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452B1 -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452B1
KR100672452B1 KR1020040075109A KR20040075109A KR100672452B1 KR 100672452 B1 KR100672452 B1 KR 100672452B1 KR 1020040075109 A KR1020040075109 A KR 1020040075109A KR 20040075109 A KR20040075109 A KR 20040075109A KR 100672452 B1 KR100672452 B1 KR 100672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setting value
communication system
func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255A (ko
Inventor
김재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452B1/ko
Priority to US11/228,377 priority patent/US7647040B2/en
Priority to JP2005272622A priority patent/JP4191713B2/ja
Priority to CNB2005101097772A priority patent/CN100479562C/zh
Publication of KR2006002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78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downloading data to substation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 H04M3/42272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whereby the subscriber registers to the terminals for personalised service pro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구분 정보를 가지고 한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등록을 시스템으로 요청하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구분 정보에 해당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저장된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내부 메모리 내에 저장된 기능 설정 값들을 변경한다.
기능 설정, 단말기, 시스템, 메모리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changes in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말기의 기능 설정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송신 모듈, 2: 수신 모듈, 3: 제어 모듈, 4: 단말기의 기능 설정 메모리 5: 시스템, 6: 시스템의 기능 설정 메모리, 7: 단말기
본 발명은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타인의 단말기를 사용하거나 대여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말기를 여러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단말기 마다의 다른 기능 설정 조건들 때문에 각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해당 단말기의 기능 설정하기가 불편하였다. 특히, GSM 및 중국 CDMA 단말기의 경우는 단 말기들의 종류 마다 기능별 설정 조건이 다르므로 사용자들은 직접 사용하는 단말기마다 조작 방법을 숙지 한 후 일일이 원하는 기능 설정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 단말기의 기능 설정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 내에 기능 별 설정 테이블이 있어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능 설정을 위해 기능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야 하고 이 기능 설정 모드를 통해 상기 기능 별 설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기능에 대한 값은 상기 메모리 내의 해당 영역에 저장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수동 기능 설정 후, 사익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단말기가 파워 온 되면 바로 해당 기능이 동작 될 때 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 저장된 상기 기능 설정 테이블 값이 참조된다. 즉,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능 설정 테이블 값에 따라 상기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종래 방법에 따르면, 각 사용자는 본인의 단말기가 바뀌거나 타인의 단말기 또는 대여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본인의 취향에 맞춰 벨 음량의 크기, 통화 음량, 매너 모드, 알람 시간 설정 그리고 예약 전화 등 과 같은 해당 단말기의 기능을 새로이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 설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대여 및 신규 구입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기능 설정을 수행 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의 단말기의 기능 설정을 종료할 때 마다 또는 임의 단말기를 상기 시스템으로의 등록시킬 때 마다 이에 해당하는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시스템으로 보내서 상기 시스템에 미리 저장하거나 또는 업데이트 시킨다. 이 때,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구분 정보를 상기 시스템에 알려준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구분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고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상기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대여 단말기 또는 새로운 단말기를 사용 할 때 상기 시스템은 상기 미리 저장된 상기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대여 단말기 또는 새로운 단말기에 제공하여 이 단말기들이 자동으로 상기 제공된 기능설정 파라미터에 따라 기능 설정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에서 기능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정보를 사용하여 단말기 기능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값을 통신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와, 임의의 단말기가 상기 등록된 설정 값을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설정 값을 사용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단말기는 단말기 기능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값의 등록을 위해,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값을 통신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구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값의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보내는 송신 모듈과,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설정 값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그리고 상기 수신된 설정 값을 토대로 내부의 메모리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전 설정 값을 변경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분정보는 상기 사용자 구분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전화 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부여된 전자 시리얼 번호(Electric Serial Number)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말기의 기능 설정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7)는 사용자의 구분 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기(7)의 사용을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시스템(5)으로 보내는 송신 모듈(1), 상기 시스템(5)으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구분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2), 그리고 상기 수신된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내부의 기능 설정 메모리(4) 내에 미리 저장된 기능 설정 값을 변경하는 제어 모듈(3)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설정을 요청하면 먼저, 상기 사용자의 구분 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기(7)를 사용하기 위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5)으로 요청한다. 이 때, 상기 시스템(5)은 내부에 구비된 사용자 기능 설정용 메모리(6)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구분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7)로 보낸다. 한편, 상기 단말기(7)는 상기 시스템(5)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구분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나서, 상기 수신된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토대로 자신의 내부에 마련된 상기 기능 설정 메모리(4) 내에 저장된 기능 설정 값을 변경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구분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속하는 전화 번호와 전자 시리얼 번호 (ESN) 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각 단말기(7)의 기능 설정 변경을 종료할 때 마다, 이에 해당하는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시스템(5)으로 보내서 상기 시스템(5)의 상기 기능 설정용 메모리(6) 내에 미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각 단말기(7)를 상기 시스템(5)으로 등록시킬 때 마다 상기 각 단말기(7)마다 미리 정한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시스템(5)으로 보내서 상기 시스템(5)의 상기 사용자 기능 설정용 메모리(6) 내에 미리 저장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본인이 사용하는 단말기의 여러 기능들 중에 일부 또는 전체를 변경하면 상기 메모리(4)내의 기능 설정 레지스터들의 값이 변경되고, 이러한 값들은 상기 메모리(4)의 일정 독립 영역에 위치한다. 즉, 상기 각 기능은 상기 메모리(40) 내에서 독립된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
만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 설정 값의 변경을 완료하면, 상기 단말기(7)는 상기 시스템(5)으로 상기 사용자에 속하는 전화 번호, 전자 시리얼 번호(ESN: Electric Serial Number) 그리고 상기 각 기능 별 파라미터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기능별 파라미터를 상기 시스템(5)으로 전송하는 시점은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상기 기능 설정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완료된 직후 일 수 있다. 두 번째는 상기 단말기의 파워 오프 등록(Power Off Registration) 과 같이 상기 시스템(5)으로 상기 단말기(7)의 등록을 요청하는 시점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의 등록 동작에 따른 상기 기능 설정 파라미터의 전송 시점은 상기 시스템(5)의 전체 부하를 고려한 최적화의 관점에서 변경 또는 조정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스템(5)은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상기 메모리(6)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요구할 때나 또는 상기 단말기(7)의 등록 동작에 따른 상기 기능 설정 파라미터 변경 시 상기 변경된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메모리(6)의 해당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말기(7)가 파워 온(Power ON) 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가 타인의 단말기를 변경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7)는 상기 등록 동작에 의 해 상기 시스템(5)에 단말기의 각종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 번호와 전자 시리얼 번호도 등록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5)은 상기 전화 번호와 전자 시리얼 번호에 의해 상기 단말기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새로운 사용자가 상기 시스템(5)으로 해당 단말기(7)를 등록시키기 위한 등록 요구를 하면, 상기 시스템(5)은 상기 메모리(6)내 상기 사용자별 기능 설정 영역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해당하는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해당 단말기(7)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해당 단말기(7)는 상기 기능 설정 메모리(4) 내에 저장된 종래 기능 설정 파라미터를 상기 수신된 기능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 대체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사용자는 본인에 의해 변경된 기능 설정 상태를 현재 사용하는 단말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유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이동 통신 사업자 별로 단말기의 기능의 종류, 기능 설정 방법, 기능 설정 파라미터의 크기, 그리고 표현 방법 등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많은 이동 통신 사업자 별로 기능의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공통으로 표준화 시키기 위한 보다 더 구체적인 작업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상기 방법은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 기능이므로 전술한 표준화 작업을 구체화 시키는 경우 상기 사업자들에게도 추가 서비스 제공 수입을 창출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GSM 단말기 및 CDMA 단말기와 같이 단 말기의 공용화나 또는 대여 단말기 시장이 보다 더 활성화 되면 각 사용자마다의 기능 설정이 필요로 하는 환경이 될 것이고, 본 발명은 이 환경 하에서 매우 유용한 서비스 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정보를 사용하여 단말기 기능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값을 통신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임의의 단말기가 상기 등록된 설정 값을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설정 값을 사용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설정의 자동 실시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정보는 상기 사용자 구분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설정의 자동 실시를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의 등록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 기능을 실시한 후에 상기 실시가 종료될 때마다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설정의 자동 실시를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의 수신은,
    상기 사용자의 신규 단말기를 상기 통신 시스템에 등록시킬 때마다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파워 온(power on) 됨에 따라 상기 통신 시스템에 등록할 때마다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설정의 자동 실시를 위한 방법.
  5. 단말기 기능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설정 값의 등록을 위해,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값을 통신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구분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 값의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 보내는 송신 모듈;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설정 값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그리고
    상기 수신된 설정 값을 토대로 내부의 메모리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전 설정 값을 변경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정보는,
    상기 사용자 구분을 위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전화 번호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부여된 전자 시리얼 번호(Electric Serial Numb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 기능을 실시한 후에 상기 실시가 종료될 때마다 해당 설정 값을 상기 통신 시스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신규 단말기를 상기 통신 시스템에 등록시킬 때마다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파워 온(power on) 됨에 따라 상기 통신 시스템에 등록할 때마다 상기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설정 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을 상기 통신 시스템에 등록할 시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부여된 전자 시리얼 번호(Electric Serial Number)를 더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기능 설정의 자동 실시를 위한 방법.
KR1020040075109A 2004-09-20 2004-09-20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KR10067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109A KR100672452B1 (ko) 2004-09-20 2004-09-20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US11/228,377 US7647040B2 (en) 2004-09-20 2005-09-16 Terminal and method of automatically executing function establishment thereof
JP2005272622A JP4191713B2 (ja) 2004-09-20 2005-09-20 端末管理システム、端末、端末管理装置、端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B2005101097772A CN100479562C (zh) 2004-09-20 2005-09-20 终端以及自动执行其功能建立过程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109A KR100672452B1 (ko) 2004-09-20 2004-09-20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255A KR20060026255A (ko) 2006-03-23
KR100672452B1 true KR100672452B1 (ko) 2007-01-24

Family

ID=3609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109A KR100672452B1 (ko) 2004-09-20 2004-09-20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47040B2 (ko)
JP (1) JP4191713B2 (ko)
KR (1) KR100672452B1 (ko)
CN (1) CN1004795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08B1 (ko) * 2007-05-2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4955490B2 (ja) * 2007-09-12 2012-06-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ローカル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情報管理方法
JP5743724B2 (ja) * 2011-02-15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と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JP6097054B2 (ja) * 2012-11-13 2017-03-15 富士電機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6545017B2 (ja) 2015-06-30 2019-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EP3363134B1 (en) * 2015-10-15 2023-1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managing harq attempts parameter for d2d links
US10149250B2 (en) 2015-10-15 2018-12-04 Telefonatk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managing a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for a D2D link
JP6562468B2 (ja) * 2017-03-27 2019-08-21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設定情報更新システム、設定情報自動更新方法及び設定情報自動更新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5073B (en) 1995-08-26 2000-03-08 Motorola Ltd Personalised radio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US6029065A (en) * 1997-05-05 2000-02-22 Nokia Mobile Phones, Ltd. Remote feature code programming for mobile stations
US6134434A (en) * 1997-12-08 2000-10-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negoti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262523B1 (ko) * 1998-06-03 2000-08-01 윤종용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간접 액세스를 통한 호 설정개선 방법
US6671508B1 (en) * 1999-03-31 2003-12-30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status notif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JP3404353B2 (ja) 2000-03-31 2003-05-06 真二 青山 携帯型電話機の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並びに携帯型電話機及び携帯型電話機の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
KR100651539B1 (ko) 2000-09-29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기능 갱신방법
KR200225472Y1 (ko) 2000-12-29 2001-06-01 주식회사굿 엠 휴대폰의 핸즈프리 키트
JP3506427B2 (ja) 2001-04-18 2004-03-15 有限会社パラダイスジャパン サーバ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03078636A (ja) 2001-08-31 2003-03-14 Nec Soft Ltd 登録情報自動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659765A4 (en) * 2004-01-21 2009-08-05 Vodafone Pl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X,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94507A (ja) 2006-04-06
US20060068772A1 (en) 2006-03-30
US7647040B2 (en) 2010-01-12
CN1753537A (zh) 2006-03-29
CN100479562C (zh) 2009-04-15
KR20060026255A (ko) 2006-03-23
JP4191713B2 (ja)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4023B (zh) 锁屏方法及移动终端
KR1007843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로밍 시 메뉴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72452B1 (ko) 단말기 및 이 단말기에서 기능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KR1005903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CN1937650B (zh) 通信终端和拨号注册方法
US20040203661A1 (en) Method for providing receiver situation mode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JP2002325274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532075B1 (ko) 휴대형 이동 전화 단말기를 위한 글자체 데이터 다운로드서비스 방법
JP2002291043A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KR101445140B1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예약 다운로드 방법, 시스템 및이를 위한 이동단말
US200801670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87601A (ko) 휴대폰을 이용한 궁합/사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55455A (ko) 휴대폰의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개인정보 저장방법
JP2001016355A (ja) 無線端末装置
TW201626755A (zh) 居家控制閘道器及其閘道控制方法
KR0157713B1 (ko)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방법
KR100667352B1 (ko)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509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KR100520610B1 (ko) 무선 교환시스템에 가입된 무선단말기에서 통화시간 및과금정보 표시 방법
KR100885393B1 (ko) 웹 또는 음성정보에 의한 ota 기반의 usim 카드정보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032740A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そのカスタマイズ方法
KR100317253B1 (ko) 단말기의 발신제한 방법
KR20030041690A (ko)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제어 장치및 방법
KR100469715B1 (ko) 키폰시스템에서 개인별 단축 다이얼번호를 등록하는 방법
KR100359804B1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도움말 지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