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76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video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video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767B1
KR100765767B1 KR1020050118670A KR20050118670A KR100765767B1 KR 100765767 B1 KR100765767 B1 KR 100765767B1 KR 1020050118670 A KR1020050118670 A KR 1020050118670A KR 20050118670 A KR20050118670 A KR 20050118670A KR 100765767 B1 KR100765767 B1 KR 100765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urround
list
surround mode
externa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9623A (en
Inventor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767B1/en
Publication of KR2007005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6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7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95Spatial effects, musical uses of multiple audio channels, e.g. stereo
    • G10H2210/301Soundscape or sound field simulation, reproduction or control for musical purposes, e.g. surround or 3D sound; Granular synthe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 G11B2020/10601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surround sou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서라운드 모드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시스템에 장착할 수 있는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서라운드 모드의 편집 모드로 이동하여 서라운드 모드의 추가 모드인지 삭제 모드인지를 구분하는 과정, 추가 모드이면 선택된 서라운드 모드를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에서 연결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서라운드 모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 삭제 모드이면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서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isclosed are a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in which a surround mode can be directly selected by a user and installed in a system, and an audio / video syste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distinguishing whether the surround mode is an additional mode or a delete mode by moving to the edit mode of the surround mode, and if the additional mode adds the selected surround mode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or checks whether the external interfa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fac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ownloading surround mod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nected external memory in the connected external memory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nd in the case of the delete mode, selecting the surround mode from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nd adding the surround mode to the standby surround mode list.

Description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오디오/비디오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video system}Method for editing surround mode and audio / video system applied thereto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 / video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 video system having a surround mod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서라운드 모드 편집을 위한 메모리 각 영역의 서라운드 모드 정보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illustrates a surround mode information list of each area of a memory for editing a surround mode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서라운드 모드의 추가시 서라운드 모드 다운로드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rround mode download method when adding a specific surround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서라운드 모드를 업 로드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uploading a specific surround mo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라운드 모드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시스템에 장착할 수 있는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 video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in which a user selects a surround mode and can be mounted in a system, and an audio / video system using the same.

최근 가정용 극장 기기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하여 멀티 채널 시스템 환경 에 대한 개선이 고려되어지고 있으며, 각각의 공간에 맞는 설정을 함으로써 최적의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방식들이 제안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설정값을 가지고 있는 음향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음장(Sound Field) 모드가 있다. 일반적으로 홀(HALL), 째즈(JAZZ), 락(ROCK), 콘서트(CONCERT)와 같은 서라운드 모드가 제공되어지며 기기에 따라서 작게는 수가지에서 많게는 수십 가지에 달하는 서라운드 모드를 가지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home theater equipment, improvements to the multi-channel system environment have been considered,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optimal viewing environment by setting each space have been proposed. The sound mode with these settings is called the surround mode, and there is a sound field mode. Generally, surround modes such as HALL, JAZZ, ROCK, and CONCERT are provided, and depending on the device, there are a few to many dozen surround modes.

기존의 서라운드 모드 동작 방법을 보면, 먼저 리모컨이나 프론트 패널의 키를 눌러서 서라운드 설정 모드로 들어간다. 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서라운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하려고 하는 서라운드 선택 모드로 이동한다. 이어서, 설정하기 원하는 서라운드 선택 모드에서 원하는 신호 출력 형태를 서라운드 이동(←,→) 키를 사용하여 설정한다. 이때 서라운드 선택 모드는 일반적으로 홀(HALL), 째즈(JAZZ), 락(ROCK), 콘서트(CONCERT)등과 같이 구분되어지며 각각의 서라운드 모드는 시스템에 따라 여러 가지의 신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conventional surround mode operation, first press the keys on the remote control or front panel to enter the surround setting mode. Then, the user moves to the surround selection mode to be set in order to set the desired surround mode. Then, in the surround selection mode you want to set, set the desired signal output type using the surround shift (←, →) keys. In this case, the surround selection mode is generally divided into HALL, JAZZ, ROCK, and CONCERT, and each surround mode may have various signal types according to the system.

시스템의 사양에 따라 음장 모드와 같은 서라운드 모드는 수 가지에서 많게는 수십 가지의 모드를 가지고 있게 된다. 이러한 모드들은 각각이 비슷한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많은 이펙트(effect)를 가하여 사용자가 많은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서라운드 모드들은 사용자가 듣기에 좋은 소리를 재생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특정 모드만을 재생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서라운드 모드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드로 이동하기 위하여 많은 동작을 하여야만 하고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새롭게 요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방식의 서라운드 모드를 거쳐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서라운드 모드를 청취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Depending on the system's specifications, surround modes, such as the sound field mode, have several to many dozen modes. Each of these modes may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may add a lot of effects so that the user can feel a lot of effects. However, many of these surround modes may sound good for the user, but may want to play only certain modes depending on the user's preference. In the surround mode set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the user must perform many operations in order to move to a desired mode and may newly request a desired mode.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desired surround mode only through various surround modes of the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라운드 모드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시스템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을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만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하고,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서라운드 모드를 다른 기기에도 저장할 수 있는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surround mode to be installed in the system by directly allowing the user to embed only the desired mode, and to store the surround mode mounted on the system to other devices It is to provide a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and a system applying the sam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of an audio / video system,

서라운드 모드의 편집 모드로 이동하여 서라운드 모드의 추가 모드인지 삭제 모드인지를 구분하는 과정;Moving to the edit mode of the surround mode to distinguish whether the add mode or the delete mode of the surround mode;

상기 과정에서 추가 모드이면 리스트된 서라운드 모드중에서 선택된 서라운드 모드를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에서 연결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서라운드 모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If the additional mode in the above process is selected, the surround mode selected from the listed surround modes is added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or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interface is downloaded, and the surround mode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connected from the external interface is downloaded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dding to the process;

상기 과정에서 삭제 모드이면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서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ase of the delete mode, the method may include selecting a corresponding surround mode from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nd moving to the standby surround mode list.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라운드 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other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dio / video system having a surround mode editing function,

서라운드 편집 모드로 이동하여 서라운드 모드의 추가 모드인지 서라운드 모드의 삭제 모드인지를 구분하고, 추가 모드이면 선택된 서라운드 모드를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에서 연결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서라운드 모드 정보를 읽어 상기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고, 삭제 모드이면 동작 모드 리스트에서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Navigate to Surround Edit Mode to determine whether the Surround Mode is an Add Mode or a Surround Mode Delete Mode, and if so, adds the selected Surround Mode to the list of Surround Modes or checks whether 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interface. A microprocessor unit that reads surround mode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and adds the surround mode information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nd selects the surround mode from the operation mode list and adds the surround mode to the standby surround mode list;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 추가되는 서라운드 모드 네임과 그 서라운드 모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a surround mode name added from the microprocessor unit and data of the surround mode;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대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 설정되는 서라운드 모드에 해당하는 효과음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n effect sound corresponding to a surround mode set in the microprocessor unit with respect to an input audio sou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 video system having a surround mod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부(110), 디지털 신호 처리부(120), 플래시 메모리부(130), EEPROM부(140), 판넬부(150)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부(110)내부에는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160)를 구비한다. The audio / video system 100 of FIG. 1 includes a microprocessor unit 110, a digital signal processor 120, a flash memory unit 130, an EEPROM unit 140, and a panel unit 150. The microprocessor unit 110 includes a surround mode list 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120)는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대해 마이크로프로세서(110)에서 설정되는 서라운드 모드에 맞는 효과음을 생성한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20 generates an effect sound suitable for the surround mode set by the microprocessor 110 for the input audio source.

마이크로프로세서부(110)는 서라운드 모드 편집 기능을 설정하고 있으며, 서라운드 모드 편집 기능으로 선택되면 서라운드 모드의 추가 모드인지 서라운드 모드의 삭제 모드인지를 구분하고, 추가 모드이면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있는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180)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메모리(170)에 저장된 서라운드 모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그 해당 서라운드 모드 정보를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고, 삭제 모드이면 그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서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삭제한다.The microprocessor unit 110 sets a surround mode editing function. When the surround mode editing function is selected, the microprocessor unit 110 distinguishes whether the surround mode is an additional mode or a surround mode deleting mode. Select to add to the list of surround operation modes or to check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interface 180 to download the surround mode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170, add the surround mode information to the surround mode list, and delete the mode. To delete the surround mode from the list of surround operation modes.

EEPROM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110)에서 사용되는 서라운드 모드 네임과 그 서라운드 모드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EEPROM unit 140 stores a surround mode name and data of the surround mode used in the microprocessor unit 110.

플래시 메모리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유저 모드 영역을 구비한다. The flash memory unit 130 includes a user mode area for storing surround mode data received from the microprocessor unit 110.

판넬부(150)는 OSD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하 좌우 이동키이들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부(110)와 인터페이스한다. The panel unit 150 includes a display for displaying an OSD and up, down, left, and right moving keys to interface with the microprocessor unit 110.

도 2는 도 1에서 서라운드 모드 편집을 위한 메모리 각 영역의 서라운드 모드 정보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illustrates a surround mode information list of each area of a memory for editing a surround mode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메모리(170)는 모델 넘버(Model Number), 서라운드 모드 네임(Surround Mode Name),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Surround Mode data)를 구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를 구비한다. EEPROM부140)는 모델 넘버(Model Number), 서라운드 모드 네임(Mode Name),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Mode data)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external memory 170 includes a model number, a surround mode name, and surround mode data. The microprocessor 110 has a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 standby surround mode list, and a surround mode list. The EEPROM unit 140 includes a model number, a surround mode name, and surround mode dat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에 장착되어져 있는 여러 서라운드 모드를 사용자가 OSD(On Screen Display)나 키이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라운드 모드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Several surround modes built into the system allow the user to edit the database for the desired surround mode using the OSD (On Screen Display) or keys.

따라서 특정 서라운드 모드를 편집하고자 할 경우 먼저, 키이나 OSD를 이용하여 서라운드 편집 모드로 이동한다(310 과정).Therefore, if you want to edit a specific surround mode, first move to the surround editing mode using the key or the OSD (step 310).

이어서, 추가 모드 인지(320 과정) 삭제 모드인 지(330 과정)를 구분한다. 이때 추가 모드일 경우,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있는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340 과정) 이 모드를 현재 동작할 수 있는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고 대기 모드에서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삭제한다(360 과정).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de is the additional mode (step 320) or the deletion mode (step 330). In this case, when the additional mode is selected, a surround mode in the standby surround mode list is selected (step 340) to add this mode to the list of surround operation modes that can be operated currently, and the corresponding surround mode is deleted from the standby mode (step 360).

반면 삭제 모드일 경우,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있는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350 과정), 그 리스트에서 이를 삭제하고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해당 모드를 추가한다(370 과정).On the other hand, in the delete mode, the surround mode in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is selected (step 350), and it is deleted from the list and the corresponding mode is added to the standby surround mode list (step 370).

이때 특정 서라운드 모드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is case, a case in which the specific surround mode is to be delet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특정 서라운드 모드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를 보면, 키이나 OSD를 이용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서라운드 모드로 이동한다. First, if you want to delete a specific surround mode, use the key or OSD to move to the surround mode you want to edit.

이어서,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의 재생시 해당 모드로 이동하여 현재의 서라 운드 모드가 자신이 원하는 모드인가를 직접 시청한 후, 해당 모드의 삭제 여부를 OSD나 키이등을 이용하여 삭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해당 모드를 삭제를 원할 경우 마이컴이 이에 대한 응답을 받아 서라운드 모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모드를 삭제하며 이에 대한 설정값도 모두 삭제 한다. 이어서, 현재 시청하고 있던 삭제를 원하는 모드가 삭제 되어지며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져 있는 서라운드 모드로 자동 이동하여 재생한다. Subsequently, the user may move to a corresponding mode when the audio signal is played and directly watch whether the current surround mode is a desired mode, and set whether to delete the corresponding mode using an OSD or a key. . Subsequently, when the user wants to delete the mode, the microcomputer receives the response and deletes the mode from the database for the surround mode, and deletes all the setting values. Subsequently, the mode you wish to delete currently is deleted and automatically moves to the surround mode stored in the surround mode database for playback.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서라운드 모드의 추가시 서라운드 모드 다운로드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urround mode download method when adding a specific surround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시스템의 전원을 온(ON) 하였을 경우, 서라운드 다운로드 모드 기능을 선택한다(400 과정). 이어서,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여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는 가를 확인한다(410 과정). 이때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연결되어 있더라도 서라운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연결을 종료하고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First, when the system is powered on (ON), the surround download mode function is selected (step 400). Nex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xternal memory is checked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step 410). At this time, even if the external memory is not connected or connected, if there is no information on the surround mode, the connection is terminated and the initia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이때,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으면 그 저장 정보에서 모델 네임(Model Name)을 서로 비교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기기인가를 확인한다(420 과정).In this case, if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it is checked whether the device is a downloadable device by comparing the model name in the stored information (step 420).

이어서, 다운로드 가능한 기기로 확인되면 사용자가 키이를 사용하여 서라운드 편집 모드에서 서라운드 추가 모드를 선택한다(430 과정).Subsequently, when it is confirmed as a downloadable device, the user selects a surround add mode from the surround edit mode using the key (step 430).

이어서, 서라운드 추가 모드 모드로 선택되면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자 모드(User Mode) 영역에 빈 공간이 있는 지를 확인한다(440 과정).Subsequently, when the surround add mode is selected,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n empty space in the user mode area of the flash memory (step 440).

이어서, 사용자 모드(User Mode) 영역에 빈 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 부 메모리의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를 읽어서 플래시 메모리의 해당 유저 모드 영역에 매크로 로드(macro load)한다(450 과정). 그러나 사용자 모드(User Mode) 영역에 빈 공간이 없는 확인되면 빈 공간이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한다(460 과정). Subsequently,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mpty space exists in the user mode region, the macro device loads the surround mode data of the external memory and loads the macro into the corresponding user mode region of the flash memory (step 450). However, if there is no empty space in the User Mode area, an err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no empty space is generated (step 460).

이어서,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 후,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해당하는 서라운드 모드 정보를 추가한다. Subsequently, after the download of the surround mode data is completed, surround m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is add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서라운드 모드를 업 로드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uploading a specific surround mo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여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는 가를 확인한다(510 과정).Firs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xternal memory is checked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step 510).

이어서,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으면 저장 정보에서 모델 네임(Model Name)을 서로 비교하여 업 로드 가능한 기기인가를 확인한다Then, if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the model name is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e stored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device can be uploaded.

이어서, 사용자가 키이를 사용하여 서라운드 편집 모드에서 서라운드 업 로드 모드를 선택한다(520 과정).Subsequently, the user selects the surround upload mode from the surround edit mode using the key (step 520).

이어서, 전체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 예를 들면 유저 모드 영역에서 업 로드(Upload)하기를 원하는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한다(530 과정).Subsequently, the entire surround mode list is selected, for example, a surround mode desired to be uploaded in the user mode area (operation 530).

이어서, EEPROM에 저장되어져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로 업 로드한다(540 과정).Subsequently, the user desired surround mode data stored in the EEPROM is uploaded to the external memory (S540).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f course,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 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also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the implementation in the form of.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라운드 모드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시스템에 장착함으로써 시스템을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만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중 언제라도 사용자가 자신만의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베이스의 서라운드 모드를 삭제 또는 추가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라운드 모드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라운드 모드의 설정을 다시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여 같은 종류의 다른 기기에도 같은 서라운드 모드에 대한 설정을 공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lects a surround mode directly and mounts it in the system so that the user can embed only the desired mode, and the user deletes the surround mode of his or her own surround mode database at any time. Or you can add it so you can hear the surround mode you want. The surround mode settings can also be uploaded via an external interface device, allowing the same device to share the same surround mode settings.

Claims (5)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에 있어서,In the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of an audio / video system,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 및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를 구비하는 과정;Providing a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nd a standby surround mode list; 서라운드 모드의 편집 모드를 설정하여 서라운드 모드의 추가 모드 및 삭제 모드로 구분하는 과정;Setting an edit mode of the surround mode to divide the surround mode into an add mode and a delete mode; 상기 모드 구분 과정에서 추가 모드이면 상기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있는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서라운드 모드를 상기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한 후 외부 인터페이스에서 연결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서라운드 모드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If the additional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division process, a surround mode in the standby surround mode list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surround mode is added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or connected to an external interface, and then connected to an external memor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face. Downloading stored surround mode information and adding the stored surround mode information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상기 모드 구분 과정에서 삭제 모드이면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서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 삭제하고, 상기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And deleting a corresponding surround mode from a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nd storing the selected surround mode in the standby surround mode list if the delete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division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에 의한 서라운드 모드 추가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ding of the surround mode by downloading is performed.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는 가를 확인하는 과정;Checking whether an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through an external interface; 상기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으면 모델 네임을 비교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기기인가를 확인하는 과정;If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comparing the model name to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a downloadable device; 상기 다운로드 가능한 기기로 확인되면 서라운드 편집 모드에서 서라운드 다운로드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Selecting a surround download mode in a surround edit mode when the device is identified as the downloadable device; 상기 서라운드 다운로드 모드로 선택되면 사용자 모드 영역에 빈 공간이 있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Checking whether there is an empty space in a user mode area when the surround download mode is selected; 상기 사용자 모드 영역에 빈 공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 메모리의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를 읽어서 해당 유저 모드 영역에 다운로드하는 과정;Reading surround mode data of an external memory and downloading the surround mode data of the external memory to the corresponding user mode reg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mpty space in the user mode region; 상기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 후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해당하는 서라운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And adding information on a surround mode corresponding to a list of surround operation modes after completing downloading of the surround mod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 삭제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lecting and deleting the surround mode comprises: 편집하고자 하는 서라운드 모드로 이동하여 해당 서라운드 모드의 삭제 여부를 설정하는 과정;Moving to a surround mode to be edited and setting whether to delete the corresponding surround mode; 상기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삭제로 설정되는 경우 그 서라운드 모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삭제하고, 이에 대한 설정값을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And deleting the surround mode from the database for the surround mode and deleting a setting value when the surround mode is set to delete. 다른 기기로 서라운드 모드를 업 로드하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에 있어서,In the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of an audio / video system that uploads the surround mode to another device,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여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는 가를 확인하는 과정;Checking whether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by check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external memory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상기 외부 메모리가 연결되어 있으면 모델 네임을 서로 비교하여 업 로드 가능한 기기인가를 확인하는 과정;If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comparing the model names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uploadable devices; 상기 업 로드 가능 기기로 확인되면 서라운드 편집 모드에서 서라운드 업 로드 모드를 선택한 후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서 업 로드하기를 원하는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Selecting a surround upload mode in a surround editing mode and then selecting a surround mode to be uploaded from a surround mode list when the device is identified as the uploadable device; 사용자가 원하는 서라운드 모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메모리로 업 로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라운드 모드 편집 방법.A surround mode editing method comprising uploading surround mode data desired by a user to an external memory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서라운드 모드 편집 기능을 갖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있어서,In an audio / video system with surround mode editing, 서라운드 편집 모드를 설정하여 서라운드 모드의 추가 모드인지 서라운드 모드의 삭제 모드인지를 구분하고, 추가 모드이면 선택된 서라운드 모드를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와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에서 연결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서라운드 모드 정보를 읽어 상기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고, 삭제 모드이면 서라운드 동작 모드 리스트에서 해당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여 대기 서라운드 모드 리스트에 추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Set the surround editing mode to distinguish between add mode and surround mode in surround mode, and if it is added mode, add the selected surround mode to the list of surround modes or check whether 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face. A microprocessor unit configured to read surround mode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and add the surround mode information to the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nd select a corresponding surround mode from a surround operation mode list and add the surround mode information to a standby surround mode list;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 추가되는 서라운드 모드 네임과 그 서라운드 모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a surround mode name added from the microprocessor unit and data of the surround mode;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에 대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 설정되는 서라운드 모드에 해당하는 효과음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오디오/비디오 시스템.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 effect sound corresponding to a surround mode set by the microprocessor unit for an input audio source.
KR1020050118670A 2005-12-07 2005-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video system KR100765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670A KR100765767B1 (en) 2005-12-07 2005-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video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670A KR100765767B1 (en) 2005-12-07 2005-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video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623A KR20070059623A (en) 2007-06-12
KR100765767B1 true KR100765767B1 (en) 2007-10-15

Family

ID=3835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670A KR100765767B1 (en) 2005-12-07 2005-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video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76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556A (en) * 1995-12-29 1997-07-31 구자홍 Optimum Sound Field Apparatus and Method
KR20000013387U (en)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Audio editing device
KR20040073813A (en) * 2003-02-14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in home theater system
KR20050073928A (en) *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포인칩스 Dynamic audio field enhancer system by real time processing
KR20050076945A (en) * 2004-01-26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sound control in portable dvd play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556A (en) * 1995-12-29 1997-07-31 구자홍 Optimum Sound Field Apparatus and Method
KR20000013387U (en)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Audio editing device
KR20040073813A (en) * 2003-02-14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in home theater system
KR20050073928A (en) * 2004-01-12 2005-07-18 주식회사 포인칩스 Dynamic audio field enhancer system by real time processing
KR20050076945A (en) * 2004-01-26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sound control in portable dvd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623A (en)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6322B2 (en) Method for editing playlist and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070044365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presetting method for remote commander
WO2006117904A1 (en) Audio-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JP2000057747A (en) Audio dubb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8595133B (en) Picture-in-picture display method and system
KR1013092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user interface
JP2006294172A (en) Terminal equipment, content erasure/transfer control system and content erasure control method
CN101246412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07657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urround mode in audio/video system
JP2002197015A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distribution
US8953419B2 (en) Multitrack recorder
US20070294381A1 (en) Method of controlling services between network services, network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at stores the method
JP4219228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CN101290785A (en) Method of managing playlist by using key
JP2003030675A (en) Image editing device and method,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0675172B1 (en) An audio file repeat playing back section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030400B2 (en) Content playback device
KR100335409B1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and disk for providing menu function
KR20070096157A (en) Method for editing play list using a remote controller
JP4719454B2 (e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JP3875861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JP4151544B2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JP2000156071A (en) Audio dubb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5571476B2 (en) Content recording apparatus, content recording system, content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4006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