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521B1 -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521B1
KR100754521B1 KR1020050014559A KR20050014559A KR100754521B1 KR 100754521 B1 KR100754521 B1 KR 100754521B1 KR 1020050014559 A KR1020050014559 A KR 1020050014559A KR 20050014559 A KR20050014559 A KR 20050014559A KR 100754521 B1 KR100754521 B1 KR 100754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home server
transmitted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811A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521B1/ko
Priority to US11/316,964 priority patent/US20060190590A1/en
Publication of KR2006009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해당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평상시 투과성 매체 또는 거울로 동작하다가 홈서버로부터 소정 정보가 전송되면 디스플레이모드로 전환되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정보 단말들 및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위치 정보를 통해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홈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가정 내의 현재 위치한 곳에서 홈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바로 확인하고,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정보 단말, 디스플레이, 거울, 투과성 매체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단말들과 홈서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 제1 정보 단말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의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1, 100-2, …, 100-n: 정보 단말
110: 디스플레이부 120: 메모리부
130: 음성처리부 160: 단말제어부
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80: 터치패드부
200: 홈서버 210: 단말정보제어부
220: 사용자정보저장부 230: 저장부
240: UI처리부 250: 음성인식인증부
250: 홈서버제어부 270: 홈서버 인터페이스부
300: 센서 네트워크 310: 센서 플랫폼
310-1, 300-2, 300-3: 위치인식센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란 가정 내 정보가전 제품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 네트워크 기술을 말한다. 홈네트워크의 구축 대상은 아날로그형이 아닌 디지털 기기로써 인터넷으로 작동가능한 냉장고나 세탁기, 디지털 TV,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 컴퓨터, 노트북, 에어컨 등이 있다.
홈네트워크를 설치하면 안방에서 초인종을 누른 사람, 세탁 종료 여부 및 전기 밥솥에서 밥이 다 되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의 웹서버들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보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TV, 컴퓨터, 노트북 등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단말들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해야만 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종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리모콘, 키보 드, 마우스 등의 각종 입력장치들이 위치한 곳으로 사용자가 이동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홈서버 측면에서도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해야할 때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 정보 단말이 없으면 해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정 내의 현재 위치한 곳에서 홈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바로 확인하고,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해당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 네트워크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정보 단말들 및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홈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은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홈서버는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정보 저장부 및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홈서버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홈서버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보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홈서버로 전달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도록 하고, 상기 홈서버에서 전달되는 UI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홈서버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음성인식인증부 및 상기 전송된 음성 명령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기 설정된 UI화면을 상기 정보 단말에 제공하는 UI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은, 소정의 사용자에게 전달될 것이 요청되는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정보가 전달될 것이 요청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단말에 상기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보 단말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은,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예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단말들과 홈서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400)은 복수의 제1 내지 제n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과, 센서 네트워크(300) 및 홈서버(200)가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하는 홈 RF, 블루투스, 무선 LAN, 적외선을 이 용하는 IrDA 등으로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지털 기기로써 인터넷으로 작동가능한 냉장고나 세탁기, 디지털 TV,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 컴퓨터, 노트북, 에어컨 등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40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300)는 가정 내의 사용자들의 위치 및 신원정보를 수집하여 홈서버(200)에 제공한다. 가정 내의 사용자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각 사용자에게 전자태그(Radio Frequency: RF TAG)를 부착시키고, 가정 내의 각 위치(예컨대, 방, 거실, 욕실, 부엌 등)에 설치된 전자태그 위치인식센서들(310-1, 310-2, 310-3)을 통해 사용자들의 가정 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태그 위치인식센서들(310-1, 310-2, 310-3)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센서 플랫폼(310)을 통해 홈서버(200)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에 전자 태그가 부착된 경우 센서 네트워크(300)는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홈서버(200)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웹 카메라들(미도시)을 가정 내의 각 위치에 설치한 후, 웹 카메라들에서 촬상되어 전송된 이미지들을 홈서버(200)에서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원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300)는 온도센서(미도시), 소음센서(미도시), 조도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홈서버(200)에 가정 내의 각 위치에서의 온도, 소음, 조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은 평상시에는 거실 탁자의 유리판, 안방의 창문, 화장실의 샤워 유리판과 같은 투과성 매체 또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과 같이 동작하고, 홈서버(200)로부터 소정의 정보가 전달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면 대응되는 이미지 및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가정 내의 각 위치에 설치된다.
홈서버(200)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곳에서 소정의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 네트워크(3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정보들을 전달한다. 또한, 홈서버(200)는 인터넷망(미도시)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연결되는 게이트웨이(gateway)의 역할을 포함하거나, 홈서버(200)의 외부에 설치된 별도의 게이트웨이(미도시)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과 홈서버(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 제1 정보 단말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정보 단말(100-1)은 디스플레이부(110), 메모리부(120), 터치패드부(180), 음성처리부(130), 스피커(140), 마이크(1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 및 단말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제어부(160)의 제어를 받아 홈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 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홈서버(2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유리와 같은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써 동작한다. 이에 의해, 제1 정보 단말(100-1)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가정 내의 각 위치에서 거실의 탁자, 안방의 창, 화장실의 샤워 유리 기판, 벽면거울로써 설치되어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메모리부(120)는 제1 정보 단말(100-1)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1 정보 단말(100-1)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음성처리부(130)는 홈서버(200)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신호를 스피커(140)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마이크(15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홈서버(200)로 제공한다. 또한, 음성처리부(130)는 마이크(150)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문자로 변환처리하는 음성인식처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60)는 제1 정보 단말(10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제어부(160)는 홈서버(200)로부터 소정의 정보데이터가 전달되면 디스플레이부(110)를 거울 또는 투과성 매체 상태의 노말모드에서 디스플레이모드로 전환하여 전달된 정보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마이크(150) 또는 터치패드부(18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홈서버(200)에 전달하여 홈서버(200)가 사용자 명령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는 제1 정보 단말(100-1)이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USB 포트, 무선 모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는 홈서버 인터페이스부(270)와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로역할을 담당한다.
터치패드부(18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나 펜 등을 통한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단말제어부(16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홈서버(200)는 단말정보저장부(210), 사용자정보저장부(220), 저장부(230), UI처리부(240), 음성인식인증부(250), 홈서버 제어부(260), 홈서버 인터페이스부(270)를 포함한다.
단말정보 저장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의 가정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정보 저장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 사용자들의 신원정보가 등록 저장된다. 예컨대, 각 사용자들의 성명, 전자태그 정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들의 음성정보 및 이미지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홈서버(2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및 홈서버(2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UI처리부(240)는 사용자별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저장하고, 음성인식인증부(250)에서 인증된 사용자의 신원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에 제공한 다.
음성인식인증부(250)는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사용자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그 인증결과를 홈서버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홈서버 제어부(260)는 홈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홈서버 제어부(260)는 특정 사용자에게 전달이 요구되는 정보가 인터넷망(미도시)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되거나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한 경우에 센서 네트워크(3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위치정보 및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현재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 단말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의 위치 정보와 비교한 후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당 정보를 전달할 정보 단말을 선택한다.
여기서,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과 가정 내의 각 위치를 소정 영역별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영역에 속한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홈서버 제어부(260)는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로부터 사용자 음성 명령이 전달되어 음성인식인증부(250)로부터 사용자의 신원이 인증되면, 해당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UI처리부(240)를 통해 처리하여 해당 정보 단말에 전달한다.
홈서버 인터페이스부(270)는 홈서버(200)가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마 련되며 USB 포트, 무선 모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홈서버 인터페이스부(270)는 정보단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와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로역할을 담당하고, 홈서버(200)를 센서 네트워크(300) 및 인터넷망과 연결시키는 역할도 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정보 단말(100-1)을 동작시키기 위한 음성명령이 마이크(150)를 통해 입력되면, 정보 단말(100-1)은 입력된 음성명령을 음성처리부(130)에서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홈서버(200)에 전송한다(S510).
이후, 홈서버(2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 명령을 음성인식인증부(250)에서 인식하고, 사용자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여 사용자에 대한 신원 인증을 수행한다(S520). 다음으로, 인증된 해당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UI처리부(S240)에서 생성하여 정보 단말(100-1)로 전송한다(S530).
이후, 단말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유리와 같은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거울로 동작하는 노말모드에서 디스플레이모드로 변환시켜 홈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S540).
다음으로, 단말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패드부(180) 또는 마이크(150)를 통해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면(S5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홈서버(200)에 전송한다(S560).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은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 등의 동작상태에 대한 확인 명령이나 외부 웹서버로부터 원하는 정보에 대한 검색명령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홈서버(200)는 정보 단말(100-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작업을 처리하고, 처리된 작업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정보 단말(100-1)에 전송하여 정보 단말(100-1)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570).
마지막으로, 단말제어부(160)는 터치패드부(180) 또는 마이크(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 단말(100-1)의 디스플레이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S580), 디스플레이부(110)를 디스플레이모드에서 유리와 같은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거울로 동작하는 노말모드로 변환시킨다(S59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정보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특정 사용자에게 전달이 요청되는 정보가 인터넷망(미도시)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되거나 홈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면(S610), 홈서버제어부(260)는 센서 네트워크(3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위치정보 및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가정 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고(S615), 단말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정보 단말들(100-1, 100-2, …, 100-n)의 위치 정보와 비교한 후 소정의 방법에 의해 해당 정보를 전달할 정보 단말을 선택하여(S620), 선택된 정보 단말에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S625).
여기서,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과 가정 내의 각 위치를 소정 영역별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영역에 속한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단말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유리와 같은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거울로 동작하는 노말모드에서 디스플레이모드로 변환시켜 홈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S630).
다음으로, 단말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패드부(180) 또는 마이크(150)를 통해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면(S63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홈서버(200)에 전송한다(S640).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은 홈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했음을 알리거나 추가적으로 새로운 정보를 요청하거나 다른 가전 기기 등의 동작상태의 확인을 요청하는 명령이 될 수 있다.
이후, 홈서버(200)는 정보 단말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작업을 처리하고, 처리된 작업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해당 정보 단말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645).
마지막으로, 단말제어부(160)는 터치패드부(180) 또는 마이크(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 단말의 디스플레이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S650), 디스플레이부(110)를 디스플레이모드에서 유리와 같은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거울로 동작하는 노말모드로 전환시킨다(S65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정 내의 현재 위치한 곳에서 홈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바로 확인하고,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리와 같은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거나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써 동작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거실의 탁자, 안방의 창, 화장실의 샤워 유리 기판, 벽면 거울 등으로써 설치하여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가정 내의 각 위치에서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4)

  1.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해당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 네트워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 단말들; 및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홈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는 경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노멀모드로부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정보 저장부; 및
    상기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홈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보 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7. 적어도 하나의 정보 단말과 상기 정보 단말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홈서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단말은,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홈서버로 전달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도록 하고, 상기 홈서버에서 전달되는 UI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는 경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노멀모드로부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는,
    상기 정보 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음성인식인증부; 및
    상기 전송된 음성 명령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기 설정된 UI화면을 상기 정보단말에 제공하는 UI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
  11. 복수의 정보 단말과 상기 정보 단말을 제어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홈서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사용자에게 전달될 것이 요청되는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정보가 전달될 것이 요청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단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복수의 정보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단말에 상기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는 경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노멀모드로부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정보 단말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은,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투과성 매체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단말들은,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있으면 상기 전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홈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없으면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거울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KR1020050014559A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KR100754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59A KR100754521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US11/316,964 US20060190590A1 (en) 2005-02-22 2005-12-27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59A KR100754521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811A KR20060093811A (ko) 2006-08-28
KR100754521B1 true KR100754521B1 (ko) 2007-09-03

Family

ID=3691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559A KR100754521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90590A1 (ko)
KR (1) KR100754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918A (ko) * 2013-07-26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028B1 (ko) * 2005-07-14 2011-08-10 주식회사 케이티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TW200838166A (en) * 2007-03-09 2008-09-16 Delta Electronics Inc Wireless network interface card and mobile wireless monitoring system
KR20130137379A (ko) * 2012-06-07 2013-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255963B (zh) * 2014-05-15 2019-02-15 夏普株式会社 网络系统、服务器、通信设备以及信息处理方法
US10382375B2 (en) * 2015-02-23 2019-08-13 Vivint, Inc. Personalized communications
KR101999886B1 (ko) * 2017-04-21 2019-10-02 (주)아이리녹스 스마트 미러 및 이를 이용하는 IoT 스마트 화장실 서비스 방법
US10362531B2 (en) * 2017-09-20 2019-07-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subnetwork preference logic
US11336644B2 (en) * 2017-12-22 2022-05-17 Vmware, Inc. Generating sensor-based identif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425A (ko) * 1998-12-29 2001-05-15 요트.게.아. 롤페즈 분포된 네트워크 장치를 갖는 홈 제어 시스템
KR20030026530A (ko) * 2001-09-26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 기반 가전기기 자동제어 장치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996B1 (en) * 1999-02-01 2002-06-04 Steven M. Hoffber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555376A (en) * 1993-12-03 1996-09-10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granting a user request having locational and contextual attributes consistent with user policies for devices having locational attributes consistent with the user request
US5552806A (en) * 1994-04-29 1996-09-0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selectable function icons on a display
AU4006995A (en) * 1994-10-20 1996-05-15 Ies Technologies, Inc. Automated appliance control system
US5630159A (en) * 1994-12-29 1997-05-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attribute selection having dela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rence establishment when preferences in a donor device are unavailable
US5642303A (en) * 1995-05-05 1997-06-24 Apple Computer, Inc. Time and location based computing
US20020073416A1 (en) * 2000-12-12 2002-06-1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Remote control account authorization system
US7054645B1 (en) * 2001-03-07 2006-05-30 At&T Corp. System for intelligent home controller and home monitor
US7206559B2 (en) * 2001-10-16 2007-04-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to control appliances
US8255968B2 (en) * 2002-04-15 2012-08-2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the recording of program material using a program guide
KR100438724B1 (ko) * 2002-06-24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동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운용 방법
US8116889B2 (en) * 2002-06-27 2012-02-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US6792323B2 (en) * 2002-06-27 2004-09-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KR100459183B1 (ko) * 2002-06-29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합 모바일 ip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모빌리티 관리방법
US20040133668A1 (en) * 2002-09-12 2004-07-08 Broadcom Corporation Seamlessly networked end user device
KR20040067036A (ko) * 2003-01-21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단말기 연동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HK1052832A2 (en) * 2003-02-26 2003-09-05 Intexact Technologies Ltd A security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same
JP3779696B2 (ja) * 2003-04-28 2006-05-3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と移動機器とを含む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US20060020960A1 (en) * 2004-03-24 2006-01-26 Sandeep Rela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across several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425A (ko) * 1998-12-29 2001-05-15 요트.게.아. 롤페즈 분포된 네트워크 장치를 갖는 홈 제어 시스템
KR20030026530A (ko) * 2001-09-26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 기반 가전기기 자동제어 장치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918A (ko) * 2013-07-26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58208B1 (ko) * 2013-07-26 2020-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811A (ko) 2006-08-28
US20060190590A1 (en)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521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US11378927B2 (en) Hotel management system
KR100761027B1 (ko) 무선마우스와 홈네트워크 단말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JP736494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CN105659179A (zh) 用于与hvac控制器相交互的设备和方法
US8730029B2 (en) Tablet computer as user interface of security system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486929B2 (ja) ビデオ通話を利用した装置制御
US201401921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home using visual cues
EP2273330A1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030135865A1 (en)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JP691821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KR20190096264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JP2002281567A (ja) 遠隔操作方法、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プログラム
US20160232763A1 (en) Wireless camera, microphone, security, repeater, intercom, conferencing and/or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4377644B2 (ja) 家電遠隔制御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サーバ及び家電遠隔制御方法
KR102144554B1 (ko)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 맞춤형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US20210209211A1 (en) Pin verification
KR101839267B1 (ko) 셋탑 단말, 셋탑 단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JP4735199B2 (ja) カードリーダの設定方法、カード認証システム
JP2002335586A (ja) 家電制御システム、家電制御方法、家電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8195011A (ja) ロボットまたは電子回路モジュール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0321083B1 (ko) 홈오토메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0351090B1 (ko) 아날로그/디지털정보 변환기능을 갖춘 홈오토메이션 관리시스템
US20230119058A1 (en) Operating-system-level setup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