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102B1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102B1
KR100676102B1 KR1020050023861A KR20050023861A KR100676102B1 KR 100676102 B1 KR100676102 B1 KR 100676102B1 KR 1020050023861 A KR1020050023861 A KR 1020050023861A KR 20050023861 A KR20050023861 A KR 20050023861A KR 100676102 B1 KR100676102 B1 KR 10067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2362A (en
Inventor
조창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2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102B1/en
Publication of KR20060102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탐색이 가능한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a zone service capable of efficiently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각각의 기지국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를 송출하여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의 중계에 의해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셀과 다른 크기로 설정된 존을 규정하고, 위치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존으로 상기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존 설정기와;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존이 설정된 지역의 홈 기지국 아이디를 비교하여 상기 존 설정기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오리지네이션 메시지 내의 서비스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함과 아울러, 상기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by transmitting a system parameter message including each base station ID and forming a cell, and relaying of the base statio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zone setter for defining a zone set to a different size from the cell, an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sen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zone; The base station ID is compared with the home base station ID of the zone in which the zone is set to determine whether to search for the zone setter,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ervice zone confirmation field information in the origination message is created, and the origin is determine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 n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scription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 시스템의 셀 및 존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cell and a zone of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system.

도 2는 셀 반경과 중첩지역을 나타낸 도면. 2 shows a cell radius and an overlap region.

도 3은 유무선 연동서비스를 나타낸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d / wireless interworking servic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존 설정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5 is a simplified diagram of a zone setter;

도 6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6 is a simplified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7은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를 나타낸 도면. 7 shows a paging slot monitoring cycl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셀 6, 34 : 기지국2: cell 6, 34: base station

8, 32 : 이동통신 단말기 10 : 유선전화망8, 3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ired telephone network

12 : 엑세스 포인트 14 : 유선 전화기12: access point 14: landline phone

16, 40 : 존 30 : 존 설정기16, 40: zone 30: zone setter

36 : 기지국 제어기 38 : 이동통신 시스템36: base station controller 38: mobile communication system

42, 50 : 근거리 통신 장치 44 : 위치정보 수신기42, 50: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44: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6, 58 : 제어부 48, 56 : 메모리46, 58: control unit 48, 56: memory

52 : 이동통신 모듈 54 : 입출력 장치52: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4: input and output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으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탐색할 수 있는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bile communication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a zone service capable of efficiently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최근 통신 관련 기술의 개발에 따라, 유/무선을 이용한 많은 통신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유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광 섬유의 개발 및 보급과 관련 시스템의 개발로 광통신망의 실현이 가능해 졌고, 음성과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양이 획기적으로 증대되었다. 또한, 무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단지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던 서비스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음성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고속 이동중에도 제공받을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더욱이 무선 데이터 서비스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이용하는 휴대전화 시스템과, 블루투스(Bluetooth), 유비쿼터스(Ubiquitous), 지그비(Zigbee)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 등에 의해 서비스 제공 영역, 범위 및 이용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related technologies, many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ired / wireless are provided to user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optical fiber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systems have made it possible to realize th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transmission speed and quantity of voice and data have been greatly increased. 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e evolved from services that only support voice services, and have now reached a level where voice and data related services can be provided even during high-speed movement. Moreover, wireless data services include cellular systems us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Bluetooth, Ubiquitous, Zigbee, etc. Increasingly, service providing areas, ranges, and users are increasing due to wireless Internet system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과 이로 인한 해당 서비스 이용자의 증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와 이용자 모두에게 요금의 부과방법과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신뢰성 및 효율성의 문제를 고려하게끔 하였다.Advances in technology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of these services have led to consideration of the methods of charging fees for both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providing the service and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service delivery.

이와 관련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회사들은 자사의 고객을 유지하고, 타사 및 잠재적 고객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할인 혜택과 그에 따른 서비스 요금 부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의 지역할인 서비스와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 전화망을 연동시키는 유무선 연동서비스가 있다.In this regard,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that offer telecommunications services offer a variety of discounts and service charges to retain their customers and attract third parties and potential customers.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local discount services of companies that provide mobile phone services and wired / wireless interworking services for interwork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wired telephone networks.

지역할인 서비스는 셀 기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즉, 셀 영역 내에서의 서비스 이용시 통신요금 할인과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The regional discount service uses a cell-based technology, and additional services, such as a communication discount, are provided to the user when using a service in a region where a specific base station provides a service, that is, a cell area.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 시스템의 셀 및 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ell and a zone of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전화 시스템(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휴대폰과 직접적으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 BS, 6)을 구비한다. 각각의 기지국(6)은 수 백미터(m)에서 수 킬로미터(Km)에 이르는 서비스 제공영역인 셀(Cell, 2)을 형성한다. 또한, 가입자, 기지국 관리 등의 이유로 다수의 셀(2) 또는 다수의 기지국(6)을 하나의 동일 지역으로 고려하여 존(Zone, 4)의 개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지국(6)들은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에 제어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mobile phone system (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Ss) 6 that directly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with a user's mobile phone. Each base station 6 forms a cell 2, which is a service providing area ranging from several hundred meters (m) to several kilometers (Km). In addition, the concept of zone 4 may be used by considering a plurality of cells 2 or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6 as one same area for subscriber, base station management, and the like. These base stations 6 are controlled by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도 2는 셀 반경과 중첩지역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ell radius and an overlap region.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6)에 의해 형성되는 셀(2)은 이상적인 전파환경하에서는 원형(2b)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통신망의 설계 편의를 위해 셀(2)을 다각형 형태로 고려하게 되고, 주로 육각형(2a) 모양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설계한다. 하지만, 실제로 하나의 셀(2)은 원형 셀 (2b)에서와 같이 인접된 셀(2)과의 중첩지역(2c)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각각의 셀(2)을 형성하는 기지국의 전파 도달거리가 중첩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중첩지역(2c)에 진입한 휴대전화는 보다 나은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기지국(6)과 호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프와 같은 기지국(6) 변경 절차를 취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ell 2 formed by one base station 6 forms a circle 2b under an ideal propagation environment. However, for the convenience of design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cell 2 is consider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designed mainly using a hexagonal shape 2a. In practice, however, one cell 2 forms an overlapping area 2c with adjacent cells 2 as in the circular cell 2b. This is a phenomenon caused by overlapping propagation reach of base stations forming each cell 2. The cellular phone entering the overlapping area 2c takes a base station 6 change procedure such as handoff to establish a call with the base station 6 which provides a better communication environment.

셀(2)이 원형(2b)을 이루는 경우는 이상적인 전파환경일 경우이고, 실제로 셀(2)은 지형지물, 셀 내의 가입자 수, 기후 등의 이유로 인해 이상적인 원형(2b)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기지국(6)이 설치된 지역이 주로 논이나 낮은 구릉이 존재하는 농촌지역이면, 원형(2b)에 가까운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역은 하나의 기지국(6)과 호를 유지하거나, 소통할 가능성이 있는 휴대전화 수의 평균이 도시와 같은 밀집지역보다 적기 때문에 셀(2)의 반경 또한 커지게 된다. 반면에, 기지국(6)이 설치된 지역이 높은 건물이 많은 도시지역이나 산악지역이면, 셀(2)의 모양이 원형(2b)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더욱이 도시지역과 같이 하나의 셀(2) 내에 존재하는 휴대전화 즉, 가입자가 많은 경우는 셀의 반경을 수백 미터 정도의 범위까지 축소하며, 이러한 셀(2)의 반경도 셀(2) 내의 건물에 의해 불균일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날씨와 같은 기상요소에 의해서도 셀(2)의 반경에 유동이 발생한다.The case where the cell 2 forms the circle 2b is an ideal propagation environment, and in reality, the cell 2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ideal circle 2b due to the feature, the number of subscribers in the cell, the weather, and the like. For example, if the area where the base station 6 is installed is a rural area where mainly rice paddies or low hills exist, the shape close to the circle 2b is maintained. In such an area, the radius of the cell 2 also becomes large because the average number of mobile phones that can maintain a call or communicate with one base station 6 is smaller than that of a densely populated area such as a city. On the other hand, if the urban area or the mountainous area where the buildings where the base station 6 is installed are many, the shape of the cell 2 becomes difficult to maintain the circular shape 2b.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large number of mobile phones, i.e. subscribers, present in a cell 2, such as an urban area, the radius of the cell is reduced to a range of several hundred meters, and the radius of the cell 2 is also a building within the cell 2. Due to the non-uniform form. In addition, flow occurs in the radius of the cell 2 due to weather elements such as weather.

지역할인과 같이 셀(2) 환경에 기반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나 이용시간, 이용시의 날씨 등에 의해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셀(2)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역에 따라 셀(2)의 반경이 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정한 지역이 어디냐에 따라 사용자별로 서비스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When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the cell 2 environment to the user, such as a regional discount, the service may not be correctly provided to the user due to the location, time of use, or weather at the time of us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ell 2, the radius of the cell 2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rea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ervice area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depending on the area designated by the us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장치나 수단에 의해 한정된 범위 즉, 존(Zone)을 설정하고, 설정된 범위 내에 휴대전화 단말기가 진입하거나 위치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통신 요금을 할인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setting a limited range, that is, a zone by a device or means, and discounting a communication fee when a mobile phone terminal enters or locates within a set range and uses a service is presented. have.

대표적인 예가 유무선 연동서비스이다. 이 유무선 연동서비스는 유선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전화 통신사와 이동통신사의 제휴하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로, 일정한 서비스 지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역 내에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휴대전화를 기지국(6)이 아닌 서비스 지역 중계기(Access Point : AP)에 의해 유선전화망(10)과 연동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도 3에 간략하게 나타내었다.A representative example is wired and wireless interworking services. This wired / wireless interworking service is a service provided to a user in cooperation with a wireline carrier and a mobile carrier that provides a wired telephone service. The base station 6 uses a mobile phone to set a predetermined service area and use a call service within the set area. It is a service interworking with the landline network 10 by a service area relay (Access Point: AP). This is briefly shown in FIG. 3.

도 3은 유무선 연동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d / wireless interworking service.

도 3과 같이, 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은 유선망과 연결된 AP(12)가 위치하는 지역이 된다. 이 경우, AP(12)와 휴대 전화 단말기(8)의 통신이 가능한 거리가 존(16)의 범위가 된다. 이를 위해, 유선전화 단말기(14)와 휴대전화(8)와의 연동을 위한 AP(12)가 유선전화망(10)에 연결된다. AP(12)와 휴대전화(8)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AP(12)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 휴대전화(8)를 소지한 가입자가 들어오고, 이 가입자가 통화를 시도하면 AP(12)가 이를 감지한다. 통화시도를 감지한 AP(12)는 휴대전화(8)와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결을 막고, 휴대전화(8)와 유선전화망(10)을 연결한다. 유선전화망(10)과의 연동이 성립되면, 휴대전화(8)는 가정용 유선전화기(14)의 무선 단말기와 같이 사용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휴대전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휴대전화 요금보다 저렴한 유선전화 요금으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동서비스는 휴대전화(8) 사용자가 유선전화 회선을 점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한 회선당 한 명의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zone where the zone service is provided becomes an area where the AP 12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is located. In this case, the distance in which the AP 12 and the mobile phone terminal 8 can communicate is within the range of the zone 16. To this end, the AP 12 for interworking with the wired telephone terminal 14 and the mobile phone 8 is connected to the wired telephone network 10. The AP 12 and the cellular phone 8 communicate by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The subscriber with the mobile phone 8 enters the area set by the AP 12, and when the subscriber tries to make a call, the AP 12 detects this. The AP 12, which detects a call attempt, block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8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s the mobile phone 8 and the wired telephone network 10. When the interworking with the wired telephone network 10 is established, the mobile telephone 8 is used as a wireless terminal of the home wired telephone 14.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use a mobile phone system, the user can make a call at a landline phone rate lower than that of the mobile phone rate. The interworking service has a disadvantage that only one user per line can be used because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8 occupies a wired telephone line.

이외에도, 지역을 설정하는 AP(12)는 설치가 되지만, 사용자가 이용하는 통화회선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지역 내에 여러 가입자가 있더라도 회선 점유의 문제가 없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P 12 for setting the area is installed, the call line used by the user is provided with a service which does not have a problem of line occupancy even if there are several subscribers in the same area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 경우도 존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한 AP(12)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GPS를 이용하는 방법은 AP(12)에 비해 정확하고 편리한 반면, 상대적으로 고가인 장치로 인해 이용률이 저조한 편이다. 반면, AP(12)는 GPS에 비해 저가이지만, 악의적인 사용자가 AP(12)를 소지하고 다닐 경우 AP(12)의 이동을 확인할 수 없어 실제 존이 아님에도 유선전화 요금으로 과금되어 이동통신사업자에게 손실을 발생시킨다.Also in this case, a method of confirming the zone is to us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or an AP 12 equipp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However, while the method using GPS is more accurate and convenient than the AP 12, the utilization rate is low due to the relatively expensive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AP 12 is cheaper than the GPS, but when a malicious user carries the AP 12, the AP 12 cannot be confirmed, and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s charged with a wired telephone fee even though it is not an actual zone. Causes loss.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 반경을 결정하는 AP(12)가 설치되어 존을 결정한다. 이 경우 AP(12)는 독립적인 전원을 사용하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이 장치된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전화(8)에도 AP(12)와의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이 설치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AP(12)가 설치된 지역의 위치정보가 이동통신사의 서버에 저장이 된다. 서비스 등록 후 AP(12)를 설치한 가입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AP(12)와 휴대전화(8) 간에 통신채널이 형성되고, 소정의 정보를 AP(12)가 휴대전화(8)를 경유하여 이동통신사의 서버에 제공하거나, 통신채널 형성을 확인한 휴대전화(8)가 이동통신사 서버에 이를 알림으로써 서비스가 제공된다.In detail, the AP 12 determining the service providing radius is installed to determine the zone. In this case, the AP 12 use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and is equipped with a module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In addition,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AP 12 is also installed in the user's cellular phone 8. In such a system, location information of a region where the AP 12 is installed is stored in a ser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When the subscriber who installed the AP 12 after the service registration uses the service, a communication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AP 12 and the mobile phone 8, and the AP 12 transmits predetermined information via the mobile phone 8. The service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ser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or not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of the mobile phone 8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ation.

하지만, 이 경우 휴대전화(8)가 서비스 존 인근 지역을 벗어난 경우에도 AP(12)를 지속적으로 탐색하게 되어, 휴대전화(8)의 전력소모를 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is case, even when the mobile phone 8 is out of the area near the service zone, the AP 12 is continuously searched, thereby in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phone 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탐색이 가능한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a zone service capable of efficiently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각각의 기지국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를 송출하여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의 중계에 의해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셀과 다른 크기로 설정된 존을 규정하고, 위치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존으로 상기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존 설정기와;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존이 설정된 지역의 홈 기지국 아이디를 비교하여 상기 존 설정기의 탐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오리지네이션 메시지 내의 서비스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함과 아울러, 상기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which form a cell by transmitting system parameter messages including respective base station IDs and users by relaying the base station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A zone setter for defining a zone set to a different size from the cell, an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sen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zone; The base station ID is compared with the home base station ID of the zone in which the zone is set to determine whether to search for the zone setter,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service zone confirmation field information in the origination message is created, and the origin is determine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 n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존 설정기 식별자, 존 및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는 존 서비스 서버와,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와, 상기 존 서비스 서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를 연결하기 위한 모바일 스위칭센터를 더 구비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zone service server storing the zone setter identifier, zone and subscriber information, a base st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for connecting the zone service server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Equipped.

상기 존 설정기는 상기 위치정보의 수신을 위한 위치정보 수신기와, 상기 위치정보의 송출을 위한 근거리 통신 장치와, 상기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페이징 슬롯 정보, 슬롯 싸이클 인덱스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위치정보 수신기, 상기 근거리 통신 장치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zone setter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paging slot inform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lot cycle index.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memory.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과,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장치와,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지국 위치정보와 상기 기지국 아이디 및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상기 기지국 아이디 및 상기 홈 기지국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and the base station. The zone is identified using the provided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 memory in which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are stored,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ID of the home base st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reating field inform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및 존 서비스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장치와, 상기 존 설정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슬롯 기간을 동기 시키기 위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output device for pro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zone service to the subscriber, and an input device to which an initialization command for synchronizing the zone setter and the paging slot peri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me base station ID may be at least on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내의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가 동일할 경우,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 수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in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are the same, th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기지국과, 셀과 다른 크기로 정의된 존을 정의하는 존 설정기를 구비하며,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기지국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셀과 다른 크기로 설정된 존을 규정하는 단계와; 위치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존이 설정된 지역의 홈 기지국 아이디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된 위치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따라 오리지네이션 메시지 내의 서비스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zon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ming a cell, a zone setter defining a zone defined in a different size from the cell, and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a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zone service to the subscriber by using the method,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system parameter message including each base station ID; Defining a zone set to a different size than the cell;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location information system; Comparing the base station ID with a home base station ID of an area in which the zone is set; Determining whether to receive the transmitted position information; Creating service zone confirmation field information in the origin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And transmitting the origin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는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parameter message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a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상기 위치 정보의 송출 주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multiple of the paging slot monitoring peri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슬롯 한 구간에 적어도 4회 반복되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peated at least four times in one slot.

상기 존을 규정하는 단계는 상기 존이 설정되는 지역 인근의 홈 기지국 아이디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홈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fining of the zone may include storing a home base station ID near a region where the zone is set,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base station.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와 미리 저장된 존 설정 예상 지역의 위치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pre-stored zone setting expected region.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커버리지로 갖는 어웨이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상기 존 설정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설정기와 상기 어웨이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omparing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way base station having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as the cover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between the zone setter and the away base station. And calculating a distance.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를 비교하는 단계는 산출된 상기 거리와 미리 저장된 홈 기지국의 커버리지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aring of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may further include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with a coverage distance of the previously stored home base station.

산출된 상기 거리와 상기 홈 기지국의 커버리지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값에 의해 상기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with the coverage distance of the home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reating the zone confirmation field inform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value.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가 동일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송출된 존 설정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are the sa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zone setter.

상기 송출된 존 설정기의 위치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새로운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zone setter is received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a new system parameter message has been received.

상기 새로운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운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 내의 기지국 아이디와, 이전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 내의 기지국 아이디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new system parameter message is received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base station ID in the new system parameter message matches the base station ID in the previous system parameter message.

상기 송출된 존 설정기의 위치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출된 존 설정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된 존 설정기의 위치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설정기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zone setter,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t zone sette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t zone setter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zone previously stored And calculating a moving distance of the zone setter using the same.

상기 송출된 존 설정기의 위치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와 미리 저장된 이동 제한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zone setter is received further comprises comparing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with a previously stored movement restriction distance.

상기 이동 거리와 상기 이동 제한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aring of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movement restriction distance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zone confirmation fiel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정보와 경도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atitude information and longitude coordinates.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4 to 8 attache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존 설정기(또는 AP, 30), 이동통신 단말기(32) 및 이동통신 시스템(38)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zone setter (or AP) 3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an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존 설정기(30)는 이동통신사로부터의 특정 서비스(이하, 존 서비스라 한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또는 존, 40)을 설정한다. 또한, 존 설정기(30)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설정된 존(40)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32)에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2)가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특정 서비스란 존(40) 내에서의 통화시 통화요금 할인과 같은 소정 지역에 대한 한정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존 설정기(30)는 GPS와 같은 위치 정보 수신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32)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장치는 블루투스, 유비쿼터스, 지그비,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을 의미한다.The zone setter 30 sets a region (or zone) 40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zone service) from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In addition, the zone setter 3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n the zone 40 establish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can receive a specific service. Here, the specific service means a limited service for a predetermined region, such as a discount on call rate during the call in the zone 40. To this end, the zone setter 3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such as a GPS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Here,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Bluetooth, ubiquitous, Zigbee,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이동통신 시스템(38)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또는 장치)과 존 설정기(30)와의 통신채널 형성을 위한 근거리 통신 장치를 구비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zone service to a user.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device) and the zone setter 30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이동통신 시스템(38)은 이동통신 단말기(32)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와 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38)은 기지국(34), 기지국 제어기(36),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 MSC) 등을 구비한다. 또한, 존 서비스 가입자 정보, 존 위치정보 등의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는 서버를 더 구비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zone service to a user who ow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includes a base station 34, a base station controller 36,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the like. Further, the server further includes a server storing service information such as zone service subscriber information and zone location information.

도 5는 존 설정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zone setter.

존 설정기(30)는 근거리 통신 장치(42), 위치 정보 수신기(44), 메모리(48) 및 제어부(46)를 구비한다.The zone setter 30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42,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4, a memory 48, and a controller 46.

위치 정보 수신기(44)는 GPS와 같은 위치정보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 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제어부(46)에 제공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 수신기(44)를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는 존 설정기(30)의 작동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4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location information system such as GPS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46. Here,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44 is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zone setter 30.

근거리 통신 장치(42)는 이동통신 단말기(32)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2)로부터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46)에 의해 중계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형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32)에 제공한다. 아울러, 근거리 통신 장치(42)는 이동통신 단말기(32)로부터의 슬롯 싸이클 인덱스, 페이징 슬롯 정보 및 현재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46)에 제공한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42 establish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and receives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n addi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layed by the controller 46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through the forme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42 receives the slot cycle index, paging slot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46.

메모리(48)는 존 설정기(3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수신된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장치(42)로 수신된 슬롯 싸이클 인덱스, 페이징 슬롯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가 저장된다.The memory 48 stores various programs for the operation of the zone setter 30 and stor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lot cycle index, paging slot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device 42 are stored.

제어부(46)는 메모리(48)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위치정보 수신 장치(4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6)는 이동통신 단말기(32)로부터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근거리 통신 장치(42)를 제어하여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32)에 제공한다. 아울러, 제어부(46)는 슬롯 싸이클 인덱스, 페이징 슬롯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2)와의 통신 주기를 동기 시킨다.The controller 46 driv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48 and control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44. 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the controller 46 control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42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n addition, the controller 46 synchronizes the communication cycl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using the slot cycle index, paging slot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도 6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32)는 근거리 통신 장치(50), 이동통신 모듈(52), 입출력 장치(54), 메모리(56) 및 제어부(58)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50,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2, an input / output device 54, a memory 56, and a controller 58.

근거리 통신 장치(50)는 제어부(58)의 제어하에 존 설정기(30)의 근거리 통신 장치(42)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 페이징 슬롯 정보, 슬롯 싸이클 인덱스 및 현재 시간 정보를 존 설정기(30)에 제공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 장치(50)는 존 설정기(30)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58)에 제공한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5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42 of the zone setter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8, thereby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paging slot information, slot cycle index,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To the zone setter 30. In additio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5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30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58.

이동통신 모듈(52)은 이동통신 시스템(38)과 음성/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 하여 가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52)은 기지국(34)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와 기지국 아이디(Base Identification : Base_ID)를 수신하여 제어부(58)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2 forms a voice /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subscriber.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2 receives a variety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base station 34 and the base station ID (Base Identification: Base_ID) to provide to the control unit 58.

입출력 장치(54)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 음성을 입출력하기 위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출력 장치를 구비한다.The input / output device 54 include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a voice input / output devic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and a user command input /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메모리(56)는 이동통신 단말기(32)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존 설정기(30)로부터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6)에는 존(40)이 설정된 기지국의 아이디인 홈 기지국 아이디(Home Base_ID)가 저장된다. The memory 56 sto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programs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and store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30. In addition, the memory 56 stores a home base station ID (Home Base_ID), which is an ID of a base station in which the zone 40 is set.

제어부(58)는 근거리 통신 장치(50), 이동통신 모듈(52), 입출력 장치(54) 및 메모리(56)를 제어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38)으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System Parameter Message : SPM) 내의 기지국 아이디(Base_ID)와 홈 기지국 아이디(Home Base_ID)를 비교하여, 존 설정기(30)의 탐색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8)는 존 설정기(30)로부터의 위치정보와 메모리(56)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2)가 존(40)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32)의 위치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부(58)는 오리지네이션 메시지(Origination Message : 이하 "OM"이라함) 내의 특정 필드(예를 들어, NAR_AN_CAP)의 값을 변경한다. 제어부(58)는 이 특정 필드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32)가 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이동통신 시스템(38)에 통보한다.The controller 58 control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50,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52, the input / output device 54, and the memory 56.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ID (Base_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Home Base_ID) in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SPM)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zone setter 30 is searched. do. The controller 58 compare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30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56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s located in the zone 40. According to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the controller 58 changes a value of a specific field (for example, NAR_AN_CAP) in an origination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M"). The control unit 58 inform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can be provided with the zone service by changing the value of this specific field.

이하, 존 설정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32)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perations of the zone setter 3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존 설정기(30)가 가입자가 선택한 지역에 설치되면, 위치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위치 정보의 송신 주기는 가변이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32)와 원활한 통신을 위해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의 배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zone setter 30 is installed in the area selected by the subscriber, the zone setter 30 period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variabl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ssion period is set to a multiple of the paging slot monitoring period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32)를 턴온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기지국(34)을 재탐색하게 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우선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가 있는지 탐색하게 된다. 파일럿 신호가 탐색 되면 페이징 채널의 동기 채널 메시지를 통해 시간정보를 갱신하게 되고, 시간 정보를 갱신한 후 단말기는 아이들 상태(Idle State)를 유지하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base station 34 is searched again for turning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or the lik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first searches whether there is a pilot signal received. When the pilot signal is found, the time information is updated through a synchronization channel message of the paging channel. After updating the time information, the terminal maintains an idle state.

아이들 상태의 단말기는 전력 소모를 줄이고 통신의 효율을 위해 소정의 주기로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신호 수신 주기를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라고 한다. 이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는 1.28초의 배수 단위로 결정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32)는 1.28초, 2.56초, 5.12초 단위로 인근 기지국(34)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게 된다.The idle terminal receives a sig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efficiency of communication. This signal reception period is called a paging slot monitoring period. This paging slot monitoring period is determined in multiples of 1.28 seconds.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monitors the paging channel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34 in units of 1.28 seconds, 2.56 seconds, and 5.12 seconds.

도 7은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ging slot monitoring cycle.

도 7에서와 같이, 하나의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는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 기간과 이외의 기간으로 나누어진다.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38)에서 사용되는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는 상술한 바와같이 1.28초의 배수로 결정되며, 이중에 서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 기간 즉, 정보 송신이 가능한 슬롯의 길이는 80 내지 160 ms 정도의 짧은 시간이다.As shown in FIG. 7, one paging slot monitoring period is divided into a paging channel monitoring period and a period other than this. The paging slot monitoring period currently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is determined in multiples of 1.28 seconds as described above. Among these, the paging channel monitoring period, i.e., the length of the slot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s about 80 to 160 ms. to be.

이러한 슬롯의 길이는 아래의 수학식 1에서 산출이 가능한 헤쉬(Hash) 알고리즘을 사용한다.The length of the slot uses a hash algorithm that can be calculated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은 슬롯 산출을 위한 헤쉬 알고리즘을 나타낸 수식이다.Equation 1 is a formula representing a hash algorithm for calculating a slot.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1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1

여기서 t는 20ms 단위의 시각, T는 슬롯 싸이클, PLSLOT은 0 내지 2047 사이의 값으로 단말기 번호를(IMSI_O) 입력하여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다.Here, t is a time in 20 ms unit, T is a slot cycle, and PLSLOT is calculated by Equation 2 by inputting a terminal number (IMSI_O) with a value between 0 and 2047.

수학식 2는 PGSLOT 값을 산출하기 위한 수식이다.Equation 2 is an expression for calculating the PGSLOT value.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2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2

여기서, N은 2048, L은 헤쉬키(Hash_Key)의 0 ~ 15비트, H는 헤쉬키의 16 ~ 31비트, DECORR은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3
로 정의된다. 또한, 헤쉬키는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된다.Where N is 2048, L is 0-15 bits of Hash_Key, H is 16-31 bits of Hashkey, and DECORR is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3
Is defined as In addition, the Heshkey is defined by Equation 3 below.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4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4

또한, IMSI_O_S1은 IMSI_O의 하위 7디지트이고, IMSI_O_S2는 IMSI_O의 상위 3디지트이다. 여기서, IMSI는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fication의 약자이다. 이러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은 통신 주기를 결정하기 위해 국제규격에 의해 정의된 식들이다.IMSI_O_S1 is the lower 7 digits of IMSI_O and IMSI_O_S2 is the upper 3 digits of IMSI_O. Here, IMSI stands for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Equations 1 to 3 are equations defin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periods.

아래의 표1은 페이징 슬롯 주기별 슬롯 싸이클 및 페이징 슬롯 인덱스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Table 1 below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slot cycles and paging slot indexes for each paging slot period.

페이징 슬롯 주기Paging Slot Cycle TT 페이징 슬롯 싸이클 인덱스 Paging Slot Cycle Index 1.28초1.28 sec 1One 00 2.56초2.56 seconds 22 1One 5.12초5.12 seconds 44 22

위에서 설명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표 1에 의해 페이징 슬롯 모니터링 주기가 결정된다.The paging slot monitoring period is determined by Equations 1 to 3 and Table 1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는 이를 존 설정기(30)에도 적용한다. 상술한 슬롯 기간은 80 내지 160ms로 매우 짧은 기간을 가진다. 따라서, 이 기간에 존 설정기(30)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32)는 존(40)을 확인할 수 없게 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존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존 설정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다른 슬롯에서도 대기상태를 유지해야하는 만큼 전력손실이 커지게 된다. 또한, 통신의 외적인 요소, 예를 들면, 전파지연 등에 의해 존 설정기(30)로부터의 신호 송출 시점이 슬롯 길이의 40% 이상 차이가 나게 되면, 존 설정기(30)로부터의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32)가 수신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applies to the zone setter 30. The slot period described above has a very short period of 80 to 160 ms. Therefore, if a signal from the zone setter 30 is not received in this perio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will not be able to identify the zone 40, and as a result, the user will not be able to smoothly use the zone service. In addition, the power loss increases as the standby state must be maintained in other slots in order to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In addition, when a signal transmission time point from the zone setter 30 differs by more than 40% of the slot length due to an external element of the communication, for example, a propagation delay or the like, the signal from the zone setter 30 is transferr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A situation in which the terminal 32 cannot receive may occur.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32)가 존 설정기(30)를 탐색하는 시점에 이 슬롯기간과 존 설정기(30)의 신호송출 시점을 동기화시키게 된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 perio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time of the zone setter 30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searches for the zone setter 30.

이동통신 단말기(32)가 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역에 진입하거나, 진입했음에도 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2)의 입출력 장치를 통해 존 설정기(30)에 위치정보 수신 요청(Mobile-Initiated AP GPS Information Request)을 전송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32)로부터 존 설정기(30)로 전송되는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슬롯 싸이클 인덱스, 슬롯 정보 및 현재 시간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전송되는 현재 시간 정보의 단위는 슬롯 모니터링 주기를 감안하여 80ms 단위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enters an area where the zone service can be received or the zone service is not provided even 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enters the zone service, a request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zone setter 30 through an input / out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Mobile-Initiated AP GPS Information Request) is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to the zone setter 30 includes a slot cycle index, slot information and current time information. Here, the unit of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preferably transmitted in units of 80ms in consideration of the slot monitoring period.

이러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존 설정기(30)는 자신의 슬롯 싸이클 인덱스를 수신한 슬롯 싸이클 인덱스에 맞추어 변경하고, 자신의 슬롯 정보(PG_SLOT)를 수신한 슬롯 정보로 갱신한다. 또한, 존 설정기(30)의 시간정보를 수신한 시간에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의 처리 시간을 감안한 시간으로 변경한다. 이러한, 슬롯 싸이클 정보를 갱신한 존 설정기(30)는 이동통신 단말기(32)로 위치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존 설정기(3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32)로 전송되는 위치정보는 송신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한 슬롯 기간에 4회 정도 반복해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Upo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he zone setter 30 changes its slot cycle index according to the received slot cycle index and updates its slot information PG_SLOT with the received slot information. Also, the time is changed from the time at which the time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30 is received to the time considering the processing tim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he zone setter 30 that has updated the slot cycle information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zone setter 3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s repeatedly transmitted about four times in one slot period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stability.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가입자가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에 서비스 신청을 하게 된다. 서비스 신청에 따라 가입자가 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지역이 포함된 셀의 기지국 아이디(이후 "홈 기지국 아이디"라 함, Home Base_ID)가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2)에 저장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홈 기지국 아이디는 존(40)이 셀의 중첩지역에 위치할 경우를 고려하여 다수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존 설정기(30)가 설치되고 초기 설치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업체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38)의 서버에 존(40)이 설정되는 지역의 위치정보를 입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in order to use a zone service, a subscriber first applies for a ser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ccording to the service request, the base station 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me base station ID", Home Base_ID) of the cell including the region where the subscriber intends to use the zone service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of the subscriber. Here, a plurality of home base station ID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nput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zone 40 is located in an overlapping region of the cell. Thereafter, the zone setter 30 is installed and an initial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inpu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on where the zone 40 is set in the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초기 설치 과정은 가입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의해 존 설정기(30)가 설치되고 턴온된다. 이때, 존 설정기(30)는 위치정보시스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2)에 제공한다. 존 설정기(3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32)는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a Burst Message)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38)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38)의 서버에서는 가입시 저장된 위치정보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내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위치정보 비교 후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존 설정기(30)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음을 이동통신 단말기(32)에 알리게 된다. 설치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존 설정기(3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메모리(56)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위치정보는 존 설정기(30)의 위도(BLUE_LATm)와 경도(BLUE_LONGm) 좌표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 S20)The initial installation process is set up and turned on by the zoner 30 by the subscriber or service provider. At this time, the zone setter 3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30 transmits the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through a data burst message. The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having received the data burst message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at the time of subscrip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 burst message and checks whether it match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y match after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32 notifies that the zone setter 30 is installed at the correct position. Upon receiving the installation confirmation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zone setter 30 in the memory 56. In this case,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is preferably stored as data including latitude (BLUE_LATm) and longitude (BLUE_LONGm) coordinates of the zone setter 30. (S10, S20)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존 설정기(30)를 설치하고 난 후,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오버헤드 인포메이션(Overhead Information) 갱신 과정 중에 인근의 기지국(34)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이후 "SPM"이라 함)를 수신한다. 이후, 유휴상태(Idle State)에서 이동통신 단말기(32) 자신에게 할당된 페이징 슬롯에서 SPM을 수신하여, 그 SPM의 각 필드 값을 메모리(56)에 저장한다. 여기서, SPM에는 기지국 아이디(Base_ID), 페이징 슬롯 싸이클 인덱스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S30)After installing the zone setter 30 by the above metho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s a system parameter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M") from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34 during the overhead information update process. Is received). Thereafter, in the idle state, the mobile terminal 32 receives the SPM in the paging slot allocated to itself, and stores each field value of the SPM in the memory 56. In this case, the SPM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base station ID (Base_ID) and a paging slot cycle index.

SPM을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32)는 메모리(56)에 저장된 홈 기지국 아이디(Home Base_ID)와 SPM으로 수신되는 기지국 아이디(Base_ID)를 비교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2)가 위치하는 지역의 기지국이 존(40)이 설정된 지역의 기지국과 동일한 기지국인지 판단한다.(S4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receiving the SPM compares the home base ID (Home Base_ID) stored in the memory 56 with the base station ID (Base_ID) received by the SPM, and the base station in the region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s loc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zone 40 is the same base station as the base station of the set area (S40).

홈 기지국 아이디(Home Base_ID)와 기지국 아이디(Base_ID)가 같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32)는 SPM을 통해 수신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존 설정기(3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홈 기지국(Home Base)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 존 설정기(30)와 기지국과의 거리(L)을 계산한다.When the home base station ID (Home Base ID) and the base station ID (Base ID) are not the sa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received through the SPM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30 stored in the memory. The distance L between the zone setter 30 and the base station is calculated to determine whether is located within the coverage of the home base station.

수학식 4는 위치정보 내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이용하여 존 설정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32)가 위치하는 셀 영역의 기지국 과의 거리(L)를 계산하기 위한 식이다.Equation 4 is an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L between the base station in the cell region where the zone setter 3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are located by using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in the location information.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5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5

여기서, BLUE_LATm, BLUE_LONGm은 존 설정기(30)가 설치된 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이고, BASE_LAT, BASE_LONG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32)가 위치하는 지역을 커버하는 기지국의 위도 및 경도 정보이다. L은 기지국과 존 설정기(30)간의 직선 거리를 나타낸다.Here, BLUE_LATm and BLUE_LONGm ar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point where the zone setter 30 is installed, and BASE_LAT and BASE_LONG ar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overing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is currently located. L represents a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zone setter 30.

수학식 4에 의해 기지국과 존 설정기(30)간의 거리가 산출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리 입력된 존(40) 반경(또는 비교 기준값, Lt)과 직선거리(L)를 비교하여 이동통신 단말기(32)가 홈 기지국(Home Base)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비교 기준값(Lt)은 도심의 경우 500m, 그 외의 지역에서는 1000m를 기준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비교 기준값(Lt)은 이동통신 단말기(32)에서 50m 내지 5000m 사이의 임의의 값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50)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zone setter 30 is calculated by Equation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es the radius of the zone 40 (or the comparison reference value Lt) with the straight line distance L in advanc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32 is within the coverage of the home base station. Here, the comparison reference value Lt is preferably set to 500 m in the city center and 1000 m in the other area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arison reference value Lt can be input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at an arbitrary value between 50 m and 5000 m. (S50)

비교 기준값(Lt)과 직선거리(L)를 비교하여, 직선거리(L)가 비교 기준값(Lt)보다 크면,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오리지네이션 메시지(OM) 내의 NAR_AN_CAP(서비스 존 확인 필드)의 값을 '0'으로 하여 이동통신 시스템(38)에 전송한다. 여기서, '0'은 존 설정기(30)가 위치한 존이 아님을 의미한다.(S120)The comparison reference value Lt and the straight line distance L are compared, and when the straight line distance L is larger than the comparison reference value L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determines the NAR_AN_CAP (Service Zone Confirmation Field) in the origination message OM. ) Is set to '0'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Here, '0' means that the zone is not located in the zone setter 30 (S120).

반면에, 비교 기준값(Lt)보다 직선거리(L)가 작거나 같은 값을 가지거나, 홈 기지국 아이디(Home Base_ID)와 기지국 아이디(Base_ID)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존 설정기(30)와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페이징 슬롯에서 위치정보의 수신을 시도한다.(S60)On the other hand, if the straight line distance L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comparison reference value Lt,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ome base station ID (Home Base_ID) and the base station ID (Base_ID) are the same,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has a zone. Attempt to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aging slot allocat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tter (30) (S60).

존 설정기(30)로부터의 위치정보 수신 시도 중에 새로운 SPM이 수신되면, 수신된 기지국 아이디(BASE_ID)가 직전의 기지국 아이디(BASE_ID)와 동일한지의 여부 를 판단한다.(S70, S75)When a new SPM is received while attempting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base station ID BASE_ID is the same as the previous base station ID BASE_ID. (S70, S75)

수신된 기지국 아이디(BASE_ID)와 직전의 기지국 아이디(BASE_ID)가 동일하지 않으면, 수신된 기지국 아이디(BASE_ID)와 홈 기지국 아이디(Home Base_ID)를 비교하게 된다.(S40) 또한, 이후의 과정(S40 내지 S70)을 반복하게 된다.If the received base station ID (BASE_ID) and the previous base station ID (BASE_ID) are not the same, the received base station ID (BASE_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Home Base_ID) are compared (S40). To S70).

반면에, 수신된 기지국 아이디(BASE_ID)와 직전의 기지국 아이디(BASE_ID)가 동일하거나, 위치정보 수신 중 새로운 SPM이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32)는 계속해서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시도한다.(S70, S75, S80)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base station ID (BASE_ID) and the previous base station ID (BASE_ID) are the same or a new SPM is not received while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continuously attempts to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S70, S75, S80)

이때, 존 설정기(30)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존 설정기(30)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동거리(DI)를 산출하게 된다.(S90)In this cas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zone setter 3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calculates a movement distance DI for determining whether the zone setter 30 moves.

수학식 5는 이동거리(DI)의 산출을 위해 정의된 식이다.Equation 5 is an equation defin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moving distance DI.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6
Figure 112005015078460-pat00006

이동거리(DI)가 산출되면 이동통신 단말기(32)는 산출된 이동거리(DI)와 이동 제한거리(DIt)를 비교한다. 여기서, 이동 제한거리(DIt)는 근거리 통신 장치의 통신 반경을 반영한 거리로, 10m 내외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이동 제한거리(DIt)는 이동통신 시스템(38)에서 송신되는 메시지 또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서만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0)When the movement distance DI is calcul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compares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DI with the movement restriction distance DIt. Here, the movement limit distance DIt is a distance reflecting a communication radius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and preferably has a value of about 10 m. Also, the movement limit distance DIt is a message or movemen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It is desirable to change only by the carrier (S100).

이동거리(DI)와 이동 제한거리(DIt)를 비교하여 이동거리(DI)의 값이 이동 제한거리(DIt) 값 이상이면, 존 설정기(30)를 이동한 것으로 간주하고, 이동통신 단말기(32)는 NAR_AN_CAP의 값을 '0'으로 하여 이동통신 시스템(38)에 전송한다.(S100, S120)If the value of the moving distance DI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oving limit distance DIt by comparing the moving distance DI with the moving limit distance DIt, the zone setter 30 is regarded as mov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32) transmits the NAR_AN_CAP to '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S100 and S120).

반면에, 이동거리(DI)의 값이 이동 제한거리(DIt) 값 미만이면, 존 설정기(30)가 정상 설치된 것으로 간주하여, NAR_AN_CAP의 값을 '1'로 하여 이동통신 시스템(38)에 전송한다.(S110)On the other hand, if the value of the movement distance DI is less than the movement limit distance DIt value, the zone setter 30 is regarded as normally installed and the NAR_AN_CAP value is set to '1'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8. Transmit. (S11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32)는 통화 대기를 위해 유휴 상태(S130)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나 SPM의 수신을 대기한다.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2 waits for the user's command input or the reception of the SPM while maintaining the idle state (S130) for the call waiting.

여기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OM)는 NAR_AN_CAP의 값이 결정된 후 전송되어야 한다.Here, the origination message OM should be transmitted after the value of NAR_AN_CAP is determ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은 존 설정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만 하게 하고, 필요할 경우만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존 설정기로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옥외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기지국 정보를 이용, 최소 횟수만으로 존 설정기 신호의 수신을 시도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정확하고 정교한 서비스 존의 탐색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the zon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only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zone setter, and transmits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zone setter only when necessary. To perform.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outdoors, it attempts to receive the zone setter signal using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nly a minimum number of times, thereby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enabling accurate and precise service zone search.

또한, 사용자가 원할 경우 또는 기지국의 슬롯 싸이클 인덱스가 변경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존 설정기에 위치정보를 직접 요구하도록 함과 아울러, 변경된 슬롯 싸이클 인덱스를 존 설정기에 제공하여 위치 정보 송신 주기를 정확히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esires or when the slot cycle index of the base station is chang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rectly request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and provides the changed slot cycle index to the zone setter to accurately change the cycle of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은 존 설정기의 고의적인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더 정확한 서비스 요금을 과금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the zon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intentional movement of the zone setter to charge more accurate service charges.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Claims (23)

각각의 기지국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를 송출하여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의 중계에 의해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which form a cell by transmitting system parameter messages including respective base station IDs and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o respecti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y relaying of the base stations; 상기 셀과 다른 크기로 설정된 존을 규정하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존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출하는 존 설정기와;A zone setter for defining a zone set to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ll and transmitting its location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in the zone; 상기 존 설정기가 설정된 지역의 홈 기지국 아이디를 저장하고서,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가 동일하게 탐색되거나 동일하지 않더라도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존 설정기와 기지국과의 거리 계산에 의해 존 서비스가 가능한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존 확인 필드 정보가 포함된 오리지네이션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작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By storing the home base station ID of the area where the zone setter is set,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zone setter and the base station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even if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are not identically searched or identic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zone service is availab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enerating an origination message including service zone confirmation fiel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존 설정기 식별자와 상기 존 및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는 존 서비스 서버와,A zone service server storing the zone setter identifier and the zone and subscriber information;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와,A base st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상기 존 서비스 서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를 연결하기 위한 모바일 스위칭센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for connecting the zone service server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존 설정기는The zone setter 상기 위치정보의 수신을 위한 위치정보 수신기와,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위치정보의 송출을 위한 근거리 통신 장치와,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페이징 슬롯 정보, 슬롯 싸이클 인덱스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ing paging slot information and slot cycle index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위치정보 수신기, 상기 근거리 통신 장치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memor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과,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장치와,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지국 위치정보와 상기 기지국 아이디 및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가 저장되는 메모리와,A memory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 상기 기지국 아이디 및 상기 홈 기지국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creating the zone identification field information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및 존 서비스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장치와, An output device for provi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zone service to the subscriber; 상기 존 설정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슬롯 기간을 동기시키기 위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And an input device to which an initialization command for synchronizing the zone setter and the paging slot peri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The home base station ID is at least 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zone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내의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가 동일할 경우,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 수신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And whe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in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are the same, attempt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셀을 형성하는 다수의 기지국과, 셀과 다른 크기로 정의된 존을 정의 하는 존 설정기를 구비하며,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nd a zone setter defining a zone defined in a different size from the cell, and providing a zone service to the subscriber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method of providing, 존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셀과 다른 크기로 설정된 존을 갖는 존 설정기를 설치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Installing and registering a zone setter having a zone set to a different size from the cell to use zone service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기지국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와;Receiving a system parameter message including a base station I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존 설정기에서 위치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출하는 단계와;Receiving, by the zone setter,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from a location information system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존이 설정된 지역의 홈 기지국 아이디를 비교하고,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에 의해 존서비스가 가능한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Compar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se station ID with the home base station ID of the zone in which the zone is se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zone service is availab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홈 기지국 아이디의 일치 여부와,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에 의해 존 서비스가 가능한 위치인지의 판단 여부에 따라 서비스존 확인 필드를 포함하는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Creating an origination message including a service zone confirmation field according to whether the base station ID matches a home base station ID and whether or not the zone service is availab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상기 오리지네이션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transmitting the origin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는 상기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The system parameter message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system parameter messag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위치 정보의 송출 주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슬롯 모니터 링 주기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 multiple of a paging slot monitoring peri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슬롯 한 구간에 적어도 4회 반복되어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peatedly transmitted at least four times in one slot section.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존 설정기를 설치하여 등록하는 단계는Installing and registering the zone setter 상기 존이 설정되는 지역 인근의 홈 기지국 아이디를 저장하는 단계와,Storing a home base station ID near an area where the zone is set; 상기 존 설정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방법.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존 설정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존 설정기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zone sett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받은 위치정보와 미리 저장된 존 설정 예상 지역의 위치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Transmitting an installation confirmation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tored zone setting expected area match each oth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atch each oth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설치 확인 메시지를 받으면 상기 존 설정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upon receiving the installation confirmation mess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를 비교하는 단계는Comparing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i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커버리지로 갖는 어웨이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상기 존 설정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설정기와 상기 어웨이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zone setter and the away base station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way base station having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as the cover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 How to Provide Services.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를 비교하는 단계는Comparing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is 산출된 상기 거리와 미리 저장된 홈 기지국의 커버리지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with a pre-stored coverage distance of a home base station.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산출된 상기 거리와 상기 홈 기지국의 커버리지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는,Comparing the calculated distance and the coverage distance of the home base station, 상기 비교 값에 의해 상기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creating the zone confirmation fiel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valu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기지국 아이디와 상기 홈 기지국 아이디가 동일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송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방법.And whe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home base station ID are the sa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에 의해 존서비스가 가능한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zone service is availab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새로운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receive a new system parameter message.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새로운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new system parameter message is received 상기 새로운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 내의 기지국 아이디와, 이전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 내의 기지국 아이디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determining whether a base station ID in the new system parameter message matches a base station ID in a previous system parameter messag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에 의해 존서비스가 가능한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zone service is availab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상기 송출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transmitted position information; 상기 송출된 위치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기 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존 설정기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calculating a moving distance of the zone setter using the transmitted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zone.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존 설정기로부터의 위치정보에 의해 존서비스가 가능한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zone service is availab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zone setter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와 미리 저장된 이동 제한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comparing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with a previously stored movement restriction distanc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이동 거리와 상기 이동 제한 거리를 비교하는 단계는Comparing the movement distance and the movement limit distance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존 확인 필드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의 제공 방법.And generating the zone confirmation fiel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위치정보는The location information 위도 정보와 경도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서비스 제공 방법.Zone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latitude information and longitude coordinates.
KR1020050023861A 2005-03-22 2005-03-22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KR100676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861A KR100676102B1 (en) 2005-03-22 2005-03-22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861A KR100676102B1 (en) 2005-03-22 2005-03-22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362A KR20060102362A (en) 2006-09-27
KR100676102B1 true KR100676102B1 (en) 2007-02-02

Family

ID=3763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861A KR100676102B1 (en) 2005-03-22 2005-03-22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1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27B1 (en) 2007-06-29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between home cell and macro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87B1 (en) 2006-10-23 2008-04-29 (주) 엘지텔레콤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peater Using Service Zon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Zone Setting Device Built-in Type Repeater
KR100910300B1 (en) * 2007-09-18 2009-08-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of subscriber home zone servic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892A (en) * 2000-12-07 2002-06-19 이계철 Method for automatic operation-mode change of bluetooth/CDMA dual mode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892A (en) * 2000-12-07 2002-06-19 이계철 Method for automatic operation-mode change of bluetooth/CDMA dual mode mobile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4489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27B1 (en) 2007-06-29 2010-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between home cell and macro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362A (en)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4261A (en) Multiple home zone areas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894982B (en)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 used therein
CN1150795C (en) Method and system for exploiting location-dependent services in cellular radio system
JP3840248B2 (en) Provide and synchronize preferred roaming lists and roaming indicators
US65103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eneral information to users in a mobile radio network
KR100493109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CN1653738B (en) Method for communication data packet between mobile terminal users of network service
CN103260217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vement control node,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KR2004003647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mproved roaming service
EP10713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aging a mobile terminal in a cellular network
US699976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and-off for home zone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2012031588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ide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peri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76102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7541977B2 (e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locating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US8855686B1 (en) Method and system of paging a mobile station
US201402132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nd de-activating adjacent radio sites
KR100292443B1 (en) Method for registering a paging ar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using the same
KR1010687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count billing in case of origination adjacent to access point
KR100733956B1 (en) The Traffic Analyzing System of Repea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JP2000004475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100510191B1 (en)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JP2008060853A (en) Position management method, position management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KR100810248B1 (en)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108025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dcd server in media independent handover environment
KR20020070618A (en)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region of mobil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