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254B1 -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254B1
KR100649254B1 KR1020050110675A KR20050110675A KR100649254B1 KR 100649254 B1 KR100649254 B1 KR 100649254B1 KR 1020050110675 A KR1020050110675 A KR 1020050110675A KR 20050110675 A KR20050110675 A KR 20050110675A KR 100649254 B1 KR100649254 B1 KR 10064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ay tube
cathode ray
electron gun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욱
김덕호
윤광진
황세자출
원용건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류 영역에서 고해상도를 유지하면서 방전 억제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는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와, 캐소드로부터 서로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어 전극, 스크린 전극, 제1 양극 전극, 집속 전극 및 제2 양극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들과, 스크린 전극과 제1 양극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스크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고 제1 양극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받는 중간 전극과, 전극들과 중간 전극을 일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절연 지지체와, 양단이 중간 전극에 고정되며 절연 지지체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금속 선재를 포함한다. 중간 전극과 마주보는 넥크부 내벽에는 금속 선재의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얻어지는 금속막이 형성된다.
음극선관, 전자총, 캐소드, 제어전극, 스크린전극, 양극전극, 형광막, 페이스패널

Description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ELECTRON GUN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이 내장된 넥크부를 도시한 음극선관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자총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자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자총의 결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전극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자총 가운데 중간 전극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구동시 넥크부 내벽의 전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을 적용한 음극선관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 및 도 10c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넥크부 내벽의 전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류 영역에서 고해상도를 유지하면서 방전 억제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는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을 이용하는 프로젝션 표시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단색 화면을 각각 구현하는 3개의 모노크롬 음극선관과, 이들 음극선관에서 각각 구현된 단색의 영상들을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확대 투사하여 칼라 영상으로 합성하는 광학 시스템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투사형 음극선관은 세줄기 전자빔을 이용하는 일반 칼라 음극선관과 달리 한줄기 전자빔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고, 각 음극선관의 화면이 대략 10배정도 확대되어 프로젝션 스크린에 투사된다. 따라서, 통상의 투사형 음극선관은 고전류 영역의 전자빔을 사용하면서도 작은 빔경을 구현할 수 있는 유니포텐셜-포커스(unipotential-focus; UPF) 전자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UPF 전자총은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제어 전극, 스크린 전극, 제1 양극 전극, 집속 전극 및 제2 양극 전극이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어 전극에는 접지 전압이, 스크린 전극에는 대략 500V의 전압이, 제1 양극 전극과 제2 양극 전극에는 30kV 이상의 전압이, 집속 전극에는 대략 9kV의 가변 포커스 전압이 인가된다.
이로써 전자총 작용시 스크린 전극과 제1 양극 전극 사이에 강한 프리-포커 스 렌즈가 형성되고, 제1 양극 전극과 집속 전극 사이, 그리고 집속 전극과 제2 양극 전극 사이에 메인-포커스 렌즈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UPF 전자총은 스크린 전극과 제1 양극 전극의 전위 차가 대략 30kV 이상으로 매우 크기 때문에 방전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실제로 투사형 음극선관을 구동하면 전자총에서 발생하는 방전의 대부분은 스크린 전극과 제1 양극 전극 사이에서 발생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음극선관 구동시 제1 양극 전극(G3)의 전위가 보조 지지체(1)를 통해 절연 지지체(3)를 타고 스크린 전극(G2)으로 유도되어 스크린 전극(G2)과 제1 양극 전극(G3) 사이에 아킹에 의한 방전 불량이 쉽게 발생한다. 도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경로를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부호 K는 캐소드를, G1은 제어 전극을, G4는 집속 전극을 나타낸다.
또한, 음극선관은 20kV 이상의 고압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동작 중 의도하지 않은 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방전은 전자총의 각 전극에서 강한 전기장 조건 하에 전자가 방출되는 필드 에미션(field emission) 현상과, 필드 에미션에 의해 넥크부 내벽에 전하가 축적되는 현상에 기인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전자총(5)은 넥크부(7) 내부에 장착되며, 제2 양극 전극(G5)은 컨택 스프링(9)을 통해 넥크부(7) 내벽에 도포된 내장 흑연막(11)으로부터 해당 전압을 인가받는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에 도시한 전자총(5)과 넥크부(7) 구조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넥크부(7) 내벽의 전위 분포를 나타 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10a를 참고하면, 필드 에미션에 의해 제2 양극 전극(G5)으로부터 방출되어 자유화된 전자들은 내장 흑연막(11)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넥크부(7) 내벽에 충돌한다. 이로써 넥크부(7) 내벽에 전하가 축적되어 넥크부(7) 전위가 상승한다. 도 10b를 참고하면, 상승된 넥크부(7) 전위에 의해 다른 전극들로 필드 에미션이 가속화되어 이 전극들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되고, 이 전극들과 마주보는 넥크부(7) 내벽에 전하가 축적되면서 보다 넓은 넥크부(7) 영역에서 전위가 상승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총(5)이 위치하는 넥크부(7) 내벽 전체에 전위가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필드 에미션이 한계선을 넘어서면서 제어 전극(G1)과 스크린 전극(G2) 주변에서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류 영역에서 고해상도를 유지하면서 방전 억제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와, 캐소드로부터 서로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어 전극, 스크린 전극, 제1 양극 전극, 집속 전극 및 제2 양극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들과, 스크린 전극과 제1 양극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스크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고 제1 양극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받는 중간 전극과, 전극들과 중간 전극을 일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절연 지지체와, 양단이 중간 전극에 고정되며 절연 지지체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금속 선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 전극은 커넥터를 통해 해당 스템핀으로부터 고정 전압을 인가받거나, 커넥터를 통해 집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집속 전극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받는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소드와, 캐소드로부터 서로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어 전극, 스크린 전극, 중간 전극, 제1 양극 전극, 집속 전극 및 제2 양극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들과, 이 전극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절연 지지체와, 양단이 중간 전극에 고정되며 절연 지지체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금속 선재를 포함하는 전자총과, 전자총이 내장되는 넥크부와, 금속 선재와 마주보는 넥크부 내벽 부위에 형성되는 금속막과, 넥크부 전방에 위치하는 펀넬 및 페이스 패널과, 펀넬 외주에 설치되어 전자빔 편향을 위한 자계를 발생하는 편향 요크와, 페이스 패널 내면에 형성되는 형광막을 포함하며, 중간 전극이 스크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고 제1 양극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받는 음극선관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총은 단일 캐소드를 구비하며, 형광막은 적색과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한가지 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페이스 패널의 내면은 넥크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총이 내장된 넥크부를 도시한 음극선관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한 전자총의 부분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전자총(2)은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4)와, 캐소드(4)에서 방출된 전자들을 하나의 전자빔으로 집속 및 가속시키는 복수의 전극들과, 이 전극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한 쌍의 절연 지지체(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들은 캐소드(4)로부터 서로간 임의의 거리를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어 전극(8), 스크린 전극(10), 중간 전극(12), 제1 양극 전극(14), 집속 전극(16) 및 제2 양극 전극(18)으로 이루어진다. 제1 양극 전극(14)과 제2 양극 전극(18)은 제1 커넥터(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 전극(8)과 스크린 전극(10)은 캐소드(4)와 함께 삼극관부를 구성하며, 캐소드(4)의 전자 방출량을 제어함과 아울러 캐소드(4)에서 방출된 전자들을 예비 집속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 전극(8)에는 캐소드(4)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 일례로 접지 전압이 인가되고, 스크린 전극(10)에는 캐소드(4)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은 전압, 일례로 500V 정도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1 양극 전극(14)과 제2 양극 전극(18)에는 30kV 이상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집속 전극(16)에는 10 내지 20kV의 가변 포커스 전압이 인가된다. 제2 양극 전극(18)은 컨택 스프링(22)을 통해 내장 흑연막(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로부터 해당 고전압을 인가받는다.
따라서, 스크린 전극(10)과 제1 양극 전극(14)의 전위 차에 의해 두 전극 사이에 프리-포커스 렌즈(PFL, 도 3 참고)가 형성되고, 제1 양극 전극(14)과 집속 전극(16)의 전위 차에 의해 두 전극 사이에 제1 메인-포커스 렌즈(FL1, 도 3 참고)가 형성된다. 그리고 집속 전극(16)과 제2 양극 전극(18)의 전위 차에 의해 두 전극 사이에 제2 메인-포커스 렌즈(FL2, 도 3 참고)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 전극(12)에는 스크린 전극(10)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고 제1 양극 전극(14)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중간 단계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러한 중간 전극(12)은 프리-포커스 렌즈(PFL)가 형성되는 스크린 전극(10)과 제1 양극 전극(14)의 사이 공간에서 두 전극간 전위 차를 완만하게 유도하여 스크린 전극(10)과 제1 양극 전극(14) 사이의 방전을 억제한다.
중간 전극(12)은 제2 커넥터(26)를 통해 해당 스템핀(28)과 연결되어 외부의 회로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상기 중간 단계의 고정 전압을 인가받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커넥터(30)를 통해 집속 전극(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집속 전극(16)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중간 전극(12)은 제1 양극 전극(14)과 최대 23kV 정도의 전위 차를 가지므로 종래의 전자총 구조와 비교하여 내전압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중간 전극(12)은 제1 양극 전극(14)의 전위가 절연 지지체(6)를 타고 스크린 전극(10)으로 유도되는 방전 발생 경로를 차단하는데 유리하도록 한 쌍의 절연 지지체(6) 사이에서 최대의 외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즉, 중간 전극(12)은 제1 양극 전극(14)의 최대 외경 및 집속 전극(16)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 때, 제1 양극 전극(14)은 중간 전극(12)을 향해 위치하는 소구경부(141)와, 집속 전극(16)을 향해 위치하는 대구경부(142)로 이루어지며, 중간 전극(12)이 제1 양극 전극(14)의 일부, 바람직하게 소구경부(141) 일부를 둘러싸며 위치한다.
또한, 중간 전극(12)에 대응하는 절연 지지체(6) 부위에는 양단이 중간 전극(12)에 고정되면서 절연 지지체(6) 외면을 가로지르는 금속 선재(32)가 배치된다. 금속 선재(32)는 한 쌍의 절연 지지체(6) 각각에 구비되며, 절연 지지체(6)의 폭 방향을 따라 절연 지지체(6) 외면을 가로지르며 위치한다.
이러한 금속 선재(32)는 전자총(2)이 넥크부(34) 내부에 장착된 이후 고주파 유도 가열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된다. 이로써 금속 선재(32)를 이루는 금속 물질이 넥크부(34) 내벽에 증착되어 중간 전극(12)과 마주보는 넥크부(34) 내벽에 금속막(36)을 형성한다. 금속막(36)이 형성된 넥크부(34) 부위에서는 전하 축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음극선관 동작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중간 전극의 사시도로서, 중간 전극(12)은 원통부(121)와, 원통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절연 지지체(6)를 향해 연장되어 절연 지지체(6)에 고정되는 한 쌍의 보조 지지체(122)와, 보조 지지체(122)의 측면으로부터 절연 지지체(6)의 폭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금속 선재(32)와 용접되는 용접 탭들(123)로 이루어지며, 원통부(121)와 보조 지지체(122) 및 용접 탭들(123)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전자총을 적용한 음극선관 구동시 넥크부 내벽의 전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총(2) 전극들의 필드 에미션 현상과 넥크부(34) 내벽의 전하 축적으로 인하여 제2 양극 전극(18)과 마주보는 넥크부(34) 내벽으로부터 캐소드(4)를 향해 순차적인 전위 상승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막(36)이 형성된 넥크부(34) 부위에서 전하 축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 금속막(36)이 제어 전극(8)과 스크린 전극(10) 주변으로 넥크부(34) 내벽의 전위 상승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음극선관은 넥크부(34) 내벽의 전위 상승으로 인한 제어 전극(8)과 스크린 전극(10) 주변에서의 방전 현상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금속 선재(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전극(12)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금속 선재(32)가 집속 전극(16)에 제공되어 집속 전극(16)과 마주보는 넥크부(34) 내벽에 금속막(36)이 형성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이 부위의 넥크부(34) 내벽이 전기적으로 안정화 되더라도 이후 제1 양극 전극(14) 등에 의해 다시 넥크부(34) 내벽에 전하가 축적된다. 따라서, 캐소드(4)와 제어 전극(8) 주변에서 방전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선재(32)가 제1 양극 전극(14)에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금속 선재(32)가 위치하는 절연 지지체(6) 부분이 고전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이 부분과 제어 전극(8) 및 스크린 전극(10)과의 전위 차가 오히려 커져 필드 에미션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이 되고, 방전 억제에 불리해진다.
또한, 금속 선재(32)가 스크린 전극(10)에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금속 선재(32)를 고주파 유도 가열할 때 이 열에 의해 스크린 전극(10)이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제어 전극(8)-스크린 전극(10)-제1 양극 전극(14)간 정렬도가 악화되어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 표는 방전 현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200~500㎂인 통상의 사용 전류보다 높은 700~1,200㎂의 구동 조건을 설정하고, 음극선관을 일정 시간 구동후 측정한 1회 이상의 방전 발생율을 나타낸다. 하기 표에서 실시예는 중간 전극에 금속 선재를 설치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을 나타낸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각각 제1 양극 전극과 집속 전극에 금속 선재를 설치한 경우이고, 비교예 3은 어느 전극에도 금속 선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1회 이상 방전 발생율
실시예 5% 미만
비교예 1 50~80%
비교예 2 40~60%
비교예 3 40~60%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전극에 금속 선재를 설치하고, 중간 전극과 마주보는 넥크부 내벽에 금속막을 형성한 본 실시예의 음극선관이 비교예들의 음극선관보다 방전 억제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전자총이 장착된 음극선관을 도시한 부분 절개 단면도로서, 전자총으로부터 한줄기 전자빔을 방출하여 단색의 영상을 구현하는 모노크롬 음극선관, 즉 투사형 음극선관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음극선관(38)은 내면에 형광막(40)이 형성되는 페이스 패널(42)과, 페이스 패널(42) 후방에 고정되는 펀넬(44)과 넥크부(34)를 포함한다. 넥크부(34) 내부에는 전술한 구성의 전자총(2)이 장착되어 형광막(40)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한다. 펀넬(44) 외주에는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편향 요크(46)가 장착되며, 편향 자계가 전자총(2)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켜 전자빔이 형광막(40)을 주사하도록 한다.
형광막(40)은 적색과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단색으로 이루어지며, 형광막(40)이 위치하는 페이스 패널(42)의 내면은 넥크부(34)를 향해 볼록한 이른바 역구면으로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프로젝션 표시장치는 그 내부에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단색 화면을 각각 구현하는 3개의 모노크롬 음극선관과, 이들 음극선관에서 각각 구현된 단색의 영상들을 프로젝션 스크린(도시하지 않음)으로 확대 투사하는 광학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소정의 칼라 영상을 구현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총은 중간 전극에 의해 스크린 전극과 제1 양극 전극 사이의 전위 차를 완만하게 유도하여 방전 불량을 억제한다. 또한 중간 전극에 설치되는 금속 선재와, 금속 선재로 인해 넥크부 내벽에 형성되는 금속막이 필드 에미션에 의한 넥크부 내벽의 전하 축적을 억제하여 캐소드와 제어 전극 및 스크린 전극 주변에 발생할 수 있는 방전을 효율적으로 억제한다.

Claims (14)

  1.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로부터 서로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어 전극, 스크린 전극, 제1 양극 전극, 집속 전극 및 제2 양극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들과;
    상기 스크린 전극과 상기 제1 양극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고 상기 제1 양극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받는 중간 전극과;
    상기 전극들과 상기 중간 전극을 일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절연 지지체; 및
    양단이 상기 중간 전극에 고정되며 상기 절연 지지체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금속 선재
    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극이 커넥터를 통해 해당 스템핀으로부터 고정 전압을 인가받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극이 커넥터를 통해 상기 집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 기 집속 전극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받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극이 상기 제1 양극 전극의 최대 외경 또는 상기 집속 전극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극이 원통부와, 원통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절연 지지체를 향해 연장되어 절연 지지체에 고정되는 보조 지지체와, 보조 지지체의 측면으로부터 절연 지지체의 폭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금속 선재와 용접되는 용접 탭들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 전극이 상기 중간 전극을 향해 위치하는 소구경부와, 상기 집속 전극을 향해 위치하는 대구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전극이 상기 소구경부의 일부를 둘러싸며 위치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이 단일 캐소드를 구비하여 한줄기 전자빔을 방출하는 음극선관 용 전자총.
  8. 캐소드와, 캐소드로부터 서로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어 전극, 스크린 전극, 중간 전극, 제1 양극 전극, 집속 전극 및 제2 양극 전극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극들과, 이 전극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절연 지지체와, 양단이 중간 전극에 고정되며 절연 지지체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금속 선재를 포함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이 내장되는 넥크부와;
    상기 금속 선재와 마주보는 상기 넥크부 내벽 부위에 형성되는 금속막과;
    상기 넥크부 전방에 위치하는 펀넬 및 페이스 패널과;
    상기 펀넬 외주에 설치되어 전자빔 편향을 위한 자계를 발생하는 편향 요크; 및
    상기 페이스 패널 내면에 형성되는 형광막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전극이 상기 스크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고 상기 제1 양극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받는 음극선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이 단일 캐소드를 구비하며,
    상기 형광막이 적색과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한가지 색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패널의 내면이 상기 넥크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음극선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극이 커넥터를 통해 해당 스템핀으로부터 고정 전압을 인가받는 음극선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극이 커넥터를 통해 상기 집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집속 전극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받는 음극선관.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극이 상기 제1 양극 전극의 최대 외경 또는 상기 집속 전극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음극선관.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 전극이 상기 중간 전극을 향해 위치하는 소구경부와, 상기 집속 전극을 향해 위치하는 대구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전극이 상기 소구경부의 일부를 둘러싸며 위치하는 음극선관.
KR1020050110675A 2005-11-18 2005-11-18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KR10064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675A KR100649254B1 (ko) 2005-11-18 2005-11-18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675A KR100649254B1 (ko) 2005-11-18 2005-11-18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254B1 true KR100649254B1 (ko) 2006-11-24

Family

ID=3771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675A KR100649254B1 (ko) 2005-11-18 2005-11-18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25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4888A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H0314154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649254B1 (ko)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EP0810625B1 (en) Electron gun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US6456080B1 (en) Cathode ray tube
JPH11345577A (ja) カラー陰極線管
US6043598A (en) High resolution color picture tube having a small diameter neck
KR0173720B1 (ko) 컬러음극선관
US6831400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having auxiliary magnetic field generator
EP0915495B1 (en) Cathode ray tube
US6987367B2 (en) Cathode-ray tube
US6744190B2 (en) Cathode ray tube with modified in-line electron gun
US6642658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JPH08148103A (ja) 陰極線管
KR10077840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00309B1 (ko) 음극선관의전자총
JPH0714521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JP2002260558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2004207214A (ja) 陰極線管
JPH07142005A (ja) 陰極線管装置
JP2004039499A (ja) 電子銃及び陰極線管
KR20010077371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87463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002203493A (ja) 陰極線管
JPH07114887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