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120B1 -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 Google Patents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120B1
KR100625120B1 KR1020040056451A KR20040056451A KR100625120B1 KR 100625120 B1 KR100625120 B1 KR 100625120B1 KR 1020040056451 A KR1020040056451 A KR 1020040056451A KR 20040056451 A KR20040056451 A KR 20040056451A KR 100625120 B1 KR100625120 B1 KR 10062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area
learning
test
ad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07608A (en
Inventor
조동기
Original Assignee
조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기 filed Critical 조동기
Priority to KR102004005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120B1/en
Publication of KR2006000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6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1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문항별로 그 속성들을 미리 분석하고 분류하여 문제은행 DB를 구축하고, 분류된 속성에 매칭되게 진단 및 조언DB 및 학습자료 DB를 구축하여 두고, 학습자가 온/오프라인을 통해 시험을 보고 그 결과에 대한 답안을 입력하면, 이를 채점하여 분류 영역에 의거하여 종합분석과, 부문별 강약이 나타나도록 결과파일을 분석하며, 취약부문별 분석을 통해서 자동으로 해당학습자의 성적 분석 및 부문별 학습계획과 진단 및 조언 등의 클리닉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하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the Internet, and to analyze and classify the attributes of each item in advance to build a problem bank DB, and to match the classified attributes diagnosis and advice DB and learning After building the data DB, the learners take the test on / offline and input the answer to the result, score it and analyze the result file so that the comprehensive analysis an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sector appea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rea. It is characterized by constructing and providing an online system to automatically generate and provide clinic information such as grade analysis and sectoral learning plan, diagnosis, and advice of relevant learners through analysis of weak sectors.

학습, 평가, 클리닉, 인터넷, 언어영역, 분석, 컨설팅, 국어, 진단, 학력평가Learning, Assessment, Clinic, Internet, Language, Analysis, Consulting, Korean, Diagnosis, Educational Evaluation

Description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2 is a flow chart showing a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험 답안정보 입력 방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test answer information input method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Figure 4a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 분석 과정의 상세 흐름도4b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리포트 예시도Figure 4c and Figure 4d is an exemplary report showing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결과파일 분석과정 설명도5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result file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결과파일 분석 리포트 예시도5b is an example of a result file analysis report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취약 부문별 분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Figure 6a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analysis process for each vulnerable s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취약부문 제재별 분석 및 학습대책에 대한 클리닉 리포트 예시도Figure 6b and Figure 6c is an illustration of a clinic report for the analysis and learning measures for each vulnerable sector sa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d는 제재와 행동영역 교차분석 리포트의 예시도 6D is an illustration of the Sanctions and Behavioral Areas Crosstabulation Report.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닉 리포트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reation of a clinic re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클라이언트 20 : 인터넷10: Client 20: Internet

100 : 웹서비스 서버 210 : 회원 관리부100: web service server 210: member management unit

220 : 시험문제 출제부 230 : 종합 분석부220: exam questions 230: comprehensive analysis unit

240 : 결과파일 분석부 250 : 취약부문 분석부240: result file analysis unit 250: vulnerable sector analysis unit

260 : 클리닉 리포트 생성부 310 : 회원 DB260: clinic report generator 310: member DB

320 : 문제은행 DB 330 : 진단 및 조언 DB320: Question Bank DB 330: Diagnosis and Advice DB

340 : 학습자료 DB 340: Learning Materials DB

본 발명은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언어영역에 대한 시험 결과에 대해 영역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분석결과와 심화학습을 위한 정보등을 제공하여 개인별 그룹별 클리닉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method and system, and in particular, to analyze the test results for each language area by type of area to provide analysis results and information for further study, etc. A learning assessment clinic service method and system thereof.

최근 인터넷 사용자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일선 교육 현장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한 새로운 학습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상에 학습 관련 사이트들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the Internet user population, first-line education sites have proposed new learning methods using the Internet, which has led to a rapid growth of learning-related sites on the Internet.

그러나, 현재 운영중인 인터넷 시험 관련 사이트들은 단순히 시험 문제들을 사용자 PC에 다운로드받아 푼 후, 그 결과를 상기 인터넷 시험 관련 사이트로 전송하고 이를 채점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상기 사이트 관리자는 그 채 점 결과에 의해 개인의 성적을 단순 누계하여 제공하고 있다.However, currently operating Internet test-related sites simply adopt a method of downloading and solving test questions to a user's PC,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Internet test-related site and scoring the score. Based on the results, the individual's grades are simply accumulated.

그러나, 시험 응시자의 시험 결과에 대하여 응시자 전체의 전반적인 자료를 제공하지 않고, 개인의 성적만을 단순 누계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시험 응시자가 자신의 실력에 대한 객관적이고, 포괄적, 심층적, 세부적, 개별화된 평가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rather than providing the candidate's overall data on the test results, the test taker provides an objective, comprehensive, in-depth, detailed, and individualized assessment of his or her ability by providing only a summary of the individual's scores. There was a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또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달성도를 효율적이면서도 객관적이고, 체계적 및 과학적으로 평가받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특별히, 수험생들은 자신이 잘하는 영역과 부족한 영역등을 객관적인 평가와 진단이 필요하고, 이에 의해 심화학습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영역별 분야별 클리닉을 필요로 한다.In addition, learners have a desire to evaluate their learning achievements efficiently, objectively,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In particular, candidates need an objective evaluation and diagnosis of areas they are good at and areas lacking, and thus require field-specific clinics to supplement them with deep learning.

그렇지만, 학교나 학원등에서도 학생 개인별로 각각의 영역별 분석이나 평가 및 이에 대한 클리닉등을 제공하기 어렵고, 이를 평가 및 진단하기 위한 수단이 없었다.However, even in schools and academi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analysis or evaluation of each domain for each student and a clinic about it, and there was no means for evaluating and diagnosing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학습평가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학습자 개인별 및 그룹별로 시험 결과에 대해 평가를 하고, 각 영역별 분석 및 그 분석결과에 대한 클리닉 정보를 서비스 함으로써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learning evalu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o evaluate the test results for each individual learner and group, and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by providing the analysis of each area and the clinic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s It is to provide a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method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학습자의 시험 채점 결과에 의해 종합 성적표와 등급을 부여하여 객관적인 평가 진단을 하고, 영역별 강약점을 분석하여 학습 대책을 클리닉 정보로 서 서비스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rehensive score report and a grade based on a student's test scoring result to perform an objective assessment diagnosis, and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area to serve as a clinic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개인별 학습 평가 정보를 기간별로 비교 분석하여 성적 변화 추이를 제공하고, 학습자 본인과 비교되는 다른 학습자들의 성적 추이를 함께 비교 정보로서 제공하며, 진단 및 조언등을 클리닉 정보로서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의욕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mparing the analysis of individual learning evaluation information for each period to provide a grade change trend, by providing a comparison of the grades of other learners compared with the learner as a comparison information, by providing diagnosis and advice as a clinic information This is to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의 영역별 오답 노트와 오답 클리닉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유사문제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of similar problems by providing the incorrect answer notes and incorrect answer clinic services for each learner's area.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의 평가 분석에 의해 취약분야 및 심화학습 분야에 대한 시험 문제와 학습 정보를 개인별 맞춤 정보로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service as a personalized information for the test questions and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field of weakness and deep learning by the learner's evaluation analysis.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와 더불어 리포트를 오프라인으로 함께 제공하여 학습자가 집중적이고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 평가 클리닉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report offline together with the online service so that learners can utilize the learning evaluation clinic intensively an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은, 각 문항별로 그 속성들을 미리 분석하고 분류하여 문제은행 DB를 구축하고, 분류된 속성에 매칭되게 진단 및 조언DB 및 학습자료 DB를 구축하여 두고, 학습자가 온/오프라인을 통해 시험을 보고 그 결과에 대한 답안을 입력하면, 이를 채점하여 분류 영역에 의거하여 종합분석과, 부문별 강약이 나타나도록 결과파일을 분석하며, 취약부문별 분석을 통해서 자동으로 해당학습자의 성적 분석 및 부문별 학습계획과 진단 및 조언 등의 클리닉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하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question bank DB is constructed by analyzing and classifying the attributes of each item in advance, and a diagnosis and advice DB and a learning material DB are constructed to match the classified attributes, and the learner performs the test through on / offline. If you enter an answer to the results of the report, the results are sco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rea, and the result file is displayed so that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sector can be display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tructing and providing an online system to create and provide clinic information such as learning plan, diagnosis and advice.

본 발명은 시험문제를 문제은행 DB에서 임의의 시험 조건에 맞추어서 시험문제를 생성하여 온/오프라인을 통해 제공할 수 있고, 문제은행 DB에 없는 외부 시험에 대해서는 각 문항별로 임의로 정의한 분류 기준에 의거 내용영역 및 평가영역과 교차영역 등에 대해 분류하고, 그 진단및 조언과 학습자료 정보등을 매칭하도록 속성분류를 하여 두고, 시험 채점과 종합,결과파일, 취약부문등의 분석에 의해 클리닉 리포트들 생성하여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the test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any test conditions in the question bank DB to provide the test questions through on / offline, and for the external test not in the question bank DB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bitrarily defined for each question Classify the area, evaluation area and intersection area, and classify attributes to match the diagnosis, advice, and learning material information, and generate clinic reports by analyzing test scores, synthesis, result files, and vulnerable areas.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ovision.

본 발명은 문제은행 DB를 구축함에 있어서, 문제와, 문항별로 평가영역을 분류한 속성과, 학습자료 링크정보와, 문제별 강의 정보와, 문제사용돗수와, 출제정보등을 문항별 정보로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함에 특징이 있다.In constructing a question bank DB, the present invention categorizes a problem, an attribute classifying an evaluation area for each item, link information for learning materials, lecture information for each problem, a question number, and a question information as item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managing it with a database.

본 발명은, 학습자들을 개인 및 그룹으로 회원가입하여 관리하고 시험문제 출제와 학습자의 답안 입력 및 분석결과에 따른 클리닉 리포트등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 서버와; 시험문제와 각 문항별로 평가영역을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분류영역별로 세분화된 소분류를 하고, 문제유형을 분류하여 해당 문항의 속성정보로서 코드화시켜 문제해설 및 유사문제와 난이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저장관리하는 문제은행 DB와; 각 문항별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영역별, 강약부문, 문제유형별등에 대해서 각각의 진단 및 조언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상기 분석결과에 의해 문항속성정보들을 이용해 검색하고 조합하여 자동생성할수 있도록 관리하는 진단 및 조언 DB와; 각 문항별, 분류된 영역별, 학습자들의 학년별등등에 대해서 학습자료와 추천도서 및 강의/강좌, 해설정보등을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하여 분석결과에 의해 자동으로 학습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학습 자료 DB와; 상기 웹서비스 서버를 통해 시험문제출제를 하고, 회원들의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하여 종합 성적 분석과, 내용영역/행동영역등의 영역별 분석, 영역별 교차분석, 각 분석결과에 따른 취약부문분석등을 하는 분석 시스템과; 상기 분석 시스템에서 각 분석결과에 의해 진단 및 조언DB로부터 각각의 분석 결과와 종합 분석에 대한 진단 및 조언과, 학습 자료 DB로부터 학습자료정보를 자동 추출하여 상기 각 분석 결과별로 표/테이블, 그래프 진단 및 조언 멘트 및 추천 자료등등을 개별 맞춤 리포트로서 생성하여 상기 웹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클리닉 정보 생성수단으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 service server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learners as individuals and groups, and providing a clinic report according to a question question and a learner's answer input and analysis result; The test area is divided into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for each test question and subdivision into subdivisions for each classification area, and the problem types are classified and coded a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tem to solve problem descriptions, similar problems, and difficulty. Question bank DB to store and manage to include; By storing each diagnosis and advice information about each area, strength and weakness, problem type, etc. according to each item and analysis result in advance as a database, it manages to search and combine item property information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and automatically generate them. Diagnostic and advice DB; Learning to manage learning materials, recommendation books, lectures / lectures, and solution settings for each item, classified area, and grades of learners as a database to automatically provide learning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ata DB; Test questions are submitted through the web service server, and the members' answers are graded and graded, and comprehensive grade analysis, area analysis of content area / behavior area, cross analysis by area, and analysis of vulnerable areas according to each analysis result, etc. An analysis system for performing; Diagnosis and advice for each analysis result and comprehensive analysis from the diagnosis and advice DB, and learning data information from the learning data DB ar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each analysis result in the analysis system to diagnose tables / tables and graphs for each analysis result. And constructing a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system as a clinic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provided through the web service server by generating advices and recommendation materials as individual customized reports.

상기 분석 시스템은, 해당 학습자 또는 그룹의 평가분석정보와 시험 조건에 의거하여 시험문제를 상기 문제은행 DB로부터 추출하여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시험문제출제부와; 학습자들의 시험에 대한 답안을 입력받아 상기 문제은행 DB의 정/오답에 의거하여 채점하고, 득점에 대한 종합 성적, 각 문항별로 미리 분류해둔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 득점과 배점등에 대해 각각 강약점을 분석하는 평가영역별 분석과, 이전성적들과의 비교에 의한 성적누적분석과, 이에따른 진단 및 조언등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종합 분석부와; 상기 종합 분석부에서 채점된 각 문항별 학습자의 정오답과, 전체응시자의 정답율과, 각 문항의 답지별 반응율등과 해당문항의 평가영역별 분류정보를 제공하여 자가진단 학습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결과파일 분석부와; 상기 결과파일 분석 내용에 의거하여 각 문항별로 분류된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에 대한 평가영역별 및 서로 교차되는 영역을 비교분석 하여 학습자의 득점 및 비율과내점수와 소정범위의 상위득점자 점수 및 동점자의 평균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강약 부문을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취약 부문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nalysis system includes: a test questio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a test question from the question bank DB based on the evaluation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test condition of the learner or group and present a test question; Students receive the answers to the test and score them according to the correct / incorrect answer of the question bank DB.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scored for the overall scores for the scores, the scores and the scores for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that are pre-categorized by each ques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unit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nd provides analysis of each evaluation area to be analyzed, cumulative grade analysis by comparison with previous grades, and diagnosis and advice accordingly; The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self-diagnosis study plan is provided by providing the learner's noon answer for each question scored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unit,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total test takers, the response rate for each question answer,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valuation area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A result file analysis unit provid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sult file, each student's scores and ratios, internal scores, and high scorers and tied scores It includes a weak sector analysis department that provides averages to identify learner's strengths and weakness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방법은,In addition,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험 문항별로 분류하여 각 속성 코드값을 미리 저장하여둔 임의의 시험에 대한 학습자의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을 하는 채점과정과; 상기 채점 결과에 의거하여 득점한 점수에 대한 종합성적과, 해당 시험문제의 각 문항별로 미리 분류해둔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 득점과 배점등에 대해 각각 강약점을 분석하는 평가영역별 분석과, 이전성적들과의 비교에 의한 성적누적분석과, 이에따른 진단 및 조언등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종합 분석과정과; 상기 종합 분석과정에서 각 문항별 학습자의 정오답과, 전체응시자의 정답율과, 각 문항의 답지별 반응율등과 해당문항의 평가영역별 분류정보를 제공하여 자가진단 학습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하는 결과파일 분석과정과; 상기 결과파일 분석 내용에 의거하여 평가영역별로 학습자의 득점 및 비율과내점수와 소정범위의 상위득점자 점수 및 동점자의 평균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강약 부문을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취약 부문분석과정과; 상기 결과파일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분류된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에 대해 서로 교차되는 영역을 비교분석하여 제공하는 영역별 교차분석과정과; 상기 각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정보들을 표와 그래프 형식으로 각각 제공하고, 상기 문항별 속성정보와 연관하여 각 진단 및 조언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진단 및 조언 DB로부터 상기 각 분석결과마다 자동으로 진단 및 조언을 결과를 추출하고, 학습자료 DB에서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취약부문든에 대한 학습 자료를 자동 추출하여 상기 결과분석 정보와 함께 클리닉 리포트를 생성하여 학습자 및 학습그룹별로 제공하는 클리닉 리포트 제공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rading process of classifying the test items and scoring the inputs of the learner's answers to an arbitrary test in which each attribute code value is stored in advance; Comprehensive scores on scores scored based on the scoring results, and analysis of evaluation areas by analy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cores and points by content area and behavior area that are pre-categorized by each item of the corresponding test questions, and transfer scores.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nd provides a cumulative analysis by comparison with the field, and the resulting diagnosis and advice; In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the result file analysis is provided to enable the self-diagnosis learning plan to be provided by providing learner's noon answer for each question, the correct answer rate of all the test takers, the response rate for each questionnaire,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valuation area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Process; A weak section analysis process for identifying learner's strengths and weaknesses by providing learners' scores and ratios, internal scores, predetermined scores of high scorers, and average scor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ult file; A cross analysis process for each area that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areas intersect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content areas and behavior areas classified for each item using the result file analysis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nalyzed in each analysis process is provided in the form of tables and graphs respectively, and the diagnosis and advice is automatically diagnosed and advised for each analysis result from a diagnosis and advice DB that manages each diagnosis and advice in a database in association with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item. Extracts the results, and automatically extracts the learning materials for the vulnerable sec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learning data DB, and generates a clinic report together with the result analysis information to provide a clinic report providing process for each learner and learning group. Characterized in that ma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은,As shown in this, the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인터넷(20)등을 통해서 개인 및 그룹 회원들의 클라이언트 시스템(10)들과 연결하여 웹서비스를 통해서 시험문제 제공과 회원관리 및 개인별 및 그룹별 학습 클리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비스 서버(100)와; 회원별 시험 관리와 이전시험에 대한 분석정보들과 클리닉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210)와; 회원들의 정보와 회원들의 이전 시험 결과에 대한 각종 평가 및 클릭닉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회원DB(310)와; 문항별로 정/오답 및 평가영역에 대해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및 영역별 교차정보와 학습정보등을 미리 분석 및 링크시켜 속성정보로 구축한 문제은행 DB(320)와; 각 문항별 평가 영역에 따른 내용영역, 행동영역 및 종합 성적분석에 대해 진단 및 조언과, 학습계획등에 대한 분석을 하여 상기 문제은행 DB(320)와 코드를 매칭시켜 미리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여둔 진단 및 조언 DB(330)와; 각 문항별 유사문제와 분류영역별 학습자료등을 상기 문제은행DB(320)와, 상기 진단 및 조언 DB(330)와 함께 속성 분류 코드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둔 학습자료 DB(340)와; 해당 학습자 또는 그룹의 평가분석정보와 시험 조건에 의거하여 시험문제를 상기 문제은행 DB(320)로부터 추출하여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시험문제출제부(220)와; 학습자들의 시험에 대한 답안을 입력받아 상기 문제은행 DB(320)의 정/오답에 의거하여 채점하고, 득점에 대한 종합 성적, 각 문항별로 미리 분류해둔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 득점과 배점등에 대해 각각 강약점을 분석하는 평가영역별 분석과, 이전성적들과의 비교에 의한 성적누적분석과, 이에따른 진단 및 조언등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종합 분석부(230)와; 상기 종합 분석부(230)에서 채점된 각 문항별 학습자의 정오답과, 전체응시자의 정답율과, 각 문항의 답지별 반응율등과 해당문항의 평가영역별 분류정보를 제공하여 자가진단 학습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결과파일 분석부(240)와; 상기 결과파일 분석 내용에 의거하여 각 문항별로 분류된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에 대한 평가영역별 및 서로 교차되는 영역을 비교분석하여 학습자의 득점 및 비율과내점수와 소정범위의 상위득점자 점수 및 동점자의 평균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강약 부문을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취약 부문분석부(250)와; 상기 각 부에서 분석된 정보들을 표와 그래프 형식으로 각각 제공하고, 아울러 각 분석결과마다 자동으로 진단 및 조언을 결과를 생성하고, 학습 자료등을 첨부하여 클리닉 리포트를 생성하여 온/오프라인을 통해 해당 학습자 및 학습그룹별로 제공하는 클리닉 리포트 생성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eb service server 100 for providing test questions, member management and individual and group learning clinic services through web services by connecting to client systems 10 of individual and group members through the Internet 20 and the like. ; Member management unit 210 for managing the member-specific test management and analysis information and clinic information for the previous test; A member DB 310 which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f members and various evaluation and clicknic information on previous test results of the members; A question bank DB 320 constructed as attribute information by analyzing and linking major classification, middle classification, small classification, and cross-section information and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area in advance for each item in the correct / incorrect and evaluation areas; Diagnosis and advice on content area, behavior area, and comprehensive grade analysi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area for each item, analysis of learning plan, etc., matching the code with the question bank DB (320), and a diagnosis built in a database in advance And advice DB 330; The question bank DB 320 and the diagnosis and advice DB 330 match the similarity classification code for each item and the learning material for each classification area with the learning material DB 340 that is constructed as a database. ; A test question making unit 220 for extracting a test question from the question bank DB 320 based on the evaluation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test condition of the learner or the group to produce a test question; The student receives the answers to the test and scores the scores based on the correct / incorrect answers of the question bank DB (320). A comprehensive analysis unit 23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an analysis for each evaluation area for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a grade accumulation analysis based on comparison with previous grades, and a diagnosis and advice accordingly; The self-study learning plan can be established by providing the learner's noon answer for each question scored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unit 230,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total test takers, the response rate for each question answer,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valuation area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A result file analyzer 240 for providing information so as to provide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sult file, the content area classified for each item and the area for evaluation and the areas that intersect each other are compared and analyzed. A weak sector analysis unit 250 for providing a mean to check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learner; The information analyzed in each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tables and graphs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of diagnosis and advice are automatically generated for each analysis result, and the clinic report is generated by attaching learning materials and the like,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on / offlin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inic report generation unit 260 provided for each learner and learning group.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시험에 대한 학습자의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을 하는 채점과정(S10)과; 상기 채점 결과에 의거하여 득점한 점수에 대한 종합성 적과, 해당 시험문제의 각 문항별로 미리 분류해둔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 득점과 배점등에 대해 각각 강약점을 분석하는 평가영역별 분석과, 이전성적들과의 비교에 의한 성적누적분석과, 이에따른 진단 및 조언등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종합 분석과정(S20)과; 상기 종합 분석과정(S20)에서 각 문항별 학습자의 정오답과, 전체응시자의 정답율과, 각 문항의 답지별 반응율등과 해당문항의 평가영역별 분류정보를 제공하여 자가진단 학습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하는 결과파일 분석과정(S30)과; 상기 결과파일 분석 내용에 의거하여 평가영역별로 학습자의 득점 및 비율과내점수와 소정범위의 상위득점자 점수 및 동점자의 평균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강약 부문을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취약 부문분석과정(S40)과; 상기 결과파일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분류된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에 대해 서로 교차되는 영역을 비교분석하여 제공하는 영역별 교차분석과정(S50)과;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의해 해당되는 학습정보등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요구에따른 맞춤 정보 제공과정(S60) 및 상기 각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정보들을 표와 그래프 형식으로 각각 제공하고, 아울러 각 분석결과마다 자동으로 진단 및 조언을 결과를 생성하고, 학습 자료등을 첨부하여 클리닉 리포트를 생성하여 온/오프라인을 통해 해당 학습자 및 학습그룹별로 제공하는 클리닉 리포트 제공과정(S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therein, a scoring process (S10) of receiving a student's answer to any test and scoring the input; Comprehensive scores on scores scored based on the scoring results, and analysis of evaluation areas by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cores and points by content area and behavior area that are pre-categorized by each item of the corresponding test questions, and transfer scores.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S2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a cumulative analysis, and the diagnosis and ad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with the field; In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S20), the learner's noon answer for each question, the correct answer rate for all the test takers, the response rate for each question and the like,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valuation area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are provided so that a self-diagnostic learning plan can be made. A result file analysis process (S30);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 file, the weak section analysis process (S40) that provides the learner's score and ratio, the internal score, the predetermined score of the top scorer score,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tied scores to check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learner (S40). and; A cross analysis process (S50) for each area, which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areas intersect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classified for each item by using the result file analysis information;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client's request (S60) providing the corresponding learning information by client's request and information analyzed in each analysis proces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table and graph, respectively, and automatically for each analysis result Diagnosis and advice to produce a result, and attached to the learning material, such as a clinic report is generated by providing a clinic report providing process (S70) for each learner and learning group through on / offline.

본 발명의 문제은행 DB(320)에는 시험문제들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각 문항들은 문항별로 그 속성값을 부여하여 미리 분류하여 분석을 위한 속성값들을 코드값으로 저장하여 둔다. 문항별 속성값들은, 학년, 학기, 난이도, 출제년도, 객관식/주관식, 수능형/내신형, 문항별 정/오답, 배점, 문제유형, 문항 해설등등의 정보를 속성값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The question bank DB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manages the test questions as a database. Each item is classified in advance by assigning the property value to each item, and the property values for analysis are stored as code values. Attribute values for each item are classified and managed as information on grade, semester, difficulty, year of entry, multiple choice / suffix, SAT / internal, item-specific answers, incorrect answers, scoring, problem type, and item commentar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언어영역에 대한 학습 평가 및 진단과 조언을 하는 클리닉 서비스를 실시예로서 설명하는데, 언어영역에서 평가 영역을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으로 구분하고, 내용영역은 '말하기/듣기, 쓰기, 읽기(문학), 읽기(비문학)'등등으로 제재별로 분류하며, 그 세부적 분류로서 문학인 경우, '현대시, 고전시가, 현대소설, 고전산문, 수필희곡'등으로 분류하고, 비문학인 경우,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 생활언어'등으로 분류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clinic service for learning evaluation, diagnosis and advice on a language area as an embodiment. In the language area, the evaluation area is divided into a content area and an action area, and the content area is' speaking / listening, It is classified by sanctions such as writing, reading (literature), reading (non literary), etc., and the detailed classification is classified as 'modern poetry, classical poetry, modern novel, classical prose, essay play', etc. And 'humanities, society, science, technology, art, and living language'.

행동영역은, ' 어휘/어법,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 등등으로 분류한다. 상기와 같은 분류기준은 지금까지의 시험문제의 출제경향등에 비추어서 평가 기준이 되는 영역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이다.Behavioral domains are categorized into 'vocabulary / grammar, factual understand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creative understanding' and so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s described above systematically classify the areas that are the evaluation criteria in view of the trends of the test questions so far.

또한 각 문항별 문제유형은, 내용확인, 내용유추..등등으로 300여가지로 분류하여 문항에서 묻고자하는 것이 어떤 유형인지를 구분하여 둔다.In addition, the question types for each item are classified into 300 types such as content identification, content inference, etc., and the types of questions to be asked in the question are classified.

그리고, 각 문항별로 유사, 심화, 보충 문항에 대한 매칭정보를 저장하는데 이는 수동으로도 코드를 부여할 수 있지만, 다른 문항들과의 연관 관계를 속성값으로 비교하여 영역별 및 문제유형별로 코드값의 비교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하여 문항별로 저장관리하게 된다.In addition, each item stores matching information on similarity, deepening, and supplementary items, which can be assigned codes manually, but by comparing the relations with other items as attribute values, the code values for each area and problem type. It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comparing and saves and manages each item.

한편, 난이도는 초기에 예측 난이도를 문항 분류시에 입력하여 저장하면, 해당 문항의 출제에 따른 응답자 반응 및 응답자 정답률등에 의해 응시자 전체수준등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난이도를 조정하여 관리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fficulty is initially inputted and stored at the time of classifying the predicted difficulty, the difficulty is automatically adjusted and compared with the overall level of the candidate by the respondents 'response an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correct answers according to the questions.

상기와 같은 문제 은행DB(320)는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요소로서 적용되는데, 초기에 각 문제에 대해 문항별로 분류하여 속성값들을 부여하면 자동으로 코드가 생성되어 그 코드에 의해 관리되고 그 코드를 이용해 분석과 매칭 진단 및 조언까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bank DB 320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as a key el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blem is initially classified for each problem and given attribute values, a code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managed by the code. To generate and provide analysis, matching diagnosis and advice.

한편, 진단 및 조언 DB(330)는, 상기 평가 영역별 및 문제유형등과 문항들의 속성값 및 회원의 정도등에 의해 자동으로 진단 및 조언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문항 속성 코드들과 매칭하여 진단 및 조언을 미리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관리한다. 문항별, 제재별 내용영역과 행동영역, 학습자의 성적(백분율), 동점자들의 평균, 성적의 상승/하향등등을 고려하여 각 진단및 조언을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하여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agnosis and advice DB 330 is diagnosed and matched with the item attribute codes to automatically generate the diagnosis and advice by the evaluation area, the problem type, etc. and the attribute value of the items and the degree of membership, etc. Store the advice in a database in advance. Each diagnosis and advice is managed and stored in a database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 area and behavior area by item and sanction, the learner's grade (percentage), the average of tied students, and the increase / down of the grade.

그리고, 학습자료 DB(340)에는, 문항별 분류정보와 회원정보에 의해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코드를 매칭시켜두고, 각종 학습자료와 강의 추천도서, 교재 , 추천강의파일 등등을 저장관리하며, 사고영역별, 문제유형 및 학습 대책별등등으로 분류하여 저장관리한다.And, in the learning material DB (340), the code is matched to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item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member information for each item, storing and manag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lecture recommendation books, textbooks, recommended lecture files, etc. It is classified and managed by area, problem type and learning countermeasur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험 답안정보 입력 방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nputting test answ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웹서비스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로그인하게 되면, 회원관리부(210)는 회원 DB(310)에서 해당회원의 정보를 읽어오고, 시험을 보기위한 조건을 선택하거나 자동 출제등을 선택하게 되면, 시험문제 출제부(220)에서 해당 회 원의 조건에 맞는 시험문제를 출제한다.First, when logging in to the website provided by the web service server 100, the member management unit 210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member from the member DB 310, and selects the conditions for the test or automatic questions, etc. If selected, the test questions questions unit 220 questions question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the member.

시험 문제 출제부(220)는, 문제은행DB(320)에서 정오답 DB, 문제 DB, 해설 DB등을 매칭시켜 시험문제를 출제하는데, 회원DB(310)의 회원 데이타에 의거하여 해당 회원에게 맞는 시험문제를 출제하게 된다. 여기서 회원은 개인 회원이 될수도 있고 그룹 회원이 될수도 있으며, 시험문제 출제는 회원의 조건입력에 따라 난이도나 문항수 및 범위등을 설정하여 출제할 수도 있고, 회원 DB(310)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까지의 평가 정보를 활용하여 자동출제할 수도 있다. 즉, 회원의 학습진도와 취약부문 및 학습계획등에 맞추어서 맞춤형 시험출제를 할 수 있는 것이다.The test question questions unit 220, the question bank DB (320) matching the noon answer DB, question DB, commentary DB, etc. to test questions, based on the member data of the member DB (310) to fit the member Test questions will be asked. Here, the member may be an individual member or a group member, and the question may be set by setting the difficulty level, the number of questions, and the range according to the member's condition input, and the previous question stored in the member DB 310. You can also submit questions automatically by us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make customized exams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weaknesses and learning plans of members.

시험출제는 온라인상으로 시험을 직접 치룰수 있도록 할 수 도 있지만, 그룹등의 시험을 위해 관리자 모드에서 시험문제를 출제하여 이를 오프라인으로 프린팅하여 시험을 치루게 하고, 시험 답안만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시험 답안을 입력하는 방법은, 오프라인으로 시험을 치루는 경우, OMR카드를 작성하여 OMR리딩 데이터 처리기를 거쳐 답안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온라인 시험을 치룬 경우, 인터넷에서 직접 입력하여 웹서비스 서버(100)가 데이터 처리를 하여 회원별 답안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Although the exam questions can be taken online directly, the test questions can be taken in the administrator mode for the group test and printed offline to take the test, and only the test answer can be entered. How to input the test answer, when taking the test offline, you can create an OMR card and receive the answer input through the OMR reading data processor, and if the online test is taken, enter directly from the Internet Web service server (100 ) Processes the data and stores and manages the answer data for each member.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분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 분석 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리포트 예시도이다.4A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c and 4d are exemplary reports showing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회원들의 시험 답안 데이터를 입력 받으면, 종합분석부(230)는 채점 및 종합분석과정을 수행한다.When receiving the test answer data of the members as shown in FIG. 3, the comprehensive analysis unit 230 performs a scoring and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문제은행 DB(320)의 문항 DB, 문항 해설 DB, 사고영역(즉, 평가영역)분류DB, 문제유형DB등으로부터 시험출제된 각 문항들의 분류 속성값을 입력받아 분석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학습자료 DB(340)로부터 사고영역별 DB, 문제유형 및 학습 대책 DB, 추천 교재/강좌 DB를 활용하고, 아울러 진단 및 조언 DB(330)를 활용하여 종합 분석을 처리한다.The question attribute DB, item commentary DB, question area (that is, evaluation area) classification DB, problem type DB, etc. of the question bank DB 320 is input and analyzed the classification attribute value of each question. In addition, by utilizing the thinking area DB, problem type and learning measures DB, recommended textbook / course DB from the learning material DB (340), and also using the diagnosis and advice DB (330) to process a comprehensive analysis.

종합 분석결과 학생별 결과 파일을 생성하고, 학생별 맞춤 평가 클리닉 정보를 제공하며, 그룹 단위의 결과 파일과 그룸별 맞춤 평가 클리닉 정보를 제공한다.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The result file for each student is created, the student-specific evaluation clinic information is provided, and the group-specific result file and the group-specific evaluation clinic information are provided.

종합 분석 과정(S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원별 답안 데이터를 정오답 DB에 의거하여 채점을 하는 채점 단계(S21)를 수행한 후 도 4c의 종합성적표와 같이 채점 결과에 대해 득점과 배점 및 표준점수에 대한 득점 및 배점과 백분위 및 등급을 평가하여 종합 성적표로서 제공하는 종합 성적표 생성단계(S22)를 수행한다.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S20) is scored for the scoring results as shown in the composite score report of Figure 4c after performing the scoring step (S21) to score the answer data for each member based on the noon answer DB as shown in Figure 4b And performing a comprehensive score report generation step (S22) of evaluating the scores and the scores, the percentiles, and the grades for the standard scores and the standard scores and providing them as a comprehensive score report.

이어서, 도 4c와 같이 평가 영역별로 분석을 수행하는데, 평가영역중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로 분석하여 각 영역별로 문항수와 맞은 개수 배점 득점 득점율 응시자 평균(득점/득점률), 상위 4%의 득점을 분석하는 내용영역별 강약점 분석단계(S23)및 행동영역별 강약점 분석단계(S24)를 수행한다. 영역별 분석결과는 각 영역별 분류 및 그에따른 득점과 등급 및 상위 4%의 득점을 표로서 표시하고, 아울러 영역별로 득점률을 내점수, 응시자 평균, 상위 4%에 대해 그래프로 표시하여 한눈에 자신의 강약점을 알수 있도록 분석하여 제공한다.Subsequently, the analysis is performed for each evaluation area as shown in FIG. 4C, which is analyzed for each content area and behavior area among the evaluation areas, and the number of points matched with the number of questions in each area Score point Score point Average (score / scoring rate), score of the top 4% The strength and weakness analysis step for each content area (S23) and the strength and weakness analysis step (S24) for each action area a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by area shows the classification of each area, the scores and grades according to each area, and the scores of the top 4% as a table, and the score rate by area is graphically displayed for the score, the average of the candidates, and the top 4%. Analyze and provide your strengths and weaknesses.

즉, 종합 성적표로는, - 원점수(배점/득점)와 표준 점수, 백분위, 등급 제시 하며, That is, as a comprehensive score report,-Raw scores (scores / scoring) and standard scores, percentiles, grades,

평가 영역별 분석표로는 By analysis table by evaluation area

내용 영역별 강약점 분석 : 내용 영역별*로 해당 문항수 및 개인이 취득한 개수/득점/득점률, 응시자 평균, 상위 4% 득점 및 득점률 등 제공(표와 그래프 2가지 방식) * 4가지 대분류(도 4c 리포트예시 참조)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by content area: Provides the number of items and scores / scoring / scoring rate, the average of candidates, the top 4% scores and the scoring rate by content area * (two types of tables and graphs) * Four major categories 4c Report example)

행동 영역별 강약점 분석 : 행동 영역별*로 해당 문항수 및 개인이 취득한 개수/득점/득점률, 응시자 평균, 상위 4% 득점 및 득점률 등 제공(표와 그래프 2가지 방식) * 5가지 대분류(리포트지 참조)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by behavioral area: Provides the number of items and scores / scores / scoring rate, average of candidates, top 4% scores and scoring rate by behavioral areas * (two types of tables and graphs) * 5 major classifications (reports) See)

그리고, 도 4d와 같이, 전월 성적과의 비교를 하여 이전 시험들의 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에 대해 회차별로 득점된 점수와 전체 회차중 최고/최저 점수등을 비교표로서 생성하고, 횟수별 성적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서 표시하며, 전월에 나와 같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이번 시험에서 받은 점수의 평균과, 이번 시험의 응시자 평균을 표와 그래프로서 표시하여 성적 변화와 다른 응시자와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전월 성적과의 비교단계(S25)를 수행한다.And, as shown in Figure 4d,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month grades generated scores for each score for the raw scores, standard scores, percentiles, grades of the previous exams and the highest / lowest scores of the entire series as a comparison table, the scores per number The previous month provides a graph showing the trend of change and showing the average of the scores received in this test and the average of the candidates in this test as tables and graphs to compare the results with other test takers. Perform a comparison step with the grade (S25).

전월 성적과의 비교는, 비교 표 제시로서 횟수별 원점수, 표준 점수(100점 만점, 200점 만점), 백분위, 등급, 최고 점수, 최저 점수를 제공하고, 횟수별 성적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 제시하며, 전월에 나와 같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이번 시험에서 받은 점수의 평균으로서, 전월에 내가 받은 점수, 이번에 내가 받은 점수, 이번 시험의 응시자 평균, 전월에 나와 같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이번 시험에서 받은 점수 평균(표와 그래프 2가지 제공)을 제공한다.The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month's grades provides a comparison table, which provides raw scores, standard scores (100 points, 200 points), percentiles, grades, high scores, low scores, and graphs of the change in scores. , The average of the scores given by the previous month by students who received the same score as the previous month, the score I received in the previous month, the score I received this time, the average of the candidates taken by this test, and the score by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same score as the previous month Provide averages (two tables and graphs).

이어서, 진단 및 조언 생성단계(S26)를 수행하는데, 진단 및 조언은, 전월에 배해 성적의 상승/하향을 비교한 결과에 대해 평가하고, 전월에 같은 점수를 받은 학생과 비교했을때의 표준점수의 상승/하향을 평가하고, 위 두가지 결과에 대해 진단 및 조언을 생성하며, 학습 방법에 대한 조언을 생성한다. 이러한 진단 및 조언 생성은, 상기 분석 결과에 의해 항목별로 해당되는 조건을 생성하고 그 조건에 따라 진단 및 조언 DB(330)에서 자동으로 추출하여 개인별 맞춤 진단 및 조언 정보로서 생성한다.Subsequently, the diagnosis and advice generation step (S26) is performed. The diagnosis and advice are evaluated for the result of comparing the rise / down of the grades of the previous month, and the standard score of the student compared with the student who received the same score the previous month. Evaluate upwards / downwards, generate diagnostics and advice for both results, and generate advice on how to learn. Such diagnosis and advice generation, by generating the conditions corresponding to each ite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diagnosis and advice DB 330 according to the conditions to generate the personalized diagnosis and advice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진단 및 조언에 있어서, 전월 성적을 비교할 수 없는 경우(처음 응시자), 진단 및 조언 내용으로서, ① 백분위, ② 나의 표준 점수와 표준 점수 평균 비교, ③ 나의 현재 등급에서 한 등급 더 올릴 때 필요한 점수(* 만점자와 0점자는 달리 하게 되며, 경우의 수 : 6가지가 된다.)For diagnosis and advice, if the previous month's grades cannot be compared (first-time test taker), as a diagnosis and advice, ① percentiles, ② my standard scores and the standard score average comparison, ③ my current grade, the score needed to raise one more grade ( * The perfect score and the zero score will be different, the number of cases: 6 kinds.)

전월 성적이 있는 경우(2회 이상 응시자)는, 진단 및 조언 내용으로서, ① 백분위 변화, ② 전월 동점자 평균(표준 점수 기준)과의 비교, ③ 나의 현재 등급에서 한 등급 더 올릴 때 필요한 점수. (* 만점자와 0점자는 달리 하게 되고, 경우의 수 : 20가지가된다.) * 조언의 실제 가지수 : 26 * 5가지 내외 = 130가지 내외가 도리수 있다.If you have the previous month's scores (two or more test takers), as a diagnosis and advice, ① the percentile change, ② the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month's tie score (based on the standard score), ③ the score required to raise one more level from my current grade. (* The perfect score and the zero score will be different, and the number of cases: 20 kinds.) * The actual number of advice: 26 * 5 or more = 130 can be around.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결과파일 분석과정 설명도이며, 도 5b는 결과파일 분석 리포트 예시도이다.5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result file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n exemplary view of a result file analysis report.

결과파일 분석은 상기 종합 분석 과정에서 분석된 정보에 의해 개인별 그룹별 결과파일이 생성되면, 그 결과파일을 분석하게 된다.In the result file analysis, when a result file for each group is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analyzed in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the result file is analyzed.

문제은행DB(320)로부터 정오답DB, 해설 DB, 문항 DB, 문제유형 DB, 사고영역(평가영역)DB를 활용하여 시험 응시자 즉, 회원이 입력한 문항별 답안 데이터를 분석하게 된다.From the question bank DB (320) using the noon answer DB, commentary DB, question DB, problem type DB, thinking area (evaluation area) DB, the test taker, that is, the answer data for each item entered by the member is analyzed.

학생별/그룹별로 취약 유형을 분석하는데, 문항 분석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항 번호, 배점, 정답, 채점, 응시자 정답률, 내용영역, 문제유형, 행동영역, 자가진단등을 이용해 분석하고, 제재별 분석은 17개 제재분류에 의해 문항별, 지문별, 배점별, 득점별 분석을 하며,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의 교차분석을 하고 25개의 제재/행동영역을 교차분류하여 문항별, 배점별, 득점별, 문항 유형별로 분석한다. 여기서, 교차분석은 결과파일 분석에서 함께 수행할 수도 있으며, 독립된 과정으로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의 교차분석과정(S50)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교차분석 과정(S50)의 설명에서 한다.To analyze the type of vulnerability by student / group, the item analysis is analyzed by using the item number, scoring, correct answer, grading, candidate correct answer rate, content area, problem type, behavior area, and self-diagnosis as shown in FIG. 5B. The analysis by sanctions is conducted by item, fingerprint, distribution, and score by 17 sanction classifications, cross-analysis of content and action areas, and cross classification of 25 sanctions / behavior areas. Analyze by scoring, scoring, and item type. Here, the cross analysis may be performed together in the result file analysis, or may be performed as a cross analysis process (S50) of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as an independent process.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in the description of the cross analysis process (S50).

이와같이 문항분석과 제재별 분석등을 통해서 학생별/그룹별 취약 유형분석을 하고, 추천교재 및 강좌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In this way,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s and sanctions, analysis of vulnerable types by students and groups is provided, along with recommended textbooks and cours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분석 결과에 의해 학생별/그룹별 맞춤 조언을 제공하는데, 학년별, 등급별, 추천도서 및 교재/강좌 분류와, 제재별, 문제 유형별, 행동 영역별, 출제경향 및 학습대책등에 의거하여 진단 및 조언 DB(330)와, 학습자료 DB(340)에서 진단 및 조언 정보를 자동으로 찾아서 맞춤 조언을 생성하여 제공한다.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vide customized advice for each student / group, diagnosis based on grade, grade, recommendation books and textbook / course classification, sanctions, problem types, behavioral areas, questions trends and learning measures And advice DB 330 and learning data DB 340 to automatically find and provide diagnostic and advice information.

결과파일 분석에 의해 언어클리닉 리포트와 오답 클리닉(유사/보충/심화문항)등의 정보를 클리닉 리포트에 포함시켜 제공한다.By analyzing the result file, the clinic report includes information on language clinic report and incorrect clinic (similarity / supplementary / intensive question).

그리고 자가진단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을 본 학습자가 각 문항 별로 완전히 이해하고 맞은문항, 맞긴 했으나 헷갈리는 문항, 틀렸지만 답보고 이해한 문항, 몰라서 틀리고 이해 안되는 문항등을 자가진단으로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에 대해 자가 진단 할수 있도록 하는 자가진단 활용법을 조언으로서 제공한다.And self-diagnosis, as shown in Figure 5b, the self-diagnosis, the learner who has taken the test completely understand and correct for each question, the right but confusing questions, the wrong but not answered and understood, the questions that do not know and do not understand It provides advice on how to use self-diagnosis to check and self-diagnose the results.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취약 부문별 분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취약부문 제재별 분석 및 학습대책에 대한 클리닉 리포트 예시도이다. 도 6d는 제재와 행동영역 교차분석 리포트의 예시도이다.Figure 6a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analysis process for each vulnerable s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and 6c is an illustration of a clinic report for analysis and learning measures for each vulnerable section sa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D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Sanctions and Behavioral Areas Crosstabulation Report.

취약부문 분석 과정(S40)은 결과파일 분석과가 종합성적 분석등에 의한 결과를 활용하는데, 제재별 분석을 통해 한눈에 취약부문을 알수 있도록 제공한다.Vulnerable sector analysis process (S40) utilizes the results of the result file analysis and comprehensive performance analysis, and provides analysis so that the weak sectors at a glance through analysis by sanctions.

첫시험 학생인 경우, 종합 성적표, 원점수(배점/득점),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응시자 평균등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학생/그룹별 이전 시험 정보는, 횟수별 원점수 변화 추이, 표준점수 변화 추이, 백준위 변화 추이, 등급변화 추이, 최고점수 변화 추이, 최저 점수 변화 추이, 상위 4% 또는 10% 변화추이, 전월 동점자 변화추이등을 제공한다.For first-time students, the results are analyzed using a comprehensive score report, raw scores (scores / scores), standard scores, percentiles, grades, and test taker averages. It provides trends of trends such as change of white level, trend of grade change, trend of highest score, trend of lowest score, trend of top 4% or 10%, and trend of tied score last month.

학생/그룹별 내용영역(제재별) 분석은, 내용영역별로, 학생/그룹별 득점/득점률, 응사지 평균, 동점자 평균, 등급별 득점/득점률, 상위 4% 득점/득점률등을 제공한다.Content area (by sanctions) analysis by student / group provides, by content area, student / group scores / scores, average scores, tie scores, grades / scores, and top 4% scores / scores. .

학생/그룹별 행동영역 분석 및 제재/행동 영역 교차 분석은, 행동영역별, 제재/행동영역 교차분석을 하는데, 학생/그룹별 득점/득점률, 응사지 평균, 동점자 평균, 등급별 득점/득점률, 상위 4% 득점/득점률등을 제공한다.Student / group behavior area analysis and sanction / action area cross-analysis, conducts cross-analysis of action area and sanction / behavior area, scoring / scoring rate by student / group, average score of respondents, average of tied scores, scoring / scoring rate by grade , The top 4% score / scoring rate, etc.

상기와 같이 분석된 결과에 대해 취약 제재 및 행동 영역을 선별하여 해당되 는 진단 및 조언을 생성하여 제공한다.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as above, the vulnerable sanctions and behavior areas are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diagnosis and advice are generated and provided.

이와같은 분석에서 개인별 취약 제재 1개를 제시하는 경우, 취약 제재 선별 기준은,If such an analysis presents one individual vulnerable sanction, the criteria for screening vulnerable sanctions are:

① 나와 동점자들(원점수 기준)의 제재별 득점률과 나의 제재별 득점률을 비교해서 내가 가장 취약한 제재 1가지 선택,① By comparing the scores by sanctions and the scores by sanctions between me and tied players (based on raw scores), I choose one of the weakest sanctions,

② 득점률이 동점인 제재가 2개 이상일 경우② When there are two or more sanctions with equal score

- 1순위 : 나의 제재별 득점률 중에서 가장 취약한 것을 선택,-1st priority: choose the weakest score among my sanctions

- 2순위 : 전체 학생들의 제재별 득점률에서 가장 취약한 것을 선택-2nd priority: Select the weakest points in the scoring rate of all students

- 3순위 : 나보다 한 등급 위인 학생들의 제재별 득점률에서 가장 취약한 을 선택-Rank 3: Select the most vulnerable in the sanctions by sanctions of students who are one level above me

③ 만점인 경우 : 1등급의 득점률이 가장 낮은 제재③ Perfect score: Sanction with the lowest scoring rate of 1st grade

④ 0점자인 경우 : 응시자 전체 득점률이 가장 높은 제재(쉽게 점수를 올릴 수 있도록)④ In case of 0 scorers: Sanctions with the highest scores for all candidates (for easy scoring)

진단 및 조언 내용으로는, ① 선택된 취약 제재 제시, ② 제재의 최근 수능 출제 경향 및 학습 대책, ③ 등급별 학습 방법, ④ 등급 별 필독 도서 추천하게 된다.Diagnosis and advice include: ① presenting selected vulnerable sanctions, ② recent trends in SAT sanctions and learning measures, ③ learning methods by grade, and ④ reading books by grade.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수, 출제문항수, 맞은 문항수, 배점, 득점, 득점률에 대해 말하기/듣기, 쓰기, 문학, 비문학등으로 분류하여 각 문항수에 대해 맞은 항수와 득점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표와 그래프로 제공하며, 내점수위 상위 4% 및 동점자 평균을 함께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대해 진단 및 조언을 자동 생성하여 제공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6b, the number of questions, the number of questions, the number of questions, the number of points, scoring, scoring, speaking / listening to the score, writing, literature, inscriptions, etc. It is provided in a table and a graph so that you can see at a glance, and shows the top 4% of the score and the average of the tied score. Diagnostics and advice ar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provided for these results.

도 6c는 취약 제재 분석 및 학습 대책 결과 리포트의 예시도로서, 상기 분석결과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서 어휘.어법이 선별된 경우라면, 그 제재에 대해 출제 문항수, 맞은 문항수, 배점 득점 득점율을 표와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고, 다른 영역중 최강영역(예; 말하기/듣기)과 비교하는 그래프를 제시하고, 해당 제재에서 내점수와 상위4% 및 동점자 평균 점수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FIG. 6C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weak sanction analysis and a study countermeasure result report. If the vocabulary and phrases are selected as the weakest part of the analysis result, the number of questions, correct questions, and scoring scores for the sanctions are shown in the table and diagram. Display the graph to compare with the strongest area (eg, speaking / listening) among other areas, and compare the score by displaying the top score and the top 4%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tied score in the sanction.

그리고 해당 제재에 대한 출제경향이나 예측 정보등을 제공하고, 학습 대책에 대한 추천 교재/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information on trends and predictions on the relevant sanction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recommended textbooks / lectures on learning measures.

한편, 취약부분에 대해서 하나의 제재에 대해서만 제공하지 않고 2가지 이상의 영역별로도 상기 도 6c와 같은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eak part may not be provided for only one sanction, but may provide analysis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C for each of two or more areas.

취약 제재/행동영역 제시 방법은,How to suggest vulnerable sanctions / behavior

1. 나와 동점자들(원점수 기준)의 제재/행동 영역별 득점률(25가지)과 나의 제재/행동 영역별 득점률을 비교해서 내가 가장 취약한 부문 1가지 선택,1. By comparing me and my scorers' scores by sanctions / behavior area (25) and my scores by sanctions / behavior area, I chose one of the most vulnerable areas,

2. 득점률이 동점인 제재가 2개 이상일 경우2. When there are two or more sanctions with equal scoring points

① 1순위 : 나의 제재별 득점률 중에서 가장 취약한 것을 선택① 1st: Choose the weakest among my sanctions

② 2순위 : 전체 학생들의 제재별 득점률에서 가장 취약한 것을 선택② 2nd priority: Select the weakest points among all students by scoring

③ 3순위 : 나보다 한 등급 위인 학생들의 제재별 득점률에서 가장 취약한 것을 선택③ 3rd place: Select the most vulnerable among the sanction rate by sanctions of students who are higher than me

3. 만점인 경우 : 1등급의 득점률이 가장 낮은 부문 선택3. In case of perfect score: select the lowest scoring class

4. 0점자인 경우 : 응시자 전체 득점률이 가장 높은 부문 선택4. In case of 0-point score: Select the category with the highest score for the candidate.

진단 및 조언 내용은, ① 취약 제재/행동 영역 제시, ② 해당 제재/행동 영역에 해당하는 유형 제시 및 최근 출제 경향 & 유사 발문 유형, ③ 해당 유형에 따른 등급별 학습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Diagnosis and advice are as follows: ① Presenting weak sanctions / behavior area, ② Presenting types corresponding to the applicable sanctions / behavior area, recent trends and types of similar questions, and ③ Learning methods by grade according to the types.

※ 유형 제시 방법은, a. 1개 틀린 경우 : 학생이 실제 틀린 유형 제시, b. 2개 이상 틀린 경우 : 대표 유형 제시, c. 만점자 : 정답률이 가장 낮은 문항 제시, d. 0점자 :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 제시, e. 유형 : 200가지 이상(내용 영역별, 행동 영역별로 구분됨.)※ Type presentation method is a. 1 wrong: The student presents the actual wrong type, b. 2 or more wrong cases: Representative type, c. Perfect score: present the item with the low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d. 0-point scale: present the item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e. Type: Over 200 types (divided by content area and behavior area)

한편, 상기 취약 제재 분석에 있어서,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의 교차 분석 과정(S50)은, 문항 유형별로 구분하고, 문항별,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이 교차되는 유형을 DB화 하여 분석하게 된다. 이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듣기, 쓰기, 읽기등의 내용영역(제재)과, 어휘.어법,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등등의 행동영역의 교차되는 정보(중복 분류되는 정보)를 이용해서 이들에 대해 문항수, 배점, 득점률등을 제공하고, 내가 맞은 점수로 본 제재-행동 영역별 강약 부분을 한눈에 볼수 있도록 행동영역(어휘.어법)에 대해 내용영역(듣기,쓰기,읽기)의 득점률을 그래프로 표시하여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weak sanction analysis, the cross-analysis process (S50) of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is classified by item type, and analyzed by DB of the types in which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cross each other. As shown in FIG. 6D, the information area (a sanction) such as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and the information (overlapping classification) of the action area such as vocabulary, grammar, factual understand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etc. are used. It provides the number of questions, the scoring, the scoring rate, and the content area (listening, writing, reading) of the action area (vocabulary and grammar). Provide scores in graph form.

아울러 상기 교차분석에 대해 잘하는 부분과 못하는 부분을 득점율에서 검출하여 해당 제재(내용영역) 및 행동영역에 대한 진단 및 조언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아울러 학습 대책과 추천도서, 출제경향정보등을 맞춤정보로서 생성하여 제공한다. In addition, by detecting a good part and a poor part about the cross analysis in the scoring rate, generating and providing diagnosis and advice on the corresponding sanctions (content area) and behavior area, and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on learning measures, recommendation books, and trend information. Produce and provide as.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리닉 리포트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linic repor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취약부문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취약 제재 및 행동영역, 제재/행동영역 교차부문, 문항 유형을 선별하여 선택된 취약부문 제시를 하고, 각각의 맞춤 진단 및 조언을 제공하며, 취약 부문 출제경향 및 학습 대책과 등급별 학습 방법 및 필독 도서와 강좌/교재 추천등을 한다. 이는 각 부문의 분석과정에서 생성되는 결과들을 리포트로서 생성하게 되며, 표/테이블, 그래프 진단 멘트등으로 클리닉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 자료 DB와, 진단 및 조언 DB 및 회원 DB와 문제은행 DB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각 분석 결과에 따라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Select vulnerable sanctions and behavior areas, sanctions / behavior cross sections, and item types analyzed in the vulnerable sector analysis process to present selected vulnerable sectors, provide customized diagnosis and advice for each of the vulnerable sector questions, and learn countermeasures. Students will learn how to learn by grade, and recommend reading books and courses / textbooks. It generates the results generated in the analysis process of each sector as a report, and provides clinic information with tables / tables, graph diagnostics, etc., and includes learning materials DB, diagnosis and advice DB, member DB, and question bank DB. Using the information, the repor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each analysis result.

상기 클리닉 리포트는 온라인 제공과 함께 인쇄하여 오프라인 제공도 겸하도록 한다.The clinic report may be printed together with an online offer to serve as an offline offer.

클리닉 리포트에서 오답 노트를 제공하여 자가 진단 및 자가 학습을 위하여 점검하고 학습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오답 노트는, 시험에서 가장 많이 틀린 문항에 대한 정답률과 가장 많은 학생들이 선택한 오답지 반응률을 제시하고, 해당 문제와 유사문제등을 함께 제공하여 오답 클리닉정보로서 활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 결과에 의해 취약 제재부문등에 대해서 유사문제와 문제해설 및 학습 자료, 심화학습 및 보충 자료등을 함께 제공하여 오답노트로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The Clinic Report provides incorrect answer notes to check and learn for self-diagnosis and self-learning. The incorrect answer note present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the most incorrect questions on the test and the percentage of incorrect answers chosen by the most students. Provides problems and similar problems together to use as incorrect answer clin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provide similar problems, problem descriptions, learning materials, deep learning and supplementary materials, etc., for vulnerable sanctions, etc., so that they can be managed and used as incorrect notes.

본 발명은 학습자들이 온/오프라인상에서 시험을 보고 그 시험 결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자동으로 종합분석과 취약부문 분석 및 영역별 교차분석등을 하여 한 눈에 자신의 성적과 동점자들과의 비교등을 할 수 있고, 이전 시험결과와 비교하여 성적 추이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rners look at the test on / offline and analyze the test result,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e weak area analysis, and the cross-sectional analysis by area can be performed to compare their scores and tie scores at a glance. And, compared with previous test results, it is effective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trend.

그리고, 각 분석결과에 따른 진단 및 조언과 아울러 학습 자료와 학습 방법등에 대해서도 자동으로 클리닉 리포트가 생성되어 제공되므로 학습 계획과 학습 방법등을 도움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clinic report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provided for learning materials and learning methods as well as diagnosis and advice according to each analysis result, learning plans and learning methods can be helped.

또한 본 발명은 언어영역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제재별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세부적으로 소분류하여 각각 코드화하고, 그 코드화된 속성정보를 활용하여 문항별 분석과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취약제재등에 대한 진단 및 조언등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클리닉 리포트를 자동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ystematically classifies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by san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language area and classifies them in detail by subdividing them. It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generating diagnosis and advice on vulnerable sanctions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clinic reports.

Claims (6)

인터넷을 활용하는 학습 평가 방법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learning evaluation method system utilizing the Internet, 학습자들을 개인 및 그룹으로 회원가입하여 관리하고 시험문제 출제와 학습자의 답안 입력 및 분석결과에 따른 클리닉 리포트등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 서버와;A web service server that manages learners by registering members and groups and provides clinic reports according to test questions, learners' answers, and analysis results; 시험문제와 각 문항별로 평가영역을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분류영역별로 세분화된 소분류를 하고, 문제유형을 분류하여 해당 문항의 속성정보로서 코드화시켜 문제해설 및 유사문제와 난이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도록 저장관리하는 문제은행 DB와;The test area is divided into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for each test question and subdivision into subdivisions for each classification area, and the problem types are classified and coded a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item to solve problem descriptions, similar problems, and difficulty. Question bank DB to store and manage to include; 각 문항별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영역별, 강약부문, 문제유형별등에 대해서 각각의 진단 및 조언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상기 분석결과에 의해 문항속성정보들을 이용해 검색하고 조합하여 자동생성할수 있도록 관리하는 진단 및 조언 DB와;By storing each diagnosis and advice information about each area, strength and weakness, problem type, etc. according to each item and analysis result in advance as a database, it manages to search and combine item property information by using the analysis result and automatically generate them. Diagnostic and advice DB; 각 문항별, 분류된 영역별, 학습자들의 학년별등등에 대해서 학습자료와 추천도서 및 강의/강좌, 해설정보등을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하여 분석결과에 의해 자동으로 학습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학습 자료 DB와;Learning to manage learning materials, recommendation books, lectures / lectures, and solution settings for each item, classified area, and grades of learners as a database to automatically provide learning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ata DB; 상기 웹서비스 서버를 통해 시험문제출제를 하고, 회원들의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하여 종합 성적 분석과, 내용영역/행동영역등의 영역별 분석, 영역별 교차분석, 각 분석결과에 따른 취약부문분석등을 하는 분석 시스템과;Test questions are submitted through the web service server, and the members' answers are graded and graded, and comprehensive grade analysis, area analysis of content area / behavior area, cross analysis by area, and analysis of vulnerable areas according to each analysis result, etc. An analysis system for performing; 상기 분석 시스템에서 각 분석결과에 의해 진단 및 조언DB로부터 각각의 분석 결과와 종합 분석에 대한 진단 및 조언과, 학습 자료 DB로부터 학습자료정보를 자동 추출하여 상기 각 분석 결과별로 표/테이블, 그래프 진단 및 조언 멘트 및 추천 자료등등을 개별 맞춤 리포트로서 생성하여 상기 웹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클리닉 정보 생성수단을 포함하되,Diagnosis and advice for each analysis result and comprehensive analysis from the diagnosis and advice DB, and learning data information from the learning data DB ar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each analysis result in the analysis system to diagnose tables / tables and graphs for each analysis result. And clinic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dvice and recommendation materials, etc. as individual customized reports and providing them through the web service server. 상기 분석 시스템은,The analysis system, 해당 학습자 또는 그룹의 평가분석정보와 시험 조건에 의거하여 시험문제를 상기 문제은행 DB(320)로부터 추출하여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시험문제출제부(220)와;A test question making unit 220 for extracting a test question from the question bank DB 320 based on the evaluation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test condition of the learner or the group to produce a test question; 학습자들의 시험에 대한 답안을 입력받아 상기 문제은행 DB(320)의 정/오답에 의거하여 채점하고, 득점에 대한 종합 성적, 각 문항별로 미리 분류해둔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 득점과 배점등에 대해 각각 강약점을 분석하는 평가영역별 분석과, 이전성적들과의 비교에 의한 성적누적분석과, 이에따른 진단 및 조언등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종합 분석부(230)와;The student receives the answers to the test and scores the scores based on the correct / incorrect answers of the question bank DB (320). A comprehensive analysis unit 23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an analysis for each evaluation area for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a grade accumulation analysis based on comparison with previous grades, and a diagnosis and advice accordingly; 상기 종합 분석부(230)에서 채점된 각 문항별 학습자의 정오답과, 전체응시자의 정답율과, 각 문항의 답지별 반응율등과 해당문항의 평가영역별 분류정보를 제공하여 자가진단 학습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결과파일 분석부(240)와;The self-study learning plan can be established by providing the learner's noon answer for each question scored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unit 230,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total test takers, the response rate for each question answer,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valuation area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A result file analyzer 240 for providing information so as to provide information; 상기 결과파일 분석 내용에 의거하여 각 문항별로 분류된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에 대한 평가영역별 및 서로 교차되는 영역을 비교분석하여 학습자의 득점 및 비율과내점수와 소정범위의 상위득점자 점수 및 동점자의 평균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강약 부문을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취약 부문분석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sult file, the content area classified for each item and the area for evaluation and the areas that intersect each other are compared and analyzed.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eak sector analysis unit 250 to provide the average and the learner's strength and weaknes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은행 DB(320)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uestion bank DB (320) 각 문항들은 문항별로 그 속성값을 부여하여 미리 분류하여 분석을 위한 속성값들을 코드값으로 저장하되, 진단 및 조언 DB와, 학습 자료 DB와 연계하여 해당 속성코드에 의해 진단 및 조언과 학습자료를 자동 추출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Each item is assigned a property value for each item and classified in advance to store the property values for analysis as a code value.In addition, the diagnosis, advice and learning data can be analyzed by the property code in connection with the diagnosis and advice DB and the learning material DB. Manages automatic extraction, 문항별 속성값들은, 학년, 학기, 난이도, 출제년도, 객관식/주관식, 수능형/내신형, 문항별 정/오답, 배점, 문제유형, 문항 해설등등의 정보를 속성값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Property values for each item are classified and managed by information such as grade, semester, difficulty, year of entry, multiple choice / suffix, SAT / internal type, correct / incorrect answer for each item, scoring, problem type, item commentary, etc. 언어영역에서 평가 영역을 내용의 분야를 구분하기 위한 내용영역과 해당 문제의 논리적 추이를 구분하기 위한 행동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세분화된 분류를 하며, In the language area, the evaluation area is divided into the content area for classifying the field of content and the action area for classifying the logical trend of the problem. 각 문항별 문제유형은, 내용확인, 내용유추..등등으로 수백가지로 분류하여 문항에서 묻고자하는 것이 어떤 유형인지를 구분하며,Each question type is classified into hundreds of items such as content identification, content inference, etc. to distinguish what type of question you want to ask in the question. 각 문항별로 유사, 심화, 보충 문항에 대한 매칭정보를, 다른 문항들과의 연관 관계를 속성값으로 비교하여 영역별 및 문제유형별로 코드값의 비교에 의해 자 동으로 생성하여 문항별로 저장관리하고,Matching information about similar, deepening, and supplementary items for each item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comparing the code relationship for each area and problem type by comparing the relations with other items as attribute values, and storing and managing each item. , 난이도는 초기에 예측 난이도를 문항 분류시에 입력하여 저장하고, 해당 문항의 출제에 따른 응답자 반응 및 응답자 정답률등에 의해 응시자 전체수준등과 비교하여 자동으로 난이도를 조정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시스템.The difficulty level is inputted and stored at the time of predicting difficulty at the time of item classification,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responses and th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s. Clinic Service System.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In the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method using the Internet, 시험 문항별로 분류하여 각 속성 코드값을 미리 저장하여둔 임의의 시험에 대한 학습자의 답안을 입력받아 채점을 하는 채점과정(S10)과;A scoring process (S10) of classifying test questions and receiving a student's answer for an arbitrary test in which each attribute code value is stored in advance; 상기 채점 결과에 의거하여 득점한 점수에 대한 종합성적과, 해당 시험문제의 각 문항별로 미리 분류해둔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 득점과 배점등에 대해 각각 강약점을 분석하는 평가영역별 분석과, 이전성적들과의 비교에 의한 성적누적분석과, 이에따른 진단 및 조언등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종합 분석과정(S20)과;Comprehensive scores on scores scored based on the scoring results, and analysis of evaluation areas by analy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cores and points by content area and behavior area that are pre-categorized by each item of the corresponding test questions, and transfer scores.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S20)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a cumulative analysis, and the diagnosis and advic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with the field; 상기 종합 분석과정(S20)에서 각 문항별 학습자의 정오답과, 전체응시자의 정답율과, 각 문항의 답지별 반응율등과 해당문항의 평가영역별 분류정보를 제공하여 자가진단 학습계획을 세울수 있도록 하는 결과파일 분석과정(S30)과;In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S20), the learner's noon answer for each question, the correct answer rate for all the test takers, the response rate for each question and the like,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valuation area of the corresponding question are provided so that a self-diagnostic learning plan can be made. A result file analysis process (S30); 상기 결과파일 분석 내용에 의거하여 평가영역별로 학습자의 득점 및 비율과내점수와 소정범위의 상위득점자 점수 및 동점자의 평균등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강약 부문을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취약 부문분석과정(S40)과;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 file, the weak section analysis process (S40) that provides the learner's score and ratio, the internal score, the predetermined score of the top scorer score,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tied scores to check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learner (S40). and; 상기 결과파일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분류된 내용영역과 행동영역에 대해 서로 교차되는 영역을 비교분석하여 제공하는 영역별 교차분석과정(S50)과;A cross analysis process (S50) for each area, which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f areas intersect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ontent area and the action area classified for each item by using the result file analysis information; 상기 각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정보들을 표와 그래프 형식으로 각각 제공하고, 상기 문항별 속성정보와 연관하여 각 진단 및 조언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는 진단 및 조언 DB로부터 상기 각 분석결과마다 자동으로 진단 및 조언을 결과를 추출하고, 학습자료 DB에서 상기 분석 결과에 따른 취약부문에 대한 학습 자료를 자동 추출하여 상기 결과분석 정보와 함께 클리닉 리포트를 생성하여 학습자 및 학습그룹별로 제공하는 클리닉 리포트 제공과정(S70)을 포함하되,The information analyzed in each analysis process is provided in the form of tables and graphs respectively, and the diagnosis and advice is automatically diagnosed and advised for each analysis result from a diagnosis and advice DB that manages each diagnosis and advice in a database in association with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item. Clinic report providing process of extracting the results, and automatically extracts the learning data for the vulnerable area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learning data DB to generate a clinic report with the result analysis information and provide them by learners and learning groups (S70). Including, 상기 종합 분석 과정(S20)은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ss (S20) 회원별 답안 데이터를 정오답 DB에 의거하여 채점을 하는 채점 단계(S21)와,Scoring step (S21) for scoring the member-specific answer data based on the noon answer DB, 채점 결과에 대해 득점과 배점 및 표준점수에 대한 득점 및 배점과 백분위 및 등급을 평가하여 종합 성적표로서 제공하는 종합 성적표 생성단계(S22)와,Comprehensive score report generation step (S22) for evaluating the scoring and scoring and percentiles and percentiles and grades for scoring and scoring and standard scores for the scoring results and providing them as a comprehensive score report (S22), 평가영역중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로 분석하여 각 영역별로 문항수와 맞은 개수 배점 득점 득점율 응시자 평균(득점/득점률), 상위 4%의 득점을 분석하는 내용영역별 강약점 분석단계(S23) 및 행동영역별 강약점 분석단계(S24)와,Number of points that fit the number of questions in each area by analyzing content area and behavior area among evaluation areas Score point Score point Average (score / scoring rate), the strength and weakness analysis step (S23) by content area analyzing the score of the top 4% Strength and weakness analysis step by area (S24), 전월 성적과의 비교를 하여 이전 시험들의 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에 대해 회차별로 득점된 점수와 전체 회차중 최고/최저 점수등을 비교표로서 생성하고, 횟수별 성적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서 표시하며, 전월에 나와 같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이번 시험에서 받은 점수의 평균과, 이번 시험의 응시자 평균을 표와 그래프로서 표시하여 성적 변화와 다른 응시자와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전월 성적과의 비교단계(S25)와,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month's scores, scores for each raw scores, standard scores, percentiles, and grades of previous tests and the highest / lowest scores among all the sessions are generated as a comparison table. The comparison between last month's grades, which provides students with the same grades as the previous month, shows the average of the scores given in this exam and the average of the candidates in this test in tables and graphs to compare their grades with other test takers (S25 )Wow, 전월에 배해 성적의 상승/하향을 비교한 결과에 대해 평가하고, 전월에 같은 점수를 받은 학생과 비교했을때의 표준점수의 상승/하향을 평가하고, 위 두가지 결과에 대해 진단 및 조언을 생성하며, 학습 방법에 대한 조언을 생성하는 진단 및 조언 생성단계(S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Evaluate the results of the previous month's rise / down, compare the student's score with the same score last month, evaluate the rise / down of the standard score, and generate diagnosis and advice on the above two results. Learning assessment clinic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diagnosis and advice generating advice on the learning method (S2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항별 속성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문제은행 DB에서 해당 학습자의 시험 조건과 이전시험들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시험문제를 자동생성하여 맞춤형 시험문제로서 시험출제를 하는 시험 출제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평가 클리닉 서비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question bank DB that classifies and stores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each item is used to automatically generate a test question by using information about test conditions and previous tests of the learner and to make a test as a personalized test question. Learning evaluation clinic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exam questions process. 삭제delete
KR1020040056451A 2004-07-20 2004-07-20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KR100625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451A KR100625120B1 (en) 2004-07-20 2004-07-20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451A KR100625120B1 (en) 2004-07-20 2004-07-20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608A KR20060007608A (en) 2006-01-26
KR100625120B1 true KR100625120B1 (en) 2006-09-20

Family

ID=3711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451A KR100625120B1 (en) 2004-07-20 2004-07-20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1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96B1 (en) * 2009-04-17 2011-07-19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Online / Offline Linked Learning System and Method
KR102619297B1 (en) * 2022-10-14 2023-12-29 스톰스터디 주식회사 System, method and program to manage lear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406B1 (en) * 2006-05-30 2008-03-26 이신애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KR101028511B1 (en) * 2008-02-14 2011-04-1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acticing iptv education broadcasting service
KR100978091B1 (en) * 2010-01-07 2010-08-25 주식회사 유비온 Management system for online test assessment and method thereof
KR101023540B1 (en) * 2010-06-21 2011-03-21 (주)오투라인 Method for evaluating the analysis of test result using variable metadata
US20120244510A1 (en) * 2011-03-22 2012-09-27 Watkins Jr Robert Todd Normalization and Cumulative Analysis of Cognitive Educational Outcome Elements and Related Interactive Report Summaries
KR101275146B1 (en) * 2012-06-18 2013-06-17 주식회사 탑스에듀 Method of marking a test and generating a correction composition for appraising a declarative sentence
KR101454971B1 (en) * 2012-12-04 2014-10-27 이해덕 On 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333129B1 (en) * 2013-03-08 2013-1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assessing improvement of basic skills in education
KR101493490B1 (en) * 2014-05-08 2015-02-24 학교법인 한양학원 Method for setting examination sheets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WO2016186230A1 (en) * 2015-05-21 2016-11-24 안명훈 Individually-tailored smart education method for self-evolutionary learning
KR20180066705A (en) * 2016-12-09 2018-06-19 김채연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ulnerability of learner
KR102179957B1 (en) * 2017-02-24 2020-11-17 비트루브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he learning status of learner and selecting corresponding supplementary problem
KR101923564B1 (en) 2017-03-13 2019-02-22 비트루브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learning
KR101895959B1 (en) * 2017-05-19 2018-09-06 (주)뤼이드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interpreting analysis results of machine learning framework
KR102123120B1 (en) * 2018-02-09 2020-06-15 비트루브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learning by displaying customized attribute information with learning problems
KR102206599B1 (en) * 2018-12-12 2021-01-22 스톰스터디 주식회사 A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personalied education curriculum for each student's learning ability
KR102197752B1 (en) * 2019-12-20 2021-01-04 주식회사 아이스크림에듀 personalized automatic questionnaires learning method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 and system
KR102173567B1 (en) * 2020-03-09 2020-11-03 주식회사 엠제이에듀 Learning management system
KR102636703B1 (en) * 2021-11-09 2024-02-14 (주)엠디에스인텔리전스 Rating prediction service server that predicts a rating rating for an exam based on a sample question associated with the tes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4241835A (en) * 2021-11-17 2022-03-25 北京执象科技发展有限公司 Student spoken language quality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KR102607425B1 (en) * 2022-01-19 2023-11-2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questions determin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14A (en) * 2000-05-06 2000-08-05 최정이 Online studying method and system over internet
KR20010035285A (en) * 2001-02-01 2001-05-07 김만석 Study consultant methode with correlation of problem-solving statement in cyber stud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914A (en) * 2000-05-06 2000-08-05 최정이 Online studying method and system over internet
KR20010035285A (en) * 2001-02-01 2001-05-07 김만석 Study consultant methode with correlation of problem-solving statement in cyber study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49914
102001003528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96B1 (en) * 2009-04-17 2011-07-19 주식회사 창의와 탐구 Online / Offline Linked Learning System and Method
KR102619297B1 (en) * 2022-10-14 2023-12-29 스톰스터디 주식회사 System, method and program to manage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608A (en)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120B1 (en)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Schmidt et al. Development of the TIMSS context questionnaires
Khan et al. Scientific reasoning competencies: A cas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otgieter et al. Inaccuracy of self-evaluation as additional variable for prediction of students at risk of failing first-year chemistry
Boone et al. Utilizing multifaceted Rasch measurement through FACETS to evaluate science education data sets composed of judges, respondents, and rating scale items: An exemplar utilizing the elementary science teaching analysis matrix instrument
Cumming et al. Enhancing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Putting psychometrics to work
Smith et al. Chapter 12 A validity study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Frith et al. The national benchmark quantitative literacy test for applicants to south african higher education
McLarty et al. Assessing Employability Skills: The Work KeysTM System
Özdemir Modeling of the factors affecting science achievement of eighth grade Turkish students based on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 (TIMSS-R) data
Dogutas Teacher Candidates' Perceptions of Standards in an Educ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in Turkey.
Curtis et al. The authentic performance based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Atondo et al. Continuous Assessment as a Predictor of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at the Junior Secondary School Level in Makurdi Local Government Area of Benue State, Nigeria
Custer et al. Using authentic assessment in vocational education
Green et al. Introductory statistics: Preparing in-service middle-level mathematics teachers for classroom research
Veronica Santelices et al. Aligning teacher assessments and teacher learning through a teacher learning progression
Brown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lectronic Portfolios for Advanced Degree Programs in Technology and School Media.
Murukutla The Effects of Background, Classroom Assessment Competence, Self-efficacy, and Self-perceived Assessment Skills on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of Teachers in India
Sullano et al. Development and acceptability of standardized e-tool for the department of education’s core values: Maka-diyos, Makakalikasan, Maka-tao at Makabansa
KR20220138167A (en) Learning Assessment Service Methods and Systems that Improve Problems with Learning Assessment Methods
Tsang Student motivation on a diagnostic and tracking English language test in Hong Kong
Ashcraft Integrated Concept Mapping as a Method for Democratically Evaluating a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the Area of Classroom Assessment Proficiency
Dianti Kartika ANALYSIS OF ENGLISH FORMATIVE ASSESSMENT FOR 11TH-GRADE STUDENTS OF SMA N 1 BOBOTSARI BASED ON THE COGNITIVE DIMENSION OF REVISED BLOOM'S TAXONOMY
Kon-Angna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inclusion of deaf students in regular Basic School
Suryanto et al.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Washback Effect of the English Progress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