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810B1 -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 Google Patents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810B1
KR100823810B1 KR1020060022534A KR20060022534A KR100823810B1 KR 100823810 B1 KR100823810 B1 KR 100823810B1 KR 1020060022534 A KR1020060022534 A KR 1020060022534A KR 20060022534 A KR20060022534 A KR 20060022534A KR 100823810 B1 KR100823810 B1 KR 100823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image
reflected
photographing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259A (ko
Inventor
타카시 카키우치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5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tern recognition, e.g. using g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40Spoof detection, e.g. liveness detection
    • G06V40/45Detection of the body part being al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과제
본인이 인증을 행할 때의 장애가 되지 않고,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배제할 수 있는 피사체 인증 방법,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및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촬영 수단으로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의 요소에 의거하여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에 대해, 상기 촬영 수단으로 피사체를 촬영한 촬영 화상중, 피사체의 눈에 반영한 반영 화상에 의거하여 위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위장 판정 수단을 구비하였다.
피사체 인증 장치

Description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PHOTOGRAPHED BODY AUTHENTICATING DEVICE, PORTABLE TELEPHONE}
도 1은 피사체 인증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피사체 인증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피사체 인증 장치의 제어부가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4는 촬영 화상 설명도.
도 5는 실시예 2의 피사체 인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사체 인증 장치
12 : 카메라
13 : 조명 장치
14 : 액정 모니터
21 : 화상 입력부
25 : 표시부
26 : 제어부
41 : 촬영 화상
53 : 눈동자부
61 : 반영 화상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사람의 얼굴이나 홍채(虹彩) 등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해당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피사체 인증 유닛, 피사체 인증 방법, 및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본인 인증을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얼굴을 촬영하여 인증하는 얼굴 인증 시스템, 홍채를 촬영하여 인증하는 홍채 인증 시스템 등, 다양한 인증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의 인증 시스템은, 얼굴, 또는 눈이라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인증하는 것이나, 사진 등에 의한 모인(冒認)(위장(僞裝))을 배제할 필요가 있다.
이 사진에 의한 모인의 배제의 방법으로서, 피사체를 복수회 촬영하고, 각 촬영 화상의 배경이 연속하여 있지 않으면, 본인이 아니라고 판정하는 본인 인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배경이 연속하고 있는 것으로 사진에 의한 모인을 배제하면,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 정보 단말에 실장하는 것을 고려한 경우, 전철, 자동차, 또는 도보 등에 의한 이동중에 인증을 행하려고 하면, 촬영 화상중의 배경이 변화하여 버려, 본인이라고 인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같은 배경에서 촬영한 사진을 준비하면, 모인을 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2004-362079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인이 인증을 행할 때의 장애가 되지 않고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배제할 수 있는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피사체 인증 유닛, 피사체 인증 방법, 및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촬영 수단으로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의 요소에 의거하여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로서, 상기 촬영 수단으로 피사체를 촬영한 촬영 화상중, 피사체의 눈에 반영한 반영 화상에 의거하여 위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위장 판정 수단을 구비한 피사체 인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굴의 요소에 의거한 피사체의 인증은, 피사체의 홍채에 의거한 인증, 또는 피사체의 얼굴에 의거한 인증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의 눈에 반영한 반영 화상은, 눈(目)의 눈동자부분, 홍채부분, 검은자위(동공 및 홍채)부분, 또는 흰자위부분, 또는, 눈 전체 중, 어느 쪽인가에 반영한 반영 화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평면적인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용이하게 배제할 수 있다. 특히, 배경을 인증 조건으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 중이라도 적절하게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피사체의 눈에 반영하는 반영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는 반영 화상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반영 화상 변경 수단에 의해 피사체의 눈에 반영시키는 반영 화상을 변경한 복수의 촬영 화상을 상기 촬영 수단으로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위장 판정 수단을, 상기 반영 화상 변경 수단에 의한 변화가, 각 촬영 화상의 피사체의 눈에 반영한 반영 화상에 나타나 있지 않는 경우에, 위장이라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반영 화상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하는(변화시키는) 대상의 예로서는, 반영 화상의 색, 크기,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이로써, 평면적인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보다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반영 화상 변경 수단을, 화상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 또는 조명을 행하는 조명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눈에 반영시키는 반영 화상을 선명하게 할 수 있고, 평면적인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더욱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사체 인증 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로 할 수 있 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로 피사체 인증을 할 수 있고, 그때에 평면적인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수단으로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의 요소에 의거하여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촬영 수단으로 피사체를 촬영한 촬영 화상중, 피사체의 눈에 반영한 반영 화상에 의거하여 위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피사체 인증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평면적인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의 촬영 화상을 취득하고, 해당 촬영 화상의 피사체의 눈에 반영한 반영 화상에 의거하여 위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위장 판정 수단을 구비한 피사체 인증 유닛 또는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나 PDA 단말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 적절한 기기에 피사체 인증 유닛을 장착하는, 또는 적절한 기기에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을 인스톨하여, 사진에 의한 모인을 배제한 피사체 인증 장치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본인이 인증을 행할 때의 장애가 되지 않고,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배제할 수 있는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피사체 인증 유닛, 피사체 인증 방법, 및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도 1에 도시한 피사체 인증 장치(1)의 사시도와 함께, 피사체 인증 장치(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피사체 인증 장치(1)는, 휴대 정보 단말의 일종인 휴대 전화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위로부터 차례로 음성 출력용의 스피커(11), 화상 표시를 행하는 액정 모니터(14), 조작 입력용의 복수의 조작 버튼(16), 및 음성 입력용의 마이크로폰(1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11)의 우측 옆에는, 촬영용의 카메라(12)와 조명 장치(13)가 상하로 근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촬영용의 카메라(12)와 조명 장치(13)와 상기 액정 모니터(14)는, 피사체 인증 장치(1)의 동일면상(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에, 카메라(12)의 촬영 방향과 조명 장치(13)의 조명 방향과 액정 모니터(14)의 표시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상기 조명 장치(13)는, 섬광하는 플래시 조명 장치, 또는 점등하는 점등 조명 장치(예를 들면 LED나 형광등) 등, 적절한 조명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사체 인증 장치(1)의 우측면에는, 카메라(12)의 셔터 버튼(1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피사체 인증 장치(1)의 정면 하부에는, 전후 회동하는 개폐 커버(19)가 추착(樞着)되어 있고, 해당 개폐 커버(19)가, 닫힌 상태에서 복수의 조작 버튼(16)을 피복하여 보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피사체 인증 장치(1)의 배면 상부에는,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피사체 인증 장치(1)의 내부에는, CPU 및 기억부(ROM이나 RAM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 장치나 충전지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피사체 인증 장치(1)는, 조작 버튼(16)이 조작되어 가전(架電)(발신)하는 것, 및 착신을 조작 버튼(16)의 조작에 의해 받을 수 있고, 원격지의 전화기와의 음성 통화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버튼(16)이 조작됨으로써, 인터넷 접속에 의한 컨텐츠 표시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2)에 의한 정지 화상이나 동화의 촬영을, 셔터 버튼(15)의 압하에 의해 실행할 수 있고, 액정 모니터(14)에 촬영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12)와 액정 모니터(14)는 동일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할 때에 이용자의 눈에 액정 모니터(14)가 반드시 비치게 되고, 눈에 반영시키는 반영 화상을 액정 모니터(14)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도시한 피사체 인증 장치(1)의 블록도와 함께, 피사체 인증 장치(1)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설명에서는, 개인 인증에 필요한 촬영 기능과 인증 기능에 관한 요소에 관해 설명하고, 다른 요소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피사체 인증 장치(1)는, 화상 입력부(21), 피사체 판정부(22), 얼굴 인식부(23), 등록 데이터(사전 데이터)(24), 표시부(25), 제어부(26), 및 인증 결과 출력부(2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상 입력부(21)는, 전술한 카메라(12)(도 1)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12)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촬영 화상 데이터를 피사체 판정부(22) 및 얼굴 인식부(23)에 송신한다.
상기 피사체 판정부(22)는, 피사체 인증 장치(1) 내부의 제어 장치 내에 마련되어 있고,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촬영 화상 데이터에 비추어져 있는 피사 체가 입체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판정 결과를 얼굴 인식부(23)에 송신한다.
상기 얼굴 인식부(23)는, 피사체 인증 장치(1) 내부의 제어 장치 내에 마련되어 있고,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화상 입력부(21)로부터 얻은 촬영 화상 데이터와, 기억부로부터 판독한 등록 데이터(24)를 비교하여, 생체 인증의 일종인 얼굴 대조를 행한다. 그리고, 이 얼굴 대조의 대조 결과와 상기 피사체 판정부(22)로부터 취득한 입체인지 여부의 판정에 의거하여, 개인 인증을 행하고, 이 개인 인증의 인증 결과를 인증 결과 출력부(27)에 송신한다.
상기 등록 데이터(24)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촬영 화상 데이터이다. 이 촬영 화상 데이터는, 얼굴 화상, 또는 아이리스(홍채) 화상 등, 인물의 눈을 포함하는 화상으로서 개인 인증이 가능한 화상에 의해 구성하면 좋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용자에게 심리적인 저항이 없는 얼굴 화상을 이용한다. 또한, 등록 데이터(24)는 화상 데이터로 한하지 않고, 이 화상 데이터로부터 특징점이나 특징량을 추출한 특징 데이터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표시부(25)는, 전술한 액정 모니터(14)(도 1)에 의해 구성되고,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문자나 도형, 색, 모양 등, 다양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촬영할 때에는, 이용자의 눈에 반영시키는 반영 화상을 표시한다. 이 반영 화상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면(全面) 백색과 전면 청색의 2종류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색도 이용하여 많은 종류로 구성하는, 또는, 원이나 3각, 4각이나 별모양이라는 도형으로 구성하는, 또는, 문자로 설정하는 등, 적절한 화상 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다른 형태의 화상을 준비하여, 표시하는 화상의 형태를 변경한다. 또한, 상술한 색, 형태 외에, 크기를 다르게 한 화상을 준비하여도 좋다.
상기 제어부(26)는, 피사체 인증 장치(1) 내부의 제어 장치 내에 마련되어 있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에 따라, 각 요소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동작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는, 촬영에 의해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출력부(27)는, 전술한 액정 모니터(14)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부(23)로부터 취득한 인증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인증 결과 출력부(27)는, 액정 모니터(14)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인터넷 통신할 때에 인증 결과를 송신하는 통신부, 인증 후의 휴대 전화기의 조작 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6) 등, 다른 요소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인증 결과 정보의 출력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인증 결과를 액정 모니터(14)에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이용자에게 인증 동작을 의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액정 모니터(14)로 이용자의 눈에 반영시키는 반영 화상을 표시하고, 이 상태에서 카메라(12)에 의해 촬영하고, 촬영한 촬영 화상으로부터 개인 인증을 행하여, 인증 결과를 출력할(액정 모니터(14)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제어부(26)가 실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함께,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26)가 실행하는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26)는, 액정 모니터(14)에 백(白) 기조(基調)의 화상을 표시시키고, 카메라(12)에 의해 촬영하여 이용자의 촬영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n1). 이때, 도 4의 촬영 화상 설명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한 촬영 화상(41)에는, 얼굴 화상(42)이 찍혀 있고, 눈부분(目部)(51)에, 흰자위부(白目部)(52), 눈동자부(瞳部)(53), 홍채부(54), 및 동공부(瞳孔部)(55)가 찍혀 있다. 그리고, 눈동자부(53)에는, 피사체 인증 장치(1)(도 1)가 반영한(찍어넣은) 피사체 인증 장치의 반영 화상(62)과, 액정 모니터(14)(도 1)가 반영한 액정 모니터의 반영 화상(61)이 찍혀 넣어져 있다. 이때, 액정 모니터(14)에 백 기조의 화상을 표시시키고 있기 때문에, 반영 화상(61)은 백 기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부(26)는, 상기 스텝 n1과 다른 반영 화상으로서 청 기조의 화상을 액정 모니터(14)에 표시시키고, 카메라(12)에 의해 촬영하여 이용자의 촬영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n2).
이때, 액정 모니터(14)에 청 기조의 화상을 표시시키고 있기 때문에, 반영 화상(61)은, 상기 스텝 n1과 다른 색의 기조, 즉 청 기조로 되어 있다.
이 스텝 n2에서는, 스텝 n1에서의 조명 장치(13)에 의한 조명을 행하고 있으면, 동일한 조명을 하여 촬영하고, 스텝 n1에서 조명 장치(13)에 의한 조명을 행하지 않으면, 조명을 행하지 않고 촬영한다. 또한, 스텝 n1에서의 촬영으로부터 스텝 n2에서의 촬영까지의 시간 간격은 미리 정한 시간 간격으로 하고 있다. 이 시간 간격은, 카메라(12)의 앞에서 사진을 몰래 바꿀 수 없을 정도(또는 몰래 바꾸기가 어려울 정도)의 짧은 시간 간격으로 설정하고, 단시간에 복수회의 촬영을 연속하여 행하는 설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6)는, 취득한 복수의 촬영 화상 데이터,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촬영 화상 데이터를 피사체 판정부(22)에 보내고, 피사체 판정부(22)는, 각각의 얼굴 화상 데이터, 눈동자 부분(본 실시 형태에서 눈동자 부분은 검은자위(黑目) 부분을 가리킨다)을 추출하고, 이 눈동자 부분의 평균색(平均色)을 구한다(스텝 n3). 이 눈동자 부분의 평균색은, 좌우 양 눈에 관해 구하여도 좋고, 오른쪽눈 또는 왼쪽눈의 어느 한쪽만을 구하여도 좋다. 또한, 평균색은, RGB의 삼원색으로 각 성분의 농도 평균을 구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R(적)성분만, G(녹)성분만, B(청)성분만 등, 1성분만의 농도 평균을 구하는, 또는, 색성분에 관계없이 명도 평균을 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경우는, 백색과 청색을 이용하기 때문에, R성분 또는 G성분의 색 평균을 구하면,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피사체 판정부(22)는, 각 촬영 화상 데이터로부터 취득한 눈동자 부분의 평균색의 차분(差分)을 구한다(스텝 n4). 이때, 좌우 어느 눈의 차분을 구하여도 좋지만, 오른쪽 눈끼리, 또는 왼쪽 눈끼리라고 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눈동자 부분끼리의 차분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사체 판정부(22)는, 구한 차분이 미리 정한 임계치(반영 화상의 변화로부터 상정되는 임계치) 이상, 즉 일정 이상의 화상 변화(즉 색 변화 또는 명도 변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는 진정한 이용자라고 판정하고(스텝 n5 : Yes), 판정 결과를 제어부(26)에 보낸다.
제어부(26)는, 얼굴 인식부(23)에 의해 얼굴 대조를 실행한다(스텝 n6).
이 얼굴 대조에서는, 복수의 촬영 화상 데이터중, 조명 환경이 바람직한 쪽의 촬영 화상 데이터를, 등록 데이터(24)와 비교하여 얼굴 대조를 행한다. 또한, 어느 촬영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얼굴 대조하는지는, 미리 설정하여 두어도 좋다.
촬영 화상 데이터와 등록 데이터(24)와의 비교에서는, 촬영 화상 데이터로부터 본인 고유의 특징량을 구하고, 등록 데이터(24)의 특징량과 비교하여, 특징량의 차가 미리 정한 일정한 임계치 이내라면, 동일 인물이라고 판정한다.
상기 본인 고유의 특징량은, 예를 들면, 촬영 화상 데이터로부터 취득한 특징점에, 가보르 웨이블릿(Gabor wavelet) 변환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특징점은, 얼굴의 러프(rough)한 위치로부터 얼굴 부분을 잘라내고, 얼굴의 크기를 정규화하고, 다시 상세한 그래프를 적용시켜, 얼굴의 특징점의 위치를 상세히 검출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보르 웨이블릿 변환이란, 신호 해석이나 화상 압축에 이용되는 수법으로서, 변환 대상으로부터, 웨이블릿 파형을 이용하고, 그 파형이 갖는 특징(주파수 성분 등)만을 취출하는 것을 말한다.
제어부(26)는, 얼굴 인식부(23)로부터 수취한 얼굴 대조의 결과가 적합하면(스텝 n7 : Yes), 개인 인증 결과로서 적합(인증 OK)의 정보를 출력하고(스텝 n8),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n5에서 일정 이상의 화상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위장되어 있다고 판정하고(스텝 n5 : No), 제어부(26)는, 상기 스텝 n6 내지 n7을 실행하는 것과 같은 정도의 대기 시간만큼 대기한다(스텝 n9). 이 대기 시간은, 사진 등에 의한 위 장이 행하여진 경우에, 위장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부적합한 것인지, 얼굴 대조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부적합한 것인지, 처리 시간에 의해 부정 이용자에게 간파시켜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26)는, 이 스텝 n9의 다음, 또는 상기 스텝 n7에서 얼굴 대조의 결과가 부적합한 경우(스텝 n7 : No)에, 인증 결과로서 부적합(인증 NG)의 정보를 출력하고(스텝 n10), 처리를 종료한다.
이들 적합/부적합을 나타내는 인증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26)는, 액정 모니터(14)에의 결과 표시나, 셔터 버튼(15) 및 조작 버튼(16)에서의 조작 가부 등의 기능 제어를 행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피사체의 눈에 반영한 반영 화상(61)에 의한 피사체의 진위 판정을 행할 수 있고, 사진 등에 의한 모인을 배제할 수 있다.
특히, 복수회의 촬영으로 액정 모니터(14)에 표시하는 화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사진 등에 의한 모인을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즉, 사진 등에 의해 모인이 도모된 경우에는, 액정 모니터(14)에 표시하는 화상을 변화시킨 복수의 촬영 화상 데이터를 비교하여도, 눈동자 부분에 화상 변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스텝 n5의 판정으로 배제할 수 있다.
즉, 눈동자 부분에 비치는 반영 화상은, 피사체가 촬영된 때에 보고 있던 풍경을 반영하고 있고, 액정 모니터(14)에 표시한 화상을 변화시켜서 재차 촬영하면, 전회의 촬영과 같은 풍경이 비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사진 등에 의한 위장을 배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진 등을 이용한 위장을 검출할 수 있지만, 이 구조를 알았던 자에게, 미리 반영 화상, 화상 변화를 고려한 사진을 복수매 준비하고, 촬영의 사이에 사진이 몰래 바뀐다는 새로운 위장책이 강구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복수회의 촬영을 단시간에 연속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촬영마다 카메라(12) 앞에서 사진이 몰래 바뀐다는 모인을 배제할 수 있다.
게다가, 스텝 n9에서 소정 시간의 대기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모인을 꾀하는 부정 이용자가, 사진이기 때문에 부적합한 것인지, 사진의 정밀도가 나쁘기 때문에 부적합한 것인지, 추정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중 가장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고, 알고리즘이 복잡한 얼굴 대조는, 피사체 판정 처리에서 위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1회밖에 행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으로 인증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스텝 n5에서 위장이 아니라고(스텝 n5 : Yes) 판정한 경우는 얼굴 대조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나, 위장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도 얼굴 대조는 1회만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충전지)의 전력 소모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촬영 화상의 배경에 관계없이 인증을 행하기 때문에, 이동중이라도 본인을 본인이라고 올바르게 인증할 수 있다.
또한, 각 촬영할 때에 액정 모니터(14)에 표시하는 화상은, 미리 설정하고 있어도 좋지만, 인증마다 랜덤하게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흰색과 청색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이외의 색을 인증마 다 랜덤하게 사용하거나, 색의 순번을 바꾸거나 하면 좋다. 이로써, 모인을 보다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2회(복수회)의 촬영으로 반영 화상의 변화에 의거하여 판정하였지만, 이하와 같이 하여도 좋다. 즉, 촬영은 1회로 하고, 취득한 촬영 화상중, 피사체의 눈에 반영 화상(61)이 올바르게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올바르게 존재하면 스텝 n5 : Yes 이후의 처리를 실행하고, 올바르게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n5 : No 이후의 처리를 실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촬영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고속으로 적절한 인증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장용의 사진이 반영 화상(61)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면, 이와 같이 1회의 촬영만으로도 위장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에 액정 모니터(14)에 표시하는 화상을 인증마다 랜덤하게 변경하면, 반영 화상(61)이 고려된 위장 사진에 대해서도, 1회의 촬영만으로 모인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촬영은, 인증 모드로서 이용자에게 인증용의 조작이 된 타이밍에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용자에게 의식시켜도 좋고, 또한, 장치(휴대 전화기 등)측에서 적당한 타이밍에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용자에게 의식시키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용자가 어떠한 기능 조작을 시작한 시점에서, 이용자에게 의식시키지 않고 촬영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반영 화상(61)은 액정 모니터(14)의 표시로 행하였지만, 조명 장치(13)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조명의 유무를 변화시키는, 조명색을 변화시키는, 또는 조명 장치(13)를 복수 구비하여 조명시키는 위치, 색이나 그것들의 조합 을 변화시킴으로써, 반영 화상(61)을 변화시킬 수 있고, 모인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텝 n3 내지 n4에서는, 화상 변화로서 눈동자부(53)의 색 변화로 위장 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촬영 화상중의 일부의 화상 변화와 다른 부분의 화상 변화를 대비한 다음, 위장 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눈동자부(53)중 반영 화상(61)이 반영하고 있는 부분을 특정하고, 그 반영 화상(61)이 찍혀 있는 부분의 화상 변화와, 그 이외의 부분 또는 눈동자부(53) 전체의 화상 변화를 비교하면 좋다.
이로써, 반영 화상(61)이 찍혀 있는 부분의 화상 변화가, 그 이외 또는 눈동자부(53) 전체의 화상 변화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이 화상 변화의 정도의 차가, 미리 정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라면, 본인에 의한 정규의 인증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눈동자부(53)의 화상 변화와, 얼굴 전체의 화상 변화를 비교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눈동자부(53)의 화상 변화의 쪽이, 얼굴 전체의 화상 변화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이 화상 변화의 정도의 차가, 미리 정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라면, 본인에 의한 정규의 인증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진에 의한 모인이 우연히 성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기술하면, 사진이 우연히 반영 화상(61)을 반사한 경우는, 각 촬영에서의 화상 변화가 생긴다. 그러나, 반영 화상(61)은 사진 전체에서 반사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부분적인 화상 변화와 전체적인 화상 변화(또는 다른 부분의 화상 변화)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변화로 된다. 따라서, 인간이 인증을 받는 경우와 같이 부분에 의한 변화량의 차가 나타나지 않고, 모인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변색영역의 면적의 차 또는 면적비로부터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피사체 인증 장치(1)는, 피사체의 얼굴에 의해 인증하는 얼굴 인증 장치로서 구성하였지만, 피사체의 홍채에 의해 인증하는 홍채 인증 장치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사진에 의한 모인을 배제하고, 정밀도가 좋은 개인 인증을 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제 2의 실시예의 피사체 인증 장치(1)에 관해, 도 5에 도시한 블록도와 함께 설명한다.
이 피사체 인증 장치(1)는, 피사체 인증 유닛(70)이 휴대 전화기에 탑재되어 구성되어 있다.
피사체 인증 장치(1)는, 화상 입력부(21), 표시부(25), 및 제어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각 요소는, 화상 입력부(21)에 의한 촬영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를 제어부(26)로 하는 이외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화상 입력부(21), 표시부(25), 및 제어부(26)에 의해, 촬영 처리를 실행하는 촬영 유닛(5)이 구성된다.
상기 피사체 인증 장치(1)에는, 피사체 인증 유닛(70)이, 적절한 입출력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 피사체 인증 유닛(70)은, CPU 및 기억부(ROM이나 RAM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고, 이 제 어 장치 내에, 인증 제어부(71), 피사체 판정부(72), 얼굴 인식부(73), 및 등록 데이터(7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증 제어부(71)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는, 촬영 화상에 의해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피사체 판정부(72)에 의한 위장인지의 여부의 판정과 얼굴 인식부(73)에 의한 얼굴 대조의 대조 결과에 의거하여, 개인 인증을 행하고, 이 개인 인증의 인증 결과를 피사체 인증 장치(1)의 제어부(26)에 송신한다.
상기 피사체 판정부(72)는, 인증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촬영 화상 데이터에 비추어져 있는 피사체가 위장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판정 결과를 인증 제어부(71)에 송신한다.
상기 얼굴 인식부(73)는, 인증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인증 제어부(71)로부터 얻은 촬영 화상 데이터와, 기억부에서 판독한 등록 데이터(74)를 비교하여, 생체 인증의 일종인 대조를 행한다.
상기 등록 데이터(74)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로서,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촬영 화상 데이터이다. 이 촬영 화상 데이터는, 얼굴 화상, 또는 아이리스 화상 등, 인물의 눈을 포함하는 화상으로서 개인 인증이 가능한 화상에 의해 구성하면 좋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용자에게 심리적인 저항이 없는 얼굴 화상을 이용한다. 또한, 등록 데이터(74)는 화상 데이터로 한하지 않고, 이 화상 데이터로부터 특징점이나 특징량을 추출한 특징 데이터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피사체 인증 유닛(70)을 휴대 전화기 등의 기기에 탑재하여, 피사체 인증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2의 피사체 인증 장치(1)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스텝 n1 내지 n2의 동작은 제어부(26)가 실행하고, 스텝 n2부터 스텝 n3의 사이에서는, 제어부(26)가 인증 제어부(71)에 촬영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n3 내지 n10에서 제어부(26)가 실행하는 동작은, 인증 제어부(71)가 실행한다. 이때, 피사체 판정부(72)는, 실시예 1의 피사체 판정부(22)의 동작을 실행하고, 얼굴 인식부(73)는, 실시예 1의 얼굴 인식부(23)의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등록 데이터(74)에는, 등록 데이터(24)와 동일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피사체 인증 유닛(70)은, 입출력부를 갖는 부품이기 때문에, 다양한 기기에 탑재할 수 있고, 다양한 기기에서 모인이 곤란한 피사체 인증을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 등록 데이터는 피사체 인증 유닛(70) 중에 기억하였지만, 촬영 유닛(5)측의 기억부 내에 기억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는, 실시 형태의 피사체 인증 장치(1)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촬영 수단은, 카메라(12) 및 화상 입력부(21)에 대응하고,
조명 수단은, 조명 장치(13)에 대응하고,
반영 화상 변경 수단 및 표시 수단은, 액정 모니터(14) 및 표시부(25)에 대응하고,
위장 판정 수단은, 스텝 n3 내지 n5를 실행하는 피사체 판정부(22) 또는 피사체 판정부(72)에 대응하고,
눈은, 눈동자부(53)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본인이 인증을 행할 때의 장애가 되지 않고, 사진을 이용한 모인을 배제할 수 있는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피사체 인증 유닛, 피사체 인증 방법, 및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2)

  1.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에서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의 요소에 의거하여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눈에 반영하는 반영화상의 적어도 일부의 색을 변경하는 반영화상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영화상 변경 수단에 의해 피사체의 눈에 반영시키는 반영화상을 변경하기 전의 촬영화상과, 변경한 후의 촬영화상을 상기 촬영 수단에서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고,
    반영화상 변경 전후의 촬영 화상으로부터 각각, 눈동자 부분의 평균색을 구하고,
    반영화상 변경 전의 평균색과 반영화상 변경 후의 평균색의 비교에 의거하여 위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위장 판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
  2.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에서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의 요소에 의거하여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눈에 반영하는 반영화상의 적어도 일부의 색을 변경하는 반영화상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영화상 변경 수단에 의해 피사체의 눈에 반영시키는 반영화상을 변경하기 전의 촬영화상과, 변경한 후의 촬영화상을 상기 촬영 수단에서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고,
    반영화상 변경 전후의 촬영화상으로부터 각각, 눈동자 부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성분의 평균농도를 구하여,
    반영화상 변경 전의 평균농도와 반영화상 변경 후의 평균농도의 비교에 의거하여 위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위장 판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
  3.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촬영 수단에서 촬영한 피사체의 얼굴의 요소에 의거하여 피사체를 인증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눈에 반영하는 반영화상의 적어도 일부의 명도를 변경하는 반영화상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영화상 변경 수단에 의해 피사체의 눈에 반영시키는 반영화상을 변경하기 전의 촬영화상과, 변경한 후의 촬영화상을 상기 촬영 수단에서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고,
    반영화상 변경 전후의 촬영화상으로부터 각각, 눈동자 부분의 평균명도를 구하여,
    반영화상 변경 전의 평균명도와 반영화상 변경 후의 평균명도의 비교에 의거하여 위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위장 판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영화상 변경 수단을, 화상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 또는 조명을 행하는 조명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인증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사체 인증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60022534A 2005-03-15 2006-03-10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KR100823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74035 2005-03-15
JP2005074035A JP2006259924A (ja) 2005-03-15 2005-03-15 被写体認証装置、携帯電話、被写体認証ユニット、被写体認証方法、及び被写体認証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259A KR20060101259A (ko) 2006-09-22
KR100823810B1 true KR100823810B1 (ko) 2008-04-21

Family

ID=3658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534A KR100823810B1 (ko) 2005-03-15 2006-03-10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19862A1 (ko)
EP (1) EP1703443A3 (ko)
JP (1) JP2006259924A (ko)
KR (1) KR100823810B1 (ko)
CN (1) CN1004563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5790B2 (ja) * 2010-07-22 2015-07-08 Necエンベデッドプロダクツ株式会社 入退出管理システム
US8548207B2 (en) * 2011-08-15 2013-10-01 Daon Holdings Limited Method of host-directed illumination and system for conducting host-directed illumination
GB2495324B (en) * 2011-10-07 2018-05-30 Irisguard Inc Security improvements for Iris recognition systems
US9075975B2 (en) * 2012-02-21 2015-07-07 Andrew Bud Online pseudonym verification and identity validation
JP2014206932A (ja) * 2013-04-15 2014-10-30 オムロン株式会社 認証装置、認証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875393B2 (en) * 2014-02-12 2018-01-23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198645B2 (en) * 2014-11-13 2019-02-05 Intel Corporation Preventing face-based authentication spoofing
US9928603B2 (en) 2014-12-31 2018-03-27 Morphotrust Usa, Llc Detecting facial liveliness
US9886639B2 (en) * 2014-12-31 2018-02-06 Morphotrust Usa, Llc Detecting facial liveliness
JP6069423B2 (ja) * 2015-07-02 2017-02-01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位置検出システム
JP6539561B2 (ja) * 2015-10-14 2019-07-03 株式会社144Lab 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
CN107886032B (zh) 2016-09-30 2021-12-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终端设备、智能手机、基于脸部识别的认证方法和系统
KR101979842B1 (ko) 2017-07-21 2019-05-17 안주신 신축암
CN108537111A (zh) 2018-02-26 2018-09-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活体检测的方法、装置及设备
CN112041850A (zh) * 2018-03-02 2020-12-04 维萨国际服务协会 用于基于图像的验证处理的动态照明
JP7382767B2 (ja) * 2019-09-06 2023-11-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撮像機器、デジタル撮像方法、プログラム
CN113205057B (zh) * 2021-05-13 2023-08-0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人脸活体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065A (ko) * 1999-03-23 2000-10-16 구자홍 홍채인식 시스템의 위조 판별방법
US6532298B1 (en) * 1998-11-25 2003-03-11 Iridian Technologies, Inc. Portable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iris patterns
JP2004362079A (ja) * 2003-06-02 2004-12-24 Fuji Photo Film Co Ltd 本人認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4926B1 (en) * 1996-11-26 2001-02-06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human face in uncontrolled environments
US5933502A (en) * 1996-12-20 1999-08-0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integrity of visual authentication
JP2002513176A (ja) * 1998-04-29 2002-05-08 カーネギー−メロン ユニバーシティ 2つの異なる波長の光を用いて対象者の眼を監視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3315648B2 (ja) * 1998-07-17 2002-08-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アイリスコード生成装置およびアイリス認識システム
DE19920158A1 (de) * 1999-04-29 2000-11-02 Univ Schiller Jena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estimmung von Fluorophoren an Objekten, insbesondere am lebenden Augenhintergrund
JP2000350123A (ja) * 1999-06-04 2000-12-15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選択装置、カメラ、画像選択方法及び記録媒体
JP4426030B2 (ja) * 1999-10-15 2010-03-03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を用いた認証装置及びその方法
US7660444B2 (en) * 2000-02-24 2010-02-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recognition using CCD cameras
US6735328B1 (en) * 2000-03-07 2004-05-11 Agilent Technologies, Inc. Personal viewing device with system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connected system
JP3825222B2 (ja) * 2000-03-24 2006-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本人認証装置および本人認証システムならびに電子決済システム
EP1211640A3 (en) * 2000-09-15 2003-10-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human eyes, human face and other objects in an image
JP2002312772A (ja) * 2001-04-13 2002-10-25 Oki Electric Ind Co Ltd 個人識別装置及び眼偽造判定方法
US7253832B2 (en) * 2001-08-13 2007-08-07 Olympus Corporation Shape extraction system and 3-D (three dimensio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using the same
JP2003296713A (ja) * 2002-04-04 200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顔画像合成装置、顔画像合成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顔画像合成装置を備えた通信用端末およびその通信用端末による通信方法
CN1276388C (zh) * 2002-07-26 2006-09-20 佳能株式会社 检测图象中的人脸的方法和设备
US7202793B2 (en) * 2002-10-11 2007-04-10 Attent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a subject and providing feedback thereto
JP2004171350A (ja) * 2002-11-21 2004-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目画像撮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装置
KR100580630B1 (ko) * 2003-11-19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사람 식별 장치 및 방법
US20050210267A1 (en) * 2004-03-18 2005-09-22 Jun Sugano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subject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orrespondence confirmation method and system, object confirmation method and system, and program products for them
JP2005334402A (ja) * 2004-05-28 2005-12-08 Sanyo Electric Co Ltd 認証方法および認証装置
JP4696608B2 (ja) * 2005-03-15 2011-06-08 オムロン株式会社 被写体認証装置、携帯電話、及び被写体認証プログラム
US20070071288A1 (en) * 2005-09-29 2007-03-29 Quen-Zong Wu Facial features based human face recogni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298B1 (en) * 1998-11-25 2003-03-11 Iridian Technologies, Inc. Portable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iris patterns
KR20000061065A (ko) * 1999-03-23 2000-10-16 구자홍 홍채인식 시스템의 위조 판별방법
JP2004362079A (ja) * 2003-06-02 2004-12-24 Fuji Photo Film Co Ltd 本人認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9862A1 (en) 2007-01-25
CN1834985A (zh) 2006-09-20
EP1703443A3 (en) 2009-01-28
KR20060101259A (ko) 2006-09-22
JP2006259924A (ja) 2006-09-28
EP1703443A2 (en) 2006-09-20
CN100456322C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810B1 (ko)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KR100814557B1 (ko) 피사체 인증 장치, 얼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피사체인증 유닛, 피사체 인증 방법, 및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
US2017033743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iometric Analysis To Determine Natural Reflectivity
CN104598882B (zh) 用于生物特征验证的电子欺骗检测的方法和系统
US780133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human eye
KR100760102B1 (ko) 피사체 인증 장치, 휴대 전화, 피사체 인증 방법, 및 피사체 인증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4696608B2 (ja) 被写体認証装置、携帯電話、及び被写体認証プログラム
WO2016176989A1 (zh) 移动终端基于眼纹识别的图像曝光方法及图像曝光系统
KR20010090851A (ko) 홍채 화상포착 전화 보안 모듈 및 방법
WO2006088042A1 (ja) 生体判別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生体判別方法
JP2007135149A (ja) 移動携帯端末
CN109002786A (zh) 人脸检测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3016434A (ja) 個体認証装置
JP2005004524A (ja) 識別装置および個人認証装置
JP2009015518A (ja) 眼画像撮影装置及び認証装置
CN113994395A (zh) 用于基于色度的面部活体检测的方法和系统
WO2022222585A1 (zh) 一种目标识别的方法和系统
KR20140133762A (ko) 스마트폰의 근거리 홍채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한 홍채 인식 방법 및 장치
CN109034004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身份核验方法及装置
CN113591526A (zh) 人脸活体检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292261B (zh) 一种拍照方法及其移动终端
CN111582145A (zh) 生物识别方法、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229927B (zh) 一种人脸检测防欺骗方法
JP2023007006A (ja) 顔認証システム、および顔認証方法
CN112036277A (zh) 一种人脸识别方法、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