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028B1 -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028B1
KR101056028B1 KR1020050063918A KR20050063918A KR101056028B1 KR 101056028 B1 KR101056028 B1 KR 101056028B1 KR 1020050063918 A KR1020050063918 A KR 1020050063918A KR 20050063918 A KR20050063918 A KR 20050063918A KR 101056028 B1 KR101056028 B1 KR 10105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ser
management
home network
knowl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007A (ko
Inventor
송오영
박세현
남창우
장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주식회사 솔트룩스
서치캐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주식회사 솔트룩스, 서치캐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06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02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04L41/5022Ensuring fulfilment of SLA by giving priorities, e.g. assigning classes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H04L41/0873Checking configuration conflicts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2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network security polici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에이전트(Agent)와 기기(Device)들이 상호 운용되어 공통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잡한 충돌 문제 해소를 위해서 각 서비스 단위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추론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서비스 단위를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간적, 공간적 트래킹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속적 트래킹을 유지하기 위한 추적수단; 사용자 및 서비스의 정책적 보안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추적수단의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virtual level) 및 우선순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여부 및 상황을 결정ㆍ관리하기 위한 관리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전기기 및 버츄얼 실행(virtual action)에 대한 시간적 순서 및 상황을 고려하고, 서비스시 시간상의 순차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우선순위 적용 및 정책적 방안을 관리하기 위한 실행제어수단; 상기 실행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명령 및 사용자 패턴 및 성향에 따라 추론된 값을 바탕으로 가전기기들의 실질적인 동작(실행)을 계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실행기에 명령(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실행계획수단; 및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세션을 형성ㆍ유지하고, 단일 태스크 및 사용자 행동 단위, 서비스 단위를 유지ㆍ관찰하기 위한 세션/태스크 관리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 기반한 홈네트워크 등에 이용됨.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서비스 관리, 프라이버시(Privacy), 우선순위(Priority)

Description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Service management apparatus for knowledge-based home network ser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프라이버시 모듈 12 : 추적 모듈
13 : 실행 계획기 14 : 세션 모듈
15 : 태스크 모듈 16 : 실행 모듈
17 : 상황 번역기
본 발명은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 비스를 위해 다양한 에이전트(Agent)와 기기(Device)들이 상호 운용되어 공통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잡한 충돌 문제 해소를 위해서 각 서비스 단위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인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즉, 유비쿼터스란,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어느 기기(Anydevice)로도 미디어에 구애받지 않고(Anymedia), 경제적이며 편리하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유비쿼터스 시대를 열어가는 홈네트워크는 이동통신ㆍ초고속 인터넷 등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가정내의 A/V, 데이터 통신 및 정보가전기기들이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며 중앙의 홈 서버를 통해 집안 전체의 관리가 가능하여 안전하고 스마트한 자동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을 말한다. 또한, 다양한 사용자의 요청 및 환경에 복합적이고 지식적인 상호연동을 통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홈네트워크의 발전을 위한 기술 연구가 가속화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미래지향적인 홈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순한 형태로 장치들이 연결된 물리적인 공간을 보다 지능적이고 적응적 컴퓨팅 환경인 지능적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이러한 지능적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 자율적이고 다양한 ㅇ엔티티(Entity)들이 공통의 상황(Context)을 인식하고 교환할 수 있는 기술, 주어 진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Context-aware 기술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의 직접적인 서비스 요청에 의해서만 동작하는 수동적인 환경이 아닌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Invisible Service'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기반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각 개인별 취향과 관심(Interests) 및 상황(Context)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다양한 입출력(Multimodal) 방식으로 제공하며, 각 사용자의 관심과 지식들의 연관성을 온톨로지(Ontology)를 통해서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집안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요약, 분석, 처리, 가공하여 음성, 문자 및 그래픽 등으로 보고받고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적응적인 사용자 중심의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기반 서비스가 더욱 고도화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장치, 공간 정보를 보안 유지 및 관리하며, 사용자 행동을 추적, 연계 관리하고, 사용자 행동단위 및 서비스 단위를 유지/관찰하는 시스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선행 연구로 서비스 제공을 하는 다양한 명령에 대한 멀티쓰레딩을 모니터링하는 모듈의 개발이 있었으나, 이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의 홈네트워크 지식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현재까지는 사용자 및 서비스의 정책적 보안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 사용자의 시간적, 공간적 위치 트래킹을 위한 모듈,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서비스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러한 취약성을 개선하여 지식기반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 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에이전트(Agent)와 기기(Device)들이 상호 운용되어 공통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잡한 충돌 문제 해소를 위해서 각 서비스 단위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추론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서비스 단위를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간적, 공간적 트래킹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속적 트래킹을 유지하기 위한 추적수단; 사용자 및 서비스의 정책적 보안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추적수단의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virtual level) 및 우선순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여부 및 상황을 결정ㆍ관 리하기 위한 관리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전기기 및 버츄얼 실행(virtual action)에 대한 시간적 순서 및 상황을 고려하고, 서비스시 시간상의 순차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우선순위 적용 및 정책적 방안을 관리하기 위한 실행제어수단; 상기 실행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명령 및 사용자 패턴 및 성향에 따라 추론된 값을 바탕으로 가전기기들의 실질적인 동작(실행)을 계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실행기에 명령(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실행계획수단; 및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세션을 형성ㆍ유지하고, 단일 태스크 및 사용자 행동 단위, 서비스 단위를 유지ㆍ관찰하기 위한 세션/태스크 관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서비스 관리 장치(Service Manager)는, 홈네트워크 서비스시 각각의 서비스들을 유지 관리하고 사용자간의 우 선순위 및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에이전트(Agent)와 기기(Device)들을 상호 운용하여 공통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잡한 충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및 서비스의 정책적 보안 관리가 가능토록 하고, 사용자의 시간적, 공간적 위치 트래킹이 가능토록 하며, 아울러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서비스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추론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서비스 단위를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장치(Service Manager)는, 사용자의 시간적, 공간적 트래킹(Tracking)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속적 트래킹을 유지하기 위한 추적 모듈(Tracking Module)(12)과, 사용자 및 서비스의 정책적 보안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추적 모듈(12)의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Virtual Level) 및 우선순위(Priority)에 대한 서비스 제공 여부 및 상황을 결정ㆍ관리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모듈(Privacy Module)(11)과, 프라이버시 모듈(11)의 관리하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전기기 및 버츄얼 실행(virtual action)에 대한 시간적 순서 및 상황을 고려하고, 서비스시 시간상의 순차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우선순위 적용 및 정책적 방안을 관리하기 위한 실행 모듈(Action Module)(16)과, 실행 모듈(16)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명령 및 사용자 패턴 및 성향에 따라 추론된 값을 바탕으로 가전기기들의 실질적인 동작(실행)을 계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실행기(Actuator)에 명령(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실행 계획기(Action Planer)(13)와,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세 션을 형성ㆍ유지하고, 단일 태스크 및 사용자 행동 단위, 서비스 단위를 유지ㆍ관찰하기 위한 세션 모듈(Session Module)(14)/태스크 모듈(Task Module)(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세션 모듈(Session Module)(14)은 사용자의 공간상으로의 등장이나 버츄얼(Virtual)한 생성이 필요한 경우 세션(Session)을 형성ㆍ유지하고 사용자의 퇴장과 태스크(Task)의 종료에 따라 세션을 종료하며, 세션의 충돌(Conflict)에 대해 사용자 우선순위를 적용하고 정책적 방안을 관리한다.
또한, 태스크 모듈(Task Module)(15)은 정적 패턴이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태스크(Task)를 생성 및 유지하고, 서비스가 완료되는 경우 태스크를 종료하며, 한 사용자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시 중복이나 관련 실행(Action)의 충돌(Conflict)에 대해 인지 및 우선순위를 적용하고 정책적 방안을 관리한다.
이외에도, 상기 추적 모듈(12)은 사용자 인식을 위한 다중 사용자의 충돌 발생에 따른 카메라 센서 관리 기능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모듈(11)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서비스 정보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상황 매니저(Context Manager)에서 지식 레퍼지토리(Knowledge Repository)의 온톨로지 상황 모델(Ontology Context Model)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및 가전기기들, 서비스, 이벤트 간의 연관관계를 N-triple 형태로 변환한 후, 이를 상황 번역기(Context Translator)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장치(Service Manager)가 사용할 수 있도록 전환한다.
그리고, 추론기(Reasoner)는 사용자의 프로파일(Profile)과 위치 및 행동패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추론한다.
추론기(Reasoner)로부터 넘어온 데이터(추론값)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관리 장치(Service Manager)는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실행 계획(Action Plan)을 세우는데, 이때 이전에 생성된 세션(Session)이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 없다면 새로운 세션(Session)을 형성하고, 해당 Session에 존재하는 태스크(Task) 목록을 확인하여 새로운 Task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태스크(Task)에 실제 실행기(Actuator)가 동작하기 위한 실행(Action)을 등록한다. 이후, 각 Action들은 각각의 스케줄에 따라서 동작하게 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중 사용자 프라이버시(Privacy) 적용이 필요한 경우 프라이버시 모듈(11)에서 판단하여 적용한다.
이때, 서비스 적용을 위해선 사용자 위치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서비스 관리 장치(Service Manager)는 서비스 적용시 항상 최신의 정보를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모듈이 추적 모듈(12)이다. 이때, 사용자 위치 정보는 상황 매니저(Context Manager)와 연계하여 획득하게 되며, 그 정보를 바탕으로 위치기반(Location-based)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서비스 중 필요한 정보의 요약과 추론이 필요한 부분은 마이너(Miner)와 추론기(Reasoner)와의 통신을 통해 얻어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명령 및 사용자 패턴 및 성향에 따라 추론된 값에 대해서 실제 가전기기들의 동작을 계획 지시한다. 또한, 기기 제어가 아닌 사용자가 알기를 원하는 정보 검색의 내용을 실제 검색 및 제공 내용을 구성하는 모듈을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식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서비스 정보들을 정책적으로 유지시키고, 보안 관리하여 또 다른 서비스 제공시 이를 고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 및 이에 기반한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모델로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를 유지, 관리하고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모듈과의 연동성을 제공하여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실직적인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고, 모듈 구성을 통해 타 시스템과 손쉽게 연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우선순위(Priority) 및 프라이버시(Privacy)를 고려하여 서비스의 충돌(Conflict) 문제나 다중 사용자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어, 다 양한 정적 패턴의 서비스가 필요한 공간이나 위치 인식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분에서 기반 기술로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추론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서비스 단위를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간적, 공간적 트래킹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시간적, 공간적으로 연속적 트래킹을 유지하기 위한 추적수단;
    사용자 및 서비스의 정책적 보안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추적수단의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virtual level) 및 우선순위에 대한 서비스 제공 여부 및 상황을 결정ㆍ관리하기 위한 관리수단;
    상기 관리수단의 관리하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전기기 및 버츄얼 실행(virtual action)에 대한 시간적 순서 및 상황을 고려하고, 서비스시 시간상의 순차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우선순위 적용 및 정책적 방안을 관리하기 위한 실행제어수단;
    상기 실행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명령 및 사용자 패턴 및 성향에 따라 추론된 값을 바탕으로 가전기기들의 실질적인 동작(실행)을 계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실행기에 명령(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실행계획수단; 및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세션을 형성ㆍ유지하고, 단일 태스크 및 사용자 행동 단위, 서비스 단위를 유지ㆍ관찰하기 위한 세션/태스크 관리수단
    을 포함하는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단은,
    사용자의 공간상으로의 등장이나 버츄얼(virtual)한 생성이 필요한 경우 세션을 형성ㆍ유지하고 사용자의 퇴장과 태스크의 종료에 따라 세션을 종료하며, 세션의 충돌에 대해 사용자 우선순위를 적용하고 정책적 방안을 관리하기 위한 세션 모듈; 및
    정적 패턴이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태스크를 생성 및 유지하고, 서비스가 완료되는 경우 태스크를 종료하며, 한 사용자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시 중복이나 관련 실행(action)의 충돌에 대해 인지 및 우선순위를 적용하고 정책적 방안을 관리하기 위한 태스크 모듈
    을 포함하는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수단은,
    사용자 인식을 위한 다중 사용자의 충돌 발생에 따른 카메라 센서 관리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단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서비스 정보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KR1020050063918A 2005-07-14 2005-07-14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KR10105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918A KR101056028B1 (ko) 2005-07-14 2005-07-14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918A KR101056028B1 (ko) 2005-07-14 2005-07-14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007A KR20070009007A (ko) 2007-01-18
KR101056028B1 true KR101056028B1 (ko) 2011-08-10

Family

ID=3801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918A KR101056028B1 (ko) 2005-07-14 2005-07-14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0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425A (ko) * 1998-12-29 2001-05-15 요트.게.아. 롤페즈 분포된 네트워크 장치를 갖는 홈 제어 시스템
KR20030026530A (ko) * 2001-09-26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 기반 가전기기 자동제어 장치와 방법
KR20060061190A (ko) * 2004-12-01 2006-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규칙기반 상황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3811A (ko) * 2005-02-22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KR20070001319A (ko) * 2005-06-29 2007-01-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인지적 지능적 서비스 제공을위한 추론 엔진의 추론 기법 개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425A (ko) * 1998-12-29 2001-05-15 요트.게.아. 롤페즈 분포된 네트워크 장치를 갖는 홈 제어 시스템
KR20030026530A (ko) * 2001-09-26 200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 기반 가전기기 자동제어 장치와 방법
KR20060061190A (ko) * 2004-12-01 2006-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규칙기반 상황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3811A (ko) * 2005-02-22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정보제공방법
KR20070001319A (ko) * 2005-06-29 2007-01-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인지적 지능적 서비스 제공을위한 추론 엔진의 추론 기법 개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IC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007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Cyber-physical-social systems: The state of the art and perspectives
Du et al. Robot cloud: Bridging the power of robotics and cloud computing
Wan et al. Cloud robotics: Current status and open issues
Stankovic Research directions for the internet of things
Fensel et al. Semantic web enabled web services
Fortino et al. An agent-based middleware for cooperating smart objects
Kushwaha et al. Oasis: A programming framework for service-oriented sensor networks
Luan et al. The paradigm of digital twin communications
Misra et al. Mils-cloud: A sensor-cloud-based architecture for the integration of military tri-services operations and decision making
Castelli et al. Engineering pervasive service ecosystems: the sapere approach
KR20070008990A (ko) 지식기반 홈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적응적 서비스 제공을위한 추론 장치
Baek et al. Managing mechanism for service compatibility and interaction issues in context-aware ubiquitous home
Cagnin et al. A multi-agent system approach for management of industrial IoT devices in manufacturing processes
Taniguchi et al. Semiotically adaptive cognition: toward the realization of remotely-operated service robots for the new normal symbiotic society
Tiddi et al. An ontology-based approach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ROS-based robotic systems
Lee et al.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of pervasive services using context-aware augmented reality
Almadan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DDS-based middleware over wireless channel for reconfigurable manufacturing systems
Tay et al. Human-centric automation and optimization for smart homes
Abbas Realizing the NOSHAPE MAS organizational model: an operational view
Posadas et al. Communications structure for sensory data in mobile robots
KR100839535B1 (ko) 다중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 상황 적응적 서비스 구현을 위한 추론엔진 및 그 방법
Atanasov et al. An approach to data annotation for internet of things
KR101056028B1 (ko) 지식기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관리 장치
Dimopoulos et al. A multi-core context-aware management architecture for mixed-criticality smart building applications
Moawad et al. A rule-based contextual reasoning platform for ambient intelligence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