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799B1 -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 Google Patents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799B1
KR100579799B1 KR1020040041669A KR20040041669A KR100579799B1 KR 100579799 B1 KR100579799 B1 KR 100579799B1 KR 1020040041669 A KR1020040041669 A KR 1020040041669A KR 20040041669 A KR20040041669 A KR 20040041669A KR 100579799 B1 KR100579799 B1 KR 10057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synchronous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6563A (en
Inventor
김영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799B1/en
Priority to BRPI0511364-4A priority patent/BRPI0511364A/en
Priority to US11/628,977 priority patent/US20080219212A1/en
Priority to PCT/KR2005/001704 priority patent/WO2005122437A1/en
Priority to JP2007527001A priority patent/JP2008502270A/en
Publication of KR2005011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04B7/0421Feedback systems utilizing implicit feedback, e.g. steered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모뎀부를 제어하여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A method for improving the handover success rate from an asynchronous network to a synchronous network by controlling a modem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에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경계 지역에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을 구비하며, 이동통신 단말이 접속된 셀 및 활성 셀 정보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보고함에 따라, 활성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도록 지시하고, 동기 모뎀부가 구동된 이동통신 단말과 활성 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세기가 최대인 경우 핸드오버 여부 및 핸드오버 셀을 결정한 후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요청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고,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한 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 dummy pilot signal in the boundary area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orts the connected cell and active cell information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cell includes a boundary cell,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structs the mobile terminal to drive the synchronous modem unit, and transmits a dummy pilot signal among the signal strength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tive cell in which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driven. When the signal strength is maximum, the handover is instruct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handover the cell and the handover cell.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quests the hando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fter that,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prove handover success rate when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network to a synchronous network.

핸드오버, 더미 파일럿, 모뎀 제어Handover, Dummy Pilot, Modem Control

Description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도 1은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일반적인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neral handover method from an asynchronous network to a synchronous network;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over conce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통신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40 : IP망30: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40: IP network

110 : 동기 모듈 120 : 비동기 모듈110: synchronous module 120: asynchronous module

130 : 공통모듈 210 : RNS130: common module 210: RNS

212, 214 : 노드 B 216 : 무선망 제어기212, 214: Node B 216: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20 : 비동기 교환기 230, 330 : No.7 공통신호망220: asynchronous exchange 230, 330: No.7 common signal network

240, 340 : 단문 서비스 센터 250, 350 : 지능망 제어기240, 340: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250, 350: Intelligent Network Controller

260, 360 : 홈위치 등록기 270 : SGSN260, 360: Home Location Register 270: SGSN

280 : GPRS망 290 : GGSN280: GPRS network 290: GGSN

310 : BS 312, 314 : 기지국310: BS 312, 314: Base Station

316 : 기지국 제어기 320 : 동기 교환기316: base station controller 320: synchronous exchange

370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380 : 데이터 코어망370: packet data service node 380: data core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동기망과 동기망에 중첩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모뎀부를 제어하여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핸드오버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over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handover success rate from an asynchronous network to a synchronous network by controlling a modem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erimposed o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It is about a method for making it.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으로 대표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과 데이터를 위한 큰 용량과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3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고속 이동성을 지원하고 서비스 품질이 우수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 성능 또한 우수한 특성이 있다.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presented by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is a representativ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provides high capacity and high data rate for voice and data.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support high-speed mobility, excellent service quality, and large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이러한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간 글로 벌 로밍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Multi Mode Multi Band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As the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commercializ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lti Mode Multi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in both a synchronous system and an asynchronous system is developed to support global ro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fferent types of services can be used in each of the asynchronous system area and the synchronous system area.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다양한 이점이 있지만 망 구축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 중에 있고, 이에 따라 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various advantages over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ut since the network construction requires a lot of cost,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urrently being built around the area where the service demand is high. The service area is evolved to include the service area of the asynchronous system. In this process, when a user moves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between systems for continuous service provision is provided. Will be needed.

도 1은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의 일반적인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러한 핸드오버 방법은 크게 이동통신 단말이 인접 셀 정보를 비동기망으로 보고하여 비동기망에서 핸드오버가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함에 따라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과정(S10), 비동기망이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과정(S20),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 모드에서 동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S30),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모드로 전환을 완료한 후 동기망과 접속하는 과정(S40) 및 비동기망의 접속을 해제하는 과정(S50)으로 이루어진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neral handover method from an asynchronous network to a synchronous network. The handover method largely determines th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s handover in an asynchronous network by reporting neighbor cell information to an asynchronous network. In step (S10), asynchronous network instructs the hando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witch from the asynchronous mode to the synchronous mode (S30), movement Aft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completes the switching to the synchronous mode, a process of connecting to the synchronous network (S40) and a process of releasing the connection of the asynchronous network (S5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은 인접 셀(기지국)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비동기망의 무선망 부시스 템(노드 B/무선망 제어기, Radio Network Subsystem)으로 보고한다(S101). 무선망 부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의 무선환경 측정값을 참조하여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며,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비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한다(S102). 이때 무선망 부시스템은 핸드오버가 필요한 이동통신 단말 정보, 인접 셀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한다.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servic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eriodically measures the neighboring cell (base st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network bush (node B / wireless network controller, Radio Network Subsystem) of the asynchronous network. Report (S101). The wireless network sub-system determines the handover by referring to the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 value 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necessary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when the handover is necessary (S102). At this time, the wireless network sub-system transmi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and neighbor cell information that require handover together.

이에 따라, 비동기 교환기는 무선망 부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이동통신 단말 정보, 인접 셀 정보 등을 확인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S103), 동기 교환기는 기지국 시스템(BTS/BSC)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이에 따라 기지국 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로 전방향 채널을 할당하여 핸드오버를 준비하게 된다(S104).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is necessary by check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and the neighbor cel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sub system, the asynchronous exchange requests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exchange (S103). In step S104, the synchronization exchange requests handover to the base station system (BTS / BSC), and the base station system allocates an omnidirectional channel to the synchronization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04).

이후, 동기 교환기가 비동기 교환기의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면, 비동기 교환기는 무선망 부시스템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S105, S106). 이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관련 정보가 포함되며, 특히 채널 할당을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Then, when the synchronous exchange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for the handover request of the asynchronous exchange, the asynchronous exchange instructs the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subsystem (S105, S106). The handover indication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information for channel allocation.

무선망 부시스템으로부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는 동기 모뎀부로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고(S107), 이에 따라 동기 모뎀부는 동기망과의 접속을 위한 통신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는 스위치-온 및 웜-업 과정을 통해 기동되고(S108),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을 획득하여(S109, S110) 동기망과 동기를 이루고 동기망으로부터 타이밍 정보 및 시스템 정보 등을 수신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는 유휴 상태를 거쳐(S111),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S112).Upon receiving the handover instruction message from the wireless network subsystem,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handover instruction message including channel assignment information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S107), whereby the synchronous modem unit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synchronous network. Perform communication preparation process. That is,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through a switch-on and warm-up process (S108), obtains a pilot channel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S109, S110) to synchronize with the synchronous network, and obtains timing information and Receive system information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oes through the idle state (S111), and transitions to the traffic state (S112).

동기 모뎀부의 구동이 완료되어 트래픽 상태로 천이한 후에는 동기 모뎀부가 동기망의 기지국 시스템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역방향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망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며(S113), 이어서 비동기 모뎀부와 동기 모뎀부 간의 보코더 절환 등 모드 전환이 이루어진다(S114).After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and the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the synchronous modem unit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to the base station system of the synchronous network and transmits a reverse frame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network (S113). Subsequently, mode switching such as vocoder switching between the asynchronous modem unit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performed (S114).

이후, 이동통신 단말이 기지국 시스템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함에 따라 동기 교환기가 비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한다(S115). 아울러, 비동기 교환기가 무선망 부시스템으로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무선망 부시스템이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한 후 비동기 교환기로 이를 보고(S116)함에 따라 핸드오버가 완료되게 된다.Subsequently,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to the base station system, the synchronous exchange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and requests to release the connection (S115). In addition, the asynchronous exchange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wireless network sub-system, and after the wireless network sub system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ports it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S116), handover is completed. Will be.

이상에서 설명한 핸드오버 방법에서,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망과 접속중인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는 오프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망과 동기망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동기 모뎀부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야 하는데 이때,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는 시점을 이동통신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과 시스템의 상태가 서로 달라 핸드오버를 실패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the handover method described above,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n off state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network. Howev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synchronous network and needs to perform handover to the synchronous network, the synchronous modem unit should be turned on. At this time,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s driven. Since it is determi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there is a case where the handover fails because the stat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stem are different.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서비스 이용 중에 핸드오버가 필요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는 데는 10초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통화가 단절되기 전에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여야 한다. 만약,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때까지 동기 모뎀부가 구동되지 않으면 핸드오버가 이루어지지 않고 호가 단절되게 되며, 동기 모뎀부가 필요 이상 일찍 구동되는 경우에는 2개의 모뎀부가 동시에 온(on)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력 소모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모뎀부의 구동 시점을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핸드오버시 통화 단절, 전력 소모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ires a handover during the us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so that it takes about 10 seconds to drive the synchronous modem for communicating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synchronous modem unit must be driven before the cal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onnected. If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not driven until it is completely out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rea, the handover is not made and the call is disconnected. If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driven earlier than necessary, the two modem units are on at the same time. Since the power consumption is disadvantageou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iming of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not accurately know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and power consumption occur during handover.

따라서,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이 구비하고 있는 두 개의 모뎀을 어떤 시점에서 구동하고 오프할 것인지 결정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게 된다.Therefore, the problem of deciding at which point in time to run and turn off the two modems of 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very importa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망과 동기망의 경계 지역에 구현된 동기 기지국에서 비동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이 경계 지역에 진입하면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도록 하며, 구동된 이동통신 단말의 활성 셀과의 송수신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과의 신호세기가 가장 큰 경우 이동통신 단말을 동기망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함으로써, 핸드오버시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are mixed, the asynchronous dummy pilot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synchronous base station implemented at the boundary area of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synchronous network.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undary area,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riven.If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dummy pilot signal is the highest among the strengths of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signals with the active ce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handing over the terminal to the synchronization network.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첩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경계 지역에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현재 접속중인 셀 및 활성 셀 정보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보고함에 따라, 상기 활성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제 1 과정; 상기 동기 모뎀부가 구동된 이동통신 단말과 활성 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상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여부 및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한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제 2 과정;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가 상기 동기 모뎀부로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도록 요청하는 제 3 과정;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는 제 4 과정; 및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over method of a dual-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synchronous modem unit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verlap each other.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 dummy pilot signal having a frequency equal to a frequency used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 boundary area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cell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connected; Reporting active cell information to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first step of instructing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drive the synchronous modem unit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boundary cell is included in the active cell; Whe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ell that transmits the dummy pilot signal among th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active cell and the active cell is the maximu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termines whether the handover and the handover target cell A second step of instructing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hird step of requesting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as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quests a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ourth process of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fifth process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leasing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212, 214) 및 복수의 노드 B(212, 214)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망 제어기(RNC, 216), 무선망 제어기(216)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비동기 MSC, 220), 비동기 교환기(220)와 No.7 공통신호망(230)을 통해 연결되는 단문 서비스 센터(SMSC, 240), 지능망 제어기(SCP, 250) 및 홈위치 등록기(HLR, 260), 무선망 제어기(216)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8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270), SGSN(270)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80)을 통해 연결되고, IP망(4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90)을 포함한다.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is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for controlling the Node Bs 212 and 214 and the Node Bs 212 and 214 as base stations for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216, asynchronous switch (asynchronous MSC, 220), asynchronous exchange 220 and the No.7 common signal network connected to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216 to perform a call exchange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hort service center (SMSC, 240), intelligent network controller (SCP, 250) and home location register (HLR, 260), wireless network controller 216 an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 280 connected via 230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270, SGSN 270, and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network 280 connected between each other to maintain a location tr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perform access control and security functions.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which is connected to the IP network 40 and supports interworking with external packets. ).

여기에서, 노드 B(212, 214) 및 복수의 노드 B(212, 214)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무선망 제어기(216)를 특히 무선망 부시스템(RNS, 210)라 칭한다.Here,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216 that manages radio resources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Node Bs 212 and 214 and the plurality of Node Bs 212 and 214 is specifically referred to as a radio network subsystem (RNS, 210). .

한편,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통신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BTS; 312, 314) 및 복수의 기지국(312, 314)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SC, 316),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316)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동기 MSC, 320), 교환기(320)와 No.7 공통신호망(330)을 통해 연결되는 단문 서비스 센터(SMSC, 340), 지능망 제어기(SCP, 350) 및 홈위치 등록기(HLR, 360), 기지국 제어기와 접속되어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7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70)와 IP망(4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is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316) for controlling the base station (BTS) 312, 314 and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312, 314) that support wireless sectio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short-term service center (SMSC) connected to at least one base station controller 316 and connected through a switch (synchronous MSC 320) to perform a call exchange, the switch 320 and a No. 7 common signaling network 330; 340, an intelligent network controller (SCP, 350)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360), a 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370), a packet data service node (370) for providing a packet data service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 And a data core network (DCN) 380 for suppor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IP network 40 and the IP network 40.

여기에서, 기지국(312, 314) 및 복수의 기지국을 관리 및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316)를 특히 기지국 시스템(BS, 310)라 칭한다.Here, the base station controller 316 that manages and controls the base stations 312 and 314 and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is referred to in particular as the base station systems BS and 310.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교환기(220, 320)는 No.7 공통신호망(230, 330)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홈위치 등록기(260, 360)는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로 구현할 수 있으며, 가입자 정보, 부가 서비스 이용 상황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고, 교환기(220, 320)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를 제공한다.The switches 220 and 320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are interconnected by the No. 7 common signal networks 230 and 330, and the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performed. Send and receive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home location registers 260 and 360 may be implemented as a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The home location registers 260 and 360 may store and manage subscriber information, additional service usage status, and provide subscriber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exchange 220 or 320. .

아울러, 비동기망 이동통신 시스템(20)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경계 지역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하여 비동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 시스템 및 이에 의한 더미 셀 영역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경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게 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모든 활성 셀과 송수신하는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과의 신호 세기가 가장 큰 경우 핸드오버를 결정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한 다.In addition, a base st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dummy pilot signal to support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ummy cell area therein may be constructed in a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Can b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at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dummy pilot signal is received to establish a radio link and drive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the dummy pilot signal is the largest among the signal strength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active cell, handover is determined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구조도이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멀티모드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10)은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10),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120) 및 공통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과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안테나를 구비한다.As shown, the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ule 110 for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module 120 f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common module 130. And an antenna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cessing a frequency band for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frequency band f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동기 모듈(11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1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동기 무선 송수신부(112)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동기 모뎀부(113)를 포함하고, 비동기 모듈(120)은 각각의 주파수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밴드 패스 필터로 동작하는 듀플렉서(121), 송수신 전파를 정해진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비동기 무선 송수신부(122) 및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비동기 모뎀부(123)를 포함한다.The synchronization module 110 includes a duplexer 111 that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respective frequencies, a synchronous wireless transceiver 112 for sepa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a wireless section with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asynchronous module 120 includes a synchronous modem unit 113 for processing a protocol, and the asynchronous module 120 divides each frequency into a duplexer 121 that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and asynchronous radios for sepa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into predetermined frequency bands. It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2 and an asynchronous modem unit 123 for processing a wireless section protocol with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공통 모듈(130)은 동기 모뎀부(113) 및 비동기 모뎀부(123)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부분으로, 메모리(131), 디스플레이(135)에 정보가 표출되도록 하기 위한 LCD 드라이버(13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키패드(133), 스피커(136)를 통해 출력되거나 마이크(137)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변복조하기 위한 코덱(134)을 포함한다.The common module 130 acts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113 and the asynchronous modem unit 123 and performs multimedia functions, user interface, additional service, mobility management, access / session control, resources. Software to control and protocol processing is mounted, the memory 131, the LCD driver 132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135, the keypad 133 for receiving a signal input by the user, And a codec 134 for modulating and demodulating a voice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136 o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37.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의 상태는 오프 상태, 스탠바이(standby) 상태, 유휴(ready 또는 idle) 상태 및 트래픽(traffic 또는 busy) 상태로 나눌 수 있으며, 유휴 상태는 동기망과 동기를 획득하고 오버헤드 메시지의 수신만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스탠바이 상태는 이동통신 단말이 유휴 상태로 천이한 후 다시 모뎀의 송수신이 중단된 저전력 모드(Low Power Mode)로 천이한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한 후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는 데는 약 1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스탠바이 상태에서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는 데는 약 2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The state of the synchronous modem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n off state, a standby state, an idle state (ready or idle state), and a traffic state (traffic or busy state). The standby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only a message can be received, and the standby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itions to an idle state and then transitions to a low power mode in which modem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stopped. In general, it takes about 10 seconds to transition to the standby state after turning on the power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bout 2 seconds to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from the standby state. .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을 구동하는 데 10초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을 너무 일찍 구동하게 되면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게 되고, 너무 늦게 구동하게 되면 호가 단절되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환경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 구동 시점을 적절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As such, since it takes more than 10 seconds to dri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riven too early,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nd if it is driven too late, the call is disconnected. It is important to properly determine the timing of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environment between the systems.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망과 동기망의 경계 지역에 진입하면 이동통신 단말을 구동시켜 두고, 이동통신 단말과 모든 활성 셀과의 신호 세기 중 비동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세기가 가장 큰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며,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한 후 이동통신 단말을 트래픽 상태로 전환시켜 동기망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this e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synchronous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an asynchronous dummy pilot signal among the signal strength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ll active cells. If the signal strength is the largest, the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and after determining the cell to be handed o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traffic state to handover to the synchronous network.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 is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over conce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지역의 RNS(210)와 접속되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던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 측으로 이동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지역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 지역의 경계 지역(A)에 진입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10)은 RNS(210)와 접속되어 서비스를 받으면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 시스템(BS; 310-1, 310-2, 310-3)과 무선링크를 설정하게 된다.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RNS 210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rea and using the service moves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area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area. When entering the boundary area (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RNS 210 receives a service, the base station system (BS)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BS; 310-1, 310-2, 310) -3) and establish a wireless link.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 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310-2)는 비동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 시스템으로서, 더미 파일럿 신호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므로, 비동기 모뎀부가 활성화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 systems 310-2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is a base st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dummy pilot signal, and the dummy pilot signal has the same frequency as that used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which the asynchronous modem unit is activated can easily search f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10)이 경계 지역(A)에 위치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10)에서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보고하는 인접 셀 정보에 활성 셀이 경계 셀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게 되며, RNS(210)는 이를 인지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를 스탠바이 상태 또는 유휴 상태로 구동시켜 둔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located in the boundary area A,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active cell is the boundary cell is included in the neighbor cell information periodically measured and re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RNS 210 recognizes this and drives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standby state or an idle state.

또한, RNS(210)는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 모뎀부가 구동된 상태에서 활성 셀과 송수신하는 신호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 시스템(310-2)과의 신호세기가 최대가 되면 핸드오버를 결정한다. 이후,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핸드오버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NS 210 when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base station system 310-2 that transmits a dummy pilot signal of th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active cell in the state that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driven is maximum Determine handover. Thereafter,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20 determines the handover target cell and then transition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ffic state so as to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10)이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활성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RNS(210)가 이동통신 단말(10)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여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고,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10)이 활성 셀과 송수신하는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 시스템(310-2)과의 신호세기가 최대가 되는 경우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여 이동통신 단말(10)을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며, 비동기망에서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boundary cell in an active cell for establishing a radio link, the RNS 210 drives the synchronous modem unit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standby. Transition to the state, and if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base station system 310-2 that transmits a dummy pilot signal among the signal strength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the standby state is the maximum handover or not It is possible to trans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the idle state by determining a, and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as the handover target cell is determined in the asynchronous network.

이러한 핸드오버 방법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handover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이 현재 접속중인 셀 정보 및 인접 셀 정보를 비동기망으로 보고하는 과정(S31), 비동기망에서 인접 셀 정보를 확인하여 인접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과정(S32), 구동된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셀과의 신호세기를 확인하여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세기가 최대가 되는 경우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S33),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하고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과정(S10), 비동기망이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과정(S20),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S34),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모드로 전환을 완료한 후 동 기망과 접속하는 과정(S40) 및 비동기망의 접속을 해제하는 과정(S50)으로 이루어진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ell information and neighbor cell information th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connected to are asynchronous. Reporting process (S31), checking the neighbor cell information i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instru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rive the synchronous modem unit when the neighbor cell includes the border cell (S32),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adio link driv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handover when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cell which transmits the dummy pilot signal is maximized by checking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cell which is set (S33). A process of instructing an over (S10), a process of instructing a handover to an asynchronous network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 a process of transitioning to a traffic state by a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4), 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letes the switching to the synchronous mode, the process of accessing the synchronous network (S40) and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connection of the asynchronous network (S50).

여기에서, 비동기망이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과정(S32)은 이동통신 단말을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과정 또는 이동통신 단말을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과정 S32가 이동통신 단말이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인 경우, 과정 S34에서 이동통신 단말은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여 유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및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과정 S32가 이동통신 단말이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인 경우, 과정 S34에서 이동통신 단말은 트래픽 상태로 직접 천이하게 된다.Here, the process of instructing the asynchronous network to drive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2) may be a process of instru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standby state or a process of instru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idle state. have. When the process S32 instru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standby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the step of releasing the low power mode to transition to the idle state and the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in step S34. On the other hand, if the process S32 is a process for instru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idle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rectly transitioned to the traffic state in step S34.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은 현재 접속중인 셀 정보 및 인접 셀(기지국)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비동기망의 RNS(210)로 보고한다(S200). 이에 따라, RNS(210)는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활성 셀 중 경계 셀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201), 경계 셀이 존재하는 경우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할 것을 요청하며(S202), 이에 따라 비동기 모뎀부가 동기 모뎀부로 구동 명령을 전송하여(S203) 동기 모뎀부가 구동되고(S204), 동기 모뎀부가 이를 비동기 모뎀부로 보고한다(S205). 이에 따라 비동기 모뎀부가 RNS(210)로 인접 셀 정보를 포함하여 동기 모뎀부가 구동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S206).In deta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servic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eriodically measures the currently connected cell information and the neighboring cell (base station) information and reports it to the RNS 210 of the asynchronous network (S200). Accordingly, the RNS 210 checks whether there is a boundary cell among active cells for establishing a radio link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01), and requests the synchronous modem unit to be driven by the asynchronous modem unit when the boundary cell exists (S201). In step S202, the asynchronous modem unit transmits a driving command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S203),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driven (S204),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reports this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S205). Accordingly, the asynchronous modem unit may further perform a step of reporting to the RNS 210 that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driven, including the adjacent cell information (S206).

단계 S202에서, 비동기 교환기(220)는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모뎀부가 스탠 바이 상태로 천이할 것을 지시하거나, 유휴 상태로 천이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할 것을 지시한 경우, 동기 모뎀부는 스위치-온 및 웜-업 과정을 수행한 후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을 획득하여 유휴 상태로 천이한 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유휴 상태로 천이할 것을 지시한 경우 동기 모뎀부는 스위치-온 및 웜-업 과정을 수행한 후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을 획득하여 동기망과의 동기를 맞추고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In step S202,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may instruct the asynchronous modem unit to transition to the standby state or to the idle state. When instructing to transition to the standby state, the synchronous modem unit performs a switch-on and warm-up process, acquires a pilot channel and a sync channel, transitions to an idle state, and then transitions to a low power mode. On the other hand, when instructed to transition to the idle state, the synchronous modem unit performs a switch-on and warm-up process, acquires a pilot channel and a sync channel, synchronizes with the synchronous network, and acquires system information.

이어서, RNS(210)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접 셀 정보를 참조하여, 단계 S204에서 구동된 이동통신 단말이 활성 셀과 송수신하는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가 되면(S207) 핸드오버를 결정하여(S208) 비동기 교환기(220)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한다(S209).Subsequently, the RNS 210 refers to the neighbor cel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s a maximum signal strength with a cell that transmits a dummy pilot signal among the signal strength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riven in step S204 with the active cell. In step S207, the handover is determined (S208), and the handover is reported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S209).

한편, 비동기 교환기(220)는 RNS(210)로부터 전송받은 이동통신 단말 정보, 인접 셀 정보, 기지국 정보 등을 확인하여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한 후, 동기 교환기(320)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S210), 동기 교환기(320)는 BS(310)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이에 따라 BS(310)가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로 전방향 채널을 할당하여 핸드오버를 준비하게 된다(S211).On the other hand,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check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neighbor cell information, base station information, etc. received from the RNS 210 to determine the handover target cell, and requests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 In operation S210, the synchronization switch 320 requests a handover to the BS 310. Accordingly, the BS 310 prepares a handover by allocating an omnidirectional channel to the synchronization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211).

이어서, 동기 교환기(320)가 비동기 교환기(220)의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면, 비동기 교환기(220)는 RNS(2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S212, S213). 이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에는 동기 모뎀부가 유휴 상태에서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파라미터 등의 채널 할당 정보가 포함된다.Subsequently, when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handover request of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instructs the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NS 210 ( S212, S213). This handover indication message includes channel assignment information such as system parameters required for the synchronous modem to transition from the idle state to the traffic state.

RNS(210)로부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는 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지시하고(S214), 이에 따라 동기 모뎀부가 트래픽 상태로 전환되는데(S215), 단계 S202에서 동기 모뎀부의 스탠바이 상태로의 천이를 지시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고 동기망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휴 상태로 천이한 후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게 되고, 단계 S202에서 동기 모뎀부의 유휴 상태로의 천이를 지시한 경우에는 직접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게 된다.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handover instruction message from the RNS 210 instructs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S214), and 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switched to the traffic state (S215). In case of instructing a negative standby state,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eases the low power mode, transitions to an idle stat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synchronous network, and then transitions to a traffic state. In step S202, the synchronous modem When the transition to the negative idle state is instructed, the transition to the direct traffic state occurs.

이후, 동기 모뎀부가 동기망의 BS(310)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역방향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망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S216). 이와 같이 동기 모뎀부와 동기망이 접속된 후에는 비동기식 보코더(Adaptive Multi-Rate; AMR)를 동기식 보코더(Enhanced Variable Rate Coder; EVRC)로 전환하여 핸드오버 절차시의 묵음 구간이 최소화되도록 한다(S217).Subsequent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to the BS 310 of the synchronous network and transmits a reverse frame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network (S216).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synchronous modem unit and the synchronous network are connected, an asynchronous vocoder (AMR) is converted into an synchronous vocoder (Enhanced Variable Rate Coder; EVRC) to minimize the silence period during the handover procedure (S217). ).

이어서, 동기 교환기(320)가 비동기 교환기(220)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며(S218), 비동기 교환기(220)가 RNS(210)로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RNS(210)가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한 후 비동기 교환기(220)로 이를 보고(S219)함에 따라 핸드오버가 완료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reports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 and requests to release the connection (S218), and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connects to the RNS 210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he RNS 210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ports it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S219), the handover is completed.

이상에서는 경계 셀과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에 대하여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도록 하고, 동기 모뎀부가 구동된 상태에서 활성 셀과 송수신하는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가 되는 경 우 핸드오버를 결정한 후,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동기 모뎀부를 트래픽 상태로 천이시켜 동기망과 접속되도록 하는 핸드오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는 비동기망의 요청에 따라 스탠바이 상태 또는 유휴 상태로 천이시켜 둔 후,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트래픽 상태로 천이한다.In the above,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drive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establishes the radio link with the boundary cell,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cell transmitting the dummy pilot signal among the signal strength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active cell while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driven is After the handover is determined when the maximum is reached, the handover method for transition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to the traffic state according to the handover instruc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network has been described. Here,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itions to the standby state or the idle stat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n to the traffic state according to the handover instruction.

즉, 오프 상태의 동기 모뎀부는 비동기망의 구동 요청에 따라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한 후, 비동기망의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스탠바이 상태에서 다시 유휴 상태를 거쳐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거나, 비동기망의 구동 요청에 따라 오프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천이한 후, 비동기망의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유휴 상태에서 트래픽 상태로 직접 천이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망과 동기망의 경계 지역에 진입하게 되면 동기 모뎀부를 일단 구동시켜 두고,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 환경을 재확인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이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면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ynchronous modem unit in the off state transitions to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the asynchronous network operation request, and then transition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idle state again according to the handover instruction of the asynchronous network to the traffic state, or to the driving request of the asynchronous network. Accordingly, after the transition from the off state to the idle state, the state directly transitions from the idle state to the traffic state according to the handover instruction of the asynchronous network. As such,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synchronous network,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driven once, and the wireless environ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hecke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itions to the traffic state when handover is required. This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경계 지역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비동기망의 구동 요청에 따라 오프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고,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과 활성 셀과의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가 되는 경우 비동기망에서 핸드오버를 결정하여 스탠바이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한 후, 비동기망에서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한 후 핸드오버를 지시하여 이동통신 단말을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ing the border area transitions from the off state to the standby state in response to the driving request of the asynchronous network, the signa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active cell in the standby state If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cell that transmits the dummy pilot signal becomes the maximum among the strengths, the asynchronous network determines the handover and makes the transition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idle state. It is also possible to instru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a traffic state by referring to FIG. 6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로서, 이동통신 단말이 현재 접속중인 셀 정보 및 인접 셀 정보를 비동기망으로 보고하는 과정(S31), 이동통신 단말의 활성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비동기망이 이동통신 단말로 동기 모뎀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고, 스탠바이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활성 셀과의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경우 비동기망에서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여 동기 모뎀부를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과정(S35), 비동기망이 동기망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과정(S10), 비동기망이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과정(S20),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S36),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모드로 전환을 완료한 후 동기망과 접속하는 과정(S40) 및 비동기망의 접속을 해제하는 과정(S50)으로 이루어진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orts cell information and neighbor cell information currently connected to an asynchronous network (S31). If the active cell includes a boundary cell, the asynchronous network instru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he synchronous modem unit to the standby state, and a dummy pilot of the signal strength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active cell establishing the radio link. When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cell transmitting the signal is maximum, instructing the asynchronous network to transition to the idle state by determining whether to handover in the asynchronous network (S35), and instructing handover to the synchronous network by the asynchronous network ( S10), the process of instructing the hando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ynchronous network (S20), the process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itions to the traffic state (S3) 6) 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letes the switch to the synchronous mode, the process of connecting to the synchronous network (S40) and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connection of the asynchronous network (S5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은 인접 셀(기지국)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비동기망의 RNS(210)으로 보고한다(S300). 이에 따라, RNS(210)는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활성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S301),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모뎀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구동할 것을 요청한다(S302). 이에 따라 비동기 모뎀부가 동기 모뎀부로 스탠바이 상태로의 천이를 명령하여(S303) 동기 모뎀부가 스탠바이 상태로 되고(S304), 동기 모뎀부가 이를 비동기 모뎀부로 보고한다(S305). 이에 따라 비동기 모뎀부가 비동기 교환기(320)로 동기 모뎀부가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였음을 보고하는 단계를 추가 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servic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eriodically measures the neighbor cell (base station) information and reports to the RNS 210 of the asynchronous network (S300). Accordingly, the RNS 210 checks whether the boundary cell is included in the active cell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stablishes the radio link (S301), and when the boundary cell is included, the synchronous modem unit serves as an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 to drive to the standby state (S302). Accordingly, the asynchronous modem unit instructs the synchronous modem unit to transition to the standby state (S303),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in the standby state (S304),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reports this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S305). Accordingly, the asynchronous modem unit may further perform the step of reporting to the asynchronous switch 320 that the synchronous modem unit has transitioned to the standby state.

이어서, RNS(210)는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한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활성 셀과의 신호 세기를 확인하여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것으로 확인되면(S306)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고(S307),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모뎀부를 유휴 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청한다(S308). 이에 따라 비동기 모뎀부가 동기 모뎀부로 유휴 상태로의 천이를 명령하여(S309) 동기 모뎀부가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천이하게 되며(S310), 동기 모뎀부는 이를 비동기 모뎀부로 보고한다(S311). 다음에, 비동기 모뎀부는 동기 모뎀부가 유휴 상태로 천이하였음을 RNS(210)로 보고한다(S312).Subsequently, the RNS 210 checks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transitioned to the standby state and the active cell setting the radio link,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cell transmitting the dummy pilot signal is the maximum (S306). In step S307, a request is made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to transition the synchronous modem unit to the idle state (S308). Accordingly, the asynchronous modem unit instructs the synchronous modem unit to transition to the idle state (S309), 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transition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idle state (S310). The synchronous modem unit reports this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S311). Next, the asynchronous modem unit reports to the RNS 210 that the synchronous modem unit has transitioned to the idle state (S312).

한편, 동기 모뎀부는 오프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게 위하여 스위치-온 및 웜-업 과정과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 획득 후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 과정을 수행하고,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저전력 모드를 해제하고 동기망과 신호를 송수신한다.On the other hand, the synchronous modem unit performs a switch-on and warm-up process to transition from the off state to the standby state and a process of switching to the low power mode after acquiring the pilot channel and the synchronous channel, and low power to transition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idle state. Release the mode and send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synchronization network.

다음에, RNS(21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 핸드오버가 필요함을 보고하는데(S313), 이때 RNS(210)는 핸드오버가 필요한 이동통신 단말 정보, 인접 셀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한다. 비동기 교환기(220)는 RNS(210)로부터 전송받은 이동통신 단말 정보, 인접 셀 정보, 기지국 정보 등을 확인하여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한 후 동기 교환기(320)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S314), 동기 교환기(320)는 BS(310)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이에 따라 BS(310)가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로 전방향 채널을 할당하여 핸드오버를 준비하게 된다(S315).Next, the RNS 210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required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S313). At this time, the RNS 210 transmi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neighbor cell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require the handover.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determines the handover target cell by check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neighbor cell information, base station information, etc. received from the RNS 210, and requests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S314), The sync switch 320 requests the handover to the BS 310, and accordingly, the BS 310 prepares the handover by allocating an omni-directional channel to the sync mod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315).

이어서, 동기 교환기(320)가 비동기 교환기(220)의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면, 비동기 교환기(220)는 RNS(2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S316, S317). 또한, RNS(210)로부터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는 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지시하고(S318), 이에 따라 동기 모뎀부가 트래픽 상태로 전환된다(S319).Subsequently, when the synchronous exchange 32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handover request of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instructs the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NS 210 ( S316, S317). In addition,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he handover instruction message from the RNS 210 instructs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S318), and 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is switched to the traffic state (S319).

이후, 동기 모뎀부가 동기망의 BS(310)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역방향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망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S320). 이와 같이 동기 모뎀부와 동기망이 접속된 후에는 비동기식 음성 코덱(Adaptive Multi-Rate; AMR)을 동기식 음성 코덱(Enhanced Variable Rate Coder; EVRC)로 전환하여 핸드오버 절차시의 묵음 구간이 최소화되도록 한다(S321).Subsequent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to the BS 310 of the synchronous network and transmits a reverse frame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nchronous network (S320). In this way, after the synchronous modem unit and the synchronous network are connected, an asynchronous voice codec (AMT) is converted to an synchronous voice codec (EVC) to minimize the silence period during the handover procedure. (S321).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와 동기망이 접속된 후에는 동기 교환기(320)가 비동기 교환기(220)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며(S322), 비동기 교환기(220)가 RNS(210)로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고, RNS(210)가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한 후 비동기 교환기(220)로 이를 보고(S323)함에 따라 핸드오버가 완료되게 된다.After the synchronous modem unit and the synchronous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he synchronous switch 320 reports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d to the asynchronous switch 220 and requests to release the connection (S322), and the asynchronous switch 220 To release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RNS 210, and after the RNS 210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port it to the asynchronous exchange 220 (S323) to complete the handover. do.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활성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비동기망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할 것을 지시하고,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한 이동통신 단말과 활성 셀과 송수신하는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여 이동통신 단말 을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며, 핸드오버 대상 셀을 선택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도록 함으로써,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에 동기 모뎀부를 유휴 상태로 구동하고, 핸드오버 대상 셀이 결정된 후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the boundary cell in the active cell for which the radio link is established, the mobile terminal is instructed to transition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tandby state i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is in the standby state. If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ell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ummy pilot signal is the maximum among th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active cell to determine the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idle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itions to the traffic stat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handover target cell, thereby driv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in the idle state when the handover is required, and transitioning to the traffic state after the handover target cell is determined.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비동기망과 동기망의 경계 지역에 비동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 시스템을 구축하여 두고, 비동기망과 동기망의 경계 지역에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을 스탠바이 상태 또는 유휴 상태로 구동하여 두고, 구동된 이동통신 단말과 활성 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여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동기 모뎀부의 구동 시점을 무선 환경 특성에 맞게 제어할 수 있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t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dummy pilot signal is transmitted to a boundary area between an asynchronous network and a synchronous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ing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asynchronous network and the synchronous network is in a standby state or idle state. By driving, whe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cell and the cell transmitting the dummy pilot signal of th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active cell is the maximum to determine the hand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trolling to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The driving time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environment,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아울러, 동기 모뎀부를 필요에 따라 적합한 시점에 구동함으로써 핸드오버가 실패되어 호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riving the synchronization modem unit at an appropriate time point as 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handover failure and call disconnection.

Claims (7)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첩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경계 지역에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을 구비하며,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verlap, a handover method of a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synchronous modem unit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where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 dummy pilot signal having a frequency equal to a frequency used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 boundary region of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현재 접속중인 셀 및 활성 셀 정보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보고함에 따라, 상기 활성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모뎀부를 구동하도록 지시하는 제 1 과정;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orts the currently connected cell and active cell information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boundary cell is included in the active cell,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nds a synchronous modem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rst process of instructing to drive the unit; 상기 동기 모뎀부가 구동된 이동통신 단말과 활성 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상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여부 및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한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제 2 과정;When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ell that transmits the dummy pilot signal among the signal strength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active cell and the active cell is the maximu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termines whether the handover and the handover target cell A second step of instructing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가 상기 동기 모뎀부로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도록 요청하는 제 3 과정;A third step of requesting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as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quests a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는 제 4 과정; 및A fourth process of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제 5 과정;A fifth step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leasing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과정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오프 상태로부터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And wherein the first process is a process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itioning from an off state to a standby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상기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와,The third process includes the step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ition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idle state by the contro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유휴 상태로부터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And transitioning from the idle state to the traffic state by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과정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가 오프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The first process includes the step of transitioning from the off state to the idle state of the 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과정과 제 2 과정 사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동기 모뎀부가 구동되었음을 보고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Between the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the handov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reports that the synchronous modem unit has been driven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중첩된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모뎀부 및 동기 모뎀부를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경계 지역에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기지국을 구비하며,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verlap, a handover method of a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synchronous modem unit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where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 dummy pilot signal having a frequency equal to the frequency used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boundary region of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현재 접속중인 셀 및 활성 셀 정보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보고함에 따라, 상기 활성 셀에 경계 셀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상기 동기 모뎀부를 오프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제 1 과정;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orts the currently connected cell and active cell information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boundary cell is included in the active cell,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s the synchronization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irst step of instructing the modem unit to transition from the off state to the standby state; 상기 동기 모뎀부가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된 이동통신 단말과 활성 셀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세기 중 상기 더미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셀과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경우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비동기 모뎀부로 상기 동기 모뎀부를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지시하는 제 2 과정;After the synchronous modem unit has a signal strength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ctive cell has transitioned to the standby stat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cell transmitting the dummy pilot signal is the maximum is determined whether the handover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second step of instructing the asynchronous modem unit to transition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idle state;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대상 셀을 결정한 후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제 3 과정;Determining a handover target cell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structing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가 상기 동기 모뎀부로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도록 요청하는 제 4 과정;A fourth step of requesting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ition to the traffic state as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quests a handover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는 제 5 과정; 및A fifth ste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ing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제6 과정;A sixth step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leasing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핸드오버 방법.Handover method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과정과 제 2 과정 사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가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동기 모뎀부가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하였음을 보고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Between the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the handov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synchronous modem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reports that the synchronous modem unit has transitioned to the standby state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0040041669A 2004-06-08 2004-06-08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5797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669A KR100579799B1 (en) 2004-06-08 2004-06-08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BRPI0511364-4A BRPI0511364A (en) 2004-06-08 2005-06-07 handover method for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628,977 US20080219212A1 (en) 2004-06-08 2005-06-07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PCT/KR2005/001704 WO2005122437A1 (en) 2004-06-08 2005-06-07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JP2007527001A JP2008502270A (en) 2004-06-08 2005-06-07 Handover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overl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669A KR100579799B1 (en) 2004-06-08 2004-06-08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563A KR20050116563A (en) 2005-12-13
KR100579799B1 true KR100579799B1 (en) 2006-05-12

Family

ID=3729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669A KR100579799B1 (en) 2004-06-08 2004-06-08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7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448B1 (en) * 2006-09-13 2008-03-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adiating Beacon Signal by Using Optical Repeater
KR101006251B1 (en) * 2008-08-29 2011-01-0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method for inter-frequency cell selection/resel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1749A1 (en) 2000-11-21 2002-05-23 Hunzinger Jason F. Enhanced inter-generation CDMA hard-handoff proced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1749A1 (en) 2000-11-21 2002-05-23 Hunzinger Jason F. Enhanced inter-generation CDMA hard-handoff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563A (en) 2005-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5025B2 (en) Control method of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JP2008502270A (en) Handover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networks overlap
KR100718007B1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JP4613202B2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of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is
CN1910834B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
KR100612694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579799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612695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20050097722A (en)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KR100746047B1 (en) System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KR100579800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US786940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20060060784A (en) Handover method betwee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05176B1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976935B1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2683B1 (en) Decision Method of Initial Transmitting Pow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106639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change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1038982B1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FID Detector therefor
KR100728626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1217886B1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9956B1 (en)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71772A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wcdma network and cdma network
KR101080558B1 (en) Idle Handover Method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JPH11113043A (en) Method for linking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ssion resource management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48191A (en) Wireless source information process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