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956B1 -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956B1
KR100589956B1 KR1020030082045A KR20030082045A KR100589956B1 KR 100589956 B1 KR100589956 B1 KR 100589956B1 KR 1020030082045 A KR1020030082045 A KR 1020030082045A KR 20030082045 A KR20030082045 A KR 20030082045A KR 100589956 B1 KR100589956 B1 KR 10058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handover
asynchronous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8192A (en
Inventor
주재영
이상연
함희혁
주영호
신범수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956B1/en
Publication of KR2005004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1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액세스망이 교환기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면,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핸드오버 종류를 판단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라고 판단될 경우 소정의 절차를 통해 트랜스코더를 구동하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로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함으로써,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서로 다른 음성 코딩방식을 이용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시 이동통신망에서 적절한 음성 트랜스 코딩을 지원함으로써 핸드오버에 따른 원활한 음성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an access network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s a handover to an exchange according to a handover reques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andover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switc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es the type of handov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is made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transcoder is driven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By requesting and receiv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and requesting handover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is synchronized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different voice coding scheme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handing over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supporting document appropriate voice transcoding has the effect that can provide seamless voice of the handover.

Description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과 이동통신망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시 음성트랜스코딩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transcoding setting during hand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트랜스 코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ech transco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비동기 이동통신망 200:동기 이동통신망100: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400:이동통신단말 410:안테나4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10: antenna

420:비동기 무선장치 430:동기 무선장치420: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40:공통모듈 443:메인 프로세서440: common module 443: main processor

본 발명은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서로 다른 음성 코딩방식을 이용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시 이동통신망에서 적절한 음성 트랜스 코딩을 지원함으로써핸드오버에 따른 원활한 음성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supports an appropriate voice transcod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handover is performed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different voice coding scheme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은 유럽을 중심으로 비동기 서비스환경과 북미를 중심으로 하는 동기 서비스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이동통신 기술 표준으로 IMT-2000 서비스를 북미, 유럽 중심으로 각각 발전시키고 있다. Currentl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echnology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asynchronous service environment centering on Europe and synchronous service centering on North America. In addition, the IMT-2000 service is evolving around North America and Europe as a new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standard for delivering packets at high speed.

동기식(Synchronous) IMT-2000 서비스(동기 이동통신망)는 CDMA2000 1x, CDMA2000 1x EV-DO로 서비스 형태가 발전하고 있고, 비동기식(Asynchronous) IMT-2000서비스(비동기 이동통통신망)는 WCDMA UMTS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동기식과 비동기식간의 로밍문제가 최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을 원활히 로밍할 수 있도록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Synchronous IMT-2000 servic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developed as CDMA2000 1x, CDMA2000 1x EV-DO, and asynchronous IMT-2000 servic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developed as WCDMA UMTS service. Doing. In such an environment, the problem of roaming betwee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is the biggest problem. Accordingly, a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has been developed to smoothly roam a synchronous mobile network and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 중에 있고, 이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진화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핸드오버시 서로 다른 음성 코딩 방식을 이용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동기 이동통신망간의 음성 트랜스 코딩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being built around an area with a high demand for services. 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s evolved into a form in which the service area includes a service area of an asynchronous system. In the case of mutual movement between the system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between systems is required to provide continuous services. Accordingly, voice transcoding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different voice coding methods during handover is required. A method is requir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서로 다른 음성 코딩방식을 이용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시 적절한 음성 트랜스 코딩을 지원함으로써 핸드오버에 따른 원활한 음성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dual band / dual mode by supporting appropriate voice transcoding when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different voice coding scheme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smooth voice call according to handov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은,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및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동기/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시 제어를 수행하는 공통모듈을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이 혼재되고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동기 이동통신망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핸드오버시의 음성 트랜스 코딩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는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통화시 음성의 코딩을 위한 트랜스코더를 구비하고,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액세스망이 교환기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1단계, 상기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핸드오버 종류를 판단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라고 판단될 경우 소정의 절차를 통해 상기 트랜스코더를 구동하는 3단계, 상기 3단계 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의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이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비동기 무선장치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5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요구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무선장치의 셋업을 수행하고 동기 이동통신망과 역방향 채널 할당 및 동기를 일치시켜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완료메시지를 전송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for performing a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a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ynchronous radio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 common module for performing control during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through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radios.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Voice coding when talking with a synchronous mobile network A transcoder for providing a handover request according to a handover reques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access network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handover type by the exchang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In step 2 of determin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2, the step 3 of driving the transcoder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after the step 3 the exchang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ep 4 of requesting and receiv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and transmitting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4 Upon receipt of a response according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5 of transmitting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wireless device, and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setup of a synchronous wireless device and performs connection by synchronizing a reverse channel assignment and synchroniza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handover complete message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WCDMA 망)(100)은, 이동통신단말(400) 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101) 및 상기 무선국(101)을 제어하는 무선국 제어기(이하 'RNC'라 칭함)(102)와, 상기 RNC(102)와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4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서빙 지피알에스 서비스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103)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105)을 통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 제어 및 패킷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중계장치인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106)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CDMA network) 100 includes a radio station 101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a radio station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 for controlling the radio station 101. 102, and a Serving GPRS Support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GSN') 103 connected to the RNC 102 to manage mobi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Gateway GPRS Support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GSN'), which is a relay device that performs the packet service control and packet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 105. It includes.

또한 상기 RNC(102)에는 호 교환을 수행하며 비동기 방식의 음성 코딩을 동기 방식의 음성 코딩으로 제공하는 트랜스코더(104a)를 구비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104)가 접속되고, 상기 MSC(104)는 신호교환을 위한 넘버 세븐 신호망(No.7 신호망)(107)과 접속된다. 상기 넘버 세븐 신호망(107)에는 단문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이하 'SMSC'라 칭함)(108)와,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이하 '듀얼스택HLR'이라 칭함)(300)가 접속된다. Also connected to the RNC 102 is a switch 1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MSC') having a transcoder 104a that performs call exchange and provides asynchronous voice coding as a synchronous voice coding. The MSC 104 is connected with a number seven signal network (No. 7 signal network) 107 for signal exchange. The number seven signal network 107 has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C) 108 for providing a short message, and a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al stack HLR') for managing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300 is connected.

한편, 동기 이동통신망(CDMA2000 망)(2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201)과, 상기 BTS(201)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라 칭함)(202)와, 상기 BSC(202)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를 서비스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이하 'PDSN'이라 칭함)(204)와 상기 PDSN(204)에 접속되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는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Data Core Network, 이하 'DCN'이라 칭함)(209)와, 상기 BSC(202)와 접속되어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DMA2000 network) 200, the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T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TS 2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BSC') 202, a Packet Data Service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SN') 204 connected to the BSC 202 and serving packet data and the PDSN ( A data core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DCN") 209 connected to 204 and performing an Internet access service, and an exchanger connected to the BSC 202 to perform an exch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SC"). 203).

상기 MSC(203)는 신호교환을 위한 넘버 세븐 신호망(No.7 신호망)(205)과 접속된다. 상기 넘버 세븐 신호망(205)에는 단문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이하 'SMSC'라 칭함)(206)와,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상기 듀얼스택 HLR(300)가 접속된다.The MSC 203 is connected with a number seven signal network (No. 7 signal network) 205 for signal exchange. The number seven signal network 205 is connected to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C) 206 that serves a short message and the dual stack HLR 300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subscriber.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및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104, 203)는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넘버 세븐 신호망(107, 205) 또한 상호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40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The MSCs 104 and 203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re interconnected, and the number seven signal networks 107 and 205 are also interconnected to hando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nformation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s transmit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에 각각 접속되는 듀얼스택HLR(3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및 동기 이동통신망(200) 가입자의 정보와 위치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및 동기 이동통신망(200)이 공유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ual stack HLR 300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spectively provides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subscribers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Manage and share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ual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식 이동통신과 비동기식 이동통신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프로토콜을 스택을 가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dual 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both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and has a stack of respective protocols.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은 크게 나누어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410)와, 동기식 통신을 위한 동기 무선장치(430)와, 비동기식 통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420)와, 동기식 및 비동식 통신시 공통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듈(440)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roadly divided into an antenna 4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a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for synchronous communication. , Asynchronous radio 420 for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a common module 440 for providing common resources i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는 무선송신을 위한 동기 무선송신부(432)와, 무선수신을 위한 동기 무선 수신부(433)와, 동기 모뎀부(434)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무선송신부(432) 및 동기 무선수신부(433)의 일측은 듀플렉서(43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동기 모뎀부(434)와 접속된다. The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includes a synchronous radio transmitter 432 for radio transmission, a synchronous radio receiver 433 for radio reception, and a synchronous modem unit 434. The synchronous radio transmitter 432 and One side of the synchronous radio receiver 433 is connected to the antenna 410 through a duplexer 43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ynchronous modem unit 434.

또한 비동기 무선장치(420) 역시 무선송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송신부(422)와, 무선수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와, 비동기 모뎀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송신부(422) 및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의 일측은 듀플렉서(42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비동기 모뎀부(424)와 접속된다.In addition, the asynchronous radio device 420 also includes an asynchronous radio transmitter 422 for radio transmission, an asynchronous radio receiver 423 for radio reception, and an asynchronous modem unit 424. The asynchronous radio transmitter 422 and One side of the asynchronous radio receiver 423 is connected to the antenna 410 through the duplexer 42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asynchronous modem unit 424.

상기 공통 모듈(440)은 동기 모뎀부(434) 및 비동기 모뎀부(424)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mmon module 440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cessor, a memory, an input / output unit, other application processing units, etc. that operate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ynchronous modem unit 434 and the asynchronous modem unit 424 and perform multimedia functions. Detail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공통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on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공통 모듈(440)은,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 및 비동기 무선장치(420)의 각 모뎀부(424 및 434)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이하 'DPRAM'이라 칭함)(441 및 442)과, 상기 DPRAM(441 및 442)과 접속되며 이동통신단말(400)의 동기 및 비동기 통신의 전반적인 제어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443)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443)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444)와, 주변장치의 접속을 위한 I/O장치(445) 및 전력제어를 위한 전력제어모듈(이하 'PWM'이라 칭함)(446)이 접속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ommon module 4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u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dem units 424 and 434 of the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and the asynchronous radio device 420. Dual Port 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DPRAM) 441 and 442 and the DPRAM 441 and 442 are connected to perform overall control and application execution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 main processor 443. The main processor 443 includes a memory 444 for storing data, an I / O device 445 for connecting a peripheral device, and a power control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WM') 446 for power control. Connected.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공통모듈(4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The common module 44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equipped with software for user interface, additional service, mobility management, access / session control, resource control, and protocol processing, so that users can use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and handover. Performs protocol convers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400)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이므로 보코더 또한 2개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에서 지원하는 음성 코딩 방식(예를 들어, AMR)을 지원하는 제 1 보코더가 온(ON) 상태로 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음성 코딩 방식(예를 들어, EVRC)을 지원하는 제 2 보코더는 온(ON) 상태로 하고 제 1 보코더를 오프(OFF) 상태로 절환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lso includes two vocoders. According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rea, the first vocoder supporting the voice coding scheme (eg, AMR) supported by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turned 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second vocoder supporting the voice coding scheme (for example, EVRC) supported by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turned on and the first vocoder is turned off. OFF)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핸드오버시의 음성 트랜스 코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voice transcoding in hand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1)에 위치하는 제 1 이동통신단말(400a)이 비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2)에 위치하는 제 2 이동통신단말(400b)과 통화를 수행하는 중,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400a)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1)에서 동기 이동통신망(200)과의 경계영역(A)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제 1 이동통신단말(400a)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무선국(101)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a located in the area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located in the area # 2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described. During the call with 400b,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a moves from the area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the boundary area A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this case,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a requests a handover to the radio station 10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즉,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영역(#1)에 위치하여 음성통화를 이용하고 있는 제 1 이동통신단말(400a)은 무선국(101)과의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무선국(101)으로 보고하며, 무선국(101)의 신호세기가 지정된 문턱값 이하로 저하되면, 무선국(101)은 RNC를 통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해당 MSC(#1)로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보고한다. 이때, 액세스망(무선국/RNC)은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MSC(#1)로 이동통신단말(400)이 검출한 인접 셀 정보, 기지국 ID 등을 함께 전송한다.That is,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a, which is located in the area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uses a voice call, periodically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with the wireless station 101 and reports it to the wireless station 101.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radio station 101 falls below a specified threshold, the radio station 101 reports that a handover event has occurred to the corresponding MSC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rough the RNC. At this time, the access network (radio station / RNC) transmits the neighbor cell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ID, and the like detec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to the MSC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MSC(#1)는 RNC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RNC로부터 수신한 인접 셀 정보, 기지국 ID 등을 참조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인지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한다. When the MSC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s a handover request message from the RNC, whether the MSC # 1 is a handover between adjacent cells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with reference to neighbor cell information, base station ID, etc. received from the RNC.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andover is made to 200.

상기 판단에서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인 경우에는 제 1 이동통신단말(400a)이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라고 판단될 경우 제 1 이동통신단말(400a)이 속하게 될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와 제 2 이동통신단말(400b)이 속해 있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2)는 서로 다른 음성 코딩방식을 이용한다.In the case of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the above determinatio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a makes a handover to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the MSC 203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b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o whic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a belongs. The MSC # 2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uses different voice coding schemes.

이에 따라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에 다음과 음성 트랜스 코딩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following voice transcoding setup process is performed before handover.

제 1 이동통신단말(400a)이 속해 있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는 소정의 절차(TBE, Transcoder_Free_Operation_Breake_Equipment)를 통해 트랜스코더(104a)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MSC(#1)는 MSC(#2)의 트랜스코더를 구동하도록 하는 메시지(BICC FAR)를 생성하고 MSC(#2)로 전송한다. 그리고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는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MSC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whic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a belongs drives the transcoder 104a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TBE, Transcoder_Free_Operation_Breake_Equipment). The MSC (# 1) generates a message (BICC FAR) for driving the transcoder of the MSC (# 2) and transmits it to the MSC (# 2). The MSC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즉,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는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일 경우 상기한 절차에 따라 트랜스코더(104a)를 구동한 이후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트랜스코더는 상이한 보코더 타입을 사용하는 단말 간의 음성 통화시에 음성 데이터를 코딩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동일한 보코더 타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랜스코딩 과정이 불필요하여 TrFO(Transcoder_Free_Operation) 모드로 동작하지만, 핸드오버 등에 의해 보코더 타입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TBE에 의해 트랜스코더를 활성화시켜 음성 데이터를 코딩 및 디코딩하여야 한다(3GPP TS 23.153 v5.6.0 (2003. 09) 참조).That is, in case of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MSC # 1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synchronously moves a message for requesting handover after driving the transcoder 104a 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It transmits to the MSC 203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this case, the transcoder functions to code and transmit voice data during a voice call between terminals using different vocoder types. When the same vocoder type is used, a transcoding process is unnecessary, and thus a TrFO (Transcoder_Free_Operation) mode is used. In operation, however, when the vocoder type is changed due to handover or the like, the transcoder should be activated by the TBE to code and decode voice data (see 3GPP TS 23.153 v5.6.0 (2003. 09)).

한편,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위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비동기 메시지를 동기 메시지로 변 환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로 전송함은 물론,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기 구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Meanwhile, for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ransmitted to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converts the asynchronous message into a synchronous message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o the MSC 203, the informatio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hould be pre-built and managed in a database.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교환기 정보, 신호점, 데디케이트 채널(Dedicate Channel) 관련 중계선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때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MSC는 동기 이동통신망의 정보에 따라 핸드오버 대상 MSC를 선택하며, 핸드오버 대상 교환기 ID 등을 포함하는 빌링(Billing) ID를 생성하여 이후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활용한다.The database includes exchange information, signal points, relay line information related to a dedicated channel,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MSC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lects a handover target MSC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enerates a billing ID including a handover target exchange ID, and the like, and utilizes it in a subsequent handover process.

상기한 과정에 따라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 및 #2)는 각각 트랜스코더를 구동함으로써 음성 데이터를 압축 코딩하지 않고 PCM 형태로 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로 전달한다.When the handover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MSCs # 1 and # 2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drive the transcoder, respectively, so that they do not compressively code the voice data in the form of PCM. Deliver to MSC.

전술한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 1 이동통신단말(400a) 및 제2 이동통신단말(400b)이 각각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 및 MSC(#2)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지만, 상기 양 이동통신단말이 하나의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MSC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도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시 상기한 과정과 동일하게 음성 트랜스 코딩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 to FIG. 4,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a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b provide services from the MSC # 1 and the MSC # 2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spectively. Although b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ceive service from the MSC of on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voice transcoding sett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hen handing 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한 과정을 적용하는 핸드오버 방법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 handover method using the above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음성 트랜스 코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transcoding process.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400)의 비동기 무선장치(420)로 통화 중(S10), 이동통신단말(400)이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무선국(101)로부터의 신호 세기 및 인접 기지국(또는 무선국)과의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무선국(101)으로 보고한다.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액세스망(무선국 및 RNC)은 상기 보고 내용에 따라 이동통신단말(400)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한다(S21). 이때, 현재 이동통신 단말(400)과 접속되어 있는 무선국(101)에서 이동통신 단말(400)과 무선국(101)과의 신호세기가 지정된 값 이하인 것을 확인하면 RNC(102)를 통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로 핸드오버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IU Reloc Required)를 전송한다(S22).5 and 6, during a call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moves to the area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s a resul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detects a signal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periodically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from the radio station 101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or radio statio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reports it to the radio station 101. The access network (radio station and RNC)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handed over according to the report content (S21). At this time, if the radio station 101 current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nfirms that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he radio station 101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RNC 102 ( A handover request message (IU Reloc Required) for handover is transmitted to the MSC 104 of 100 (S22).

이때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 사용하는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RNC(102)는 이동통신단말(400)로부터 수신한 인접 기지국 정보(기지국 ID), 인접 셀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한다.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IU Reloc Required)는 메시지 타입, 핸드오버 타입, 핸드오버 원인, 소스 기지국 제어기 ID, 타깃 기지국 제어기 ID, RAB 정보 및 무선구간 관련 정보등의 파라미터와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 이용하는 정보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ncludes a handover related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n addition, the RNC 102 also transmits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base station ID), neighbor cell information, and the lik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U Reloc Required) includes a message type, a handover type, a cause of a handover, a source base station controller ID, a target base station controller ID, RAB information, and radio section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ke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Contains information to use.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인지 또는,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하여 음성 트랜스 코딩을 설정한다(S30).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determines whether it is a handover between adjacent cells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or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Set (S30).

상기 단계 S30의 음성 트랜스 코딩 설정 과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액세스망(무선국/RNC) 로부터 수신한 인접 셀 정보, 기지국 ID 등을 참조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비동기 이동통신망내에서의 핸드오버)인지를 판단한다(S31). 이때 단계 S31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내에서의 핸드오버라고 판단되면 통상적인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35).As shown in FIG. 6,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first checks neighbor cell information, base station ID, etc. received from an access network (radio station / RNC). Referring to FIG. 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ter-cell handover (handover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performed.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ndover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n step S31, the handover between adjacent cells of the conventional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performed (S35).

그러나, 단계 S31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내의 핸드오버가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이다.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서로 다른 음성 코딩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위해 트랜스코더(104a)를 구동하기 위한 TBE 절차(Transcoder_Free_Operation_Brake_Equipment)를 수행(S32)함으로써,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음성 데이터 전달을 위한 트랜스코더(104a)를 구동한다(S33).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 that the handover i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not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ccordingly,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performs a TBE procedure (Transcoder_Free_Operation_Brake_Equipment) for driving the transcoder 104a for handover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different voice coding schemes (S32). The transcoder 104a for transmitting voice data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driven (S33).

그리고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이동통신단말(400)이 보코더를 동기 이동통신망용으로 절환하도록 하는 트랜스코딩 메시지(BICR FAR)를 생성한다(S33). 그리고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는 상기 단계 S33에서 생성된 트랜스 코딩 메시지를 대국의 MSC(비동기 이동통신망의 MSC)로 전송함으로써(S34), 상기 대국의 MSC 역시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이동통신단말과의 통화를 위한 트랜스코더를 구동한다(S35).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generates a transcoding message (BICR FAR) for allo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to switch the vocoder for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33). The MSC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ransmits the transcoding message generated in step S33 to the MSC of the large station (MSC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34), so that the MSC of the large station also performs a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operation S35, a transcoder for a cal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performed is performed.

전술한 단계 S30에서 음성 트랜스 코딩을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이동통신단말의 동기 이동통신망에서 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Call Data Request)를 듀얼스택 HLR(300)로 전송(S41)하여 가입자의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의 식별자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상기 가입자 정보 요청 메시지(Call Data Request)는 빌링 ID, 디지트(즉, MSISD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계 S41에서 가입자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MAP(Mobile Application Part) 메시지를 이용하는 비동기 메시지(MAP SEND IMSI Req)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비동기 메시지는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인보크 ID, MSISDN, IMSI, MIN, ES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When the setting for voice transcoding is completed in step S30 described above,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quests a subscriber information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the handover (Call Data Request). ) Is transmitted to the dual stack HLR 300 (S41) to request the identifier information in the subscriber's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t this time, the subscriber data request message (Call Data Request) includes a parameter such as billing ID, digits (ie, MSISDN). In this case, the message for request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in step S41 may use a MAP (MAP SEND IMSI Req) using a MAP (Mobile Application Part) message. The asynchronous message is a message for requesting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es parameters such as Invoke ID, MSISDN, IMSI, MIN, ESN, and the like.

그리고 듀얼 스택 HLR(300)은 상기 가입자 정보요청에 따라서 해당 가입자의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의 식별자 정보인 ESN 및 MIN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로 전송한다(S42).In response to the subscriber information request, the dual stack HLR 300 sends a response message including ESN and MIN information, which is identifier information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of the subscriber, to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ransmit (S42).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상기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MIN 정보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400)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FacilitiesDirective2)를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코어망인 MSC(203)로 전송한다(S51). 이때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전술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정보인 셀 정보와, 빌링 아이디 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ransmits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FacilitiesDirective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rresponding to the MI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message to the MSC 203 which is the core network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51). In this case,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ncludes cell information which is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aforementioned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the handover, and parameters such as a billing ID.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는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액세스망(BTS 및 BSC)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52).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access networks BTS and BSC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S52).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의 액세스망은 전방향 트래픽 전송을 위한 전방향 기본 채널(Forward Fundamental Channel; F-FCH)을 통해 상기 MIN에 해당하는 이동통신단말(400)의 동기 무선장치(430)로 널 트래픽 채널 프레임을 전송한다(S60). 그리고 액세스망(BTS/BSC)은 핸드오버 요청 응답메시지를 MSC(203)로 전송한다(S71).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단말(400)의 동기무선장치(430)에 전방향 채널이 할당된다.The access network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s null traffic to the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orresponding to the MIN through a forward fundamental channel (F-FCH) for forward traffic transmission. The channel frame is transmitted (S60). The access network BTS / BSC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response message to the MSC 203 (S71). Accordingly, the omnidirectional channel is allocated to the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이와 같이,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 핸드오버 준비가 완료되면,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단계 S41에 대한 응답 신호, 즉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응답(FacilitiesDirective2 Ack)를 전송한다(S72).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와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 간의 중계선이 설정되게 된다.As such, when the handover preparation is completed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at is, a handover request message response ( FacilitiesDirective2 Ack) is transmitted (S72). Accordingly, the relay line between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establish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논리적인 중계선 설정 식별자인 데이케이트 채널과 물리적인 중계선과의 매핑 관계를 설정하고, 이 정보를 상기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의 내부 교환기 서킷 ID(InterMSCCircuitID)로 설정하여 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203)로 전송하며, 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203)로부터 상기 단계 S72의 응답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 Ack)가 전송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와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 간에 중계선이 설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 S72에서의 응답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 Ack)는 CDMA 채널 데이터, CDMA 채널 리스트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establishes a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a date channel, which is a logical trunk line setting identifier, and a physical trunk line, and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Facilities). Set to the internal exchange circuit ID (InterMSCCircuitID) of Directive2 and transmit it to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send the response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Ack in step S72) from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transmitted, the relay line is established between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response message (Facilities Directive2 Ack) in step S72 includes parameters such as CDMA channel data, CDMA channel list, and the like.

이후,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할당이 완 료되었음을 알리는 재 경로 명령(IU Relocation Command)을 액세스망(무선국/RNC)으로 전송한다(S81). 그리고 단계 S81에서의 재 경로명령에 따라서 액세스망(무선국/RNC)은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Handover from UTRAN Command)를 이동통신 단말(400)의 비동기 무선장치(420)로 전송한다(S82).Thereafter,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transmits an IU relocation command to the access network (radio station / RNC) informing that the resource allocation for handover is completed (S81). According to the re-routing command in step S81, the access network (radio station / RNC) transmits a handover request message (Handover from UTRAN Command) to the asynchronous radio device 4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82).

단계 S82에서의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따라서 비동기 무선장치(420)는 메인프로세서(443)를 통해 채널할당을 요청하고, 메인프로세서(443)는 동기무선장치(430)로 채널 할당을 수행한다(channel assignment)(S91).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n step S82,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requests channel allocation through the main processor 443, and the main processor 443 performs channel allocation to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channel). assignment) (S91).

이에 따라서 동기무선장치(430)의 동기모뎀부(434)는 셋업 과정을 수행(S92)한다. 상기 셋업 과정에서 동기 모뎀부(434)는 스위치-온 및 웜-업 과정을 통해 기동되고, 파일럿 채널획득 및 동기 채널을 획득을 통해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액세스망(BTS/BSC)과 동기화를 수행하고, 동기 채널을 획득함에 의해 타이밍 정보, 기타 시스템 정보 등을 상기 액세스망(BTS/BSC)으로부터 수신하고 음성을 위한 보코더를 절환한다.Accordingly, the synchronous modem unit 434 of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performs a setup process (S92). In the setup process, the synchronous modem unit 434 is started through a switch-on and warm-up process, and is synchronized with an access network (BTS / BSC)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by acquiring a pilot channel and acquir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And timing information, other system information, etc. are received from the access network (BTS / BSC) and the vocoder for voice is switched by acquir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그리고 동기 무선장치(430)는 메인프로세서(443)를 통해 비동기 무선장치(420)로 호 접속 신호를 전송한다(call connected)(S93).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400)의 비동기 무선장치(420) 및 동기무선장치(430)간의 모드 전환이 완료된다.The synchronous radio 430 transmits a call connection signal to the asynchronous radio 420 through the main processor 443 (S93). Accordingly, mode switching between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and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completed.

또한 동기무선장치(430)는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액세스망(BTS/BSC)으로 역방향 기본채널(Reverse Fundamental Channel; R-FCH)을 통해 트래픽 채널 프레임을 전송(R-FCH frames)(S101)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역방향 동기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400)과 동기 이동통신망(200)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고 이동통신단말(400)의 동기무선장치(430)는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액세스망으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102). 그리고 이를 수신한 액세스망(BTS/BSC)이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동기무선장치(430)로 전송하게 된다(BS Ack Order)(S103).In addition, the synchronous radio device 430 transmits a traffic channel frame through a reverse fundamental channel (R-FCH) to an access network (BTS / BSC)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R-FCH frames) (S101). By doing s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obtains backward synchroniza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ly,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the synchronous wireless device 4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transmits a handover completion message to the access network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S102). The access network (BTS / BSC) receiving this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synchronization radio apparatus 430 (BS Ack Order) (S103).

이후,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액세스망(BTS/BSC)은 MSC(203)로 핸드오버 완료를 통보(Handoff Complete)하고(S104),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203)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코어망으로 핸드오버 완료를 통보(Mobile On Channel)한다(S105). Thereafter, the access network (BTS / BSC)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notifies the MSC 203 of the handover completion (Handoff Complete) (S104), and the MSC 203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moves asynchronously. The handover completion is notified to the core network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obile On Channel) (S105).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MSC(104)는 무선국/RNC로 이동통신단말(400)의 비동기무선장치(420)와의 호를 해제할 것을 요청한다(Iu Release Command, S111).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망(100)은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420)와의 호를 해제하고, 호 해제가 완료되었음을 코어망으로 보고(IU Release Complete)한다(S112). The MSC 104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quests the radio station / RNC to release the call with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4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u Release Command, S111).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leases the call with the asynchronous radio device 420 and reports to the core network that the call release is completed (IU Release Complete) (S112).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단말(400)의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게 된다.Accordingly, the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0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is comple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에 의하면,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이 서로 다른 음성 코딩방식을 이용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시 이동통신망에서 적절한 음성 트랜스 코딩을 지원함으로써핸드오버에 따른 원활한 음성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dual band / dual mode uses a different voice coding scheme. When handover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appropriate voice transcoding is suppor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providing a smooth voice call according to the handover.

Claims (9)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및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동기/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시 제어를 수행하는 공통모듈을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이 혼재되고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 및 동기 이동통신망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핸드오버시의 음성 트랜스 코딩 방법으로서, An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for performing a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ynchronous wireless device for performing synchronous communica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ynchronous /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a dual band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common module for performing control are mixed, and includes a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for manag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voice transcoding method during hando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는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통화시 음성의 코딩을 위한 트랜스코더를 구비하고,The switc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provided with a transcoder for coding the voice when talking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액세스망이 교환기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1단계,A first step in which an access network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s a handover to an exchange according to a handover reques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핸드오버 종류를 판단하는 2단계,A step 2 in which the exchang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termines the handover type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상기 2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라고 판단될 경우 소정의 절차를 통해 상기 트랜스코더를 구동하는 3단계,A third step of driving the transcoder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2 that the handover is made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3단계 후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4단계,After the step 3, the switch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equests and receives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4단계에서의 수신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따라 동기 이 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이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비동기 무선장치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5단계, 및When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4 and a response is received,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handed over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5 of sending a request message, and 상기 핸드오버 요구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무선장치의 셋업을 수행하고 동기 이동통신망과 역방향 채널 할당 및 동기를 일치시켜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 완료메시지를 전송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setup of a synchronous wireless device, performs connection by synchronizing a reverse channel assignment and synchronization with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letes a handover completion message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six steps of transmitt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6단계 이후, 상기 핸드오버 완료메시지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이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에 따라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액세스망으로 경로 해제 명령을 전송하고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의 비동기 무선장치와의 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After step 6,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s a handover complete message to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handover completion message, and is accessed by an exchange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handover complete message from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isconnecting the path between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synchronous wireless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ransmitting a path release command to the network and receiving a response. Voice transcod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5단계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널 트래픽 채널 프레임을 전송하여 전방향 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핸드오 요청 메시지에 따른 응답을 비동기 이동통신망의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In step 5, the switch of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s a null traffic channel fra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llocate an omnidirectional channel according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n responds to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1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을 위한 메시지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는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인접 셀 정보, 인접 기지국 정보와, 핸드오버 타입, 핸드오버 원인, 소스 기지국 제어기 ID, 타깃 기지국 제어기 ID, RAB 정보, 무선구간 관련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In the first step, the message for the handover request is a handover related message used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eighbor cell information,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ndover type, handover cause, source base station controller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n ID, a target base station controller ID, RAB information, and radio section related information parameter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4단계에서 상기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동기 MAP 메시지이며 빌링 ID, MSISDN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In step 4, the message request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is a synchronous MAP message and includes parameters such as billing ID and MSISDN. Voice transcoding method in hando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4단계에서 상기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MAP메시지를 이용하는 비동기 메시지이며, 인보크 ID, MSISDN, IMSI, MIN, ESN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In step 4, the message for request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is an asynchronous message using a MAP message, and includes parameters such as Invoke ID, MSISDN, IMSI, MIN, and ESN.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4단계에서, 상기 듀얼스택 홈위치등록기는,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동기 이동통신망에 대한 ESN 및 MIN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를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In step 4, the dual stack home location register,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ESN and MIN information for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message request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5단계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이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빌링 ID, ESN, 내부 교환기 서킷 ID, MIN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In step 5,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parameter including a billing ID, an ESN, an internal exchange circuit ID, and a MIN. Transcoding method in case of handov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현재 통화중인 제 1 이동통신단말과 제 2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로 다른 교환기로부터 각각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고 판단될 경우,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re currently busy receive services from different exchanges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handover to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3단계는 소정의 절차를 통해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트랜스코더를 구동하는 단계와,In step 3, a switch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provides a servic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drives a transcoder; 상기 제 1 이동통신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교환기가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의 트랜스코더 구동을 위한 트랜스코딩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단계와,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transcoding setup message for driving a transcoder of an exchange providing a servic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n exchang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a service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 2 이동통신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가 상기 트랜스 코딩 설정 메시지의 수신하고 트랜스코더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 음성 트랜스 코딩방법.A method of transceiving a transcoding setup message and driving a transcoder by an exchange providing a servic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handover from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KR1020030082045A 2003-11-19 2003-11-19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9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045A KR100589956B1 (en) 2003-11-19 2003-11-19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045A KR100589956B1 (en) 2003-11-19 2003-11-19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192A KR20050048192A (en) 2005-05-24
KR100589956B1 true KR100589956B1 (en) 2006-06-14

Family

ID=3724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045A KR100589956B1 (en) 2003-11-19 2003-11-19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9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415B2 (en) * 2004-03-10 2011-09-07 エスケーテレコム株式会社 Inter system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192A (en) 200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285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current service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83676B2 (en) Inter-system handover
US20060111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MS messag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LAN and system using the same
JP4701289B2 (en) Hand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09149636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switching in a base station transceiver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subsystem thereof
KR100718007B1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9956B1 (en) Voice Trans-Coding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7969944B2 (en)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91038B1 (en) Hand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89953B1 (en) Hand 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005176B1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9954B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ment of Subscriber Information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579808B1 (en) Wireless Source Information Process Method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589959B1 (en) Hand 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Termination Alerting
KR100589960B1 (en) Hand 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Origination Alerting
KR100589955B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ment of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for Hand Over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779403B1 (en) System for Packet Data Service in the Mixed Network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nd-over Method Thereof
KR100612676B1 (en) Handover Method for Minimization of Mute Interval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612683B1 (en) Decision Method of Initial Transmitting Pow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1217886B1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46290A (en)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8626B1 (en) Handover Method for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Network and Synchronous Network
KR100589949B1 (en) Method for Transcoding of Voice for Handover in 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71772A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of wcdma network and cdma network
KR20030045554A (en) Data call supporting method when hard hand-over is performed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