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295B1 -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295B1
KR100822295B1 KR1020060123945A KR20060123945A KR100822295B1 KR 100822295 B1 KR100822295 B1 KR 100822295B1 KR 1020060123945 A KR1020060123945 A KR 1020060123945A KR 20060123945 A KR20060123945 A KR 20060123945A KR 100822295 B1 KR100822295 B1 KR 10082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formation
stored
transmission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295B1/ko
Priority to US11/831,134 priority patent/US806006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수신 과정에서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저장하지 못한 메시지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메시지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적어도 두 개의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 과정과, 저장된 상기 메시지들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과,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신호 전송 과정과, 상기 전송용 메시지로부터 상기 메시지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여유 공간 부족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시지가 저장되지 못하더라도, 해당 메시지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의 발신 정보 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메시지, SMS, 수신함, 메시지 ID

Description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식별자 파라미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 12의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메시지 정보 저장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시지 수신 과정에서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저장되지 못한 메시지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통화를 기본으로 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자메일(e-mail), 이모티콘(emoticon) 및 동영상 메일 서비스 등의 다양한 문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근래에는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이에 비례하여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 인구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 이용자들이 별도의 부가장비 없이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발송 시점과 거의 동시에 내용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대표적인 통신수단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기존의 문자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대방으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면, 메시지 서버는 이를 전송받아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시지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메시지 저장 공간(이하, 메시지 수신함)에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메시지 수신함에 여유 공간이 존재하면 제어부는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수신함에 저장함과 동시에 화면에 팝업메시지를 표시하여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메시지 수신함에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시지 서버로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팝업메시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팝업메시지를 통해 이를 인지하고, 메시지 수신함에 기 저장되어 있는 문자 메시지들을 삭제하여 여유 공간을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은 메시지 수신함에 여유 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메시지 서버에 다수개의 메시지가 수신되어 있더라도, 항상 동일한 내용 즉, 문자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내용의 팝업메시지만을 표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팝업메시지를 확인하더라도 몇 개의 문자 메시지가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또한 누구로부터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전혀 알 수 없다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시지 수신 과정에서 저장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저장되지 못한 메시지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저장 공간 확인 과정과, 상기 저장 공간 확인 과정에서 상기 여유 공간이 없을 시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과정과, 상기 추출된 메시지의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 수신 불가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적어도 두 개의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 과정과, 저장된 상기 메시지들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과,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신호 전송 과정과, 상기 전송용 메시지로부터 상기 메시지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은 메시지 서버로부터 전송용 메시지가 전송되어 수신되는 메시지 수신 과정과, 상기 메시지 수신 과정에서 수신된 상기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을 확인하는 여유 공간 확인 과정과, 상기 여유 공간이 없을 시, 상기 수신 요청된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메시지 정보 저장 과정, 및 상기 메시지 서버로 상기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메시지 정보 송신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불가 신호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 과정과, 저장된 상기 메시지들을 기반으로 메시지 정보가 포함된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 및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은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메시지 정보가 포함된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관리부를 구비하는 메시지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을 확인하며, 여유공간이 없을 시 상기 전송용 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상기 메시지 서버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 메시지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키 입력부(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반대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160)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키(도시되지 않음)들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표시부(150)는 카메라 모듈(180)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190),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과,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폰북(phone book)이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의 데이터 메모리는 단문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에 의한 문자 메시지들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인 메시지 수신함(172)을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문자 메시지(이하,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저장 공간인 메시지 수신함(172)에 여유 공간이 있는지 확인한 후, 여유 공간이 있을 시 메시지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내부 버퍼 메모리(192)와, 메시지 처리부(194)를 포함한다.
내부 버퍼 메모리(192)는 제어 동작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임시 저장된다. 또한 내부 버퍼 메모리(192)는 메시지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임시 저장된다.
메시지 처리부(194)는 메시지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내부 버퍼 메모리(192)에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94)는 메시지 수신함(172)에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내부 버퍼 메모리(192)에 임시 저장한 메시지에서 발신자 정보(발신 번호 또는 회신 번호)를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팝업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01 과정에서 대기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S02 과정에서 메시지 서버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이하 메시지)가 수신된다.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시지 처리부(194)는 이를 내부 버퍼 메모리(192)에 임시적으로 저장한다(S03).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메시지 ID(Message Identifier), 메시지 수신 시각(Message Center Time Stamp), 메시지 내용(User Data), 발신 번호(Call-Back Number) 등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정보들이 내부 버퍼 메모리(192)에 저장된다. 한편, 수신된 메시지는 다른 파라미터들을 더 포함하지만, 이는 공지된 기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번호 정보만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메시지 처리부(194)는 S04 과정에서 저장부(170)의 메시지 수신함(172)에 새로 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될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메시지 수신함(172)에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메시지 처리부(194)는 S041 과정으로 진입하여 내부 버퍼 메모리(192)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에서 발신 번호 정보를 추출한다.
발신 번호를 추출한 메시지 처리부(194)는 S042 과정에서 메시지 서버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194)는 S043 과정에서 팝업메시지를 통해 단문 메시지가 메시지 수신함(172)의 여유 공간의 부족으로 수신되지 못했다는 내용의 문구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부(194)는 도 3과 같이 S041 과정에서 추출한 발신 번호를 함께 표시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시지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구(예컨대, Not enough Memory! Text Msg is rejected)가 표시되고, 그 하부에 해당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즉, 발신 번호(예컨대, Call Back Number : 012-9875-4321)와 발신자 이름(예컨대, Hong Gil Dong)이 함께 표시된다.
여기서, 팝업메시지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는 S041 과정에서 추출한 발신 번호 정보를 이용한다. 그리고 발신자 이름은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폰북(phone book) 등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이를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메시지 처리부(194)는 폰북에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하고, 해당 발신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의 이름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폰북에서 발신자 이름만을 추출하여 발신 번호와 함께 팝업메시지에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발신자 이름 이외에도 발신자의 사진 등과 같이 기타 다른 정보를 추출하여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시지는 현재 메시지 수신함(172)에 여유 공간이 없어 메시지가 저장될 수 없다는 사실과 더불어, 저장되지 못한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저장되지 못한 메시지의 발신자가 누구인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S043 과정에서 팝업메시지 표시 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다시 S01 과정의 대기 상태로 진입하게 되며, 사용자가 메시지 수신함(172)에 여유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한, 메시지 수신 시 전술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S04 과정에서 메시지 수신함(172)에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메시지 처리부(194)는 S05 과정으로 진입하여 임시로 내부 버퍼 메모리(192)에 저장했던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함(172)에 저장한다.
이어서, 메시지 처리부(194)는 메시지 수신함(172)에 저장된 메시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내용의 팝업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은 메시지의 저장 공간이 없어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지 못하더라도, 팝업메시지를 통해 해당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자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번호 정보를 이용하는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수신 시각 정보나 메시지 내용 정보 등 임시로 내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는 메시지가 포함하는 정보들이라면 다양하게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쳐 명시된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 서버로부터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 따른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에서 수정되거나 추가된 정보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송용 메시지는 메시지 서버에서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원 본 메시지를 기반으로 해당 메시지의 정보를 수정하거나 다른 메시지의 정보를 새로이 추가하여 생성한 메시지를 지칭한다. 이러한 전송용 메시지는 단지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전송용 메시지가 생성되더라도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메시지는 변경되지 않는다.
더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재 전송은 메시지 서버에서 직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한 메시지 정보가 변경됨으로 인하여 새로운 전송용 메시지가 생성되어 전송되더라도, 메시지의 기본 정보(원본 메시지)가 동일하다면 이는 재 전송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술된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도면(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메시지 서버(200)를 포함한다.
메시지 서버(200)는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이를 위해 메시지 관리부(202)와 메시지 저장부(204)를 포함한다.
메시지 저장부(204)는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저장된다.
메시지 관리부(202)는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를 메시지 저장부(204)에 저장한 후, 저장된 메시지를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관리부(202)는 저장된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와,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관리부(202)는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 메시지 저장 완료 신호)에 따라 메시지를 처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시지 서버(200)로부터 메시지를 전송받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메시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90)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들이 전술된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제어부(19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문자 메시지(이하,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저장 공간인 메시지 수신함(172)에 여유 공간이 있는지 확인한 후, 여유 공간이 있을 시 메시지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내부 버퍼 메모리(192)와, 메시지 처리부(194)를 포함한다.
내부 버퍼 메모리(192)는 제어 동작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임시 저장된다. 또한 내부 버퍼 메모리(192)는 메시지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임시 저장된다.
메시지 처리부(194)는 메시지 수신함(172)에 여유 공간이 없을 시, 해당 메 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메시지 서버(200)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와, 가장 최근에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을 이용한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 과정에서 메시지 서버(200)에 메시지가 수신되면, S12 과정에서 메시지 서버(200)의 메시지 관리부(202)는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부(204)에 저장한다. 이어서, 메시지를 저장한 메시지 관리부(202)는 S13 과정에서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메시지 서버(200)는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이하, 수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된 메시지들 중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부터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 서버(200)는 수신 단말기(100)에서 해당 메시지를 저장할 때까지 계속 동일한 메시지(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만을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시지 서버(200)는 수신 단말기(100)가 해당 메시지를 저장한 후에야 그 다음의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수신 단말기(100) 측에서는 메시지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의 정보만을 알 수 있으므로, 현재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메시지들의 정보(예컨대, 메시지 개수나 발신 번호 정보 등)는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 서버(200)에서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기 전에, 전송되는 메시지에 메시지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6을 참조하면, S131 과정에서 메시지 관리부(202)는 먼저 새롭게 수신된 메시지를 포함하여 현재 메시지 저장부(204)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의 개수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를 추출한다.
이어서 S132 과정에서 메시지 관리부(202)는 추출한 메시지 정보 즉, 메시지 개수 정보와 발신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00)에 전송할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와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로 구성되는 메시지 정보를 전송용 메시지의 예비 필드에 추가적으로 저장하여 메시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예비 필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다수개의 파라미 터(parameter; 예컨대, Message Identifier, User Data, Call-Back Number 등등)을 포함하고, 각각의 파라미터들은 메시지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다수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이 중 Message Identifier 파라미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식별자 파라미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의 고유한 이름을 나타내는 메시지 식별자(Message Identifier) 파라미터는 MESSAGE_TYPE, MESSAGE_ID, RESERV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필드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RESERVED 필드는 현재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지 않는 예비 필드로, 상기한 메시지 식별자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파라미터에도 포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예비 필드들에 메시지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서버(200)의 메시지 관리부(202)는 S132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로 전송할 메시지(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송용 메시지의 특정 예비 필드를 이용하여 S131 과정에서 추출한 메시지의 개수 정보를 저장한다. 메시지의 개수 정보의 경우, 요구되는 길이(bits)가 크지 않으므로 3 내지 4 bits의 예비 필드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시지 관리부(202)는 다른 예비 필드를 이용하여 S131 과정에서 추출한 발신 번호 정보를 전송용 메시지에 저장한다. 이 경우, 발신 번호는 최소 8 bits가 요구되므로, 8 bits 의 예비 필드를 이용하거나, 두 개 이상의 예비 필드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의 개수 정보와 발신 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예비 필드들은 수신 단말기(100)와 메시지 서버(200)간에 미리 약속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시지 처리부(194)는 메시지 관리부(202)에 의해 전송용 메시지를 전송받더라도 각각의 메시지 정보들을 해당 예비 필드들로부터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메시지가 수정되면, S14 과정에서 메시지 관리부(202)는 수신 단말기(100)로 전송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S15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90)는 전송용 메시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수신함(170)에 여유 공간이 있는지 확인한다. 메시지 수신함(170)에 여유 공간이 있으면 제어부(190)는 S21 과정으로 진입하여 수신된 전송용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함(170)에 저장한다. 그러나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제어부(190)는 메시지 처리부(194)에게 메시지 수신함(170)에 여유 공간이 없음을 알린다.
이에 S16 과정에서 메시지 처리부(194)는 S14 과정에서 수신된 전송용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 즉, 메시지 저장부(204)에 저장된 메시지 개수 정보와 메시지 저장부(204)에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메시지 처리부(194)는 S17 과정에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메시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S18 과정에서 메시지 처리부(194)는 메시지 수신함(170)의 여유 공간 부족으로 인하여 메시지가 저장되지 못하였다는 내용의 팝업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시지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구(예컨대, Not enough Memory! Text Msg is rejected)가 표시되고, 그 하부에 현재까지 수신 거부된 메시지의 개수(4 msgs) 가 표시된다. 도 8에 도시된 팝업메시지의 경우, 'How many rejected Msgs : 4 msgs'의 문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현재 4개의 메시지가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시지에는 가장 최근에 수신 요청된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 즉, 발신 번호(예컨대, Call Back Number : 012-9875-4321)와 발신자 이름(예컨대, Hong Gil Dong)도 함께 표시된다. 여기서, 팝업메시지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는 S16 과정에서 추출한 발신 번호 정보를 이용한다. 그리고 발신자 이름은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폰북(phone book) 등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이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이를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메시지 처리부(194)는 폰북에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지 확인하고, 해당 발신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의 이름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폰북에서 발신자 이름만을 추출하여 발신 번호와 함께 팝업메시지에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발신자 이름 이외에도 발신자의 사진 등과 같이 기타 다른 정보를 추출하여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S17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로부터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받은 메시지 서버(200)의 메시지 관리부(202)는, S19 과정에서 일정 시간(예컨대 10분)마다 수신 거부된 전송용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는 과정 즉, S14 과정 내지 S19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 경우, 수신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는 다시 수정되지 않으므로, 수신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팝업메시지 에는 동일한 메시지 개수 및 동일한 발신 번호가 지속적으로 표시된다.
메시지가 저장 거부된 상태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메시지 서버(200)로 수신되는 S20 과정이 진행되면, 메시지 관리부(202)는 S12 과정으로 다시 진입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S13 과정 내지 S20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처럼 메시지 서버(200)에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메시지 정보 즉, 메시지 저장부(204)에 저장된 전체 메시지의 개수 정보와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는 모두 변경된다. 따라서, 이후 S18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팝업메시지에는 메시지 개수가 증가되어 표시되고, 팝업메시지의 발신 번호는 새로운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표시된다. 이때, 전술하였듯이 새로운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폰북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발신자 이름이 팝업메시지에 함께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들이 수행되는 동안에 수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메시지 수신함(170)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게 되면, 수신 단말기(100)의 메시지 처리부(194)는 S15 과정으로부터 S21 과정으로 진입하여 수신된 전송용 메시지를 저장한 후, S21 과정에서 메시지의 저장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메시지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메시지 서버(200)는 S23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부(204)에서 삭제한다. 그리고 S24 과정에서 메시지 저장부(204)에 다른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메시지 저장부(204)에 다른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 관리부(202)는 S13 과정으로 진입하여 메시지 정보 수정 과정을 거친 후, 해당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전술된 과정들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S24 과정에서 확인 결과, 저장되어 있는 다른 메시지가 없는 경우, 메시지 서버(200)는 대기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면 S11 과정으로 진입하여 전술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은 팝업메시지를 통해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와 함께 가장 최근에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송용 메시지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 단말기(100)에서 발신 번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한 후, 팝업메시지를 표시할 때 현재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메시지들의 발신 번호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된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실시예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은 메시지 서버(200)에서 메시지 저장부(204)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와 최근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전송용 메시지에 추가하여 수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시지 서버(200)에서 저장된 메시지들의 개수를 직접 추가하지 않더라도 다른 메시지 정보를 통해 수신 단말기(100)에서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된 메시지들의 개수를 파악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여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이 구성되고, 메시지 정보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 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400)는 메시지 저장부(404)와 메시지 관리부(402)를 포함한다.
메시지 서버(400)는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0; 이하,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를 위해 메시지 관리부(402)와 메시지 저장부(404)를 포함한다.
메시지 저장부(404)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저장된다.
메시지 관리부(402)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를 메시지 저장부(404)에 저장한 후, 저장된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관리부(402)는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들의 기본 정보에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 아이디 정보 및 발신 번호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한 전송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메시지 처리부(394)와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300) 는 무선통신부(330), 오디오 처리부(340), 키 입력부(160), 표시부(350), 저장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와 제어부(39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저장부(3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70)는 메시지 수신함(372)과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함(372)은 메시지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즉, 단문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에 의한 문자 메시지들이 저장된다.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는 메시지 수신함(372)에 여유 공간이 없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없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는 메시지 ID 필드와, 및 수신 시각 필드 및 발신 번호 필드를 포함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메시지 ID 필드에는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자(message identifier)를 나타내는 메시지 ID가 저장된다. 그리고, 수신 시각 필드에는 메시지가 메시지 서버(400)에 저장된 시각이 저장되며, 발신 번호 필드에는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나, 발신자가 입력한 회신 번호가 저장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처음 전송되는 메시지인지 재 전송되는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송된 메시지에서 추출 가 능한 정보 중 다른 메시지와 구별되는 정보(예컨대, 메시지 크기 정보나 메시지 내용의 일부 등)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90)는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메시지 처리부(394)를 포함한다.
메시지 처리부(394)는 메시지 수신함(372)에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에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부(394)는 메시지 수신함(372)에 여유 공간이 없을 시, 해당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저장한다. 또한,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 거부된 메시지들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메시지 서버(400)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메시지 정보 저장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을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S51 과정에서 메시지 서버(400)에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 서버(400)의 메시지 관리부(402)는 S52 과정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부(404)에 저장한다. 이어서, 메시지를 저장한 메시지 관리부(402)는 S53 과정에서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을 수행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S531 과정에서 메시지 관리부(402)는 먼저 메시지 저장부(404)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가 두 개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메시지 저장부(404)에 메시지가 하나만 저장되어 있는 경우, 즉 S51 과정에서 수신한 메시지만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 관리부(402)는 별다른 수행 과정 없이 바로 S54 과정으로 진입한다. 그러나,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가 두 개 이상인 경우, 메시지는 S532 과정으로 진입하여 메시지 저장부(404)에 저장된 메시지들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 ID 정보 및 발신 번호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S533 과정에서, 메시지 관리부(402)는 추출한 메시지 ID 정보와 발신 번호 정보 및 메시지 저장부(404)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 중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지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개수를 인지하기 위해 메시지(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 전송 시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며, 이를 위해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게 된다.
메시지 관리부(402)는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의 기본 정보들(예컨대, 수신 시각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이용하며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며, 이 과정에서 메시지 ID 파라미터의 메시지 ID 정보를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 ID 정보로 치환하여 저장한다. 또한, 메시지 관리부(402)는 S534 과정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송용 메시지의 특정 예비 필드에 추가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생성되는 본 실시예의 전송용 메시지는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의 기본 정보로 이루어지며, 메시지 ID 파라미터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 ID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특정 예비 필드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저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송용 메시지가 생성되면, S54 과정에서 메시지 관리부(402)는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용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수신 단말기(300)의 제어부(390)는 전송된 전송용 메시지를 수신한 후, 메시지 수신함(372)에 여유 공간이 있는지 확인한다. S55 과정에서 메시지 수신함(372)에 여유 공간이 있으면 제어부(390)는 S61 과정으로 진입하여 전송용 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제어부(390)는 메시지 처리부(394)에게 메시지 수신함(372)에 여유 공간이 없음을 알린다.
이에 S56 과정에서 메시지 처리부(394)는 전송용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메시지 처리부(394)는 S561 과정에서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레코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는 수신 단말기에 재 전송된 메시지가 아닌 처음으로 전송된 메시지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전술한 메시지 서버의 메시지 관리부(402)가 S532 내지 S534 과정을 통해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고,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그대로 전송한 것이므로, 메시지 처리부는 S562 과정에서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메시지 ID 정보, 수신 시각 정보, 및 발신 번호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S563 과정에서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새로운 레코드(도 11a의 R1)를 생성한다. 이때, 수신된 메시지는 전송용 메시지가 아니므로 상기한 특정 예비 필드에 발신 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메시지 처리부는 발신 번호 파라미터(Call-Back Number parameter)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 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반면에, S561 과정에서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적어도 하나의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레코드는 이전에 수신되었지만 저장되지 못한 메시지의 정보를 나타내므로, 메시지 처리부(394)는 현재 수신된 메시지가 재 전송된 메시지 즉 전송용 메시지인 것을 인지한다.
이 경우, S564 과정에서 메시지 처리부(394)는 먼저 전송용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추출한다. 즉, 메시지 처리부(394)는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ID 파라미터에서 메시지 ID 정보를 추출하고, 특정 예비 필드에서 발신 번호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메시지 수신 시각 파라미터에서 수신 시각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수신 시각 정보는 메시지 서버(400)에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의 정보이며, 나머지 메시지 ID 정보와 발신 번호 정보는 메시지 서버(400)에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정보이다.
다음으로, S565 과정에서 메시지 처리부(394)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 스(374)의 레코드들 중 수신 시각 정보가 저장된 레코드가 있는지 확인한다.
수신 시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레코드가 존재한다면, 현재 수신된 전송용 메시지는 직전에 수신된 메시지와 동일한 기본 정보를 갖는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확인 결과 도 11a와 같이 수신 시각 정보가 저장된 레코드(R1)가 존재하면, 메시지 처리부(394)는 바로 S567 과정으로 진입한다.
반면에 수신 시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레코드가 없다면 즉, 모든 레코드에 수신 시각 정보가 비어 있다면, 이는 이전에 전송되었던 메시지가 아닌 다른 메시지가 전송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1b와 같이 수신 시각 정보가 저장된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메시지 처리부(394)는 S566 과정으로 진입하여 수신 시각 정보를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의 해당 레코드(R1)의 수신 시각 필드에 저장한다. 여기서, 도 11b에는 하나의 레코드(R1)만이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 시각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74)의 첫 번째 레코드(R1) 즉, 가장 오래 전에 생성된 레코드(R1)에 저장된다. 이처럼 수신 시각 정보가 해당 레코드(R1)에 저장되면, 도 11b와 같이 구성되었던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는 도 11a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S567 과정에서, 메시지 처리부(394)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S564 과정에서 추출한 메시지 ID와 동일한 메시지 ID를 갖는 레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동일한 메시지 ID의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ID는 메시지 서버(400)에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에 메시지 처리부(394)는 S568 과정에서, 도 11c와 같이 추출된 메시지 ID 정보와 발신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새로운 레코드(R2)를 추가한다. 여기서 메시지 ID와 발신 번호 정보는 모두 메시지 서버(400)에 새롭게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이므로 동일한 레코드(R2)에 저장된다.
반면에, 동일한 메시지 ID를 갖는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는 이전에 메시지 서버에 수신되어 저장된 메시지들에 의해 생성된 전송용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즉, 메시지 서버에는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 메시지 처리부(394)는 바로 S57 과정으로 진입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는 메시지 서버(400)에 저장된 메시지들과 동일한 수의 레코드가 생성 및 유지된다.
이하에서 도 11d와 같은 구성으로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가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d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가 도 11c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두 개의 새로운 메시지가 더 메시지 서버(400)에 수신되고, 이에 대한 전송용 메시지가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됨에 따라 총 4개의 레코드(R1 내지 R4)가 생성 및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를 나타낸다.
메시지 처리부(394)는 S57 과정에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메시지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394)는 도 8과 같이 메시지 수신함(372)의 여유 공간 부족으로 인하여 메시지가 저장되지 못하였다는 내용의 팝업메시지를 표시부(350)에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메시지 처리부(394)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레코드의 개수를 산출하여 이를 수신 거부된 메시지의 개수로 표시한다. 도 11d의 경우, 전체 레코드 수는 4개이므로 메시지의 개수는 '4'가 표시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394)는 발신 번호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발신 번호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전술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발신 번호가 수신 단말기(300)의 폰북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발신자 이름을 추출하여 함께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팝업메시지는 전술된 실시예의 팝업메시지와 동일하게 표시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S57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받은 메시지 서버(400)의 메시지 관리부(402)는, S59 과정에서 일정 시간(예컨대 10분) 간격으로 저장 거부된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는 과정 즉, S54 과정 내지 S59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메시지가 저장 거부된 상태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메시지 서버(400)로 수신되는 S60 과정이 진행되면, 메시지 관리부(402)는 S52 과정으로 다시 진입하여 메시지를 메시지 수신함(372)에 저장한다. 그리고 S53 과정 내지 S60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들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메시지 수신함(372)에 여유 공간을 확보하게 되면, 수신 단말기(300)의 메시지 처리부(394)는 S55 과정에서 S61 과정으로 진입하여 메시지(예컨대, R1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저장한다. 이때, 현재 수신된 메시지가 전송용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처리부(394)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메시지 ID 정보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 이스(374)에 저장된 첫 번째 레코드의 메시지 ID 정보로 치환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수신된 메시지가 전송용 메시지가 아닌 경우, 메시지 처리부(394)는 해당 메시지를 그대로 저장한다.
저장이 완료되면, S62 과정에서 해당 메시지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메시지 처리부(394)는 S61 과정에서 저장한 메시지의 수신 시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된 레코드가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존재하는 경우, 메시지 처리부(394)는 해당 레코드(도 11d의 R1)를 삭제한다. 이에 따라 도 11e와 같이 메시지 저장 데이터베이스(374)의 전체 레코드 수는 1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는 수신 시각 정보가 없는 레코드들만이 존재하게 된다.
해당 메시지 정보의 삭제가 완료되면, 메시지 처리부(394)는 S63 과정에서 메시지의 저장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메시지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에 메시지 관리부(402)는 S64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300)에 저장된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부(404)에서 삭제한다. 이에 따라 메시지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총 개수와 수신 단말기(300)의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저장된 레코드들의 총 개수는 동일하게 된다.
이어서, 메시지 관리부(402)는 S65 과정에서 메시지 저장부(404)에 다른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메시지 저장부(404)에 다른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 관리부(402)는 S53 과정으로 진입하여 메시지 정보 수정 과정을 거친 후, 전술된 과정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S65 과정에서 확인 결과, 저장되어 있는 다른 메시지가 없는 경우, 메시지 서버(400)는 대기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면 S51 과정으로 진입하여 전술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은 팝업메시지를 통해 메시지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와 함께 가장 최근에 메시지 서버(200)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표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팝업메시지를 표시할 때 현재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374)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레코드들의 정보(예컨대 발신 번호 정보, 수신 시각 정보 등)를 함께 표시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은 팝업메시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지 못하고 메시지 서버에 저장된 메시지의 정보(개수 및 발신 번호)를 사용자에 표시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팝업메시지를 통해 현재 메시지 수신함에 여유 공간이 없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는 사실과 더불어, 몇 개의 메시지가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장이 거부된 메시지들을 일괄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팝업메시지에 표시된 개수 이상으로 기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수신 거부된 메시지의 발신자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사람으로부터의 메시지인 경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된 본 실시예에서는 팝업메시지를 표시할 때, 가장 최근에 수신 요청이 입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만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메시지 정보(발신 번호 또는 수신 시각)들을 모두 함께 표시하거나 선택적으로 다수 개의 정보만을 표시하는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는 수신 거부된 메시지의 개수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팝업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막과 같은 형태로 스크롤하며 표시하는 방법, 아이콘이나 캐릭터(예컨대 아바타)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 또는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등 사용자에게 상기한 정보들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는 단문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메일이나 이모티콘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모든 콘텐츠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은 메시지 수신함의 여유 공간 부족으로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의 개수와 발신 정보 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의 개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메시지들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 재 수신 시 모든 수신 거부된 메시지들을 일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Claims (2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의 수신 시 상기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는 저장 공간 확인 과정과,
    상기 저장 공간 확인 과정에서 상기 여유 공간이 없을 시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과정과,
    상기 추출된 메시지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 수신 불가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추출 과정에서 추출되는 상기 정보는 메시지 수신 시각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및 발신 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 확인 과정은,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 과정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메시지 임시 저장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을 확인하는 여유 공간 확인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임시 저장 과정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내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5. 메시지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적어도 두 개의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 과정과,
    저장된 상기 메시지들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과,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신호 전송 과정과,
    상기 전송용 메시지로부터 상기 메시지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저장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 불가 상태에 따라 상기 메시지들이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메시지들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메시지들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 아이디(I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과정에서 표시되는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메시지 서버에 임시 저장된 상기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 및 상기 메시지들의 발신 번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과정에서 표시되는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발신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이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13. 메시지 서버로부터 전송용 메시지가 전송되어 수신되는 메시지 수신 과정과,
    상기 메시지 수신 과정에서 수신된 상기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을 확인하는 여유 공간 확인 과정과,
    상기 여유 공간이 없을 시, 수신된 상기 메시지의 메시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메시지 정보 저장 과정과,
    상기 메시지 서버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용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를 상기 메시지 정보로 포함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용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서버에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아이디(ID) 정보 를 상기 메시지 정보로 포함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메시지 서버에 가장 최근에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 저장 과정은,
    상기 전송용 메시지로부터 상기 메시지 정보를 추출하는 메시지 정보 추출 과정과,
    상기 메시지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송용 메시지의 정보를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 과정은,
    상기 메시지 아이디 정보와 동일한 메시지 아이디 정보가 상기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경우, 상기 메시지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저장할 상기 여유 공간 존재 시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 과정과,
    상기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저장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삭제하는 메시지 정보 삭제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과정 수행 후,
    상기 메시지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 저장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정보 수신 방법.
  21.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불가 신호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 과정과,
    저장된 상기 메시지들을 기반으로 메시지 정보가 포함된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과,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버의 메시지 정보 송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용 메시지 생성 과정의 상기 메시지 정보는,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버의 메시지 정보 송신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용 메시지는,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와,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버의 메시지 정보 송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발신 번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서버의 메시지 정보 송신 방법.
  25.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메시지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메시지 정보가 포함된 전송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관리부를 구비하는 메시지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용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을 확인하며, 여유공간이 없을 시 상기 전송용 메시지의 상기 메시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 후 상기 메시지 서버로 메시지 저장 불가 신호 를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메시지들의 개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용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가장 오래 전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와, 가장 최근에 저장된 메시지의 메시지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표시시스템.
KR1020060123945A 2006-12-07 2006-12-07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82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945A KR100822295B1 (ko) 2006-12-07 2006-12-07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US11/831,134 US8060062B2 (en) 2006-12-07 2007-07-31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essag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945A KR100822295B1 (ko) 2006-12-07 2006-12-07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295B1 true KR100822295B1 (ko) 2008-04-16

Family

ID=3949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945A KR100822295B1 (ko) 2006-12-07 2006-12-07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60062B2 (ko)
KR (1) KR100822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788954B2 (en) * 2007-01-07 2014-07-22 Apple Inc. Web-clip widgets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9772751B2 (en) 2007-06-29 2017-09-26 Apple Inc. Using gestures to slide between user interfaces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9619143B2 (en) 2008-01-06 2017-04-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US11126321B2 (en)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CN101287201A (zh) * 2008-05-26 2008-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消息业务的方法及装置
US8584031B2 (en) *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WO2010082803A2 (en) * 2009-01-19 2010-07-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livering message based on cpm service and server thereof
US8856029B1 (en) * 2010-08-23 2014-10-07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gulating the receipt of data transmitted from a messaging device
US20120149339A1 (en) * 2010-12-10 2012-06-14 MobileIron, Inc. Archiving Text Messages
US20150119090A1 (en) * 2013-10-24 2015-04-30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rejections of sms message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
KR101695923B1 (ko) * 2015-08-18 2017-01-12 네이버 주식회사 메시지 수신 알림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DK201870378A1 (en) 2018-05-07 2020-01-1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DK201970530A1 (en) 2019-05-06 2021-01-28 Apple Inc Avatar integration with multiple applications
CN114554427B (zh) * 2020-11-24 2023-10-17 中国移动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5g消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322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913A (en) * 1989-08-29 1991-01-15 Stephen R. Shalom Multiple message answering machine keyed to the incoming phone number
CN1045358C (zh) * 1993-07-06 1999-09-29 摩托罗拉公司 数据通信系统,通用数据终端和无线寻呼方法
GB2286507B (en) * 1993-08-31 1998-01-1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Apparatus for storing messages in a cellular mobile terminal
US5559862A (en) * 1994-09-02 1996-09-24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Mobile paging telephone call back system and method
GB2301987B (en) * 1995-06-05 2000-01-12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text transmission system
US6374304B1 (en) * 1996-03-01 2002-04-16 Casio Computer Co., Ltd.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adaptable to the system
WO1998000994A1 (en) * 1996-06-28 1998-01-08 At&T Wireless Services, Inc. Memory exceed notification f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GB2322511B (en) * 1997-02-21 2001-08-15 Nokia Mobile Phones Ltd Handling of a local phone number database
FI973945A (fi) * 1997-10-13 1999-04-14 Nokia Telecommunications Oy Lyhytsanomia välittävä tiedonsiirtojärjestelmä
US6055423A (en) * 1997-12-29 2000-04-2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updating message waiting number count for a mobile telephone in an ANSI41 network
US6556666B1 (en) * 1998-05-05 2003-04-29 Siemens Information & Communication Networks, Inc. Notification system for multimedia messaging systems
US6977921B1 (en) * 1998-08-19 2005-12-20 Lucent Technologies Inc. Using discrete message-oriented services to deliver short audio communications
JP2000175237A (ja) * 1998-12-04 2000-06-23 Nec Shizuoka Ltd 無線通信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0278368A (ja) * 1999-03-19 2000-10-06 Nec Corp 無線通信機および無線通信機の表示制御方法
US6735457B1 (en) * 1999-12-23 2004-05-1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utomatic number capture
US6778834B2 (en) * 2001-02-27 2004-08-17 Nokia Corporation Push content filtering
US6920318B2 (en) * 2001-03-22 2005-07-19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ssage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731926B1 (en) * 2001-04-02 2004-05-04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message waiting indicator message to a wireless system
FR2823331B1 (fr) * 2001-04-10 2003-08-15 Evenium Systeme d'echange de donnees numeriques
US7117248B1 (en) * 2001-09-28 2006-10-03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Text message delivery features for an interactive wireless network
US20040009779A1 (en) * 2002-07-09 2004-01-15 Hai Qu Management of SMS memory full condition in CDMA systems
US7353035B1 (en) * 2002-07-17 2008-04-01 Cellco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display of the origination address and the call-back number of the originator of an electronic message
ES2368750T3 (es) * 2003-03-19 2011-11-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n sistema y método para almacenar y acceder a mensajes de multimedia.
US7151923B2 (en) * 2003-06-30 2006-12-19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s for providing message waiting notification updat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53278A (ko) * 2003-12-02 200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검색 방법
US20070225020A1 (en) * 2006-03-21 2007-09-27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322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6-583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9176A1 (en) 2008-06-12
US8060062B2 (en)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295B1 (ko)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637327B1 (ko) 에스엠에스메시지 수신확인 서비스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시스템
US7333804B2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WO2006024952A1 (en) Method of obtaining caller information in a mobil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e
KR200200856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수신방법
JP2005122732A (ja) 電気通信端末用のメッセージ処理デバイス
KR10166902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58386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EP1478163B1 (en) Broadcast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30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룹 메시지 수신 확인 장치 및방법
US20090239499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og management employed in mobile stations
KR100706124B1 (ko)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59216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백업방법
KR100761422B1 (ko) 휴대단말의 대응 메시지 선별 표시방법 및 장치
KR200400958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관리방법
KR20080046433A (ko) 비연결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930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저장방법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KR10064114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6594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722470B1 (ko) 에스엠에스 발신자 알람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83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KR101072080B1 (ko) 부재중 수신된 메시지 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