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821B1 -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821B1
KR100651821B1 KR1020020071988A KR20020071988A KR100651821B1 KR 100651821 B1 KR100651821 B1 KR 100651821B1 KR 1020020071988 A KR1020020071988 A KR 1020020071988A KR 20020071988 A KR20020071988 A KR 20020071988A KR 100651821 B1 KR100651821 B1 KR 10065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button
pressed
buttons
l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3727A (en
Inventor
홍성찬
Original Assignee
홍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찬 filed Critical 홍성찬
Priority to KR102002007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821B1/en
Publication of KR2004004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7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숫자, 영문 및 한글 자모음이 적힌 버튼들이 구비되지 않고, 4방향 버튼들, 선택 버튼, 자판토글 버튼, 지우기 버튼, 탭 버튼, 종성시프트 버튼 및 파워 버튼들을 구비하는 키패드; 14개의 자음들과 6개의 모음들(ㅜ,ㅗ,ㅏ,ㅓ,ㅡ,ㅣ)로 구성된 하나의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문자 자판을 표시하는 문자입력 메뉴창과, 상기 키 패드에 구비된 버튼들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을 표시하는 문자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표시기; 및 상기 방향 버튼들이 눌려지면 해당되는 방향으로 자판선택커서를 이동시키며, 상기 선택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를 상기 화면표시기에 표시하며, 상기 자판토글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문자 자판들 중 하나를 상기 화면표시기에 표시하고, 상기 지우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를 삭제하며, 상기 탭 버튼이 눌려지면 다음 항목이 설정되며, 상기 종성시프트 버튼이 눌려지면 이전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하여 상기 다음 글자에 조합하며, 상기 파워 버튼이 눌려지면 파워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입력제어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키패드와 화면을 번갈아 보며 문자를 입력할 필요없이 화면만 보고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이동통신단말기가 소형화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oes not include buttons with numbers, English and Korean consonants, 4-way buttons, selection buttons, keyboard toggle buttons, clear buttons, tab buttons, and final shift buttons. And a keypad having power buttons; On the keypad, a text input menu window displaying one Korean keyboard, a numeric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composed of 14 consonants and 6 vowels (TT, ㅗ, ㅏ, ㅓ, ㅡ, ㅣ) A screen display including a text input window for displaying a combination of letters or numbers selected by the provided buttons; And when the direction buttons are pressed,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moved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nd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e selected letter or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and when the keyboard toggle button is pressed, the Korean keyboard and numeric keypad are pressed. , One of English characters and special characters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and if the erase button is selected, the selected letters or numbers are deleted; when the tab button is pressed, the next item is set, and the final shift button is When pressed, the at least one selected consonant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nd combined with the next letter.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the user has an input controller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so that the user alternates between the keypad and the screen. Easy to use because you can enter text without looking at the screen. And it is miniaturiz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판을 보여준다.3 shows a Hangul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한글자판이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을 보여준다.4 show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including a Korean keyboard.

도 5는 숫자자판이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을 보여준다.5 show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including a numeric keypad.

도 6은 영문자판이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을 보여준다.6 show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including an English keyboard.

도 7은 특수문자 자판이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을 보여준다.7 show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1,212,213,214; 방향 버튼들, 221; 선택 버튼211,212,213,214; Direction buttons, 221; Select button

231; 탭 버튼, 241; 자판토글 버튼231; Tab button, 241; Keyboard toggle button

251; 파워 버튼, 261; 지우기 버튼251; Power button, 261; Erase button

271; 종성 시프트 버튼, 281; 문자입력메뉴271; Final shift button, 281; Character input menu

283; 문자입력창283; Character input window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글 문자 입력이 편리하여 노인이나 어린이들에게 유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convenient for the elderly or children due to convenient Korean character input.

일반적인 휴대폰은 4행 3열로 배열된 버튼들로 이루어진 키패드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버튼들에는 숫자, 한글자모음, 영문자가 매핑(mapping)되어 있어서, 숫자, 한글, 영문의 각 모드에서 버튼들을 누르면 해당 모드에서 매핑되어 있는 문자가 입력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부 휴대폰에서 문자 입력시 화면상에 자판을 띄우고 각 문자마다 번호를 지정하여 해당 번호와 일치되는 키패드상의 버튼을 누르는 방식이나 키패드의 버튼을 방향키로 사용하는 방식 등의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한글 입력의 경우 화면상에 자음, 쌍자음, 복자음, 모음, 복모음의 자판이 계속 전환되며 나타남에 따라 사용자에게 오히려 복잡함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A typical mobile phone has a keypad composed of buttons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and the buttons are mapped with numbers, Korean vowels, and English letters. It adopts the way that characters mapped in are inputted. In some mobile phone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display a keyboard on the screen and assign a number to each character to press a button on the keypad that matches the number or to use a button on the keypad as a direction key. In the case of the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Bok consonants, vowels, vowels, the keyboard is constantly switched to appear as a problem that adds complexity to the user.

일 예로써, '뛴다'의 '뛴"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쌍자음 자판을 띄워 'ㄸ'을 입력하고, 복모음 자판을 띄워 'ㅢ'를 입력하며, 다시 기본자음 자판을 띄워 'ㄴ'을 입력하여야 한다. 화면상에서 계속적으로 자판이 바뀌게 되면 사람의 시각은 변경된 자판에 다시 촛점을 맞춰야 하고, 해당 자판에서 원하는 문자를 찾은 다음 대 응되는 키패드의 버튼을 찾아 이동해야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이런 방식은 사용자를 쉽게 피로하게 만들고 특히, 아동이나 노인에게는 문자 입력시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jump' of 'jump', a double consonant keyboard is displayed with 'ㄸ', a double vowel keyboard is displayed with 'ㅢ', and a basic consonant keyboard with 'n' is displayed. As the keyboard continues to change on the screen, the human vision must be refocused on the changed keyboard, find the desired character on the keyboard, and then navigate through the buttons on the corresponding keypad. The method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feel tired, especially for children or the elderly, which makes the user feel uncomfortable with text input.

또한, 4행 3열로 배열된 버튼들은 그 수가 많으므로 이들로 구성된 키패드는 휴대폰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며, 이는 휴대폰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데 있어서 방해요인이 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buttons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is large, the keypad composed of them occupies a large area in the mobile phone, which is an obstacle in reducing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의 목적은 키패드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문자입력이 편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keypad and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venient.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숫자, 영문 및 한글 자모음이 적힌 버튼들이 구비되지 않고, 4방향 버튼들, 선택 버튼, 자판토글 버튼, 지우기 버튼, 탭 버튼, 종성시프트 버튼 및 파워 버튼들을 구비하는 키패드; 14개의 자음들과 6개의 모음들(ㅜ,ㅗ,ㅏ,ㅓ,ㅡ,ㅣ)로 구성된 하나의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문자 자판을 표시하는 문자입력 메뉴창과, 상기 키 패드에 구비된 버튼들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을 표시하는 문자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표시기; 및 상기 방향 버튼들이 눌려지면 해당되는 방향으로 자판선택커서를 이동시키며, 상기 선택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를 상기 화면표시기에 표시하며, 상기 자판토글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문자 자판들 중 하나를 상기 화면표시기에 표시하고, 상기 지우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를 삭제하며, 상기 탭 버튼이 눌려지면 다음 항목이 설정되며, 상기 종성시프트 버튼이 눌려지면 이전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하여 상기 다음 글자에 조합하며, 상기 파워 버튼이 눌려지면 파워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입력제어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를 제공한다.A keypad including four-way buttons, a selection button, a keyboard toggle button, an erase button, a tab button, a final shift button, and power buttons; On the keypad, a text input menu window displaying one Korean keyboard, a numeric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composed of 14 consonants and 6 vowels (TT, ㅗ, ㅏ, ㅓ, ㅡ, ㅣ) A screen display including a text input window for displaying a combination of letters or numbers selected by the provided buttons; And when the direction buttons are pressed,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moved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nd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e selected letter or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and when the keyboard toggle button is pressed, the Korean keyboard and numeric keypad are pressed. , One of English characters and special characters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and if the erase button is selected, the selected letters or numbers are deleted; when the tab button is pressed, the next item is set, and the final shift button is When pressed, at least one consonant selected previously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nd combined with the next letter.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input controller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do.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101)는 키패드(111), 입력제어기(121), 및 화면표시기(231)를 구비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character input device 101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keypad 111, an input controller 121, and a screen display 231.

키패드(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방향 버튼들 즉, 상향 버튼(211), 우향 버튼(212), 좌향 버튼(213), 하향 버튼(214), 선택 버튼(221), 탭 버튼(231), 자판토글 버튼(241), 파워 버튼(251), 지우기 버튼(261), 및 종성시프트 버튼(27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키패드(111)는 종래와 같은 숫자, 영문 및 한글 자모음이 인쇄된 버튼들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으므로, 그 크기가 종래의 키패드에 비해 작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keypad 111 has four directional buttons, that is, an up button 211, a right button 212, a left button 213, a down button 214, a select button 221, and a tab. A button 231, a keyboard toggle button 241, a power button 251, an erase button 261, and a vertical shift button 271 are provided. As such, the keypad 111 does not have separate buttons printed with the same numbers, alphabets, and Korean alphabets as in the prior art, and thus, the size of the keypad 11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keypad.

화면표시기(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입력메뉴(281)와 문자입력창(283)을 구비한다. 문자입력메뉴(281)는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 문자 자판을 포함한다.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문자 자판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문자입력창(283)은 한글 또는 영문 메시지를 작성할 때 선택 버튼(221)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을 표시하는 창이다. The screen display 131 includes a text input menu 281 and a text input window 283, as shown in FIG. The text input menu 281 includes a Korean keyboard, a numeric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A Korean keyboard, a numeric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The text input window 283 is a window for displaying a combination of letters or numbers selected by the selection button 221 when composing a Korean or English message.

입력제어기(121)는 자판토글 버튼(241)이 눌려지면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문자 자판들 중 하나를 화면표시기(131)에 표시한다. 즉, 자판토글 버튼(241)이 눌려질 때마다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특수문자 자판 순서로 화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순서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When the keyboard toggle button 241 is pressed, the input controller 121 displays one of a Korean keyboard, a numeric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on the screen display 131. That is, whenever the keyboard toggle button 241 is pressed, the keyboard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Korean keyboard, numeric keyboard, English keyboard, and special character keyboard. This order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s needed.

입력제어기(121)는 방향 버튼들(211∼214)이 눌려지면 해당되는 방향으로 자판선택커서를 이동시키며, 선택 버튼(221)이 눌려지면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를 화면표시기(131)에 표시하며, 지우기 버튼(261)이 선택되면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를 삭제하며, 탭 버튼(231)이 눌려지면 다음 항목이 설정되며, 종성 시프트 버튼(271)이 눌려지면 이전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하여 다음 글자에 조합하며, 파워 버튼(251)이 눌려지면 파워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The input controller 121 moves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when the direction buttons 211 to 214 are pressed, and displays the selected letter or number on the screen display 131 when the selection button 221 is pressed. When the clear button 261 is selected, the selected letter or number is deleted.When the tab button 231 is pressed, the next item is set.When the final shift button 271 is pressed, the at least one consonant selected before the next letter is selected. It is recognized as a consonant and combined with the next letter. When the power button 251 is pressed, the power is turned on or off.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판(311)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한글 자판(311)은 기본 자음 14개(ㄱ∼ㅎ), 기본 모음 6개(ㅏ,ㅓ,ㅗ,ㅜ,ㅡ,ㅣ) 및 공백문자(blank,?)로 구성된다. 상기 기본 모음의 배열은 좌측으로부터 'ㅜ', 'ㅗ', 'ㅏ', 'ㅓ', 'ㅡ', 'ㅣ'의 순서로 구성된다. 상기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을 이용하여 한글 문장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쌍자음, 복자음 및 복모음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3 shows a Hangul keyboard 3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Korean keyboard 311 is composed of 14 basic consonants (ㄱ ㅎ), 6 basic vowels (ㅏ, ㅓ, ㅗ, TT, ㅡ, ㅣ) and a blank character (blank ,?) . The arrangement of the basic vowels is configured in the order of 'TT', 'ㅏ', 'ㅏ', 'ㅓ', 'ㅡ', 'ㅣ' from the left. By using the basic consonant and the basic vowel, all of the consonants, the vowel consonants, and the vowel vowels necessary to construct a Korean sentence can be expressed.

한글자판(311)이 표시되는 초기에는 'ㄱ'이 밝게 표시되어 현재 자판선택커서(321)가 여기 있음을 알려준다. 방향버튼을 한번 누르면 자판선택커서(321)가 해당 방향으로 한칸씩 움직이며, 방향 버튼을 1∼2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해당 방향으로 자판선택커서(321)가 자동 진행된다. 그러다가, 원하는 위치에 자판선택커서(321)가 도달했을 때 누르고 있던 방향 버튼을 놓고 선택 버튼(221)을 누르면 해당 문자가 입력된다. 한글자판(311) 내에서 자판선택커서(321)는 마지막을 지나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는 루프방식을 사용한다. 즉, 자판선택커서(321)가 'ㅅ'의 위치에서 우향 버튼을 누르면 자판선택커서(321)는 'ㅇ'의 위치로 이동하고, 자판선택커서(321)가 공백문자의 위치에서 우향 버튼을 누르면 처음 'ㄱ'의 위치로 이동한다. 다른 방향 버튼도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예를 들면, 'ㅅ'을 찾아가기 위해 자판선택커서(321)가 'ㄱ'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우향 버튼을 6번 눌러도 되지만 하향 버튼 한번과 좌향 버튼 한번의 총 두 번만 눌러도 찾아갈 수 있다. 또한, 'ㅎ'의 경우는 자판선택커서(321)가 'ㄱ'에 있는 상태에서 우향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어도 되지만 하향 버튼 두 번과 좌향 버튼 한번의 총 세 번만 누르면 최단 속도로 찾을 수 있다. Initially when the Hangul keyboard 311 is displayed, 'ㄱ' is displayed brightly, indicating that the current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is here. When the direction button is pressed once,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moves by one spac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when the direction button is pressed for 1 to 2 seconds or more,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proceeds automatically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en, when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reaches the desired position, when the button is pressed and the selection button 221 is released,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input.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in the Hangul keyboard 311 uses a loop method that returns to the beginning again after the last pass. That is, when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presses the right button at the position of 'ㅅ',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moves to the position of 'ㅇ', and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presses the right button at the position of the space character. Press to go to the first 'B' position. The other direction buttons work on the same principle. For example,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may be pressed six times while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a', but it may be navigated by pressing the down button once and the left button once. . In addition, in case of 'ㅎ',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may continue to press the right button while the 'a' is in the state, but it may be found at the shortest speed by pressing the down button twice and the left button once three times.

'ㄲ', 'ㄸ', 'ㅃ', 'ㅆ', 'ㅉ'의 5개 쌍자음의 경우는 자판선택커서(321)가 각각 'ㄱ', 'ㄷ', 'ㅂ', 'ㅅ', 'ㅈ'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선택 버튼(221)을 연속 두 번 눌러 입력한다. 같은 방법으로 기본모음 중 'ㅑ', 'ㅕ', 'ㅛ', 'ㅠ'의 4개 모음도 자판선택커서(321)가 각각 'ㅏ', 'ㅓ', 'ㅗ', 'ㅜ'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선택 버튼(221)을 연속 두 번 누르면 된다. 'ㅐ', 'ㅒ', 'ㅔ', 'ㅖ', 'ㅘ', ' ㅙ', 'ㅚ', 'ㅝ', 'ㅞ', 'ㅟ', 'ㅢ'의 11개 복모음은 기본이 되는 모음을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입력한다. 예로써, 'ㅢ'의 경우는 'ㅡ'를 선택하고 'ㅣ'를 선택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고, 'ㅖ'의 경우는 'ㅓ'의 위치에서 선택 버튼(221)을 두 번 누른 후 'ㅣ'를 선택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ㅙ'와 같은 경우는 'ㅗ', 'ㅏ', 'ㅣ'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five consonants of 'ㄲ', 'ㄸ', 'ㅃ', 'ㅆ', and 'ㅉ',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displays 'ㄱ', 'ㄷ', 'ㅂ', 'ㅅ' In the state of ',', press the select button 221 twice in succession to enter. In the same way, the four collections of '(', 'ㅕ', 'ㅛ', and 'ㅠ' among the basic vowels are selected by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of 'ㅏ', 'ㅓ', 'ㅗ', and 'TT'. In this state, the selection button 221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The eleven vowels of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and 'ㅢ' are basically Enter by selecting consecutive vowels. For example, 'ㅢ' can be input by selecting 'ㅡ' and selecting 'ㅣ', and in case of 'ㅖ', press the select button 221 twice at the position of 'ㅓ' and then 'ㅣ' Can be entered by selecting '. In case of 'ㅙ', it can be input by selecting 'ㅗ', 'ㅏ', 'ㅣ' continuously.

문자입력 장치(101)의 특징 중 하나는 한글자판(311)의 모음의 순서가 일반적인 한글 모음 순서인 'ㅏ', 'ㅓ', 'ㅗ', 'ㅜ', 'ㅡ', 'ㅣ'가 아닌 'ㅜ', 'ㅗ', 'ㅏ', 'ㅓ', 'ㅡ', 'ㅣ'의 순서로 구성된 점이다. 본 문자입력 장치(101)에서는 문자를 찾을 때 주로 우향 버튼(212)을 사용하게 되는데 'ㅘ', 'ㅝ'같은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종래 모음 순서를 사용할 경우는 처음에 우향 버튼(212)을 사용해 'ㅗ'나 'ㅜ'를 입력하고 좌향 버튼(213)을 사용해 'ㅏ'나 'ㅓ'를 입력해야 한다. 특히, 'ㅙ', 'ㅞ'를 입력할 경우는 우향 버튼(212)을 사용해 'ㅗ'나 'ㅜ'를 입력하고 좌향 버튼(213)을 사용해 'ㅏ'나 'ㅓ'를 입력한 후 다시 우향 버튼(212)을 사용하여 마지막에 있는 'ㅣ'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문자입력 장치(101)는 그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모든 복모음이 'ㅜ' 부터 시작하여 'ㅣ'까지 가는 동안 우향 버튼(212)만을 사용하여 순서대로 선택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로써, 'ㅙ'의 경우 'ㅗ'를 선택하고 우측으로 한 칸 이동하여 'ㅏ'를 입력하고, 우측으로 세 칸 이동하여 'ㅣ'를 선택하면 된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is that the vowel order of the Hangul keyboard 311 is 'ㅏ', 'ㅓ', 'ㅗ', 'TT', 'ㅡ', 'ㅣ' It is not a point consisting of 'TT', 'ㅗ', 'ㅏ', 'ㅓ', 'ㅡ' and 'ㅣ'.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the right button 212 is mainly used to find a character. When the conventional vowel order is used to input a vowel sound such as 'ㅘ' and 'ㅝ', the right button 212 is first used. Use 'ㅗ' or 'TT' and use the left button (213) to enter 'ㅏ' or 'ㅓ'. In particular, when entering 'ㅙ' and 'ㅞ', enter 'ㅗ' or 'TT' using the right button 212 and enter 'ㅏ' or 'ㅓ' using the left button 213 again. Using the right button 212 is inconvenient to enter the last '|'.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input by selecting in order using only the right button 212 while all the vowels start from 'TT' and go to 'ㅣ' to alleviate such disadvantag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ㅙ', select 'ㅗ' and move one space to the right to enter 'ㅏ', and move three spaces to the right to select 'ㅣ'.

한글의 경우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종성은 없을 수도 있다. 또한, 'ㄲ', 'ㅆ' 의 2개 쌍자음은 초성과 종성에 모두 올 수 있으며,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의 11개 복자음은 항상 종성 위치에만 올 수 있다. 따라서, 한글에서 글자가 연속되는 경우 첫 번째 글자의 종성과 두 번째 글자의 초성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Hangul is composed of Choseong, Neutral, and Jongsung, and may not have Jongseong. Also, the two consonants of 'ㄲ' and 'ㅆ' can come to both the first and the last, and 'ㄳ', 'ㄵ', 'ㄶ', 'ㄺ', 'ㄻ', 'ㄼ', 'ㄽ' The eleven lucky consonants of ',' ㄾ ',' ㅀ ',', 'and' ㅄ 'can always come only in the final position. Therefore, when letters are consecutive in Korea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last letter of the first letter and the first letter of the second letter.

종래의 휴대폰중 대표적인 4행 3열의 키패드를 가지고 있는 애니콜 계열의 종성 인식 방법을 살펴보면, 처음 초성, 중성 입력 후 자음이 입력되면 해당 자음을 종성에 표시한다. 다음에 모음이 입력되면 종성에 있던 자음은 다음 글자의 초성 위치로 이동된다. 모음 대신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는 기존 입력된 자음과 신규 입력된 자음의 조합이 11개 복자음에 해당되는지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해당 복자음을 종성에 표시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나중에 입력된 자음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그 후 다시 모음이 입력되면 복자음의 경우 뒤에 있는 자음이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이동한다. 쌍자음의 경우는 해당 기본자음 버튼을 3회 눌러 선택한다. Looking at the Anycall family's seed recognition method having a typical four-row, three-column keypad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when the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first initial, neutral input and displays the consonant in the final. The next time the vowel is entered, the consonant in the final word i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next letter. If a consonant is entered instead of a vowel, compare the existing consonant with the newly entered consonant to see if it corresponds to 11 double consonants, and if it matches, display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 the final word. It is recognized as the first letter of the next letter. After the vowel is input again, the consonant in the case of the consonant is moved to the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In case of double consonants, press the basic consonant button three times to select.

예로써, 'ㄱ' 문자버튼을 두 번 누르면 'ㅋ', 세 번 누르면 'ㄲ'이 표시된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첫 글자의 종성과 다음글자의 초성이 같은 자음일 경우 입력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예로써, '역기' 라는 글자를 입력시 '역'의 종성과 '기'의 초성이 같은 자음이므로 연이어 입력할 수 가 없다. 따라서, '역'을 입력한 후 방향키를 이용하여 다음 글자로 이동 후 '기'를 입력하거나 '역'을 입력하고 난 후 해당 글자가 3회 깜박이고 다음 글자로 자동 이동된 다음에 '기'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For example, pressing 'b' twice to display 'ㅋ' and pressing three times to display '세'. However, this type of input problem occurs when the final letter of the first letter and the first letter of the next letter are the same consonants.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word 'Cheergi', it is not possible to input it consecutively because the final consonant of 'Station' and the consonant of 'Kee' are the same consonants. Therefore, after entering 'station', move to next letter by using direction key, then enter 'ki' or 'station', then the corresponding letter blinks 3 times and automatically move to next letter, then 'ki' I'm using the method of typing.

본 발명의 문자입력 장치(101)는 초성, 중성 입력 후 다음 번 모음이 나올 때까지의 9가지 경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following nine cases from the initial and neutral inputs until the next vowel appears.

(1) 기본자음1 + 모음: 기본자음1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예로써, '모자'와 같이 초성, 중성 입력 후 기본자음 'ㅈ'과 모음 'ㅏ'가 입력되면 'ㅈ'은 둘째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된다.(1) Basic Consonant 1 + Vowel: Recognizes the basic consonant 1 as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For example, if the basic consonant 'ㅈ' and the vowel 'ㅏ' are input after primary and neutral input, like 'hat', 'ㅈ' is recognized as the first letter of the second letter.

(2) 기본자음1 + 기본자음2 + 모음: 기본자음1은 종성으로 기본자음2는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예로써, '독도'와 같이 종성 입력시 기본자음1인 'ㄱ'과 기본자음2인 'ㄷ'이 입력되고 모음 'ㅗ'가 입력되면 'ㄱ'은 종성으로 'ㄷ'은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된다. (2) Basic consonant 1 + Basic consonant 2 + Vowels: Basic consonant 1 is recognized as the final star and basic consonant 2 is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For example, when a final consonant such as 'Dokdo' is entered, 'a', a basic consonant '1' and a 'two', a basic consonant '2' are entered, and a vowel 'ㅗ' is entered, 'a' is a finality and 'c' is a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Is recognized.

(3) 기본자음1 + 기본자음2 + 기본자음3 + 모음: 복자음은 초성으로 올 수 없으므로 기본자음1과 기본자음2가 11개 복자음과 일치하면 복자음 종성으로 인식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기본자음1을 종성으로 기본자음2는 별도의 글자로 인식한다. 기본자음3은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예로써, '읽다'와 같이 초성, 중성 입력후 'ㄹ', 'ㄱ', 'ㄷ'의 서로 다른 기본자음 3개가 연이어 입력되면 'ㄹ'과 'ㄱ'이 복모음이 되는가를 비교후 일치하면 'ㄺ'을 종성으로 인식하고 'ㄷ'은 다음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3) Basic consonant 1 + Basic consonant 2 + Basic consonant 3 + Vowel: Since the consonant consonant cannot come as a consonant, if the basic consonant 1 and the basic consonant 2 coincide with the 11 consonant consonants, it will be recognized as the final consonant. As a finality, the basic consonant 2 is recognized as a separate letter. The basic consonant 3 is recognized as the first letter of the next letter. For example, if three different basic consonants of 'ㄹ', 'ㄱ' and 'c' are entered after inputting a consonant, neutral, such as 'read', and compares whether 'ㄹ' and 'ㄱ' are double vowels 'ㄺ' is recognized as a finality and 'c' is recognized as the first letter of the next letter.

(4) 기본자음1 + 기본자음2 + 쌍자음1 + 모음: (3)과 같은 방법으로 인식된다. (4) Basic consonant 1 + Basic consonant 2 + Twin consonant 1 + Vowels: It is recognized in the same way as (3).

(5) 쌍자음1 + 모음: 기본자음의 위치에서 선택 버튼(221)을 2회 눌러 쌍자음을 만들기 때문에, 각각의 자음이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인지 또는 종성이 없고 쌍자음이 다음 글자의 초성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본 문자입력 장치(101)에서는 기본적으로 각각의 자음을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다음 글자의 쌍자음 초성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모음입력 전에 종성시프트 버튼(271)을 눌러 이동시킨다. 예로써, '국군'과 같이 초성, 중성 입력 후 동일 기본자음 'ㄱ'이 연이어 입력될 때 본 문자입력 장치(101)는 기본적으로 앞의 'ㄱ'을 종성으로 다음 'ㄱ'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사용자가 '구꾼'으로 만들고 싶으면 모음 입력 전 종성시프트 버튼(271)을 눌러 이동시킨다. (5) Twin consonants 1 + vowels: Press the select button 221 twice at the position of the basic consonants to create double consonants, so that each consonant is the first and next consonants It should be distinguished whether it is a consonant.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101 basically recognizes each consonant as the finality and the first character of the next letter. In order to recognize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the vertical shift button 271 is moved before the vowel input. For example, when the same basic consonant 'ㄱ' is continuously input after initial and neutral inputs such as 'Kingu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basically changes the previous 'a' to the next 'a' as the next letter. Recognize it as a consonant. If the user wants to make it a 'dweller', he pushes the final shift button 271 before inputting the vowel.

(6) 쌍자음1 + 기본자음1 + 모음: 복자음이 초성에 올 수 없으므로 쌍자음1은 종성으로 기본자음1은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는 쌍자음이 'ㄲ', 'ㅆ'인 경우만 해당된다. 예로써, '갔다'와 같이 초성, 종성 입력 후 'ㅅ', 'ㅅ', 'ㄷ'이 입력되면 본 문자입력 장치(101)는 앞의 동일 기본자음 2개를 종성 쌍자음으로 인식하고 마지막 기본자음은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 (6) Twin consonants 1 + basic consonants 1 + Vowels: Since the double consonants cannot come to the first consonant, the double consonants 1 are considered to be the last consonant and the basic consonants 1 to the first consonant. In this case, only the consonant is 'ㄲ' or 'ㅆ'. For example, after entering the initial consonant and the final consonant, such as 'went', the letter input device 101 recognizes the two same basic consonants as the final consonants and ends the final consonant. The basic consonant is recognized as the first letter of the next letter.

(7) 쌍자음1 + 동일기본자음1 + 모음: 예로써, '갔습니다'의 경우 '갔'의 쌍자음 종성 'ㅆ'과 '습'의 초성 'ㅅ'의 입력은 본 문자입력 장치(101)에서 'ㅅ'의 위치에서 선택 버튼을 3회 눌러 이루어진다. 이때, '갔습니다' 인지 '갓씁니다' 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ㄸ', 'ㅃ', 'ㅉ'은 종성에 올 수 없으므로 이런 경우는 'ㄲ'과 'ㄱ', 그리고 'ㅆ'과 'ㅅ'의 두 가지 경우에 발생된다. 본 문자입력 장치(101)에서는 종성의 'ㄱ', 'ㄷ'에서 선택 버튼이 3회 눌린 경우는 기본적으로 종성의 쌍자음과 다음 글자 초성의 기본자음으로 인식한다. 종성의 기본자음과 다음 글자 초성의 쌍자음으로 바꾸려면 (4)에서와 같이 모음 입력 전 종성시프트 버튼(271)을 눌러 전환한다.(7) Twin consonant 1 + Equal basic consonant 1 + Vowel: For example, in case of 'go', the input of the double consonant 'ㅆ' of 'go' and 'sy' of 'wet' ) In the position of 'ㅅ' by pressing the select button three times.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it' or 'fresh'. Since 'ㄸ', 'ㅃ', and 'ㅉ' cannot come to finality, this happens in two cases: 'ㄲ' and 'ㄱ' and 'ㅆ' and 'ㅅ'.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ree times in the 'b' and 'c' of the final character,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recognizes the basic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nd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To change the basic consonant of the final consonant and the consonant of the next consonant, press the final shift button 271 before inputting the vowel as shown in (4).

(8) 쌍자음1 + 쌍자음2 + 모음: 쌍자음1은 종성으로 쌍자음2는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한다.(8) Twin consonants 1 + Twin consonants 2 + Vowels: Twin consonants 1 are recognized as final consonants and twin consonants 2 as the first consonants of the next letter.

(9) 기본자음1 + 쌍자음1 + 모음: 예로써, '읽기'와 같이 '이' 다음에 'ㄹ', 'ㄱ', 'ㄱ'이 연속해서 오는 경우로 기본자음1과 쌍자음1의 자음 하나가 결합하여 복자음 종성을 만들 수 있다. 즉, '읽기'인지 '일끼'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는 종성 입력시 'ㄱㅅㅅ', 'ㄴㅈㅈ', 'ㄹㄱㄱ', 'ㄹㅅㅅ?', 'ㅂㅅㅅ'의 5가지가 있다. 본 문자입력 장치(101)에서는 이 경우 복자음 종성과 다음 글자의 기본자음 초성을 기본으로 하고, 기본자음 종성과 쌍자음 초성은 (4), (6)과 같이 종성시프트 버튼(271)을 이용하여 전환한다. (9) Basic consonant 1 + Twin consonant 1 + Vowels: For example, the basic consonant 1 and the consonant 1 when 'L', 'ㄹ', 'ㄱ' and 'ㄱ' follow, such as 'read' One consonant of can combine to make a final consona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read' or 'muck'. In this case, there are five kinds of personality inputs: 'ㄱ ㅅㅅ', 'ㄴㅈ', 'ㄹㄱㄱ', 'ㄹ ㅅㅅ?', And 'ㅂ ㅅㅅ'. In this case,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bases on the consonant finality and the basic consonant initiality of the next letter, and the basic consonant finality and the double consonant initiality are used by the final shift button 271 as shown in (4) and (6). Switch.

숫자자판, 영문자판, 특수문자 자판도 한글자판과 같은 루프 방식으로 작동된다. 영문자판의 경우 선택 버튼(221)을 한번 누르면 소문자, 두 번 누르면 대문자로 전환된다. 즉, 대문자에서 선택 버튼(221)을 누르면 소문자로 변환되고, 소문자에서 선택 버튼(221)을 누르면 대문자로 변환된다. 종래의 방식은 토글버튼으로 대/소문자를 먼저 정해놓고 해당 영문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대문자와 소문자를 섞어 쓰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많았다. 본 문자입력장치(101)는 선택 버튼(221) 하나로 대/소문자를 표현하므로 쉽게 입력이 가능하다. 특수문자 자판의 경우는 특수문자의 종류가 다양하여 한 화면상에 표현하기 어려우므로 3행 8열의 자판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스크롤 방식을 사용한다. 예로써, 4행이 보여질 때는 1행이 없어지고 2행이 1행의 위치로 이동한다.Numeric, English, and special character keyboards operate in the same loop as Korean keyboards. In the case of the English keyboard, pressing the select button 221 once lowercases, and if pressed twice, it is converted to uppercase. That is, pressing the select button 221 in uppercase converts to lowercase, and pressing the select button 221 in lowercase converts to uppercase.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are set first as a toggle button, the corresponding alphabetic characters are input, and thus, when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are mixed, it is inconvenient. The character input device 101 can be easily input because it represents the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with one selection button 221. In case of special character keyboard, it is difficult to express on one screen because there are various kinds of special characters, so scrolling method is used based on 3 line and 8 column keyboard structure. For example, when four rows are shown, one row is lost and two rows are moved to the position of one row.

도 4는 한글자판이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 면, 화면표시기(131)에는 전화번호를 등록하는데 필요한 항목들, 즉, 전화번호 저장 순서를 알려주는 'NO' 항목, 전화번호 소유자의 이름이 저장되는 '이름' 항목, 집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TEL' 항목,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HHP' 항목, '저장' 항목, '수정' 항목 및 '취소' 항목이 표시된다. 또한, 화면표시기(131)의 하단에는 3행 7열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자판(441)이 표시된다. 한글자판(441)의 구성 및 사용법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4 show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including a Korean keyboard. Referring to FIG. 4, the screen display 131 includes items necessary for registering a phone number, that is, a 'NO' item for indicating a phone number storage order, a 'name' item for storing a phone number owner's name, and a home. The 'TEL' item where the phone number is stored, the 'HHP' item where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the 'save' item, the 'edit' item and the 'cancel' item are displayed. In addition, a Hangul keyboard 441 for inputting Hangul in three rows and seven columns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display 131. The structure and usage of the Korean keyboard 441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2에 도시된 키패드(111)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No' 항목은 이제까지 등록된 마지막 번호의 다음 번호를 자동 지정하므로 별도 입력이 필요없다. 처음 전화번호 등록 화면이 나타나면 화면상의 '이름' 항목의 바탕색(431)이 특정 색깔, 예컨대 밝은 색으로 반전되어 해당 항목 입력 순서임을 나타내며, '이름' 항목 오른쪽 빈칸에 문자입력커서(421)가 나타난다. 또한, 한글자판(411)의 'ㄱ'에 자판선택커서(321)가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전화번호 소유자의 이름을 입력하고, 탭 버튼(231)을 한 번 누르면 'TEL' 항목이 특정 색깔로 반전되며, 문자입력커서(421)는 'TEL' 항목 우측의 빈칸으로 이동한다. A method of using the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keypad 111 shown in FIG. 2. 'No' item automatically designates the next number of the last registered number, so no additional input is required. When the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appears for the first time, the background color 431 of the 'Name' item on the screen is inverted to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a bright color, indicating that the item is inputted, and a text input cursor 421 appears in the blank to the right of the 'Name' item. . In addition,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is located at 'a' of the Korean keyboard 411. In this state, enter the name of the owner of the phone number, press the tab button 231 once, the 'TEL' item is inverted to a specific color, the character input cursor 421 moves to the blank to the right of the 'TEL' item.

'TEL'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화면표시기(131) 하단의 한글자판(4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자판(511)으로 변환된다. 숫자자판(511)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입력을 마치고 나서 탭 버튼(231)을 사용하여 '저장' 항목으로 이동 후 선택 버튼(221)을 누르면 상기 입력한 내용이 저장되며, 화면은 이전 화면으로 돌아간다. 탭 버튼(231)에 의해 '취소'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선택 버튼(221)이 눌려 지면 이 전에 입력된 내용은 삭제되며, 동시에 화면은 이전 화면으로 돌아간다. 탭 버튼(231)에 의해 'HHP' 항목으로 이동하면 숫자자판(511)이 나타나며,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전화번호 입력 후의 과정이 수행된다. 만일, 수정을 원하면 탭 버튼(231)을 사용하여 "수정' 항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방향 버튼들(211∼214)을 누르면 자판선택커서(321)는 움직이지 않고, 문자입력커서(421)가 이동한다. 따라서, 방향버튼들(211∼214)을 이용하여 문자입력커서(421)를 움직여서 원하는 글자를 수정한 후 선택버튼(221)을 누른다. 그러면, 이 때부터는 방향버튼들(211∼214)을 누름에 따라 문자입력커서(421)는 움직이지 않고 자판선택커서(321)가 움직인다. When the 'TEL' item is selected, the Hangul keyboard 411 at the bottom of the screen display 131 is converted to the numeric keyboard 511 as shown in FIG. 5. After inputting the phone number using the numeric keypad 511, using the tab button 231, moving to the 'save' item and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221, the input is saved and the screen returns to the previous screen. Goes. If the selection button 221 is pressed while the 'cancel' item is selected by the tab button 231, the previously input contents are deleted, and the screen returns to the previous screen. When the user moves to the 'HHP' item by the tab button 231, the numeric keypad 511 appears. When the input of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leted, the process after inputting the phone number is performed. If it is desired to change, use the tab button 231 to move to the item “Modify.” At this time, when the direction buttons 211 to 214 are pressed,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does not move, and the character input cursor 421 is moved. Therefore, the character input cursor 421 is moved using the direction buttons 211 to 214 to correct the desired letter and then the selection button 221 is pressed. In response to pressing 214, the character input cursor 421 does not move, but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321 moves.

이와 같이, 전화번호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등록해놓으면, 전화를 걸 때 일일이 전화번호를 누를 필요도 없고, 전화번호가 기억나지 않는 경우에도 등록된 전화번호를 찾아서 선택하면 전화를 쉽게 걸 수가 있다.As such, if the phone number is registe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press the phone number when making a call, and even if the phone number is not remembered, it is easy to make a call by finding and selecting the registered phone number.

도 6은 영문자판이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을 보여주고, 도 6은 특수문자 자판이 포함된 전화번호 등록 화면을 보여준다. 전화번호를 등록하다가 필요하면 자판토글 버튼(241)을 사용하여 영문자판(611)이나 특수문자 자판(711)을 화면에 띄워서 사용한다. 영문자판(611)이나 특수문자 자판(711)의 사용 방법은 한글자판(도 3의 311)을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6 show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including an English keyboard, and FIG. 6 shows a phone number registration screen including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If you need to register the phone number using the keyboard toggle button (241) to use the English keyboard 611 or special character keyboard 711 on the screen. Since the method of using the English keyboard 611 or the special character keyboard 711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using the Korean keyboard (311 of FIG. 3),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 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면표시기(131)에 한글자판(311), 숫자자판(511), 영문자판(611), 특수문자 자판(711)을 띄우고, 방향 버튼들(211∼214)과 선택 버튼(221)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숫자, 영문, 특수문자는 물론, 초성, 중성, 종성의 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글의 경우도 하나의 한글자판(311)을 이용하여 한 화면에서 초성, 중성, 종성을 모두 입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keyboard 311, the numeric keypad 511, the English keyboard 611,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711 on the display 131, the direction buttons (211 to 214) and By using the selection button 221,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s used.In the case of Korean having a system of numbers, English, special characters, as well as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a single Korean keyboard 311 is used. You can enter both initial, neutral, and final star on one screen.

또, 사용자는 키패드(111)와 화면을 번갈아 보며 문자를 입력할 필요 없이 화면만 보면서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문자입력장치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이나, 방향버튼에 익숙한 아동의 경우 쉽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enter the characters while looking at the screen without having to input the characters alternately between the keypad 111 and the screen, so that the elderly or children who are familiar with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device, easy to use the direction buttons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키패드(111)는 숫자, 영문, 한글자모음이 표시된 버튼들이 없고, 소수의 버튼들만 구비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어린이 사용자를 위한 손목시계 형태나 책가방의 열쇄고리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keypad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buttons displaying numbers, English and Korean alphabets, and only a small number of buttons can be used to reduce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furnace.

Claims (7)

숫자, 영문 및 한글 자모음이 적힌 버튼들이 구비되지 않고, 4방향 버튼들, 선택 버튼, 자판토글 버튼, 지우기 버튼, 탭 버튼, 종성시프트 버튼 및 파워 버튼들을 구비하는 키패드;A keypad including four-way buttons, a selection button, a keyboard toggle button, an erase button, a tab button, a final shift button, and power buttons; 14개의 자음들과 6개의 모음들(ㅜ,ㅗ,ㅏ,ㅓ,ㅡ,ㅣ)로 구성된 하나의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문자 자판을 표시하는 문자입력 메뉴창과, 상기 키 패드에 구비된 버튼들에 의해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을 표시하는 문자입력창을 포함하는 화면표시기; 및On the keypad, a text input menu window displaying one Korean keyboard, a numeric keyboard, an English keyboard and a special character keyboard composed of 14 consonants and 6 vowels (TT, ㅗ, ㅏ, ㅓ, ㅡ, ㅣ) A screen display including a text input window for displaying a combination of letters or numbers selected by the provided buttons; And 상기 방향 버튼들이 눌려지면 해당되는 방향으로 자판선택커서를 이동시키며, 상기 선택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를 상기 화면표시기에 표시하며, 상기 자판토글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한글자판, 숫자자판, 영문자판 및 특수문자 자판들 중 하나를 상기 화면표시기에 표시하고, 상기 지우기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문자 또는 숫자를 삭제하며, 상기 탭 버튼이 눌려지면 다음 항목이 설정되며, 상기 종성시프트 버튼이 눌려지면 이전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음을 다음 글자의 초성으로 인식하여 상기 다음 글자에 조합하며, 상기 파워 버튼이 눌려지면 파워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입력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When the direction buttons are pressed,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moved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he selected letter or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When the keyboard toggle button is pressed, the Korean keyboard, the numeric keypad, One of the English keyboard and the special character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and when the erase button is selected, the selected letter or number is deleted.When the tab button is pressed, the next item is set, and the final shift button is pressed. Recognizing at least one consonant selected before the page as a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and combining the next letter, and whe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an input controller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is provided.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자판에서 'ㄲ', 'ㄸ', 'ㅃ', 'ㅆ', 'ㅉ'의 5개 쌍자음은 상기 자판선택커서가 각각 'ㄱ', 'ㄷ', 'ㅂ', 'ㅅ', 'ㅈ'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 버튼을 연속 두 번 누르면 표시되고, 'ㅑ', 'ㅕ', 'ㅛ', 'ㅠ'의 4개 모음은 상기 자판선택커서가 각각 'ㅏ', 'ㅓ', 'ㅗ', 'ㅜ'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 버튼을 연속 두 번 누르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ve consonants of 'ㄲ', 'ㄸ', 'ㅃ', 'ㅆ', 'ㅉ' in the Hangul keyboard are 'a', 'c', '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twice in the state of 'ㅂ', 'ㅅ', 'ㅈ' is displayed, and 4 sets of 'ㅑ', 'ㅕ', 'ㅛ' and 'ㅠ' are selected from the keyboard. Character in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by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twice in succession in the state of the cursor 'ㅏ', 'ㅓ', 'ㅗ', 'TT' respective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음의 배열은 'ㅜ', 'ㅗ', 'ㅏ', 'ㅓ', 'ㅡ', 'ㅣ'의 순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basic vowel arrangement is configured in the order of 'TT', 'ㅗ', 'ㅏ', 'ㅓ', 'ㅡ', 'ㅣ'.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제어기는 상기 자판선택커서가 각 행의 맨 우측 문자 또는 숫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우향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자판선택커서를 다음 행의 첫 번째 문자 또는 숫자로 이동시키고, 상기 자판선택커서가 마지막 행의 맨 우측 문자 또는 숫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우향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자판선택커서를 첫 번째 행의 첫 번째 문자 또는 숫자로 이동시키며, 상기 자판선택커서가 각 행의 맨 좌측 문자 또는 숫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우향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자판선택커서를 이전 행의 마지막 문자 또는 숫자로 이동시키고, 상기 자판선택커서가 첫 번째 행의 맨 좌측 문자 또는 숫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우 향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자판선택커서를 마지막 행의 마지막 문자 또는 숫자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controller moves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to the first letter or number of the next row when the right button is pressed while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located at the rightmost character or number of each row. When the right button is pressed while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located at the rightmost letter or number of the last row,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moved to the first letter or number of the first row, and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located at the top of each row. When the right button is pressed in the state of the left letter or number,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moved to the last character or number of the previous line, and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located in the leftmost character or number of the first line. When the directional button is pressed, the keyboard selection cursor is moved to the last letter or number of the last lin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문자판에서 상기 선택 버튼을 누르면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on the English letter, uppercase letters are converted to lowercase letters, and lowercase letters are converted to uppercase letters.
KR1020020071988A 2002-11-19 2002-11-19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KR100651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88A KR100651821B1 (en) 2002-11-19 2002-11-19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988A KR100651821B1 (en) 2002-11-19 2002-11-19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727A KR20040043727A (en) 2004-05-27
KR100651821B1 true KR100651821B1 (en) 2006-11-30

Family

ID=3734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988A KR100651821B1 (en) 2002-11-19 2002-11-19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82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241B1 (en) 2006-11-23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Keypad for mobile phone
KR100844934B1 (en) 2007-05-12 2008-07-09 홍성찬 Charactor input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3900A1 (en) * 2005-05-18 2006-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 and method of displaying using the display button
KR100715471B1 (en) * 2005-06-24 2007-05-07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KR100742188B1 (en) * 2005-07-05 2007-07-25 주식회사 아마사 소프트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
KR100687406B1 (en) * 2006-01-12 2007-0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a mobile phone
KR100785095B1 (en) * 2006-12-21 2007-12-12 유니챌(주) Letter input apparatus for radiotelegraph
KR101517083B1 (en) * 2009-05-11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Portable terminal controlling refrigerator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65A (en)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in Mobile station
KR20020049830A (en) * 2000-12-20 2002-06-26 구자홍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35403A (en) * 2001-10-3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 Mobile Tele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65A (en)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in Mobile station
KR20020049830A (en) * 2000-12-20 2002-06-26 구자홍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35403A (en) * 2001-10-3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 Mobile Telepho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241B1 (en) 2006-11-23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Keypad for mobile phone
US7925311B2 (en) 2006-11-23 2011-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for mobile phone
KR100844934B1 (en) 2007-05-12 2008-07-09 홍성찬 Charactor inpu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727A (en)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7849B2 (en) Key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directional keys
WO2003067417A1 (en)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and mobile information device
US9052747B2 (en) Half keyboard
KR100651821B1 (en)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mobile phone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0769595B1 (en) Layout structure of the korean alphabet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21589A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y direction key
KR20010054288A (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combining basic sentence patterns and inputting hangul and english
KR10027137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with restricted keys, method and telephone terminal using same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415728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19990064967A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1358B1 (en) Method of typing the english characters in the mobile phone
KR19990007518A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07646A (en) Hangeul inputting system for digital terminal
KR100637745B1 (en) Korean literature key pad
KR20060033275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words and english words in a mobile phone
KR100411365B1 (en) Key matrix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i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1163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40166Y1 (en) A keypad of an informational terminal
KR100577675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KR100306486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lephone to b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 easily
KR100655552B1 (en) Input Method for character in a mobile station using character pattern
KR200221583Y1 (en) Remote control input method Korean keyboard and key arran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514

Effective date: 200610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