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2682B1 -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682B1
KR100612682B1 KR1020040021964A KR20040021964A KR100612682B1 KR 100612682 B1 KR100612682 B1 KR 100612682B1 KR 1020040021964 A KR1020040021964 A KR 1020040021964A KR 20040021964 A KR20040021964 A KR 20040021964A KR 100612682 B1 KR100612682 B1 KR 10061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ynchronous
asynchronous
handover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6554A (en
Inventor
김영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2682B1/en
Priority to PCT/KR2005/000958 priority patent/WO2006004300A1/en
Priority to JP2007506087A priority patent/JP4613202B2/en
Priority to US10/594,465 priority patent/US20080095111A1/en
Priority to BRPI0508765-1A priority patent/BRPI0508765A/en
Priority to CN200580017469A priority patent/CN100593918C/en
Publication of KR2005009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에 있는 망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Handover method between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using low power state of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rove handover success rate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To provide.

본 발명은 핸드오버 조건을 판단하는 제 1 단계; 제 1 단계에서 핸드오버 조건이라고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를 기동하고 대기모드인 저전력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핸드오버 트리거링에 따라 대기모드에 있는 동기 모뎀부를 통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비동기망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의 호 송수신 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고 저전력 상태로 유지한 후,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시 발생되는 통화 단절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termining a handover condition; A second step of activat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itioning to a low power state in the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condition is determined in the first step, and entering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handover triggering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handover is perform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ich operates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in the asynchronous network transmits and receives a low power state, and then performs the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network to the synchronous network. Because of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disconnection caused by handover.

핸드오버Handover

Description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동기망과 비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andover method between a synchronous network and an asynchron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동기망과 비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handover method between a synchronous network and an asynchron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10: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40 : 인터넷30: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40: Internet

110 : 안테나 120 : 비동기 모듈110: antenna 120: asynchronous module

121, 131 : 듀플렉서 122 :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121, 131: duplexer 122: asynchronous wireless transceiver

123 : 비동기 모뎀부 124, 134 : 보코더123: asynchronous modem unit 124, 134: vocoder

130 : 동기 모듈 132 : 동기 무선 송수신부130: synchronization module 132: synchronous wireless transceiver

133 : 동기 모뎀부 140 : 공통모듈133: synchronous modem unit 140: common module

210 : 노드B/무선망 제어기 220 : 비동기 교환기210: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20: asynchronous switch

230, 330 : No.7 공통신호망 230, 330: No.7 common signal network

240, 34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260, 360 : 홈위치 등록기240, 340: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260, 360: home location register

270 : SGSN 280 : GPRS망270: SGSN 280: GPRS network

290 : GGSN 310 : 기지국/기지국 제어기290: GGSN 310: base station / base station controller

320 : 교환기 370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20: switch 370: packet data service node

380 : 데이터 코어망380 data core network

본 발명은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하여 있는 망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over method betwee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using a low power state of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are mix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over method betwee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using a low power state of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inimizing and improving the handover success rate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통신망의 진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MT-2000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IMT-2000 시스템은 CDMA 2000 기반의 동기방식 시스템과 WCDMA 기반의 비동기 방식 시스템으로 나누어져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evolu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ly, the IMT-2000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global roaming problem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MT-2000 system is divided into CDMA 2000 based synchronous system and WCDMA based asynchronous system.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벌 로밍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Multi Mode Multi Band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upport global ro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being used in both a synchronous system and an asynchronous system has been developed. This allows different types of services to be used in each of the asynchronous system domain and the synchronous system domain.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중에 있고, 이에 따라 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Currently,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being built around regions with high service demands. Accordingly,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evolved to include asynchronous service areas. When a mobile station moves betwee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between systems is required for continuous service provision.

그런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통신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시스템 간 핸드오버를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현재까지 제안된 핸드오버 방안으로는 핸드오버 성공률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 또한 두 개의 모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모뎀을 어떤 시점에서 구동하고 오프(off)할 것인지 결정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However, sinc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handover between systems, and the proposed handover scheme has a limitation in increasing the handover success rate. In addition, since 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has two modems,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when to run and turn off the two modems.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계 지역에서 핸드오버를 할 경우, 단말에서 핸드오버 트리거를 한 후 동기 모뎀을 구동하는 데는 1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동기 모뎀을 구동한 후,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 환경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곳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When 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handover in the boundary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takes about 10 seconds to drive the synchronous modem after triggering the handover at the terminal. After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ten moves to a place where the radio environment is not good, and thus the handover is often not performed.

또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필요 이상으로 일찍 구동되면 비동기 모뎀부와 동기 모뎀부가 동시에 온(on) 상태가 되기때문에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 소모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erformed earlier than necessary, the asynchronous modem unit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이전에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을 구동시킨 후 저전력 상태로 유지하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함에 따라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before operating a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ous mode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kept in a low power state and asynchronously moved. A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handover method betwee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using a low power state of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mproving handover success rate as a handover is performed from a communication system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erforming a handover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중,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 조건이 되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뎀을 구동하기 위해 모뎀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비동기 모뎀부; 상기 비동기 모뎀부로부터 출력되는 모뎀 구동 신호에 따라 오프 상태에서 기동되어 초기화를 수행한 후, 대기모드인 저전력 상태로 천이하는 동기 모뎀부를 포함하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핸드오버 트리거링에 따라 상기 대기모드에 있는 동기 모뎀부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An asynchronous modem unit for outputting a modem driving signal to drive a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a preset handover condition is met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ous modem unit which is started in an off state and initializes according to a modem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asynchronous modem unit, and transitions to a low power state in a standby mode, wherein the standby state is triggered by handover triggering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handover is perform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synchronous modem unit in the mode.

다른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지정된 크기의 핸드오버 셀이 존재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제어 방법으로서,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 handover cell of a predetermined size exists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 asynchronous modem unit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for handover of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핸드오버 조건을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핸드오버 조건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를 기동하고 대기모드인 저전력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핸드오버 트리거링에 따라 상기 대기모드에 있는 동기 모뎀부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A first step of determining a handover condition; In the first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condition, and including the second step of start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ition to the low power state of the standby mod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handover triggering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handover is perform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synchronous modem unit in the standby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멀티모드 멀티밴드(Multi Mode Multi Band) 이동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이동통신 단말은 핸드오버 셀 영역에 진입하였을 때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는 경우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호가 발신되거나 비동 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호를 수신할 경우에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ers to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in bo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entering the handover cell area and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a call is transmitted from or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각각 무선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use a voice and data service by wirelessly connec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respectively.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 및 노드 B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노드 B/RNC, 210), 무선망 제어기(21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MSC, 220), 비동기 교환기(220)와 No. 7 공통 신호망(230)을 통해 연결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240) 및 홈위치 등록기(HLR, 260), 무선망 제어기(21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8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Support Node, 270), SGSN(270)과 GPRS망(280)을 통해 연결되고, 인터넷(4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90)을 포함한다.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is a wireless network controller (Node B / RNC, 210) for controlling Node B and Node B as a base station for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10 Asynchronous exchange (MSC, 220), asynchronous exchange 220 and No. to perform a call exchange to provide a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connected to. 7 between the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240) and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260),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10 and the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 280 connected through a common signal network 230 Connected via the Serving Support Node (SGSN) 270, the SGSN 270, and the GPRS network 280, which maintains the location tr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performs access control and security functions,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40. And a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290 connected to and supporting interworking with external packets.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통신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TS/BSC, 310),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320), 교환기(320)와 No.7 공통신호망(330)을 통해 연결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340) 및 홈 위치 등록기(HLR, 360), 기지국 제어기와 접속되어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7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70)와 인터넷(4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TS / BSC, 310)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for supporting the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and connected to one or more base station controller to perform a call exchange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340)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360), a base station controller, which are connected through an exchange (MSC) 320, an exchange 320, and a No. 7 common signaling network 330 to perform A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370 connected to provide a packet data service to a subscriber, and a data core network (DCN) 380 for suppor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packet data service node 370 and the Internet 40; It is composed.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교환기(220, 320)는 No.7 공통신호망(230, 330)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260, 360)는 듀얼스택 홈 위치 등록기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가입자 정보, 부가 서비스 이용 상황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고, 교환기(220, 320)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를 제공한다.The switches 220 and 320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are interconnected by the No. 7 common signal networks 230 and 330, and the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performed. Send and receive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home location registers 260 and 360 may be implemented as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s. The home location registers 260 and 360 may store and manage subscriber information, additional service usage, and the like, and provide subscriber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exchange 220 or 320. .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은 안테나(110),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20),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30) 및 공통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110, a module 120 for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module 130 for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common module. And 14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10)는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다.In more detail, the antenna 110 may simultaneously process a frequency band for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frequency band f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비동기 모듈(12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 및 동작하는 디플렉서(12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122),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비동기 모뎀부(123) 및 음성 신호의 암호와 및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보코더(124)를 포함하 고, 동기 모듈(13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 및 동작하는 디플렉서(131),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 모뎀부(133) 및 음성 신호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보코더(134)를 포함한다.The asynchronous module 120 is a deplexer 121 that processes and operates by dividing each frequency, an asynchronous wireless transceiver 122 that separat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processes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section protocol. An asynchronous modem unit 123 and a vocoder 124 for performing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the voice signal, and the synchronization module 130 divides each frequency into a deplexer 131 that processes and operates and synchronizes. A synchronous modem unit 133 for processing a wireless section protoco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vocoder 134 for encrypting and decrypting a voice signal.

상기 비동기 모듈(120)의 구성 중 비동기 모뎀부(123)는 핸드오버 셀 지역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비동기망 서비스 지역 내에서 호 송수신을 수행하면, 동기 모뎀부(133)로 모뎀 구동을 요청한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asynchronous module 120,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enters the handover cell area or transmits and receives a call in the asynchronous network service area, and requests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o drive the modem.

동기 모뎀부(133)는 비동기 모뎀부(123)의 모뎀 구동 요청에 따라 모뎀의 초기화 절차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파일롯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준비 절차를 수행하여 모뎀을 구동하고, 저전력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동기 모뎀부(133)의 저전력 상태는 동기 모뎀부(133)의 전원은 켜져있지만, 정보 송수신이 중단되고 모뎀부의 CPU 동작이 정지된 상태이며, 전류 소모량이 1㎃ ~ 1.5㎃로 기존의 유휴상태(Idle State)에 비해 전류 소모량이 적은 상태이다. 여기에서, 동기 모뎀부(133)가 저전력 상태에서 유휴상태로 천이하는데는 약 1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drives the modem by performing an initialization procedure of the modem and a preparation procedure for searching for a pilot channel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according to a modem driving request of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and a low power state. Keep it. Here, in the low power state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is turned on, bu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is stopped and the CPU operation of the modem unit is stopped, and the current consumption is 1 ㎃ to 1.5 ㎃ The current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idle state of. Here, it takes about one second for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o transition from the low power state to the idle state.

공통모듈(140)은 비동기 모뎀부(123) 및 동기 모뎀부(133)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등을 포함한다.The common module 140 includes an application processor, a memory, an input / output unit, other application processing units, etc. that operate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and perform multimedia functions.

또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트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equipped with software for the user interface, additional services, mobility management, access / session control, resource control, protocol processing, so that the user can use a variety of application services Handover is performed and protocol convers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은 핸드오버 셀 영역에 진입하였을 때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는 경우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호가 발신되거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호를 수신할 경우에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entering the handover cell area and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a call is transmitted from or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동기망과 비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비동기망에 위치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호가 발신되거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 모뎀부(133)를 구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handover method between a synchronous network and an asynchron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when a call is sent from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in an asynchronous network or a call is received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case where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drive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호가 발신되거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으로부터 호가 수신되면(S101),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123)는 동기 모뎀부(133)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할 것을 요구한다(S103).When a call is s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r a call is received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S101),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synchronous modem. The unit 133 requests that the synchronous modem unit be driven (S103).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 모뎀부(133)는 모뎀의 초기화 절차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파일롯 채널을 검색하기 위해 기동되어 초기화를 수행한다(S105).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started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of the modem and the pilot channel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o perform initialization (S105).

동기 모뎀부(133)가 기동되고 초기화를 수행한 이후, 동기 모뎀부(133)는 저전력 상태(Low Power Mode)로 천이한다(S107). 이때, 동기 모뎀부(133)의 저전력 상태는 동기 모뎀부(133)의 전원은 켜져있지만, 정보 송수신이 중단되고 모뎀부의 CPU 동작이 정지된 상태이며, 전류 소모량이 1㎃ ~ 1.5㎃로 기존의 유휴상태(Idle State)에 비해 전류 소모량이 적은 상태이다. 여기에서, 동기 모뎀부(133)가 저전력 상태에서 유휴상태로 천이하는데는 약 1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After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is started and initialized,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ransitions to a low power mode (S107). At this time, in the low power state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is turned on, bu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is stopped and the CPU operation of the modem unit is stopped, and current consumption is 1 ㎃ to 1.5 ㎃. The current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idle state. Here, it takes about one second for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o transition from the low power state to the idle state.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10)이 핸드오버 셀 영역을 통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비동기 모뎀부(123)는 핸드오버를 위한 트리거를 수행한다(S109).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ing the servic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moves to the service area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rough the handover cell area, it is asynchronous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The modem unit 123 performs a trigger for handover (S109).

비동기 모뎀부(123)는 공통모듈(140)을 통하여 동기 모뎀부(133)로 유휴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S111),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를 요구한다(S113). 이때, 비동기 모뎀부(123)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requests to transition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in the idle state through the common module 140 (S111), and requests a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S113). . At this time,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transmits the system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단계 S111에서의 유휴상태 천이 요구에 따라, 동기 모뎀부(133)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파일롯 채널 및 동기 채널을 검색한 후(S115, S117), 유휴상태(Idle 상태)로 천이한다(S119).In response to the idle state transition request in step S111,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searches for the pilot channel and the sync channel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S115 and S117), and then transitions to the idle state (Idle state). (S119).

이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비동기 모뎀부(123)가 상기 단계 S113에서 전송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면(S121), 비동기 모뎀부(123)는 공통모듈(140)을 통하여 동기 모뎀부(133)로 트래픽 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구한다(S123).Subsequently, wh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instructs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to perform a handover based on system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d in step S113 (S121), asynchronously. The modem unit 123 requests a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hrough the common module 140 (S123).

이에따라, 동기 모뎀부(133)는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초기화를 수행하고(S125),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역방향 트래픽을 전송한다(S127).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performs initialization to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S125), and transmits reverse traffic to synchronize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S127).

이어서, 동기 모뎀부(133)는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에 보고한 후(S129), 공통모듈(140)를 통해 비동기 모뎀(123) 및 비동기 보코더(124)를 오프하고 동기 보코더(134)를 구동함으로써 보코더를 전환한다(S131).Subsequent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reports to the base statio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S129), and then transmits the asynchronous modem 123 and the asynchronous vocoder 124 through the common module 140. The vocoder is switched by turning off and driving the synchronous vocoder 134 (S131).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의 핸드오버 수행 후,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 모뎀부(133)는 핸드오버 수행 이전의 호 접속 상태(S101)를 양호하게 유지한다.After performing the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atisfies the call connection state S101 before performing the handover. Keep i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동기망과 비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비동기망에 위치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이 핸드오버 셀 지역으로 이동 시,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 모뎀부(133)를 구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handover method between a synchronous network and an asynchronou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in an asynchronous network moves to a handover cell area. An example of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of FIG.

이동통신 단말(10)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123)는 동기 핸드오버 셀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고(S201), 그로부터 핸드오버 셀 영역에 진입했음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비동기 모뎀부(123)는 공통모듈(140)을 통하여 동기 모뎀부(133)로 모뎀을 구동할 것을 요구한다(S203).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ters the service area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om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receives the system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synchronous handover cell area. Information is obtained (S201), from which it is recognized that the handover cell area has been entered. Accordingly,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requests to drive the modem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hrough the common module 140 (S203).

여기에서,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123)는 핸드오버 셀 영역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동기 모뎀부(133)를 구동하도록 요청한다.Here, when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enters the handover cell area, it requests to drive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automatically.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 모뎀부(133)는 모뎀의 초기화 절차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파일롯 채널을 검색하기 위해 기동되어 초기화를 수행한다(S205).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started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of the modem and the pilot channel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o perform initialization (S205).

동기 모뎀부(133)가 기동되고 초기화를 수행한 이후, 동기 모뎀부(133)는 저전력 상태(Low Power Mode)로 천이한다(S207). 이때, 동기 모뎀부(133)의 저전력 상태는 동기 모뎀부(133)의 전원은 켜져있지만, 정보 송수신이 중단되고 모뎀부의 CPU 동작이 정지된 상태이며, 전류 소모량이 1㎃ ~ 1.5㎃로 기존의 유휴상태(Idle State)에 비해 전류 소모량이 적은 저전력 상태이다. 여기에서, 동기 모뎀부(133)가 저전력 상태에서 유휴상태로 천이하는데는 약 1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After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is started and initialized,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ransitions to a low power mode (S207). At this time, in the low power state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is turned on, bu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is stopped and the CPU operation of the modem unit is stopped, and current consumption is 1 ㎃ to 1.5 ㎃. It is a low power state that consumes less current compared to the idle state. Here, it takes about one second for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o transition from the low power state to the idle state.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10)이 핸드오버 셀 영역을 통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비동기 모뎀부(123)는 핸드오버를 위한 트리거를 수행한다(S209).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ing the servic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moves to the service area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rough the handover cell area, it is asynchronous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The modem unit 123 performs a trigger for handover (S209).

비동기 모뎀부(123)는 공통모듈(140)을 통하여 동기 모뎀부(133)로 유휴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S211),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를 요구한다(S213). 이때, 비동기 모뎀부(123)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한다.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requests to transition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in the idle state through the common module 140 (S211), and requests a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S213). . At this time,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transmits the system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단계 S211에서의 유휴상태 천이 요구에 따라, 동기 모뎀부(133)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파일롯 채널 및 동기 채널을 검색한 후(S215, S217), 유휴상태(Idle 상태)로 천이한다(S219).In response to the idle state transition request in step S211,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searches for pilot channels and sync channels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S215 and S217), and then transitions to an idle state (Idle state). (S219).

이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비동기 모뎀부(123)가 상기 단계 S213 에서 전송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시스템 정보를 기초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면(S221), 비동기 모뎀부(123)는 공통모듈(140)을 통하여 동기 모뎀부(133)로 트래픽 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구한다(S223).Thereafter, wh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instructs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to perform handover based on system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d in step S213 (S221). The modem unit 123 requests a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through the common module 140 (S223).

이에따라, 동기 모뎀부(133)는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초기화를 수행하고(S225),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역방향 트래픽을 전송한다(S227).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initializes to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S225), and transmits reverse traffic to synchronize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S227).

이어서, 동기 모뎀부(133)는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에 보고한 후(S229), 공통모듈(140)를 통해 비동기 모뎀(123) 및 비동기 보코더(124)를 오프하고 동기 보코더(134)를 구동함으로써 보코더를 전환한다(S231).Subsequent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reports to the base statio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S229), and then transmits the asynchronous modem 123 and the asynchronous vocoder 124 through the common module 140. The vocoder is switched by turning off and driving the synchronous vocoder 134 (S231).

단계 S231 이후에, 동기 모뎀부(133)는 유휴상태를 유지한다.After step S231, the synchronous modem unit 133 maintains an idle st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망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의 호 송수신 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고 저전력 상태로 유지한 후,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시 발생되는 통화 단절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andover method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synchronous network using the low power state of 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in the asynchronous network Since the handover is performed from the asynchronous network to the synchronous network after maintaining the low power stat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all disconnection that occurs during the handover.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은 핸드오버 셀 진입시 자동으로 동기 모뎀부 구동하고 저전력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rives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the handover cell enters and maintains a low power stat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handover success rate from the asynchronous network to the synchronous network.

Claims (12)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로서,A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erforming handover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통신중,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 조건이 되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뎀부를 구동하기 위해 모뎀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비동기 모뎀부; 및An asynchronous modem unit for outputting a modem driving signal to drive a modem unit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ignal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a preset handover condition is established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상기 비동기 모뎀부로부터 출력되는 모뎀 구동 신호에 따라 오프 상태에서 기동되어 초기화를 수행한 후, 대기모드인 저전력 상태로 천이하는 동기 모뎀부;A synchronous modem unit which is started in an off state and initializes according to a modem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asynchronous modem unit and then transitions to a low power state in a standby mode; 를 포함하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핸드오버 트리거링에 따라 상기 대기모드에 있는 동기 모뎀부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And performing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synchronous modem unit in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handover triggering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동기 모뎀부는 호 설정을 위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면 상기 핸드오버 조건이 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동기 모뎀부로 모뎀부 기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The asynchronous modem unit determines that the handover condition has been me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all setup, and requesting the modem unit to be activa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동기 모뎀부는 모뎀 기동 및 핸드오버 수행 이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호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The synchronous modem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o and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fter modem startup and handover is performed, and maintains the call setup st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동기 모뎀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의 경계 지역인 핸드오버 셀에 진입하면, 상기 동기 모뎀부로 모뎀부 기동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handover cell which is a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gion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gion, the asynchronous modem unit requests the mobile terminal to start the modem unit. .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동기 모뎀부는 모뎀 기동 및 핸드오버 수행 이후, 유휴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The synchronous modem unit maintains an idle state after starting a modem and performing a hando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모뎀부의 저전력 상태는,The low power state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상기 동기 모뎀부의 전원은 켜져있지만 정보 송수신이 중단되고 동기 모뎀부의 CPU 동작이 정지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turned on bu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is stopped and the CPU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stopped.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지정된 크기의 핸드오버 셀이 존재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제어 방법으로서,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a handover cell of a specified size exists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ultimode including an asynchronous modem unit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for handover of a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핸드오버 조건을 판단하는 제 1 단계; 및A first step of determining a handover condition; And 상기 제 1 단계에서 핸드오버 조건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를 기동하고 대기모드인 저전력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starting a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itioning to a low power state in a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condition is performed in the first step; 를 포함하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핸드오버 트리거링에 따라 상기 대기모드에 있는 동기 모뎀부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And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synchronous modem unit in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the handover triggering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method between synchronization network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1 단계는,The first step is, 상기 비동기 모뎀부가 호 설정을 위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면, 핸드오버 조건이 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When the asynchronous modem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set up a call, it is determined that a handover condition has b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over method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using a low power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동기 모뎀부는 모뎀 기동 및 핸드오버 수행 이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호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 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The synchronous modem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o and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aintains the call setup state after the modem is started and the handover is performed. The handover method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synchronous network using the low power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1 단계는,The first step is, 상기 비동기 모뎀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계 지역인 핸드오버 셀에 진입하면, 핸드오버 조건이 되었다고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When the mobile terminal enters a handover cell which is a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asynchronous modem unit determines that a handover condition has been reached. Handover method between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동기 모뎀부는 모뎀 기동 및 핸드오버 수행 이후, 유휴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The synchronous modem unit maintains an idle state after starting a modem and performing a handover. The handover method betwee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using a low power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동기 모뎀부의 저전력 상태는,The low power state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상기 동기 모뎀부의 전원은 켜져있지만 정보 송수신이 중단되고 동기 모뎀부의 CPU 동작이 정지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저전력 상태를 이용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The handset method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synchronous network using a low power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turned on bu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is stopped and the CPU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stopped.
KR1020040021964A 2004-03-31 2004-03-31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612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964A KR100612682B1 (en) 2004-03-31 2004-03-31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PCT/KR2005/000958 WO2006004300A1 (en) 2004-03-31 2005-03-31 A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JP2007506087A JP4613202B2 (en) 2004-03-31 2005-03-31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of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is
US10/594,465 US20080095111A1 (en) 2004-03-31 2005-03-31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BRPI0508765-1A BRPI0508765A (en) 2004-03-31 2005-03-31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asynchronous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CN200580017469A CN100593918C (en) 2004-03-31 2005-03-31 A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964A KR100612682B1 (en) 2004-03-31 2004-03-31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554A KR20050096554A (en) 2005-10-06
KR100612682B1 true KR100612682B1 (en) 2006-08-14

Family

ID=3727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964A KR100612682B1 (en) 2004-03-31 2004-03-31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2682B1 (en)
CN (1) CN100593918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93B1 (en) * 2005-12-26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reducing consumption of an electric current in multi-m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thefefor
KR100652931B1 (en) * 2005-12-26 2006-12-0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modem power control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KR100739183B1 (en) * 2005-12-30 200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first communications module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a second communications module
KR100879664B1 (en) * 2006-02-28 2009-01-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Method of performing traffic handover between synchronous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asynchrous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traffic handover
KR101221908B1 (en) * 2006-09-04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executing hand-over and Mobile Station implementing the same
US7936708B2 (en) * 2008-02-26 2011-05-0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network selection and handover
CN108268416B (en) * 2017-12-13 2021-02-23 深圳市国微电子有限公司 Asynchronous interface to synchronous interface control circuit
KR102338504B1 (en) * 2018-02-08 2021-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nhanced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578A (en) * 2002-05-08 2003-11-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module in a wireless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578A (en) * 2002-05-08 2003-11-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module in a wireless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554A (en) 2005-10-06
CN100593918C (en) 2010-03-10
CN1961503A (en)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473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US6914913B2 (en) Multi-mode interoperable mobile station communications architectures and methods
JP5536144B2 (en) Hybrid protocol that supports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etworks
US7796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managing power-up timer for high-spee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5048628A1 (en)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by selectively powering a transceiver based on a communication request received by another transceiver
JP4613202B2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of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is
KR100612682B1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w Power Mode of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746047B1 (en) System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KR20050097722A (en)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KR10071800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2683B1 (en) Decision Method of Initial Transmitting Pow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2694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251742B1 (en) Method of managing dormant states for improving wireless packet data service
KR101077481B1 (en) Method for Operating MM-MB Terminal at Both WCDMA Mode and CDMA Mode Simultaneously and MM-MB Terminal Therefor
KR10107995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WiBro Network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60060784A (en) Handover method betwe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79799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579800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20050102370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20050106639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change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2695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1080558B1 (en) Idle Handover Method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20070072971A (en)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using the same
KR20060013012A (en) Method for reducing call connection time in mode transition to wcdma mode of cdma preferred mode mm-mb terminal and mm-mb terminal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