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368B1 - Dental implant appratus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app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68B1
KR100799368B1 KR1020070010212A KR20070010212A KR100799368B1 KR 100799368 B1 KR100799368 B1 KR 100799368B1 KR 1020070010212 A KR1020070010212 A KR 1020070010212A KR 20070010212 A KR20070010212 A KR 20070010212A KR 100799368 B1 KR100799368 B1 KR 10079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crown
fixture
intermediate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박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원 filed Critical 박성원
Priority to KR102007001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PCT/KR2008/000556 priority patent/WO2008093994A1/en
Publication of KR10079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A dental implant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shock form being transmitted to a fixture when shock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given to a crown that is temporarily installed. A dental implant device includes a fixture(110), a crown(120) and an abutment. One side of the abutment is coupled to the fixture and the other side of the abutment is coupled to the crown. The abutment includes an abutment body(140) and a middle member(150). The abutment body is coupled to the fixture. The middle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abutment body and the crown.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member is coupled to the crown. The inner surface of the middle member is coupled to the abutment body by resin. When shock is transmitted to the resin from the outside, the resin is broken and thus the middle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abutment body.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Dental implant appratus}Dental Implant Apparatus {Dental implant app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기구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1 shows an embodiment of a threaded impla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threaded impla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3 shows a cement retaining impla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도 3의 임플란트 기구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plant mechanism of Figure 3 is install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기구의 분리단면도.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lant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따른 임플란트 기구가 인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plant mechanism according to Figure 5 is installed on the human body.

도 7은 도 6에 따른 임플란트 기구에서 크라운 및 중간부재가 어버트먼트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own and the intermediate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abutment body in the implant device according to FIG.

도 8은 도 6에 따른 임플란트 기구가 경사지도록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plant mechanism according to Figure 6 is installed to be inclin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9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n implant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Drawings>

100... 임플란트 기구 110... 픽스쳐100 ... implant fixture 110 ... fixture

120... 크라운 130... 어버트먼트120 ... Crown 130 ... Abutment

140... 어버트먼트 몸체 150... 중간부재140 ... abutment body 150 ... intermediate member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시적으로 인체에 설치된 인공치아에 외부로부터 과도한 힘이 가해졌을 때 인공치아가 쉽게 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lant device that allows the artificial tooth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uman body whe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artificial tooth temporarily installed in the human body.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일반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치근인 픽스쳐(fixture)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치근에 치아 보철(prosthesis)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를 의미한다.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넓게는 이러한 치과 시술 방법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좁게는 픽스쳐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임플란트는 주로 일반적인 인공 치아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A dental implant generally refers to an artificial dental structure formed by implanting a fixture,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root, at a part or a whole where a tooth is missing, and adhering it to the alveolar bone, and fixing a prosthesis to the artificial root. . The term implant can be broadly used as a generic concept that includes such dental procedures, and can be used as narrowly as a fixture.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mplant may be mainly interpreted as a general artificial tooth structure.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인체의 턱뼈에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픽스쳐(fixture)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하는 크라운(crown)과, 일측은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크라운과 결합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로 구성된다. In general, an implant is a fixture that is coupled to the jawbone of the human body to form an artificial tooth, a crown that forms the appearance of an artificial tooth,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fixture and the other is an abutment that is coupled to the crown. It consists of an abutment.

임플란트는 손실된 치아 주변의 인접 치아 또는 주위의 조직(tissue)을 손상시키지 않고 손실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을 지지하여 골조직의 흡수 속도를 지연시키고, 외관상 자연 치아와 거의 동일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 임플란트는 손상 또는 손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 시술 방법 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implant can be performed only on the lost part without damaging adjacent teeth or surrounding tissue around the lost tooth, supporting bone tissue, delaying the absorption of bone tissue, and forming aesthetics almost identical to natural teeth in appearance. can do. Therefore, implants have recently been widely used as a dental procedure for repairing damaged or lost teeth.

이러한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구조 및 시술방법에 따라 나사 유지형 방식과 시멘트 유지형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implants may be classified into a screw retaining method and a cement ret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procedure of the implant.

<나사 유지형 방식><Screw Retaining Method>

나사 유지형 방식은 임플란트가 처음으로 개발되면서부터 적용되어 지금까지도 사용되는 방식이다. 나사 유지형 방식은 기본적으로 나사에 의하여 크라운을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크라운이 나사에 의해서 결합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The screw retaining method has been applied since the first development of the implant and is still used. The screw retaining method is basically a method of fixing a crown to fixtures and abutments by screws, and can be easily removed or replaced because the crown is coupled by screws.

나사 유지형 방식은 크게 2가지 방식이 있다. 하나는 UCLA라는 어버트먼트 위에 완성된 크라운이 UCLA 어버트먼트와 일체가 되어 픽스쳐에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픽스쳐에 중간 어버트먼트인 트랜스뮤코절 어버트먼트(transmucosal abutment)를 연결한 후 상부 어버트먼트(gold cylinder)를 그 위에 연결하고 상부 어버트먼트와 함께 최종 크라운을 만들어 중간 어버트먼트(transmucosal abutment) 위에 장착 및 분리하는 방식이다. There are two types of screw retaining methods. One is the completed crown on top of the UCLA abutment,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UCLA abutment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fixture. The other connects the transmucosal abutment, the intermediate abutment to the fixture. After that, the upper abutment (gold cylinder) is connected on it, and the final abutment is formed together with the upper abutment to be mounted and detached on the transmucosal abutment.

도 1a는 종래의 UCLA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나사 유지형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rew retaining method using a conventional UCLA abutment.

도 1a를 참조하면, UCLA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나사 유지형 방식에서 임플란트 기구(10)는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12) 및 크라운(18)과 일체를 이루며 픽스쳐(12) 상에 배치되는 어버트먼트(14)를 포함한다. 크라운(18) 및 어버트먼트(14)는 외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A, in a screw-retained manner using UCLA abutments, the implant device 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ture 12 and the crown 18 placed in the jawbone and is disposed on the fixture 12. (14). The crown 18 and the abutment 14 are integrally formed from the outside, and a hole penetrating the center is formed.

나사(16)는 홀을 통해 픽스쳐(12)에 체결됨으로써, 크라운(18) 및 어버트먼트(14)가 픽스쳐(12)에 고정된다.The screw 16 is fastened to the fixture 12 through a hole, so that the crown 18 and the abutment 14 are fixed to the fixture 12.

도 1b는 종래의 중간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나사 유지형 방식을 이용한 임플란트 기구(2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lant mechanism 20 using a screw retaining method using a conventional intermediate abutment.

도 1b를 참조하면, 중간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기구(20)는 픽스쳐(22), 중간 어버트먼트(24) 및 크라운(28)과 일체를 이루며 중간 어버트먼트(24) 상에 배치되는 상부 어버트먼트(26)를 포함한다. 중간 어버트먼트(24)는 제1 나사(23)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며, 제1 나사(23)는 중간 어버트먼트(24)를 통해 픽스쳐(22)와 체결됨으로써 중간 어버트먼트(24)를 픽스쳐(22)에 고정시킨다. Referring to FIG. 1B, the implant mechanism 20 using the intermediate abutment is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abutment 24 in one piece with the fixture 22, the intermediate abutment 24 and the crown 28. Upper abutment 26. The intermediate abutment 24 include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w 23, and the first screw 23 is engaged with the fixture 22 through the intermediate abutment 24, thereby allowing the intermediate abutment ( 24) is fixed to the fixture 22.

크라운(28) 및 상부 어버트먼트(26)를 관통하는 홀을 통해 제2 나사(25)가 삽입되고, 제2 나사(25)가 제1 나사(23)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결속됨으로써 크라운(28) 및 상부 어버트먼트(26)를 중간 어버트먼트(24)에 고정시킨다.The second screw 25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through the crown 28 and the upper abutment 26, and the second screw 25 is engaged with the screw hol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crew 23. The crown 28 and the upper abutment 26 are secured to the middle abutment 24.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크라운(18, 28) 하부에는 픽스쳐나 중간 어버트먼트 상부 형상에 맞는 기성부품(예를들어, UCLA 어버트먼트(14), 상부 어버트먼트(26))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크라운을 주조할 때 함께 형성되어 크라운과 일체를 이룬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bottom of the final crown 18, 28 is a ready-made component (eg, UCLA abutment 14, upper abutment) that fits into the fixture or intermediate abutment top shape. 26)), which are formed together to form the crown when casting the crown.

나사 유지형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크라운의 교합면에 나사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홀을 통해 나사 및 픽스쳐 간의 결합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biggest feature of the screw retaining type is that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and the screw hole can adjust the coupling between the screw and the fixture.

이러한, 나사 유지형 방식은 다음과 같은 단점들을 갖고 있다. This screw retaining method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나사 유지형 방식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행하기 위해서는 픽스쳐를 턱뼈에 식립한 후에, 3~4 달 정도의 기간을 두고 픽스쳐가 턱뼈 및 골조직에 완전히 흡착되도록 기다린다. 이후, 상기 픽스쳐가 완전하게 골조직과 흡착되면,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상기 픽스쳐에 설치할 수 있다.To perform the implant procedure in a screw-held manner, the fixture is placed in the jawbone and then waits for 3-4 months for the fixture to fully adsorb onto the jawbone and bone tissue. Thereafter, when the fixture is completely adsorbed with the bone tissue, the abutment and the crown may be installed in the fixture.

이와 같이 나사 유지형 방식으로 임플란트 기구를 시술한 시술자는 임시치아를 만들기 위하여 3~4 달 정도를 기다려야 하므로, 치아가 없는 상태에서 장시간 생활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Thus, the operator who performed the implant mechanism in the screw-holding method has to wait 3-4 months to make a temporary tooth, so there is a disadvantage of having to live for a long time without a tooth.

또한, 나사 유지형 방식은 크라운이 하부구조인 픽스쳐와 수동적인 적합(passive fit)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사 유지형 방식은 제작 방식이 복잡하고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 과도하게 소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ad-retaining method must be machined precisely to near perfection, since the crown must make a passive fit with the fixture, which is the substructure. Thus, the screw retaining method is complicated in manufacturing method and may take excessive production time and manufacturing cost.

또한, 완벽하게 가공 및 장착되지 않으면, 여러 응력(stress)이 임플란트에 가해질 수 있으며, 과도한 응력은 결국 임플란트 주위 골의 소실이나 크라운 또는 임플란트 자체의 파절을 가져올 경우가 많다. In addition, if not fully machined and mounted, several stresses may be applied to the implant, and excessive stresses often result in loss of bone around the implant or fracture of the crown or the implant itself.

나사 유지형 방식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은 나사의 풀림 현상이다. 일부 보고에 따르면, 나사 유지형 방식을 행한 임플란트 기구의 약 25-30%에서 나사의 풀림이 일어났다고 한다. 즉, 잘 맞지 않는 임플란트 기구는 잘 맞는 것에 비하여 적은 교합력에도 나사가 쉽게 늘어나 영구적 변형을 일으켜 잘 풀리게 되는 것이다. A frequent problem in the screw retaining method is the loosening of the screw. Some reports indicate that screw loosening occurs in about 25-30% of implanted devices that have undergone a screw retaining method. In other words, an implant device that does not fit well is easily screwed out even with a small bite force compared to a fitting well, causing permanent deformation and loosening.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사 유지형 방식은 수동적인 적합에 의해서 고정되어야 한다. 구강 내에서 수동적인 적합을 이루는 임플란트 기구를 제작하려면 첫째로 정밀한 작업모형이 만들어져야 하고, 그 위에 정밀한 임플란트 기구가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screw retaining type should be fixed by manual fitting. In order to manufacture an implant device that achieves a passive fit in the oral cavity, a precise working model must first be made, and a precise implant device must be manufactured thereon.

정확하고 정밀한 작업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 정밀한 인상채득(impression making), 작업모형의 제작 및 크라운의 제작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재질의 수축 및 변형 등을 감안할 때 이러한 작업은 고도의 숙련도를 필요로 하며, 제작 과정의 특성상 진료시간, 제작시간이 많이 든다. 따라서 치료 비용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도 비싸지며, 재료비 또한 만만치 않다. 그러므로 나사 유지형 방식을 이용한 임플란트 기구는 전체 비용이 고가일 수밖에 없다. In order to make accurate and precise working model, precise impression making, working model making and crown making should be performed. However, considering the shrinkage and deformation of the material, such work requires a high degree of skill,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takes a lot of time for treatment and production. Therefore, not only the treatment cost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material cost is also formidable. Therefore, the implant mechanism using the screw retaining method is expensive overall cost.

<시멘트 유지형 방식><Cement-holding type>

시멘트 유지형 방식은 나사 유지형 방식과는 달리,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나사에 의하여 고정하고, 별도로 제작된 크라운을 고정된 어버트먼트 위에 배치하며,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트를 개재하여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합착하는 방식을 말한다.The cement retaining type is different from the screw retaining type, in which the abutment is fixed to the fixture by screws, and a separately manufactured crown is placed on the fixed abutment, between which the crown and the abutment are interposed. It is a way of cementing the process.

도 2는 종래의 시멘트 유지형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ment holding method.

도 2를 참조하면, 시멘트 유지형 방식을 이용한 임플란트 기구(30)는 픽스쳐(32), 어버트먼트(34) 및 크라운(38)를 포함한다. 턱뼈에 식립된 픽스쳐(32)에 나사 홀이 형성된 어버트먼트(34)를 배치하고, 나사 홀을 통해 나사(36)를 픽스쳐(32)에 체결하여 어버트먼트(34)를 고정한다.Referring to FIG. 2, the implant mechanism 30 using the cement retaining method includes a fixture 32, an abutment 34 and a crown 38. An abutment 34 having a screw hole is disposed in the fixture 32 implanted in the jawbone, and the abutment 34 is fixed by fastening the screw 36 to the fixture 32 through the screw hole.

고정된 어버트먼트(34)에 크라운(38)을 끼우고,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 트(37)를 개재하여 어버트먼트(34) 및 크라운(38)을 합착한다. 나사 유지형 방식과는 달리, 크라운(38)을 어버트먼트(34)와 분리하여 제조한 후, 크라운(38)과 어버트먼트(34)를 치과용 시멘트(37)를 사용하여 합착한다.The crown 38 is fitted to the fixed abutment 34, and the abutment 34 and the crown 38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the dental cement 37 therebetween. Unlike the threaded type, the crown 38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abutment 34, and then the crown 38 and the abutment 34 are bonded using the dental cement 37.

따라서, 종래의 시멘트 유지형 방식을 이용한 임플란트 기구의 가장 큰 외관상 특징은 크라운의 교합면에 나사 홀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나사 유지형 방식을 이용한 임플란트 기구와는 달리 외관상 인공치아의 표시가 눈에 띄지 않으며, 자연치처럼 자연스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일단 크라운을 장착한 후에는 나사를 풀어 크라운을 분리할 수 없다. Thus, the most apparent feature of the implant mechanism using the conventional cement retaining method is that there is no screw hole i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rown. Therefore, unlike the implant mechanism using the screw retaining method, the appearance of artificial teeth is inconspicuous in appearance and can form a natural appearance like natural teeth. However, once the crown is mounted, the crown cannot be removed by loosening the screw.

시멘트 유지형 방식은 나사 유지형이 갖는 단점들을 모두 해결한다. 즉, 시멘트 유지형 방식은 1) 픽스쳐와 크라운 사이에 수동적인 적합(passive fit)을 쉽게 이룰 수 있으며, 그 결과 2) 크라운 연결시 픽스쳐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고, 3) 나사의 풀림이 적게 발생하며, 4) 임상 술식 및 제조 과정이 간단하며, 5) 시간을 절약할 수가 있고, 6) 제작 비용이 적게 든다. The cement retaining method solves all the disadvantages of the screw retaining type. In other words, the cement retaining method can easily achieve a passive fit between the fixture and the crown, resulting in 2) less stress on the fixture when the crown is connected, and 3) less loosening of the screws. 4) Simple clinical proced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5) time saving, and 6) low production cost.

무엇보다도, 시멘트 유지형 방식의 최대 장점은 크라운과 어버트먼트 간의 부적합성을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 간의 공간 및 그 공간에 충진되는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난도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나사 유지형에 비하면, 시멘트 유지형 방식은 몇 가지 원칙만 지킨다면 인상과정이나 기공과정이 간단하고, 임플란트와 크라운 사이에 수동적인 적합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나사 유지형 방식의 경우 인상체득없이 픽스쳐를 턱뼈에 식립한 후에 그 픽스쳐의 상단에 바로 미리 준비해둔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설치할 수 있어, 시술자는 나 사 유지형 방식에서와 같이 3 ~ 4 개월간 치아가 없는 상태로 생활하지 않아도 되어 수술 직후 이전과 같은 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물론, 임시로 설치해둔 이러한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은 추후 최종적으로 정밀하게 가공된 크라운으로 대체될 것이다.Above all,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cement retaining approach is that the incompatibility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can simply be solved by the space between the crown and the abutment and the dental cement filled in the space. Compared with the screw retaining type, which requires a high degree of precision, the cement retaining method is simpler in the pulling process or the pore process if a few principles are followed, and a passive fit between the implant and the crown can be obtain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crew retaining method, after fixing the fixture to the jaw bone without gaining an impression, the abutment and crown prepared in advance can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top of the fixture. You don't have to live without it so you can enjoy the same life as before. Of course, these abutments and crowns that have been temporarily installed will later be replaced by precisely machined crown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멘트 유지형 방식의 경우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ement retaining method also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임시적으로 크라운을 설치한 시술 초기에는 시술자가 조심스럽게 크라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씹게 되므로 문제가 될 것이 없으나, 점차 상처가 아물어가고 임플란트 기구가 시술 초기에 비하여 견고하게 턱뼈 및 골조직에 결합되어 감에 따라 시술자는 안심하고 단단한 음식물을 씹거나 생활도중 부주의로 인하여 크라운에 강한 충격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충격은 크라운으로부터 어버트먼트를 통하여 픽스쳐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며, 아직 완전하게 아물지 않은 픽스쳐의 위치를 정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이러한 픽스쳐의 위치이동으로 인하여 시술자는 다시 치과를 방문하여 픽스쳐를 턱뼈에 설치하는 재수술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First of all, at the beginning of the procedure where the crown is temporarily installed, the operator carefully chews the food using the crown, so there is no problem, but gradually the wound is healed and the implant mechanism is firmly coupled to the jawbone and bone tissue than the initial procedure. As a result, the surgeon may chew hard foods with confidence or cause a strong impact on the crown due to carelessness during life. This impact is transmitted from the crown to the fixture through the abutment, leaving the position of the fixture that is not yet fully healed out of position. Due to the shift of the position of the fixture, the operator has to visit the dentist again and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re-install the fixture on the jawbon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임시로 설치한 크라운에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이 그대로 픽스쳐로 전달되지 않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mechanism in which the impact is not transmitted to the fixture as it is when a predetermined impact is applied to the temporarily installed crow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인체의 턱뼈에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픽스쳐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하는 크라운과, 일측은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크라운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에 있어서,Dental impla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fixture is coupled to the jawbone of the human body to form an artificial tooth, the crown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tooth, one side is coupled to the fixture and the other side is In a dental implant device comprising an abutment coupled to the crown,

상기 어버트먼트는,The abutment,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몸체와,An abutment body coupled with the fixture,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에 레진에 의하여 부착되며 상기 크라운과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한다.It comprises an intermediate member attached to the abutment body by a resin and coupled to the crown.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에서, 상기 레진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에폭시(Epoxy),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염화비닐(Vinyl chloride), 아세트산 비닐(Vinyl acetate), 염화비닐(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아세트산 비닐(Vinyl acetate) 폴리아세트산 비닐(Poly vinyl ace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ntal implant device, the resin is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 Methacrylate), epoxy (Epoxy), polycarbonate (Polycarbonate), polyurethane (Polyurethane), vinyl chloride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Vinyl aceta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vinyl chloride, poly vinyl chloride, poly vinyl chloride, and vinyl acetate poly vinyl acetate.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에서,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레진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ntal implant device, the intermediate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sin.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상기 중간부재에서 상기 크라운과 결합되는 부분은 원뿔대형 외부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ental implant device has a truncated conical outer surface at the intermediate member.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에서 상기 중간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은 원뿔대형 외부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ntal implant device, preferably, the portion of the abutment body to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attached has a truncated outer surface.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상기 중간부재에서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와 접촉하는 면에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The dental implant device, the locking jaw is provid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body in the intermediate member,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에는 상기 중간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부재의 걸림턱이 걸림에 따라 상기 중간부재가 어버트먼트 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butment body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intermediate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butment body as the locking jaw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caught while the intermediate member is attach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100)는 픽스쳐(110)와, 크라운(120)과, 어버트먼트(130)로 구성된다.The dental impla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fixture 110, a crown 120, and an abutment 130.

상기 픽스쳐(110)는 인체의 턱뼈에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것이다.픽스쳐(110)는 티타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픽스쳐(110)에 마련된 나사산(111)을 이용하여 인체의 턱뼈에 파고들 수 있으며, 턱뼈에 진입한 이후에는 장기간이 소요되면서 주변의 인체의 조직들과 흡착된다. 인체의 조직들과 흡착되면서 픽스쳐(110)는 턱뼈와 일체를 이루게 되며, 인공치근으로서 어버트먼트(130) 및 크라운(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나사산(111)은 픽스쳐(110)가 턱뼈에 용이하게 진입하게 하는 것 외에도 인체의 조직과 흡착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조직 결속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ixture 110 is coupled to the jawbone of the human body to form an artificial tooth. The fixture 110 is made of a titanium alloy, the thread 1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screw thread 111 provided in the fixture 110 can be used to dig into the jawbone of the human body, and after entering the jawbone, it takes a long time to be adsorbed with the surrounding tissues of the human body. The fixture 110 is integrated with the jaw bone while being adsorbed with tissues of the human body, and functions to stably support the abutment 130 and the crown 120 as artificial tooth roots. In this case, the thread 111 may serve as a tissue binding unit for forming the fixture 110 into the jawbone in addition to easily entering the jawbone.

픽스쳐(110)의 상단에는 어버트먼트(130)를 결합되는 단턱부(112)가 마련되며, 그 중앙부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1나사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112 to which the abutment 130 is coupled, and the first screw hole 11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상기 크라운(120)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외관은 일반적인 치아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내부는 빈공간을 이루고 있다. 상기 크라운(120)에는 시멘트(121)가 채워진다. 크라운 내에 채워지는 시멘트(121)는 크라운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크라운(120)을 어버트먼트(130)와 결합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crown 120 is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tooth, the appearance is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a general tooth, the interior is made of an empty space. Cement 121 is filled in the crown 120. The cement 121 filled in the crown not only keeps the shape of the crown constant, but also serves to couple the crown 120 to the abutment 130.

상기 어버트먼트(130)는 어버트먼트 몸체(140)와, 중간부재(150)로 이루어진다.The abutment 130 is composed of an abutment body 140 and the intermediate member 150.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는 상기 픽스쳐(110)와 결합되는 것이다. 어버트먼트 몸체(1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중간부재(150)가 부착되며, 하단은 상기 픽스쳐(110)의 상단과 결합된다.The abutment body 140 is coupled to the fixture 110. The intermediate member 15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body 140,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10.

어버트먼트 몸체(140)에서 상기 중간부재(150)가 부착되는 부분은 원뿔대형 외부면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의 하단에는 상기 픽스쳐(110)의 상단에 마련된 단턱부(112)와 대응되는 단턱홈(141)이 형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의 단턱홈(141)이 상기 픽스쳐(110)의 단턱부(112)에 끼워지면,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가 픽스쳐(110)의 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A portion of the abutment body 140 to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150 is attached has a truncated outer surface. A stepped groove 141 corresponding to the stepped part 112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xture 11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butment body 140. When the stepped groove 141 of the abutment body 140 is fitted into the stepped portion 112 of the fixture 110, the abutment body 140 is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ture 110. Suppresses movement to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에는 상단 중앙로부터 하단 중앙까지 연결된 제2나사구멍(14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나사구멍(142)은 나사(160)가 상기 제2나사구멍(142)을 통하여 제1나사구멍(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어버트먼트 몸체(140)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2나사구멍(142)에는 나사(160)의 머리가 받쳐질 수 있는 받침턱(143)이 마련되어 있다. The abutment body 140 is provided with a second screw hole 142 connected from the top center to the bottom center. The second screw hole 142 is provided on the abutment body 140 so that the screw 160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screw hole 113 through the second screw hole 142. The second screw hole 142 is provided with a support jaw 143 to which the head of the screw 160 can be supported.

상기 중간부재(150)는 어버트먼트 몸체(140)에 레진(144)에 의하여 부착되고, 상기 크라운(120)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간부재(150)는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의 외면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를 중간부재(150)에 부착하는 레진(144)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에폭시(Epoxy),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염화비닐(Vinyl chloride), 아세트산 비닐(Vinyl acetate), 염화비닐(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아세트산 비닐(Vinyl acetate) 폴리아세트산 비닐(Poly vinyl ace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양한 성분의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member 150 is attached to the abutment body 140 by the resin 144, and is coupled to the crown 120. The intermediate member 150 has an outer surface of a truncated cone shape as a whole, and a space is provided therei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body 140 can be coupled. The resin 144 attaching the abutment body 140 to the intermediate member 150 may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epoxy, polycarbonate, polyurethane, and chloride. At least one of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poly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polyvinyl acetate It is preferable, but resins of various components may be used in addition.

중간부재(150)는 바람직하게는 레진(144)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레진(144)과 유사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레진(144)이 중간부재(1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중간부재(150)가 어버트먼트 몸체(140)와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termediate member 150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sin 144, bu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imilar to the resin 144. The reason why the resin 144 is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at of the intermediate member 150 is to allow the intermediate member 150 to be easily coupled with the abutment body 140.

상기 중간부재(150)에서 상기 크라운(120)과 결합되는 부분은 원뿔대형 외부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외부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Part of the intermediate member 150 and the crown 1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runcated conical outer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n outer surface of various forms.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Dental implant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임상검사 후 시술자의 구강에 발치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픽스쳐(110)를 밀어넣는다. 이때 픽스쳐(110)는 시술후 빠지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로 밀어넣는다. 이후, 어버트먼트 몸체(140)를 상기 픽스쳐(110)의 상단에 올려놓는다. 이때, 어버트먼트 몸체(140)의 단턱홈(141)이 상기 픽스쳐(110)의 단턱부(112)에 끼워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어버트먼트 몸체(140)의 제2나사구멍(142)을 통하여 나사(160)를 삽입한 후, 상기 나사(160)가 픽스쳐(110)의 제1나사구멍(11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어버트먼트 몸체(140)와 픽스쳐(110)의 결합이 완료되면, 내면에 레진(144)이 발라져 있는 중간부재(150)를 어버트먼트 몸체(140)의 상단부에 부착한다. 이후, 크라운(120)의 내부에 적정량의 시멘트(121)를 바르고, 상기 크라운(120)을 상기 중간부재(150)에 결합한다. 상기 크라운(150)을 중간부재(15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시멘트(121)가 세어나오게 되면, 그 세어나온 시멘트(12)를 제거하여 작업을 마무리한다.First, after the clinical examination, the extraction hole is formed in the oral cavity of the operator and the fixture 110 is pushed into the hole. At this time, the fixture 110 is pushed to a sufficient depth so as not to fall out after the procedure. Thereafter, the abutment body 140 is placed on top of the fixture 110. At this time, the stepped groove 141 of the abutment body 140 may be fitted to the stepped portion 112 of the fixture 110. Thereafter, after the screw 160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screw hole 142 of the abutment body 140, the screw 16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screw hole 113 of the fixture 110. Make sure When the bonding of the abutment body 140 and the fixture 110 is completed, the intermediate member 150 having the resin 144 coated on the inn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body 140. Thereafter, an appropriate amount of cement 121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rown 120, and the crown 120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member 150. When the cement 121 is leak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rown 150 into the intermediate member 150, the cement 12 is removed to finish the work.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dental implant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 몸체와 픽스쳐는 나사에 의하여 단단하게 결합되며, 크라운과 중간부재도 시멘트에 의하여 단단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중간부재와 어버트먼트 몸체는 레진에 의하여 일정한 접착력이 되도록 서로 결합된다.Fir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butment body and the fixture are tightly coupled by screws, and the crown and the intermediate member are also tightly coupled by cement. However,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butment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constant adhesive force by the resin.

시술 후 시술자가 단단한 음식물을 씹거나, 크라운에 큰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경우, 크라운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은 중간부재를 거쳐서 레진으로 전달된다. 레 진으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레진은 파괴되며, 상기 중간부재와 어버트먼트 몸체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된다. 이에 따라, 크라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그대로 어버트먼트를 거쳐서 픽스쳐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크라운 및 중간부재가 어버트먼트 몸체로부터 분리되면, 시술자는 다시 치과를 방문하여 간단한 시술로서 다시 크라운과 중간부재를 레진에 의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레진은 일정정도의 충격, 즉 픽스쳐에 큰 무리를 주지 않는 정도의 약한 충격에는 파괴가 되지 않고, 크라운으로부터 받은 충격을 픽스쳐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적은 강도의 충격은 픽스쳐가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것이므로 픽스쳐가 턱뼈에 고정되는 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If the operator chews hard food or makes a big impact on the crown after the procedure, the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crown is transmitted to the resin via the intermediate member. The resin is destroyed by the impact delivered to the resin, and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butment body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impact from the crown is not transmitted to the fixture as it is via the abutment. As such, when the crown and the intermediate member are separated from the abutment body, the operator visits the dentist again and attaches the crown and the intermediate member by resin again as a simple procedure. Of course, the resin is not destroyed by a certain degree of impact, that is, a weak impact that does not impose too much pressure on the fixture, and transmits the impact received from the crown to the fixture. However, such a low intensity impact is sufficient for the fixture to be able to afford and does not affect the fixation of the fixture to the jawbone.

한편, 중간부재와 어버트먼트 몸체를 결합하는 레진의 양은 픽스쳐에 가해져도 무방한 충격량을 미리 계산하여 적절하게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resin joining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butment body is properly adjus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impact that may be applied to the fixture in advance.

이에 반하여, 종래의 기술과 같이 충격이 그대로 픽스쳐로 전달된다면 아직 충분히 아물지 않은 픽스쳐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다시 픽스쳐를 턱뼈에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이 픽스쳐를 재설치하는 과정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 아니라, 큰 수술을 요하는 것이므로 환자에게 큰 불편을 주게 된다. On the contrary, if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fixture as it is in the prior art, the fixture must be installed on the jawbone again because the position of the fixture that is not sufficiently healed is changed. In this way, the process of re-installing the fixture is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requires large surgery, which causes great inconvenience to the patien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중간부재 및 어버트먼트 몸체가 원뿔대의 형상을 이루고 있어 크라운을 설치하기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턱뼈에 설치되는 픽스쳐는 정확하게 수직한 방향을 이루지 못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턱뼈 또는 골조직의 형태에 따라 수직으로부터 약간씩 경사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픽스쳐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어버트먼트도 수직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러나,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가 수직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설치되어도 크라운은 수직하게 구강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크라운을 수직하게 어버트먼트에 상단에 결합하는 경우 어버트먼트에서 절단선(S)의 왼쪽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 크라운에 걸리기 때문에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설치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버트먼트의 일부분(도 3의 어버트먼트 몸체에서 절단선(S)의 왼쪽부분)을 밀링커터등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에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임플란트 시술작업 중 이러한 커팅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시술시간을 지연시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 dental impla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asy to install the crown because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abutment body forms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In general, fixtures installed in the jawbone do not form a precis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3 may be slightly inclined from the vertical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jawbone or bone tissue. In addition, the abutment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is also inclined from the vertical. However, even if fixtures and abutments are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from the vertical, the crown should be placed vertically in the oral cavity. When the crown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top of the abutmen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portion of the cutting line S in the abutment is caught by the crown, so that the crown cannot be installed in the abut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fter removing a portion of the abutment (left portion of the cutting line S in the abutment body of FIG. 3) by using a milling cutter, the crown may be installed in the abutment. However, performing such a cutting operation during the implantation operation is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causes a delay in the procedure time.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뿔대 형상인 외부면을 가지는 어버트먼트몸체 및 중간부재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커팅작업이 필요없이 크라운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치과에는 다양한 경사각(어버트먼트 몸체의 중심축과 외부면이 이루는 사이각(α))을 가지는 어버트먼트 몸체를 구비해두고, 또한 어버트먼트 몸체에 대응하는 중간부재를 준비해 둔 상태에서, 시술자의 상태에 따라서 현장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시술하면 된다. On the contrary, since the embodiment has an abutment body and an intermediate member having a truncated conical shape as shown in FIG. 8,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rown can be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cutting operation. To this end, the dentist has an abutment body having various inclination angles (angle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body) and an intermediate member corresponding to the abutment body. I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operator to choose the appropriate procedure in the field.

이는 전체적인 시술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며, 시술도중에 밀링작업을 할 수 없어 비숙련자도 손쉽게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drastically shortens the overall procedure time and does not allow milling operations during the procedure,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unskilled person can easily perform an implant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다음과 같이 변형도 가능하다.Dental impla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s follows.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중간부재(150) 및 어버트먼트 몸체(140)에 걸림턱(151)과 걸림부(145)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재(150)에는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와 접촉하는 면에 내부로 돌출된 걸림 턱(151)을 마련한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locking step 151 and the locking portion 145 in the intermediate member 150 and the abutment body 14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intermediate member 150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151 protruding therein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body 140.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140)에는 상기 중간부재(150)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부재(!50)의 걸림턱(151)에 걸렸을 때 중간부재(150)가 어버트먼트 몸체(1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45)를 마련한다. In addition, when the abutment body 140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151 of the intermediate member (!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150 is attached, the intermediate member 150 is the abutment body 140. )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145 to prevent separation.

중간부재(150) 및 어버트먼트 몸체(140)는 걸림턱(151)과 걸림부(145)의 결합력과 레진에 의한 결합력에 의하여 서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The intermediate member 150 and the abutment body 140 maintain the coupling state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locking jaw 151 and the locking portion 145 and the coupling force by the resin.

이상에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에 의하면, 임시로 설치한 크라운에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크라운이 어버트먼트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픽스쳐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추후 픽스쳐를 재설치하기 위한 수술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ental impla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impact is applied to the temporarily installed crown, the crown is separated from the abutment body, so that the impact is not transmitted to the fixture,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on for re-installing the fixture later. There are advantages to it.

Claims (6)

인체의 턱뼈에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픽스쳐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하는 크라운과, 일측은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크라운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에 있어서,In the dental implant device comprising a fixture coupled to the jawbone of the human body to form an artificial tooth, a crown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tooth, one side is coupled to the fixture and the other side is an abutment coupled to the crown , 상기 어버트먼트는,The abutment,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몸체; 및An abutment body coupled to the fixture; And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와 상기 크라운사이에 배치되며, 외면은 상기 크라운과 결합되고, 내면은 레진에 의하여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와 결합하되,Is disposed between the abutment body and the crown, the outer surface is coupled to the crown, the inner surface is coupled to the abutment body by a resin, 상기 외부로부터 충격이 상기 레진에 전달되는 경우 상기 레진이 파괴됨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And an intermediate member which is detached from the abutment body as the resin is destroyed when an impact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res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진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The resin is a dental impla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 methacrylate) or polycarbonate (Polycarbon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중간부재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The intermediate member is a dental impla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hard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간부재에서 상기 크라운과 결합되는 부분은 원뿔대형 외부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And a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engaged with the crown has a truncated conical outer surfac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에서 상기 중간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은 원뿔대형 외부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And a portion of the abutment body to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attached has a truncated conical ou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간부재에서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와 접촉하는 면에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A locking jaw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n contact with the abutment body.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에는 상기 중간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부재의 걸림턱이 걸림에 따라 상기 중간부재가 어버트먼트 몸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The abutment body is provided with a dental implan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intermediate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butment body in accordance with the locking jaw of the intermediate member in the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member is attached.
KR1020070010212A 2007-01-31 2007-01-31 Dental implant appratus KR100799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212A KR100799368B1 (en) 2007-01-31 2007-01-31 Dental implant appratus
PCT/KR2008/000556 WO2008093994A1 (en) 2007-01-31 2008-01-30 Dental impla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212A KR100799368B1 (en) 2007-01-31 2007-01-31 Dental implant app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368B1 true KR100799368B1 (en) 2008-01-30

Family

ID=3921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212A KR100799368B1 (en) 2007-01-31 2007-01-31 Dental implant app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9368B1 (en)
WO (1) WO2008093994A1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726B1 (en) * 2008-09-22 2009-05-20 고찬중 Costom abutment structure of implant
WO2010068552A2 (en) * 2008-12-11 2010-06-17 Aeton Medical Llc Temporary restorations and related methods
US8075313B2 (en) 2009-01-19 2011-12-13 Aeton Medical Llc Transfer copings and related methods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s
KR101253498B1 (en) 2012-10-18 2013-04-11 김용협 Functional implants
WO2013118936A1 (en) * 2012-02-10 2013-08-15 Ki Tea Hyeong Method for manufacturing entrial implant abutment
US8920170B2 (en) 2011-02-21 2014-12-30 Aeton Medical Llc Abutment and abutment systems for use with implants
KR20150030663A (en) * 2012-05-21 2015-03-20 마틴 바흘러 Retention insert and connection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s
KR20150139172A (en) * 2014-06-03 2015-12-11 김용협 Air denture of artificial tooth
US9737380B2 (en) 2009-02-13 2017-08-22 Aeton Medical Llc Components for use with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KR101839424B1 (en) * 2018-02-06 2018-03-16 이정치과기공(주) Dental implant
KR101943871B1 (en) 2018-11-20 2019-01-30 (주)예스바이오골드 Bond structure in the abutment and implant crown
KR101988392B1 (en) * 2018-04-16 2019-10-01 (주)에스겔 Magnetic attachment for overdenture
KR102052543B1 (en) * 2019-07-26 2019-12-05 고찬중 a Dental implant structures
KR102110497B1 (en) * 2019-11-01 2020-05-13 (주)덴탈릭스 Crowns for dental implants
KR102578686B1 (en) * 2023-02-10 2023-09-15 이노덴 주식회사 Connector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669B1 (en) * 2015-05-19 2016-06-15 김용협 Bond structure in the abutment and implant crown
CA3130923A1 (en) * 2020-09-22 2022-03-22 Simple Smile Dental Solutions Inc. Adaptor for dental implant abut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696A (en) 1978-12-14 1982-03-09 Katsumi Kasama Implant artificial denture
US4416629A (en) 1982-07-06 1983-11-22 Mozsary Peter G Osseointerfaced implanted artificial tooth
JPH0422355A (en) * 1990-05-17 1992-01-27 Buhei Akaha Artificial tooth
JPH06237943A (en) * 1993-02-15 1994-08-30 Nikon Corp Pier for dental implant
KR20040081320A (en) * 2003-03-13 2004-09-21 허영구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butment and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696A (en) 1978-12-14 1982-03-09 Katsumi Kasama Implant artificial denture
US4416629A (en) 1982-07-06 1983-11-22 Mozsary Peter G Osseointerfaced implanted artificial tooth
JPH0422355A (en) * 1990-05-17 1992-01-27 Buhei Akaha Artificial tooth
JPH06237943A (en) * 1993-02-15 1994-08-30 Nikon Corp Pier for dental implant
KR20040081320A (en) * 2003-03-13 2004-09-21 허영구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butment and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987A2 (en) * 2008-09-22 2010-03-25 Ko Chan Joong Custom abutment structure for implants
WO2010032987A3 (en) * 2008-09-22 2010-07-15 Ko Chan Joong Custom abutment structure for implants
KR100898726B1 (en) * 2008-09-22 2009-05-20 고찬중 Costom abutment structure of implant
WO2010068552A2 (en) * 2008-12-11 2010-06-17 Aeton Medical Llc Temporary restorations and related methods
WO2010068552A3 (en) * 2008-12-11 2010-10-14 Aeton Medical Llc Temporary restorations and related methods
US8075313B2 (en) 2009-01-19 2011-12-13 Aeton Medical Llc Transfer copings and related methods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s
US8936468B2 (en) 2009-01-19 2015-01-20 Roger S. Ranck Transfer copings and related methods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s
US9737380B2 (en) 2009-02-13 2017-08-22 Aeton Medical Llc Components for use with implants and related methods
US8920170B2 (en) 2011-02-21 2014-12-30 Aeton Medical Llc Abutment and abutment systems for use with implants
WO2013118936A1 (en) * 2012-02-10 2013-08-15 Ki Tea Hyeong Method for manufacturing entrial implant abutment
KR20150030663A (en) * 2012-05-21 2015-03-20 마틴 바흘러 Retention insert and connection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s
KR102131222B1 (en) 2012-05-21 2020-07-08 마틴 바흘러 Retention insert and connection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s
WO2014061890A1 (en) * 2012-10-18 2014-04-24 주식회사 하이덴탈코리아 Functional implant
KR101253498B1 (en) 2012-10-18 2013-04-11 김용협 Functional implants
US9532855B2 (en) 2012-10-18 2017-01-03 Hanjin Dental Co., Ltd. Functional implant
KR20150139172A (en) * 2014-06-03 2015-12-11 김용협 Air denture of artificial tooth
KR101585971B1 (en) * 2014-06-03 2016-01-15 김용협 Air denture of artificial tooth
KR101839424B1 (en) * 2018-02-06 2018-03-16 이정치과기공(주) Dental implant
KR101988392B1 (en) * 2018-04-16 2019-10-01 (주)에스겔 Magnetic attachment for overdenture
KR101943871B1 (en) 2018-11-20 2019-01-30 (주)예스바이오골드 Bond structure in the abutment and implant crown
WO2020105813A1 (en) * 2018-11-20 2020-05-28 (주)예스바이오골드 Coupling structure of abutment and crown for implant
KR102052543B1 (en) * 2019-07-26 2019-12-05 고찬중 a Dental implant structures
KR102110497B1 (en) * 2019-11-01 2020-05-13 (주)덴탈릭스 Crowns for dental implants
KR102578686B1 (en) * 2023-02-10 2023-09-15 이노덴 주식회사 Connector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3994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368B1 (en) Dental implant appratus
KR100537218B1 (en) Abutment for a implant us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KR101881421B1 (en) Abutment assembly
KR101160121B1 (en) dental implant
CA2196397C (en) Impression coping
US5246370A (en) Dental implant method
US6056547A (en)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JP2017525437A (en) Temporary prosthetic system and usage of the temporary prosthetic system
KR100938991B1 (en) Mini implant
KR100842318B1 (en) Titanium sleev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WO1999029256A1 (en) Temporary implant components, system and method
KR101307411B1 (en) Dental implant
KR20090016560A (e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tooth replacement in a growing individual
KR20200014558A (en) Abutment assembly
KR101486851B1 (en) Dental Implant Abutment
JP5749911B2 (en) Dental implant
JP5131716B2 (en) Dental implant
KR200392241Y1 (en) Dental Temporary Implant
KR200392276Y1 (en) Dental Implant
KR102356447B1 (en)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2024911B1 (en) Offset type healing abutment
KR101059741B1 (en) Mini implant
JP5384275B2 (en) Dental implant
KR20150086699A (en) Multiple Abutment
JP7201717B2 (en) Artificial tooth and its CAD/CAM mil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