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173B1 -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173B1
KR100790173B1 KR1020060017774A KR20060017774A KR100790173B1 KR 100790173 B1 KR100790173 B1 KR 100790173B1 KR 1020060017774 A KR1020060017774 A KR 1020060017774A KR 20060017774 A KR20060017774 A KR 20060017774A KR 100790173 B1 KR100790173 B1 KR 10079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home device
short message
control cod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7402A (ko
Inventor
안상준
최우준
배영규
한영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173B1/ko
Priority to US11/582,691 priority patent/US7778654B2/en
Publication of KR2007008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7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홈 서버로 접속하면, 홈 서버가 홈 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홈 기기 상태를 해당하는 제어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해 홈 기기 상태 제어를 위한 입력이 있으면, 해당 홈 기기 상태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홈 서버로 전송하고, 홈 서버가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를 제어한 후, 현재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 네트워크, SMS, 이동 단말기, 메뉴 구성

Description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HOME NETWORK SYSTEM AND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EOLLING A WIRELESS APPARATUS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서버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와 홈 서버 간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 제어 및 무선 기기 상태를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코드를 조합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무선 기기를 제어하는 중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보이는 예시도.
본 발명은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오토메이션(HA : Home Automation) 시스템은 전자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가정 내에서의 각종 전기/전자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가입자의 일상 생활 편의를 도모하는 기술로, 예를 들면 실내 조명 장치의 조도 자동 조절 및 각종 전자 기기의 제어를 무선으로 제공하여 가입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활용으로 가입자는 회사로 출근한 후에도 가정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누출, 화재, 불법 침입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무선 인터넷(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과,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기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 등이 있다. WAP을 이용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된 메뉴를 휴대폰 단말기에 제공하고 이를 검색해서 홈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또한, SMS 메시지(이하, 단문 메시지라 함)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각각의 기기의 제어 신호를 텍스트로 직접 입력해서 홈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먼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은 제어를 위해 WAP 접속,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의 해당 화면 이동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단순 제어를 위해서도 일일이 WAP 접속, 인증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시간 소모와 그에 따른 무선 데이타 통신 요금 등 시간, 경제적 비용 등에 부담이 크다. 또한, 제어 메뉴를 저장할 WAP 서버(server)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규모 주택단지에서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홈 기기 제어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좀 더 간편하게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는 방안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기기의 특성에 맞는 제어를 위한 값들을 단문 메시지 작성 시 일일이 입력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해당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기기 중 하나를 선택하고, 각 해당기기의 특성에 맞는 제어를 위한 값들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기기를 대표하는 제어값과 기기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기억하거나, 이와 같은 제어값이 적힌 페이퍼(Paper)를 보고 일일이 단문 메시지에 입력해야만 한다. 즉, 다양한 종류의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서는 각 기기마다 고유한 제어 값들을 사용자가 미리 기억해서 많은 기기마다 제어 내용을 정확하게 입력해야 하는데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홈 기기를 제어하였다고 하더라도 변경된 상태에 대한 결과를 알 수 없어 제대로 제어가 되었는지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할 시 사용자가 일일이 제어코드를 단문 메시지 내용으로 입력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무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기기 제어 시 화면에 제어 가능한 무선 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에 해당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입력하지 않고 표시된 무선 기기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해당 무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미리 저장된 접속 요청 제어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서버가 상기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결된 홈 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홈 기기 상태를 해당하는 제어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미리 저장된 접속 요청 제어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홈 서버로 전송하고,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한 후 확인된 상기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결된 홈 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홈 기기 상태를 해당하는 제어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홈 기기 종류를 나타내는 제1 제어 코드들과, 홈 기기가 위치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제어 코드들과, 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3 제어 코 드들로 구성되는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에 의해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미리 저장된 접속 요청 제어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의 내용으로 일일이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 단말기에서 홈 기기 제어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홈 기기 제어를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제어하고자 하는 홈기기 및 홈기기 상태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SMS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100)와, 홈 기기들(120)을 제어하는 홈 서버(110)를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100)와 홈 서버(110)는 기지국(102, 108)과 이동 통신망(104)을 통해 통신한다. 또한, SMS를 제공하는 SMS 서버(106)를 포함한다. 또한, 홈 기기들(120)의 예로는 실내 전등(120-1), 가 스 벨브(120-2), 감시 카메라(120-3), 디지털 도어락(120-4), 온도 조절기(120-5), 자동 커튼(120-6)과 같은 전자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홈 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기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먼저, 무선부(202)는 제어부(200)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메모리부(204)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20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기기 제어 및 홈 기기 상태를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 테이블은 도 5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테이블은 (a)와 같이 각각의 홈 기기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들과, (b)와 같이 홈 기기가 위치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들과, (c)와 같이 홈 기기의 상태를 온(ON), 오프(OFF)로 나타내기 위한 제어 코드들로 구성되는 테이블이다. 도 5에서는 상태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를 홈 기기의 상태를 온/오프로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예를 들었지만, 만약 온 도 조절과 같이 온/오프로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는 제어 코드를 더 추가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홈 서버(110)에 접속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 및 홈 서버 아이디(ID : Identify), 홈 서버(110)로의 접속 요청임을 나타내는 접속 코드를 미리 저장한다. 또한, 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은 미리 저장한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모든 제어 코드들 중 각각의 홈 기기 종류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이때 각각의 홈 기기 종류에 대한 이미지는 상태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홈 기기 종류 중 전등 이미지는 상태가 “온”인 경우와 “오프”인 경우 두 가지 전등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때, 이미지 파일은 이동 단말기에 미리 저장할 수도 있고, 홈 서버(110)로 최초 접속 시 홈 서버(11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이미지 파일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러한 이미지 파일은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임을 가정한다.
제어부(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홈 기기 제어를 위한 홈 서버(110) 접속 요청이 있으면, 접속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홈 서버(110)로의 접속을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홈 기기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 코드와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를 메모리부(204)에서 읽어 접속 코드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 선택만으로 이동 단말기(100)로 홈 서버(110)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는 단문 메시지의 내용은 이동 단말기(100)의 표시부(208)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200)는 홈 서버(110)로부터 단문 메시지 수신 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데이터 테이블과 비교 확인함으로써 다수의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해당 아이콘 형태로 표시부(208)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208)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 특정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홈기기 상태 제어를 위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특정 홈 기기 상태 제어를 위한 입력은 표시부(208)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 홈 기기 상태의 아이콘을 한번 클릭하면 해당 홈 기기 상태가 온(ON)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입력으로 인지하고, 홈 기기 상태가 온 상태에서 다시 한번 클릭하면 해당 홈 기기 상태가 오프(Off)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입력으로 인지한다. 즉, 해당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방식을 토글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제어코드는 메모리부(204)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합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큰방 위치한 전등을 오프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을 나타내는 제어 코드인 “A”와 큰방 위치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인 “0”과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0”을 조합한 “AOO”의 제어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큰방 위치한 전등을 오프 상태로, 작은방의 전등을 온 상태로, 부엌에 위치한 가스 밸브를 오프 상태로, 커튼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제어 코드는 “AOOA11B71F00”로 조합되고 이 와 같이 조합된 제어 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는 접속 코드와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 상기와 같이 조합된 제어 코드를 포함한다.
키입력부(206)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각종 기능(예컨대 카메라, 스피커 볼륨조절)키 및 통화 또는 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한다.
표시부(208)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성처리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이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홈 서버(110)로의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 또는 홈기기 상태 제어를 위한 단문 메시지 수신 시 해당 홈 기기의 상태 정보 제공 및 해당 홈 기기의 제어를 위한 홈 서버(11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서버(110)의 내부 구성도이다.
먼저, 홈 서버 무선부(302)는 홈 서버 제어부(300)에서 발생한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무선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홈 서버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메모리부(306)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306)는 단문 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30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기기 제어 및 홈 기기 상태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한다. 메모리부(306)에 저장되는 데이터 테이블은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부(204)에 저장되는 데이터 테이블과 동일한 데이터 테이블이 저장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를 인증하기 위한 패스워드와 접속 요청임을 나타내는 접속 코드 및 이동 단말기 아이디(ID : Identify)를 저장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홈 서버(110)로 최초 접속 시 제공하기 위한 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은 저장할 수도 있다.
홈 서버 제어부(300)는 홈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홈 서버 제어부(300)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메시지인지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인지를 확인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메시지인지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홈 서버 제어부(300)는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코드를 확인하는데,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메시지인 경우에는 접속 요청 코드를 포함하고 있고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인 경우에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홈 서버에 접속 요청을 위한 접속 요청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홈 서버 제어부(300)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홈 서버 제어부(30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임을 인지하면,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와 미리 저장한 사용자 아이디를 비교하고 동일하면 해당 단말기를 인증한 후 인터페이스((308)를 통해 연결된 홈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홈 서버 제어부(300)는 홈 기기의 위치, 홈 기기의 종류, 홈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도 5의 데이터 테이블의 해당 제어코드를 조합하여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홈 서버 제어부(300)는 이동 단말기가 최초 접속 요청인 경우에는 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은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만약,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MMS : Multimedia media service)에 홈 기기 상태 정보와 이미지 파일을 포함시켜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제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인 제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홈 서버 제어부(300)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홈 서버 제어부(30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임을 인지하면,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의 상태를 제어한다. 이후, 홈 서버 제어부(300)는 변경된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단문 메시지는 제어한 홈 기기의 상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현재 모든 홈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홈 서버 제어부(300)는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해당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308)는 홈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싱을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의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100)와 홈 서버(110)간의 신호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400단계에서 홈 서버 등록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홈 서버 등록을 위해 홈 서버(110)에 접속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 및 홈 서버 아이디(ID : Identify)를 키 입력부(206)를 통해 입력하여 메모리부(204)에 미리 저장한다. 또한, 홈 서버(110)는 410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등록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등록을 위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와 이동 단말기 아이디(ID : Identify)를 메모리부(306)에 저장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의 아이디로는 ESN을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4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홈 서버(110)로의 접속 요청이 있으면 403단계로 진행하여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404단계에서 해당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때, 생성되는 단문 메시지는 미리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접속 코드, 단말기의 아이디,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홈 서버 접속 요청에 따른 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홈 서버(110)는 405단계에서 단문 메시지에 접속 요청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후, 만약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홈 서버에 접속 요청을 위한 접속 요청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4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인증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수신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407단계에서 홈 서버(110)는 사용자 인증 동작 수행을 위해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와 미리 저장한 사용자 아이디를 비교하고 동일하면 이동 단말기(100)를 인증한 후 4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8단계 이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가 인증되지 않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거나,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폐기시킨다.
408단계에서 홈 서버(110)는 현재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홈 서버(110)는 홈 기기의 위치, 홈 기기의 종류, 홈 기기의 상태를 확인하여 도 5의 데이터 테이블의 해당 제어코드를 조합하여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홈 서버(110)가 현재 큰방에 전등은 꺼져있고, 작은방에 전등은 켜있고, 부엌에 가스밸브는 켜있고, 거실의 커튼이 닫혀져 있다고 확인되면, 도 5의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어코드 “A00A11B71F40”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이후, 홈 서버(110)는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409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408단계에서 홈 서버(110)는 이동 단말기(100)가 최초 접속인 경우에는 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은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만약,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MMS : Multimedia media service)에 홈 기기 상태 정보와 이미지 파일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100)는 410단계에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411단계로 진행하여 홈 기기 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홈 기기 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408단계에서의 예와 같은 제어 코드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홈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인 “A00A11B71F40”를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과 비교 확인하여 큰방에 전등은 꺼져있고, 작은방에 전등은 켜있고, 부엌에 가스밸브는 켜있고, 거실의 커튼이 닫혀져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 파일 즉 아이콘이 홈 서버(110)로부터 409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 후,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저장된 이미지 파일 중 해당 하는 이미지인 아이콘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41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홈 기기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413단계로 진행하여 홈 기기 상태 제어를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큰방에 전등은 꺼져있고, 작은방에 전등은 켜있고, 부엌에 가스밸브는 켜있고, 거실의 커튼이 닫혀져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엌의 가스밸브를 잠그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 코드“B70”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 후 414단계에서 해당 홈 서버(110)로 전송한다.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홈 서버(110)는 415단계에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의 상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코드“B70”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부엌의 가스밸브를 잠그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임을 확인한 후 부엌의 가스밸브를 잠그도록 제어한다. 이후, 홈 서버(110)는 416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됨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단문 메시지는 415단계에서 제어한 홈 기기의 상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현재 모든 홈 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홈 서버(110)는 416단계에서 생성된 단문 메시지를 417단계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100)는 418단계에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들 확인하여 변경된 홈 기기 상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홈 기기를 제어하는 중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홈 서버(110)로 접속 요청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a)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접속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홈 서버(110)로 전송하고 홈 서버(110)로부터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까지는 (b)와 같이 홈 서버(110)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홈 기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가 홈 서버(110)로부터 수신되면, (c)의 화면과 같이 홈 기기별로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를 보고 해당 홈 기기를 제어를 할 것인지 홈 기기의 위치 별 즉 방 별로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를 보고 해당 홈 기기를 제어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기기별 제어를 위한 입력이 있으면 이동 단말기(100)는 홈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의 상태 정보를 이미지로 (d)의 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d)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1.전등”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e)와 같이 전등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확인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위치별 제어를 위한 입력이 있으면 이동 단말기(100)는 홈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의 위치 정보를 이미지로 (f)의 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f)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4.큰방” 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g)와 같이 큰방에 설치되어 홈 기기들을 확인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대상을 홈 기기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홈 서버와 같은 게이트 웨이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홈 기기 제어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를 구현하여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홈 기기 제어를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제어하고자 하는 홈기기 및 홈기기 상태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일이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단문 메시지의 내용으로 입력하지 않고도 화면에 표시된 홈 기기 제어를 위한 메뉴 항목 선택을 통해서 직관적으로 홈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홈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홈 서버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홈 서버로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홈 서버가 상기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해 연결된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여 확인된 홈 기기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통해 상기 홈 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들 중 소정의 이미지 선택과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상태 변경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홈 기기의 상태를 상기 변경된 이미지의 상태와 같은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가 상기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의 상태를 제어한 후, 변경된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변경된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홈 기기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은 저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확인된 상기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수행 시 이동 단말기는 상기 확인된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상기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서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는 홈 기기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와 홈 기기가 위치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가 상기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최초 접속 요청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최초 접속 요청인 경우에 상기 홈 서버가 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과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홈 서버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홈 서버로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통해 상기 홈 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하여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들 중 소정의 이미지 선택과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상태 변경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홈기기의 상태를 상기 변경된 이미지의 상태와 같은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해 연결된 홈 기기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가 상기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의 상태를 제어한 후, 변경된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변경된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가 상기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의 상태를 제어한 후, 현재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은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확인된 상기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 수행 시 상기 확인된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상기 저장된 이미지 파일에서 독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는 홈 기기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와 홈 기기가 위치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12. 삭제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최초 접속 요청이면,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과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 함하는 멀티 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14.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 및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와 무선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기기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홈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홈 서버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홈 서버로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고,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코드를 통해 상기 홈 기기들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들 중 소정의 이미지 선택과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상태 변경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홈기기의 상태를 상기 변경된 이미지의 상태와 같은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 후 상기 홈 서버로부터 변경된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는 홈 기기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와 홈 기기가 위치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코드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홈 서버로 접속 요청을 위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홈 서버 접속 요청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미리 저장된 접속 요청 제어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가 상기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홈 기기의 상태를 제어한 후, 현재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시킨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현재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홈 기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 후 상기 홈 서버로부터 현재 홈 기기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변경된 홈 기기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홈 기기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KR1020060017774A 2006-02-23 2006-02-23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KR10079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774A KR100790173B1 (ko) 2006-02-23 2006-02-23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US11/582,691 US7778654B2 (en) 2006-02-23 2006-10-17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appliances using short message service, home network system and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774A KR100790173B1 (ko) 2006-02-23 2006-02-23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02A KR20070087402A (ko) 2007-08-28
KR100790173B1 true KR100790173B1 (ko) 2008-01-02

Family

ID=3842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774A KR100790173B1 (ko) 2006-02-23 2006-02-23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78654B2 (ko)
KR (1) KR100790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8108B2 (en) 2009-10-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KR101925809B1 (ko) 2017-04-14 2018-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2065B2 (en) 2007-06-12 2023-02-1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US11811845B2 (en) 2004-03-16 2023-11-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1343380B2 (en) 2004-03-16 2022-05-2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automation
US11368429B2 (en) 2004-03-16 2022-06-21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ontrol
US7711796B2 (en) 2006-06-12 2010-05-04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10142392B2 (en) 2007-01-24 2018-11-27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US20160065414A1 (en) 2013-06-27 2016-03-03 Ken Sundermeyer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244545B2 (en) 2004-03-16 2022-02-0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11677577B2 (en) 2004-03-16 2023-06-13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11916870B2 (en) 2004-03-16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WO2005091218A2 (en) 2004-03-16 2005-09-29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system
US10156959B2 (en) 2005-03-16 2018-12-1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11316958B2 (en) 2008-08-11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20170118037A1 (en) 2008-08-11 2017-04-27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for premises automation
US10237237B2 (en) 2007-06-12 2019-03-1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9729342B2 (en) 2010-12-20 2017-08-08 Icontrol Networks, Inc. Defining and implementing sensor triggered response rules
US10522026B2 (en) 2008-08-11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
US11201755B2 (en) 2004-03-16 2021-12-1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20090077623A1 (en) 2005-03-16 2009-03-19 Marc Baum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1190578B2 (en) 2008-08-11 2021-11-30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0721087B2 (en) * 2005-03-16 2020-07-21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for networked touchscreen with integrated interfaces
US10339791B2 (en) 2007-06-12 2019-07-02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1277465B2 (en) 2004-03-16 2022-03-15 Icontrol Networks, Inc. Generating risk profile using data of hom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US9141276B2 (en) 2005-03-16 2015-09-22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US11489812B2 (en) 2004-03-16 2022-11-01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20170180198A1 (en) 2008-08-11 2017-06-22 Marc Baum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US10999254B2 (en) 2005-03-16 2021-05-0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 for data routing in networks
US20120324566A1 (en) 2005-03-16 2012-12-20 Marc Baum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1700142B2 (en) 2005-03-16 2023-07-11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1496568B2 (en) 2005-03-16 2022-11-08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11615697B2 (en) 2005-03-16 2023-03-28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10128378A1 (en) 2005-03-16 2011-06-02 Reza Raji Modular Electronic Display Platform
US10079839B1 (en) 2007-06-12 2018-09-18 Icontrol Networks, Inc. Activation of gateway device
US11706279B2 (en) 2007-01-24 2023-07-1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communication
ATE447304T1 (de) * 2007-02-27 2009-11-15 Lucent Technologies Inc Drahtloses kommunikations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mittels sicherheitsvorrichtung gewährten zugangs
US7633385B2 (en) 2007-02-28 2009-12-15 Ucontro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an alarm system from a remote server
US8451986B2 (en) 2007-04-23 2013-05-2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lternate network access for telecommunications
US11218878B2 (en) 2007-06-12 2022-01-04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601810B2 (en) 2007-06-12 2023-03-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523689B2 (en) 2007-06-12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1423756B2 (en) 2007-06-12 2022-08-2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37714B2 (en) 2007-06-12 2022-02-01 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316753B2 (en) 2007-06-12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12192B2 (en) 2007-06-12 2021-12-28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646907B2 (en) 2007-06-12 2023-05-0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223903B2 (en) 2010-09-28 2019-03-0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11831462B2 (en) 2007-08-24 2023-11-28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in premises management systems
US8831674B2 (en) * 2007-09-27 2014-09-09 Multi-Tech Systems, Inc. Message server
US20090160694A1 (en) * 2007-12-20 2009-06-25 Cristiano Di Flora Interaction with autonomous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WO2009088902A2 (en) * 2007-12-31 2009-07-16 Schlage Lock Company Mesh network security system gateway and method
US11916928B2 (en) 2008-01-24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170185278A1 (en) 2008-08-11 2017-06-29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US11258625B2 (en) 2008-08-11 2022-02-22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11758026B2 (en) 2008-08-11 2023-09-12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729255B2 (en) 2008-08-11 2023-08-1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792036B2 (en) 2008-08-11 2023-10-17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WO2010070670A2 (en) * 2008-11-20 2010-06-24 Bipin Pradeep Kumar Gui based information access, web search and browsing over sms
US8638211B2 (en) 2009-04-30 2014-01-28 Icontrol Networks, Inc. Configurable controller and interface for home SMA, phone and multimedia
US8626344B2 (en) 2009-08-21 2014-01-07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1021884A2 (en) * 2009-08-21 201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contact item information, user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9209652B2 (en) 2009-08-21 2015-12-08 Allure Energy, Inc. Mobile device with scalable map interface for zone based energy management
US8498749B2 (en) 2009-08-21 2013-07-30 Allure Energy, Inc. Method for zone 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scalable map interface
US9838255B2 (en) 2009-08-21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mand response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proximity control
US8612636B2 (en) * 2009-08-21 2013-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 using interaction activity information
RU2500087C2 (ru) 2009-08-21 2013-11-27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л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тносительно интерактивных операций
US9020432B2 (en) * 2009-11-30 2015-04-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program
CN101794501A (zh) * 2010-01-21 2010-08-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家电进行远程控制的方法和无线上网卡
US8621219B2 (en) * 2010-04-21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lural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RU2544824C2 (ru) * 2010-05-17 2015-03-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ы быт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их в действие
CN102271313B (zh) * 2010-06-04 2014-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通讯网络的远程家电控制系统及方法
US8732753B2 (en) * 2010-06-07 2014-05-20 Guest Tek Interactive Entertainment Ltd. Method of operating one or more controllable devices in dependence upon command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and system controller thereof
CN101895843B (zh) * 2010-06-09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公话网管短消息校验的方法及装置
NL2004930C2 (en) * 2010-06-21 2011-12-22 Sioux Solutions Group B V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mobile user equipment.
US8667100B2 (en) 2010-07-07 2014-03-04 Comcast Interactive Media, Llc Device communication, monitoring and control architecture and method
US8836467B1 (en) 2010-09-28 2014-09-16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reporting of account and sensor zone information to a central station
US9047759B2 (en) 2010-11-25 2015-06-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device
US9252966B2 (en) 2010-12-08 2016-02-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instrumentation devices
US11750414B2 (en) 2010-12-16 2023-09-05 Icontrol Networks, Inc. Bidirectional security sensor communication for a premises security system
US9147337B2 (en) 2010-12-17 2015-09-29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security event data
US20120167869A1 (en) * 2011-01-05 2012-07-05 Grand Mate Co., Lt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gas appliance and the remote control system
EP2487870B1 (en) * 2011-02-11 2013-07-31 Alcatel Lucent Method for naming sensor devices in a local network, service gateway and remote management server
KR101827830B1 (ko) * 2011-02-24 2018-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기기, 전기기기 관리 시스템 및 전기기기의 제어 방법
WO2013002034A1 (ja) * 2011-06-30 2013-01-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住宅設備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用サーバ
KR101300272B1 (ko) * 2011-08-10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052946A1 (en) * 2011-08-23 2013-02-28 Manjirnath Chatterjee Home automation using a mobile device
CA2847360C (en) 2011-08-30 2020-03-24 Allure Energy, Inc. Resource manager,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for smart energy and media resources
DE102012200714A1 (de) * 2012-01-19 2013-07-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Datenkommunikation zwischen einem Haushaltsgerät und einem Benutzerendgerät, Haushaltsgerät und System mit einem Haushaltsgerät und einem Benutzerendgerät
CN102651915B (zh) * 2012-05-11 2015-06-03 卢泳 一种无线智能路由器及无线通信系统
US9882915B2 (en) * 2012-08-07 2018-0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evice control method, device control system
US9762561B2 (en) 2012-10-31 2017-09-12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tunneling of management traffic
USD745875S1 (en) * 2012-12-13 2015-12-22 Symantec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079274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716530B2 (en) 2013-01-07 2017-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utom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JP5529358B1 (ja) 2013-02-20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SG2014010086A (en) 2013-02-20 2015-02-27 Panasonic Ip Corp America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EP2961189B1 (en) * 2013-02-20 2019-0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MY181880A (en) 2013-02-20 2021-01-12 Panasonic Ip Corp America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20140245160A1 (en) * 2013-02-22 2014-08-28 Ubiquiti Networks, Inc. Mobile application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devices
US10063499B2 (en) 2013-03-07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cloud based communication platform for an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9531704B2 (en) 2013-06-25 2016-12-27 Google Inc. Efficient network layer for IPv6 protocol
US9191209B2 (en) 2013-06-25 2015-11-17 Google Inc. Efficient communication for devices of a home network
KR20150008996A (ko) * 2013-07-04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31092B1 (ko) 2013-09-05 2021-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장치
US10120532B2 (en) 2014-01-06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KR102077223B1 (ko) * 2013-10-11 2020-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6512B1 (ko) * 2013-10-18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
US10135628B2 (en) 2014-01-06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device,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environments using network devices and remote sensory information
EP3092750B1 (en) 2014-01-06 2020-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device,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environments using network devices and remote sensory information
US11146637B2 (en) 2014-03-03 2021-10-1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US11405463B2 (en) 2014-03-03 2022-08-0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KR101729329B1 (ko) * 2014-08-07 2017-04-25 주식회사 경동원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6021936A1 (ko) * 2014-08-07 2016-02-11 주식회사 경동원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407592B (zh) 2014-11-27 2018-11-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调整智能家居设备运行状态的方法及装置
CN104363154B (zh) * 2014-11-27 2018-12-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及装置
US10091015B2 (en) * 2014-12-16 2018-10-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3D mapping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CN105100082A (zh) * 2015-07-02 2015-11-2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云终端接入家庭云系统的方法、系统及云接入控制设备
US20170063568A1 (en) * 2015-08-31 2017-03-02 Grand Mate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Electric Appliances
CN105160854B (zh) * 2015-09-16 2019-0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9742581B2 (en) 2015-12-18 2017-08-22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network with messaging
CN105388779A (zh) * 2015-12-25 2016-03-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7172002B (zh) * 2016-03-07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控制应用终端的网络连接的方法和装置
WO2017183203A1 (ja) * 2016-04-22 2017-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情報出力システム、運転模擬システム及び操作情報出力方法
BR102018075196A2 (pt) * 2018-12-05 2020-06-16 Electrolux Do Brasil S/A Método para controlar o funcionamento de dois ou mais aparelhos eletrodomésticos inteligen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545B1 (ko) 2002-03-15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41743B1 (ko) 2001-10-23 2004-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21695A (ko) * 2003-08-25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기기 제어방법
KR20060080968A (ko) * 2005-01-06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1967A (en) * 1998-05-04 2000-09-19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dia bays in a computer system
CN1411259A (zh) * 2001-09-21 2003-04-16 国际商业机器公司 基于无线消息业务的远程控制系统和方法
US20030140062A1 (en) * 2002-01-24 2003-07-24 R & B 21 Card management system and server
JP2003296205A (ja) * 2002-04-04 2003-10-17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構成機器特定方法及びその実施システム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43B1 (ko) 2001-10-23 2004-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가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4545B1 (ko) 2002-03-15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21695A (ko) * 2003-08-25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기기 제어방법
KR20060080968A (ko) * 2005-01-06 200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8108B2 (en) 2009-10-30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KR101925809B1 (ko) 2017-04-14 2018-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7402A (ko) 2007-08-28
US20070197236A1 (en) 2007-08-23
US7778654B2 (en)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173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방법과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US11698846B2 (en) Accessory communication control
US11277278B2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000727B1 (en) Optical image processing for accessing building control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U2016361086A1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0557307B (zh) 用于附件控制的计算设备、方法和介质
CN108829481A (zh) 基于控制电子设备的遥控器界面的呈现方法
CN105430642B (zh) 文件传输方法及装置
CN104891283A (zh) 一种卡密结合的电梯控制系统
KR20120080398A (ko)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
KR20110134774A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무선전화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07645B1 (ko)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182273B1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JP200927826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879218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74792B1 (ko) 홈 네트워킹 출입문 점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EP204307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mobile terminal and consumer electronics device
KR200489318Y1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하기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KR101292116B1 (ko)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0172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홈 뷰어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9210616A1 (zh) 终端设备中模式切换的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050063173A (ko) 위치에 따라 비밀번호가 가변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제어 방법, 이를 위한 위치기반 가변 비밀번호 설정 시스템
KR20170049486A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48725A (ko) 가스 밸브를 원격으로 차단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제어 서버 및 이동 단말기
JP2006174116A (ja) 遠隔見守り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宅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