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519B1 - Image searc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searc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519B1
KR100697519B1 KR1020050003552A KR20050003552A KR100697519B1 KR 100697519 B1 KR100697519 B1 KR 100697519B1 KR 1020050003552 A KR1020050003552 A KR 1020050003552A KR 20050003552 A KR20050003552 A KR 20050003552A KR 100697519 B1 KR100697519 B1 KR 10069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image processing
function key
assigned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2962A (en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519B1/en
Publication of KR20060082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9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5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은 저장된 사진을 번호로 검색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사진을 번호로 검색하지 않을 경우, 방향키로 하나하나 검색하는 단계; 사진을 번호로 검색할 경우, 기능키를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사진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mage retrieva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o retrieve a stored picture by number; If the photos are not searched by numbers, searching one by one with the arrow keys; When retrieving a picture by number, entering a number using a function key; And searching for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 촬영 후 재생모드에서 촬영한 사진을 검색 할 때,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키에 할당된 번호를 입력해서 번호로 사진을 쉽고 빠르게 검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trieving a picture taken in the playback mode after taking a pi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easily and quickly retrieving the picture by number by inputting a number assigned to a function key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 {Image searc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Image search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emplary digital camera to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arching for an imag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S106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step S106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검색화면 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screen windo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retrieval method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사진을 찍은 후, 원하는 사진을 찾으려면 처음부터 차례대로 검색을 해서 원하는 사진을 찾아야 했다. 또한 방향키를 이용해서 조금 시간을 두고 누르고 있으면 순차적으로 빠르게 사진이 넘어가고 원하는 사진 을 찾으면 누르고 있던 방향키에서 손을 떼서 찾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저장된 사진이 소수일 경우엔 불편함을 못 느끼지만, 저장된 사진이 100장 이상 많아지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찾으려고 계속해서 찾아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In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after taking a picture, in order to find a desired picture, the user had to search for the desired picture in order. In addition, if you hold down the time using the arrow keys, the pictures will move quickly in sequence, and if you find the picture you want, you can take your finger off the arrow keys. This method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hen only a few stored pictures, but when there are more than 100 stored pictures, the user has an uncomfortable problem of continuing to find the desired picture.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재생모드에서 촬영한 사진을 검색 할 때, 번호로 사진을 쉽고 빠르게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retrieval method for quickly and easily retrieving a picture by number when retrieving a picture taken in a playback mod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은 (a) 저장된 사진을 번호로 검색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사진을 번호로 검색하지 않을 경우, 방향키로 하나하나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진을 번호로 검색할 경우, 기능키를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d) 사진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retrieva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etermining whether to retrieve a stored picture by number; (b) if the picture is not searched by number, searching one by one with a direction key; (c) inputting a number using a function key when searching the picture by number; And (d) retrieving a photo.

상기 (c) 단계는 표시부에 번호 검색창이 뜨는 단계;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를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p (c) is a step of displaying a number search window on the display; Displaying a function key assigned a number; And inputting a number using a function key to which the number is assig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emplary digital camera to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the lens unit and the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in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 The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element 1 a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 frequency noise, and adjusts the amplitude. After that,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CDS-ADC element 1 to generate a digital video signal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a signals.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The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 temporarily stores digital video signals and other temporary processing data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 The memory card of the user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emory card interface 6.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17)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 is input to the LCD driver 14, whereb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17. FIG.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18 or the RS232C interface 8 and its connection 19, and the video filter ( 9) and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20 can be transmitted as a video signal.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 to the speaker SP.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드 선택 버튼은 특히,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를 토글하게 할 수 있고, 재생모드에서의 파일 삭제 작업이, 촬영모드로 변경되는 시점 이후에 메모리 카드에 반영되도록 한다.The user input unit INP may include a shutter button, a mode selection button, a function selection button, a zoom button, a direction movement button, and the like. The user input unit INP is operated by the user to generate a command for performing each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selection button can toggle between the shooting mode and the playback mode, and allows the file deletion operation in the playback mode to be reflected on the memory card after the time of changing to the shooting mode.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The microcontroller 12 controls the lens driver 10, whereby the zoom motor M Z , the focus motor M F , and the aperture motor M A are zoom lenses in the optical system OPS, The focus lens and the aperture are driven respectively. 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12 may include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microcontroller 12 drives the flash 15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ash controller 11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from the flash-light amount sensor 16.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digital camer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does not have to include all the components of FIG. 1,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delete some of the components, add another component, or modify som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Will understand tha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retrieva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조하면, 우선 사진을 번호로 검색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02). 사진을 번호로 검색하지 않는다면 방향키로 하나하나 확인하면서 사진을 검색해야 한다(S104). 이것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종래에 사용하던 방법으로 사진을 하나하나 확인해야 하므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수가 100장을 넘어 수 백장이 되면 이러한 방법으로 찾는다는 것은 참으로 힘든 작업인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a picture is searched by a number (S102). If the picture is not searched by number, the picture must be searched while checking one by one with the arrow keys (S104).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check each picture one by one in the conventional method, so when the number of pictures stored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ceeds 100 and hundreds, it is a very difficult task to find them in this way.

따라서 S102단계에서 사진을 번호로 검색할 것이라고 한다면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설치된 기능키에 번호를 할당해서 사진의 저장 번호를 기능키로 입력하고 사진을 검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로 번호를 입력하여 사진을 검색한다(S106).Therefore, in step S102, if the picture is to be searched by the number, the number is assigned to the function key installed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storage number of the picture is entered as the function key and the picture is searched. That is, the picture is searched by inputting the number with the function key assigned the number (S106).

그리고 S102 단계에서, 번호 검색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는 별도로 마련된 번호검색 단축키 "S"를 눌러서 번호 검색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과 메뉴상에서 번호검색 메뉴를 선택하여 번호 검색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번호 검색 모드로 전환되면 도 4와 같이 표시부(10)에 검색화면이 뜬다. In the step S102, the method for switching to the number search mode includes a method of switching to the number search mode by pressing the number search hot key "S" provided separately and a method of switching to the number search mode by selecting the number search menu on the menu.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number search mode, a search screen appears on the display unit 10 as shown in FIG.

그리고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 순으로 번호를 입력하는데, 검색하 고자 하는 번호를 다 입력하고 OK버튼을 누르면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메모리에서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사진을 찾아 디스플레이 한다.Then, enter numbers in order of hundreds, tens, and ones. When you enter all the numbers you want to search and press the OK butt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unit searches for and displays the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entered in the memory.

도 3은 도 2의 S106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step S106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표시부에 번호 검색창이 뜬다(S200).Referring to FIG. 3, first, a number search window appears on the display unit (S200).

그리고 표시부에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가 표시된다(S202). 이처럼 기능키를 이용해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부에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가 표시되는 것이다.The function key assigned with the numb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202). In this way, a function key assigned a numb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o that a number can be input using the function key.

다음으로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를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한다(S204).Next, the number is input using the function key assigned the number (S204).

이렇게 입력된 번호도 표시부(10)에 표시된다.The number thus input is also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그 이후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입력된 번호에 맞는 사진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한다.After tha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earches for and displays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검색화면 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screen window of a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4를 참조하면, 재생 모드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표시부(10), 번호검색 단축키 "S"(11),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12),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의 표시(13) 및 번호표시부(14)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playback mode, the digital camera includes a display section 10, a number search hot key " S " 11, a function key 12 assigned a number, a display 13 and a number assigned to a function key. The display unit 14 is included.

표시부(10)는 번호검색 단축키 "S"(11)가 입력되면 검색화면 창에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의 모습과 번호표시부(14)를 표시한다.When the number search hotkey " S " 11 is inputted, the display unit 10 displays the state of the function key assigned the number and the number display unit 14 in the search screen window.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12)는 재생모드에서 번호가 할당되어 사진의 해당 번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이렇게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12)로 입력된 번 호는 번호표시부(14)에 나타난다.The numbered function key 12 is used to enter the corresponding number of the picture in which the number is assigned in the playback mode. The number entered by the function key 12 assigned the number is displayed on the number display section 14.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의 표시(13)는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12)의 모습을 그대로 표시부(10)에 나타내며, 각 기능키에 할당된 번호를 표시한다.The display 13 of the function keys to which numbers are assigned indicates the state of the function keys 12 to which numbers are assigned, as is on the display unit 10, and displays the numbers assigned to the respective function keys.

번호표시부(14)는 사용자에 의해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12)로 입력된 번호를 표시부(10) 상에 표시한다. The number display section 14 displays on the display section 10 the number entered by the function key 12 assigned a number by the user.

재생모드에서 도 4에 예시된 단축키 "S"(11)가 입력되었거나, 메뉴의 번호 검색 항목이 선택되면, 기능키에 번호가 할당된다. In the playback mode, when the shortcut key " S " 11 illustrated in Fig. 4 is entered or a menu number search item is selected, a number is assigned to a function key.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10)에 나타난 검색화면 창에 표시된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의 표시(13)을 보고 사진에 해당되는 번호를 입력하고 "OK"를 눌러서 사진을 불러오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sees the display 13 of the function key assigned with the number displayed on the search screen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input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and presses "OK" to bring up the picture.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저장된 이미지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등에도 적용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에 각광받기 시작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다. PMP는 MP3와 같은 음악 재생, 방송수신, 게임, 전자사전,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휴대형의 차세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다. 이와 같은 PMP에 저장된 이미지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개념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players, and the like as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capable of reproducing stored imag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which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PMP is a portable, next-generation multimedia player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music playback, broadcast reception, games, electronic dictionary, video playback, and digital camera such as MP3. Even when playing back the image stored in the PMP,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s it is.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bove. 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meaning or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에 의하면, 사진 촬영 후 재생모드에서 촬영한 사진을 검색 할 때,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기능키에 할당된 번호를 입력해서 번호로 사진을 쉽고 빠르게 검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mage retrieva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trieving a photograph taken in the playback mode after taking a photo, the number is assigned to the number assigned to the function key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You can get the effect of searching easily and quickly.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represented in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aught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ny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ossible by substitution, erasure, merging, etc. within the scope a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2)

(a) 저장된 사진을 번호로 검색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a) determining whether to search the stored picture by number; (b) 상기 사진을 번호로 검색하지 않을 경우, 방향키로 하나하나 검색하는 단계; (b) if the picture is not searched by number, searching one by one with a direction key; (c) 상기 사진을 번호로 검색할 경우,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를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c) when the picture is searched by a number, entering a number by using a function key to which the number is assigned; And (d)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사진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and (d) retrieving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표시부에 번호 검색창이 뜨는 단계;Displaying a number search box on the display unit;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를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a function key assigned a number; And 상기 번호가 할당된 기능키를 이용하여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And inputting a number using a function key to which the number is assigned.
KR1020050003552A 2005-01-14 2005-01-14 Image searc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697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552A KR100697519B1 (en) 2005-01-14 2005-01-14 Image searc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552A KR100697519B1 (en) 2005-01-14 2005-01-14 Image searc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62A KR20060082962A (en) 2006-07-20
KR100697519B1 true KR100697519B1 (en) 2007-03-20

Family

ID=3717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552A KR100697519B1 (en) 2005-01-14 2005-01-14 Image searc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51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6319A (en) 1998-04-17 1999-11-05 Olympus Optical Co Ltd Picture processor
KR20000026537A (en) * 1998-10-21 2000-05-15 유무성 Digital still camera with bookmark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264390B1 (en) 1998-02-20 2000-08-16 김승영 How to display a singer's photo of a song half cycle
JP2004112708A (en) 2002-09-20 2004-04-08 Ricoh Co Ltd Digital camera, and image data regeneration method of digital camera
US20040208482A1 (en) 1995-10-03 2004-10-2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8482A1 (en) 1995-10-03 2004-10-2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ing method
KR100264390B1 (en) 1998-02-20 2000-08-16 김승영 How to display a singer's photo of a song half cycle
JPH11306319A (en) 1998-04-17 1999-11-05 Olympus Optical Co Ltd Picture processor
KR20000026537A (en) * 1998-10-21 2000-05-15 유무성 Digital still camera with bookmark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4112708A (en) 2002-09-20 2004-04-08 Ricoh Co Ltd Digital camera, and image data regeneration method of digital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62A (en)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56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duplex thumbnail mode
KR100627047B1 (en) Digital camera and file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KR101113238B1 (en) Image display method for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697519B1 (en) Image search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13234B1 (en) Image display method for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20024B1 (en) File manag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651811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leting images by the page and apparatus thereof
KR101310824B1 (en) Image search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56683B1 (en) Composite imag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236466B1 (en) Image display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09585B1 (en) Image playback method for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05849B1 (en) Digital image playback method and device
KR100910773B1 (en) Image zoom playback method
KR101246292B1 (en) Image editt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20070016353A (en) Composite imaging method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204804B1 (en) Guiding method through voice output for function of digital imaging apparatus
KR101080406B1 (en) Image playback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KR100702954B1 (en)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20050083416A1 (en) Method for managing data files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utilizing date data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113239B1 (en) Image display method for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176180B1 (en) Image display method for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058023B1 (en) Image Rotating Device and Method
KR101156686B1 (en) Auto bracket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KR101268986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101109588B1 (en) Image stor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