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717B1 -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717B1
KR100279717B1 KR1019980054134A KR19980054134A KR100279717B1 KR 100279717 B1 KR100279717 B1 KR 100279717B1 KR 1019980054134 A KR1019980054134 A KR 1019980054134A KR 19980054134 A KR19980054134 A KR 19980054134A KR 100279717 B1 KR100279717 B1 KR 100279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xternal device
shortened
short messag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955A (ko
Inventor
송호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717B1/ko
Priority to CN99118505A priority patent/CN1109464C/zh
Priority to US09/458,276 priority patent/US6393297B1/en
Publication of KR2000003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09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for removal detec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by detecting their physical disconnection from an electrical system, e.g. using a switch incorporated in the plug connector
    • G08B13/1418Removal detected by failure i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ppliance and a control centre, home control panel or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 위치하는 소정 기기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단말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단축메시지 전송 서비스(SMS)를 이용 원거리에서 이동단말기를 통한 외부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기기에서 일정 주기로 기기 상태를 체크하여 체크된 상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형태의 단축메시지로 변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변환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단축메시지 입력이 감지되면, 단축메시지 전송모드로 진입하여 입력된 단축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메시지센터로 발신하여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메시지센터에서 상기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상태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감시센터로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감시센터에서 단축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된 단축메시지를 소정 분석 및 처리한 후, 처리 결과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제5과정과, 상기 메시지센터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을 해당 단축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명령 단축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명령 단축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제7과정과, 상기 외부기기에서 상기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소정 분석 및 처리하여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 제어방법
본 발명은 원거리에 혹은 사람이 실제 제어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한 소정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단말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단축메시지 전송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별도의 추가 원격 제어 장비 없이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통한 외부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원거리나 사람이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한 소정 기기 등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유선 및 무선 제어 장비를 구입하여 이를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에 장착하여 필요한 제어동작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종래 원격 제어장비는 설치 시간이나 장소 그리고 비용에 있어서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였고, 더구나, 산간 오지에 설치된 기기를 제어하거나 원격 제어 장비의 설치가 불가능한 곳에 위치하는 기기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무선에 의한 제어장비의 설치는 더욱더 많은 설치비용 및 관리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낳았고 제어기기의 설치 장소에 있어서도 공간 확보는 쉽지 않는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거리에 위치하는 소정 기기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 이미 구현된 무선단말시스템의 단축메시지 전송 서비스(SMS)를 이용 원거리에서 이동단말기를 통한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적은 설치 공간을 차지하는 원격 제어장비를 구현하는 것으로, 아울러, 별도의 추가 비용이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이미 실시되는 무선단말시스템의 자원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기기에서 일정 주기로 기기 상태를 체크하여 체크된 상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형태의 단축메시지로 변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변환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단축메시지 입력이 감지되면, 단축메시지 전송모드로 진입하여 입력된 단축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메시지센터로 발신하여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메시지센터에서 상기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상태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감시센터로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감시센터에서 단축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된 단축메시지를 소정 분석 및 처리한 후, 처리 결과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제5과정과, 상기 메시지센터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을 해당 단축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명령 단축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명령 단축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제7과정과, 상기 외부기기에서 상기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소정 분석 및 처리하여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단말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시스템에서 단축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은 SMS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무선단말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무선단말시스템에 가입된 PCS, CDMA 방식의 이동단말기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또한, SMS는 SME(Short Message Entity)와 PCS, CDMA 무선망 사이에 단문의 알파뉴메릭(Alphanumeric) 또는 한글 문자 메시지, 그리고 바이너리(Binary) 정보를 교환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통칭하는 용어가 된다. 상기 SME는 이동단말기, 데이터 터미널, 그 외 단축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칭하며, 무선단말시스템의 망내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무선단말시스템의 망 외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PCS, CDMA방식의 이동단말기는 단축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동시에 송싱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하며, 단축메시지 수신시 이를 인지하는 기능이 내부에 구현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단말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며, 이를 참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단말시스템을 설명한다.
우선, 이동단말기110은 제어가 이루어지는 대상이 되는 외부기기100과 데이터 입출력을 이루도록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 정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통상의 이동단말기에는 별도로 외부에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정보처리기기와 데이터 서비스 수행을 위한 데이터입출력포트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제어대상이 되는 외부기기100은 바로 이동단말기의 데이터입출력포트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된다. 상기 외부기기10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어장치가 되며, 내부에 별도의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해당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 수행을 이루며, 동작 수행은 상기 이동단말기110으로부터 출력되는 단축메시지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 한후 이코딩된 결과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100은 기기 자체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한 상태 데이터를 단축메시지 형태로 인코딩(Encoding)하여 상기 이동단말기110으로 출력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10은 기지국120과 공중망을 통한 음성 및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이루는데, 상기 기지국120은 미리 정해진 반경내의 이동단말기들을 검출하여 이동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나 데이터를 이동교환국130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기지국120은 무선단말시스템 제공 사업자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 CDMA방식, TDMA 방식을 통한 신호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130은 상기 기지국120과 연결되어 상기 기지국120을 제어하도록 하거나 상기 기지국120을 통한 이동단말기와의 음성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교환국130은 국선망과 연동되어 무선단말시스템에서 국선망이 가지는 통화 서비스 및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 수행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이동교환국은 메시지센터140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교환국130으로 단축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감지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센터140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센터140은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소정 형태의 제어명령으로 변환하여 이를 원격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별도의 감시센터150 - 이는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한 컴퓨터로 이루어지며 관리자에 조작되며, 컴퓨터가 아니더라도 동일한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한 이동단말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 으로 출력하거나, 혹은 감시센터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 받아 이를 단축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해당하는 단축메시지로 인코딩(Encoding)하거나 단축메시지를 제어 명령으로 디코딩(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무선단말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대상이 되는 상기 외부기기100과 메시지센터150은 내부에 엔코딩/디코딩 동작 수행을 이루도록 별도의 내장 프로그램이 구현되어 있어, 제어명령 데이터나 시스템 상태 데이터를 단축메시지 형태로 인코딩/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때 단축메시지의 인코딩/디코딩 동작을 이루는 프로그램은 이미 규격화된 IS_637 및 IS_95A에 근거하여 작성되며, 이의 상세한 설명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피한다. 상기 외부기기100의 제어를 수행하는 감시센터150은 필요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메시지센터14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센터140에서 디코딩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100의 시스템 상태데이터로 입력받아 이를 분석한 후 해당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10과 기지국120, 이동교환국130은 통상의 무선단말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이 되며, 이들 간에는 이미 실시되는 형태의 음성신호와 단축메시지가 상호 전송된다.
첨부된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기의 원격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로, 상기 외부기기100, 이동단말기110, 그리고 제어를 수행하는 외부 기기150간에 수행되는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는 우선 210단계의 동작에서 216단계까지의 동작, 그리고, 242단계의 동작에서 250단계까지의 동작은 상기 외부기기100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며, 218단계에서 226단계가지의 동작과 236단계에서 240단계가지의 동작은 이동단말기110에 의해, 228단계에서 234단계가지의 동작은 상기 감지센터150에의해 제어되는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210단계에서 상기 외부기기100은 기기 자체의 시스템 상태를 체크한다. 상기 210단계의 시스템 체크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은 제어 수행자 입장에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인지하고 있어야 필요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른 것이다. 상기 210계에서 시스템 상태 체크 동작이 수행되고, 211단계에서는 미리 정해진 일정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211단계에서 일정 주기가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212단계에서 상기 210단계의 시스템 상태 체크 동작을 통해 시스템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212단계의 동작은 체크된 시스템 상태를 전송함에 따른 소정의 포맷을 맞추기 위한 동작이 된다. 214단계에서는 상기 생성된 시스템 상태 데이터를 이미 권고된 규약을 만족하는 단축메시지로 변환되도록 하는 인코딩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214단계의 동작에 따라 시스템 상태 데이터가 단축메시지 형태로 변환된다. 216단계에서는 상기 변환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110으로 출력하고 대기상태 혹은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10은 218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수행하고, 221단계에서 상기 외부기기100으로부터 출력되는 단축메시지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21단계의 감지동작은 상기 이동단말기110의 데이터입출력포트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221단계에서 단축메시지 입력이 감지되면, 222단계에서 단축메시지서비스(SMS)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224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이동단말기110은 미리 정해진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단축메시지 전송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226단계에서는 단축메시지 전송 동작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218단계의 대기상태를 수행한다.
상기 224단계에서 전송된 단축메시지는, 상기 기지국120을 통해 이동교환국130으로 전달되고, 상기 이동교환국130은 수신된 단축메시지를 메시지센터140으로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센터140은 상기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형태로 디코딩시킨다. 상기 디코딩 동작은 상기 외부기기100에서 수행되는 인코딩 동작에 상반하는 동작으로 상기 디코딩 동작을 통해 단축메시지가 상기 외부기기100의 시스템 상태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된 시스템 상태 데이터는 228단계에서 디코딩된 단축메시지의 입력 대기상태를 수행하는 감시센터150으로 전달되고, 감시센터150은 230단계에서 디코딩된 데이터 입력, 즉, 시스템 상태 데이터 입력이 있는 지를 감지한다. 상기 230단계에서 시스템 상태 데이터 입력이 감지되면, 232단계에서 감지된 시스템 상태 데이터를 소정 분석 및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234단계에서는 상기 232단계의 분석 및 처리 동작에 따라 필요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메시지센터14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명령 데이터는 상기 감시센터150이 상기 외부기기100의 시스템 상태를 통해 제어되어야할 부분이 있으면 제어를 이루도록 하는 명령 데이터이다. 상기 234단계에서 출력된 제어명령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센터140에서 단축메시지 형태로 코딩된다. 즉, 단축메시지 인코딩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센터140은 코딩된 제어명령 데이터와 상기 이동단말기110의 고유번호를 상기 이동교환국130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교환국130은 이를 해당 이동단말기110이 위치하는 지역의 기지국120으로 출력하고, 상기 기지국120은 입력된 단축메시지를 해당 이동단말기110으로 공중망을 통해 전송한다.
그러면, 236단계의 대기상태를 수행하는 상기 이동단말기110에 상기 기지국120에서 전송된 단축메시지가 수신된다. 따라서, 238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10은 단축메시지 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축메시지 수신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240단계에서 수신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100으로 출력한다. 이때의 출력 동작은 상기 이동단말기110의 데이터입출력포트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외부기기100은 242단계의 대기상태를 수행중, 244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10으로부터 출력되는 단축메시지의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244단계에서 단축메시지 입력이 이루어지면, 246단계에서 입력된 단축메시지를 디코딩한다. 이대의 디코딩 동작은 상기 메시지센터140에서 이루어지는 디코딩 동작과 동일하며, 상기 메시지센터140에 코딩된 제어명령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작 수행이 된다. 따라서, 248단계에서는 상기 감시센터150이 전송한 제어명령이 생성되며, 250단계에서는 상기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100은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일반적인 실시 예를 통한 설명이지만, 보다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기 구체적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되는 구체적 일 예로서, 어느 지역에 난방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난방장치의 온도가 상황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를 원거리에서 제어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난방장치는 현재의 온도 상태 정보를 단축메시지 형태로 코딩하여 이를 이동단말기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는 단축메시지서비스 모드로 진입하여 코딩된 단축메시지를 자신이 가입된 기지국으로 코딩된 단축메시지를 공중망을 통해 전송하고, 전송된 단축메시지는 이동교환국으로 전달된다. 이동교환국은 착신지를 검출하며, 착신지가 되는 메시지센터로 상기 단축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메시지센터는 전달된 단축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처음의 온도 상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온도 상태 정보를 상기 난방장치의 감시센터로 출력한다. 감시센터는 상기 출력된 온도 상태 정보를 입력받은 후 이를 분석한 후, 온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적절한 온도로 조정하라는 소정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이를 다시 상기 메시지센터로 출력한다. 상기 메시지센터는 출력된 제어명령을 단축메시지로 코딩하고 이를 상기 이동교환국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은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다시 상기 이동단말기로 공중망을 통해 전송하고 이동단말기는 단축메시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이를 상기 난방장치로 출력한다. 난방장치는 입력된 단축메시지를 디코딩하게 되고, 디코딩 결과에 따라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온도를 조절한다. 결국, 난방장치는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동교환국을 통해 전달되는 단축메시지의 코딩/디코딩 동작이 메시지센터에서 이루어짐을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 실시자의 의도 및 응용에 따라 상기 코딩/디코딩 동작이 상기 감시센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또한 하기 개시된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거리에 위치하는 소정 기기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 방법을 구현함에 있어, 이미 구현된 무선단말시스템의 단축메시지 전송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별도의 유/무선 제어장비 없이 간단히 이동단말기를 통한 외부기기 제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제어장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설치 공간을 차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원을 그대로 이용함으로 별도의 추가 비용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단축메시지 전송 서비스가 구현되는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를 통한 외부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에서 일정 주기로 기기 상태를 체크하여 체크된 상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형태의 단축메시지로 변환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변환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과,
    단축메시지 입력이 감지되면, 단축메시지 전송모드로 진입하여 입력된 단축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메시지센터로 발신하여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메시지센터에서 상기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상태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감시센터로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감시센터에서 단축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된 단축메시지를 소정 분석 및 처리한 후, 처리 결과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센터로 전송하는 제5과정과,
    상기 메시지센터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을 해당 단축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어명령 단축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명령 단축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제7과정과,
    상기 외부기기에서 상기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소정 분석 및 처리하여 처리결과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는,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명령 수행을 이루는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한 컴퓨터 혹은 이동단말기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3. 단축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단말시스템에서 감시센터를 통한 외부기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의 기기 상태를 일정주기로 체크하여 체크결과를 단축메시지로 코딩한 후 구비된 이동단말기를 통해 무선단말시스템 망으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무선시스템 망에 전송된 단축메시지를 상기 감시센터로 전달한 후, 상기 감시센터에서 전달된 단축메시지를 체크결과로 디코딩한 후 소정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감시센터에서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단축메시지로 코딩한 후 상기 무선단말시스템 망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에 상기 전송된 단축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기기에서 감지된 단축메시지를 입력받아 디코딩한 후 생성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KR1019980054134A 1998-12-10 1998-12-10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KR100279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134A KR100279717B1 (ko) 1998-12-10 1998-12-10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CN99118505A CN1109464C (zh) 1998-12-10 1999-08-30 通过提供简短信息服务的移动无线电话系统遥控外部设备的方法
US09/458,276 US6393297B1 (en) 1998-12-10 1999-12-09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n external appliance by a mobile radio phone system providing short messag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134A KR100279717B1 (ko) 1998-12-10 1998-12-10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955A KR20000038955A (ko) 2000-07-05
KR100279717B1 true KR100279717B1 (ko) 2001-02-01

Family

ID=1956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134A KR100279717B1 (ko) 1998-12-10 1998-12-10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93297B1 (ko)
KR (1) KR100279717B1 (ko)
CN (1) CN1109464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76B1 (ko) * 2001-12-12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KR100678225B1 (ko) * 1998-12-26 2007-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원격제어방법
WO2010039508A2 (en) * 2008-09-23 2010-04-08 Catalina Computing, Llc Virtual wi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6600B1 (en) 1998-09-11 2008-06-10 Lv Partners, L.P. Launching a web site using a personal device
US7191247B1 (en) 1998-09-11 2007-03-13 Lv Partners, Lp Method for connecting a wireless device to a remote location on a network
US7493384B1 (en) * 1998-09-11 2009-02-17 Rpx-Lv Acquisition Llc Controlling a PC using a tone from a cellular telephone
US6823388B1 (en) 1998-09-11 2004-11-23 L.V. Parner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remote location with an optical reader having a programmable memory system
US7440993B1 (en) 1998-09-11 2008-10-21 Lv Partner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launching a web browser in response to scanning of product information
US7392945B1 (en) 1998-09-11 2008-07-01 Lv Partners, L.P. Portable scanner for enabling automatic commerce transactions
US6868433B1 (en) 1998-09-11 2005-03-15 L.V. Partners, L.P. Input device having positional and scanning capabilities
US6636896B1 (en) 1998-09-11 2003-10-21 Lv Partner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n audibly coded signal to conduct commerce over the internet
US6745234B1 (en) 1998-09-11 2004-06-01 Digital:Convergenc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remote location by scanning an optical code
US20100131078A1 (en) * 1999-10-27 2010-05-27 Brown David W Event driven motion systems
KR100441969B1 (ko) * 2000-05-10 2004-07-27 주식회사 네오엠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신호 중계방법 및 이를 구현한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
US7072945B1 (en) * 2000-06-30 2006-07-04 Nokia Corporation Network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ances
US7437150B1 (en) * 2000-10-06 2008-10-14 Carrier Corporation Method for wireless data exchange for control of structural appliances such as heating, ventilation,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KR100419361B1 (ko) * 2000-10-23 2004-02-19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JP3522686B2 (ja) * 2000-12-13 2004-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体端末並びに自動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自動遠隔制御方法
KR100408036B1 (ko) * 2000-12-21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원격 정보검색 및 관리 방법
WO2002054184A2 (en) 2001-01-04 2002-07-11 Roy-G-Biv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motion control data
JP2005502943A (ja) * 2001-08-14 2005-01-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バイスをプログラムするためのプログラミング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CN1411259A (zh) * 2001-09-21 2003-04-16 国际商业机器公司 基于无线消息业务的远程控制系统和方法
EP1317099B1 (en) * 2001-11-29 2008-12-24 Panasonic Corporation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home gateway
DE50212956D1 (de) * 2002-04-05 2008-12-11 Abb Research Ltd Verfahren zur Fernsteuerung eines Systems
CN1202648C (zh) * 2002-06-07 2005-05-18 周颖平 用手机短信息进行无线遥控的方法
KR100477651B1 (ko) * 2002-06-12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기기의 im 기반 인터페이스 장치
US7904081B2 (en) * 2002-08-20 2011-03-08 Arinc Incorporated ACARS messages over iridium
US7398057B2 (en) * 2002-08-20 2008-07-08 Arinc Inc. Security messenger system
US7110753B2 (en) * 2002-09-26 2006-09-19 Siemens Communications, Inc. Remotely controllable wireless device
US6995666B1 (en) 2002-10-16 2006-02-07 Luttrell Clyde K Cellemetry-operated railroad switch heater
GB2394340A (en) * 2002-10-17 2004-04-21 Alan Robert Perrett Remotely controlling an apparatus using e.g. a pager network
CN100379209C (zh) * 2002-10-18 2008-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处理的系统及方法
US7389089B1 (en) 2002-11-25 2008-06-17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Methods to remotely control a wireless unit
US7773982B2 (en) * 2002-11-25 2010-08-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storage media to remotely control a wireless unit
US8014768B2 (en) 2003-04-30 2011-09-06 Disney Enterprises, Inc. Mobile phone multimedia controller
US7203486B2 (en) * 2003-05-19 2007-04-10 France Telecom Wireless system having a dynamically configured multimodal user interface based on user preferences
EP1661338A1 (en) 2003-08-12 2006-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secure message processing
CN1599329B (zh) * 2003-09-19 2010-06-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承载操作指令信息的方法
US8027349B2 (en) 2003-09-25 2011-09-27 Roy-G-Biv Corporation Database event driven motion systems
KR100594055B1 (ko) * 2003-10-01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제어하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FR2863425B1 (fr) * 2003-12-04 2006-02-10 Gemplus Card Int Procede et systeme de configuration automatique d'appareil da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KR100646478B1 (ko) * 2004-06-21 2006-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댁내 기기와 사용자 단말간의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방법
US6990335B1 (en) * 2004-11-18 2006-01-24 Charles G. Shamoon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rol system for remote locations
CN100375557C (zh) * 2005-01-11 2008-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利用移动台操作维护电信网设备的方法及其移动网管系统
KR100766889B1 (ko) * 2005-04-08 2007-10-1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US7945207B1 (en) 2006-06-14 2011-05-17 Nextel Communica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gateway
US7619584B2 (en) * 2006-09-08 2009-11-17 Generation One, Inc. Messaging including active response feature
NL1033008C2 (nl) * 2006-12-06 2008-06-09 Steven Hans Jan Blom Werkwijze en systeem voor het op afstand activeren van een elektronische inrichting.
US7774008B2 (en) 2006-12-22 2010-08-10 Cellco Partnership MDN-less SMS messaging (network solution) for wireless M2M application
US9237148B2 (en) 2007-08-20 2016-01-12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ecurity encoding indicator associated with a message attachment
KR20090041002A (ko) * 2007-10-23 2009-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안기능을 구비한 가전제품
CN101197728B (zh) * 2007-11-12 2014-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监控系统和监控方法
US20090160694A1 (en) * 2007-12-20 2009-06-25 Cristiano Di Flora Interaction with autonomous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CN101661275B (zh) * 2008-08-27 2013-02-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测量监控系统及方法
US8407303B2 (en) * 2009-10-13 2013-03-26 Sony Corporation Remote email or SMS control of CE device such as TV
US8949860B2 (en) 2010-01-08 2015-02-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mobile device for application input
US9210527B2 (en) * 2010-07-13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form machine-to-machine addressing
CN102215262A (zh) * 2011-06-08 2011-10-12 沈阳理工大学 利用第三方短信平台实现对计算机的远程监控系统
KR20130037610A (ko) * 2011-10-06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명령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683181A1 (en) 2012-07-06 2014-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viding Remote Communication of a Mobile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40256366A1 (en) * 2013-03-06 2014-09-11 Barracuda Networks, Inc. Network Traffic Control via SMS Text Messaging
ES2558759T3 (es) * 2013-04-29 2016-02-08 Swisscom Ag Método; dispositivo electrónico y sistema para la introducción de texto por vía remota
WO2021038338A1 (en) * 2019-08-28 2021-03-04 Carrier Corporation A method and system to enable an appliance to communica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2334C (fi) * 1989-02-16 1991-02-11 Nokia Mobira Oy Bruksystem foer bilradiotelefon.
DK35390D0 (da) * 1990-02-09 1990-02-09 Elforsynings Andelsselskabet S Styrings- og kommunikationssystem
US5802467A (en) * 1995-09-28 1998-09-01 Innovative Intelcom Industries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s, command, control and sensing system for sound and/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5675371A (en) * 1995-10-27 1997-10-07 Location Science Corporation Apparatus for monitoring cable television system remote equipment performance and status using a cell modem
DE19618218C1 (de) * 1996-05-07 1997-06-05 Orga Kartensysteme Gmbh Mobilfunknetz
US5892758A (en) * 1996-07-11 1999-04-06 Qualcomm Incorporated Concentrated subscriber wireless remote telemetry system
US5748104A (en) * 1996-07-11 1998-05-0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remote telemetry system
US6014089A (en) * 1996-10-28 2000-01-11 Tracy Corporation Ii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digital control channel of a wireless network
US6230004B1 (en) * 1997-12-01 2001-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emote procedure calls using short message service
US5963624A (en) * 1997-12-05 1999-10-05 Zilog, Inc. Digital cordless telephone with remote control feature
FI106180B (fi) * 1998-01-20 2000-11-30 Nokia Mobile Phones Ltd Tilatietojen välitysjärjestelmä, menetelmä liitäntärajapinnan tilatietojen välittämiseksi ja telepäätelaite
US6301484B1 (en) * 1999-08-31 2001-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activation of wireless device features using short message services (SM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25B1 (ko) * 1998-12-26 2007-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원격제어방법
KR100461176B1 (ko) * 2001-12-12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WO2010039508A2 (en) * 2008-09-23 2010-04-08 Catalina Computing, Llc Virtual wiring
WO2010039508A3 (en) * 2008-09-23 2010-07-01 Catalina Computing, Llc Virtual wiring
US8601376B2 (en) 2008-09-23 2013-12-03 Catalina Computing, Llc Virtual wiring
US8898572B2 (en) 2008-09-23 2014-11-25 Catalina Computing, Llc Virtual wi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464C (zh) 2003-05-21
CN1256603A (zh) 2000-06-14
US6393297B1 (en) 2002-05-21
KR20000038955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717B1 (ko) 단축메시지 서비스 이용 무선단말시스템에서 외부기기 원격제어방법
US6075451A (en) RF cellular technology network transmission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equipment
EP0716553A2 (en) Pager for wireless control and method therefor
KR20000057703A (ko) 전방 오버헤드 제어 채널을 통한 메시지 통신 시스템
DE69928451D1 (de) Map schnittstelle zum austausch von nachrichten mit einem servicekontrollpunkt
CN106604155B (zh) 一种电梯应急呼叫通信系统及方法
US200100065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a vibration mode in a mobile terminal
JP2007074751A (ja) 第1および第2の通信ネットワーク間で信号を伝送する伝送方法、移動局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960043599A (ko) 터미널, 네트워크 및 통신시스템
JPH08502872A (ja) メッセージを伝送する方法およびメッセージ伝送用通信システム
KR19990060587A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장치
EP2173121B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user data and system adapted for the method
KR100710377B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0781062A2 (en) Radiotelephone system
US7024212B2 (en) Method for serving broadcasting type short message in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CN214799863U (zh) 无线射频远程寻呼点播控制网络的音频矩阵传输系统
KR1007813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KR19980041584A (ko) 무선 호출시스템의 송출 보류서비스방법
KR101729787B1 (ko)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70916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255368B1 (ko) 무선호출수신기호출메시지사서함서비스장치및방법
JP2004088780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のために送信文字体系集合の選択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9195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JPH0452014B2 (ko)
JPH1075204A (ja) 端末位置確認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