스가 연결되면, MultiScreenManager 모듈(1210)은 각각의 논리 스크린을 출력 스크린과 연결한다(S1330). 이 때, 각각의 논리 스크린에 대하여, 연결할 출력 스크린 객체를 파라미터로 하여 논리 스크린 객체의 'setDisplayScreen'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setDisplayScreen' 메소드는 논리 스크린과 출력 스크린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소드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logical screen and the service are connected,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connects each logical screen with the output screen (S1330). At this time, for each logical screen, the 'setDisplayScreen' method of the logical screen object can be called with the output screen object to be connected as a parameter. Here, the 'setDisplayScreen' method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performing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logical screen and the output screen, and can be provided by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예를 들어, 'setDisplayScreen' 메소드는 'public void setDisplayScreen(HScreen screen) throws SecurityException, IllegalStateException'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 메소드는 파라미터로 제공 되는 'HScreen' 인스턴스를 현재의 논리 스크린과 연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HScreen' 인스턴스는 출력 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setDisplayScreen' method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public void setDisplayScreen (HScreen screen) throws SecurityException, IllegalStateException', which associates the parameter 'HScreen' instance with the current logical screen . In this case, the 'HScreen' instance is preferably an output screen.

그리고, 상기 'setDisplayScreen(HScreen screen)' 메소드의 파라미터는 'NULL'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 없이 'setDisplayScreen(HScreen screen)' 메소드가 실행되면 현재의 논리 스크린은 더 이상 출력 스크린과 연관되지 않는다.If the 'setDisplayScreen (HScreen screen)' method is executed without exception handling in this case, the current logical screen is no longer displayed It is not associated with the output screen.

그리고, 'setDisplayScreen(HScreen screen)' 메소드에 대한 예외 처리로서, 'SecurityException' 예외와 'IllegalStateException' 예외가 수행될 수 있다.And as an exception handling for the 'setDisplayScreen (HScreen screen)' method, a 'SecurityException' exception and an 'IllegalStateException' exception can be thrown.

'IllegalStateException' 예외는 현재의 스크린이 논리 스크린이 아니거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특성상 파라미터로 제공되는 출력 스크린이 특정한 논리 스크린과 연관되어 현재의 논리 스크린을 상기 파라미터에 해당하는 출력 스크린과 연관시킬 수 없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An 'IllegalStateException' exception is one in which the current screen is not a logical screen, or an output screen provided as a parameter to the nature of the hardware or software platform i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logical screen to associate the current logical screen with the out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at parameter Can be carried out in the absence.

서비스와 논리 스크린, 그리고 다수의 논리 스크린과 하나의 출력 스크린이 연결되면, 각각의 논리 스크린이 표현될 출력 스크린의 영역이 설정된다(S1340). 이 때, 각각의 논리 스크린에 대하여, 출력 스크린에 보여질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에 의해 제공되는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다.When a service, a logical screen, and a plurality of logical screens and one output screen are connected, an area of an output screen where each logical screen is to be displayed is set (S1340). At this time, for each logical screen, the method provided by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may be called to set the area to be displayed on the output screen.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960)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출력 모듈(9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포트 검색(1510) 또는 출력 포트 변경(1520)을 수행할 수 있다.Figure 15 is an illustration of the operation of an output module 96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utput module 960 can perform an output port search 1510 or an output port change 1520, have.

출력 포트 검색(1510)을 수행하기 위하여, 출력 모듈(960)은 'getOutputPorts'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다. 'getOutputPorts' 메소드는 스크린이 매핑된 비디오 출력 포트를 추출하는 메소드로서, 그 데이터 형은 'org.ocap.hardware' 패키지의 'VideoOutputPort[]' 클래스 타입이다. 즉, 'getOutputPorts' 메소드는 'HScreen'에 연결된 'VideoOutputPort' 인스턴스의 집합을 반환하는 것이다.To perform an output port search 1510, the output module 960 may call the method 'getOutputPorts'. The 'getOutputPorts' method extracts the video output port to which the screen is mapped. Its data type is the 'VideoOutputPort []' class type in the 'org.ocap.hardware' package. That is, the 'getOutputPorts' method returns a set of 'VideoOutputPort' instances connected to 'HScreen'.

이 때, 해당 스크린의 종류가 출력 스크린이고 비디오 출력 포트와 연결된 경우 'getOutputPorts' 메소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ideoOutputPort' 인스턴스를 반환하고, 해당 스크린의 종류가 논리 스크린인 상태에서 그 논리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과 연결된 경우 'getOutputPorts' 메소드는 출력 스크린에 연결된 'VideoOutputPort' 인스턴스를 반환한다. 또한, 해당 스크린의 종류가 논리 스크린인 상태에서 그 논리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과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getOutputPorts' 메소드는 NULL을 반환할 수도 있다.The 'getOutputPorts' method returns at least one instance of 'VideoOutputPort' when the screen type is an output screen and is connected to the video output port. When the type of the screen is logical screen, If connected, the 'getOutputPorts' method returns the 'VideoOutputPort' instance connected to the output screen. Also, if the type of the screen is a logical screen and the logical screen is not connected to the output screen, the 'getOutputPorts' method may return NULL.

도 16a는 스크린에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하기 위한 코드의 예시도로서, 'MultiScreenContext' 모듈의 스크린 객체인 'screen'에 대하여 'getOutputPorts' 메소드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다.16A is an example of a code for retrieving an output port connected to a screen, which indicates that a 'getOutputPorts' method is applied to 'screen' which is a screen object of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출력 포트 변경(1520)을 수행하기 위하여, 출력 포트(960)는 'addOutputPort' 메소드 또는 'removeOutputPort'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다. 'addOutputPorts' 메소드는 스크린이 매핑된 비디오 출력 포트의 집합에 'VideoOutputPort' 인스턴스를 추가하는 메소드로서, 그 파라미터로 'VideoOutputPort'를 포함한다.To perform an output port change 1520, the output port 960 may call the 'addOutputPort' method or the 'removeOutputPort' method. The 'addOutputPorts' method adds a 'VideoOutputPort' instance to the set of video output ports to which the screen is mapped and includes 'VideoOutputPort' as its parameter.

'addOutputPort' 메소드는 'void addOutputPort(org.ocap.hardware.VideoOutputPort port) throws java.lang.SecurityException,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The 'addOutputPort' method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void addOutputPort (org.ocap.hardware.VideoOutputPort port) throws java.lang.SecurityException,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ddOutputPort' 메소드에 의한 예외 처리가 수행됨에 있어서, 소정 권한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 'java.lang.SecurityException' 예외가 수행될 수 있고, 해당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이 아닌 경우, 지정된 출력 포트가 이미 다른 스크린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해당 스크린에 대한 'VideoOutputPort' 인스턴스가 변경될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플랫폼이 'VideoOutputPort' 인스턴스의 특정 집합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또는 해당 스크린에 지정된 'VideoOutputPort' 인스턴스가 이미 연결되어 있는 경우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예외가 수행될 수 있다.In the exception handling performed by the 'addOutputPort' method, a 'java.lang.SecurityException' exception may be thrown if the given permission is not given, and if the screen is not an output screen, (Eg if the platform is permanently connected to a specific set of instances of 'VideoOutputPort'), or a 'VideoOutputPort' instance assigned to that screen, if the 'VideoOutputPort' instance for that screen can not be changed The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exception can be thrown if it is already connected.

'removeOutputPort' 메소드는 스크린이 매핑된 비디오 출력 포트의 집합에서 'VideoOutputPort' 인스턴스를 제거하는 메소드로서, 그 파라미터로 'VideoOutputPort'를 포함한다.The 'removeOutputPort' method removes the 'VideoOutputPort' instance from the set of video output ports to which the screen is mapped and includes 'VideoOutputPort' as its parameter.

'removeOutputPort' 메소드는 'void removeOutputPort(org.ocap.hardware.VideoOutputPort port) throws java.lang.SecurityException,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The 'removeOutputPort' method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void removeOutputPort (org.ocap.hardware.VideoOutputPort port) throws java.lang.SecurityException,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removeOutputPort' 메소드에 의한 예외 처리가 수행됨에 있어서, 소정 권한 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 'java.lang.SecurityException' 예외가 수행될 수 있고, 해당 스크린이 출력 스크린이 아닌 경우, 해당 스크린에 대한 'VideoOutputPort' 인스턴스가 변경될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플랫폼이 'VideoOutputPort' 인스턴스의 지정된 집합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예외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VideoOutputPort' 인스턴스가 해당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예외가 수행될 수 있다.In exception handling by the 'removeOutputPort' method, a 'java.lang.SecurityException' exception may be thrown if no privileges are given, and if the screen is not an output screen, the 'VideoOutputPort' A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exception may be thrown if the instance can not be changed (for example, if the platform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specified set of instances of 'VideoOutputPort'). In addition, a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exception may be thrown if the specified 'VideoOutputPort' instance is not connected to the screen.

도 16b는 스크린에 연결된 출력 포트를 변경하기 위한 코드의 예시도로서, 'MultiScreenConfigurableContext' 모듈의 스크린 객체인 'screen'에 대하여 'addOutputPort' 메소드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다.16B is an example of a code for changing an output port connected to a screen, which indicates that the 'addOutputPort' method is applied to 'screen' which is a screen object of the 'MultiScreenConfigurableContext' module.

도 17은 도 13에서 도시된 각 모듈들에 의하여 논리 스크린에 표현되는 서비스가 교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FIG.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changing services represented on a logical screen by the respective modules shown in FIG.

우선, MultiScreenManager 모듈(1210)은 서비스가 서로 교환될 두 논리 스크린에 존재하는 서비스를 일시 중지시킨다(S1410).First, the MultiScreenManager module 1210 suspends the services that exist in the two logical screens to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S1410).

그리고 나서, 두 논리 스크린에 연결된 서비스의 정보를 교환한다(S1420). 이 때, 두 논리 스크린 객체 각각에 대해 'removeServiceContext' 메소드와 'addServiceContext' 메소드를 호출함으로써 논리 스크린에 설정된 서비스 컨텍스트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removeServiceContext' 메소드는 논리 스크린에 연결되어 있던 서비스 컨텍스트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소드로서 이해될 수 있고, 'addServiceContext' 메소드는 논리 스크린에 새로운 서비스 컨텍스트를 추 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소드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removeServiceContext' 메소드와 'addServiceContext' 메소드는 MultiScreenContext 모듈(12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논리 스크린에 연결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종래의 주화면과 부화면을 서로 교환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3개 이상의 서비스가 실연되고 있더라도 임의의 개수의 논리 스크린 간에 서비스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Then, the information of the service connected to the two logical screens is exchanged (S1420). At this time, the service context set in the logical screen can be exchanged by calling the 'removeServiceContext' method and the 'addServiceContext' method for each of the two logical screen objects. The 'removeServiceContext' method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to remove the service context connected to the logical screen. The 'addServiceContext' method is a method to add a new service context to the logical screen. And the 'removeServiceContext' method and the 'addServiceContext' method may be provided by the MultiScreenContext module 123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effect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in the related art by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connected to the logical screen, but also, for example, even if three or more services are performed on the display screen, Services can be exchanged between screens.

두 논리 스크린에 연결된 서비스의 정보가 교환되면, 서비스와 논리 스크린의 연결이 바뀌었다는 이벤트가 발생되고(S1430), 그리고 나서, 'MultiScreenContextEvent' 모듈(1240)은 발생된 이벤트를 'MultiScreenContextListener' 모듈(1250)로 전달하고, 두 논리 스크린에 새롭게 연결된 서비스에 대한 실행이 재개된다(S1440).When the information of the service connected to the two logical screens is exchanged, an event is generated (S1430)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rvice and the logical screen is changed (S1430), and the 'MultiScreenContextEvent' module 1240 transmits the generated event to the 'MultiScreenContextListener' module 1250 And the execution of the service newly connected to the two logical screens is resumed (S144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 및 상기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에 따르면,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스크린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서로 다른 다수의 출력 포트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생성된 스크린을 그 용도에 맞도록 운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multiple screen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ynamically configure a plurality of screens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on a physical display screen, By connecting to a number of output ports, there is an advantage in allowing the user to operate the generated screens to suit their purposes.

Claims (31)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 및A service processing module for generating a screen for expressing the received service; And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And an output module for retrieving an output port associated with the screen, 상기 스크린은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논리 스크린 및 상기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는 출력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logical screen on which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is executed and an output screen on which the logical screen is mapp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출력 스크린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output screen comprises a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크린은 PiP(Picture-in-Picture)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screen provides a multiple screen including a Picture-in-Picture (PiP) scree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스크린은 PoP(Picture-out of-Picture)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screen provides a multiple screen including a Picture-Out of Picture (PoP) scree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스크린에 대한 상기 출력 포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여 상기 스크린과 매핑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output module provides at least one output port for the screen to provide multiple screens for mapping to the screen.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 및A service processing module for generating a screen for expressing the received service; And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와 상기 스크린간의 연결 관계를 변경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And an output module for chang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creen and the screen, 상기 스크린은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논리 스크린 및 상기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는 출력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logical screen on which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is executed and an output screen on which the logical screen is mapped.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출력 스크린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output screen comprises a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스크린은 PiP(Picture-in-Picture)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screen provides a multiple screen including a Picture-in-Picture (PiP) screen.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스크린은 PoP(Picture-out of-Picture)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screen provides a multiple screen including a Picture-Out of Picture (PoP) screen. 제 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스크린에 대한 상기 출력 포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여 상기 스크린과 매핑하는 다중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Wherein the output module provides at least one output port for the screen to provide multiple screens for mapping to the screen.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단계; 및Creating a screen for presenting the received service; And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Retrieving an output port associated with the screen, 상기 스크린은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논리 스크린 및 상기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는 출력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logical screen on which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is executed and an output screen on which the logical screen is mapped. 삭제delete 제 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출력 스크린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Wherein the output screen comprises a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 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스크린은 PiP(Picture-in-Picture)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 picture-in-picture (PiP) screen. 제 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스크린은 PoP(Picture-out of-Picture)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 Picture-Out of Picture (PoP) screen. 제 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스크린에 대한 상기 출력 포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단계; 및Creating at least one output port for the screen; And 상기 생성된 출력 포트를 상기 스크린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And mapping the generated output port to the screen. 수신된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스크린을 생성하는 단계; 및Creating a screen for presenting the received service; And 상기 스크린과 연결된 출력 포트와 상기 스크린간의 연결 관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hang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screen and the screen, 상기 스크린은 상기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논리 스크린 및 상기 논리 스크린이 매핑되는 출력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logical screen on which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ervice is executed and an output screen on which the logical screen is mapped. 삭제delete 제 19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출력 스크린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Wherein the output screen comprises a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제 19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스크린은 PiP(Picture-in-Picture)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 picture-in-picture (PiP) screen. 제 19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스크린은 PoP(Picture-out of-Picture) 스크린을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 Picture-Out of Picture (PoP) screen. 제 19항에 있어서,20.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스크린에 대한 상기 출력 포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단계; 및Creating at least one output port for the screen; And 상기 생성된 출력 포트를 상기 스크린과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의 동적 구성 방법.And mapping the generated output port to the screen. 비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를 표시하는 스크린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An apparatus for receiving at least one service from among a video service, an audio service, and a data service and providing a screen for displaying the received service,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출력 포트의 연관 관계를 포함하는 상기 스크린의 스크린 속성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스크린 속성 정보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듈; 및A module for setting screen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creen including an association between the screen and the output port and confirming the state of the screen property information; And 상기 스크린에 현재 연관된 출력 포트를 확인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공 장치.And a module for identifying an output port currently associated with the screen.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포트 확인 모듈은,26. The system of claim 25, wherein the output port validation module comprises: 상기 스크린의 스크린 속성 정보 중 상기 스크린에 연관된 출력 포트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연관된 출력 포트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공 장치.To identify a currently associated output port based on output por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creen among screen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creen. 제 25 항에 있어서, 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스크린 속성 정보는, 상기 스크린의 표시 방식 정보 및 상기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배치 방식 및 서비스의 연관 관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공 장치.Wherein the screen attribut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display method information of the screen and association information of the screen,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screen, and the service.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제공 장치는, 26. The screen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5, 상기 수신된 서비스가 상기 스크린 상에 표현되도록 상기 스크린 속성 정보의 설정 동작을 관리하고, 상기 서비스의 재생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공 장치.Further comprising: a module for managing the setting operation of the screen attribute information so that the received servi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managing a re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service. 제 25 항에 있어서,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공 장치.Wherein the screen i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제 25 항에 있어서,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출력 포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공 장치.Wherein the output port i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제 25 항에 있어서,26. 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스크린은 논리 스크린 및 출력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Wherein the screen comprises at least one of a logical screen and an output screen, 상기 출력 스크린은 출력 포트에 출력되는 스크린이고, 상기 논리 스크린은 상기 서비스가 연관되는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공 장치.Wherein the output screen is a screen output to an output port, and wherein the logical screen is a screen to which the service is associated.
KR1020060073122A 2005-08-05 2006-08-02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8467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122A KR100846790B1 (en) 2005-08-05 2006-08-02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MX2008001421A MX2008001421A (en) 2005-08-05 2006-08-04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JP2008524902A JP2009503603A (en) 2005-08-05 2006-08-04 Multipl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nd dynamic configuration method of the multiple screen
CN2006800285207A CN101238724B (en) 2005-08-05 2006-08-04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CA002616255A CA2616255A1 (en) 2005-08-05 2006-08-04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PCT/KR2006/003078 WO2007018381A1 (en) 2005-08-05 2006-08-04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EP06823623A EP1913770A4 (en) 2005-08-05 2006-08-04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of dynamically configuring multiple scre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705,491 2005-08-05
US60/789,577 2006-04-06
US60/812,090 2006-06-09
KR1020060073122A KR100846790B1 (en) 2005-08-05 2006-08-02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332A Division KR20080033225A (en) 2005-08-05 2008-03-28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014A KR20070017014A (en) 2007-02-08
KR100846790B1 true KR100846790B1 (en) 2008-07-16

Family

ID=4164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122A KR100846790B1 (en) 2005-08-05 2006-08-02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79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1933A1 (en) 2013-12-04 2015-06-10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EP2889864A1 (en) 2013-12-24 2015-07-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646533B2 (en) 2013-12-13 2017-05-09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490A (en) * 1997-06-05 1999-01-15 배순훈 Screen output control device of a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KR20040044208A (en) * 2002-11-19 200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ata broadcasting display method of digital television system
KR20040096345A (en) * 2003-05-0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porting sub-screen data to extern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490A (en) * 1997-06-05 1999-01-15 배순훈 Screen output control device of a television having a PIP function.
KR20040044208A (en) * 2002-11-19 200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ata broadcasting display method of digital television system
KR20040096345A (en) * 2003-05-0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porting sub-screen data to external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1933A1 (en) 2013-12-04 2015-06-10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183785B2 (en) 2013-12-04 2015-11-10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646533B2 (en) 2013-12-13 2017-05-09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2889864A1 (en) 2013-12-24 2015-07-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514685B2 (en) 2013-12-24 2016-12-0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014A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3225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84679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JP2009504070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screen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screen
JP2009503603A (en) Multipl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nd dynamic configuration method of the multiple screen
JP200950406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screen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screen
KR100891111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200701001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application in the multiple screens environment
KR1009178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creens,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embodi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creens
KR100791301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79130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900973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888595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900975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90097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20070100112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KR1007815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screen
KR1007254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screen
KR20070017015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creens and method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the same
JP2009504067A (en) Multipl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nd dynamic configuration method of the multiple screen
JP2009503605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screen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screen
JP2009504071A (en) Multiple screen providing apparatus and dynamic configuration method of the multiple screen
JP2009503604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screen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screen
JP200950406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screen and a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the multi-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