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34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349B1
KR100590349B1 KR1019990059602A KR19990059602A KR100590349B1 KR 100590349 B1 KR100590349 B1 KR 100590349B1 KR 1019990059602 A KR1019990059602 A KR 1019990059602A KR 19990059602 A KR19990059602 A KR 19990059602A KR 100590349 B1 KR100590349 B1 KR 10059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hone lock
signal
mobile communication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039A (ko
Inventor
정호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349B1/ko
Priority to US09/738,984 priority patent/US20010004591A1/en
Publication of KR2001006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은, (a)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b)판단결과 전화 잠금 제어 신호이면, 단말기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 잠금 설정 암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c)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전화 잠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계 (a)이전에, 사용자의 전화 잠금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체는 단말기로 전화 잠금 설정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사업체로 명령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응답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및 응답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 사업체로부터 단말기로 전화 잠금 상태 설정을 수행하라는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분실되어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개인 정보의 유출 및 타인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lock in a mobil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의 구현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이동통신 단말기 102... 일반 전화기
103... 기지국 104...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체
105... 분실된 단말기 201... 사용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분실되어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개인 정보의 유출 및 타인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 및 편리성으로 인하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 관리, 메모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전화 통화를 위한 수단을 넘어서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변화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기능 중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여러가지 사용 제한 기능이 있으며, 전화 잠금 기능을 설정(enable)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 잠금 기능의 설정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선택 메뉴상에서 전화 잠금 기능을 설정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 상태가 전화 잠금 기능이 설정된 상태로 되면, 상기 단말기는 전화 수신만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발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설정된 암호를 사용하여 전화 잠금 기능의 설정을 해제 후,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시켜 놓은 개인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타인이 상기 단말기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분실되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 메모 등의 개인 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될 수도 있으며, 또한 타인이 상기 단말기를 무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분실되어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개인 정보의 유출 및 타인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은,
(a)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상기 단말기의 전화 잠금 명령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판단 결과 전화 잠금 명령 신호이면,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 잠금 설정 암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전화 잠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a)이전에,
사용자의 전화 잠금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체는 상기 단말기로 전화 잠금 설정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사업체로 명령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응답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 사업체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화 잠금 상태 설정을 수행하라는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분실되어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개인 정보의 유출 및 타인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의 구현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사용자(201)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101) 또는 일반 전화기(102)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센터(104)에 분실 신고를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1)를 이용한 분실 신고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103)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체(104)로 연결되며, 상기 일반 전화기(102)를 이용한 분실 신고는 일반 공중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체(10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201)는 상기 서비스 사업체(104)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신고 시에, 분실된 단말기(105)의 작동 상태를 전화 잠금 상태로 전환시켜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다(도 2의 S1).
그러면, 상기 서비스 사업체(104)는 전화 잠금 상태 설정을 알리는 명령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103)을 통하여 상기 분실된 단말기(105)로 전송한다(도 2의 S2). 이에 따라, 상기 분실된 단말기(105)는 상기 명령 신호(S2)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상기 기지국(103)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사업체(104)로 전송한다(도 2의 S3).
이때 상기 서비스 사업체(104)는, 상기 분실된 단말기(105)로부터 상기 명령 신호(S2)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상기 응답 신호(S3)가 수신되지 않으면, 전화 잠금 상태 설정을 알리는 명령 신호(S2)를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해서 상기 분실된 단말기(105)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분실된 단말기(105)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S3)를 전송받은 상기 서비스 사업체(104)는 상기 단말기(105)에 전화 잠금 상태 설정을 수행하라는 승인 신호를 상기 기지국(103)을 통하여 전송한다(도 2의 S4).
이에 따라, 상기 분실된 단말기(105)는 단말기의 전화 동작 상태를 전화 잠금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103)과 이동통신 단말기(105) 사이에는 클럭 신호, 위치 확인 신호, 전화 송/수신 신호 등을 포함한 제어 신호가 지속적으로 전송된다(단계 301).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105)는 상기 기지국(103)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신호가 전화 잠금 설정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2).
이때, 수신된 제어 신호가 통상의 제어 신호이면, 상기 단말기(105)는 그 제어 신호에 따른 해당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303). 여기서, 전송된 제어 신호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은,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구성하는 파라미터의 변수를 약정된 방식으로 전송하고 수신함으로써, 전송된 제어 신호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302의 판단 결과, 전송된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기(105)의 전화 잠금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05)는 상기 명령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상기 기지국(103)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사업체(104)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비스 사업체(104)에 상기 단말기(105)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사업체(104)는 상기 기지국(103)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 (105)에 상기 전화 잠금 상태 설정을 수행하라는 승인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105)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단말기(105) 의 메모리 영역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상기 단말기(105)의 전화 잠금 설정 암호를 획득한다(단계 304).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05)는 상기 단계 304에서 획득한 전화 잠금 설정 암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5)의 작동 상태를 전화 잠금 상태로 설정한다(단계 305).
이와 같이,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105)의 작동 상태가 전화 잠금 상태로 설정됨으로써, 상기 설정된 암호를 입력하여야 상기 단말기(105)는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가 분실되어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입력해 놓은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 관리, 메모 등의 개인 정보의 유출 및 타인에 의한 상기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a)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가 상기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판단 결과 전화 잠금 제어 신호이면,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 잠금 설정 암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의 작동 상태를 전화 잠금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이전에,
    사용자의 전화 잠금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체는 상기 단말기로 전화 잠금 설정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사업체로 명령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는 응답 신호를 발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서비스 사업체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화 잠금 상태 설정을 수행하라는 승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KR1019990059602A 1999-12-21 1999-12-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KR10059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602A KR100590349B1 (ko) 1999-12-21 1999-12-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US09/738,984 US20010004591A1 (en) 1999-12-21 2000-12-19 Method for controlling phone-lock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602A KR100590349B1 (ko) 1999-12-21 1999-12-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039A KR20010065039A (ko) 2001-07-11
KR100590349B1 true KR100590349B1 (ko) 2006-06-15

Family

ID=1962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602A KR100590349B1 (ko) 1999-12-21 1999-12-2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10004591A1 (ko)
KR (1) KR100590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219B1 (ko) * 2001-04-10 2004-0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GB2380356B (en) * 2001-09-26 2006-05-31 Sendo Int Ltd Disabling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A2410114C (en) * 2001-10-26 2011-07-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20030070210A (ko) * 2002-02-21 200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제한 방법
KR20030072917A (ko) * 2002-03-07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전원차단 방법
US20040192303A1 (en) * 2002-09-06 2004-09-30 Puthenkulam Jose P. Securing data of a mobile device after losing physical control of the mobile device
US7088988B2 (en) * 2002-11-12 2006-08-08 Motorola Inc. Over-the-air subsidy lock resolution
KR20040098394A (ko) * 2003-05-14 200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브로드케스트/멀티케스드서비스에 따른 호출 정보 전송방법
KR20060028275A (ko) * 2004-09-24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잠금해제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6095679A1 (ja) * 2005-03-08 2006-09-14 Vodafone K.K. 機能停止情報通知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CN101167394B (zh) * 2005-04-25 2010-12-15 软银移动公司 功能锁定方法和移动通信终端
CN100409720C (zh) * 2006-03-15 2008-08-0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实现移动终端数据保护的方法
GB2475628B (en) * 2008-07-31 2012-08-0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Unlocking a locked user device using a computer generated unlock code provided by user
EP2384038B1 (en) * 2008-12-31 2016-10-12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network locking and unlocking by a terminal device
CN101977373A (zh) 2010-10-22 2011-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配置及应用移动终端锁定策略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9900733B2 (en) * 2014-10-30 2018-02-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arch and recovery of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354A (ja) * 1985-07-09 1987-01-20 Alpine Electron Inc 自動車電話システムの機能ロツク方法
US4843385A (en) * 1986-07-02 1989-06-27 Motorola, Inc. Electronic lock system for a two-way radio
WO1992016078A1 (en) * 1991-03-04 1992-09-17 Megatrend Telecommunications Mobile telephone, system and method
SE506584C2 (sv) * 1996-05-13 1998-01-19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vid övervakning av mobilkommunikationsenhet
JPH10126495A (ja) * 1996-10-23 1998-05-15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移動無線通信装置
FR2763773B1 (fr) * 1997-05-20 1999-08-06 Gemplus Card Int Deblocage a distance d'acces a un service de telecommunication
US5966081A (en) * 1997-09-24 1999-10-12 Chesnutt; R. Van Paging activated electronic security system
KR100232874B1 (ko) * 1997-10-18 1999-12-01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전송 실패 단축메시지 재전송 방법
JP2000165511A (ja) * 1998-11-26 2000-06-16 Nec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のダイヤルロック方法
US6259907B1 (en) * 1999-11-30 2001-07-10 Gte Wireless Servi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retrieving and formatting data from cellular telephone switches
US7099699B2 (en) * 2000-11-14 2006-08-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039A (ko) 2001-07-11
US20010004591A1 (en)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3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KR101043481B1 (ko) 사용자 제거가능 모듈을 구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이머전시 콜 백
EP099124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emote controlled locked dialling option
US7123903B2 (en) Wireless telephone and wireless telephone system
JPH1132378A (ja) 携帯電話のデータ転送装置
JP3788700B2 (ja) 携帯電話機
KR100710377B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1999057880A1 (en) Programmable time-controlled functions in mobile terminal handsets
KR20040100153A (ko)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JP200435668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制御システム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08509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투 넘버 서비스 방법
KR100594010B1 (ko) 쇼트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70661B1 (ko)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KR200200932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설정방법
KR2007007963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접속 모드 변경 방법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KR100382202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제한 방법
KR20060007283A (ko) 이동단말기의 오통화 예방 방법
KR2003003912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JP2000308134A (ja) 通信装置及び携帯端末
KR100478838B1 (ko) 씨아디 비가입 에스엠에스 전화기의 에스엠에스자동수신방법
KR100464497B1 (ko) 부재중 발신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전화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518170B1 (ko) 에스엠에스메시지 개별전송기능이 구비된 에스엠에스 전화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