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494B1 -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 Google Patents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494B1
KR100371494B1 KR10-2000-0067820A KR20000067820A KR100371494B1 KR 100371494 B1 KR100371494 B1 KR 100371494B1 KR 20000067820 A KR20000067820 A KR 20000067820A KR 100371494 B1 KR100371494 B1 KR 100371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center
case
support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37886A (en
Inventor
홍성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성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성인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494B1/en
Publication of KR2002003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4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를 반전시켜 하나의 액정화면을 내측을 향한채 닫거나, 외측을 향한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이동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중에 폴더를 열지 않고도 액정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folder to be inverted by inverting a folder so that one LCD screen can be closed inward or outward, so that a folder can be inverted so that the LCD screen can be checked without opening a folder without using a mobile phone. It's about the phone.

본 발명은, 입력키(12)가 구비되면서 전화기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10)와, 일면에 액정화면(32)이 구비되면서 상기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폴더(30)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30)의 일단부에 지지축(34)이 갖추어지고, 이 지지축(34)의 단부에 회전중심체(60)가 갖추어지며,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중심체(6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14)이 갖추어지고, 이 수용홈(14)의 상부에 상기 지지축(34)이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통공(16)이 갖추어진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스(10)의 수용홈(14)내에 상기 회전중심체(60)가 수용되어 상기 폴더(30)가 회전중심체(60)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하 개폐방향으로의 회전 및 좌우 반전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key 12 provided with a case 10 constituting a phone body and a folder 30 coupled to the case 10 while being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screen 32 on one surface thereof. In the mobile phone, a support shaft 3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older 30, and a rotation center 6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shaft 34, and at one side of the case 10, Equipped with a receiving groove 14 for rotatably accommodating the center of rotation (60), the upper guide hole 16 is provided with a support shaft 3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34) Since the rotary core 6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14 of the case 10, the folder 30 rotates in the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rotary center 60 in the vertical direction. Allow rot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Description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본 발명은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를 반전시켜 하나의 액정화면을 내측을 향한채 닫거나, 외측을 향한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이동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중에 폴더를 열지 않고도 액정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folders, and in particular, to reverse a folder so that one LCD screen can be closed inward or outward, so that a liquid crystal can be opened without using a folder while the mobile phone is not in use. It's about a mobile phone that can flip a folder so you can see the screen.

통상적으로 휴대폰, 셀룰러폰, PCS폰, 개인 휴대 전화, 무선 단말기 등으로 불리우는 이동 전화기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을 접속하기도 하는 등, 일상생활에서늘 가까이 하게 되는 편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Mobile phones, commonly referred to as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PCS phones, personal mobile phones, and wireless terminals, can carry voice calls or send and receive text messages with the other person while carrying the individual, and can access the Internet. It is a convenient mobile terminal that is always near in life.

이러한 이동 전화기는 일상생활에서 늘 휴대하고 다니면서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면서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These mobile phones have been developed in a form that allows them to be portable and used for more convenient and versatile purposes because they are frequently carried and used frequently in everyday life.

이와 같은 사용자 편의에 맞추어 종래에 채용하고 있는 기술 중 하나로서는, 흔히 듀얼 폴더라고 말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의 듀얼 폴더는 폴더의 바깥쪽에도 액정화면을 갖추고 있는 것을 일컫는다.As one of the techniques conventionally employed for the user's convenience, it is commonly known to say a dual folder, and the dual folder refers to having an LCD screen on the outer side of the folder.

이러한 종래의 듀얼 폴더는 폴더의 양면에 액정화면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수신 대기 상태에서 폴더를 열지 않고도 액정화면이 보이므로 날짜, 시간, 문자메시지 등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으나, 액정화면을 양쪽에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폴더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결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dual folder has an LCD screen on both sides of the fold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such as date, time, text message, etc. because the user can see the LCD screen without opening the folder in the standby state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mobile phone. However, the user's convenience is provided, but the thickness of the folder is increased by providing the LCD screen on both sides.

또한, 상술한 듀얼 폴더 형식은 사용자의 의지에 관계없이 액정화면이 언제나 폴더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음으로 해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환경 등에 반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다소 활동적인 작업을 수행할 경우 등, 액정화면이 주변에 부딪혀 파손될 것이 염려되어도 액정화면을 그대로 노출시켜 놓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공된 것이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이나 부담으로 되돌아 오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ual folder format may be contrary to the user's taste or usage environment because the LCD screen is always exposed to the folder surface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For example, if the LCD screen is hit by the surroundings and is likely to be damaged, such as when performing a somewhat active task, the LCD screen must be exposed as it is. Therefore, what is provided for the user's convenience returns to inconvenience or burden to the user. There is an absurdity that come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에 하나의 액정화면만을 구비하여 폴더 두께를 얇게할 수 있으면서, 폴더를 회전시켜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액정화면을 안쪽으로 하여 닫아 놓아 액정화면을 보호할 수도 있고, 액정화면을 바깥쪽으로 하여 닫아 놓아 휴대시에도 액정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er with only one LCD screen so that the folder thickness can be reduced and the folder can be rotated to close the user's taste or use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LCD screen by closing the LCD screen inward, and to provide a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a folder so that the LCD screen can be checked even when carrying by closing the LCD screen outw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전체 외부형상을 폴더가 닫힌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external shape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folder clos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전체 외부 형상을 폴더가 열린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outer shap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folder ope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전체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entire component of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부커버의 저면 사시도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ver shown in FIG.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중심체 및 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Figure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center and the f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중심체와 폴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 center and the f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이동전화기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 2의 분할면(PL)에 따른 평단면도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according to the divided plane PL of Figure 2 in a mobile phon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 도 6a에서 폴더와 회전중심체가 우측방향으로 90도 각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6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and a rotation center are rotated 90 degrees in a right direction in FIG. 6A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측단면도로서, 액정화면을 내측으로 향하여 폴더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7A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is closed with the LCD screen inward;

도 7b는 도 7a에서 폴더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7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is opened in FIG. 7A

도 7c는 도 7b에서 폴더를 우측방향으로 180도 각도 회전시켜 액정화면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7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CD screen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rotating the folder 180 degrees to the right in FIG. 7B.

도 7d는 도 7c에서 폴더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7D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older in FIG. 7C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중심체와 탄성가압체 및 회전중심체의 턱부의 작용을 나타내기위하여 도 5b의 "A"방향에서 바라 본 요부 측면도로서, 상부의 도면은 평탄부에 2개의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의 회전중심체에서 우하측의 턱부가 아래측의 탄성가압체에 걸려 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하부의 도면은 상부의 도면에서 회전중심체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좌상측의 턱부가 반대측 위쪽의 탄성가압체에 걸려 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viewed from the "A" direction of Figure 5b to show the a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elastic pressure member and the center of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view is formed with two jaws in the flat portion The lower right jaw is caught by the elastic pressurizing body at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central body on the one side, and the lower figure is the upper left jaw when the rotating cent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upper drawing. Drawing showing the state where the part is caught by the elastic presser on the opposite sid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에서 액정화면을 바깥으로 하여 폴더를 닫은 상태로 사용자가 목에 걸고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hangs his neck around a folder with the LCD screen outward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2: 전선 10 : 케이스2: wire 10: case

10a : 하부 케이스 10b : 상부 케이스10a: lower case 10b: upper case

12 : 입력키 14 : 수용홈12: input key 14: receiving groove

16 : 안내통공 18 : 전선통과공16: guide hole 18: wire through hole

20a,20b : 수용부 22 : 안내돌기20a, 20b: accommodating part 22: guide protrusion

30 : 폴더 32 : 액정화면30: folder 32: LCD screen

34 : 지지축 36 : 환체34: support shaft 36: ring

38 : 축공 40 : 관통공38: shaft hole 40: through hole

50 : 배터리 60 : 회전중심체50: battery 60: rotation center

62 : 제1회전중심체 64 : 제2회전중심체62: first rotating core 64: second rotating core

66 : 결합축 68 : 축66: coupling axis 68: axis

70 : 평탄부 72 : 요홈70: flat part 72: groove

74a,74b : 턱부 80 : 탄성가압체74a, 74b: jaw portion 80: elastic pressing body

82 : 스프링 84 : 플런저82: spring 84: plunger

d : 틈새 X : 지지축 축선d: clearance X: support shaft axi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는, 입력키가 구비되면서 전화기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와, 일면에 액정화면이 구비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폴더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의 일단부에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의 단부에는 구형상의 회전중심체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중심체가 전후좌우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수용홈 상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전,후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통과되는 안내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a f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comprising an input key and a case constituting the phone body, and a folder coupled to the case so as to be openable and openable on one surface thereof. In the telephone, the support shaf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older, the end of the support shaft is provided with a spherical rotation center, and at one side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body is rotatably received.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ase, the support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that is passed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수용홈내에 상기 회전중심체가 수용되어 상기 폴더가 회전중심체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하 개폐방향으로의 회전 및 좌우 반전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cent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ase so that the folder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revers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center.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9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to 9.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기는 케이스(10)와 폴더(30)를 갖추고 있는 바, 상기 케이스(10)는 전화기 몸체를 이루면서, 아래쪽에는 배터리(50)가 장착되고 위쪽에는 입력키(12)가 갖추어진다. 상기 폴더(30)는 상기 케이스(10)에 개폐자재하게 연결되면서 그 일면에 액정화면(32)이 구비된다.As shown, the mobile phone is provided with a case 10 and a folder 30. The case 10 forms a phone body, and a battery 50 is mount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an input key 12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thereof. Lose. The folder 30 is connected to the case 10 in an open and closed manner, and a liquid crystal screen 32 is provided on one surface thereof.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는, 상기 폴더(30)의 일단부에 지지축(34)이 갖추어지고, 이 지지축(34)의 단부에는 회전중심체(60)가 갖추어지며,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중심체(60)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14)이 갖추어진다.In particular, in the mobile phone capable of reversing fol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shaft 3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older 30, and a rotation center 6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shaft 34. One side of the case 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4 for rotatably receiving the rotation center body 60.

상기 회전중심체(60)는 상기 수용홈(14)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상기 수용홈(14)측에는 폴더(30)의 개폐방향으로 안내통공(16)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34)이 회전중심체(60)를 중심으로 안내통공(16) 내에서 상하회전하여 개폐동작되도록 하고, 지지축(34)이 회전중심체(60)와 함께 좌우로 회전하여 폴더(30)에 구비된 액정화면(32)을 반전시켜 여닫을 수 있게 구성된다.The rotating center body 6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the receiving groove 14 side is formed with a guide through-hole 16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30, the support shaft 34 ) Rotates up and down in the guide hole 16 around the rotation center 60 to open and close, and the support shaft 34 rotates left and right with the rotation center 60 to provide the liquid crystal in the folder 30. The screen 32 is configured to be inverted and opened.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중심체(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을 이루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홈(14)도 구형을 이룬다.Preferably, the rotation center 60 is spherical as shown, a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14 is also spherical.

이와 같이, 상기 회전중심체(60)와 수용홈(14)은 원활한 작동성과 제조의 편리성에 비추어 구형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회전중심체(60)는 예컨대, 구체의 외부에 작은 평탄부가 조밀하게 형성된 형태이거나, 다각형으로 된 형태를취할 수도 있는 등, 회전중심체(60)가 수용홈(14) 내에서 전후좌우 회전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그 형태를 달리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용홈(14)도 회전중심체(60)위 회전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구형 뿐만이 아니라 예컨대, 타원형을 이루어 상기 회전중심체(60)가 타원의 중앙에서 회전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적용 가능하다.As such, the rotational core 60 and the receiving groove 14 may be said to have the most preferable sphere in view of smooth operability and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r may take the form of a polygon, such that the center of rotation 60 in the receiving groove 14 can be configured to vary its shape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rotated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Further, the receiving groove 14 also has a variety of forms, such as not only spherical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rotated on the rotation center 60, for example, to form an ellipse to maintain the rotation center 60 in the center of the ellipse. It can be modified and appl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10)는 배터리(50)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스(10a)와, 입력키(12)가 구비되는 상부케이스(10b)로 2분할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의 하부케이스(10a)와 상부케이스(10b)는 그의 분할면(PL)이 상기 수용홈(14)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즉, 수용홈(14)이 하부케이스(10a)와 상부케이스(10b)에 각각 절반씩 형성되어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중심체(60)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10 is divided into a lower case 10a on which the battery 50 is mounted and an upper case 10b on which the input key 12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 case 10a and the upper case 10b thereof are formed such that the split surface PL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14. That is, the receiving groove 14 is formed in each of the lower case (10a) and the upper case (10b) each half, so that the assembly of the rotation center (60) can be made easily.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용홈(14)을 분할하지 않고 상기 회전중심체(60)와 케이스(10)를 동시에 사출성형하는 것이나, 혹은 케이스(10)에 구멍을 형성하고, 회전중심체(60)를 삽입시켜 열을 가한 후, 구멍의 입구를 압착하는 등의 방법을 전혀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jection molding the rotary core 60 and the case 10 at the same time without dividing the receiving groove 14, or forming a hole in the case 10, and inserts the rotary core 60 After the heat is applied, the method of crimping the entrance of the hole is not excluded at al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중심체(60)는 상기 폴더(30)측의 지지축(3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마련된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center 60 is not integrally formed on the support shaft 34 on the side of the folder 30 is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특히, 도 3,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중심체(60)는 그중간에 상기 지지축(34)이 회동되는 틈새(d)를 유지하면서 절반으로 분할되어 제1회전중심체(62)와 제2회전중심체(64)를 이루며, 분할된 제1회전중심체(62)와 제2회전중심체(64)의 중심은 결합축(66)으로써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결합축(66)을 제2회전중심체(64)에 형성하고, 제1회전중심체(62)의 중심으부터는 결합축(66) 구멍(66a)에 삽입되는 축(68)을 마련한 구조로 되어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3, 5A and 5B, the rotation center 60 is divided in half while maintaining the clearance (d) in which the support shaft 34 is rotated therebetween, so that the first rotation center body 62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 64, the center of the divided first rotation center 62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 64 is detachably coupled by the coupling shaft (66).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upling shaft 66 is formed in the second rotational core 64, and the shaft 68 inserted into the coupling shaft 66 hole 66a is formed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rotational core 62. It is arranged.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반으로 나뉘어진 일측의 회전중심체에는 결합축(66)을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회전중심체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혹은 결합축(66)을 별도로 마련하고 제1,2회전중심체(62)(64)의 중심에는 각각 구멍을 형성하여 별도로 마련된 결합축(66)을 제1,2회전중심체(62)(64)의 중심 구멍에 끼워 조립할 수도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Alterna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haft 6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al core divided in half, and the other rotational core may form a hol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or the coupling shaft 66 may be separately provided. A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s 62 and 64 so that the coupling shaft 66 provided separately may be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of the first and the second rotation centers 62 and 64 to be assembled. I never do that.

그리고, 상기 폴더(30)의 지지축(34) 단부에는 상기 결합축(66)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환체(36)를 형성하여서, 이의 환체(36)가 갖는 구멍(36a)을 통하여 상기 결합축(6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is formed with an annular body 36 rotatably fitted to the coupling shaft 66, and through the hole 36a of the annular body 36. The coupling shaft 66 is rotatably coupled.

이로써, 폴더(30)를 개폐할 시에는 상기 회전중심체(60)의 회전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환체(36)가 결합축(66)상을 회전할 수 있으며, 폴더(3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만 비로소 회전중심체(60)가 강제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us,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folder 30, the ring body 36 may rotate on the coupling shaft 66, regardless of whether the rotary center 60 is rotated, and rotates the folder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ly when making the rotation, the center of rotation 60 is forcibly rotated.

이러한 구성은 회전중심체(60)가 필요 없는 접동을 많이 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후술하겠지만, 케이스(10)와 폴더(30)의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을 용이하게 연결하고, 전선을 연결하고도 폴더(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폴더(30)가 회전할 시 가급적 전선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기초적 역할을 한다.Such a configuration prevents the rotation center 60 from making a lot of unnecessary sliding, and will be described later, but easily connects a wire for transmitting power and a signal of the case 10 and the folder 30 and connects the wire. And while allowing the rotation of the folder 30, the folder 30 plays a basic role of preventing the wire from being twist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하부케이스(10a)와 상부케이스(10b)를 연결하는 전선(2)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하면서 회전중심체(60)를 회전시키더라도 전선(2)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바람직한 전선(2) 연결구조를 특히 도 3, 및 도 7a 내지 도 7d에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2 is twisted even if the rotation center 60 is rotated while more easily connecting the wire (2) connecting the lower case (10a) and the upper case (10b). The preferred wire 2 connection structure is shown in detail in Figures 3 and 7A-7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측으로부터 상기 폴더(30)측으로 전선(2)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폴더(30)의 지지축(34) 내부에 상기 폴더(30)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38)이 형성되고, 지지축(34) 외측으로부터 축공(38)을 관통하는 관통공(40)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제1,2회전중심체(62)(64) 사이의 틈새(d)와 연통되는 전선통과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측으로부터의 전선(2)이 상기 전선통과공(18)을 통하여 수용홈(14)내로 연장되면서 제1,2회전중심체(62)(64)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d), 지지축(34)의 관통공(40), 그리고 축공(38)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폴더(30) 내측으로 연결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wires 2 from the case 10 side to the folder 30 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folder 30 inside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The shaft hole 38 is formed, and the through hole 40 penetrating the shaft hole 38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shaft 34 is formed, and the case 10 has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 bodies 62 and 64. Wire passing hole 18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gap (d) between. A gap d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 bodies 62 and 64 while the wire 2 from the case 10 side extends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through the wire through hole 18. The through hole 40 and the shaft hole 38 of the support shaft 34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older 30.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더(30)의 개폐방향에 직교하여서 상기 회전중심체(60)의 양면 즉, 제1,2회전중심체(62)(64)의 외측에 평탄부(70)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는 그의 수용홈(14)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평탄부(70)를 탄발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체(80)를 구비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portion 7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center body 60, that is,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 bodies 62 and 64 orthogonal to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30. Both sides of the case 10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pressing body 80 which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to press the flat portion 70 elastically.

이와 같이, 회전중심체(60) 양측 평탄부(70)를 각 탄성가압체(80)가 서로 대항하여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해당 가압력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만 회전중심체(6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회전중심체(60)의 좌우방향 흔들림이 방지되어 폴더(30)의 상하 개폐동작이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폴더(30)가 개폐도중에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좌우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by pressing the flat portion 70 of both sides of the rotational core 60 elastically against the elastic pressing body 80, the rotational core 60 can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ly when a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Will be.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rotation center body 60 are prevent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older 30 can be more stably and accurately performed. In particular, the folder 30 is arbitrarily rotated left and right against the user's intention during opening and closing. Can be prevented.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가압체(80)는 스프링(82)과, 이 스프링(82)에 탄력지지되어 상기 회전중심체(60)의 평탄부(70)에 접촉하는 플런저(8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10a)와 상부케이스(10b)의 분할면(PL)에서 각 케이스(10a)(10b)에 절반씩의 수용부(20a)(20b)를 마련하여 이에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lastic pressurizer 80 is composed of a spring 82 and a plunger 84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82 to contact the flat portion 70 of the rotation center body 60. In the divided surface PL of the lower case 10a and the upper case 10b, half receiving parts 20a and 20b are provided in each case 10a and 10b to be installed thereon.

또한, 상기 탄성가압체(80)는 회전중심체(60)가 제1,2회전중심체(62)(64)로 분할된 경우, 제1,2회전중심체(62)(64) 사이의 틈새(d)에 끼이지 않도록 그의 직경이 상기 틈새(d)보다 크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elastic pressing body 80 is a gap 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s 62 and 64 when the rotation center 60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s 62 and 64. Its diameter is made larger than the gap d so as not to get caught i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10)의 수용홈(14)으로부터 안내돌기(22)를 형성하고, 상기 제1,2회전중심체(62)(64)의 외주둘레로는 상기 폴더(3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지지축(34)의 축선(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내돌기(22)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요홈(72)을 형성한다. 상기 안내돌기(22)와 요홈(72)의 결합에 의하여 제1,2회전중심체(62)(64)는 폴더(10) 개폐시에는 회전하지 않고, 폴더(10)가 좌우방향으로의 회전할 때만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더불어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만 회전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rotrusion 22 is form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4 of the case 10, and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enters 62 and 64 is the folder 30. In the fully open state, a groove 72 is formed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22 is slidably inser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X of the support shaft 34. By the coupling of the guide protrusion 22 and the groove 72,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enters 62 and 64 do not rotate when the folder 10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folder 10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ly when it is possible to rotate, and also the folder 30 can be rotated only in a fully open state.

그리고, 상기 양측의 탄성가압체(80)는 폴더(30)가 완전 개방된 위치에서 회전중심체(60)의 중심과 지지축(34)의 축선(X)을 연결하는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되, 회전중심체(6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대칭을 이루는 위치로 서로 이격(離隔)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체(60)의 평탄부(70)중 일측에는 각각 양측의 탄성가압체(80)의 측면에 걸려 회전저지되도록 하는 2개의 턱부(74a)(74b)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lastic pressing members 80 on both sides are disposed on the same axi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otation center 60 and the axis X of the support shaft 34 in a fully open position of the folder 30, It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osition symmetrical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center 60, and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70 of the rotation center 60, respectively, the elastic pressing body (80) on both sides Two jaws (74a, 74b) are formed to be caught on the side of the rotation stop.

상기 턱부(74a)(74b)는 제1,2회전중심체(62)(64)의 표면 중 탄성가압체(80)의 측면에 닿는 부분을 제외하고 평탄부(70)를 형성함으로써 이의 제외된 부분과 평탄부(70)의 높이 차이로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데, 특히 도 7c, 7d,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30)의 지지축(34)이 이루는 중심 축선(X)과 회전중심체(60)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즉, 회전중심체의 회전 중심 축선에서 대각방향으로 대칭을 이루어서 양측 탄성가압체(80)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형성된다.The jaw portions 74a and 74b are excluded by forming the flat portion 70 except for the portions of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core bodies 62 and 64 that contact the side surfaces of the elastic pressurizer 80. And the stepped portion is form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lat portion 70, an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7C, 7D and 8, the central axis X formed by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and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otation center 60, that is, symmetrical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rotation center body is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both elastic pressing body (8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턱부(74a)(74b)는 회전중심체(60) 양측에 형성된 평탄부(70)중 일측의 평탄부(70) 즉, 회전중심체(60)가 제1,2 회전중심체(62)(64)로 나뉘어진 경우에는 둘중 하나의 회전중심체에만 모두 형성되어야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회전중심체(62)에 형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jaw portions 74a and 74b are the flat portions 70 on one side of the flat portions 7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center body 60, that is, the rotation center body 60 is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 bodies 62. (64), both should be formed only in one of the rotating core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rotary center 62 is formed.

특히, 도 8을 참조하면, 폴더(30)를 반전시키고자 하여 회전중심체(60)를 회전시킬 경우, 상부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아래측의 턱부(74a)가 아래측의 탄성가압체(80, 실선의 원으로 도시됨)에 걸려 좌측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고 우측 즉,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ure 8, when rotating the rotation center body 60 to invert the folder 30, as shown i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jaw portion 74a is the lower elastic pressing body ( 80, shown as a solid circle, may not rotate to the left, but may rotate only to the right,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solid arrow.

이와 같이 회전중심체(60)가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 아래측의 턱부(74a)는 점선의 원으로 도시된 반대측 위쪽의 탄성가압체(80)에 걸리지 않게 되나, 180도 각도를 넘자 마자 하부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위쪽의 턱부(74b)가 점선의 탄성가압체(80)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중심체(60)가 회전되어 온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만 즉, 하부의 도면에서 점선의 화살표 방향인 좌측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다. 하부의 도면에서 회전중심체(60)를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회전이 180도 각도를 넘게 되면, 다시 상부에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아래쪽의 턱부(74a)가 앞쪽의 실선상의 탄성가압체(80)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함으로써 회전중심체(60) 및 폴더(30)가 계속하여 같은 방향으로 반바퀴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rotation center body 60 rotates to the right side, the lower jaw portion 74a is not caught by the elastic pressing body 80 on the opposite side shown by the dotted line circle, but is shown at the lower side as soon as it crosses the 180 degree ang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jaw portion 74b is no longer rotated by being caught by the elastic pressurizer 80 in a dotted line.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rotate only in the direction of return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body 60 is rotated, i.e., only to the left,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the dotted line in the lower figure. In the lower drawing, when the rotational core 6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otted arrow, and the rotation exceeds an angle of 180 degrees, as shown in the upper drawing, the lower jaw portion 74a is in front of the solid line elastic pressure body. The rotational core 60 and the folder 30 cannot continue to rotate more than half a turn in the same direction by being caught by 80 and no longer rotated.

바람직하게 상기 턱부(74a)(74b)는 상기 회전중심체(60)가 적어도 180도 각도 이상 회전될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폴더(30)가 덜 회전하는 현상이 없으므로 케이스(10)에 잘 안착되어 닫힐 수 있으며, 많아야 190도 각도를 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폴더(30)의 개폐동작이 안정적이다.Preferably, the jaw portions 74a and 74b should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rotational core 60 can be rotated by at least 180 degrees or more so that the folder 30 is not rotated les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older 30 should be stable at most at a position not exceeding an angle of 190 degrees.

상기 회전중심체(60)가 190도 각도 이상 회전될 수 있으면, 제1,2회전중심체(62)(64)가 이루는 틈새(d)와 케이스(10)의 안내통공(16)이 정렬되지 않고 많이 어긋나게 되어 폴더(30)를 다시 닫을 때 회전중심체(60)를 강제로 회전시키려는 힘에 의하여 폴더(30)의 지지축(34)과 안내통공(16)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며, 360도 각도 정도에 근접할 정도로 회전중심체(60)가 회전되면 폴더(30)를 닫기 전에 미리 정상적인 위치로 회전시켜 놓지 않고서는 폴더(30)를 닫기가 매우 어려워 진다. 즉, 폴더(30)가 더 많이 회전되어 틈새(d)와 안내통공(16)이 많이 어긋난 상태에서 그대로 폴더(30)를 닫으려고 하면 어긋난 틈새(d)와 안내통공(16)이 일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중심체(60)와 폴더(30)가 회전되면서 닫히기 때문에 그 반발력에 의하여 폴더(30)의 지지축(34)이 안내통공(16)의 측벽에 밀착되면서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When the rotational core 60 can be rotated by more than 190 degrees, the clearance d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cores 62 and 64 and the guide hole 16 of the case 10 are not aligned. When it is displaced and closes the folder 30 again,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shaft 34 and the guide through hole 16 of the folder 30 by the force forc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al core 60. When the rotational core 60 is rotated to a degree close enough,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close the folder 30 without rotating the folder 30 to its normal position in advance. That is, when the folder 30 is rotated more and tries to close the folder 30 as it is while the gap (d) and the guide hole (16) are displaced mu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p (d) and the guide hole (16) are misaligned is the same. As the rotation center 60 and the folder 30 is closed while being rotated,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guide hole 16 by the repulsive force, causing friction.

상기 회전중심체(60)의 회전범위를 180도 각도로 정확하게 유지하려면 2개의 턱부(74a)(74b)의 측면을 각각 양측 탄성가압체(80)의 측면에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며, 탄성가압체(80)의 측면으로부터 턱부(74a)(74b)가 멀어지는 위치에 있을수록 회전중심체(60)의 회전범위가 180도 각도를 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턱부(74a)(74b)와 탄성가압체(80) 사이에 약간의 틈새를 주어 회전각이 180도 각도를 약간 넘게한다.In order to accurately maintain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center 60 at an angle of 180 degrees, it is possible to form the sides of the two jaw portions 74a and 74b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ides of both elastic pressurizers 80, respectively, As the jaw portions 74a and 74b are located farther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80,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center body 60 exceeds 180 degrees. Preferably, a slight gap is provided between the jaw portions 74a and 74b and the elastic pressurizer 80 so that the rotation angle slightly exceeds 180 degree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는, 정상적인 사용상태에서는 액정화면(32)을 내측으로 하여 폴더(30)를 상하 방향으로 여닫으면서 사용하게 되고, 다르게는 폴더(3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액정화면(32)을 폴더(30)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the f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used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folder 3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the LCD screen 32 inward in a normal use state, otherwise the folder 30 is used. The LCD screen 32 may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ace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folder 30.

도 7a 및 도 7b를 기본 도면으로 하면서 나머지 도면을 부가적으로 참조하면, 이동 전화기의 사용을 위하여 폴더(30)를 개방시키면, 폴더(30)는 그지지축(34) 단부에 형성된 환체(36)가 제1,2회전중심체(62)(64)의 중심을 연결하는 결합축(66)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한다. 이때 회전중심체(60) 즉, 제1,2회전중심체(62)(64)는 그 외주 둘레로 형성된 요홈(72)과 수용홈(14)으로부터 돌출된 안내돌기(22)가 결합되어 있어 폴더(30)의 개폐동작시에는 회전하지 않게 되며, 개폐 도중에 폴더(3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여도 상기 요홈(72)은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지지축(34)의 축선(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된 지점에 이르지 않은 중간부분에서는 폴더(30) 및 지지축(34)의 회전방향과 요홈(72)의 형성방향이 어긋나기 때문에 회전중심체(60)를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폴더(30)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는다.7A and 7B, with reference to the remaining figures, the opening of the folder 30 for use of the mobile phone, the folder 30 is formed of the annulus 36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shaft 34 thereof. Is rotated upward about the coupling shaft 66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 body (62, 64). At this time, the rotational core 6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cores 62 and 64 are coupled to the grooves 72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guide protrusions 22 protruding from the accommodation grooves 14 so that the folder ( 30 is not rotated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even when the folder 30 is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uring opening and closing, the recess 72 has the axis of the support shaft 34 at a position where the folder 30 is completely opened. Since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X),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older 30 and the support shaft 34 and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roove 72 are shift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where the folder 30 does not reach the fully opened point. Therefore, since the rotation center 60 cannot be rotated, the folder 30 is not rotated from side to side.

나아가, 회전중심체(60)의 양측에 형성된 평탄부(70)를 탄성가압체(80)가 탄력적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회전중심체(60)의 좌우방향 흔들림도 없어 폴더(30)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Furthermore, since the elastic pressurizer 80 elastically presses the flat portion 7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al core 60,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older 30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the left and right shaking of the rotational core 60. Is done.

상기와 같이 이동 전화기를 사용한 후, 액정화면(32)을 바깥으로 향하게 하여 닫아 놓고자 하는 동작으로는, 먼저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되었는가를 확인한다.After using the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as an operation to close the liquid crystal display 32 facing outward, it is first checked whether the folder 30 is completely opened.

상기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폴더(30) 및 지지축(34)의 회전 중심 축선(X)과 요홈(72) 및 안내돌기(22)의 회전 중심축이 일치하게 되므로 회전중심체(6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도 7b).When the folder 30 is completely opened, the rotation center axis X of the folder 30 and the support shaft 34 and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groove 72 and the guide protrusion 22 coincide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center body 60 can be rotated (FIG. 7B).

이와 같이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폴더(30)를 좌,우 양측으로회전시켜 보면 폴더(30)의 지지축(34) 및 그의 환체(36)에 의하여 회전중심체(60)를 회전시키려고 하는데, 이의 회전중심체(60)는 그 양측방에 평탄부(70)가 형성되면서, 평탄부(70)중 하나에 2개의 턱부(74a)(7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턱부(74a)(74b)중 하나가 양측 탄성가압체(80)중 하나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을 저지하고 있으므로, 폴더(30)를 좌우 양측으로 돌리려다 보면 일측의 탄성가압체(80)와 턱부에 의하여 저지된 방향으로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반대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folder 30 is rotat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while the folder 30 is completely open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center 60 is rotated by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and its annulus 36. While the rotational core 60 has a flat portion 70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wo jaw portions 74a and 74b are formed on one of the flat portions 70, and the jaw portion 74a is formed. Since one of the 74b contacts the side of one of the elastic presses 80 on both sides to stop the rotation, when the folder 30 is turn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blocked by the elastic press 80 on one side and the jaw. The rotation is not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but only in the opposite direction.

따라서, 회전이 가능한 방향으로 폴더(30)를 회전시키면 폴더(30)의 지지축에 의하여 회전중심체(6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중심체(60)는 상기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되어서 폴더(30)의 회전 중심 축선(X)과 회전중심체(60)측 요홈(72)의 회전중심이 일치하고 있으므로 회전중심체(60)의 요홈(72)이 안내돌기(22)를 슬라이딩 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회전중심체(60)의 양측 평탄부(70)를 가압하고 있던 탄성가압체(80)도 평탄부(70)의 회전에 의하여 후퇴되면서 즉, 플런저(84)가 스프링(82)을 압축시키면서 후퇴하여 회전중심체(60)의 회전이 진행된다.Therefore, when the folder 30 is rota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rotation center body 60 rotates by the support shaft of the folder 30. The rotational core 60 has the folder 30 fully open, so that the rotational center axis X of the folder 30 and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groove 72 on the rotational center 60 coincide with each other. Rotation is made while the groove 72 slides the guide protrusion 22. In this case, the elastic pressing body 80 which has pressed the flat portions 70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center body 60 is also retracted by the rotation of the flat portion 70, that is, the plunger 84 compresses the spring 82. While retreating while the rotation center 60 rotates.

여기서, 회전중심체(60)가 제1,2회전중심체(62)(64)로 분할된 형태인 경우, 이의 회전중심체(60)가 대략 90도 각도 정도 회전하게 되면, 제1,2회전중심체(62)(64) 사이의 틈새(d)와 탄성가압체(80) 즉, 플런저(84)가 만나게 되는데, 이의 탄성가압체(80)의 플런저(84)의 직경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서 상기 틈새(d) 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틈새(d) 부분이 탄성가압체(80)를 만나더라도 별 무리없이 회전될 수 있다.Here, when the rotation center 6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s 62 and 64, when the rotation center 60 rotates about 90 degrees,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s ( The gap d between the 62 and 64 and the elastic pressurizer 80, that is, the plunger 84 meet, and the diameter of the plunger 84 of the elastic pressurizer 80 depends on the preferred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ap d is larger than the gap d, the gap d may be rotated without any difficulty even if the gap d meets the elastic pressurizer 80.

다음, 도 7c를 참조하여, 상기 폴더(30)와 회전중심체(60)의 회전이 180도 각도를 넘게 되면, 회전중심체(60)의 평탄부(70)에 형성된 턱부(74a)(74b)중 폴더(30)가 회전하기 전에 먼저 반대측 탄성가압체(80)(도면상 가는 쇄선으로 도시한 아래쪽의 탄성가압체)에 접촉하고 있던 턱부(즉, 아래쪽의 턱부(74a))에 대하여 대각방향으로 있던 턱부(즉, 위쪽의 턱부(74b))가 앞쪽의 탄성가압체(80)(즉, 도면상 굵은 쇄선으로 도시된 위쪽의 탄성가압체)에 걸려 저지됨으로써 회전이 멈추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 7C, when the rotation of the folder 30 and the rotational core 60 exceeds an angle of 180 degrees, among the jaws 74a and 74b formed on the flat portion 70 of the rotational core 60. Before the folder 30 rotates, the jaw portion (that is, the lower jaw portion 74a)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elastic pressing member 80 (the lower elastic pressing member shown by a thin chain line on the drawing) is diagonally first. The jaw portion (that is, the upper jaw portion 74b) is stopped by being caught by the front elastic pressing body 80 (that is, the upper elastic pressing body shown by a thick chain line in the drawing).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폴더(30)를 닫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중심체(60)는 제자리에 있고, 폴더(30)의 지지축(34)이 회전중심체(60)의 결합축(66)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여 닫혀진다. 이로써 폴더(30)의 외측으로 액정화면(32)이 노출되게 된다.As shown in FIG. 7D, when the folder 30 is closed in the above state, the rotation center body 60 is in place as described above, and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is the rotation center body 60. It is closed by rotating downward about the coupling shaft 66. As a result, the LCD screen 3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lder 30.

이와 같이, 액정화면(32)을 노출시켜 사용하다가 다시 내측으로 향하게 할 경우에는, 폴더(30)를 개방시켜 도 7와 같은 상태로 유지한 다음, 앞서 도 7b에서 도 7c 상태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더(30)를 양쪽으로 돌려보면 회전중심체(60)의 턱부(74a,74b)와 탄성가압체(80)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한쪽으로는 회전이 되고 반대쪽으로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32 is exposed and used to be inward, the folder 30 is opened and maintained in the same state as in FIG. 7, and then rotated from FIG. 7B to FIG. 7C. As described, when the folder 30 is turned to both sides, it is rotated on one side by the locking action of the jaws 74a, 74b and the elastic pressurizer 80 of the rotation center 60, and the rotation is not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Do not.

회전이 이루어지는 쪽이 전에 도 7b에서 도 7c의 상태로 즉, 액정화면(32)이 내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바깥쪽을 향하도록 회전시켰던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이 된다. 결국, 도 7c의 상태에서 회전중심체(60)를 회전이 가능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아래측의 턱부(74b)가 탄성가압체(80, 굵은 쇄선의 원으로 도시됨)를 벗어나서 하향회전됨과 아울러, 위쪽의 턱부(74a)도 하향 회전게 되고, 대략 180도 정도 회전이 이루어질 때, 상기 위쪽의 턱부(74a)가 반대측의 탄성가압체(80,가는 쇄선의 원으로 도시됨)에 걸려 멈춰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폴더(30)를 닫으면 도 7a와 같이 액정화면(32)이 폴더(30) 내측으로 위치하게 된다.The rotation is ma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was made in the state of Fig. 7B to Fig. 7C, that is, the liquid crystal display 32 is turned inward while facing inward. As a result, when rotating the center of rotation 6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ure 7c, the lower jaw portion (74b) is rotated downward away from the elastic pressing body (80, shown in a thick chain) When the upper jaw portion 74a is also rotated downward, and the rotation is about 180 degrees, the upper jaw portion 74a is caught by the elastic pressing body 80 (shown by a thin chain circle) on the opposite side and stopped. do. When the folder 30 is closed in this state, the LCD screen 32 is positioned inside the folder 30 as shown in FIG. 7A.

상기와 같이 폴더(30)의 상하 개폐동작 및 좌우 회전동작시, 케이스(10)와 폴더(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2)의 상태를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ate of the wires 2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se 10 and the folder 30 during the vertical opening / closing operation and the left / right rotation operation of the folder 30 will be described.

앞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조의 설명부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폴더(30)를 연결하는 전선(2)은 케이스(10)측에 형성된 전선통과공(18)을 통하여 수용홈(14)내로 연장되고, 수용홈(14)내로 연장된 전선은 제1,2회전중심체(62)(64) 사이에 형성된 틈새(d)를 통하여 지지축(34)의 환체(36) 외측을 지나 지지축(34)에 형성된 관통공(40) 및 축공(38)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폴더(30)내측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s 2 connecting the case 10 and the folder 30 are wire passing holes 18 formed on the case 10 side. An extension of the support shaft 34 through the gap (d)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enters 62 and 64 extends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14. 36) It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older 30 via the through hole 40 and the shaft hole 38 formed in the support shaft 34 through the outside in order.

이러한 본 발명의 전선 연결구조는 회전중심체(60)를 제1,2회전중심체(62)(64)로 나누어 제1,2회전중심체(62)(64) 사이에 틈새(d)를 갖도록 하고 폴더(30)측의 지지축(34)과 케이스(10)측에 관통공(40)과 전선통과공(18)을 형성한 구조와, 폴더(30)가 상하 개폐동작할 때에는 회전중심체(6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 구조, 및 회전중심체(60)가 대략 180도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되도록 한 탄성가압체(80)와 턱부(74a)(74b) 구조 등의 복합적인구조에 의하여, 전선(2)의 연결이 용이하면서 꼬임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The wir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rotation center body 60 in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 bodies 62 and 64 so as to have a gap 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center bodies 62 and 64 and a folder. A structure in which the through hole 40 and the wire through hole 18 are formed on the support shaft 34 and the case 10 side on the side of 30, and when the folder 30 is opened and closed, the rotation core 60 By the complex structure such as the elastic pressure body 80 and the jaw portions 74a and 74b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body 60 is rotated within an angle range of approximately 180 degrees, the electric wire 2 ) Is easy to connect and prevents twisting.

먼저,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화면(32)이 내측을 향하여 폴더(30)가 닫혀 있을 때에는 폴더(30)의 지지축(34)에 형성된 관통공(40)이 아래를 향하게 되므로, 전선(2)은 이의 관통공(40)과 제1,2회전중심체(62)(64) 사이의 틈새(d) 공간을 통하여 케이스(10)측의 전선통과공(18)으로 굴곡지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7A, when the folder 30 is closed with the LCD screen 32 facing inward, the through hole 40 formed in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faces downward. The electric wire 2 is bent into the electric wire through hole 18 on the case 10 side through the space d between the through hole 40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enter bodies 62 and 64.

또한 상기한 상태에서 폴더(30)를 열게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4)의 관통공(40)이 위를 향하게 됨으로써, 전선(2)은 지지축(34)의 관통공(40) 위를 향하여 제1,2회전중심체(62)(64)의 틈새에서 지지축(34)의 환체(36) 위쪽 표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관통공(40)과 전선통과공(18)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folder 30 is opened in the above state, as shown in FIG. 7B, the through hole 40 of the support shaft 34 faces upwards, so that the wire 2 passes through the support shaft 34. 40, the through hole 40 and the wire through hole 18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nnular 36 of the support shaft 34 in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enter bodies 62 and 64. ) Keeps the bent state connecting.

다시 상기한 상태에서 폴더(30)를 좌우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4)의 관통공(40)은 아래를 향하게 되는데, 전선(2)은 자체적으로 180도 정도 비틀어지면서 다른 구성요소와 꼬이지 않고 회전중심체(60)를 따라 그대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folder 30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above state again, as shown in FIG. 7C, the through hole 40 of the support shaft 34 faces downward, and the wire 2 itself is about 180 degrees. Twisting and not twisted with other components to remain rotated intact along the center of rotation (60).

상기한 상태에서 폴더(30)를 닫게 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34)이 관통공(40)이 위를 향하게 되면서 전선(2)은 지지축(34)의 환체(36) 외주를 돌아 전선통과공(18)으로 굴곡되는 연결상태를 취하게 된다.When the folder 30 is closed in the above state, as shown in FIG. 7D, the support shaft 34 has the through hole 40 facing upward, and the wire 2 is the annulus 36 of the support shaft 34. The outer periphery is taken to be bent to the wire passing hole (18).

첨부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서 폴더(30)를 반전시켜 액정화면(32)을 노출시킨 상태로 이동 전화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Accompanying drawings, 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worn around the user's neck while the folder 30 is inverted and the LCD screen 32 is ex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동 전화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었을 때에도 종래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폴더(30)가 반전되면 액정화면(32)이 거꾸로 향하게 됨으로써 액정화면(32)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숫자들이 거꾸로 향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worn around the user's neck, the conventional convenience is provided. When the folder 30 is inverted, the LCD screen 32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letters and number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32 are reversed. Are turned upside down.

이로써 사용자가 한쪽 손을 사용하여 이동 전화기를 그대로 들어 올리면 사용자에게는 액정화면(32)상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숫자가 똑바로 보이게 됨으로써, 종래에 듀얼 폴더에서 문자, 숫자가 거꾸로 보임에 따라 이동 전화기를 돌려 보아야 하던 것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다.As a result, when the user lifts the mobile phone as it is using one hand, the user can see the letters and number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32 upright. Very convenient compared to what you had to se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에 의하면, 하나의 액정화면을 가지면서도 폴더를 반전시켜 액정화면을 보호하거나 외부로 노출시켜 닫을 수 있으므로, 종래에 2개의 액정화면을 갖추어야 하는 전화기에 비하여 폴더의 두께를 보다 얇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 상황에 따라서 폴더의 노출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fol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vert a folder while protecting a liquid crystal screen by inverting a folder while having a single liquid crystal screen, and thus having two liquid crystal screens in the related art. The thickness of the folder can be configured to be thinner than that of the phone, and in particular, the user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exposure of the folder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usage situation.

Claims (12)

입력키(12)가 구비되면서 전화기 몸체를 이루는 케이스(10)와, 일면에 액정화면(32)이 구비되면서 상기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폴더(30)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phone comprising an input key 12 is provided with a case 10 constituting the phone body, and a folder 30 is provided on one surface and coupled to the case 1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able. , 상기 폴더(30)의 일단부에 지지축(34)을 구비하고,The support shaft 3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older 30, 상기 지지축(34)의 단부에는 구형의 회전중심체(60)를 구비하며,The end of the support shaft 34 is provided with a spherical rotation center body 60,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중심체(60)가 전후좌우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14)을 구비하고,On one side of the case 10, the rotary center 6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4 which is rotatably accommodat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상기 케이스(10)의 수용홈(14) 상부에는, 상기 지지축(34)이 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전,후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통과되는 안내통공(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4 of the case 10, the support shaft 34 is rotatabl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guide through-hole 16 which is passed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Reversible mobile pho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10)는 배터리(50)가 장착되는 하부케이스(10a)와 입력키(12)가 구비되는 상부케이스(10b)로 2분할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케이스(10a)와 상부케이스(10b)의 분할면(PL)은 상기 수용홈(14)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수용홈(14)이 상기 하부케이스(10a)와 상부케이스(10b)에 각각 절반씩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중심체(60)의 조립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The case 10 is divided into a lower case 10a on which the battery 50 is mounted and an upper case 10b on which the input key 12 is provided, and the lower case 10a and the upper case 10b. By dividing the surface PL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14, so that the receiving groove 14 is formed in each of the lower case (10a) and the upper case (10b) by half,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the f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of the rotation center 60 is made smoothl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하부케이스(10a)와 상부케이스(10b)의 분할면(PL)은, 상기 폴더(30)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축(34)의 회전 축선(X)과 상기 회전중심체(60)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따라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The divided surface PL of the lower case 10a and the upper case 10b has a rotation axis X of the support shaft 34 and the rotation center when the folder 30 is in a fully open position. A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a folder,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along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6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중심체(60)는 폴더(30)의 지지축(34)과 별도로 마련되되, 이의 회전중심체(60)는 그 중간에 상기 지지축(34)이 회동되는 틈새(d)를 유지하면서 절반으로 분할되는 제1회전중심체(62)와 제2회전중심체(64)로 이루어지며, 분할된 제1회전중심체(62)와 제2회전중심체(64)의 중심은 결합축(66)으로써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폴더(30)의 지지축(34) 단부에는 환체(36)가 형성되어, 상기 환체(36)가 상기 결합축(6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The rotation center 6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the rotation center 60 thereof in half while maintaining a gap (d) in which the support shaft 34 is rotated in the middle thereof. It is composed of a first rotational core 62 and a second rotational core 64 that is divided, and the center of the divided first rotational center 62 and the second rotational center 64 is separable by the coupling shaft 66. And an annulus 36 is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so that the annulus 3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ngaging shaft 66. 2 mobile phones availabl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케이스(10)측으로부터 상기 폴더(30)측으로 전선(2)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폴더(30)의 지지축(34) 내부에 상기 폴더(30) 내부와 연통되는 축공(38)을 형성하고, 지지축(34) 외측으로부터 상기 축공(38)을 관통하는 관통공(40)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회전중심체(60)의 틈새(d)와 연통되는 전선통과공(18)을 형성하여서, 상기 케이스(10)측으로부터의 전선(2)이 상기 전선통과공(18)을 통하여 수용홈(14)내로 연장되면서 제1,2회전중심체(62)(64)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d), 지지축(34)의 관통공(40) 및 축공(38)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폴더(30)내측으로 연결되도록 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A shaft hole 38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wires 2 from the case 10 side to the folder 30 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folder 30 in the support shaft 34 of the folder 30. And a through hole 40 penetrating through the shaft hole 38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shaft 34, and the case 10 has a wir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gap d of the rotation center 60. The hole 18 is formed so that the electric wire 2 from the case 10 side extends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through the electric wire through hole 18,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enter bodies 62 and 64 are formed.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the f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older 30 via the gap (d)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 40 of the support shaft 34 and the shaft hole 38 in sequence.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폴더(30)의 개폐방향에 직교하는 회전중심체(60)의 양측에 평탄부(70)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0)에는 그의 수용홈(14)으로 돌출되어 상기 평탄부(70)를 탄발가압하는 탄성가압체(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Flat portions 7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al core 60 orthogonal to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folder 30, and the flat portion 70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in the case 10.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the f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pressing body (80) for the pressure sho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탄성가압체(80)는 스프링(82)과, 이 스프링(82)에 탄력지지되어 상기 회전중심체(60)의 평탄부(70)에 접촉하는 플런저(8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The elastic pressing body (80) is a folder invert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ring 82, the plunger 8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82 in contact with the flat portion 70 of the rotation center body (60) 2 mobile phones availabl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회전중심체(60)가 제4항에 의하여 제1,2회전중심체(62)(64)로 나뉘어져 구성된 경우,When the rotational core 6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otational cores 62, 64 according to claim 4, 상기 탄성가압체(80)의 직경은 상기 제1,2회전중심체(62)(64)가 이루는 틈새(d)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The diameter of the elastic pressing body (80) is a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the fol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gap (d)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enters (62, 64).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회전중심체(60)가 제1,2회전중심체(62)(64)로 나뉘어져 구성된 경우,When the rotational core 60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otational cores 62, 64, 상기 제1,2회전중심체(62)(64)가 폴더(30) 개폐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폴더(30)가 완전 개방된 위치에서만 좌우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폴더(30)가 180도 각도 범위내에서만 좌우 회전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cores 62 and 64 prevent the rotation of the folder 30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are performed only in the fully open position of the folder 30, and the folder 30 In ord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left and right only within the 180 degree angle range, 상기 케이스(10)의 수용홈(14)으로부터 안내돌기(22)를 형성하고, 상기제1,2회전중심체(62)(64)의 외주둘레로는 상기 폴더(3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지지축(34)의 축선(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내돌기(22)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요홈(72)을 형성하며,Guide protrusions 22 are formed from the receiving grooves 14 of the case 10, and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enters 62 and 64 are fully open in the state of the folder 30. To form a groove 72, the guide projection 22 is slidably inser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X of the support shaft 34, 상기 양측의 탄성가압체(80)는 폴더(30)가 완전 개방된 위치에서 회전중심체(60)의 중심과 지지축(34)의 축선(X)을 연결하는 동일 축선상에, 회전중심체(6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중심체(60)의 평탄부(70)중 일측의 평탄부에는 양측의 탄성가압체(80)에 각각 걸려 회전저지되도록 하는 2개의 턱부(74a)(74b)를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전화기.The elastic pressing bodies 80 on both sides are on the same axi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otation center 60 and the axis X of the support shaft 34 in the fully open position of the folder 30, and the rotation center body 60. 2)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enter, and the flat portions on one side of the flat portions 70 of the rotating center body 60 are caught by the elastic pressing bodies 80 on both sides so as to stop rotation.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the fol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the jaw (74a) (74b).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2개의 턱부(74a)(74b)의 형성 위치는 회전중심체(60)의 회전량이 좌우로 180도 각도 이상으로부터 190도 각도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탄성가압체(80)의 측면에 접촉되어 저지될 수 있도록 위치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The position of the two jaw portions 74a and 74b may be prevented by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elastic pressurizer 80 in the range of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rotational core 60 from the angle of 180 degrees to the angle of 190 degrees.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the f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positioned so that.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턱부(74a)(74b)는 상기 회전중심체(60)의 표면 중 탄성가압체(80)의 측면에 닿는 부분을 제외하고 그의 평탄부(70)를 형성함으로써 이의 제외된 부분과 평탄부(70)의 높이 차이로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 반전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The jaw portions 74a and 74b form a flat portion 70 thereof except for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rotary center 60 that touches the side surface of the elastic presser 80, thereby excluding the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70 thereof. Mobile phone capable of inverting the f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ormed so as to form a step difference.
KR10-2000-0067820A 2000-11-15 2000-11-15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KR100371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820A KR100371494B1 (en) 2000-11-15 2000-11-15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820A KR100371494B1 (en) 2000-11-15 2000-11-15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886A KR20020037886A (en) 2002-05-23
KR100371494B1 true KR100371494B1 (en) 2003-02-07

Family

ID=1969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820A KR100371494B1 (en) 2000-11-15 2000-11-15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4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318A (en) * 2001-02-02 2001-05-07 신용호 dual folder-type hand-phone
KR100474635B1 (en) * 2002-11-02 2005-03-11 주식회사 엠투시스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100663573B1 (en) * 2004-06-2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Tri-hinge folder 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37863B1 (en) * 2005-10-31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ical device
JP2008078471A (en) 2006-09-22 2008-04-03 Fujitsu Ltd Cable wiring structure, electronic apparatus,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cab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226A (en) * 1997-07-08 1999-02-02 Saitama Nippon Denki Kk Folding type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10019191A (en) * 1999-08-25 2001-03-15 서평원 Folding Type Mobile Telephone Having Connection Bars For Linking Body To Folder
KR20010047054A (en) * 1999-11-17 2001-06-15 박종섭 Folder-type mobile station for confirming screen in call waiting
KR20010076089A (en) * 2000-01-25 2001-08-11 윤종용 Display unit position to convert device of mobile phone
KR20020012044A (en) * 2000-08-05 2002-02-15 추두련 Floor plate including textile fib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226A (en) * 1997-07-08 1999-02-02 Saitama Nippon Denki Kk Folding type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20010019191A (en) * 1999-08-25 2001-03-15 서평원 Folding Type Mobile Telephone Having Connection Bars For Linking Body To Folder
KR20010047054A (en) * 1999-11-17 2001-06-15 박종섭 Folder-type mobile station for confirming screen in call waiting
KR20010076089A (en) * 2000-01-25 2001-08-11 윤종용 Display unit position to convert device of mobile phone
KR20020012044A (en) * 2000-08-05 2002-02-15 추두련 Floor plate including textile fib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886A (en)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9847B1 (en) Multipurpose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telephones
US7203995B2 (en) Rotary type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8032192B2 (en)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swing-type cradling apparatus thereof
JPH05506767A (en) Locking hinge device with multiple locking positions
US20060160582A1 (en)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493102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th sub housing stopper
EP1335567A1 (en) Double rotation axis type clam shell phone
KR10064045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71494B1 (en)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KR101612962B1 (en) Free stop hinge apparatus for folding-type mobile phone
US20050020327A1 (en) Speaker-up type portable terminal
KR100560921B1 (en) Mobile phone with mounting means
KR100801147B1 (en)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and folder type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100975710B1 (en) Hinge device for display rotation type mobile phone
KR10049988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urn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65227B1 (en) Cover hinge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200330255Y1 (en) Apparatus For Cover Opening And Clo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45222B1 (en) Flip type lid of cellular phone
KR100641325B1 (en) Dual Direction Hin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366973B1 (en) Automatic opening/closing hinge device for portable telephone
KR200345710Y1 (en) rotation module of display device
KR200372917Y1 (en) Rotary Type Hinge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8749B1 (en) Hinge apparatus of mobile phone
KR200319979Y1 (en) Hinge of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