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861B1 -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 - Google Patents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861B1
KR100644861B1 KR1020050032696A KR20050032696A KR100644861B1 KR 100644861 B1 KR100644861 B1 KR 100644861B1 KR 1020050032696 A KR1020050032696 A KR 1020050032696A KR 20050032696 A KR20050032696 A KR 20050032696A KR 100644861 B1 KR100644861 B1 KR 100644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liquid
microtubule
microtubules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0919A (en
Inventor
이강선
김충
채수경
이진우
김태송
강지윤
주병권
이승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3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861B1/en
Publication of KR20060110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8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13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reed switch and permanent magnet; Magnetic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8Change of magnetic field wherein the magnet and switch are fixed, e.g. by shielding or relative movements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2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movement of a float carrying a magnet

Landscapes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 및 그 미세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 상태의 폴리머 및 고체 상태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다양한 면적 및 형상의 단면을 갖는 미세관을 화학적 오염의 우려 없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microtubules using surface tension, and a microtubule thereof, and in particular, microtubules having cross-sections of various areas and shapes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liquid polymers and solid polymers without concern of chemical contamination. It is about how it can be.

본 발명은 액체 상태 폴리머 및 고체 상태 폴리머 간의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 내부의 응집력 보다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간의 부착력이 더 큰 성질을 이용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fabricating microtubules using surface tension between a liquid polymer and a solid polymer, wherein the adhesion between the liquid polymer and the solid polymer is greater than the cohesion force inside the liquid polymer.

본 발명에 따른 표면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에 의하면,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단면을 가진 미세관을 제작할 수 있어서, 미세관 단면의 형상으로 인해 유체 흐름이 제한받지 않으며, 화학 용액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미세관 내의 화학적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생명 공학 및 센서 공학 등의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짧은 시간에 원하는 단면 모양을 갖는 미세관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관의 단면적 또한 편리하게 조절가능하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tubule using the surface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icrotubule having a variety of cross-section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the fluid flow is not limited due to the shape of the microtubule cross-section, do not use a chemical solution As a result, chemical contamination in the microtubules can be prevented, and thus it can be widely used in fields such as biotechnology and sensor engineer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icrotubule having a desired cross-sectional shape in a short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crotubule can also be conveniently adjusted.

Description

표면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 및 그 미세관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Microtubule fabrication method using surface tension and its microtubules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

도 1a는 습식식각을 이용한 종래의 미세관 제작 공정,Figure 1a is a conventional microtubul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wet etching,

도 1b는 건식식각을 이용한 종래의 미세관 제작 공정,Figure 1b is a conventional microtubul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dry etching,

도 1c는 마이크로 몰딩 기법을 이용한 종래의 미세관 제작 공정,Figure 1c is a conventional microtubul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micro molding technique,

도 2a는 미세관 단면의 형상에 따른 미세관 내의 마찰 손실을 전산모사법으로 계산하여 나타낸 그래프,Figure 2a is a graph showing the calculation of the friction loss in the microtubu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icrotubule cross section by computer simulation;

도 2b는 미세관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의 미세관 내 속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Figure 2b is a graph showing the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microtubules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icrotubules is a square,

도 2c는 미세관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인 경우의 속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Figure 2c is a graph showing the velocity distribution when the shape of the microtubule cross section is semicircular,

도 2d는 미세관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의 속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2d is a graph showing the velocity distributio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is circula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관 제작 방법의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tub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관 제작 방법의 공정도,4 is a process char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tub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관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세관의 일 실시예, 및Figure 5a is an embodiment of a microtubule produced by the microtubu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관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세관의 다른 실 시예.Figure 5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microtubules produced by the microtubu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표면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 및 그 미세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 상태의 폴리머 및 고체 상태의 폴리머를 이용하여 다양한 면적 및 형상의 단면을 갖는 미세관을 화학적 오염의 우려 없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microtubules using surface tension, and a microtubule thereof, and in particular, microtubules having cross-sections of various areas and shapes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liquid polymers and solid polymers without concern of chemical contamination. It is about how it can be.

최근 정밀 가공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마이크로 수준의 작은 크기의 구조물이 제작되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정밀 가공 기술은 유체의 이동을 위한 미세관의 제작을 포함하여, 기체 센서 및 생명공학 분야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precision processing technology, micro sized structures have been manufactur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The precision processing technology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gas sensors and biotechnology, including the production of microtubules for the movement of fluid.

상기 미세관의 제작을 위한 방법으로는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방법과 정밀 기계가공법 등이 사용되었다.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icrotube, a method using a semiconductor process and a precision machining method are used.

상기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미세관을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습식 식각을 이용한 방법과 건식 식각을 이용한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Methods for making microtubules using the semiconductor process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method using wet etching and a method using dry etching.

습식 식각을 이용한 방법은 사진 식각 공정(photo lithography)을 이용하여 기판 위에 패턴을 형성한 후, 형성된 패턴 사이로 불산(HF), 수산화칼륨(KOH) 등의 식각액을 주입하고, 도 1a와 같이 감광제(photoresist)가 덮여져 있지 않은 부분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식각하는 방법이다. In the wet etching method, a pattern is formed on a substrate by using photo lithography, and an etchant such as hydrofluoric acid (HF) and potassium hydroxide (KOH) is injected between the formed patterns, and a photoresist ( It is a method of etching by causing a chemical reaction with an uncovered part.

도 1b에 도시된 건식 식각을 이용한 방법도 습식 식각을 이용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진 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된 패턴 사이로 불활성 기체를 침투시켜 물리적 혹은 화학적으로 식각하는 방법이다. Like the method using wet etching, the method using the dry etching illustrated in FIG. 1B is also a method of physically or chemically etching an inert gas through a pattern formed us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상기 습식 식각 및 건식 식각을 이용하여 형성된 기판들은 또 다른 기판과 접합하는 과정을 통해, 미세관으로 제작된다.Substrates formed using the wet etching and the dry etching are manufactured as microtubules through a process of bonding with another substrate.

한편, 위의 두 가지 방법 이외에 마이크로 몰딩을 사용하여 미세관을 만들 수 있는데, 이 방법은 반도체 공정기술이나 정밀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주형을 만들고, 그 주형 틀 안에 액상의 물질을 주입시킨 후 고형화 시키는 방법이다. 도 1c에 마이크로 몰딩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above two methods, micro-moulding can be made by using micro-molding. This method uses a semiconductor processing technique or a precision processing technique to make a mold, and injects a liquid material into the mold mold and solidifies it. This is how you do it. In FIG. 1C,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tubules using micro molding is illustrated.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미세관은 LOC(Lab on a chip) 혹은 미세유체역학(microfluidics) 등의 분야에 많이 이용되는데, 유체를 비롯한 각종 생체 물질들의 이동 및 반응 등에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단면만을 가진다. 상기 미세관들이 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른 형상의 단면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이다. The microtube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lab on a chip (LOC) or microfluidics, and is used for the movement and reaction of various biological materials including fluids. Have The microtubes are mainly manufactur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ke cross sections of other shapes by the conventional method.

상기 미세관 단면의 형상은 유체 등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데, 이하에서 상기 단면의 형상이 유체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The shape of the microtubule cross section affects the flow of the fluid, etc. Hereinafter, the influence of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n the flow of the fluid will be described.

도 2a는 유체의 속도 이외의 다른 모든 변수를 고정시키고, 속도 변화(레이놀드 수 변화)에 의한 압력손실을 나타낸 것이다. x축은 층류와 난류를 구분하는 무차원수의 하나인 레이놀드(Reynolds,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1
) 수이며, 유체의 속도(V), 동 점성계수(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2
), 관의 안지름(d)에 관한 함수이다. y축은 유체가 일정 길이의 수평 채널을 통과할 때의 압력손실(압력강하)을 나타내며, 압력손실은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3
식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f는 마찰계수, L은 관의 길이, Dh는 수력직경,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4
는 유체의 밀도를 나타낸다. FIG. 2A shows the pressure loss due to a change in velocity (change of Reynolds number), with all other variables fixed except for the velocity of the fluid. The x-axis is one of the dimensionless numbers that separates laminar and turbulent flows.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1
), The velocity of the fluid (V), the kinematic viscosity (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2
), Which is a function of the inner diameter (d) of the pipe. The y-axis represents the pressure loss (pressure drop) as the fluid passes through a horizontal channel of constant length.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3
Given by Where f i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L is the length of the pipe, Dh is the hydraulic diameter,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4
Represents the density of the fluid.

도 2a에서와 같이 레이놀드(Reynold) 수가 증가하면 즉,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강하도 증가하며, 원형 단면의 구조가 사각형의 단면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압력 강하가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층류 수평관 유동에서 마찰 손실(압력강하)은 단지 점성전단력에만 의존하며, 그 점성전단력은 벽면에 근접할수록 증가하기 때문이다. 즉, 유체유동에 있어서 벽면의 형상은 마찰손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As shown in FIG. 2A, as the number of Reynolds increases, that is, as the speed increases, the pressure drop increases, and the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has a smaller pressure drop than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reason is that friction loss (pressure drop) in laminar horizontal tube flow depends only on the viscous shear force, and the viscous shear force increases closer to the wall surface. In other words, the wall shape in the fluid flow is closely related to the friction loss.

도 2b, 2c 및 2d는 상기 벽면의 형상과 마찰손실과의 관련을 검증하기 위해, 각각 원형, 반원형 및 사각형의 형상을 갖되 단면적이 동일한 미세관 내의 유체의 속도 분포를 전산모사를 통해 나타냈다. 2B, 2C, and 2D illustrate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the fluid in the microtubules having the circular, semicircular, and quadrangle shape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respectively,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ll shape and the frictional loss.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및 반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미세관의 모서리 부분에는 유체의 흐름이 거의 없는데, 이는 모서리 부분에서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어 적층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결국에는 미세관이 막히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As shown, there is almost no flow of fluid at the corners of the microtubules with square and semicircular cross-sectional areas, which can result in the flow of fluid at the corners being blocked and laminated, resulting in clogging of the microtubules. May cause.

반면에, 원형 단면을 갖는 미세관에서는 속도 분포가 고르게 나타나서, 다른 형상의 단면을 갖는 미세관 보다 유체의 원활한 흐름에 더 적합하다. On the other hand, in a microtubu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velocity distribution appears evenly, which is more suitable for a smooth flow of fluid than a microtubule having a different cross section.

따라서, 원형 단면을 갖는 미세관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 습식 식각을 이용한 방법은 등방성 식각이 가능한 물질(유리 종류) 및 식각액(etchant)에 있어서 선택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과 함께, 공정 시간이 매우 긴 단점이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면, 유리 기판에 불산(HF)을 사용하여 100 마이크로미터의 원형 채널을 만들 경우, 유리 기판이 분당 약 1.5 마이크로미터씩 식각되기 때문에 9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ake a microtubu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the conventional wet etching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election is limited in the materials (glass type) and the etchant that can be isotropically etched. It has a long disadvantage and is not suitable. For example, when using a hydrofluoric acid (HF) on a glass substrate to make a circular channel of 100 micrometers, it takes more than 90 minutes because the glass substrate is etched at about 1.5 micrometers per minute.

또한, 건식 식각을 이용한 방법은 플라즈마 상태로 여기 된 기체들이 표면에서 일으키는 화학적 반응이나 플라즈마 상태로 여기 된 원자들과의 표면 충돌에 의하여 식각하는 원리이므로 원하는 곡면의 모양을 만들기가 매우 어렵고, 종래의 기술로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깊이를 균일하게 식각하는 것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using dry etching is a principle that the gases excited in the plasma state are etched by the chemical reaction generated on the surface or the surface collision with the atoms excited in the plasma state, so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the desired curved shape. The technique has the disadvantage of uniformly etching depths of several hundred micrometers or more.

또한, 마이크로 몰딩 기법을 이용한 방법은 주형 제작시 곡면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using the micro-molding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a curved surface when manufacturing the mold.

또한, 상기의 종래 방법들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체의 오염을 완벽하게 막을 수 없다는 단점과 별도의 접합 공정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s have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fluid because of the use of chemicals and the disadvantage of having a separate bonding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화학적 오염없이 곡면 단면을 가진 미세관을 제작하되, 보다 손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미세 관 제작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s as described above, while producing a microtubule having a curved cross section without chemical contamination, to propose a microtubule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be produced more easily and quickly.

본 발명은 액체 상태 폴리머 및 고체 상태 폴리머 간의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 내부의 응집력 보다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간의 부착력이 더 큰 성질을 이용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fabricating microtubules using surface tension between a liquid polymer and a solid polymer, wherein the adhesion between the liquid polymer and the solid polymer is greater than the cohesion force inside the liquid polym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를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solidifying the liquid state polymer in a state in which the liquid state polymer is attached to a wall of the solid state polymer.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접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미세관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를 고형화시키는 동작만으로,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와 결합되어 일체의 구조를 이루므로, 미세관 제작 과정을 통틀어 접합제 등의 화학 약품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화학 약품 등으로 인한 미세관 내부 오염 우려가 없다. Preferably, the microtubule can be produced without using a separate bonding agent. That is, only the operation of solidifying the liquid polymer in the state in which the liquid polymer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solid polymer, combined with the solid polymer to form an integral structure, the bonding agent throughout the microtube manufacturing process There is no need to use such chemicals, so there is no fear of contamination inside the microtube due to chemicals.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형화에 의해 생성된 구조물의 상하를 뒤집은 후,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와 동일한 액체 상태 폴리머에 상기 구조물을 올려놓고, 상기 구조물 중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를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화 단계를 거침으로써, 여러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단면 면적 및 형상을 가진 미세관이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fter invert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structure produced by the solidification, the structure is placed on the same liquid polymer as the liquid polymer, and the liquid polymer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solid polymer of the structu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olidifying the liquid polymer in a state. By going through the solidification step, microtubules having various cross-sectional areas and shapes allowing various fluids to flow can be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부착되는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이 모두 연결되도록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를 배치하여,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부착되어 고형화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폐곡면으로 이루어진 입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가상의 평면상에 동일한 체적을 갖는 정육면체의 고체 상태 폴리머가 각각의 모서리가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즉,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들 사이에 동일한 체적의 빈 공간이 있도록 배열된 채, 액체 상태 폴리머 위에 놓여진다면,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는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 내부의 응집력 보다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간의 부착력이 더 큰 성질에 따라 네 개의 벽면 모두에 부착될 것이고, 상기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고형화 된다면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는 반구(hemispher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과정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상하를 뒤집어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와 동일한 액체 상태 폴리머 위에 놓고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상기 구조물의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고형화시킴으로써 구(sphere) 형태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폐곡면으로 형성된 입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폐곡면으로 형성된 입체 공간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개수, 크기 등을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상기 입체 공간은 화학적 오염 우려 없이 세포 등을 포함한 생체 물질을 보관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referably, the solid-state polymer is disposed so that the walls of the solid-state polymer to which the liquid-state polymer is attach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liquid-state polymer attached to the wall of the solid-state polymer and solidified is a closed curved surface. Can be formed. For example, a cube of solid state polymers having the same volume on the same imaginary plane is arranged such that each corner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with the same volume of empty space between the solid state polymers. If placed on a liquid polymer, the liquid polymer will adhere to all four walls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adhesion between the liquid polymer and the solid polymer to be greater than the cohesive force inside the liquid polymer. If solidified in the attached state, the liquid polym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hemispheres. Thereafter, the top and bottom of the structure formed by the above process is inverted and placed on the same liquid polymer as the liquid polymer, and the liquid polymer is solidified in a state in which it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solid polymer of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orm a three-dimensional space formed of various shapes of closed curved surfaces. The three-dimensional space formed as a closed curv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y freely selecting the number, size, etc. of the solid-state polymer, the three-dimensional space formed by the above method is a living body including cells, etc. without concern for chemical contamination It may be used to store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관의 단면적 및 단면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may be adjus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는 생성될 미세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고형화 되기 전의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는 생성될 미세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직육각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두 개의 고체 상태 폴리머가 존재하면서 서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Preferably, the solid-state polymer is dispos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crotubules to be produc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solid state polymer before the liquid state polymer is solidified may have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crotube to be produced, and the two solid state polymers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May be arran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는 생성될 미세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되,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놓여진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고형화됨으로써 미세관을 형성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olid state polymer is dispose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crotubule to be produced, but connected by a plane parallel to the plane in which the liquid state polymer is placed so that the solid state polymer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solid state polymer. The solid state of the liquid polymer can be formed to form microtubu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관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에 부착되는 액체 상태 폴리머의 양이 늘어날 것이며, 이로 인해 생성될 미세관의 단면적은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에 부착되는 액체 상태 폴리머의 양은 줄게 되며, 이 경우 생성될 미세관의 단면적은 늘어나게 된다. Preferab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crotubule can be controlled by the thickness of the liquid state polymer.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olymer is thickened, the amount of liquid polymer attached to the solid polymer will be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crotubule to be produced. Convers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olymer is thinned, the amount of liquid polymer attached to the solid polymer decreases, and 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crotubule to be produced is increa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관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형성할 단면이 원형에 가까워지므로 원형 또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에 반해,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형성할 단면은 원형에 덜 가까워지며,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에 부착되는 액체 상태 폴리머의 양이 줄어서 타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단면을 갖는다.Preferably,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may be controlled by the thickness of the liquid state polymer.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olymer is thickened, the liquid polymer has a circular or semicircular cross section because the cross section to be formed is close to a circle. In contrast, when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olymer is made thinner, the cross section of the liquid polymer is less likely to be circular, and the amount of the liquid polymer attached to the solid polymer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elliptical or semi-elliptic cross section. Have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관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배열 형상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배열 형상이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인 경우, 미세관의 단면은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형상이 상기 직육면체의 형상을 유지하되, 액체 상태 폴리머가 존재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미세관의 단면은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may be varied by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solid state polymer. For example, when the array shape of the solid state polymer is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may have an elliptical or circular shape. On the contrary, if the shape of the solid state polymer maintains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s connect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plane in which the liquid state polymer exists,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may have a semi-elliptic or semi-circular shape.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관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반원형 및 반타원형 등의 형상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includes a shap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semicircle and a semi-ellip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는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기판 상에 스핀 코팅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iquid state polymer may be disposed by spin coating on a substrate compos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olid state polym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 및 고체 상태 폴리머는 PDMS (PolyDiMethylsiloxane Stamp)일 수 있다. 상기 PDMS는 인체를 포함한 여러 생체에 무해한 폴리머이기 때문에, 상기 PDMS를 사용하여 제작된 미세관은 세포 등을 포함한 여러 유체의 이동에 사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iquid state polymer and the solid state polymer may be a PolyDiMethylsiloxane Stamp (PDMS). Since the PDMS is a polymer that is harmless to many living bodies including the human body, the microtubules manufactured using the PDMS can be used for the movement of various fluids including cells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세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tubule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incipl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관 제작 방법의 개념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출성 형 혹은 천공공정을 통하여 관통된 사각형 단면의 임시 채널(고체 상태의 폴리머)을 만들고, 스핀 코팅 공정을 통해 기판위에 얇은 유체 막(액체 상태의 폴리머)을 형성시킨 뒤, 상기 고체 상태의 폴리머를 상기 액체 상태의 폴리머가 형성된 기판위에 올려놓으면,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상기 고체 상태의 폴리머 벽면에 대한 부착력이 상기 액체 상태의 폴리머 분자 간 응집력보다 크기 때문에, 즉, 상기 고체 상태의 폴리머 벽면과 상기 액체 상태의 폴리머가 이루는 각(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5
)이 90도 미만이 되기 때문에,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 벽면과 인접한 액체 상태 폴리머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 벽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곡면을 형성하여 반원형 단면의 채널이 구현된다.Figure 3 shows the concept of a microtubu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a temporary channel (solid polymer)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through the injection molding or drilling process, a thin fluid on the substrate through a spin coating process After forming a film (liquid polymer), the solid polymer is placed on a substrate on which the liquid polymer is formed, and the adhesion of the liquid polymer to the polymer wall of the solid polymer is increased. Because of greater than the intermolecular cohesion,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polymer wall in the solid state and the polymer in the liquid state (
Figure 112005020505236-pat00005
) Is less than 90 degrees, the liquid polymer adjacent to the solid state polymer wall rises along the solid state polymer wall, and forms a curved surface to realize a channel of semicircular cross section.

이때, 상기 채널의 폭(w),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 및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높이 등은 조절될 수 있어서, 다양한 단면의 미세관 제작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width (w) of the channel,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olymer and the height at which the liquid polymer rises along the solid polymer wall may be adjusted, and thus, microtubules of various cross sections may be manufactured.

예를 들어, 타원의 가로축의 길이 b는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 간의 거리(w)에 의해서 결정되며, 타원의 세로축의 길이 a는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 및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높이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간의 거리를 가깝게 하거나,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제작되는 미세관의 단면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ength b of the transverse axis of the ellipse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w between the solid state polymers, and the length a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llipse is the thickness of the liquid state polymer and the liquid state polymer wall of the solid state polymer. Since it is determined by the height which rises accordingly, the cross section of the produced microtubule can be adjusted by mak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aid solid state polymers close, or making the thickness of the said liquid state polymer thick.

도 3, 4, 5a 및 5b에서는 상기 미세관 제작을 위해 가공이 상대적으로 용이 하고 바이오 응용분야에 적합한 PDMS(poly-dimethylsiloxane)를 예시적으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머가 상기 PDMS에 제한되지 않음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3, 4, 5a and 5b by way of example to illustrate the PDMS (poly-dimethylsiloxane) is relatively easy to process and suitable for bio-applications for the production of the microtubules, the polym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PDMS The limitation is obvious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관 제작 방법의 공정 순서를 나타낸다. 4 shows a process sequenc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tub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리콘 기판위에 PDMS 기판(S2)을 생성시키고, 상기 PDMS 기판(S2)위에 액상의 PDMS 막을 스핀 코팅한다. 이와 별도로, 사출성형 혹은 천공공정을 통하여 PDMS 채널(S1)을 만든다. A PDMS substrate S2 is formed on the silicon substrate, and a liquid PDMS film is spin coated on the PDMS substrate S2. Separately, the PDMS channel S1 is made through an injection molding or a punching process.

이후, 상기 PDMS 채널(S1)을 상기 액상의 PDMS막 위로 내리면, 상기 액상의 PDMS는 상기 PDMS 채널(S1)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중력방향으로 구부러진 곡면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액상의 PDMS가 상기 PDMS 채널(S1)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것은 액상의 PDMS 간의 응집력 보다 상기 PDMS 채널(S1)과의 부착력이 더 큰 성질, 즉 표면 장력에 의한다. 상기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액상 PDMS가 상기 PDMS 채널(S1)의 벽면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액상의 PDMS를 고형화 시킨다.Subsequently, when the PDMS channel S1 is lowered onto the liquid PDMS layer, the liquid PDMS rise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PDMS channel S1 to have a curved surface curv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t this time, the rise of the liquid PDM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PDMS channel (S1) is due to the property that the adhesion force with the PDMS channel (S1) is greater than the cohesion between the liquid PDMS, that is, the surface tension. The liquid phase PDMS solidifies the liquid phase PDMS while the liquid phase PDMS rise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PDMS channel S1 by the surface tension.

상기 액상의 PDMS가 고형화 되면, 상기 PDMS 채널(S1), 상기 액상 PDMS 및 상기 PDMS 기판(S2)은 일체가 되고, 상기 일체가 된 PDMS 구조물(이하, 미세관의 ‘상층부’라고 함)을 실리콘 기판위에서 분리한다.When the liquid PDMS solidifies, the PDMS channel S1, the liquid PDMS, and the PDMS substrate S2 are integrated, and the integrated PDMS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p layer' of a microtube) is silicon. Separate on the substrate.

이후, 동일한 공정이 반복되는데, 실리콘 기판 위에 PDMS 기판(S3)을 생성시킨 후, 그 위에 액상의 PDMS를 스핀 코팅하여 얇은 막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미세관의 상층부의 상하를 뒤집고 상기 PDMS 기판(S3)위에 코팅된 액상 PDMS위에 올려놓는다. Thereafter, the same process is repeated. After the PDMS substrate S3 is formed on the silicon substrate, the liquid PDMS is spin-coated to form a thin film thereon. Then, the top and bottom portions of the upper layer of the microtube are inverted and placed on the liquid PDMS coated on the PDMS substrate S3.

이때, 상기 액상의 PDMS는 상기 상층부 제작 공정에서와 같이, 상기 상층부 중 PDMS 채널 부분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며, 상기 벽면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액상 PDMS를 고형화 시킴으로써 기존의 상층부와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지원하는 일체의 구조물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liquid PDMS is raised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PDMS channel portion of the upper layer, a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layer, and solidified the liquid PDMS in the state raised along the wall coupled with the existing upper layer of the fluid An integral structure is formed to support the flow.

이때, 상기 액상 PDMS의 두께, 상기 PDMS 채널(S1)간의 거리 등에 의해 상기 미세관의 단면은 여러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areas by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DMS, the distance between the PDMS channels (S1), and the like.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관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세관의 일 실시예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관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세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5a is an embodiment of the microtubules produced by the microtubu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icrotubules produced by the microtubu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도 4에서의 PDMS 채널(S1)을 주형에 의하여 제작하여 10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고정한 후, 액상 PDMS를 이용하여 형성한 미세관의 단면의 모양을 나타낸다. 각각은 증착되는 액상 PDMS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PDMS 채널 벽면으로 부착되는 높이를 상승시켜, 세로축을 각각 1000 마이크로미터, 650 마이크로미터, 500 마이크로미터로 조절하여 원형 및 타원형의 단면을 만들 수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5a shows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microtube formed by using a liquid PDMS after fixing the PDMS channel (S1) in Figure 4 by the mold and fixed to a thickness of 1000 micrometers. Each increases the height of adhesion to the PDMS channel wall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eposited liquid PDMS, indicating that the longitudinal axis can be adjusted to 1000 micrometers, 650 micrometers, and 500 micrometers, respectively, to create circular and elliptical cross sections. .

도 5b는 반타원형 단면 및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미세관을 나타내고 있는데, 도 5a에서의 제작 방법과 달리, PDMS 채널(S1)을 액상 PDMS가 코팅된 PDMS 기판과 평행한 평면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제작한 미세관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5B shows a microtubule having a semi-elliptical cross section and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Unlik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5A, in a state in which the PDMS channel S1 is connect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liquid PDMS-coated PDMS substrate, The cross section of the produced microtubule is shown.

즉, 서로 이격되어 있는 도 5a에서의 PDMS 채널(S1)과 달리, 상기 액상 PDMS가 놓여진 면에 평행한 평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PDMS 채널(S1)을 사용하여, 상기 PDMS 채널(S1)의 벽면에 액상 PDMS가 부착한 상태로 고형화시키는 공정을 한 차례만 수행함으로써 미세관을 제작한다. 이때, 생성되는 미세관의 단면은, 액상 PDMS의 두께에 따라 반타원형 및 타원형으로 결정된다. That is, unlike the PDMS channel S1 in FIG. 5A, whi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wall surface of the PDMS channel S1 is used by using the PDMS channel S1 connected by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liquid PDMS is placed. The microtube is manufactured by performing the process of solidifying only once with the liquid PDMS attached thereto.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resulting microtubules is determined to be semi-elliptical and elliptical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DMS.

도 5b에 도시된 미세관 각각은 증착되는 액상 PDMS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채널 벽면으로 부착되는 액상 PDMS의 높이를 상승시켜, 세로축을 각각 1000 마이크로미터, 500 마이크로미터, 300 마이크로미터로 조절한 미세관이다.Each of the microtubules shown in FIG. 5B increases the height of the liquid PDMS attached to the channel wall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eposited liquid PDMS, thereby adjusting the longitudinal axis to 1000 micrometers, 500 micrometers, and 300 micrometers, respectively. to be.

본 발명에 따른 표면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에 의하면,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단면을 가진 미세관을 제작할 수 있어서, 미세관 단면의 형상으로 인해 유체 흐름이 제한받지 않으며, 화학 용액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미세관 내의 화학적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생명 공학 및 센서 공학 등의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짧은 시간에 원하는 단면 모양을 갖는 미세관을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미세관의 단면적 또한 편리하게 조절가능하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tubule using the surface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icrotubule having a variety of cross-section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the fluid flow is not limited due to the shape of the microtubule cross-section, do not use a chemical solution As a result, chemical contamination in the microtubules can be prevented, and thus it can be widely used in fields such as biotechnology and sensor engineer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icrotubule having a desired cross-sectional shape in a short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crotubule can also be conveniently adjusted.

Claims (21)

액체 상태 폴리머 및 고체 상태 폴리머 간의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으로서,A method for producing microtubules using surface tension between a liquid polymer and a solid polymer,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를 고형화하는 제1 단계; 및Solidifying the liquid polymer in a state in which the liquid polymer is attached to a wall of the solid polymer; And 상기 단계에서 고형화되어 생성된 구조물의 상하를 뒤집은 후,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와 동일한 액체 상태 폴리머에 상기 구조물을 올려놓고, 상기 구조물 중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를 고형화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 After invert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structure formed by solidifying in the step, the structure is placed on the same liquid polymer as the liquid polymer, and the liquid polymer is attached to the wall of the solid polymer of the structure. And a second step of solidifying the liquid-state polym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는 생성될 미세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두개의 고체 상태 폴리머가 존재하면서 서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In the first step, the solid-state polymer is dispos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crotubules to be produced, characterized in that two solid-state polymers are present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tubule using surface tension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계에서, 고체 상태 폴리머는 생성될 미세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되,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놓여진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고형화됨으로써 미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 In the first step, the solid state polymer is dispose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crotubule to be produced, but is connected by a plane parallel to the plane in which the liquid state polymer is placed so as to b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solid state polymer. And forming a microtubule by solidifying the liquid-state polym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는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된 기판 상에 스핀 코팅에 의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quid state polymer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olid state polymer by spin coat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부착되는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이 모두 연결되도록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를 배치하여,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벽면에 부착되어 고형화된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가 폐곡면으로 이루어진 입체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 제작 방법. In the first step, the solid state polymer is disposed such that all of the wall surfaces of the solid state polymer to which the liquid state polymer is attached are connected, and the liquid state polymer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solid state polymer and solidified consists of a closed curved surface. Microtubul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urface tension,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three-dimensional space. 삭제delete 제1항, 제7항, 제8항,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작된 미세관.A microtubule made by the method of claim 1, 7, 8, 13 or 14.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미세관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icrotubule is controlled by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olymer.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미세관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의 두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s is controlled by the thickness of the liquid polymer, the microtubules using surface tensio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미세관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의 배열 형상에 의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pends on the array shape of the solid state polymer, microtubules using surface tensio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미세관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반원형 및 반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tubul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ap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ircular, elliptical, semi-circular and semi-elliptic, microtubules using surface tension.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액체 상태 폴리머 및 상기 고체 상태 폴리머는 PDMS (PolyDiMethylsiloxane St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장력을 이용한 미세관.The liquid state polymer and the solid state polym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DMS (PolyDiMethylsiloxane Stamp), the microtubes using surface tension.
KR1020050032696A 2005-04-20 2005-04-20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 KR1006448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96A KR100644861B1 (en) 2005-04-20 2005-04-20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696A KR100644861B1 (en) 2005-04-20 2005-04-20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19A KR20060110919A (en) 2006-10-26
KR100644861B1 true KR100644861B1 (en) 2006-11-14

Family

ID=3761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696A KR100644861B1 (en) 2005-04-20 2005-04-20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86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616A (en) * 2000-03-28 2001-10-29 백승준 Method for forming micropattern on substrate by using capillary force
KR20040009779A (en)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옵트론-텍 Method of manufacturing sample storage for microchip
KR20040009187A (en) * 2002-07-22 2004-01-31 주식회사 옵트론-텍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ch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616A (en) * 2000-03-28 2001-10-29 백승준 Method for forming micropattern on substrate by using capillary force
KR20040009187A (en) * 2002-07-22 2004-01-31 주식회사 옵트론-텍 Method of manufacturing microchip
KR20040009779A (en)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옵트론-텍 Method of manufacturing sample storage for microchip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919A (en)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3713B2 (en) Microfluidic device with deformable valve
Handique et al. Nanoliter liquid metering in microchannels using hydrophobic patterns
Wang et al. Controlling flow behavior of water in microfluidics with a chemically patterned anisotropic wetting surface
JP4073023B2 (en) Microchanne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65803B2 (en) Micro liquid weighing apparatus, microchip having the same, and liquid measuring method
US6901963B2 (en) Micro fluidic device for controlling flow time of micro fluid
Zhu et al. Capillary flow in microchannels
Wang et al. Morphology-patterned anisotropic wetting surface for fluid control and gas–liquid separation in microfluidics
Dy et al. Fabricating microfluidic valve master molds in SU-8 photoresist
Giang et al. Microfabrication of cavities in polydimethylsiloxane using DRIE silicon molds
US20150190804A1 (en) Silicon substrate optimization for microarray technology
Lee et al. Quantitatively controlled nanoliter liquid manipulation using hydrophobic valving and control of surface wettability
Ding et al. Capillary-driven automatic packaging
Yong et al. Self‐Driving Underwater “Aerofluidics”
RU2718365C1 (en) Surface for directed transfer of fluid medium, in particular against external pressure
KR100644861B1 (en) A method of fabricating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and the microchannel
Kim et al. Advancing liquid front shape control in capillary filling of microchannel via arrangement of microposts for microfluidic biomedical Sensors
Nagai et al. Batch assembly of SU-8 movable components in channel under mild conditions for dynamic microsystems: application to biohybrid systems
RU2720872C2 (en) Capillary structure for directed fluid transfer (embodiments) and substrate for directed liquid transfer
Bunge et al. Symmetric surficial phaseguides: a passive technology to generate wall-less channels by two-dimensional guiding elements
US20190162578A1 (en) Self-cleaning liquid level sensor
Lin et al. Fabrication of sub-40 nm nanofluidic channels using thin glass-glass bonding
KR20060095598A (en) Fabricating method of round-shaped microchannel using surface tension of viscous fluid
JP6066294B2 (en) Micro channel device
KR10145431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nano structure having nano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