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354B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354B1
KR100696354B1 KR1020000021583A KR20000021583A KR100696354B1 KR 100696354 B1 KR100696354 B1 KR 100696354B1 KR 1020000021583 A KR1020000021583 A KR 1020000021583A KR 20000021583 A KR20000021583 A KR 20000021583A KR 100696354 B1 KR100696354 B1 KR 10069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ontent
display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793A (ko
Inventor
노무라야스오
에구찌다쯔오
데라시따야스히꼬
미야지마야스시
와따나베요시까즈
야마구찌노부아끼
사사끼구미꼬
니이지마마꼬또
스즈끼아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726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66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172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079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726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4542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1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drop-down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4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list of graphical elements, e.g. icons or icon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7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menu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45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one dimensional array
    • H04N1/00448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one dimensional array horizont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3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58Sequential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brows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된 제1 화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과,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과, 기록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1 스크린 및 재생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2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기록 증분, 동화상, 정지 화상,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INFORMATION PROCESSING}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화상 기록 및 재생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퍼스널 컴퓨터의 블록도.
도 3은 화상 처리 보드의 블록도.
도 4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응용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도면.
도 5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응용 프로그램, 및 미들웨어(middleware) 및 드라이버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
도 6은 전형적인 AV 컨텐츠 구조의 윤곽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
도 7은 다른 AV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
도 8은 다른 AV 컨텐츠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
도 9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10은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른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11a, 11b 및 11c는 기록 시간 변화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기록 시간이 변경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
도 12는 기록 시간 설정 윈도우의 예시적인 도면.
도 13은 기록 시간 설정 윈도우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
도 14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15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른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16은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른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17은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18은 기록 및 재생 스크린을 전환하기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19는 기록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20은 상세한 기록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21은 재생 처리를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22는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23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24는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른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25a 내지 도 25m은 아이콘의 예시적인 도면.
도 26a 내지 도 26m은 다른 아이콘의 예시적인 도면.
도 27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른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28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다른 스크린의 예시적인 도면.
도 29는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를 전환하는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30은 아이콘 디스플레이 처리를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31은 만료 날짜 설정에 따라 AV 컨텐츠를 소거하기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32는 AV 컨텐츠를 소거하기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33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또는 AV 컨텐츠를 탐색하는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34는 2차원 코드의 예시적인 도면.
도 35는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윈도우의 예시적인 도면.
도 36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윈도우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
도 37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윈도우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
도 38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를 탐색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윈도우의 예시적인 도면.
도 39는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를 탐색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윈도우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
도 40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에 대응한 AV 컨텐츠를 탐색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윈도우의 예시적인 도면.
도 41은 2차원 코드와 AV 컨텐츠를 연관시키기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42는 AV 컨텐츠와 연관된 2차원 코드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43은 AV 컨텐츠와 연관된 2차원 코드를 탐색하기 위한 단계들의 플로우챠트.
도 44는 2차원 코드와 연관된 AV 컨텐츠하기 위한 단계들의 다른 플로우챠트.
도 45a, 45b 및 45c는 기억 매체의 예시적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CPU
22 : ROM
23 : RAM
25 : 브리지
27 : 인터페이스
28 : 키보드
29 : 마우스
30 : CRT
31-1, 31-2 : HDD
32 : FDD
33 : 스피커
34 : 화상 처리 보드
본 발명은 정보 처리를 위한 장치, 방법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화상의 기록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은 물론, 그러한 방법을 수용하기 위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TV 방송국으로부터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튜너가 구비된 퍼스널 컴퓨터로 수신하고 수신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어 필요할 때 재생되는 적합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이 오늘날 점차적으로 범용화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로 화상을 기록하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주요 문제점은, 기록된 화상의 내용을 검증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과, 기록될 수 있는 화상의 양을 아는 거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 동시켜서 영상을 기록 및/또는 재생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해하기 어려우며, 동화상이 기록되는 경우에, 시계열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발명되었으며, 기록될 수 있는 화상의 기간에 아무런 제한 없이, 기록된 화상의 내용 및, 기록될 수 있는 화상의 양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매체를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가, 주저없이 화상을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데에 이 장치를 작동하도록 하고, 동화상이 기록되는 경우에, 시계열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 간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라, 공급된 제1 화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제1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과; 기록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1 스크린, 및 재생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2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라, 공급된 제1 화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 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제2 화상을 재생하는 단계와; 기록 단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1 스크린, 및 재생 단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2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라, 제공된 제1 화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제2 화상을 재생하는 단계와; 기록 단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1 스크린, 및 재생 단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제2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가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매체의 사용을 통해, 제1 화상이 기록되고 제2 화상이 재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록 명령을 입력하는 제1 스크린, 및 재생 명령을 입력하는 제2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라, 동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동화상의 장면 전환(scene switchover)및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스크린 상에 기준 위치가 주어지고, 기준 위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 이 거리는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스탬프 및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 사이의 차(differences)를 반영함 -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라, 동화상을 처리하기 위해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동화상의 장면 전환 및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스크린 상에 기준 위치가 주어지고, 기준 위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 이 거리는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스탬프 및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 사이의 차를 반영함 -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라, 동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가, 동화상의 장면 전환 및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스크린 상에 기준 위치가 주어지고, 기준 위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 이 거리는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스탬프 및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 사이의 찰르 반영함 -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가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매체를 사용하여, 동화상의 장면 전환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이 스위치오버의 시간 스탬프를 따라서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린 상에 기준 위치가 주어지고, 기준 위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 이 거리는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스탬프 및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 사이의 차를 반영함 -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라, 제1 동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및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된 제1 동화상을 개략화하는(outlining)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선택된 제1 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제2 동화상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 동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및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제1 동화상을 개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선택된 제1 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록 단계에서 기록될 수 있는 제2 동화상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동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및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제1 동화상을 개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선택된 제1 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록 단계에서 기록될 수 있는 제2 동화상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매체가 제공된다.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매체의 사용을 통해, 제1 동화상이 기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가 제공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제1 동화상을 개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선택된 제1 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록 단계에서 기록될 수 있는 제2 동화상의 양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한 화상 기록 및 재생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TV 방송국에서 무선파를 수신하는 안테나(2)로부터 신호를 받고, 상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즉, 프로그램 화상 및 오디오)을 기록할 뿐만 아니라 재생한다. 또한 상기 퍼스널 컴퓨터(1)는 VCR(video cassette recorder)(3)로부터 아날로그 신호, 또는 DVCR(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4)이나 DVCR (5) - IEEE 1394 또는 유사한 표준에 따르는 네트워크(6-1 및 6-2)에 대한 촬상(pickup) 기능이 장착됨 - 에서 보내온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 후 퍼스널 컴퓨터(1)는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데이터로 표시되는 화상 및 비디오를 기록 및 재생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VCR(3)에 기록된 비디오 및 화상들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 (예를 들면,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시스템을 기초로 한 신호들)를 공급하거나 DVCR(4)에 저장된 오디오 및 비디오들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공급한다.
추가적으로, 2차원 코드(추후 설명됨)가 인쇄된 라벨(label)에 관한 화상 데이터 - 라벨 화상 데이터는 네트워크(6-1 및 6-2)을 통해 DVCR (5)로부터 전송됨 - 를 기초로 하여, 퍼스널 컴퓨터(1)는 상기 라벨이 부착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된 음성 및 화상와 연관된 파일(상기 파일은 본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된 음성 및 화상의 내용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을 검색한다. 인쇄된 2차원 코드를 갖는 라벨에 관한 화상 데이터가 DVCR(5)로부터 주어지면, 퍼스널 컴퓨터(1)는 상기 라벨이 부착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원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들이 기록되는지를 확인한다.
더욱이,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된 오디오 및 비디오들을 편집할 수 있다.
도 2는 퍼스널 컴퓨터(1)의 블록도(block diagram)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21)는 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롬(read-only memory)(22)은 일반적으로 CPU(21)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동작 파라미터(parameter)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고정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random access memory)(23)은 CPU(2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실행시 사용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품들은 CPU 버스(bus) 또는 메모리 버스로 구성된 호스트 버스(24)로 연결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24)는 브리지(bridge)(25)를 통해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 버스와 같은 외부 버스(26)로 연결된다.
사용자는 CPU (21)에 다양한 명령어들을 입력하기 위해 키보드(28)를 조작한다. 또한, 사용자는 CRT(cathode ray tube)(30)의 스크린상에 영역들을 선택하고 지시하기 위해 마우스(29)를 조작한다. CRT(30)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텍스트나 화상으로 스크린에 나타낸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31-1 및 31-2) 뿐만 아니라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loopy disk, FDD)(32)는 프로그램 및 정보를 기록하거나 복사할 때 CPU(21) 통제하에서 개별적으로 하드 디스크 및 플로피 디스크를 작동시킨다. 스피커(33)은 선택된 음성을 재생한다. 키보드(28)로부터 스피커(33)에 이르는 이러한 부품들은 외부 버스(26), 브리지(25), 및 호스트 버스(24)를 통해 차례로 CPU(21)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27)로 연결된다. 다음의 표현에서, HDD(31-1 및 31-2)는 특별히 두 드라이브들을 구분할 필요가 없는 HDD(31)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CPU(21)의 통제하에서, 화상 처리 보드(34)는 안테나(2)로부터 온 신호, VCR(3)로부터 온 아날로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6-1)을 통하여 DVCR (4)또는 DVCR(5)에서 보내온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원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생된 데이터들은 외부 버스(26) 및 인터페이스(27)를 통해 HDD(31-1 또는 31-2)로 출력된다.
화상 처리 보드(34)는 외부 버스(26) 및 인터페이스(27)를 통해 HDD(31-1 또는 31-2)로부터 검색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데이터를 VCR(3)에 공급한다. 또한 화상 처리 보드(34)는 수신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디지털 데이터를 네트워크(6-1)을 통하여 DVCR(4)로 전송한다. 화상 처리 보드(34)는 외부 버스(26), 브리지(25) 및 호스트 버스(24)를 통해 CPU(21)로 연결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 화상 처리 보드(34)가 구성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화상 처리 보드(34)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IEEE 1394에 따라서 구성된 1394 인터페이스(51)는 네트워크(6-1)에 연결되어, IEEE 1394에 근거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DVCR(4) 또는(5)로부터 DVCR 포맷으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데이터를 DV(digital video) 데이터 인터페이스(52)로 공급한다.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로부터 DVCR 포맷으로 주어진다면, 1394 인터페이스(51)는 수신된 데이터를 IEEE 1394 프로토콜에 따라 DVCR(4)로 전송한다.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는 1394 인터페이스(51)로부터 온 DVCR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디지털 선택기(57)로부터 온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4:1:1 데이터와 같이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데이터)를 DV 데이터 압축 및 확장 회로(53)에 공급하며; DV 데이터 압축 및 확장 회로(53)로부터 온 DVCR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1394 인터페이스(51)에 공급하고; DV 데이터 압축 및 확장 회로(53)로부터 공급된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선택기(57)에 공급한다.
DV 데이터 압축 및 확장 회로(53)는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로부터 온 DVCR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로 확장하고 압축되지 않은 데이터를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로 출력한다. 또한, DV 데이터 압축 및 확장 회로(53)는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에서 온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DVCR 포맷인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로 압축하며, 압축된 데이터를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로 출력한다.
튜너(tuner)(54)는 안테나(2)에서 온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선택기(55)에 선택된 채널에 대한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아날로그 선택기(55)는 튜너(54), VCR(3), 또는 D/A(digital/analog) 변환 회로(61)로부터 온 아날로그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들중 임의의 부분을 선택하며; 선택된 신호들을 A/D 변환 회로(56) 또는 VCR(3)로 출력한다.
A/D 변환 회로(56)는 아날로그 선택기(55)로부터 온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들을 디지털 데이터 (예를 들면, 4:1:1 데이터와 같은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선택기(57)로 출력한다. 디지털 선택기(57)는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 A/D 변환 회로(56), 또는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decorder)(6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 중 임의의 부분을 선택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 MPEG 인코더(encoder)(58) 또는 D/A 변환 회로(61)로 출력한다. 또한 선택된 데이터는 씬 스위치오버 (scene switchover)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브리지(59)로 출력된다.
MPEG 인코더(58)는 디지털 선택기(57)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MPEG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압축하고, 이 압축된 데이터를 브리지(59)로 출력한다. MPEG 인코더(58)는 또한 스캔 전환 화상들을 정지 화상들로 변환하여 이 변환된 화상들을 브리지(59)로 출력한다.
브리지(59)는 화상 처리 보드(34)를 장착한 퍼스널 컴퓨터(1)의 PCI 버스(26)와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디지털 선택기(57)로부터 공급된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CRT(30)로 공급한다. 브리지(59)는 또한 화상 처리 보드(34)를 장착한 퍼스널 컴퓨터(1)의 PCI 버스(26)를 통해 MPEG 인코더(58)로부터 공급되는 MPEG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HDD(31-1 또는 31-2)나 CPU(21)로 공급한다. 더욱이, 브리지(59)는 퍼스널 컴퓨터(1)의 HDD(31-1 또는 31-2)로부터 PCI 버스(26)를 통해 MPEG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수신된 데이터를 MPEG 디코더(60)로 출력한다.
MPEG 디코더(60)는 브리지(59)로부터의 MPEG 포맷된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되지 않는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로 확장하여, 이 압축되지 않은 데이터를 디지털 선택기(57)로 출력한다.
D/A 변환 회로(61)는 디지털 선택기(57)로부터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그 결과 얻어진 신호들을 아날로그 선택기(55)로 출력한다.
MPEG 인코더(58) 또는 MPEG 디코더(6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은 CPU(2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들에 의해 접수된다.
도 4는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나열 한 설명도이다.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화상 처리 보드(34)에게 튜터(54)에 의해 수신된 채널 상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들을 선택하게 하고, VCR(3)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게 하며, 또한 네트워크(6-1) 상에서 DVCR(4)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게 한다. 그 다음, 프로그램(81)은 화상 처리 보드(34)에게 선택된 아날로그 신호들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MPEG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 변환된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의 적어도 하나의 파일로 이루어진 AV(시청각) 컨텐츠으로서 HDD(31-1 및/또는 31-2)에 기록하게 한다.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화상 처리 보드(34)가 HDD(31-1 및/또는 31-2)로부터 검색된 적절한 포맷의 적어도 하나의 파일의 AV 컨텐츠를 확장하여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시키게 한다. 프로그램(81)은 또한 CRT(30)에 의해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들(33)에 의해 발생된 비압축 디지털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운드를 재생한다.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은 HDD(31-1 및/또는 31-2) 상에 저장된 AV 컨텐츠와 같은 특정 정보 및 기록된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은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에 AV 컨텐츠를 재생하라고 명령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소정의 AV 컨텐츠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컨텐츠를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에 제공하고, 사전 선택된 기록 설정 프로그램(84)에게 기록 사전 선택을 설정하라고 알린다.
HDD(31-1 및/또는 31-2) 상에 기억된 AV 컨텐츠에 기초하여,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은 AV 컨텐츠를 비디오 또는 오디오 재생에 적합한 포맷으로 생성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AV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및 오디오들을 포함하는) 선택된 AV 컨텐츠의 소정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편집한다.
후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AV 컨텐츠는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는 회피한다. 선택적으로, AV 컨텐츠는 선택된 컨텐츠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 및 사용하고자 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특정화하는 정보로 이루어진다. 그 구조의 AV 컨텐츠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사전 선택 설정에 기초하여, 사전 선택된 기록 설정 프로그램(84)은 사전 선택 기록을 실행하기 위한 AV 컨텐츠를 생성한다. 설정된 설정 (기록 시간 및 화상 품질을 결정하는 기록 모드)에 대응하는 생성된 AV 컨텐츠 및 프로그램(84)은 HDD(31-1 및/또는 31-2) 상에서 이미 예약하고자 하는 저장 영역들이 해당 컨텐츠를 수용하게 한다.
사전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은 퍼스널 컴퓨터(1)가 동작할 때(즉, 동작이 OS일 때) 활성 상태이고 (즉, 작업 메모리 내에 상주하고 있고), 사전 선택 기록 실행을 위한 사전 선택 기록 설정 프로그램(84)에 의해 생성된 AV 컨텐츠에 따라,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RTC(실시간 클록)로부터 공급되는 시간에 따라 사전 선택 기록을 행한다. 필요하다면, 사전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이 사전 선택 기록을 실행하기 위한 AV 컨텐츠의 설정을 변화시킨다.
도 5는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실행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및 미들웨어와 구동기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미들웨어는 애플리케이션 프 로그램들로부터의 결과들에 응답하여 적절한 구동기를 동작시킨다. 구동기는 물리적으로 화상 처리 보드(34) 내의 MPEG 인코더(58)와 필수적인 하드웨어 자원들을 동작시킨다.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2),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 사전 선택 기록 설정 프로그램(84) 또는 사전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으로부터의 하드웨어 자원들의 이용 요구들을 중계한다. 이러한 중계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최적의 조건으로 필수 하드웨어 자원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우선 순위 설정에 따라 행해진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는 이후에 설명되는, AV 컨텐츠 속성 데이터를 관리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는 AV 컨텐츠 속성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AV 컨텐츠를 나타내는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들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 사전 선택 기록 설정 프로그램(84) 또는 사전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을 제공한다.
파일 I/O(입/출력)(93)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 사전 선택된 기록 설정 프로그램(84) 또는 사전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를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포함하는) 특정 AV 컨텐츠에 대한 기록 또는 판독 요구에 응답하여 관련 파일들로/로부터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한다.
인코드 프로그램(94)은 화상 처리 보드(34) 내의 MPEG 인코더(58)가 디지털 선택기(57)로부터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MPEG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압축가능하게 한다.
디코드 프로그램(95)은 화상 처리 보드(34) 내의 MPEG 디코더(60)가 브리지(59)로부터의 MPEG 포맷의 디지털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확장가능하게 한다.
출력 전환 프로그램(96)은 화상 처리 보드(34) 내의 아날로그 선택기(55)와 1394 인터페이스(51)가 화상 처리 보드(34)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 또는 네트워크(6-1) 상에 제공되는 디지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출력으로서 선택하게 한다.
입력 전환 프로그램(97)에 의해서 화상 처리 보드(34)내의 아날로그 선택기(55), 1394 인터페이스(51), DV 데이터 인터페이스(52), 및 디지털 선택기(57)는 화상 처리 보드(34)에 입력될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98)에 의해서 디지털 선택기(57)와 브리지(59)는 CRT(30)상의 화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드라이버(99)는 인코드 프로그램(94), 디코드 프로그램(95), 출력 전환 프로그램(96), 입력 전환 프로그램(97), 및 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98)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 처리 보드(34)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오디오 관련 처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전형적인 AV 컨텐츠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HDD(31-1 또는 31-2)에 탑재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는 다양한 AV 컨텐츠의 속성을 저장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에 기록된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1)는 이름, ID(식별 데이터), 생성일, 변경일, 기록 시간, 채널명, 기록 모드, 현재 상태, 만료일(시간과 날짜로 표시됨), 부주의로 인한 삭제에 대비한 보호 수단 설정, 에러의 존부, 2차원 코드(예컨대, 사이버코드(cybercode)(등록상표임)), 및 메모와 같은 AV 컨텐츠(101-1)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에 기록된 다른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2)는 이름, ID, 변경일, 기록 시간, 채널명, 기록 모드, 현재 상태, 만료일, 부주의로 인한 삭제에 대비한 보호 수단 설정, 에러의 존부, 및 메모와 같은 AV 컨텐츠(101-2)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1)에 저장된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 내지 111-1-3)은 3가지 기록 모드, 즉, 고화질, 표준, 또는 비디오 CD 호환(즉, MPEG1 표준에 맞는 동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설정됨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1)에 유지된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는 AV 컨텐츠(101-1)가 다음 상태들, 즉, 사전 선택 대기, 기록 진행 중, 기록 및 재생 진행 중(화상 데이터는 동시에 기록 및 재생됨), 이제 수행될 재생, 재생 진행 중, 및 재생 완료 중 어느 하나에 있음을 표시한다.
에러는 AV 컨텐츠(101-1)의 에러 상태를 나타낸다. 에러의 경우, 퍼스널 컴 퓨터(1)가 기록 중에 고장이 나서 그 기록을 완료하지 못했거나, 기록 중에 안테나(2)를 통한 신호 수신이 나빠서 그 수신 신호로는 화상이 적절히 재생되지 못했거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의 일부를 잃어버렸던 경우가 발생했었을 수도 있다.
만료일과 부주의한 삭제에 대비하여 설정된 보호 수단은 동시에 설정되지는 않을 것이며, 따라서 이 두 가지 설정 중 어느 하나만 가능하거나, 이 두 가지 모두 설정되지 않는다.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2)에 유지된 기록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2-1 내지 111-2-3)은 3가지 기록 모드, 즉, 고화질, 표준, 또는 비디오 CD 호환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설정됨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2)에 유지된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는 AV 컨텐츠(101-2)가 다음 상태들, 즉, 사전 선택 대기, 기록 진행 중, 기록 및 재생 진행 중, 이제 수행될 재생, 재생 진행 중, 및 재생 완료 중 어느 하나에 있음을 표시한다.
AV 컨텐츠(101-1)는 HDD(31-1 또는 31-2)에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 내지 111-1-3)과 HDD(31-1 또는 31-2)에 유지된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1-1 내지 112-1-3)로 구성되어 있다.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 내지 111-1-3)은 MPEG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2)의 시작부에 있는 데이터로 표현된 화상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의 종료부에 있는 비디오 데이터로 표시된 화상으로 연속된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 3)의 시작부에 있는 데이터로 표현된 화상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2)의 종료부에 있는 비디오 데이터로 표시된 화상으로 연속된다.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1-1)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에 유지된 비디오 데이터의 장면 전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정지 화상을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는 물론 장면 전환 횟수(또는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 내의 오프셋 위치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1-2)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2)에 유지된 비디오 데이터의 장면 전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정지 화상을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는 물론 장면 전환 횟수(또는,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2) 내의 오프셋 위치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1-3)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3)에 유지된 비디오 데이터의 장면 전환 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정지 화상을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는 물론 장면 전환 횟수(또는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3) 내의 오프셋 위치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AV 컨텐츠(101-2)는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 111-2-2)과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2-1, 112-2-2)로 구성되어 있다. 컨텐츠(101-2)는 AV 컨텐츠(101-1)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AV 컨텐츠들(101-1, 101-2)은 이 두 개의 컨텐츠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단순히 AV 컨텐츠(101)라고 지칭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들(102-1, 102-2)도 이 두 개의 레코드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단순히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라고 지칭해도 되며, 동화상 데이 터 파일들(111-1-1 내지 111-1-3, 111-2-1, 및 111-2-2)은 특별히 서로를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이라고 지칭해도 되고,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들(112-1-1 내지 112-1-3, 112-2-1, 및 112-2-2)은 특별히 서로를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1)이라고 지칭해도 된다. 도 7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이 없는 전형적인 AV 컨텐츠(101)의 예시도이다. 예시적으로, AV 컨텐츠(101-1)에 유지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 내지 111-1-3)에 대응하는 화상과 오디오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되고 그 다음에 이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1-1 내지 111-1-3)이 삭제된다고 가정한다. 그 경우에, AV 컨텐츠(101-1)는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1-1 내지 112-1-3)로 구성되며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포함하지 않는다.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대응하는 동화상 데이터 파일이 없는 AV 컨텐츠(101)를 통해 검색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검색은 관련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기록된 비디오와 오디오를 알아내는 식으로 활용된다.
도 8은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이 AV 컨텐츠(101)를 편집할 때 생성된 전형적인 AV 컨텐츠의 예시도이다.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에 의해 생성된 AV 컨텐츠(121-1)는 예시적으로, 참조되는 AV 컨텐츠 "a"의 ID, AV 컨텐츠 "a"의 재생 개시 위치, 및 AV 컨텐츠 "a"의 재생 종료 위치; AV 컨텐츠 "b"의 ID, AV 컨텐츠 "b"의 재생 개시 위치, 및 AV 컨텐츠 "b"의 재생 종료 위치; AV 컨텐츠 "c"의 ID, AV 컨텐츠 "c"의 재생 개시 위치, 및 AV 컨텐츠 "c"의 재생 종료 위치; 등을 포함하는 편집된 데이터 파일(131-1)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에 의해 작성된 AV 컨텐츠(121-2)는 예시적으로, 참조되고 있는 AV 컨텐츠("p")의 ID와, AV 컨텐츠("p")의 재생 시작 위치, 및 AV 컨텐츠("p")의 재생 종료위치; AV 컨텐츠("q")의 ID와, AV 컨텐츠("q")의 재생 시작 위치, 및 AV 컨텐츠("q")의 재생 종료 위치; AV 컨텐츠("r")의 ID와, AV 컨텐츠("r")의 재생 시작 위치, 및 AV 컨텐츠("r")의 재생 종료 위치; 등을 포함하는 편집된 데이터 파일(131-2)로 구성된다.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에 의해 작성된 AV 컨텐츠(121-1)에 대응하는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32-1)는, 이름, ID, 작성일, 변경일, 기록 시간, 현재 상태, 만료일, 부주의한 삭제에 대한 보호 설정, 에러의 존재 또는 부재, 메모 등의 AV 컨텐츠(121-1)상의 속성 데이터를 수용하고 있다. AV 컨텐츠(121-1)에 대응하는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32-2)는 이름, ID, 작성일, 변경일, 기록 시간, 현재 상태, 만료일, 부주의한 삭제에 대한 보호 설정, 에러의 존재 또는 부재, 메모 등의 AV 컨텐츠(121-2) 상의 속성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32-1)에 보유된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AV 컨텐츠(131-1)가 곧 재생이 행해지거나, 재생중이거나, 재생이 완료된, 3가지 상태 중 하나임을 나타낸다.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32-2)에 보유된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AV 컨텐츠(131-2)가 또한 곧 재생이 행해지거나, 재생중이거나, 재생이 완료된, 3가지 상태 중 하나임을 나타낸다.
AV 컨텐츠(121-1 또는 121-2)를 활용하면 감소된 저장 영역의 사용을 통해 비디오와 오디오를 편집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AV 컨텐츠(121-1 또는 121-2)는 각각 이 두 개의 컨텐츠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간소화를 위해 AV 컨텐츠(121)라고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32-1 또는 132-2)는 이 두개의 레코드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간소화를 위해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32)라고 하여도 좋다.
이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에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에 의해 표시된 스크린에 대한 설명이다. 도 9는 기록 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을 때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상에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에 의해 표시된 스크린에 대한 설명도이다.
기록될 채널, 기록 모드 및 다른 설정들이 기록창(141)에 설정된다. 기록이 시작하면서, 기록창(141)의 설정들을 참조하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화상 처리 보드(34)에서의 튜너(54) 또는 MPEG 부호기(58)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관련 AV 컨텐츠(101)와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를 작성하고, 작성된 컨텐츠와 레코드를 HDD(31)에 기록한다.
기록창(141)가 선택되어 활성화될 때, 기록 버튼(142)과 정지 버튼(143)은 활성화되어 조작가능하게 된다. 즉, 기록창(141)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때, 기록 버튼(142)을 클릭하면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기록을 시작하고, 정지 버튼(143)을 클릭하면 상기 프로그램(81)이 기록을 정지한다.
반면, 기록창(141)가 선택되어 활성화될 때, 재생 버튼(144)과 일시정지 버튼(145)은 불활성화된다. 재생 버튼(144) 또는 일시정지 버튼(145)을 클릭하면 기 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대응 동작을 시작하지 않는다.
도 10은 기록이 시작될 때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에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에 의해 표시된 스크린의 설명도이다. 기록창은 기록되고 있는 채널과 유효한 기록 모드에 부가하여 기록 시작 이래로 경과된 시간과 현재 시간을 표시한다.
기록이 시작하면서, 기록 버튼(142)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으로 치환된다. 기록 시간은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이 클릭될 때마다 변경된다.
도 11a, 11b 및 11c는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의 클릭에 의해 기록 시간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기록이 시작될 때, 기록 시간은 HDD(31-1, 31-2)(즉 사용가능 저장 용량)에 기록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과 사용시에 현재 기록 모드에 의해 결정된 단위 기록 주기 당 비디오 데이터의 양에 의거하여 산출된 최대 기록가능 시간에 대해 기록 시간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HDD(31-1)에 기록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3 기가 바이트라 하고, HDD(31-2)에 기록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6 기가 바이트라 하고, 기준 기록 모드에서 초당 기록된 비디오 데이터의 양이 5 메가 비트라고 가정하자. 이 파라미터가 주어지면, 최대 기록가능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3기가바이트 + 6기가바이트) * (8비트/바이트) / (5메가비트/초)
= 14,400초 = 4시간
기록 시작 이래로 30분 이하가 경과되었고, 기록 시간은 도 11a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최대 기록 가능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 상태에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한번 클릭하면 기록 시간이 30분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나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연속적으로 클릭함에 따라 기록 시간은 한시간, 한시간 반, 2시간, 2시간 반 및 3시간으로 변화한다. 기록 시간이 3시간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클릭하면, 기록 시간은 최대 기록가능시간으로 되돌아간다.
기록 시작으로부터 30분 이상 한시간 이하의 시간 간격이 경과되었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시간이 최대 기록가능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 상태에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한번 클릭하면 기록 시간이 한시간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나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연속하여 클릭함에 따라 기록 시간은 1시간 반, 2시간, 2시간 반, 및 3시간으로 변화된다. 기록 시간이 3시간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클릭하면 기록시간은 최대 기록 가능 시간으로 되돌아간다.
기록 시작으로부터 한시간 반 이상 2시간 이하의 시간 간격이 경과되었고 기록 시간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기록가능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 상태에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한번 클릭하면 기록 시간은 2시간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나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연속적으로 클릭함에 따라 기록 시간은 2시간 반과 3시간으로 변화된다. 기록 시간이 3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클릭하면 기록 시간은 최대 기록 가능 시간으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지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을 클릭함으로써 기록 시간을 쉽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기록 시간 또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스크린 상에 관련 메뉴 명령을 선택함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기록 시간 설정창에서 설정될 수 있다. 도 12 및 13은 기록 시간 설정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풀-다운 메뉴를 이용하는 기록 시작 시간 이후에 기록 시간을 선택하는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3은 최대 기록 가능 시간을 선택하는 스크린을 표시한다.
기록 시간 설정창을 이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 시간을 신속히 설정하도록 한다.
아래에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AV 컨텐츠(101 또는 121)를 재생하는 경우의 스크린을 표시한다. 도 14는 재생 동작 수행이 허용된 경우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의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의 예시도이다.
재생창(161)는 재생된 AV 컨텐츠의 기록 모드 및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재생창(161)가 선택되고 활성화 되는 경우, 정지 버튼(143), 재생 버튼(144) 및 포즈 버튼(145)은 활성화 되어 동작 가능하다. 즉, 선택적으로 동작될 재생창(161)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재생 버튼(144)이 클릭되는 경우 재생을 시작하고, 포즈 버튼(145)이 클릭되는 경우 재생을 일시적으로 중지하며, 중지 버튼(143)이 클릭되는 경우 재생을 종료한다.
한편, 재생창(161)가 선택되고 활성화 되는 경우, 기록 버트(142)은 인액티 브된다. 기록 버튼(142)을 클릭하면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대응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지 않는다.
상술한 것처럼, 기록창(141) 또는 재생창(161)를 선택함에 따라,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대응하여 기록 버튼(142), 정지 버튼(143), 재생 버튼(144) 및 포즈 버튼(145)를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한다. 이는 사용자가 주어진 시점에서 어떤 동작이 수행될 것인지를 정확하게 알도록 하고, 그러므로 실수없이 필요한 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도 15는 다수의 재생 외에도 다수의 기록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즉, 퍼스널 컴퓨터(1)에서 구현된 다수의 화상 처리 보드(34), 화상 처리 보드(34)는 다수의 MPEG 인코더(58) 또는 MPEG 디코더(60)를 가지며, 또는 MPEG 인코더(58) 또는 MPEG 디코더(60)의 처리는 CPU(21)에 의해 수행됨),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의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또 다른 스크린의 예시도이다. 기록을 지정하는 기록창(141)가 선택된 경우, 기록 버튼(142) 및 정지 버튼(143)이 활성화되고 재생 버튼(144) 및 포즈 버튼(145)이 디액티브된다. 재생을 지정하는 재생창(161)이 선택된 경우, 재생 버튼(144), 포즈 버튼(145) 및 정지 버튼(143)이 활성화 되고 기록 버튼(142)이 비활성화된다.
상술한 것처럼, 다수의 기록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기록 버튼(142), 정지 버튼(143), 재생 버튼(144) 및 포즈 버튼(145) 각각을 기록창(141) 또는 재생창(161)가 선택됨과 동시에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버튼의 선택된 상태는 사용자가 어떤 동작이 현재 수행이 허용되는지를 알리 고, 실수없이 적절한 동작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1-1 내지 112-1-3)로부터 검색된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AV 컨텐츠(101-1)이 재생되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의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스크린의 예시도이다. 정지 화상 표시창(171)는 선정된 썸네일 크기의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1-1 내지 112-1-3)(즉, 장면 전환 정지 화상)으로부터 판독된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정지 화상 표시창(171)의 수평 방향에서의 화상 위치는 재생된 또는 재생될 화상의 시간적 순서를 표시한다.
현 위치 표시기 게이지(172)에 의해 표시된 위치는 현재 시간 즉, 현재 재생되는 화상의 시간에 대응한다. 창내의 현재 위치 표시기 게이지(172)의 좌측의 화상은 게이지(172)에 의해 표시된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는 과거 시간에 대응하며(즉, 좌측 화상이 재생됨), 게이지(172)의 우측 화상은 게이지(172)에 의해 표시되는 현재 위치로부터의 간격에 비례하는 미래 시간에 대응한다(즉, 우측 화상은 재생될 화상임).
정지 화상 표시창(171)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썸네일 화상은 장면 전환 포인트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장면 전환이 짧은 기간에서 발생하는 경우, 대응하는 썸네일 화상은 디스플레이시 중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재생 화상의 디스플레이가 진행되는 경우(즉, 시간이 경과함), 썸네일 화상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창 내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현재 재생되는 화상과는 별도로 정지 화상 표시창(171)내의 썸네일 화상만을 드레그 동작에 의해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스크롤 바를 조작하여 썸네일 화상을 스크롤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썸네일 화상들 사이의 간격은 항상 장면 전환 포인트들 사이의 경과 시간을 반영하므로 상수로 유지된다.
정지 화상 표시창(171)는 영화 필름과 유사한 스프로켓 천공(sprocket perforation)을 디스플레이한다. 화상 재생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진행하는 경우, 썸네일 화상 위치와 동일하게 천공의 위치는 우에서 좌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정지 화상 표시창(171)내의 영화 필름의 천공의 움직임을 볼 때 재생 시간의 경과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는 정지 화상 표시창(171)내의 썸네일 화상으로 인한 주어진 범위내의 장면 전환을 신속히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최단 가능한 시간에 원하는 장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정지 화상 표시창(171)는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의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내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은 적어도 하나의 AV 컨텐츠(101)를 선택하고 일정 시간 주기 동안 하나 또는 다수의 화상(즉, 시작 및 종료 위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또는 화상들)을 선택하여, 도 8과 결부하여 설명된 AV 컨텐츠(121)를 생성한다.
컨텐츠 선택창(181)는 편집될 AV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 생성 날짜 및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화상 재생창(182)는 정지 화상 표시창(171)내의 디스플레이와 동기하여 재생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편집 시작 화상 표시창(183)는 편집 대상이며 관심중인 AV 컨텐츠(101)내에 포함된 화상의 편집 시작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편집 종료 화상 표시창(184)는 AV 컨텐츠(101)내에 포함된 편집 대상 화상의 편집 종료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
편집 화상 리스트 표시창(185)는 초기 AV 컨텐츠(101)의 이름, 화상 시작 위치, 화상 종료 위치 및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에 의해 편집되고 생성된 AV 컨텐츠(121)내에 포함된 특정 화상에 대한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의 정지 화상 표시창(171)는 편집을 위해 선택된 특정 AV 컨텐츠(101){즉, 컨텐츠 선택창(181) 내에 활성적으로 디스플레이된 AV 컨텐츠(101)} 내의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 내에 포함된 정지 화상의 썸네일(thumbnail)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썸네일 화상의 위치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동작중인 때의 위치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 화상 표시창(171) 내의 썸네일 화상 덕택에 사용자는 주어진 범위 내의 장면 전환을 신속히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원하는 장면을 담고있는 AV 컨텐츠(121)를 신속하게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RAM(23) 내에 로딩되어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장면의 기록 및 재생이 어떻게 전환되는지에 관해,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단계(S21)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키보드(28) 또는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기록창(141)가 선택었는지를 검사한다. 기록창(141)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기록 버튼(142) 및 정지 버튼(143)이 활성화되는 단계(S12)에 도달한다.
단계(S13)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재생 버튼(144) 및 정지 버튼(145)을 비활성화시킨다. 그 다음, 제어는 단계(S11)로 되돌아가고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11)에서 기록창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14)에 도달한다. 단계(S14)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키보드(28) 또는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재생창(161)가 선택되었는지 검사된다. 재생창(161)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기록 버튼(142)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S15)에 도달한다. 단계(S16)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정지 버튼(143), 재생 버튼(144), 및 일시정지 버튼(145)을 활성화시킨다. 그 다음, 제어는 단계(S11)로 되돌아가 처리가 반복된다.
만일, 단계(S14)에서 재생창(161)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즉, 기록창(141)도 선택되지 않았고 재생창(161)도 선택되지 않았다면, 다시 한번 단계(S1)에 도달하여 처리가 계속된다.
기록/재생 스크린 전환 처리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종료할 때 끝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창(141) 또는 재생창(161)의 선택 여부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기록 및 재생창(81)은 기록 버튼(142), 재생 버튼(144), 및 정지 버튼(145)의 작동 상태를 변경시킨다.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RAM(23)에 로딩되어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기록 시간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관하여, 도 1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 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단계(S31)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기록 버튼(142)의 클릭 여부를 검사한다. 가록 버튼(142)가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31)는 기록 버튼(142)이 클릭될 때까지 반복된다.
단계(S31)에서 기록 버튼(142)이 클릭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32)에 도달한다. 단계(S32)에서의 기록 동작의 상세 사항은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단계(S33)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현재 선택된 기록 모드에서의 단위 시간당 기록가능 데이터량 및 HDD(31-1 및 31-2) 상의 가용 용량에 따라 최대 기록가능한 시간 동안 기록 시간을 설정한다. 단계(S34)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기록 버튼(142)을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2)로 대체한다.
단계(S35)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의 클릭 여부가 검사된다.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이 클릭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이 클릭될 때까지 단계(S35)가 반복된다.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이 클릭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36)에 도달한다. 단계(S36)에서 현재의 기록 시간이 최대 기록가능 시간으로 설정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단계(S36)에서 현재의 기록 시간이 최대 기록가능 시간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37)에 도달한다. 단계(S37)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 그램(81)은 기록 완료 시간을 초과하여 30분 단위 증가분으로 기록 시간을 설정한다.
단계(S36)에서 현재의 기록 시간이 최대 기록가능 시간으로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38)에 도달한다. 단계(S38)에서, 기록가능 시간이 3시간으로 설정되었는지가 검사된다. 기록가능 시간이 3시간으로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록 시간이 30분 더 연장되는 단계(S39)에 도달한다. 단계(S39) 다음에는 단계(S35)가 뒤따르고,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38)에서, 기록 시간이 3시간으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기록 시간을 최대 기록가능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S40)에 도달한다. 단계(S40) 다음에는 단계(S35)가 뒤따르고, 처리가 반복된다.
기록 시간 결정 처리는,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종료하거나 기록이 완료될 때 끝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시간 변경 버튼(151) 상에서의 간단한 클릭으로 기록 완료 시간을 초과하여 기록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제 도 20을 참조하여 도 19의 단계(S32)가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20의 단계(S61)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특정 AV 컨텐츠가 기록되고 있음을 가리키는 속성(attribute)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에 기록한다. 단계(S62)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명령하에 있는 하드웨어(91)은 MPEG 인코더(58)가 타겟 화상을 고화질 모드 또는 표준 모드와 같은 현재 선택된 기록 모드로 압축한다. 단계(S63)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제어하에, 하드웨 어 인터페이스(91)는 MPEG 인코더(58)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록되고 있는 화상에서 장면 전환이 이루어졌는지에 관해 검사한다. 현재 기록된 화상 내에서의 장면이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46)에 도달한다. 단계(S64)에서, MPEG 인코더(58)는 기록된 화상(즉, 동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생성하도록 명령받는다.
단계(S63)에서 현재 기록된 화상내의 장면들이 전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즉, 정지 화상을 생성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64)는 건너뛰고 단계(S65)에 도달한다.
단계(S65)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제어하의 파일 I/O(93)는, 압축된 화상을 현재 저장하고 있는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이 선정된 크기를 초과하였는지를 검사한다. 만일,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이 선정된 크기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66)에 도달한다. 단계(S66)에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현재 기록하고있는 HDD(31)의 용량이 소진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만약 단계 S66에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현재 기록하고 있는 HDD(31)의 용량이 이미 사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단계 S67에 이른다. 단계 S67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다른 HDD(31)를 선택한다.
만약 단계 S66에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현재 저장하고 있는 HDD(31)가 이용가능한 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HDD(31)는 신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계속해서 기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단계 S67은 스킵되어 단계 S68에 이른다.
단계 S68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제어하에 파일 I/O(93)는 적절한 HDD(31) 상에 신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 및 신규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을 생성하고, 신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에 압축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신규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에 생성된 정지 화상을 기록한다. 단계 S68은 단계 S69로 이어진다.
만약 단계 S65에서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이 선정된 크기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이는 압축된 화상 데이터가 현재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에 계속해서 기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단계 S69에 이른다.
단계 S69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제어하에 파일 I/O(93)는 적절한 HDD(31) 상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에 MPEG 인코더(58)에 의해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단계 S70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장면 재생 회수와 같은 적절한 데이터에 따라 MPEG 인코더(58)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을 적절한 HDD(31) 상의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에 기록한다.
단계 S71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이 기록 회수 설정 또는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한 기록을 종료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기록이 계속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계속적인 기록을 위해 단계 S62에 다시 이른다.
만약 단계 S71에서 기록이 종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2에 이른다. 단계 S72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에 AV 컨텐츠(101)의 기록 종료를 가리키는 속성을 기록하고,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 및 파일 I/O(93)는 필요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 기능한다. 현재 기록된 화상(즉, 동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단계 S64에서의 프로세스는 CPU(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AV 컨텐츠(101)가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 및 파일 I/O(93)가 어떻게 RAM(23)에 로드되고 CPU(21)에 의해 실행되는 지를 도 21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단계 S91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당해 AV 컨텐츠(101)에 대응하는 AV 컨텐츠 속성 기록(102)에 담겨진 특정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92)로부터 판독한다. 단계 S92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당해 AV 컨텐츠(101)가 단계 S91에서 구해진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재생가능한 지를 알기 위해 체크한다. 만약 AV 컨텐츠(101)가 재생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93에 이른다. 단계 S93에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는 당해 AV 컨텐츠(101)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속성으로 설정된다.
단계 S94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제어하에 파일 I/O(93)가 AV 컨텐츠(101)에서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이 아직 재생될 데이터를 갖는 지를 알기 위해 체크한다. 만약 AV 컨텐츠(101)에서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이 재생될 더 이상의 데이터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이 선택되는 단계 S95에 이른다. 단계 S95는 단계 S96으로 이어진다.
단계 S94에서 AV 컨텐츠(101)에서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이 재생될 데이터를 아직 갖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95는 스킵되어 아직 재생된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단계 S96에 이른다.
단계 S96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지시하에 파일 I/O(93)는 AV 컨텐츠(101)에서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단계 S97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제어 하에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는 MPEG 디코더(60)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확장하게 한다. 단계 S98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지시 하에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는 CRT(30)로 하여금 단계 S97에서 확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단계 S99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마우스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재생을 종료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재생이 계속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S94에 다시 이르고 재생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99에서 재생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00에 이른다. 단계 S100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AV 컨텐츠(101)의 재생 종료를 가리키는 속성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에 기록하고,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만약 단계 S92에서 AV 컨텐츠(101)가 재생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단계 S101에 이른다. 단계 S101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CRT(30)로 하여금 당해 AV 컨텐츠(101)가 재생될 수 없다는 것을 가리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다음 처리가 종료하게 된다.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 및 파일 I/O(93)는 AV 컨텐츠(101)를 재생하도록 기능한다.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 및 파일 I/O(93)가 RAM(23)에 로eld되고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정지 화상이 어떻게 디스플레이되는지 도 22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단계 S121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현재 재생 화상이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동기 모드를 설정한다. 단계 S122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제어 하에 파일 I/O(93)는 현재 재생 화상의 시간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주기 내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로부터 효과적으로 판독한다.
단계 S123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단계 S122에서 추출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에 따라, 당해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아주 작은 화상 디스플레이의 부분을 계산한다. 단계 S124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단계 S123에서 계산된 정지 화상 표시창(171)의 위치에서의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아주 작은 화상을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하게 한다.
단계 S125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정지 화상 표시창(171)의 아주 작은 화상이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클릭되는지를 알도록 체크한다. 만약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이 클릭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클릭된 아주 작은 화상이 활성 상태로 되는 단계 S126에 이른다. 단계 S127에서, 기 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현재 재생 화상이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임의의 아주 작은 화상에 대응하지 않는 비동기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 제어는 단계 S132로 이동한다.
만약 단계 S125에서,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이 클릭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단계 S128에 이른다. 단계 S128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이 드래그되는 지를 알기 위해 체크한다.
만약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이 드래그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29에 이른다. 단계 S129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의 지시 하에 파일 I/O(93)는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시간뿐만 아니라 드래그된 아주 작은 화상의 위치에 관하여 특정 시간 범위 내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로부터 판독한다.
단계 S130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단계 S129에서 추출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에 따라, 당해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아주 작은 화상 디스플레이의 부분을 계산한다. 단계 S131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단계 S130에서 계산된 정지 화상 표시창(171)의 위치에서의 정지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아주 작은 화상을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하게 한다. 단계 S131 다음에 동기 모드가 설정되고 처리가 계속되는 단계 S127이 이어진다.
만약 단계 S128에서,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이 드래그 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단계 S132에 이른다. 단계 S132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이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더블 클릭되는지를 알기 위해 케크된다. 만약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이 더블 클릭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33에 이른다. 단계 S133에서, 화상 재생은 더블 클릭된 아주 작은 화상에 대응하는 시간으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S134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동기 모드를 설정한다. 단계 S134 다음에 단계 S122가 이어지고 정지 화상 디스플레이 처리가 반복된다.
만약 단계 S132에서 정지 화상 표시창(171)에서의 아주 작은 화상이 더블 클릭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단계 S135에 이른다. 단계 S135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정지 화상 표시창(171)와의 동기화가 키보드(28) 또는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지정되는지를 알기 위해 케크한다. 만약 정지 화상 표시창(171)와의 동기화가 지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36에 이른다. 단계 S136에서, 화상 재생은 정지 화상 표시창(171)의 중앙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으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S136 다음에 동기 모드가 설정되고 처리가 계속되는 단계 S134가 이어진다.
단계 S135에서 정지 화상 표시창(171)과의 동기화가 지정될 것이라고 판단되지 아니하면, 단계 S137로 진행한다. 단계 S137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현재 재생된 화상과의 동기화가 키보드(28)로부터의 입력 또는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지정된 것인가를 알아보는 체크를 한다. 현재 표시되는 화상과의 동기화가 지정될 것으로 판단되면, 동기 모드가 설정되고 처리가 계속되는 단계 S134로 진행한다.
단계 S137에서 현재 재생된 화상과의 동기화가 지정될 것이라고 판단되지 아니하면, 단계 S138로 진행한다. 단계 138에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은 동기 모드가 유효한가를 알아보는 체크를 한다. 동기 모드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139로 진행한다. 단계 S139에서는, 소정의 재생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알아보는 체크가 수행된다. 단계 S139에서 소정의 재생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단계 S122로 진행하고 정지화상 표시 처리가 계속된다.
단계 S138에서 동기 모드가 유효하다고 판단되지 아니하고(즉, 비동기 모드가 유효하다고 판단됨) 단계 S139에서 소정의 재생 시간이 경화하였다고 판단되지 아니하면, 정지화상 표시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 그러한 경우에는, 단계 S125로 진행하고 처리가 계속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기록 및 재생 프로그램(8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 및 파일 I/O(93)는 표시 시간뿐만 아니라 마우스(29) 또는 기타 디바이스의 조작에 기초하여 정지화상 표시를 갱신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특정 장면 전환 화상을 빠르게 재생할 수 있게 한다.
AV 컨텐츠 편집 프로그램(83)에 의한 정지화상 표시처리는 도 2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이미 논의된 것과 동일하다.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23 및 24는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에 의해서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 에 표시된 스크린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특정 AV 컨텐츠(101, 121)의 아이콘이 비활성인 경우에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에 의해서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에 표시된 스크린의 설명도이다. AV 컨텐츠 정보 표시창(201)은 활성 AV 컨텐츠(101)에 대응하는 정지화상 데이터 파일(112)에 기록된 정지화상 뿐만 아니라 활성 AV 컨텐츠(101 또는 121)에 대응하는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 또는 132)에 기록된 이름 및 작성일자 등의 속성 데이터를 표시한다. 현재 AV 컨텐츠(101)는 모두 비활성이기 때문에, 도 23의 AV 컨텐츠 정보 표시창(201)은 아무런 데이터도 표시하지 않는다.
기록시간 표시창(202)은 HDD(31-1, 31-2)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상태(즉, 이미 기록된 데이터 량 및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량), 및 기록 가능한 시간의 근사값 표시를 다양한 기록 모드(HDD(31-1, 31-2)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량, 및 서로 다른 기록 모드 각각의 단위 시간당 기록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량으로부터 계산된 기록 가능한 시간)로 표시한다.
AV 컨텐츠 분류 표시창(203)은 AV 컨텐츠(101, 121)의 분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분류되었을 때, AV 컨텐츠(101, 121)에는 그들 각각의 분류 설정이 제공된다. 특정 AV 컨텐츠(101 또는 121)의 분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마우스(29) 조작에 의해서 활성화 될 것이다.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드라마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활성화된다.
AV 컨텐츠 아이콘 표시창(204)은 그 분류 아이콘이 AV 컨텐츠 분류 표시창(203)에서 활성화로 나타나는 AV 컨텐츠(101 또는 121)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드라마 아이콘은 도 23의 실시예에서 AV 컨텐츠 분류 표시창(203)에 활성화로 나타나기 때문에, AV 컨텐츠 아이콘 표시창(204)은 AV 컨텐츠(101)에서 드라마로 분류된 "드라마: Big Mountains", "드라마: Big Mountains2" 및 "드라마: Big Mountains 3"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도 24는 특정 AV 컨텐츠(101 또는 121)의 아이콘이 활성화된 경우에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에 의해서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에 표시되는 스크린의 설명도이다. 도 24의 실시예에서는, AV 컨텐츠(101)에서 "드라마: Big mountains 2"를 지시하는 아이콘이 AV 아이콘 표시창(204)에서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 경우에, AV 컨텐츠 정보 표시창(201)은 활성화된 AV 컨텐츠(101)에 대응하는 정지화상 데이터 파일(112)에 기록된 정지화상들 뿐만 아니라 AV 컨텐츠(101)에서 활성화된 "드라마 : Big Mountains 2"에 대응하는 AV 컨텐츠 속성 레코드(102)에 기록된 이름 및 작성일자 등과 같은 속성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 컨텐츠 관리 및 검색 프로그램(82)에 의해서 스크린 상에 표시된 것을 아이콘 표시라고 칭한다.
AV 컨텐츠 표시창(204)에서 표시된 아이콘들에 대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25a 내지 25m 및 26a 내지 26m은 AV 컨텐츠 아이콘 표시창(204)에서 나타나는 아이콘들의 설명도이다. 도 25a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없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없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고, 이전에 재생되었으며, 현재 재생되거나 기록되고 있지 않은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b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고, 이전에 재생되었으며, 현재 재생되거나 기록되고 있지 않은 AV 컨텐츠(101)을 나타낸다. 도 25c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고, 이전에 재생되었으며, 현재 재생되거나 기록되고 있지 않은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d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에러를 포함하는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e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없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없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고, 재생된 적이 없으며, 현재 재생되거나 기록되고 있지 않은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f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고, 재생된 적이 없으며, 현재 재생되거나 기록되고 있지 않은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g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재생된 적이 없으며, 현재 재생되거나 기록되고 있지 않은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h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없으며,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없고, 에러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현재 재생중이고 기록되지 않는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i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고, 현재 재생중이고 기록되지 않은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j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현재 재생중이고 기록되지 않은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k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없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없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현재 재생생되지 않고 기록중인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l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현재 재생되지 않고 기록중인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5m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현재 재생되지 않고 기록중인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a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없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없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재생 및 기록이 동시에 진행중인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b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재생 및 기록이 동시에 진행중인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c의 아이콘은 특정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부주의한 삭제에 대하여 보안 설정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재생 및 기록이 동시에 진행중인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d의 아이콘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 이 없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기록용으로 미리 선택된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e의 아이콘은 아직 기록될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기록용으로 미리 선택된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f의 아이콘은 에러를 포함하고 기록용으로 미리 선택된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g의 아이콘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지 않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없으며, 에러를 포함하지 않는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h의 아이콘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지 않고, 그곳에 설정된 소멸일이 있으며, 에러를 포함하지 않는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i의 아이콘은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지 않고 에러를 포함하는 AV 컨텐츠(101)를 나타낸다.
도 26j의 아이콘은 편집된 데이터 파일(131)을 갖고, 이전에 재생된 적이 있고, 에러를 포함하지 않으며, 현재 재생되고 있지 않은 AV 컨텐츠(121)를 나타낸다.
도 26k에서의 아이콘은 편집된 데이터 파일(131)을 갖는 AV 컨텐츠(121)를 나타내면, 결코 재생되지 않고, 어떠한 에러도 포함하지 않으며, 현재 재생되지 않고 있다. 도 26l에서의 아이콘은 편집된 데이터 파일(131)을 갖는 AV 컨텐츠(121)를 나타내며, 어떠한 에러도 포함하지 않으며, 현재 재생되고 있다. 도 26m에서의 아이콘은 편집된 데이터 파일(131)을 갖는 AV 컨텐츠(121)를 나타내며, 에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식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파일, 또는 AV 컨 텐츠(101 또는 121)로 만들어지는 속성에 의존하는 AV 컨텐츠 아이콘 표시창(204)에서 아이콘을 변경한다. 이는 사용자가 포함된 AV 컨텐츠(101 또는 121)의 속성을 한번에 알게 한다.
도 27은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의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 및 24의 스크린과 비교하면, 도 27의 스크린은 AV 컨텐츠정보 표시창(201)와 기록 시간 표시창(202)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컨텐츠 리스트 표시창(251)를 포함하며, AV 컨텐츠 분류 표시창(203) 또는 AV 아이콘 표시창(204)를 포함하지 않는다.
AV 컨텐츠 리스트 표시창(251)는 이름 및 모든 AV 컨텐츠(101 및 121)의 생성 데이터와 같은 속성을 문자로 디스플레이하며, HDD(31-1 및 31-2) 상에 기록된다. 도 24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름 또는 소정의 AV 컨텐츠(101 또는 121)의 생성 데이터과 같은 문자에서의 임의의 속성에 마우스로 클릭하는 것은 해당 AV 컨텐츠(101 또는 121)를 활성화 한다. 이는 AV 컨텐츠(101 또는 121)의 속성이 AV 컨텐츠 정보 표시창(201)에 나타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V 컨텐츠 리스트 표시창(251)는 다양한 분류의 수많은 AV 컨텐츠(101 또는 121)를 한번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에 의해 주어진 도 27에서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리스트 디스플레이로 불리운다.
도 28은 퍼스널 컴퓨터(1)의 CRT(30) 상의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 및 24의 스크린과 비교하면, 도 28의 스크린은 AV 컨텐츠 정보 표시창(201)와 기록 시간 표시창(202)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은 AV 컨텐츠 달력 표시창(261)를 포함하며, AV 컨텐츠 분류 표시창(203) 또는 AV 아이콘 표시창(204)를 포함하지 않는다.
AV 컨텐츠 달력 표시창(261)는 각각의 달을 이루는 일자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진다. AV 컨텐츠 달력 표시창(261)가 디스플레이되면,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생성일이 그 일자인 AV 컨텐츠(101)의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에 포함된 특정 정지 화상의 썸네일 화상 또는 화상을 각각의 일자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AV 컨텐츠(101)가 기록을 위해 미리 선택된다면,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스케쥴된 기록의 일자에 할당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미리 결정된 아이콘(262)을 디스플레이한다.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상술한 바와 같이 AV 컨텐츠 달력 표시창(261)를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자는 TV 프로그램 스케쥴을 시청한다할지라도 다수의 AV 컨텐츠의 생성의 일자를 한번에 알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도 28에 도시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으로서 주어진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달력 디스플레이로 불린다.
도 29의 플로우챠트를 참고로 이하에는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RAM(22)에 로딩되고 퍼스널 컴퓨터(1)의 CPU(21)에서 실행될 때, 어떻게 디스플레이가 스위치되는지를 설명한다. 단계 S201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아이콘 디스플레이가 키보드(28)로부터 또는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선택되는지를 체크한다. 아이콘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CRT(30)상의 스크린이 아이콘 디스플레이로 스위치되도록 단계 S202로 진행 한다. 단계 S202는 단계 S201에 후행하며,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201에서 AV 컨텐츠(101)의 아이콘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3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리스트 디스플레이가 키보드(28)로부터 또는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선택되는지를 체크한다. 리스트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CRT(30)상의 스크린이 리스트 디스플레이로 스위치되도록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단계 S204는 단계 S201에 후행하며,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203에서 리스트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단계 S205로 진행한다. 단계 S205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달력 디스플레이가 키보드(28)로부터 또는 마우스(29)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선택되는지를 체크한다. 달력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CRT(30)상의 스크린이 달력 디스플레이로 스위치되도록 단계 S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6은 단계 S201에 후행하며,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 S205에서 달력 디스플레이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면, 어떠한 디스플레이 변화도 지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단계 S201로 다시 진행하며, 처리가 반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3가지 디스플레이 포맷중 임의의 하나, 즉 아이콘 디스플레이, 리스트 디스플레이 또는 달력 디스플레이에서 AV 컨텐츠(101 또는 121)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0의 플로우챠트를 참고로 이하에는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RAM(22)으로 로딩되며 퍼스널 컴퓨터(1)의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아이콘 디스플레이 처리가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설명한다. 단계 S221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컨텐츠(101 또는 121) 또는 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대응하는 AV 컨텐츠 속성 기록(102 또는 132)에 포함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로부터 판독된다.
단계 S222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단계 S221에서 검색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이미 AV 컨텐츠(101)를 기록했는지를 체크한다.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이미 기록된 AV 컨텐츠(101)인 것으로 판단된다면, 단계 S2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23에서, AV 컨텐츠(101)가 이동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가지지 않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체크가 행해진다.
단계 S223에서 AV 컨텐츠(101)가 이동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면(즉, 이동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는 AV 컨텐츠(101)인 것으로 발견된다면), 단계 S224로 진행한다. 단계 S224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이전에 기록된 AV 컨텐츠(101)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224는 단계 S229에 선행한다.
단계 S223에서 AV 컨텐츠(101)가 이동하는 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즉,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1)만을 포함하는 AV 컨텐츠(101)인 것으로 발견된다면), 단계 S225로 진행한다. 단계 S225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어떠한 이동 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갖지 않는 AV 컨텐츠(101)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225는 단계 S229에 선행한다.
단계 S222에서 당해 AV 컨텐츠(101)가 이미 기록된 AV 컨텐츠(101)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면(즉, 기록을 위해 미리 선택된 AV 컨텐츠(101 또는 121)인 것으로 발견된다면), 단계 S226로 진행한다. 단계 S226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기록을 위해 미리 선택된 AV 컨텐츠(101)인 것을 단계 S221에서 검색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체크된다.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기록을 위해 미리 선택된 AV 컨텐츠(101)인 것으로 판단된다면, 기록을 위해 미리 선택된 AV 컨텐츠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S227로 진행한다. 단계 S227은 단계 S229에 선행한다.
단계 S226에서 당해 AV 컨텐츠(101)가 기록을 위해 미리 선택된 AV 컨텐츠(101)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면(즉, AV 컨텐츠(121)인 것으로 발견된다면), 단계 S228로 진행한다. 단계 S228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편집된 데이터 파일(131)을 포함하는 AV 컨텐츠(121)를 표현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228은 단계 S229에 선행한다.
단계 S229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단계 S221에서 검색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에러를 가졌는지를 체크한다.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에러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면, 단계 S23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0에서, "에러" 표시가 아이콘에 부가되고,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229에서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에러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면, 단계 S231로 진행한다. 단계 S231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단계 S221에서 검색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이미 재생되는지를 체크한다.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재생됐다고 판단된다면, "이미 재생(yet-to-be-reproduced)" 표시가 아이콘에 부가되고, 단계 S23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1에서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이전에 재생된 것으로 판단된다면, 단계 S232를 스킵하어 단계 S23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3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설정된 만료일을 가진지를 체크한다.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설정된 만료일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면, "만료일" 표시가 아이콘에 부가되는 단계 S234로 진행한다. 단계 S233에서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설정된 만료일을 갖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단계 S234를 스킵하어 단계 S235로 진행한다.
단계 S235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불가피한 소거에 대향하는 안전장치를 가진지를 체크한다.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불가피한 소거에 대향하는 안전장치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면, "소거에 대향한 안전 장치(safeguard against erasure)" 표시가 아이콘에 부가되는 단계 S23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5에서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불가피한 소거에 대향하는 안전 장치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면, 단계 S236을 스킵하어 단계 S237로 진행한다.
단계 S237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재생되는지를 체크한다.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현재 재생된 것으로 판단된다면, "재생(playback)" 표시가 응용가능한 컨텐츠(101 또는 121)의 아이콘에 부가되는 단계 S238로 진행한다. 단계 S237에서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면, 단계 S238을 스킵하여 단계 S239로 진행한다.
단계 S239에서,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기록되는지를 체크한다. AV 컨텐츠(101 또는 121)가 현재 기록된 것으로 판단된다면, "기록" 표시가 당해 AV 컨텐츠의 아이콘에 부가되는 단계 S240으로 진행하고,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S239에서 AV 컨텐츠(101)가 현재 기록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면, 단계 S240을 스킵하고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S239 및 240의 처리는 타겟 컨텐츠가 AV 컨텐츠(121)인 경우 스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V 컨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컨텐츠(101 또는 121)의 속성을 반영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1의 플로우챠트를 참고로 이하에는 미리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 및 파일 I/O(93)가 RAM(22)으로 로딩되며 퍼스널 컴퓨터(1)의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설정된 만료일을 갖는 AV 컨텐츠가 어떻게 소거되는지를 설명한다. 단계 S251에서, 미리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은 특정한 AV 컨텐츠(101)에 대응하는 AV 컨텐츠 속성 기록(102)에 포함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 데이터로부터 판독된다. 단계 S252에서, 미리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를 경유하여 도시되지 않은 RTC로부터 현재 시간 및 날짜를 판독한다.
단계 S253에서, 미리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은 검색된 현재 시간 및 날짜가 AV 컨텐츠(101)의 만료일을 통과했는지를 체크한다. 그 날의 현재 시간이 AV 컨텐츠(101)의 만료일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된다면, 단계 S254로 진행한다. 단계 S254에서, 미리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은 파일 I/O(93)가 AV 컨텐츠(101)의 적어도 하나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소거하게 한다. 단계 S255에서, 미리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은 파일 I/O(93)가 AV 컨텐츠(101)의 적어도 하나의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을 소거하게 한다. 단계 S256에서, 미리 선택 모니터링 프로그램(85)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92)가 AV 컨텐츠(101)에 대응하는 AV 컨텐츠 속성 기록(102)을 소거하게 한다. 이는 처리의 종료를 가져온다.
만일 단계 S253에서 현재 그날의 현재 시각과 일자가 판정되지 않게 되어 AV 콘텐츠(101)의 만료일이 경과된다면, 이는 현재 AV 콘텐츠를 소거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처리는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유효 기간이 만료된 AV 콘텐츠(101)는 자동 감시 프로그램(85)에 의해 소거된다. 동일한 처리가 AV 콘텐츠(121)에 대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도 3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로 하여,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 파일 I/O(93)가 RAM(22)으로 로딩되어 퍼스널 컴퓨터(1)내의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AV 콘텐츠(101)가 어떻게 소거되는지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단계 S271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문제가 되는 AV 콘텐츠에 대응하는 AV 콘텐츠 속성 데이터(102)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9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단계 S272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부주의한 소거에 대한 설정을 속성으로서 보호하였는지를 단계 S271에서 검색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검사한다. 만일 AV 콘텐츠(101)가 부주의한 소거에 대한 설정을 보호한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다면, 파일 I/O(93)가 AV 콘텐츠(101)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을 소거하도록 하는 단계 S273에 도달한다.
단계 S274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이 손상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 만일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이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다면, 단계 S275에 도달된다. 단계 S275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파일 I/O(93)가 AV 콘텐츠의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을 소거하도록 한다. 단계 S276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92)가 AV 콘텐츠(101)에 대응하는 AV 콘텐츠 속성 기록(102)을 소거하도록 한다. 이는 처리의 종료를 야기한다.
만일 단계 S274에서 정지 화상 데이터 파일(112)이 손상된 것으로 판정된다면, 처리는 종료된다.
만일 단계 S272에서 AV 콘텐츠(101)가 부주의한 소거에 대한 설정을 속성으로서 보호한 것으로 판정된다면, 단계 S277에 도달한다. 단계 S277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AV 콘텐츠(101)가 소거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하드웨어 인터페이스(91)가 CRT(30)에 표시하도록 한다. 다음에, 처리는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주의한 소거에 대한 보호 설정을 갖는 AV 콘텐츠(101)는 그 콘텐츠의 소거가 지정된 경우에도 소거되지 않을 것이다.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문제가 되는 AV 콘텐츠(101)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만을 소거할 수 있다. 동일한 처리가 AV 콘텐츠(121)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에 기록된 화상에 대응하는 AV 콘텐츠(101)뿐만 아니라, 특정한 AV 콘텐츠(101)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에 대응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에 대한 탐색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 33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에 기록된 화상에 대응하는 AV 콘텐츠(101)뿐만 아니라, AV 콘텐츠(101)의 동화상 데이터 파일(111)에 대응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에 대한 탐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 상에 인쇄된 2차원 코드를 갖고 있는 라벨(302)이 부착된다. 촬상 기능을 갖는 DVCR(5)이 인쇄된 2차원 코드를 가지며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 상에 부착된 라벨(302)의 화상을 촬상한다. 촬상된 화상은 네트워크(6)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1)에 공급된다. 네트워크(6)를 통해 DVCR(5)로부터 화상을 제공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가 관련 화상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검사한다.
다르게는, 네트워크(6)를 통해 DVCR(5)에 의해 전송된 화상을 기초로 하여, 퍼스널 컴퓨터(1)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에 기록된 화상에 대응하는 AV 콘텐츠(101)를 탐색한다.
2차원 코드를 갖고 있는 라벨(302)의 화상은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 (예를 들어, (NTSC 시스템에 의해) 화상 처리 보드(34)의 아날로그 선택기(55)를 통해 교번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코드는 소위 블럭이라는 단위로 구성된다. 이 코드는 하나의 블럭을 분리하여 배치한 셀 부분(A) 및 로고 부분(B)을 구성하는 7개의 블럭에 의해 직사각형의 9.5 블럭이다. 셀 부분(A)은 2차원적으로 패터닝된 직사각형 및 측면마다 스퀘어 7개의 블럭 길이를 형성하는 스퀘어 셀로 이루어진다. 셀 부분(A)은 특정한 AV 콘텐츠와 실질적으로 연관된 2차원 코드에 대해 코딩된 식별 정보를 운반한다. 로고 부분(B)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이름을 전하는 7개의 블럭에 의해 직사각형 셀 1.5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도 35, 36, 및 37은 촬상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에 대응하는지를 검사하는 기능이 동작될 때 CRT(30) 상에 표시되는 창의 예시도이다.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기능이 개시될 때, 프로그램(82)은 화상 처리 기능을 갖는 DVCR(5)에 의해 공급된 화상이 관련 메시지와 함께 표시된 도 35의 창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 상의 라벨(302)로부터 2차원 코드를 촬상하는 촬상 기능 장비 DVCR(5)을 얻을 때,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의 창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코드의 화상을 표시한다. AV 콘텐츠 관 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창 내에 표시된 2차원 코드가 특정한 AV 콘텐츠(101)와 연관되었는지 (이 연관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설정됨) 여부를 판정하여, 이 판정에 따라 표시를 제공한다.
만일 창에 표시된 2차원 코드가 문제가 되는 AV 콘텐츠(101)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다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실질적으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 원을 단선 원으로 대체한다.
만일 창 내의 2차원 코드가 AV 콘텐츠(101)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된다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그 코드가 촬상되었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가 AV 콘텐츠(101)에 대응하는 것을 말하는 문자 메시지를 창에 교대로 표시할 수 있다.
만일 창 내의 2차원 코드가 AV 콘텐츠(101)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다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창에 변화되지 않은 표시를 남긴다. 다르게는,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그 코드가 촬상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가 AV 콘텐츠(101)에 대응하지 않는 것을 말하는 문자 메시지를 창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8 및 39는 특수 코드용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에 의해 저장된 2차원 코드를 탐색하는 다른 기능이 동작될 때 CRT(30) 상에 표시되는 창의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촬상 기능을 갖는 DVCR(5)로 복수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 상의 라벨(302)로부터 상이한 2차원 코드를 픽업한다.
전형적으로, 복수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는 프린트된 2차원 코드를 보유하 는 라벨이 사용자에 의해 관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선반 상에 배열된다. 촬상 기능을 갖는 DVCR(5)는 프린트된 2차원 코드를 보유하는 라벨(302-1)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1)의 화상을, 라벨(302-2)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2)의 화상을, 라벨(302-3)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3)의 화상을, 라벨(302-4)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4)의 화상을, 라벨(302-5)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5)의 화상을, 라벨(302-6)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6)의 화상을, 라벨(302-7)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7)의 화상을, 라벨(302-8)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8)의 화상을, 라벨(302-9)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9)의 화상을, 라벨(302-10)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10)의 화상을, 라벨(302-11)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11)의 화상을, 라벨(302-12)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12)의 화상을 픽업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1 내지 301-12)의 화상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의 창에 디스플레이 된다.
촬상 기능을 갖는 DVCR(5)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1 내지 301-12)의 화상을 픽업하여, 이들을 네트워크(6)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1)로 전송한 후에,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특정한 AV 콘텐츠(101)에 대응하는 2차원 코드에 대하여 수신된 화상을 탐색한다. 일례가 되게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창에서의 점선 원을 직선 원으로 대체하고, 검출된 2차원 코드의 화상을 창 중심에 위치시킨다.
도 39의 일례에서, 라벨(302-9) 상의 프린트된 2차원 코드가 창 중심에 배치 된다. 이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9)가 질문 내의 AV 콘텐츠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네트워크(6)를 통해 DVCR(5)에 의해 공급된 화상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1)도 또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 상에 기록된 특정한 화상에 대응하는 AV 콘텐츠(101)를 탐색할 수 있다.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에 의해 픽업된 2차원 코드에 대응하는 AV 콘텐츠(101)에 대하여 탐색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될 때, CRT(30)는 도 40에 도시된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화상 픽업 가능을 갖는 DVCR(5)이 프린트된 2차원 코드를 보유하는 라벨(302)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의 화상을 픽업한 후,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라벨(302)로부터 판독된 2차원 코드에 대응하는 AV 콘텐츠(101)의 아이콘 또는 다른 표시를 활성화하게 한다.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활성화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AV 콘텐츠(101)의 속성 또는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자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 상에 무엇이 기록되는 지를 빠르게 알 수 있다.
상술된 방식으로, 사용자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 상에 기록된 화상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4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RAM(22)에 로딩되어 퍼스널 컴퓨터 내의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2차원 코드가 선정된 AV 콘텐츠(101 또는 121) 중 하나와 어떻게 관련되었는지를 도시한다. 단계(S301)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네트워크(6)를 통해 촬상 기능을 갖는 DVCR(5)에 의해 픽업된 2차원 코드의 화상을 수신한다. 단계(S302)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단계(S301)에서 수신된 화상에 포함된 2차원 코드를 인식한다.
단계(S303)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인식된 2차원 코드와 선정된 AV 콘텐츠(101) 중 하나(또는 선정된 AV 콘텐츠(121) 중 하나)사이의 관련성을 콘텐츠 데이터베이스(92)에 기입한다. 이는 처리를 종료하게 한다.
상술된 방식으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임의의 AV 콘텐츠(101)(또는 121) 및 2차원 코드 사이에 설정된 관련성을 콘텐츠 데이터베이스(92)에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RAM(22)에 로딩되어 퍼스널 컴퓨터(1) 내의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2차원 코드가 선정된 AV 콘텐츠(101) 중 하나와 관련되도록 어떻게 판정되는지를 도시한다. 단계(S321)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네트워크(6)를 통해 촬상 기능을 갖는 DVCR(5)에 의해 픽업된 화상을 수신한다. 단계(S322)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수신된 화상이 2차원 코드의 화상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수신된 화상이 2차원 코드의 화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단계(S321)으로 다시 돌아간다. 2차원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이 수신될 때까지 단계(S321)에서의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단계(S322)에서 수신된 화상이 2차원 코드중 어떠한 화상을 포함하도록 판정되는 경우,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2차원 코드의 화상을 인식하는 단계(S323)에 도달한다. 단계(S324)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인식된 2차원 코드가 선정된 AV 콘텐츠(101) 중 임의의 하나와 관련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단계(S325)에 도달한다. 단계(S325)에서, 메시지가 선정된 AV 콘텐츠(101) 중 하나가 인식된 2차원 코드와 관련되었다는 것을 말하면서 CRT(3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단계(S325)에 이어서 단계(S326)이 수행된다.
단계(S324)에서 인식된 2차원 코드가 선정된 AV 콘텐츠(101) 중 어느 것과도 관련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CRT(30) 상에 선정된 AV 콘텐츠(101) 중 하나와 인식된 2차원 코드 사이의 관련성의 부재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326)에 도달한다.
단계(S326)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처리의 종료가 마우스(29)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지정되었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확인한다. 처리의 종료가 지정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단계(S321)에 도달하고 처리가 반복된다.
단계(S326)에서 처리의 종료가 지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화상이 픽업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가 임의의 AV 콘텐츠(101)와 관련되었는지의 여부를 빠르게 검증할 수 있다. 도 42에서의 플로우차트와 유사한 절차는 픽업된 2차원 코드가 선정된 AV 콘텐츠 중 하나와 관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4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RAM(22)에 로드되어 퍼스널 컴퓨터(1) 내의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선정된 AV 콘텐츠(101) 중 임의의 하나와 관련된 2차원 코드를 어떻게 탐색하는지를 설명한다. 단계(S341 내지 S343)은 도 42에 도시된 단계(S321 내지 S323)과 동일한 프로세스로 구성되므로, 이하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S344)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촬상 기능을 갖는 DVCR(5)로부터 공급된 화상에 포함된 모든 2차원 코드가 인식되었는가를 관찰하는지를 확인한다. 수신된 화상의 모든 2차원 코드가 인식되었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 단계 S343으로 다시 가서 2차원 코드 인식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단계(S344)에서 수신된 화상의 모든 2차원 코드가 인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S345)로 가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단계(S343)에서 인식된 2차원 코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S346)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선택된 2차원 코드가 선정된 AV 콘텐츠(101)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임의의 선정된 AV 콘텐츠(101)가 선택된 2차원 코드와 연관된다고 판정되면, 단계 S347로 간다. 단계(S347)에서, 선택된 2차원 코드와 선정된 AV 콘텐츠(101)와의 연관성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시가 주어진다. 그 후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S346)에서, 선택된 2차원 코드가 임의의 선정된 AV 콘텐츠(101)와 연관된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 단계(S348)로 가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모든 2차원 코드가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모든 2차원 코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 단계(S349)로 가서 다른 2차원 코드가 선택된다. 단계(S349)에 뒤이어 단계(S346)으로 간다.
단계(S348)에서, 모든 2차원 코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S350)으로 간다. 단계(S350)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화상 픽업 기능이 설치된 DVCR(5)로부터 수신된 화상이 임의의 선정된 AV 콘텐츠(101)와 연관된 2차원 코드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CRT(30)상에 표시한다. 그후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특정 AV 콘텐츠(101)와 연관된 2차원 코드를 찾기 위해 복수의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픽업된 화상을 탐색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특정 화상을 저장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를 신속히 찾을 수 있다. 선정된 AV 콘텐츠(121)와 연관된 2차원 코드를 탐색하기 위해 도 43의 플로우챠트와 유사한 절차가 수행된다.
도 44를 참조하여,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이 RAM(22)에 적재되고 퍼스널 컴퓨터(1)의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2차원 코드와 연관된 AV 콘텐츠(101)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단계(S371)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네트워크(6)를 통해 화상 픽업 기능을 갖춘 DVCR(5)로부터 보내진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화상을 수신한다. 단계(S372)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2차원 코드의 화상을 인식한다.
단계(S373)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92)로부터 특정 AV 콘텐츠(101)에 관한 속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단계(S374)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단계(S373)에서 검색된 AV 콘텐츠(101)에 관한 속성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AV 콘텐츠(101)가 단계(S372)에서 인식된 2차원 코드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AV 콘텐츠(101)가 2차원 코드와 연관된다고 판정되면, 단계(S375)로 가서 해당 AV 콘텐츠(101)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활성화한다.
단계(S376)에서, AV 콘텐츠(101)가 2차원 코드와 연관된다고 판정되지 않으면, 단계(S376)으로 간다. 단계 S376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모든 AV 콘텐츠(101)가 선택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모든 AV 콘텐츠(101)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단계(S377)로 가서 다른 AV 콘텐츠(101)에 관한 속성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92)로부터 판독한다. 단계(S377)에 뒤이어 단계(S374)로 다시 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376)에서, 모든 AV 콘텐츠(101)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S378)로 간다. 단계(S378)에서,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2차원 코드와 연관된 AV 콘텐츠(101)가 없다는 메시지를 CRT(30)상에 표시한다. 그후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V 콘텐츠 관리 및 탐색 프로그램(82)은 화상이 픽업되어 있는 2차원 코드와 연관된 AV 콘텐츠(101)를 빠르게 탐색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프린트된 2차원 코드가 있는 라벨을 갖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301)상에 기록된 것을 신속히 알 수 있다. 픽업된 2차원 코드와 연관된 AV 콘텐츠(121)에 대한 탐색도 전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실행될 수 있다.
도 45a, 45b, 45c를 참조하여, 전술한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1)에 설치하고 그 프로그램이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실행되게 하는데 사용되는 기억 매체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45a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그램은 퍼스널 컴퓨터(1)의 내부 기억 매체로 장착된 (도 2의 HDD(31-1 또는 31-2) 내의) 하드디스크(502)상에 또는 반도체 메모리(503)에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도 45b에 도시된 것처럼, 플로피 디스크(511), CD-ROM(콤펙트 디스크-판독전용 디스크)(512), MO(자기 광학) 디스크(513), DVD(디지탈 범용 디스크)(514), 자기 디스크(515), 반도체 메모리(516)와 같은 기억 매체에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된 패키지 소프트웨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5c에 도시된 것처럼, 디지탈 위성 방송용 위성(522)을 통해 다운로드 사이트(521)로부터 무선 방식으로 퍼스널 컴퓨터(1)로 프로그램을 전송받거나; 근거리 통신망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531)를 통해 유선 방식으로 퍼스널 컴퓨터(1)로 프로그램을 전송받을 수 있다. 전송된 프로그램은 퍼스널 컴퓨터(1)의 내부 하드디스크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 수 있듯이 매체는 전술한 기억 매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매체를 광범위하게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적절한 매체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전술한 단계들은, 시간 순서적으로, 병렬적으로, 및/또는 개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은 다수의 상호접속된 연관 장치들의 전체 구성을 의 미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개시되었지만,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의 정신이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실시예를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정보 처리를 위한 장치, 방법 및 매체가 제공되어, 기록될 수 있는 화상의 기간에 아무런 제한 없이, 기록된 화상의 내용 및, 기록될 수 있는 화상의 양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주저없이 화상을 기록/또는 재생하는 데에 이 장치를 작동하도록 하고, 동화상이 기록되는 경우에, 시계열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 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4)

  1. 공급된 제1 화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상기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
    적어도 기록 버튼과 정지 버튼과 재생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기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지시 입력 수단;
    기록가능한 대상과 재생가능한 대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기록 또는 재생의 실행이 선택된 상기 대상을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기록가능한 대상이 선택되어 상기 기록 수단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상기 기록 버튼을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재생 수단에 재생을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상기 재생 버튼을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하고,
    상기 재생가능한 대상이 선택되어 상기 재생 수단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기록 버튼을 비활성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재생 버튼을 활성 상태로 하고, 상기 정지 버튼은 활성 상태 그대로 되도록 상기 조작 지시 입력 수단의 표시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1 이상의 상기 제1 화상을 동시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기록가능한 대상을 복수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1 이상의 상기 제2 화상을 동시에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재생가능한 대상을 복수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공급된 제1 화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이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화상을 재생하는 단계;
    적어도 기록 버튼과 정지 버튼과 재생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지시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지시를 입력하는 단계;
    기록가능한 대상과 재생가능한 대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기록 또는 재생의 실행이 선택된 상기 대상을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가능한 대상이 선택되어 상기 기록 수단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상기 기록 버튼을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재생 수단에 재생을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상기 재생 버튼을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하고,
    상기 재생가능한 대상이 선택되어 상기 재생 수단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기록 버튼을 비활성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재생 버튼을 활성 상태로 하고, 상기 정지 버튼은 활성 상태 그대로 되도록 상기 조작 지시 입력 수단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제공된 제1 화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제2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화상을 재생하는 단계;
    적어도 기록 버튼과 정지 버튼과 재생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지시 입력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지시를 입력하는 단계;
    기록가능한 대상과 재생가능한 대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기록 또는 재생의 실행이 선택된 상기 대상을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가능한 대상이 선택되어 상기 기록 수단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을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상기 기록 버튼을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재생 수단에 재생을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상기 재생 버튼을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하고,
    상기 재생가능한 대상이 선택되어 상기 재생 수단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기록 버튼을 비활성 상태로 함과 함께, 상기 재생 버튼을 활성 상태로 하고, 상기 정지 버튼은 활성 상태 그대로 되도록 상기 조작 지시 입력 수단의 표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8. 동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의 장면 전환(scene switchover)및 상기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스크린 상에 기준 위치가 주어지고,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 - 상기 거리는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스탬프 및 상기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 사이의 차를 반영함 -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동화상의 상기 시간 스탬프가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동화상의 시간 스탬프에 따라 상기 정지 화상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상기 정지 화상의 인근에 영화 필름의 스프로켓 구멍(sproket perforation)과 유사한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고정되고 하일라이트(fixed and highlighted)되는 방식으로 상기 스크린 상에 기준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동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에 이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의 장면 전환 및 상기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스크린 상에 기준 위치가 주어지고,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거리는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스탬프 및 상기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 사이의 차를 반영함 -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4. 동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의 장면 전환 및 상기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저장하는 단계; 및
    스크린 상에 기준 위치가 주어지고,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거리는 상기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스탬프 및 상기 장면 전환의 시간 스탬프 사이의 차를 반영함 -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5. 제1 동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및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된 상기 제1 동화상을 개략화하는(outlining)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선택된 상기 제1 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될 수 있는 제2 동화상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동화상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동화상에 관한 개략적인 정보를 문자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분할되어 날짜에 대응하는 제4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4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제1 동화상이 기록된 날짜와 함께 상기 제1 동화상에 관한 개략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선택된 상기 제1 동화상에 대응하는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선택된 상기 제1 동화상으로부터의 장면 전환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2 동화상을 기록하기에 가능한 최대 시간 길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에, 복수의 각 기록 모드의 제2 동화상을 기록하기에 가능한 최대 시간 길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장치.
  23. 정보 처리 장치에 이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동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및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상기 제1 동화상을 개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선택된 상기 제1 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록 단계에서 기록될 수 있는 제2 동화상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4. 정보 처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제1 동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및
    제1,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상기 제1 동화상을 개략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선택된 상기 제1 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기록 단계에서 기록될 수 있는 제2 동화상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00021583A 1999-04-23 2000-04-2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696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26699A JP3246601B2 (ja) 1999-04-23 1999-04-23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1999-117269 1999-04-23
JP11117269A JP2000307989A (ja) 1999-04-23 1999-04-23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1999-117266 1999-04-23
JP1999-117267 1999-04-23
JP11726799A JP3284542B2 (ja) 1999-04-23 1999-04-23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793A KR20000071793A (ko) 2000-11-25
KR100696354B1 true KR100696354B1 (ko) 2007-03-20

Family

ID=2731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583A KR100696354B1 (ko) 1999-04-23 2000-04-2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715690B1 (ko)
EP (1) EP1047259A3 (ko)
KR (1) KR100696354B1 (ko)
CN (1) CN1003931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1680B2 (ja) 2001-01-24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30028887A1 (en) * 2001-07-02 2003-02-06 Laurent Frouin Method to control the copying and/or broadcasting of audiovisual signals transmitted to within a home audiovisual network
CN1764970A (zh) * 2003-03-24 2006-04-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装置和内容保护系统
US7233316B2 (en) * 2003-05-01 2007-06-19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KR100832962B1 (ko) * 2004-09-30 2008-05-2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기록 재생 장치
US7613383B2 (en) 2004-12-02 2009-11-03 Hitachi, Ltd. Editing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4244919B2 (ja) * 2004-12-14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310896A (ja) * 2005-04-26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
KR100728909B1 (ko) * 2005-08-09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Ieee 1394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변기기의 포즈 기능제어방법 및 디지털 텔레비젼
JP2007179641A (ja) * 2005-12-27 2007-07-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可否判定通知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可否判定通知プログラム
JP5255824B2 (ja) * 2007-12-05 2013-08-07 任天堂株式会社 映像再生制御プログラム、映像再生制御装置、映像再生制御システムおよび映像再生制御方法
KR101442611B1 (ko) * 2008-03-06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레이어들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90324194A1 (en) * 2008-06-27 2009-12-31 Kabushiki Kaisha Toshib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6058933B2 (ja) 2012-07-26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744A (en) * 1992-04-03 1995-08-15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editing multimedia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7386A1 (fr) * 1988-10-04 1990-04-06 Asahi Optical Co Ltd Dispositif de changement de mode pour appareil photographique
KR930009699B1 (ko) * 1990-09-19 1993-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녹/재생 시스템의 더블 기록 재생회로
JP3347336B2 (ja) * 1990-12-26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通信装置
JPH04258090A (ja) * 1991-02-13 1992-09-14 Hitachi Ltd 映像同期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5898434A (en) * 1991-05-15 1999-04-27 Apple Computer, Inc. User interface system having programmable user interface elements
US6487362B1 (en) * 1991-08-19 2002-11-26 Index Systems, Inc. Enhancing operations of video tape cassette players
US5541644A (en) * 1993-01-11 1996-07-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reproducing apparatus
JPH0832922A (ja) * 1994-07-14 1996-02-02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106735A (ja) * 1994-10-04 1996-04-23 Sony Corp 再生装置
US5517257A (en) * 1995-03-28 1996-05-14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ontro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video movie
JPH0965225A (ja) * 1995-08-24 1997-03-07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US5801685A (en) * 1996-04-08 1998-09-01 Tektronix, Inc. Automatic editing of recorded video elements sychronized with a script text read or displayed
JPH09294238A (ja) * 1996-04-24 1997-11-11 Sony Corp 画像取り込み装置、画像取り込み方法、画像取り込みシステム、画像表示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3409834B2 (ja) 1997-07-10 2003-05-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118450A (en) * 1998-04-03 2000-09-12 Sony Corporation Graphic user interface that is usable as a PC interface and an A/V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744A (en) * 1992-04-03 1995-08-15 Sun Micro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editing multimedia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90865A1 (en) 2004-09-30
EP1047259A3 (en) 2004-04-07
US7715690B1 (en) 2010-05-11
CN100393121C (zh) 2008-06-04
CN1275027A (zh) 2000-11-29
EP1047259A2 (en) 2000-10-25
KR20000071793A (ko) 2000-11-25
US7292771B2 (en) 200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45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3284546B2 (ja)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84985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medium
KR100696354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6270321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4709929B2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32845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3772822B2 (ja)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記録媒体、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328454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7149235A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355341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32845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031141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200030798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200030800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324660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12156879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917134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030800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200030594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JP20003123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KR20030063695A (ko) 광디스크의 데이터 재생위치 지정 및 재생방법
JP2011176839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355705A (ja) 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7257716A (ja) 放送波記録再生機およびそのcmカット編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