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306B1 -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306B1
KR100710306B1 KR1020050005280A KR20050005280A KR100710306B1 KR 100710306 B1 KR100710306 B1 KR 100710306B1 KR 1020050005280 A KR1020050005280 A KR 1020050005280A KR 20050005280 A KR20050005280 A KR 20050005280A KR 100710306 B1 KR100710306 B1 KR 100710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remote control
format
bits
cus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574A (ko
Inventor
이동하
김병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306B1/ko
Priority to US11/184,839 priority patent/US7688244B2/en
Priority to EP05016181A priority patent/EP1684248A3/en
Priority to CNB2005100999670A priority patent/CN100474351C/zh
Publication of KR2006008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using pulse c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은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고,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체크 섬 코드, 엔드 코드의 순서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하이 펄스와 로우 펄스의 길이가 동일한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엔드 코드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리모콘 코드 포맷, 체크 섬, 리모콘 코드 포맷

Description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Remote controller having code forma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same}
도 1a 내지 도 1c는 제조사별 리모콘 신호의 체계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코드 포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코드 포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코드 포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모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b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모콘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모콘의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7a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가 없는 리모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7b와 도 7c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가 없는 리모콘을 보여주는 전면도와 후면도
도 8은 디스플레이가 없는 리모콘의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리모콘으로부터 제 1 모드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는 수신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10는 본 발명의 리모콘으로부터 제 2 모드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는 수신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11는 본 발명의 리모콘으로부터 제 3 모드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는 수신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 키 입력부 12, 22 : 메모리
13, 24 : 제어부 14, 24 : 디스플레이부
15, 25 : 송신부 23 : 스위치
본 발명은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 ; 이하 리모콘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자동화, 다양화되어 가면서 많은 산업용 기기 및 가전용 기기들의 리모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여기서 리모콘 기능이란, 사용자가 원격 수신이 가능한 수신 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직접 가서 수신 장치의 동작을 조작하지 않고 원거리에서도 수신 장치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모든 수신 장치(예를 들면, 티브이, 오디오, 비디오, 에어콘 등)에 사용되고 있는 범용화된 기능이다.
이러한 리모콘은 각 수신 장치를 구입할 때, 한 셋트로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콘에 의해 동작하는 수신 장치의 수만큼 다양한 종류의 리모콘을 보유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리모콘은 보통 적외선(InfraRed ; IR) 리모콘이며, 제조사, 제품모델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이진 코드(binary code) 체계를 갖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그 예들을 보인 것으로서, 이진 신호의 시간(time)과 길이(length)가 서로 다르다.
도 1a는 펄스-코드된 신호(Pulse coded signal) 방식으로서, 주로 소니(Sony)사가 사용하고 있다.
즉 정보를 코딩하기 위해서 하이 펄스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이때 짧은 하이 펄스를 갖는 신호의 경우 0이 되며, 긴 하이 펄스를 갖는 신호의 경우 1이 된다.
도 1b는 스페이스-코드된 신호(Space-coded signal) 방식으로서, 주로 파나소닉(Panasonic)사가 사용하고 있다.
즉 정보를 코딩하기 위해서 로우 펄스(즉, 스페이스)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이때 짧은 로우 펄스를 갖는 신호의 경우 0이 되며, 긴 로우 펄스를 갖는 신호의 경우 1이 된다.
도 1c는 시프트-코드된 신호(Shift-coded signal) 방식으로서, 주로 필립스(Philips)사가 사용하고 있다.
즉 정보를 코딩할 때 트랜지션(Transition) 방향을 이용하여 0과 1을 나타낸다.
이때 긴 로우 펄스를 갖는 신호의 경우 0이 되고, 긴 하이 펄스를 갖는 신호의 경우 1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각 리모콘은 일련의 신호들을 전송한다.
이 신호는 도 2와 같이 크게 리더(leader)와 코드(code)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리더는 실제 코드가 전송되기 전에 전송되어 해당 수신 장치(receiver)를 활성화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헤더는 동일 제조사에서는 항상 같다.
상기 헤더와 코드는 리모콘에서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계속해서 전송된다.
상기 코드가 반복되는 시간(repetition time)은 대개 50msec 이상이다.
상기 코드는 주소(address)를 보내는 부분과 명령(command)을 보내는 부분으로 다시 나뉘어진다.
상기 주소는 수신되는 제품을 선택하고, 명령은 동작을 지정한다.
이와 같이, 각 수신장치는 그 수신장치를 제조한 회사의 리모콘을 사용함으로써 동작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작동시키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전용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제조회사의 리모콘을 사용할 경우, 작동시키고자하는 수신장치는 오류 가 발생하여 오동작을 하게 되고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장치가 다른 제조회사의 리모콘에 의해서 동작하지 않도록, 수신장치의 전용 리모콘은 고유의 코드 포맷을 가질 필요가 있고, 수신장치는 전용 리모콘의 고유 코드 포맷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사의 리모콘과 상호호환이 되지 않도록 당사만의 특정한 고유의 리모콘 코드 포맷을 제공하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은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리더 코드(leader code)와,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주소를 알려주는 커스톰 코드(Custom code)와, 커스톰 코드를 반전시키는 반전된 커스톰 코드와, 리모콘의 키 값을 알려주는 데이터 코드와, 데이터 코드를 반전시킨 반전된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은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은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 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고, 반전된 데이터 코드 다음에 체크 섬 코드(check sum code)와 엔드 코드가 순차적으로 더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은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고, 반전된 데이터 코드 다음에 엔드 코드가 순차적으로 더 배열될 수도 있다.
이 때,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며,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와 동일하다.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이 저장되고, 저장된 리모콘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며, 설정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과,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며, 분석된 제어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은 키 신호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와,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키 입력부의 키 신호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수신장치에 대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며, 메모리로부터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여 추출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목록 및 리모콘 코드 포맷의 설정 완료 여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생성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은 키 신호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와,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리모콘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와,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고 추출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생성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은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다면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위한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딜레이 타임을 설정하는 단계와, 딜레이 타임이 설정되면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다면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다면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는 단계는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확인하는 단계와,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이 새로운 리모콘 코드 포맷이라면 새로운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고,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이 기존의 리모콘 코드 포맷이라면 기존의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리모콘 코드 포맷 수신 방법은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제어신호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제어신호에 에러가 없다면, 분석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타사의 리모콘과 상호호환이 되지 않도록 고유의 리모콘 코드 포맷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은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리더 코드(leader code)와,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주소를 알려주는 커스톰 코드(Custom code)와, 커스톰 코드를 반전시키는 반전된 커스톰 코드와, 리모콘의 키 값을 알려주는 데이터 코드와, 데이터 코드를 반전시킨 반전된 데이터 코드로 크게 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코드 포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된다.
여기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는 각각 8비트가 할당되고, 반전된 커스톰 코드의 다음에는 1비트의 엔드 코드(end code)가 더 배열된다.
도 2b는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의 길이(Tf)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1 프레임의 길이는 108ms로 설정된다.
도 2c는 비트 0과 비트 1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비트 0는 하이 펄스 길이를 0.56ms, 하이 펄스와 로우 펄스의 총 길이를 1.125ms로 설정하고, 비트 1은 하이 펄스 길이를 0.56ms, 하이 펄스와 로우 펄스의 총 길이를 2.25ms로 설정 한다.
도 2d는 리더 코드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며,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의 2배 이상이다.
여기서는 리더 코드의 하이 펄스 길이는 9ms, 로우 펄스 길이는 2.25ms로 설정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코드 포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고, 반전된 데이터 코드 다음에 체크 섬 코드(check sum code)와 엔드 코드가 순차적으로 더 배열된다.
여기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는 각각 8비트가 할당되고, 체크 섬 코드는 4비트가 할당되며, 상기 엔드 코드는 1비트가 할당된다.
도 3b는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의 길이(Tf)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1 프레임의 길이는 108ms로 설정된다.
도 3c는 비트 0과 비트 1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비트 0는 하이 펄스 길이를 0.56ms, 하이 펄스와 로우 펄스의 총 길이를 1.125ms로 설정하고, 비트 1은 하이 펄스 길이를 0.56ms, 하이 펄스와 로우 펄스의 총 길이를 2.25ms로 설정한다.
도 3d는 리더 코드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며,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의 2배 이상이다.
여기서는 리더 코드의 하이 펄스 길이는 9ms, 로우 펄스 길이는 2.25ms로 설정한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리모콘 코드 포맷은 체크 섬 코드가 포함되는데 그 특징이 있으며, 체크 섬의 계산 방법은 앞 부분의 8비트 데이터를 상위 4비트와 하위 4비트로 나누어 더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0x04 + 0xFB + 0x05 + 0xFA로 코드가 보내지고 있으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0 + 4 + F + B + 0 + 5 + F + A = 3C
여기서, 상위 4비트는 버리고 하위 4비트인 C를 체크 섬으로 한다.
또는, 4 + B + 5 + A = 1E
여기서, 상위 4비트는 버리고, 하위 4비트인 E를 체크 섬으로 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코드 포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 고, 반전된 데이터 코드 다음에 엔드 코드가 순차적으로 더 배열된다.
여기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는 각각 8비트가 할당되고, 엔드 코드는 1비트가 할당된다.
도 4b는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의 길이(Tf)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1 프레임의 길이는 108ms로 설정된다.
도 4c는 비트 0과 비트 1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비트 0는 하이 펄스 길이를 0.56ms, 하이 펄스와 로우 펄스의 총 길이를 1.125ms로 설정하고, 비트 1은 하이 펄스 길이를 0.56ms, 하이 펄스와 로우 펄스의 총 길이를 2.25ms로 설정한다.
도 4d는 리더 코드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며,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와 동일하다.
여기서는 리더 코드의 하이 펄스 길이는 2ms, 로우 펄스 길이는 2ms로 설정한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리모콘 코드 포맷은 리더 코드의 하이 펄스와 로우 펄스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리더 코드 수신시 +/- 0.5ms 이내의 오차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리모콘 코드 포맷을 송/수신하는 시스템은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과, 리모콘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리모콘은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이 저장되고, 저장된 리모콘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며, 설정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장치는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며, 분석된 제어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은 제 1, 제 2, 제 3 모드들로 구성된다.
제 1 모드는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엔드 코드(end code)의 순서로 배열되는 리모콘 코드 포맷이고, 제 2 모드는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체크 섬 코드(check sum code), 엔드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는 리모콘 코드 포맷이다.
또한, 제 3 모드는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엔드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는 리모콘 코드 포맷이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모드의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고,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의 2배 이상으로 한다.
그리고, 제 3 모드의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고,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와 동일하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모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모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1), 메모리(12), 제어부(13), 디스플레이부(14), 송신부(15)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키 입력부(11)는 키 신호가 입력되고, 메모리(12)는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을 저장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1)는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 진입 키와,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키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 진입 키는 2개의 키들로 구성된 이중 키이고, 2개의 키들을 동시에 눌러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예로서, 이중 키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의 메뉴 키와 채널 키를 동시에 눌러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위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는 키 입력부(11)의 키 신호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수신장치에 대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며, 메모리(12)로부터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여 추출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어, 디스플레이부(14)는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목록 및 리모콘 코드 포맷의 설정 완료 여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송신부(15)는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4)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에 블랙 바가 3번 깜박거리도록 디스플레이하여 리모콘 코드 포맷의 설정 완료를 알린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모콘의 제어신호 송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6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모콘의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
즉, 디스플레이부에 나열된 수신장치의 항목(TV, VCR, DVD, CABLE, STB, AUDIO)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을 선택한다.
만일,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를 반복 수행한다.
이어,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다면, 제어부는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위한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2)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제어부는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딜레이 타임(delay time)을 설정한다.(S13)
만일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를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딜레이 타임이 설정되면, 제어부는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4)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다면, 제어부는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한다.(S16)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에 블랙 바를 약 0.5초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깜박거린다.
이어,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다면, 제어부는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S17),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에 블랙 바를 약 0.5초 간격으로 3번 깜박거린다.
만일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지 않다면, 제어부는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4)를 반복 수행한다.
한편,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4)에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설정된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5)
설정된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었다면, 제어부는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를 반복 수행하고, 설정된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4)를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리모콘 코드 포맷이 설정되면, 제어부는 키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로 송신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가 없는 리모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7b와 도 7c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가 없는 리모콘을 보여주는 전면도와 후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없는 리모콘은 키 입력부(21), 메모리(22), 스위치(23), 제어부(24), 송신부(25)로 구성된다.
여기서, 키 입력부(21)는 키 신호가 입력되고, 메모리(22)는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스위치(23)는 리모콘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3)는 리모콘의 배터리 커버 부분에 위치하며, 누름 스위치이다.
이어, 제어부(24)는 메모리(22)로부터 선택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고, 추출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송신부(25)는 생성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가 없는 리모콘의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는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제어부는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확인한다.(S22)
만일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1)를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가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이 새로운 리모콘 코드 포맷이라고 판단하면, 새로운 리모콘 코드 포맷을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S23)
만일, 제어부가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이 기존의 리모콘 코드 포맷라고 판단하면, 기존의 리모콘 코드 포맷을 메모리로부터 추출한다.(S24)
이와 같이 리모콘 코드 포맷이 추출되면, 제어부는 키 신호가 입력되면 추출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송신되는 리모콘 코드 포맷은 다음과 같이 수신장치에 수신된다.
먼저 수신장치는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제어신호의 에러 여부를 확인한 다음, 제어신호에 에러가 없다면, 분석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어신호에 에러가 있다면, 제어신호의 분석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리모콘으로부터 제 1 모드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는 수신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장치의 제어부는 최초로 수신된 제어신호 이후의 신호들을 차단한다.(S50)
이어, 수신된 제어신호에서,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인지를 판단하고,(S52)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라면, 제 1 - 제 4 번째 코드들의 총 비트 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인지를 판단한다.(S53)
여기서, 설정된 리더 코드의 길이는 하이 펄스 길이 9ms와 로우 펄스 길이 2.25m이고, 기 설정된 총 비트 수는 32 비트로 한다.
이어, 총 비트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라면, 제어부는 제 1 번째 코드가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고(S53), 커스톰 코드라면, 제 4 번째 코드가 반전된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한다(S54).
그리고, 반전된 커스톰 코드라면, 제어부는 제 1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4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고(S55),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제 2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3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56).
이어,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제어부는 제 2 번째 코드인 데이터 코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한다.(S57)
도 10는 본 발명의 리모콘으로부터 제 2 모드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는 수신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장치의 제어부는 최초로 수신된 제어신호 이후의 신호들을 차단한다.(S60)
이어, 수신된 제어신호에서,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인지를 판단한다(S61).
그리고,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라면, 제어부는 제 1 - 제 5 번 째 코드들의 총 비트 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인지를 판단한다(S62).
여기서, 기 설정된 리더 코드의 길이는 하이 펄스 길이 9ms와 로우 펄스 길이 2.25ms이고, 기 설정된 총 비트 수는 40비트로 한다.
이어, 총 비트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라면, 제어부는 각 제 1 - 제 5 번째 코드들의 비트 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인지를 확인하고(S63), 제 5 번째 코드가 체크 섬 코드인지를 판단한다.(S64)
다음, 체크 섬 코드라면, 제어부는 제 1 번째 코드가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고(S65), 커스톰 코드라면, 제 2 번째 코드가 반전된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한다.(S66)
이어, 반전된 커스톰 코드라면, 제어부는 제 1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2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고(S67),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제 3 번째 비트 수와 제 4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68)
그리고,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제어부는 제 3 번째 코드인 데이터 코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한다.(S69)
도 11는 본 발명의 리모콘으로부터 제 3 모드에 따라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는 수신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장치의 제어부는 최초로 수신된 제어신호 이후의 신호들을 차단한다.(S70)
이어, 수신된 제어신호에서,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인지를 판단한다(S71).
여기서, 기 설정된 리더 코드의 길이는 하이 펄스 길이 2ms와 로우 펄스 길이 2ms이고, 기 설정된 총 비트 수는 32비트로 한다.
이어,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라면, 제어부는 제 1 - 제 4 번째 코드들의 총 비트 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인지를 판단하고(S72), 총 비트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라면, 제 1 번째 코드가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한다(S73).
그리고, 커스톰 코드라면, 제어부는 제 2 번째 코드가 반전된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고(S74), 반전된 커스톰 코드라면, 제 1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2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75).
이어,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제어부는 제 3 번째 비트 수와 제 4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고(S76),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제 3 번째 코드인 데이터 코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한다(S77).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는 타사의 리모콘과 상호호환이 되지 않도록 당사만의 특정한 고유의 리모콘 코드 포맷을 제공하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당사만의 리모콘에 제공되는 다양한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3)

  1.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리더 코드(leader code);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주소를 알려주는 커스톰 코드(Custom code);
    상기 커스톰 코드를 반전시키는 반전된 커스톰 코드;
    상기 리모콘의 키 값을 알려주는 데이터 코드; 그리고,
    상기 데이터 코드를 반전시킨 반전된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은 상기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는 각각 8비트가 할당되고, 상기 반전된 커스톰 코드의 다음에는 1비트의 엔드 코드(end code)가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며,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은 상기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고, 반전된 데이터 코드 다음에 체크 섬 코드(check sum code)와 엔드 코드가 순차적으로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는 각각 8비트가 할당되고, 상기 체크 섬 코드는 4비트가 할당되며, 상기 엔드 코드는 1비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며,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의 1 프레임은 상기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고, 반전된 데이터 코드 다음에 엔드 코드가 순차적으로 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는 각각 8비트가 할당되고, 상기 엔드 코드는 1비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며,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
  11.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리더 코드(leader code);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주소를 알려주는 커스톰 코드(Custom code); 상기 커스톰 코드를 반전시키는 반전된 커스톰 코드; 상기 리모콘의 키 값을 알려주는 데이터 코드; 그리고, 상기 데이터 코드를 반전시킨 반전된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포맷이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리모콘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콘; 그리고,
    상기 다수의 리모콘 코드 포맷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된 제어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들은 제 1, 제 2, 제 3 모드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엔드 코드(end code)의 순서로 배열되는 리모콘 코드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는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체크 섬 코드(check sum code), 엔드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는 리모콘 코드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드는 리더 코드, 커스톰 코드, 반전된 커스톰 코드, 데이터 코드, 반전된 데이터 코드, 엔드 코드의 순서로 배열되는 리모콘 코드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드의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고,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드의 리더 코드는 한 주기의 신호 펄스로 구성되고, 이 중 하이 펄스 길이는 로우 펄스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키 신호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
    상기 리더 코드, 상기 커스톰 코드, 상기 반전된 커스톰 코드, 상기 데이터 코드 그리고, 상기 반전된 데이터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키 입력부의 키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수신장치에 대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며,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목록 및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의 설정 완료 여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 진입 키와, 상기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 진입 키는 2개의 키들로 구성된 이중 키이고, 상기 2개의 키들을 동시에 눌러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키는 상기 키 입력부의 메뉴 키와 채널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깜박거리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의 설정 완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을 3번 깜박거리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키 신호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
    상기 리더 코드, 상기 커스톰 코드, 상기 반전된 커스톰 코드, 상기 데이터 코드 그리고, 상기 반전된 데이터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상기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리모콘의 배터리 커버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누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리더 코드(leader code);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 장치의 주소를 알려주는 커스톰 코드(Custom code); 상기 커스톰 코드를 반전시키는 반전된 커스톰 코드; 상기 리모콘의 키 값을 알려주는 데이터 코드; 그리고, 상기 데이터 코드를 반전시킨 반전된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리모콘 코드 포맷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다면,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위한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딜레이 타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딜레이 타임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하고자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다면, 상기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 설정을 위한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드 진입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상기 설정된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었다면, 상기 제어하고자 하는 수신장치의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맞지 않다면,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코드 포맷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이 새로운 리모콘 코드 포맷이라면, 상기 새로운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고, 상기 현재 설정된 리모콘 코드 포맷이 기존의 리모콘 코드 포맷이라면, 상기 기존의 리모콘 코드 포맷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상기 리모콘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송신 방법.
  36. 리모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신호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에러가 없다면, 상기 분석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모콘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리모콘 코드 포맷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최초로 수신된 제어신호 이후의 신호들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서,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라면, 제 1 - 제 4 번째 코드들의 총 비트 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총 비트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라면, 상기 제 1 번째 코드가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커스톰 코드라면, 상기 제 4 번째 코드가 반전된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커스톰 코드라면, 상기 제 1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4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 2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3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 2 번째 코드인 데이터 코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수신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리더 코드의 길이는 하이 펄스 길이 9ms와 로우 펄스 길이 2.25m이고, 상기 기 설정된 총 비트 수는 32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수신 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최초로 수신된 제어신호 이후의 신호들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서,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라면, 제 1 - 제 5 번째 코드들의 총 비트 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총 비트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라면, 상기 각 제 1 - 제 5 번째 코드들의 비트 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5 번째 코드가 체크 섬 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체크 섬 코드라면, 상기 제 1 번째 코드가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커스톰 코드라면, 상기 제 2 번째 코드가 반전된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커스톰 코드라면, 상기 제 1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2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 3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4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 3 번째 코드인 데이터 코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수신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리더 코드의 길이는 하이 펄스 길이 9ms와 로우 펄스 길이 2.25ms이고, 상기 기 설정된 총 비트 수는 40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수신 방법.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최초로 수신된 제어신호 이후의 신호들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신호에서,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리더 코드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라면, 제 1 - 제 4 번째 코드들의 총 비트 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총 비트수가 기 설정된 비트 수라면, 상기 제 1 번째 코드가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커스톰 코드라면, 상기 제 2 번째 코드가 반전된 커스톰 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반전된 커스톰 코드라면, 상기 제 1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2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 3 번째 비트 수와 상기 제 4 번째 비트 수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트 수가 동일하다면, 상기 제 3 번째 코드인 데이터 코드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수신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리더 코드의 길이는 하이 펄스 길이 2ms와 로우 펄스 길이 2ms이고, 상기 기 설정된 총 비트 수는 32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코드 포맷 수신 방법.
  42. 삭제
  43. 삭제
KR1020050005280A 2005-01-20 2005-01-20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710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280A KR100710306B1 (ko) 2005-01-20 2005-01-20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184,839 US7688244B2 (en) 2005-01-20 2005-07-20 Remote controller code format(s),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thereof, and transmitting/receiving method(s) thereof
EP05016181A EP1684248A3 (en) 2005-01-20 2005-07-26 Remote controller code format(s),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thereof, and transmitting/receiving method(s) thereof
CNB2005100999670A CN100474351C (zh) 2005-01-20 2005-09-12 远程控制器编码格式、其发送/接收装置、以及其发送/接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280A KR100710306B1 (ko) 2005-01-20 2005-01-20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574A KR20060084574A (ko) 2006-07-25
KR100710306B1 true KR100710306B1 (ko) 2007-04-23

Family

ID=3639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280A KR100710306B1 (ko) 2005-01-20 2005-01-20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88244B2 (ko)
EP (1) EP1684248A3 (ko)
KR (1) KR100710306B1 (ko)
CN (1) CN1004743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1108B2 (en) 2002-11-04 2012-10-30 Naboulsi Mouhamad A Safety control system for vehicles
CN102540943A (zh) * 2012-01-09 2012-07-04 昌奎 多功能智能开关
JP5823945B2 (ja) * 2012-12-07 2015-11-25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の遠隔操作装置
CN103745590B (zh) * 2014-01-08 2016-08-17 无锡讯泰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遥控编码方法
CN103927864B (zh) * 2014-03-28 2017-10-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红外信号发送方法、装置和遥控器
US20150279208A1 (en) * 2014-03-28 2015-10-01 Xiaomi Inc. Method and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infrared signal
US10289213B2 (en) * 2014-09-29 2019-05-14 Koninklijke Philips N.V. Remote control device, user device and system thereof, and method ,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dentification signal
CN104992553B (zh) * 2015-07-29 2018-05-0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家电红外遥控波形的复制学习方法及系统
TWI823361B (zh) * 2022-04-25 2023-11-21 德禮實業有限公司 吊扇遙控編碼設定方法與吊扇之接收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76A (ko) * 1994-06-22 1996-01-26 배순훈 리모콘의 수신포맷(format)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19990001154U (ko) * 1997-06-17 1999-01-15 배순훈 리모콘 수신 장치
KR19990051235A (ko) * 1997-12-19 1999-07-05 전주범 범용 리모콘의 커스텀 코드 자동 설정 방법
KR20000003775A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타사 리모콘의 호환적 사용을 위한 리모콘 셋팅방법
KR20040103711A (ko) * 2003-06-02 2004-12-09 주식회사 디드 리모콘 키값 설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2037A (en) * 1987-02-11 1990-06-05 Hillier Technologies Limited Partnership Remote control system, components and methods
US5182551A (en) 1989-04-27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for audio/video devices
US6204796B1 (en) * 1994-07-01 2001-03-20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des for controlling appliances from a remote controller
JP2943712B2 (ja) * 1996-08-23 1999-08-30 日本電気株式会社 遠隔制御方式
TW456112B (en) * 1999-12-10 2001-09-21 Sun Wave Technology Corp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with touch screen display
JP4039001B2 (ja) * 2000-05-30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3174685A (ja) 2001-12-05 2003-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送信機及びこれを用いた送信システム
US7170422B2 (en) * 2002-06-24 2007-0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ersonal programmable universal remote control
DE10229830A1 (de) * 2002-07-03 2004-01-29 Grundig Aktiengesellschaft I.Ins. Fernbedienung mit Mehrfachfunktion
US7013434B2 (en) * 2003-01-03 2006-03-14 Universa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with local, screen-guided setu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76A (ko) * 1994-06-22 1996-01-26 배순훈 리모콘의 수신포맷(format)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기기
KR19990001154U (ko) * 1997-06-17 1999-01-15 배순훈 리모콘 수신 장치
KR19990051235A (ko) * 1997-12-19 1999-07-05 전주범 범용 리모콘의 커스텀 코드 자동 설정 방법
KR20000003775A (ko) * 1998-06-29 2000-01-25 전주범 타사 리모콘의 호환적 사용을 위한 리모콘 셋팅방법
KR20040103711A (ko) * 2003-06-02 2004-12-09 주식회사 디드 리모콘 키값 설정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51235 *
10200401037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4351C (zh) 2009-04-01
US7688244B2 (en) 2010-03-30
EP1684248A2 (en) 2006-07-26
CN1808512A (zh) 2006-07-26
US20060161812A1 (en) 2006-07-20
EP1684248A3 (en) 2007-10-03
KR20060084574A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306B1 (ko) 코드 포맷 구조를 갖는 리모콘과 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232861B2 (en)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EP0616427A1 (en) Remote controller
US69989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macro routines in a remote control
US6130625A (en)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incoming signal identification
CN101198995A (zh) 用于训练可训练发送器的系统和方法
JPS60254898A (ja) 再構成可能なリモコン送信器
US20060145911A1 (en) Remote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with remote controller
EP2661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ic interworking of multiple devices
US11568738B2 (en) Communicating discovery information from remote control devices
US20070159349A1 (en) Wireless remote control method
CN110291568A (zh) 利用可训练收发器的单个信道训练和控制远程装置的多个功能
CN101783068A (zh) 一种万用集成遥控器
KR101466120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739796B (zh) 手写方式输入功能控制信息的遥控器
CN201584053U (zh) 一种万用集成遥控器
KR100495959B1 (ko) 리모트 콘트롤러 시스템
KR20020000396A (ko) 통합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AU20022480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cket
CN100394458C (zh) 万能遥控器的控制设备判别方法及其装置
JP3606378B2 (ja) ビデオ無線送受信システム
JPH07203565A (ja) コマンド通信方式
CN104284229A (zh) 一种切换电视频道的方法、装置及系统
KR20130079813A (ko) 통합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75535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