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406B1 -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 Google Patents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406B1
KR100816406B1 KR1020060048438A KR20060048438A KR100816406B1 KR 100816406 B1 KR100816406 B1 KR 100816406B1 KR 1020060048438 A KR1020060048438 A KR 1020060048438A KR 20060048438 A KR20060048438 A KR 20060048438A KR 100816406 B1 KR100816406 B1 KR 10081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vel
progress
learn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4869A (en
Inventor
이신애
Original Assignee
이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애 filed Critical 이신애
Priority to KR102006004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406B1/en
Publication of KR2007011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8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4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등록 과정; 학습 관리자(부모)의 응답을 입력받는 설문조사과정; 상기 설문 조사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초기레벨 테스트를 하는 과정과; 초기 레벨이 설정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학습레벨의 학습 과제정보와, 학습자의 학습 성향 분석 및 학습 진행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자동 추출하여 코칭 페이퍼로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을 수행하고, 학습 진행 과정에서는, 학습 진행 정보를 입력받아 이력으로 관리하는 학습진도 확인 과정과; 학습 이력에 의해 나의 학습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학습 진행 상황 표시과정과; 학습 진도에 따라 레벨 승급테스트를 하여 승급 결정을 하는 승급 결정과정과; 승급 및 학습 진행 정보에 의해 코칭 페이퍼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학습자 특성에 따른 최적의 학습 가이드 정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the web, the member registration process of registering as a member; A survey process for receiving a response from the learning manager (parent); Performing an initial level tes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urvey; When the initial level is set, the process of providing a coaching paper that automatically extracts the learning task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level, the learning propensity analysis of the learner, and information on how to proceed with the learning is provided as a coaching paper. A learning progress checking process of receiving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managing the history; A learning progress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my learning progress by the learning history; An upgrade decision process of performing a level upgrade test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learning to determine an upgrade; By including a coaching paper providing proces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coaching paper by promotion and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learner's learning efficiency through the optimal learn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맞춤 학습 관리, 코칭 페이퍼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Coaching Paper

Description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using web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2 is a flow chart showing a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레벨 관리모듈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진행 관리모듈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칭 페이퍼 제공모듈의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of 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학습자 단말기 20 : 학습 진단 전문가 단말기10: learner terminal 20: learning diagnostic expert terminal

100 :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 110 : 웹사이트 제어모듈100: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110: website control module

120 : 회원 관리모듈 130 : 학습 레벨 관리 모듈120: member management module 130: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131 : 설문 조사부 132 : 초기 레벨 설정부131: survey unit 132: initial level setting unit

133 : 레벨 승급 제어부 134 : 레벨 관리부133: level promotion control unit 134: level management unit

140 : 테스크 문제 출제 모듈 150 : 학습 진행 관리 모듈140: task questions question module 150: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151 : 학습 이력 관리부 152 : 학습 진행 테스트 제어부151: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52: learning progress test control unit

153 : 학습 상황 표시부 154 : 비교 표시부153: learning situation display unit 154: comparison display unit

160 : 코칭페이퍼 제공모듈 161 : 학습자 정보 분석부160: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161: learner information analysis unit

162 : 코칭 페이퍼 생성부 162 : 코칭 페이퍼 뷰어부162: coaching paper generation unit 162: coaching paper viewer

170 : 데이터 베이스 170: database

본 발명은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학습자의 학년, 학습 능력 및 학습 레벨을 파악한 후 이를 종합하여 학습에 관한 최적의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므로써 개인별 맞춤 서비스 형태로 학습을 관리할 수 있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web,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anage learning in the form of personalized service by providing the optimal guide information on learning by grasping the learner's grade,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lev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the web.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학습 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 분야는 여러 형태의 강좌에서부터 학습지 및 각종 학습 관련 정보 제공과 관련 지도 등과 같이 다양하다. Recently, various information provision and learning management services using the Internet have been made. Specifically, the field of learning management services using the Internet is varied from various types of lectures to providing study papers and various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nd related maps.

그런데, 대부분의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관리 서비스는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능력이나 학습 레벨(학습 정도) 등과 같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학습자의 학년, 과목, 또는 몇몇 정해진 유형에 따른 문제들만을 획일적으로 제공하거나, 그에 따른 학습 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로서,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아서 학습자의 학습 능력이나 학습 레벨에 따른 최적의 학습 관리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써 학습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 제점이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Internet-bas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s uniformly solve problems according to the learner's grade, subject, or some predetermined type without considering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individual learner's learning ability or level of learning. Provide or perform learning management accordingly.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of lowering learning efficiency by no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er accurately and failing to achieve optimal learning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ability or learning level.

한편 상기와 같은 획일적인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난이도 레벨을 갖는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고, 그 테스트 결과에 의해서 학습 난이도 레벨을 결정하고, 그 난이도 레벨에 맞는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method of providing a test problem having a difficulty level in view of the above problem of providing uniform learning information, determining a learning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 test result, and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level. .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고 그 시험 결과에 따라 학습 난이도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은, 첫째 학습자의 레벨을 판정하기 위한 시험 문제가 획일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즉, 통상의 레벨 테스트용 시험은, 학년별 난이도 레벨로 문제를 준비하여 학습자의 학년에 따라 시험을 보게 하는 방법으로 이는 학년별로 획일적일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providing the above test problem and determining the learning difficulty level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test problem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first learner is uniform. In other words, the normal level test for the test, preparing the problem at the level of difficulty level for each learner to take the test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learner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only be uniform by grade.

둘째, 단순히 시험 결과에 의해서만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레벨에서도 학습자를 위해 제공되는 학습정보도 획일적으로 제공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학습자가 해당되는 학년의 레벨 시험을 보고 그 결과만으로 학습 레벨을 판정하는 것은 너무 단편적인 테스트이기 때문에 해당 레벨의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학습할 때에 학습 능률이 적절치 않은 경우가 발생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is determined only by the test result, and the learning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learner is uniformly provided even at the determined level. That is, since it is too fragmentary for a learner to determine the level of learn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level test of the corresponding gra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is not appropriate when learning using the level of learning information. .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좀더 정확히 측정하여 효율적은 학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tailor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web to more efficiently measure the learner's learning level to provide efficient learn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학습관리자(부모)의 설문과 학습자의 레벨 테스트에 대해서 전문가의 학습 방법 진단결과를 코칭 페이퍼로 제공하고, 학습 진행 가이드를 함으로서 스스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fessional learning method diagnostic result for the questionnaire of the learning manager (parent) and the learner's level test, and to proceed with learning by providing a learning progress guide.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각 레벨별로 복수의 단계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레벨마다 전문가에 의해 추천되는 학습 정보를 제시하여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bdivide the learner's learning level into a plurality of levels for each level, and to present the learning information recommended by the expert for each of the subdivided levels to enable efficient learning.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의 학습 진행 정도를 웹을 통해 스스로 체크하고, 학습 진행에 대한 정보를 웹에서 관리하여 다음 학습 레벨로의 승급 테스트를 제공하여 자율적인 공부를 관리해주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progress of the learners themselves through the web, and to manage the information on the learning progress on the web to provide a promotion test to the next learning level to manage autonomous study.

또한, 학습자의 학습 성취의욕을 북돋우고 경쟁심을 유발 할 수 있도록 동일 학년의 다른 회원들의 학습레벨과, 동일 레벨의 학습자들에 대한 학습 성취정도 등을 표시하여 학습자의 경쟁 유발과 아울러 학습 성취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encourage learners 'motivation to achieve learning and induce competition, the level of learning of other members of the same grade and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for learners of the same level are displayed to induce learners' competition and to increase learning motivation. It is to make it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원으로 가입한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레벨을 파악한 후 학습자의 학년, 학습 능력, 학습 레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학습자 특성에 따른 최적의 학습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므로써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스스로 학습진행에 대해 체크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 자율적인 학습을 유도하며, 다른 경쟁자와의 학습 진행 정도의 비교에 의해 경쟁심을 유발하여 학습 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learner's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level as a member, and then provides the optimal learn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learner's grade,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level. It maximizes efficiency, manages to check and diagnose the progress of learning by itself, induces autonomous learning, and induces a sense of competition by comparing the progress of learning with other competitors to increase learning motivation.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은,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the we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설문조사를 위한 설문, 학습자의 학습 레벨별 학습 진행을 위한 추천 학습정보와, 학습 레벨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문제를 저장하여두고, 아울러 학습자의 기초자료 정보 및 학습 레벨과 테스트 결과에 의거하여 자동 추출 가능한 코칭 페이퍼 자료를 저장하여 두고,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웹사이트를 통해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In the database of the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the recommended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learning progress by the learner's learning level, and the test problem for the learning level test are stored, and the learner's basic data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level are sto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and the test results, the automatic extractable coaching paper material is stored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provides a learning management service through the website.

학습자와 학습 관리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등록 과정;A member registration process of receiving member information of a learner and a learning manager and registering as a member;

상기 학습자의 학습관련 기초자료조사와 기 학습 내용에 대한 설문을 제공하여 학습 관리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설문조사과정;A questionnaire process of receiving a response of a learning manager by providing a questionnaire about the learner's learning related basic data and pre-learning contents;

상기 설문 조사과정에서 학습관리자가 응답한 학습자의 기 학습 정도에 의거하여 해당되는 테스트 레벨의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고, 학습자의 응답을 입력받아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설정하는 초기레벨 테스트 과정과;An initial level test process of constructing a test problem of a test level corresponding to a test level of a learner answered by a learning manager in the survey process, and setting a learner's learning level by receiving a learner's response;

상기 설문조사 결과와 상기 초기 레벨 테스트의 분석 및 상기 설정된 학습 레벨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학습레벨의 학습 과제정보와, 학습자의 학습 성향 분석 및 학습 진행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자동 추출하여 코칭 페이퍼로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and the initial level test and the set learning level, a study paper automatically extracts the learning task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level, the learning propensity analysis method of the learner, and the teaching method.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coaching paper providing process provided b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원이 로그인 하였을 때, 학습 레벨이 설정된 기존 회원인 경우, 해당 회원의 학습 진행 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현재 학습 진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 진도 체크와 더블어 학습 이력으로 관리하는 학습진도 확인 과정과;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mber is logged in, when the learning level is an existing member is set, provides a screen for inputting the learning progress state of the member, and receives the progress information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progress of learning and A process of confirming the progress of learning as a double language learning history;

상기 학습 진도 확인 과정에서 저장되는 학습 이력 정보의 주기성 및 각 입력시마다의 학습 진행 진도의 분량에 대해서 미리 정해둔 기준에 따라 자동 분석하여 나의 학습 진행 상황으로서 그래프나 표를 이용해서 제공함과 아울러 그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학습 진행에 대한 진단 의견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자동 추출하여 제공하는 학습 진행상황 표시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riodicity of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progress checking process and the amount of the learning progress progress for each input are auto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provided using a graph or a table as my learning progress and the analysis thereof. Based on the results, the diagnostic progress on the learning progres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cess of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ess provided by automatically extracting from the databa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학습 진도 확인 과정에서 취득된 학습 진행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레벨의 학습 진도가 완료되면, 다음 레벨 승급을 위한 레벨 테스트 시험 문제를 출제하고, 그 시험 결과와 상기 학습 진행 정보에 의거하여 다음 레벨의 승급 또는 유급을 결정하는 레벨 승급 결정과정과;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vel is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obtained in the learning progress confirmation process, the level test test questions for upgrading to the next level is raised, the test result and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 level upgrade determin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a promotion or remuneration of the next level based on the level upgrade;

상기 레벨 유급인 경우, 이전 학습의 반복 또는 동일 레벨의 유사 학습 진도를 선택하고, 레벨 승급인 경우 승급 레벨을 결정하여 학습 레벨의 학습 과제와, 학습 진행 방법 및 진단 의견을 코칭 페이퍼로서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을 더 포함하여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level retirement, repetition of previous learning or similar learning progress of the same level is selected, and in the case of level promotion, the promotion level is determined and coaching is provided as a coaching paper for learning tasks, learning progress methods, and diagnostic opinions of the learning leve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per providing process.

상기 학습 진도 상황 표시과정은,The learning progress situation display process,

나의 학습 진도 상황과, 동일 레벨 또는 동일 학년의 다른 회원들의 학습 진 도 상황을 대비하여 비교확인 할 수 있도록 비교 그래프와 표를 함께 제공하는 학습 진도 비교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includes a learning progress comparison process that provides a comparison graph and a table so as to check the comparison between my learning progress and the learning progress of other members of the same level or the same grade.

또한, 상기 학습 진도 상황 표시과정에서 제공되는 학습 진행 자료와 전문가의 학습 진단 의견을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 관리자(부모)에게 이메일로 제공하는 이메일 서비스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e-mail service process of periodically providing learning progress materials and expert learning diagnosis opinions provided in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process to the learning manager (parents) by e-mail.

여기서, 상기 학습자의 학년은 학년에 따라 초1(초등1~2학년), 초2(초등2~4학년), 초3(초등5~6학년), 중(중등1~3학년)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학습자의 학습 능력은 설문 결과에 따라 뛰어남, 보통, 부족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학습 레벨은 테스트에 따른 채점 점수에 따라 적응1, 적응2, 발전1, 발전2, 심화1, 심화2, 심화3, 고수1, 고수2, 고수3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분류하되, 상기 코칭 페이퍼는 학습자의 테스트 시기에 따른 학습 레벨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진행 과정 그래프, 분류된 학습자의 학년, 학습 능력 및 학습 레벨에 따라 학습자의 현재까지의 학습에 대한 진단 및 학습자의 앞으로의 학습에 대한 진행 포인트, 학습자를 위한 추천 교재 리스트 및 추천 교재를 이용한 학습 진행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earner's grade is any one of elementary school 1 (grades 1 and 2), elementary school 2 (grades 2 and 4), elementary school 3 (grades 5 and 6), and middle (grades 1 and 3) depending on the grade Classified as one, the learner's learning ability is classified as one of excellent, normal, or lac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learning level is adapted 1, adaptation 2, development 1, development 2, deepening 1 according to the scoring score according to the test , Deepening 2, deepening 3, coriander 1, coriander 2, coriander 3, but the coaching paper is a progress graph that can determine the learning level changes according to the learner's test time, the graded learner's grade, learning ability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information on the diagnosis of the learner's current learning and the progress point for the learner's future learning, the list of recommended textbooks for the learner and the learning progress method using the recommend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또한, 상기 학습자의 학습 능력은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 이해력, 및 설정 과목 공부 능력을 묻는 설문항을 통해 각각의 설문항마다 뛰어남, 보통, 부족에 따라 설정된 점수를 부여하되, 학습 관리자의 설문항별 선택에 따른 점수를 합산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기준에 따라 뛰어남, 보통, 부족 중에서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earner's learning ability is given a score set according to the excellent, normal, or lacking in each ques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questions asking time, comprehension, and set subject study ability to concentrate o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of the learning manager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the learner's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criteria by classifying the scores according to the item selection.

또한, 상기 테스트 레벨의 문제 양식은 1 레벨에서 9 레벨까지의 9 종류를 구비하고, 상기 테스트 레벨을 설문하는 양식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특정 레벨을 선택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가이드 정보는 각각의 레벨별로 해당 레벨 수준의 참고 도서 목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oblem form of the test level is provided with 9 types from 1 level to 9 levels, and providing the guide information for selecting a specific level in the step of providing a form for questioning the test level, the guide information is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list of reference books at that level level for each level.

또한, 상기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은 학습 회원 등록 후 일정 기간 경과 후에 해당 회원(학습자)에게 테스트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고, 테스트를 받은 후 일정 기간 경과 후에 해당 회원(학습자)에게 재 테스트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entitles the member (learner) to receive a tes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registering the learning member, and retests the member (learne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receiving the test. It is desirable to qualify.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On the other hand, the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we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인터넷을 통해 맞춤 학습 관리 웹 서비스를 하는 웹사이트와;A website that provides a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web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학습 관리자(부모) 및 학습자(학생)의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등록 처리를 함과 아울러 로그인 인증제어를 하는 회원관리모듈과;A member management module which receives information of a learning manager (parent) and a learner (student) through the website and performs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and login authentication control;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회원 가입시 상기 학습 관리자가 응답하는 온라인 설문을 제공하고, 상기 설문 응답에 의거하여 레벨 테스트를 제어하여 초기 학습 레벨을 설정하고, 학습자의 학습 진도에 따른 레벨 테스트 제어 및 그 관리를 하는 학습레벨 관리모듈과;Provides an online questionnaire that the learning manager responds to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hrough the website, sets an initial learning level by controlling the level test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 and controls and manages the level test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A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상기 학습 레벨 관리모듈의 제어에 의해 각 레벨에서의 난이도에 맞게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여 응답 된 답안을 채점하는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과;A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that scores the answer that is answered by creating a test problem according to a difficulty level at each level by the control of 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학습자가 로그인 하면, 자신의 학습 진행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는 나의 학습 진행 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된 학습자의 학습 진행정보를 학습 이력 정보로 저장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학습자와 같은 레벨 및 같은 학년의 다른 학습자(이하; "비교 대상자"라함)의 학습 이력과 비교하여 볼 수 있도록 학습 이력 비교 화면을 제공하는 학습 진행 관리모듈과;When the learner logs in, it provides my learning progress screen for inputting and confirming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of the learner, and stores and manages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of the entered learner as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and at the same level as the learner and other students of the same grade. A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for providing a learning history comparison screen for comparison with a learning history of learn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arison subjects");

상기 학습자의 설문조사 정보 및 학습 레벨과, 상기 학습 이력정보, 각 테스트 결과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맞는 학습 과제 정보를 제공하되, 각 정보에 의해 전문가가 분석한 전문가 의견을 입력받아 상기 학습 과제 정보와 함께 코칭 페이퍼로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모듈과;The learner's survey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level, and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each test result information automatically provides learning task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y receiving the expert opinion analyzed by each information input A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 coaching paper together with the learning task information;

상기 각 모듈의 동작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회원정보, 각종 레벨별 테스트 문제정보, 레벨별 학습 과제정보, 학습 레벨, 진도, 진행 성향 등의 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이 가능한 학습 코칭 및 진행 안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관리하고, 학습 진행정보와 학습 이력 정보 등을 저장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Learning coaching and progress guide information that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by a combination of a control program for operation of each module, membership information, test problem information for each level, learning task information for each level, learning level, progress, and propensity to progress. Setting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and the lik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학습 레벨 관리 모듈은,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회원 가입시 학습 관리자가 응답하는 온라인 설문을 제공하고, 그 응답을 입력받아 학습자의 기초 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설문 조사부와;A survey unit which provides an online questionnaire responded by the learning manager upon registration, and receives and stores the response as basic data of the learner;

상기 설문 조사부의 설문 응답에 따라 학습자의 기 학습 정도에 맞는 테스트 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을 통해 초기 레벨 테스트를 수행하는 초기 레벨 설정부와;An initial level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test level corresponding to a learner's previous learning degree according to a questionnaire response of the survey unit, and perform an initial level test through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상기 학습자의 학습 진도가 레벨 승급 진도에 해당되면,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모듈을 통해 레벨 승급 테스트를 수행하는 승급 레벨 제어부와;An upgrade level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a level upgrade test through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when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corresponds to a level upgrade progress;

학습 레벨을 적응과정, 발전과정, 심화과정, 고수 과정으로 분류하고, 적응 2단계, 발전 2단계, 심화 및 고수 각각 3단계로 분류하여 상기 각 테스트 제어부의 테스트 결과와 함께 학습 진행 정보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레벨을 설정 관리하는 레벨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rning level is classified into the adaptation process, the development process, the deepening process, and the adherence process, and is classified into the adaptation stage 2, the development stage 2, the deepening stage, and the adherence stage, respe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long with the test result of each test controller. And a level manager configured to set and manage the learner's level.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은,The test question questions module,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학습 레벨 별 문제를 문제은행으로 구축하여 두고, 초기 레벨 테스트, 학습 진도별 테스트, 레벨 승급 테스트의 문제를 난이도에 맞게 자동 추출하여 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building a problem for each level of learning in the database as a question bank, and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questions of the initial level test, the test of learning progress, and the level promotion test according to the difficulty.

상기 학습 진행 관리 모듈은, 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회원 개인별 학습 진행 테이블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학습 진행에 대한 입력을 받아 학습 이력을 관리하는 학습 이력 관리부와;A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which provides a learning progress table for each member and manages a learning history by receiving an input of a learner's learning progress;

상기 학습자의 학습 진행 테이블에 의거하여 학습 진도를 체크하고,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을 통해서 학습 진도 테스트를 수행하여 그 결과정보를 이력으로 저장관리하는 학습 진행 테스트 제어부와;A learning progress test controller configured to check a learning progress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table, perform a learning progress test through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and store and manage the result information as a history;

상기 학습 이력과, 레벨 변화 및 학습 진행 상황과 남은 진도 등을 그래프를 이용해 표시하는 학습 상황 표시부와;A learning situ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earning history, the level change,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remaining progress using a graph;

학습자 본인과 비교 대상자의 학습 진행 속도와 현재 학습 진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는 비교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arison display unit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arner himself and the subject of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in a graph.

상기 코칭 페이퍼 제공 모듈은, 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상기 각 모듈로부터 학습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자를 기초자료와, 학습 이력, 각 테스트 결과들 및 학습 진행을 각각 포인트로 가점하여 분석하는 학습자 정보 분석부와;A learner information analysis unit which receives learner's information from each module and analyzes the learner by adding points of the basic data, the learning history, the test results, and the learning progress into points;

학습자의 테스트 시기에 따른 학습 레벨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진행 과정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와;A graph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rogress graph for checking a learning level change according to a learner's test time;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따른 추천 교재목록 및 추천 교재를 이용한 학습 진행 방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추천 교재/진행 정보 생성부와;A recommendation textbook / progr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searching the database and generating information on a recommendation textbook list according to a learner's learning level and a learning progress method using the recommendation textbook;

상기 각각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학습자의 진행 과정 그래프, 진단/진행 포인트 및 추천 교재 리스트/진행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coaching paper viewer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rogress graph of the learner, the diagnosis / progress point and the list of recommended teaching materials / progress method generated by each generati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념도로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학습자 단말기(10)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에 연결되고, 학습 진단 전문가 단말기(20)가 상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 네트웍으로 상기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에 연결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network of a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learner terminal 10 having an internet connection is connected to a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a learning diagnosis expert terminal 20 is provided. Is connected via the Internet or to the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via an internal network as shown in the figure.

상기 학습자 단말기(10)는 유선 혹은 무선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PC, 핸드폰, PDA, 인터넷 TV 등과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한다. The learner terminal 10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n internet network us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includes all terminal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Internet, such as a PC, a mobile phone, a PDA, and an Internet TV.

이러한 학습자 단말기(10)는 하드웨어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인 웹브라우저를 탑재하고 있다. The learner terminal 1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memory, and input / output devices in hardware, and includes a web browser which is a client application that enables the software to view all information on the World Wide Web. have.

인터넷망은 학습자 단말기(10)가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과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IP)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전용선망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internet network may use an internet communication protocol (IP) that allows the learner terminal 10 to communicate with the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n intranet, an extranet, and a private network. Concept.

상기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웹사이트 제어모듈(110)과, 회원관리모듈(120)과, 학습 레벨 관리모듈(130)과, 테스트 문제 출제모듈(140)과, 학습 진행 관리모듈(150)과, 코칭 페이퍼 제공 모듈(160)과, 데이터 베이스(1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하나의 서비스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데이터 베이스만 별도의 서버로 분리 구성하고, 나머지는 하나의 서버에서 운영하게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웹사이트 서버, 데이터 베이스 서버, 학습 관리 서버로 다양하게 분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includes a website control module 110, a member management module 120, a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130, a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140, and a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150, a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160, and a database 170.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service system, the database is separated into a separate server, and the rest may be operated in one server, website server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database server and learning management server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상기 웹사이트 제어모듈(110)은, 인터넷망과의 통신관리와 웹사이트를 제공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회원들의 로그임 및 각종 학습 정보의 입력과 안내문 화면 출력등의 통상의 웹사이트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ebsite control module 110 provides communication management with the Internet network and provides a website to perform normal website control functions such as log-in of members, input of various learning information, and output of a guide screen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s done.

상기 회원관리모듈(120)은,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학습 관리자(부모) 및 학습자(학생)의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등록 처리를 함과 아울러 로그인 인증제어를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웹사이트에서 회원관리모듈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member management module 12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learning manager (parent) and the learner (student) through the website, performs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and performs login authentication control.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module.

상기 학습 레벨 관리모듈(130)은,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회원 가입시 상기 학습 관리자가 응답하는 온라인 설문을 제공하고, 상기 설문 응답에 의거하여 레벨 테스트를 제어하여 초기 학습 레벨을 설정하고, 학습자의 학습 진도에 따른 레벨 테스트 제어 및 그 관리를 한다.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130 provides an online questionnaire to which the learning manager responds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hrough the website, sets an initial learning level by controlling a level test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 and learns the learner. Level test control an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ogress.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모듈(140)은, 상기 학습 레벨 관리모듈(130)의 제어에 의해 각 레벨에서의 난이도에 맞게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여 응답 된 답안을 채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st question question module 140 performs a function of scoring a test answer by answering a test question according to a difficulty level at each level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130.

상기 학습 진행 관리 모듈(150)은, 학습자가 로그인 하면, 자신의 학습 진행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는 나의 학습 진행 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된 학습자의 학습 진행정보를 학습 이력 정보로 저장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학습자와 같은 레벨 및 같은 학년의 다른 학습자(이하; "비교 대상자"라함)의 학습 이력과 비교하여 볼 수 있도록 학습 이력 비교 화면을 제공한다.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150, when a learner logs in, provides a learning progress screen for inputting and checking his / her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stores and manages the input learner's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s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A learning history comparison screen is provided so that the learning history can be compared with the learning history of other learn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arison subjects") of the same level and the same grader.

상기 코칭 페이퍼 제공모듈(160)은, 상기 학습자의 설문조사 정보 및 학습 레벨과, 상기 학습 이력정보, 각 테스트 결과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맞는 학습 과제 정보를 제공하되, 각 정보에 의해 전문가가 분석한 전문가 의견을 입력받아 상기 학습 과제 정보와 함께 코칭 페이퍼로 제공한다.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160 automatically provides learning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learner's survey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level,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and the test result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expert opinion analyzed by the expert is provided to the coaching paper with the learning task information.

상기 데이터 베이스(170)는, 상기 각 모듈의 동작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회원정보, 각종 레벨별 테스트 문제정보, 레벨별 학습 과제정보, 학습 레벨, 진도, 진행 성향 등의 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이 가능한 학습 코칭 및 진행 안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관리하고, 학습 진행정보와 학습 이력 정보 등을 저장관리한다.The database 170 is automatically extracted by a combination of a control program for operating each module, membership information, test problem information for each level, learning task information for each level, learning level, progress, progression propensity, and the like. The learning coaching and progress guide information can be set and stored in advance, and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are stored and managed.

상기 학습 레벨 관리 모듈(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130, as shown in Figure 2,

회원 가입시 학습 관리자가 응답하는 온라인 설문을 제공하고, 그 응답을 입력받아 학습자의 기초 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설문 조사부(131)와;A survey unit 131 which provides an online questionnaire responded to by the learning manager upon registration and receives and stores the response as basic data of the learner;

상기 설문 조사부(131)의 설문 응답에 따라 학습자의 기 학습 정도에 맞는 테스트 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을 통해 초기 레벨 테스트를 수행하는 초기 레벨 설정부(132)와;An initial level setting unit 132 configured to set a test level suitable for a learner's previous learning degree according to a questionnaire response of the questionnaire survey unit 131 and perform an initial level test through the test question question module;

상기 학습자의 학습 진도가 레벨 승급 진도에 해당되면,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모듈을 통해 레벨 승급 테스트를 수행하는 승급 레벨 제어부(133)와;An upgrade level control unit 133 for performing a level upgrade test through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when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corresponds to a level upgrade progress level;

학습 레벨을 적응과정, 발전과정, 심화과정, 고수 과정으로 분류하고, 적응 2단계, 발전 2단계, 심화 및 고수 각각 3단계로 분류하여 상기 각 테스트 제어부의 테스트 결과와 함께 학습 진행 정보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레벨을 설정 관리하는 레벨 관리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rning level is classified into the adaptation process, the development process, the deepening process, and the adherence process, and is classified into the adaptation stage 2, the development stage 2, the deepening stage, and the adherence stage, respe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long with the test result of each test controller. And a level manager 134 for setting and managing the learner's level.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140)은,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140,

상기 데이터 베이스(170)에 학습 레벨 별 문제를 문제은행으로 구축하여 두고, 초기 레벨 테스트, 학습 진도별 테스트, 레벨 승급 테스트의 문제를 난이도에 맞게 자동 추출하여 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building a problem for each level of learning in the database 170 as a problem bank, and automatically extracts questions of the initial level test, the test for learning progress, and the level promotion test according to the difficulty.

상기 학습 진행 관리 모듈(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150, as shown in Figure 3,

회원 개인별 학습 진행 테이블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학습 진행에 대한 입력을 받아 학습 이력을 관리하는 학습 이력 관리부(151)와;A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51 which provides a learning progress table for each member and manages a learning history by receiving an input of a learner's learning progress;

상기 학습자의 학습 진행 테이블에 의거하여 학습 진도를 체크하고,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을 통해서 학습 진도 테스트를 수행하여 그 결과정보를 이력으로 저장관리하는 학습 진행 테스트 제어부(152)와;A learning progress test control unit 152 for checking the progress of learning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table, performing a progress test through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and storing the result information as a history;

상기 학습 이력과, 레벨 변화 및 학습 진행 상황과 남은 진도 등을 그래프를 이용해 표시하는 학습 상황 표시부(153)와;A learning situation display unit 153 for displaying the learning history, the level change, the learning progress status, and the remaining progress using a graph;

학습자 본인과 비교 대상자의 학습 진행 속도와 현재 학습 진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는 비교 표시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arison display unit 154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er himself and the comparison target to display a graph.

상기 코칭 페이퍼 제공 모듈(16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160, as shown in Figure 4,

상기 각 모듈로부터 학습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자를 기초자료와, 학습 이력, 각 테스트 결과들 및 학습 진행정보를 분석하여 각각 데이터베이스에서 코칭 페이퍼 정보 검색을 위한 인덱스를 부여하는 학습자 정보 분석부(151)와;The learner information analyzer 151 receives the learner's information from each module and analyzes the learner's basic data, the study history, the test results, and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assigns an index for searching coaching pap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Wow;

상기 학습자 정보 분석부(151)에서 분석된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따른 추천 교재목록 및 추천 교재를 이용한 학습 진행 방법에 관한 정보와, 진단 의견을 하나의 코칭 페이퍼로서 생성하는 코칭 페이퍼 생성부(152)와;Using the index analyzed by the learner information analysis unit 151,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ation textbook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level and the learning progress method using the recommendation textbook and the diagnosis opinion as one coaching paper from the database. A coaching paper generator 152;

상기 학습 진행 관리모듈로부터 학습자의 학습 진행 상황 표시 정보와, 진단/진행 포인트 및 추천 교재 리스트 및 학습 진행 방법에 관한 정보와 학습 진단 전문가의 진단 의견을 수신받아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뷰어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aching paper viewer unit for receiving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indication information, the diagnosis / progress point and the list of recommended textbooks, information on the learning progress method, and the diagnostic opinion of the learning diagnosis expert from 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to provide to the learner ( 153) is preferably included.

상기 코칭 페이퍼 제공모듈(160)은, 학습자의 화면으로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관리자(부모)의 이메일로 코칭페이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고, 코칭 페이퍼는 초기 가입시, 각 학습 레벨 승급시,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학습 진단 전문가의 학습 상황 진단에 따라 코칭페이퍼를 생성하여 제공한다.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16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not only provid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learner's screen but also providing coaching paper information by an e-mail of the learning manager (parent). Upon enrollment, coaching papers are genera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situation diagnosis of a learning diagnosis expert on a regular or irregular basis at each learning level promotion.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학습자와 학습 관리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등록 과정(S10)과; A member registration process of receiving member information of the learner and the learning manager and registering as a member (S10);

상기 학습자의 학습관련 기초자료조사와 기 학습 내용에 대한 설문을 제공하 여 학습 관리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설문조사과정(S20)과;A questionnaire process (S20) for receiving a learner's response by providing a questionnaire for the learner's learning related basic data and pre-learning contents;

상기 설문 조사과정에서 학습관리자가 응답한 학습자의 기 학습 정도에 의거하여 해당되는 테스트 레벨의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고, 학습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레벨 테스트 과정(S30)과; A level test process (S30) of answering a test problem of a corresponding test level based on a previous learning degree of a learner answered by the learning manager in the survey process, and receiving a learner's response;

상기 레벨 테스트 과정(S30)의 응답에 의한 채점 결과와, 상기 학습 관리자가 응답한 설문조사의 학습 관련 기초자료에 의거하여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설문조사 결과와 상기 초기 레벨 테스트의 분석 및 상기 설정된 학습 레벨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학습레벨의 학습 과제정보와, 학습자의 학습 성향 분석 및 학습 진행 방법 등의 정보를 자동 추출하여 코칭 페이퍼로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S50)으로 이루어진다. Set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ased on the grading result by the response of the level test process (S30) and the learning-related basic data of the questionnaire answered by the learning manager, and analyze the survey result and the initial level test And a coaching paper providing process (S50) that automatically extracts learning task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level and information such as learner's learning propensity analysis and learning progress method from the database based on the set learning level and provides them as coaching paper. Is done.

먼저, 상기 회원등록 과정(S10)은, 학습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웹사이트 제어모듈(110)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한다. 회원 등록시 학습자(학생)와 학습 관리자(부모)가 모두 입력해야 하는 정보를 요구하여 학부모도 함께 초기 설문 조사에 응하도록 한다. 회원관리모듈(120)은 입력된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웹사이트 로그인을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First, in the member registration process (S10), the learner accesses the website provided by the website control module 110 using the learner terminal 10 to register a member. When enrolling members, both learners (students) and learning administrators (parents) require the information to be entered so parents can complete the initial survey. The member management module 120 stores and manages input member information and manages website login information.

상기 설문 조사과정(S20)은,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설정하고 학습 진행 코칭 페이퍼를 제공하기 위한 설문조사로서, 학습 레벨 관리 모듈(130)의 설문 조사부(131)가 데이터 베이스(170)에 저장된 설문 조사 문항을 불러와서 학습 관리자(부모)에게 묻는 설문을 화면으로 제시한다. 이에 따라 학습 관리자(학부모)가 해당 설문에 응답하면 설문조사부(131)는 설문 조사 결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 이스에 학습자의 기초자료로서 저장하게 된다.The survey process (S20) is a survey for setting a learner's learning level and providing a learning progress coaching paper, wherein the questionnaire 131 of 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130 is stored in the database 170. Bring up a survey question and present a questionnaire to the learning manager on the screen. Accordingly, when the learning manager (parent) responds to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unit 131 receives the survey result information and stores it as the basic data of the learner in the database.

이때 설문조사 내용은 통상의 학습자에 대한 이전 학습 정도나, 학부모가 파악하는 학습 능력, 학습 성향 등등 학습 안내에 필요한 기초 자료들을 조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특히나 학습 정도의 파악을 위하여 읽기 진단을 하게 되는데, 읽기 진단을 위해서 미리 레벨을 분류하여 설정해둔 책 목록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읽은 책이 있는 단계를 선택하게 한다. 즉, 각 수준에 맞게 책들을 분류하여두고 책 목록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내용을 이해하며 읽고 있는 책이 있는 단계를 선택하게 한다. 이는 학습 관리자가 설문에 응답하게 한다.At this time, the survey content is to examine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the guidance of learning such as the degree of previous learning for the learner, the learning ability that the parents grasp, the learning disposi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ing diagnosis is performed in order to grasp the degree of learning, and for the reading diagnosis, a list of books set by classifying the level is set in advance so that the learner selects a step in which the book is read. In other words, the book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each level and the list of books is presented so that the learner understands the contents and selects the stage where the book is read. This allows the learning manager to answer the questionnaire.

이후, 초기 레벨 테스트 과정(S30)을 수행한다. 초기 레벨 설정부(132)는, 상기 읽고 있는 책의 선택단계에 의거하여 해당되는 레벨의 테스트를 한다. 초기 레벨 테스트는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모듈(140)에서 상기 초기레벨 설정부(132)로부터 테스트 단계 즉, 테스트 수준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170)에서 해당 수준의 초기 레벨 테스트 문제를 추출하여 문제를 출제한다. 저학년의 영어인 경우, 문제출제 형식은 그림을 제시하고 그림의 단어를 알고 있는지와 읽기가 가능한지를 테스트한다.Thereafter, an initial level test process (S30) is performed. The initial level setting unit 132 tests the corresponding level based on the selection step of the book being read. When the initial level test receives the test step, that is, test level information from the initial level setting unit 132 in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140, the initial level test problem of the corresponding level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170. Ask a question. In the lower grades of English, the questionnaire form presents a picture and tests whether the words in the picture are known and can be read.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모듈(140)에서 출제한 레벨 테스트 문제의 정답율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기본 수준 이하(예; 50%미만)인 경우, 현재 단계의 테스트 문제보다 한 단계 난이도 수준을 낮추어서 다시 테스트하게 하고, 마찬가지로 테스트 결과의 정답율이 일정 수준 이상(예; 만점)인 경우에는 난이도 수준을 한단계 높여서 재테스트를 하게 하고, 일정한 범위의 정답률인 경우 해당 레벨을 학습자의 학습 레벨로 설정한다.Check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vel test problem, the test question on the test module 140, if less than the preset default level (e.g. less than 50%), lower the level of difficulty one step than the test problem of the current step to test again Similarly, if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test result is a certain level or more (for example, a perfect score), the difficulty level is increased by one level to retest, and if the correct answer rate is within a certain range, the corresponding level is set as the learner's learning level.

상기 초기 학습 레벨이 설정되면,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S50)을 수행한다. 코칭 페이퍼 제공모듈(160)은, 상기 학습 레벨 관리 모듈(130)이 초기 레벨 테스트에 의거하여 레벨을 설정하고 그 레벨정보를 코칭 페이퍼 제공모듈(160)로 전달하게 되면, 코칭페이퍼(160)가 해당 학습자의 정보에 의거하여 코칭 페이퍼를 생성하여 제공한다.When the initial learning level is set, the coaching paper providing process (S50) is performed. 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160 sets a level based on an initial level test and transfers the level information to 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160. Generate and provide coaching papers based on the learner's information.

코칭 페이퍼 제공모듈(160)의 학습자 정보 분석부(161)는, 상기 회원 가입시 입력한 학습자의 기본정보(에; 나이, 학년 등)와 상기 설문조사과정에서 얻어진 학습자의 학습 성향 및 기 학습 정도, 상기 학습 레벨 관리모듈(130)에서 설정한 초기 학습 레벨 및 이때의 테스트 결과 등등을 각각의 분류에 맞게 인덱스한다. 코칭페이퍼 생성모듈(152)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170)로부터 자동으로 코칭 페이퍼를 생성한다. 즉, 학습 레벨에 맞게 학습 추천 교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인덱스를 이용하여 추출된 각 항목에 의거하여 학습 진행방법 및 진단 의견 등을 하나의 코칭 페이퍼로서 생성한다.The learner information analysis unit 161 of 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160 includes the learner's basic information (eg, age, grade, etc.) and learner's learning propensity and degree of learning obtained during the survey process. The initial learning level set in 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130 and the test result at this time are indexed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The coaching paper generation module 152 automatically generates coaching papers from the database 170. That is, the learning recommendation textbook information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level, and the learning progress method and the diagnosis opinion are generated as one coaching paper based on each item extracted using the index.

이어서 코칭 페이퍼 뷰어부(153)는, 상기 코칭 페이퍼 생성부(152)에서 생성된 코칭 페이퍼 정보를 그래프와 표 및 기타 흐름도 등등의 방식으로 화면에 제공하여 학습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다운로드 및 인쇄모드도 함께 제공한다.The coaching paper viewer 153 then provides the coaching paper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aching paper generator 152 on the screen in a graph, table, and other flowchart form, so that the learner can check it. Provide together.

이와 같이 학습자가 초기에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하면, 학습관리자가 응답하는 설문조사를 하고, 설문조사에 의거하여 테스트 단계가 선택되면, 초기 레벨 설정 테스트를 한다. 초기 레벨 테스트에 의해 레벨이 결정되면, 해당 레벨을 설정하고, 학습 추천 교재정보와 학습 진행방법 안내 및 학습자의 정보분석에 따른 코칭페이퍼를 제공한다.In this way, when the learner initially accesses the website and registers, the learning manager responds to the survey. When the test step is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the initial level setting test is performed. When the level is determined by the initial level test, the corresponding level is set, and the coaching paper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recommendation textbook information, the learning progress guide, and the learner's information analysis.

상기 코칭페이퍼에서 제공되는 학습 추천 교재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중에 학습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학습 진도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During the learning process using the learning recommendation textbook provided by the coaching paper, the learner accesses a website and manages the input and the progress of learning.

상기 회원이 학습 레벨이 설정된 경우, 해당 회원의 학습 진행 체크를 위한 화면 정보를 제공하고, 이전 완료된 학습 진도에 의거하여 현재 학습에 대한 간략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여 현재 학습 진도를 완료한 것으로 설정하고, 현재 학습 진도 테스트를 저장 관리하는 학습진도 확인 과정(S50)과, 상기 학습 진도 확인 과정에서 관리되는 간략 테스트 결과 정보와 그 테스트 실행 일자등의 정보에 의해 학습 성향과 학습 진도를 파악하여 이를 일정한 주기로 나의 학습 진행 상황으로서 그래프나 표등을 이용해서 제공함과 아울러 전문가의 학습 진행에 대한 진단 의견을 제공하는 학습 진행상황 표시과정(S60)을 수행한다.When the learning level is set by the member, the screen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member is provided, and based on the previously completed learning progress, a brief test question regarding the current learning is provided to set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as completed, A learning progress check process (S50) for storing and managing a current learning progress test, and the learning tendency and learning progress are determined by information such as the information of a brief test result managed in the learning progress checking process and the test execution date, and the information is periodically checked. The progress of the learning process (S60) is provided by using a graph or a table as my learning progress and provides a diagnostic opinion on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expert.

학습 진행 관리모듈(150)의 학습 이력 관리부(151)는, 학습자가 학습 레벨이 설정된 후, 로그인 하게 되면, 학습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학습 진행 상황 표시부(153)은, 학습자의 학습 진행 상태 즉, 진도를 체크 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함과 아울러 현재의 레벨에서 남은 진도까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그래프들을 이용해 표시한다.The learning history manager 151 of 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150 provides a screen for managing the learning history when the learner logs in after the learning level is set.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153 provides a screen for checking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that is, the progress, and displays the graphs so that the progress can be seen at a glance at the current level.

그리고 학습 진행 테스트 제어부(152)는, 학습 이력 관리부(151)에서 관리되는 학습 진도에 의거하여 일정한 진도가 되었을 때 해당 진도에 맞는 간략 테스트 를 제어하거나, 또는 학습자가 학습 진행 진도를 입력하면 해당 진도에 대한 테스트를 하여 학습 진행의 상황을 파악하도록 테스트를 제어한다.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140)에 의해 진도별 테스트 문제가 출제되고, 그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 이력 정보로서 관리하게 된다. 또한 학습 관리 방법에 따라 진도 테스트 결과 일정한 정답율 미만인 경우 해당 진도를 다시 공부하게 코멘트를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progress test control unit 152 controls a simple test for the corresponding progress when the predetermined progress is made based on the learning progress managed by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51, or if the learner inputs the learning progress, the corresponding progress. Test to control the test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the learning process. A test question for each progress is questioned by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140, and the result is received and managed as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learning management method, if the progress test result is less than a certai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you may comment to study the progress again.

한편, 상기 학습 진도 상황 표시과정(S50)은, 나의 학습 진도 상황과, 동일 레벨 또는 동일 학년의 다른 회원들의 학습 진도 상황을 대비하여 비교확인 할 수 있도록 비교 그래프와 표등을 함께 제공하는 학습 진도 비교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progress situation display process (S50), my learning progress comparison, learning progress comparison that provides a comparison graph and table, etc. so that the comparison can be compared against the learning progress situation of other members of the same level or the same grade The process may further include.

이는, 학습 진행 관리 모듈(150)에서 비교 대상자와의 학습 진도나 학습 이력을 비교할 수 있게 한다. 비교 표시부(154)는, 동일 학년의 학습자 정보와, 동일 레벨의 학습자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는 동일 학년의 학습자가 현재 분포되어 있는 학습레벨, 동일한 학습 레벨의 학습자들의 학습 진도를 비교하여 볼 수 있는 정보를 화면에 그래프와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제시하고, 학습자 본인의 학습 성향과 타인의 학습 성향 등을 비교할 수 있도록 간략 정보로서 제공한다.This allows 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150 to compare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learning history with the comparison target. The comparison display unit 154 displays the information analyzed by using the learner information of the same grade and the learner information of the same level. This shows that learners of the same grade can compare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ers who are currently distributed and learners of the same learning level by using graphs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learner's own learning disposition and learning of others. It is provided as a brief information to compare the propensit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학습 진도 확인 과정에서 취득된 학습 진행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레벨의 학습 진도가 완료되면, 다음 레벨 승급을 위한 레벨 테스트 시험 문제를 출제하고, 그 시험 결과와 상기 학습 진행 정보에 의거하여 다음 레벨의 승급 또는 유급을 결정하는 레벨 승급 결정과정(S70)과; 상기 레벨 유급인 경우, 이전 학습의 반복 또는 동일 레벨의 유사 학습 진도를 선택하고, 레벨 승급인 경우 승급 레벨을 결정하여 학습 레벨의 학습 과제와, 전문가의 진단 의견을 함께 제공하는 레벨승급 및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S80)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vel is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obtained in the learning progress confirmation process, the level test test questions for upgrading to the next level is raised, the test result and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 level upgrade determination process (S70) for determining a promotion or remuneration of the next level based on; In the case of the level remuneration, repetition of previous learning or similar learning progress of the same level is selected, and in the case of level promotion, the level of promotion and coaching paper that provides the learning level of the learning level and the expert's diagnostic opinion by determining the level of promotion. Perform the provision process (S80).

상기 학습 레벨 관리모듈(130)의 승급 레벨 제어부(133)는 상기 학습 이력 관리부(151)에서 해당 레벨의 학습 진도가 완료되면, 승급 레벨 테스트를 제어한다. 이는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140)의 제어에 의해서 해당 레벨의 전반적인 테스트를 실시하고, 일정 점수 미만이면 유급을, 일정 점수 이상이면 승급을 결정하고, 레벨 관리부(134)에서 승급레벨을 관리한다.The promotion level control unit 133 of 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130 controls the promotion level test when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corresponding level is completed in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51. This is to perform the overall test of the corresponding level under the control of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140, determine the paid level if less than a certain score, determine the upgrade if more than a predetermined score, and manages the upgrade level in the level manager 134.

만약, 유급 결정인 경우, 이는 학습 이력관리부(151)에 의해 학습 진행 과정을 입력한 날짜와, 각 간략테스트 등등을 감안하고, 승급 레벨 테스트 결과에 의해 결정하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1개월 간 학습하는 진도인 경우 기간을 채우지 않고 학습 진도 완료를 입력하거나, 정해진 횟수 이상 학습 이력 입력이 분배되어 진도 체크가 되지 않고 한꺼번에 정해진 진도 이상의 학습 진행으로 입력한 경우등등의 불성실한 학습 성향을 보이는 경우를 벌점 포인트를 부여한다. 벌점 포인트가 있을때 승급 레벨 테스트에서 벌점 포인트에서의 승급 기준 미만의 점수를 받으면 유급 결정을 한다. 벌점 포인트가 있는 경우라도 벌점 포인트에서의 승급 기준 이상인 경우에는 승급하게 한다. 벌점 포인트가 있는 경우의 승급 기준 점수는 벌점 포인트가 없는 경우의 승급 기준점수보다 높게 설정하여 좀더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 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paid decision, this is determined by the promotion level test result in consideration of the date of input of the learning progress process by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51, each brief test, and the like, for example, for one month. In the case of progress of learning, when the progress of learning is entered without filling the period, or the learning history input is distribu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progress is not checked, and the progress of learning is shown in the case of unsatisfactory learning tendency such as entering into the progress of learning more than the predetermined progress at once. Give penalty points. When there are penalties, if you receive a score below the upgrade threshold at the penalty point in the upgrade level test, you will be paid. Even if there is a penalty point, if it is higher than the upgrade standard at the penalty point, the upgrade is made. If there is a penalty point, the upgrade baseline score is set higher than the upgrade baseline score without the penalty point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상기와 같이 승급 테스트 결과에 의해 승급 또는 유급이 결정되면, 현재까지의 학습 이력을 분석한 분석정보, 예를들어, 날짜별 학습 진도 분량, 입력 날짜의 분배성에 따른 성실도, 테스트 결과에 의한 점수, 테스트 문제의 분류에 따른 분류된 성적의 분석 등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학습 진행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포인트 및 인덱스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170)로부터 자동으로 학습 진단 의견을 추출하고, 이를 해당 진도의 학습 추천 교재 정보와 학습 진행 방법 정보등과 함께 제공한다.When the upgrade or the salary is determined based on the upgrade test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analysis information analyzing the learning history to date, for example, the progress of learning by date, the faithfulnes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input date, the score by the test result Analyze the learning progres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nalysis of classified grad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est questions, and automatically extract learning opinions from the database 170 by assigning points and indexes to the test progresses, and applying the corresponding progress. It is provided with learning recommendation teaching materials information and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또한, 상기 학습 진도 진행 상황 표시과정에서 추출된 학습자의 학습 진행 정보와 학습 진도 자료와 전문가의 학습 진단 의견을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 관리자(부모)에게 이메일로 제공하는 이메일 서비스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e-mail service process of periodically providing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the learning progress material, and the expert's learning diagnosis opinions, which are extracted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progress of the learning process, by e-mail to the learning manager (parent).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맞춤 학습 관리 시스템(100)은 인터넷을 통해서 학습자 단말기(10)와 접속되고, 학습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하면 설문조사를 하고, 초기 레벨 읽기 테스트에 의해 초기 학습 레벨을 설정한다. 학습 레벨이 설정되면, 학습 추천 교재와 학습 진행방법등을 자동으로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후 로그인 하여 학습 진도를 입력하게 하고, 학습 진행상황을 그래프나 표등을 이용해 볼 수 있게 하며, 학습 진도 진행에 따라 진도테스트 승급 테스트를 하고, 학습 레벨을 결정하여 새로은 레벨의 학습 추천교재와 진행방법 및 현재까지의 학습 진행 상황과 학습 이력 및 테스트 결과등을 인덱스로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진단의견을 코칭페이퍼로서 제공한다. 이때 학습 진단 전문가에 의한 진단의견을 입력받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학습자와의 학습 상황을 비교할 수 있도록 비교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스스로 공부 하면서 학습 진도와 진행 과정에 대한 진단 의견을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100 is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10 through the Internet, and when the learner accesses the website and registers as a member, a survey is performed, and the initial learning level is determined by an initial level reading test. Set. When the learning level is set, the learning recommendation textbook and the learning progress method ar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provided. After that, you can log in to enter your progress, view your progress using graphs or tables, progress test progress tests according to your progress, determine your learning level, and recommend new levels of learning recommendations and progress. And as a coaching paper provides a diagnostic opinion extracted from the database with the learning progress, the learning history, and the test results so far as an index. At this time, it can be provided with a diagnostic opinion input by the learning diagnosis expert. It also provides comparison information to compare the learning situation with other learners. Therefore, the learner can receive a service for the diagnosis of the progress and progress while studying by themselves.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의 학년, 학습 능력, 및 학습 레벨을 파악한 후 이들의 조합에 의해 학습자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의 현재까지의 학습에 대한 진단 및 학습자의 앞으로의 학습에 대한 진행 포인트, 학습자를 위한 추천 교재 리스트, 추천 교재를 이용한 학습 진행 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에 관한 맞춤 형태의 코칭 페이퍼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특성에 따른 최적의 학습 가이드 정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grasping the learner's grade,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level, the learner's type is classified by the combination thereof, and the progress point for the learner's diagnosis to the present and the learner's future learning. To maximize the learner's learning efficiency through the optimal learning gu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by providing a personalized coaching paper tha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list of recommended textbooks for learners and how to proceed using the recommended textbooks. Can be.

Claims (10)

인터넷을 통해 웹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of providing a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web by building a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to enable a web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상기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이,The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학습자와 학습 관리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등록 과정과;A member registration process of receiving member information of a learner and a learning manager and registering as a member; 상기 학습자의 학습관련 기초자료조사와 기 학습 내용에 대한 설문을 제공하여 학습 관리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설문조사과정과;A questionnaire process for inputting a response of a learning manager by providing a questionnaire about the learner's learning related basic data and pre-learning contents; 상기 설문 조사과정에서 학습관리자가 응답한 학습자의 기 학습 정도에 의거하여 해당되는 테스트 레벨의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고, 학습자의 응답을 입력받아 학습자의 학습 레벨을 설정하는 초기레벨 테스트 과정과;An initial level test process of constructing a test problem of a test level corresponding to a test level of a learner answered by a learning manager in the survey process, and setting a learner's learning level by receiving a learner's response; 상기 설문조사 결과와 상기 초기 레벨 테스트의 분석 및 상기 설정된 학습 레벨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학습레벨의 학습 과제정보와, 학습자의 학습 성향 분석 및 학습 진행 방법에 대한 정보를 자동 추출하여 코칭 페이퍼로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and the initial level test and the set learning level, a study paper automatically extracts the learning task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level, the learning propensity analysis method of the learner, and the teaching method. Coaching paper providing process provided by;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the web includes: 상기 회원이 로그인 하였을 때, 학습 레벨이 설정된 기존 회원인 경우, 해당 회원의 학습 진행 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현재 학습 진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 진도 체크와 더불어 학습 이력으로 관리하는 학습진도 확인 과정과;When the member is logged in, in the case of an existing member whose learning level is set, a screen for inputting the learning progress status of the corresponding member is provid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is received and the learning progress is checked and the learning history is managed. Learning progress to make; 상기 학습 진도 확인 과정에서 저장되는 학습 이력 정보의 주기성 및 각 입력시마다의 학습 진행 진도의 분량에 대해서 미리 정해둔 기준에 따라 자동 분석하여 나의 학습 진행 상황으로서 그래프나 표를 이용해서 제공함과 아울러 그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학습 진행에 대한 진단 의견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자동 추출하여 제공하는 학습 진행상황 표시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The periodicity of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learning progress checking process and the amount of the learning progress progress for each input are auto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provided using a graph or a table as my learning progress and the analysis thereof. And a learning progress display process of automatically extracting and providing a diagnostic opinion on a learning progress from the database based on a resul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학습 진도 확인 과정에서 취득된 학습 진행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레벨의 학습 진도가 완료되면, 다음 레벨 승급을 위한 레벨 테스트 시험 문제를 출제하고, 그 시험 결과와 상기 학습 진행 정보에 의거하여 다음 레벨의 승급 또는 유급을 결정하는 레벨 승급 결정과정과;When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level is completed based on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cquired in the learning progress checking process, a level test test question for raising the next level is raised, and the next level is based on the test result and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 level upgrade decision process for determining an upgrade or salary; 상기 레벨 유급인 경우, 이전 학습의 반복 또는 동일 레벨의 유사 학습 진도를 선택하고, 레벨 승급인 경우 승급 레벨을 결정하여 학습 레벨의 학습 과제와, 학습 진행 방법 및 진단 의견을 코칭 페이퍼로서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과정을 더 포함하여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 리 서비스 방법.In the case of the level retirement, repetition of previous learning or similar learning progress of the same level is selected, and in the case of level promotion, the promotion level is determined and coaching is provided as a coaching paper for learning tasks, learning progress methods, and diagnostic opinions of the learning level.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using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paper providing proces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도 상황 표시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arning progress situation display process, 나의 학습 진도 상황과, 동일 레벨 또는 동일 학년의 다른 회원들의 학습 진도 상황을 대비하여 비교확인 할 수 있도록 비교 그래프와 표를 함께 제공하는 학습 진도 비교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Using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arning progress comparison process that provides a comparison graph and a table so that you can check the comparison of my learning progress and the progress of other members of the same level or the same grade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도 상황 표시과정에서 제공되는 학습 진행 자료와 전문가의 학습 진단 의견을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 관리자(부모)에게 이메일로 제공하는 이메일 서비스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e-mail service process of periodically providing e-mail to the learning manager (parent) of the learning progress data and the expert's learning diagnosis opinion provided in the learning progress status display process.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web. 인터넷을 통해 맞춤 학습 관리 웹 서비스를 하는 웹사이트와;A website that provides a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web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학습 관리자(부모) 및 학습자(학생)의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등록 처리를 함과 아울러 로그인 인증제어를 하는 회원관리모듈과;A member management module which receives information of a learning manager (parent) and a learner (student) through the website and performs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and login authentication control;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회원 가입시 상기 학습 관리자가 응답하는 온라인 설 문을 제공하고, 상기 설문 응답에 의거하여 레벨 테스트를 제어하여 초기 학습 레벨을 설정하고, 학습자의 학습 진도에 따른 레벨 테스트 제어 및 그 관리를 하는 학습레벨 관리모듈과;Provide the online question that the learning manager responds to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hrough the website, control the level test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ponse, set the initial learning level, control the level test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and manage it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for doing; 상기 학습 레벨 관리모듈의 제어에 의해 각 레벨에서의 난이도에 맞게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여 응답 된 답안을 채점하는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과;A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that scores the answer that is answered by creating a test problem according to a difficulty level at each level by the control of 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학습자가 로그인 하면, 자신의 학습 진행 정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는 나의 학습 진행 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된 학습자의 학습 진행정보를 학습 이력 정보로 저장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학습자와 같은 레벨 및 같은 학년의 다른 학습자(이하; "비교 대상자"라함)의 학습 이력과 비교하여 볼 수 있도록 학습 이력 비교 화면을 제공하는 학습 진행 관리모듈과;When the learner logs in, it provides my learning progress screen for inputting and confirming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of the learner, and stores and manages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of the entered learner as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and at the same level as the learner and other students of the same grade. A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for providing a learning history comparison screen for comparison with a learning history of learn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arison subjects"); 상기 학습자의 설문조사 정보 및 학습 레벨과, 상기 학습 이력정보, 각 테스트 결과정보에 의해 자동으로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맞는 학습 과제 정보를 제공하되, 각 정보에 의해 전문가가 분석한 전문가 의견을 입력받아 상기 학습 과제 정보와 함께 코칭 페이퍼로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제공모듈과;The learner's survey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level, and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each test result information automatically provides learning task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learner's learning level, by receiving the expert opinion analyzed by each information input A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 coaching paper together with the learning task information; 상기 각 모듈의 동작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회원정보, 각종 레벨별 테스트 문제정보, 레벨별 학습 과제정보, 학습 레벨, 진도, 진행 성향 등의 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이 가능한 학습 진단 의견 및 진행 안내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관리하고, 학습 진행정보와 학습 이력 정보 등을 저장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Learning diagnosis opinion and progress guide that can be automatically extracted by combination of control program for operation of each module, member information, test problem information for each level, learning task information for each level, learning level, progress, progression propensity, etc. A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in advance and store and manag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Custom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레벨 관리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earning level management module, 회원 가입시 학습 관리자가 응답하는 온라인 설문을 제공하고, 그 응답을 입력받아 학습자의 기초 자료로 저장관리하는 설문 조사부와;A survey unit which provides an online questionnaire responded by the learning manager upon registration, and receives and stores the response as basic data of the learner; 상기 설문 조사부의 설문 응답에 따라 학습자의 기 학습 정도에 맞는 테스트 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을 통해 초기 레벨 테스트를 수행하는 초기 레벨 설정부와;An initial level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test level corresponding to a learner's previous learning degree according to a questionnaire response of the survey unit, and perform an initial level test through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상기 학습자의 학습 진도가 레벨 승급 진도에 해당되면,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모듈을 통해 레벨 승급 테스트를 수행하는 승급 레벨 제어부와;An upgrade level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a level upgrade test through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when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corresponds to a level upgrade progress; 학습 레벨을 적응과정, 발전과정, 심화과정, 고수 과정으로 분류하고, 적응 2단계, 발전 2단계, 심화 및 고수 각각 3단계로 분류하여 상기 각 테스트 제어부의 테스트 결과와 함께 학습 진행 정보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레벨을 설정 관리하는 레벨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The learning level is classified into the adaptation process, the development process, the deepening process, and the adherence process, and is classified into the adaptation stage 2, the development stage 2, the deepening stage, and the adherence stage, respe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long with the test result of each test controller.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vel management unit for setting and managing the learner's lev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est question questions module,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학습 레벨 별 문제를 문제은행으로 구축하여 두고, 초기 레벨 테스트, 학습 진도별 테스트, 레벨 승급 테스트의 문제를 난이도에 맞게 자동 추출하여 출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Build a problem level for each learning level in the database as a problem bank, and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using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xtract the questions of the initial level test, learning progress test, level promotion test according to the difficulty level Service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행 관리 모듈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earning progress management module, 회원 개인별 학습 진행 테이블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학습 진행에 대한 입력을 받아 학습 이력을 관리하는 학습 이력 관리부와;A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which provides a learning progress table for each member and manages a learning history by receiving an input of a learner's learning progress; 상기 학습자의 학습 진행 테이블에 의거하여 학습 진도를 체크하고, 상기 테스트 문제 출제 모듈을 통해서 학습 진도 테스트를 수행하여 그 결과정보를 이력으로 저장관리하는 학습 진행 테스트 제어부와;A learning progress test controller configured to check a learning progress based on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table, perform a learning progress test through the test problem question module, and store and manage the result information as a history; 상기 학습 이력과, 레벨 변화 및 학습 진행 상황과 남은 진도 등을 그래프를 이용해 표시하는 학습 상황 표시부와;A learning situ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earning history, the level change,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remaining progress using a graph; 학습자 본인과 비교 대상자의 학습 진행 속도와 현재 학습 진도 등을 비교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는 비교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A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arison display unit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arner himself and the subject of the learning progress and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in a grap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칭 페이퍼 제공 모듈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aching paper providing module, 상기 각 모듈로부터 학습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자를 기초자료와, 학습 이력, 각 테스트 결과들 및 학습 진행을 각각 포인트로 가점하여 분석하는 학습자 정보 분석부와;A learner information analysis unit which receives learner's information from each module and analyzes the learner by adding points of the basic data, the learning history, the test results, and the learning progress into points; 학습자의 테스트 시기에 따른 학습 레벨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진행 과정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 생성부와;A graph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rogress graph for checking a learning level change according to a learner's test time;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학습자의 학습 레벨에 따른 추천 교재목록 및 추천 교재를 이용한 학습 진행 방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추천 교재/진행 정보 생성부와;A recommendation textbook / progress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searching the database and generating information on a recommendation textbook list according to a learner's learning level and a learning progress method using the recommendation textbook; 상기 각각의 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학습자의 진행 과정 그래프, 진단/진행 포인트 및 추천 교재 리스트/진행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코칭 페이퍼 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을 이용한 맞춤 학습 관리 서비스 시스템. Personalize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we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aching paper viewer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rogress graph, diagnosis / progress point and recommendation text list / progress method of the learner generated by each generation unit .
KR1020060048438A 2006-05-30 2006-05-30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KR100816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438A KR100816406B1 (en) 2006-05-30 2006-05-30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438A KR100816406B1 (en) 2006-05-30 2006-05-30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69A KR20070114869A (en) 2007-12-05
KR100816406B1 true KR100816406B1 (en) 2008-03-26

Family

ID=3914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438A KR100816406B1 (en) 2006-05-30 2006-05-30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4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577A (en)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달공 Metacognitive based education content cur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4284B2 (en) * 2008-02-06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data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US20140120516A1 (en) * 2012-10-26 2014-05-01 Edwise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Delivering, Using, and Leveraging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KR101409795B1 (en) * 2013-03-19 2014-06-24 신종우 Learning system basesd on QR code and method thereof
KR101629084B1 (en) * 2014-07-22 2016-06-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study plan for user
KR101723770B1 (en) * 2016-02-19 2017-04-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problems based on player matching technique
KR102210687B1 (en) * 2020-05-08 2021-02-01 최성호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management using metacognition
KR102566696B1 (en) * 2022-05-24 2023-08-16 주식회사 임서영영재교육연구소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english study
KR102492762B1 (en) * 2022-09-30 2023-01-27 피이에이피에듀케이션(주)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managing study abroad education curriculum customized for stud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349A (en) * 2000-02-09 2000-05-06 전종룡 Electronic study management system used by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000023996A (en) * 2000-01-06 2000-05-06 이상현 Educating method using internet and an apparatus therefor
KR20000054202A (en) * 2000-05-26 2000-09-05 장영철 The systems of cyber school and cyber special lecture business model in home by internet
KR20010096739A (en) * 2000-04-14 2001-11-08 김기대 Method of studying combined in a off line and on line
KR20020025386A (en) * 2000-09-28 2002-04-04 김용원 Method for education using internet and System therefor
KR20040088848A (en) * 2003-04-12 2004-10-20 조달현 Educate system
KR20060007608A (en) * 2004-07-20 2006-01-26 조동기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96A (en) * 2000-01-06 2000-05-06 이상현 Educating method using internet and an apparatus therefor
KR20000024349A (en) * 2000-02-09 2000-05-06 전종룡 Electronic study management system used by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010096739A (en) * 2000-04-14 2001-11-08 김기대 Method of studying combined in a off line and on line
KR20000054202A (en) * 2000-05-26 2000-09-05 장영철 The systems of cyber school and cyber special lecture business model in home by internet
KR20020025386A (en) * 2000-09-28 2002-04-04 김용원 Method for education using internet and System therefor
KR20040088848A (en) * 2003-04-12 2004-10-20 조달현 Educate system
KR20060007608A (en) * 2004-07-20 2006-01-26 조동기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studying evaluation and clini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577A (en)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달공 Metacognitive based education content curation system
KR102334387B1 (en) 2019-12-31 2021-12-02 주식회사 달공 Metacognitive based education content cur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69A (en)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Martín et al. The determinants of teachers’ continuance commitment to 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KR100816406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ordered edu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website
Green Measuring and assessing internationalization
JP61815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knowledge assessment and learning
Akkerman et al. Crossing boundaries between school and work during apprenticeships
US20120214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Knowledge Assessment And Learning
WO2017180532A1 (en) Integrated student-growth platform
Hamilton et al. Measuring educational quality by appraising theses and dissertations: pitfalls and remedies
Chang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web learning material and effect evalu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ptitudes on learning achievements
Riihiaho Experiences with usability testing: Effects of thinking aloud and moderator presence
Sinnewe et al.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An examination of contemporary practices in accounting
Bulut Özek et al. A web‐based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a basic control course
US200800462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tol English language test online
Serral Asensio et al. Conceptualizing the domain of automated feedback for learners
Caws et al. CALL ergonomics revisited
Johnson et al. A review of the uses of the Kelly's Repertory Grid method in educational assessment and comparability research studies
CN113706025A (en) Learning repor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20070904A (en) Online Consultation Service System
Susanto et al. Attendance report plugin for E-learning applications in PENS:(Based on moodle)
Maier Towards state‐mandated testing in Germany: how do teachers assess the pedagogical relevance of performance feedback information?
Adigun et al.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a Web based System for Students’ Appraisal on Teaching Performance of Lecturers in Federal College of Wildlife Management, New Bussa, Niger State, Nigeria
KR20080045573A (en) Method for managing learning and business and apparatus thereof
MacKinnon et al. Developing next generation online learning systems to support high quality global Higher Education provision
Rasheed et al. PERSONALITY TRAIT OF LIBRARIANS AS PREDICTOR OF DIGITAL LITERACY SKILLS
Rupasinghe et al. Development of a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V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tudy with special reference to Advanced Technological Institu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