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164B1 -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164B1
KR100591164B1 KR1020047018016A KR20047018016A KR100591164B1 KR 100591164 B1 KR100591164 B1 KR 100591164B1 KR 1020047018016 A KR1020047018016 A KR 1020047018016A KR 20047018016 A KR20047018016 A KR 20047018016A KR 100591164 B1 KR100591164 B1 KR 10059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flammatory
alcohol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04846A (en
Inventor
김형민
홍승헌
이영미
김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켐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켐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켐온
Priority to KR102004701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164B1/en
Publication of KR2005000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퇴행성 신경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 혼합물의 물 또는 알코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erbal extracts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or alcohol extract of a mixture of pine, gingiber, dew, organo and licorice mixture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due to physical damage and It relates to a composition.

Description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Herbal extrac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 혼합물의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특히 염증성 신경관절질환, 예를 들어, 퇴행성 신경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관절염 또는 염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erbal extracts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water extracts or alcohol extracts of a mixture of cypress, oleander, dew, cucumber and licorice as an active ingredien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neurological disease, for example,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or inflammatory pain due to physical damag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관절은 관절 연골과 주위의 뼈, 인대 및 관절을 싸고 있는 활막으로 구성된다. 관절에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은 자각면역이 원인인 것으로 이해되는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세균감염에 의한 감염성 관절염,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관절 연골이나 뼈에 변성이나 파괴가 일어나는 변형성 관절염 및 결합조직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가용성 대사산물이 관절주변의 결합조직내에 결정으로 침착되는 결정성 관절염 등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Joints consist of articular cartilage and the surrounding bone, ligaments, and synovial envelope that surrounds the joint. Inflammatory diseases in the joints include chronic rheumatoid arthritis, which is thought to be caused by subjective immunity, infectious arthritis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s, and degenerative arthritis and connective tissue in which degeneration or destruction of articular cartilage or bone is caused by various causes. Degenerative changes can be categorized into crystalline arthritis, in which soluble metabolites are deposited as crystals in connective tissue around joints.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퇴행성 변화는 관절 연골에서 시작된다. 연골을 구 성하는 성분을 생산해내는 연골세포가 노화되면 그 기능이 떨어지고, 관절을 싸고 있는 막과 연골의 탄력성이 감소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관절을 보호하는 능력이 약해진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면 연골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관절막으로 둘러 쌓인 관절강내로 유입되는 여러 가지 물질에 의해 염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한편, 관절 연골은 파괴되고 생성되는 과정을 되풀이하는데, 생성되는 것보다 파괴되는 연골이 더 많으면 충격을 흡수하는 관절 연골의 양이 점차 감소하고 심지어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되면 관절사이의 뼈와 뼈가 닿은 상태가 되어 극심한 고통을 가져오게 된다.Degenerative changes that occur with age begin in the articular cartilage. When the chondrocytes that produce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cartilage are aged, their function decreases, and the elasticity of the membrane and cartilage surrounding the joint decreases and the ability to protect the joint from external shocks is weakened. If this condition persists, inflammation is repeatedly caused by various substances entering the joint cavity surrounded by the surface of the cartilage and become rough. On the other hand, articular cartilage repeats the process of destruction and production, where more cartilage is destroyed than it is produced, and the amount of articular cartilage that absorbs shock is gradually reduced and even disappears. This causes the bones between the joints and the bones to come in contact with it, which causes extreme pain.

퇴행성 관절염, 즉 골관절염은 일반적으로 노화에 따른 불가피한 질환이며 가장 흔한 관절질환이나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고 상기한 관절염의 일반적인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측되며, 몇 가지 특이적인 원인도 고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년층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빈도가 높은 것은 유년시절에 발생한 병태생리적 과정에 장기간 노출되어 발생한 결과로 보고 있다. 특히,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Degenerative arthritis, or osteoarthritis, is generally an inevitable disease caused by aging, and the most common joint disease and its cause are not yet clearly identified, and the general causes of arthritis are considered to be combined, and some specific causes are also considered. It is becoming. In general, the incidence of degenerative arthritis in older adults is the result of prolonged exposure to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in childhood. In particular, the causes of degenerative arthritis are:

1) 노화 - 노화가 골관절염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관절부위로 공급되는 혈유의 흐름이 감소하고 그와 더불어 골-연골 접합부위에서의 골 개조 속도 또한 감소하게 된다. 또한, 나이가 들면 말초신경의 기능이 저하되는데 이 또한 골관절염의 소인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1) Aging-Aging is not the only cause of osteoarthritis, but with age, the blood flow to the joints decreases, and the rate of bone remodeling at the bone-cartilage junctions decreases. In addition, as the age of peripheral nerve function decreases, which is also considered to increase the predisposition of osteoarthritis.

2) 연골 기질의 일차적 변화와 연골세포 대사기능 및 대사조절자의 변화 역시 퇴행성 관절염의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한편, 기계적 손상이 생긴 후 회복 이 완전하지 않거나 염증성 관절질환의 후유증으로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2) Primary changes of cartilage stroma, cartilage cell metabolic function and metabolic regulators are also important causes of degenerative arthritis. On the other hand, recovery after mechanical damage may not be complete or may be caused by the sequelae of inflammatory joint disease.

3) 비만 - 비만은 체중을 지탱하는 관절의 부하를 크게 증가시키고 자세와 보행에 변화를 일으키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Obesity-Obesit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load on the weight-bearing joints, alters posture and gait, and continues to degenerative arthritis if this condition persists.

그러나, 분자생물학의 발달과 더불어 염증성 신경관절질환도 사이토카인(cytokine)이라는 면역학적 수준에서의 이해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질환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도 하나씩 규명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비만세포(mast cells)에 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에 대한 연구이다.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biology, inflammatory neuro-articular diseases have been attempted at the immunological level of cytokines, and factors affecting these diseases have been identified one by one. One of them is the study of cytokines secreted by mast cells.

비만세포는 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각종 염증성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세포에서는 IL-8, IL-13, TNF-α , GM-CSF(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IFN-x, 류케미아 억제인자(leukemia inhibitory factor) 등이 분비되거나 각각의 mRNA의 발현이 증가된다. 이들 사이토카인은 IgE 항체생성, 면역 반응 등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조혈세포, 조직반응, 혈관 반응 등을 통해 염증 반응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여러 사이토카인 중에서 IL-1, IL-6, TNF-α 는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데 있어서 특히 중요한 사이토카인들이다. 특히, TNF-α 와 IL-1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 사이토카인의 조절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결정적인 방법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들 사이토카인들은 급성 반응단백 유전자를 자극하여 단백질을 생산하고 혈구성 인자들을 자극하여 염증세포들을 활성화시킨다. 그중 TNF-α 는 조직의 손상을 통하여 신경 손실을 유도하며 염증 반응의 주요한 인자로서 작용한다. IL-6은 생체내에서 과잉생산되면 여러 질환들의 병인론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여러 종류의 악성종양, 증식성질환, 자가면역성 질환 및 감염성 질환 등의 발병에 관여하게 된다. 이들중 TNF-α와 IL-6의 발현은 전사인자, NF-κB의 활성에 의존한다. 적어도 다섯 개의 다른 유전자, NFκB1(p105/50), NFκB2(p100/52), ReA(p65), Rel B 및 c-Rel이 NF-κB 족(family)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NF-κB는 다이머(dimer)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다dl머는 NFκB1(p50)과 Rel A(p65) 또는 NFκB1(p50)과 NFκB2(p52)로 구성된다. NF-κB는 내인성 억제인자 IκB와 결합하여 세포질에 존재하다가 특정 신호에 의해 IκB의 인산화와 분해가 이루어지면 핵내로 이동하여 TNF-α 와 IL-6과 같은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존재하는 특이한 DNA 서열이 결합함으로써 활성화된다.Mast cells are well known as cells mainly involved in allergic reactions or various inflammatory reactions. These cells secrete IL-8, IL-13, TNF-α,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IFN-x, and leukemia inhibitory factor or increase the expression of each mRNA. do. These cytokines not only regulate IgE antibody production, immune responses, bu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hematopoietic cells, tissue responses, and vascular responses. Among the various cytokines secreted from mast cells, IL-1, IL-6, and TNF-α are particularly important cytokines in inducing an inflammatory response. In particular, TNF-α and IL-1 a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cytokines that cause rheumatoid arthritis. This implies that the regulation of these cytokines is a critical method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These cytokines stimulate the acute reactive protein genes to produce proteins and stimulate constitutive factors to activate inflammatory cells. Among them, TNF-α induces nerve loss through tissue damage and acts as a major factor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IL-6 appears to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various diseases when overproduced in vivo, and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lignancies, proliferative diseases, autoimmune diseases and infectious diseases. The expression of TNF-α and IL-6 among them depends on the activity of the transcription factor, NF-κB. At least five other genes, NFκB1 (p105 / 50), NFκB2 (p100 / 52), ReA (p65), Rel B and c-Rel, belong to the NF-κB family. In general, NF-κB consists of a dimer, which consists of NFκB1 (p50) and Rel A (p65) or NFκB1 (p50) and NFκB2 (p52). NF-κB binds to the endogenous inhibitor IκB and is present in the cytoplasm. When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IκB occurs by a specific signal, NF-κB migrates into the nucleus and specific DNA sequences present in promoters of genes such as TNF-α and IL-6 Activated by binding.

한편, 신경관절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주된 작용 기전을 근거로 대별할 수 있다; i) 염증의 감소, ii) 질병 진행의 지연 및 iii) 요산 농도의 감소. 많은 신경관절염 치료용 약물들이 염증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염증은 통증, 부종, 열감, 발적 및 경직을 일으키는 병적 과정이다. 염증을 신속하게 완화시키는 약물에는 아스피린 등을 비롯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와 코티손 등의 스테로이드제가 있다. 아스피린이나 진통제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통증을 감소시켜 신경관절의 움직임을 편안하게 하고 신경관절의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을 복용하게 되면 위장장애가 나타나거나 복통을 유발하는 등 기본적인 부작용은 물론 장기간 복용시에는 인체에 심각한 많은 위 해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약은 기본적으로 활동성 소화성 궤양이나 위장부위의 출혈적 병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사용이 금기시된다. 또한, 스테로이드성 호르몬 제제는 그 효과에 비해 체중 증가나 고혈압 등의 부작용이 심각하여 퇴행성 신경관절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단, 무릎 관절 등의 염증이 아주 심하고 다른 약물에 의한 치료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스테로이드 제제의 관절내 주사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 주사는 질환의 원인 치료와는 전혀 무관하고 단순히 통증을 일시적으로 감소시켜 관절을 과잉 사용할 소지가 있으며 이는 신경관절을 파괴하고 장애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므로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약물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drugs used for the treatment of neuroarthritis can be roughly divided based on three main mechanisms of action: i) reduction of inflammation, ii) delay in disease progression and iii) reduction in uric acid concentration. Many drugs for the treatment of neuroarthritis are used to reduce inflammation. Inflammation is a pathological process that causes pain, edema, heat, redness and stiffness. Drugs that relieve inflammation rapidly includ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cluding aspirin and steroids such as cortisone. Aspirin, analgesics, o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can reduce pain and ease the movement of nerve joints. However, when taking these drugs, gastrointestinal disorders or stomach pain may be caused, and the basic side effects, as well as a long time, seriously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Therefore, these drugs are basically contraindicated in people with active peptic ulcers or hemorrhagic histor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addition, the steroid hormone preparations are not used well for degenerative arthritis due to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weight gain and hypertension. However, intra-articular injections of steroid preparations are sometimes used when the inflammation of the knee joint is very severe and the therapeutic effects of other drugs do not meet expectations. However, steroid injections are completely irrelevant to the treatment of the cause of the disease, and can be excessively used simply by temporarily reducing pain, which can destroy nerve joints and exacerbate disorder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oncept of drug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inflammatory neurological diseases.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는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을 개발해내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노나무(Catalpa ovata), 골담초(Caragana sinica), 우슬(Achyranthes bidentata),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 및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혼합물의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탁월한 약효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continuous research to develop a material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neuron disease with no side effects, and as a result, Catalpa ovata , Caragana sinica , Achyranthes bidentata ,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 ) and licorice ( Glycyrrhiza uralensis FISCH ) mixture of water extracts or alcohol extracts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mention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excellent medicinal properties can be obtained.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염증성 신경관절질환, 예를 들어 퇴행성 신경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신경관절염 또 는 염증성 요통에 대해 탁월한 약효를 나타내는 신규한 생약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duce novel herbal extracts and their preparations that exhibit excellent efficacy against inflammatory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neuroarthritis or inflammatory low back pain due to physical injury, without causing side effects, and the preparation thereof. To provide a way.

도 1은 HMC-1 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생존력에 미치는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on the viability of cells in HMC-1 cells,

도 2A는 HMC-1 세포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TNF-α 의 분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A of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secretion of TNF-α with time in the HMC-1 cells,

도 2B는 HMC-1 세포에 있어서 TNF-α 의 분비에 미치는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B of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ecretion of TNF-α in the HMC-1 cells,

도 3A는 HMC-1 세포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IL-1β 의 분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A of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secretion of IL-1β according to the time in the HMC-1 cells,

도 3B는 HMC-1 세포에 있어서 IL-1β 의 분비에 미치는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B of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ecretion of IL-1β in the HMC-1 cells,

도 4A는 HMC-1 세포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IL-8의 분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A of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secretion of IL-8 in accordance with the time in the HMC-1 cells,

도 4B는 HMC-1세포에 있어서 IL-8의 분비에 미치는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B of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ecretion of IL-8 in the HMC-1 cells,

도 5는 HMC-1 세포에 있어서 TNF-α , IL-1β 및 IL-8의 발현에 미치는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효과를 보여주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5 is an electrophoretic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on the expression of TNF-α, IL-1β and IL-8 in HMC-1 cells.

A : PMA 자극 후 7시간 경과한 뒤의 TNF-α mRNA의 발현A: Expression of TNF-α mRNA after 7 hours after PMA stimulation

B : A23187 자극 후 5시간 경과한 뒤의 IL-1β mRNA의 발현B: Expression of IL-1β mRNA 5 hours after A23187 stimulation

C : A23187 자극 후 5시간 경과한 뒤의 IL-8 mRNA의 발현C: Expression of IL-8 mRNA 5 hours after A23187 stimu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 혼합물의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extract or an alcohol extract of a mixture of gingko, oleander, dew, cucumber and licoric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에 쌀, 누룩 또는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및 주모의 혼합물을 가한 후 발효시켜 얻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주제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ubject composition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obtained by fermentation after adding a mixture of rice, koji or yeast or strain isolated from yeast to the extra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및 주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preparing the extract and the subject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또는 주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containing the extract or the subject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 혼합물의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ater extracts or alcohol extracts of a mixture of gingko, oleander, dew, cucumber and licoric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상기에서, 알콜은 1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70-99.9%의 에탄올을 가하여 5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alcoho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0 to 100% of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and it is preferable to extract for 5 to 10 hours by adding 70-99.9% of ethanol.

본 발명의 추출물에 있어서, 제조원료는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를 0.5∼1 : 0.5∼1 : 0.5∼1 : 0.1∼1 : 0.05∼0.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w materials of the extract include hawthorn, oleander, hyssop, scabbard and licorice in a weight ratio of 0.5 to 1: 0.5 to 1: 0.5 to 1: 0.1 to 1: 0.05 to 0.1.

상기 언급한 생약들의 조성비는 반복된 실험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그 하한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그 성분의 약리효과가 감소하며 그 상한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타성분의 약리효과가 감소될 수 있어 조성물의 상승작용 및 협동작용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herbal medicines is obtained based on the repeated test results, and when the lower limit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the component may be reduced, and when higher than the upper limit,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the other components may be reduced. There is a fear that cooperation will be reduced.

본 발명의 제1유효성분인 노나무는 능소화과에 속하며 일명 개오동나무로도 불린다. 갈잎 큰키나무로서 키는 약 6 m이고 잎은 넓은 알꼴,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7월에 담황색 꽃이 원뿔꽃 차례로 가지 끝에 피며 원산지는 중국으로 정원에 심는다. 본초강목에는 100가지 나무중에서 으뜸이라 하여 목왕이라 부른다고 하였다. 벼락이 떨어지지 않는 나무로 매우 신령스럽게 여겨져 뇌신목, 뇌전동 등으로도 불리었고 궁궐이나 절의 목재로 주로 사용되었다. 민간에서는 전통적으로 신장염, 복막염, 요독증, 부종 등에 사용되었고 이뇨제 원료로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간암, 간경화, 백혈병 등의 항암성 약재로도 민간에서 응용되고 있다.The young tree, which is the first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family Jacarinaceae and is also known as a paulownia tree. It is a large leafy tree, about 6 m in height, leaves are broad grain, bark is grayish white, and in July, pale yellow flowers bloom in the end of cone branch in turn. It is said that the main tree is called the king of 100 trees. It is considered to be very spiritual as a tree that does not fall thunderbolt, and it is also called as a brain tree, a brain movement, etc., and it is mainly used as a wood for palaces and temples. In the private sector, it was traditionally used for nephritis, peritonitis, uremia, edema, and as a diuretic ingredien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applied in the private sector as an anticancer medicine such as liver cancer, cirrhosis, leukemia.

본 발명의 제2유효성분인 골담초는 콩과에 속하며 한약에서는 금작근이라 하여 전통적으로 골담초의 뿌리를 약으로 사용하여 왔다. 보기, 이뇨 작용이 있어 허약체질 또는 부종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활혈, 지통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풍습, 비통의 증상을 다스린다고 기록되어 있다.The second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oldamcho belong to the legumes and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alled kumjakeun root has been used as the root of the medicinal herbs. For example, it has a diuretic effect and can be applied to weak constitution or edema. In addition, it has been recorded that the symptoms of customs and soreness,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the blood and pain.

본 발명의 제3유효성분인 우슬은 비롬과에 속하는 쇠무릎이란 약초의 뿌리이다. 활혈거어 작용이 있어 혈체폐경 , 통경, 월경부조 등의 증상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통리관절 작용도 있어 요슬 관절의 통증에도 사용된다고 하였다.The third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oot of the herb is a horse knee which belongs to Viromaceae. It has been used for symptom of blood menopause, dysmenorrhea and dysmenorrhea because of its activity.

본 발명의 제4유효성분인 오가피는 오가과에 속한 낙엽 소관목인 오갈피나무 및 동속근연식물의 근피 혹은 수피로서, 거풍습, 보간신, 견근골의 작용을 하므로 풍습비통 등의 증상을 다스리는데 주침하여 복용하기도 한다는 기록이 있다.Ogapi, the fourth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ark or bark of the deciduous juniper tree belonging to the Oga family, and the roots or bark of the same root plant. There is a record of taking it.

본 발명의 제5유효성분인 감초는 다년생 초본인 감초의 근과 근상경으로서, 보비익기, 청열해독, 윤폐지해의 작용을 한다. 이것은 여러 약물을 조화시켜 약물의 준열한 성질을 완화시킨다.Licorice, which is the fifth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ennial herb and roots of licorice, and functions as bovine ripening, clear heat detoxification, and lubricity. This harmonizes the various drugs to relieve the mild properties of the drug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에 쌀, 누룩 또는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및 주모의 혼합물을 가한 후 발효시켜 얻은 주제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ubject composition obtained by adding fermentation to the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after addition of a mixture of rice, yeast or yeast, and a strain isolated from the yeast.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는 0.5∼1 : 0.5∼1 : 0.5∼1 : 0.1∼1 : 0.05∼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쌀, 누룩 및 주모가 1∼4 : 0.2∼1 : 0.02∼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상 재제로 제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ak, gallweed, hyssop, cucumber and licoric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0.5 to 1: 0.5 to 1: 0.5 to 1: 0.1 to 1: 0.05 to 0.1, and here, rice and yeast And a main hair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to 4: 0.2 to 1: 0.02 to 0.1.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ulated in a liquid formul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 및 주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the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and the subject composition.

본 발명의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의 제조방법은The method for producing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의 혼합물에 물 또는 알콜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1) heating by adding water or alcohol to a mixture of cypress, gallweed, dew, organza and licorice; And

2) 액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한 후 액상부분을 농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2) After separating the liquid part and the solid part consists of the step of concentrating the liquid part.

상기에서, 알콜은 1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구 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70-99.9%의 에탄올을 가하여 5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alcoho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0 to 100% of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and is preferably extracted for 5 to 10 hours by adding 70-99.9% of ethanol.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상기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에 쌀, 누룩 또는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및 주모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1) fermenting the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by adding a mixture of rice, yeast or strains separated from the yeast and the mother seed; And

2) 액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한 후 액상부분을 농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2) After separating the liquid part and the solid part consists of the step of concentrating the liquid part.

상기에서, 쌀은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쌀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증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rice may be used in general, bu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r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 또는 주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ntaining the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or the subject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유효한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으로서, 퇴행성 신경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신경관절염 및 염증성 요통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 담당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 및 화학적 매개물질의 생성을 조절하여 국소 및 전신 염증성 반응을 억제한다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 참조).Inflammatory diseases in whic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are inflammatory neurological diseases, which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neuroarthritis due to physical injury, and inflammatory low back pain,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gulates the production of cytokines and chemical mediators from immune cells to inhibit local and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s (see Experimental Examples 1 to 3).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생약을 달이거나, 상기 생약을 그 유효성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 또는 이를 농축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혼합조성하고 통상적인 약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환제, 과립제, 액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효과 면에서 액제가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환제, 과립제, 분무제, 과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시에 다른 제형으로 바꾸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당한 농도의 주제로 제조하는 경우 액상제제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herbal medicine, or extracting the herbal medicine according to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ctive ingredient or the powder obtained by concentrating and drying the herbal medicine together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t can be prepared into pills, granules, liquids and the like using the pharmaceutical production metho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liquid, but if necessar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pills, granules, sprays, objects, tablets or capsules, and, if necessary, may be used in other dosage forms. In addi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a suitable concentration of the subject matter, it is most preferable to prepare a liquid formulation.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노나무 0.5∼1 kg, 골담초 0.5∼1 kg, 우슬 0.5∼1 kg, 오가피 0.1∼1 kg 및 감초 0.05∼0.1 kg의 혼합물에 물 12,000 ㎖를 붓고 약 2.5시간동안 달여 약 8,000 ㎖로 농축시켜 추출액을 얻고, 별도로 쌀 1∼4 kg으로 만든 증미, 누룩 0.2∼1 kg 및 주모 0.02∼0.1 kg을 균일하게 혼합한 것에 상기 추출액을 붓고, 20 내지 27℃에서 3 내지 10일간 발효시키고 여과하여 주제를 제조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00 ㎖로 조절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통상적인 1회 투여량은 체중 1 kg당 1.5∼2.5 ㎖이며 이를 1일 3회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체내에서의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ured into a mixture of, for example, 0.5-1 kg of cypress, 0.5-1 kg of gallweed, 0.5-1 kg of dew, 0.1-1 kg of cucumber, and 0.05-0.1 kg of licorice, for about 2.5 hours The extract is concentrated to about 8,000 ml to obtain an extract, and the extract is poured into a homogeneous mixture of steamed rice made from 1 to 4 kg of rice, 0.2 to 1 kg of yeast, and 0.02 to 0.1 kg of hair seedling, and 3 to 3 at 20 to 27 ° C.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for 10 days and the subject matter was prepared by filtration, and then adjusted to 10,000 ml by adding purified water. A typical single dos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5 to 2.5 ml per kg of body weight, and it is preferable to take it three times a day, but the absorption rate, inactiva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ody, the age of the patient Thes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ex, condition and severity of the disease to be treated.

예를 들어, 체중 60 kg인 성인의 경우, 1회 90∼150 ㎖씩 1일 3회 복용한다. 이러한 용량으로 복용시 상기 제조물은 약 20∼25일 분량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병증의 경중정도와 소화상태에 따라 복용량을 적의 증감할 수 있다. 기타 제제에 있어서도 상기 액제 복용량을 고려하여 산출된 적정량을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빠르면 복용 후 2-3일 후부터 증상의 경감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개인차가 있다.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후 약 1개월간 지속적으로 복용한다.For example, for an adult weighing 60 kg, take 90-150 ml once three times a day. When taken at this dose, the preparation is about 20 to 25 days old.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the dose depending on the weight, age, sex, severity of the patient and the digestive state. In other formulations, an appropriate amount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liquid dosage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s early as 2-3 days after taking the symptoms may reduce the symptoms, but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Take it for about a month after the effect starts.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ly used excipients, disintegrants, sweeteners, lubricants, flavoring agents, etc., tablets, capsules, powders, It may be formulated into gran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other liquid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제, 트로치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또는 유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Specificall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for oral administration, for example, tablets, troches, lozenges, water-soluble or oily suspensions, prepared powders or granules, emulsions. , Hard or soft capsules, syrups or elixirs. Binders such as lactose, saccha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mylopectin, cellulose or gelatin for preparation in formulations such as tablets and capsules; Excipients such as dicalcium phosphate; Disintegrants such as corn starch or sweet potato starch;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calcium stearate, sodium stearyl fumarate or polyethylene glycol wax. Capsules contain liquid carriers, such as fatty oils, in addition to the substances mention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에 의한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추출물 또는 주제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is by subcutaneous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or intrathoracic injection. To formulate into a formulation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the extract or subject composition is mixed in water with a stabilizer or buffer to prepare a solution or suspension, which is formulated in unit dosage forms of ampoules or vials.

독성실험 결과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25 ㎖/kg의 용량으로 래트에게 경구 투여하였을 때 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고 간을 비롯한 장기의 기능에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As a result of toxicity tes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have little toxicity when orally administered to rats at a dose of 25 ml / kg, and did not show any side effects on the function of organs including liver.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to illustrate the invention,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액제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liquid

노나무 25 g, 골담초 25 g, 우슬 25 g, 오가피 22.5 g 및 감초 2.5 g의 혼합물에 물 1,000 ㎖를 붓고 약 2시간동안 달인 후 약 200 ㎖로 농축시켜 액제로 제조하였다.To a mixture of 25 g of oak, 25 g of gallweed, 25 g of dew, 22.5 g of ogapi and 2.5 g of licorice, 1,000 ml of water was poured, decocted for about 2 hours, and concentrated to about 200 ml to prepare a liquid.

〈실시예 2〉주제의 제조 1<Example 2> Preparation of the subject 1

노나무 0.75 kg, 골담초 0.75 kg, 우슬 0.75 kg, 오가피 0.675 kg 및 감초 0.75 kg의 혼합물에 물 12,000 ㎖를 붓고 약 2.5시간동안 달여 약 8,000 ㎖로 농축시켜 추출액을 얻었다. 그와 별도로 쌀 4 kg로 만든 증미, 전통누룩 1 kg 및 주모 0.05 k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추출액을 붓고 10∼25℃에서 약 3일간 발효시켰다. 발효액을 여과하여 액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하고 55-60℃로 가열한 후 여액에 정제수를 가하여 10,000 ㎖로 조절하여 주제로 제조하였다.12,000 ml of water was poured into a mixture of 0.75 kg of young oak, 0.75 kg of gallweed, 0.75 kg of wort, 0.675 kg of Ogapi and 0.75 kg of licorice, and weighed for about 2.5 hours and concentrated to about 8,000 ml to obtain an extract. Separately, the mixture was gradually mixed with steamed rice made from 4 kg of rice, 1 kg of traditional yeast, and 0.05 kg of jujube. The extract was poured and fermented at 10-25 ° C. for about 3 days. The fermentation broth was filtered to separate the liquid and solid portions, heated to 55-60 ° C., and purified water was added to the filtrate to adjust the amount to 10,000 ml.

〈실시예 3〉주제의 제조 2<Example 3> Preparation of the subject 2

노나무 0.75 kg, 골담초 0.75 kg, 우슬 0.75 kg, 오가피 0.675 kg 및 감초 0.075 kg의 혼합물에 쌀 4 kg로 만든 증미, 누룩 1 kg 및 주모 0.05 kg을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가하여 함께 혼합하고 물을 약 18,000 ㎖ 가한 후 10-25℃에서 약 5일간 발효시켰다. 발효액을 여과하여 액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하고 55-60℃로 가 열한 후 여액에 정제수를 가하여 10.000 ㎖로 조절하여 주제로 제조하였다.To a mixture of 0.75 kg of young oak, 0.75 kg of gallweed, 0.75 kg of wort, 0.675 kg of cucumbers and 0.075 kg of licorice, add a homogeneous mixture of 4 kg of rice, 1 kg of yeast, yeast, and 0.05 kg of seedlings, and mix them together and add about 18,000 water. After addition of ml,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at 10-25 ° C. for about 5 days. The fermentation broth was filtered to separate the liquid and solid portions, heated to 55-60 ° C., and purified water was added to the filtrate to adjust 10.000 ml to prepare a subject.

〈실시예 4〉 알콜추출 제제의 제조Example 4 Preparation of Alcohol Extraction Formulation

노나무 75 g, 골담초 75 g, 우슬 75 g, 오가피 67.5 g 및 감초 7.5 g의 혼합물에 70%, 에탄올 2,000 ㎖을 가하고 약 6시간동안 추출하여 알콜추출 제제를 제조하였다.70%, 2,000 ml of ethanol was added to a mixture of 75 g of young oak, 75 g of gallweed, 75 g of wort, 67.5 g of ogapi and 7.5 g of licorice and extracted for about 6 hours to prepare an alcohol extraction formulation.

〈실시예 5〉기타 제제의 제조Example 5 Preparation of Other Formulations

일반적으로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제조물을 필요에 따라 증발건조 또는 농축하거나 다른 보조제와 혼합하여 각각 환제, 과립제, 분무제, 정제 및 캅셀제를 제조하였다.The preparations obtained in the examples above were generally evaporated to dryness or concentrated or mixed with other auxiliaries according to the known conventional methods to prepare pills, granules, sprays, tablets and capsules, respectively.

〈실험예 1〉독성 및 부작용 확인시험Experimental Example 1 Toxicity and Side Effects Confirmation Test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액제를 인간에게 투여하는 용량비율(체중 1 kg당 1.5 내지 2.5 ㎖의 투여량)의 각각 1배(2.5 ㎖/kg), 5배(12.5 ㎖/kg) 및 10배(25 ㎖/kg) 투여량으로 성체 래트 30마리에 90일동안 경구투여한 후 30일이상 매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외견상 생리적 이상은 물론 해부학적 소견상 어떠한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20세 이후 성인 남녀 지원자를 대상으로 상기 액제의 적당한 투여량과 투여방법을 연구한 결과, 상기의 표준 약용량을 결정한 후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 증감하여 투여하였다. 이렇게 투여된 사람의 소수에서 위장관 불쾌감, 일시적 명현형상 또는 주취현상이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어떤 심각한 국소 또는 전신적인 부작용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위장관 불쾌감도 약용랑을 1/2 내지 2/3로 감량한 후부터는 소멸되었다.1 times (2.5 mL / kg), 5 times (12.5 mL / kg) and 10 times the dose ratio (1.5-2.5 mL dose / kg body weight) to administer the liquid preparation prepared in Example 1 25 ml / kg) was orally administered to 30 adult rats for 90 days and observed daily for at least 30 days. As a result, no abnormalities were found in all experimental groups as well as in physiological abnormalities. Thus,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appropriate dosage and administration method of the liquid formulation for adult male and female volunteers after 20 years of age, and after determining the standard dose of the solution was administer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atient. No other serious local or systemic side effects were identified except for gastrointestinal discomfort, transient manifestations or alcoholic incidence in a small number of people administered, and gastrointestinal discomfort was reduced by 1/2 to 2/3. After that, it disappeared.

〈실시예 2〉인간 비만세포에서 사이토카인량의 분석시험Example 2 Assay of Cytokine Content in Human Mast Cells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의 원인은 다양하여 그 연구방향도 다양한 각도로 진행되고 있다.The causes of inflammatory neuropathy disease are various,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is progressing from various angles.

그중 비만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조사하는 것은 이와 같은 질환을 연구하는데 좋은 지표가 된다. 비만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중 TNF-α , IL-1 및 IL-6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이다. 따라서, 어떤 유효약물이 이들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저해하는 경우 그 약물의 염증 억제효과를 유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구입한 인간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주에 본 발명의 알코올추출 제제를 처리한 후, 상기 세포로부터 TNF-α , IL-1 및 IL-6의 분비와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였다.Among them, the investigation of cytokine secretion in mast cells is a good indicator for studying such diseases. Among the cytokines secreted by mast cells, TNF-α, IL-1 and IL-6 are inflammatory cytokines. Therefore, when an effective drug inhibits the expression of these cytokines, it may releas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drug.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treated the alcohol extract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MC-1 cell line, which is a human mast cell line purchas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d then related to the secretion of TNF-α, IL-1 and IL-6 from the cells. Was investigat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액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주제 및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알콜추출 제제가 IgE-Ag의 자극에 의해 생성된 TNF-α 와 인터루킨의 분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를 항원으로 자극하기 전에 상기 액제 또는 주제를 세포에 미리 처리하였다. 배양된 상층액(supernatant) 중의 TNF-α , IL-1 및 IL-6의 농도를 조사하기 위해 96웰 ELISA 플레이트에서 ELISA를 이중으로 실시하였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the liquid preparation prepared in Example 1, the subject preparation prepared in Examples 2 and 3, and the alcohol extracting preparation prepared in Example 4 were produced by stimulation of IgE-Ag with interleukin. In order to determine if the secretion of is controlled, the solution or subject was pretreated with the cells prior to stimulating the cells with the antigen. To examine the concentrations of TNF-α, IL-1 and IL-6 in the cultured supernatant, ELISA was performed in duplicate in 96 well ELISA plates.

사이토카인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정제된 항-뮤린 TNF-α와 IL-1 및 IL-6를 PBS(pH 7.4)로 희석하여 96웰 플레이트를 0.05% 트윈을 함유하는 PBS로 세척한 후 1% BSA, 5% 수크로스 및 0.05% NaN3를 함유하는 PBS로 1시간동안 블로킹하였다. 수차례 세척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과 표준 사이토카인을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웰을 세척한 후 레빗(rabbit) IgG-컨쥬게이트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와 아비딘 퍼옥시다아제를 첨가하고 37℃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웰을 재 세척한 후 PNPP와 ABTS 기질을 첨가하고 ELISA 리더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발색반응을 측정하였다.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cytokines, purified anti-murine TNF-α and IL-1 and IL-6 were diluted with PBS (pH 7.4) to wash 96-well plates with PBS containing 0.05% Tween 1 Blocking for 1 hour with PBS containing% BSA, 5% sucrose and 0.05% NaN 3 . After washing several times,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ation and standard cytokine were added and left at 37 ° C. for 2 hours. The wells were washed and then rabbit IgG-conjugated alkaline phosphatase and avidin peroxidase were added and left at 37 ° C. for 20 minutes. After the wells were washed again, PNPP and ABTS substrate were added and the color reaction was measured at 405 nm using an ELISA reader.

그 결과, 비만세포에 본 발명의 주제를 처리하였을 때, 샘플농도 0.1 mg/㎖에서 TNF-α 와 IL-6 분비는 거의 100%에 가까운 저해율을 보였으며, IL-1의 분비는 약 44%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표 1).As a result, whe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treated with mast cells, the TNF-α and IL-6 secretion showed almost 100% inhibition at the sample concentration of 0.1 mg / ml, and the IL-1 secretion was about 44%. Inhibition rate was shown ( Table 1 ).

Figure 112004051634625-pct00001
Figure 112004051634625-pct00001

한편, 실시예 1, 3 및 4에서 제조한 조성물은 실시예 2의 조성물에 의한 효과보다는 낮지만 역시 비만세포 분비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만세포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액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주제 및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알콜추출 제제가 TNF-α , IL-6 및 IL-1의 분비를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3 and 4 was lower than the effect of the composition of Example 2, but also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mast cell secretory cytokin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ecretion of TNF-α, IL-6 and IL-1 was induced by the liquid preparation prepared in Example 1, the subjects prepared in Examples 2 and 3, and the alcohol extraction preparations prepared in Example 4 in mast cells. To adjust.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이 TNF-α , IL-6 및 IL-1의 발현을 억제 하는 기전에 의해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이 세 사이토카인을 조절함으로써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을 포함한 만성 염증반응 환자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임을 확인하였다.From the above results, patients with chronic inflammatory reactions including inflammatory neuropathy disease by controlling the three cytokines involved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by th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 the expression of TNF-α, IL-6 and IL-1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is useful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실험예 3〉인간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PBMC(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에서의 사이토카인의 발현 측정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Cytokine Expression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Isolated from Human Peripheral Blood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이 비만세포주 및 인간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PBMC에서의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measured the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in Example 2 on the expression of cytokines in PBMCs isolated from mast cell lines and human peripheral blood.

〈3-1〉대상의 선별 및 PBMC의 분리<3-1> Screening of objects and separation of PBMC

본 발명자들은 활성단계의 3명의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2명의 여자 및 1명의 남자)로부터 말초혈액을 채혈하였다. 선별된 모든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평균 연령 61.0±7.5 세; 평균 발병 기간 7.7±4.5년)는 미국 류마티즘 학회(American Rheumatism Association)의 기준에 적합하였다(Arnett FC et al., J. Korean Soc. Food. Nutr., 1996, 25, 170-179).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대한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특이적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비슷한 연령의 3명의 건강한 인간과 3명의 비-관절염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별하였고, 이로부터 말초혈액을 채혈하였다. 질환의 대조군으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연관이 없는 3명의 환자를 선별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간경화증 환자, 대뇌경색 환자 및 후기(post) 대뇌경색 환자들이었다. 말초혈액은 EDTA를 포함하는 튜브로 수집하였다. 세포의 활성화 단계에 미치는 시험관내에서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핵구세포는 실온에서 빠 른 원심분리(Ficoll-Hypaque, Histopaque-1077)에 의하여 즉시 분리되었다. PBMC는 접촉면(interface) 층으로부터 수집한 후 PBS로 두차례 세척하였고 RPMI 1640 배지로 한차례 더 세척하였다. PBMC는 RPMI-1640 배지에서 37℃의 5% CO2 배양기로 2시간동안 배양하여 안정화시켰다. 6×105 세포/㎖ 농도의 안정화된 세포를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We collected peripheral blood from three patients with active rheumatoid arthritis (two women and one man). All selected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mean age 61.0 ± 7.5 years; mean duration of disease 7.7 ± 4.5 years) met the criteria of the American Rheumatism Association (Arnett FC et al., J. Korean Soc. Food). Nutr ., 1996 , 25, 170-179). To investigat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subject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rheumatoid arthritis, we selected three healthy humans and three non-arthritic patients of similar age as controls and from which peripheral blood was drawn. Three patients who were not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were selected as controls of the disease, which were liver cirrhosis patients,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and post-cerebral infarction patients, respectively. Peripheral blood was collected into a tube containing EDTA. In order to minimize the in vitro effect on the activation phase of the cells, monocytes were immediately isolated by rapid centrifugation (Ficoll-Hypaque, Histopaque-1077) at room temperature. PBMC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face layer and washed twice with PBS and once more with RPMI 1640 medium. PBMC was stabilized by incubating for 2 hours in a 5% CO 2 incubator at 37 ℃ in RPMI-1640 medium. Stabilized cells at a concentration of 6 × 10 5 cells / ml were seeded into the culture plates.

〈3-2〉세포 배양 및 자극<3-2> Cell Culture and Stimulation

인간 백혈병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주는 100 유니트/㎖의 페니실린, 100 ㎍/㎖의 스트렙토마이신, 10-5 M의 모노티오글리세롤(monothioglycerol) 및 열에 의해 불활성화된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첨가된 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 BRL) 배지에서 37℃, 5% CO2 하에서 배양되었다. 20 nM의 PMA(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Sigma) 또는 1 μ M의 A23187을 사용하여 1× 106 세포/㎖ 농도의 HMC-1 세포를 자극하기 30분전에 1 내지 100 ㎍/㎖ 농도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주제 조성물을 처리하였고, 이후 37℃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PBMC는 100 유니트/㎖의 페니실린, 100 ㎍/㎖의 스트렙토마이신 및 열에 의해 불활성화된 10%의 FBS가 첨가된 RPMI-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6× 105 세포/㎖ 농도의 PBMC는 0.1 내지 10 ㎍/㎖ 농도의 주제 조성물로 전처리하였고, 이후 25 ㎍/㎖의 PHA(phytohaemagglutinin, Sigma)로 자극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HMC-1 cell line, a human leukemia mast cell line, contains 100 units / ml penicillin, 100 µg / ml streptomycin, 10 -5 M monothioglycerol and 10% fetal bovine serum inactivated by heat. ) Was incubated at 37 ° C., 5% CO 2 in IMD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 BRL) medium. Concentration of 1-100 μg / ml 30 minutes before stimulating HMC-1 cells at 1 × 10 6 cells / ml using 20 nM of PMA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Sigma) or 1 μM of A23187 The subject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invention was treated and then incubated at 37 ° C. Human PBMCs were cultured in RPMI-1640 medium supplemented with 100 units / ml penicillin, 100 μg / ml streptomycin and 10% FBS inactivated by heat. PBMCs at a concentration of 6 × 10 5 cells / ml were pretreated with the subject composition at a concentration of 0.1-10 μg / ml, and then incubated for 24 hours after stimulation with 25 μg / ml of PHA (phytohaemagglutinin, Sigma).

〈3-3〉MTT 분석<3-3> MTT analysis

세포의 생존력(viability)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MTT 발색분석을 이전 기술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Kim MS et al., Cancer Lett., 2001, 171, 75-89). 간략하게 설명하면, 5×104 세포/㎖의 HMC-1 세포를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PMA 또는 A23187을 사용하여 자극시킨 후 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첨가한 후, 37℃에서 4시간동안 세포를 배양하였고, 결정화된 MTT를 용해시킨 후 54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To investigate the viability of the cells, we performed MTT colorimetric analysi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the prior art (Kim MS et al., Cancer Lett ., 2001 , 171, 75-89). Briefly, 5 × 10 4 cells / ml of HMC-1 cells were cultured for 8 hours after stimulation with PMA or A23187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ddition of the MTT solution, the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for 4 hours, and the absorbance at 540 nm was measured after lysis of the crystallized MTT.

실험의 결과들은 표시된 수의 실험에 대한 평균± SEM으로 표시하였다. PMA 또는 A23187을 처리한 군과 대조군간의 차이점 및 PMA 또는 A23187 처리군과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 처리군 간에 대한 의미있는 정도는 Mann-Whitney U 테스트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군, 질환 대조군 및 건강한 대조군 사이의 차이점은 Tukey의 방법에 따른 평균의 post-hoc 테스트를 고려한 변이(variance) 분석 (ANOVA)에 의해 비교하였다. 모든 테스트에 있어서, 0.05 이하의 P 수치를 가지는 경우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expressed as mean ± SEM for the indicated number of experim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MA or A23187 treat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significant degree between the PMA or A23187 treated group and the subject composition treated grou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termined by the Mann-Whitney U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rheumatoid arthritis group, disease control group and healthy control group were compared by variance analysis (ANOVA) taking into account the post-hoc test of the mean according to Tukey's method. In all tests, it was considered meaningful if it had a P value of 0.05 or less.

그 결과,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은 HMC-1 세포의 생존력에 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1은 100 ㎍/㎖ 농도의 주제 조성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20 nM의 PMA 또는 1 μ M의 A23187을 이용하여 자극시킨 후 8시간 배양한 세포의 생존력을 보여준다. PMA 또는 A23187을 처리한 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생존력은 대조군의 수치인 100± 4.0%와 비교하였을 때 87.5± 7.0% 및 91.4± 1.6%로 나타나 조금 감 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은 각각의 조건에 있어서 세포의 생존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HMC-1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As a result,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show a toxic effect on the viability of HMC-1 cells. 1 shows the viability of cells cultured for 8 hours after stimulation with 20 nM PMA or 1 μM A23187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ject composition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 / ml. In the cells treated with PMA or A23187, the viability of the cells was slightly decreased by 87.5 ± 7.0% and 91.4 ± 1.6%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00 ± 4.0%. However,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id not affect the viability of the cells in each condition and did not show toxicity to HMC-1 cells.

〈3-4〉사이토카인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측정<3-4> Measurement of effect on secretion of cytokine

본 발명자들은 HMC-1 또는 PBMC의 배양 상층액에 존재하는 분비된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샌드위치 ELISA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TNF-α 및 IL-1β 분석의 경우에는 R&D Systems, IL-8 분석의 경우에는 PharMingen). 아비딘-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avidin-horseradish peroxidase)발색 반응의 흡광도를 40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standard)인 인간재조합체의 순차적인 희석액(serial dilution)을 이용하여 측정한 흡광도와 비교하였다.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secreted cytokines present in the culture supernatants of HMC-1 or PBMC by sandwich ELISA method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R & D Systems, IL for TNF-α and IL-1β assays). -8 PharMingen for analysis). Absorbance of the 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lor reaction was measured at 405 nm and compared with the absorbance measured using serial dilution of a standard human recombinant. It was.

그 결과,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은 HMC-1 세포에서의 TNF-α , IL-1β 및 IL-8 분비를 억제하였다. HMC-1 세포는 PMA 또는 A23187과 같은 비-생리적인 물질(non-physiological agent)에 의해서 활성화되어서 여러 가지 종류의 사이토카인을 방출한다고 알려져 있다(Queralt M, et al., Inflamm. Res., 2000, 49, 355-360; Kruger-Krasagakes S, Immunol., 1999, 98, 253-257). 예비실험에서, 본 발명자들은 PMA 또는 A23187에 의하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 IL-1β 및 IL-8를 분비시키기 위한 최적의 시간 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TNF-α 의 분비는 20 nM의 PMA 자극 후 8시간 배양하였을 때 최대치에 도착하였다(도 2A). 자극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약 8시간동안 자극한 후에는 상층액에서 10배 이상의 TNF-α 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PMA에 의해 유도된 HMC-1 세포에서의 TNF-α 배출에 대한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억제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도 2B). 본 발명 의 주제 조성물은 도스-의존적인(dose-dependent) 방식으로 TNF-α 의 분비를 억제하였으며, 100 ㎍/㎖ 농도의 주제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거의 완전히 TNF-α 의 분비를 억제하였다(87% 억제). 도 3A는 1 μ M의 A23187에 의해 자극된 HMC-1 세포에 있어서의 IL-1β 방출의 시간-반응(time-response) 커브를 보여준다. 6시간동안의 자극에 의해 상층액으로 방출된 IL-1β 의 양은 자극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거의 3배정도 증가하였다. HMC-1 세포에서의 IL-1β 의 분비에 대한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영향을 도 3B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은 도스-의존적인 방식으로 IL-1β 의 분비를 억제하였으며, 10 ㎍/㎖의 주제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단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만을 제공하였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1 μ M의 A23187에 의해 자극된 후 IL-8 분비가 최대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결정하였다. IL-8의 분비는 자극후 6시간동안 배양하였을 때 최대수치에 도달하였으며, 자극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상층액에서 약 15배정도 증가하였다. IL-8 분비에 대한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효과를 도 4B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은 IL-8의 분비를 도스-의존적인 방법으로 억제하였으며, 100 ㎍/㎖의 주제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84%정도 억제되었다.As a result,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ed TNF-α, IL-1β and IL-8 secretion in HMC-1 cells. HMC-1 cells are known to be activated by non-physiological agents such as PMA or A23187 to release various types of cytokines (Queralt M, et al., Inflamm. Res ., 2000 , 49, 355-360; Kruger-Krasagakes S, Immunol ., 1999 , 98, 253-257). In preliminary experiments, we investigated the optimal time conditions for secreting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and IL-8 by PMA or A23187. The secretion of TNF-α reached its maximum when cultured for 8 hours after 20 nM PMA stimulation ( A in FIG. 2 ). Compared with no stimulation, TNF-α increased more than 10-fold in the supernatant after stimulation for about 8 hours.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on TNF-α excretion in PMC-induced HMC-1 cells ( FIG . 2B ).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ed the secretion of TNF-α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most completely inhibited the secretion of TNF-α when treated with a 100 μg / ml subject composition ( 87% inhibition). Figure 3 A is a IL-1β release time in the HMC-1 cells stimulated with a 1 μ M A23187 - shows the response (time-response) curves. The amount of IL-1β released into the supernatant after 6 hours of stimulation was nearly threefold higher than in the absence of stimulation. The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ecretion of IL-1β in HMC-1 cells are shown in B of 3.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ed the secretion of IL-1β in a DOS-dependent manner and provided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when treated with 10 μg / ml of the subject composition. As shown in A of FIG . 4 , we determined the time at which IL-8 secretion reached its maximum after stimulation with 1 μM of A23187. The secretion of IL-8 reached the maximum value when cultured for 6 hours after stimulation, and increased by 15-fold in the supernatant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stimulation. The effec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IL-8 secretion is shown in B of FIG. 4 .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ed the secretion of IL-8 in a DOS-dependent manner, with 84% inhibition when treated with 100 μg / ml of the subject composition.

〈3-5〉RNA의 분리 및 RT-PCR 분석<3-5> RNA isolation and RT-PCR analysis

본 발명자들은 수집한 세포로부터 마이크로 mRNA 정제 키트(Amersham Pharmacia Biothch)를 사용하여 mRNA를 추출하였고, 첫째 가닥 cDNA 합성 키트(First-strand cDNA synthesis kit, Amersham Pharmacia Biotech)를 사용하여 37℃에서 1시간 30분동안 리버스 트랜스크립타제(reverse transcriptase) 반응에 의하 여 100 ng와 mRNA를 cDNA로 변화시켰다. PCR 증폭은 인간 TNF-α , IL-8 및 β -액틴에 대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94℃에서 45초, 60℃에서 45초 및 72℃에서 1.5분을 35회 반복 실시하여 수행하였다. IL-1β 에 대한 프라이머 서열은 야마무라 등의 발표된 자료로부터 얻었고(Yamamura M, et al., Science, 1991, 254, 277-279), 시료는 94℃에서 1분, 65℃에서 1분 및 72℃에서 1분을 35회 반복하여 증폭하였다.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TNF-α , IL-1β , IL-8 및 β-액틴에 대하여 각각 355, 248, 200 및 661 bp 길이의 PCR 생성물을 생산하였다. 최종적인 PCR 산물을 2% 아가로즈 젤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We extracted mRNA from the collected cells using a micro mRNA purification kit (Amersham Pharmacia Biothch), using a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Amersham Pharmacia Biotech) at 37 ℃ 1 hour 30 100 ng and mRNA were converted to cDNA by reverse transcriptase reaction for minutes. PCR amplification was repeated 35 times 45 seconds at 94 ° C., 45 seconds at 60 ° C. and 1.5 minutes at 72 ° C. using a set of commercially available oligonucleotide primers for human TNF-α, IL-8 and β-actin It was performed by. Primer sequences for IL-1β were obtained from published data by Yamamura et al. (Yamamura M, et al., Science , 1991 , 254, 277-279) and samples were 1 min at 94 ° C., 1 min and 72 ° C. Amplification was repeated 35 times for 1 minute at &lt; RTI ID = 0.0 &gt; The primer set was used to produce PCR products of 355, 248, 200 and 661 bp lengths for TNF-α, IL-1β, IL-8 and β-actin, respectively. The final PCR product was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on 2% agarose gel.

그 결과,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은 HMC-1 세포에서 TNF-α 및 IL-1β 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나 IL-8의 발현은 억제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주제조성물이 사이토카인 mRNA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HMC-1 세포로부터 mRNA를 분리하여 cDNA로 역전사하였다. cDNA는 TNF-α , IL-1β 및 IL-8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에 의해 증폭되었으며, 2% 아가로즈 젤에서 각각 최종적으로 355, 248 및 200 bp의 밴드를 생산하였다(도 5). 구조유전자인 인간 β -액틴(661 bp)을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cDNA의 동량(equivalency)을 확인하였다. PMA 존재하에서 7시간동안 배양하였을 때, TNF-α 의 발현은 PMA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은 농도-의존적인 방식으로 TNF-α 의 발현을 억제하였다(도 5A). A23187에 의해 자극된 세포에서는 더 높은 IL-1β 의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10 ㎍/㎖의 주제 조성물을 전처리한 경우에는 ELISA에서의 데이터와 일치하게 IL-1β 의 발현을 성공적으로 억제하였다(도 5B). A23187을 처리한 후 5시간동안 배양하였을 때, IL-8 발현은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증가하였다. 그러나, 주제 조성물은 A23187에 의해 자극된 세포에서의 IL-8 발현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도 5C).As a result,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NF-α and IL-1β in HMC-1 cells but did not inhibit the expression of IL-8.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can regulate the expression of cytokine mRNA, we isolated mRNA from HMC-1 cells and reverse transcribed them into cDNA. cDNA was amplified by PCR using primers specific for TNF-α, IL-1β and IL-8 and finally produced bands of 355, 248 and 200 bp, respectively, on 2% agarose gels ( FIG. 5 ). . PCR using the structural gene human β-actin (661 bp)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quivalence of cDNA. When incubated for 7 hours in the presence of PMA, the expression of TNF-α was increased compared to that without PMA treatment, and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NF-α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 A ) of FIG. 5 . Higher IL-1β expression was induced in cells stimulated with A23187, and pretreatment with 10 μg / ml of the subject composition successfully inhibited IL-1β expression, consistent with data from ELISA ( FIG. 5 ) . B ). When cultured for 5 hours after treatment with A23187, IL-8 expression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treatment. However, the subject composition did not inhibit IL-8 expression in cells stimulated by A23187 ( FIG . 5C ).

〈3-6〉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와 대조군 대상에서의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한 조절효과 비교Comparison of Moderating Effects on Cytokine Secretion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본 발명자들은 활성적인 류마티스 환자에 대한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의 특이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동일한 연령대의 건강하거나 비-류마티스 환자 대조군으로부터 분리한 PBMC에 의한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비교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specificity of the subject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for active rheumatoid patients, we compared the production of cytokines by PBMCs isolated from healthy or non-rheumatic patient controls of the same age.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NF-α 및 IL-1β 의 생산은 PBMC에서의 PHA-자극에 의하여 증가되었다(Mao TK, et al., Life Science, 2000, 66, 1377-1386; Mayringer I, et al., J. Immunol. Methods, 2000, 235, 33-40). 자극되지 않은 PBMC와 비교하였을 때, TNF-α 의 생산은 활성적인 류마티스 환자군의 경우 4.5배 증가하였고 건강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3.1배 및 건강한 대조군의 경우에는 5.9배 증가하였다(p<0.05). 10 ㎍/㎖의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을 전처리하였을 때 건강한 대조군의 경우에는 TNF-α 의 생산이 약간 억제되었지만(p=0.158), 활성적인 환자군의 경우에는 도스-의존적인 방법으로 TNF-α 의 생산을 억제하였다. 활성적인 류마티스성 관절염군의 경우 PHA를 처리하면 PBMC에 의한 IL-1β 의 생산이 3.9배 증가하고, 건강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는 3.7배 증가하고, 건강한 대조군의 경우에는 12.7배 증가하였다(0<0.05). PHA로 자극하기 30분전에 본 발명의 주제 조성물을 처리하면 활성적인 류마티스성 관절염 군으로부터 분리한 PBMC의 경우에는 도스-의존적인 방식으로 IL-1β 의 생산이 억제되었으나, 대조군의 경우에는 억제되지 않았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 production of TNF-α and IL-1β was increased by PHA-stimulation in PBMC (Mao TK, et al., Life Science , 2000 , 66, 1377-1386; Mayringer I, et al., J. Immunol.Methods , 2000 , 235, 33-40). Compared to unstimulated PBMCs, production of TNF-α increased 4.5-fold for active rheumatoid patients, 3.1-fold for unhealthy controls and 5.9-fold for healthy controls (p <0.05). Pretreatmen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t 10 μg / ml sligh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α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p = 0.158), but the dose-dependent method of TNF-α in the active patient group. Production was inhibited. In the active rheumatoid arthritis group, PHA treatment resulted in a 3.9-fold increase in IL-1β production by PBMC, a 3.7-fold increase in the unhealthy control group, and a 12.7-fold increase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0 < 0.05). Treatment of the subje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0 minutes prior to stimulation with PHA inhibited the production of IL-1β in a DOS-dependent manner in PBMCs isolated from the active rheumatoid arthritis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

Figure 112004051634625-pct00002
Figure 112004051634625-pct00002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퇴행성 신경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신경관절염, 염증성 요통 등과 같은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중장년층 이후에 자주 발생하는 퇴행성 신경관절염의 증상 경감은 물론 치 료효과가 매우 뛰어나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inflammatory neuropathy diseases such as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neural arthritis due to physical damage, inflammatory low back pain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xcellent in the treatment effect as well as alleviate the symptoms of degenerative arthritis, which occurs frequently after the elderly.

Claims (13)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 혼합물의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Water extracts or alcohol extracts of a mixture of cypress, oleander, dew, cucumber, and licoric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은 1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The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of claim 1, wherein the alcoho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0 to 100% of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은 70 내지 99.9%의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The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of claim 2, wherein the alcohol is 70 to 99.9% ethano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가 0.5∼1 : 0.5∼1 : 0.5∼1 : 0.1∼1 : 0.05∼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oak, gallweed, hyssop, cucumber and licoric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0.5 to 1: 0.5 to 1: 0.5 to 1: 0.1 to 1: 0.05 to 0.1.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제 1항의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에 쌀, 누룩 또는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및 주모의 혼합물을 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주제 조성물.The subject composition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an inflammatory disease prepared by adding fermentation to a water extract or an alcohol extract of claim 1, wherein the mixture of rice, yeast or yeast is added to the mixture. 제 5항에 있어서, 쌀, 누룩 및 주모가 1∼4 : 0.2∼1 : 0.02∼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조성물.6. The mai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rice, yeast and chimney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to 4: 0.2 to 1: 0.02 to 0.1. 1)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의 혼합물에 물 또는 알콜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1) heating by adding water or alcohol to a mixture of cypress, gallweed, dew, organza and licorice; And 2) 액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한 후 액상부분을 농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 1항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추출물의 제조방법.2) A method for producing an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of claim 1, comprising separating the liquid portion and the solid portion and then concentrating the liquid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 노나무, 골담초, 우슬, 오가피 및 감초가 0.5∼1 : 0.5∼1 : 0.5∼1 : 0.1∼1 : 0.05∼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8.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oak, gallweed, hyssop, cucumber, and licorice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0.5 to 1: 0.5 to 1: 0.5 to 1: 0.1 to 1: 0.05 to 0.1. 1) 상기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에 쌀, 누룩 또는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균주 및 주모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1) fermenting the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by adding a mixture of rice, yeast or strains separated from the yeast and the mother seed; And 2) 액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한 후 액상부분을 농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제 5항의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주제 조성물의 제조방법.2) A method of preparing a subject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iquid portion and the solid portion are separated and the liquid portion is concentrated. 제 9항에 있어서, 쌀, 누룩 및 주모가 1∼4 : 0.2∼1 : 0.02∼0.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10.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ice, yeast, and chimney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 to 4: 0.2 to 1: 0.02 to 0.1. 제 1항의 수추출물 또는 알콜추출물 또는 제 5항의 주제 조성물을 유효성분 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the water extract or alcohol extract of claim 1 or the subject composition of claim 5 as an active ingredient. 제 11항에 있어서, 염증성 질환이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12.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inflammatory disease is an inflammatory neurological disease. 제 12항에 있어서, 염증성 신경관절질환이 퇴행성 신경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물리적 손상으로 인한 신경관절염 및 염증성 요통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13. The composition of claim 12, wherein the inflammatory neurological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neuroarthritis due to physical injury and inflammatory low back pain.
KR1020047018016A 2004-11-08 2002-05-09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05911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8016A KR100591164B1 (en) 2004-11-08 2002-05-09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8016A KR100591164B1 (en) 2004-11-08 2002-05-09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846A KR20050004846A (en) 2005-01-12
KR100591164B1 true KR100591164B1 (en) 2006-06-19

Family

ID=3721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016A KR100591164B1 (en) 2004-11-08 2002-05-09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1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421B1 (en) * 2017-04-25 2020-06-05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Composition for Anti-Allergy Using an Extract of Catalpa ovata
KR102640760B1 (en) * 2021-05-25 2024-02-28 제천한약영농조합법인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Herb T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846A (en)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155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US10471114B2 (en) Composition from Sphaeranthus indicus and Garcinia mangostana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CN101500582B (en) Use of escin
KR20090079608A (en) Treatment for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Artemisia extract
KR101192409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using Trachelospermi caulis partitionated extract and its manufacture method
KR100483539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4477354B2 (en) Herbal compositions for treating various diseases including psoriasi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such diseases
KR100591164B1 (en)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20090111445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Dermatitis or increasing immunity comprising natural plants extract
KR20100074738A (en) Herbal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containing the same
KR20090053055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dermatitis or increasing immunnity comprising natural plants extract
KR101746158B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Gypsophila oldhamiana extract and use thereof
WO2003094947A1 (en) Herbal extract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23144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th care food comprising the extract of complex herb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lergic or non-allergic skin disease
KR101987364B1 (en) A composition for treating dermatitis comprising aerial part of Arachis hypogaea L. extract and fractions and use thereof
KR101746157B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Lobelliae Chinensis extract and use thereof
KR20090074295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dermatitis or increasing immunity comprising natural plants extract
KR102150988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red ginseng concentrated powder
KR20220168960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effective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llergies including new varieties of licorice of Wongam and Sinwongam, and its therapeutic agent
CN113230255A (en) Application of apatinib in preparation of medicin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NLRP3 inflammation body related diseases
KR20230109504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prostatic diseases comprising Fermented Portulaca oleracea extract
EP0342121A2 (en) Anti-allergic extract
KR101171834B1 (en) Bisabolangelone and 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extract containing bisabolangelon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of atopic allergy and allergic athma
KR20230099646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mixture of herbal extracts of isatidis folium and juglans mandshurica
KR20060025278A (en) The effective medi-food composition to atopic dermatit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