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921B1 -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921B1
KR100560921B1 KR1020030071996A KR20030071996A KR100560921B1 KR 100560921 B1 KR100560921 B1 KR 100560921B1 KR 1020030071996 A KR1020030071996 A KR 1020030071996A KR 20030071996 A KR20030071996 A KR 20030071996A KR 100560921 B1 KR100560921 B1 KR 10056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lip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6349A (en
Inventor
우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7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921B1/en
Publication of KR2005003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에 힌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통과, 상기 힌지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힌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본체힌지홈을 포함하는 본체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단말기의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배터리팩의 배면까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되는 과정에서 힌지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본체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회동개구부와, 상기 회동개구부의 상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회동개구부의 양측에 상기 본체의 힌지통과 결합되는 힌지너클과, 상기 힌지너클 중 하나 이상에 내측방향으로 힌지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플립힌지홈을 포함하는 플립과; 상기 본체힌지홈에 삽입되는 본체삽입부와, 상기 플립힌지홈에 삽입되는 플립삽입부를 포함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플립을 거치수단으로 하여 책상이나 그 외의 장소에 세워두고 액정화면 또는 서브 액정화면을 좀 더 보기 좋은 각도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hinge cylinder formed to be coupled to a hinge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body hinge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nge cylinder and into which the hinge is inserted; Rotate around the hinge and open up to the back of the battery pack to act as a cradle for the terminal, and in the opening process, a portion coupled to the hinge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is opened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main body does not occur. An opening, a stopper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pivot opening, a hinge knuckle coupled to a hinge barrel of the main body on both sides of the pivot opening, and a hinge inward in at least one of the hinge knuckles; A flip including a formed flip hinge groove; A hinge including a main body inser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main body hinge groove and a flip inser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lip hinge groove;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makes it easy to use the screen at a better angle.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Mobile terminal, cradle

Description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 folded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플립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li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플립회동부분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4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flip pivot por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힌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inge.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플립삽입부가 회전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he flip insert is rotated in the state of FIG. 5A.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플립이 2차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i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secondary.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폴더가 닫혀진 형상을 도시한다.FIG. 7 illustrates a closed shape of the folder in the state of FIG. 6.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단말기 : 100 폴더 : 200Terminal: 100 Folder: 200

서브 액정화면 : 201 메인 액정화면 : 203Sub LCD: 201 Main LCD: 203

수신부 : 205 본체 : 300Receiver: 205 Body: 300

키버튼 : 301 배터리팩 : 303Key Button: 301 Battery Pack: 303

송신부 : 305 힌지통 : 310Transmitter: 305 Hinge: 310

본체힌지홈 : 313 플립 : 400Main body hinge groove: 313 Flip: 400

힌지너클 : 410 회동개구부 : 411Hinge Knuckle: 410 Rotating Opening: 411

플립힌지홈 : 413 스토퍼 : 415Flip Hinges: 413 Stopper: 415

힌지 : 500 플립삽입부 : 510Hinge: 500 Flip Inserts: 510

캠 : 511 본체삽입부 : 520Cam: 511 Body insert: 520

관통공 : 521 샤프트 : 530Through hole: 521 Shaft: 530

슬라이더홈 : 531 슬라이더 : 533Slider groove: 531 Slider: 533

걸림턱 : 535 스프링 : 540Jaw: 535 Spring: 540

본 발명은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본체의 하단에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는 플립이 구비되어 책상이나 그 외의 장소에 세운 채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ounting means, specifically, a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a flip that can act as a cradle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can be stored and used while standing on a desk or other place. It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정보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과 종류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 자 수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로는 바(BAR)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폴더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 크기도 작고 무게도 가벼워 휴대하기 간편하며, 타 기종에 비하여 큰 액정화면으로 많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폴더형과 슬라이드형 단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the functions and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re rapidly developing, and the number of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rapidly increasing. Bar type, flip type, slide type, and folder type are used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mong them, small size and light weight make it easy to carry and display a lot of information on a large LCD screen compared to other models. Folder type and slide type terminal with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the most.

이러한 종래의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휴대시 주머니에 넣거나, 목걸이처럼 목에 걸고 다니지만 직장이나 집에서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충전기에 꽂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책상 등에 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액정화면이 위로 향하도록 눕혀 놓거나 액정화면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벽이나 기타 물체에 기대어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Such a conventional clamshell or slide-type terminal is put in a pocket when carrying, or hangs around the neck like a necklace, but at work or home, it is used on a desk except when plugged into a charger to charge a battery. It is common to lie on top or lean against a wall or other object to secure the view of the LCD screen.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시계, 문자메세지 또는 부재중 번호표시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들고 봐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고, 벽이나 기타 물체에 기대어 세워둔 경우에는 진동이나 미세한 충격에도 쓰러져 단말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 case, in order to check the clock, text message, or missed number display displayed on the LCD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held by the hand, and when leaning against a wall or other object, vibration or minu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rminal may be damaged due to collapse.

또한, 음성, 고속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통합 통신서비스인 IMT-2000을 통하여 제공되는 TV프로그램이나 동영상의 시청함에 있어서, 그리고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통화에 있어서도 장시간 손으로 들고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when watching TV programs or videos provided through IMT-2000, a wired / wireless integrated communication service that provides multimedia services such as voice, high speed data, and video, and video calls using a camera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carry and u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 로서 이동통신단말기 본체에 거치수단을 구비시켜 책상이나 그 외의 장소에 세워두고 액정화면 또는 서브 액정화면을 좀 더 보기 좋은 각도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ans o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nding on a desk or other places, and the LCD screen or the sub LCD screen at a more favorable angle.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easily.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는, 하단에 힌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통의 길이방향으로 힌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본체힌지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결합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배터리팩의 배면까지 회동하고, 상기와 같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본체와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회동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개구부의 상단에 외부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개구부의 양단에는 상기 본체의 힌지통과 힌지에 의해 결합되도록 플립힌지홈이 형성되는 힌지너클을 포함하는 플립과; 상기 본체와 상기 플립을 결합시키며, 상기 본체힌지홈에 삽입되는 본체삽입부와, 상기 플립힌지홈에 삽입되는 플립삽입부로 이루어진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mounting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hinge is formed so that the hinge can be coupled to the bottom, the main body hinge is inserted into the hi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nge A main body in which grooves are forme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rotates to the back of the battery pack around the hinge, the rotating opening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lower end is open so that the portion coupled to the hing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ain body during the rotation as described above, A flipper having a stopp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ivot opening, and a hinge knuckle having a flip hinge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ivot opening so as to be coupled by a hinge and a hing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and the flip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main body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main body hinge groove and a flip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the flip hinge groove are configured to include a hinge.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플립을 개방하면 통화각도(약 150도)에서 일차적으로 정지하여 고정되고, 상기 통화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부가적 힘을 받으면 상기 스토퍼가 배터리팩의 배면에 닿아 정지할 때까지 회전하며, 닫을 경우는 상기와 같은 동작의 역순을 거치게 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fixed at the call angle (about 150 degrees) when the flip is opened, and is fixed, and when the stopper receives the additional force in the open state at the call angle, the stopper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battery pack. Rotates until it stops and stops, and when it closes, it goes through the reverse of the above oper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폴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플립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플립회동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ol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FIG. 3 is a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flip rotation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실시예는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폴더(200)와 본체(300)로 구성되는 폴더 타입의 단말기에 플립(400)이 결합된 형태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ip (folder) to a folder type terminal composed of a folder 200 and a main body 300 which are opened and closed around a hinge. 400) is a combined form.

상기 단말기(100)의 폴더(200)는 일면에 서브 액정화면(201)이 구비되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300)와 맞닿는 상기 폴더(200)의 배면에는 메인 액정화면(203)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액정화면(203)의 상단에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는 수신부(205)가 형성된다. The folder 200 of the terminal 100 has a sub liquid crystal display 201 on one surface thereof, and as shown in FIG. 1, the folder 200 contacting the main body 300 in a folded state of the terminal 100. The main liquid crystal screen 203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and a receiver 205 including a speak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top of the main liquid crystal screen 203.

상기 폴더(200)와 맞닿는 상기 본체(300)는 일면에 신호 발생 및 정보 입력을 위한 스위치 장치로써 다수개의 키버튼(30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300)의 배면에는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팩(303)이 결합되며, 상기 키버튼(301)의 하단에는 힌지(500)가 결합될 수 있는 힌지통(310)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통(3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힌지(50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본체힌지홈(313)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통(310)의 중앙에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는 송신부(307)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3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older 200 has a plurality of key buttons 301 as a switch device for signal generation and information input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power supply of the terminal 100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300. The battery pack 303 for supply is coupled, the lower end of the key button 301 is formed with a hinge cylinder 310 to which the hinge 500 can be coupled, the hinge cylinder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e hinge 5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hinge groove 313 is formed is formed, the center of the hinge cylinder 310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307 including a speaker (not shown).

그리고, 상기 힌지통(310)에 결합되는 플립(400)은 양측에 힌지너클(410)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너클(410) 사이에 회동개구부(411)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너클(410) 내측면에 상기 힌지(500)가 결합될 수 있는 플립힌지홈(413)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lip 400 coupled to the hinge cylinder 310 has hinge knuckles 410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pivot opening 411 is provided between the hinge knuckles 410 and the hinge knuckles 410. A flip hinge groove 413 to which the hinge 500 is coupled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상기 플립회동부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플립(400)은 힌지(50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개방되고, 상기와 같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3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힌지(5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일단이 개방된 형태의 여유공간인 회동개구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개구부(411)의 상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토퍼(4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개구부(411)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300)의 힌지통(310) 측면과 결합되는 힌지너클(410)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너클(4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측방향으로 상기 힌지(500)를 삽입시킬 수 있는 플립힌지홈(413)이 형성된다. 4, the flip 40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300 is opened while rotating around the hinge 500 and open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main body 300, a rotation opening part 411, which is a free space having an open shape at one end, is formed at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hinge 500, an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opening part 411. The stopper 415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In addition, hinge knuckles 410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pivot opening 411 to be coupled to the hinge cylinder 310 side of the main body 300, and at least one of the hinge knuckles 410 is inward. A flip hinge groove 413 into which the hinge 500 can be inserted is formed.

도 5a는 힌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플립삽입부가 회전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inge,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he flip insert is rotated in the state of FIG. 5A.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500)는 크게 상기 플립힌지홈(413)에 삽입되어 플립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플립삽입부(510)와 본체힌지홈(3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본체삽입부(520)로 나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hinge 500 is inserted into the flip hinge groove 413 and inserted into the flip insertion portion 510 and the main body hinge groove 313 which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lip. It is divided into a main body insertion portion 520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플립삽입부(510)는 높이보다 너비가 넓은 팔각형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으며, 상기 플립힌지홈(413)에 삽입되는 전면은 평탄하고, 그 배면에는 상기 본체삽입부(52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팔각형상의 높이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고, 너비방향을 따라 유선형 캠(511)이 형성된다.The flip insertion portion 510 has an octagonal shape wider than the height thereof,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front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flip hinge groove 413 is flat, the rear surface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sertion portion 520. It has a constant thickness in the octagonal height direction, the streamlined cam 511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상기 본체삽입부(520)는 상기 플립삽입부(510)와 결합되는 일측면이 개방된 중공형태이고, 상기 본체삽입부(520)의 타측면은 막혀 있으며, 막힌 상기 측면의 중앙에는 원형의 관통공(5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521)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본체삽입부(520)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플립삽입부(510)에 형성된 캠(511)과 맞물릴 수 있는 슬라이더홈(531)이 형성된 슬라이더(533)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관통공(521)에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 걸림턱(535)을 포함하는 샤프트(530)와, 상기 본체삽입부(520) 내부에 위치한 상기 샤프트(530)의 둘레에는 스프링(540)이 구비된다.The main body inserting part 520 has a hollow shape in which one side coupled to the flip inserting part 510 is opened,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inserting part 520 is blocked, and a circular through-s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locked side. A ball 521 is formed. The slider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521 and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inserting portion 520, and one end of which has a slider groove 531 formed therein for engaging with the cam 511 formed in the flip inserting portion 510. 533, the other end includes a shaft 530 including a locking jaw 535 formed so as not to fall out of the through hole 521, and a circumference of the shaft 530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insertion part 520. It is provided with a spring 540.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533)는 상기 플립(400)을 따라 회전하는 캠(511)과의 접점위치에 따라 상기 힌지(500)의 회전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된다.Accordingly, the slider 533 is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hinge 500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with the cam 511 rotating along the flip 400.

상기 힌지(5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hinge 500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5a의 형상과 같이, 캠(511)이 슬라이더홈(531)과 맞물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플립삽입부(510)가 플립힌지홈(413)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삽입부(520)가 본체힌지홈(313)에 삽입된 후, 상기 본체(300)와 상기 플립(400)이 상기 힌지(50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플립삽입부(510)는 상기 플립(400)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본체삽입부(520)는 상기 본체(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플립(400)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플립삽입부(510)와 상기 본체삽입부(5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533)는 샤프트(5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을 함과 동시에 캠(511)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슬라이더홈(531)의 깊이만큼 스프링(540)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상기 플립삽입부(510)와 상기 본체삽입부(520)의 회전각이 180도에 이르러 상기 캠이 또 다시 슬라이더홈(531)과 맞물리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533)는 상기 스프링(5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540)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되고, 상기 캠(511)은 다시 상기 슬라이더홈(531)과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립삽입부(510)와 상기 본체삽입부(520)가 180도 회전한 후, 캠(511)이 상기 슬라이더홈(531)과 맞물리게 되는 때가 상기 본체(300)와 상기 플립(400)이 일정 개방각을 이루며 고정되는 상태인 것이다.As shown in FIG. 5A, the flip insertion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flip hinge groove 413 while the cam 511 is engaged with the slider groove 531, and the main body insertion portion 520 is the main body hing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313, when the main body 300 and the flip 400 rotate about the hinge 500, the flip insert 510 rotates along the flip 400. The main body inserting part 520 is fixed to the main body 300. When the flip 400 is opened, the flip insert 510 and the main body insert 520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ly, the slider 533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530. At the same time as the contact with the cam 511 is a linear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ing 540 is compressed by the depth of the slider groove 531. Whe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flip insertion portion 510 and the main body insertion portion 520 reaches 180 degrees and the cam is brought into engagement with the slider groove 531 again, the slider 533 is moved to the spring ( The spring 540 is linearly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540, and the cam 511 is engaged with the slider groove 531 again. In this manner, after the flip insert 510 and the main body insert 520 rotate 180 degrees, the main body 300 and the flip 400 may be engaged with the slider groove 531 by the cam 511. This is a fixed state forming a constant opening angle.

일반적으로 상기 플립(400)을 개방시켰을 때에 상기 본체(300)와 상기 v 간의 개방각이 180도를 유지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인 150도 내외로 개방되어 일차적으로 고정되는 것은, 상기 본체(300)와 상기 플립(400)의 초기 조립시 상기 힌지(500)를 상기 본체(300)와 상기 플립(400)이 개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30도 돌려놓은 상태에서 조립하였기 때문이다. In general, when the flip 400 is opened, the opening angle between the main body 300 and the v does not maintain 180 degrees, but is opened around 150 degrees, which is a convenient angle for the user, to be primarily fixed. This is because the hinge 500 is assembled in the state in which the hinge 500 is turned 30 degre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300 and the flip 400 are opened during the initial assembly of the 300 and the flip 4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플립이 2차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폴더가 닫혀진 형상을 도시한다.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lip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otated secondly, and FIG. 7 illustrates a shape in which a folder is closed in the state of FIG. 6.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400)이 150도 내외로 개방되어 일차적으로 고정된 후 추가적인 힘이 가해지면 상기 플립(400)의 전면에 형성된 스토퍼(415)가 배터리팩(303)에 닿아 멈출 때까지 150도 내외로 다시 회동하여 고정되고, 회동된 상기 플립(400)이 거치 장소의 바닥과 접하여 거치대 역할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 플립(400)의 회동에 간섭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힌지(500) 및 힌지너클(410), 힌지통(310) 등은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개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하면, 본체와 상기 플립의 개방각은 다시 150도 내외의 초기 개방 각도로 복귀하여 1차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플립의 2차 회동은 캠이 슬라이더홈과 완전히 맞물린 상태보다는 30도 정도만큼 덜 회전을 하게되지만, 상기 캠이 상기 슬라이더홈과 진입한 상태이므로, 2차 회동된 플립은 배터리팩에 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the flip 400 is first opened and fixed around 150 degrees, and an additional force is applied, the stopper 415 formed at the front of the flip 400 is the battery pack 303. ) Is rotated back and forth around 150 degrees until it stops, and the flipped flip 40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mounting place to serve as a holder. 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part that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of the flip 400, the hinge 500, the hinge knuckle 410, the hinge barrel 310, etc. are not damaged. In addition,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ing direction in the above state, the opening angle of the main body and the flip is returned to the initial opening angle of about 150 degrees to maintain the primary opening state. Here, the second rotation of the flip is rotated by about 30 degrees less than the cam is completely engaged with the slider groove, but since the cam enters the slider groove, the second rotated flip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pack. Will be able to maintain.

또한, 상기 플립은 꼭 폴더 타입의 단말기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요즈음 많이 사용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나 PDA단말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ip is not only applicable to a folder-type terminal, but may also be applied to a slide-type terminal or a PDA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moun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는, 플립이 일정 각도로 개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와의 개방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부가적인 힘을 받으면, 플립이 배터리팩 후면에 닿을 때까지 개방되어 거치대 역할을 하여 책상이나 그 외의 장소에 세워두고 액정화면 또는 서브 액정화면을 좀 더 보기 좋은 각도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ip receives the additional force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opening angle with the main body in a state that the flip open at a certain angle, when the flip touches the back of the battery pack It opens up to serve as a cradle, so it can be used on a desk or other place and can easily be used at a better viewing angle.

Claims (5)

하단에 힌지(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통(310)과, 상기 힌지통(3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50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본체힌지홈(313)을 포함하는 본체(300)와;A hinge cylinder 310 formed to be coupled to the hinge 500 at the bottom, and the main body hinge groove 31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nge cylinder 310 is inserted into the hinge 500 is seated Main body 300; 상기 힌지(50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단말기(100)의 거치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배터리팩(303)의 배면까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500)와 결합되는 부분이 상기 본체(3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회동개구부(411)와, 상기 회동개구부(411)의 상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토퍼(415)와, 상기 회동개구부(411)의 양측에 상기 본체(300)의 힌지통(310)과 결합되는 두개의 힌지너클(410)과, 상기 힌지너클(410) 중 하나 이상에 내측방향으로 상기 힌지(500)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플립힌지홈(413)을 포함하는 플립(400)과;Rotating around the hinge 500 and open to the back of the battery pack 303 to serve as a cradle of the terminal 100, the portion coupled to the hinge 500 in the opening process is the main body ( Rotating opening portion 411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lower en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300, the stopper 415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n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opening 411, and the rotation opening of the 411 Two hinge knuckles 410 coupled to the hinge cylinder 310 of the main body 300 on both sides, and the flip formed to insert the hinge 500 in one or more of the hinge knuckles 410 inwardly A flip 400 including a hinge groove 413; 상기 본체힌지홈(313)에 삽입되는 본체삽입부(520)와, 상기 플립힌지홈(413)에 삽입되는 플립삽입부(510)를 포함하는 힌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And a hinge 500 including a body inserting portion 520 inserted into the body hinge groove 313 and a flip inserting portion 510 inserted into the flip hinge groove 41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mounting mea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립(400)은 개폐시 통화각도에서 일차적으로 정지하며,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부가적 힘을 받으면 상기 스토퍼(415)가 배터리팩(303)의 배면에 닿아 정지할 때까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The flip 400 stops primarily at the call angle during opening and closing, and when the additional force is applied in the open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flipper 415 rotates until the stopper 415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pack 303 and stop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oun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500)는, 안쪽면에 유선형 캠(511)을 구비하는 플립삽입부(510)와, 길이방향으로 내부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플립삽입부(510)와 결합되는 샤프트(530)와, 상기 샤프트(530)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스프링(540)과, 상기 스프링(540)과 상기 캠(51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5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캠(511)을 묻을 수 있도록 형성된 유선형 슬라이더홈(531)이 구비된 슬라이더(533)를 구비하는 본체삽입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The hinge 500 may include a flip insert 510 having a streamlined cam 511 at an inner side thereof, a shaft 530 coupled to the flip insert 510 through an inner cent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spring 540 positioned to surround the shaft 530, and positioned between the spring 540 and the cam 511 and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530, and may bury the cam 5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moun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ain body insertion portion 520 having a slider 533 provided with a streamlined slider groove (53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단말기(100)는 폴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The terminal 1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oun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r typ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단말기(100)는 슬라이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The terminal 1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oun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type.
KR1020030071996A 2003-10-16 2003-10-16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KR100560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996A KR100560921B1 (en) 2003-10-16 2003-10-16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996A KR100560921B1 (en) 2003-10-16 2003-10-16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49A KR20050036349A (en) 2005-04-20
KR100560921B1 true KR100560921B1 (en) 2006-03-14

Family

ID=3723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996A KR100560921B1 (en) 2003-10-16 2003-10-16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9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719A1 (en) * 2012-01-11 201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998B1 (en) * 2005-03-07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a combined Cradle and Cover
KR100702709B1 (en) 2006-04-11 2007-04-04 주식회사 엠투시스 Step hing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reof
KR100770829B1 (en) * 2006-05-0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 type mobile phone with self-cradling, sliding guide module thereof and mounting apparatus of sliding guide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719A1 (en) * 2012-01-11 201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US9019702B2 (en) 2012-01-11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349A (en)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566276B1 (en) Portable terminal and swing hinge module thereof
US8250712B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KR10084253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90356B1 (en) Rotary type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06011116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keys moved up/down by rotation
EP1528757A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640395B1 (en) Dual hinge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US7334296B2 (en)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4045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40342B1 (en) 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tep-compensated mechanism
US20110194268A1 (en) Sw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mechanism thereof
KR20050002460A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th sub housing stopper
KR100800711B1 (en) Free stop hinge unit for mobile phone
KR100560921B1 (en)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KR20060089303A (en) Mobile phone having outer dual liquid crystal display
US20050277435A1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50020327A1 (en) Speaker-up type portable terminal
KR10052652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data inputting expansion
KR100753061B1 (en) Sliding and Rotary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0371494B1 (en)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KR20030032223A (en) Foldertype cellular phone for opening cover completely
KR100690717B1 (en) Ratatable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45222B1 (en) Flip type lid of cellular phone
KR200385470Y1 (en) Slide hinge structure that rotate is form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