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889B1 -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889B1
KR100766889B1 KR1020050029232A KR20050029232A KR100766889B1 KR 100766889 B1 KR100766889 B1 KR 100766889B1 KR 1020050029232 A KR1020050029232 A KR 1020050029232A KR 20050029232 A KR20050029232 A KR 20050029232A KR 100766889 B1 KR100766889 B1 KR 10076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lete delete
time
television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178A (ko
Inventor
지승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5002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889B1/ko
Priority to PCT/KR2006/001285 priority patent/WO2006115341A1/en
Publication of KR2006010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업스트림과,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단말에 전달하는 다운스트림이 가능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온/오프하는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종래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의 선호 채널 또는 선호 프로그램의 분석에 의한 새로운 수요창출이라는 사익적 목적에 초점이 있으나, 상기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노인의 시간에 따른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이들의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공공 복지를 증진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BEHAVIOR MONITORING SYSTEM USING SET TOP BOX FOR INTERACTIVE DIGITAL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최초로 텔레비전을 켠 시간과 최종 끈 시간에 대해서만 모니터링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시청 패턴이 정상적인지 또는 비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만을 전달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5는 시간에 따른 생활패턴의 이상여부 감지기능 뿐만 아니라 긴급 경보 기능을 추가로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시간에 따른 생활패턴의 이상여부 감지기능 뿐만 아니라 긴급 경보 기능을 추가로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양방향 방송을 이용하여 노인의 신체 이상유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노인의 신체 이상 유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노인들의 위급 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국 사회에 있어 현재 뚜렷한 현상은 출산율은 저하되고 있는 반면, 의료수준의 향상과 생활여건의 개선에 따라 노인인구가 급속히 늘어나는, 즉 노령화의 진행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의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평균수명이 2000년에는 74.9세, 2010년에는 78.8세, 2030년에는 79세로 연장될 전망이다.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2000년에는 337만 명에 이르고, 2030년에 가서는 1천만 명이 되어 전체 국민의 23%가 넘을 것이라고 예측된다. 이와 더불어 산업화의 특징인 핵가족화 현상의 그늘 속에 65세의 노인인구 중 노인 단독 세대는 현재 60%에 이르고 있으며, 이러한 수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노인 단독 세대 중 약 87%의 노인이 치매, 중풍, 암 등 각종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노인"은 인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노화와 더불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점차 쇠퇴하여 생활기능 수행상의 장애를 경험하는 사람으로 정의되며, " 독거노인"이란 혼자 사는 노인을 말하는데 자녀가 있어도 별거하여 단독가구를 형성하고 혼자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이라고 정의된다. 이에 "노인문제"라 함은 노인에게 공통적으로 기본적 생존과 발전의 욕구나 문제를 노인 자신이나 가족의 노력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상태로써 경제적 어려움, 건강 보조의 어려움, 고독과 소외 및 갈등을 느끼는 상태를 포함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산업화에 따른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노령인구가 증가되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IMF 이후 국가의 예산부족으로 노인복지정책이 소홀해지면서 끼니마저 해결하지 못하는 노인들이 크게 늘고 있다. 일례로, 현재 경기도내에 운영중인 무료급식시설은 77개소로 자활능력 및 부양자가 없는 저소득/독거노인을 포함해 하루 평균 1만 여명이 상기 시설을 전전하면서 끼니를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노인세대의 희생을 바탕으로 빈곤에서 벗어나 물질적 풍요를 맛보며 살아온 지금의 세대들은 전적으로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즉, 세대간의 가치관 괴리가 심각해지면서 가족에 의한 노인부양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노인문제는 한 개인이나 가족만의 문제점이 아니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 또는 사회 구성원 전체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이다.
이러한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2001년 노인들에게 국민연금을 지급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즉, 노인복지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마련된 본 사업은 경로연금제도의 내실화를 통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으로 겪고 있는 노인들에게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소득보장혜택을 부여함으로써 노후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고, 전국민연금이 실시되어도 연령상의 이유로 국민연금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노인들에게 연금 혜택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대상 지급대상자는 65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로서 1933. 7. 1일 이전 출생의 저소득노인이다. 보건복지부 노인복지과의 구체적 방침을 살펴보면, 무소득 노인은 80세 이상 월 5만원, 65-79세 월 4만원, 일반 저소득노인은 전액 지급자 월 3만원, 감액 지급자 월 22,500원을 지급한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의료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65세 이상의 노인을 위한 의료보호 정책을 들 수 있다. 상기 정책은 의료 시설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인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저렴하게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정책은 노인의 질환을 사전예방 또는 조기 발견하고 질환상태에 따른 적적한 치료·요양으로 심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노후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노인의 보건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보건사회부의 가정보건복지부 심의관실 노인보건과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65세 이상 노인에게 1차 진단으로 심전도검사 외 11항목(기본진찰, 체능검사, 혈액검사, 뇨검사, X선 촬영 기타 등등)과 2차 진단으로 정밀안전검사 외 29항목(흉부, 순환기, 간장, 당뇨, 정신질환, 빈혈증 기타 등등)에 대하여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진단수가(2000년기준)은 1차 - 5,000원, 2차 - 4,300원이고, 2001년 기준으로 진단수가는 1차진단 13,360원, 2차진단 15,346원으로 많이 올랐다.
또 따른 방안으로 치매연구 관리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상기 사업은 치매 예방 및 치매퇴치를 위하여 치매 연구 및 관리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적용 대상 은 노인복지시설의 종사자, 치매환자 및 그 보호자로서, 치매관련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상기 사업의 설치근거는 노인복지법 제29조,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제12조 제1항과 지역보건법 제9조 제4항이다.
이 밖에도 경로 우대정책에 따른 교통 문화 우대 서비스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으나, 상기 방안들은 모두 사후처방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다. 노인 문제의 가장 근본적인 대책은 노인들이 사회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 중 일원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다. 노인 문제는 바로 건강과 외로움이라는 심리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치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바로 이 건강과 외로움이라는 심리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치유하는데 있어서 양방향 디지털 방송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노인들이 가장 친숙한 미디어는 다름 아닌 텔레비전이며, 상기 매체는 현재 양방향 디지털 방송의 상용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양방향 디지털 방송에 근거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에 근거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청자의 성향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시청자가 어떠한 광고 또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지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러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새로운 수요의 창출이라는 사익적 목적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시청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청자의 성향 분석을 통해 시청자의 관심 사항을 파악하고, 상기 관심 사항과 관련 있는 광고 또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시청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대상이 노인일 경우 새로운 수요의 창출이라는 것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노인의 경우 새로운 수요의 창출이라는 사익적 목적으로 접근하여서는 안되며, 공공복지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한다는 가장 기본적 전제조건을 감안할 때, 종래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양방향 디지털 방송에 근거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수행함에 있어서 노인을 대상으로 공공적 목적 하에서 접근하는 것을 가장 기본적 전제조건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인의 생활 패턴이 시간에 의존하는 일정한 틀을 갖는다는 것에 기초한다. 정해진 일정한 시간에 기상(통상 오전 6시에서 7시 사이)하고, 일정한 시간동안 활동(통상 오전 9시에서 오후 7시 사이)하고 정해진 일정한 시간에 취침(통상 9시에서 10시 사이)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아울러, 노인들은 다른 미디어에 비해 텔레비전 매체에 가장 친숙하여 일정한 시간에 텔레비전을 켜고 일정한 시간에 텔레비전을 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노인은 텔레비전 매체에 친숙하여 아침 식사시간에 텔레비전을 켜고, 외부 활동 시간을 거친 후 저녁 취침 전에 텔레비전을 시청한 후 취침에 들기 전에 텔레비전을 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한 본 발명은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업스트림과,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단말에 전달하는 다운스트림이 가능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온/오프하는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어도 사용자가 하루 중 최초로 텔레비전을 켜는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자가 하루 중 최초로 텔레비전을 켜는 시간과 더불어 하루 중 최종적으로 텔레비전을 끄는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텔레비전이 끄진 상태가 일정시간을 초과하거나 켜진 상태가 일정시간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자에 의한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을 모두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시청 패턴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상기 셋톱박스가 사용자로부터의 긴급신호를 수신하여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업스트림과,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단말기에 전달하는 다운스트림을 구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하며,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을 온/오프(또는 개시/종료)할 때,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다. 이 때 노인의 신체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루 중 최초로 텔레비전을 켜는 시간이다. 따라서, 상기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하루 중 최초로 텔레비전을 켜는 시간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가 하루 중 최초로 텔레비전을 켜는 시간과 더불어 하루 중 최종적으로 텔레비전을 끄는 시간을 모니터링한다. 노인의 경우 통상 취침을 들기 전에 텔레비전을 끄는 경향이 현저히 높으므로 이를 체크함으로써 사용자가 활동 중에 특별한 이상이 없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텔레비전이 장시간 켜지지 아니하거나 장시간 켜진 상태가 계속하여 유지될 경우에도 노인의 신체에 이상이 생길 확률이 현저히 높다. 따라서, 텔레비전의 꺼진 상태가 일정시간을 초과하거나 켜진 상태가 일정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도 이를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자에 의한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을 모두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시청 패턴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에게 전달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셋톱박스(100)는, 사용자에 요청에 의해 또는 수신된 신호의 종류에 의존하여, 신호처리 및 제어유닛(10)을 통해 신호를 처리 및 제어하여, 수신된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2)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저장매체(20)(예: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거나, 특정 컨텐츠의 요청을 한다. 이 때, 셋톱박스로 전달되는 신호(예: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업스트림이라 하고, 특정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다운스트림이라 한다. 상기 다운스트림은 리턴패스 서버(3)에 의해 통상 처리된다.
상기 셋톱박스(100)는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 바람직하게는 최초 켜는 시간 또는 이와 더불어 최종 끄는 시간을 1일 단위로 모니터링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상기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4)에 전달하는 애플리케이션(30)을 구비하는 것을 제1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 플리케이션은 종래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과 모니터링 대상, 수집된 정보의 전달 대상 등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역할 역시 상이하다. 종래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호 광고 및 선호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향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30)은 노인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텔레비전 온/오프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 자 또는 이와 특별한 관련성을 갖는 자에게 수집된 정보를 송신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30)은 수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 즉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에게 전달한다. 아울러, 종래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30)은 사용자가 시청하는 광고 또는 프로그램의 분석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수집하지만,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30)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는 다운스트림을 처리하는 리턴패스 서버(3)를 통해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4)에 전달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 또는 "사용자의 부양 의무가 있는 자"라 함은 사용자의 신체적 이상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자를 말한다. 이러한 부양의무는 법률적으로, 사적인 계약에 의해, 또는 사회적, 도덕적 의무에 의해 성립할 수 있다. 부양의무를 갖는 자의 예로는 사용자의 자녀들, 일정한 계약 하에 사용자의 신체적 이상을 주기적으로 체크할 의무가 있는 의사, 또는 사회단체 등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4)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휴대폰, 컴퓨터, PDA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문자 메시지에 의한 휴대폰이다.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는 상기 단말기(4)에 표시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생활패턴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을 최초로 켜는 시간이 평균 06:30인데도 불구하고 특정일에 07:30분에 텔레비전이 최초로 켜진 경우, 또는 텔레비전을 끄는 시간이 평균 21:00분인데 특정일에 19:10분에 텔레비전을 최종적으로 끈 경우, 또는 3일 동안 텔레비전을 전혀 시청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는 사용자에게 안부전화를 걸어 건강상의 이상을 포함한 사용자의 생활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는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원격지에서도 부양의 의무를 다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회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따뜻한 관심을 받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텔레비전을 켜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러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 및 제어유닛(10)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텔레비전 수상기(2)를 켜고, 상기 셋톱박스(100)로 전달되는 업스트림을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2)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애플리케이션(30)은 셋톱박스(100)에 내장된 타이머(40)로부터 개시시간을 확인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로부터 텔레비전을 끄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30)은 텔레비전을 끄는 시간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해 관리되는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은 상기 리턴패스 서버(3)를 통해 상기 단말기(4)에게 실시간으로 또는 상기 셋톱박스(100)의 저장매체(20)에 저장한 후 정기적(예를 들면, 하루 단위 또는 1주일 단위)으로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하루에 적어도 두 번 이상 온/오프하는 경우를 상정해보자. 이를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30)은 상기 데이터를 모두 체크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데이터의 축적에 있어서는 바람직하나 데이터 용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를 전달할 자녀의 단말기(4)가 휴대폰이고, 문자메시지(SMS)의 형태로 전달하고자 할 경우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없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하루 중에서 텔레비전을 최초로 켜는 시간과 최종 끄는 시간만을 체크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하루 동안 수회 텔레비전을 켜고 껀 경우, 최초로 텔레비전을 켠 시간과 최종 끈 시간에 대해서만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도 2는 이러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기상 후 리모컨을 이용하여 최초로 텔레비전을 켜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텔레비전을 켜라는 개시신호가 수신된 경우(S100), 상기 셋톱박스의 신호처리 및 제어유닛은 업스트림을 상기 텔레비전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시킴과 아울러, 상기 애플리케이션(30)은 개시시간을 확인한 후 이를 저장한다(S200). 그 후 사용자로부터 텔레비전을 끄라는 종료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 후(S500), 종료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텔레비전 수상기로 전달되는 신호를 차단함과 아울러 종료 시간을 확인한 후 이를 저장한다(S600). 사용자가 다시 텔레비전을 켜는 경우(S900), 상기 애플리케이션(30)은 상기 개시신호가 먼저 수신된 개시신호와 동일자에 속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00). 상기 판단결과, 동일자일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 션은 사용자로부터 텔레비전의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텔레비전의 끄는 시간을 확인한 후, 이를 토대로 최초 끄는 시간을 업데이트하게 된다(S1100). 그 후, 저장된 최초 켜는 시간과 최종 끄는 시간을, 리턴패스 서버(3)를 통해,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4)에 전달한다(S1200). 도 2에서는 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할 경우 이메일의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는 최초 켜는 시간과 더불어 최종 끄는 시간을 전달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으나, 최초 켜는 시간만을 전달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텔레비전을 최초 켜는 시간의 경우 독거 노인들과 같이 언제 운명을 달리할지 모르는 분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최초 켜는 시간만을 모니터링하여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전송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최소로 유지되므로 전달에 있어서 유리하며, 또한 사용자의 부양의무를 가지는 자가 간단하게 체크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텔레비전을 켜라는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판단결과(100),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텔레비전이 오프상태로 유지된 시간이 정해진 시간(예: 24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S300), 상기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러한 사실을 상기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에게 알리게 된다(S400). 또한 텔레비전을 켠 후, 일정한 시간 동안 종료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할 경우에도 이와 같다(S700 및 S80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을 모두 모니터링하여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량이 많아져 휴대폰에 SMS의 형태로 전달하는 것 은 제한을 받는다. 이럴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시청 패턴이 정상적인지 또는 비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만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는 사용자의 텔레비전 온/오프 시간의 통계적 분석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전제로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은 일주일 단위로 할 수 있으나, 각 요일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이러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장치(예: 리모컨, 무선 키보드 등) 조작에 의한 텔레비전의 온/오프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온/오프 시간을 확인하여 저장한다(S100'). 그 후, 사용자의 이전의 행동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한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이 통계적으로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00'). 판단 결과는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에게 전달된다(S300'). 이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온/오프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온/오프 시간을 모두 모니터링하며, 사용자의 생활패턴이 정상적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알려준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텔레비전의 최초 켜는 시간과 최종 끄는 시간과 생활패턴이 정상적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알려주는 것이다. 도 4는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의 화면에는 최초 켠 시간(401) 및 최종 끈 시간(402)과,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에 기초한 사용자의 시청 패턴이 정상적인지의 여부(403)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자는 상기 디스플레되는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간 단히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의 모니터링에 의한 독거 노인의 시간에 따른 생활패턴의 이상여부 감지기능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긴급경보 발생기와 조합하여 긴급 경보 기능을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긴급경보 기능을 구비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예가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1)은 사용자의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을 감지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비한 셋톱박스(100)와 긴급경보 발생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긴급경보 발생기(200)는 입력버튼(201), 상기 입력버튼(201)의 누름에 대응하여 특정 주파수의 RF 신호를 생성 및 전달하는 RF 모듈(202), 송신 안테나(203)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4)로 구성된다. 응급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자는 상기 입력버튼(201)을 누르게 되며, 상기 RF 모듈(202)은 사용자의 입력버튼(201)의 누름에 대응하여 긴급 신호를 무선으로 생성한다. 생성된 신호는 상기 송신 안테나(203)를 통해 셋톱박스(100)로 전달된다. 긴급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톱박스(100)는 신호처리 및 제어유닛(1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식별정보(예: 사용자 성명, 주소 등)(통상 셋톱박스의 메모리에 저장됨)를 리턴패스 서버(3)를 통해 119 구조대, 병원과 같은 비상응급시설에 전달하게 된다. 비상응급시설에서는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처했음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긴급신호 발생기(200)는 목걸이 또는 팔찌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긴급신호발생기(200)는 의도하지 아니한 또는 잘못된 입력버튼(201) 누 름에 의해 초래될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20초 이상 계속적으로 상기 입력버튼(201)을 누를 경우에만 긴급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신호 발생기(200)는 심장박동수와 같이 신체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센서(205)를 추가하여 신체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 자동적으로 긴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상기 입력버튼(201)을 대체하여 센서(205)를 부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상기 시스템(1)은 셋톱박스(100)와 긴급신호 발생기(200)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긴급신호 발생기(200)는 입력버튼(201), 제어부(206), RF 모듈(202) 및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메모리(207), 송신 안테나(203) 및 전원부(204)를 포함한다. 응급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입력버튼(201)을 누르게 되며, 상기 제어부(206)의 제어하에, 상기 RF 모듈(202)은 메모리(207)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사용자 성명 및/또는 주소)를 RF 신호로 변조한 후 상기 송신 안테나(203)를 전송한다. 상기 RF 신호를 수신한 셋톱박스(100)는 처리하여,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리턴패스 서버(3)로 전달한다. 이 때, 상기 셋톱박스(100)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더해 셋톱 ID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셋톱 ID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긴급신호 발생기(200)에 위치추적장치(GPS)를 추가하여 위치 정보도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개시된 구현예는 셋톱박스가 반드시 사용자의 지배하에 있지 아니하여도 되며, 사용자가 공공장소에서 위급한 상황에 부닥쳐도 긴급 신호의 송신에 의해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긴급신호발생기(200)는 의도하지 아니한 또는 잘못된 입력버튼(201) 누름에 의해 초래될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20초 이상 계속적으로 상기 입력버튼(201)을 누를 경우에만 긴급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심장 박동수와 같이 신체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센서(205)를 추가하거나 또는 입력버튼(201)을 대체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독거노인과 같이 타인의 도움이 언제 요청될지 모르는 사용자를 위해 그들의 신체적 및/또는 정신적 건강에 이상이 없는 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공공의 안정과 사회복지를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의 선호 채널 또는 선호 프로그램의 분석에 의한 새로운 수요창출이라는 사익적 목적에 초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공 복지를 증진시키는 점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또한 이를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은 특히 독거노인에게 적합하다. 독거 노인들은 외부와 차단된 생활환경을 갖고 있으므로, 긴급한 사고시 혹은 유고시 특별하게 알려주는 사람이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독거노인들은 외부의 소식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텔레비전과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날의 텔레비전을 켜고 끄는 시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그날의 생활패턴에 별다른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독거노인의 자녀 또는 의사와 같이 부양의무가 있는 자는 전달된 메시지로부터 독거 노인이 정상적으로 생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상이 감지된 경우 즉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수동적인 노인 복지 정책에서 보다 적극적인 노인 복지 정책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기존에 필요한 사람이 와서 가져가시오 하는 일방적인 노인 정책에서 노인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판단해서 제공하는 대화형 노인 정책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신체적으로 위약한 노인들이 갑작스런 위기 상황에서 일종의 송신전용 목걸이와 같은 것에 긴급 경보 신호를 울리게 되면, 그것이 일차로 양방향 방송용 셋톱박스에 수신이 되고, 셋톱박스는 이 신호를 분석해서 필요한 곳에 경보신호를 전달하는 체제를 갖추게 된다. 즉, 소프트웨어적으로 셋톱박스의 미들웨어(예: multichannel home platform)와 서버와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독거노인과 같이 도움이 간절히 요청되나 쉽게 도움을 요청할 수 없는 자의 위급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6)

  1. 긴급신호 발생기와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의 조합에 의한 행동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급신호 발생기는 입력 버튼, 신체 이상을 감지하는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센서,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입력버튼의 누름 또는 센서의 작용에 대응하여,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생성하는 RF 모듈, 송신안테나,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는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업스트림 처리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단말기에 전달하는 다운스트림 처리수단과,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텔레비전을 온/오프할 때,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와 긴급신호 발생기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다운스트림을 통해 사용자를 부양할 의무가 있는 자의 지배 하에 있는 단말기에 전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가 사용자에 의한 텔레비전의 온/오프 시간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시청 패턴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50029232A 2005-04-08 2005-04-08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KR10076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232A KR100766889B1 (ko) 2005-04-08 2005-04-08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PCT/KR2006/001285 WO2006115341A1 (en) 2005-04-08 2006-04-07 Behavior monitoring system using set top box used for interactive digital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232A KR100766889B1 (ko) 2005-04-08 2005-04-08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178A KR20060107178A (ko) 2006-10-13
KR100766889B1 true KR100766889B1 (ko) 2007-10-15

Family

ID=3721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232A KR100766889B1 (ko) 2005-04-08 2005-04-08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6889B1 (ko)
WO (1) WO2006115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531B1 (ko) * 2007-05-31 2008-06-23 김원기 독거 노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5670211B2 (ja) * 2011-01-25 2015-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監視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959696B2 (ja) * 2015-06-01 2016-08-02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装置状態確認システム、装置状態確認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NL2020350B9 (en) * 2018-01-31 2019-08-12 Dutch Domotics B V A monitoring module,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9194803A (ja) * 2018-05-02 2019-11-07 前田 悟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安否確認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13055746B (zh) * 2021-04-19 2022-09-30 广州欢网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电视观看行为的老人监护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KR102599274B1 (ko) 2023-06-27 2023-11-07 (주)유유코리아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및 통합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835A (ko) * 1995-12-19 1997-07-31 배순훈 긴급정보전송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200270465Y1 (ko) 2001-12-29 2002-04-06 신찬영 노인 안부확인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851A (en) * 1980-01-04 1982-11-30 Asip William F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data transmission over non-dedicated telephone lines
US4524243A (en) * 1983-07-07 1985-06-18 Lifeline Systems, Inc. Personal alarm system
US5600364A (en) * 1992-12-09 1997-02-04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Network controller for cable television delivery systems
US6530082B1 (en) * 1998-04-30 2003-03-04 Wink Communications, Inc. Configurable monitoring of program viewership and usage of interactive applications
KR100279717B1 (ko) * 1998-12-10 2001-02-01 윤종용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US6411207B2 (en) * 1999-10-01 2002-06-25 Avaya Technology Corp. Personal aler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835A (ko) * 1995-12-19 1997-07-31 배순훈 긴급정보전송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200270465Y1 (ko) 2001-12-29 2002-04-06 신찬영 노인 안부확인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178A (ko) 2006-10-13
WO2006115341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889B1 (ko)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Sixsmith An evaluation of an intelligent home monitoring system
Williams et al. A smart fall and activity monitor for telecare applications
Blendon et al. How white and African Americans view their health and social problems: different experiences, different expectations
Kosse et al. Sensor technologies aiming at fall prevention in institutionalized old adults: a synthesis of current knowledge
Bellack et al. A comprehensive treatment program for schizophrenia and chronic mental illness
Horton Falls in older people: the place of telemonitoring in rehabilitation
Brownsell et al. Do community alarm users want telecare?
MOTS et al. Elder acceptance of health monitoring devices in the home
US20120169467A1 (en) Patient alert management system
US11763815B2 (en) Voice recognition for patient care environment
WO2005017683A2 (en) System for managing conditions
JP2014056423A (ja) 高齢者見守りシステム
Aced López et al. Supporting caregivers in assisted living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user study
Fisk Telecare at home: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choices and user acceptance
JP2006085390A (ja) 固定型通信端末、携帯型通信端末、情報集約・蓄積サーバおよび見守り専用端末
TW200905511A (en)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health care service system
Eyers et al. Safe and sound? Night-time checking in care homes
Roberto et al. Provider/client views: health-care needs of the rural elderly
KR20010086498A (ko) 원격 모니터링 및 리마인드 시스템 및 방법
Nava-Muñoz et al. Providing awareness of elder's situations of care through a context-aware notification environment: A preliminary evaluation
Gatward Electronic assistive technology: benefits for all?
US11335178B2 (en) Passive indoor tracking system and method with trend capture and deviation alerts
Blanchard Ethical considerations of home monitoring technology
KR102466781B1 (ko) 경도 장애인용 응급 및 재난정보 음성 알림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