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532B1 -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532B1
KR100774532B1 KR1020000071779A KR20000071779A KR100774532B1 KR 100774532 B1 KR100774532 B1 KR 100774532B1 KR 1020000071779 A KR1020000071779 A KR 1020000071779A KR 20000071779 A KR20000071779 A KR 20000071779A KR 100774532 B1 KR100774532 B1 KR 10077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ier
information
parcel
delivery
s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062A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2000007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5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물 발송 과정을 무인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의 도입과, 이 기계를 통한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택배물 발송 장치는 지능형이므로 발송자와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무인이므로 야간에도 24시간 발송 가능하고, 이 장치와 택배 회사의 중앙 시스템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택배물의 발송 장치에 투입되는 시점에서 이 택배물의 효과적인 처리 방식이 실시간으로 결정된다. 또한,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와 중앙 시스템과의 거래(dealing)하는 등의 상호 작용 및, 중앙 시스템과 발송자, 수신자의 3 자를 네트워크로 연결시켜서 택배물을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수신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최적화된 운임 체계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 우편물, 소포, 지능형, 거래, 최적화, 요금 결정, 발송, 자동화, 발송자, 수신자

Description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Parcel gathering machine and it's pricing method}
제 1 도 : 택배물 저장통을 갖춘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
제 2 도 : 택배물 저장통이 없는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
제 3 도 : 택배물 총괄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택배물 발송장치 및 수신자와의 상호 작용 모델
속하는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더욱 자세하게는 발송자가 택배물을 사람의 도움없이 발송할 수 있도록 택배물 발송의 전과정을 사람 대신 처리해줄 수 있는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아울러, 이 발명을 택배물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우편물에 적용한 우편물 발송 장치에 대한 응용 장치 및 운영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 함께 기술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
본 발명이 속하는 종래의 기술 분야는 택배물 수집 시스템 및 우편물 수집 시스템이 있다. 현재, 택배물의 수집은 택배 회사가 발송인의 집을 하나하나 직접 찾아가서 발송할 택배물을 받고, 영수증 등을 수기로 작성하여 교부하고, 그 택배물을 중앙의 물류 센터로 가져와서 처리하고 있다. 우편물 수집함은 우표를 붙인 편지류 정도만이 발송되고 있으며, 소포나 3 차원적인 발송물은 수집되지 않고 있다. 또한, 택배물의 효과적인 물류처리를 위하여 바코드 등이 발행하고 택배물에 부착하지만, 그 부착 시점과 그 택배물의 정보가 처리되는 시점은 시간적으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종래 방식의 문제점
현재의 택배 시스템은 택배 회사가 택배물 발송자(이하 '발송자'라 한다)의 발송지에 와서 택배물을 가져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방식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택배 회사가 발송자의 위치까지 직접 와야 한다. 이는 주소를 통해 발송지를 일일이 직접 찾아야 하는 불편과, 시간의 소모를 수반하게 된다.
둘째, 양자가 서로를 기다려야 한다. 서로가 직접 만나야 하기 때문에 서로에게 시간적 소모가 크게 된다. 즉, 발송인이 자리를 비우지 못하며, 자리를 비웠거나, 택배물 수취자가 늦게 또는 일찍 도착한 경우, 서로가 서로를 기다려야 한다. 이때, 서로를 연락하기 위한 통신 비용이 드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교통 상황이 나쁜 대도시나, 골목길이 많은 한국적 지형 현실 및 주차 문제 등을 감안한다 면 현재의 택배물 수취 방식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하게 된다.
셋째, 소구역 단위의 총괄 수취의 장점이 없다. 즉, 각 발송자의 위치까지 일일이 찾아가게 되기 때문에, 하나의 지역 단위에서 총괄 하여 수취하는 방법에 비하여 비효율적이다.
넷째, 예약을 해야 한다. 통상 하루 또는 6 또는 12시간 전에 예약을 해 자신의 수취 주소 및 연락처 등을 남겨야 하며, 예약 후 일정 시간이 지나야 발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약을 받기 위해서는 통신 비용과 이를 처리하기 위한 인력 비용이 들게 된다.
다섯째, 야간 수취가 어렵다. 즉, 야간에는 발송하는 사람이 평균적으로 적기 때문에 그 발송인을 위해 택배물 수취자가 오는 것은 경제적이지 못해, 통상 그 다음날 수취하게 된다. 이 경우, 발송인은 긴급히 발송해야 하는 것을 발송하지 못하게 되거나, 시간 상의 불편이 따르게 되고, 택배 회사도 조기 처리를 통한 이익 창출을 못하게 되는 불이익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의 도입이다. 지능형이므로 발송자와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무인이므로 야간에도 24 시간 발송 가능하고, 이 장치와 택배 회사의 중앙 시스템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택배물의 발송 장치에 투입되는 시점에서 이 택배물의 효과적인 처리 방식이 실시간으 로 결정된다.
둘째,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와 발송자와의 상호작용의 체계, 즉 발송자가 택배물을 발송하기 까지의 과정에 대한 것이다. 사람을 대신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무인 장치의 독특한 운영 체계를 제시함으로써, 무인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 중앙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때의 장점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체계에 대한 것이다.
셋째,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와 중앙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 및, 중앙 시스템과 발송자, 수신자의 3 자를 네트워크로 연결시켜서 택배물을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수신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 체계에 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 및 구성을 가지는 택배물 수신 장치를 도입하고, 이를 통한 운영 방법을 제시한다.
용어의 정의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중요 용어 및 이 용어의 약칭을 정의한다.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란, 본 발명의 중추로 택배물 발송자로부터 택배물을 받아들이는 기계 장치를 말하며, 간략히 '택배함' 또는 '발송 장치'라 한다.
상호작용(interaction)이란 발송자와 발송 장치사이에서 일어나는 작용(action)과 대응작용(reaction, 반작용)을 말하며, 그 상호작용의 형식은 그 상호작용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시스템(recognization system)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발송 장치와 택배 회사의 중앙 총괄 시스템(central controlling system)과도 발송 장치와 수신자 간, 수신자와 택배 회사의 중앙 총괄 시스템(central controlling system)과도 상호작용이 있다.
인식 시스템은 상호 작용을 매개하는 방식과 체계이다. 작용하는 방법으로는 키보드나 키패드를 통한 키입력(key input),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에 대한 접촉 입력(touch input, contact input), 음성 인식 시스템에 대한 음성 입력과 출력, 화면 출력, 동작 인식 시스템에 대한 동작 입력 등 상호 작용하는 상대방이 작용하는 자의 의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제반 체계를 말한다.
택배 회사의 중앙 총괄 시스템이란 택배회사가 택배물을 발송자로부터 수신자에게 전달하는데까지의 전과정을 관리하는 모든 체계를 말한다. 간략히 '총괄 시스템','총괄 운영 시스템','중앙 컴퓨터','시스템 컴퓨터'라고 칭한다.
발송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발송 장치는 크게 2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장치가 발송될 택배물을 저장하는 통을 가진 것과(도1), 저장통이 없는 것(도2)이 있다. 저장통이 있는 발송 장치의 기본적인 외양 구성은 택배물의 양과 질을 측정하는 부분(15), 발송자의 정보 입력 장치 부분(17)과 발송 장치의 출력 장치 부분(12), 요금을 지불하는 장치 부분(13)과 택배물을 투입하는 부분(11), 택배물을 꺼내는 출구(18), 저장하는 부분으로(20) 장치의 외부와 연결하는 통신장치부(19), 화상 출력부(16)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음성 입출력 장치(14)가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통이 없는 발송 장치의 기본적인 외양 구성은 택배물의 양과 질을 측정 하는 부분(21), 발송자의 정보 입력 장치 부분(22)과 발송 장치의 출력 장치 부분(25), 요금을 지불하는 장치 부분(27)과 장치의 외부와 연결하는 통신장치부(24), 화상출력부(23)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음성 입출력 장치(26)가 부가되어 있을 수 있고, 화상 출력부는 도면과 같이 회전할 수도 있다.
발송 장치의 내부에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의 구성과 동일한, 중앙 처리 장치, 운영 시스템, 저장 장치, 입출력 장치, 과금 장치 그리고,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택배물 발송 과정
발송인이 택배물을 발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발송 제 1 과정 : 발송자와 발송장치 간의 상호 인식 과정
발송 제 2 과정 : 택배 서비스 선택 과정
발송 제 3 과정 : 택배물 파악 과정
발송 제 4 과정 : 정보 입력 과정
발송 제 5 과정 : 요금 결정 및 입금 과정
발송 제 6 과정 : 출력 과정
발송 제 7 과정 : 택배물 투입 과정
발송 제 8 과정 : 영수증 출력 과정
과정 2 와 3 은 순서상 서로 바뀔 수 있다.
발송자와 발송장치 간의 상호 인식 과정
발송자가 발송 장치에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는 의사의 표시로서 특정한 입력 또는 임의의 입력을 하면, 발송 장치는 그 의사를 인식하여 차후의 서비스 과정을 준비한다.
택배물 파악 과정
첫째, 택배물의 양과 질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와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발송 장치에 들어가 있다.
크기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질량만을 측정하고, 이 질량으로부터 통상의 밀도를 감안하여 부피를 일률적 계산에 의해 파악하고, 투입 시에 그 택배물이 소포처럼 입체적인가 아니면 편지처럼 평면적인가를 인식하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부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장치가 간단하고, 택배물의 과금체계가 일정한 부피 이내이며, 무게만을 요소로 하고 부피를 요소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타당한 방법이다. 두번째는 광학적 인식 방법을 사용한다. 즉, 택배물을 선반 위에 놓으면, 광학 렌즈가 일정한 빛을 택배물에 조사하고 반사되어 오는 빛으로 영상을 만들고, 기준 영상 입력과 그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택배물이나 소포 등을 보낼 때의 취급 상의 계약 내용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승인을 구한다. 즉, 깨지는 물건이나, 오염이 일어 날 수 있는 물건인 경우 통상의 취급 시 그 이유로 인한 손실에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 등의 주의 사항을 출력하여 발송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정보 입력 과정
택배물의 발송을 위하여 다음 기본적 사항 외에 택배 회사의 정책상, 운영상 의 이유로 다른 입력을 선택적으로 요구한다.
기본적으로 입력되어야 할 사항은, 수신자의 주소 및 연락처, 발송자의 주소 및 연락처이다.
주소의 입력 방법
주소의 구성은 크게 문자와 숫자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 숫자는 키패드 입력으로 쉬우나 문자는 비교적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판의 설치는 부자연스럽다. 완전한 수신지의 주소를 입력 받는 방법은 다음 방법에 의한다.
첫째, 수신지의 우편 번호 입력 방식이다. 수신지의 우편 번호의 입력을 요구하고, 그 우편 번호의 입력이 있으면, 그에 해당하는 주소를 출력한다. 우편 번호로 출력되는 주소는 동 단위, 대형 빌딩 단위, 대단위 아파트 단지 등이 있다. 우편 번호로 출력되는 주소 이후에 입력 될 주소가 숫자만으로 되어 있다면 숫자만을 입력하게 한다. 문자가 필요하다면, 주소를 관리하고 있는 서버 시스템과 네트워크적으로 접속하여 주소를 처리한다. 즉, 경남 마산시 회원구 회원 1 동 한효 아파트 5 동 501 가 주소라고 하자. 우편번호 630-042 은 경남 마산시 회원구 회원 1 동 한효 아파트까지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송인은 이어서 5-5001 만 입력하면 주소가 완성된다.
둘째, 전자 지도 방식이다. 즉, 가장 큰 행정 구역 단위부터 작은 구역 단위로 발송인이 행정 구역 및 주소 분류 체계에 따라 최종 주소까지 선택해 가는 방식이다.
셋째, 음성 인식 시스템을 도입하여, 완전한 주소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음성으로 입력 받고 확인 및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주소를 완성하게 된다.
넷째, 동작 인식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이나, 기타 인식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패드(pad) 등에 필기도구로 쓴 글자를 인식하여 주소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위 방법은 하나 또는 여러 방법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송자의 주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한다.
먼저, 발신자의 주소와 발송 장치의 위치가 택배 회사가 정하는 설정 한도 내에서 동일하다면 먼저 그 동일한 한도까지 표시해 준 다음, 위의 4 가지 방식을 하나 또는 여러 개를 혼용하여 주소를 완성한다. 예를 들면, 신림 9 동에 사는 사람이 신림 9 동에 있는 발송 장치를 이용한다면, 발송자의 주소에 이미, 시스템이 "서울 관악구 신림 9 동"까지를 출력해 주고, 그 이후의 주소를 완성하게끔 한다.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수신함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면, 택배물의 발송자의 주소 및 받는 사람의 주소를 효과적으로 입력 받는다. 왜냐하면, 음성 인식에는 문자와 숫자의 입력 방식에 본질적인 차이가 없기 때문이며, 숫자는 10 개 정도의 키만 있으면 되지만, 통상적인 문자 입력 자판은 수십 개의 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숫자 키패드를 가지고 휴대 전화기의 문자 입력 방식을 활용해도 된다.
계약 조건 동의 과정
취급 상의 계약 내용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승인을 구한다. 즉, 깨지는 물건이나, 오염이 일어 날 수 있는 물건인 경우 통상의 취급 시 그 이유로 인한 손실에 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 등, 우편 취급 상의 필요한 각종의 계약 또는 약관 등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삽입할 수 있다. 즉, 계약서 또는 약관의 내용 등을 출력하고 이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과정을 거친다. 특히, 약관 규제법 상의 주요 사항에 대해서는 개별적 동의를 거치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기본 사항 종합 확인
발송인의 입력 사항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이 있다. 기본적으로 확인 해야 하는 정보로는 (1) 발송자가 선택한 택배의 서비스의 종류, (2) 발송자의 택배물에 대한 요금이며, (3) 수신자의 주소, 연락처, (4) 발송자의 주소, 연락처 등이며, 선택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것으로는 (1) 그 요금이 계산되어 나오게 되는 각 단위 과정 및 그 계산과 기타의 선택 사항이 있다.
과금 및 입금 방식
발송인의 요금 입금 방식은 동전 입금, 지폐 입금, 신용카드 입금, 사이버 캐쉬 입금, 직불카드 입금, 우체국을 비롯한 각 금융기관이 발급한 통장 또는 현금 카드 입금, 교통 카드 입금, 환가가능한 번호의 입력, 후불제 입금 중 1 또는 2 개 이상을 발송 장치가 취급한다.
환가가능한 번호의 입력이란, 일정한 금액의 지불에 대응하는 특정한 번호을 부여받아, 이를 입력함으로써 금액을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
택배물 동일성 판단 과정
발송 장치는 선택적으로 택배물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부가할 수 있다. 택배물이 동일성 범위 내여서 동일하다고 판단하면 투입을 받아들이고, 동일하 지 않다면 반환하고, 그 이유를 출력한다. 이는 발송자의 부정 사용을 막는 방법으로도 활용되어 질 수 있다. 즉, 발송자가 싼 요금의 택배물을 선택해 놓고, 비싼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택배물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입
발송자를 마주보는 곳에 택배물을 투입하는 곳이 있다. 이는 크기와 무게에 관계없이 하나의 투입구를 가지는 방법과, 규격이 정해져 있는 택배물을 넣는 곳과, 그렇지 않는 것을 넣는 곳을 분리하여 투입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무게는 통상의 전자 저울을 사용한다.
둘째, 택배물 발송인과 의사소통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과 출력 장치가 필요한 바, 입력 장치로는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또는 음성 인식 장치를 쓸 수 있고, 출력 장치로는 모니터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영수증
영수증에 기본적으로 표시되어야 할 내용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영수증이라는 표시, (2) 발송 장치의 위치 및 택배 회사 주소, 전화번호 등 연락처 (3) 택배 서비스의 종류 및 요금 (4) 자기 택배물의 고유 번호 및 바코드가 있다. 그리고, 통상의 택배 서비스시 제공되는 총괄 된 양식의 영수증 방식에 사용자의 기본 입력 사항을 프린터 하여 출력해 준다.
네트워크와 연결
발송 장치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33)
즉, 발송 장치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총괄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어, 택배물 의 투입 완료와 동시에 그 택배물에 대한 모든 정보가 총괄 시스템에 전달되어, 총괄 시스템이 그 택배물의 배달을 위한 최적의 수취, 분류, 배송 준비 및 각종 비용 및 회계 계산 등을 실시간으로 처리한다. 모든 택배물에 고유 번호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손으로 주소 등을 쓴 경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인식 및 분류, 배송 체계를 광학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기계화 자동화 시킨다.
음성을 인식 받고 주소를 확정한 다음 그 주소 자료를 택배 물의 고유 번호와 함께 택배 총괄 운영 시스템에 전달하여 최적의 택배물 수취 분류 배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택배물을 분류하는 분류 시스템에서 고유 번호를 포함한 바코드를 인식하여 기계적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택배물을 분류할 수 있다.
수신자에게 연락
수취인의 연락처 입력이 있으면 수취인에게 고지를 할 수 있다.(35) 즉, 총괄 시스템의 컴퓨터는 택배물의 발송이 처리된 경우, 택배물의 투입 즉시 또는 수신자의 주소를 관할하는 택배 회사에 우편물이 도착되었을 때, 입력한 연락처에 대해 연락할 수가 있다. 연락 방법으로는 1) 전화 번호인 경우는 사람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전화 발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무선 방식으로 전화하거나, 2) 수취인의 전자 우편의 주소를 아는 경우는 그 전자 우편에 우편물의 수신을 예고할 수 있다.
수신자 정보의 입력과 통지 수단
발송인이 음성 또는 키패드 또는 키보드로 택배물 수신자의 정보를 입력할 경우는(31')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수신자의 정보는 크게, 주소, 연락처, 성명 등 이 있다. 발송자가 모두 다 입력하면 그것으로 충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다음 과정을 밟는다.
주소나, 전화 번호, 성명 등을 인식하면 이 정보를 총괄 시스템의 컴퓨터(32)에 보내고,(33) 총괄 시스템컴퓨터는 이 정보에 연관 되어 있는 택배물을 받을 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연락처 정보를 DB 로 부터 불러 와 발송인에게 보여 주고, 발송인의 선택이나 수정 입력이 있으면, 최종적으로 그 입력을 선택한다. 발송인의 최종 선택을 총괄 시스템에 제공하고, 총괄 시스템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수치인에게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거나 전자 우편을 발송하여 택배물의 개략적인 도착 시간을 알린다.(35) 그리고, 택배물을 받을 자의 관할 지역에 도착했을(37) 때, 택배물의 도착 시간을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택배물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을 다시 한번 알려 준다.(38)
세부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소만 입력 받았을 경우에는, 그 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그 주소에 존재하는 인(자연인, 법인을 포함한다. 이하 '사람'이라 통칭한다.)에 대한 정보 DB 를 검색한 다음 발송인에게 출력한다. 발송인은 그 주소에 존재하는 사람이 자신의 택배물의 수신인 경우는 그를 선택한다. 이 선택을 총괄 시스템에 전송하고, 총괄 시스템은 이 사람의 이름과 연락처를 연결해 놓은 정보 DB(가령 전화국 등의 정보 DB)로 부터 전화 번호나 연락처를 찾아 낸다. 이 전화 번호나 연락처에 대해 발송인의 확인을 구하는 절차를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총괄 시스템은 이 연락처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택배물 수신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예비하게 한다.
둘째, 받을 사람의 전화 번호만 입력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전화번호로부터 역으로 주소 및 받을 사람을 추적해 갈 수 있다. 즉, 전화 번호 정보로부터 이 번호의 소유자 내지 관리자의 주소 또는 이름을 DB 로 부터 알아 내고, 이를 발송인에게 제시하여 확인 또는 선택(주소 또는 이름이 다수일 경우)을 받는다. 연락처를 알면 그에게 총괄 시스템이 연락을 취한다.
셋째, 주소와 성명만 입력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입력 받은 정보를 총괄 시스템에 보내고 총괄 시스템은 자기 또는 타인의 정보 DB 에서 그 주소 및 성명을 찾아 낸다. 그리고, 이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을 구한다. 이 때, 총괄 시스템은 동시에 주소와 성명으로부터 이와 관련되는 연락처를 DB 로 부터 찾아 내어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확인을 구할 수 있다. 이 때 발송인은 '잘 모르겠음'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연락처를 바탕으로 하여 연락하는 것은 상기와 같다.
넷째, 주소와 전화 번호를 둘 다 입력한 경우이다. 이 때에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교차 검색을 하여 더욱 더 정확한 수신자를 출력해 줄 수 있으며, 이를 발송인으로부터 확인한다.
다섯째, 전자 우편 주소를 연락처로 입력 받았을 때는 그 전자 우편 주소로 연락하고, 그 전자 우편 주소에 해당하는 자의 전화 번호를 정보 DB 로부터 안다면, 그 전화 번호로도 선택적으로 연락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총괄 시스템은 받을 자를 특정한다. 전화 번호는 유무선의 모든 통신 수단에 관련되는 연결하여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류의 번호(통상의 유무선 전화기, 휴대용 전화기(핸드폰), PDA, 무선 호출기 등 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모든 통신 수단)를 통칭한다.
수신자에게 통지 과정
총괄 운영 시스템이 수신함으로부터 연락처 정보를 받아 택배물 수신자에게 연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화번호만을 안 경우의 기본적인 확인 연락 과정이다.
1) 전화 번호로서 택배 회사가 내부적으로 결정한 통상으로 전화를 할 수 있는 시간대인가를 확인한 다음, 전화를 건다.
2) 발송인의 택배물의 정당한 수신자인가를 확인한다.
3) 택배물 및 택배 과정에 대한 추가 정보의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3)과정의 추가 정보로는, 택배물의 예상 도착 시각 범위, 발송인의 정보, 택배물을 받기를 원하는 시각, 택배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연락처 또는 홈페이지 주소 등이 있다.
다음으로 전자 우편만을 안 경우는 곧바로 다음의 내용을 담은 전자 우편을 발송한다.
1) 정당한 택배물 수신자인가의 확인하는 과정
2) 정당한 수신자일 경우 연락할 연락처의 입력
3) 택배물을 받기를 원하는 적정 시간대의 입력
4) 기타 택배 운영 시스템에 대한 정보
총괄 운영 시스템은 택배물 수신자로부터 응답이 있을 경우는 이 정보를 택배물의 분류, 배송, 송달 등의 각 과정에 반영하여, 최적의 운송 시스템을 구축한 다.
즉, 택배 회사의 총괄 운영 시스템은 내부적으로 연락하는 과정을 다단계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일반 회사인 경우 가급적 통상의 업무 시간대에 연락하고, 업무 시간 외라면, 택배물 수신자의 다른 연락처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그 사람의 주거지 전화 번호를 연락하거나, 전자 우편으로 연락한다.
라벨 부착
유인 택배 시스템은 택배물에 발송자와 택배물 수신자의 정보가 담겨 있는 쪽지 등을 붙이는 것이 대부분이며, 우편으로 소포 등을 보낼 때, 포장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정보를 쓰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과정은 귀찮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쓰는 것이 통상이기 때문에 잘 알아 볼 수도 없고, 광학적 문자 인식을 적용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적용한다 하더라고 그 정확성을 담보해 내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안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무인 지능형 택배물 수신함은 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발송자로부터 발송자의 정보 및 택배물을 받는 자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양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반송을 대비해 발송자에게 되돌려 주는 과정이 포함되는 통상의 택배 시스템에서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 입력은 음성 인식, 문자 및 숫자 형태의 인식 등의 방법에 의한다.
이 입력을 바탕으로 하여, 입력자의 확인을 구한 다음 이를 프린팅하여 발송인이 택배물에 붙일 수 있게 한다. 출력물은 뒷면에 접착제가 칠해져 있다. 그리 고, 택배물이 너무 작아 출력물이 너무 클 경우는 입력자의 선택에 따라 간이한 정보만이 프린팅 된 것을 부착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총괄 시스템은 상세한 입력 정보를 이 간이 정보만이 프린팅 된 것과 1:1 대응시켜 택배 운영에 차질이 없게 한다. 이 방법의 장점은 고유 번호(바코드 포함)를 따로 출력함이 없이 한장의 출력물에 발송인 정보, 수신자 정보, 고유 번호를 모아서 출력해 택배물에 한장만 부착하면 충분하게 택배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송, 수신지 수정 등의 3 자간 상호작용
택배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발송인과 수신자로 지정된 자 및 총괄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구성이다.
첫째, 택배물의 수신자가 수신할 수 없어, 반송해야 하는 경우이다.
반송을 해야 할 경우는 상기의 택배 시스템을 역으로 운영한다. 즉, 택배 회사가 발송인에게 연락하고, 반송한다.
둘째, 택배물의 수신지를 수정하는 경우이다. 택배물의 수신지가 잘 못 지정되었거나, 기타의 이유로 발송인이 수신지의 수정을 요구하는 경우이다. 지능형 택배물 수신함은 영수증에 발송인의 택배물에 대한 고유 번호를 제시해 주는데, 이 고유 번호가 택배물에 대해 1:1 대응하게 된다. 그러므로, 총괄 시스템에 전화,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정당한 택배물 발송인의 확인을 받은 후 택배물의 수신지를 변경 입력하고, 총괄 시스템은 그 고유 번호에 연결되어 있는 택배물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여 운영하고, 그 이전의 정보는 따로 저장한다.
고유 번호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택배물의 각 배달 단계에서 택배물의 고유 번호를 읽어 현재의 택배물의 정보를 총괄 시스템에 보낸다면, 발송자는 택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자신의 택배물의 현재 위치를 알 수도 있다.
장치의 설치 예
위의 택배물 수신 장치와 이 수신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소구역 단위로 상기의 수신 장치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소구역 단위란, 동 단위, 읍, 면 단위 등 행정 구역상의 소 규모 단위 및 인구 밀집 지역인 경우에는 아파트 단위, 건물 단위 등이 그 예가 된다. 그리고, 한 단위 내에 수개의 택배물 수신 장치를 수 곳에 설치할 수 있다.
편의점 체인 또는 비디오 대여점 체인 등 각종의 체인망과 연계하여 본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다수의 택배 회사들의 공동 이용
다수의 택배 회사들이 수신함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의 구성이다.
이 경우, 발송인은 맨 먼저 어느 택배 서비스 회사를 선택할 것인가를 요구 받게 된다. 택배 회사가 선택되면, 그 이후의 발송인의 입력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고, 택배물에 부착되는 정보에도 택배 회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또한, 발송인이 받는 영수증에도 택배 회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발송 장치는 택배 회사가 선택되면, 그 택배 회사의 총괄 운영 시스템과 연결하여 그 회사의 운영 시스템에 따라 발송인과 상호 작용을 하게 되며, 이 과정은 단일 회사와 발송자와의 상호 작용과정과 동일한다.
비교 출력
발송 장치은 발송인의 택배물의 특성을 파악한 다음 각 택배 회사의 총괄 컴퓨터에 조회하여 각 택배 회사의 서비스를 비교한 정보를 발송자에게 출력해 준다.
발송인은 자신의 택배물의 질과 양, 도착지, 운송 방법, 도착해야 하는 시간,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범위 등의 제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조건에 최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택배 회사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의 제시를 요구할 수 있으며, 발송 장치는 이에 대해 응답해 준다.
옵션을 통한 거래 과정
발송 장치을 통하여 발송인이 택배 회사와 다음과 같이 선택 또는 옵션(option)을 통해 거래(dealing)하는 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발송인이 택배물에 대하여 여러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그 조건에 대해 택배 회사의 총괄 운영 시스템이 응답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 택배물에 대해 발송인이 지불하는 비용에 대한 거래(deal)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통상 2 일만에 도달하는 기본 중량의 한 택배물에 대한 비용이 5,000 원일 경우라 하자. 발송인은 택배 회사의 총괄 시스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조건쌍을 입력하고 응답을 기다릴 수 있다.
(1)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발송 후 6 시간 또는 12 시간 안에 도착하게 하고 싶다. 비용과 기타 조건은?
(2)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1 시간 내에 동일한 수신함을 통해 5 개의 택배물을 발송할 예정이다. 비용과 기타 조건은?
(3) 20,000 원의 비용을 낸다면 최대한 얼마나 빨리 도착하게 할 수 있는가? 비용과 기타 조건은?
(4) 정확하게 다음날 오후 5 시 50 분에서 6 시 10 분 사이에 도착하게 하고 싶다. 비용과 기타 조건은?
이처럼 발송인은 총괄 운영 시스템에 다양한 거래 조건(option)을 던질 수 있고, 총괄 시스템은 이에 대해 답변한다. 총괄 시스템은 답변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일 수 있다.
(1) 에 대해서는 6 시간 안에 도달하게 할 경우는 30,000 원, 12 시간 안에 도달하게 할 경우는 15,000 원이며, 9 시간이라면 20,000 원일 수 있다. 선택하고 그에 따른 조건은 다음과 같다.
(2)에 대해서는 3 개 이내라면 할인은 없고, 4 개부터 6 개까지는 20% 할인이 되므로, 5 개이면 총액에서 20% 할인 된다. 7 개 이상이면 30% 할인, 10 개 이상이면 35%가 할인 된다. 선택하고, 그에 따른 조건은 다음과 같다.
(3) 에 대해서는 9 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다, 만약 30,000 원을 낸다면 6 시간 내에, 15,000 원을 낸다면 12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다. 선택하고, 그에 따른 조건은 다음과 같다
(4)에 대해서는 60,000 원이며, 오후 5 시 40 분에서 6 시 20 분 사이라면 40,000 원이다. 선택하시고, 그에 따른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선택 또는 옵션에 따라 거래가 조건이 만들어 지고, 그 거래 조건에 대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고 과금이 되면 거래가 성립한다. 발송인이 받는 영수증 에는 그 거래 정보 및 거래 계약의 내용이 출력된다.
수거자와 택배물 발송장치의 운영자인 택배 회사가 다른 주체인 경우
택배물 발송 장치를 운영하는 자(이하 '운영자' 또는 '운영자인 택배 회사'라 한다)와 택배물을 수거해 가는 자(이하 '수거자'라 한다)가 다를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택배물 저장통이 있다면 그 통속에서 수거자가 택배물을 꺼낼 필요가 있으며, 이 때에는 그 수거자가 택배 회사와 계약 또는 정식의 관계를 맺은 정당한 수거자인지를 점검할 필요 및 수거 사실이 발생하는 것을 택배 회사의 컴퓨터가 알 필요가 있다. 그래야, 수거 이후의 과정에 대해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며, 택배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거자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 대해 고유키 또는 비밀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정당한 수거자임을 승인 받을 수 있다. 고유키란, 열쇠, 카드, 키입력, 음성 입력 등을 사전에 약속된 방식으로 입력하여 정당한 수거자임을 승인 받는다. 열쇠 등이 아닌 경우라면 그 입력에 대응되는 반대 키(counter key)가 택배물 발송 장치내에 있다면 그 입력에 대해 발송 장치는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그 반대 키가 택배 회사의 컴퓨터에 있다면, 수거자의 입력을 택배 회사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고, 택배 회사의 반대 키와 매칭(matching)하여 정당한 수거자 임을 확인해 줄 수 있다.
이 때, 택배 회사의 컴퓨터는 수거자의 정보를 택배물에 대한 정보와 연동하여 저장하고, 택배물 발송 장치도 그 중간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저장할 수 있다.
만약, 택배물의 저장통이 없는 택배물 발송장치인 경우, 택배물은 발송장치 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에도 수거자가 택배물을 수거하면서 수거했다는 정보를 택배 회사에 알여줄 필요성이 크므로, 수거자는 자신의 고유키 또는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하여 자신의 신원(identification)을 택배 회사에 밝히고 수거 시간 등을 입력함으로써 정당한 수거자로서 택배물을 수거하였음을 택배 회사에 알린다. 즉, 수건 시간을 입력함으로써 그때까지의 택배물 발송 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택배물을 택배 회사가 수거 이후의 과정에 대비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수거자의 입력이 있으면, 택배물 발송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 입력 정보를 택배 회사의 컴퓨터에 전송하고, 컴퓨터는 이를 택배물의 정보와 연동하여 기록 또는 저장한다.
지능형 무인 우체통
정의
전술한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는 우체통에 대해 적용한 것을 지능형 무인 우체통이라 한다. 즉, 택배 서비스는 우편 서비스이고, 택배물은 우편물 또는 소포이고, 택배회사는 우체국 또는 우체국 관련 단체, 수거자는 우체국 또는 우체국으로부터 수거 업무를 의뢰받은 자이며, 라벨은 우표 또는 그 대용물, 택배물 발송 장치는 무인 우체통으로 대치하면 지능형 무인 우편물 또는 소포 발송 장치 또는 지능형 무인 우체통이 된다.
택배 발송 장치와 공통점과 차이점
차이점
운영 주체가 우체국 또는 우체국 관련 단체이며, 과금 후의 우편물에 부착하 는 것이 우표일 경우와, 택배물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고유 번호가 포함된 라벨 출력인 경우의 2 가지이다.
편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편지 전용 투입구가 있다.
공통점
하드웨어적 구성, 운영 체계 등 대부분의 것이 동일하다.
우편물 바코드 시스템
종래에 우체국에는 바코드를 우편물에 부여하지만, 그 바코드는 우편물의 고유 번호에는 할당되나 요금에 대한 정보가 없어, 그 우편물을 다양한 요금 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각 요금에 따라 별개의 방식(보통, 빠른, 국제 등)으로 자동으로 분류할 수 없게 된다.
우편물의 바코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바코드 시스템을 구축한다.
첫째, 우편물(소포를 포함한다)의 바코드를 단지 고유 번호를 하나 부여하는 수준을 넘어 서게 체계적으로 구성한다. 즉, 우편물에 부착하는 바코드에는 우편 서비스의 종류, 우편물의 요금, 접수 우체국의 위치 정보, 우편물의 도달지 정보 등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된다.
즉, 개선된 바코드와 1:1 대응하는 고유번호는 정보는 우편물의 요금을 포함하는 고유번호, 우편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고유 번호, 접수 우체국의 위치를 포함하는 고유번호, 우편 서비스의 종류와 우편물의 요금을 포함하는 고유번호, 우편물의 요금과 접수 우체국의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번호, 우편 서비스의 종류와 접수 우체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번호, 우편서비스의 종류, 우편물의 요금, 접수 우체국의 위치 정보 모두를 포함하는 고유번호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각각에 우편물이 도달할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번호가 있다.
둘째, 바코드 발생 및 출력 시스템이 네트워크로 전체 우편물을 관리하는 총괄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어, 바코드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즉, 우편물에 대한 서비스의 종류가 결정되고 우편물의 성질에 따라 요금이 결정되면, 상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우편물의 개별성(identity)를 나타내는 번호가 설정되고, 그 번호에 따르는 바코드가 발생된다. 바코드 발생기는 범용의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컴퓨터가 판단한 정보를 출력기의 형태를 띄는 바코드 발생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우편물이 우체국에서 최종적으로 처리되었으면 그 처리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의 총괄 시스템에 보내고, 중앙의 시스템은 관할하는 지역 또는 전 우체국을 총괄 한 전국의 범위 내에서 이를 분석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우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한다.
셋째, 우편물의 요금 체계가 우편 서비스의 종류와 우편물의 질과 양의 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보통인바, 만약 어떠한 우편 서비스의 종류와 우편물의 질과 양의 결합이더라도 동일한 액수의 요금이 나오지 않게 요금 체계를 구성한다면, 다시말하면, 우편물의 요금만을 보고서 그 우편 서비스의 종류와 우편물의 질과 양을 역으로 밝혀 낼 수 있다면, 우편물의 요금은 고유 번호 체계에서 불필요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요금 체계가 시간에 따라 변하고, 우체국의 업무들이 다양화 될수록 이렇게 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 때에는 우편물의 요금과 우편 서비스를 특정하면, 이 우편물의 질과 양을 알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위와 같은 기본적인 요건이 갖추어 지면 다음과 같은 구성이 가능하다.
넷째, 우편물의 고유 번호 발행 정보를 총괄 시스템이 알면, 이에 맞게 우편물의 수집, 분류, 배송, 환송 체계를 최적으로 짤 수 있다. 가령, 특급 우편물의 수령은 하루에 2 회 있는 것이 보통인에, 서울 관악구 신림 9 동 우체국에서는 특급 우편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번호 또는 바코드가 발행된 적이 없다면, 관악 우체국이 특급 우편을 수집하기 위하여 신림 9 동 우체국에 올 필요는 없어지며, 특급 이외의 다른 우편물 수령 시간에만 신림 9 동 우체국을 방문하면 된다. 즉, 우체국의 업무가 복잡해지고, 우편 업무가 다양해 질수록, 특정한 우체국에서 접수한 우편물의 전체적인 정보를 알면 방문의 여부, 방문하는 순서, 재방문의 여부 등을 가장 합리적으로 짤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의 절약이 된다. 각 단위 우체국에서의 정보들을 모아 우체국 내의 중앙 컴퓨터가 총괄적으로 관리하게 되면, 우편물의 발송과 동시에 이 우편물에 대한 최적의 운송 체계가 짜여 지게 된다. 그리고, 시간적 공간적으로 우편물의 발송 자료를 통계처리하면, 각종 의미있는 통계적 분석 자료와 회계 자료가 실시간으로 나오게 된다.
다섯째, 우편물의 분류가 쉬워진다. 현재의 우편물의 분류는 우편번호 관리 체계를 따르고 있으며, 통상의 편지 등은 광학 문자 인식 등의 방법으로 우편 번호를 인식하고, 이 우편 번호 체계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우편물을 분리한다. 그러나, 소포 등은 우편 번호 쓰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편 번호의 크기 등의 변동폭이 심하므로 광학 문자 인식의 방법으로는 그 인식의 정확도에 한계가 있다. 이때, 바코드 방식은 소포 등에서 더 큰 위력을 발휘한다.
여섯째, 바코드나 고유번호가 소포 등에 붙어 있어도 소포 등은 입체적인 것이 대부분일 것이므로, 바코드가 어느 위치에 붙어 있는가를 사전에 자동적으로 파악하기는 힘든다. 그래서, 이를 위하여는 다은과 같은 에서 광학적 인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광학적 판독기를 쌍으로 6 면에 다 설치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소포 등이 컨베이어 벨트를 통과해 가면 동서 방향, 남북 방향, 상하 방향에서 6개의 인식기를 달면 상당히 정확하게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일곱째, 각 우체국에서 수집된 고유 번호를 총괄 시스템이 알고 있다면, 배송 등에서 효율적인 준비를 할 수 있다. 즉, 어느 지역에 가는 우편물이 어느 정도라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그에 맞추어 업무 배치를 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지역에 우편물이 집중 등이 될 때 이의 배달 지연도 사전에 대비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국제 우편물에 대해서는 더욱 위력을 발휘한다. 사전에 국제 우편물의 양과, 배달해야 할 장소, 배달해야 할 시간 등을 안다면 항공기나, 선박의 예약 및 상대국 국가에 배달의 정보를 사전에 제공해 줄 수 있어 물류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총괄 시스템은 각 우체국을 단위로하여 수집된 정보를 자기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의 타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제공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고유 번호에 요금의 정보가 들어 있으면, 이 바코드 표지를 우표 대신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표의 발행 비용과 부착 등에 들어 가 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요금의 수치를 단지 수치로 출력하는 바코드 시스템에 비하여, 일정 액수 단위가 있는 우표 방식의 경우, 임의의 요금에 해당하는 우표를 붙이기 위해서는 몇장의 우표를 조합하여 붙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이 우표 방식은 실시간으로 우체국의 매출을 계산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어느 우표가 얼마만큼 소모되는지도 알 수 없어 우표의 재고가 항상 남게 되는 불경제가 상존한다.
지능형 무인 택배물 발송 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택배 회사가 발송자의 위치까지 직접 와야 하는 불편과 시간의 소모를 줄이고, 좀더 빨리 택배물을 수집할 수 있어 택배 배달 과정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며, 비용이 절약되고, 이는 택배물 발송 요금의 인하로 이어진다.
둘째, 양자가 서로를 기다려야 하는 단점을 극복하게 됨과 동시에, 야간에 택배물 발송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예약의 필요가 없으며, 발송을 결심한 즉시 발송할 수 있다.
셋째, 발송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택배 회사는 발송자의 발송 즉시, 전체 또는 각급 지역 단위에서 최적의 수취, 분류, 배송, 배달 체계를 마련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이는 택배물의 서비스 요금 인하에도 도움이 된다.
넷째, 발송자와 택배 회사들이 다양한 거래 조건으로 교섭할 수 있어, 발송자 및 택배 회사가 각기 최적의 조건으로 거래할 수 있다.
다섯째, 택배물에 부착할 라벨이 발송 장치가 입력 받은 자료로부터 출력해 주므로, 발송자의 쓰는 노력을 절감해 줄 뿐만 아니라, 자료 자체가 네트워크로 총괄 시스템의 컴퓨터에서 DB 화 됨으로써, 택배물의 배달의 각 단계에서 별도의 추가 입력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요금의 수납과 관리가 자동으로 되어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섯째, 수신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전자화, 자동화 시킬 수 있어 통신 비용을 절감하고, 수신자와의 사전 연락을 통해서 수신자를 중복하여 찾아갈 필요가 적어진다.
일곱째, 하나의 발송 장치로 여러 회사가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여덟째, 다양한 과금 수단이 가능해 지고, 과금 즉시 통계처리가 가능해 져 수금이나 입금의 불편이 제거된다.
지능형 무인 우체통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편지뿐만 아니라, 소포 등의 3 차원으로 된 발송물을 접수받을 수 있다.
둘째, 각종 우편 서비스에 대하여 우편 요금을 몰라 우표를 제대로 부착하지 못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우편물 바코드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표를 대체할 수 있으며, 어떠한 요금도 간단하게 출력할 수 있어 여러 개의 우표를 조합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둘째, 우편물의 발송과 동시에 이 우편물에 대하여 최적의 발송 체계가 전자 적으로 구성되며, 요금 및 우편물에 대한 종합적인 통계, 분석, 회계 자료가 전산화되며,
셋째, 즉, 이와 같이 고유 번호에 요금의 정보가 들어 있으면, 이 바코드 표지를 우표 대신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표의 발행 비용과 부착 등에 들어 가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우표 방식은 실시간으로 우체국의 매출을 계산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어느 우표가 얼마만큼 소모되는지도 알 수 없어 우표의 재고가 항상 남게 되는 불경제가 상존한다.

Claims (16)

  1. 택배물의 발송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발송자에게 정보를 출력해 주는 입출력 장치;
    상기 발송자가 상기 택배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물을 출력해 주는 출력 장치;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처리하는 과금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금 장치는
    상기 택배물의 수신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발송자의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택배물을 처리하는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에게 전송하고,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요금을 포함하는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를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받고, 상기 발송자로부터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결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의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는 상기 발송자가 희망하는 상기 택배물의 배송에 걸리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는 상기 택배물의 배송에 걸리는 시간별 요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장치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택배 회사의 요금 정보에 대해, 상기 발송자로부터 추가적인 발송 조건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입수된 추가적인 발송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 시스템으로 전송하여,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발송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받고, 상기 발송자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발송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결정하는 것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
  5. 택배물의 발송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발송자에게 정보를 출력해 주는 입출력 장치;
    상기 발송자가 상기 택배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물을 출력해 주는 부착물 출력 장치;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처리하는 과금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금 장치는 상기 택배물의 수신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발송자의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택배물을 처리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에게 전송하고,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들로부터 상기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요금을 포함하는 상기 택배 회사들의 택배 요금 정보를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받아 상기 택배물 발송자에게 상기 택배 회사별로의 상기 택배 요금 정보를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발송자로부터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된 상기 택배 회사별로의 상기 택배 요금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결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
  6. 택배물의 발송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발송자에게 정보를 출력해 주는 입출력 장치;
    상기 발송자가 상기 택배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물을 출력해 주는 출력 장치;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처리하는 과금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서의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택배물 발송 장치가 상기 발송 요금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택배물의 수신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발송자의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택배물을 처리하는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요금을 포함하는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를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발송자로부터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서의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의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는 상기 발송자가 희망하는 상기 택배물의 배송에 걸리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서의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는 상기 택배물의 배송에 걸리는 시간별 요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서의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택배 회사의 요금 정보에 대해, 상기 발송자로부터 추가적인 발송 조건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상기 입수된 추가적인 발송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발송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받고, 상기 발송자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발송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택배 회사의 택배 요금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서의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10. 택배물의 발송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발송자에게 정보를 출력해 주는 입출력 장치;
    상기 발송자가 상기 택배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물을 출력해 주는 부착물 출력 장치;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처리하는 과금 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서의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택배물 발송 장치가 상기 발송 요금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택배물의 수신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발송자의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를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택배물을 처리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들로부터 상기 택배물 발송 조건의 입력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요금을 포함하는 상기 택배 회사들의 택배 요금 정보를 상기 택배 회사의 전산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받아 상기 택배물 발송자에게 상기 택배 회사별로의 상기 택배 요금 정보를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발송자로부터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표시된 상기 택배 회사별로의 상기 택배 요금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택배물의 발송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물 발송 장치에서의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00071779A 2000-11-29 2000-11-29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KR100774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779A KR100774532B1 (ko) 2000-11-29 2000-11-29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779A KR100774532B1 (ko) 2000-11-29 2000-11-29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062A KR20020042062A (ko) 2002-06-05
KR100774532B1 true KR100774532B1 (ko) 2007-11-08

Family

ID=1970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779A KR100774532B1 (ko) 2000-11-29 2000-11-29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620B1 (ko) * 2001-04-07 2004-05-22 야마또운유가부시끼가이샤 택배 화물용 주소 성명 라벨 발행 시스템 및 주소 성명 라벨 발행 프로그램
KR100372039B1 (ko) * 2001-06-01 2003-02-14 (주)선진비알티 바코드가 인쇄된 원서의 무인 접수 시스템
KR101218827B1 (ko) * 2009-03-09 2013-01-18 주식회사 이지라커 가변선반이 구비된 화물 보관 시스템 및 그 보관 방법
KR101496296B1 (ko) * 2013-02-07 2015-03-23 (주)이온누리 무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배송 방법
CN104700510A (zh) * 2015-03-17 2015-06-10 苏州长鼎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快递箱系统和寄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131A (ko) * 2000-07-15 2000-10-05 김상관 무인수납장치를 이용한 배달정보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131A (ko) * 2000-07-15 2000-10-05 김상관 무인수납장치를 이용한 배달정보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062A (ko) 200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43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ail including pre-sorted mail, and a smart mail box adaptable for use with the system and method
US9256844B2 (en) Passive RFID postage stamp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0373970B2 (en) Flexible billing rate for mail communication systems
CN102152953B (zh) 利用储物柜邮寄、投递邮件及取得储物柜寄存邮件的方法
US20140067665A1 (en) Delivery Service System
CN103106695A (zh) 一种自助包裹寄送存取设备、及其系统
CN105117883A (zh) 一种自动取件、寄件的方法及系统
US7346590B2 (en) Method to account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il fees
CN103679407A (zh) 智能邮箱系统
US6121565A (en) Method manipulating a delivery system using expiring indicia
US201402581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Postal Rate Discounts
CN106709684A (zh) 一种快递整合方法
TWI605395B (zh) 用於代收第三方帳款的代收帳款平台、代收帳款系統與代收帳款的方法
EP1836592B1 (en) Using associated knowledge database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mailing process
KR100774532B1 (ko) 택배물 발송 장치 및 택배물 발송 요금 처리 방법
US20010002464A1 (en) Scanner-based automated service scheduling, management and billing system
US7991704B2 (en) Method of post selection of and payment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il value added services
US8279064B2 (en) Method for postage evidencing for the payment of terminal due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JP2003044551A (ja) 配送物収集装置とその収集方法、及び収集プログラム、配送物収集システム
US8600905B1 (en) Delivery service
JP2003145056A (ja) 郵便システム及び方法
JPH11328451A (ja) 旅費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乗車券カード及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改札装置
KR100798922B1 (ko) 다량 우편물 요금 정산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071289A1 (en) Method for postage evidencing for the payment of terminal dues
KR20020012090A (ko) 인터넷과 무인우편물처리장치를 이용한 우편물 발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