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954B1 -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954B1
KR100702954B1 KR1020050002937A KR20050002937A KR100702954B1 KR 100702954 B1 KR100702954 B1 KR 100702954B1 KR 1020050002937 A KR1020050002937 A KR 1020050002937A KR 20050002937 A KR20050002937 A KR 20050002937A KR 100702954 B1 KR100702954 B1 KR 100702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ymbol
key
digital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2441A (en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954B1/en
Publication of KR2006008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9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 상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강조 기호를 표시하고 이를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은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방법으로써, (a) 임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강조하고자 하는 임의의 영역에 소정의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b) 상기 강조 기호가 표시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 상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강조 기호를 표시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컴퓨터 상에서 이미지를 불러와 편집해야 하는 불편함을 주일 수 있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나, 이미지 편집 툴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메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미지 편집을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isplaying an emphasis portion on an image in a digital camera displaying and highlighting an emphasis symbol on an image selected on the digital camera. The method for displaying an emphasis portion on an image in a digital camera is an operation method of a digital camera that captures and stores an image, comprising: (a) selecting an image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symbol on an area to be emphasized; b) storing the image in which the highlighted symbol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ighlighting and storing a highlighted symbol on an image selected on a digital camera, it may be inconvenient to call up and edit the image on a computer, and may be us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omputer is not available or the use of an image editing tool. Even unfamiliar people can easily edit images using the simple menu provided by the camera.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트리밍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imming technique in a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도 2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FIG. 3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rear appearanc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2.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amera shown in FIGS. 2 and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of displaying an emphasis portion on an imag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를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FIG. 6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camera for explaining FIG. 5.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상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강조 기호를 표시하고 이를 저 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displaying an emphasis portion on an image in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ing and storing an emphasis symbol on an image selected 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신호를 이용한 새로운 타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써 카메라 즉, 피사체의 영상을 0과 1로 표시되는 디지털 신호로 메모리에 저장하여 현상과 인화, 스캐닝 과정 없이도 컴퓨터와 연결되어 저장된 영상을 컴퓨터로 바로 옮길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가 개발되어 신속하게 보급되고 있다.A new type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uses digital signal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stores the image of the camera, that is, the subject, as a digital signal represented by 0 and 1, and stores it in memory and connects it to a computer without developing, printing, or scanning. Digital cameras that can transfer images directly to a computer have been developed and are rapidly spreading.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CCD 등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의 압축/복원 동작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디지털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출력 장치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출력한다. Such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verts an electric image signal of a subject into a digital signal by using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CD and stores or outputs the digital signal of the photographed subject in a memory by a compression / restor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the data through the device.

따라서,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실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기존의 일반 영상 처리 장치처럼 별도의 필름을 이용할 필요 없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 등에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Accordingl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above principle stores the image data of the photographed subject in a memory card or the like which stores data without using a separate film as in the conventional gener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그러므로 필름을 구입하여 정해진 촬영 매수만큼 촬영 동작을 실행한 후, 필름 현상소에 필름을 보관하여 몇 시간 후에 촬영된 사진을 찾는 방법 대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으로 장착되어진 메모리 카드에 촬영된 영상신호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므로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에 연결시켜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instead of purchasing a film and performing a shooting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shots, and storing the film in a film lab and finding a photograph taken a few hours later, the image signal recorded on the memory card mounted by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used. Are stored sequentially so that the user can connect the captured image data to a computer.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는 재생 모드 즉,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방향키와 줌키를 이용하여 이미지 내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트리밍하고, 그 이미지를 원본과 따로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Such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s a function of selecting and trimming a desired portion of an image by using a direction key and a zoom key while the image is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and storing the image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도 1은 이와 같은 트리밍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사각형의 틀을 이용하거나 보이지 않는 틀로 방향키 및 줌키를 이용하여 트리밍한다. 이는 원래 이미지와는 별개의 것으로 처리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원 이미지와 비교하기가 번거롭다. 또한 이미지의 특별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상에서는 불가능하고 컴퓨터에서 다른 이미지 툴을 사용하여 후 처리를 해야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uch a trimming technique. Trimming is performed using a rectangular frame or an invisible frame using a direction key and a zoom key. This is cumbersome to compare with the original image because it is processed and store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image. 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impossible to use a camera to emphasize a particular part of an image and post processing using another image tool on a comput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상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강조 기호를 표시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처리를 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highlight symbol on the image selected 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o store the same, thereby highlighting the highlight portion in the imag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image processing using a computer. To provide a way to displa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은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써, (a) 임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강조하고자 하는 임의의 영역에 소정의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b) 상기 강조 기호가 표시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isplaying an emphasis portion on an image is an operation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ptures and stores an image, and (a) selects an arbitrary image. Displaying a predetermined symbol in an arbitrary area to be emphasized, and (b) storing the image in which the highlighted symbol is display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조 기호를 중복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lighted symbol can be displayed in duplic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이미지 선택과 함께 강조 기호 표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a-2)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함께 표시 가능한 강조 기호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a-3) 상기 임의의 강조 기호의 사이즈 및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a-4) 상기 설정된 강조 기호를 상기 이미지의 임의의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tep (a) may comprise: (a-1) selecting a highlight symbol display menu together with the image selection; (a-2) displaying highlight symbols displayable with the selected image; (a-3) setting the size and display position of the arbitrary emphasis symbol; And (a-4) displaying the set emphasis symbol on an arbitrary area of the image.

본 발명에 있어서, 광학 줌키 또는 망원 줌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강조 기호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selected highlighted symbol is changed using an optical zoom key or a telephoto zoom key.

본 발명에 있어서,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즈가 변경된 강조 기호를 상기 이미지의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direction keys to move the highlighted symbol whose size is changed to an arbitrary area of the ima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appearance of a digital camera as an embodiment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13), 모드 다이얼(14), 기능-선택 키(15), 촬영-정보 표시부(16), 뷰파인더(17a), 기능-블록 키(18),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front of a general digital camera, a microphone (MIC), a self-timer lamp 11, a flash 12, a shutter 13, a mode dial 14, a function-selection key 15, There is a shooting-information display section 16, a viewfinder 17a, a function-block key 18, a flash-light amount sensor 19, a lens section 20, and an external interface section 21.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13)가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13)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In the self-timer mode, the self-timer lamp 11 operates for a set time from the time when the shutter 13 is pressed to the time when the shutter 13 operates.

모드 다이얼(1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 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The mode dial 14 is used to select and set various modes, for example, a still image shooting mode, a night view shooting mode, a moving picture shooting mode, a playback mode, a computer connection mode, and a system setting mode.

기능-선택키(15)는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The function-selection key 15 is used for the user to select any one of operation modes of the digital camera, for example, a still image shooting mode, a night view shooting mode, a moving picture shooting mode, and a playback mode.

촬영-정보 표시부(16)는 촬영과 관련된 각 기능의 정보가 표시된다. 기능-블록 키(18)는 촬영-정보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된 각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The shooting-information display section 16 displays information of each function related to shooting. The function-block key 18 is used for the user to select each function displayed on the shooting-information display unit 16.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FIG. 3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rear appearance of the digital camera illustrated in FIG. 2.

도 3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스피커(SP), 전원키(31), 모니터키(32), 자동-초점 램프(33), 뷰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 패널(LCD)(35), 노출보정/삭제키(36), 엔터/재생키(37), 메뉴/OK키(38), 광각(wide angle)-줌(zoom)키(39w), 망원(telephoto)-줌키(39t), 상향-이동키(40up), 우향-이동키(40ri), 하향-이동키(40lo), 및 좌향-이동키(40le), 재생모드(Playback)키(42)가 있다. Referring to FIG. 3, behind the conventional digital camera, a speaker SP, a power key 31, a monitor key 32, an auto-focus lamp 33, a viewfinder 17b, and a flash standby lamp 34 ), Display panel (LCD) 35, exposure compensation / deletion key 36, enter / playback key 37, menu / OK key 38, wide angle-zoom key 39w , Telephoto-zoom key 39t, up-move key 40up, right-move key 40ri, down-move key 40lo, and left-move key 40le, Playback key 42 have.

모니터키(3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LCD)(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니터키(32)를 첫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되며, 세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The monitor key 32 is used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LCD) 35.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monitor key 32 first, an image of the subject and photographing information thereof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and when the user presses a second time, only the image of the subje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When pressed for the third time, power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35 is cut off.

자동-초점 램프(33)는 자동 포커싱 동작이 완료된 때에 동작한다. The auto-focus lamp 33 operates when the auto focusing operation is completed.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2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The flash standby lamp 34 operates when the flash 12 (in FIG. 2) is in an operation standby state.

노출보정/삭제키(36)는 디지털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삭제키로 사용된다. The exposure compensation / deletion key 36 is used as a deletion key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or manually setting each mode when the digital camera is manually operated.

엔터/재생키(37)는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The enter / playback key 37 is used for inputting data from the user or for a function such as stopping or playing in the playback mode.

메뉴/OK키(38)는 모드 다이얼(14)에서 선택된 모드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The menu / OK key 38 is used to display and select the menu of the mode selected in the mode dial 14.

상향-이동키(40up), 우향-이동키(40ri), 하향-이동키(40lo), 및 좌향-이동키(40le)는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영상 내에서 위치변경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The up-movement key 40up, the right-movement key 40ri, the down-movement key 40lo, and the left-movement key 40le are used in the process of setting each mode by the user, and ar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It is used to change location in.

재생모드키(42)는 마지막 촬영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확인하고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playback mode key 42 is used to check and manipulate the last photographed image, video or audio information.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amera shown in FIGS. 2 and 3.

렌즈부(20)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20)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한다.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the lens unit 20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20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ZL, a focus lens FL, and a compensation lens CL.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키(도 3의 39w) 또는 망원(telephoto)-줌키(도 3의 39t)를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 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ZL)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키(도 3의 39w)가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키(39t)가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 angle-zoom key (39w in FIG. 3) or telephoto-zoom key (39t in FIG. 3)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 correspond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ntroller 512. Is entered. Accordingly, as the microcontroller 512 controls the lens driver 510, the zoom motor MZ is driven to move the zoom lens ZL. That is, when the wide angle-zoom key (39w in FIG. 3) is 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ZL is shortened to widen the angle of view, and when the telephoto-zoom key 39t is 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ZL becomes long and the angle of view becomes narrow.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Reference numeral M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not shown). Here, the rotation angle of the aperture drive motor MA is changed depending on the case of the designated exposure mode and the case of not. The designated exposure mode refers to a mode for setting the exposure amount of the digital camera to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designated detection area when the desired area of the target area matches the designated detection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of the digital camera. Say.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500)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CCD를 일 예로 광전 변환부(500)라 설명하도록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500)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회로(502)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제어를 받는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to-Digital Converter)(501)는, 광전 변환부(OEC)(500)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A photoelectric converter (OEC) 500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CD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50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50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500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501. The timing circuit 502 is controlled by the microcontroller 512.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501 converts an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500 into a digital signal.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로부터의 디지털 신 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analog-digital converter 501 to generate a digital image signal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a signals.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도 3의 33) 및 플래시 대기 램프(도 3의 34)가 포함된다. The light emitting portion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512 includes a self-timer lamp 11, an auto-focus lamp (33 in FIG. 3) and a flash standby lamp (34 in FIG. 3).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도 2의 13), 모드 다이얼(도 2의 14), 기능-선택키(도 2의 15), 기능-블록키(도 2의 18), 모니터키(도 3의 32), 확인/삭제키(도 3의 36), 엔터/재생키(도 3의 37), 메뉴/OK키(도 3의 38), 광각-줌키(도 3의 39w), 망원-줌키(도 3의 39t), 상향-이동키(도 3의 40up), 우향-이동키(도 3의 40ri), 하향-이동키(도 3의 40lo) 및 좌향-이동키(도 3의 40le)를 포함한다.The user input unit INP includes a shutter (13 in Fig. 2), a mode dial (14 in Fig. 2), a function-selection key (15 in Fig. 2), a function-block key (18 in Fig. 2), a monitor key (Fig. 3 of 32), OK / Delete key (36 of FIG. 3), Enter / Playback key (37 of FIG. 3), Menu / OK key (38 of FIG. 3), Wide-Zoom key (39w of FIG. 3), Tele- 3 includes a zoom key (39t in FIG. 3), an up-shift key (40up in FIG. 3), a right-shift key (40ri in FIG. 3), a down-shift key (40lo in FIG. 3), and a left-shift key (40le in FIG. 3). .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DRAM(504)에는 분할 촬영 횟수에 따라 촬영된 영상 프레임이 각각 저장된다.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M 504 stores image frames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vided photographing operations.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 EEPROM(505)는 선택된 이미지를 강조하고자 표시할 수 있는 강조 기호를 저장하는데, 강조 기호들이 bmp 파일로 저장되거나, 강조 기호를 표시할 수 있는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형태로써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EPROM 505 stores an emphasis symbol that can be displayed to highlight a selected image, which is stored as a bmp file, or stored in a program as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mat that can display an emphasis symbol. It is.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The memory card of the user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memory card interface 506.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 즉 표시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input to the LCD driver 514, whereb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that is, the display unit.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ion 21a or an RS232C interface 508 and its connection 21b, and a video filter ( 509 and the video output unit 21c can be transmitted as a video signal.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or 5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o the speaker SP.

한편, 플래시(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와 플래시 제어기(511)를 통하여 구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ash 12 is driven through the microcontroller 512 and the flash controller 511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flash-light amount sensor 19.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특정 이미지에 강조 기호를 표시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 입력부(INP)를 통하여 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The microcontroller 512 provides a menu for displaying and storing a highlighted symbol on a specific image, which can be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NP.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특정 이미지에 강조 기호를 표시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뉴가 선택되면, 표시 가능한 강조 기호들을 제공하고, 선택된 이미지에 선택된 강조 기호를 표시하여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상세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When a menu for displaying and storing a highlight symbol on a specific image is select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rovides display highlightable symbols and processes to display and store the selected highlight symbol in the selected image. Detailed operations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는 DRAM(507)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특정 이미지를 재생한다(500단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35)을 온/오프 하는 모니터키(32)를 눌러 디스플레이 패널(35)을 온 시키고, 썸네일 이미지를 검색하고 원하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한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of displaying a highlighted portion on an imag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user reproduces a specific image stored in a DRAM 507 or a memory card (step 500). The user presses the monitor key 32 to turn on / off the display panel 35 to turn on the display panel 35, search for a thumbnail image, and select a specific image as desired.

특정 이미지에 강조 기호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에 서 제공하는 강조 기호 표시 메뉴를 선택한다(502단계).In order to display a highlight symbol on a specific image, the user selects a highlight symbol display menu provided by the microcontroller 512 (step 502).

강조 기호 표시 메뉴가 선택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특정 이미지와 함께 표시 가능한 강조 기호를 디스플레이 한다(504단계). 도 6a는 강조 기호 표시 메뉴가 선택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특정 이미지 및 강조 기호를 보여준다. 이 강조 기호는 EEPROM(505)에 bmp 파일로 저장되거나, 프로그램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이미지에 표시된다.When the highlight symbol display menu is select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displays the highlight symbol that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specific image on the display panel 35 (step 504). 6A shows a particular image and highlight symbol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35 after the highlight symbol display menu is selected. This highlighted symbol is stored in the EEPROM 505 as a bmp file or stored as a program, which is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and displayed in the image.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강조 기호들을 검색한 후, 표시하고자 하는 강조 기호를 선택한다(506단계). 일 실시 예로 도 6a의 강조 기호 중 원(○)을 선택한다고 가정한다.After searching the displayed highlighted symbols, the user selects the highlighted symbols to be displayed (step 506). In an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 circle (○) is selected from the highlighted symbols of FIG. 6A.

강조 기호 선택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강조 기호를 디스플레이 한다(508단계). When the highlight symbol selection is complete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displays the highlight symbol on the display panel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step 508).

이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서 강조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강조하는 부분의 사이즈에 맞게 광학-줌키(39w) 및 망원-줌키(39t)로 선택된 강조 기호의 사이즈를 변경한다(510단계). 광학-줌키(39w)가 입력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선택된 강조 기호의 사이즈를 확대하고, 망원-줌키(39t)가 입력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선택된 강조 기호의 사이즈를 축소한다.Then, the user checks the highlight portion in the displayed image and changes the size of the highlight symbol selected by the optical-zoom key 39w and the telephoto-zoom key 39t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highlighted portion (step 510). When the optical-zoom key 39w is input,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enlarges the size of the selected highlighted symbol. When the tele-zoom key 39t is input,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reduces the size of the selected highlighted symbol.

선택된 강조 기호의 사이즈를 설정한 후에, 방향키(상향-이동키(40up), 우향-이동키(40ri), 하향-이동키(40lo) 및 좌향-이동키(40le))를 이용하여 사이즈가 설정되니 강조기호를 이미지의 강조하는 부분으로 이동시킨 후 메뉴/OK키(38)를 입력 한다(512단계). 도 7b는 이미지의 강조할 부분(사람)에 강조 기호(○)를 표시한 예를 보여준다.After setting the size of the selected highlight symbol, the size is set using the arrow keys (up-move key 40up, right-move key 40ri, down-move key 40lo, and left-move key 40le). After moving to the highlighted part of the image, enter the menu / OK key 38 (step 512). 7B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emphasis symbol (○) is displayed on a portion (person) to be emphasized in the image.

이후, 같은 이미지 내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이 더 존재하는 경우 502 단계로 복귀하여 다른 강조 기호를 선택하여 이미지 상에 표시한다(514단계).Thereafter, if there are more portions to be emphasized in the same imag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02 and selects another highlight symbol to be displayed on the image (step 514).

그러나, 같은 이미지 내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강조 기호가 표시된 이미지를 DRAM(507)을 통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516단계). 강조 기호가 표시된 이미지는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강조 기호가 표시되지 않은 이미지)와 별도로 저장된다.However, if the part to be emphasized in the same image no longer exists, the highlighted image is stored in the memory card through the DRAM 507 (step 516). The image with the highlighted symbol is stored separately from the previously stored image (the image without the highlighted symbol).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강조 기호를 표시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컴퓨터 상에서 이미지를 불러와 편집해야 하는 불편함을 주일 수 있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나, 이미지 편집 툴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메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미지 편집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laying a highlight symbol on an image selected b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ing the same, it may be inconvenient to bring up and edit the image on the computer, or may not use the computer. Even people unfamiliar with the use of image editing tools can easily edit images using simple menus provided by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s.

Claims (5)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써,As an operation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d storing an image, (a) 임의의 이미지 선택과 함께 강조 기호 표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a) selecting a highlight symbol display menu with any image selection; (b) 상기 선택된 이미지와 함께 표시 가능한 강조 기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b) displaying highlight symbols displayable with the selected image; (c) 상기 임의의 강조 기호의 사이즈 및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c) setting a size and a display position of the arbitrary emphasis symbol; (d) 상기 설정된 강조 기호를 상기 이미지의 임의의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d) displaying the set emphasis symbol in any area of the image; And (e) 상기 강조 기호가 표시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e) storing the highlighted portion in the image comprising storing the image with the highlighted symbo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강조 기호를 중복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highlighted portion on the image, wherein the highlighted symbol can be displayed in duplicate. 삭제delete 제 3항에 있어서, 광학 줌키 또는 망원 줌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강조 기호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ze of the selected highlighted symbol is changed using an optical zoom or telephoto zoom key. 제 4항에 있어서,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이즈가 변경된 강조 기호를 상기 이미지의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mphasis symbol of the changed size is moved to an area of the image by using a direction key.
KR1020050002937A 2005-01-12 2005-01-12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7029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37A KR100702954B1 (en) 2005-01-12 2005-01-12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37A KR100702954B1 (en) 2005-01-12 2005-01-12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441A KR20060082441A (en) 2006-07-18
KR100702954B1 true KR100702954B1 (en) 2007-04-03

Family

ID=3717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937A KR100702954B1 (en) 2005-01-12 2005-01-12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95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578A (en) * 1994-09-05 1996-03-22 Sony Corp Video camera system
KR19990060312A (en)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Some screen focus highlighters and methods
JP2001045355A (en) 1999-08-02 2001-02-16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ng device and group photographic image form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578A (en) * 1994-09-05 1996-03-22 Sony Corp Video camera system
KR19990060312A (en)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Some screen focus highlighters and methods
JP2001045355A (en) 1999-08-02 2001-02-16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ng device and group photographic image form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441A (en)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48B1 (en) Controlling method of digital camera
KR1011200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n screen display when shutter is pressed half state in digital camera
KR100503039B1 (en) Method to control operation of digital camera for user to easily take an identification photograph
KR101086409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apturing pictures by user setting continuous shooting mode, and apparatus thereof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US74713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image in digital camera
KR1011095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image when the imame is enlarged or reduced
KR1010379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storage space using resolution change
KR100627047B1 (en) Digital camera and file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camera
KR1005159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camera performing re-compression
KR101080404B1 (en) Method for converting moving image into still image and triming the still image
KR1006270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ng object to image in digital camera
KR20050109361A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0702954B1 (en) Method for marking emphasis portion to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058028B1 (en) Digital camera with two display panels
KR100627068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camera it will be able to store a number of images which are selected with one image
KR100651811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leting images by the page and apparatus thereof
KR101058027B1 (en) How to save an image
KR101058023B1 (en) Image Rotating Device and Method
KR100651812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y shortcut key setting, and apparatus thereof
KR101364535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2009007748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235803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ccording to area setting up
KR20080041463A (en) Method of trimming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2009007748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