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142B1 -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142B1
KR100560142B1 KR1020020030720A KR20020030720A KR100560142B1 KR 100560142 B1 KR100560142 B1 KR 100560142B1 KR 1020020030720 A KR1020020030720 A KR 1020020030720A KR 20020030720 A KR20020030720 A KR 20020030720A KR 100560142 B1 KR100560142 B1 KR 10056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receiving
telephone number
shor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881A (ko
Inventor
박기철
김훈배
임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2003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1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crankshafts, eccentrics, or cams, e.g. crankpin lat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B2215/20Crank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즉,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및 무선 인터넷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서비스 이용시에 거쳐야하는 입력 절차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서 서비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 결합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자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수신자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출력한 후, 단말기에 결합된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하려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서비스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수신측 식별자 중 서비스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추출하고, 선택된 수신측 식별자를 이용하여 서비스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요금, 할인,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센터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수신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수신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입력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의 테이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를 프로그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검색 버튼
205 : 전화 버튼
210 :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
215 : 무선 인터넷 접속 버튼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즉,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및 무선 인터넷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시에 거쳐야하는 입력 절차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기존에 부가서비스 제공 메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음성 통화의 사용에 못지 않게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말기의 제공 메뉴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선택하면, 단계 100과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2.발신 메시지'를 선택하면 단계 105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화면에서 사용자는 송신하려는 단문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문장 입력 후 미리 설정된 버튼을 누르면 단계 110과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입력하고 나서, 수신측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전화 번호의 입력 방법은 키패드를 통한 입력이나, 검색 메뉴를 통하여 하나 하나 검색하여 지정하는 방법만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상기와 같은 번거로운 착신측 전화 번호의 입력을 마친 후, 단계 115에서 연락받을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전송함으로써 단문 메시지 송신 절차가 완료된다.
기존의 통화 방식은 음성 통화를 제외하고는, 사용하려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메뉴를 먼저 지정한 후, 상기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입력 또는 선택하는 순서에 의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측 식별자는 수신측 전화 번호, 또는 접속하려는 서버의 아이피 어드레스 등을 지칭한다.
즉, 음성 통화의 경우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send)을 눌러 통화를 하였다. 그러나, 그 외의 서비스는 사용하려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나서, 수신측 장치의 식별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단문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단문 메시지 메뉴에 들어간 후,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는 방식이였다. 상 기 전화 번호 입력 방법은 키패드 또는 검색 메뉴를 이용하여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메뉴를 선택한 후, 접속하려는 사이트의 이름을 입력하거나, 지정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였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 제공되는 메뉴에서 수신측 식별자를 입력하는 절차는 사용자에게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 음성 통화의 경우, 전화 번호 입력의 불편함, 검색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위하여 다양한 입력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단축키에 의한 입력이나 다양한 검색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음성 통화시 착신측 전화 번호 입력 절차에 간편화시키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음성 통화시 단축키를 통한 전화번호의 입력 또는 주소록을 사용한 전화 번호의 입력 등을 다른 서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음성 통화에 이용되는 착신 전화 번호 입력 방법을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서비스를 이용시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입력 절차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측 식별자를 먼저 입력하면, 상기 수신측 식별 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메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수신측 식별자를 입력하는 다양하고 간편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전화 번호를 선입력하고 단문 메시지를 후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 번호 입력시 다양한 전화 번호를 입력 방법을 단문 메시지 입력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이용시에 가장 많은 이용 분야를 차지하는 단문 메시지의 이용 방법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서 서비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결합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자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여기서, 수신자는 접속하려는 상대방을 지칭하고, 수신측 식별자는 유선 전화번호, 이동 단말기 전화 번호, 무선 인터넷 주소 등을 포함함-, 상기 수신자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결합된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하려는 서비스에 상응하는 서비스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서비스는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함-, 상기 복수개 의 수신측 식별자 중 상기 서비스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신측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기록매체가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측 식별자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단말기에서 수신자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자 리스트를 단말기의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자 리스트 중 하나의 수신자를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측 식별자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의한 수신자를 입력받는 단계-여기서, 상기 단축키마다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자가 미리 설정되어 있음-,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측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선택 정보가 음성 통화이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서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유선 전화 번호 및 이동 단말기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신측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선택 정보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이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서 이동 단말기 전화 번호를 추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신측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선택 정보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이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서 무선 인터넷 아이피 어드레스를 추출함으 로써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기지국에 결합된 송신측 단말기에서 수신측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단말기 식별자를 입력받는 단계, 단문 메시지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기 식별자가 유효한 전화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식별자가 유효한 전화번호이면, 상기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및 상기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식별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단축키를 통하여 하나의 단축키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축키에 설정된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식별자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 리스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리스트 중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의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유효한 전화 번호가 아니면, 상기 단말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주소록에서 수신측 단말기에 상응하는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전화 번호를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로 설정하는 단 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의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유효한 전화 번호가 아니면, 상기 단말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단축키에서 수신측 단말기에 상응하는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전화 번호를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수신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도 2a와 같이 검색 버튼(200), 통화 버튼(205), 메시지 버튼(210), 무선 인터넷 버튼(215) 등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검색 버튼(200)을 이용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상응하는 수신자 또는 회사를 선택하고, 상기 통화 버튼(205), 메시지 버튼(210), 무선 인터넷 버튼(215) 등을 누르면, 상기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 또는 회사(이하, 사용자라 칭함)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도 2a에 나타난 검색 메뉴에서 수신자를 선택하고, 여기서 전화 버튼을 누르면 음성 통화와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자를 선택한 상태에서, 단문 메시지를 선택하면 단문 메시 지 서비스로 이동하여, 상기 수신측 식별자는 입력 절차없이 그대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 세팅되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 상응하는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버튼을 누르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 상응하는 단말기, 무선 인터넷 사이트 등으로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 즉 유선 전화 번호, 모바일 단말기 전화번호, 수신측 인터넷 주소는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도 2a에는 검색 메뉴를 통해 수신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사용자를 단축키를 이용하여 수신자를 지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하려는 서비스를 선택하기 전에 수신측을 먼저 선택하는 데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수신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에서 수신자만을 선택한 상태에서 검색 버튼(200), 통화 버튼(205), 메시지 버튼(210), 무선 인터넷 버튼(215) 등을 이용하여 수신측 식별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상기 도 2a에서 화면에 표시된 수신자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도 2b와 같은 화면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수신자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 즉 유선 전화 번호, 모바일 단말기 전화번호, 수신측 인터넷 주소가 디스플레이된다.
이하, 모바일 단말기 전화번호는 발명의 설명에 대한 편의를 위하여 휴대폰 전화 번호로 표시하나, 이동 중 접속 가능한 모든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유선 전화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로 연결하여 상기 유선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와 호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휴대폰을 선택하면, 상기 휴대폰에 상응하는 모든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폰에 상응하는 서비스는 음성 통화 및 단문 메시지 송신 서비스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설명한다. 여기서, 음성 통화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로 연결하여 상기 유선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단말기와 호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 송신 서비스를 선택하면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도중에서 휴대폰 전화 번호를 입력할 필요없이, 상기 휴대폰 전화 번호에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인터넷 주소가 선택되면, 상기 인터넷 주소에 상응하는 수신측 서버로 접속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측의 식별자를 먼저 선택하고,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수신측 식별자를 사용자의 입력 절차없이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서 추출하고,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 상응하는 단말기로 전송, 호연결 또는 접속 등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에는 서비스를 먼저 선택하고, 상기 서비스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선택한 후, 수신측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무선 인터넷의 경우에는 인터넷 서비스를 선택한 후, 접속하려는 서버, 홈페이지 등을 입력하는 순서로 이루어졌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300에서 단말기는 수신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수신자에 대하여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2a 및 2b와 같이 검색 메뉴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단축키를 사용하여 수신자를 선택할 수 도 있으며, 수신측 식별자를 직접 입력받는 방식으로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 을 수 있다.
단계 305에서 단말기는 상기 수신자에 상응하여 제공할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가 음성 통화인 경우, 단계 315에서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전화 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전화 번호와 호 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서비스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인 경우에는, 단계 320에서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휴대폰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서버가 무선 인터넷 접속인 경우, 단계 330에서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주소로 접속을 시도한다.
상기 단계 300 내지 단계 325를 통하여 거쳐,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절차가 완료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 식별자를 먼저 입력하고 나서, 이용할 서비스의 선택함으로써, 서비스 과정에서 송신측 전화번호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 및 입력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절차에 따라 단문 메시지를 선택한 경우 구체적인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입력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는 음성 통화, 무선 인터넷, 단문 메시지 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는 이동전화 시스템을 이용해 간단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일종이다.
국내에서 서비스중인 CDMA나 PCS 망을 이용한 SMS 서비스에서는 한번에 80바이트 분량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전 세계 이동전화 시스템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s) 방식의 시스템에서는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문자가 최대 160바이트로 만약 한글을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80자까지 전송이 가능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400에서 단말기는 대기 상태에 있으면서, 키의 입력 상태를 체크한다.
단계 402 내지 단계 406에서 단말기는 수신자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수신자에 대한 선택 정보는 주소록, 단축키 및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402에서 주소록에 의한 입력 방법은 도 2a 및 2b에서 설명한 검색 메뉴를 통한 입력 방법을 지칭한다.
주소록에 의한 입력 방법은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단계 404에서 단축키에 의한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축키에 의한 입력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단축키 7번에 A라는 수신자가 지정되어 있다면, 단축키 7번을 누름으로써, A에 상응하는 주소록이 지정된다. 상기 상태에서 전화 버튼을 누르면 음성 통화와 연결되고, 단문 메시지를 누르면 상기 수신자의 휴대폰으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서비스와 연결되며, 무선 인터넷 버튼을 누르면 상기 A의 인터넷 주소에 상응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그 외의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7번 버튼을 2초동안 누르면, 음성 통화와 연결되고, 3초 누르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연결되며, 4초 누르면 인터넷 서비스와 연결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주소록에서 A라는 수신자가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절차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410에서 단문 메시지 선택 버튼을 누르면,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절차가 진행된다.
단계 415에서 상기 입력 내용이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상기 입력 내용이 전화 번호이면, 상기 전화 번호를 수신측 전화 번호로 설정한다.
단계 415의 판단 결과, 상기 입력 내용이 전화번호가 아니면, 단축키 또는 주소록에 미리 저장된 전화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단계 420에서 상기 주소록 또는 단축키에 수신측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420의 판단 결과, 상기 주소록 또는 단축키에 저장된 수신측 식별자가 없으면, 단계 425에서 단말기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단계 400의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단계 420의 판단 결과, 상기 주소록 또는 단축키에 저장된 수신측 식별자가 있으면, 단계 430에서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서 단문 메시지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 예를 들면 수신측 단말기의 휴대폰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 435에서 상기 추출한 전화 번호를 착신측 전화 번호로 설정한다.
단계 440에서 단문 메시지 작성 절차에 따라서 메시지를 작성하면, 단계 445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상기 키의 입력 방법은 주소록에 의한 입력 방법, 단축키에 의한 입력 방법, 키패드에 의한 직접적인 입력 방법 등이 있다.
도 5는 단축키에 의하여 수신측 식별자를 입력하는 경우, 단축키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단축키에는 복수개의 수신측 식별자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단축키가 지정되면,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수신측 식별자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단축키에 의한 입력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단축키 1번에 '박한규'라는 사용자가 지정되어 있으며, 상기 '박한규'라는 사용자의 유선 전화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무선 인터넷 주소가 상기 단축키 1번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단축키 1번을 누르면,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수신측 식별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통화 버튼, 메시지 버튼, 무선 인터넷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눌려 수신측 식별자를 지정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1번 버튼을 2초 누르면 유선 전화에 상응하는 음성 통화 서비스와 연결하고, 상기 1번 버튼을 3초 누르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연결되며, 4초 누르면 인터넷 서비스와 연결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는 하나의 단축키에 설정되는 서비스로서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및 무선 인터넷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축키에 향후 개발될 모든 서비스에 상응하는 수신측 식별자를 지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를 프로그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드에 따라 단말기 내부의 동작 절차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600에서 단말기는 대기 상태에 있으며, 상기 대기 상태에서 키의 입력을 체크한다.
상기 단계 600을 프로그램 코드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Void ms_idle ( ) {
check_state()
}
여기서, 'check_state()'는 대기상태에서 key 입력을 계속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함수이다.
단계 605에서 입력된 키의 유효성을 체크한다.
상기 단계 605를 프로그램 코드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Void check_state() {
while( 1 ){
ret = min_validation_check(num);
goto_text_view_send (ret);
}
else ms_idle();
}
여기서, 'min_validation_check(num)'은 입력 숫자의 유효성을 체크하는 함수이다. 즉, 상기 함수는 상기 입력 숫자가 전화 번호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goto_text_view_send (ret)'는 문자 메시지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함수를 나타낸다.
단계 610에서 전화 번호를 추출한다.
상기 단계 600을 프로그램 코드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int min_validation_check( min) {
if (min == min)
return min;
else if (min == address index)
get_min_from_addressbook(address index);
return min ;
else return 0;
}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서 'get_min_from_addressbook(address index)'는 주소록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상응하는 휴대폰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함수이다.
단계 615에서 텍스트 입력 및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단계 615를 프로그램 코드로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Void goto_textview_send ( ret ) {
switch (ret) {
case min :
text_input_view(text);
if(!message send(min, text)) ms_idle () ;
break ;
case address index :
get_min_from_addressbook (address index);
text_input_view(text);
if(!message send(min, text)) ms_idle ()
break;
default :
message_manage_function();
}
여기서, 'text_input_view(text)'는 텍스트 화면으로 이동한 후 텍스트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하는 함수이다.
그리고, 'if(!message send(min, text)) ms_idle ()' 는 메시지 전송 후 대기 화면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상기 단문 메시지와 전송 방식과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를 이용시 상기 서비스에 필요한 입력 절차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측 식별자를 먼저 입력하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 상응하는 서비스 메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신측 식별자를 입력하는 다양하고 간편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전화 번호를 선입력하고 단문 메시지를 후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 번호 입력시 다양한 전화 번호를 입력 방법을 단문 메시지 입력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이용시에 가장 많은 이용 분야를 차지하는 단문 메시지의 이용 방법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단말기에서 서비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에 결합된 입력부로부터, 수신자 리스트, 단축키,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신자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단축키의 조작시간, 서비스를 선택하는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서비스 종류와 상기 수신자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유선 전화번호, 이동 단말기 전화 번호, 무선 인터넷 주소 중 하나의 수신측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종류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 상응하는 단말기와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자 선택 정보를 선입력받은 후, 상기 서비스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리스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수신자 리스트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수신자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 리스트를 단말기의 출력 장치로 출력한 후, 상기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자 리스트 중 하나의 수신자에 대한 수신자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상기 (a)단계는,
    미리 설정된 단축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축키마다 상기 단축키에 상응하는 수신자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미리 설정된 단축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축키가 조작된 시간에 따라 서비스의 종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가 음성 통화이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서 음성 통화에 상응하는 유선 전화 번호 및 이동 단말기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이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서 이동 단말기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이면, 상기 수신측 식별자에서 무선 인터넷 아이피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삭제
  7. 기지국에 결합된 송신측 단말기에서 수신측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신자 리스트, 단축키,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기 식별자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단축키의 조작시간, 서비스를 선택하는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단말기 식별자가 유효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기 식별자가 유효한 전화번호이면, 상기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e) 상기 단문 메시지 및 상기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단말기 식별자를 선입력받은 후, 단문 메시지 서비스 요청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미리 설정된 단축키를 통하여 하나의 단축키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단축키에 설정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리스트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수신자 리스트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수신자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자 리스트를 단말기의 출력 장치로 출력한 후, 상기 단말기의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자 리스트 중 하나의 수신자에 대한 수신자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단말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주소록에서 수신측 단말기에 상응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를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단말기 식별자에 상응하는 단축키에서 수신측 단말기에 상응하는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를 수신측 단말기 전화번호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절차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20030720A 2002-05-31 2002-05-31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KR10056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720A KR100560142B1 (ko) 2002-05-31 2002-05-31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720A KR100560142B1 (ko) 2002-05-31 2002-05-31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881A KR20030092881A (ko) 2003-12-06
KR100560142B1 true KR100560142B1 (ko) 2006-03-13

Family

ID=3238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720A KR100560142B1 (ko) 2002-05-31 2002-05-31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711B1 (ko) * 2004-11-01 2012-0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성 dmb 망에서 와이브로 망을 인식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33A (ko) * 2000-07-24 2000-10-05 송왕섭 무선통신 문자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6356A (ko) * 2001-10-29 2001-11-29 정기훈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33A (ko) * 2000-07-24 2000-10-05 송왕섭 무선통신 문자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6356A (ko) * 2001-10-29 2001-11-29 정기훈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881A (ko) 200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4228C (zh) 用于提供关于移动呼叫的多媒体消息发送业务(mms)振铃图像的系统和方法
US200702322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calling telephone number in mobile terminal
KR10080300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60142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KR100969284B1 (ko) 문자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19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683895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3008769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要求装置並びに携帯端末
KR100642577B1 (ko)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KR2004010269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53136B1 (ko) 통합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86763B1 (ko) 웹사이트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076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콜백유알엘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022792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서비스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10092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91683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신청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시스템
KR100976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언어 선택시 키톤 음 자동 선택방법
KR100793424B1 (ko) 간편 접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0770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송신 방법
KR100631697B1 (ko)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아이디 운용방법
KR101020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018

Effective date: 200601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