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287B1 -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287B1
KR100562287B1 KR1020030057181A KR20030057181A KR100562287B1 KR 100562287 B1 KR100562287 B1 KR 100562287B1 KR 1020030057181 A KR1020030057181 A KR 1020030057181A KR 20030057181 A KR20030057181 A KR 20030057181A KR 100562287 B1 KR100562287 B1 KR 10056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viewing
measurement program
information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417A (ko
Inventor
윤남철
윤효선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리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리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리머
Priority to KR102003005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2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1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 made of the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 편성 일정에 맞게 송출 예정된 광고방송과 각 광고방송에 해당하는 광고효과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측정프로그램 생성과정, 측정프로그램에 프로그램ID를 부여한 후 방송 편성 일정에 따라 해당 광고방송동영상 및 음성 신호에 연동하여 송출하는 측정프로그램 송출과정, 송출된 광고방송신호 및 측정프로그램을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에서 수신하는 측정프로그램수신과정,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에 수신된 측정프로그램이 광고방송의 시청과 연동하여 자동 기동하는 측정프로그램 기동과정, 측정프로그램이 기동함에 따라 광고방송이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를 통해 시청되는 시청자의 시청정보를 수집하는 시청정보 수집과정, 수집된 광고시청정보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리턴 전송시키는 광고시청정보 리턴과정, 리턴된 광고시청 정보를 분석하여 시청자 속성별 시청률 및 시청자의 시청현황을 포함한 광고효과를 측정하는 광고효과측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양방향TV, 텔레비전, 광고, 시청률정보, 측정 프로그램, 광고효과, 수집, 광고방송

Description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ement watch information of Interactive Digital TV}
도 1,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텔레비전수상기의 시청률 조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측정프로그램의 자동생성과정의 흐름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 : 광고편성 데이터베이스 202 : 광고송출제어서버
203 : 제어로그데이터베이스
204 : 광고방송동영상 및 음성데이터베이스서버
205 : 광고방송동영상/음성송출서버
210 : 측정프로그램 생성서버
211 :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 212 : 데이터 방송송출장치
220 : 리먹스장치
230 :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 231 : 리턴처리서버
232 : 광고효과 분석서버 233 : 리턴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디지털 양방향 방송의 시청률 조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케이블 티브이(Television : 이하 'TV'라 약칭함) 및 디지털 위성방송 등과 같은 미디어의 양방향성 기능과 디지털 방송 송출방식의 기본 원리를 적용하여 광고방송에 연동하여 광고방송의 시청률 등과 같은 시청자의 시청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TV 시청률조사 방법으로는 표본집단(Audience)에 이미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제시하여 조사하는 면접조사방법과, 방송시점에서 전화를 걸어 시청 프로그램을 조사하는 전화조사방법과, 매번 동일한 패널을 대상으로 특정기간동안 매일 방송리스트를 제시하여 패널이 된 시청자가 직접 시청내용을 기록하게 하는 일기식 조사방법과, 미리 정해진 패널 세대를 대상으로 그 세대가 언제 어느 채널을 켜두었는가를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체크하는 미터식 조사방법이 있으며, 미터식 조사방법의 일 예로 피플 미터방식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미터식 조사방법과 마찬가지로 패널 세대에 설치된 기계적 장치로 그 세대의 구성원이 언제 어느 채널을 시청하였는가를 리모콘 형태의 기계적 장치에 의해 체크 하는 것으로 세계적으로 점차 널리 채택되고 있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시청률조사방법은 시청자들의 시청자료를 정확하게 집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광고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조사하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광고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호응정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종래에는 디지털 TV 수상기를 대상으로 일반 프로그램이나 광고 프로그램을 송출할 때 식별코드를 각기할당하여 송출하고, 그 식별코드의 수신 결과를 집계 처리하여 시청률을 분석하는 TV수상기의 시청률을 조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대한민국특허공개 '특2001-0106776호'(텔레비젼 수상기의 시청률 조사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종래에는 웹 환경 하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시청 및 예약정보로부터 실제 시청률과 잠재 시청률을 조사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시청률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49449호'(인터넷을 이용한 시청률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시청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일반 프로그램이나 광고 프로그램을 송출할 때 각각의 프로그램에 식별코드를 할당하여 송출한 후 네트워크(140)를 통해 귀환되는 티브이 시청정보를 필요한 형태로 집계하여 시청률을 분석하는 방송국(110A~110N)과, 상기 방송국(110A~110N)으로부터 송출되어 온 프로그램을 수신처리할 때 상기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티브이 시청정보를 기록한 후 소정주기로 출력하는 디지털TV(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TV(120)에 네트워크 카드가 구비된 경우, TV시정정보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상기 각 방송국(110A~110N)에 송출하고, 네트워크 카드가 구비되어 있지않은 경우에는 그 정보를 특정형식을 갖는 파일로 저장하고, 피씨(130) 및 네트워크(140)를 통해 각 방송국(110A~110N)에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방송국(110A~110N)에서는 상기 디지털TV(120)로부터 전송되어 온 TV 시청정보를 수신처리한 후 송정의 형태로 집계처리하여 각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시청상황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된다. 즉, 각 시청자들이 어느 프로그램을 어느 시간부터 어느 시간까지 시청하였는지, 그리고 어느 광고를 시청하였는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털TV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수신부(121)를 통해 시청자가 요구한 채널의 프로그램을 수신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22)에 출력하고, 이때 기록제어부(124)에서 티브이 채널 제어부(123)를 통해 시청자의 채널 전환상태를 파악함과 아울러 식별코드를 검출하여 일정시간 단위로 시청 히스토리 기억부(125)에 티브이 시청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이렇게 기록된 TV시청정보는 송신 제어부(126)를 통해 주기적으로 방송국(110A)측으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TV시청정보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연결된 양방향 티브이에서 자연스럽게 송출될 수 있다.
방송국(110A) 측에서는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티브이 시청 정보를 시청기록 수신부(111)를 통해 수신처리하고, 시청기록 집계부(110)에서는 그 티브이 시청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집계 처리하여 시청자들의 일반 프로그램 및 광고 프로그램의 시청동향을 자동으로 상세하게 분삭할 수 있게된다. 즉, 어느 프로그램을 어느 시간부터 어느시간까지 얼마나 많은 시청자들이 시청하였는지와 어느 광고를 얼마나 많은 시청자들이 시청하였느지에 대하여 자동으로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시청률 조사방법 및 장치는 시청자가 방송수신 시스템에 피씨등의 부가적인 시청률 측정장치를 장착해야 하며,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환경과 웹 환경을 통해서만이 시청률 측정이 가능하므로, 방송광고 시청률을 조사하기에는 많은 제약상황으로 인해 시청률과 같은 광고효과를 정확히 조사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시청자에 의해 선택 시청하게 되는 메인방송 및 광고방송 등의 시청정보(시청시간 및 식별코드 등)를 모두 소정의 저장장치(시청 히스토리 기록부)에 저장하여 일정간격으로 송출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정보를 저장 및 송출하기 위한 부하가 많아 시스템상의 문제로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디지털 양방향 TV 방송시스템의 원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부가장비의 설치나 부착이 없이도, 방송하는 광고와 연동하여 광고방송의 시청결과를 측정하는 실행 프 로그램을 동시에 송출함으로 광고방송의 시청효과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도록 하는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 조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고방송 뿐만 아니라, 방송프로그램에 의한 정규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할 때에 시청자의 시청정보를 측정하는 측정프로그램을 동시에 송출하여 시청자의 시청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디지털 양방향 TV의 방송시청조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과정은 광고방송 동영상/음성송출서버를 통한 광고방송동영상/음성신호를 방송일정에 맞게 송출하면,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에서 이를 수신 시청할 때에 상기 각 방송신호를 시청한 시청자의 시청정보를 검출하는 시청정보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방송 편성 일정에 맞추어 송출 예정된 광고방송의 시청률 측정에 필요한 광고효과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측정프로그램 생성과정과, 상기 측정프로그램에 프로그램ID를 부여한 후 상기 방송편성 일정에 따라 송출되는 해당 광고방송동영상 및 음성신호에 연동하여 송출하는 측정프로그램 송출과정과, 상기 송출된 광고방송동영상 및 음성신호 및 측정프로그램을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에서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에 수신된 측정용 프로그램이 상기 광고방송이 방송됨과 연동하여 상기 광고방송에 해당하는 측정프로그램을 자동 기동하는 측정프로그램 기동과정과, 상기 측정프로그램이 기동함에 따라 상기 광고방송이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를 통해 시청되는 시청정 보를 수집하는 시청정보 수집과정과, 상기 수집된 광고 시청정보를 양방향 방송망을 통해 리턴시키는 광고시청정보 리턴과정과, 상기 리턴된 광고시청 정보를 분석하여 시청자 속성별 시청률 및 시청자의 시청현황을 포함한 광고효과를 측정하는 광고효과측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장치"는 광고주의 방송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동영상/음성 데이터베이스서버에 광고 동영상 및 음성정보를 저장관리하고, 광고편성 데이터베이스에 광고의 송출시간, 횟수, 송출채널정보 및 광고ID를 저장하고, 상기 광고편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일정에 따라 상기 광고 동영상/음성신호와 다른 방송 프로그램(PP프로그램1~N)을 리먹스장치를 통해 다중화 송출함에 따라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이를 수신하여 방송출력하고, 시청자가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를 통해 시청하는 방송시청정보를 수집하여 시청률을 측정하는 방송시청률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고편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송출 일정 정보에 연동하여 방송광고 시청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함과 아울러 해당 측정 프로그램에 고유ID를 부여하는 측정프로그램 생성서버와, 상기 측정생성서버에서 생성된 측정프로그램을 관리하고 방송 일정에 연동하여 송출하는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와, 상기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로부터 출력된 측정프로그램 데이터를 데이터방송용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리먹스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방송 송출장치와, 상기 광고방송시스템 각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광고편성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방송 편성 일정에 따라 상기 광고동영상/음성 데이터베이스서버를 제어하여 광고 동영상 및 음성신호를 송출함과 아울러 상기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 및 데이터방송 송출장치를 제어하여 측정프로그램을 송출시키는 광고송출제어서버와,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기동된 측정프로그램에 의해 수집된 광고시청정보를 수신하는 리턴처리서버와, 상기 리턴처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시청정보에 의하여 시청자 속성별시청률 및 시청결과에 따른 광고효과를 분석하여 상기 광고송출제어서버로 출력하는 광고효과분석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양방향 디지털 TV의 방송시청조사과정은 방송프로그램에 의한 동영상/음성송출서버를 통한 동영상 및 음성신호를 방송일정에 맞게 설정된 채널을 통해 송출하면,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해당 채널을 통해 이를 수신하여 시청함에 따라 상기 방송을 시청한 시청자의 시청정보를 검출하는 시청정보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프로그램 편성 일정에 따라 송출 예정된 각 방송의 시청효과를 측정하는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측정프로그램 생성과정과, 상기 측정프로그램에 프로그램ID를 부여한 후 상기 방송송출 일정에 따라 송출되는 해당 동영상 및 음성신호에 연동하여 측정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측정프로그램 송출과정과, 상기 송출된 동영상 및 음성신호와 측정프로그램을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해당 채널로 수신하는 측정프로그램수신과정과,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 수신된 상기 방송이 시청되면 상기 방송시청에 연동하는 측정프로그램이 자동 기동하는 측정프로그램 기동과정과, 상기 측정프로그램이 기동함에 따라 상기 방송시청을 모니터링하여 시청자의 해당 방송의 시청유무, 시청시간, 리모콘 클릭정보를 포함한 시청정보를 수집하는 시청정보수집과정과, 상 기 수집된 시청정보를 양방향 방송망을 통해 리턴시키는 시청정보리턴과정과, 상기 리턴된 시청정보를 분석하여 시청자 속성별 시청률 및 시청자의 시청현황을 포함한 시청효과를 측정하는 시청효과측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광고주의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의 송출시간, 횟수, 송출채널정보 및 광고ID를 저장하는 광고편성 데이터베이스(DB)(201)와, 광고방송을 위하여 광고 동영상 및 오디오의 압축화상(MPEG-2) 포맷 파일과 압축화상(MPEG-2)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DB에 저장하고 있는 광고방송 동영상/음성DB서버(204)와, 상기 광고편성DB(201)에 저장된 광고 편성일정에 따라 광고방송 동영상/음성송출서버(205)와 데이터 방송 송출 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광고방송 동영상 및 음성 신호와 측정 프로그램의 송출을 제어하는 광고송출 제어서버(202), 상기 광고편성DB(201)에 저장된 광고 편성정보에 따라 방송광고 시청정보를 수집하는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하여 고유 ID를 부여하는 측정프로그램 생성서버(210)와, 상기 광고송출 제어서버(202)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측정프로그램 생성서버(210)에서 생성된 측정프로그램을 저장 및 출력하는 측정프로그램관리서버(211)와, 상기 광고방송 동영상/음성DB서버(204)로부터 제공된 광고 동영상 및 오디오의 MPEG-2 전송스트림(TS : Transfer Stream)을 방송 송출 시스템으로 송출하는 광고방송동영상/음성 송출서버(205)와, 상기 측정프로그램관리서버(211)에서 출력된 측정프로그 램을 데이터방송용 포맷형태로 변환하여 방송시스템으로 송출하는 데이터방송 송출장치(212)와, 상기 광고방송동영상/음성 송출서버(205)를 통해 출력된 상기 광고방송 동영상/음성 신호와 상기 데이터방송 송출장치(212)로부터 출력된 측정프로그램과 다른 케이블 방송 등의 방송프로그램(PP프로그램1~N)을 다중화여 송출하는 리먹스장치(220)와,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230)에서 측정프로그램에 의해 수집된 시청정보를 수신하는 리턴처리서버(231)와, 상기 리턴처리서버(231)로부터 수신된 시청정보에 의하여 시청자 속성별시청률 및 시청결과에 따른 광고효과를 분석하여 상기 광고송출제어서버(202)로 출력하는 광고효과분석서버(232)와, 상기 광고송출제어서버(202)의 제어에 의하여 광고방송 일정에 따라 광고 동영상 및 음성신호와 측정프로그램의 송출에 따른 처리결과를 저장하는 제어로그DB(203)와, 상기 광고효과분석서버(232)에 의하여 상기 리턴처리DB(231)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리턴데이터DB(2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광고주나 광고 대행업체로부터 광고방송의 송출 요청을 받으면, 방송광고를 디지털 방송 전송을 위한 광고영상 및 음성데이터용으로 변환하고 포함한 광고 동영상의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광고방송시간 등의 일정을 편성하여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요청된 광고방송의 편성정보 즉, 광고 송출 시간, 횟수, 송출 채널정보, 광고ID 등을 DB화하여 광고편성DB(201)에 저장한다.
광고송출제어서버(202)는 광고편성DB(201)의 광고편성 정보를 근거로 측정프로그램 생성서버(210)로 광고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프로그램의 생성을 명령한다.
여기서, 측정프로그램 생성서버(210)에 의해 생성되는 측정프로그램은 셋탑박스와 같은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230)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광고방송 효과 분석을 위하여 광고방송 시청유무, 시청시간, 리모콘 클릭 등과 같은 데이터를 수집한다.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230)에서 시청자가 광고의 시청을 시작할 때 자동으로 기동하며, 시청자의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채널에 대한 변경이 발생할 때에 관련된 채널에 대한 운영체계에 의하여 채널에 해당하는 동영상 및 측정프로그램을 기동한다.
한편, 측정프로그램 종료는 시청자가 채널을 변경하거나, 해당 광고가 종료될 때 자동종료 하게 된다.
또한, 방송광고효과 측정을 위한 측정프로그램의 생성시 측정하고자 하는 정보들(실제 광고시청여부, 시청시간, 참여여부, 광고내 이동경로 등)을 고려하여 생성한다.
생성된 방송 광고효과 측정을 위한 측정프로그램에는 방송광고 및 방송 편성 정보에 따라 고유의 ID를 부여하며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211)를 통해 DB화하여 저장하고, 광고송출제어서버(202)의 제어에 의하여 양방향 방송망으로 송출한다.
상기 측정프로그램 생성서버(210)에 의하여 생성된 측정용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부여된 프로그램ID는 측정프로그램관리서버(211)와 광고송출 제어서버(202)에 저장한다.
상기 광고송출 제어서버(202)는 광고방송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광고방송 편성 일정에 따른 광고방송신호를 송출하도록 명령하고, 광고방송 집행결과에 대한 로그처리 및 스케줄조정 작업을 수행하고, 광고 동영상 및 측정용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보관한다.
광고 편성DB(201)의 정보에 따라 광고방송 동영상/음성DB서버(204)에 저장된 광고방송 동영상 및 음성신호를 상기 광고방송 동영상/음성송출서버(205)로 출력하여 송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211)에 저장된 측정프로그램 중 방송 송출명령을 받은 광고에 해당하는 측정프로그램을 데이터방송 송출장치(212)를 통해 송출하도록 한다.
이때, 광고방송을 송출하기 전에 광고방송동영상 및 음성신호와 측정프로그램를 상호 연동하여 송출하게 된다.
상기 광고방송 동영상 및 음성신호와 측정프로그램을 방송일정에 맞추어 송출한 로그데이터를 제어로그DB(203)에 저장한다.
리먹스장치(220)를 포함한 방송 송출 시스템을 통해 광고방송과 함께 송출된 측정프로그램은 시청자의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230)에 수신되어 방송 시청자가 광고의 시청을 선택하여 광고를 시청하면 광고와 연동된 해당 측정프로그램이 디지털 양방향 방송 시청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기동되어 광고시청과 관련된 정 보를 수집한다.
시청자의 광고방송 시청에 따라서 양방향 시청 장치에서 자동으로 기동된 측정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생성시에 설정된 항목대로 관련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시청정보는 양방향 방송망을 통해 리턴처리서버(232)에서 수신한 후 광고효과 분석서버(232)로 전송한다.
상기 광고효과 분석서버(232)는 광고주, 광고, 채널, 지역별, 성별과 같은 시청자 속성별 시청률을 분석하고, 시청자의 광고에 대한 시청현황 및 시청자에 의해 조작된 리모콘 클릭 등의 시청결과를 분석하여 광고노출빈도, 광고 시청률, 광고시청시간, 광고 내 이동경로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이와 같이 광고효과 분석서버(232)에서 분석 처리된 결과는 다양한 형태로 정리하여 광고주에게 전송해주므로, 해당 광고주가 추후 방송광고 및 마켓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광고효과 분석서버(232)는 상기 리턴처리서버(231)를 통해 수신된 리턴 데이터를 리턴데이터DB(233)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과정의 흐름도로서, 먼저, 광고주로부터 광고방송과 방송광고 효과 측정이 요청되면,(S110) 방송광고동영상 및 음성신호를 디지털 방송용으로 변환하여 광고방송동영상/음성DB서버(204)에 저장하고, 광고방송일정을 편성하여 광고편성DB(201)에 저장한다.(S112)
상기 광고편성DB(201)에 저장된 광고방송 송출 일정에 연동하여 방송광고 효 과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프로그램을 자동 생성한다.(S116)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프로그램의 자동생성과정의 흐름도로서,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방송광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항목에 따른 측정 프로그램의 기본 프레임을 설정한다.(S202)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230)에서 방송광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광고ID, 방송시간, 방송채널 등을 설정한다.(S204)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23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전송할 리턴처리서버(231)를 설정한다.(S206)
또한, 측정프로그램의 생성시 수집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 및 측정회수, 측정주기, 기타 측정하고자 하는 항목들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설정을 포함하여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230)에서 실행될 클라이언트용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한다.(S208)
이와 같이 측정프로그램생성서버(210)에서 생성된 측정프로그램은 시청자의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230)로 송출되어 시청자가 해당 광고방송을 시청할 때 자동으로 기동되어 시청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즉, 광고편성DB(201)에 저장된 광고방송 일정에 따라 광고송출제어서버(202)의 제어에 의하여 광고방송동영상 및 음성과 함께 측정프로그램을 방송송출시스템에 의해 송출하게 된다.(S118)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230)는 송출된 광고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시청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20)
시청자가 광고방송을 시청하게 되면 방송광고에 연동하여 효과 측정프로그램이 자동 실행하여 프로그램 생성시 설정된 내용에 따라 시청자의 광고방송 시청정보를 수집 한다.(S124)(S126)
광고시청 정보 수집은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230)의 현재 시간 정보수집, 시스템타임테이블(STT : System Time Table) 시간 정보수집, 동영상 MPEG-2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정보 등의 수집을 통하여 광고시청의 시작과 종료시간을 수집하게 된다.
한편, 시청자의 광고 내의 이동경로 분석은 광고시청 중에 리모콘 동작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집된 광고방송 시청정보는 리턴처리서버(231)로 양방향 방송망을 통해 송출한다.(S128)
리턴처리서버(231)에서 수신된 광고 시청정보는 광고효과 분석서버(232)에 의하여 광고효과를 분석하여 광고주에게 보고하게 된다.(S13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각부를 이용하여 광고방송에 따른 광고시청 정보 수집 및 광고효과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정규 방송프로그램 편성에 방송송출시 시청정보 수집용 측정프로그램을 생성 및 송출하여 시청자가 양방향디지털 방송시청장치를 통해 기동시키므로, 정규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시청정보(해당 방송의 시청유무, 시청시간, 시청중의 리모콘 클릭정보 등)를 수집한다.
상기 수집된 시청정보는 광고효과 측정과 마찬가지로 해당 방송의 시청효과를 측정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광고방송 시청정보 뿐만 아니라, 일반 방송프로그램에 의한 방송의 시청정보 수집이 가능하며, 측정프로그램 생성시의 수집하고자 하는 정보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는 광고방송 송출시 방송광고 시청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하여 함께 송출하고,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자동 실행하여 프로그램 생성시 설정된 항목의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리턴서버로 측정된 정보를 전송하여 방송광고 효과를 측정하므로, 광고방송 시청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시청자의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 별도의 장비나 모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간편하고,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에서 수집된 시청정보는 양방향 방송망를 통해 실시간으로 리턴처리서버로 전송하여 방송광고효과를 분석하므로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른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광고방송 동영상/음성송출서버를 통해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광고방송동영상 및 음성신호를 방송일정에 맞게 송출하면,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이를 수신하여 시청함에 따라 상기 각 방송신호를 시청한 시청자의 시청정보를 검출하는 시청정보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고방송 편성 일정에 따라 송출 예정된 각 방송광고의 광고효과를 측정하는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측정프로그램 생성과정;
    상기 측정프로그램 생성과정은 해당 방송광고에 대한 시청 상황을 측정할 항목에 따른 측정프로그램의 기본 프레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광고의 시청 상황을 측정할 광고의ID, 방송시간, 방송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광고의 시청에 따른 수집 데이터항목 및 수집데이터를 리턴시킬 리턴서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설정된 항목을 포함한 전송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프로그램에 프로그램ID를 부여한 후 상기 광고방송 송출 일정에 따라 송출되는 해당 광고방송 동영상 및 음성 신호에 연동하여 송출하는 측정프로그램 송출과정;
    상기 송출된 광고방송 동영상 및 음성 신호와 측정프로그램을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송신호 및 측정프로그램수신과정;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에 수신된 상기 광고방송이 시청되면 상기 광고방송에 연동하는 측정프로그램이 자동 기동하는 측정프로그램 기동과정;
    상기 측정프로그램이 기동함에 따라 상기 방송광고가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 장치를 통해 시청되는 시청정보를 수집하는 시청정보 수집과정;
    상기 수집된 광고시청정보를 양방향 방송망을 통해 리턴 시키는 광고시청정보 리턴과정;
    상기 리턴된 광고시청 정보를 분석하여 시청자 속성별 시청률 및 시청자의 시청현황을 포함한 광고효과를 측정하는 광고효과측정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정보 수집과정은 방송광고 시청중 시청자의 리모콘 동작에 의하여 광고내의 이벤트를 선택함에 따라 링크된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정보 수집과정은 방송광고 시청시작시간 및 종료시간 수집으로 수행되어지되,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의 현재시간 정보, 시스템시간테이블(STT)시간정보 및 동영상 압축화상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정보를 통해 수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7. 광고주의 방송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동영상/음성 데이터베이스서버에 광고 동영상 및 음성정보를 저장관리하고, 광고편성 데이터베이스에 광고의 송출시간, 횟수, 송출채널정보 및 광고ID를 저장하고, 상기 광고편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일정에 따라 상기 광고 동영상/음성신호와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리먹스장치를 통해 다중화 송출함에 따라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이를 수신하여 방송출력하고, 시청자가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를 통해 시청하는 방송시청정보를 수집하여 시청률을 측정하는 방송시청률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고편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송출 일정 정보에 연동하여 디지탈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 송출되어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광고가 방송됨에 따라 설정된 방송광고 시청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측정프로그램을 생성함과 아울러 해당 측정 프로그램에 고유ID를 부여하고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를 통한 시청자의 광고방송 시청유무, 시청시간, 리모콘 클릭정보를 포함한 시청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생성하는는 측정프로그램 생성서버;
    상기 측정생성서버에서 생성된 측정프로그램을 관리하고 방송 일정에 연동하여 송출하는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
    상기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로부터 출력된 측정프로그램 데이터를 데이터방송용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리먹스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방송 송출장치;
    상기 광고방송시스템 각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광고편성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방송 편성 일정에 따라 상기 광고동영상/음성 데이터베이스서버를 제어하여 광고 동영상 및 음성신호를 송출함과 아울러 상기 측정프로그램 관리서버 및 데이터방송 송출장치를 제어하여 측정프로그램을 송출시키는 광고송출제어서버;
    광고송출제어서버에 부가하여 상기 광고방송 일정에 따라 광고 동영상 및 음성신호와 측정프로그램의 송출에 따른 처리결과를 저장하는 제어로그데이터베이스:
    상기 디지털 양방향방송 시청장치에서 기동된 측정프로그램에 의해 수집된 광고시청정보를 수신하는 리턴처리서버; 및
    상기 리턴처리서버로부터 수신된 시청정보에 의하여 광고주, 광고채널, 지역별, 연령별 및 성별을 포함한 시청자속성별 시청률을 분석하고, 시청자의 광고에 대한 시청현황 및 리모콘 클릭을 포함한 시청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광고송출제어서버로 출력하는 광고효과분석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효과분석서버에 부가하여 상기 리턴처리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리턴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양방향 TV의 광고방송 시청조사장치.
  13. (삭제)
KR1020030057181A 2003-08-19 2003-08-19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KR10056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181A KR100562287B1 (ko) 2003-08-19 2003-08-19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181A KR100562287B1 (ko) 2003-08-19 2003-08-19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417A KR20050019417A (ko) 2005-03-03
KR100562287B1 true KR100562287B1 (ko) 2006-03-20

Family

ID=3722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181A KR100562287B1 (ko) 2003-08-19 2003-08-19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278B1 (ko) * 2012-09-24 2014-11-17 최무순 주문수 기반 홈쇼핑 방송 평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85B1 (ko) * 2005-04-01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특정 방송컨텐츠의 재생/저장을 위한 양방향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방송 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22436B1 (ko) * 2005-04-08 2007-05-28 최형락 티비시청률 조사가 가능한 리모콘
KR100755703B1 (ko) 2006-01-19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률에 따른 동적 광고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100754225B1 (ko) * 2006-08-07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인터랙티브 서비스 저장 및 재생 방법과, 그장치
KR101363454B1 (ko) * 2013-04-19 2014-02-17 주식회사 사운들리 Tv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mim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7389A2 (en) * 1998-04-30 2000-02-02 Wink Communications, Inc. Configurable system for monitoring programme viewership and usage of interactive applications
KR20010106776A (ko) * 2000-05-23 2001-12-07 구자홍 텔레비젼 수상기의 시청률 조사 방법 및 장치
KR20020022744A (ko) * 2002-02-25 2002-03-27 김일 인터넷 탐색 히스토리 목록을 이용한 성향 분석 시스템 및방법
KR20020056403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양방향 티브이를 이용한 시청률 산출방법
KR20030020868A (ko) * 2001-02-20 2003-03-10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시청률 조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7389A2 (en) * 1998-04-30 2000-02-02 Wink Communications, Inc. Configurable system for monitoring programme viewership and usage of interactive applications
KR20010106776A (ko) * 2000-05-23 2001-12-07 구자홍 텔레비젼 수상기의 시청률 조사 방법 및 장치
KR20020056403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양방향 티브이를 이용한 시청률 산출방법
KR20030020868A (ko) * 2001-02-20 2003-03-10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시청률 조사 시스템
KR20020022744A (ko) * 2002-02-25 2002-03-27 김일 인터넷 탐색 히스토리 목록을 이용한 성향 분석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278B1 (ko) * 2012-09-24 2014-11-17 최무순 주문수 기반 홈쇼핑 방송 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417A (ko) 2005-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082B1 (en) Configurable monitoring of program viewership and usage of interactive applications
US62895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near-real time capture and reporting of large population consumer behaviors concerning television use
JP4287053B2 (ja) デジタルテレビ用視聴率測定システム
US6708335B1 (en) Tracking viewing behavior of advertisements on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96354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high accuracy, sensor and ID based audience measurement system based on distributed computing architecture
US2007018622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view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digital media device
US9021543B2 (en) Highly scalable audience measurement system with client event pre-processing
KR20010043634A (ko) 인구 통계학적 카테고리에 대한 사용자 값을 결정하기위한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가이드 시스템
US86773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able two-way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audiences using multiple media formats
US20130174188A1 (en) Method and system to implicitly link second screen advertisement campaigns and commerce events to main screen video and audio program content
JP2005311810A (ja) デジタル放送を用いた視聴履歴収集方法
KR20150035808A (ko) 송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연동 시스템
USRE47819E1 (en) Wired internet network system for the internet video streams of radio stations
KR20080000968A (ko)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시청률 조사 방법
KR100562287B1 (ko) 디지털 양방향 티브이의 광고방송 시청조사방법 및 장치
KR20050094537A (ko) 디지털양방향티브이의 광고집행시스템
US201500525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edia audience
WO2004054147A1 (en) Rating data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KR20070024039A (ko) 인터넷을 통한 텔레비전 광고 시스템
KR20010106776A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시청률 조사 방법 및 장치
KR20060110976A (ko)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기반의 양방향 광고 시스템및 방법
JP2003153305A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装置、番組料金決定方法、番組放送日時決定方法
KR20110013967A (ko) 디지털 텔레비전 장치 및 광고정보 분석장치
KR20030033568A (ko) 양방향성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시청행태 분석 및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