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434B1 -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434B1
KR100701434B1 KR1020050110212A KR20050110212A KR100701434B1 KR 100701434 B1 KR100701434 B1 KR 100701434B1 KR 1020050110212 A KR1020050110212 A KR 1020050110212A KR 20050110212 A KR20050110212 A KR 20050110212A KR 100701434 B1 KR100701434 B1 KR 100701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mmand
control
portable terminal
voic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기능 설정 방법에 있어서,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 제어 명령의 설정 완료 후 설정된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과정, 및 음성 명령어를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명령어에 따른 제어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받는 과정,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입력받은 음성 명령어가 존재하는 검사하는 과정, 및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명령어에 따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 제어, 음성 명령, 음성 제어 기능 설정, 음성 인식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METHOD OF VOICE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기능을 위한 제어 명령 설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 명령 마법사를 이용한 제어 명령 설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 명령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게임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등의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음성 인식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음성 인식 기술은 단순의 저장번호의 이름을 입력하여 전화 연결을 하는 방법을 넘어서, STT(Speech to Text)등의 기능 제공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패드(Keypad) 등과 같은 키입력부의 키를 여러 번 조작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의에 참석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형태를 진동(vibration)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키패드의 여러 키들[예: 메뉴 + 1 + 2 + 1, 메뉴 + ▲ 혹은 ▼(볼륨 업 혹은 다운)]을 순차적으로 입력해야만 한다.
이처럼 하나의 기능을 설정 혹은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키 입력을 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런 이유로 인하여 회의 중이거나 기타 특별한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주고 있고 휴대용 단말기에서 채택하고 서비스하고 있는 기능들이 많을 경우 사용자는 그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각각의 키 조작 방법을 외우거나 해당 기능을 실행할 때마다 매뉴얼을 보고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함으로 키패드(Keypad) 등과 같은 키입력부의 키를 여러 번 조작하는 불편함을 해결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 명령어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어를 검색하고 상기 제어 명령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기능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어 명령의 설정 완료 후 설정된 상기 제어 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한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 명령 및 상기 음성 명령어를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기능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명령어에 따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받는 과정,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받은 음성 명령어가 존재하는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 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명령어에 따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제어 명령은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다수의 명령어들로 구성된 명령어들의 집합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음성 기능 설정시 제어 명령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어 명령에 따른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여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음성 제어 기능 실행시 음성 명령어를 입력받아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받은 상기 음성 명령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102)는 롬, 램으로 구성되며 롬(ROM : Read Only Memory)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고 본 발명에 따라 음성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조합하여 만든 명령어들의 집합인 제어 명령의 실행 순서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여 설정, 또는 다수의 제어 명령을 출력 받아 설정하고자하는 제어 명령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의 진행에 따라 설정한 제어 명령, 및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음성 명령어를 저장한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6)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108)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고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음성 인식부(104)는 음성 명령어 입력시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음성 명령어를 입력받아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음성 명령어 확인시 입력되는 음성 명령어의 패턴을 비교하여 입력된 음성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판별한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0)과, 상기 코덱(110)에 접속된 스피커(112) 및 마이크(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0)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2)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18)는 안테나(116)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0)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0)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6)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0)는 상기 RF부(118)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 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기능 설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의 발생을 검사한다. 상기 201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후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를 재확인한다.
만일 상기 201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을 설정한다. 상기 205단계의 제어 명령 설정은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다수의 명령어들로 구성된 명령어들의 집합인 제어 명령의 실행 순서를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음성 명령에 의하여 인터넷 접속 후 지정한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한다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명령 입력 메뉴를 선택하여 인터넷 접속부터 해당 사이트 접속까지의 행해지는 흐름(예 ; 메뉴 + 인터넷 접속 + 확인 버튼 등)을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차례로 입력받는 과정이다.
상기 205단계의 제어 명령 설정을 완료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을 실행시키는 음성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상기 207단계는 음성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205단계에서 설정한 제어 명령을 수행하도록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명령어 등록 기능을 실행하여 제어 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한다.
상기 207단계의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완료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제어 명령과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기능 설정의 방법 중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를 이용한 설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은 상기 도 2에 전술한 제어 명령의 설정 방법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도 3에 설명하는 제어 명령 설정 방법은 인터넷 홈페이지 마법사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의 제어 명령을 출력 받아 설정하고자하는 제어 명령을 선택받아 제어 명령을 설정하는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설정하고 추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 명령 설정 방법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01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의 발생을 검사한다. 상기 301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후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를 재확인한다.
만일 301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기능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를 실행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 목록을 출력한다. 상기 307단계의 제어 명령 목록은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기능을 위한 제어 명령을 마법사를 이용한 제어 명령의 설 정을 도와주는 목록이고 제어 명령 목록에는 사진 전송, 전화 걸기, 문자 전송, e-mail전송, 인터넷 접속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 목록 중 문자 전송을 선택하면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키패드를 이용하여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한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의 진행에 따라 제어 명령을 설정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제어 명령 목록의 출력을 완료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출력된 제어 명령 목록 중 설정하고자하는 목록을 선택받고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받은 제어 명령에 다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311단계의 추가 제어 명령은 상기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추가적인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 전송시 미리 저장한 문자 메시지를 포함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다. 상기 311단계의 검사결과 다른 제어 명령을 입력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에 따른 음성 명령어를 입력한다.
만일 311단계의 검사결과 제어 명령에 다른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31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명령에 따른 음성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상기 315단계에서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완료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받은 음성 명령어를 재생하여 정상적인 음성 명령어의 입력인지 검사한다. 상기 317단계의 검사결과 정상적인 음성 명령어가 아니면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명령어를 재입력한다.
만일 상기 317단계의 검사결과 정상적으로 음성 명령어가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기능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401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제어 기능 실행 이벤트의 발생을 검사한다. 상기 401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제어 기능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후 음성 제어 기능 실행 이벤트를 재확인한다.
만일 401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제어 기능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상기 405단계의 음성 명령어 입력은 음성 명령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에 필요한 음성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로써 음성 명령어는 시작을 알리는 단어와 명령어의 끝을 알리는 단어를 정의하여 입력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상기 405단계의 확인결과 음성 명령어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대기 후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받는다.
만일 405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명령어의 입력이 완료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상기 407단계는 휴대용 단말기가 입력받은 음성 명령어가 올바른 음성 명령어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수의 음성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이다.
상기 407단계에서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완료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데이터 베이스에 음성 명령어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음성 데이터 베이스에 음성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만일 상기 409단계의 확인결과 음성 데이터 베이스에 음성 명령어가 존재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으로 메뉴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음성으로 제어함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키를 조작함으로 생기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어떠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메뉴 버튼을 이용하는 불편함 을 제거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함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기능 설정 방법에 있어서,
    음성 명령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음성으로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의 실행 과정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한 실행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한 음성 명령어 및, 상기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실행 과정을 음성 제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기능 설정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으로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의 실행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받거나, 또는 미리 정한 다수의 상기 제어 명령으로 구성된 제어 명령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명령 리스트에서 설정하고자하는 상기 제어 명령을 선택받아 설정하는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를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설정 마법사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설정한 후 상기 제어 명령에 추가로 다른 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명령어에 따른 제어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 명령어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한 음성 명령어가 기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명령어가 기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일 경우, 상기 명령어에 상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명령어에 따른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한 음성 명령어가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잘못된 음성 명령어의 입력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 후, 상기 음성 명령어를 재감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음성 명령어에 상응하는 다수의 명령어들로 구성된 명령어들의 집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KR1020050110212A 2005-11-17 2005-11-17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 KR100701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12A KR100701434B1 (ko) 2005-11-17 2005-11-17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12A KR100701434B1 (ko) 2005-11-17 2005-11-17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434B1 true KR100701434B1 (ko) 2007-03-30

Family

ID=4156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212A KR100701434B1 (ko) 2005-11-17 2005-11-17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081A (ko) * 2009-11-25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95A (ko) * 2000-10-09 2001-01-05 신문옥 대화식 음성 제어가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92220A (ko) * 2003-04-25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인식 메뉴 편집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95A (ko) * 2000-10-09 2001-01-05 신문옥 대화식 음성 제어가 가능한 이동전화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92220A (ko) * 2003-04-25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인식 메뉴 편집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081A (ko) * 2009-11-25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1913B1 (ko) * 2009-11-25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2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EP2290922A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rminal
KR201001086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2024824A1 (en) Adaptive functional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KR1013640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KR1006218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보 막대 표시 방법
KR20000047524A (ko) 휴대폰에서 전화번호 검색 및 다이얼링방법
KR1007014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제어 방법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KR1006484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1196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10111674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스턴트 메신저를 사용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630100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단어 학습방법
KR10070339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055732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화 중 키 버튼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557066B1 (ko) 최소의 기능키만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 방법
KR100442593B1 (ko) 무선단말기의 호 서비스 방법
KR10070094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KR1005713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KR10065138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기능 제공 방법
KR101328925B1 (ko)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666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답신 메시지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KR2006005660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발신 방법
KR2006008542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전 데이터를 대기화면에 표시하기위한 방법
KR200600934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열을 수정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