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503B1 -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503B1
KR100684503B1 KR1020050044276A KR20050044276A KR100684503B1 KR 100684503 B1 KR100684503 B1 KR 100684503B1 KR 1020050044276 A KR1020050044276 A KR 1020050044276A KR 20050044276 A KR20050044276 A KR 20050044276A KR 100684503 B1 KR100684503 B1 KR 100684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wireless terminal
server
subscriber information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212A (ko
Inventor
고상선
박종혁
Original Assignee
(주)스트라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트라스타 filed Critical (주)스트라스타
Priority to KR102005004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503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50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단말기나 유선 또는 모바일 단말기(이하, ‘유무선 단말기’라 함)의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상에서 활용되는 콘텐츠를 발송하는 경우에, 수신자가 해당 콘텐츠 발송자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에 필요한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 통신상의 콘텐츠 제공하기 서비스에 있어서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 서비스 가입이 필요한 경우, 콘텐츠 발송자가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를 함께 동봉하여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유무선 통신, 유무선 단말기, 부가 서비스, 콘텐츠

Description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for Offering Contents and Related Membership-Service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발송자 측 단말기
10a: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
10b: 발송자 측 인터넷 단말기
20: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
30: 인터페이스 서버
40: 가입자 정보 서버
50: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
60: 메시지 전송 서버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사의 부가 서비스에서 이용되고 있는 각종 콘텐츠(벨소리, 통화 연결음, 통화 배경음, 단말기 배경화면, 단말기 대기화면 등)에 대한 제공하기 서비스에 있어서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 서비스 가입이 필요한 경우, 콘텐츠 발송자가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를 함께 동봉하여 콘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무선 통신사가 제공하는 콘텐츠는 콘텐츠 이용자가 별도의 부가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고서도 당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것과 콘텐츠 이용자가 별도의 부가 서비스에 가입해야만 당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후자의 경우 종래의 유무선 통신 콘텐츠 제공하기 서비스에 따르면, 콘텐츠 발송자가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사의 망을 통하여 콘텐츠 수신자의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 콘텐츠 수신자가 당해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사의 해당 부가 서비스에 별도로 가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사는 콘텐츠 발송자에게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발송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습니다.'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콘텐츠 수신자에게는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다.
즉, 종래의 유무선 통신 콘텐츠 제공하기 서비스에 따르면,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 서비스 가입이 필요한 경우, 콘텐츠 수신자가 해당 콘텐츠에 관한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콘텐츠 발송자가 콘텐츠 수신자에게 콘텐츠 발송하기를 할 수 없거나 수신자가 전송 받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는 콘텐츠 발송자와 콘텐츠 수신자가 다른 경우뿐만 아니라, 콘텐츠 발송자와 콘텐츠 수신자가 같은 경우에도 여전히 발생한다.
즉, 종래의 유무선 통신 콘텐츠 제공하기 서비스에 따르면,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별도의 부가 서비스 가입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가 부가 서비스에 미리 가입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없거나 이용할 수 없으며, 재차 별도의 부가 서비스에 가입하는 절차를 밟은 후에야 비로소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 결과, 유무선 통신 콘텐츠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유무선 통신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수신자도 제한 없이 콘텐츠를 수신 받고 이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를 제공 받기 위하여 미리 부가 서비스에 가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콘텐츠를 수신하는 자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 서비스에 가입해야 하는 경우에도 제한 없이 콘텐츠를 제공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와 함께 해당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콘텐츠 발송자와 콘텐츠 수신자가 서로 타인간인지 동일인간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콘텐츠 발송자가 콘텐츠 수신자의 콘텐츠 이용을 위한 부가 서비스에 대해서 일정 기간을 설정하고 동 기간 동안의 부가 서비스 가입 및 콘텐츠 이용료를 함께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를 발송하는 발송자 측 단말기(10);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이루어지는 콘텐츠의 발송 및 부가 서비스의 설정을 중계하는 인터페이스 서버(30);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40);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와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 사이에서 연동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저장될 부가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제어하되,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로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설정을 요청하는 한편,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해당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의 설정 기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된 부가 서비스의 설정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대해 해당 부가 서비스의 해지를 요청하는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 및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의 콘텐츠 제공이 완료된 경우,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 또는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서버(60)를 포함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위하여, 발송자 측 단말기(10),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 인터페이스 서버(30), 가입자 정보 서버(40),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 메시지 전송 서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제공할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 및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가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가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를 조회하거나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60)가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내역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 또는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발송자 측 단말기(10),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 인터페이스 서버(30), 가입자 정보 서버(40),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 및 메시지 전송 서버(6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발송자 측 단말기(10)는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10a) 또는 발송자 측 인터넷 단말기(10b)로 구성될 수 있다.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10a)는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자(이하, ‘콘텐 츠 발송자’라 한다)가 콘텐츠를 제공 받는 자(이하, ‘콘텐츠 수신자’라 한다)에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10a)는 모바일 휴대폰, PDA 등의 인터넷이나 무선통화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 및 유선 통화가 가능한 일반 유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는 콘텐츠 수신자가 콘텐츠 발송자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 또한 모바일 휴대폰, PDA 등의 인터넷이나 무선통화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 및 유선 통화가 가능한 일반 유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10a)와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서로 다른 단말기 번호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서로 같은 단말기 번호를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한 차이를 두지 않는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의 제공은 타인간은 물론 동일인간에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타인간에 이루어지든 동일인간에 이루어지든 관계없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에는 차이가 없는 것이다.
콘텐츠 발송자는 발송자 측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인터넷 혹은 WAP 또는 ARS 서비스를 통해 인터페이스 서버(30)에 접속한 후, 발송하고자 하는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 및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입력한다(1 단계).
인터페이스 서버(30)는 콘텐츠 발송자가 콘텐츠 수신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의 설정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1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서버(30)는 발송자 측 단말기(10)에 대해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 설정 메뉴를 제공한다. 이 때, 콘텐츠 발송자가 설정하는 부가 서비스의 이용 기간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바, 일, 주, 월, 년 등 가능한 모든 개념의 기간 설정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서버(30)는 콘텐츠 발송자가 발송자 측 단말기(10)를 통하여 발송하고자 하는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 및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에 전송한다(2 단계).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는 인터페이스 서버(30)와 가입자 정보 서버(40) 사이에서 연동하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저장될 부가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제어한다.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는 인터페이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 및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가입자 정보 서버(40)로 전송하면서, 인터페이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및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기초로 하여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대해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관한 조회를 요청함과 동시에,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 정보 서버(40)로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 설정을 요청한다(3 단계).
한편,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는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해당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의 설정 기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된 부가 서비스의 설정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는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대해 해당 부가 서비스의 해지를 요청한다(3 단계).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통신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것으로서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각종 콘텐츠에 관한 정보,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가입할 필요가 있는 부가 서비스에 관한 정보,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단말기의 번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바,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통신사의 HLR(Home Location Register), SCP(Service Control Point) 등의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의 요청에 의해 자체에 저장하고 있는 부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의 번호들과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서로 대비한다(4 단계).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가입자 정보 서버(40) 내에 저장된 단말기의 번호들 중 어느 하나와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호를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 전송한다(5 단계).
한편,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가입자 정보 서버(40) 내에 저장된 단말기의 번호들 중 어느 하나와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의 요청에 따라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한다(4 단계).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설정이 완료되면,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부가 서비스 설정 완료 신호와 함께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호를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 전송한다(5 단계).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는 상기 5 단계에서 가입자 정보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인터페이스 서버(30)로 전송한다(6 단계).
인터페이스 서버(30)는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발송자 측 단말기(10)로 전송하는 한편(7단계), 해당 내용을 발송자 측 단말기(10)나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기 위해 메시지 전송 서버(60)로 해당 내용에 대한 메시지 발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8 단계).
메시지 전송 서버(60)는 해당 메시지를 통신사의 통신망을 통해 발송자 측 단말기(10)나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한다(9 단계).
이 때, 메시지 전송 서버(6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dia Service), Call Back URL 및 ARS(Auto Response System)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서버(60)는 발송자 측 단말기(10)에 대해서는 콘텐츠 제공하기 서비스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해서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수신한 콘텐츠를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가입자 정보 서버(40)를 통하여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한 경우에는,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통신사(미도시)에 대해 직접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이용료를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 서비스 가입이 필요한 경우, 콘텐츠 발송자는 해당 콘텐츠를 발송하는 과정에서 콘텐츠 수신자가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더라도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발송자로서는 기존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여 수신자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상관없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및 통신사업자로서는 부가 서비스 가입 유도 및 해당 콘텐츠 이용 증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24)

  1. 유무선 통신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를 발송하는 발송자 측 단말기(10);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이루어지는 콘텐츠의 발송 및 부가 서비스의 설정을 중계하는 인터페이스 서버(30);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40);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와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 사이에서 연동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저장될 부가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제어하되,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로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설정을 요청하는 한편,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해당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의 설정 기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된 부가 서비스의 설정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대해 해당 부가 서비스의 해지를 요청하는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 및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의 콘텐츠 제공이 완료된 경우,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 또는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서버(60)
    를 포함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는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10a) 또는 발송자 측 인터넷 단말기(1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10a)와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는 서로 다른 단말기 번호를 사용하거나 또는 서로 같은 단말기 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는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에 대해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 제공 메뉴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는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콘텐츠 및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는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및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대해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관한 조회 요청을 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로부터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가 저장하고 있는 부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의 번호들과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서로 대비한 결과,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 내에 저장된 단말기의 번호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 내에 저장된 단말기의 번호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한 후, 부가 서비스 설정 완료 신호와 함께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는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부터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 전송하는 한편, 해당 내용을 상기 발송자 측 단 말기(10)나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60)로 해당 내용에 대한 메시지 발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를 통하여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통신사(미도시)에 대해 직접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이용료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60)는,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에 대해서는 콘텐츠 제공하기 서비스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해서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수신한 콘텐츠를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6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SMS, MMS, Call Back URL 메시지 형태 및 ARS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유무선 통신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위하여, 발송자 측 단말기(10),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 인터페이스 서버(30), 가입자 정보 서버(40),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 메시지 전송 서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에 접속하여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제공할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 및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가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를 통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가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를 조회하거나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60)가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내역에 대한 메시지를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 또는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 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는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10a) 또는 발송자 측 인터넷 단말기(1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자 측 유무선 단말기(10a)와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는 서로 다른 단말기 번호를 사용하거나 또는 서로 같은 단말기 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에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가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에 대해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일정 기간의 부가 서비스 제공 메뉴를 미리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가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로 전송하면서,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및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대해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관한 조회를 요청함과 동시에,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로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가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의 요청에 따라 자체에 저장하고 있는 부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의 번호들과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를 서로 대비한 결과,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 내에 저장된 단말기의 번호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자 측 유무 선 단말기(20)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 전송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 내에 저장된 단말기의 번호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의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한 후, 부가 서비스 설정 완료 신호와 함께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4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0)가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로부터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가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는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 전송하는 한편, 해당 내용을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나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60)로 해당 내용에 대한 메시지 발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4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를 통하여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가 통신사(미도시)에 대해 직접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이용료를 지급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가입자 정보 제어 서버(50)는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한 해당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의 설정 기간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된 부가 서비스의 설정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40)에 대해 해당 부가 서비스의 해지를 요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60)가 상기 발송자 측 단말기(10)에 대해서는 콘텐츠 제공하기 서비스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수신자 측 유무선 단말기(20)에 대해서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수신한 콘텐츠를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6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SMS, MMS, Call Back URL 메시지 형태 및 ARS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50044276A 2005-05-25 2005-05-25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84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76A KR100684503B1 (ko) 2005-05-25 2005-05-25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76A KR100684503B1 (ko) 2005-05-25 2005-05-25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12A KR20060122212A (ko) 2006-11-30
KR100684503B1 true KR100684503B1 (ko) 2007-02-27

Family

ID=3770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76A KR100684503B1 (ko) 2005-05-25 2005-05-25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532B1 (ko) * 2006-06-09 2007-1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32110B1 (ko) * 2008-10-31 2013-02-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단말기의 히스토리 정보 관리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247A (ja) * 1994-09-21 1996-04-12 Fujitsu Ltd 移動通信方式
JP2002041818A (ja) 2000-07-24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30004161A (ko) * 2002-10-14 2003-01-14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인터넷 유료 정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 요금 지불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9159A (ko) * 2002-08-30 2005-06-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콘텐츠 유통 시스템의 관리 장치, 열람용 장치, 프로그램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247A (ja) * 1994-09-21 1996-04-12 Fujitsu Ltd 移動通信方式
JP2002041818A (ja) 2000-07-24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50059159A (ko) * 2002-08-30 2005-06-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콘텐츠 유통 시스템의 관리 장치, 열람용 장치, 프로그램및 방법
KR20030004161A (ko) * 2002-10-14 2003-01-14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인터넷 유료 정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이용 요금 지불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212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3262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mobile phone number
EP2063590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ail and a push mail server
KR101034157B1 (ko) 전자 메시징 서비스들을 위한 홈 존 결정
US6980792B2 (en) Billing for repli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11527794A (ja) テキストメッセージの利用による広告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289029A1 (en) Method of third party paying for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from sending party
US8380191B2 (en) Temporary data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KR100521033B1 (ko) 메시지 릴레이 전송 방법
KR100684503B1 (ko)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000040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lls
KR100882941B1 (ko) 아웃 바운드 로밍 이동 단말기에 대한 등기 문자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78443B1 (ko) 단문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48269B1 (ko)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51582B1 (ko) 로밍 중인 단말기로의 장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1103639B (zh) 用于提供虚拟移动电话号码的方法和设备
KR100794414B1 (ko)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20030089145A (ko) 선납된 통신 요금의 재충전 방법
CN101278572A (zh) 用于从发生点修饰短消息的系统和方法
KR100678582B1 (ko) 씨디엠에이망에서 보이스호 불완료시 데이터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8558B1 (ko) 능동적 수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7806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기능을 이용한 광고 방법 및서버와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06697A (ko) 수신인이 발신인에게 발신료를 부과할 수 있는휴대폰메세지 시스템
KR200500666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수신차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