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103B1 - Glass type monitor - Google Patents

Glass type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103B1
KR100782103B1 KR1020060038098A KR20060038098A KR100782103B1 KR 100782103 B1 KR100782103 B1 KR 100782103B1 KR 1020060038098 A KR1020060038098 A KR 1020060038098A KR 20060038098 A KR20060038098 A KR 20060038098A KR 100782103 B1 KR100782103 B1 KR 10078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nitor
type monitor
spectac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5657A (en
Inventor
송혁규
Original Assignee
(주)디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오컴 filed Critical (주)디오컴
Priority to KR102006003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103B1/en
Publication of KR2007010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12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 H04N11/14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 H04N11/1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imultaneous signals only in which one signal, modulated in phase and amplitude, conveys colour information and a second signal conveys brightness information, e.g. NTSC-system the chrominance signal alternating in phase, e.g. PAL-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로서,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tacle type monitor, includ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nlarging or filtering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and receiving a data input through the spectacle type monitor, and processing the data to provide the image through the spectacle type type monitor. An image processor for generating an image to be imaged, a front transmission density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transmission density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and a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image image or the front transmission density adjusting unit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 type monitor including an image incidence unit configured to incident an eye of a user of the eyeglass type monitor.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형 모니터의 전방에서 투과되는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증강 현실의 구현이 용이하며 안경형 모니터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by adjusting the transmittance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front of the spectacle monitor, and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cyber symptoms such as visual impairment or dizziness caused by the use of the spectacle monitor, It can provide an image adjusted to fit.

안경형 모니터, 배경 영상 투과, 시력, 도수, 오버레이 Spectacle Monitor, Background Image Transmission, Sight, Frequency, Overlay

Description

안경형 모니터{GLASS TYPE MONITOR}Glasses type monitor {GLASS TYPE MONI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블록도.1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n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2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spectacle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데이터 입력부 120: 영상 처리부110: data input unit 120: image processing unit

130: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 140: 영상 입사부130: front transmission density control unit 140: image incident part

145: 후크 150: 도수 조절부145: hook 150: frequency adjustment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경형 모니터의 전방에서 투과되는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증강 현실의 구현이 용이하며 안경형 모니터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형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type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asy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by adjusting the transmittance of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front of the spectacle-type monitor, and to mitigate cyber symptoms such as visual impairment or dizziness caused by using the spectacle-type moni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 type monitor capable of providing an image adjusted to a user's vision.

안경형 모니터는 사용자가 안경처럼 착용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로서, 예컨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또는 FMD(Face Mounted Display) 등의 용어로서 지칭되기도 한다.The spectacle monitor is a monitor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watch an image by wearing like glasses,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term such as a head mounted display or a face mounted display.

이러한 안경형 모니터는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군사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컴퓨터 시스템의 고성능화, 소형화 그리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 영상 및 통신 기술의 발전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점차 민간용으로도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의 개발에 따라서 점차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안경형 모니터의 보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안경형 모니터는 특히 시-쓰루(see-through) 형태로 구현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구현에 그 효용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These glasses type monitors were initial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and began to be used for military use, but their use is gradually expanded to civilian use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high performance of computer system, miniaturization, development of display devices such as LCD, image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tc. It is becoming.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wearable computers, it is expected that the spread of eyeglass type monitors as personal display devices for wearable computers will increase. Such spectacle monitors are expected to have high utility in augmented reality, especially when implemented in a see-through form.

그러나 이러한 씨-쓰루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지닌다.However, these see-through type eyeglass monitors hav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우선 시-쓰루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다. First of all, in case of using the see-through type glasses monitor,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transmittance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즉 씨-쓰루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에서는 차광 필터를 사용하여 외부 배경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차광 필터를 제거하여 사용하고 외부 배경 영상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차광 필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광 필터의 구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안경형 모니터의 크기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That is, in case of see-through type eyeglass type monitor, when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is provided by using the light blocking filter at the same time, the shading filter is removed and used, and when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is not necessary, the shading filter provides the desired image. It is configured to receive. 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shielding filter must be provided as essentia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the spectacle-type monitor is limited.

또한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은 특히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cybersickness)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외 부의 배경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씨-클로스(see-close) 형태의 경우 사이버증상이 좀더 악화되며, 또한 시-쓰루 형태의 경우에도 투과율에 따라서 사이버증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경형 모니터 사용 도중에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나 현재의 안경형 모니터 구성에서는 이러한 투과율 조절을 위해서는 복잡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생산 비용의 증가 및 부피 증가의 한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 transmittance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is directly related to cybersickness such as visual disturbance or dizziness caused by the use of the spectacle monitor.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see-close type that does not display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the cyber symptoms are worse, and in the case of the see-through type, the cyber symptoms are affected by the transmitt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adjust the transmittance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during the use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but in the current spectacle type monitor configuration, a complex configuration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to adjust the transmittance, which is one cause of an increase in production cost and a volume increase.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는 영상을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각 사용자에 따라서 시력이 다르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도수를 가지도록 영상을 변환하여야 하나 이러한 각 사용자마다 별도로 시력에 맞도록 영상을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은 안경형 모니터 생산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image suitable for the user's eyesight. In other words, the eyesight is different for each user and accordingly the image should be converted to have a frequency that is suitable for the user, but the conversion of the image for each user separately to provide a suitable vision will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of the glasses monitor.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형 모니터의 전방에서 투과되는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증강 현실의 구현이 용이하며 안경형 모니터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type monitor that can easily implement augmented reality by adjusting the transmittance of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front of the eyeglass type monitor and can mitigate cyber symptoms such as visual impairment or dizziness caused by using the eyeglass type monitor.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type monitor capable of providing an image adjusted to the user's vi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안경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ctacle type monitor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glasses used by a us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로서,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형 모니터로서,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와, 상기 영상 입사부를 통과한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도수에 따라서 조절하는 도수 조절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안경형 모니터로서,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안경을 통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ctacle type monitor, includ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nlarging or filtering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type monitor, and the image data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o generate an image image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type monitor, a front transmission density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density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and the image image or 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d is a spectacle monitor including an image incident part for incident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adjusting unit to the eyes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monitor.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tacle monitor, including a photographing device for enlarging or filtering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and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monitor, and through the spectacle monitor by image processing the data.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image to be provided; an image incidence unit for incident the im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the eyes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and the image image passing through the image incidence unit. It provides a spectacle-type monitor comprising a frequency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ctacle type monitor detachable to the user's glasses, including a photographing device to enlarge or filter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the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type monitor, and the image data processing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image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type monitor, and an image incidence unit for incident the im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the eye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type type monitor through the glasses of the user. To prov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는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영상 입사부에 대응하여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다수의 투과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는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영상 입사부에 대응하여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것일 수 있다.In the spectacle-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adjusting part is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pectacle-type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cident par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ermeation filters to adjust the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eyeglass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transmittance concentration, or the front transmittance control part may be detachable or attachable to a front surface of the spectacle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cident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부착 또는 탈착은 상기 안경형 모니터에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의 탈부착용으로 형성되는 집게 또는 후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pectacle-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ongs or hooks formed on the spectacle-type monitor for detachable attachment of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도수 조절부는 상기 영상 입사부와 상기 사용자의 눈 사이의 광 경로에 대응하여 부착 또는 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equency adjusting part is attached or detached in correspondence to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 incident part and the user's ey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부착 또는 탈착은 상기 안경형 모니터에 상기 도수 조절부의 탈부착용으로 형성되는 집게 또는 후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pectacle-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forceps or a hook formed on the spectacle-type monitor for detachable attachment of the frequency adjusting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안경 다리는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경 다리가 탈착되는 경우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ectacl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acles legs of the spectacle monitor may be removable or attachable. In this case, when the glasses legs are detached, the glasses may be mounted on the head of the user of the glasses-type monitor by using an elastic ba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부는 프로젝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ncident part may be implemented in a projection for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사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쪽 눈 또는 한쪽 눈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ncident part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both eyes or one eye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nput unit may include a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enlarges or filters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중에서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부분을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의 결과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부는 골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tacles-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signal processor for signal process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signal among the data, and an audio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sult of the audio signal processor. In this case,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may be a bone conduction speak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외부의 오디오를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external audi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ectacl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detector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pectacle moni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MPEG-2, MPEG-4 또는 Divx 규격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JPEG 규격의 정지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I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ay be video data of MPEG-2, MPEG-4 or Divx standard or still image data of JPEG stand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일 수 있다.I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ay be an ATSC or DVB standard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NTSC, PAL or SECAM analog broadcast sig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S-Video, 아날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의 영상 신호일 수 있다.I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may be an image signal of S-Video, analog RGB, DVI, MDDI, LVDS, TMDS, and IEEE 1394 standards.

이하, 본 발명의 안경형 모니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tacl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1 is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n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블록도는 데이터 입력부(110)와, 영상 처리부(120)와,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와, 영상 입사부(140)와, 도수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As shown, an exemplary block diagram of an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input unit 110,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a front transmission density control unit 130, an image incident unit 140, and a power control unit. And 150.

데이터 입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The data input unit 110 receives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데이터는 예컨대 DVD 등을 통하여 판독되거나 TV 수신을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이거나 또는 PC 등의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부착되는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적외선 필터링 등의 처리를 통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Such data may be, for example, data read through a DVD or the like, received through TV reception, or data corresponding to a screen such as a PC. Alternatively, for example, data may be input through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amera attached to the spectacl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data may be input through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that enlarges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or captures the image through a process such as infrared filtering.

좀 더 상세히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는 예컨대 고정식 또는 이동식으로 된 영상 재생장치, 즉 VTR 또는 DVD 플레이어,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또는 Divx 플레이어 등에 쓰이는 MPEG-2, MPEG-4, JPEG, Divx 등 각종 규격의 영상 신호일 수 있다. 또는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일 수 있다. 또는 S-Video 신호일 수 있다. 또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컴퓨터 장치들의 영상 신호에 사용되는 영상출력 신호(아날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 등)에 대하여서도 데이터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in a fixed or mobile video playback device such as a VTR or DVD player, a personal multimedia player (PMP), a video camera, a digital camera or a Divx player. -2, MPEG-4, JPEG, Divx and the like can be a video signal of various standards. Or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signal of the ATSC or DVB standard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of the NTSC, PAL or SECAM. Or an S-Video signal. Alternatively, an image output signal (analog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standard, etc.) used for image signals of fixed or mobile computer devices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10.

영상 처리부(120)는 데이터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전술한 각 영상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처리하여 이미지 영상을 생성한다.The image processor 120 processes the data related to the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10 to generate an image image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or 120 processes any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image signals to generate an image image.

영상 입사부(140)는 영상 처리부(120)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영상 또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를 통하여 투과되는 배경 영상을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킨다. 영상 입사부(14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미지 영상의 일부만을 반사시키는 프로젝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incident unit 140 allows the im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120 or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transmission density controller 130 to be incident on the eyes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monitor. The image incident part 140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projection form that reflects only a part of the image image in order to reduce eye fatigue of the user.

또한 영상 입사부(140)는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양쪽 눈 또는 한쪽 눈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영상 입사부(140)의 배치는 다양한 응용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image incident part 140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both eyes or one eye of the spectacle-monitor user. The arrangement of the image incident part 140 enables various applications.

예컨대 사용자가 한쪽 눈으로는 외부 배경 영상만을 보면서, 다른 한쪽 눈으로는 이미지 영상을 보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for a user to see only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with one eye and an image image with the other eye.

예컨대 의료 시술을 수행하는 의사의 경우 한쪽 눈에 대응해서는 영상 입사부(140)가 배치되지 않고 다른 한 쪽 눈에 대응해서만 영상 입사부(140)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수술 도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영상 입사부(140)가 배치된 쪽의 눈을 통하여 보면서 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octor performing a medical procedure,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image incident part 140 is not disposed corresponding to one eye, but only the image incident part 14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other eye. In this case, the surgery may be performed while view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during the surgery through the eye of the side where the image incident part 140 is disposed.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는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한다.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controller 130 adjusts the transmission concentration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 즉 투과율의 조절은 전술하였듯이 증강 현실의 구현에 있어서 사용자의 몰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관건이 된다. 즉 배경 영상과 이미지 영상의 효율적인 동시 제공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 정비 등에 있어서 배경 영상인 자동차 부품과 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이미지 영상, 예컨대 해당 부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 또는 정비 순서 등의 부가 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djustment of the transmission density of the background image, that is, the transmission rate, is a key to controlling the immersion of the user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That is, the efficient simultaneous provision of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image image can effectivel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utomobile maintenance, the work efficiency is dramatically increased by simultaneousl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 vehicle image which is a background image and an image image generated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r a maintenance sequence.

또한 사이버증상의 경우 배경 영상을 보지 않고 이미지 영상만을 보는 경우 그 증상이 심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사이버증상이 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에 의해서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높여서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이버증상이 완화된 경우에는 이미지 영상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낮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case of a cyber symptom, the symptom becomes severe when only an image image is viewed without viewing a background image. In the case where the cyber symptom is determined to be severe, the user increases the transmittance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by 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130. The symptom may be alleviated, and in case the cyber symptom is alleviated, the transmittance of the background image may be adjusted to increase the immersion of the image.

도수 조절부(150)는 영상 입사부(140)를 통과한 이미지 영상 또는 배경 영상을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시력 도수에 따라서 조절한다.The frequency adjusting unit 150 adjusts the image image or the background image passing through the image incident unit 140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spectacle monitor user.

즉 현재의 안경형 모니터는 일반적인 사용자를 기준으로 제조되므로 특히 시력이 낮은 사용자는 사용에 불편함을 가져온다. 예컨대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안경과 안경형 모니터를 동시에 착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한 원인이 된다.In other words, the current eyeglass type monitor is manufactured based on a general user, so it is particularly inconvenient for users with low vis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wearing glasses, wearing glasses and a glasses-type monitor at the same time is one cause of inconvenience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경우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영상 입사부(140)를 통과한 이미지 영상 또는 배경 영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the spectacle-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adjust the image image or the background image passing through the image incident part 140 to fit the user's eyesight.

예컨대 도수 조절부(150)는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오목 렌즈 또는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의 조합, 또는 볼록 렌즈의 조합, 또는 오목 렌즈와 볼록 렌즈의 조합 등의 다양한 구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equency adjusting unit 150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concave lens, a convex lens, or a combination of a concave lens, a combination of a convex lens, or a combination of a concave lens and a convex lens according to the user's vision.

도수 조절부(150)는 별도의 렌즈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안경을 사용할 수 있다.The frequency adjusting unit 150 may use a separate lens or a user's glasses.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안경형 모니터를 착용하는 경우 예컨대 이어폰 또는 헤드폰 형태로 오디오 신호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 출력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형태가 아니라 골전도 스피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pectacle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signal processor and an audio signal output unit. That is, when the user wears a glasses type monitor, for example, the user may include an audio signal output unit in the form of an earphone or a headphone. In addition,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bone conduction speaker, not an earphone or headphone type.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마이크로폰 등의 오디오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고 이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증폭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signal input unit such as a microphone. That is, an external audio signal is input, and the audio signal processor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amplification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이로 센서 등을 부착 또는 탈착 가능하게 설계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 움직임의 감지는 이를 통하여 간단한 신호 입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pectacle-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detector. For example, a gyro sensor may be attached or detached to detect movement of the user's head. The detection of such head movement is meaningful in that simple signal input is possible through th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예컨대 데이터 입력부(110), 영상 처 리부(120),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 영상 입사부(140)를 안경 형태로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도수 조절부(150)를 탈착 또는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tacle-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data input unit 11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front transmission density control unit 130, the image incident unit 14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glasses in one piece, the frequency adjustment unit ( 150 may be configured to detach or attach.

또는 데이터 입력부(110), 영상 처리부(120), 도수 조절부(150), 영상 입사부(140)를 안경 형태로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를 탈착 또는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ata input unit 11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e frequency adjusting unit 150, and the image incident unit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form of glasses, and 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adjusting unit 130 may be detached or attached. Can be.

또는 데이터 입력부(110), 영상 처리부(120), 영상 입사부(14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일체형 구성을 사용자의 안경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또한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를 탈착 또는 부착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data input unit 110,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and the image incidence unit 140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and such an integral configuration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ser's glasses, and 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130 may be detached.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be attachable or to be fixedly mounted.

이러한 예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 오디오 신호 출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부, 움직임 감지부 등은 일체형 구성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xample, the audio signal processor,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the audio signal input unit, the motion detector, and the like are preferably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figura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데이터 입력부(110)와, 영상 처리부(120)의 도시는 생략된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ion of the data input unit 110 and the image processor 120 is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가 안경 형태로 구현되며, 안경의 렌즈 부분에 대응하여 영상 입사부(140)가 배치되어 있다.2 is a glasse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glasses, the image incident portion 14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lens portion of the glasses.

영상 입사부(140)의 연결부에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 또는 도수 조절부(150)의 장착을 위한 후크(145a, 145b)가 구비된다.The connection part of the image incident part 140 is provided with hooks 145a and 145b for mounting 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adjusting part 130 or the frequency adjusting part 150.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는 후크(145a)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부착 또는 탈착되며, 도수 조절부(150)는 후크(145b)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부착 또는 탈착된다.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130 is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pectacle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hook 145a, and the frequency adjustment unit 150 is attached or detached to the spectacle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hook 145b. do.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 즉 필터를 부착하거나 탈착하고, 도수 조절부(150), 즉 렌즈를 부착하거나 탈착하여 자신이 원하는 환경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attach or detach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130, that is, the filter, and attach or detach the power control unit 150, that is, the lens, to set and use the desired environment.

비록 도 2에는 후크(145a)를 통하여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가 부착 또는 탈착되도록 도시되었지만,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배치 또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130 is attached or detached through the hook 145a in FIG. 2,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130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the arrangement may also be various. Do.

예컨대 다수의 편광 필터를 사용하여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즉 다수의 편광 필터를 고정적으로 영상 입사부(140)의 전면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다수의 편광 필터의 배치를 조절하여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 조절이 가능하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polarizing filters may be used to adjust the transmission density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That is, a plurality of polarization filters are fixedly disposed in front of the image incident part 140, and the user may adjust the placement of the plurality of polarization filters to adjust the transmission density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또는 도 2에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의 부착 또는 탈착을 위한 후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투과 농도 조절 필터를 후크를 통하여 부착하거나 탈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 the eyeglass-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adjusting unit 130 to be configured to attach or detach the permeation concentration adjusting filter through the hook if desired by the user. Can be.

또는 집게 형태로 투과 농도 조절 필터를 부착하거나 탈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r it may be configured to attach or detach the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filter in the form of forceps.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의 부착 또는 탈착을 위한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에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를 삽입하거나 또는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adjusting unit 130 to insert or discharge 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adjusting unit 130 in the groove.

비록 도 2에는 후크(145b)를 통하여 도수 조절부(150)가 부착 또는 탈착되도록 도시되었지만, 예컨대 집게 형태로 자신의 시력에 맞는 렌즈를 부착하거나 탈착 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도수 조절부(150)의 부착 또는 탈착을 위한 홈을 구비하여 상기 홈에 도수 조절부(150)를 삽입하거나 또는 배출하도록 구할 수도 있다.Although FIG. 2 shows that the power adjustment unit 150 is attached or detached through the hook 145b, the power adjustment unit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forceps, or the power adjustment unit in the spectacl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150 may be provided to insert or discharge the frequency adjusting part 150 in the groove.

또한 도 2에 도시된 안경형 모니터에서 안경 다리 부분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다리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머리끈 부착 고리 등을 이용하여 머리띠 형식의 탄성 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에 스키 고글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물론 안경 다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일반 안경과 같이 착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spectacles-type monitor shown in FIG. 2, the glasses le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 this case, in the case of removing the glasses leg, it can be worn in the form of ski goggles on the user's eyes by using an elastic band in the form of a headband using a head strap attachment ring or the like. Of course, if you attach a pair of glasses can be worn as usual glasse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자의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 안경형 모니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데이터 입력부(110)와, 영상 처리부(120)의 도시는 생략된다.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pectacle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a spectacle type monitor implemented in a form detachable to the user's glasses. 3, illustration of the data input unit 110 and the image processor 120 is omitted.

도시되듯이, 사용자의 안경의 렌즈가 도수 조절부(150)에 대응되며, 한쪽 렌즈에만 대응하여 영상 입사부(140)가 배치된다. 영상 입사부(140)와 안경의 탈부착은 예컨대 후크 등을 통해서 가능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As shown, the lens of the user's glasses corresponds to the frequency adjustment unit 150, the image incident portion 140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only one lens. Detachable attachment of the image incident part 140 and the glasses is possible through, for example, a hook, but the illustration is omitted.

또한 영상 입사부(140)의 앞부분에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130)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또는 고정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130 may be mounted in a detachable form or in a fixed form in front of the image incident unit 140.

이러한 도 3에 도시된 구현예는 오버레이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로도 지칭되는 경우도 있다.3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overlay type spectacle monitor.

이러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는 다양한 사례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The eyeglass 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or 3 may be applied in various forms to various cases.

우선 안경 탈부착식 단안 모니터의 경우이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오버레이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를 구현하되 한쪽 눈에만 대응하여 영상 입사부(140)를 배치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한쪽 눈을 통해서는 외부의 배경 영상만을 보며 다른 한쪽 눈을 통해서는 이미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First of all, in the case of a removable monocular monit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glasses-type monitor in the form of an overlay is implemented, but the image incident part 14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only one eye.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user may view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only through one eye and view an image image through the other eye.

이 경우 산업 현장, 예컨대 자동차 정비 등에서 한쪽 눈으로는 부품을 보면서 다른 한쪽 눈으로는 부품의 정비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heck data necessary for maintenance of the component with one eye while viewing the component with one eye at an industrial site, for example, automobile maintenance.

또한 이러한 경우 촬영 장치를 통하여 부품의 영상을 입력받아 확대하여 영상 입사부가 배치되는 쪽으로 볼 수 있다.Also, in this case, the image incident part may be enlarged by receiving an image of the component throug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viewing the image incident part.

이러한 촬영 장치를 통한 이미지 영상의 획득은 예컨대 의료용 수술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Acquisition of an image image through such an imaging device may be applied, for example, in medical surgery.

또한 도 3의 오버레이 형태의 안경형 모니터를 사용자의 양쪽 눈 모두에 대응하도록 양안 오버레이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Also, the glasses-type monitor in the overlay form of FIG. 3 may be implemented in a binocular overlay form to correspond to both eyes of the user.

또한 단안 또는 양안 안경형 모니터의 경우이다. 이 경우 도 2의 형태로 구현되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 또는 도수 조절부가 탈부착 가능 또는 고정 형태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This is also the case for monocular or binocular eyeglass monitors. In this case,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Figure 2 and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or frequency control unit may be mounted in a removable or fixed form.

또는 카메라 내장 선글라스 형태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안경형 모니터에 소형 카메라를 장치하여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면서 즉시 안경형 모니터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unglasses with a built-in camera. That is, a small camera is mounted on the spectacle monitor, and the image can be immediately provided to the spectacle monitor while the camera is photographed.

또는 산업용 투시 장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컨대 화재 현장에서 연기 가 자욱하여 앞이 보이지 않는 경우 등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형 모니터에 IR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데이터 입력부로서 구비하여 IR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경우 화재 현장에서도 적외선 필터링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Or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dustrial see-through devices. For example, when the scene is not visible due to the smoke in the fire scene, the glasses-typ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n IR camera as a data input unit to receive an image from the IR camera, the infrared filtered image even in the fire scene You can check it.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t is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형 모니터의 전방에서 투과되는 외부 배경 영상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증강 현실의 구현이 용이하며 안경형 모니터 사용에 따른 시각 장애 또는 어지러움 등의 사이버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시력에 맞도록 조절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by adjusting the transmittance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from the front of the spectacle monitor, and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cyber symptoms such as visual impairment or dizziness caused by the use of the spectacle monitor. The image may be adjusted to match the user's vision.

Claims (23)

안경형 모니터로서,As an eyeglass type monitor,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A data input unit includ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nlarging or filtering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and receiving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glasses monitor;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An image processor which processes the data to generate an image image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monitor; 상기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와,A forward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ermeation concentration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An image incident part for injecting the im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or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transmission density controller into the eyes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Glasses type monitor comprising a. 안경형 모니터로서,As an eyeglass type monitor,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A data input unit includ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nlarging or filtering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and receiving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glasses monitor;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An image processor which processes the data to generate an image image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monitor;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와,An image incidence unit for incident the im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the eyes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상기 영상 입사부를 통과한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도수에 따라서 조절하는 도수 조절부Frequency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image image passing through the image incident part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the user of the eyeglass type monitor 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Glasses type monitor comprising a. 사용자의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안경형 모니터로서,As a glasses type monitor which can be attached to user's glasses, 외부의 배경 영상을 확대하거나 필터링하여 촬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와,A data input unit including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nlarging or filtering an external background image and receiving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glasses monitor; 상기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An image processor which processes the data to generate an image image to be provided through the spectacle monitor;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안경을 통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영상 입사부An image incident part for incident the im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to the eye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through the glasses of the user 를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Glasses type monito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입사부를 통과한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니터 사용자의 시력 도수에 따라서 조절하는 도수 조절부A frequency adjusting unit that adjusts the image image or the background image passing through the image incident part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eyeglass type monitor user. 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Glasses type monitor further includ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concentration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상기 영상 입사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안경형 모 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And the image incident part injects the im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or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transmission density controller into the eyes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monito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외부의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는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concentration of the external background image, 상기 영상 입사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 영상 또는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를 통하여 투과되는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안경을 통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눈에 입사시키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And the image incident part injects the imag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or the background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front transmission density adjusting part into the eyes of the user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through the glasses of the user.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or 6,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는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영상 입사부에 대응하여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다수의 투과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배경 영상의 투과 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adjusting unit is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spectacle-type monitor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cidence uni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filters to adjust the transmission concentration of the background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Glasses type monitor.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or 6,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는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영상 입사부에 대응하여 탈착 또는 부착 가능한 것인 안경형 모니터.And the front transmission concentration adjusting unit is detachable or attachabl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in response to the image incident par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부착 또는 탈착은 상기 안경형 모니터에 상기 전방 투과 농도 조절부의 탈부착용으로 형성되는 집게 또는 후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The attaching or detaching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is performed by using a forceps or a hook formed on the spectacle type monitor for detaching the front permeation concentration control unit.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상기 도수 조절부는 상기 영상 입사부와 상기 사용자의 눈 사이의 광 경로에 대응하여 부착 또는 탈착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And the power adjusting unit is attached or detached in response to an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 incident unit and the user's ey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부착 또는 탈착은 상기 안경형 모니터에 상기 도수 조절부의 탈부착용으로 형성되는 집게 또는 후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The attaching or detaching of the spectacle type monitor is performed by using a forceps or a hook formed on the spectacle type monitor for detachable detachment of the frequency adjusting pa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안경 다리는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것인 안경형 모니터.Eyeglasses monitor of the spectacle-type monitor is detachable or attachabl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안경 다리가 탈착되는 경우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Eyeglass monitor that can be mounted on the user's head of the eyeglass monitor using an elastic band when the eyeglass legs are detached.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영상 입사부는 프로젝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The eyeglass type monitor of which the image incident part is implemented in a projection form.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영상 입사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쪽 눈 또는 한쪽 눈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인 안경형 모니터.And the image incident part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both eyes or one eye of the user.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데이터 중에서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부분을 신호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와,An audio signal processor which process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signal among the data;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의 결과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 An audio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sult of the audio signal processor 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Glasses type monitor further including.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외부의 오디오를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Glasses type monitor further comprising an audio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external audio.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부는 골전도 스피커인 것인 안경형 모니터.And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is a bone conduction speaker.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안경형 모니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Mo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eyeglass type monitor 를 더 포함하는 안경형 모니터.Glasses type monitor further including.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데이터는 MPEG-2, MPEG-4 또는 Divx 규격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JPEG 규격의 정지 영상 데이터인 것인 안경형 모니터.The data monitor is a spectacle monitor of the MPEG-2, MPEG-4 or Divx standard video data or JPEG standard still image data.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데이터는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인 것인 안경형 모니터.The data is eyeglass type monitor that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f ATSC or DVB standard or analog broadcast signal of NTSC, PAL or SECAM.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데이터는 S-Video, 아날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의 영상 신호인 것인 안경형 모니터.The data is S-Video, analog RGB, DVI, MDDI, LVDS, TMDS, eyeglass type monitor of the IEEE 1394 standard video signal.
KR1020060038098A 2006-04-27 2006-04-27 Glass type monitor KR100782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98A KR100782103B1 (en) 2006-04-27 2006-04-27 Glass type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98A KR100782103B1 (en) 2006-04-27 2006-04-27 Glass type mon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57A KR20070105657A (en) 2007-10-31
KR100782103B1 true KR100782103B1 (en) 2007-12-04

Family

ID=3881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98A KR100782103B1 (en) 2006-04-27 2006-04-27 Glass type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1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529A (en) 2015-01-29 2016-08-08 유퍼스트(주) A wearable device for hearing impairment person
KR20230161699A (en) 2022-05-19 2023-11-28 윤재현 A smartphone-type content provider using a SIM c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1177B2 (en) * 2011-10-07 2015-07-14 Google Inc. Wearable computer with nearby object response
US9057826B2 (en) * 2013-01-31 2015-06-16 Google Inc.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with eye prescription
KR20150004192A (en) * 2013-07-02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29646B2 (en) 2015-10-28 2019-10-01 Google Llc Free space optical combiner with prescription integr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8717A (en) * 1987-09-10 1989-03-14 Toshiba Corp Shutter spectacles
JPH0767055A (en) * 1993-08-24 1995-03-10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device
KR19980085444A (en) * 1997-05-29 1998-12-05 구자홍 External light blocking / pass control device for head mounted video display
KR19990048194A (en) * 1997-12-08 1999-07-05 구자홍 See-through HMD
KR20020027131A (en) * 2000-10-05 2002-04-13 송혁규 Head Set of Head Mounted Display
US6945648B2 (en) * 2003-03-18 2005-09-20 Carl-Zeiss-Stiftung HMD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8717A (en) * 1987-09-10 1989-03-14 Toshiba Corp Shutter spectacles
JPH0767055A (en) * 1993-08-24 1995-03-10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device
KR19980085444A (en) * 1997-05-29 1998-12-05 구자홍 External light blocking / pass control device for head mounted video display
KR19990048194A (en) * 1997-12-08 1999-07-05 구자홍 See-through HMD
KR20020027131A (en) * 2000-10-05 2002-04-13 송혁규 Head Set of Head Mounted Display
US6945648B2 (en) * 2003-03-18 2005-09-20 Carl-Zeiss-Stiftung HMD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529A (en) 2015-01-29 2016-08-08 유퍼스트(주) A wearable device for hearing impairment person
KR20160093530A (en) 2015-01-29 2016-08-08 유퍼스트(주) Wearable device for visual handicap person
KR20160104537A (en) 2015-01-29 2016-09-05 유퍼스트(주) A system for real time relaying and transmitting
KR20230161699A (en) 2022-05-19 2023-11-28 윤재현 A smartphone-type content provider using a SIM c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57A (en)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80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head mounted vision augmentation systems
KR100782103B1 (en) Glass type monitor
US10139625B2 (en) Sliding frame
JP5250834B2 (en) Head-mounted image display device
JP6252849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702351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head mounted vision augmentation systems
TWI564590B (en) Image can strengthen the structure of the glasses
JP5720068B1 (en) Smart glasses with self-photographing function
JP2010050645A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17060078A (en) Image recording system, user attachment device,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WO2013055562A1 (en) Surgical telescope with dual virtual-image screens
JP2009251428A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08123257A (en) Remot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3006790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form of spectacles
JP2003287708A (en) Vision expansion device and display system
JP6544901B2 (en) Vision aid system and vision aid device
JP2007219069A (en) Image display
KR20130045002A (en) Glass type monitor
US20140204233A1 (en) Monocular telescope capable of capturing and recording images
KR200389180Y1 (en) The glasses with the small camera
JP3907523B2 (en) Glasses-type image display device
CN212064235U (en)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system
CN210745404U (en) Wearable visual display device
JPH11341399A (en) Spectacle type image display device
KR200304507Y1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video transmission by light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