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820B1 - 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820B1
KR100764820B1 KR1020070029791A KR20070029791A KR100764820B1 KR 100764820 B1 KR100764820 B1 KR 100764820B1 KR 1020070029791 A KR1020070029791 A KR 1020070029791A KR 20070029791 A KR20070029791 A KR 20070029791A KR 100764820 B1 KR100764820 B1 KR 100764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index information
electronic pen
karaok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호
이종석
정화식
손재구
Original Assignee
(주)셈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투유 filed Critical (주)셈투유
Priority to KR102007002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8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8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 G10H2220/445Bar codes or similar machine readable optical code patterns, e.g. two dimensional mesh pattern, for musical input or control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selecting a song in a karaoke is provided to select songs rapidly by reading the index information of a printed object optically using an electronic pen. An apparatus for selecting a song in a karaoke(140) comprises an electronic pen(120), a memory, a control part, and a transmission part. The electronic pen optically reads the index information from a printed object(110) having index information printed with a dot code shape. The memory stores various programs including the program for converting the index information into numerical data recognized by the karaoke. The control part converts the index information read by the pen into a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vert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The transmission part connects the control part with the karaoke. The electronic pen includes an optical sensor(121), light emitting devices(122), and a converting part.

Description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Song selection device of karaoke equipment {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ong selection device of a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선곡 장치의 전자펜 일부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en part of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펜을 나타낸 일 실시예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lectronic pen hav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선곡 장치의 본체 일부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ain body of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선곡 장치의 본체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ain body of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10 : 인쇄물 111 : 노래 식별정보110: print 111: so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120 : 전자펜120: electronic pen

121 : 광학식 센서 122 : 발광소자121: optical sensor 122: light emitting element

123 : 변환부 124 : 출력부123: converter 124: output unit

124a : 커넥터 125 : 데이터 케이블124a: connector 125: data cable

130 : 본체130: main body

131 : 입력부 132 : 메모리131: input unit 132: memory

133 : 제어부 134 : 송신부133: control unit 134: transmission unit

140 : 노래 반주 기기140: song accompaniment device

본 발명은 노래방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ng selection device of the karaoke device.

현재 노래방에서 노래를 선곡하기 위해서는 노래책에서 선곡할 노래에 해당하는 선곡 번호를 찾고, 노래방 기기에 내장된 숫자 버튼들 중 상기 선곡 번호에 해당하는 숫자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리모컨과 같은 노래 선곡 장치에 구비된 숫자 버튼을 눌러야 한다.To select a song in the current karaoke, find the song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ong to be selected in the songbook, press the number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ong number among the number buttons built into the karaoke device, or a song selection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You must press the number button provided on the.

그러나, 이는 매번 노래를 선곡할 때마다 선곡 번호에 해당하는 숫자 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ss the number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number every time the song is selected.

또한, 노래방 기기의 설치 장소에 따라 조명이 충분하지 못한 곳이 많이 관계로 노래책을 찾거나 리모컨의 숫자 버튼을 누르는데 불편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노래를 선곡하는데 있어서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밖에 없어 노래방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places where the lighting is not enough,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karaoke device, it is inconvenient to find a song book or press the number buttons on the remote control, so the user has to spend more time selecting songs There is no problem that can not use the karaoke equipment efficient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래책 또는 벽에 붙어 있는 팜플렛 등과 같은 인쇄물에서 노래에 관련된 정보를 광학 방식으로 리딩하여 노래방 기기에 제공함으로써, 간편하고 빠르게 노래를 선곡할 수 있는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karaoke device by read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ng in a printed book, such as a song book or a pamphlet attached to the wall, it is possible to select a song easily and quick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ng selection device of a karaoke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는, 선곡을 위한 노래의 제목 및 선곡 번호를 포함한 그 주변에 소정 크기의 도트(dot) 코드 형태로 인쇄된 인덱스 정보를 구비한 인쇄물로부터 상기 인덱스 정보를 광학적으로 리딩하는 전자펜과, 각종 프로그램 및 상기 인덱스 정보를 노래 반주 기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번호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전자펜에 의해 리딩된 인덱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노래 반주 기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리모컨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노래 반주 기기간을 유/무선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환된 리모컨 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ong selection device of the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inted material having the index information printed in the form of a dot code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periphery including the title and the selection number of the song for the selection An electronic pen for optically reading the index information from a memory,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and a program for converting the index information into a number recognizable by a song accompaniment device, and index information read by the electronic pen.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a remote control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external song accompaniment device us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nd a wired /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and conver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converted by the control unit into the song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accompaniment devic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전자펜은 상기 제어부와 분리 가능하고, 상기 분리된 경우 상기 전자펜과 제어부는 유/무선상으로 연결되는 점이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pen is detachable from the controller, and when separated, the electronic pen and the controller are connected in a wired / wireless manner.

또한, 상기 전자펜은 상기 인덱스 정보를 광학적으로 리딩하는 광학식 센서와; 상기 광학식 센서 주변에 장착되어 노래 선곡 시 소정의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광학식 센서에 의해 리딩된 인덱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electronic pen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for optically reading the index information; A light emitting element mounted around the optical sensor to provide a predetermined light source during song selection; It includes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index information read by the optical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덱스 정보를 미리 구비된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래의 번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번호의 숫자들에 해당하는 리모컨 신호를 생성하는 점이다.The controller converts the index information into an original number using a conversion program provided in advance, and generates a remote controller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of the converted number.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노래 반주 기기간을 근거리 통신 연결할 경우, 적외선 통신 장치(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와,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 무선 랜, UWB(Ultra-WideBand)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는 점이다.The transmitter may include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 Bluetooth, a Zigbee, a wireless LAN, and a UWB (Ultra-WideBand). Is formed of at least one module.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노래 반주 기기간을 유선상으로 연결할 경우, 커넥터 형태로 형성되는 점이다.The transmitter may be formed in a connector form when the controller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are connected in a wired mann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ong selection device of a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ong selection device of a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는, 인쇄물(110) 상에 선곡을 위한 노래의 인덱스 정보(111)를 광학적으로 리딩하는 전자펜(120)과; 상기 전자펜(120)에 의해 리딩된 인덱스 정보를 리모콘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외부 노래 반주 기기(140)로 유/무선 송신하는 본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song selection device of a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nic pen 120 that optically reads index information 111 of a song for selection on a printed matter 110; It includes a main body 130 for converting the index information read by the electronic pen 120 in the form of a remote control signal to transmit the wired / wireless to the external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12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 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electronic pe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선곡 장치의 전자펜 일부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pen part of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120)은, 광학식 센서(121)와, 발광소자(LED)(122)와, 변환부(123)와, 출력부(124)로 구성된다.2 and 3, the electronic pe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sensor 121, a light emitting element (LED) 122, a converter 123, and an output unit 124. It is composed.

광학식 센서(121)는 인쇄물(110) 상에 선곡을 위한 노래의 인덱스 정보(111)를 광학적으로 리딩한다(S11).The optical sensor 121 optically reads the index information 111 of the song for selecting songs on the printed matter 110 (S11).

바람직하게, 상기 인덱스 정보(111)는 상기 노래의 제목이나, 선곡 번호를 소정 크기의 도트(Dot) 코드 형태로 변환한 인덱스 정보로써, 상기 인쇄물(110)상에서 상기 노래 제목 및 선곡 번호 주위(노래 제목 및 선곡 번호를 포함한 주변 부분)에 인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노래방의 노래 책자에는 수백 수천개의 노래 제목과 그에 따른 선곡 번호 및 해당 가수명 등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 정보는 상기 각 노래 제목과 그에 따른 선곡 번호 및 가수명을 포함한 그 주변에 인쇄되며, 상기 인덱스 정보는 각 곡명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덱스 정보는 사람 눈에는 쉽게 보이지 않게 인쇄되므로 상기 인덱스 정보가 상기 노래 제목, 선곡 번호 및 가수명 위에 겹쳐져서 인쇄되어도 사용자가 노래책자에서 곡명, 선곡 번호 및 가수명을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dex information 111 is index information obtained by converting a title of a song or a music selection number into a dot cod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ong title and the music selection number around the song 110 on the printed matter 110 (song). Periphery including title and selection number).
For example, songbooks usually contain hundreds of thousands of song titles, their song numbers, and their names. Here, the index information is printed around the song title, its song number and singer name, and the index information is recogn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song name. And since the index information is printed invisibly to the human eye, even if the index information is superimposed on the song title, song number and singer name, the user can clearly recognize the song name, song number and singer name in the song book.

따라서, 사용자가 부르고자 하는 곡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광학식 센서(121)를 상기 노래 책자의 노래 제목, 선곡 번호 또는 가수명이 인쇄된 부분을 포함한 그 주변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광학식 센서(121)는 상기 노래 제목, 선곡 번호 또는 가수명을 포함한 그 주위에 인쇄된 인덱스 정보를 리딩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us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ptical sensor 121 to the periphery of the song book, the song title number or the singer name of the song booklet to select a song to be sung, the optical sensor 121 is It is to read the index information printed around the song title, song number or singer name.

이하 본 발명에서는 식별정보가 상기 인덱스 정보라는 가정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index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선곡 번호라 함은, 소정 자릿수의 숫자들로서, 노래 반주 기기(140)에서 상기 선곡 번호의 숫자들에 해당하는 리모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곡 번호에 해당하는 노래의 반주 재생을 시작한다.In addition, the music selection numbers are numbers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digits. Whe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of the music selection numbers, the music accompaniment starts playing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music selection numbers. .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120)을 이용하여 인덱스 정보를 선택 시에 상기 선택된 인덱스 정보가 잘못 선택될 경우, 이를 취소하기 위한 취소 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index information using the electronic pe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elected index information is incorrectly selected, a cancel button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cancel the selected index information.

또한, 광학식 센서(121)는 상기 인덱스 정보를 리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펜(120)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tical sensor 121 is preferably formed at the end of the electronic pen 120 to read the index information.

또한, 상기 광학식 센서(121)의 주변에 소정의 색상의 광을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LED)(122)를 구비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LED) 122 emitting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is provided around the optical sensor 121.

상기와 같이, 발광소자(LED)(122)를 구비하는 이유는, 노래방 환경 자체가 매우 어둡기 때문에 사용자가 광학식 센서(121)를 이용하여 인덱스 정보를 선택 시, 상기 발광소자(LED)(122)가 소정의 광을 발광하여 상기 광학식 센서(121) 주위를 밝힘으로써, 사용자가 인덱스 정보를 잘못 선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light emitting device (LED) 122 is provided is because the karaoke environment itself is very dark, when the user selects the index information using the optical sensor 121, the light emitting device (LED) 122 is used. Emits a predetermined light to brighten around the optical sensor 121, so that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index information incorrectly.

이때, 상기 전자펜(120)의 일 부위에는 상기 발광소자의 ON/OFF를 위한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노래방의 조명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상기 발광소자(LED)(122)를 ON/OFF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one portion of the electronic pen 120 is provided with a switch (not shown) for the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the user freely turn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LED) 122 according to the lighting environment of karaok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 OFF.

변환부(123)는 상기 광학식 센서(121)로부터 리딩된 인덱스 정보를 본체(13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12).The conversion unit 123 converts the index information read from the optical sensor 121 into a digital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ain body 130 (S12).

출력부(12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120)이 본체(130)와 이격되는 구조로 이루어졌을때, 상기 변환부(12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본체(130)로 유/무선 송신한다(S13).When the electronic pe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nic pen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30,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converter 123 to the main body 130 is wired / wireless. Transmit (S13).

이때, 상기 전자펜(120)와 본체(130)와 일체화되는 구조를 형성할 경우, 상기 출력부(12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tructure to be integrated with the electronic pen 120 and the main body 130, the output unit 124 may not be provided.

즉, 상기 전자펜(120)과 본체(130)가 일체화된 구조일 경우, 상기 변환부(12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본체(130)의 제어부(133)로 출력된다.That is, when the electronic pen 120 and the main body 130 are integrated,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converter 123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33 of the main body 130.

출력부(124)는 상기 전자펜(120)과 본체(130)가 이격되어 유선상으로 연결될 경우 커넥터 형태로 구비되어, 데이터 케이블(125)을 통해 상기 본체(130)와 연결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nector when the electronic pen 120 and the main body 130 are spaced apar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wired mann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30 through the data cable 125.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펜(120)과 커넥터(124a)간에 데이터 케이블(125)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124a)는 본체(130)와 유선 연결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4, a data cable 125 is connected between the electronic pen 120 and the connector 124a, and the connector 124a is wired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30.

이때, 상기 데이터 케이블(125)의 길이는 상기 본체(130)를 책상등에 놓고 사용할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data cable 125 is preferably such that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30 is placed on a desk or the like.

또한, 상기 데이터 케이블(125)의 일 선상에 상기 데이터 케이블(125)을 자동으로 되감기게 하는 수납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to automatically rewind the data cable 125 on one line of the data cable 125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desired length.

또한, 출력부(124)는 상기 전자펜(120)과 본체(130)간을 무선 연결할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 즉, 적외선 통신 장치(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와,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 무선 랜, UWB(Ultra-WideBand)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124 wirelessly connects the electronic pen 120 and the main body 130, a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Bluetooth. It may be provided as at least one module of (Blue Tooth), Zigbee, wireless LAN, UWB (Ultra-WideBand).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체(13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ain bod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선곡 장치의 본체 일부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ain body of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선곡 장치의 본체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ain body of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30)는, 입력부(131)와 메모리(132)와, 제어부(133)와, 송신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and 6, the main bod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31, a memory 132, a controller 133, and a transmitter 134.

본 발명에 따른 본체(130)는 일반적인 노래방에서 사용되는 노래방 기기용 리모컨이 될 수도 있다.The main bod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mote control for a karaoke device used in a general karaoke.

입력부(131)는 상기 전자펜(120)의 출력부(124)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인덱스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133)로 출력한다(S21).The input unit 131 receives index informatio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from the output unit 124 of the electronic pen 120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33 (S21).

이때, 입력부(131)는 상기 출력부(124)가 커넥터 형태일 경우, 상기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input unit 131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when the output unit 124 is a connector type.

또한, 입력부(131)는 상기 출력부(124)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일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형태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3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output unit 124 is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전자펜(120)과 상기 본체(130)가 일체형일 경우, 상기 입력부(131)는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133)가 상기 출력부(124)로부터 바로 인덱스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pen 120 and the main body 130 are integrated, the input unit 131 may not be provided, and the control unit 133 may receive index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output unit 124.

메모리(132)는 상기 본체(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정보를 노래 반주 기기(14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번호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한다.The memory 132 includes various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30 and a program for converting index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numbers recognizable by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제어부(133)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입력부(131)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인덱스 정보를 상기 메모 리(132)에 구비된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래의 번호로 변환을 한다.The control unit 133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body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uses a conversion program provided in the memory 132 to index informatio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131. To convert the original number.

앞서 설명했지만, 제어부(133)는 전자펜(120)과 본체(130)과 일체형일 경우, 상기 전자펜(120)의 변환부(123)부로부터 바로 상기 인덱스 정보를 바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unit 133 is integrated with the electronic pen 120 and the main body 130, the control unit 133 may directly receive the index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conversion unit 123 of the electronic pen 120.

제어부(133)는 상기 해독된 번호의 숫자들에 해당하는 리모컨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부로 출력한다(S22).The control unit 133 generates a remot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of the decrypted number and outputs it to the transmitter (S22).

송신부(134)는 상기 제어부(133)와 노래 반주 기기(140)간을 유/무선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133)에 의해 변환된 리모컨 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 기기(140)로 송신한다(S23).The transmitter 134 transmits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converted by the controller 133 to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by wired /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ler 133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S23).

상기 송신부(134)는 상기 제어부(133)와 상기 노래 반주 기기(140)간을 유선상으로 연결할 경우, 커넥터 형태로 형성된다.The transmitter 134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nector when the controller 133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are connected in a wired manner.

또한, 송신부(134)는 상기 제어부(133)와 상기 노래 반주 기기(140)간을 근거리 통신 연결할 경우, 즉, 적외선 통신 장치(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와,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 무선 랜, UWB(Ultra-WideBand)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134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133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that is,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Bluetooth (Blue Tooth),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module of ZigBee, WLAN, and Ultra-WideBand (UWB).

노래 반주 기기(140)는 상기 본 발명의 동작에 의해 본체(130)로부터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리모컨 신호에 해당하는 노래의 반주를 재생한다.Whe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130 by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140 plays back the accompaniment of the song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매우 용이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will be very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s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노래책의 번호나 제목등을 간편하게 리딩하여 선곡할 수 있으므로, 리모컨의 버튼을 입력하지 않고도 노래를 선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of the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ad and select the number or title of a song book by using an electronic pen, there is an effect of selecting a song without inputting a button of a remote controller.

또한, 노래책뿐만 아니라 이달의 신곡, 애창곡 등을 표시한 벽보의 노래 제목이나 선곡 번호들을 선택할 때도 자동으로 선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when you select the song title or selection number of the wall covering not only the songbook but also the new song, favorite song of the month.

Claims (7)

선곡을 위한 노래의 제목 및 선곡 번호을 포함한 그 주변에 소정 크기의 도트 코드 형태로 인쇄된 인덱스 정보를 구비한 인쇄물로부터 상기 인덱스 정보를 광학적으로 리딩하는 전자펜;An electronic pen that optically reads the index information from a printed material having index information printed in the form of a dot code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periphery thereof, including a title and a selection number of a song for selection; 각종 프로그램 및 상기 인덱스 정보를 노래 반주 기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번호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various programs and programs for converting the index information into numbers recognizable by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상기 전자펜에 의해 리딩된 인덱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 노래 반주 기기에서 인식할 수 있는 리모컨 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index information read by the electronic pen into a remote control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external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using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And 상기 제어부와 상기 노래 반주 기기간을 유/무선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변환된 리모컨 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converted by the controller to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by wired /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펜은 상기 제어부와 분리 가능하고, 상기 분리된 경우 상기 전자펜과 제어부는 유/무선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The electronic pen is detachable from the controller, and when the electronic pen is separated, the electronic pen and the controller are connected in a wired / wireless man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pen, 상기 인덱스 정보를 광학적으로 리딩하는 광학식 센서;An optical sensor for optically reading the index information; 상기 광학식 센서 주변에 장착되어 노래 선곡 시 소정의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소자; 및A light emitting device mounted around the optical sensor to provide a predetermined light source during song selection; And 상기 광학식 센서에 의해 리딩된 인덱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And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index information read by the optical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노래 반주 기기간을 근거리 통신 연결할 경우, 적외선 통신 장치(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와,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 무선 랜, UWB(Ultra-WideBand)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The transmitter may include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 Bluetooth, a Zigbee, a wireless LAN, and an UWB (Ultra-WideBan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Song selection apparatus of the karao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t least one modu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노래 반주 기기간을 유선상으로 연결할 경우, 커넥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의 노래 선곡 장치.The transmitting unit, the song selection device of the karao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in a wired form.
KR1020070029791A 2007-03-27 2007-03-27 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 KR100764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791A KR100764820B1 (en) 2007-03-27 2007-03-27 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791A KR100764820B1 (en) 2007-03-27 2007-03-27 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820B1 true KR100764820B1 (en) 2007-10-08

Family

ID=3941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791A KR100764820B1 (en) 2007-03-27 2007-03-27 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8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18B1 (en) * 2007-12-10 2009-08-13 (주)셈투유 Studying system linked with contents and method for studying us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134A (en) * 1994-04-30 1995-11-24 배순훈 Karaoke Device
KR960020585A (en) * 1994-11-25 1996-06-17 구자홍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of remote control
KR20040047819A (en) * 2002-09-26 2004-06-05 요시다 켄지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information inputting and outputting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portable information inputting and outpu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toy using dot pattern
KR20060016714A (en) * 2004-08-18 2006-02-22 주식회사 이시티 A mobile phone for remote controlling a electronic product by using 2-dimensional barcode symbology
KR20060063842A (en) * 2006-05-19 2006-06-12 주식회사 엔터기술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for selecting musical program using cod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KR200425379Y1 (en) 2006-06-13 2006-09-01 주식회사 월드전자기술 Learning apparatus for a preschool educ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134A (en) * 1994-04-30 1995-11-24 배순훈 Karaoke Device
KR960020585A (en) * 1994-11-25 1996-06-17 구자홍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of remote control
KR20040047819A (en) * 2002-09-26 2004-06-05 요시다 켄지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information inputting and outputting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portable information inputting and outpu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toy using dot pattern
KR20060016714A (en) * 2004-08-18 2006-02-22 주식회사 이시티 A mobile phone for remote controlling a electronic product by using 2-dimensional barcode symbology
KR20060063842A (en) * 2006-05-19 2006-06-12 주식회사 엔터기술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for selecting musical program using cod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26723B1 (en) 2006-05-19 2007-06-11 주식회사 엔터기술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for selecting musical program using code recognition
KR200425379Y1 (en) 2006-06-13 2006-09-01 주식회사 월드전자기술 Learning apparatus for a preschool edu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18B1 (en) * 2007-12-10 2009-08-13 (주)셈투유 Studying system linked with contents and method for studying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23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n intelligent AC outlet
US8358274B2 (en)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varying colored lights in keyboard and self-luminous keyboard for realizing the same method
US20030014615A1 (en) Control of a unit provided with a processor
US20050066370A1 (en) Controlling device using cues to convey information
US20070000375A1 (en) Guitar docking station
KR101695860B1 (en) Sharp transition in circular light guided ring for user interface with functionalities with a clear beginning and end
US20030127990A1 (en) Remote-control device of lamp series control box
KR101196249B1 (en) Lighting apparatus of having multi function controlled by bluetooth communication
CN106304496B (en) Method of applying a dynamic color scheme to light of a lighting unit
KR100764820B1 (en) Apparatus for selecting of music in karaoke
JP2007067764A (en) Lighting device and system having infrared data broadcasting function
KR20070006296A (en) Pushing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KR20100045878A (en) Mood lighting system and method
JP4543792B2 (en) Peripheral equipment control device
KR1008033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f a song, and system for accompanying in a singing roo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by
JP5072457B2 (en) Remote controller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4562043B2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and setting method thereof
JP2015231260A (en) Power tap
JP2006340263A (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is remote controller
KR20030071975A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autom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TW201032252A (en) A keyboard controlling method to generate colored light variation and a light-emitting keyboard which implements the controlling method
RU27463U1 (en)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 UNIT OF FIRST LAMP
JP3897018B2 (en) Pen pointing device
JP2010011333A (en) Multi-remote controller
JP2003330323A (en) Image formation mode se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