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413B1 -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 Google Patents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413B1
KR100584413B1 KR1020030071001A KR20030071001A KR100584413B1 KR 100584413 B1 KR100584413 B1 KR 100584413B1 KR 1020030071001 A KR1020030071001 A KR 1020030071001A KR 20030071001 A KR20030071001 A KR 20030071001A KR 100584413 B1 KR100584413 B1 KR 10058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mplifier
semiconductor optical
light source
reflector
a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580A (ko
Inventor
김승우
이정석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413B1/ko
Priority to US10/806,549 priority patent/US7173757B2/en
Priority to CNB2004100386380A priority patent/CN1316274C/zh
Priority to JP2004295140A priority patent/JP2005123612A/ja
Publication of KR2005003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50Amplifie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8Coatings ; Treatment of the laser facets, e.g. etching, passivation layers or refle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4External cavity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1/00Functional characteristics
    • H01S2301/02ASE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noise; Red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039Details on the cavity 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에 관한 것으로, 이득영역인 활성층과, 언더 클래드 및 오버 클래드와, 상기 활성층 양단에 형성된 무반사층을 구비하여 입력 광신호를 증폭하는 반도체 광증폭기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의 출사광을 반사하는 반사기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반사기로 유도하고, 상기 반사기에 의한 반사광을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활성층으로 유도하는 광도파로와; 상기 광도파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편광의존성을 조절하는 편광조절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광대역 광원, 자연방출광, 이득물결, 가간섭성

Description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BROADBAND LIGHT SOURCE USING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도 1은 종래 진행형 반도체 광증폭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2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증폭기의 이득 정도와 단면 반사율에 따른 이득 물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단면 반사율이 낮게 제어되지 않은 반사 반도체 광증폭기의 스펙트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넓은 파장 대역에서 사용가능한 광대역 광원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초발광 다이오드(super luminescence diode: SLED), 어븀 도핑된 광섬유 광증폭기(EDFA)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어븀 도핑된 광섬유 광증폭기는 고출력(high power)의 편광 무관(polarization insensitive)한 광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광대역 광원으로서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파장영역이 한정되어 있어서 광대역 광원으로서의 적용이 제한되는 것도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그 크기 또한 반도체 소자들에 비해 크고 가격 또한 양산을 통해 낮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들어 파장분할다중방식(wavelength-division-multiplex: WDM) 수동형 광 가입자망(passive optical network: PON) 분야에 광대역 광원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존의 광대역 광원을 구성하던 광소자보다 저렴하게 광대역 광원을 구성할 수 있는 반도체 광증폭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반도체 광증폭기(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SOA)는 증폭기로서의 응용 이외에 반도체의 비선형성을 이용한 광기능성 소자(광 스위치, 파장변환기, 전광 논리회로, 신호 재생기, 송/수신기)에의 응용이 용이하여 응용처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입력단으로 입력된 광을 증폭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 하는 종래 진행형 반도체 광증폭기(travelling SOA)(1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진행형 반도체 광증폭기(100)는 이득영역인 활성층(101), 상기 활성층(101)의 아래와 위에 각각 형성되어 광의 경로를 활성층(101) 내로 구속하는 언더클래딩(102)과 오버클래딩(103) 및 각각 R1, R2의 반사율을 갖는 무반사(Anti Reflection; AR) 코팅층(104, 105)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증폭된 자연방출광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반도체 광증폭기를 광대역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 쪽 면에서만 광이 입/출력되어 증폭된 자연방출광(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ASE)을 발생하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Reflective SOA)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도 2는 종래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2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200)는 활성층(201), 언더클래딩(202), 오버클래딩(203), R3의 반사율을 갖는 무반사 코팅층(204) 및 R4의 반사율을 갖는 고반사 코팅층(205)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진행형 반도체 광증폭기(100)와의 차이점은 반도체 광증폭기(200)의 이득영역의 한쪽 면에는 무반사 코팅층(204)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는 고반사 코팅층(205)을 형성되어 한쪽 면을 통해 입력된 광을 다른 쪽 면을 통해 출력하지 않고 반사시킴으로써 활성층(201)에서 한 번 더 증폭시켜 입력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의 경우 낮은 이득 물결(gain ripple)을 유지하기 위해 고반사 코팅층의 반사율을 극단적으로 낮출 필요가 있다. 도 3은 증폭기의 이득 정도와 단면 반사율에 따른 이득 물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으로, 높은 이득에서 10%(0.5dB) 미만의 이득 물결을 얻기 위해서는 낮은 반사율을 유지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30dB의 이득⑤을 갖는 증폭기의 경우 0.5dB 이하의 이득 물결을 얻기 위해서는 증폭기 양면의 반사율의 곱(R3R4)이 1x10 -8 수준보다 더 작아야 한다. 따라서 고반사 코팅층의 반사율이 30% 이상이라 가정하면, 출력단에서의 반사율은 1x10-8 보다도 작아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반도체 광증폭기 제작에 있어 경사진 광도파로 및 윈도우 구조, 무반사 코팅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반사율은 1x10-5 정도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 물결이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결국, 이득이 매우 작은 영역에서 구동하고자 할 때는 낮은 이득 물결 특성을 쉽게 얻을 수 있으나, 이득이 큰 영역에서는 낮은 이득 물결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증폭기의 출력단의 반사율을 극단적으로 줄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이득을 갖는 반도체 광증폭기에서도 출력단의 반사율을 매우 작게 제어하지 않으면서 낮은 이득물결을 유지할 수 있는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력 광원은 이득영역인 활성층과, 언더 클래드 및 오버 클래드와, 상기 활성층 양단에 형성된 무반사층을 구비하여 입력 광신호를 증폭하는 반도체 광증폭기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반사시켜 상기 활성층으로 재입력시킴으로써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이득물결을 최소화시키는 반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은 이득영역인 활성층과, 언더 클래드 및 오버 클래드와, 상기 활성층 양단에 형성된 무반사층을 구비하여 입력 광신호를 증폭하는 반도체 광증폭기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의 출사광을 반사하는 반사기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반사기로 유도하고, 상기 반사기에 의한 반사광을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활성층으로 유도하는 광도파로와; 상기 광도파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편광의존성을 조절하는 편광조절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도파로의 길이는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자연방출광의 가간섭 길이(coherent length) 보다 수 배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대역 광원(500)은 반도체 광증폭기(510)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510)의 일측 단면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광대역 반사기(530)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510)와 광대역 반사기(530)를 광결합시키는 광도파로(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510)는 이득영역인 활성층(511), 상기 활성층(511)의 아래와 위에 각각 형성되어 광의 경로를 활성층(511) 내로 구속하는 언더클래딩(512)과 오버클래딩(513) 및 각각 R5, R6의 반사율을 갖는 무반사(Anti Reflection; AR) 코팅층(114, 115)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대역 반사기(530)는 반사 반도체 광증폭기에서의 고반사 코팅층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광대역 반사기(530)의 반사율은 반도체 광증폭기(510)의 이득층의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반도체 광증폭기(510)에서 출력되는 자연방출광(ASE)이 주어진 주입 전류 조건에서 어느 정도 포화(saturation) 되어 있다면 반도체 광증폭기(510) 외부에 설치하는 광대역 반사기(530)의 반사도가 낮은 경우에도 반사도가 높은 경우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ASE가 주어진 주입 전류 조건에서 별로 포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반사기의 반사도가 낮은 경우가 반사도가 높은 경우에 비해 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되며, 이러한 ASE의 포화정도는 반도체 광증폭기의 이득층의 구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단일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에서 단면을 수직으로 잘랐을 경우 생기는 단면 반사율이 약 4% 정도이므로 광대역 반사기(530)의 반사율은 이보다 큰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광원(5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이득층(511)에 의해 증폭된 자연방출광은 무반사 코팅층(515)에 의해 반사율 R6만큼 반사되고 나머지 광이 출력된다. 출력된 광은 광도파로(520)에 접속하여 광대역 반사기(530)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광은 무반사 코팅층(515)을 통해 반도체 광증폭기(510)의 이득층(511)에 다시 입력되어 증폭된 후 무반사 코팅층(514)을 통해 출력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광을 반사시키는 고반사 코팅층을 반도체 광증폭기의 외부에 둠으로써 이득 물결을 줄이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이득 물결은 반도체 광증폭기의 이득 물질에서 외부의 전류 주입으로 생성된 광이 양쪽 단면 사이를 왕복하면서 발생하는 빛의 가간섭성(coherence)으로 인한 패브리-페롯 모드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와 같이 반사기를 반도체 광증폭기의 외부에 배치할 경우 광이 이득층에서 증폭되어 도파로를 지나 반사기에 도달할 때면 이미 가간섭성을 잃기 때문에 이득 물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단지 반도체 광증폭기의 양 단면의 반사율이 영(zero)이 아닌 데에서 생기는 약간의 이득 물결만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도파로의 길이는 반도체 광증폭기에서 나오는 증폭된 자연방출광의 가간섭 길이(coherent length) 보다 수 배 이상(예를 들면 10mm 이상) 크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6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광대역 광원(600)은 반도체 광증폭기(610)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610)의 일측 단면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광대역 반사기(630)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610)와 광대역 반사기(630)를 광결합시키는 광도파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610)와 광대역 반사기(630) 사이의 광도파로(620)에 편광 조절기(polarization controller)(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편광 조절기(640)는 반도체 광증폭기(610)의 편광 의존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반도체 광증폭기(610) 자체가 편광 의존성이 있더라도 출력단면으로 출력되는 광의 편광 의존성을 거의 없앨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은 기존의 광을 반사시키는 고반사 코팅층 역할을 하는 광대역 반사기를 반도체 광증 폭기의 외부에 둠으로써 빛의 가간섭성(coherence)으로 인한 이득 물결을 줄이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광증폭기 양쪽 단면의 반사율 스펙을 대폭 완화시켜 주기 때문에 반도체 광증폭기의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편광 조절기를 삽입함으로써 반도체 광증폭기의 편과 의존성 또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7)

  1. 이득영역인 활성층과, 언더 클래드 및 오버 클래드와, 상기 활성층 양단에 형성된 무반사층을 구비하여 입력 광신호를 증폭하는 반도체 광증폭기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의 출사광을 반사하는 반사기와;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반사기로 유도하고, 상기 반사기에 의한 반사광을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활성층으로 유도하는 광도파로와;
    상기 광도파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의 편광의존성을 조절하는 편광조절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는 진행행 반도체 광증폭기 또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길이는
    상기 반도체 광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자연방출광의 가간섭 길이(coherent length) 보다 수 배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길이는
    10mm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의 반사율은
    4%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7. 삭제
KR1020030071001A 2003-10-13 2003-10-13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KR10058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001A KR100584413B1 (ko) 2003-10-13 2003-10-13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US10/806,549 US7173757B2 (en) 2003-10-13 2004-03-23 Broad-band light source using a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CNB2004100386380A CN1316274C (zh) 2003-10-13 2004-04-27 使用半导体光放大器的宽带光源
JP2004295140A JP2005123612A (ja) 2003-10-13 2004-10-07 半導体光増幅器を用いた広帯域光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001A KR100584413B1 (ko) 2003-10-13 2003-10-13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580A KR20050035580A (ko) 2005-04-19
KR100584413B1 true KR100584413B1 (ko) 2006-05-26

Family

ID=3442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001A KR100584413B1 (ko) 2003-10-13 2003-10-13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73757B2 (ko)
JP (1) JP2005123612A (ko)
KR (1) KR100584413B1 (ko)
CN (1) CN131627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966B1 (ko) * 2003-12-18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광원
KR100617686B1 (ko) * 2004-02-2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득 고정 반도체 광증폭기
CN100362419C (zh) * 2005-08-09 2008-01-16 华中科技大学 一种半导体光放大器
US7924498B2 (en) * 2007-03-06 2011-04-12 Alph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communication using polarization filtering
TWI347020B (en) * 2007-09-21 2011-08-11 Universal Scient Ind Shanghai Multi-wavelength light-emitting module
CN101399615B (zh) * 2007-09-26 2012-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半导体光器件以及时钟恢复方法和装置
US7713757B2 (en) * 2008-03-14 2010-05-11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measuring dopant concentration during plasma ion implantation
KR100987793B1 (ko) * 2008-10-10 2010-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하는 광신호 처리방법
KR101191237B1 (ko) * 2008-12-18 2012-10-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의 상향 광원 발생 장치 및 그것의 광원 발생 방법
JP2010232424A (ja) * 2009-03-27 2010-10-14 Fujitsu Ltd 半導体光増幅装置及び光モジュール
KR20120070260A (ko) *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 광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US9002214B2 (en) 2011-07-14 2015-04-07 Applied Optoelectronics, Inc. Wavelength-selectable laser device and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same
US9502858B2 (en) 2011-07-14 2016-11-22 Applied Optoelectronics, Inc. Laser array mux assembly with external reflector for providing a selected wavelength or multiplexed wavelengths
FR2986916A1 (fr) * 2012-02-09 2013-08-16 Eolite Systems Systeme amplificateur optique et laser a impulsion limites en energie par impulsion.
US9214790B2 (en) * 2012-10-03 2015-12-15 Applied Optoelectronics, Inc. Filtered laser array assembly with external optical modulation and WDM optical system including same
KR20140092214A (ko) * 2013-01-15 2014-07-2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 발진기
JP6396848B2 (ja) * 2014-12-02 2018-09-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バースト制御回路、半導体光増幅中継装置及びバースト光送信装置
GB2547467A (en) 2016-02-19 2017-08-23 Rockley Photonics Ltd Tunable laser
US11699892B2 (en) 2016-02-19 2023-07-11 Rockley Photonics Limited Discrete wavelength tunable laser
GB2547466B (en) * 2016-02-19 2021-09-01 Rockley Photonics Ltd Discrete wavelength tunable laser
GB2580956B (en) * 2019-01-31 2023-01-25 Exalos Ag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Semiconductor Source
WO2022054860A1 (ja) 2020-09-09 2022-03-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源、光源装置、光源の駆動方法、ラマン増幅器、およびラマン増幅システム
JP2023084807A (ja) * 2021-12-08 2023-06-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源、光源装置、光源の駆動方法、ラマン増幅器、およびラマン増幅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4237A (ja) * 1986-02-20 1987-08-26 Kyohei Sakuta 光増幅機能を有する3結合導波路光タツプ
US5103455A (en) * 1990-05-09 1992-04-07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Monolithically integrated semiconductor optical preamplifier
NL9101244A (nl) * 1991-07-15 1993-02-01 Nederland Ptt Polarisatie-ongevoelige versterkingsinrichting.
EP0562518B1 (en) * 1992-03-23 1997-12-29 Canon Kabushiki Kaisha An optical apparatus and a method using the apparatus, which utilizes the occurrence of a change in a both-end voltage of an amplifying region
JP3226070B2 (ja) * 1993-10-04 200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光素子
US5485481A (en) * 1994-06-28 1996-01-16 Seastar Optics Inc. Fibre-grating-stabilized diode laser
WO1996000996A1 (en) * 1994-06-30 1996-01-11 The Whitaker Corporation Planar hybrid optical amplifier
US6347104B1 (en) * 1999-02-04 2002-02-12 Genoa Corporation Optical signal power monitor and regulator
US6407855B1 (en) * 1999-10-29 2002-06-18 Sdl, Inc. Multiple wavelength optical sources
US6836357B2 (en) * 2001-10-04 2004-12-28 Gazillion Bits, Inc.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using laser cavity energy to amplify signal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KR100539906B1 (ko) * 2003-11-18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광원
KR100575966B1 (ko) * 2003-12-18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광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580A (ko) 2005-04-19
CN1607412A (zh) 2005-04-20
US7173757B2 (en) 2007-02-06
US20050078359A1 (en) 2005-04-14
JP2005123612A (ja) 2005-05-12
CN1316274C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413B1 (ko)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US6233259B1 (en) Fiber grating stabilized diode laser
EP0767979B1 (en) Fibre grating stabilized diode laser
US6603595B2 (en) Raman-based utility optical amplifier
US6375364B1 (en) Back facet flared ridge for pump laser
WO2022054860A1 (ja) 光源、光源装置、光源の駆動方法、ラマン増幅器、およびラマン増幅システム
KR100547868B1 (ko) 라만 증폭원리를 이용한 이득 고정 반도체 광증폭기
KR100488193B1 (ko) 고 출력, 높은 평탄화도의 출력을 갖는 다중 채널 광원
US5235604A (en) Optical amplifier using semiconductor laser as multiplexer
US7130111B2 (en) Optical amplifier with transverse pump
US6888668B2 (en) Optical amplifier with multiple wavelength pump
KR100617772B1 (ko) 반도체 광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광증폭 장치
JP3380749B2 (ja) ファイバ回折格子安定化ダイオードレーザ
Mossakowska et al. Modulation bandwidth of waveguide distributed feedback lasers
KR100617686B1 (ko) 이득 고정 반도체 광증폭기
WO2023106348A1 (ja) 光源、光源装置、光源の駆動方法、ラマン増幅器、およびラマン増幅システム
KR100601136B1 (ko) 이득 고정 반도체 광증폭기
US20040105143A1 (en) Broadband light source device
WO2022169986A1 (en) High-power tunable laser on silicon photonics platform
Yamatoya et al. Optical preamplifier using antireflection-coating-fre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with signal-inverted ASE
Sridhar et al. Erbium-doped fiber power amplifiers with pump reflecting mirrors in the 800-nm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