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358B1 - 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 Google Patents

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358B1
KR100621358B1 KR1020050072746A KR20050072746A KR100621358B1 KR 100621358 B1 KR100621358 B1 KR 100621358B1 KR 1020050072746 A KR1020050072746 A KR 1020050072746A KR 20050072746 A KR20050072746 A KR 20050072746A KR 100621358 B1 KR100621358 B1 KR 10062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control signal
exter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태헌
Original Assignee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5007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3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은 a) 어드레스 정보신호 또는 GPIO 매핑 신호, 그리고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외부 이미지 소스 중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로부터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자체 생성된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 내부 이미지 데이터, 및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내부 이미지 데이터의 중첩된 결과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 b) 어드레스 정보신호 또는 GPIO 매핑 신호를 출력하며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 및 c)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sharing system includes: a) receiving external image data through a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from an external image source selected from one or more external image sources according to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or a GPIO mapping signal, and a selection control signal, An image data selection unit which receives the internal image data and outputs one of the external image data, the internal image data, and the superimposed result image data of the external image data and the internal image data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b An image data processor for outputting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or a GPIO mapping signal and receiv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data selector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data selector according to a timing signal; Depending on the roaming signal comprises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image data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Display sharing system including image data selector {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도 1은 종래의 핸드 헬드형 장치와 외부 이미지 소스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conventional handheld device and an external image sour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또는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의 개념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3A or 3B is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에서 위한 어드레스 정보신호, 모드 제어 신호, 선택 제어 신호 및 구동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4 illustrates the flow of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a mode control signal, a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a driving control signal in the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data se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외부 이미지 소스 300 :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 200: external image source 300: image data selection unit

310 : 레지스터부 320 : 콘트롤러 310: register 320: controller

330 : 장치 선택부 331 : 제1 디멀티플렉서 330: device selector 331: first demultiplexer

333 : 제1 멀티플렉서 335 : 제2 멀티플렉서 333: first multiplexer 335: second multiplexer

340 : 이미지 믹서 350 : 이미지 선택부 340: image mixer 350: image selection unit

351 : 제3 멀티플렉서 400 :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 351: third multiplexer 400: image data processing unit

500 : 디스플레이부 600 :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 500: display unit 600: first image input and output interface

610 :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 630 : 제3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 610: second image input and output interface 630: third image input and output interfa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sharing system including an image data selection unit for processing image data output from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최근 사용자에 의하여 많이 소비되는 핸드 헬드(Hand-held)형 장치,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휴대폰 등은 다양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하지만 최근의 핸드 헬드형 장치가 다양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더라도 모든 기능을 지원할 수 없다. Hand-held device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or mobile phones, which are consumed by users recently, must support various functions in an integrated manner. However, even today's handheld devices can't support all the features, even if they're integrated.

특히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는 기존의 핸드 헬드형 장치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와 같이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외부 이미지 소스(source)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기존 핸드 헬드형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핸드 헬드형 장치와 외부 이미지 소스의 구성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particular, a conventional handheld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a specific service receives image data from an external image source that supports a specific service, such as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ervice, and displays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existing handheld device. In order to display image data, a problem arises in that a configuration of an existing handheld device and an external image source needs to be chang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는 기존의 핸드 헬드형 장치(100)와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가 이미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해서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입력된 YCbCr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가 제1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비디오 버스로 전송되어 메모리부(120)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제2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메인 버스로 옮겨진 후 RGB 데이터로 변환되므로 추가 메모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As shown in FIG. 1, the existing handheld device 100 that does not support a specific service and an external image source 200 that supports a specific service are inputted from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to input / output image data. Added YCbCr image data is transferred to the video bus by the first processor 110,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main bus by the second processor 130, and then converted into RGB data. The problem arises.

즉, 기존의 핸드 헬드형 장치(100)와 외부 이미지 소스(200)가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nterface) 또는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140)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경우, 비디오 버스(video bus)와 메인 버스(main bus)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핸드 헬드형 장치(10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또는 시리얼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입력된 YCbCr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 버스를 통하여 메모리부(120)에 저장하고, 메인 버스를 통하여 YCbCr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부(120)로부터 읽어들여 RGB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해야 한다. That is, when the existing handheld device 100 and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input and output image data through a host interface or a serial interface 140, a video bus Since the main bus is separated from the main bus, the conventional handheld device 100 transmits YCbCr type image data input from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through the host bus or the serial interface 140 through the video bus. It is t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20, and the YCbCr type image data is read from the memory unit 120 through the main bus and converted into image data in the RGB type, and th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sync signal and the vertical sync signal. .

또한 이 과정에서 메모리 액세스(access)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느려지고 전력 소모가 증가하여 배터리 동작 시간에 의존적인 핸드 헬드형 장치(100)에 적용하기 불리하다. 특히 외부 이미지 소스(200)가 DMB 수신 장치일 경우 기존의 핸드 헬드형 장치와 DMB 수신 장치는 초당 30 프레임(frame) 이상의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입출력해야 하므로 메모리 액세스 횟수가 크게 증가하여 배터리 소모는 더욱 심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memory access operation is performed in this process, the transmission speed of image data is slowed down and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and thus it is disadvantageous to be applied to the hand-held device 100 depending on the battery operation time. In particular, when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is a DMB receiving device, the conventional handheld device and the DMB receiving device need to input and output a large amount of image data of 30 frames or more per second. Lose.

또한 호스트 인터페이스 또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대한 추가적인 운영 방식 이 새롭게 설계되어야 하고 전송받은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또는 기존 핸드 헬드형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운영방식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호스트 또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기능 검증 및 운영 방식의 개발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verification of the function of the host or serial interface should be done because the additional operation method for the host interface or the serial interface must be newly designed and a separate operation method for processing the received image data or transmitting to the display unit of the existing handheld device must be added. And the problem arises that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operating method is lo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이미지 소스와 기존의 핸드 헬드형 장치의 구조 변화 없이 외부 이미지 소스와 핸드 헬드형 장치 사이에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공유 장치 및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display unit sharing device and sharing system that can transfer the image data between the external image source and the hand-held device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image source and the existing hand-held device It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부 이미지 소스와 핸드 헬드형 장치 사이에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sharing system comprising an image data selector capable of minimizing battery consumption when transferring image data between an external image source and a handheld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은 a) 어드레스 정보신호 또는 GPIO 매핑 신호, 그리고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외부 이미지 소스 중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로부터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자체 생성된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 내부 이미지 데이터, 및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내부 이미지 데이터의 중첩된 결과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 b) 어드레스 정보신호 또는 GPIO 매핑 신호를 출력하며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 및 c)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external image data through a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from an external image source selected from one or more external image sources according to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or a GPIO mapping signal and a selection control signal; Receiving one or an internally generated internal image data, and outputting one of the external image data, the internal image data, and the superimposed result image data of the external image data and the internal image data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An image data selector, b) outputting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or a GPIO mapping signal, and receiving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data selector and outputting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data selector according to a timing signal; And an image data processor and c)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data processor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한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external image sources 200, an image data selector 300, an image data processor 400, and a display 500.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하나 이상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 중 어드레스(address) 정보 신호 및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한다. The image data selector 300 receives specific image data from an external image source 200 selected according to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and a selection control signal among one or more external image sources 200, and inputs and outputs the specific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interface.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수평동기신호(Hsync) 및 수직동기신호(Vsync)와 같은 타이밍(timing) 신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00)로 출력한다.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receive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data selector 300 and displays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 timing signal such as a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Hsync and a vertical synchronous signal Vsync. 500).

디스플레이부(500)는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unit 500 displays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즉, 핸드 헬드형 장치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특정 기능을 지 원하지 못하더라도 구조의 변경없이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를 통하여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That is, even if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such as a handheld device does not support a specific function,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may support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The transferred image data can be processed.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가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또는 DMB 수신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출력하면 종래와 같이 이미지 버스와 메인 버스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메모리가 필요없다. When the image data selector 300 selects one of the image data output from at least one external image source 200 such as a digital camera or a DMB receiving apparatus and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as in the related art. The image bus and main bus are not separated, so no additional memory is required.

또한 외부 이미지 소스(200),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 및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가 CCIR601 또는 CCIR656과 같이 범용적이면서도 같은 종류의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할 경우, CCIR601 인터페이스나 CCIR656 인터페이스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대부분의 장치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 운영 방식의 설계가 필요없다. 따라서 외부 이미지 소스(200) 또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범용적이면서도 동일한 종류의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CCIR601이나 CCIR656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RGB 인터페이스 또는 SPI(Serial Parallel Interface) 인터페이스 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the image data selector 300, and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perform input / output of image data through a general-purpose and the same type of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such as CCIR601 or CCIR656, the CCIR601 interface is used. The CCIR656 interface is used universally in most devices that process image data,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operating design.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or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Such a general purpose and same type of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may include an RGB interface or a serial parallel interface (SPI) interface as well as a CCIR601 or CCIR656 interface.

도 3a 또는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의 개념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는 하나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둘 이상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 장 치 공유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3A or 3B is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3A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that receives image data from one external image source 200, and FIG. 3B illustrates a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that receives image data from two or more external image sources 200. .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포함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출력한다. As shown in FIG. 3A or 3B, the image data select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plexer to select a control signal of image data output from one or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sources 200. Accordingly, specific image data is selected and output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의 멀티플렉서(MUX)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이하,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 자체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이하, 내부 이미지 데이터) 중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출력한다. 이 때 내부 이미지 데이터는 OSD(On Screen Display) 또는 PIP(Picture In Picture)와 같은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3A, the multiplexer MUX of the image data selector 300 is generated by the image data (hereinafter, external image data) input from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and the image data selector 300 itself. One of the imag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nal image data) is selected according to a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output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At this time, the internal image data corresponds to an image such as an on screen display (OSD) or a picture in picture (PIP).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복수 개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2개의 비디오 채널(VCH1, VCH2)을 형성한다. 이 때 각각의 비디오 채널은 CCIR601 인터페이스 또는 CCIR656 인터페이스이다.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2개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 중 하나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MUX1) 및 제1 멀티플렉서(MUX1)로부터 출력된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내부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MUX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B, the image data selector 300 forms two video channels VCH1 and VCH2 to receive image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image sources 200. Each video channel is then a CCIR601 interface or a CCIR656 interface. The image data selector 300 may include a first multiplexer MUX1 and a first multiplexer for selecting image data output from one external image source 200 of two external image sources 200 according to a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a second multiplexer MUX2 for selecting one of the external image data and the internal image data output from the MUX1).

도 3a 및 도 3b에서 외부 이미지 소스(200)와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 사 이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와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 사이에서 CCIR(International Radio Consultative Committee)601 인터페이스(interface)나 CCIR656 인터페이스와 같은 범용이면서도 동일한 종류의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00) 및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10)가 외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3A and 3B, the International Radio Consultative Committee (CCIR) 601 interface between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and the image data selector 300 and between the image data selector 300 and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00 and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10 of the same kind and general purpose, such as the CCIR656 interface, perform interfacing for transmission of external image data.

또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와 디스플레이부(500) 사이에서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제3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20)가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00)와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10)와 같은 종류의 인터페이스일 때 가장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thir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20 that performs an interface between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and the display 500 may have the same type of interface as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00 and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10. Is most preferr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공유 시스템에서 위한 어드레스 정보신호, 모드 제어 신호, 선택 제어 신호 및 구동 제어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모드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 정보신호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부터 입력받는다. 모드 제어 신호는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이고, 어드레스 정보신호는 복수의 외부 이미지 소스(200) 중 선택될 외부 이미지 소스(200)의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이다. 4 illustrates the flow of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a mode control signal, a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a driving control signal in the display device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image data selector 300 receives a mode control signal and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from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e mode control signal is a signal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image data selector 300, and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is information about an address of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to be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image sources 200.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어드레스 정보신호에 따라 멀티플렉서(미도시)를 제어하는 제1 선택 제어 신호 및 제2 선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선택 제어 신호는 어드레스 정보신호에 해당하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선택 제어 신호는 어드레스 정보신호에 해당하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The image data selector 300 sets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mode control signal and outputs a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a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multiplex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The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is for outputt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The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is for selecting image data input from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구동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외부 이미지 소스(200)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로 출력한다. 이 때 구동 제어 신호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의 턴온(turn-on), 외부 이미지 소스(20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독출 및 출력 또는 이미지 데이터의 해상도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receiv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selector 300. In this case, the driving control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urn-on of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reading and output of image data stored in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or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제2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출력된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동작 모드에 따라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출력한다. The image data selector 300 receives external image data output from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processes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로부터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은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출어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00)로 출력한다.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receiving external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selector 300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500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sync signal and the vertical sync signa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레지스터부(register)(310), 콘트롤러(320), 제1 및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00, 610), 장치 선택부(330), 이미지 믹서(image mixer)(340) 및 이미지 선택부(350)를 포함한다. 5 is a block diagram of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image data selecto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ister 310, a controller 320, first and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s 600 and 610, and device selection. A unit 330, an image mixer 340, and an image selector 350 are included.

레지스터부(310)는 동작 모드에 대한 설정 및 외부 이미지 소스(200)의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 데이터 또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매핑(mapping)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동작 모드는 바이 패스 모드(by pass mode), 스탠 드 얼론 모드(stand-alone mode) 및 하이브리드 모드(hybrid mode) 중 하나이다. 바이 패스 모드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출력된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모드이다. 스탠드 얼론 모드는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 자체에서 형성된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모드이다. 하이브리드 모드는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전송하기 위한 모드이다. The register unit 310 stores setting information on an operation mode and information data or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GPIO) mapping information data for an address of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At this time, the operation mode is one of the bypass mode (by pass mode), stand-alone mode (stand-alone mode) and hybrid mode (hybrid mode). The bypass mode is a mode for forming a path for transmitting external image data output from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e stand-alone mode is a mode for forming a path for transmitting the internal image data formed by the image data selector 300 itself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e hybrid mode is a mode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external image data and internal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콘트롤러(320)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부터 모드 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레지스터부(310)에 설정된 동작 모드를 갱신하고 제1 내지 제4 선택 제어 신호(CON1, CON2, CON3, CON4),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IPCON)와 구동 제어 신호(ICO)를 출력한다. The controller 320 receives the mode control signal and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from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updates the operation mode set in the register unit 310, and first to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s CON1, CON2, CON3, and CON4. ),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PCON and the drive control signal ICO are output.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00) 및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10) 각각은 외부 이미지 소스(200) 및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00) 및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10)는 외부 이미지 소스(200) 및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의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와 같은 종류이면서 CCIR 인터페이스와 같이 범용적인 인터페이스이다. Each of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00 and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10 performs an interface for transmitting image data with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and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00 and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10 are the same type as the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of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and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and are generally used like the CCIR interface. Interface.

장치 선택부(330)는 제1 선택 제어 신호(CON1)에 따라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 콘트롤러(320)로부터 입력된 구동 제어 신호(ICO)를 출력하는 제1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331), 제3 선택 제어 신호(CON3)에 따라 복수 개의 정 보 채널들(ICH1, ICH2) 중 구동 제어 신호(ICO)를 입력받은 외부 이미지 소스(200)와 연결된 정보 채널을 선택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나타내는 전송상태 정보신호(EICH)를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333) 및 제2 선택 제어 신호(CON2)에 따라 복수 개의 영상 채널들(VCH1, VCH2) 중 구동 제어 신호(ICO)를 입력받은 외부 이미지 소스(200)와 연결된 영상 채널을 선택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를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333)를 포함한다. The device selector 330 is configured to output a driving control signal ICO input from the controller 320 to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selected according to the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CON1. In response to the third selection control signal CON3, an inform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receiv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ICO among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channels ICH1 and ICH2 is selected to transmit image data. The external receiv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ICO) of the plurality of image channels (VCH1, VCH2)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multiplexer 333 and the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CON2) for outputting a transmission state information signal (EICH) indicating The first multiplexer 333 selects an image channel connected to the image source 200 and outputs external image data EVCH.

이 때, 제1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331), 제1 멀티플렉서(333) 및 제1 멀티플렉서(333)는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에 의하여 구현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first demultiplexer 331, the first multiplexer 333, and the first multiplexer 333 may be implemented by a 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이미지 믹서(340)는 콘트롤러(320)에 의해 갱신된 동작 모드에 따른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IPCON)를 입력받아 내부 이미지 데이터(IID)와 제2 멀티플렉서(335)로부터 출력된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를 각 모드에 맞게 처리하여 결과 이미지 데이터(RVCH)를 출력한다. 즉, 이미지 믹서(340)는 스탠드 얼론 모드일 경우, 내부 이미지 데이터(IID)만을 전송하는 경로를 형성하여 결과 이미지 데이터(RVCH=IID)를 출력하고, 하이브리드 모드(hybrid mode)일 경우,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내부 이미지 데이터가 중첩된 결과 이미지 데이터(RVCH)를 출력한다. 또한 이미지 믹서(340)는 스케일러(scaler) 및 필터(filter)를 포함하여 이미지의 크기 조절 및 노이즈 제거를 수행한다. The image mixer 340 receives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PC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updated by the controller 320, and outputs the internal image data IID and the external image data EVCH output from the second multiplexer 335. Is processed for each mode and the resulting image data (RVCH) is output. That is, the image mixer 340 forms a path for transmitting only the internal image data IID in the standalone mode, and outputs the resulting image data (RVCH = IID), and in the hybrid mode, the external image. The data and the internal image data are processed at the same time to output the resultant image data RVCH in which the external image data and the internal image data overlap. The image mixer 340 also includes a scaler and a filter to perform image scaling and noise removal.

이미지 선택부(350)는 콘트롤러(320)로부터 제4 선택 제어 신호(CON4)를 입 력받아 결과 이미지 데이터(RVCH) 또는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The image selector 350 receives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CON4 from the controller 320 and selects and outputs one of the resultant image data RVCH and the external image data EVCH.

이와 같이 이미지 선택부(350)로부터 출력된 결과 이미지 데이터(RVCH) 또는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는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10)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를 전송되고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입력된 결과 이미지 데이터(RVCH) 또는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를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500)로 출력한다. As such, the resultant image data RVCH or the external image data EVCH output from the image selector 35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10, and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is transmitted. The outputted result image data RVCH or external image data EVCH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500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는 버스 인터페이스 방식에 의하여 운영이 될 수도 있고 GPIO 방식에 의하여 운영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레지스터부(310)에 GPIO 매핑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를 선택하기 위한 GPIO 매핑 신호를 콘트롤러(320)로 출력하고, 콘트롤러(320)는 입력받은 GPIO 매핑 신호를 레지스트부에 저장된 GPIO 매핑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를 선택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by a bus interface method or may be operated by a GPIO method. That is, since the GPIO mapping information data is stored in the register unit 310,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outputs a GPIO mapping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to the controller 320, and the controller 320. ) Selects a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by comparing the received GPIO mapping signal with GPIO mapping information data stored in the register.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셋팅된 레지스터부(310)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의 콘트롤러(320)는 동작 모드와 각 외부 이미지 소스(200)의 어드레스를 초기화한다. First, the controller 320 of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initializes the operation mode and the address of each external image source 200 by the set register unit 310.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모드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 정보신호를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의 콘트롤러(320)로 출력한다.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outputs the mode control signal and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320 of the image data selector 300.

모드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 정보신호를 입력받은 콘트롤러(320)는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레지스터부(310)의 동작 모드를 갱신한다. The controller 320 receiving the mode control signal and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updates the operation mode of the register unit 310 according to the mode control signal.

<바이 패스 모드> <Bypass mode>

갱신된 동작 모드가 바이 패스 모드라면, 콘트롤러(320)는 레지스터부(310)를 참조하여 어드레스 정보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의 어드레스 영역이 레지스터부(310)에 저장된 어드레스 영역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If the updated operation mode is the bypass mode, the controller 320 refers to the register unit 310, and the address area of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is stored in the address area stored in the register unit 310. Determine if it matches.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의 어드레스 영역이 레지스터부(310)에 설정된 어드레스 영역에 부합한다면 콘트롤러(320)는 어드레스 정보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를 선택하는 제1 선택 제어 신호(CON1)와 구동 제어 신호(ICO)를 제1 디멀티플렉서(331)로 출력하고 제3 선택 제어 신호(CON3)를 제1 멀티플렉서(333)로 출력한다. If the address area of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corresponds to the address area set in the register unit 310, the controller 320 selects a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 CON1 and the driving control signal ICO are output to the first demultiplexer 331, and the third selection control signal CON3 is output to the first multiplexer 333.

제1 디멀티플렉서(331)는 제1 선택 제어 신호(CON1)에 따라 상기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 구동 제어 신호(ICO1 또는 ICO2)를 출력한다. 구동 제어 신호(ICO1 또는 ICO2)를 입력받은 외부 이미지 소스(200)는 전송준비의 완료를 알리는 전송상태 정보신호를 출력하고, 구동 제어 신호(ICO1 또는 ICO2)에 따라 저장하고 있던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한다. The first demultiplexer 331 outputs a driving control signal ICO1 or ICO2 to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CON1.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receiving the drive control signal ICO1 or ICO2 outputs a transmission status information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transmission preparation, and reads the external image data stored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ICO1 or ICO2. The image is output through the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제1 멀티플렉서(333)는 입력받은 제3 선택 제어 신호(CON3)에 따라 복수 개의 정보 채널들(ICH1, ICH2) 중 구동 제어 신호(ICO)를 입력받은 외부 이미지 소스(200)와 연결된 정보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출 력된 전송상태 정보신호(EICH)를 콘트롤러(320)로 출력한다.The first multiplexer 333 may select an inform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that receives the driving control signal ICO among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channels ICH1 and ICH2 according to the received third selection control signal CON3. The controller outputs the transmission state information signal EICH output from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to the controller 320.

또한 제2 멀티플렉서(335)는 콘트롤러(320)로부터 입력받은 제2 선택 제어 신호(CON2)에 따라 복수 개의 영상 채널들(VCH1, VCH2) 중 구동 제어 신호(ICO)를 입력받은 외부 이미지 소스(200)와 연결된 영상 채널을 선택하고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00)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multiplexer 335 receives the driving control signal ICO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channels VCH1 and VCH2 according to the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CON2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20. ) And an external image data EVCH input through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00.

콘트롤러(320)는 바이 패스 모드에 따른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의 전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4 선택 제어 신호(CON4)를 이미지 선택부(350)의 제3 멀티플렉서(351)로 출력한다. The controller 320 outputs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CON4 to the third multiplexer 351 of the image selector 350 to form a transmission path of the external image data EVCH in the bypass mode.

제3 멀티플렉서(351)는 제4 선택 제어 신호(CON4)에 따라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가 입력되는 채널을 선택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10)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출력한다. The third multiplexer 351 selects a channel to which the external image data EVCH is input according to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CON4, and transmits the external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10. Will output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500)로 출력한다.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receives external image data through an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and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500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sync signal and the vertical sync signal.

<스탠드 얼론 모드> <Stand alone mode>

한편 갱신된 동작 모드가 스탠드 얼론 모드라면, 콘트롤러(320)는 내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IPCON)를 이미지 믹서(340)로 출력한다. If the updated operation mode is the stand-alone mode, the controller 320 outputs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PCON to the image mixer 340 to form a transmission path of the internal image data.

이미지 믹서(340)는 콘트롤러(320)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IPCON)에 따라 내부 이미지 데이터(IID)를 입력받아 형성된 경로를 통하여 내부 이미지 데이터(RVCH)를 제3 멀티플렉서(351)로 출력한다. The image mixer 340 outputs the internal image data RVCH to the third multiplexer 351 through a path formed by receiving the internal image data IID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PCON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20. do.

또한 콘트롤러(320)는 제4 선택 제어 신호(CON4)를 제3 멀티플렉서(351)로 출력하고 제3 멀티플렉서(351)는 제4 선택 제어 신호(CON4)에 따라 내부 이미지 데이터(RVCH)가 입력되는 채널을 선택하여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10)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20 outputs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CON4 to the third multiplexer 351 and the third multiplexer 351 receives the internal image data RVCH according to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CON4. The channel is selected and outputs the internal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10.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500)로 출력한다.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receives internal image data through an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and outputs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500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sync signal and the vertical sync signal.

<하이브리드 모드> <Hybrid mode>

또한, 갱신된 동작 모드가 하이브리드 모드라면, 콘트롤러(320)는 레지스터부(310)를 참조하여 어드레스 정보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의 어드레스 영역이 레지스터부(310)에 저장된 어드레스 영역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In addition, if the updated operation mode is the hybrid mode, the controller 320 refers to the register unit 310 and the address area of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is stored in the register unit 310. Determine if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의 어드레스 영역이 레지스터부(310)에 설정된 어드레스 영역에 부합한다면 콘트롤러(320)는 어드레스 정보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를 선택하는 제1 선택 제어 신호(CON1)와 구동 제어 신호(ICO)를 제1 디멀티플렉서(331)로 출력하고 제3 선택 제어 신호(CON3)를 제1 멀티플렉서(333)로 출력한다. If the address area of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corresponds to the address area set in the register unit 310, the controller 320 selects a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 CON1 and the driving control signal ICO are output to the first demultiplexer 331, and the third selection control signal CON3 is output to the first multiplexer 333.

제1 디멀티플렉서(331)는 제1 선택 제어 신호(CON1)에 따라 하나의 출력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 구동 제어 신호(ICO1 또는 ICO2)를 출력한다. 구동 제어 신호(ICO1 또는 ICO2)를 입력받은 외부 이미지 소스(200)는 전송준비의 완료를 알리는 전송상태 정보신호를 출력하고, 구동 제어 신호(ICO1 또는 ICO2)에 따라 저장하고 있던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한다. The first demultiplexer 331 selects one output channel according to the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CON1 and outputs the driving control signal ICO1 or ICO2 to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The external image source 200 receiving the drive control signal ICO1 or ICO2 outputs a transmission status information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transmission preparation, and reads the external image data stored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ICO1 or ICO2. The image is output through the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제1 멀티플렉서(333)는 입력받은 제3 선택 제어 신호(CON3)에 따라 복수 개의 정보 채널들(ICH1, ICH2) 중 상기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와 연결된 정보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로부터 출력된 전송상태 정보신호(EICH)를 콘트롤러(320)로 출력한다.The first multiplexer 333 selects an inform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from amo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channels ICH1 and ICH2 according to the input third selection control signal CON3 to receive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The transmission state information signal EICH output from the 200 is output to the controller 320.

또한 제2 멀티플렉서(335)는 콘트롤러(320)로부터 입력받은 제2 선택 제어 신호(CON2)에 따라 복수 개의 영상 채널들(VCH1, VCH2) 중 상기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와 연결된 영상 채널을 선택하여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00)를 통하여 입력된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를 이미지 믹서(340)로 출력한다. Also, the second multiplexer 335 selects an image channel connected to the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channels VCH1 and VCH2 according to the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CON2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20. The external image data EVCH input through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00 is output to the image mixer 340.

또한 콘트롤러(320)는 하이브리드 모드에 따라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와 내부 이미지 데이터(IID)의 동시 처리를 위한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IPCON)를 이미지 믹서(340)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20 outputs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PCON to the image mixer 340 for simultaneously processing the external image data EVCH and the internal image data IID according to the hybrid mode.

이미지 믹서(340)는 콘트롤러(320)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IPCON)에 따라 외부 이미지 데이터(EVCH) 및 내부 이미지 데이터(IID)를 입력받아 두 이미지 데이터의 중첩과 같은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결과 이미지 데이터(RVCH)를 제3 멀티플렉서(351)로 출력한다. The image mixer 340 receives the external image data EVCH and the internal image data IID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PCON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20 and performs image processing such as superposition of the two image data. The resultant image data RVCH is output to the third multiplexer 351.

콘트롤러(320)는 제4 선택 제어 신호(CON4)를 제3 멀티플렉서(351)로 출력하 고 제3 멀티플렉서(351)는 제4 선택 제어 신호(CON4)에 따라 결과 이미지 데이터(RVCH)가 입력되는 채널을 선택하여 결과 이미지 데이터를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610)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 출력한다. The controller 320 outputs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CON4 to the third multiplexer 351 and the third multiplexer 351 receives the resultant image data RVCH according to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CON4. The channel is selected and the resultant image data is output to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610.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는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결과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500)로 출력한다.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receives the resulting image data through an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not shown) and outputs the resultant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500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이상에서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300)의 레지스터부(310)에 GPIO 매핑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패스 바이 모드 및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의 콘트롤러(320)는 어드레스 정보신호 대신에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를 선택하기 위한 GPIO 매핑 신호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400)로부터 입력받아 특정 외부 이미지 소스(200)를 선택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PIO mapping information data is stored in the register unit 310 of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300, the controller 320 of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400 is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in the pass-by mode and the hybrid mode. Instead, a GPIO mapping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is received from the image data processor 400 to select a specific external image source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는 핸드 헬드형 장치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가 특정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더라도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의 구조의 변경없이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이미지 소스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가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such as a handheld device does not support a specific function,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fer image data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image source supporting a specific function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Allow the image data processor to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외부 이미지 소스,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 및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 사이의 이미지 데이터 전송시 범용적인 CCIR 인터페이스, RGB 인터페이스 및 SPI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인터페이스에 대한 추가적인 운영 방식이 필요없고 호환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없다. In addition, by using one of the universal CCIR interface, RGB interface and SPI interface in the transmission of image data between the external image source,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and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n additional operation method for the interface and verification of compatibility You do not need this.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비디오 버스와 메인 버스가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 데이터의 일시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가 필요없어 전송 속도의 감소 및 전력 소모의 증가를 막을 수 있으며 부품수 감소에 따른 제조 원가 및 제품 부피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ideo bus and the main bus are not separated as in the related ar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a memory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image data,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ransmission speed and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Product volume can be reduced.

Claims (8)

하나 이상의 외부 이미지 소스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에 있어서, In a display sharing system connected to one or more external image sources, 어드레스 정보신호 또는 GPIO 매핑 신호, 그리고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이미지 소스 중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로부터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자체 생성된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외부 이미지 데이터,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의 중첩된 결과 이미지 데이터 중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 A second image receiving external image data or a self-generated internal image data from a selected external image source among the one or more external image sources according to an address information signal or a GPIO mapping signal and a selection control signal; An image data selection unit for outputting one of the external image data, the internal image data, and the superimposed result image data of the external image data and the internal image data through an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상기 어드레스 정보신호 또는 상기 GPIO 매핑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 및 An image data processor which outputs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or the GPIO mapping signal and receive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data selector and output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data selector according to a timing signal; And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image data input from the image data processor in accordance with the timing sig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CCIR 인터페이스, RGB 인터페이스 및 SPI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Wherein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and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are one of a CCIR interface, an RGB interface, and an SPI interface. 상기 외부 이미지 소스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 And the external image source or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includes an interface of the same type as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and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는,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a) 바이 패스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의 설정에 대한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이미지 소스의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 데이터 또는 GPIO 매핑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부, b)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상기 바이 패스 모드의 설정을 위한 모드 제어 신호 및 상기 어드레스 정보신호 또는 상기 GPIO 매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바이 패스 모드를 상기 레지스터부에 설정하고 제1 내지 제4 선택 제어 신호 및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c) 상기 제1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로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디멀티플렉서, 상기 제3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와 연결된 정보 채널을 선택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나타내는 전송상태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와 연결된 영상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장치 선택부 및 d) 상기 제4 선택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멀 티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 출력하는 이미지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 a) a register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data on setting of an operation mode including a bypass mode and information data for the address of the external image source or GPIO mapping information data, and b) from the image data processor, A controller which receives a mode control signal for setting and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or the GPIO mapping signal, sets the bypass mode to the register, and outputs first to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s and driving control signals; A first demultiplexer for outputt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selected external image source according to a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an inform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selected external image source according to the third selection control signal to transmit external image data A first outputting transmission status information signal indicative of A device selector including a multiplexer and a second multiplexer configured to select an image channel connected to the selected external image source according to the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output the external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and an image selec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select the external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multiplexer, and output the selected image to the image data processor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Display sha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는,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a) 스탠드 얼론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의 설정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부, b)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상기 스탠드 얼론 모드의 설정을 위한 모드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탠드 얼론 모드를 상기 레지스터부에 설정하고 제4 선택 제어 신호 및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c)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형성하여 이미지 믹서 d) 상기 제4 선택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 믹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 출력하는 이미지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 a) a register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data on setting of an operation mode including a stand-alone mode; b) a register for receiving the mode control signal for setting the stand-alone mode from the image data processor; A controller which is set to a negative unit and outputs a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an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c) an image mixer d) forming a transmission path of the internal image data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And an image selector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select the internal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mixer and output the selected image signal to the image data processor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선택부는, The image data selection unit, a) 하이브리드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의 설정에 대한 정보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이미지 소스의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 데이터 또는 GPIO 매핑 정보 데이터 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부, b)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상기 하이브리드 모드의 설정을 위한 모드 제어 신호 및 상기 어드레스 정보신호 또는 상기 GPIO 매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하이브리드 모드를 상기 레지스터부에 설정하고 제1 내지 제4 선택 제어 신호, 구동 제어 신호 및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 c) 상기 제1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로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디멀티플렉서, 상기 제3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와 연결된 정보 채널을 선택하여 외부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 상태를 나타내는 전송상태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2 선택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 이미지 소스와 연결된 영상 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제1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외부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장치 선택부, d) 상기 콘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미지 처리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장치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외부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결과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미지 믹서 및 e) 상기 제4 선택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결과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이미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부로 출력하는 이미지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 a) a register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data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including a hybrid mode and information data for the address of the external image source or GPIO mapping information data, and b) setting the hybrid mode from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mode control signal and the address information signal or the GPIO mapping signal to set the hybrid mode to the register unit and output first to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s, driving control signals, and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s; c A first demultiplexer for outputt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selected external image source according to the first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selecting an informa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selected external image source according to the third selection control signal to display the external image data. Transmission phase indicating the transmission status A first multiplexer for outputting an information signal and a second multiplexer for outputting the external image data input through the first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by selecting an image channel connected to the selected external image source according to the second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d) an image mixer for processing the external image data and the internal image data output from the device se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resultant image data. And an image selector which receives the fourth selection control signal and selects the resultant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multiplexer and outputs the resultant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processor through the second image input / output interface. system.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이미지 믹서는, The image mixer,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결과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는 스케일러 및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 And a filter for removing noise and a scaler for adjusting an image size of the internal image data or the resultant image dat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부 이미지 데이터는, The internal image data, OSD 또는 PIP에 대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 Display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image for the OSD or PIP.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상기 제1 디멀티플렉서, 상기 제1 멀티플렉서 및 상기 제1 멀티플렉서는 CPLD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공유 시스템. And wherein the first demultiplexer, the first multiplexer and the first multiplexer are implemented by CPLD.
KR1020050072746A 2005-08-09 2005-08-09 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KR100621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746A KR100621358B1 (en) 2005-08-09 2005-08-09 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746A KR100621358B1 (en) 2005-08-09 2005-08-09 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358B1 true KR100621358B1 (en) 2006-09-07

Family

ID=3762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746A KR100621358B1 (en) 2005-08-09 2005-08-09 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3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033A (en) * 2019-09-20 2021-03-31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Display device capable of switching image sources and operating system thereof
KR20210035031A (en) * 2019-09-20 2021-03-31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Display device capable of switching image sources and operat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033A (en) * 2019-09-20 2021-03-31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Display device capable of switching image sources and operating system thereof
KR20210035031A (en) * 2019-09-20 2021-03-31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Display device capable of switching image sources and operating system
KR102352791B1 (en) * 2019-09-20 2022-01-18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Display device capable of switching image sources and operating system
KR102426034B1 (en) * 2019-09-20 2022-07-27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Display device capable of switching image sources and operating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22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mage Sensor Pipeline On A Mobile Imaging Device
US854745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amera system
EP1519358A2 (en) Frame rate conversion device, overtaking prediction method for use in the same, display control device and video receiving display device
US20060145941A1 (en) Display system and host device for outputing image signal and method therefor
US200802922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mages using variable size tiles
US1041232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display from first video source to second video source
KR1016538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ual display using rgb interfa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rojector module
WO2016146992A1 (en) A method of processing display data
US20100172599A1 (en) Image signal scaler and image signal processor including the same
KR100621358B1 (en) System for sharing display part including image data selection part
US6948022B2 (en) Digital image transfer controller
US20060236012A1 (en) Memory controller, image processing controller, and electronic instrument
EP103638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2-tap/3-tap flicker filtering
CN1013038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ata to write into and read from buffer unit
CN101257588B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elevision divided pictures
JP2012028997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amera
US90586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software processing in a hardware image sensor pipeline
JP2013213859A (en) Video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US761963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ata transfer method
KR100606743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for tv-out function in dual lcds mobile terminal
JP4183556B2 (en) Display device and multi-display system
US7450115B2 (en) System for efficiently interfacing with display data intersystem
TW200818104A (en) Display control devic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JP2014216668A (en) Imaging apparatus
EP2485475A1 (en) Image output device and image synthesiz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