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136B1 -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136B1
KR100553136B1 KR1020030062992A KR20030062992A KR100553136B1 KR 100553136 B1 KR100553136 B1 KR 100553136B1 KR 1020030062992 A KR1020030062992 A KR 1020030062992A KR 20030062992 A KR20030062992 A KR 20030062992A KR 100553136 B1 KR100553136 B1 KR 10055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key
item
user
mobile terminal
o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881A (ko
Inventor
전대진
이재관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6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13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 통합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에서 통합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는 단계,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통합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메뉴 선택 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수신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특정 메뉴 항목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축키, 통합메뉴, 이동 단말

Description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bined menu}
도 1은 종래 이동 단말에서 제공하는 단축 다이얼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이동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종래 이동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뉴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흐름도.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흐름도.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통합 메뉴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음성 통화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단순 호출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문자 메시지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MMS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MMS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화면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 MMS)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1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Messenger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essenge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e-mail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E-mail 전송을 위한 화면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부가 서비스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메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통화 배경음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 단축키 옵션 설정 503 : 단축키 입력
505 : 수신 단말 식별자 추출 507 : 옵션 설정값 추출
509 : 옵션 설정값에 따른 서비스 제공
본 발명은 주소록 및 단축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에서 통합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선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들은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외우거나 전화 번호부를 검색한 후 키입력을 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후, 전국민이 이동 통신을 이용하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사용자들 특히 청소년들은 이동 통신 단말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사용자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에 상대방 전화 번호를 미리 저장해 둔 후, 해당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단축키(예를 들어, 3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해당 상대방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바로 통화를 할 수 있는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이동 단말에서의 단축 다이얼링 기능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이동 단말에서 제공하는 단축 다이얼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한 주소록에서 통화하기를 원하는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수신 단말이 저장된 주소록의 번호(예를 들어, 3번 단축키)를 길게 누름으로써 해당 수신 단말과 음성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단계 101).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키(예를 들어, 3번)에 상응하는 상대방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03). 그 후, 이동 단말기는 추출한 상대방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설정한다(단계 105).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호를 통하여 상대방 단말과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종래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링 방식은 사용자에게 단축키에 상응하는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상의 제한을 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상대방에게 문자 메시지 등을 발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후, 여러 단계를 거쳐서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며, 상대방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까지 입력하여야만 하였다. 종래의 이동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이동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종래 이동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을 하면(단계 201),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선택 화면(301)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203).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출력된 메시지 선택 화면(301)을 이용하여, 발신 메시지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을 하면(단계 205), 이동 단말은 발신 메뉴 화면(303)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209).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출력된 발신 메뉴 화면(303)을 이용하여, 편지 쓰기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을 하면(단계 211), 이동 단말기는 편지 쓰기 메뉴 화면(305)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213).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출력된 편지 쓰기 메뉴 화면(305)을 이용하여, 새문장 쓰기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을 하면(단계 215), 이동 단말기는 메시지 입력 화면(307)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217).
그 후, 사용자가 메시지 입력 화면(307)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하면(단계 219), 이동 단말기는 상대방 번호 입력 화면(309)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221). 이때,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일시 저장한다.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출력된 상대방 번호 입력 화면(309)을 이용하여 상대방 번호를 입력하면(단계 223), 이동 단말기는 연락받을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연락 번호 입력 화면(311)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225). 이때,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대방 번호를 일시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출력된 연락 번호 입력 화면(311)을 이용하여 연락 번호를 입력하면(단계 227), 이동 단말기는 일시 저장한 입력 메시지, 상대방 번호 및 연락 번호를 바탕으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단계 229). 경우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발신 메시지를 발신함에 저장하는 지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313)을 표시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종래 이동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등을 이용할 경우에, 복잡한 단계를 거쳐서 문자 메시지 등을 입력한 후, 수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수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 주소록을 일일이 검색하여 해당 전화 번호를 추출한 후, 입력해야 하는 번거러움은 이동 통신 서비스 이용의 증대를 가로막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제한적인 단축 다이얼링 기능에 탈피하여, 단축키의 입력만으로 주소록과 연계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 문자 메시지 서비스, MMS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통합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수신자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주소록에 저장된 수신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Messenger 항 목, e-mail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이 사용자에게 단순 호출 서비스,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E-mail 전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경우에 서비스 설정 단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에서 통합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합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상기 메뉴 선택 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상기 특정 메뉴 항목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메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 단말 식별자는 미리 마련된 주소록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뉴 항목은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메신저 항목, 전자 메일 항목 및 부가 서비스 항목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부가 서비스 항목은 투링 항목, 통화 배경음 항목, 통화 효과음 항목, 발신자 표시(CID)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메뉴는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에서 단축키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선택한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를 바탕으로 옵션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옵션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상기 옵션값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은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메신저 항목, 전자 메일 항목 및 부가 서비스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항목은 투링 항목, 통화 배경음 항목, 통화 효과음 항목, 발신자 표시 (CID)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는 상기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메신저 항목, 전자 메일 항목 및 부가 서비스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합 메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고,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합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한 특정 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메뉴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메뉴 선택 정보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상기 특정 메뉴 항목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축키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선택한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를 바탕으로 옵션값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고,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옵션값을 추출하고, 상기 단축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상기 옵션값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뉴 제공 방법에 관한 응용 프로그램(409)이 기본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세트(407)에 탑재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409)의 지원 언어는 C/C++, 자바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렛폼과 애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도록 CPU, LCD,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나 사용하는 OS에 관계없이 실행과 이식(Porting)이 용이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기본 API 세트(407)는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가 사용하는 플렛폼에서 지원하는 기본 API 모음이다. 또한, HAL(Handset Adaptation Layer, 핸드셋 적응 계층)(405)은 플랫폼 이식에 있어서 하드웨어 독립성을 지원하기 위한 계층으로 단말기에 대한 추상화가 이루도록 한다. 상기 HAL(405)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본 소프트웨어(403) 및 하드웨어(401)에 탑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뉴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에서 제공되는 통합 메뉴 제공 과정에 관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축키에 대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단계 501). 단축키에 대한 옵션의 설정 과정은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 후, 사용자가 특정 상대방의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눌러 입력하면(단계 503), 이동 단말은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의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505).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옵션 설정값을 추출한다(단계 507).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추출한 옵션 설정값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509). 이에 대하여, 도 8a 내지 1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표시 장치에 출력된 단말기 관리 메뉴 화면(610)을 이용하여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601), 이동 단말은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620)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603). 그 후,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출력된 상기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620)을 이용하여, 특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을 하면(단계 605), 이동 단말은 키입력에 상응하는 단축키 옵션을 설정하며, 그 옵션 설정값을 저장 장치에 저장함으로서 단축키 옵션의 설정을 완료한다(단계 607).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6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620)은 적어도 통합 메뉴,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메신저 항목, 전자 메일(E-mail) 항목 및 부가 서비스 항목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통합 메뉴를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1")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음성 통화, 단순 호출, 문자 메시지, MMS, 메신저, 전자 메일 , 부가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통합 메뉴가 표시 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출력된 통합 메뉴 중 특정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음성 통화를 하거나, 단순 호출, 문자 메시지 전송, MMS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20)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2")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통화 호가 설정된다. 이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20)을 이용하여 단순 호출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3")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로 단순 호출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20)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4")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1a 및 11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20)을 이용하여 MMS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5")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2a, 12b 및 12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20)을 이용하여 Messenger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6")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메신저로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3a 및 1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20)을 이용하여 e-mail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7")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로 E-mail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4a 및 1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20)을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8")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5a 및 1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흐름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630)은 적어도 통합 메뉴,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메신저 항목, 전자 메일(E-mail) 항목, 투링 항목, 통화 배경음 항목, 통화 효과음 항목, 발신자 표시 항목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30)을 이용하여 투링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8")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투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30)을 이용하여 통화 배경음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9")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통화 배경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30)을 이용하여 통화 효과음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10")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통화 효과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키 옵션 선택 화면(630)을 이용하여 발신자 표시 항목을 선택하여 단축키 옵션을 설정(예를 들어, 옵션 설정값 "11")한 후,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흐름도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축키별로 옵션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표시 장치에 출력된 단말기 관리 메뉴 화면(610)을 이용하여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701), 이동 단말은 단축키 선택 화면(710)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703).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출력된 상기 단축키 선택 화면(710)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3번)을 선택하면(단계 705),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단축키에 연결 되어 적용될 단축키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620)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707). 그 후,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출력된 상기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620)을 이용하여, 특정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을 하면(단계 709), 이동 단말은 키입력에 상응하는 단축키 옵션을 상기 선택한 특정 단축키와 연결하여 설정하며, 그 옵션 설정값을 저장 장치에 저장함으로서 단축키 옵션의 설정을 완료한다(단계 711).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통합 메뉴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메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8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8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1")을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8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1")에 따라서, 통합 메뉴 화면(810)을 추출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807).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출력된 통합 메뉴 화면(810)을 이용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에 대하여 일정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합 메뉴 화면(810)에서 음성 통화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에 상응하는 이동 단말과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사이에 통화 호가 설정되며, 설정된 통화 호를 바탕으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통합 메뉴 화면(810)에서 문자 메시지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 단말은 새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미도시)을 표시 장치에 출력하며,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출력된 새 메시지 입력 화면을 이용하여 특정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합 메뉴 화면(810)에서 문자 메시지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이동 단말은 문자 메시지 발송을 위하여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입력받지 않고,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음성 통화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9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9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2")을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9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2")에 따라서, 수신 단말과의 통화 호를 설정한다(단계 907).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단말과 수신 단말 사이에 설정된 통화 호를 바탕으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단순 호출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10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0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3")을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0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3")에 따라서, 수신 단말로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1007). 사용자는 수신 단말로 호출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수신 단말 사용자를 호출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문자 메시지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11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1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4")을 저 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1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4")에 따라서, 메시지 입력 화면(1120)을 이동 단말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단계 1107). 사용자는 메시지 입력 화면(1120)에 수신 단말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한다(단계 1109). 그 후,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메시지 입력 화면(1120)을 통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1113).
도 1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MMS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MMS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화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12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2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5")을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2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5")에 따라서, MMS 작성 메뉴 화면을 이동 단말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단계 1207). 사용자는 MMS 작성 메뉴 화면(1231)에서 디지털 카메라 메뉴를 선택한다(단계 1209). 그 후, 이동 단말은 디지털 카메라 메뉴 화면(1233)을 이동 단말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단계 1211).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 메뉴 화면(1233)에서 사 진 보내기 메뉴를 선택한다(단계 1213). 그 후, 이동 단말은 사진 보내기 옵션 화면(1235)을 이동 단말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단계 1215). 사용자는 상기 사진 보내기 옵션 화면(1235)의 등급, 저장 여부, 멜로디 등의 옵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1217). 이동 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진 보내기 메뉴에 대한 옵션을 설정한다(단계 1219). 그 후, 이동 단말은 사진 데이터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1221).
도 1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 MMS)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1245)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1241)와 E-mail 서비스(1243)가 융합된 기능을 갖는 서비스 이다. 즉, 기존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단지 텍스트만을 전송할 수 있었지만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는 텍스트 이외에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E-mail도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표시장치에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통해 MMS 항목을 선택하면 사진이나 음악을 곁들인 메시지를 작성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d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BTS)(1253),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MSC)(1259),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1257), 미디어 변환 서버(Media Converting Server ; MCS)(1273), 메시지 검색 서버(Message Retrieval Server ; MRS)(1271), 과금 장비(Internet Detailed Record ; IDR)(1281), 패킷 데이터 교환 노드(Packet Data Switching Node ; PDSN)(1269), 고객 DB(Joint User Data Base ; JDDB)(1279), 장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Long Message Service Center ; LMSC)(1265),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 SMSC)(1261), 단문 메시지 방송 센터(Short Message BroadCasting Center ; SMBC)(1263)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은 기지국을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기에서 패킷 데이터 교환 노드를 통하여 메시지 검색 서버와 결합된다. 동영상 및 정지 화상의 정보는 미디어 변환 서버에서 디지털로 저장되어 메시지 검색 서버를 경유하여, 무선 데이터 너트워크로 연결되는 패킷 데이터 교환 노드를 통해 전송된다. 또한, 아날로그 미디어 정보는 미디어 변환 서버에서 디지털로 변환하여 메시지 검색 서버를 통해 전송된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Messenger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essenge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13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3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6")을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3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6")에 따라서, Messenger 연결 요청 신호를 지능형 정보 시스템(Intelligent Peripheral ; IP)(1323)으로 전송한다(단계 1307). Messenge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기지국(1313), 기지국 제어기(1315), 교환기(1317), 망간 연동 장치(Inter Working Function ; IWF)(1319), 데이터 중심 네트워크(Data Core Network ; DCN)(1321), 지능형 정보 시스템(Intelligent Peripheral ; IP)(1323)을 포함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e-mail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E-mail 전송을 위한 화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 및 1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14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4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7")을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4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7") 에 따라서, 아이디 및 비밀 번호 입력 화면(1430)을 이동 단말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단계 1407). 사용자는 아이디 및 비밀 번호 입력 화면(1430)에 자신의 E-mail 아이디 및 비밀 번호를 입력한다.(단계 1409). 그 후, 이동 단말은 수신 단말의 사용자인 상대방의 아이디 입력을 요청하는 상대방 아이디 입력 화면(1440)을 출력한다(단계 1411). 사용자는 상대방 아이디 입력 화면(1440)에 E-mail을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E-mail 아이디를 입력한다(단계 1413). 그 후, 이동 단말은 메일의 제목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메일 제목 입력 화면(1450)을 출력한다(단계 1415). 사용자는 메일 제목 입력 화면(1450)에 메일의 제목을 입력한다(단계 1417). 그 후, 이동 단말은 메일의 내용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메일 쓰기 화면(1470)을 출력한다(단계 1419). 사용자는 메일 쓰기 화면(1470)에 메일의 내용을 입력한다(단계 1421). 그 후,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메일 쓰기 화면(1470)을 통하여 입력한 메일를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단계 1423).
도 1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부가 서비스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메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15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5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8")을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5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8")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메뉴 화면(1520)을 추출하여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단계 1507).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출력된 부가 서비스 메뉴 화면(1520)을 이용하여, 특정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에 대하여 일정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 메뉴 화면(1520)에서 투링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특정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투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 메뉴 화면(1520)을 이용하여 통화 배경음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특정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통화 배경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 메뉴 화면(1520)을 이용하여 통화 효과음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특정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통화 효과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 메뉴 화면(1520)을 이용하여 발신자 표시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특정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옵션이 통화 배경음 항목으로 설정된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를 길게 누름으로써 입력하면(단계 1601), 이동 단말은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특히,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주소록으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603). 또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상기 특정 단축키(예를 들어, 2번)에 연결되어 설정한 옵션 설정값(예를 들어, "9")을 저장 장치로부터 추출한다(단계 1605). 그 후, 이동 단말은 추출한 옵션 설정값("9")에 따라서, 통화 배경음 메뉴 항목을 이동 단말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단계 1607). 사용자는 통화 배경음 메뉴 화면을 통해 수신 단말 사용자와 음성 통화 중의 통화 배경음을 선택한다.(단계 1609). 그 후, 이동 단말은 사용가 선택한 통화 배경음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수신 단말의 사용자와 음성 통화 중에 통화 배경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축키를 이용하여 수신자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주소록에 저장된 수신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Messenger 항목, e-mail 항목을 포함하는 통합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축키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이 사용자에게 단순 호출 서비스,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E-mail 전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경우에 서비스 설정 단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이동 단말에서 단축키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선택한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를 바탕으로 옵션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옵션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축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상기 옵션값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은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메신저 항목, 전자 메일 항목 및 부가 서비스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 서비스 항목은 투링 항목, 통화 배경음 항목, 통화 효과음 항목, 발신자 표시 (CID)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는 상기 음성 통화 항목, 단순 호출 항목, 문자 메시지 항목, MMS 항목, 메신저 항목, 전자 메일 항목 및 부가 서비스 항목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단축키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축키 옵션 설정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선택한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단축키 옵션 선택 정보를 바탕으로 옵션값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고,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옵션값을 추출하고, 상기 단축 키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수신 단말과 연계하여 상기 옵션값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30062992A 2003-09-09 2003-09-09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5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992A KR100553136B1 (ko) 2003-09-09 2003-09-09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992A KR100553136B1 (ko) 2003-09-09 2003-09-09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881A KR20030079881A (ko) 2003-10-10
KR100553136B1 true KR100553136B1 (ko) 2006-02-22

Family

ID=3238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992A KR100553136B1 (ko) 2003-09-09 2003-09-09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401B1 (ko) * 2004-08-25 2006-11-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단말기에서 방송 채널 번호 직접 입력을 통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방법 및 그 장치
KR101360202B1 (ko) * 2007-01-08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 단말기의 단축키 사용으로 인한 통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881A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3969B2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CN100534228C (zh) 用于提供关于移动呼叫的多媒体消息发送业务(mms)振铃图像的系统和方法
US7283808B2 (en) System,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a voice mail system
CN1729704B (zh) 即时通讯和存在服务
EP16437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calling partner during call waiting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5507625A (ja) 通信端末間における個別化アイテムの転送方法
JP2002057807A (ja) 携帯電話の電話帳管理システム
JP2001238259A (ja) 携帯電話機向けのurl通知装置
KR20060034233A (ko)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199127A (zh) 用于对包括在短消息服务中的电话号码提供超链接功能的方法及移动通信终端
EP162234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3936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자동 등록 방법
CN1694372B (zh) 提供综合消息传送业务的无线通信终端及其方法
KR101056471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KR100553136B1 (ko)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2049319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ulti-part messages by users of cellular phones
KR20040044256A (ko)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와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WO20030240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ulti-part messages sent to e-mail clients form cellular phones
EP1566981A1 (en) Method of facilitating downloading, storing and forwarding of ring tones and other services in a mobile terminal
KR100997689B1 (ko)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993323B1 (ko)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495347B1 (ko)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에 연동되는 부가 컨텐츠 제공 방법및 장치
KR100617288B1 (ko)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