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191B1 -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191B1
KR100510191B1 KR1020040068174A KR20040068174A KR100510191B1 KR 100510191 B1 KR100510191 B1 KR 100510191B1 KR 1020040068174 A KR1020040068174 A KR 1020040068174A KR 20040068174 A KR20040068174 A KR 20040068174A KR 100510191 B1 KR100510191 B1 KR 10051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information
call
mobile terminal
hom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세용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4006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1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1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이동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mobil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reliable and efficient service,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셀과 다른 크기로 설정된 존을 지시하는 존 설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내역(통화정보)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zone setter for indicating a zone set to a different size from a cell defined based on a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has a portabl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call history (call information) in the zone. do.

Description

휴대 이동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 이동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bile communication, and in particular, to a mobile mobil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reliable and efficient service,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통신관련 기술의 개발에 따라, 유/무선을 이용한 많은 통신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유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광 섬유의 개발과 관련 시스템의 개발로 광통신망의 실현이 가능해 졌고, 음성과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양이 증가했다. 또한, 무선을 이용한는 통신 시스템은 단지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던 서비스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음성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고속 이동중에도 제공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무선 데이터 서비스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기술을 이용하는 휴대전화 시스템과, 블루투스(Bluetooth), 유비쿼터스(Ubiquitous) 등의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 등에 의해 서비스 제공 영역 및 이용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related technology, many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wired / wireless are provided to users. The development of optical fiber and related systems has made it possible to realize th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transmission speed and amount of voice and data have increased. 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e evolved from services that only support voice services, and are now able to receive voice and data related services during high-speed travel. Furthermore, wireless data services use mobile phone systems using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FDMA), and Time Division Multi Access (TDMA) technologies, and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and Ubiquitous. The service provision area and the user are increasing rapidly by the wireless internet system.

기술의 발전과 이로인한 해당 서비스의 이용자 증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와 이용자 모두에게 요금의 부과방법과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신뢰성및 효율성의 문제를 고려하게 한다.Advances in technology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of these services will lead to consideration of both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providing the service and the issues of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service delivery.

이와 관련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회사들은 자사의 고객을 유지하고, 타사 및 잠재적 고객의 유치를 위해 다양한 할인 혜택과 그에 따른 서비스 요금 부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휴대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의 지역할인 서비스와 휴대 전화단말기와 유선 전화망을 연동시키는 듀폰(DU Phone)서비스가 있다.In this regard,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that offer telecommunications services offer a variety of discounts and service charges to retain their customers and attract third parties and potential customers.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a regional discount service of companies that provide mobile phone services, and a DuPont (DU Phone) service that links a mobile phone terminal and a wired telephone network.

지역할인 서비스는 셀 기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특정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내에서 통신요금에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셀 기반 기술이라는 것은 휴대전화 시스템 및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이 기지국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다. The regional discount service uses a cell-based technology to provide a discount on communication rates in a region where a specific base station provides a service. Here, the cell-based technology is applied to a system having a base station such as a cellular phone system and a wireless Internet.

도 1을 종래의 휴대전화 시스템의 셀 및 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shows a cell and a zone of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전화 시스템은 사용자의 휴대폰과 직접적으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6)을 구비한다. 기지국(6)은 수 백미터(m)에서 수 십킬로미터(Km)에 이르는 서비스 제공영역인 셀(Cell ; 2)을 형성한다. 또한, 가입자, 기지국 관리 등의 이유로 다수의 셀, 즉 다수의 기지국을 하나의 동일 지역으로 고려하는 존(Zone ; 4)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system has a base station 6 which perform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directly with a user's cellular phone. The base station 6 forms a cell (Cell) 2, which is a service providing area ranging from several hundred meters (m) to several tens of kilometers (Km). In addition, a zone (4) is formed that considers a plurality of cells, that i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s one same area, for reasons of subscriber and base station management.

도 2는 휴대전화 시스템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는 반경이 축소되거나 일그러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cells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e mobile phone system, and FIG. 3 is a view showing cells having a reduced or distorted radius.

도 2 및 도 3를를 참조하면, 셀이 형성하는 모양은 통신망 설계의 편의를 위해 육각형(도 2a), 팔각형(도 2b) 등의 다각형으로 고려되지만, 실제로는 원형(2c)에 가까운 모양을 취하게 되고 이러한 까닭에 인접한 셀과의 중첩지역(2d)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중첩지역(2d)에 진입한 휴대전화는 보다 나은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기지국과 호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프와 같은 기지국(혹은 셀) 변경 절차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원의 형태를 띠는 셀의 반경(2c)은 지형, 셀 내의 가입자 수, 건물 등의 이유로 인해 원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6)이 설치된 지역이 주로 논이나 낮은 구릉이 존재하는 농촌지역이면, 이상적인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하게 된다. 이러한 농촌지역은 하나의 기지국(6)과 호를 유지하는 휴대전화 수의 평균이 도시와 같은 밀집지역보다 적기 때문에 셀(2)의 반경이 커지게 된다. 반면에 기지국(6)이 설치된 지역이 높은 건물이 많은 도시지역이나 산악지역이면, 셀(2)의 모양은 원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도 3a) 더욱이 도시지역은 하나의 셀(2) 내에 존재하는 휴대전화 즉, 가입자가 많기 때문에 셀(2)의 반경이 농촌에 비해 상당히 작게 설정된다. 도시지역의 경우, 기지국(6)이 송출한 전파가 건물등에 의해 반사 및 흡수되어 셀의 영역 확보가 어려워지며, 한 건물 내에 다수의 휴대전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지국(6)이 수용할 수 있는 휴대전화의 수를 벗어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실제로 셀(2)의 반경이 1km로 설정되었다고 할지라도, 위와 같은 상황에 의해 수십 미터(m)내외 혹은 수 미터(m) 내외까지 감소할 수 있다.(도 3b)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shape formed by the cell is considered to be a polygon such as hexagon (Fig. 2a), octagon (Fig. 2b), etc., for the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network design, but actually takes a shape close to the circle (2c). For this reason, there is an overlap area 2d with adjacent cells. The cellular phone entering this overlap area 2d takes a base station (or cell) change procedure such as handoff to establish a call with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better communication environment. However, the radius 2c of the cell in the shape of a circle becomes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ircle due to the terrain, the number of subscribers in the cell, the building, and the like. For example, if the area where the base station 6 is installed is a rural area in which mainly paddy fields and low hills exist, the shape of the base station 6 is close to an ideal circle. In such a rural area, the radius of the cell 2 is increased because the average of the number of mobile telephones maintaining a call with one base station 6 is smaller than that of a densely populated area such as a city. On the other hand, if the area where the base station 6 is installed is an urban area or a mountain area with many buildings, the shape of the cell 2 becomes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of a circle (Fig. 3a).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mobile phones, i.e., subscribers, the radius of the cell 2 is set considerably smaller than in rural areas. In an urban area, radio waves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6 are reflected and absorbed by a building or the like,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a cell area, and sinc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mobile phones in one building, the mobile station can accommodate the base station 6. Occasionally out of number of calls occurs. In this case, even if the radius of the cell 2 is actually set to 1 km, it can be reduced to about tens of meters (m) or several meters (m) by the above situation (Fig. 3b).

이러한 휴대전화 시스템에서 지역할인 서비스를 제공하면, 특정 기지국(6)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가입자라도 지역과 시간등의 요인에 의해 지역할인 서비스가 적용되는 가입자와 그렇지 않은 가입자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지역할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해당 지역에서 지역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서비스 제공 목적과는 달리, 지역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 가입자에 의해 서비스 개선 요구 혹은 지역할인 서비스 가입자의 탈퇴 등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Providing a regional discount service in such a mobile phone system, even if subscribers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a specific base station 6, a subscriber to which the regional discount service is applied and a subscriber that is not, may be generated due to factors such as region and time. In other words,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a subscriber who subscribes to a regional discount service does not receive the regional discount service in the region. Therefore, unlike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ser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negative effect such as a request for improvement of service or the withdrawal of a subscriber from a regional discount service is generated by a subscriber who has not received the local discount service.

한편, 듀폰 서비스는 서비스 지역을 설정하고 도 4와 같이 설정된 지역내의 휴대전화를 기지국(6)이 아닌 서비스 지역 중계기에 의해 유선전화망(10)과 연동하는 서비스이다. 종래의 유선전화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설치된 유선전화망(10)에 전화기(14)가 접속되고 휴대전화(8)와 유선전화망(10)을 연동시키기 위한 중계기(Access Point ; 12)가 설치된다. 중계기(12)와 휴대전화(8)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며, 블루투스의 서비스 반경에 의해 수 내지 수십 미터(m) 서비스 제공 영역(16)이 설정된다. 중계기(12)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 휴대전화(8)를 소지한 가입자가 들어오고, 가입자가 통화를 시도하면 중계기(12)가 이를 감지한다. 통화시도를 감지한 중계기(12)는 휴대전화(8)와 휴대전화 시스템의 연결을 막고, 휴대전화(8)와 유선전화망(10)의 연동을 시도한다. 유선전화망(10)과의 연동이 성립되면, 휴대전화(8)는 가정용 유선전화기(14)의 무선단말장치와 같이 사용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휴대전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휴대전화 요금보다 저렴한 유선전화 요금으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듀폰 서비스는 전술한 휴대전화 시스템에서의 지역할인보다 서비스 제공 영역(16)의 설정이 정확하며, 변동이 적기 때문에 보다 나은 지역할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uPont service is a service for setting the service area and the mobile phone in the area set up as shown in FIG. 4 interworking with the wired telephone network 10 by the service area repeater instead of the base station 6. 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wired telephone system as an example, a telephone 14 is connected to the installed wired telephone network 10 and a repeater (Access Point) 12 for interworking the mobile telephone 8 and the wired telephone network 10 is installed. . The repeater 12 and the mobile phone 8 communicate by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and the service providing area 16 is set to several tens of meters (m) by the service radius of Bluetooth. The subscriber with the mobile phone 8 enters the area set by the repeater 12, and the repeater 12 detects this when the subscriber tries to make a call. The repeater 12, which detects a call attempt, block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ellular phone 8 and the cellular phone system and attempts to link the cellular phone 8 with the wired telephone network 10. When the interworking with the wired telephone network 10 is established, the mobile telephone 8 is used as a wireless terminal device of the home wired telephone 14.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use a mobile phone system, the user can make a call at a landline phone rate lower than that of the mobile phone rate. The DuPont service is more accurate in setting the service providing area 16 than the regional discount in the above-described mobile phone system, and has fewer advantages, thereby providing a better regional discount service.

하지만, 듀폰 서비스는 유선전화(14)와 같이 가입자가 통화시에 유선전화 회선을 점유한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휴대전화 서비스는 셀(2)의 반경이 불규칙하게 변동하고 이에 따른 부정적인 효과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서비스 제공지역 내에 다수의 가입자가 존재하더라도 각각의 호를 개통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듀폰 서비스는 1회선만 설치한 경우, 가입자 한 명이 회선을 점유하면, 다른 가입자는 할인지역 내에서도 휴대전화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DuPont ser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ubscriber occupies a wired telephone line at the time of a call like the landline 14. The above-mentioned mobile phone servi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radius of the cell 2 varies irregularly and there is a negative effect. However, even 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subscribers in the service providing area, a call can be made through each call. have. On the other hand, DuPont ser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f only one line is installed, if one subscriber occupies the line, the other subscriber must use the mobile phone service even in a discounted area.

이렇듯, 지역할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신뢰성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확한 존의 설정과 다수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방식이 필요하다.As such, there is a need for a precise zone setting and a service method that can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subscribers in order to provide reliable services to subscribers who subscribe to regional discount servic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휴대 이동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mobil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for providing a reliable and efficient ser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셀과 다른 크기로 설정된 존을 지시하는 존 설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정보를 송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zone setter for indicating a zone set to a size different from a cell defined based on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Call information in the zone is transmitted.

상기 존 설정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구비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configur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zone setter.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컴과 상기 존 설정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통화정보를 작성한다.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all operations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One of the micom and the zone setter creates the call information.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가 끝난 후 송출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sent after the call ends.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 중에 송출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the call.

상기 통화정보는 호 개통시 호설정 요청 메시지에 부가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a call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when a call is opened.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a call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and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존의 위치를 지시하는 주소정보가 미리 입력된다.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zone is previously input to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와 상기 주소정보를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온 데이터와 상기 오프 데이터를 작성한다.The mobile terminal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the GPS or the base station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and creates the on data and the off data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match therebetween.

상기 통화정보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다.The cal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GPS or a base station.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음성채널과 상기 데이터채널 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not used by the user among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 상기 통화정보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may simultaneously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 이동 단말기와;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셀과 다른 크기로 설정된 존 내에서의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발생하는 존 설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상기 온 데이터, 상기 오프 데이터 및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과 상기 존 밖에서의 통화시간을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작성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rtable mobile terminal; Zone setting for generating on data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mobile terminal in a zone set to a different size from a cell defined based on a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d off data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mobile terminal outside the zone. Having a group;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creates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on data, the off data, and talk time in the zone and talk time outside the zone.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존 설정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구비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zone setter.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존 내에의 통화시간 상기 존 밖에서의 통화시간을 포함한 통화정보를 작성한다.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The microcomputer creates call information including a talk time within the zone and a talk time outside the zone.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가 끝난 후 송출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sent after the call ends.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 중에 송출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the call.

상기 통화정보는 호 개통시 호설정 요청 메시지에 부가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a call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when a call is opened.

상기 존 설정기는 상기 존의 위치를 지시하는 주소정보가 미리 입력된다.The zone setter is previously inputted with 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zone.

상기 통화정보를 분석하고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와; 상기 존 내에서의 감면 대상자 확인이 가능하도록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의 요청시 상기 가입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한다.A server for analyzing the call information and perform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a database for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to enable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 of reduction in the zone.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서버의 요청시 상기 존의 위치를 지시하는 주소정보를 함께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The database transmits 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zone to th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상기 존 설정기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와 상기 주소정보를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온 데이터와 상기 오프 데이터를 작성한다.The zone setter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the GPS or the base station and the address information and creates the on data and the off data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match therebetween.

상기 통화정보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다.The cal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GPS or a base station.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 상기 존 설정기가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를 탐색하고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가 탐색될 때의 전력 값을 포함한다.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talk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and the zone setter searches for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Contains the power value as it is found.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음성채널과 상기 데이터채널 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not used by the user among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 상기 통화정보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may simultaneously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셀과 다른 크기의 존을 지시하는 존 설정기와;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가 가능하고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정보를 송출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와; 상기 통화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존 내에 행해진 휴대 이동 단말기의 통화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요금을 상기 셀 기반의 통화요금과 다르게 하는 빌링 시스템을 구비한다.A zone setter indicating a zone having a different size from a cell defined based on a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 portable mobile terminal capable of a call in the zone and transmitting call information in the zone; And a billing system that calculates a talk time of a mobile mobile terminal performed in the zone based on the call information and makes a call rate in the zone different from the cell-based call rate.

상기 존 설정기는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 내에 내장된다.The zone setter is embedded in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존 설정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구비한다.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zone setter.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컴과 상기 존 설정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통화정보를 작성한다.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ne of the micom and the zone setter creates the call information.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가 끝난 후 송출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sent after the call ends.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 중에 송출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the call.

상기 통화정보는 호 개통시 호설정 요청 메시지에 부가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a call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when a call is opened.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a call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and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존의 위치를 지시하는 주소정보가 미리 입력된다.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zone is previously input to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와 상기 주소정보를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온 데이터와 상기 오프 데이터를 작성한다.The mobile terminal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the GPS or the base station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and creates the on data and the off data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match therebetween.

상기 통화정보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한다.The call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GPS or a base station.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음성채널과 상기 데이터채널 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not used by the user among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 상기 통화정보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may simultaneously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상기 존 설정기는 하나의 상기 셀 지역 내에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zone setters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ell regions.

상기 통화정보를 분석하고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통화정보의 작성이 가능한 서버와; 상기 존 내에서의 감면 대상자 확인이 가능하도록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의 요청시 상기 가입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한다.A server capable of analyzing the call information, perform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preparing the call information; And a subscriber database for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so as to enable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 of reduction in the zone and transmitt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server upon request of the server.

상기 존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의 요청시 상기 존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존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한다.And a zone database for storing the zon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zone information to the server upon request of the server.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셀과 다른 크기의 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존 내에서 행해진 휴대 이동 단말기의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정보에 따른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요금을 상기 셀 기반의 통화요금과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etting a zone having a different size from a cell defined based on a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Creating call informa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made in the zone; And varying a call rate in the zone according to the call information from a call rate based on the cell.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가 끝난 후 송출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sent after the call ends.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 중에 송출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the call.

상기 통화정보는 호 개통시 호설정 요청 메시지에 부가된다.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a call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when a call is opened.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a call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and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음성채널과 상기 데이터채널 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not used by the user among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 상기 통화정보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may simultaneously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상기 존을 반경이 각각 다른 다수의 서브존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존들 사이에서의 통화요금을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viding the zone into a plurality of subzones each having a different radius; Varying the call charge between the subzones.

상기 존을 다수의 존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존들 사이에서의 통화요금을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etting the zone to a plurality of zones; Varying the call charge between the zones.

상기 존을 가입자가 지정하는 홈존과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지정하는 공용존으로 나누는 단계와,Dividing the zone into a home zone designated by a subscriber and a common zone design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상기 통화정보,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신청한 서비스의 등급에 따라 상기 홈존과 상기 공용존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home zone and the shared zone according to the call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grade of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 5 내지 도 20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2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존 일체형 이동통신 시스템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로부터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빌링 시스템(9)에 제공하는 홈존 서버(7)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ata Base ; 5)와, 홈존 서버(7)로부터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통화내역(통화정보)을 제공받아 통화요금을 계산하여 과금하는 빌링 시스템(9)과, 홈존 서버(7),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 빌링 시스템(9)과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통신망(3)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integrated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for creat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provides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The portable zone is provided from the home zone server 7 which receives and provides the billing system 9, the subscriber database (Data Base) 5 in which profile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using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stored, and the home zone server 7. The mobile terminal 1 receives a call history (call information), calculates and charges a bill and charges the billing system 9, the home zone server 7, the subscriber database 5, and the billing system 9, and is integrated with the mobi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terminal 1 is provided.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는 이동통신망(3)과 음성/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고, 작성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형성된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 이러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는 셀룰러,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 이하 'PCS'라 함) 기반의 휴대전화 시스템의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ant)와 같은 무선 인터넷 시스템의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establishes a voice /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cre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uses a home channel server (us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with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7) to provide.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ncludes a terminal of a cellular phone system based on cellular or PC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CS') and a terminal of a wireless Internet system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ant).

홈존 서버(7)는 이동통신망(3)을 이용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제공하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에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확인하고, 홈존 내에서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통화내역을 산출하며, 산출된 통화내역,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빌링 시스템(9)에 제공한다.The home zone server 7 receives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provided by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In addition, the subscriber database 5 checks the profile of the subscriber using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calculates the call history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n the home zone,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call history and call information. And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billing system 9.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 혹은 홈존 서버(7)로부터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으며,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 또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식별부호, 존 설정정보 등이 저장된다.The subscriber database 5 receives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or the home zone server 7, and the profile of the subscriber using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transferred to the home zone server 7. to provide. The identification code, zon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are also stored.

빌링 시스템(9)은 휴대 이동 단말기(1) 혹은 홈존 서버(7)로부터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가입자의 통화요금을 산출한다.The billing system 9 receives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1 or the home zone server 7 to calculate the call rate of the subscriber.

이동통신망(3)은 PCS, 셀룰러 기반의 휴대전화 시스템과, 무선 인터넷과 같은 무선 데이터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으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와 홈존 서버(7),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 빌링 시스템(9)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입자에게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제공한다. 또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로부터 홈존 설정정보,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아 홈존서버(7)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is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PCS, cellular-based mobile phone system, and wireless data system such as wireless internet.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9) is established to provide a subscriber with a communication channel for voice 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home zone setting information,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and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7.

도 6은 도 5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of FIG.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는 이동통신망(3)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7)에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송수신부(15)와, 홈존 설정을 위한 가입자의 주소정보와 마이컴(11)에 의해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7)와, 가입자의 주소정보와 비교하여 홈존을 설정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13)와, 가입자의 주소정보와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홈존을 설정하고,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의 통화시 홈존 이탈 여부를 판단하며,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이용하여 홈존 서버(7)에 제공하는 마이컴(11)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and provid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7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for storing the information, the memory 17 storing the subscriber's address information for setting up the home zone,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reated by the microcomputer 11, and the home zone in comparison with the subscriber's address information. Set the home zone by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the addres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nd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o leave the home zone during the call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leaving the home zone The microcomputer 11 provides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7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이동통신 송수신부(15)는 이동통신망(3)과 음성 혹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입자에게 통신채널을 제공하며, 마이컴(11)으로부터 제공되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5 forms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to provide a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subscriber, and uses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with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icrocomputer 11. The home zone server 7 is provided.

메모리(17)에는 가입자의 주소정보,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메모리(17)에 저장되는 가입자 주소정보는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의해 기록되며, 임의 수정을 방지하기 위해 쓰기 방지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The memory 17 stores the subscriber's address information,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Here, the subscriber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 is recorded by the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home zone service, and a write protection function may be added to prevent any modification.

위치정보 수신부(13)는 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 이하 'GPS'라 함) 또는 이동통신 기반의 기지국 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마이컴(11)에 제공한다. 이 경우, GPS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좌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 혹은 이동통신 기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신호 수신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위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신호 수신부는 이동통신 송수신부(15)로 대신할 수 있다. 또한, 홈존 설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기지국 위치 신호와 GPS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홈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GPS 수신부 및 기지국신호 수신부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GPS') or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icrocomputer 11. In this case, a GPS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the position coordinate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or a base station signal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Here, the base station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may be replac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an error in the home zone setting, the home zone may be set by receiving both the base station location signal and the GPS signal. In this case, both the GPS receiver and the base station signal receiver may be provided.

마이컴(11)은 이동통신 송수신부(15), 위치정보 수신부(13)를 제어하며, 메모리(17)에 저장된 가입자 주소정보와 위치정보 수신부(13)로 수신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홈존을 설정하고, 가입자의 통화시 설정된 존 내의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 유무를 판단하며,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망(3)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하여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The microcomputer 1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and sets the home zone by comparing the subscriber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in the zone set during the call of the subscriber,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and use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re prepared and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7.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chable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을 설정하고,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하는 홈존 설정기(19)와,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고,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로부터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빌링 시스템(29)에 제공하는 홈존 서버(27)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25)와, 홈존 서버(27)로부터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의 통화내역을 제공받아 통화요금을 계산하여 과금하는 빌링 시스템(29)과, 홈존 서버(27),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25) 및 빌링 시스템(29)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통신망(23)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7, the detachable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up a home zone in which a service is provided, and provides a home zone setter 19 that provid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for creating call information, a home zone server 27 for receiving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t to the billing system 29, and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database (25) storing profile information of subscribers using the terminal (21), a billing system (29) for receiving a call history of a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from the home zone server (27), and calculating and charging a call rate;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home zone server 27, the subscriber database 25, and the billing system 29 and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홈존 설정기(19)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가입자의 주소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을 설정하며, 홈존 내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 유무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인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 여기서, 홈존은 도 1과 같이 다수의 셀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로 설정된다. The home zone setter 19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sets the home zone where the service is provided by receiving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n the home zone, and leaves the home zone as a determination resul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Here, the home zone is set to a siz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 regions as shown in FIG.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는 이동통신망(23)과 음성/데이터 통신채널을 형성하며, 홈존 설정기(19)로부터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고, 통화정보를 작성하며, 제공받은 홈존 이탈정보와 작성한 통화정보를 형성된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 이러한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는 셀룰러, PCS 기반의 휴대전화 시스템의 단말기, PDA와 같은 무선 인터넷 시스템의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establishes a voice /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home zone setter 19, creates call information, and writes the receiv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cal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Such removable mobile terminals include cellular, PCS-based mobile phone system terminals, and wireless Internet system terminals such as PDAs.

홈존 서버(27)는 이동통신망(23)을 이용하여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제공하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에서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확인하고, 홈존 내에서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통화내역을 산출하며, 산출된 통화내역,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빌링 시스템(29)에 제공한다.The home zone server 27 receives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provided by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In addition, the subscriber database 25 checks the profile of the subscriber using the removable mobile terminal 21, calculates the call history of the removable mobile terminal 21 in the home zone,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call history and call information. And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billing system 29.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25)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 혹은 홈존 서버(27)로부터 통화정보 및 이탈정보를 제공받으며,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 또한,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식별부호, 존 설정정보 등이 저장된다.The subscriber database 25 is provided with call information and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21 or the home zone server 27, and the profile of the subscriber using the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21 is transferr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to provide. In addition, an identification code, zon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re stored.

빌링 시스템(29)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 혹은 홈존 서버(27)로부터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가입자의 통화요금을 산출한다.The billing system 29 receives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or the home zone server 27 to calculate the call rate of the subscriber.

이동통신망(23)은 PCS, 셀룰러 기반의 휴대전화 시스템과, 무선 인터넷과 같은 무선 데이터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으로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와 홈존 서버(27),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 빌링 시스템(29)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입자에게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제공한다. 또한,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로부터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아 홈존서버(27),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 혹은 빌링 시스템(29)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is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PCS, a cellular-based mobile phone system, and a wireless data system such as wireless Internet.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is a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 home zone server 27, a subscriber database 25, and a billing syste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29 is provided to provide a subscriber with a communication channel for voice 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nd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the subscriber database 25, or the billing system 29.

도 8은 도 7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는 이동통신망(23)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27)에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송수신부(35)와, 홈존 설정기(19)로부터 제공받은 홈존 이탈정보와 작성된 통화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7)와, 홈존 설정기(19)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무선 송수신부(33)와, 단말 무선 송수신부(33),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하며, 메모리(37)에 저장된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홈존 서버(27)에 제공하는 마이컴(31)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8,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and provid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And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a memory 37 for stor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ome zone setter 19, and created call information, and a home zone setter 19, Controls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that receiv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and store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 the memory 37. A microcomputer 31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is provided.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설정기(19)로부터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송출하는 응답신호에 응답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홈존 설정기(19)로부터 제공되는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31)에 제공한다.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transmits a signal in response to a response signal sent from the home zone setter 19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and is provided from the home zone setter 19. The departur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provided to the microcomputer 31.

이동통신 송수신부(35)는 이동통신망(23)과 음성 혹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며, 마이컴(31)으로부터 제공되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이동통신망(23)에 의해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5 forms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and provides the subscriber, and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icrocomputer 31 are communic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The channel is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using the channel.

메모리(37)에는 가입자의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가 저장된다.The memory 37 stores subscriber's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마이컴(31)은 이동통신 송수신부(35), 단말 무선 송수신부(33)을 제어하며, 홈존 설정기(19)로부터 제공되는 홈존 이탈정보를 이용하여 통화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통화정보 및 제공받은 홈존 이탈정보를 메모리(37)에 저장하며,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망(23)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The microcomputer 3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creates call information us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ome zone setter 19, and creates and provides the call information. The receiv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37,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is controlled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and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home zone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It provides to the server 27.

이동통신 송수신부(35)는 이동통신망(23)과 음성 혹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입자에게 통신채널을 제공하며, 마이컴(31)으로부터 제공되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5 forms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to provide a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subscriber, and uses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with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icrocomputer 31. The home zone server 27 is provided.

마이컴(31)은 이동통신 송수신부(35), 단말 무선 송수신부(33)을 제어하며, 메모리(37)에 저장된 가입자 주소정보와 홈존 설정기(19)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홈존을 설정하고, 가입자의 통화시 설정된 홈존 내의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 유무를 판단하며,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망(23)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The microcomputer 3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nd compares the subscriber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7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tter 19 to establish a home zone.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n the home zone set during the call of the subscriber,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and establis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By using the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created and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도 9는 도 7의 홈존 설정기(19)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home zone setter 19 of FIG. 7.

도 9를 참조하면, 홈존 설정기(19)는 가입자의 주소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45)와 홈존을 설정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43)와, 설정된 홈존 내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하며,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홈존 이탈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수신부(41)와, 위치정보 수신부(43)와 무선 송수신부(41)를 제어하며, 메모리(45)의 주소정보와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홈존을 설정하고, 설정된 홈존 내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하는 제어부(39)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9, the home zone setter 19 includes a memory 45 in which address information of a subscriber is stored,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3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or setting a home zone, and a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in a set home zone.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 provid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21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has left the home zone. Control the 43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41, compare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memory 45 with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set the home zone, and determine whether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in the set home zone is located. The control unit 39 determines and prepar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메모리(45)에는 주소정보와 부가정보가 저장된다. 주소정보는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지역의 주소정보이며, 위도 및 경도 좌표가 저장된다. 부가정보는 단말기 식별정보와 같은 홈존 설정기(19)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로서, 홈존 내에 다수의 가입자가 존재할 경우 가입자 혹은 가입자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가입자의 홈존 서비스 가입시 부과되며,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ID(Identification : 이하 'ID'라 함), 숫자, 코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주소정보와 부가정보는 가입자나 제 3 자에 의한 임의 수정을 방지하기 위해 쓰기 방기 기능과 같은 보호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The memory 45 stores address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e address information is address information of a region where a subscriber wants to receive home zone service, an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are stor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home zone setter 19 such a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es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subscriber or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of the subscrib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bscribers in the home zone. Such additional information is charged when the subscriber joins the home zone service, and may be an ID (ID), a number, a code, and the like uniquely assigned to each of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s 21. In this case,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added with a protection function such as a write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any modification by the subscriber or a third party.

위치정보 수신부(43)는 GPS 또는 이동통신 기반의 기지국 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제어부(39)에 제공한다. 이 경우, GPS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 혹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 신호 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홈존 설정과 홈존 이탈정보 작성시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기지국 송출 위치정보와 GPS로 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홈존을 설정하고,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 신호 수신부 및 GPS 수신부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43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based on GPS or mobile communication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9. In this case, a GPS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or a base station signal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s provided.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in setting the home zone and creat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both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PS can be received to set the home zone and create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n this case, both the base station signal receiver and the GPS receiver may be provided.

무선 송수신부(41)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며, 제어부(39)가 작성한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 또한, 형성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홈존 내 위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응답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무선 송수신부(41)는 홈존 내에 다수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존재할 경우, 메모리(45)에 저장된 부가정보에 의해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를 구분한다. 무선 송수신부(41)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단말 무선 송수신부(33)와의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등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를 사용할 경우, 홈존의 반경은 100m 이상의 범위도 가능하다. 아울러, 홈존의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다수의 홈존 설정기(19)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transceiver 41 form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nd provides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wit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created by the controller 39. In addition, a response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a location of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in the home zone is provided using the formed wireless channel.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movable portable terminals 21 in the home zone, the wireless transceiver 41 distinguishes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s 21 by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5.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wireless transceiver 41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Bluetoo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Zigbee (Zigbee). And the like can be applied. In addition, when using Bluetooth as a communication method, the radius of the home zone may be in the range of 100m or mo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me zone setters 19 may be used to enlarge the area of the home zone.

제어부(39)는 무선 송수신부(41), 위치정보 수신부(43)를 제어하며, 메모리(45)에 저장된 가입자 주소정보와 위치정보 수신부(43)로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홈존을 설정하고, 설정된 홈존 내에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응답신호에 따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홈존 내 위치여부를 판단하여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The controller 39 controls the wireless transceiver 4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3, sets a home zone by comparing the subscriber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5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3.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is controlled to generate a response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set home zone, and the home zone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is in the home zone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The departure information is created, and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국 또는 특정지역의 공용존에 대한 공용존 위치정보 또는 공용존 주소정보가 저장된 공용존 데이터 베이스(61)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의 위치정보를 공용존 서버(57)에 제공하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와, 공용존 서버(57)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간의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의 위치정보를 공용존 서버(57)에 제공하는 이동통신망(53)과,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가 제공하는 위치정보와 공용존 주소정보 또는 공용존 위치정보를 비교하며, 가입자를 확인하고 공용존 내에서의 가입자 통화내역을 작성하여 빌링 시스템(59)에 제공하는 공용존 서버(57)와, 공용존 서버(57)로부터 가입자의 통화내역을 제공받아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빌링시스템(59)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integrated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on zone database 61 storing common zone location information or common zone address information for a common zone in a country or a specific region, and an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An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51 to the common zone server 57, and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shared zone server 57 and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are formed, Compa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3 which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mobile terminal 51 to the common zone server 57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and the shared zone address information or the shared zone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subscriber, create the subscriber call history in the common zone and provide the billing system 59 with the shared zone server 57 and the subscriber's call history from the common zone server 57 to receive the usage fee.The billing system 59 is computed.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5)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공용존 서버(57)에 제공한다. 또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의 식별부호, 존 설정정보 등이 저장된다.The subscriber database 55 provides the shared zone server 57 with a profile of the subscriber using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The identification code, zon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are also stored.

빌링 시스템(59)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 혹은 공용존 서버(57)로부터 가입자 통화내역을 제공받아 해당 가입자의 이용요금을 산출한다.The billing system 59 receives the subscriber's call history from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or the common zone server 57 and calculates the usage fee of the subscriber.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는 현재 위치가 홈존 또는 공용존인지 판단하고,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53)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공용존 서버(57)에 제공한다. 이러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는 셀룰러,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 이하 'PCS'라 함) 기반의 휴대전화 시스템 의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ant)와 같은 무선 인터넷 시스템의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integrated portable terminal 51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 home zone or a shared zone,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terminal 51 to the shared zone server 57 us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3. .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includes a terminal of a cellular phone system based on cellular or PC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S') and a terminal of a wireless Internet system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ant).

공용존 서버(57)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공용존 데이터 베이스(61)의 공용존 주소정보 또는 공용존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가 공용존에 위치하는지 판단하며,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5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가입자를 확인하고, 가입자가 공용존 내에서 통화를 하면 가입자 통화내역을 작성하여 빌링 시스템(59)에 제공한다.The shared zone server 57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with the shared zone address information or the shared zon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hared zone database 61, so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is shar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s located in the subscriber database 55, the subscriber is identified using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55, and when the subscriber calls in the common zone, the subscriber call history is prepared and provided to the billing system 59.

이동통신망(53)은 PCS, 셀룰러 기반의 휴대전화 시스템과, 무선 인터넷과 같은 무선 데이터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으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와 공용존 서버(57)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입자에게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제공한다. 또한,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로부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홈존서버(57)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3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and the common zone server 57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PCS, a cellular-based mobile phone system, and a wireless data system such as wireless Internet. Provides communication channel for voice 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and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57.

공용존 데이터베이스(61)는 공용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주소정보와 전국 또는 특정 지역의 공용존 주소정보가 저장된다.The common zone database 61 stores address information of a region where a common zone service is provided and shared zone address information of a nation or a specific region.

일체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6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of the integrated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of FIG. 6,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일체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는 위치정보 수신부(13), 이동통신 송수신부(15), 메모리(17) 및 마이컴(11)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of the integrated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a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a memory 17, and a microcomputer 11.

이동통신 송수신부(15)는 이동통신망(53)에 의해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가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공용존 서버(57)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provides the common zone server 57 with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using a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3.

메모리(17)에는 위치정보 수신부(13)로 수신되는 위치정보가 저장된다.The memory 17 store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위치정보 수신부(13)는 GPS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 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마이컴(11)에 제공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or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icrocomputer 11.

마이컴(11)은 위치정보 수신부(13)로 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17)에 저장하며, 제공받은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경유하여 공용존 서버(57)에 제공한다.The microcomputer 1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an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17. I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stored address information, the microcomputer 11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 It is provided to the common zone server 57 via 15).

도 11은 분리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e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1을 참조하면, 분리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국 또는 특정지역의 공용존에 대한 공용존 위치정보 또는 공용존 주소정보가 저장된 공용존 데이터 베이스(81)와, 공용존 서버(77)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간의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공용존 이탈정보를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하는 이동통신망(73)과, 가입자의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75), 공용존 서버(77)로부터 가입자의 통화내역을 제공받아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빌링시스템(79)과, 주소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공용존을 설정하고 공용존 이탈정보를 작성하여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에 제공하는 공용존 설정기(69)와, 공용존 설정기(69)로부터 공용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이동통신망(73)을 경유하여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하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로부터 공용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통화내역을 산출하여 빌링시스템(79)에 제공하는 공용존 서버(77)를 구비한다. 여기서, 분리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공용존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용존 설정기(69)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detached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vided into a common zone database 81 storing common zone location information or common zone address information for a common zone in a country or a specific region, and a shared zone server 77.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and the subscriber's profile are stored to form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mobile mobile terminals 71 and provide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to the common zone server 77. Billing system 79 that calculates the usage fee by receiving subscriber's call history from subscriber database 75 and common zone server 77, and set up a common zone using addres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common zone setter 69 provides information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and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common zone setter 69, and receives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The mobile terminal 71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71 and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portable terminal 71 calculate the call history of the mobile portable terminal 71 and provide the billing system 79 to the billing system 79. A common zone server 77 is provided. Here, the separate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on zone setters 69 installed in one common zone.

공용존 데이터베이스(81)에는 전국 또는 특정지역의 공용존에 대한 공용존 위치정보 또는 공용존 주소정보가 저장되고,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가 제공하는 공용존 이탈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위해 공용조 주소정보 혹은 위치정보를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한다.The common zone database 81 stores the common zon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common zone address information for the common zone of the whole country or a specific region, and compares the common zone address for comparison with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71. Information or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mmon zone server 77.

이동통신망(73)은 공용존 서버(77)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간의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공용존 이탈정보를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한다. 이동통신망(73)은 PCS, 셀룰러 기반의 휴대전화 시스템과, 무선 인터넷과 같은 무선 데이터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으로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와 공용존 서버(77)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입자에게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채널을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forms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common zone server 77 and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and transmits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to the shared zone server 77. to provide.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is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PCS, a cellular-based mobile phone system, and a wireless data system such as a wireless Internet, and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and the common zone server 77. Provides communication channel for voice or data communication.

빌링시스템(79)은 공용존 서버(77)로부터 가입자의 통화내역을 제공받아 이용요금을 산출한다. Billing system 79 receives the call history of the subscriber from the common zone server 77 to calculate the usage fee.

공용존 설정기(69)는 주소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공용존을 설정하고, 공용존 내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공용존 이탈정보를 작성하여 제공한다.The common zone setter 69 sets up a common zone using addres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creates and provides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in the shared zone.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는 공용존 설정기(69)로부터 공용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이동통신망(73)을 경유하여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한다.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receives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common zone setter 69 and provides the shared zone server 77 to the shared zone server 77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공용존 서버(77)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로부터 공용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통화내역을 산출하여 빌링시스템(79)에 제공한다.The common zone server 77 receives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calculates the call history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and provides it to the billing system 79.

가입자 데이터베이스(75)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를 사용하는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한다.The subscriber database 75 provides the shared zone server 77 with a profile of the subscriber using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분리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8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of the detachable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of FIG. 8,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분리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는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공용존 설정기(69)에 의해 제공된 공용존 이탈정보를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송수신부(35)와, 공용존 설정기(69)가 제공하는 공용존 이탈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37)와, 공용존 이탈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공용존 설정기(69)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말 무선 송수신부(33)와,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로 부터 공용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이 공용존 이탈정보를 이용하여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통화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통화정보와 공용존 이탈정보를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하는 마이컴(31)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8,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of the detachable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ms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shared zone depart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mmon zone setter 69.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for providing to the zone server 77, the memory 37 storing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mmon zone setter 69, and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which 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zone setter 69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re provided with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portable mobile sepa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shared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microcomputer 31 provides cal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71 and provides the created call information and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common zone server 77.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공용존 설정기(69)가 송출하는 응답신호에 응답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공용존 설정기(69)로부터 제공되는 공용존 이탈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31)에 제공한다.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transmits a signal in response to a response signal sent by the common zone setter 69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71, and provides the same from the common zone setter 69. Receive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icrocomputer 31.

이동통신 송수신부(35)는 이동통신망(73)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며, 마이컴(31)으로부터 제공되는 공용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이동통신망(73)에 의해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5 forms a voice or dat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and provides the subscriber, and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icrocomputer 31 are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provided to the common zone server 77.

메모리(37)에는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로 수신된 공용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가 저장된다.The memory 37 stores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마이컴(31)은 이동통신 송수신부(35), 단말 무선 송수신부(33)을 제어하며, 공용존 설정기(69)로부터 제공되는 공용존 이탈정보를 이용하여 통화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통화정보 및 제공받은 홈존 이탈정보를 메모리(37)에 저장하며,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망(73)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공용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77)에 제공한다.The microcomputer 3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mitter / receiver 35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creates call information using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mmon zone setter 69, and creates the call information. And store the receiv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n the memory 37,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and use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for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a cal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77.

분리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의 공용존 설정기(69)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도 9의 홈존 설정기(21)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on zone setter 69 of the separate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ome zone setter 21 of FIG. 9,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분리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의 공용존 설정기(69)는 무선 송수신부(41), 제어부(39), 위치정보 수신부(43) 및 메모리(4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9, the common zone setter 69 of the separate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wireless transceiver 41, a controller 39,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3, and a memory 45.

메모리(45)에는 주소정보와 부가정보가 저장된다. 주소정보는 공용존을 형성하고자 하는 지역의 주소정보이며, 위도 및 경도 좌표가 저장된다. 부가정보는 단말기 식별정보와 같은 공용존 설정기(69)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로서, 공용존 내에 다수의 가입자가 존재할 경우 가입자 혹은 가입자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공용존 서비스 가입시 부과되며, 분리형 이동 단말기(71)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ID, 숫자, 코드 등일 수 있다.The memory 45 stores address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e address information is address information of a region to form a common zone, and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are stor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mmon zone setter 69, such a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es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subscriber or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of the subscrib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ubscribers in the common zone. . Such additional information is charged at the time of joining the common zone service, and may be an ID, a number, a code, etc. which are uniquely assigned to each of the removable mobile terminals 71.

위치정보 수신부(43)는 GPS 또는 이동통신 기반의 기지국 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제어부(39)에 제공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43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based on GPS or mobile communication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9.

무선 송수신부(41)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며, 제어부(39)가 작성한 공용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에 제공한다. 또한, 형성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공용존 내 위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응답신호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에 제공한다. 한편, 무선 송수신부(41)는 공용존 내에 다수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가 존재할 경우, 메모리(45)에 저장된 부가정보에 의해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를 구분한다. 무선 송수신부(41)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단말 무선 송수신부와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WLAN, RFID, 지그비 등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 form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and provides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created by the control unit 39 to the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In addition, the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provides a response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is located in the common zone using the formed wireless channel.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s 71 in the common zone, the wireless transceiver 41 distinguishes the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s 71 by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5.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terminal of the wireless transceiver 41 and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may use Bluetooth, WLAN, RFID, and Zigbee.

제어부(39)는 무선 송수신부(41), 위치정보 수신부(43)를 제어하며, 메모리(45)에 저장된 공용존 주소정보와 위치정보 수신부(43)로 수신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공용존을 설정하고, 설정된 공용존 내에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위치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무선 송수신부(41)를 제어하며, 응답신호에 따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공용존 내 위치여부를 판단하여 공용존 이탈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에 제공한다.The controller 39 controls the wireless transceiver 4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3, and compares the shared zon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5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3 to establish a shared zone. Set and control the wireless transceiver 41 to generate a response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71 is located in the set common zone, and share the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sition in the zone,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created, and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이하, 상술한 일체형/분리형 홈존 시스템. 일체형/분리형 공용존 시스템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grated / separable home zone system described abov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ntegrated / separated co-zone system.

도 12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일체형 홈존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1),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제 2 단계(S3),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하는 제 3 단계(S5) 및 가입자를 확인하고 통화 내역을 산출하여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제 4 단계(S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home zone system. The first step of setting a home zone (S1), and the second step of creat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S3), a third step (S5)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providing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a fourth step (S7) of identifying a subscriber and calculating a call history to calculate a usage fee.

제 1 단계(S1)는 홈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이 설정된다. 이를 위해 가입자는 서비스 제공 업체 또는 대리점을 등을 방문하여 홈존 서비스 가입 신청을 한다. 가입신청을 받은 대리점 또는 업체에서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메모리(17)와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5)에 가입자의 주소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주소정보는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지역의 홈존 설정을 위한 정보로써, 홈존이 위치하게 되는 지역의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좌표, 주소 및 해당 지역의 기지국 위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주소정보에 저장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는 홈존의 중심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좌표값일 수 있으며, 홈존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위도의 범위 및 경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홈존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irst step S1, a home zone where a home zone service is provided is set. To do this, the subscriber visits a service provider or an agent and applies for home zone service. The agency or company that receives the subscription application inputs the subscriber's address information into the memory 17 and the subscriber database 5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Here, the addr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setting a home zone of a region where a subscriber wants to receive home zone service. The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coordinates such as latitude and longitude of a region where the home zone is located, an address, and a location of a base station of a corresponding region. In additi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stored in the address information may be a coordinate value for setting the center region of the home zone, and may be a range of latitude and longitude for setting the range of the home zon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ocess of setting a home zone by receiving a location signal.

제 2 단계(S3)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와 홈존 서버(7)에 입력된 가입자의 주소정보에 의해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가상의 영역인 홈존이 설정되면, 가입자가 홈존에서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면,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정보 수신부(13)는 GPS, 기지국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의 마이컴(11)은 위치정보 수신부(13)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마이컴(11)은 메모리(17)에 저장된 주소정보의 위도 및 경도 좌표가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홈존 서비스 지역을 계산한다. 수신된 위치정보의 좌표가 계산된 반경 내에 있으면 마이컴(11)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홈존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홈존의 반경을 계산하는 과정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주소정보가 입력된 후 부터 위치정보 수신 전의 임의 기간에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주소정보 입력시 계산된 홈존 반경 정보가 함께 입력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step S3, when the home zone, which is a virtual area in which the subscriber can be provided with the home zone service, is set up by the subscriber's address information input to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and the home zone server 7, the subscriber sets the home zone. Proceed with the call to make a call. When the process for making a call proceed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a base station, or the like. The microcomputer 11 of the terminal 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 and che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icrocomputer 11 calculates a home zone service area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point where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 intersect. If the coordinates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re within the calculated radius, it is determined that the microcomputer 11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in the home zone. Her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radius of the home zone may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after receiving the address information and before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home zone radius information calculated when the address information is input may be input together.

한편, 입력된 주소정보가 위도 및 경도의 좌표 범위로 주어지면, 마이컴(11)은 수신된 위치정보의 좌표값이 주소정보의 좌표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를 판단한다. 여기서,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이용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일례이며, 입력된 주소정보가 위도 및 경도 좌표값이 아닐경우,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address information is given in the coordinate range of latitude and longitude, the microcomputer 11 determines whether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the coordinate range of the address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do. Her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using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is an example. When the input address information is not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values,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may vary.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가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마이컴(11)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microcomputer 11 crea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icrocomputer 1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the microcomputer 11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1, the microcomputer 11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함과 동시에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microcomputer 11 wri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작성하면, 마이컴(11)은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메모리(17)에 저장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created, the microcomputer 11 stor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the memory 17.

제 3단계(S5)는 가입자가 통화를 종료하면, 마이컴(11)은 홈존 서버(7)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제어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송수신부(15)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 채널은 데이터 채널이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따라 음성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third step S5, when the subscriber terminates the call, the microcomputer 1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rver 7. Here,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is a data channel, and may form a voice channel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마이컴(11)은 메모리(17)에 저장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the microcomputer 11 provid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 to the home zone server 7.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7)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에 제공한다.The home zone server 7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provides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have been received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홈존 서버(7)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이컴(11)은 형성된 통신채널을 단절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제어한다.Upon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home zone server 7, the microcomputer 1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to disconnect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반면에, 홈존 서버(7)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의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통신 채널이 유지 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통신 채널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재송신한다. 만약, 재송신 이후에도 홈존 서버(7)로 부터 수신 성공 메시지를 제공받지 못하면, 마이컴(11)은 송신이 성공할 때까지 재송신 과정을 반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rver 7, the microcomputer 11 determines that transmiss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has failed. If it is determined that transmission has failed, the microcomputer 11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mainta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maintained, the microcomputer 11 retransmit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f the reception success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rver 7 even after retransmission, the microcomputer 11 repeats the retransmission process until the transmission is successful.

한편,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전원이 부족하거나, 음영 지역으로의 진입 등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혹은 기타의 이유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7)에 제공하지 못하면, 마이컴(11)은 휴대 이동 단말기(1)가 재동작시 혹은 음영 지역이탈시에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7)에 송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lacks power, fails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entering a shaded area, or otherwise fails to provid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7, The microcomputer 11 transmit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7 when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1 reactivates or leaves the shadow area.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송신하면,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는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maintains the standby state.

제 4 단계(S7)는, 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여기서, ID 및 존 설정정보 등을 함께 제공 받을 경우, 홈존 서버(7)는 ID 및 존 설정정보에 의해 가입자와 설정된 홈존을 확인하게 된다.In the fourth step S7, 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d with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5 to confirm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Here, when the ID and zone setting information are provided together, the home zone server 7 checks the home zone set with the subscriber by the ID and zone setting information.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홈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빌링 시스템(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9 wit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order to charge the usage fee.

홈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9)은 존 이탈정보가 온인지 확인하여 가입자의 홈존 내외에서의 통화시간을 산출한다.The billing system 9 provided wit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whether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n and calculates a call time in and out of the subscriber's home zone.

홈존 이탈정보를 확인하여 홈존 이탈정보가 온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과 존 서비스 제공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하여 요금을 산출한다.I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turned on by check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rat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discount rate according to the zone service provision.

반면에 홈존 이탈정보가 오프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산출한다. 산출된 요금은 데에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 등을 거쳐 이용자에게 과금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ff, the charge based on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fee is charged to the user through a process such as being stored in the data base.

제 2 실시예는 분리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도 7 내지 도 9)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is a method of using a separate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S. 7 to 9),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제 1 단계(S1)는 홈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이 설정된다. In the first step S1, a home zone where a home zone service is provided is set.

이를 위해 가입자는 서비스 제공 업체 또는 대리점을 등을 방문하여 홈존 서비스 가입 신청을 한다. 가입신청을 받은 대리점 또는 업체에서는 홈존 설정기(19)의 메모리(45)와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25)에 가입자의 주소정보를 입력한다. To do this, the subscriber visits a service provider or an agent and applies for home zone service. The agency or company that received the subscription request enters the subscriber's address information into the memory 45 of the home zone setter 19 and the subscriber database 25.

주소정보가 입력되면, 가입자, 대리점 혹은 업체에 의해 홈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지역에 홈존 설정기(19)가 설치된다. 홈존 설정기(19)가 설치된 후 동작되면, 홈존 설정기(19)는 위치정보 수신부(43)에 의해 GPS, 기지국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39)는 위치정보 수신부(43)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45)에 저장된 주소정보와 비교하여 홈존 설정기(19)가 설치된 위치가 주소정보에 기록된 위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주소정보에 기록된 위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메모리(45)에 저장된 주소정보의 위도 및 경도 좌표가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홈존 서비스 지역을 계산한다.When the address information is input, the home zone setter 19 is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home zone service is to be provided by the subscriber, the dealer or the company. When the home zone setter 19 is operated after the home zone setter 19 is installed, the home zone setter 19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the base station, etc. by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43. The controller 39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3 and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5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where the home zone setter 19 is installed is the same as the location recorded in the address information. If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location recorded in the address information, the controller 39 calculates a home zone service area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point where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5 intersect.

반면에, 주소정보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설정기(19)의 위치가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작성한다. 여기서, 작성된 메시지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설정기(19)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때,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로 제공된다. 제공된 메시지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이동통신망(23)과 통신 채널 형성시 홈존 서버(27)에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does not coincide with the recording of the address information, the controller 39 creates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position of the home zone setter 19 is wrong. Here, the written message is provided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when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tter 19. The provided message is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when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제 2 단계(S2)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2 is a step of creat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설정기에 의해 홈존이 설정된 후,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를 시도한다. 이때,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설정기(19)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시도한다. 여기서 홈존 설정기(19)와 단말 무선 송수신부(33) 통신 채널 형성 방법은 홈존 설정기(19)가 소정의 주기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시 홈존 설정기(19)기를 탐색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After the home zone is set by the home zone setter,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ttempts to make a call. At this time,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tter 19. Here, the method for form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home zone setter 19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33 generates a response signal by the home zone setter 19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sets the home zone when the removable mobile terminal 21 calls. An example is a method of searching for groups 19.

우선, 홈존 설정기(19)가 소정의 주기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홈존 설정기(19)가 동작되면, 제어부(39)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응답신호를 발생하도록 무선 송수신부(41)를 제어한다. 여기서, 응답신호를 발생하는 주기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지며, 가변적일 수 있다. 이때,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하면,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컴(31)에 제공한다. 마이컴(31)은 응답신호에 의해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함을 인지하고, 동시에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로 하여금 응답신호에 응답하는 신호 혹은 메시지를 홈존 설정기(19)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홈존 설정기(19)는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로 부터 제공되는 신호 혹은 메시지를 확인하고,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함을 인지한다.First, when the home zone setter 19 generates a response signal at a predetermined cycle, when the home zone setter 19 is operated, the controller 39 may determine whether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radio transceiver 41 is controlled to generate a response signal. Here, the period for generating the response signal varies depending on the system and may be variable. At this time, when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microcomputer 31. The microcomputer 31 recognizes that the separat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a signal or message to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in response to the response signal. Control to provide. The home zone setter 19 checks a signal or a message provided from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nd recognizes that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한편,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설정기(19)를 탐색하는 방법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통화시도시 마이컴(31)은 홈존 설정기를 확인하기 위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를 제어한다. 이때, 홈존 설정기(19)의 응답이 수신되면,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마이컴(31)은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함을 인지한다.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홈존 설정기(19)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함을 인지한다.Meanwhile, the method of searching for the home zone setter 19 by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such that the microcomputer 31 showing the call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generates a response signal for confirming the home zone setter.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is controlled. At this time, when the response of the home zone setter 19 is received, the microcomputer 31 of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recognizes that th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home zone setter 19 that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recognizes that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가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제어부(39)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When the posi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control unit 39 cre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제어부(39)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The controller 39 provid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31)에 제공한다.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microcomputer 31.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microcomputer 31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제 3단계(S5)는 가입자가 통화를 종료하면, 마이컴(31)은 홈존 서버(27)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송수신부(35)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 채널은 데이터 채널이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따라 음성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third step S5, when the subscriber terminates the call, the microcomputer 3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rver 27. Here,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is a data channel, and a voice channel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마이컴(31)은 메모리(37)에 저장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the microcomputer 31 provid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7 to the home zone server 27.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27)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The home zone server 27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provides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have been received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홈존 서버(27)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이컴(31)은 형성된 통신채널을 단절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한다.Upon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home zone server 27, the microcomputer 3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to disconnect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반면에, 홈존 서버(27)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의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마이컴(31)은 통신 채널이 유지 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통신 채널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재송신한다. 만약, 재송신 이후에도 홈존 서버(27)로 부터 수신 성공 메시지를 제공받지 못하면, 마이컴(31)은 송신이 성공할 때까지 재송신 과정을 반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rver 27, the microcomputer 31 determines that transmiss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has failed. If it is determined that transmission has failed, the microcomputer 31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mainta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maintained, the microcomputer 31 retransmit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f the reception success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rver 27 even after retransmission, the microcomputer 31 repeats the retransmission process until the transmission is successful.

한편,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전원이 부족하거나, 음영 지역으로의 진입 등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혹은 기타의 이유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27)에 제공하지 못하면, 마이컴(31)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재동작시 혹은 음영 지역이탈시에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27)에 송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21 lacks power, fails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such as entering a shaded area, or fails to provid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for other reasons, The microcomputer 31 transmit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when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reoperates or leaves the shadow area.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송신하면,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는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maintains the standby state.

제 4 단계(S7)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S7)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usage fee us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2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여기서, ID 및 존 설정정보 등을 함께 제공 받을 경우, 홈존 서버(27)는 ID 및 존 설정정보에 의해 가입자와 설정된 홈존을 확인하게 된다. The home zone server 27 receiving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25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Here, when the ID and zone setting information are provided together, the home zone server 27 checks the home zone set with the subscriber by the ID and zone setting information.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2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홈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빌링 시스템(2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2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29 wit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subscriber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charge the usage fee.

홈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29)은 존 이탈정보가 온인지 확인하여 가입자의 홈존 내외에서의 통화시간을 산출한다.The billing system 29 provided wit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whether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n and calculates a call time in and out of the home zone of the subscriber.

홈존 이탈정보를 확인하여 존 이탈정보가 온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과 홈존 서비스 제공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하여 요금을 산출한다.If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checked by check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rat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discount rate according to the home zone service provision.

반면에 홈존 이탈정보가 오프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산출한다. 산출된 요금은 데에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 등을 거쳐 이용자에게 과금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ff, the charge based on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fee is charged to the user through a process such as being stored in the data base.

도 13은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도 13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는 일체형 홈존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11),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 정보 작성하는 제 2 단계(S13), 헤더메시지를 작성 및 전송하는 제 3 단계(S15) 및 통화내역 산출, 가입자 인증 및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제 4 단계(S1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a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tep S11 of setting a home zone in a method of using an integrated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econd step S13 of creat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creating a header message. And a third step S15 of transmitting and a fourth step S17 of calculating call history,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usage fee.

제 7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seventh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제 3 실시예의 제 1 단계(S11) 및 제 2 단계(S13)은 제 1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단계(S1, S3)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first step S11 and the second step S13 of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steps S1 and S3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3 단계(S15)는 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S15) is to write and transmit.

마이컴(11)에 의해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가 작성되어 메모리(17)에 저장된 후,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가 기록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인 헤더메시지(Header Message : 이하 'HM'이라 함)를 작성한다. 여기서, HM이란 휴대 전화 시시템과 같은 기지국 이용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개통 관련 메시지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HM들은 사용자의 임의 기록이 가능한 유저필드(User Field)가 제공되므로, 이 유저필드에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가 기록되게 된다. 작성된 HM은 메모리(17)에 저장될 수 있다.After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cre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17 by the microcomputer 11, the microcomputer 11 receives a header message which is a call setup request message in whic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recorded. HM '). Here, the HM means opening-related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n a base station using system such as a mobile phone system. Since these HMs are provided with a user field that allows arbitrary recording of a user,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re recorded in this user field. The created H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

HM이 작성되면, 마이컴(11)은 이동통신망(3)과의 통신 채널 형성시에 이동통신 송수신부(15)에서 이동통신망(3)에 송신하는 개통 메시지에 HM을 부가하여 송신한다. 부가된 HM은 이동통신망(23)을 경유하여 홈존서버(7)에 제공된다.When the HM is created, the microcomputer 11 adds and transmits the HM to the opening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is formed. The added HM is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7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제 4 단계는 전송된 HM으로부터 통화정보 및 홈존 이탈정보를 검출하여, 통화내역 산출, 가입자 인증 및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is a step of detecting call information an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d HM to calculate call history,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usage fee.

HM을 제공받은 홈존 서버(7)는 HM으로부터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검출한다. 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d with the HM detect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from the HM.

한편,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통화가 종료되면, 홈존 서버(7)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통화종료 시간을 확인하고, 검출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와 통화종료 시간을 이용하여 통화내역을 산출한다 또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ends, the home zone server 7 confirms the call end time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nd uses the detec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call end time. Call history is calculated.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5 is checked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검출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빌링 시스템(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9 with subscriber information, detec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in order to charge the usage fee.

홈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와 통화내역을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9)은 존 이탈정보가 온인지 확인하여 가입자의 홈존 내외에서의 통화시간을 산출한다.The billing system 9 provided wit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call history checks whether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n and calculates a call time in and out of the home zone of the subscriber.

홈존 이탈정보를 확인하여 존 이탈정보가 온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과 존 서비스 제공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하여 요금을 산출한다.If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turned on by check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rat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discount rate according to the zone service provision.

반면에 존 이탈정보가 오프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산출한다. 산출된 요금은 데에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 등을 거쳐 이용자에게 과금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ff, the charge according to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fee is charged to the user through a process such as being stored in the data base.

도 13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는 분리형 홈존 이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11),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제 2 단계(S13), HM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제 3단계(S15) 및 통화내역 산출, 가입자 인증 및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제 4 단계(S1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fourth embodiment provides a first step (S11) of setting a home zone in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using a detachable home zone mobile system, and a second step (S13) of creat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It includes a third step (S15) of creating and transmitting an HM and a fourth step (S17) of calculating call history,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usage fee.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제 4 실시예의 제 1 단계(S11)는 제 2 실시예의 제 1 단계(S3)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irst step S11 of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step S3 of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단계(S13)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13 is a step of creat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설정기(19)에 의해 홈존이 설정된 후,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를 시도한다. 이때,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설정기(19)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시도한다. After the home zone is set by the home zone setter 19,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ttempts to make a call. At this time,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tter 19.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가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제어부(39)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removable mobile terminal 2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controller 39 cre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제어부(39)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The controller 39 provid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31)에 제공한다.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microcomputer 31.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microcomputer 31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한편, 홈존 설정기(19)에서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되는 단계는 생략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provid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home zone setter 19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can be omitted.

제 3 단계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HM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is to transmit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HM.

홈존 이탈정보가 작성되면 홈존 설정기(19)의 제어부(39)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가 포함되는 HM을 작성한다. HM이 작성되면 제어부(39) 무선 송수신부(41)에 의해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HM을 송신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created, the control unit 39 of the home zone setter 19 creates an HM including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When the HM is created, the control unit 39 transmits the HM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us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1.

HM을 수신하면,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마이컴(31)은 통화 시간이 기록된 통화정보를 HM에 부가한다.Upon receiving the HM, the microcomputer 31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dds the call information with the recorded talk time to the HM.

통화정보가 부가된 HM은 이동통신망(23)을 경유하여 홈존서버(27)에 제공된다.The HM to which call information is added is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제 4 단계(S17)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S17)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usage fee us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2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여기서, ID 및 존 설정정보 등을 함께 제공 받을 경우, 홈존 서버(27)는 ID 및 존 설정정보에 의해 가입자와 설정된 홈존을 확인하게 된다. The home zone server 27 receiving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25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Here, when the ID and zone setting information are provided together, the home zone server 27 checks the home zone set with the subscriber by the ID and zone setting information.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2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홈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빌링 시스템(2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2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29 wit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subscriber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charge the usage fee.

홈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29)은 존 이탈정보가 온인지 확인하여 가입자의 홈존 내외에서의 통화시간을 산출한다.The billing system 29 provided with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whether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n and calculates a call time in and out of the home zone of the subscriber.

홈존 이탈정보를 확인하여 홈존 이탈정보가 온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과 존 서비스 제공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하여 요금을 산출한다.I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turned on by check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rat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discount rate according to the zone service provision.

반면에 존 이탈정보가 오프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산출한다. 산출된 요금은 데에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 등을 거쳐 이용자에게 과금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ff, the charge according to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fee is charged to the user through a process such as being stored in the data base.

도 14는 제 5 및 제 6 실시예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는 일체형 홈존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21),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 2 단계(S23),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리스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S25) 및 리스트를 이용하여 통화내역 및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제 4 단계(S27)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4,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home zone system. The first step (S21) of setting a home zone and a list of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re made. A second step (S23), and a third step (S25) for transmitting a list by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fourth step (S27) for calculating the call history and the usage fee using the list.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제 1 단계(S21)의 홈존 설정 방법은 제 1 실시예의 제 1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home zone setting method of the first step S21 is the same as the first step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단계(S23)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와 홈존 서버(7)에 입력된 가입자의 주소정보에 의해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가상의 영역인 홈존이 설정되면, 가입자가 홈존에서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면,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정보 수신부(13)는 GPS, 기지국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의 마이컴(11)은 위치정보 수신부(13)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마이컴(11)은 메모리(17)에 저장된 주소정보의 위도 및 경도 좌표가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홈존 서비스 지역을 계산한다. 수신된 위치정보의 좌표가 계산된 반경 내에 있으면 마이컴(11)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홈존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홈존의 반경을 계산하는 과정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주소정보가 입력된 후 부터 위치정보 수신 전의 임의 기간에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주소정보 입력시 계산된 홈존 반경 정보가 함께 입력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step S23, when the home zone is set up, which is a virtual area where the subscriber can be provided with the home zone service by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which is input to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and the home zone server 7, the subscriber sets the home zone. Proceed with the call to make a call. When the process for making a call proceed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a base station, or the like. The microcomputer 11 of the terminal 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 and che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icrocomputer 11 calculates a home zone service area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point where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 intersect. If the coordinates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re within the calculated radius, it is determined that the microcomputer 11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in the home zone. Her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radius of the home zone may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after receiving the address information and before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home zone radius information calculated when the address information is input may be input together.

한편, 입력된 주소정보가 위도 및 경도의 좌표 범위로 주어지면, 마이컴(11)은 수신된 위치정보의 좌표값이 주소정보의 좌표 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를 판단한다. 여기서,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이용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일례이며, 입력된 주소정보가 위도 및 경도 좌표값이 아닐경우,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address information is given in the coordinate range of latitude and longitude, the microcomputer 11 determines whether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within the coordinate range of the address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do. Her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using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is an example. When the input address information is not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values,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may vary.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가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마이컴(11)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microcomputer 11 crea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microcomputer 11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1, the microcomputer 11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함과 동시에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microcomputer 11 wri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작성하면, 마이컴(11)은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메모리(17)에 저장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created, the microcomputer 11 stor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the memory 17.

마이컴(11)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통화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을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여기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은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온 또는 오프 순간에만 작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온 오프를 판단하는 과정이 포함된다.The microcomputer 11 periodically gener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while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maintains a call state, thereby creating a list of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Here, the creat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may be made only at the moment of turning on or of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1, and in this cas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n-off is included.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통화종료 하는 순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The process of creating the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integrated portable terminal 1 ends the call.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통화를 종료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 작성을 종료한다.When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ends the call, the microcomputer 11 finishes the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이와같이 작성된 리스트의 예를 표1에 나타내었다.An example of such a list is shown in Table 1.

존 이탈정보Zone exit information 통화정보Call information On 17:40:0517:40:05 오프off 17:43:0517:43:05 오프off 17:46:0517:46:05 On 17:49:0517:49:05 종료End 17:50:1717:50:17

제 3 단계(S25)는 작성된 리스트를 홈존 서버(7)에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S25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created list to the home zone server 7.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통화가 종료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서버(7)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제어한다.When the call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ends, the microcomputer 1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rver 7.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메모리(17)에 저장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a list of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 is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7.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7)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에 제공한다.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d with the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provides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홈존 서버(7)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이컴(11)은 형성된 통신채널을 단절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제어한다.Upon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home zone server 7, the microcomputer 1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to disconnect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반면에, 홈존 서버(7)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 리스트의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통신 채널이 유지 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통신 채널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재송신한다. 만약, 재송신 이후에도 홈존 서버(7)로 부터 수신 성공 메시지를 제공받지 못하면, 마이컴(11)은 송신이 성공할 때까지 재송신 과정을 반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rver 7, the microcomputer 11 determines that transmiss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list has failed. If it is determined that transmission has failed, the microcomputer 11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mainta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maintained, the microcomputer 11 retransmits the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f the reception success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rver 7 even after retransmission, the microcomputer 11 repeats the retransmission process until the transmission is successful.

제 4 단계(S27)는 제공 받은 리스트를 이용하여 통화내역을 산출하여 이용요금을 부과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S27)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all history by using the provided list to charge a usage fee.

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또한, 리스트를 이용하여 온 기간과 오프 기간의 통화시간을 각각 산출하여 통화내역을 작성한다. 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d with the list of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5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In addition, the call history is calculated by using the list to calculate the talk time in the on period and the off period, respectively.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와 통화내역을 빌링 시스템(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9 with a list of subscriber information,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call history in order to charge the usage fee.

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9)은 통화내역의 온 기간과 오프 시각에 각각 다른 요금을 적용하여, 요금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가입자에게 부과한다.The billing system 9 provided with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pplies different rates to the on-period and off-time of the call history,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in which the fee details are stored or charged to the subscriber.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는 분리형 홈존 시스템(도 7 내지 도9)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21),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 2 단계(S23),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리스트를 전송하는 제 3 단계(S25) 및 리스트를 이용하여 통화내역 및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제 4 단계(S27)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4,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detachable home zone system (FIGS. 7 to 9), and a first step (S21) of setting a home zon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a call. A second step (S23) of creating a list of information, a third step (S25) of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transmitting a list, and a fourth step (S27) of calculating a call history and a usage fee using the list. .

제 6 실시예는 분리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ixth embodiment is a method of using a detachable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제 1 단계(S21)는 홈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이 설정된다. 제 1 단계(S21)는 제 2 실시예의 제 1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irst step S21, a home zone where a home zone service is provided is set. Since the first step S21 is the same as the first step of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단계(S23)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23 is to creat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설정기에 의해 홈존이 설정된 후,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를 시도한다. 이때,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설정기(19)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시도한다. After the home zone is set by the home zone setter,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ttempts to make a call. At this time,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tter 19.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가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제어부(39)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removable mobile terminal 2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controller 39 cre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제어부(39)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31)에 제공한다. 마이컴(31)는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controller 39 provid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microcomputer 31. The microcomputer 31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제어부(39)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홈존 이탈정보의 작성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며,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도 홈존 설정기(19)로 부터의 홈존 이탈정보 수신과 통화정보의 작성을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여기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온 또는 오프 순간에만 작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온 오프를 판단하는 과정이 포함된다.While the controller 39 maintains a call state, the controller 39 periodically gener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nd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lso includes a home zone setter ( 19) Periodically, the recept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preparation of the call information are performed to prepare a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Here, the creat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may be made only at the moment of turning on or off the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21, and in this case, a process of determining on-off is included.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종료 하는 순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The process of prepar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list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21 ends the call.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를 종료하면,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 작성을 종료한다.When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ends the call, the microcomputer 31 ends the list creat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제 3 단계(S25)는 작성된 리스트를 홈존 서버(27)에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S25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created list to the home zone server 27.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통화가 종료되면, 마이컴(31)은 홈존 서버(7)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한다.When the call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ends, the microcomputer 3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rver 7.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메모리(37)에 저장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a list of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7 is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27)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The home zone server 27 receiving the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provides the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21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홈존 서버(27)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이컴(31)은 형성된 통신채널을 단절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한다.Upon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home zone server 27, the microcomputer 3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to disconnect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반면에, 홈존 서버(27)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 리스트의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송신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마이컴(31)은 통신 채널이 유지 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통신 채널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재송신한다. 만약, 재송신 이후에도 홈존 서버(27)로 부터 수신 성공 메시지를 제공받지 못하면, 마이컴(31)은 송신이 성공할 때까지 재송신 과정을 반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rver 27, the microcomputer 31 determines that transmiss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list has failed. If it is determined that transmission has failed, the microcomputer 31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mainta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maintained, the microcomputer 31 retransmits the list of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If the reception success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zone server 27 even after retransmission, the microcomputer 31 repeats the retransmission process until the transmission is successful.

제 4 단계(S27)는 제공 받은 리스트를 이용하여 통화내역을 산출하여 이용요금을 부과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S27)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all history by using the provided list to charge a usage fee.

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2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또한, 리스트를 이용하여 온 기간과 오프 기간의 통화시간을 각각 산출하여 통화내역을 작성한다. The home zone server 27 provided with the list of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25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In addition, the call history is calculated by using the list to calculate the talk time in the on period and the off period, respectively.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2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와 통화내역을 빌링 시스템(2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2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29 with a list of subscriber information,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call information, and call history to charge the usage fee.

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29)은 통화내역의 온 기간과 오프 시각에 각각 다른 요금을 적용하여, 요금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가입자에게 부과한다.The billing system 29 provided with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pplies different rates to the on-period and off-time of the call history,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where the fee details are stored or charged to the subscriber.

도 15는 제 7 및 제 8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예는 일체형 홈존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31),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전송하는 제 2 단계(S32) 및 통화내역을 산출하고 이용요금을 과금하는 제 3 단계(S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a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home zone system. The first step (S31) of setting a home zone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to provid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he second step (S32) for transmitting and the third step (S33) for calculating the call history and charging the usage fee.

제 7 실시예는 분리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eventh embodiment is a method of using a separate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제 1 단계(S31)는 홈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이 설정된다. 제 1 단계(S31)는 제 1 실시예의 제 1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irst step S31, a home zone where a home zone service is provided is set. Since the first step S31 is the same as the first step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단계(S32)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여 홈존 서버(7)에 전송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32 is a step of creat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home zone server 7.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와 홈존 서버(7)에 입력된 가입자의 주소정보에 의해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가상의 영역인 홈존이 설정되면, 가입자가 홈존에서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면,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정보 수신부(13)는 GPS, 기지국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의 마이컴(11)은 위치정보 수신부(13)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When the home zone, which is a virtual area where the subscriber can be provided with the home zone service, is set up by the subscriber's address information input to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and the home zone server 7, the subscriber performs a process for making a call in the home zone. Proceed. When the process for making a call proceed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a base station, or the like. The microcomputer 11 of the terminal 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 and che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가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마이컴(11)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microcomputer 11 crea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icrocomputer 1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the microcomputer 11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1, the microcomputer 11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함과 동시에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microcomputer 11 wri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동시에, 마이컴(11)은 홈존 서버(7)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제어한다. 이때, 형성되는 통신 채널은 가입자가 사용하는 채널과 다른 통신 채널이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음성 통신 채널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이동통신 송수신부(15)은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며, 가입자고 데이터 통신 채널을 사용하고 있으면 이동통신 송수신부(15)는 음성 채널을 형성한다.At the same time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created, the microcomputer 1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rver 7. In this case,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is a communication channel different from the channel used by the subscriber. For example, if the subscriber is using a voice communication channel,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forms a data channel, and if the subscriber is using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5 forms a voice channel. .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가 작성되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마이컴(11)은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형성된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created and a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the microcomputer 11 provid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7 via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홈존 서버(7)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등에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저장한다.The home zone server 7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stor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 separate database.

마이컴(11)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통화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형성된 통신채널을 계속유지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15)를 제어하며, 통신채널이 형성되어 있는동안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과 전송을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 여기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은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온 또는 오프 순간에만 작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온 오프를 판단하는 과정이 포함된다.The microcomputer 1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mitter / receiver 15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while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maintains a call state, and the microcomputer 11 controls the communication channel while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re periodically executed and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7. Here, the creat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may be made only at the moment of turning on or of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1, and in this cas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n-off is included.

홈존 서버(7)는 제공되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저장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에 추가하여 기록한다.The home zone server 7 records the provid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tor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통화종료 하는 순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The process of creating the list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integrated portable terminal 1 ends the call.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통화를 종료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 및 전송을 종료한다. 또한, 홈존 서버(7)도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저장과정을 종료한다.When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ends the call, the microcomputer 11 ends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home zone server 7 also ends the storing process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제 3 단계(S33)는 수신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이용하여 통화내역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A third step S33 is a step of calculating call history using the receiv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제공받은 홈존 서버(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또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이용하여 온 기간과 오프 기간의 통화시간을 각각 산출하여 통화내역을 작성한다.The home zone server 7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5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In addition, us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he call durations of the on-period and the off-period are respectively calculated to prepare call details.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과 통화내역을 빌링 시스템(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9 with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call history in order to charge the usage fee.

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9)은 통화내역의 온 기간과 오프 시각에 각각 다른 요금을 적용하여, 요금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가입자에게 부과한다.The billing system 9 provided with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pplies different rates to the on-period and off-time of the call history,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in which the fee details are stored or charged to the subscriber.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8 실시예는 일체형 홈존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31),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전송하는 제 2 단계(S32) 및 통화내역을 산출하고 이용요금을 과금하는 제 3 단계(S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eigh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home zone system. The first step (S31) of setting a home zone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to provid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he second step (S32) for transmitting and the third step (S33) for calculating the call history and charging the usage fee.

제 8 실시예는 분리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eighth embodiment is a method of using a separate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15를 참조하면, 제 1 단계(S31)는 홈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이 설정된다. 제 1 단계(S31)는 제 2 실시예의 제 1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5, in the first step S31, a home zone where a home zone service is provided is set. Since the first step S31 is the same as the first step of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단계(S32)는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27)에 제공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32 is a step of providing a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b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hannel.

홈존 설정기에 의해 홈존이 설정된 후,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를 시도한다. 이때,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설정기(19)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시도한다. 또한, 마이컴(31)은 홈존 서버(27)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이동통신 송수신부(35)를 제어한다.After the home zone is set by the home zone setter,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ttempts to make a call. At this time,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tter 19.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31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35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rver 27.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가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제어부(39)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removable mobile terminal 2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controller 39 cre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제어부(39)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The controller 39 provid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31)에 제공한다.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microcomputer 31.

마이컴(31)는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microcomputer 31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가 수신되고 통화정보가 작성되면 마이컴(31)은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all information is created, the microcomputer 31 provid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using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수신한 홈존 서버(27)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등에 저장한다.The home zone server 27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stor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 database.

홈존 설정기(19)로 부터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홈존 서버(27)에 전달하는 과정과 통화정보를 작성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하는 과정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home zone setter 19 and delivering the home zone server 27 to the home zone server 27 and providing the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is terminated by the call of the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21. It is done continuously until

홈존 서버(27)는 제공되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저장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에 추가하여 기록한다.The home zone server 27 records the provid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tor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리스트를 작성하는 과정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종료 하는 순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The process of prepar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list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21 ends the call.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를 종료하면,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 및 전송을 종료한다. 또한, 홈존 서버(27)도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저장과정을 종료한다.When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ends the call, the microcomputer 31 ends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home zone server 27 also ends the storing process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제 3 단계(S33)는 수신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이용하여 통화내역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A third step S33 is a step of calculating call history using the receiv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제공받은 홈존 서버(2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또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이용하여 온 기간과 오프 기간의 통화시간을 각각 산출하여 통화내역을 작성한다.The home zone server 27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5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In addition, us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he call durations of the on-period and the off-period are respectively calculated to prepare call details.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2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과 통화내역을 빌링 시스템(2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2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29 with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call history to charge the usage fee.

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29)은 통화내역의 온 기간과 오프 시각에 각각 다른 요금을 적용하여, 요금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가입자에게 부과한다.The billing system 29 provided with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pplies different rates to the on-period and off-time of the call history,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where the fee details are stored or charged to the subscriber.

도 16은 제 9 및 제 10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ninth and tenth embodiments.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9 실시예는 일체형 홈존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41),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고 가입자가 사용중인 채널을 사용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하는 제 2 단계(S42) 및 통화내역을 산출하고 이용요금을 과금하는 제 3 단계(S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ni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home zone system. The first step (S41) of setting a home zone, creating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using the subscriber A second step (S42) provided to the home zone server 27 using the channel being used and a third step (S43) for calculating the call history and charging the usage fee.

제 9 실시예는 일체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ninth embodiment is a method of using the integrated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16을 참조하면, 제 9 실시예는 제 1 단계(S41)는 홈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이 설정된다. 제 1 단계(S41)는 제 1 실시예의 제 1 단계(S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6, in the ninth embodiment, in a first step S41, a home zone where a home zone service is provided is set. Since the first step S41 is the same as the first step S1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단계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정보들을 가입자가 사용중인 통화 채널에 부가하여 홈존 서버(7)에 제공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is to creat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provide the created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7 in addition to the call channel being used by the subscriber.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와 홈존 서버(7)에 입력된 가입자의 주소정보에 의해 가입자가 홈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가상의 영역인 홈존이 설정되면, 가입자가 홈존에서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면,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정보 수신부(13)는 GPS, 기지국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의 마이컴(11)은 위치정보 수신부(13)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When the home zone, which is a virtual area where the subscriber can be provided with the home zone service, is set up by the subscriber's address information input to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and the home zone server 7, the subscriber performs a process for making a call in the home zone. Proceed. When the process for making a call proceed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a base station, or the like. The microcomputer 11 of the terminal 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 and che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가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마이컴(11)은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When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microcomputer 11 crea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microcomputer 11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microcomputer 11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함과 동시에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microcomputer 11 wri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가 작성되면, 마이컴(11)은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가입자가 통화중인 통신 채널에 부가하여 홈존 서버(7)에 제공한다. 여기서, 통화중인 통신 채널은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채널을 의미하며, 트래픽 채널의 송수신시에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데이터를 이 트래픽 채널에 부가하여 전송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created, the microcomputer 11 provid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7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channel where the subscriber is talking. Here, the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a communication means a traffic channe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traffic channe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of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the traffic channel and transmitted.

홈존 서버(7)는 가입자의 통화 채널에 부가되어 전송되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분리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등에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저장한다.The home zone server 7 separa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ransmitted in addition to the subscriber's call channel and stor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 separate database.

마이컴(11)은 사용자의 통화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며,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과 이 정보들을 가입자가 통신중인 채널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통화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반복한다. 이 과정은 가입자의 온/오프 상태가 변경될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microcomputer 11 period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 call, and the process of creat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nd adding the information to the channel in which the subscriber communicates is continuously repeated during the user's call. This process may be done only when the on / off state of the subscriber is changed.

홈존 서버(7)는 제공되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저장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에 추가하여 기록한다.The home zone server 7 records the provid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tor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통화를 종료하면, 마이컴(1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 및 전송을 종료한다. 또한, 홈존 서버(7)도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저장과정을 종료한다.When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ends the call, the microcomputer 11 ends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home zone server 7 also ends the storing process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제 3 단계(S43)는 수신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이용하여 통화내역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The third step S43 is a step of calculating call history using the receiv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제공받은 홈존 서버(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또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이용하여 온 기간과 오프 기간의 통화시간을 각각 산출하여 통화내역을 작성한다.The home zone server 7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5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In addition, us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he call durations of the on-period and the off-period are respectively calculated to prepare call details.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과 통화내역을 빌링 시스템(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9 with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call history in order to charge the usage fee.

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9)은 통화내역의 온 기간과 오프 시각에 각각 다른 요금을 적용하여, 요금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가입자에게 부과한다.The billing system 9 provided with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pplies different rates to the on-period and off-time of the call history,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in which the fee details are stored or charged to the subscriber.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0 실시예는 분리형 홈존 시스템(도 7 내지 도 9)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41),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고 가입자가 사용중인 통화 채널에 부가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하는 제 2 단계(S42) 및 통화내역을 산출하고 이용요금을 과금하는 제 3 단계(S4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a t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detached home zone system (FIGS. 7 to 9), and a first step (S41) of setting a home zon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a call. A second step (S42) of prepar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to the home zone server 27 in addition to the call channel being used by the subscriber, and a third step (S43) of calculating the call history and charging the usage fee.

제 10 실시예는 분리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tenth embodiment is a method of using a detachable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단계(S41)는 홈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홈존이 설정된다. 제 1 단계(S41)는 제 2 실시예의 제 1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6, in the first step S41, a home zone where a home zone service is provided is set. Since the first step S41 is the same as the first step of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단계(S42)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고, 가입자가 사용중인 통화 채널에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부가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하고 부가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42) cre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dd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call channel being used by the subscriber, provid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Detecting.

홈존 설정기(29)에 의해 홈존이 설정된 후, 가입자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설정기(29)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시도한다.After the home zone is set by the home zone setter 29, the subscriber proceeds to make a call using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At this time,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home zone setter 29.

가입자의 통화 시도와 함께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의 위치가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를 작성한다. 이때, 제어부(39)는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온을 기록한다.When the position of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is determined with the subscriber's attempt to call, the controller 39 creates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n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반면에,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홈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홈존 이탈정보에 홈존 서비스 오프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vable portable terminal 21 is not located in the home zone, the controller 39 records the home zone service off i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제어부(39)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에 제공한다.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하여 마이컴(31)에 제공한다.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The controller 39 provid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microcomputer 31. The microcomputer 31 receiv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가 작성되면, 마이컴(31)은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가입자가 통화중인 통신 채널에 부가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한다. 여기서, 통화중인 통신 채널은 이동통신망(23)의 트래픽 채널을 의미하며, 트래픽 채널의 형성시에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데이터를 이 트래픽 채널에 부가하여 전송한다.Whe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created, the microcomputer 31 provid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o the home zone server 27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channel where the subscriber is talking.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hannel during the call refers to the traffic chann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3, and when the traffic channel is formed, data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the traffic channel and transmitted.

홈존 서버(27)는 가입자의 통화 채널에 부가되어 전송되는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르 분리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등에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저장한다.The home zone server 27 separat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ransmitted in addition to the subscriber's call channel and stores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 separate database.

상술한 홈존 설정기(19)로부터 홈존 이탈정보를 제공받아 홈존 서버(27)에 제공하는 과정과 통화정보를 작성하여 홈존 서버(27)에 제공하는 과정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가 통화종료 하는 순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The process of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from the above-described home zone setter 19 and providing it to the home zone server 27 and the process of creating call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home zone server 27 to the moment when the detachable portable terminal terminates the call. It is performed repeatedly.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통화를 종료하면, 마이컴(31)은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작성 및 전송을 종료한다. 또한, 홈존 서버(27)도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의 저장과정을 종료한다.When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ends the call, the microcomputer 31 ends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home zone server 27 also ends the storing process of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제 3 단계(S43)는 수신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이용하여 통화내역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The third step S43 is a step of calculating call history using the receiv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제공받은 홈존 서버(2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5)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홈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를 확인한다. 또한,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을 이용하여 온 기간과 오프 기간의 통화시간을 각각 산출하여 통화내역을 작성한다.The home zone server 27 receiv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checks the subscriber profile of the subscriber database 25 to identify the subscriber using the home zone service. In addition, using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the call durations of the on-period and the off-period are respectively calculated to prepare call details.

가입자 프로파일, ID, 존 설정정보 등을 확인하면, 홈존 서버(27)는 이용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홈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들과 통화내역을 빌링 시스템(29)에 제공한다.Upon confirming the subscriber profile, ID, zone setting information, etc., the home zone server 2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29 with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e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call history to charge the usage fee.

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29)은 통화내역의 온 기간과 오프 시각에 각각 다른 요금을 적용하여, 요금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가입자에게 부과한다.The billing system 29 provided with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pplies different rates to the on-period and off-time of the call history,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where the fee details are stored or charged to the subscriber.

도 17은 제 11 및 제 1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leventh and twelfth embodiments.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1 실시예는 일체형 공용존 시스템(도6 및 도 10)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용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61), 공용존 여부를 판단하고, 공용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단계(S52) 및 가입자를 확인하고 통화 내역을 산출하여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제 3 단계(S53)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7, an el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n integrated common zone system (FIGS. 6 and 10). The second step (S52) for determining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and the third step (S53) for checking the subscriber and calculating the call charges to calculate the usage fee.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제 1 단계(S1)는 공용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공용존이 설정된다.In the first step S1, a common zone in which a common zone service is provided is set.

이를 위해 공용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가입자는 서비스 제공 업체 또는 대리점을 등을 방문하여 공용존 서비스 가입 신청을 한다. 가입신청을 받은 대리점 또는 업체에서는 공용존 데이터 베이스(61)에 공용존이 설정되는 위치와 관련된 주소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주소정보는 가입자가 공용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지역의 공용존 설정을 위한 정보로소, 공용존이 위치하게 되는 전국 또는 특정 지역의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좌표, 주소 및 해당 지역의 기지국 위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주소정보에 저장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는 공용존의 중심지역을 설정하기 위한 좌표값일 수 있으며, 공용존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위도의 범위 및 경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공용존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o this end, subscribers who wish to provide co-zone services should apply to join a co-zone service by visiting a service provider or a distributor. Resellers or companies that received a subscription application inputs the address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where the common zone is set in the common zone database (61). Here, the addr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setting the common zone of the region where the subscriber wants to receive the common zone service, coordinates such as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nation or a specific region where the common zone is located, the address and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of the reg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stored in the address information may be a coordinate value for setting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mon zone, and may be a range of latitude and longitude for setting the range of the common zon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ocess of setting a common zone by receiving a location signal.

제 2 단계(S52)는 공용존 여부를 판단하고 공용존 이탈저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52) is a step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mmon zone and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공용존 주소정보가 입력되면, 일반가입자들이 공용존에서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면,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정보 수신부(13)는 GPS, 기지국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1)의 마이컴(11)은 위치정보 수신부(13)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마이컴(11)은 메모리(17)에 저장된 주소정보의 위도 및 경도 좌표가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홈존 서비스 지역인지 확인 한다. 혹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홈존 설정기(19)로부터 응답신호가 제공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위치정보의 좌표가 계산된 반경 내에 없거나 응답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마이컴(11)은 홈존 서비스 지역이 아님을 인식하고, 통화를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수신되 위치정보를 공용존 서버(57)에 제공한다.When the common zone address information is input, the general subscribers proceed to make a call in the common zone. When the process for making a call proceed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3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a base station, or the like. The microcomputer 11 of the terminal 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 and che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icrocomputer 11 checks whether the home zone service area has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point where th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 intersect. Alternatively,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sponse signal is provided from the home zone setter 19. If the coordinate of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not within the calculated radius or the response signal is not provided, the microcomputer 11 recognizes that it is not the home zone service area and proceeds with the call process. At this tim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common zone server 57.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로부터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공용존 서버(57)는 공용존 데이터베이스(61)의 공용존 주소정보와 비교하여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가 공용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the integrated portable terminal 1, the common zone server 57 determines whether the integrated portable terminal 1 is located in the shared zone by comparing with the common zone address information of the shared zone database 61. .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1)의 위치가 공용존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공용존 서버(57)는 해당 가입자의 공용존 이탈정보에 공용존 서비스 온(ON)을 기록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1 is in the shared zone, the shared zone server 57 records the shared zone service ON in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반면에 휴대 이동 단말기(1)의 공용존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공용존 서버(57)는 공용존 이탈정보에 공용존 서비스 오프(OFF)를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mobile terminal 1 is not located in the shared zone, the shared zone server 57 records the shared zone service OFF in the shared zone departure information.

공용존 서버(57)은 공용존 이탈정보를 작성함과 동시에 통화정보에 통화시작 시간을 기록한다. 여기서, 공용존 내에서 통화를 하는 가입자의 공용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작성하기 위해 공용존 서버(57)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5)에서 가입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한다.The common zone server 57 writes out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records the call start time in the call information. Here, the common zone server 57 checks the subscriber's profile information in the subscriber database 55 in order to creat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making a call in the shared zone.

공용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작성하면, 공용존 서버(57)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등에 저장한다.When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are created, the common zone server 57 stores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in a database (not shown).

제 3단계(S5)는 공용존 내에서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51)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S5 is to calculate the usage fee of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51 in the common zone.

가입자가 통화를 종료하면, 공용존 서버(57)는 작성된 홈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 및 가입자 정보를 빌링 시스템(59)에 제공한다.When the subscriber terminates the call, the common zone server 57 provides the billing system 59 with the created home zone departure information, call information and subscriber information.

공용존 이탈정보, 가입자 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빌링 시스템(59)은 존 이탈정보가 온인지 확인하여 가입자의 홈존 내외에서의 통화시간을 산출한다.The billing system 59 provided with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whether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n and calculates a call time in and out of the home zone of the subscriber.

공용존 이탈정보를 확인하여 공용존 이탈정보가 온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과 공용존 서비스 제공에 따른 할인율을 적용하여 요금을 산출한다.If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turned on by checking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the rat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and the discount rate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common zone service.

반면에 공용존 이탈정보가 오프이면, 통화정보에 기록된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산출한다. 산출된 요금은 데에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과정 등을 거쳐 이용자에게 과금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off, the charge according to the talk time recorded in the call information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fee is charged to the user through a process such as being stored in the data base.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2 실시예는 분리형 공용존 시스템(도 8, 도 9 및 도 11)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용존을 설정하는 제 1 단계(S61), 공용존 여부를 판단하고, 공용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단계(S52) 및 가입자를 확인하고 통화 내역을 산출하여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제 2 단계(S53)를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6, a twel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eparate common zone system (FIGS. 8, 9, and 11), and a first step (S61) of setting a common zone; A second step (S5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mmon zone,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all information is provided, and the second step (S53) for checking the subscriber and calculating the call history to calculate the usage fee.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제 1 단계(S1) 공용존이 설정되는 단계이다.The first step S1 is a step in which a common zone is set.

이를 위해 공용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가입자는 서비스 제공 업체 또는 대리점을 등을 방문하여 공용존 서비스 가입 신청을 한다. 가입신청을 받은 대리점 또는 업체에서는 공용존 데이터 베이스(81)와 공용존 설정기(69)에 공용존이 설정되는 위치와 관련된 주소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공용존 데이터 베이스(81)에 저장되는 주소정보는 가입자가 공용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지역의 공용존 설정을 위한 정보로소, 공용존이 위치하게 되는 전국 또는 지역의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좌표, 주소 및 해당 지역의 기지국 위치 등을 포함한다. 공용존 설정기(69)에 저장되는 주소정보는 공용존 설정기(69)가 설치되는 지역의 주소정보이다. To this end, subscribers who wish to provide co-zone services should apply to join a co-zone service by visiting a service provider or a distributor. The agency or company that received the subscription application inputs addres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common zone is set in the common zone database 81 and the common zone setter 69. Here, th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zone database 81 is information for setting a common zone of a region where a subscriber wants to receive a common zone service, such as latitude and longitude of a nation or region where the common zone is located. Coordinates, addresses, and location of base stations in the area. Th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common zone setter 69 is address information of a region where the common zone setter 69 is installed.

제 2 단계(S52)는 공용존을 판단하고, 공용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S52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common zone and providing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o the common zone server 77.

공용존 주소정보가 입력되면, 공용존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에 공용존 설정기(69)가 설치된다. 공용존 설정기(69)가 설치된 후 동작되면, 공용존 설정기(69)는 위치정보 수신부(43)에 의해 GPS, 기지국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공용존 설정기(69)의 제어부(39)는 위치정보 수신부(43)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45)에 저장된 공용존 주소정보와 비교하여 공용존 설정기(69)가 설치된 위치가 주소정보에 기록된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한다.When the common zone address information is input, the common zone setter 69 is installed in a region where the common zone service is provided. When the common zone setter 69 is operated after the common zone setter 69 is installed, the common zone setter 69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the base station, etc. by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43. The control unit 39 of the common zone setter 69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43 and compares it with the common zone add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5, where the location where the common zone setter 69 is installed is loc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the same as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formation.

주소정보와 위치정보를 비교한 후, 주소정보와 위치정보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주소정보에 의해 공용존의 범위를 계산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한다.After comparing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control unit 39 performs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range of the common zone based on the address information.

반면에 주소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9)는 공용존 설정기(69)의 위치가 잘못도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공용존 서버(57)에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dress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control unit 39 create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location of the common zone setter 69 is wrong and provides it to the shared zone server 57.

공용존이 설정된 후 일반가입자들이 공용존에서 통화를 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하면,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단말 무선 송수신부(33)는 공용존 설정기(69)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을 시도한다. 채널 형성방법은 제 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fter the common zone is established, the general subscribers proceed to make a call in the common zone,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attempt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common zone setter 69. do. Since the channel forming metho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공용존 설정기(69)와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간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공용존 설정기(69)는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의 공용존 이탈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공용존 이탈정보를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에 제공한다.When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common zone setter 69 and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is established, the common zone setter 69 creates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and creates the created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71)는 공용존 이탈정보의 수신과 아울러, 통화정보를 작성한다. 여기서, 통화정보는 공용존 서버(77)에서 가입자별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대신할 수 있다.The detachable portable mobile terminal 71 receives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creates call information. Here, the call information may be replaced by a method of creating call information for each subscriber in the common zone server 77.

작성된 통화정보와 공용존 이탈정보는 이동통신망(73)을 경유하여 공용존 서버(77)에 제공된다.The created call information and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common zone server 77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3.

공용존 이탈정보와 통화정보를 제공받은 공용존 서버(77)는 해당 가입자의 정보를 확인 하고 통화 내역을 작성하여 빌링시스템(79)에 제공한다. 빌링시스템(79)은 이러한 정보들을 제공받아 이용요금을 산출하고, 과금하게 된다.The common zone server 77, which has received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checks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creates a call history, and provides the billing system 79. The billing system 79 is provided with this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usage fee and charge.

제 11 및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공용존 이탈정보 및 통화정보를 공용존 서버(77)에 제공하는 방법은 전술한 제 1 및 제 10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2 실시예는 다수의 공용존 설정기(69)를 구비하여 존을 확대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eleventh and twelfth embodiments,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common zone departur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to the common zone server 77 can appl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nd ten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twelfth embodiment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mon zone setters 69 to enlarge the zone.

아울러, 상술한 제 1 내지 제 12 실시예들의 존 서비스는 존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서비스 이용 요금을 차등적으로 부과할 수 있다. 차등적 요금을 부과하는 방법은 홈존 및 공용존을 중심부와 여러 단계의 주변부로 구분하고,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가 위치하는 주변부 혹은 중심부에 따라 요금을 달리 부과하는 것이다. 이때, 홈존 및 공용존을 중심부와 주변부로 구분하는 방법으로 존 설정기(19, 69)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일체형 이동통신 시스템 모두에 적용 가능한 주소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존 설정기(19, 69)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존 설정기(19, 69)의 출력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그 예로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zone services of the first to twel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differentially charge a service usage fe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zone. The differential charging method is to divide the home zone and the common zone into a central part and various stages of periphery, and charg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iphery or the center where the mobile terminals 1, 21, 51, and 71 are located. In this case, a method of using address information applicable to bo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zone setting devices 19 and 69 and the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a method of dividing the home zone and the common zone into the center and the peripheral portion and the zone setting device 19, An example is a method of varying the output of the zone setters 19 and 69 applicable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69).

우선, 주소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주소정보가 한 지점의 위도 및 경도의 값으로 주어지는 경우와 위도 및 경도의 범위로 주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First, the method of using the address information may be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address information is given by th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of one point and the latitude and longitude range.

주소정보가 한 지점의 위도 및 경도의 값으로 주어지는 경우, 설정되는 존은 금속 구조물 등의 전파 전달을 방해하는 요인이 존재하지 않는 한, 위도 및 경도 값이 주어진 한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의 모양을 띤다. 이때, 한 지점으로부터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가 위치하는 거리에 따라 요금을 달리 부과하게 된다. 한 지점과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해 존 설정기(19, 29), 서버(7, 27, 57, 77) 또는 공용존 데이터 베이스(81)에는 거리를 구분하기 위한 경도 및 위도의 좌표값이 입력되거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한 장치 또는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좌표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의 위치정보와 해당 좌표값을 비교하게 된다. 거리를 계산하는 경우는 한 지점의 좌표와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의 위치정보의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그리고 계산된 결과 또는 비교한 좌표값에 의해 설정된 중심부 및 주변부 구분 기준에 의해 이용요금을 달리 부과하게 된다.When the address information is given as a latitude and longitude value of a point, the zone to be set has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a point given th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unless there is a factor preventing radio wave transmission of a metal structure or the like. It takes the shape of a circle. In this case, a fee is char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mobile terminals 1, 21, 51, and 71 from one point. In order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a point and the mobile terminal 1, 21, 51, 71, the zone setters 19, 29, servers 7, 27, 57, 77 or the common zone database 81 Coordinate values of longitude and latitude for distinguishing the distance are input, or an apparatus or program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is provided. When the coordinate value is input,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s 1, 21, 51, and 71 is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 When the distance is calcul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of one poin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s 1, 21, 51, and 71 is calculated. The usage fee is charged differently based on the center and peripheral division criteria set by the calculated result or the compared coordinate value.

존 설정기(19, 69)의 출력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존 설정기(19, 69)가 구비하는 무선 송수신부(41)와 휴대 이동 단말기(21)가 구비하는 단말 무선 송수신부(33)의 출력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송수신부(41, 33)의 출력에 따라 요금체계를 설정하고, 존 내에 위치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을 탐색하기 위해 송수신부(41, 33)의 출력을 변화 시킨다. 이때,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을 발견하면, 발견시의 출력값을 설정된 요금체계의 출려과 비교하여 과금하게 되는 것이다.The method for changing the output of the zone setters 19 and 69 includes the wireless transceiver 41 of the zone setters 19 and 69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21. How to use output. The charge system is set according to the outputs of the transceivers 41 and 33, and the outputs of the transceivers 41 and 33 are changed to search for the portable mobile terminals 1, 21, 51 and 71 located in the zone. . At this time, when the portable mobile terminals 1, 21, 51, and 71 are found, the output value at the time of discovery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set fee system.

또한, 다수의 존 설정기(19, 69)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다수의 존 설정기(19, 69) 전부에 상술한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고, 다수의 존 설정기 중 일부에만 적용하여 요금을 달리 부과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having a plurality of zone setters 19 and 69, and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zone setters 19 and 69. It is also possible to charge different rates by applying only.

한편, 상술한 존 설정기(19, 69)가 설정된 존을 이탈했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소정의 주기 또는 서버(7, 27, 57, 77), 단말기(1, 21, 51, 71)의 요청에 의해 수행되며, 이탈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소정보는 단말기(1, 21, 51, 71), 서버(7, 27, 57, 77) 및 설정기(19, 69) 각각에 저장된다. 또한, 이러한 주소정보와 부가정보와 같은 서비스 제공에 관한 정보의 변경은 단말기(1, 21, 51, 71), 서버(7, 27, 57, 77) 및 설정기(19, 69) 모두 에서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bove-described zone setters 19, 69 have left the set zone is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period or requests from the servers 7, 27, 57, 77 and the terminal (1, 21, 51, 71) The addres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parture is performed is stored in the terminals 1, 21, 51, 71, the servers 7, 27, 57, 77, and the setters 19, 69, respectively. In addition, change of information related to service provision such as address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is possible in all of the terminals 1, 21, 51, 71, the servers 7, 27, 57, 77, and the setters 19, 69. Do.

단말기(1, 21, 51, 71)에서 서비스 제공에 관한 정보를 변경할 때, 단말기(1, 21, 51, 71)에 입력된 정보는 이동통신망(3. 13. 53, 73)을 경유하여 서버(7, 27, 57, 77)에 제공된다. 이 정보를 제공받은 서버(7, 27, 57, 77)는 이에 맞추어 데이터 베이스(5, 25, 55, 75, 61, 81) 및 빌링시스템(9, 29, 59, 79)를 업그레이드 한다. 또한, 무선 송수신부(41) 및 단말 무선 송수신부(33)에 의해 형성된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존 설정기(19, 69)의 정보도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이 경우, 서버(7, 27, 57, 77) 등에서 인증을 거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1, 21, 51, 71) changes the information on the service provision,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terminal (1, 21, 51, 71) is sent to the server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13. 53, 73) (7, 27, 57, 77). The servers 7, 27, 57, 77 provided with this information upgrade the databases 5, 25, 55, 75, 61, 81 and the billing systems 9, 29, 59, 79 accordingly. In addition,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formed by the wireless transceiver 41 and the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3, the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s 19, 69 is also upgraded. In this case, a process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at the servers 7, 27, 57, and 77 may be further included.

서버(7, 27, 57, 77)를 통한 정보의 변경은 서버(7, 27, 57, 77)는 입력된 정보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5, 25, 55, 75, 61, 81) 및 빌링시스템(9, 29, 59, 79)의 정보를 변경하며, 이동통신망(3, 13, 53, 73)을 이용하여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에 제공받은 정보를 전송하고,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에 존 설정기(19, 69)의 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가 존 설정기(19, 69)의 정보를 변경하도록 한다. The change of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s 7, 27, 57, 77 is performed by the servers 7, 27, 57, 77 and the database 5, 25, 55, 75, 61, 81 and billing system by the inputted information. Change the information of (9, 29, 59, 79)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obile mobile terminals (1, 21, 51, 71)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 13, 53, 73) By sending a control command to the mobile terminals 1, 21, 51, 71 to change the information of the zone setters 19, 69, the portable mobile terminals 1, 21, 51, 71 transmit the zone setter 19 , 69).

아울러, 존 이탈정보 또는 통화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는 휴대 이동 단말기(1, 21, 51, 71)이 설정된 존에 있는지의 여부인 온/오프 정보, 통화시각 이외에도 현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정보가 포함된 존 이탈정보 또는 통화정보는 단말기(1, 21, 51, 71) 및 서버(7, 27, 57, 77)에 제공되며, 이 위치정보와 주소정보에 의해 단말기(1, 21, 51, 71)나 서버(7, 27, 57, 77)에서 존 설정기(19, 69)가 존이 설정된 지역에서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on / off information which is whether the portable mobile terminals 1, 21, 51, and 71 are in the set zon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in addition to the call time. In addition, the zone departure information or the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s 1, 21, 51, 71 and the servers 7, 27, 57, 77, and the terminal 1 is connect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ddress information. The zone setters 19 and 69 determine whether the zones 21, 51, 71 or the servers 7, 27, 57, 77 have left the zone where the zone is set.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이 요금을 부과하는 방법은 가입자가 신청한 서비스의 등급, 홈존 서비스와 공용존 서비스의 동시 가입여부 등에 의해 차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비스의 등급별로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방법은 이 등급에 의해 제공되는 존의 반경과 요율이 상이해질 수 있다. 홈존 서비스와 공용존 서비스를 모두 가입한 경우, 홈존 서비스와 공용존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우선 순위에 의해 과금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일괄적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와같은 이용방법은 서비스 제공자 혹은 서비스 운용 방식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cha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differentially by the grade of the service applied by the subscriber, whether the home zone service and the common zone service at the same time.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usage fee for each class of service may be different from the radius and rate of the zone provided by this class. In the case of subscribing both the home zone service and the co-zone service, the priority of the home zone service and the co-zone service may be different, and the charging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iority.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in a batch, and the use method can be changed by the service provider or service operation metho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이동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은 설정된 존의 변동 범위가 적고 존 설정의 용이함을 제공한다. 또한, 존의 범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mall range of change in the zone and ease of zone setting.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ange of the z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reliable and efficient zone servic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휴대전화 시스템의 셀 및 존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cell and a zone of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system.

도 2는 종래의 휴대전화 시스템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셀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cell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system.

도 3은 반경이 축소되거나 일그러진 셀을 나타내는 도면.3 shows a cell with reduced or distorted radius;

도 4는 듀폰 서비스의 시스템 구성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DuPont service.

도 5는 일체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5 illustrates an integrated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6은 도 5의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FIG. 6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tegrated portable mobile terminal of FIG. 5.

도 7은 분리형 홈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chable home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8은 도 7의 분리형 홈존 휴대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chable home zone portable mobile terminal of FIG. 7. FIG.

도 9는 도 7의 홈존 설정기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illustrating the home zone setter of FIG. 7.

도 10은 일체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10 illustrates an integrated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1은 분리형 공용존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e common zon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2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12 is a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13은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도 14는 제 5 및 제 6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14 is a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도 15는 제 7 및 제 8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15 is a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도 16은 제 9 및 제 10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16 is a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ninth and tenth embodiments.

도 17은 제 11 및 제 1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17 is a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leventh and twelfth embodiment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51 : 일체형 휴대 이동 단말기 2 : 셀(Cell)1, 51: integrated mobile mobile terminal 2: cell

3, 13, 53, 73 : 이동통신망 4 : 존(Zone)3, 13, 53, 73: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4: Zone

5, 25, 55, 75 :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 6 : 기지국5, 25, 55, 75: subscriber database 6: base station

7, 27 : 홈존 서버 8 : 휴대전화7, 27: home zone server 8: mobile phone

9, 29, 59, 79 : 빌링 시스템 10 : 유선전화망9, 29, 59, 79: billing system 10: wired telephone network

11, 31 : 마이컴 12 : AP11, 31: Micom 12: AP

13 ; 위치정보 수신부 14 : 유선전화기13;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 Landline Phone

15, 35 : 이동통신 송수신부 16 : 듀폰 서비스 제공영역15, 35: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6: DuPont service providing area

17, 37, 45 : 메모리 19 : 홈존 설정기17, 37, 45: memory 19: home zone setter

21, 71 : 분리형 휴대 이동 단말기 33 : 단말 무선 송수신부21, 71: removable mobile terminal 33: terminal wireless transceiver

39 : 제어부 41 : 무선 송수신부39: control unit 41: wireless transceiver

43 : 위치정보 수신부 57, 77 : 공용존 서버43: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57, 77: common zone server

61, 81 : 공용존 데이터베이스 69 : 공용존 설정기61, 81: common zone database 69: common zone setter

Claims (52)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다수의 셀을 포함하는 크기의 존을 지시하는 존 설정기와; A zone setter indicating a zone of a siz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defined on a base station basis of mobile communication; 상기 존 설정기에 접속되는 마이컴과; A microcomputer connected to the zone setter;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A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microcomputer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마이컴은 상기 존의 이탈정보와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And the micom creates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zone and call information in the zon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삭제delete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다수의 셀을 포함하는 크기의 존을 지시하는 존 설정기와; A zone setter indicating a zone of a siz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defined on a base station basis of mobile communication; 상기 존 설정기에 접속되는 마이컴과; A microcomputer connected to the zone setter; 상기 마이컴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고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A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microcomputer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마이컴은 상기 존의 이탈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존 설정기는 상기 마이컴과 상기 존 설정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정보를 작성하며 상기 존의 이탈정보와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The micom writes departure information of the zone, and the zone setter writes call information in the zone, either the micom or the zone setter, and the leave information and the call information of the zone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hrough the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가 끝난 후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fter the call.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 중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a call.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통화정보는 호 개통시 호설정 요청 메시지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And 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a call setup request message when a call is opened.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And 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a call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and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존의 위치를 지시하는 주소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And the 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zone is previously input to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포함하고; 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a talk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and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와 상기 주소정보를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온 데이터와 상기 오프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compar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GPS or a base station and the address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on data and the off data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match therebetween. Mobile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call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a GPS or a base station. A mobil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The mobile terminal can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t the same time,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음성채널과 상기 데이터채널 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not used by a user among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The mobile terminal can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t the same time, 상기 통화정보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휴대 이동 단말기와; A mobile mobile terminal;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다수의 셀을 포함하는 크기의 존 내에서의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발생하는 존 설정기를 구비하고;Generating on-data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in a zone having a plurality of cells defined on a base station basis of mobile communication, and off-data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outside the zone. A zone setter;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상기 온 데이터, 상기 오프 데이터 및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과 상기 존 밖에서의 통화시간을 포함하는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And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generates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on data, the off data, and talk time in the zone and talk time outside the zon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존 설정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And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zone setter.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더 구비하고;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상기 마이컴은 상기 존 내에의 통화시간 상기 존 밖에서의 통화시간을 포함한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And the microcomputer creates call information including a talk time within the zone and a talk time outside the zon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가 끝난 후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fter the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 중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a call.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통화정보는 호 개통시 호설정 요청 메시지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And 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a call setup request message when a call is opened.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존 설정기는 상기 존의 위치를 지시하는 주소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And the zone setter is pre-populated with 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zon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통화정보를 분석하고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와; A server for analyzing the call information and perform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상기 존 내에서의 감면 대상자 확인이 가능하도록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의 요청시 상기 가입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And a database for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so that the reduction target person can be identified in the zon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서버의 요청시 상기 존의 위치를 지시하는 주소정보를 함께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And the database transmits 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zone to th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존 설정기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와 상기 주소정보를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온 데이터와 상기 오프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The zone setter compa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the GPS or the base station and the address information and creates the on data and the off data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match therebetween. 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통화정보는,The call information,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a GPS or a base station.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 상기 존 설정기가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를 탐색하고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가 탐색될 때의 전력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talk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and the zone setter searches for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ower value when found. 제 1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24,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The mobile terminal can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t the same time,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음성채널과 상기 데이터채널 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not used by a user among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제 13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24,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The mobile terminal can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t the same time, 상기 통화정보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ny one of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다수의 셀을 포함하는 크기의 존을 지시하는 존 설정기와; A zone setter indicating a zone of a siz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defined on a base station basis of mobile communication;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가 가능하고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정보를 송출하는 휴대 이동 단말기와;A portable mobile terminal capable of a call in the zone and transmitting call information in the zone; 상기 통화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존 내에 행해진 휴대 이동 단말기의 통화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요금을 상기 셀 기반의 통화요금과 다르게 하는 빌링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a billing system for calculating a talk time of a mobile mobile terminal made in the zone based on the call information to make a call rate in the zone different from the cell-based call rat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존 설정기는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the zone setter is embedded in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존 설정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zone setter.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제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더 구비하고;Th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상기 마이컴과 상기 존 설정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micom and the zone setter creates the call information.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가 끝난 후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fter the call is over.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 중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a call.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화정보는 호 개통시 호설정 요청 메시지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a call setup request message when a call is opened.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And 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a call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and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존의 위치를 지시하는 주소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And the addr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zone is previously input to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와 상기 주소정보를 비교하고 그들 사이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온 데이터와 상기 오프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The mobile terminal compare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GPS or a base station and the address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on data and the off data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match therebetween. Communication system. 제 27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7 to 36, 상기 통화정보는 지피에스(GPS)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The call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and longitude received from GPS or a base station. 제 27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7 to 36,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The mobile terminal can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t the same time,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음성채널과 상기 데이터채널 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not used by a user among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제 27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7 to 36,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The mobile terminal can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t the same time, 상기 통화정보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ny one of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제 27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7 to 36, 상기 존 설정기는 하나의 상기 셀 지역 내에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a plurality of zone setters are arranged in one cell area. 제 27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7 to 36, 상기 통화정보를 분석하고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통화정보의 작성이 가능한 서버와; A server capable of analyzing the call information, perform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preparing the call information; 상기 존 내에서의 감면 대상자 확인이 가능하도록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서버의 요청시 상기 가입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a subscriber database in which subscriber information is stored to enable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 of reduction in the zone and transmits the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server upon request of the server. 제 27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7 to 36, 상기 존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의 요청시 상기 존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존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nd a zone database for storing the zon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zone information to the server upon request of the server. 이동통신의 기지국 기반으로 정의된 다수의 셀을 포함하는 크기의 존을 설정하는 단계와;Setting a zone of a siz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defined on a base station basis of mobile communication; 상기 존 내에서 행해진 휴대 이동 단말기의 통화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Creating call informa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made in the zone; 상기 통화정보에 따른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요금을 상기 셀 기반의 통화요금과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And varying a call rate in the zone according to the call information from a cell-based call rate.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가 끝난 후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The call information is a service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going call.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통화정보는 통화 중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during a call.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통화정보는 호 개통시 호설정 요청 메시지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And the call information is added to a call setup request message when a call is opened.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존 내에서의 통화시간, 상기 존 내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온 데이터와, 상기 존 밖에서 통화를 지시하는 오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The call information includes a call time in the zone, on data indicating a call in the zone, and off data indicating a call outside the zone.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The mobile terminal can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t the same time, 상기 통화정보는 상기 음성채널과 상기 데이터채널 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channel not used by a user among the voice channel and the data channel.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휴대 이동 단말기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을 동시에 형성 가능하며,The mobile terminal can form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at the same time, 상기 통화정보는 음성채널과 데이터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And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a voice channel and a data channel. 제 4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존을 반경이 각각 다른 다수의 서브존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Dividing the zone into a plurality of subzones each having a different radius; 상기 서브존들 사이에서의 통화요금을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And varying a call charge between the subzones. 제 4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존은 다수의 존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Setting the zones to a plurality of zones; 상기 존들 사이에서의 통화요금을 다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And providing a call rate between the zones differently. 제 4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존을 가입자가 지정하는 홈존과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지정하는 공용존으로 나누는 단계와,Dividing the zone into a home zone designated by a subscriber and a common zone design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상기 통화정보,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신청한 서비스의 등급에 따라 상기 홈존과 상기 공용존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방법.And determining the home zone and the common zone according to the call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grade of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KR1020040068174A 2004-08-27 2004-08-27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KR1005101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74A KR100510191B1 (en) 2004-08-27 2004-08-27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74A KR100510191B1 (en) 2004-08-27 2004-08-27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0191B1 true KR100510191B1 (en) 2005-08-26

Family

ID=3730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174A KR100510191B1 (en) 2004-08-27 2004-08-27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191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7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a call from a first telephone to a designated telephone in close proximity
JP52924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erminal history information in CPNS environment, and CPNS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erminal terminal for this purpose
KR100852860B1 (en) Device for setting of a service z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using th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EP11455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communications
EP1227694A1 (e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EP1058466A2 (en) Reducing calling costs for wireless phones using multiple mobile indentification numbers
RU2477569C2 (en) Fee collection in proprietary networks
KR100840797B1 (en) Method for providing billing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3812723A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network access metering
CN102932771A (en) Roaming user access method and system, user terminal and network-side equipment
JP2001069562A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ly paging mobil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network
KR20110012830A (en) Selecting/swiching system for communication service proviers and method thereof
GB2408427A (en) Communication accounting system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510191B1 (en) Portable mobile equipment and mobile communi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KR1008501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idirectionally
KR100634971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discount zone service what preventing from injustice using and preventing method thereof
EP1777978A1 (en) Service provider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676102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Zone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KR20070121455A (en) Device for setting of a service z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zone-based service using the device, application unit,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KR1006018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Manag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ireless Local Area Access Poin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10687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count billing in case of origination adjacent to access point
KR100736493B1 (en) Method for providing a file transfer ser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B2363035A (en) Information sharing in a mobile phone network in which a control node maintains a list of terminals which conform to at least one predetermined criterion
KR100910300B1 (en) System of subscriber home zone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018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Manag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Wireless Local Area Access Poin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