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655B1 -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655B1
KR100718655B1 KR1020057011273A KR20057011273A KR100718655B1 KR 100718655 B1 KR100718655 B1 KR 100718655B1 KR 1020057011273 A KR1020057011273 A KR 1020057011273A KR 20057011273 A KR20057011273 A KR 20057011273A KR 100718655 B1 KR100718655 B1 KR 10071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ssage
ringing
image data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5741A (ko
Inventor
타르자 파아코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8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04M3/42051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where the notification is included in the ringing 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Abstract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영상(ringing image)은 사운드와 영상들/비디오들 및 선택사항적인 텍스트 정보의 조합과 표현형식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은, 발신측 이동국으로부터 입력 호를 수신하는 단계; 입력 호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MMS메시지는 영상데이터 및 착신음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단계; 호출영상데이터를 착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게 표현하는 단계; 및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에 응답하여, 입력 호에 회답하는 사용자로부터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입력 호와 MMS메시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신된다.
이동국, 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착신음, 호출(ringing)영상,

Description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ringing images on mobile calls}
본 발명은 대체로 무선통신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 호들에 대한 메시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 수년에 걸친 셀 전화기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은 셀 전화기 제조업체들이 각 세대의 새로운 셀 전화기들과 함께 새롭고 개선된 서비스들을 계속적으로 제공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 호 대기(call waiting), 발신자ID, 3자간 통화(three-way calling), 착신전환(call forwarding), 및 음성 다이얼링과 같은 신규 서비스들은 새로운 세대의 셀 전화기들의 표준이 되고 있다. 그 밖에, 인터넷의 인기와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고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은 성장에 관해 새로운 영역들을 만들고 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 인터넷이 보급됨으로써, 셀 전화기와 같은 무선기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근하려는 요구가 많은 이유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입수가능한 많은 셀 전화기들과 그 밖의 무선기기들은 무선기기들이 인터넷의 하이퍼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브라우저 소프트웨어(종종 "마이크로브라우저"라 함)를 장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전 세대의 많 은 무선기기들은 마이크로브라우저를 장비하고 있지 않다. 마이크로브라우저의 결여는 그러한 기기들이 인터넷의 하이퍼미디어 콘텐츠에 접근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많은 이러한 무선기기들에서 이용가능한 단문메시지서비스("SMS")라고 알려진 서비스를 이용하는 그러한 무선기기들에는 제한된 인터넷 접근이 제공되고 있다. SMS는 어떤 무선기기들의 사용자들이 제한된 길이(예컨대, 160 문자까지)의 문자숫자(alphanumeric)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게 한다. SMS는 페이징과 비슷하지만, SMS는 메시지가 송신될 때 무선기기가 동작 중이고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무선기기가 비동작상태이거나 범위 밖에 있다면, 일반적으로 무선기기가 동작상태로 복귀하거나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기간까지 SMS메시지는 보류된다.
SMS기반 인터넷접근은 무선기기로부터 서버에 의해 서비스되는 소정의 주소 또는 전화번호에 하나 이상의 "키워드"메시지들을 제출함으로써 수행된다. 서버는 "키워드"에 기초한 정보를 포함하는 SMS메시지를 준비하고 그 SMS메시지를 요청하는 무선기기에 다시 전달한다.이 유형의 접근의 일 예는 주식 호가(stock quote)에 관한 요구일 수 있다. 무선 사용자는 주식 심볼에 뒤따르는 키워드 "QUOTE"를 입력할 것이다. 서버는 그 SMS메시지를 수신하고 키워드를 복호화할 것이고 무선기기에 의해 요구되는 알맞은 정보를 얻는 것을 시도할 것이다. 일단 호가 가격(quote value)이 결정되었다면, 서버는 해당 호가 정보를 담고 있는 SMS메시지를 작성하여 그것을 요구하는 무선기기에 보낸다.
무선기기는 전 세계적으로 몇 가지 다른 표준들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은 IS-95 및 CDMA-2000 표준에 기초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을 사용한다. 코드분할다중접근("CDMA")은 다른 코드들을 갖는 개별 호 신호들을 유포함으로써 전송용의 공통 주파수/시간채널을 많은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유럽사회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으로 알려진 시스템을 이용한다. GSM은 시분할다중접근("TDMA") 및 주파수분할다중접근("FDMA") 표준에 기초한다. CDMA와는 달리, 각 사용자에게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또는 주파수 슬롯이 주어진다. CDMA 2000과 GSM 시스템들 둘 다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분리된 채널들을 이용한다. 이러한 채널들은 필요하다면 더 높은 용량의 처리율(throughput)을 위해 혼합될 수 있다. 더구나, 이 채널들은 통화채널들 또는 제어채널들일 수 있다.
SMS메시징서비스는 전형적으로는 GSM동작환경의 자립형 전용 제어채널(Standalone Dedicated Control Channel, "SDCCH")에서 반송된다. SDCCH채널은 통화채널들("TCH들")에 무관하게 동작한다. 그러므로, 셀 전화기들의 사용자들은 동시에 다른 사용자와 대화를 하거나 또는 TCH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SMS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SMS텍스트 메시징서비스는 세계적으로 한 달에 거의 15조의 문자기반 메시지들을 다룬다. 이 대단한 인기로, 이전의 대중적인 SMS를 향상시키는 새롭고 혁명적인 메시지 송신 방식이 개발되었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는 텍스트, 그래픽, 사진영상, 오디오 및 비디오 클립들까지도 담고 있는 메시지들을, 무선응용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을 이용하고 EDGE(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 및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와 같은 새로운 고속전송기술들로 강화된 이동기기들 간에 전송할 수 있다. MMS는 최근 기술의 소도구기계류에 추가적인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이동 음성통화mobile voice calls)와 같이 무선기기사용자들이 현재 가장 친숙한 이동통신의 영역들에 MMS를 통합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이동 호들(mobile calls)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호출영상들(ringing images)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의해 전술한 문제들은 해결되고 이 기술분야에서 기술적인 진보가 달성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영상은 사운드 및 영상들/비디오와 문자정보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동 호들에 대한 MMS 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URL주소와 착신측(terminating) 이동국의 주소를 포함하는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RL주소에 위치된 영상데이터 및 착신음(ring tone)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서비스(MMS)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및 MMS메시지를 착신측 이동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MMS메시지는 바람직하게는 호 설정(call setup) 정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된다.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서비스(MMS) 호출영상들을 제공하는 이동단말기용 방법을 지향하는 대체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발신측(originating) 이동국으로부터 입력 호(incoming call)를 수신하는 단계; 입력 호에 관련된 MMS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MMS메시지는 영상데이터 및 착신음데이터를 구비한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단계; 호출영상데이터를 착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게 표현하는 단계; 및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에 응답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호에 회답하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대체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방법은, 착신측 이동국의 주소와 호출영상데이터의 식별자를 구비한 호 설정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호 설정메시지를 이동교환국에 송신하여 착신측 이동국에 대해 호를 시작하고 호출영상데이터를 포함한 호출영상메시지를 착신측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에 응답하는 착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 의한 호의 회답 하에, 착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및 추가의 양태들은 다음 설명 중에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이 호출영상 호들을 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환경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호출영상 호 설정메시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예시적인 호출영상 메시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보인 예시적인 네트워크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국의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보인 예시적인 네트워크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MMS메시지서버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측 이동국이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생성하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MS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초기화하는 발신측 이동국의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예시적인 선택사항들의 각종 스크린샷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b는 도 3에 보인 예시적인 이동국에서 사용하기 위한 MMS호출영상용의 레코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MS메시지서버가 MMS호출영상 메시지를 생성하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신측 이동국이 MMS 호출영상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
다음의 각종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실시예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되고, 도면들에는 발명이 실용화될 수 있게 하는 각종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보여진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및 기능적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 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번호들이 유사한 부분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국들이 호출영상 호들을 행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환경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보인 것처럼, 발신측 이동국(100)과 착신측 이동국(130)은 GSM, EDGE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와 같은 이동통신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동국들(100/130)은 이동전화기, 개인휴대정보단말기들("PDA들") 등과 같은 이동 핸드셋들, 또는 무선 음성 및 데이터 능력을 갖는 랩톱과 같은 휴대형 컴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측 이동국(100)의 사용자가 착신측 이동국(130)의 사용자에게 호를 하기 원할 때, 그 또는 그녀는 이동국(100)에 명령하여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를 기지국시스템(BSS; 104)을 통해 이동교환국(MSC; 106)에 송신하여, 호출영상 메시지(122)를 호의 수립에 관련된 착신측 이동국(130)에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 나중에 상세히 논의될 것처럼, 호출영상 메시지(122)는 발신측 이동국(100)으로부터 호에 관련된 착신측 이동국(130)의 사용자에게 표현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호출영상데이터(예컨대, 사운드와 텍스트를 갖는 영상들/비디오의 조합 및 선택사항적인(optional) 표현형식)이다. 착신측 이동국(130)의 사용자는 호에 회답함으로써(예컨대, 착신측 이동국(130)상의 소정의 키를 누름으로써)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을 중단할 수 있다.
호 수립을 초기화하기 위해 발신측 이동국(100)에 의해 발생된 예시적인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거기에 보인 것처럼, 메시 지(102)는 착신측 이동국(103)의 주소를 위한 필드(202)를 구비한 헤더(201a)와, 발신측 이동국(100)의 호출영상 식별자 및 주소를 위한 필드들(204, 206)을 각각 구비한 몸부(201b)를 포함한다. 필드들(202 및 206)에 있는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국들의 주소들은 MSISDN들일 수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진 않았다. 또한, 필드(204)의 호출영상 식별자는 URL 또는 URI일 수 있고, URL 또는 URI는 본 발명에서는 서로 동등하고 여기서는 총괄하여 간단히 URL이라고 해도 좋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영상 식별자는 발신측 이동국(100)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영상 식별자는 발신측 이동국(100)에 저장된 복수개의 호출영상 식별자들로부터 발신측 이동국(10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의 부분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처럼, 이동국(100)에 저장된 각 호출영상 식별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센터(MMSC, 110) 내에 저장된 호출영상들의 집합 중의 하나의 호출영상에 대응한다. 각 발신측 이동국(100)(또는 그것의 각 사용자)는 바람직하게는 MMSC(100) 내에 저장된 호출영상들의 집합을 가진다. 이 집합은 사용자가 이동국(100)을 구매하거나 호출영상 서비스에 가입하는 때에 저장되고 이동국(100)(또는 그 사용자)에 링크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초기에 제공된 집합에 대해 호출영상들을 변형, 추가 또는 제거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호출영상 식별자를 선택하는 대신, 이동국(100) 또는 MMSC(110)와 같은 네트워크의 실체(entity)더라도 충족된 소정의 규준(criteria)에 기초하여 식별자를 선택해도 좋다. 예를 들어, 빈번하게 다이얼링되 는 번호의 사용자 선택은 개인용 오디오메시지를 갖는 사용자의 사진과 같은 비공식 호출영상에 대응하는 호출영상 식별자가 자동으로 선택되게 한다. 반면에, 드물게 다이얼링되는 번호의 사용자 선택은 회사의 로고 및 그것의 착신음과 같은 공식 호출영상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선택하게 한다. 다른 대체 실시예에서, 호출영상 식별자의 선택은 발신측 이동국(100)의 번호에 기초할 수 있고 회사 특유(예컨대, 모든 호들에 대한 노키아 호출영상은 노키아 종업원들에 의해 만들어짐) 또는 오프레이터 특유(특히 오퍼레이터들이 이동국들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시장들에서)의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의 수신 하에, MSC(106)는 그 속에 들어 있는 발신측 이동국 주소를 이용하여, 예컨대, 도 1에 보인 홈위치레지스터(HLR; 142) 또는 방문자위치레지스터(VLR; 152)일 것인 가입 레코드 노드로부터 그 주소에 대응하는 가입자 데이터레코드(144, 154)를 검색한다.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HLR은 주소, 계정상태, 선호, 가입 등을 포함한 관련 사용자 정보를 유지하는 이동네트워크 용 영구가입자정보의 주 데이터베이스이다. 마찬가지로, VLR은 가입자들의 홈 시스템에 의해 커버되는 유효범위(coverage)영역 밖에 있는 가입자들로부터의 호 요구들을 관리하기 위해 임시 사용자 정보를 유지한다. 발신측 이동국(100)이 호출영상 특징(feature)에 가입하면, 가입자레코드(144, 154)는 바람직하게는 가입을 표시하는 플래그(146, 156)를 담을 것이다. 어느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이러한 가입자레코드의 수신 하에, MSC(106)는 착신측 이동국(130)에 호를 수립할 것이고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센터(MMSC, 110)에 전송 하기 위한 호출영상 요구메시지(107)를 작성하기도 할 것이다.
도 2b는 예시적인 호출영상 요구메시지(107)를 도시한다. 보인 바와 같이, 메시지(107)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센터(MMSC; 110)의 주소를 위한 필드(210)를 구비한 헤더(208a)와, 착신측 이동국의 번호, 호출영상 식별자 및 발신측 이동국의 번호를 위한 필드들(220, 222, 224)을 구비한 몸부(208b)를 포함한다. 요구메시지(107)는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들을 MMSC가 수신하는 다른 MMS관련 메시지들로부터 구별할 때 MMSC(110)에 의해 사용하기 위한 호출영상 요구플래그(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단 호출영상 요구메시지(107)가 MSC(106)에 의해 발생되었다면, 그것은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센터 게이트웨이("G-MMSC"; 108)를 통해 MMSC(110)에 전송된다. MMSC(110)는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요구의 처리를 위해 메시지서버(112)에 중계한다. 이에 관해, 도 1에 보인 것처럼, 메시지서버(112)는 단말기 데이터베이스(114) 및 멀티미디어 호출영상 라이브러리(116) 둘 다에 바람직하게 결합된다. 단말기 데이터베이스(114)는 호출영상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국들의 목록을 저장하고, 각 이동국에 대해, 그 이동국을 위한 하나 이상의 호출영상들로 된 집합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담고 있다. 멀티미디어 호출영상 라이브러리(116)는 각 이동국의 호출영상들의 집합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MMSC(110)로부터의 호출영상 요구메시지(107)의 수신 하에, 메시지서버(112)는 멀티미디어 호출영상 라이브러리(116)로부터 호출영상을 검색할 때 사용하기 위해 호출영상 식별자 및 발신측 이동국(100)의 번호를 필드들(222 및 224)로부터 각각 추출한다. 특히, 메시지서버(112)는 발신측 이동국(100)의 번호를 사용하여, 단말기 데이터베이스(114)로부터 그 이동국을 위한 호출영상 집합 식별자를 결정한다. 그 후 서버(112)는 집합 식별자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호출영상 라이브러리(116)로부터 발신측 이동국(100)의 호출영상집합에 접근한다. 최종적으로, 서버(112)는 요구메시지들(102)로부터 추출된 호출영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호출영상집합으로부터 착신측 이동국(130)에 송신하려는 특정 호출영상을 검색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각 호출영상은 사운드 및 영상들/비디오과 텍스트의 조합과 함께 이러한 멀티미디어를 사용자에게 표현하기 위한 형식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발신측 이동국(100)의 집합 식별자는 도 1에 보인 인터넷(118)과 같은 데이터네트워크에서, 원격 호출영상 라이브러리(120)와 그 속에 저장된 호출영상집합들이 제3자에 의해 유지 보수되는 위치를 포인트할 것이고, 이 위치로부터 메시지서버(112)는 호출영상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일단 호출영상데이터가 적당한 라이브러리(115, 120)로부터 검색되었다면, 메시지서버(112)는 착신측 이동국(130)에 전달하기 위해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MMS호출영상 메시지(122)를 발생한다. 도 2c에 보인 것처럼, 예의 호출영상 메시지(122)는 착신측 이동국의 주소, 호출영상 플래그 및 발신측 이동국의 주소를 위한 필드들(260, 262, 264)을 구비한 헤더(252a)를 포함한다. 또 호출영상 메시지(122)는 표현형식, 영상들/비디오들, 오디오 및 텍스트와 같은 호출영상데이터를 위한 필드들(270, 272, 276, 278)을 구비한 몸부(252b)를 포함한다.
일단 호출영상 메시지(122)가 메시지서버(122)에 의해 생성되었다면, 그것은 이동통신네트워크의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센터 게이트웨이("G-MMSC"; 124), 이동교환센터("MSC"; 126) 및 기지국 시스템("BSS"; 128)을 경유하여 착신측 이동국(13)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호 설정 정보는 이동통신네트워크를 통해 호출영상 메시지(122)와는 거의 동시에 송신되고, 따라서, 착신측 이동국(130)에 의해 거의 동시에 수신된다. 착신측 이동국(130)은 호 설정 정보(예컨대, 발신측 이동국(100)에 의해 제기된 호에 상응하는 페이지 메시지) 및 호출영상 메시지를 양 메시지들에 들어 있는 호출영상플래그들에 의해 호출영상 호에 관련된 것으로 그리고 각각이 발신측 이동국(100)의 MSISDN에 의해 서로 링크될 수 있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영상 메시지(122)의 수신 하에, 착신측 이동국(130)은 호출영상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현한다. 사용자로부터 호출영상 메시지(122)와 연결된 입력 호에 회답하는 표시(소정의 키를 누름)를 수신한 후, 착신측 이동국(130)은 거의 동시에 호출영상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에서부터 호를 행하는 것으로 전환한다.
도 3은 도 1에 보인 예시적인 네트워크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동국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보인 이동국은 발신측 이동국(100)과 착신측 이동국(130)이 될 수 있다. 이동국(100/130)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300), 복수개의 키들(310), 스피커(350), 마이크로폰(355), 카메라(360) 및 안테나(375)를 포함한다. 이동국(100/130)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이퍼텍스트 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보기 위한 웹브라우저(370)와 MMS서비스 메시지들을 작성, 표시 및 편집하기 위한 MMS편집기(380)를 구비한다.
도 3에 추가로 보인 것처럼, 이동국(100/130) 역시 중앙처리부("CPU"; 320)와 메모리(330) 및 가입자식별모듈("SIM"; 240)을 구비한다. 메모리(330)와 SIM(340)은 MSC(106)에의 전송을 위해 호출영상 호 설정메시지들(102)을 발생하는 것과 메시지서버(112)로부터 링크된 입력 호들과 함께 수신된 호출영상 메시지들(122)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MMS호출영상 응용(application)(390)을 포함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위한 저장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출영상 응용(390)은 MMSC(110)에 저장된 호출영상집합에 부가하기 위해 사용자가 호출영상들을 작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호출영상들은, 예컨대, 인터넷(118)과 같은 데이터네트워크로부터 웹브라우저(130)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된 데이터파일들 그리고/또는 입력키들(310), 마이크로폰(355) 및 카메라(360) 중의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동국(100/130)에 의해 국부적으로 생성된 데이터파일들로부터 작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보인 예시적인 네트워크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MMS메시지서버(112)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보인 것처럼, 메시지서버(112)는 각종 시스템 구성요소들에 시스템버스(415)에 의해 상호접속된 프로세서(400) 및 메모리(4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요소들은 MMSC(110)로부터 MMSC링크(425)를 경유하여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들(107)을 수신하고 MMSC링크(425)를 경유하여 MMSC(110)에 호출영상 메시지들(122)을 송신하기 위한 MMSC인터페이스(420)를 구비한다. 도 4에 보인 실시예에서, 또 메시지서버는 호출영상데이터의 검색 시에 사용하기 위한 단말기 데이터베이스(114) 및 호출영상 라이브러리(116)를 구비하여, 도 7에 관련하 여 나중에 상세히 설명될 것처럼, 착신측 이동국(130)에의 전송을 위한 호출영상 메시지들(122)을 발생한다. 메시지서버(112)는 제3자들로부터 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고속 백본을 경유하여 인터넷(118)에 연결된 인터넷인터페이스(430)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발신측 이동국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를 생성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504에서,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가 작성된다. 단계 506~510에서, 메시지(102)의 헤더(201a)는 착신측 이동국(130)의 MSISDN에 의해 점유되고 몸부(201b)는 소망의 호출영상의 URL/URI 및 발신측 이동국의 MSISDN에 의해 점유된다. 일 실시예에서, 발신측 이동국(100)의 사용자는 착신측 이동국(130)의 MSISDN과 호출영상의 URL/URI을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에 부가하는 것이 단계 506 및 508에서 각각 촉구한다. 단계 512에서, MMS 호출영상 응용(390)은 MSISDN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URL/URI가 이용가능한 형식인지를 판단한다. 어느 것도 이용가능한 형식이 아니라면, 단계 514에서, MSISDN 및/또는 URL/URI를 정정하는데 필요한 부가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요구된다. MSISDN과 URL/URI 둘 다가 사용가능한 형식이라면, 단계 516에서,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는 MSC(106)에 송신된다. 호 설정 정보(예컨대, 페이지메시지)와 MMSC(110)에 의해 전송된 호출영상 메시지(122)의 수신에 응답하여, 착신측 이동국(130)의 사용자가 호 설정 메시지(102)에 대응하는 호에 회답하였다면, 단계 518에서, 발신측 이동국(100)의 사용자는 착신측 이동국(130)의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의 전송을 시작하는 발신측 이동국(100)의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또는 스크린샷들의 예시적인 선택사항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의 화면(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 이동국(100)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전자 전화번호부는 착신측 이동국(130)에 각각 관련된 하나 이상의 엔트리들을 담고 있다. MMS 호출영상이 어떤 엔트리에 대해 활성화되었다면,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는 그 엔트리에 대한 스크롤링과 그에 따른 강조 및 "호(call)" 버튼의 누름에 의해 전달되기 시작한다. 호출영상이 그 엔트리에 대해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다면, 호 버튼을 누르면 기존의 호 설정 메시지가 어떠한 호출영상 식별자도 없이 전송된다.
화면(610)상의 "선택사항"버튼을 누르면 스크린(620)은 강조된 전화번호부 엔트리를 마주보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선택사항들을 열거한다. "세부사항"을 스크롤하고 "선택"버튼을 누르면 스크린(630)은 강조된 전화번호부 엔트리에 관련된 세부사항을 보여준다. 이 전화번호부 엔트리에 관련한 다른 정보 외에도, 이러한 세부사항은 MMS 호출영상이 활성화되었는지의 표시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약 활성화된다면, 화면(610)에서 이 전화번호부 엔트리에 대한 스크롤링과 "호"버튼의 누름은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102)가 MSC(106)로 전송되게 한다.
화면(620)으로 돌아가서, "MMS 호출영상"에 스크롤하고 "선택"버튼을 누르면 화면(640)은 강조된 전화번호부 엔트리에 대해 현재 이용가능한 호출영상들을 보여준다. 화면(640)으로부터, 사용자는 호출영상들 중의 하나에 스크롤할 수 있고 그것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거나 그것을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보다 많은 호출영상이 활성화를 위해 선택될 수도 있다.
화면(640)상의 "추가"버튼을 누르면, 스크린(650)은 발신측 이동국(100)의 MMS 호출영상(ringing images, RI) 라이브러리를 표시하고 전화번호 엔트리에 관련하여 현재 이용가능한 모든 호출영상들을 열거한다. 라이브러리의 호출영상들 중의 하나로 스크롤하고 화면(650)상의 "선택"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호출영상은 특정 전화번호 엔트리에 관해 화면(640)상에 표시되는 호출영상들의 리스트에 추가된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호출영상들을 위해 필요하다면 호출영상을 스크롤하고 "제거"버튼을 누름으로써 하나 이상의 호출영상들을 라이브러리로부터 제거하여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650)에서 "작성"버튼을 누르면, 화면(660)은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약간의 선택사항들을 호출영상을 작성하는 처리 중에 보여준다. 이러한 선택사항들은 오디오, 영상들/비디오, 텍스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들의 브라우징 및 선택, 발신측 이동국(100)의 입력키들(310)을 이용한 텍스트의 추가, 및 호출영상에의 이름 지정을 포함할 수 있다. 호출영상의 작성 하에, 발신측 이동국(100)은 이동국(100)의 호출영상집합에 추가하기 위해 그것을 MMSC(110)에 전송하고, MMSC(110)으로부터 호출영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URI를 수신한다. 그 후 이동국(100)은, 도 6b에 보인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이름(672) 및 MMSC(110)로부터 수신된 URL/URI(674)를 포함하는 호출영상에 관한 레코드(670)를 작성한다. 그런 다음, 새로 추가된 호출영상의 이름은 스크린(650)이 표시될 때마다 호출영상 라이브러리에 나타난다. 그 후 MMSC(110)에 호출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발신 측 이동국(100)은 이 데이터를 메모리(330)로부터 삭제하여 발신측 이동국의 자원을 보존한다.
도 7은 MMS 메시지서버(112)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MS 호출영상 메시지(122)를 생성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702에서, 메시지서버(112)는 MSC(106)로부터 MMSC(110)를 경유하여 호출영상 요구메시지(107)를 수신한다. 단계 704에서, 서버(112)는 메시지(107)로부터의 호출영상 식별자(222)와 함께 착신측 및 발신측 이동국들의 MSISDN들(220, 224)을 추출한다. 단계 706에서, 서버(112)는 착신측 이동국(130)의 MSISDN에 주소지정되는 호출영상 메시지(122)를 작성한다. 단계 708에서, 서버(112)는 메시지(122)에 포함할 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한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서버(112)는 발신측 이동국(100)의 MSISDN을 이용하여 그 국을 위한 호출영상집합 식별자를 단말기 데이터베이스(114)로부터 검색한다. 그 후 서버(112)는 데이터베이스(114)로부터 검색된 호출영상집합 식별자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호출영상 라이브러리(116)로부터 호출영상들의 대응 집합에 접근하고 그 집합으로부터, 요구 메시지(107)로부터 추출된 호출영상식별자에 대응하는 호출영상데이터를 선택한다.
단계 710에서, 메시지서버(112)는 호출영상데이터를 호출영상 메시지(122)에 추가한다. 메시지(122)의 필드(262)에는 그 메시지를 본 발명에 따라 호출영상처리를 할 필요가 있는 메시지로 식별할 때 착신측 이동국(130)을 돕는 호출영상 플래그가 포함되기도 한다. 단계 712에서, 메시지서버(112)는 메시지(122)를 발신측 이동국(100)으로부터의 입중계 이동 호와 링크할 때 착신측 이동국(130)에 의한 사용 을 위해 호출영상 메시지(122)에 발신측 이동국(100)의 MSISDN을 추가한다. 단계 714에서, 메시지서버(112)는 호출영상 메시지(122)를 이동통신네트워크의 G-MMSC(124), MSC(126) 및 BSS(128)를 통해 착신측 이동국(130)에 송신한다.
도 8은 착신측 이동국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MMS호출영상 메시지(122)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802에서, 착신측 이동국(130)은 호 설정 정보(예컨대, 발신측 이동국 주소 또는 MSISDN와 같은 발신자(caller) 정보를 담고 있는 페이지메시지)와 호출영상 메시지(122)를 BSS(128)로부터 수신한다. 호출영상 메시지(122)는 이 메시지의 필드(262)에 있는 호출영상 플래그에 의해 다른 유형들의 MMS 메시지들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 호 설정 정보는, 페이지메시지 및 호출영상 메시지(122) 둘 다의 발신측 이동국 주소와 함께 입력 호를 호출영상 메시지(122)와 링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유사한 플래그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단계 804에서, 편집기(380)가 열리고, 단계 806에서 착신음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구비한 호출영상데이터는 사용자에게 표현하기 위해 호출영상 메시지(122)로부터 추출된다. 단계 808에서, 사용자가 호출영상 메시지(122)로부터 추출된 착신음데이터를 이동국(130)에 표현하는 것을 수락할 것인지에 관한 판단이 행해진다. 사용자에게 촉구하여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또는 단말기(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수락이 도출될 사용자 프로파일에 접근함으로써 수락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은 호출영상 메시지(122)에 들어 있는 착신음 대신에 이동국(130)에 미리 저장된 착신음의 이용을 제안할 수 있다. 다르게는, 프로파일이 기재되어 있 지 않다면, 호출영상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동국(130)에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착신음이 수락되지 않는다면, 단계 810에서, 이동국(130)의 미리 저장된 착신음들 중의 하나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단계 812에서, 호출영상은 이동국(130)의 사용자에게 적당한 착신음(즉, 호출영상 메시지(122)로부터 추출된 착신음 또는 미리 저장된 착신음)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나타내어진다.
단계 814에서, 호출영상 메시지(122)에 관련된 입력 호에 사용자가 회답하였는지에 관해 판단된다. 사용자가 그 호에 회답하지 않았다면, 호출영상 메시지(122)는 사용자에 대한 다음의 표현을 위해 착신측 이동국(130)의 메모리(330)에 저장된다. 호출영상이 수신된 때 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현하지 않도록 이동국(130)의 프로파일이 되어 있는 경우 호출영상(122)은 나중의 표현을 위해 저장되어도 좋다. 그러나 사용자가 그 호에 회답한다면, 단계 818에서, MMS 미디어 편집기(38)는 호의 회답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닫힌다.
본 발명의 많은 특징들과 이점들은 상세한 출원서로부터 명확할 것이고, 따라서, 첨부의 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드는 본 발명의 모든 그러한 특징들 및 이점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게다가, 다수의 변형들 및 개조들이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쉽사리 생각이 날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적확한 구성 및 동작으로 한정되는 것은 바라지 않고, 따라서, 복원 가능한 모든 적당한 변형들 및 동등물들은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들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를 참조한 것은 제한보다는 예시하기 위한 의도였고 본 발명은 다른 유사한 메시징 서비스들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05)

  1. 호들에 대한 호출영상들을 단말기들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착신국(terminating station)의 주소와 URL주소를 포함하는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URL주소에 위치된 영상데이터 및 착신음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및
    이 메시지를 착신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제1항에 있어서, 착신국은 이동국이고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메시지인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MMS메시지는 호 설정 정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되는 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착신측 이동국의 주소와 URL주소는 발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방법.
  53. 제1항에 있어서, 영상데이터는 비디오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54. 제50항에 있어서, 착신음데이터는 기록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는 발신측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되고 기록된 메시지는 발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 의해 기록되는 방법.
  56. 제1항에 있어서, 호출영상데이터는 텍스트와 표현(presentation)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방법.
  57.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가 각각이 다른 호출영상데이터에 관련된 복수개의 URL주소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가 URL주소들의 각각으로부터 다른 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및
    상기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가 다른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8. 제1항에 있어서, 호출영상데이터는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네트워크에서의 위치로부터 검색되는 방법.
  59. 제50항에 있어서, MMS메시지를 착신측 이동국에 송신하는 단계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측 이동국에 전달하기 위해 MMS메시지를 MMS게이트웨이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0. 제50항에 있어서, 호출영상메시지는 착신측 이동국에 푸시 메시지로서 송신되는 방법.
  61. 호들에 대한 호출영상들을 단말기들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국의 주소를 포함하는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소가 제1유형의 주소라면, 제1영상데이터 및 제1착신음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주소가 제2유형의 주소라면, 제2영상데이터 및 제2착신음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호출영상을 담고 있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및
    이 메시지를 착신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착신국은 이동국이고 검색된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메시지인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는 발신측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제1유형의 주소는 발신측 이동국이 통신을 빈번하게 시작하는 주소인 방법.
  64. 제61항에 있어서, 제1호출영상데이터는 비공식 호출영상에 대응하고 제2호출영상데이터는 공식 호출영상에 대응하는 방법.
  65. 호들에 대한 호출영상들을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발신국(originating station)으로부터 입력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호에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영상데이터 및 착신음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단계;
    호출영상데이터를 착신국의 사용자에게 표현하는 단계; 및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호에 회답하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착신국은 이동국이고 상기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메시지인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입력 호와 MMS메시지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신되는 방법.
  68. 제65항에 있어서, 입력 호의 회답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을 끝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영상데이터를 표현하는 단계가 MMS편집기를 사용하여 착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게 호출영상데이터를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데이터의 표현을 끝내는 단계는 MMS편집기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0. 제65항에 있어서, 영상데이터는 비디오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71. 제65항에 있어서, 호출영상데이터를 표현하는 단계는 착신음데이터 및 영상데이터 둘 다를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착신음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영상데이터를 표현하기 이전에 MMS메시지에 들어 있는 착신음데이터 또는 미리 저장된 착신음데이터를 표현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호출영상데이터를 표현하는 단계는 MMS메시지에 들어 있는 착신음데이터 대신 미리 저장된 착신음데이터를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착신음데이터는 MMS메시지에 들어 있는 영상데이터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현되는 방법.
  74. 제72항에 있어서, MMS메시지에 들어 있는 착신음데이터 또는 미리 저장된 착신음데이터를 표현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는 방법.
  75. 제72항에 있어서, MMS메시지에 들어 있는 착신음데이터 또는 미리 저장된 착신음데이터를 표현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 프로파일 내의 정보에 기초하는 방법.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음데이터를 표현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MMS메시지에 들어 있는 착신음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표시(indication)를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7. 제66항에 있어서, 표시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MMS메시지를 다음의 표현을 위해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8. 제66항에 있어서, 호출영상데이터는 착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게 착신측 이동국의 프로파일에 따라 표현되는 방법.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영상데이터를 착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게 표현하기 이전에, 상기 프로파일이 호출영상데이터를 착신측 이동국의 사용자에게 표현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면, 표현이 허락될 때까지 호출영상데이터를 착신측 이동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0. 단말기가 호들에 대한 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착신국의 주소와 호출영상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설정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호 설정 메시지를 교환센터에 송신하여, 착신국에 대한 호와, 호출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출영상메시지의 착신국으로의 전송을 시작하는 단계; 및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에 응답하여 착신국의 사용자가 호에 회답하면, 착신국의 사용자와의 호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착신국은 이동국이고 호출영상들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호출영상들인 방법.
  82. 제80항에 있어서, 호의 시작과 호출영상메시지의 전송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일어나는 방법.
  8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호에 대한 회답 시에 그리고 상기 착신 이동국의 사용자에 대한 호를 실행하기 이전에, 실질적으로 MMS통신으로부터 음성통신으로 동시에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4.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메시지는 호출영상데이터의 다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교환센터가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영상 요구메시지에 포함시키기 위해 다수의 상기 호출영상식별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5.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작성하기 이전에,
    호출영상을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영상을 저장을 위해 원격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6. 제85항에 있어서, 원격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센터인 방법.
  87. 제85항에 있어서, 호출영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영상과 오디오 파일들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8. 제85항에 있어서, 호출영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텍스트정보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9. 제85항에 있어서, 호출영상을 작성하는 단계는, 표현형식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0.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영상을 저장을 위해 상기 원격지로 전송한 후에,
    상기 호출영상을 위한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이 식별자를 호출영상데이터의 식별자로서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1. 호들에 대한 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국의 주소 및 URL주소를 포함하는 호출영상 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센터;
    URL주소에 위치한, 영상데이터 및 착신음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출영상데이터를 검색하고,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서버; 및
    이 메시지를 착신국에 보내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92. 제91항에 있어서, 착신국은 이동국이며,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메시지이고 센터는 MMS센터인 시스템.
  93. 제91항에 있어서, 호출영상데이터는 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94. 제92항에 있어서, 호출영상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것에 응답하여, 착신측 이동국에 대한 호를 수립하는 이동교환센터(MSC)를 더 포함하며,
    호는, MMS메시지를 착신측 이동국에 보내는 단계와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이동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수립되는 시스템.
  95. 호들에 대한 호출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국(station)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기기; 및
    메모리기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로서,
    발신국으로부터 입력 호를 수신하며;
    입력 호에 관련되며, 영상데이터 및 착신음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시지를 수신하며;
    호출영상데이터를 착신국의 사용자에게 표현하며; 그리고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호에 회답하는 표시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으로써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국.
  96. 제95항에 있어서, 발신 및 착신 국들은 이동국들이고 호출영상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메시지인 국.
  97. 제96항에 있어서, 입력 호와 MMS메시지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신되는 국.
  98.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들은 이동전화기들인 국.
  99. 제95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입력 호의 회답과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을 끝내는 프로그램으로써 추가로 동작하는 국.
  100. 제95항에 있어서, 호출영상데이터는 텍스트정보를 더 포함하는 국.
  101. 호들에 대한 호출영상들 제공하기 위한 국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기기; 및
    메모리기기와 통신하는 프로세서로서,
    착신국의 주소 및 호출영상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호 설정 메시지를 작성하며;
    호 설정 메시지를 교환센터에 송신하여, 착신국에 대한 호와, 호출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호출영상메시지의 착신국으로의 전송을 시작하며; 그리고
    호출영상데이터의 표현에 응답하여 착신국의 사용자가 호에 회답하면, 착신국의 사용자와의 호를 행하는 프로그램으로써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국.
  102. 제101항에 있어서, 착신국들은 이동국이며, 교환센터는 이동교환센터이고 호출영상들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호출영상들인 국.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호의 시작은, 호 설정 정보를 이동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착신측 이동국에 대한 호를 수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국.
  104. 제101항에 있어서, 호의 시작과 호출영상메시지의 전송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일어나는 국.
  105.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착신음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출영상데이터를 표현하기 이전에 상기 메시지에 들어 있는 착신음데이터 또는 미리 저장된 착신음데이터를 표현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호출영상데이터를 표현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에 들어 있는 착신음데이터 대신 미리 저장된 착신음데이터를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57011273A 2002-12-18 2003-12-15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18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23,237 US7050836B2 (en) 2002-12-18 2002-12-18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ringing images on mobile calls
US10/323,237 2002-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741A KR20050085741A (ko) 2005-08-29
KR100718655B1 true KR100718655B1 (ko) 2007-05-15

Family

ID=3259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273A KR100718655B1 (ko) 2002-12-18 2003-12-15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50836B2 (ko)
EP (1) EP1574088A4 (ko)
KR (1) KR100718655B1 (ko)
CN (1) CN100534228C (ko)
AU (1) AU2003285663A1 (ko)
WO (1) WO20040560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07642D0 (en) * 2001-03-27 2001-05-16 Nokia Mobile Phones Ltd Communication terminal handling user-to-user information received during a call
KR100517988B1 (ko) * 2003-04-16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Gsm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 방법
US20080016545A1 (en) * 2003-07-08 2008-01-17 Telvu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virtual television network
TWI222312B (en) * 2003-08-05 2004-10-11 Benq Corp Mobile device using traffic channel to receive incoming ring and method using traffic channel to receive incoming ring
ES2272872T3 (es) * 2003-10-15 2007-05-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otificacion de sucesos utilizando mms en un aparato portatil de comunicacion.
EP1528775A1 (en) * 2003-10-31 2005-05-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ll alerting using call relevance flags
US7272398B2 (en) * 2003-11-21 2007-09-18 Lucent Technologies Inc. Providing to sender of message an identifier of service provider associated with recipient of the message
WO2005053207A2 (en) * 2003-11-21 2005-06-09 Facio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group messaging and content distribution in short message service
US7412041B2 (en) * 2004-08-05 2008-08-12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US8406797B2 (en) * 2004-08-24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playing alert tones in a push-to-talk system
FI20041277A (fi) * 2004-10-01 2006-04-02 Nokia Corp Menetelmä audiovisuaalisen soittotunnuksen muodostamiseksi, kannettava viestintälaite ja soittotunnus
KR100678086B1 (ko) * 2004-10-29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멀티미디어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650573B1 (ko) * 2004-11-10 2006-11-29 엘지노텔 주식회사 피에스티엔 망에서 엠엠에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사설교환장치 및 그 방법
WO2006066311A1 (en) * 2004-12-21 2006-06-29 Carl Zufi A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A2604097A1 (en) * 2005-04-14 2006-10-26 Any Corne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
US7697923B2 (en) 2005-05-12 2010-04-1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tomatic generation of user theme videos for ring tones and transmittal of context information
US20060277217A1 (en) * 2005-06-01 2006-12-07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creating a data file
US20060294465A1 (en) * 2005-06-22 2006-12-28 Comverse,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mobile avatars
US20070005710A1 (en) * 2005-06-29 2007-01-04 Microsoft Corporation Message communication channel
KR100660246B1 (ko) * 2005-08-31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권유하는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US20070064921A1 (en) * 2005-09-14 2007-03-22 Realtime Ringtones, Llc Caller-Generated ring tones
US8116740B2 (en) * 2005-09-21 2012-02-14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9009265B2 (en) * 2005-09-28 2015-04-14 Photobucke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fer of data from one device to another
US9049243B2 (en) * 2005-09-28 2015-06-02 Photobucke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opt for automatic or selectively sending of media
US20070121919A1 (en) * 2005-09-29 2007-05-31 Timothy Kay Creating voice ring tone
FR2891978A1 (fr) * 2005-10-10 2007-04-13 France Telecom Procede et systeme de notification de reception de messages asynchrones
KR100651542B1 (ko) * 2005-11-14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환경설정방법
US8295819B1 (en) 2005-12-19 2012-10-23 Kyocera Corporation Picture caller I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8041401B2 (en) 2006-02-10 2011-10-18 Vringo Inc. Personalization content sharing system and method
US7761816B2 (en) 2006-02-10 2010-07-20 Vringo, Inc. Personalization content sharing system and method
GB0605341D0 (en) * 2006-03-17 2006-04-26 Ergo Ltd 2 Managing message distribution
IES20070423A2 (en) * 2006-06-13 2008-05-14 Qtelmedia Group Ltd A method for providing alerts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7425132B2 (en) * 2006-06-20 2008-09-16 Hsien-Lin Yang Power adaptor with retractable plug
US20080162650A1 (en) * 2006-06-28 2008-07-03 Jonathan William Medved User-chosen media content
US7991401B2 (en) * 2006-08-08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 method, and a system for animating a virtual scene
US9424270B1 (en) 2006-09-28 2016-08-23 Photobucke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files
US20080080502A1 (en) * 2006-09-28 2008-04-03 Scott Frank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urgent communications
KR101108837B1 (ko) * 2006-10-19 2012-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저장장치 및 방법
FI123796B (fi) * 2006-11-15 2013-10-31 Medixine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iestimiseksi kuviin liittyvien tunnusten avulla
CN101212778A (zh) * 2006-12-29 2008-07-02 朗迅科技公司 修改振铃音的方法
JP4389966B2 (ja) * 2007-05-18 2009-12-2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16617A1 (en) * 2007-07-13 200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der dependent messaging viewer
CN101374289B (zh) * 2007-08-22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来电与回电多媒体展示用的移动终端及系统与方法
CN101409952B (zh) * 2007-10-09 2012-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多媒体彩振业务以及彩振过滤的方法和装置
KR101387521B1 (ko) 2007-10-30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재생 방법
CN101217822B (zh) * 2008-01-17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联合业务中传递主叫多媒体数据信息地址的方法及系统
JP5521303B2 (ja) * 2008-09-30 2014-06-11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1729506A (zh) * 2008-10-10 2010-06-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铃音中主叫/被叫信息显示的方法和服务器
US9094524B2 (en) * 2012-09-04 2015-07-28 Avaya Inc. Enhancing conferencing user experience via components
CN104092705B (zh) * 2014-07-25 2017-05-24 山东大学(威海) 基于数话同传的来电多媒体内容实时推送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8330B1 (en) 1998-09-14 2002-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various ring tones in radio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6761B1 (en) * 1997-07-24 2001-06-12 Nortel Networks Limited Automatic volume control for a telephone ringer
KR100344786B1 (ko) * 1999-07-15 2002-07-19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전송방법
US6718178B1 (en) * 1999-10-01 2004-04-06 Sprint Spectrum, L.P. Automatic in-line messaging system
US6671370B1 (en) 1999-12-21 2003-12-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a calling telephone handset to choose a ringing indication(s) to be played and/or shown at a receiving telephone handset
FI19992752A (fi) * 1999-12-21 2001-06-22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laite vastaamattomasta puhelusta muistuttamiseksi
US7555537B2 (en) 2000-10-25 2009-06-30 Nokia Mobile Phones Ltd. Downloadable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for accounting
DE10052932A1 (de) * 2000-10-25 2002-05-08 Siemens Ag Auswahl eines Rufsignals
US20020115456A1 (en) * 2000-12-08 2002-08-22 Tero Narinen Method and system for coding ring tones for cellular telephones
US6959207B2 (en) * 2000-12-22 2005-10-25 Nokia Corporation Mobile emotional notification application
US7099457B2 (en) * 2001-07-17 2006-08-29 Comverse Ltd. Personal ring tone message indicator
JP2003179695A (ja) * 2001-12-12 2003-06-27 Nec Corp 音声配信サービス方法、音声配信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8330B1 (en) 1998-09-14 2002-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various ring tones in radio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6073A2 (en) 2004-07-01
US7050836B2 (en) 2006-05-23
EP1574088A4 (en) 2007-04-25
AU2003285663A1 (en) 2004-07-09
AU2003285663A8 (en) 2004-07-09
KR20050085741A (ko) 2005-08-29
CN100534228C (zh) 2009-08-26
CN1736116A (zh) 2006-02-15
US20040121818A1 (en) 2004-06-24
EP1574088A2 (en) 2005-09-14
WO2004056073A3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655B1 (ko)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590225B2 (en) Method for addressing billing in a message service, messaging service system, server and terminal
CA226945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tones to mobile terminals
KR100732002B1 (ko) 개인화 수단을 지니는 통신 단말기
JP4542299B2 (ja) 通信網内で情報を交換する方法と装置
US8611863B2 (en) Instant video and voicemail messaging method and means
US8213969B2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US20020097850A1 (en) Seamless message retrieval and transmittal during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ssion
WO2004100518A1 (en) A communication method, system, devices and software arranged to operate in this system and devices
US20020052195A1 (en) Method of inputting an address book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7091261A1 (en) Non-linear voicemail
WO2007049943A1 (en) Multi terminal and method for originating and terminating call thereof, system for providing multi-number support service to the terminal
WO2002049319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ulti-part messages by users of cellular phones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99477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번호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993323B1 (ko)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97069B1 (ko)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53136B1 (ko)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37039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57008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57006B1 (ko) 멀티미디어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265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JPWO2006051613A1 (ja) 宛先確認方法及び端末及び管理装置
KR20020016332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통화 내용 전송 방법
KR20040066224A (ko) 벨소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