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329B1 -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329B1
KR101729329B1 KR1020150108980A KR20150108980A KR101729329B1 KR 101729329 B1 KR101729329 B1 KR 101729329B1 KR 1020150108980 A KR1020150108980 A KR 1020150108980A KR 20150108980 A KR20150108980 A KR 20150108980A KR 101729329 B1 KR101729329 B1 KR 101729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home automation
server
automation device
s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054A (ko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to PCT/KR2015/0082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21936A1/ko
Publication of KR2016001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51/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넷상의 SNS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SNS서버로부터 상기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부터 상기 통합관리서버의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근거로 코멘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SNS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통합관리서버; 상기 SNS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SNS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상용의 SNS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형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SNS서버와 연동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통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손쉽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home automation device remote control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home automation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and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로 SNS서버에 접속하여 입력된 대화형 명령으로 홈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은 집안의 조명, 냉난방, 방재, 방범, 오락 및 통신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제어함으로써, 가정을 안락하고, 안전하며, 편리하게 해주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여 인간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최근 들어,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시장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가정용 기기들을 저렴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무선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홈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 인터넷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서비스 중 대표적인 것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 함)인데, SNS란 사회적 관계 개념을 인터넷 공간으로 가져온 것으로,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 맺기를 통해 네트워크 형성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SNS가 널리 확산됨에 따라 SNS서버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접속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SNS서버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제어 시스템은,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되는 SNS서버에 의존하고 있어서, 오직 SNS서버를 통하여 제어 서비스가 이루어짐에 따라, SNS서버에 문제 발생시,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 유실 및 제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데이터 유실 및 제어 오류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불분명하여 체계적인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힘들다.
또한, 기존의 SNS 서버를 이용한 제어 서비스 제공 시, SNS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외에도 별도의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원격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따라 여러 화면을 이동해야 하며, 복잡한 기계 명령어 등 원격 제어할 기기에 대한 제품의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해야 하며, 기기 연결 절차가 까다로운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단말기로 SNS서버에 접속하여 대화형 명령으로 홈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대한 기기정보 및 기기별 원격 제어 수행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DB서버를 통하여 원격 제어되는 기기를 관리하며,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는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넷상의 SNS서버에 연결되는 SNS서버로부터 상기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홈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부터 상기 통합관리서버의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신호를 근거로 코멘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SNS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SNS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텍스트 형태의 명령신호를 상기 SNS서버에 접속하여 전달받고, 명령처리부에서 생성하는 코멘트정보를 상기 SNS서버로 전송하는 SNS연동부; 상기 명령신호에 포함된 자연어로 된 명령 텍스트를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부터 제공받아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코멘트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처리부;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전송하여 해당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기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해당 기기의 기기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고, DB서버에 상기 기기정보를 저장하여 제어 대상의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등록하는 기기등록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단말정보와, SNS서버에 가입된 회원정보를 상기 SNS서버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DB서버에 상기 단말정보 및 회원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는 단말등록부; 상기 기기정보에 따라 해당 기기의 원격제어신호 및 응답신호를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기기정보관리부;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넷상의 SNS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SNS서버로부터 상기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부터 상기 통합관리서버의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근거로 코멘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SNS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통합관리서버; 상기 SNS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SNS서버로부터 상기 명령신호를 전송받고, 해당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명령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원격 제어된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응답신호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를 통하여 제공받아 응답신호를 근거로 코멘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코멘트 정보를 상기 SNS서버로 전송하는 자연어처리서버; 상기 자연어처리서버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자연어처리서버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해당 명령에 대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응답신호를 근거로 코멘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코멘트정보를 전송하는 SNS서버; 상기 SNS서버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응답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SNS서버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 수신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되어, 기 원격 제어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기정보, 원격제어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요청하여 전송받아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 및 기기 오류 상태를 확인하는 원격진단서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SNS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입력된 대화형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명령신호에 포함된 자연어로 된 명령 텍스트를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을 포함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응답신호를 전송받아 응답신호를 근거로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코멘트 정보를 생성하는 자연어처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은,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SNS서버와 연결되는 통합관리서버를 구비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NS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명령신호를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는 전송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해당 명령에 따라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홈오토메이션기기는 상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전송받은 상기 응답신호를 근거로 코멘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SNS서버에 상기 코멘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SNS서버는 상기 코멘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기기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단계;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기정보를 해당 기기별로 등록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의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단말정보와, 상기 SNS서버의 가입된 회원정보를 상기 SNS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해당 단말별로 상기 단말정보와 회원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 및 기기 오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원격진단서버는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제어받은 해당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기정보, 원격제어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요청된 기기정보, 원격제어신호 및 응답신호를 상기 원격진단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에 SNS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상용의 SNS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형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SNS서버와 연동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통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손쉽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홈오토메이션 기기에 대한 정보를 DB서버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고, 전송 오류의 원인을 파악하기 쉬우며, 주기적으로 통합관리서버와 원격진단서버를 통하여 기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대화형 SNS 서버에서 자연어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통합관리서버 내에서 자연어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자연어처리서버를 통하여 자연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SNS 서버와 연동만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SNS서비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고, 쉽고 빠르게 제약없는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순서적으로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서 통합관리서버의 코멘트정보 전송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사용자단말기의 SNS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명령신호 및 코멘트정보를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0), 인터넷(200), SNS서버(300), 통합관리서버(400), DB서버(500), 원격진단서버(600),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100)는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원격 제어를 위한 대화형 명령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00)는 SNS 어플리케이션으로 SNS서버(300)에 접속하여 입력된 대화형 명령신호를 인터넷(200)을 통하여 SNS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대화형 명령신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자연어로 된 텍스트(TEXT)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단말기(100)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 홈오토메이션 기기(700)가 오프 또는 대기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전원을 온하거나 대기 모드인 홈오토메이션 기기(700)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전원 온/오프 또는 대기 모드에 대한 기기 체크 정보가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응답을 통합관리서버(400)를 통하여 텍스트 형태로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데스크톱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패블릿(Phable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가 특정 단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SNS 어플리케이션은 SNS 기능이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상용의 SNS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SNS서버(300)가 통합관리서버(400)와 연동됨으로써,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원격 제어 기능을 더 추가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SNS 어플리케이션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할 대상인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제어 명령을 텍스트 형태로 SNS 창에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해당 명령신호는 SNS서버(300)를 경유하여 통합관리서버(400)로 전송됨에 따라 해당 명령의 원격 제어가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에서 이루어지고, 원격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를 통합관리서버(400) 및 SNS서버(300)를 통하여 SNS 어플리케이션의 SNS 창에 텍스트 형태로 전송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SNS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상용의 SN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인터넷(200)은 표준 인터넷(200) 프로토콜 집합(TCP/IP)을 사용해 사용자들에게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등을 통해 정보 자원을 제공하는 네크워크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SNS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200)을 통하여 SNS서버(300)에 접속하며,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대화형 명령인 명령신호를 SNS서버(300)로 전송하며, 명령신호에 대응하는 통합관리서버(400)의 코멘트정보를 SNS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한다.
SNS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0)와 통합관리서버(400)를 연계하기 위해 구비된다. SNS서버(300)는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대화형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통합관리서버(400)로 전송하고,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명령신호에 대한 원격 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에 대한 코멘트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코멘트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코멘트 정보는 SNS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원격 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에 대하여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자연어로 처리된 텍스트 형태의 원격 제어 결과에 대한 코멘트에 해당한다.
도 7에 사용자단말기(100)의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명령신호 및 코멘트정보에 대한 예시 화면을 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명령신호는 '온도 30도 올려'에 해당하고, 코멘트정보는 '온도 30도 정상 올렸습니다.'에 해당한다.
통합관리서버(400)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에 대한 기기 정보를 DB서버(500)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사용자단말기(100)에 대한 단말정보 및 회원정보를 SNS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단말기(100)를 인증할 수 있으며, 인증된 사용자단말기(100)로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원격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게 홈네트워크상에 구축될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400)는 구체적으로 SNS서버(300)에서 수신된 명령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에 생성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한 해당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로부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응답신호를 근거로 상기 SNS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기 위한 코멘트정보를 생성하여 SNS서버(300)로 전송한다.
DB서버(500)는 통합관리서버(400) 내에 구축되어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기기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며, 사용자단말기(100) 등록을 위하여 SNS서버(3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0)의 단말정보와 회원가입 승인된 회원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DB서버(5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명령신호를 전송받은 통합관리서버(400)가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의 등록 여부(인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기저장된 단말정보 또는 회원정보 요청시 이를 제공함으로써, 통합관리서버(400)가 기등록된 사용자단말기(100)에 한하여 해당 명령신호에 대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나아가, DB서버(500)는 통합관리서버(400)의 기기별 명령신호, 원격제어신호,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응답신호 및 코멘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으며, 원격진단서버(600)에서 기저장된 데이터 제공 요청시, 통합관리서버(400)의 제어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는 홈 네트워크상에서 통합관리서버(400)에 연결될 수 있는 홈 주변기기로서, 예컨대 월패드, 보일러, 가스밸브, 냉장고, 전등, 룸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는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원격 제어 수행 결과로서,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생성되는 응답신호에는 기기 작동에 따른 기기 상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원격진단서버(600)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원격 제어시 정상적인 원격 제어 수행 결과 및 기기의 작동 유무 판단을 위하여 구축될 수 있다. 원격진단서버(600)는 통합관리서버(400)에 접속되어,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원격 제어 결과 및 기기 오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원격 제어받은 해당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기기정보, 명령신호, 원격제어신호, 응답신호 또는 코멘트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해당 기기의 기기정보, 명령신호, 원격제어신호, 응답신호 또는 코멘트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응답신호에는 원격 제어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정상 작동 유무를 알 수 있는 기기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통합관리서버(4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통합관리서버(400)는 기기등록부(410), 단말등록부(420), SNS연동부(430), 명령처리부(440), 기기제어부(450), 기기정보관리부(460), 전송이력관리부(470)를 더 포함한다.
기기등록부(410)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에 해당 기기의 기기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고, 상기 통합관리서버(400)의 DB서버(500)에 상기 기기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를 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등록부(42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의 단말정보 및, SNS서버(300)의 가입 처리된 회원정보를 상기 SNS서버(300)로부터 전송받고, DB서버(500)에 단말정보 및 회원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단말기를 등록한다.
SNS연동부(430)는 SNS서버(300)에 접속된 사용자단말기(100)로 입력된 텍스트 형태의 명령신호를 전달받고, 명령처리부(440)로부터 생성된 코멘트정보를 SNS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명령처리부(440)는 수신된 명령신호에 포함된 자연어로 된 명령 텍스트를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대응하는 기계어로 된 원격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생성한다.
또한 명령처리부(440)는 원격 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로부터 제공받아 SNS서버(300)에 전송할 자연어로 된 코멘트 정보를 생성한다.
기기제어부(450)는 해당 기기의 원격제어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에 전송하여 해당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기기정보관리부(460)는 기기정보에 따라 해당 기기별로 명령신호, 원격제어신호, 응답신호, 코멘트정보를 상기 DB서버(5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원격진단서버로부터 요청시 해당 기기정보별로 저장된 기기정보, 명령신호, 원격제어신호, 응답신호 또는 코멘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전송이력관리부(470)는 통합관리서버(400)에 송수신되는 신호 또는 정보의 송수신 상태에 대한 로그정보를 생성하여 DB서버(500)에 저장한다. 통합관리서버(400)는 로그정보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신호 또는 정보(예컨대, 명령신호, 원격제어신호, 응답신호, 코멘트정보 등)의 전송 오류를 체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100), 인터넷(200), SNS서버(300), 통합관리서버(400), DB서버(500), 원격진단서버(600),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 자연어처리서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기(100), 인터넷(200), DB서버(500), 원격진단서버(600),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는 도 1의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연어처리서버(800)는 SNS서버(300)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자연어로 된 명령신호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해당 명령에 대응하는 기계어로 된 원격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통합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자연어처리서버(800)는 통합관리서버(400)에 의해 원격제어를 받은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기계어로 된 원격 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를 통합관리서버(400)를 통하여 제공받아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코멘트 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코멘트 정보를 SNS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응답신호를 근거로 코멘트 정보 변환시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따라 원격 제어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응답신호에 포함된 파라미터값(예컨대 온도 변화값, 습도변화값, 모드 변경값 등)을 근거로 코멘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코멘트 정보에는 원격 제어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파라미터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시적 표현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자연어처리서버(800)는 SNS서버(300) 또는 통합관리서버(400) 내에 설치되거나 인터넷(200)을 통하여 연결된 별도의 서버로 구축될 수 있다.
SNS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대화형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자연어처리서버(800)로 전송하고, 자연어처리서버(800)로부터 코멘트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여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관리서버(400)는 자연어처리서버(8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하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공받아 자연어처리서버(8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기(100), 인터넷(200), DB서버(500), 원격진단서버(600),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는 도 1의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NS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입력된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명령신호에 포함된 자연어로 된 명령 텍스트를 분석하고, 텍스트에 해당하는 명령을 기계어로 된 원격제어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자연어처리모듈(3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자연어처리모듈(310)은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에 따른 원격 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를 제공받아 자연어 변환 알고리즘에 의해 자연어로 된 코멘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코멘트 정보는 사용자단말기(100)의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로 단말기 화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SNS서버(300)는 자연어처리모듈(310)에 의해 변환된 원격제어신호를 통합관리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응답신호를 근거로 코멘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합관리서버(400)는 SNS서버(3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전송받아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로 전달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원격 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를 전송받아 SNS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순서적으로 보인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은 인터넷(200)을 통하여 SNS서버(300)에 접속하는 사용자단말기(100)를 구비함과 아울러, SNS서버(300)와 연동하는 통합관리서버(400)를 구비한다.
먼저, 통합관리서버(400)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에 해당 기기별로 기기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다(S10, S12).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기기정보를 해당 기기별로 등록하고, 통합관리서버(400)의 DB서버(500)에 저장한다(S14).
한편, SNS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단말정보와 회원정보를 제공받아 회원 가입하여 등록할 수 있다(S16, S18).
통합관리서버(400)는 사용자단말기(100)의 단말정보와, SNS서버(300)의 가입 처리된 회원정보를 SNS서버(300)로부터 전송받는다(S20).
통합관리서버(400)는 사용자단말기(100)의 해당 단말별로 단말정보와 회원정보를 등록하고, DB서버(500)에 저장한다(S22).
이후, 사용자단말기(100)는 SNS서버(300)에 접속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SNS서버(300)로 전송한다(S24).
SNS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명령신호를 상기 통합관리서버(400)에 전송한다(S26).
통합관리서버(400)는 명령신호를 분석 처리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한다(S28).
통합관리서버(400)는 원격제어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에 전송한다(S30).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는 전송받은 원격제어신호의 해당 명령에 따라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서버(400)에 전송한다(S32, S34).
통합관리서버(400)는 전송받은 응답신호에 상응하는 코멘트정보를 생성하고, SNS서버(300)에 상기 코멘트정보를 전송한다(S36, S38).
SNS서버(300)는 코멘트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한다(S40).
사용자단말기(100)는 코멘트정보를 SNS 어플리케이션 상의 화면에 텍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통합관리서버(400)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기기정보 및 원격 제어 요청된 명령신호를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원격진단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S42).
원격진단서버(600)는 각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의 기기정보, 명령신호 및 응답신호를 기기별로 전송받아 DB에 저장하여 기기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S44).
도 6은 본 발명의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에서 통합관리서버(400)의 코멘트정보 전송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통합관리서버(400)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100).
응답신호를 수신한 통합관리서버(400)는 해당 응답신호에 포함된 기기 상태정보를 근거로 해당 기기가 정상적으로 원격 제어를 수행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2).
기기가 정상적으로 원격 제어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태정보에 따라 SNS서버(300)에 전송할 코멘트정보를 생성하여 SNS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04, S106). 코멘트정보는 텍스트 형태의 명령신호에 대한 코멘트로서, 해당 명령 텍스트에 상응하는 텍스트 형태의 코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S102 단계에서 홈 오토메이션 기기(700)가 수신된 응답신호에 포함된 기기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정상적으로 원격 제어 수행하지 못하였다면, 해당 결과에 대한 코멘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8).
코멘트정보로서 기설정되어 저장된 오류메시지 또는 제어 미수행 메시지를 SNS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S110).
상기 S104 단계 또는 S108 단계에서 생성된 코멘트정보를 수신한 SNS서버(300)는 해당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12).
사용자단말기(100)는 수신된 코멘트정보에 따라 텍스트 형태의 코멘트를 SNS 어플리케이션 화면상에 표시받을 수 있다(S114).
100 ; 사용자단말기 200 ; 인터넷
300 ; SNS서버 310 ; 자연어처리모듈
400 ; 통합관리서버
410 ; 기기등록부 420 ; 단말등록부
430 ; SNS연동부 440 ; 명령처리부
450 ; 기기제어부 460 ; 기기정보관리부
470 ; 전송이력관리부 500 ; DB서버
600 ; 원격진단서버 700 ; 홈 오토메이션 기기
800 ; 자연어처리서버

Claims (15)

  1.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대화형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넷상의 SNS서버에 연결되는 SNS서버로부터 상기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기계어로 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홈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따른 기계어로 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신호를 근거로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코멘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SNS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SNS 어플리케이션 구동으로 입력된 텍스트 형태의 명령신호를 상기 SNS서버에 접속하여 전달받고, 명령처리부에서 생성하는 코멘트정보를 상기 SNS서버로 전송하는 SNS연동부;
    상기 명령신호에 포함된 자연어로 된 명령 텍스트를 분석하고,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인 응답신호를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부터 제공받아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코멘트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처리부;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전송하여 해당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기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해당 기기의 기기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고, DB서버에 상기 기기정보를 저장하여 제어 대상의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등록하는 기기등록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단말정보와, SNS서버에 가입된 회원정보를 상기 SNS서버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DB서버에 상기 단말정보 및 회원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를 등록하는 단말등록부; 및
    상기 기기정보에 따라 해당 기기별로 원격제어신호 및 응답신호를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기기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합관리서버; 및
    SNS서버로부터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원격 제어 명령의 수행에 따른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되어, 기 원격 제어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기정보, 원격제어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요청하여 전송받아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 상태 또는 기기 오류 상태를 확인하는 원격진단서버를 더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6.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대화형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SNS서버로부터 상기 명령신호를 전송받고, 해당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명령에 대응하는 기계어로 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원격 제어된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계어로 된 응답신호를 상기 통합관리서버를 통하여 제공받아 응답신호를 근거로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대화형 코멘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코멘트 정보를 상기 SNS서버로 전송하는 자연어처리서버;
    상기 자연어처리서버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자연어처리서버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되어, 기 원격 제어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기정보, 원격제어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요청하여 전송받아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 및 기기 오류 상태를 확인하는 원격진단서버를 더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8.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대화형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해당 명령에 대한 기계어로 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대한 기계어로 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응답신호를 근거로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대화형 코멘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코멘트정보를 전송하도록 자연어처리모듈을 구비한 SNS서버;
    상기 SNS서버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로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응답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SNS서버로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 및
    수신된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되어, 기 원격 제어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기정보, 원격제어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요청하여 전송받아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 및 기기 오류 상태를 확인하는 원격진단서버를 더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11.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입력된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명령신호를 수신하는 SNS서버와 연결되는 통합관리서버를 구비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NS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대화형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명령신호를 분석하여 분석된 해당 명령에 따라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기계어로 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는 전송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해당 명령에 따라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오토메이션기기는 상기 원격 제어 수행 결과에 대한 기계어로 된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전송받은 상기 응답신호를 근거로 자연어로 된 텍스트 형태의 대화형 코멘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SNS서버에 상기 코멘트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SNS서버는 상기 코멘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에 기기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단계;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기정보를 해당 기기별로 등록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의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단말정보와, 상기 SNS서버의 가입된 회원정보를 상기 SNS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해당 단말별로 상기 단말정보와 회원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DB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원격 제어 및 기기 오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원격진단서버는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제어받은 해당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기기정보, 원격제어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요청된 기기정보, 원격제어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상기 원격진단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방법.

  15. 삭제
KR1020150108980A 2014-08-07 2015-07-31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9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8208 WO2016021936A1 (ko) 2014-08-07 2015-08-05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896 2014-08-07
KR20140101896 2014-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054A KR20160019054A (ko) 2016-02-18
KR101729329B1 true KR101729329B1 (ko) 2017-04-25

Family

ID=5545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980A KR101729329B1 (ko) 2014-08-07 2015-07-31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019B1 (ko) 2022-11-29 2023-05-18 예주산업(주)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공동주택 스마트 리빙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6674B2 (en) * 2012-01-10 2018-06-12 Cnoga Holdings Ltd. Web site providing cosmetic and nutrition regimen from color images
KR102004221B1 (ko) * 2017-02-07 2019-07-2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채팅을 통한 IoT 기반의 전원 릴레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3333B1 (ko) * 2019-01-29 2021-02-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챗봇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CN113050956B (zh) * 2021-03-31 2023-07-18 上海盛付通电子支付服务有限公司 用于自动安装应用的方法、设备、介质及程序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7236A1 (en) * 2006-02-23 2007-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appliances using short message service, home network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20120123561A1 (en) * 2010-11-11 2012-05-17 Soohong Park Customized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appliances using remot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7236A1 (en) * 2006-02-23 2007-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appliances using short message service, home network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20120123561A1 (en) * 2010-11-11 2012-05-17 Soohong Park Customized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appliances using remot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019B1 (ko) 2022-11-29 2023-05-18 예주산업(주)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공동주택 스마트 리빙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054A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329B1 (ko)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2852201B1 (en)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router
US8667102B1 (en)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09498B1 (ko) 자연어 기반의 명령어 인식을 통해 가전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말 및 그 방법
US2014012178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US10003683B2 (en)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smart appliances
JP6049434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方法
KR20190099586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
US10659322B2 (en) Monitoring system, facility management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WO2014090016A1 (zh) 设备控制方法与移动通信终端
CN106557034A (zh) 一种基于即时通信的智能家居控制方法
JP2021530762A (ja) アシスタント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によるスマートデバイスのローカルな制御および/または登録
CN104660655A (zh) 一种对终端进行控制的方法、装置及系统
EP25791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in in-home display
KR100452362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EP31451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system
US99237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installation of a device
US20190349420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KR102075381B1 (ko) 사물 협업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그 모델링 도구
KR101353617B1 (ko) 와이파이모듈을 구비한 비디오폰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CN103269360A (zh) 一种对电器设备进行控制的方法及装置
KR101740236B1 (ko) 엠큐티티(mqtt) 및 디디에스(dds) 클라이언트 모듈을 갖는 장치를 위한 원격관리시스템
CN110726208B (zh) 一种多台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WO2016021936A1 (ko) Sns를 이용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서버, sns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