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219B1 -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219B1
KR100414219B1 KR10-2001-0018885A KR20010018885A KR100414219B1 KR 100414219 B1 KR100414219 B1 KR 100414219B1 KR 20010018885 A KR20010018885 A KR 20010018885A KR 100414219 B1 KR100414219 B1 KR 10041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ower
wireless telephone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752A (ko
Inventor
박범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1-0018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2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전화기가 교환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제 1 단계(S1); 상기 교환기가 상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제 2 단계(S2);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이면,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 최상위 부가 서비스 메뉴를 전송하는 제 4 단계(S4);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으로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5 단계(S5);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상응한 제어를 실시하는 제 6 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타인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METHOD OF MOBILE STATION CONTROL FOR USING TELEPHONE/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무선 전화기를 통해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On)되면 잠금 기능을 설정/해제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음성 사서함의 부가 서비스 중에는 메시지 녹음, 이동전화 호출, 메시지 청취, 호출 정보 안내, 개인 사물함, 메시지 전송, E-mail 서비스 등의 여러가지 부가 서비스가 있으며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와 같은 데이터만을 전송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개인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사용을 막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분실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 방전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타인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해주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교환기, 유/무선 전화기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 패드를 통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을 선택하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PSTN 망을 통해 상기 교환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부터 호 접속을 요청받아 상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가 아니면, 종료하는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이면,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 최상위 부가 서비스 메뉴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억세스 하기 위한 최상위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1 단계;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 제 5-2 단계;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및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제 5-3 단계;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 제 5-4 단계;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5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상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 6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3은 도 2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중 제 5 단계(S5)의 세부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는 도 4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중 제 500 단계(S500)의 세부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도 4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중 제 600 단계(S600)의 세부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무선 전화기 200 : 교환기
300 : 이동통신 단말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장치는 유/무선 전화기(100), 교환기(200), 및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호 접속을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교환기(200)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입력받아 호 접속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호 접속 및 기타 호 접속 실패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그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상응한 제어를 실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2,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분실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키 패드를 통해 호 접속 요청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교환기(200)로 호 접속을 요청한다(S1).
그러면, 상기 교환기(200)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로부터 호 접속을 요청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호 접속을 요청한다(S2).
이어서, 상기 교환기(20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이 온 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이 때, 상기 제 3 단계(S3)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아니면(NO), 종료하는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이 온(On) 상태이면(YES), 상기 교환기(200)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로 최상위 부가 서비스 메뉴를 전송한다(S4).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5 단계(S5)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억세스 하기 위한 최상위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교환기(200)로 전송한다(S5-1).
이어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다(S5-2).
그리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및 비밀번호를 전송한다(S5-3).
이어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다(S5-4).
그리고,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상기 교환기(200)로 전송한다(S5-5). 이 때, 상기 교환기(200)는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제어를 실시한다(S6). 이 때,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오프, 이동통신 단말기 잠금/해제, 및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잠금을 유지시키는 기능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키 패드를 통해 호 접속 요청을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교환기(200)로 호 접속을 요청한다(S100).
이어서, 상기 교환기(200)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로부터 호 접속을 요청받음과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호 접속을 요청한다(S200).
그리고, 상기 교환기(20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이 온 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0).
이 때, 상기 제 300 단계(S300)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온 상태가 아니면(NO), 종료하는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이 온 상태이면(YES), 상기 교환기(200)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로 음성 사서함 안내 멘트를 전송한다(S400).
이어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전송된 음성 사서함 안내 멘트에 따라 상기 교환기(200)를 통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으로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500).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500 단계(S5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5를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억세스 하기 위한 최상위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3번 및 비밀번호(1111)를 상기 교환기(200)로 전송한다(S500-1). 이 때, 최상위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1번은 문자 메세지 송출, 2번은 음성 메세지 송출, 및 3번은 부가 서비스로 제공되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사서함이고, 상기에 제공되는 비밀번호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억세스 하기 위한 비밀번호이다.
이어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다(S500-2). 이 때,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는 1번 이동통신 단말기 전원 오프, 및 2번 이동통신 단말기 잠금 기능 설정/해제이다.
그러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 전원 오프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0-3).
이어서, 상기 제 500-3 단계(S500-3)에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 전원 오프를 선택했으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2222)를 입력받은 후 상기 교환기(200)로 전송하는 동시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1번을 전송한다(S500-4). 이 때, 상기에 제공되는 비밀번호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비밀번호이다.
그러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다(S500-5).
이어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상기 교환기(200)로 전송한다(S500-6).
반면에, 상기 제 500-3 단계(S500-3)에서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잠금 기능 설정 및 해제를 선택했으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2222)를 입력받은 후 상기 교환기(200)로 전송하는 동시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2를 전송한다(S500-7).
그러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다(S500-8). 이 때,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는 1번 잠금 기능 설정, 및 2번 잠금 기능 해제이다.
이어서,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중 잠금 기능 설정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0-9).
그리고, 상기 제 500-9 단계에서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중 잠금 기능 설정을 선택하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잠금 기능 설정 신호를 상기 교환기(200)로 전송한다(S500-10).
반면에, 상기 제 500-9 단계에서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중 잠금 기능해제를 선택하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100)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300)를 잠금 기능 해제 신호를 상기 교환기(200)로 전송한다(S500-11).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상기 교환기(200)로부터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상응한 제어를 실시한다(S600).
이하, 하기에서는 상술한 제 600 단계(S600)의 세부 동작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교환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0-1).
이어서, 상기 제 600-1 단계(S600-1)에서 교환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이면(YE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킨다(S600-2).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단말기에 다시 전원을 인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0-3).
이어서, 상기 제 600-3 단계(S600-3)에서 단말기에 다시 전원을 인가되지 않으면(NO), 다시 상기 제 600-3 단계(600-3)로 진행하는 한편, 단말기에 다시 전원을 인가되면(YE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단말기를 초기화시킴과 동시에 잠금 기능 설정 상태를 유지한다(S600-4).
반면에, 상기 제 600-1 단계(S600-1)에서 교환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아니면(NO),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교환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잠금 기능 설정 신호인지의 여불 판단한다(S600-5).
이 때, 상기 제 600-5 단계(S600-5)에서 교환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잠금 기능 설정 신호이면(YE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잠금 기능 설정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단말기의 상태를 잠금 기능으로 설정한다(S600-6).
한편, 상기 제 600-5 단계(S600-5)에서 교환기(20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잠금 기능 해제 신호이면(NO),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내 MSM이 잠금 기능 해제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단말기의 상태를 잠금 기능 해제로 설정한다(S600-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 단말기, 교환기, 유/무선 전화기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 패드를 통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을 선택하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PSTN 망을 통해 상기 교환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부터 호 접속을 요청받아 상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On) 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아니면, 종료하는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On) 상태이면,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 최상위 부가 서비스 메뉴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억세스 하기 위한 최상위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1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 제 5-2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및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제 5-3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 제 5-4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5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상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상응한 제어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기능,및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잠금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4. 유/무선 전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키 패드를 통해 호 접속 요청을 입력받으면 교환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제 100 단계;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부터 호 접속을 요청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접속을 요청하는 제 200 단계;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00 단계;
    상기 제 300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가 아니면, 종료하는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이면,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무선 전화기로 음성 사서함 안내 멘트를 전송하는 제 400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억세스 하기 위한 최상위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 및 비밀번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00-1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 제 500-2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전원 오프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500-3 단계;
    상기 제 500-3 단계에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전원 오프를 선택했으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를 전송하는 제 500-4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 제 500-5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00-6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전원/잠금 제어신호에 상응한 제어를 실시하는 제 600 단계이루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500-3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기능 설정 및 해제를 선택했으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서브 부가 서비스 선택 번호를 전송하는 제 500-7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받는 제 500-8 단계;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중 잠금 기능 설정을 선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S500-9 단계; 및
    상기 제 500-9 단계에서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중 잠금 기능 설정을 선택하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잠금 기능 설정 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00-10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500-9 단계에서 제 2 서브 부가 서비스 메뉴중 잠금 기능 해제를 선택하면, 상기 유/무선 전화기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잠금 기능 해제 신호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500-11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600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교환기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00-1 단계;
    상기 제 600-1 단계에서 교환기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전원 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 600-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단말기에 다시 전원을 인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600-3 단계; 및
    상기 제 600-3 단계에서 단말기에 다시 전원을 인가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600-3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단말기에 다시 전원을 인가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단말기를 초기화시킴과 동시에 잠금 기능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제 600-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600-1 단계에서 교환기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전원오프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아니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교환기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잠금 기능 설정 신호인지의 여불 판단하는 제 600-5 단계; 및
    상기 제 600-5 단계에서 교환기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잠금 기능 설정 신호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잠금 기능 설정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단말기의 상태를 잠금 기능으로 설정하는 제 600-6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600-5 단계에서 교환기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잠금 제어신호가 잠금 기능 해제 신호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내 MSM이 잠금 기능 해제 신호를 입력받은 후 그 단말기의 상태를 잠금 기능 해제로 설정하는 제 600-7 단계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KR10-2001-0018885A 2001-04-10 2001-04-10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KR10041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885A KR100414219B1 (ko) 2001-04-10 2001-04-10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885A KR100414219B1 (ko) 2001-04-10 2001-04-10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752A KR20020078752A (ko) 2002-10-19
KR100414219B1 true KR100414219B1 (ko) 2004-01-07

Family

ID=2770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885A KR100414219B1 (ko) 2001-04-10 2001-04-10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50B1 (ko) * 2007-01-12 2009-01-13 (주)테크바일 휴대단말기의 다중데이터 보호방법, 장치, 및 휴대단말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660A (ja) * 1995-03-13 1996-09-27 Nec Corp 無線携帯端末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携帯端末不正使用防 止サブシステム
JPH09182158A (ja) * 1995-12-26 1997-07-1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電話機
JP2000151798A (ja) * 1998-11-05 2000-05-30 Sharp Corp ダイヤル/データロック機能付き携帯電話
KR20000044447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무선단말기에서 디티엠에프 신호를 이용한 무선 잠금 방법
KR20010039387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20010065039A (ko) * 1999-12-21 2001-07-11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660A (ja) * 1995-03-13 1996-09-27 Nec Corp 無線携帯端末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携帯端末不正使用防 止サブシステム
JPH09182158A (ja) * 1995-12-26 1997-07-1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電話機
JP2000151798A (ja) * 1998-11-05 2000-05-30 Sharp Corp ダイヤル/データロック機能付き携帯電話
KR20000044447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무선단말기에서 디티엠에프 신호를 이용한 무선 잠금 방법
KR20010039387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20010065039A (ko) * 1999-12-21 2001-07-11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752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5842B2 (en) Telephony apparatus
US72219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oring and utilizing operating mode data of a user telecommunication terminal
EP1083764B1 (en) Remotely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US7822187B2 (en) Telephone system with emergency override for caller to bypass telephone answering device and cause phone of called party to ring
EP1750413B1 (e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secure access between devices
CN102045458B (zh) 基于智能网的呼叫控制方法和装置
CN1458802A (zh) 适合未成年人使用的无线通讯终端和通讯网络服务
KR20060049620A (ko) 커스터마이징된 착신호 전환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KR20010045885A (ko)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414219B1 (ko)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JP2008048129A (ja) 移動端末を遠隔制御する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5309511A (e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U751989B2 (en) Method and device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WO1999057880A1 (en) Programmable time-controlled functions in mobile terminal handsets
AU739213B2 (en) Remote function setting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96197A (ko) 분실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등록 및 사용자 연결 방법
KR20050044190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폰페이지자동접속서비스 제공방법
KR100862750B1 (ko) 전화 접속 중계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U1495000A (en) System comprising an extensible number of system-parts, and system-part
JP3001480B2 (ja) ダイヤルイン装置
RU2168283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абонента по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с базой данных информационно-поисковой системы
KR100594154B1 (ko) 아이에스디엔 단말의 표시기능을 이용한 교환시스템의 기능을원격 설정하는 방법
KR960003223A (ko) 키폰 시스템에서 락 코드 방법
KR20010086840A (ko) 단절없는 음성통화를 위한 배경음악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02159067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