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966B1 -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966B1
KR100585966B1 KR1020040036566A KR20040036566A KR100585966B1 KR 100585966 B1 KR100585966 B1 KR 100585966B1 KR 1020040036566 A KR1020040036566 A KR 1020040036566A KR 20040036566 A KR20040036566 A KR 20040036566A KR 100585966 B1 KR100585966 B1 KR 10058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stereoscopic image
additional data
stereoscopic
transpor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379A (ko
Inventor
조숙희
배병준
윤국진
안충현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3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966B1/ko
Priority to CNB2004800431026A priority patent/CN100563324C/zh
Priority to PCT/KR2004/003129 priority patent/WO2005114998A1/en
Priority to JP2007526966A priority patent/JP4828535B2/ja
Priority to EP04808260A priority patent/EP1751979A4/en
Publication of KR2005011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른 시점의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벗어나, 다른 시점의 영상 또는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과 같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2차원 비디오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동기되어진 부가 스트림으로 정의하여 처리함으로써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수단;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획득수단; 상기 영상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데이터를 기본 스트림(ES)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인코딩수단;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 상기 인코딩수단에서 부호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입력받아 각각 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으로 생성하기 위한 패킷화수단; 상기 패킷화수단에서 패킷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입력받고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입력받아,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생성수단; 상기 전송 스트림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하나의 전송 스트림(TS)으로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수단; 및 상기 다중화수단에서 다중화한 전송 스트림(TS)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은,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를 정의하는데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을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정의되어 있는 값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 등에 이용됨.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다시점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Description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The three dimensional video digital broadcasting transmitter- receiver and its method using Information for three dimensional video}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기본 스트림 패킷(PES)의 구성 다이어그램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하여 추가한 3차원 입체 영상 타입(3D_Video_type)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정보를 가진 전송 스트림(TS)의 구성 다이어그램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정보를 가진 전송 스트림(TS)의 구성 다이어그램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 구성 다이어그램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영상 획득부 120 : 오디오 데이터 획득부
130 : 인코딩부 140 :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부
150 : 패킷화부 160 : 전송 스트림 생성부
170 : 다중화부 180 : 변조부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시점의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벗어나,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과 같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2차원 비디오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동기되어진 부가 스트림으로 정의하여 처리함으로써 2 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 이하 "MPEG" 라 함)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동일한 대역폭에 고화질(High Definition)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으며, 다수의 표준화질(Standard Definition) 프로그램을 하나의 채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은 데이터 방송, 대화형 방송 등 여러 가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전송 채널에 다수의 프로그램과 여러 가지의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발생된 MPEG-2 전송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을 하나의 채널에 다중화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에는 입체 영상의 송/수신시 영상들의 전송순서가 상호 교번적으로 질서 정연한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었으나,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는 전송 포맷(Transport Format)에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프로그램 안내 등을 위한 부가 정보가 서로 복잡하게 다중화되어 있고 영상이 무질서하게 나열되어 있어서 이를 다시 분리하여 출력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부가정보의 각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패킷 식별자(PID : Packet Identifier)와 입체 영상을 위한 좌, 우 영상의 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패킷 식별자(PID)를 두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3차원 입체 영상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은 좌, 우 영상에 대하여 각각의 패킷 식별자(PID) 값을 정의함으로써, 2개의 비디오 스트림이 존재하게 되어, 기존 2차원 시스템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못하게 되므로 호환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정보로는 2 시점의 영상 또는 1 시점의 영상과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1 시점의 영상과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가 있는데, 상기 제안된 방법에서는 2 시점의 영상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벗어나,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과 같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2차원 비디오 전송 스트림(TS)에 동기되어진 부가 스트림으로 정의하여 처리함으로써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신 장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수단;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획득수단; 상기 영상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데이터를 기본 스트림(ES)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인코딩수단;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 상기 인코딩수단에서 부호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입력받아 각각 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으로 생성하기 위한 패킷화수단; 상기 패킷화수단에서 패킷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입력받고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입력받아,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생성수단; 상기 전송 스트림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하나의 전송 스트림(TS)으로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수단; 및 상기 다중화수단에서 다중화한 전송 스트림(TS)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은,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를 정의하는데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을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정의되어 있는 값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전송 스트림(TS)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에서 복조한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고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에서 분석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 스트림(TS)을 역 다중화하여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추출하기 위한 역 다중화수단;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입력받아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 상기 역 다중화수단에서 역 다중화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각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분석수단; 상기 전송 스트림 분석수단으로부터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입력받아 역 패킷화하여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생성하기 위한 역 패킷화수단; 상기 역 패킷화수단으로부터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입력받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수단; 상기 디코딩수단에서 디코딩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및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합성하여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생성하기 위한 영상 합성수단; 및 상기 영상 합성수단으로부터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디코딩수단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되,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에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새롭게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송신 방법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에 있어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각각 부호화하여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으로 생성하는 인코딩단계; 상기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으로 생성하는 패킷화단계; 상기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단계; 상기 생성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와 상기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생성단계; 상기 생성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TS)으로 다중화하는 다중화단계; 및 상기 다중화한 전송 스트림(TS)을 변조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변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단계는,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를 정의하는데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을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정의되어 있는 값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신 방법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전송 스트림(TS)을 복조하는 복조단계; 상기 복조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패킷 식별자에 따라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분리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이용하여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단계; 상기 분석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여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역 다중화하는 역 다중화단계; 상기 역 다중화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으로 생성하는 기본 스트림 패킷 생성단계; 상기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역 패킷화하여 각 기본 스트림(ES)으로 생성하는 기본 스트림 생성단계; 상기 역 패킷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단계; 상기 복호화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합성하여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한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되,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에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새롭게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는,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부(110),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획득부(120), 상기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획득부(120)에서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부호화하기 위한 인코딩부(Encoder)(130), 각각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부(140), 상기 인코딩부(130)에서 부호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입력받아 각각 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하기 위한 패킷화부(Packetizer)(150), 상기 패킷화부(150)로부터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입력받고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부(140)로부터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입력받아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TS) 생성부(160), 상기 전송 스트림 생성부(160)로부터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하나의 전송 스트림(TS)으로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부(Multiplexer)(170), 및 상기 다중화부(170)에서 다중화한 전송 스트림(TS)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부(Modulator)(18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획득부(110)는, 오리지널 영상 생성을 위한 한 시점의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생성을 위한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오리지널 영상 생성을 위한 한 시점의 영상은 다른 시점의 영상과 비교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이 되는 영상이고, 상기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생성을 위한 다른 시점의 영상은 오리지널 영상과 시점이 다른 하나의 다른 시점 영상, 또는 다른 여러 개의 시점을 갖는 다시점 영상이다.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생성을 위한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는 다시점 영상 또는 한 시점의 영상과 다른 시점에서 얻은 두 개의 영상을 하나로 투영했을 때 다른 시점에서 획득하였지만 대상의 같은 위치를 나타내는 두 지점 사이의 거리 정보이고,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는 한 시점의 영상과 정해진 거리에서 동일 대상에 대한 다른 시점의 영상을 획득하여 알 수 있는 원근 정보이다.
상기 인코딩부(130)는, 상기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기준 시점의 오리지널 영상을 입력받아 현재 방송 규격인 MPEG-2로 부호화하기 위한 제 1 MPEG-2 인코더(Encoder)(131)와, 상기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임의의 인코더(Encoder)(132), 상기 오디오 데이터 획득부(12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현재 방송 규격인 MPEG-2로 부호화하기 위한 제 2 MPEG-2 인코더(Encoder)(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부(140)는 오리지널 영상,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각각의 정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프 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부(140)는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 Program Map Table)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에 있어서 기존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사용하고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을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정의되어 있는 값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패킷화부(150)는, 상기 인코딩부(130)로부터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Ori)을 입력받아 패킷화하여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Ori)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패킷화기(Packetizer)(151), 상기 인코딩부(130)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3D)을 입력받아 패킷화하여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패킷화기(Packetizer)(152), 및 상기 인코딩부(13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Au)을 입력받아 패킷화하여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Au)을 생성하기 위한 제 3 패킷화기(Packetiser)(15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패킷화부(150)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와 관련하여 새롭게 필요한 입력 필드가 있을 경우에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의 헤더부에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을 구분하기 위해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타입에 대한 입력 필드를 추가 정의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상기 전송 스트림 생성부(160)는, 상기 패킷화부(150)로부터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Ori)을 입력받아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 (TS_Ori)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전송 스트림 생성기(161), 상기 패킷화부(150)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을 입력받아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 패킷(TS_3D)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전송 스트림 생성기(162), 상기 패킷화부(15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Au)을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 패킷(TS_Au)을 생성하기 위한 제 3 전송 스트림 생성기(163), 및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부(140)로부터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입력받아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 패킷(TS_PSI)을 생성하기 위한 제 4 전송 스트림 생성기(164)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화부(170)는, 다중화의 마지막 과정에서 시스템 시간 검출에 사용하기 위해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Ori)에 프로그램 시간 참조(PCR : Program Clock Reference)를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는 기본 스트림 패킷(PES)의 구성 다이어그램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 의 패킷화부(150)에서 생성되는 기본 스트림 패킷(PES)은 MPEG-2 시스템 표준규격(ISO/IEC 13818-1)의 구성을 따르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와 관련하여 새롭게 필요한 입력 필드가 있을 경우에 기본 스트림 패킷(PES)의 헤더부에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시점의 영상과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의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하여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타입(3D_Video_Type)에 대한 입력 필드가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스트림 패킷(PES)의 헤더부에서 3차원 입체 영상의 정보구분을 위한 구성을 추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패킷화부(150)에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할 때 도 2 에 도시된 기존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 헤더부에 있는 기본 스트림 패킷 확장 필드 데이터(PES extension field data) 공간을 활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 타입을 추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스트림 패킷 확장 필드 데이터(PES extension field data)를 이용하여 2 비트(bit)의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타입(3D_Video_type)이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낸다.
Figure 112004021653117-pat00001
도 3 의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타입(3D_Video_type)을 추가로 정의할 때,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스트림 패킷 확장 필드 데이터(PES extension field data)에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타입(3D_Video_type)을 나타내는 값이 미리 정의되어져 있어야 한다. "00" 값은 시차 정보(Disparuty Information), "01" 값은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10" 값은 다른 시점의 영상(Additional 3D video), "11" 값은 예약(Reserved)을 의미한다.
한편,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부(140)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의 4가지 테이블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유료부하(payload) 부분에 삽입되는데 수신기에서의 초기화 등을 위해서 일정한 시간 간격 내에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상기 테이블들은 각기 다른 패킷 식별자(PID)값에 의해 구분되며, 한 개의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에는 한 종류의 테이블 만 전송된다.
아래의 [표 2]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의 패킷 식별자(PID) 값에 대한 정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4021653117-pat00002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TS)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표 2] 에 정의된 바와 같이, "0x00010 ~ 0x1FFE" 구간의 패킷 식별자(PID) 값을 임의로 설정하여 활용할 수 있고, 설정된 패킷 식별자(PID) 값과 의미는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내에 미리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에 기존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하는 전송 스트림(TS)의 패킷 식별자(PID) 설정 및 설명뿐만 아니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TS)의 패킷 식별자(PID) 설정 및 설명을 추가로 정의한다.
여기서, 패킷 식별자(PID)의 "0x0000" 은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 Program Association Table), "0x0001" 은 제한 엑세스 테이블(CAT : Condition Access Table), "0x0002" 는 전송 스트림 설명 테이블(TS Description Table), "0x0003 ~ 0x000F" 구간은 예약(Reserved), "0x00010 ~ 0x1FFE" 구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임의의 패킷 식별자(PID), "0x1FFF" 는 널 패킷(Null Packet)을 의미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정보를 가진 전송 스트림(TS)의 구성 다이어그램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정보를 가진 전송 스트림(TS)은 MPEG-2 시스템 표준규격(ISO/IEC 13818-1)의 구성을 따르며,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에는 전송 스트림(TS)이 어떤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번호와 패킷 식별자(PID) 등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정의한다. 즉, 각 프로그램 번호(Program_number 0, 1, 2, ... , i)에 대한 네트워크 식별자(network_PID),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에 대한 패킷 식별자(program_map_PID)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가 하나의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를 갖게 되고, 반드시 한 개의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에 대한 패킷 식별자(program_map_PID)를 갖는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정보를 가진 전송 스트림(TS)의 구성 다이어그램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정보를 가진 전송 스트림(TS)은 MPEG-2 시스템 표준규격(ISO/IEC 13818-1)의 구성을 따르며, 프로그 램 구조 테이블(PMT)은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기본 스트림(ES)에 대한 내용 및 패킷 식별자(PID)를 포함한다. 즉, 프로그램에 대한 각 정보의 스트림 타입(stream_type), 구성요소에 대한 전송 스트림의 패킷 식별자(elementary_PID), 기본 스트림 정보의 길이(ES_info_lengh), 설명(discriptor)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3차원 콘텐츠가 존재할 때 오리지널 영상,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각 정보를 구분하기 위해 구성요소에 대한 패킷 식별자(elementary_PID)와 각각의 정보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에 대한 패킷 식별자(elementary_PID)는 프로그램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 패킷(TS)의 패킷 식별자(PID) 값을 나타내고,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구성요소에 대한 패킷 식별자(elementary_PID)의 패킷 식별자(PID) 값을 갖는 패킷(Packet)에 들어있는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종류를 나타낸다.
아래의 [표 3]은 현재 표준화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에 대한 할당표이다.
Figure 112004021653117-pat00003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의 구분을 위해 상기 [표 3]에 정의된 바와 같이, MPEG-2 비디오는 "0x02", MPEG-2 오디오는 "0x04"로 정의되어 있다. 하지만,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2차원 영상과 같이 "0x02"로 정의하면 한 개 의 프로그램에 두 개의 비디오 스트림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인해 기존의 2차원 디지털 수신 장치에서는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 표준 규격에서 예약(reserved)이나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정의되어 있는 값 중 하나에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새롭게 정의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 구성 다이어그램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은 MPEG-2 시스템 표준규격(ISO/IEC 13818-1)의 구성에 따라 188 바이트의 고정 길이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으로 생성되며, 크게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 헤더와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 유료부하(Payload)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 헤더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기화 바이트 및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패킷 식별자(PID)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 유료부하(Payload)는 각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Ori, PES_3D),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Au), 및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_Ori, PES_3D, PES_Au)은 도 6 에 도시된 MPEG-2 시스템 표준 규격(ISO/IEC 13818-1)의 전송 스트림(TS) 구성에 따라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도 1 의 전송 스트림 생성부(160)는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에 정의되어 있는 패킷 식별자(PID) 값을 참조하여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Ori)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Au)을 입력받아 각각의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생성한다.
각각의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은 상기 도 1 의 다중화부(170)에서 하나의 전송 스트림(TS)으로 다중화되어 전송이 가능하게 변조부(180)에 의해 변조되어 전송된다.
이 때, 상기 다중화부(170)의 마지막 과정에서 오리지날 디지털 영상 전송 스트림(TS_Ori)에 프로그램 시간 참조(PCR)를 삽입하여,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클럭 검출에 사용한다. 프로그램 시간 참조(PCR)의 삽입 주기는 MPEG-2 시스템 규격을 따른다.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변조되어 수신된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710), 상기 복조부(710)로부터 복조된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고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로부터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입력받아 하나의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TS)을 역 다중화하여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구분하기 위한 역 다중화부(720),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부터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입력받아 프로그램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 전달하기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 상기 역 다중화부(720)에서 역 다중화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각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분석부(740), 상기 전송 스트림 분석부(740)로부터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입력받아 역 패킷화하여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생성하기 위한 역 패킷화부(750), 상기 역 패킷화부(750)로부터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입력받아 복호화하기 위한 디코딩부(760), 상기 디코딩부(760)에서 디코딩한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아 합성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합성부(770), 및 상기 영상 합성부(770)로부터 2차원 영상이나 3차원 입체 영상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타입에 따라 출력하고, 상기 디코딩부(76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780)를 포함한다.
상기 역 다중화부(720)는, 상기 복조부(710)로부터 복조된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를 먼저 분리하여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로 전달하고,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로부터 각각의 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패킷 식별자 정보)를 입력받아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Ori),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3D),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Au)으로 역 다중화한다.
즉, 상기 역 다중화부(720)는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전송 스트림(TS) 헤더에 있는 패킷 식별자(PID) 값이 "0x0000"인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정보를 갖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찾아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로 전달한다. 이 후,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로부터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와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에 대한 패킷 식별자(Program_map_PID)를 전달받아 전송 스트림(TS)으로부터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정보를 갖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찾아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로 전달한다. 이 후,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로부터 각 구성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과 패킷 식별자(elementary_PID)를 전달받아 각각의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Ori, TS_3D, TS_Au)으로 역 다중화한다.
이 때,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을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정의되어 있는 값으로 새롭게 정의하였기 때문에 수신 장치가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일 경우에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인식해 비디오와 오디오에 대한 스트림만을 처리한다. 따라서, 기존의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고,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경우에는 새롭게 정의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을 인식하고 비디오, 오디오 및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역 다중화부(720)는, 도 1 의 송신 장치와 도 7 의 수신 장치의 클럭 동기화를 위해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Ori)의 프로그램 시간 참조(PCR)를 바탕으로 시스템 클럭을 복원한다.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는, 상기 역 다중화부(730)로부터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입력받아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의 정보나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부(720)에서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 출력한다.
즉,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PSI)는,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부터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전달받아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유료부하(Payload)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 전달하고, 다시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부터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전달받아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유료부하(Payload)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 전달한다.
상기 전송 스트림 분석부(740)는,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부터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Ori)을 입력받아 분석하여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Ori)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전송 스트림 분석기(741),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3D)을 입력받아 분석하여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전송 스트림 분석기(742), 및 상기 역 다중화부(72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Au)을 입력받아 분석하여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Au)을 생성하기 위한 제 3 전송 스트림 분석기(743)를 포 함한다.
상기 역 패킷화부(750)는, 상기 전송 스트림 분석부(740)로부터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Ori)을 입력받아 역 패킷화하여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Ori)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역 패킷화기(751), 상기 전송 스트림 분석부(740)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을 입력받아 역 패킷화하여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Ori)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역 패킷화기(752), 및 상기 전송 스트림 분석부(74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Au)을 입력받아 역 패킷화하여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Au)을 생성하기 위한 제 3 역 패킷화기(75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역 패킷화부(750)의 제 2 역 패킷화기(752)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와 관련하여 새롭게 입력한 입력 필드가 있을 경우에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의 헤더부에서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의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각 정보를 구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상기 디코딩부(760)는, 상기 역 패킷화부(750)로부터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Ori)을 입력받아 현재 방송 규격인 MPEG-2로 복호화하기 위한 제 1 MPEG-2 디코더(Decoder)(761), 상기 역 패킷화부(750)로부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3D)을 입력받아 효율적으로 복호화하기 위한 임의의 디코더(Decoder)(762), 및 상기 역 패킷화부(75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Au)을 입력받아 현재 방송 규격인 MPEG-2로 복호화하기 위한 제 2 MPEG-2 디코더(Decoder)(76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디코딩부(760)는 상기 역 패킷화부(750)로부터 입력받은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Ori),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3D),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간의 복호화 동기를 맞추기 위해 프로그램 시간 참조(PCR)를 이용해 동기화한다.
상기 영상 합성부(770)는 상기 디코딩부(760)에서 디코딩한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아 동기화시켜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한 후, 2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오리지널 영상의 2차원 영상(2D)과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입체 영상(3D)을 영상 디스플레이부(781)로 출력한다.
이 때,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는 시스템 클럭인 프로그램 시간 참조(PCR)와 기본 스트림 패킷(PES) 내에 존재하는 재생 시간 정보(PTS : Presentation Time Stamp)를 이용하여 동기화시킨다.
여기서, 2차원 영상의 오리지널 영상은 다른 시점의 영상과 비교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한 시점의 영상이고, 3차원 입체 영상의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는 오리지널 영상과 시점이 다른 하나의 다른 시점 영상, 또는 다른 여러개의 시점을 갖는 다시점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합성부(770)는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의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적절한 3차원 입체 영상 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출력부(780)는 상기 영상 합성부(770)로부터 입력받은 2차원 영상이나 3차원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디스플레이부(781), 및 상기 디코딩부(760)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782)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출력부(7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타입에 따라 출력정보를 달리하는데,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타입이 2차원일 경우에는 2차원 영상을 영상 디스플레이부(781)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타입이 3차원일 경우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영상 디스플레이부(781)를 통해 출력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획득부(110)가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고(810), 오디오 데이터 획득부(120)가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820).
이 후, 인코딩부(Encoder)(130)가 상기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 획득부(120)에서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각각 부호화하여 각 기본 스트림(ES)을 생성한다(840).
이 때, 획득한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구분하여(830) 오리지널 영상은 현재 방송 규격인 MPEG-2 인코더로 부호화하고(841),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는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해 임의의 인코더로 부호화하여(842) 각각의 기본 스트림(TS)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 획득부(120)에서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는 현재 방송 규격인 MPEG-2 인코더로 부호화하여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을 생성한다(843).
이 후,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부(140)가 오리지널 영상,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각각의 정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한다(850).
그리고, 패킷화부(150)가 상기 부호화하여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한다(860).
이 후, 전송 스트림 생성부(160)가 상기 생성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와 상기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생성한다(870).
이 후, 다중화부(170)가 상기 생성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다중화한다(880).
이 후, 변조부(180)가 상기 다중화한 전송 스트림(TS)을 변조하여(890) 송신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복조부(710)가 변조된 전송 스트림(TS)을 수신하여 변조된 신호를 복조한다(910).
이 후, 역 다중화부(720)가 패킷 식별자에 따라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먼저 분리한다(920).
그러면,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부(730)가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특성 정보를 분석한다(930).
이 후, 역 다중화부(720)가 상기 분석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여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역 다중화한다(940).
이 후, 전송 스트림 분석부(740)가 상기 역 다중화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한다(950).
이 후, 역 패킷화부(750)가 상기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역 패킷화하여 각 기본 스트림(ES)을 생성한다(960).
이 후, 디코딩부(760)가 상기 역 패킷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복호화한다(970).
이 때, 제 1 MPEG-2 디코더(Decoder)(761)가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Ori)을 현재 방송 규격인 MPEG-2로 복호화하고(971), 임의의 디코더(Decoder)(762)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3D)을 효율적으로 복호화하고(972), 제 2 MPEG-2 디코더(Decoder)(763)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Au)을 현재 방송 규격인 MPEG-2로 복호화한다(973).
이 후, 영상 합성부(770)가 상기 복호화한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합성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980).
이 후, 출력부(780)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2차원 영상이나 3차원 입체 영상을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출력한다(990).
이러한 본 발명의 상세 동작 과정은 상기 도 1 및 상기 도 7 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다시 중복적으로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른 시점의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만을 지원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벗어나,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과 같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2차원 비디오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동기되어진 부가 스트림으로 정의하여 처리함으로써,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완전한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 기반의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더라도, 기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2차원 영상의 방송을 즐길 수 있으며,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2차원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의 방송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 방송 장치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 있어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획득수단;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획득수단;
    상기 영상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데이터를 기본 스트림(ES)으로 부호화하기 위한 인코딩수단;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
    상기 인코딩수단에서 부호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입력받아 각각 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으로 생성하기 위한 패킷화수단;
    상기 패킷화수단에서 패킷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입력받고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입력받아,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생성수단;
    상기 전송 스트림 생성수단에서 생성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하나의 전송 스트림(TS)으로 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수단; 및
    상기 다중화수단에서 다중화한 전송 스트림(TS)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수단은,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를 정의하는데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을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정의되어 있는 값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는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및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화수단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와 관련하여 새롭게 필요한 입력 필드가 있을 경우에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의 헤더부에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및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구분을 위해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타입에 대한 입력 필드를 추가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6.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전송 스트림(TS)을 복조하기 위한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에서 복조한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고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에서 분석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입력받아, 상기 전송 스트림(TS)을 역 다중화하여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추출하기 위한 역 다중화수단;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입력받아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
    상기 역 다중화수단에서 역 다중화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을 입력받아 각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생성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분석수단;
    상기 전송 스트림 분석수단으로부터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입력받아 역 패킷화하여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생성하기 위한 역 패킷화수단;
    상기 역 패킷화수단으로부터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입력받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수단;
    상기 디코딩수단에서 디코딩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및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합성하여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으로 생성하기 위한 영상 합성수단; 및
    상기 영상 합성수단으로부터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디코딩수단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되,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에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새롭게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는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및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화수단은,
    상기 복조수단에서 복조한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먼저 분리하여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으로부터 각각의 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패킷 식별자 정보)를 입력받아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Ori),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3D),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Au)으로 역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화수단은,
    상기 복조수단에서 복조한 전송 스트림(TS)을 입력받아 전송 스트림(TS) 헤더에 있는 패킷 식별자(PID) 값을 확인하여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정보를 갖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찾아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와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에 대한 패킷 식별자(Program_map_PID)를 전달받아 전송 스트림(TS)으로부터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정보를 갖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찾아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으로부터 각 구성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과 패킷 식별자(elementary_PID)를 전달받아 각각의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Ori, TS_3D, TS_Au)으로 역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다중화수단은,
    송/수신 장치 간의 클럭 동기화를 위해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Ori)의 프로그램 시간 참조(PCR)를 바탕으로 시스템 클럭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은,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입력받아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의 정보나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수단에서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수단은,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전달받아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유료부하(Payload)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 전달하고, 다시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을 전달받아 전송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유료부하(Payload)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역 다중화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3.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역 패킷화수단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와 관련하여 새롭게 입력한 입력 필드가 있을 경우에,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패킷(PES_3D)의 헤더부에서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의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각 정보를 구분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4.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수단은,
    상기 역 패킷화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오리지널 영상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Ori),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ES_3D),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기본 스트림 간의 복호화 동기를 맞추기 위해 프로그램 시간 참조(PCR)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5.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수단은,
    다른 시점의 영상, 또는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또는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등의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3차원 입체 영상 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6. 제 6 항 또는 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수단은,
    오리지널 영상과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시스템 클럭인 프로그램 시 간 참조(PCR)와 기본 스트림 패킷(PES) 내에 존재하는 재생 시간 정보(PTS)를 이용하여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7.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사용자 선택 신호의 디스플레이 타입이 2차원일 경우에는 2차원 영상을 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 신호의 디스플레이 타입이 3차원일 경우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18.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에 있어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각각 부호화하여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으로 생성하는 인코딩단계;
    상기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패킷화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으로 생성하는 패킷화단계;
    상기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단계;
    상기 생성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와 상기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생성하는 전송 스트림 생성단계;
    상기 생성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TS)으로 다중화하는 다중화단계; 및
    상기 다중화한 전송 스트림(TS)을 변조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변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생성단계는,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를 정의하는데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사용하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을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정의되어 있는 값으로 새롭게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는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및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송신 방법.
  20. 삭제
  21.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받은 전송 스트림(TS)을 복조하는 복조단계;
    상기 복조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패킷 식별자에 따라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분리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이용하여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구분을 위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단계;
    상기 분석한 프로그램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여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으로 역 다중화하는 역 다중화단계;
    상기 역 다중화한 각각의 전송 스트림을 분석하여 기본 스트림 패킷(PES)으로 생성하는 기본 스트림 패킷 생성단계;
    상기 생성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 패킷(PES)을 역 패킷화하여 각 기본 스트림(ES)으로 생성하는 기본 스트림 생성단계;
    상기 역 패킷화한 각각의 기본 스트림(ES)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단계;
    상기 복호화한 오리지널 영상 데이터와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합성하여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한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되,
    본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에 있어, 기존 2차원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와 오디오에 정의되어 있는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그대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에 대한 스트림 타입(stream_type)은 예약(reserved) 또는 사용자 개인(user private)으로 새롭게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는 다른 시점의 영상, 시차 정보(Disparity Information) 및 깊이 정보(Depth Inform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 분석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특성 정보에 대한 전송 스트림(TS_PSI)을 입력받아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PAT)의 정보나 프로그램 구조 테이블(PMT)의 패킷 식별자(PID) 정보를 분석하여 각각의 전송 스트림(TS)을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 특성 정보(PSI)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 방송 수신 방법.
KR1020040036566A 2004-05-21 2004-05-21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58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66A KR100585966B1 (ko) 2004-05-21 2004-05-21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NB2004800431026A CN100563324C (zh) 2004-05-21 2004-11-30 发送/接收三维立体数字广播信号的装置和方法
PCT/KR2004/003129 WO2005114998A1 (en) 2004-05-21 2004-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3d stereoscopic digital broadcast signal by using 3d stereoscopic video additional data
JP2007526966A JP4828535B2 (ja) 2004-05-21 2004-11-30 3次元立体ビデオ付加データを用いた3次元立体デジタル放送の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EP04808260A EP1751979A4 (en) 2004-05-21 2004-11-30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3D STEREOSCOPIC DIGITAL BROADCASTING SIGNAL THROUGH ADDITIONAL 3D STEREOSCOPIC VIDEO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66A KR100585966B1 (ko) 2004-05-21 2004-05-21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379A KR20050111379A (ko) 2005-11-24
KR100585966B1 true KR100585966B1 (ko) 2006-06-01

Family

ID=3542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566A KR100585966B1 (ko) 2004-05-21 2004-05-21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51979A4 (ko)
JP (1) JP4828535B2 (ko)
KR (1) KR100585966B1 (ko)
CN (1) CN100563324C (ko)
WO (1) WO200511499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995A3 (en) * 2009-07-27 2011-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imensional image datastream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reproducing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3-dimensional image datastream
WO2011068318A3 (ko) * 2009-12-04 2011-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방송이 결합된 방송 시스템에서 3차원 방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164857B1 (ko) 2008-12-19 2012-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실시간으로 3차원 입체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305789B1 (ko) 2009-01-22 2013-09-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서 비실시간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972B1 (ko) * 2004-11-16 2007-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입체 방송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6783B1 (ko) * 2004-12-14 2006-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안식 입체 영상 전송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양안식 입체 영상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0818933B1 (ko) * 2005-12-02 2008-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방송 기반 3차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47598B1 (ko) 2005-12-09 200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방송 기반의 3차원 입체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783722B1 (ko) * 2005-12-20 2007-1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다양한 수신환경을 고려한 스테레오 비디오 부호화방법 및 장치
KR101177412B1 (ko) 2006-04-20 201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 송수신방법
KR100813064B1 (ko) * 2006-05-19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영상 복호화/부호화 방법 및 장치, 데이터 포맷
KR100763753B1 (ko) * 2006-09-21 2007-10-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 기반의 3차원 입체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64826B1 (ko) 2006-09-29 2008-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기반의 3차원 정지영상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0510558A (ja) * 2006-10-11 2010-04-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三次元グラフィックスのデータの作成
US8358301B2 (en) 2006-10-30 2013-0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ideo depth map alignment
KR101362941B1 (ko) * 2006-11-01 2014-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 재생에 이용되는 메타 데이터의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913397B1 (ko) * 2006-12-04 200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기반의 3차원 입체영상 서비스를 위한 객체 기술방법과, 그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서비스 수신 및 영상포맷 변환 방법
KR100905723B1 (ko) * 2006-12-08 2009-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실시간 기반의 디지털 실감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10996B1 (ko) * 2006-12-08 2009-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 3차원 비디오 서비스제공 방법
KR100842568B1 (ko) * 2007-02-08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압축 데이터의 생성 장치와 방법 및 영상 압축데이터의 출력 장치와 방법
KR101360264B1 (ko) * 2007-05-07 2014-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서비스 방법
ES2308923B1 (es) * 2007-05-18 2009-10-23 Neotecno Desarrollos, S.L. Procedimiento de television digital en tres dimensiones.
KR100826519B1 (ko) * 2007-05-29 2008-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기반의 3차원 정지영상 서비스를 위한 객체 기술 및다중화 방법과, 그에 따른 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MY162861A (en) * 2007-09-24 2017-07-31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a video data signal, encoded video data signal, method and system for decoding a video data signal
CN101420609B (zh) * 2007-10-24 2010-08-25 华为终端有限公司 视频编码、解码方法及视频编码器、解码器
JP2009135686A (ja) 2007-11-29 200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立体映像記録方法、立体映像記録媒体、立体映像再生方法、立体映像記録装置、立体映像再生装置
CN101453662B (zh) * 2007-12-03 2012-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立体视频通信终端、系统及方法
KR100993428B1 (ko) * 2007-12-12 2010-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연동형 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방법 및스테레오스코픽 데이터 처리장치
KR100939641B1 (ko) * 2008-02-18 2010-02-03 전자부품연구원 입체형 비디오 파일 포맷 및 그에 따른 입체형 비디오파일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1516040B (zh) * 2008-02-20 2011-07-06 华为终端有限公司 视频匹配方法、装置及系统
KR100942765B1 (ko) * 2008-03-18 2010-02-18 (주)블루비스 입체 영상 편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06219B1 (ko) * 2008-03-25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재생 방법, 그 장치 및 그기록매체
KR101472332B1 (ko) * 2008-04-1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디지털 컨텐츠의 제공 방법,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MY155378A (en) 2008-07-24 2015-10-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satile 3-d picture format
EP2328337A4 (en) 2008-09-02 2011-08-10 Huawei Device Co Ltd 3D VIDEO COMMUNICATION, TRANSMISSION DEVICE, SYSTEM AND IMAGE RECONSTRUCTION, SYSTEM
CN101668219B (zh) * 2008-09-02 2012-05-23 华为终端有限公司 3d视频通信方法、发送设备和系统
KR20100040640A (ko) 2008-10-10 201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520057B2 (en) 2008-11-04 2013-08-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3-dimensional broadcasting service
WO2010071283A1 (ko) 2008-12-18 2010-06-24 (주)엘지전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CA2745392C (en) 2008-12-18 2016-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3d image signal processing and image display for implementing the same
EP2373042A4 (en) * 2008-12-30 2012-09-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RADIO RECEPTION PROCEDURE WITH 2D AND 3D IMAGE INTEGRATION SERVICE AND DIGITAL RADIO RECEPTION DEVICE THEREWITH
CN102405646B (zh) * 2009-01-06 2016-01-27 Lg电子株式会社 三维(3d)视频信号的处理方法及执行该方法的数字广播接收机
CN102292993B (zh) * 2009-01-20 2015-05-13 Lg电子株式会社 三维字幕显示方法以及用于实现该方法的三维显示装置
EP2389764A2 (en) * 2009-01-26 2011-11-30 Thomson Licensing Frame packing for video coding
CN102396236B (zh) * 2009-01-28 2015-03-25 Lg电子株式会社 广播接收机及其视频数据处理方法
CA2749583C (en) * 2009-02-01 2016-01-1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US8289998B2 (en) 2009-02-13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ree (3)-dimensional image data 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ree (3)-dimensional image data stream
US8854428B2 (en) 2009-03-19 2014-10-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three dimensional (3D) video signal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performing the method
JP5290842B2 (ja) * 2009-04-01 2013-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48455B1 (ko) 2009-04-07 2016-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JP4993224B2 (ja) 2009-04-08 2012-08-0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20100114482A (ko) * 2009-04-15 2010-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각 효과를 위한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감각 효과를 위한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감각 재생 방법 및 장치
EP2425631B1 (en) 2009-04-27 2015-05-2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648454B1 (ko) * 2009-04-27 2016-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3d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US9088817B2 (en) 2009-06-16 2015-07-2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transmitter,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processing method thereof
JP4984181B2 (ja) * 2009-06-22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5429034B2 (ja) * 2009-06-29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立体画像データ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立体画像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受信方法
JP2011030179A (ja) * 2009-06-29 2011-02-10 Sony Corp 画像データ送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72376B1 (ko) * 2009-07-07 2014-03-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수신 방법
JP4957831B2 (ja) * 2009-08-18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11066871A (ja) * 2009-08-21 2011-03-31 Sony Corp コンテンツ伝送方法及び表示装置
JP5428697B2 (ja) * 2009-09-16 2014-02-2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63087B2 (ja) * 2009-09-30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CN102577408B (zh) 2009-09-30 2015-04-15 夏普株式会社 使用了信息记录介质的再现方法、信息记录再现装置和三维化装置以及信息记录装置
KR20110043503A (ko) * 2009-10-20 201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와, 스트림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53160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부가 재생 정보의 3차원 깊이감 조절을 위한 멀티미디어 스트림 생성 방법과 그 장치, 및 수신 방법과 그 장치
EP2334088A1 (en) * 2009-12-14 2011-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enerating a 3D video signal
IT1397295B1 (it) * 2010-01-07 2013-01-04 3Dswitch S R L Sistema e metodo per il controllo della visualizzazione di un flusso video stereoscopico.
BR112012016544A2 (pt) * 2010-01-07 2016-04-19 Thomson Licensing método e aparelho para prover a exibição de conteúdo de vídeo
KR20110088334A (ko) * 2010-01-28 2011-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3차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94821B1 (ko) * 2010-01-28 201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비디오스트림에 대한 링크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와 그 장치, 및 링크 정보를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과 그 장치
US20110200303A1 (en) * 2010-02-12 2011-08-18 Telefonica, S.A. Method of Video Playback
WO2011121916A1 (ja) * 2010-03-29 2011-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
KR20110115087A (ko) * 2010-04-14 201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와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1129631A2 (ko) 2010-04-14 2011-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자막 방송을 위한 방송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디지털 자막 방송을 위한 방송 비트스트림을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1228969A (ja) * 2010-04-21 2011-11-10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映像処理装置
JP5501081B2 (ja) * 2010-04-21 2014-05-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
KR101660910B1 (ko) * 2010-04-28 2016-09-2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717787B1 (ko) * 2010-04-29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음성신호 출력 방법
US9013547B2 (en) 2010-04-30 2015-04-2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of processing an image and a method of processing thereof
KR20110123658A (ko) * 2010-05-07 2011-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방송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JP6088968B2 (ja) * 2010-06-09 2017-03-01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ラグメント基盤の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提供方法とその装置、並びにフラグメント基盤のマルチ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受信方法とその装置
KR20110138151A (ko) 2010-06-18 2011-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막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디오 데이터스트림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자막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디오 데이터스트림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EP2587809A4 (en) * 2010-06-23 2015-04-29 Panasonic Corp CONTENT DISTRIBUTION SYSTEM, READING DEVICE, DISTRIBUTION SERVER, READING METHOD, AND DISTRIBUTION METHOD
WO2012010101A1 (en) * 2010-07-21 2012-01-26 Technicolor (China)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upplementary content in 3d communication system
CN102385894A (zh) * 2010-08-30 2012-03-21 承景科技股份有限公司 音视频处理装置、音视频处理方法及其可读取记录介质
CN103119948A (zh) 2010-09-19 2013-05-22 Lg电子株式会社 用于处理针对3d(三维)广播业务的广播信号的方法和装置
EP2629529A4 (en) * 2010-10-13 2014-07-02 Korea Electronics Telecom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EREOSCOPIC VIDEO INFORMATION
JP2012089931A (ja) * 2010-10-15 2012-05-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68473B (zh) * 2010-10-16 2016-09-28 Lg电子株式会社 数字接收机以及用于处理数字接收机中的3d 内容的方法
KR20120058700A (ko) 2010-11-27 2012-06-08 전자부품연구원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WO2012074331A2 (ko) * 2010-12-02 2012-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A2820025C (en) 2010-12-08 2017-08-29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KR20120065943A (ko) * 2010-12-13 2012-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DE112012000563B4 (de) * 2011-01-25 2021-06-24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nden/Empfangen eines digitalen Übertragungssignals
MX2013008310A (es) * 2011-02-10 2013-09-06 Panasonic Corp Dispositivo de creacion de datos y dispositivo de reproduccion para imagen de video en flujo de video.
CN102724520A (zh) * 2011-03-29 2012-10-1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和系统
KR101844292B1 (ko) 2011-06-24 2018-04-02 톰슨 라이센싱 3d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55009B1 (ko) * 2011-09-29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75041B1 (ko) * 2011-10-05 2016-11-10 비트애니메이트 인코포레이티드 해상도가 향상된 3d 비디오 렌더링 시스템 및 방법
US9693033B2 (en) 2011-11-11 2017-06-27 Saturn Licensing Llc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mage data for stereoscopic display using multiview configuration and container with predetermined format
JP6192902B2 (ja) * 2011-11-11 2017-09-0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画像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受信方法
JP4993234B2 (ja) * 2012-01-26 2012-08-0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記録方法
WO2013129158A1 (ja) * 2012-03-01 2013-09-06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CN104221367A (zh) * 2012-04-04 2014-12-17 拿索斯财务有限公司 用于生成和接收立体-2d反向兼容视频流的系统及其方法
TWI586143B (zh) 2012-04-05 2017-06-01 皇家飛利浦電子股份有限公司 用於提供用於傳送至三維[3d]目標裝置之3d視訊信號之3d源裝置、方法及記錄載體以及用於自3d源裝置接收3d視訊信號之3d目標裝置
WO2014010920A1 (ko) * 2012-07-09 201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핸스드 3d 오디오/비디오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4013405A1 (en) * 2012-07-20 2014-01-23 Koninklijke Philips N.V. Metadata for depth filtering
JP2017508326A (ja) * 2013-12-19 2017-03-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伝送装置、放送伝送装置の動作方法、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装置の動作方法
EP3206401A4 (en) 2014-10-08 2018-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amera parameter in 3d video coding
KR102519209B1 (ko) * 2015-06-17 2023-04-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mt 장치 및 방법
KR101920113B1 (ko) * 2015-12-28 2018-11-19 전자부품연구원 임의시점 영상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06791776B (zh) * 2016-11-30 2019-04-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视频播放的方法和装置
CN106791764A (zh) * 2016-11-30 2017-05-3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视频编解码的方法和装置
KR102036893B1 (ko) * 2018-03-30 2019-10-25 신대철 멀티레이어 바이노럴 컨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629B1 (ko) * 1995-03-29 2004-05-0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3차원표시화상생성방법,깊이정보를이용한화상처리방법,깊이정보생성방법
KR100230447B1 (ko) * 1997-05-09 1999-11-15 윤종용 2차원 연속영상의 3차원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JPH11113028A (ja) * 1997-09-30 1999-04-23 Toshiba Corp 3次元映像表示装置
CN1173296C (zh) * 1997-12-05 2004-10-27 动力数字深度研究有限公司 改进的图像转换和编码技术
JP2001054140A (ja) * 1999-08-11 2001-02-23 Sukurudo Enterprise Kk ステレオ映像帯域圧縮符号化方法および復号化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KR100424401B1 (ko) * 2001-11-02 2004-03-24 전자부품연구원 검색기능을 포함한 3차원 입체영상을 위한 다시점영상통신 시스템
KR100397511B1 (ko) * 2001-11-21 2003-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안식/다시점 3차원 동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173684B2 (ja) * 2002-04-25 2008-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画像作成装置
KR100475060B1 (ko) * 2002-08-07 2005-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3차원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반영된 다중화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57B1 (ko) 2008-12-19 2012-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실시간으로 3차원 입체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305789B1 (ko) 2009-01-22 2013-09-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서 비실시간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
WO2011013995A3 (en) * 2009-07-27 2011-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imensional image datastream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reproducing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3-dimensional image datastream
US9392256B2 (en) 2009-07-27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imensional image datastream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reproducing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3-dimensional image datastream
WO2011068318A3 (ko) * 2009-12-04 2011-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방송이 결합된 방송 시스템에서 3차원 방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1979A4 (en) 2009-12-23
EP1751979A1 (en) 2007-02-14
JP4828535B2 (ja) 2011-11-30
CN1954606A (zh) 2007-04-25
JP2008500790A (ja) 2008-01-10
CN100563324C (zh) 2009-11-25
WO2005114998A1 (en) 2005-12-01
KR20050111379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966B1 (ko)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5575949B2 (ja) 放送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72332B1 (ko) 3차원 디지털 컨텐츠의 제공 방법,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639358B1 (ko)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영상과 별도로 전송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방법,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JP5775884B2 (ja) 多視点ビデオストリームに係わるリンク情報を利用するデジタルデータストリーム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リンク情報を利用するデジタルデータストリーム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64826B1 (ko) 디지털 방송기반의 3차원 정지영상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8422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enhanced media data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KR101915130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MX2012008816A (es) Metodo y aparato para generar flujo de datos para proporcionar servicio multimedia tridimensional, y metodo y aparato para recibir el flujo de datos.
KR20070058302A (ko) 디지털방송 기반 3차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2081874A2 (ko)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서비스 위한 시그널링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20230188767A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US9270972B2 (en) Method for 3DTV multiplexing and apparatus thereof
KR100697972B1 (ko) 입체 방송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7149A (ko) 재전송망에 기초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8821A (ko) 송, 수신 장치 및 송, 수신 방법
KR101191498B1 (ko)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부가 방송 데이터의 연동을 통한 입체영상 방송서비스를 위한 동기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808672B1 (ko)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기준 영상과 별도로 전송되는 부가 영상 및 콘텐츠를 연동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방법,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40053938A (ko) 신호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