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580B1 - 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580B1
KR100538580B1 KR10-2003-0038566A KR20030038566A KR100538580B1 KR 100538580 B1 KR100538580 B1 KR 100538580B1 KR 20030038566 A KR20030038566 A KR 20030038566A KR 100538580 B1 KR100538580 B1 KR 100538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medical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7899A (en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이지케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케어텍(주) filed Critical 이지케어텍(주)
Priority to KR10-2003-003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580B1/en
Publication of KR2004010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580B1/en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들이 환자를 진료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 간호사들이 환자를 간호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 검사실 직원들이 환자를 검사 또는 치료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한편,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두었다가 열람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해 주므로써 환자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표준화 양식에 의해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간의 진료업무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병원내에서의 진료업무외의 원무, 진료지원업무, 일반관리업무도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며, 상기 진료 업무와 원무, 진료지원업무, 일반관리업무 간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화 하도록 하므로써, 병원 업무 전반에 걸쳐 별도의 종이 서류가 필요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업무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 for various documents that doctors should fill out while treating a patient, a form for various documents that nurses should fill out while caring for a patient, and a form for various documents that laboratory staff should fill out while examining or treating a patient. Is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and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network is managed and provided to users with the right to view, so that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can be shared, and also by the standardization form. It is possible to share the medical services among doctors, nurses, and laboratory staff through the network, while also sharing the non-medical services, medical support services, and general management tasks in the hospital through the network. Network, medical support and general management By rock, over a network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paper documents throughout the hospital work to ensure that all tasks can be processed it has its purpose.

Description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How to conduct hospital work online {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업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hospital work online.

전세계적인 네트워크인 인터넷과 랜(LAN) 및 인트라넷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각종 정보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 및 컨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As various types of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a LAN, and an intranet, which are global networks, are developed, technologies and contents for sharing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s are being developed.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의료업계에도 일고 있으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These technological advances are also taking place in the medical industry, and technologies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internal networks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병원내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 공유는 단순히 사용자의 인적사항이라든지, 치료를 받고자 하는 진료항목, 진료예약 정보, 치료내역 정보, 입원정보 등의 간단한 내용들에 불과하다. 이외에도 의사들이 환자를 진료한 후에 환자에 대해 발행하는 오더(Order), 예를 들어 어떠한 약을 얼만큼 조제해야 하는지, 어떠한 주사를 놓아야 하는지, 어떠한 검사를 실시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들 정도만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고 있는 상황이다.However, the current information sharing in the hospital is merely a simple content 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he treatment items to be treated, appointment information, treatment history information, hospitaliz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only the order that doctors issue to a patient after seeing the patient, for example, how much medicine should be dispensed, what injections should be taken, and what tests should be performed. It is being shared through.

그러나, 병원에서 환자를 치료하거나 간호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보는 상기와 같은 정보들이 아니라, 환자의 병증상을 관찰하는 간호사들이 기록한 간호일지, 의사의 치료 소견 및 치료 방법, 검사결과, 치료결과와 같은 각 환자의 병증상에 따른 개별적인 상태 정보들이다. However,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for treating or caring for a patient in a hospital is not the above information, but a nursing journal recorded by nurses who observe the patient's symptoms, the doctor's findings and treatment methods, test results, treatment results and Individual status information for each patient's condition.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중에 작성한 차트나,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중에 작성한 간호일지 또는 검사실 직원들이 환자를 검사하거나 치료한 경우에 작성하는 각종 보고서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chart prepared by a doctor while treating a patient, a nursing journal written by a nurse while the patient is nursing a patient, or various reports prepared when a laboratory staff examines or treats a patient. .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 환자의 병증상에 따른 개별적인 상태 정보들은 그 입수 경로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입력해야할 내용이 각 진료과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통일화하여 전산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정보를 병원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individual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each patient as described above is not only a variety of paths of acquisition, but also because the content to be input is varied by each departm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niformly computerized. There is no way to share the sam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in the hospital.

다시말해서, 상기와 같은 환자의 병증상에 따른 개별적인 상태 정보들은 네트워크와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종이차트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상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상기 종이차트에 기록된 내용을 별도의 직원 또는 시스템을 통해 전산화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환자들의 정보를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symptoms as described above has not escaped the situation of recording and managing on a paper chart, despite the development of network and computer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manage the information of patients more efficiently because it is only computerized through the staff or system.

또한, 상기와 같은 정보들이 전산화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들은 진료 또는 치료를 받는 과정에 있어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such information is not computerized, there is a problem that patients are not provided with faster and more accurate medical service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medical treatment or treatment.

즉, 동일한 환자에 대해 의사가 관리하는 종이차트, 간호사가 관리하는 종이차트, 검사실 직원이 관리하는 종이차트가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므로 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 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각각의 차트들이 전산화 된다고 하더도 상기 전산화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since the paper chart managed by the doctor, the paper chart managed by the nurse, and the paper chart managed by the laboratory staff are individually managed for the same patien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the patient and the computerized charts are computerized. Even if it is sai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 method for sharing the computerized information and thus does not provide fast and accurate medical services for patients.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들에 대한 진료 외적인 부분의 병원 업무는 전산화가 가능하며 현재에도 어느 정도 전산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hospital work of the non-medical part for the patients can be computerized and is still computerized to some extent.

즉, 병원내의 업무를 환자접수, 진료비 계산, 보험 청구 업무를 수행하는 원무와,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이 환자에 대해 진료, 간호, 검사, 치료하는 진료 업무와, 상기 진료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급식, 약조제 업무를 수행하는 진료지원업무와, 병원내의 인사관리, 각종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일반관리 업무의 네가지로 크게 분류했을 때, 상기 원무, 진료지원업무 및 일반관리 업무는 전산화가 가능하며, 또한 상호간의 정보 공유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상기 세가지 업무분야는 업무의 내용이 전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서식의 통일화가 용이하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the doctors, nurses, and laboratory staff perform the tasks in the hospital to receive the patient, calculate the medical expenses, and claim the insurance, and the doctors, the nurses, and the laboratory staff to provide medical treatment, nursing, examination, and treatment for the patients. When categorized into four broad categories, medical support for food and medicine, medical management in hospitals, and general management for various administrative tasks, the business, medical care and general management can be computerized. It is also possible to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in the above three fields of work, the contents of the work are typically fixed, thereby making it easy to unify the form.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이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 중에 작성하여야할 환자 정보는 각 진료과, 검사실, 간호해야할 환자들의 증상에 따라 너무나 많은 종류의 양식이 필요하므로, 전체적인 업무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patient information to be filled out by the doctors, nurses, and laboratory staff during the treatment of patients requires so many types of forms depending on the symptoms of each department, the laboratory, and the patients to be cared for. There are a lot of challenges to building a network that can do this.

또한, 진료업무간에 정보의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못하는 이유로 인해 상기 진료업무와 나머지 세개의 업무분야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공유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reason that a network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medical services is not formed, information sharing through the network between the medical service and the remaining three business fields is not possib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사들이 환자를 진료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 간호사들이 환자를 간호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 검사실 직원들이 환자를 검사 또는 치료하는 중에 작성해야할 각종 서류에 대한 양식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한편,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두었다가 열람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해 주므로써 환자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 for various documents that doctors must fill out while treating a patient, a form for various documents that nurses must fill out while nursing a patient, and the laboratory staff examines or treats a patient. While providing a form for various documents to be filled out through a network,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network can be managed and provided to users with the authority to view various information about patie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online.

또한, 본 발명은 수많은 서류 양식들을 일정한 방식에 따라 표준화하여 간소화 하므로써, 모든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이 별도의 종이 차트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환자에 대한 완벽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and standardize a number of forms in a certain way, so that all doctors, nurses, laboratory staff can provide a complete medical service for the patient without having a separate paper chart have.

또한, 본 발명은 표준화 양식에 의해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간의 진료업무를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병원내에서의 진료업무외의 원무, 진료지원업무, 일반관리업무도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며, 상기 진료 업무와 원무, 진료지원업무, 일반관리업무 간에도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화 하도록 하므로써, 병원 업무 전반에 걸쳐 별도의 종이 서류가 필요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업무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share the medical treatment between doctors, nurses, laboratory staff by the standardized form through the network, while the business, medical support, and general management tasks other than the medical treatment in the hospital By sharing the data between the medical service, business affairs, medical support, and general management through the network, all the business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network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paper document throughout the hospital work. There is th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각각으로 의료정보 관리를 위한 의사용 웹화면, 간호사용 웹화면, 검사실용 웹화면을 전송하는 한편, 상기 웹화면을 통해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상기 각 웹화면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저장 하므로써 환자를 진료하는데 필요한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제 1 단계; 및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자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전송되어온 진료 정보 이외의 병원 내 정보를 관리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계의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의료 업무에는, 환자등록, 진료예약, 입원예약, 진료비 수납 업무를 포함하는 원무용 의료 업무와, 급식, 주사처치, 처방전 발급을 포함하는 진료지원용 의료 업무와 병원내부의 인사관리, 각종 행정업무를 포함하는 일반관리용 의료 업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의료 정보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저장된 병원 내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리하므로써, 상기 의사용 웹화면, 간호사용 웹화면, 검사실용 웹화면을 통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저장된 병원 내 정보를 열람하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의료 정보를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에서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cessing a hospital service online, which is applied to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doctor terminal 20, a nurse terminal 30, and a laboratory staff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 or an intranet. The terminal 40 transmits a doctor web screen, a nurse web screen, and a laboratory web screen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to each of the terminal 40, and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s through the web screen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spective web screens. A first step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reating a patient by storing the information for sharing; And a second step of managing information in the hospital other than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program executed in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itself connected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of the second step Medical services that may be carried out in (50) include medical services for hospital services, including patient registration, medical appointments, hospitalization reservations, medical expenses storage services, medical services for medical care, including meals, injections, and prescriptions, and in hospitals. At least on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general management medical services including various administrative tasks is included, and the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ep and the hospi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ep are managed in one database. View the hospi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ep through the doctor's web screen, nurse web screen, and laboratory web screen As well as to be the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ep characterized in that to read in the common source terminal useless 50.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업무의 일실시예 계략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에서 수행되는 업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바, 그중 하나는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이 환자를 진료, 간호, 검사, 치료하는 진료 업무이며, 또 다른 하나는 상기 진료업무를 지원하거나 환자들에 대한 등록, 진료예약, 입원 수속 등을 처리하거나 일반적인 병원 운영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 업무이다.Figure 1a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ospital tas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task performed in the hospital as shown in the diagra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bars, one of which is a doctor, nurse, laboratory staff Medical care, nursing, screening, and treatment is a medical service, and another is a general service that supports the medical service, handles the registration of patients, appointments, hospitalization procedures, or general hospital operation.

한편, 상기 진료업무(가칭 "EMR" 이라 함)는 의사가 환자를 직접 상대하며 진료 하는 의사의 진료 업무,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 업무 및 각종 검사실의 검사실 직원이 환자에 대해 검사 또는 치료를 수행하는 검사 업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의사의 진료 업무, 간호사의 간호 업무 및 검사실 직원에 의한 검사 업무의 수행에 따른 각종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특히, 인트라넷)를 통해 상기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medical treatment (called "EMR") refers to the doctor's doctors directly dealing with the patient, the nurse's care to nurse the patient, and the laboratory staff of various laboratories to examine or treat the patient It can be divided into inspection tasks to be performed. At this time, in the prior art, it is not possible to share a variety of pati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al examination work of the doctor, the nursing work of the nurse and the examination work by the laboratory staff,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especially intranet) Can be shared through a single database.

또한, 상기 일반업무(가칭 "MIS"라 함)는 급식, 주사처치, 처방전 발급 등과같은 진료지원 업무, 환자등록, 진료예약, 입원예약, 진료비 수납 등과 같은 원무 및 병원내부의 인사관리, 각종 행정업무 등과 같은 일반관리 업무로 구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eneral business (tentatively referred to as "MIS") is a medical support service such as meals, injection treatment, prescription issuance, patient management, medical appointment, hospitalization, hospital administration, personnel management, various administration It can be divided into general management tasks such as tasks.

한편,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일반업무(MIS)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였으나, 상기 일반업무(MIS)와 상기 진료업무(EMR)간의 전반적인 정보의 공유는 불가능 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it was possible to shar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between the general task (MIS), but it was impossible to share the overall information between the general task (MIS) and the medical treatment (EMR).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료업무간에는 인트라넷을 이용하여 웹기반의 표준화된 서류 양식을 제공하므로써 정보의 공유화를 이루었으며, 상기 일반업무간에는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의 공유화를 이루었다. 또한, 상기 진료업무와 일반업무를 통해 수집된 각종 정보를 공통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진료업무와 일반업무간의 정보 공유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sharing is achieved by providing a web-based standardized document form using an intranet between the medical services, and information sharing is achieved through an internal network such as a LA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the medical service and the general business by managing the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edical service and the general service in a common database.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 한편 병원의 일반 업무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의사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하고 진료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하거나 진료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호사용 단말기(30), 병원내의 각종 검사실 직원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들의 검사 요청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검사 결과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병원의 일반 업무를 담당하는 일반직원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병원 업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열람하거나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및 상기 단말기들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service providing system 10 for manag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patients and managing general work information of a hospital through a network; A doctor terminal 20 for allowing doctors to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o view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and to input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and to allow the nurses to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o the patients. Nurse terminal 30 for view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or inputting the medical treatment results, allowing various laboratory staff in the hospital to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o view the examinat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patients or the test result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for inputting the service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General office terminal 50 and the terminals to allow the general staff in charge of the general work of the circle to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o view or input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spital work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If you want to connec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rnal authorized authentication system 60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이때, 상기 도 1a 에서 언급한 진료업무(EMR), 즉, 의사에 의한 진료 업무, 간호사에 의한 간호 업무 및 검사실 직원에 의한 검사 업무는 각각 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서 수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dical treatment (EMR) mentioned in FIG. 1A, that is, the medical treatment by the doctor, the nursing work by the nurse, and the examination work by the laboratory staff are respectively the terminal 20 for the doctor and the terminal 30 for the nurse. And it can be said to be performed in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또한, 일반업무(MIS) 내의 진료지원 업무, 원무, 일반관리업무는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에서 수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said that the medical care support work, business affairs, and general management affairs in the general business (MIS) are performed by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가 병원내에 구축되어 있는 내부 네트워크(인트라넷, Intranet)(이하, 간단히 "인트라넷"이라 함)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져 운영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Meanwhile, hereinafter, an internal network (Intranet, Intranet) in which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e doctor terminal 20, the nurse terminal 30, and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are constructed in a hospital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 simply connected via an "intran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and operated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will be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network such as a LAN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or an intranet.

이때, 상기 인트라넷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intranet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즉, 인트라넷이란 전산 환경에 있어서, 더 확장된 네트웍을 구성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서로 연결된 네트웍들의 그룹이나 단일 네트웍을 말하는 것으로써, 상기 인트라넷은 한 그룹으로 소유되는 LAN(또는 WAN)이나 공공 네트워크인 인터넷과는 약간 다른 개념이다. 즉, LAN과는 달리 인터넷 기술과 통신용으로 TCP/IP를 사용하고 있으며, 인터넷이 공공 네트워크인 반면, 인트라넷은 보안벽으로 침입자를 차단할 수 있는 사설 네트워크라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n intranet refers to a single network or a group of permanently connected networks to form a more expanded network in a computing environment. The intranet is a LAN (or WAN) or a public network owned by a group. This is a slightly different concept. In other words, unlike LAN, TCP / IP is used for internet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In contrast, the Internet is a public network, whereas an intranet is a private network that can block intruders with security walls.

또한, 인트라넷은 각기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지능적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여러 개의 지역 네트워크들을 단절없이 연결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보다 훨씬 복잡할 수 있다. 한편, 인트라넷에 접속한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지만, 인터넷에서 인트라넷으로는 제한되고 통제된 접근만이 허용된다. Intranets can also be more complex than the Internet in that they need to seamlessly connect multiple local area networks that use different protocols and run intelligent business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a user connected to an intranet can access the Internet, but only limited access to the intranet from the Internet is allow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트라넷은 인터넷 표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LAN과는 다르다. 따라서,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 등이 각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접속 방법과 마찬가지로 웹브라우져를 구동시켜 접속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n intranet is different from a general LAN in that it uses an Internet standard. Therefore, when a doctor, a nurse, or a laboratory staff wants to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by using each terminal, the web browser is connected by driving a web browser as in the internet access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넷 기반의 웹브라우져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내부의 저장매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어떠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갖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반면에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는 랜(LAN)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receiving various data from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Internet-based web browser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for doctor 20, the terminal for nurse 30 and the terminal for laboratory staff. (40) The internal storage medium does not need to have any programs and data for runn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uses an internal network such as a LAN, a program for driv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stored.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11), 제어부(12), 환자정보 관리부(13), 이미지 정보 관리부(15), 일반원무 관리부(15) 및 인증 관리부(16)를 포함하고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includes an interface 11, a control unit 12, a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n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5, a general office management unit 15, and the like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16 is included.

먼저, 인터페이스(11)는 네트워크를 통해 각 단말기(20, 30, 40, 50) 및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과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11)는 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와는 인트라넷을 통한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인터넷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와는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과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First, the interface 11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o each terminal 20, 30, 40, 50 and the external authorized authentication system 60 through the network. That is, the interface 11 connects to the doctor terminal 20, the nurse terminal 30, and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through an intranet, and when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s, It performs the function of enabling internet access. In addition,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network such as a LAN.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authorized authentication system 60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다음으로, 환자정보 관리부(13)는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부터 입력된 환자 정보의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상기 단말기들(20,30,40,50)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의료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is medical care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doctor terminal 20, the nurse terminal 30,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the general medical terminal 50 While managing information, if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s (20, 30, 40, 50) performs the function of extracting and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다음으로, 이미지정보 관리부(14)는 상기한 각 단말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부터 담당 환자에 대한 이미지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환자의 이미지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정보란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촬영 사진, 내시경 사진, CT 촬영 사진 등과 같이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촬영된 각종 사진 등을 전자적으로 이미지화한 것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사진 뿐만 아니라 각종 서류 또는 사진 등을 스캔하여 이미지화한 것도 포함하고 있다.Next, the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 manages the image information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above terminals, while the doctor terminal 20, the nurse terminal 30 and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If there is a request for image information from the patient in charge from the patient performs the function of extract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 this case, the image information generally refers to an electronic image of various photographs taken to examine a patient's condition, such as X-ray photographs, endoscope photographs, CT photograph photographs, and the like. It also includes images of scanned images.

다음으로, 일반원무 관리부(15)는 병원의 일반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직원들이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한 원무 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한편,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및 또 다른 단말기들(20, 30, 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부터 정보의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로 원무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general affairs management unit 15 manages affairs related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general affairs terminal 50 by the staff in charge of general management of the hospital, while the general affairs terminal 50 an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outputting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other terminals 20, 30, and 40, i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business related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다음으로, 인증 관리부(16)는 네트워크(인터넷 또는 인트라넷)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들어오는 각 사용자들에 대해 인증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일반 병원 업무 담당 직원들이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접속이 허여된 사용자인지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접속을 허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처럼 병원내의 환자 정보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그 보안이 철저히 요구되며 따라서 자체적인 인증만으로는 미흡한 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넷에 접속된 내부 인증 시스템이 아닌 외부의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인증 관리부(16)는 사용자로부터 인증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으로 전송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접속 여부를 결정짓게 할 수도 있다.Next,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16 performs a function for authenticating each user entering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rough a network (Internet or intranet). That is, when doctors, nurses, laboratory staff, and general hospital staff want to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terminal,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uthorized to grant access to only the authenticated user. Do thi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ystem for managing patient information in the hospital, such a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since the security is strictly required, and there may be insufficient by its own authentication, in this case, not the internal authentication system connected to the intranet The certific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authorized certification system 60 of the. That is,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16 transmits the user's information to the external authorized authentication system 60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when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from the user, and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result. You can also decide whether or not to connect.

마지막으로 제어부(10)는, 상기 인터페이스 및 각 부(13,14,15,16)를 제어하는 한편,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정보들을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기능을 수행한다.Finally,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interface and the units 13, 14, 15, and 16, and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 terminals through a network.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 및 각 부(12 내지 16)는 하나의 컴퓨터 또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각종 장애에 대비하기 위하여 보조 시스템을 둘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interface and each unit 12 to 16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uter or server, and may have an auxiliary system to prepare for various failures.

한편,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진료업무(EMR)를 처리하기 위한 의료 정보 관리 방법과 상기 일반업무(MIS)를 처리하기 위한 의료 업무 관리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n-line hospital work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hat is,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processing the medical treatment (EMR) may be divided into the medical business management method for processing the general business (MIS).

한편, 상기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다시 의사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 간호사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검사실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may be divided into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a doctor,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a nurse, and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a laboratory.

또한, 상기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은 다시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 진료지원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 및 일반관리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dical task management method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medical practice management method for medical services, a medical task management method for medical support and a medical task management method for general management.

이때, 상기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트라넷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은 일반 내부 네트워크(LAN)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방법과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 의해 구축된 각종 정보들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므로 의료 정보 관리 방법과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서 공유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intranet as described above, and the medical work management metho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general internal network (LAN). In addition, since th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nstructed by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the medical work management method are managed in the same database, they may be shared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the medical work management method.

한편, 이하에서는 먼저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후,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으며, 상호간의 정보 공유 방법도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Meanwhile, hereinafter,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onlin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nd then the online hospi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We will explain how to manage medical work among the work processing methods, and how to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도 2a 내지 도 2g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의사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f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간호사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o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검사실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이다. 2A to 2G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for a doctor in an on-lin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F are nursing methods for on-lin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O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for a laboratory in a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이하에서는,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각각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므로써,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간에 정보를 공유하여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환자의 기본적인 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 이름, 환자번호, 성별 등)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의 최초 등록은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사용 단말기(20) 또는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통해 서도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랜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접속되어 있다.That is, the following describes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in each of the doctor terminal 20, the nurse terminal 30, and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thereby sharing information between doctors, nurses, and laboratory staff. I will explain how to use. 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itial registration of the patient's basic information (for example, social security number, name, patient number, gender, etc.) in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gistered through the doctor terminal 20 or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In addition,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rough an internal network such as a LAN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2a 내지 도 2g 를 참조하여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First,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docto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G.

즉, 도 2a 는 의사가 의사용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That is, FIG. 2A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itial screen for providing various medical information when a doctor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doctor terminal 20 and performs a normal login process.

상기한 바와 같이 의사는 웹브라우져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부의 인증 관리부(16) 또는 외부 공인 인증 시스템(60)을 통해 인증과정을 거쳐야 정상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ctor may acces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rough a web browser, and through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unit 16 or the external authorized authentication system 60 insid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various information may be normally obtained. Can be provided.

한편, 의사가 정상적인 로그인을 거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한 경우에 활성화 되는 웹브라우져 화면(이하, 간단히 "의사용 웹화면"이라 함)의 일예를 도 2a 에 도시하였으며,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 마이 메뉴부(120), 주 메뉴부(130), 환자정보 열람부(140) 및 환자정보 입력부(150)의 다섯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Meanwhile, an example of a web browser scree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use web screen") that is activated when the doctor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rough a normal login is illustrated in FIG. 2A, and shown in FIG. 2A. As described above, the doctor's web screen may be divided into five blocks: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the my menu unit 120, the main menu unit 130, the patient information viewing unit 140, an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

먼저,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는 로그인한 의사의 정보(사용자)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의사가 정보의 열람 및 입력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이름, 병원내에서의 환자 등록번호, 치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되며, 이외에도 진단명, 수술명, 수술일, 협진의, 처방약품 등에 대한 정보 중 해당되는 사항들이 출력된다. 상기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환자 정보는 병원내의 환자접수를 담당하는 일반직원들에 의해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방법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First,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outputs the logged-in doctor information (user). In addition, when a doctor selects a patient who wants to view and input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patient's name, patient registration number in the hospital, treatment department, designated doctor, and the attending physician is displayed. Information about doctors, consultants, and prescription drugs is displayed.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bove 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t this time, the basic patien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hrough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by the general staff in charge of patient reception in the hospit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put by a separate method.

한편,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2b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selecting a patient will be summarized in the description of Figure 2b below.

다음으로, 마의 메뉴부(120)는 각 사용자(의사)가 주 메뉴부(130)에 있는 다수의 메뉴들 중 자신이 즐겨쓰는 메뉴에 대하여 설정된 단축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마의 메뉴부(120)는 각 의사별로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주 메뉴부(130)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의 메뉴부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주 메뉴부(130)에 구비되어 있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 메뉴부내의 "My menu"란 메뉴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다.Next, the menu unit 120 of the e-mail displays a shortcut icon set for one's favorite menu among a plurality of menus of each user (doctor) in the main menu unit 130. That is, the menu unit 120 of the forehead is to be set by selecting the menu desired by each doctor in the main menu unit 130, the menu for setting the menu unit of the fore is provided in the main menu unit 130 As shown or shown in the figure, a menu button called "My menu" in the My Menu section may be used.

다음으로, 주 메뉴부(130)는 의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메뉴들을 정리한 것으로써 주 메뉴부(130) 내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다양한 메뉴가 트리형태로 출력되며, 의사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Next, the main menu 130 summarizes all the menus available to the doctor. When the menu button in the main menu 130 is clicked, various menus are output in a tree form, and the doctor selects a desired menu. do.

다음으로, 환자정보 열람부(140)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들의 세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블록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래초진, 외래경과, 오더, 검사조회, 타과의뢰, 과별서식, Vital Sheet, 간호일지, 입원초진, 입원결과, 수술기록, 퇴원기록 등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다. 한편, 도 2a 에서는 아직 어떠한 정보 열람도 선택하지 않은 상태로써 백지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Next, the patient information viewing unit 140 is a block capable of read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atient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s shown in the drawing, the outpatient visit, the outpatient department, the order, and the inspection inquiry. You can select and view the information on the clinic, referral to the clinic, vital forms, vital sheet, nursing journal, initial admission, admission result, surgical record and discharge record. On the other hand, in Fig. 2A, no information browsing has been selected yet, and is displayed in a blank state.

이때,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140)에서 출력되는 정보들 중 외래초진, 외래결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등의 항목은, 의사가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하여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불러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mong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140, the items such as outpatients, outpatient results, hospitalization, hospital admission, etc., the doctor inputs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to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It is to load the stored information.

한편,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14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tails of the patient information view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below.

다음으로, 환자정보 입력부(150)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도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블록으로써, 외래초진, 외래경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타과의롸, 수술기록, 퇴원기록 등과 같이 모든 의사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진단서/의견서, 과별서식, 정신과 진단평가와 같이 특수한 경우에 요구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도 구비되어 있다.Next,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is a block in which a doctor can input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treatment of a patient, an outpatient visit, an outpatient procedure, an inpatient visit, an inpatient department, a doctor's appointment, an operation record, a discharge record, and the like. Likewise, all doctors can enter common information. There is also a menu for entering information required for special cases, such as a medical certificate / commentary note, a farewell form, and a psychiatric diagnostic assessment.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의사가 입력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며, 의사가 의사용 웹화면의 환자정보 열람부(140)의 메뉴 클릭을 통해 해당 정보에 대한 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의사용 웹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환자 정보 입력부(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정리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doctor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e doctor patient information viewing unit 140 of the doctor's web screen When a request for the information is made through a menu click, th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output through the doctor's web scree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will be summarized below.

다음으로, 도 2b 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의사가 로그인을 하여 도 2a 와 같은 의사용 웹화면이 활성화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의사용 웹화면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메뉴 선택에 의해 환자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창(160)이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될 수 있다. Next, FIG. 2B will be described. That is, when the doctor logs in and the doctor web screen as shown in FIG. 2A is activated, a menu window 160 for selecting a patient simultaneously with the output of the doctor web screen or by menu selection is shown in FIG. 2B. It may be activated as shown.

한편, 의사는 도 2b 에 도시된 환자 선택창(160)에 표시된 병동, 외래, 응급, 수술장, 자문환자, 진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선택 메뉴들을 통해 찾고자 하는 환자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정보를 조회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등의 사용권한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octor may query the patient to find through the selection menu of the ward, outpatient, emergency, operating room, advisory patient, medical department, doctor, physician, etc. displayed in the patient selection window 160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use right such as inquiry or input of patient information may be variously set by the operator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 선택창(160) 또는 대기 환자 명단을 통해 사용자는 진료할 환자를 선택하게 되며, 진료할 환자가 선택되면, 도 2a 에 도시된 의사용 웹화면의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는 선택된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병원내에서의 환자번호, 지정의, 주치의 등의 환자 정보가 출력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selects a patient to be treated through the patient selection window 160 or the waiting patient list. When the patient to be examined is selected,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of the doctor web screen shown in FIG. Patient information such as the selected patient's name, gender, age, patient's number in the hospital, designated doctor, and the attending physician will be output.

또한, 환자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환자 정보가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 출력되며, 이와 동시에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더 입력창(170)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오더 입력창(170)은 의사가 환자에 대한 진료결과에 따라 치료방법, 검사의뢰, 약조재 의뢰, 간호방법, 주사 치료 방법 등의 오더(Order)를 해당 업무부에 지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 is selected, basic patient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as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the order input window 170 screen as shown in FIG. 2C may be output. The order input window 170 may input a command for instructing a doctor to order a treatment method, such as a treatment method, an examination request, a medicine request, a nursing method, an injection treatment method, etc. according to a result of treatment for a patient. It is an input window.

한편, 오더 입력창(170)은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더를 입력할 수 있는 오더 입력부(171), 입력된 오더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오더 열람부(172) 및 오더와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는 메뉴들을 모아놓은 오더 메뉴부(17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오더 메뉴부(173)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오더 입력부(171)를 통해 입력된 오더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다가, 의사의 요청에 따라 오더 열람부(172)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오더 입력창(170)을 통해 입력된 오더는 간호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직원이 열람하도로 하므로써, 그 오더 내용에 따른 조치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der input window 170 is selected in relation to the order input unit 171 that can input the order, the order reading unit 172 that can view the contents of the input order and the order as shown in Figure 2c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rder menu unit 173 is a menu that can be collected. That is, the order information selected by the order menu unit 173 and input through the order input unit 171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and at the request of a doctor. It is output through the order reading unit 172. In addition, an order input through the order input window 170 may be viewed by a nurse, an examination staff, or a general employee, so that an order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order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오더 입력창(17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 정보 출력과 동시에 활성화 되도록 하는 방법외에도 환자 선택창(160)처럼 환자선택 단축아이콘 또는 주 메뉴부(130)의 환자선택 메뉴를 클릭하므로써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rder input window 170 is activated by clicking the patient selection shortcut icon or the patient selection menu of the main menu 130 as well as the patient selection window 160 as well as the method of being activated at the same time as the patient information output. You can also

다음으로 도 2d 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2d 는 의사용 웹화면 중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Next, FIG. 2D will be described. 2D is an example screen for explaining a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of a doctor web screen.

즉, 도 2d 에 도시된 환자정보 입력부(150)는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중에 기록해야할 환자의 진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블록으로써, 종래에는 종이로된 차트에 입력하던 것들을 컴퓨터로 입력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에서는 외래초진시의 진료 결과 입력, 외래경과에 따른 진료 결과 입력, 입원초진의 경우에 필요한 정보 입력, 입원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진료 정보 입력, 타과에 환자를 의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입력, 수술에 따른 환자 정보 입력, 퇴원시에 필요한 정보 입력을 위해 기록선택란(151) 안에 외래초진, 외래경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타과의뢰, 수술기록, 퇴원기록 메뉴를 둘 수 있다. That is,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shown in FIG. 2D is a block in which the doctor can input the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to be recorded while treating the patient, and can conventionally input those input in the paper chart. It is organized systematically. To this en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inputs a medical result at an outpatient examination, inputs a medical result according to an outpatient procedure, inputs information necessary for an inpatient examination, inputs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n inpatient procedure, and requests a patient to another department. In order to enter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enter, pati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information required during discharge, outpatients, outpatients, inpatients, inpatients, clinic request, surgical records, discharge record menu Can be.

이때, 상기 메뉴들은 모든 의사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뉴들이며 이 외에도 의사에 따라서는 각종 진단서/의뢰서를 작성해야할 필요가 있으므로 진단서/의뢰서 메뉴를 상기 기록선택란(151)에 포함하였다. 또한, 상기한 메뉴들 외에도 각 진료과별로 요구되는 서식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서식들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정형화된 양식을 만들 수는 없으므로 과별서식 메뉴를 상기 기록선택란(151)에 포함 하므로써 각 진료과별로 필요한 양식을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과별서식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별도의 정형화된 양식이 출력되는 것은 아니며, 각 진료과별로 특징적인 서식을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양식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신과의 경우 역시 다른 진료과와는 달리 여러가지 다양한 형식의 서식들이 요구되므로 그에 따른 서식을 별도록 관리하기 위해 정신과 진단평가 메뉴를 상기 기록선택란(151)에 포함하였다.In this case, the menus are menus that can be commonly used by all doctors. In addition, since the doctors need to prepare various medical certificates / requests, the medical records / request menus are included in the record selection box 151. In addition, there may be forms required for each department in addition to the above menus, and since these forms cannot be uniformly formatted, the departmental formatting menu is included in the record selection box 151 for each department. The necessary forms can be created and made available. In other words, when the section format menu is selected, a separate standardized form is not output, and a form for directly generating a characteristic form for each department may be output. In addition, in the case of psychiatry, unlike other medical departments, various types of formats are required, so that the psychiatric diagnosis and evaluation menu is included in the record selection box 151 to manage the format accordingly.

한편, 상기 기록선택란(151)의 각 메뉴를 통해 입력한 환자정보들은 환자정보 열람부(140)의 각 메뉴를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through each menu of the record selection column 151 is configured to be read through each menu of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140.

다음으로, 도 2e 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2e 는 상기 기록선택란(151)의 메뉴 중에서 외래초진 메뉴를 선택하여 나타나는 환자정보 입력부(150)에 각 항목을 입력한 후 환자정보 열람부(140)에서 그 입력 내용을 열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화면이다.Next, Fig. 2E will be described. FIG. 2E illustrates a method of reading the input contents of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140 after inputting each item to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displayed by selecting an outpatient menu from the menu of the record selection box 151. This is an example screen.

즉,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d 에 도시된 환자정보 입력부(150)는 기록선택란(151), 상태 저장부(153) 및 상태 입력부(154)의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즉, 환자정보 입력부(150)의 초기화면에는 도 2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선택란(151) 만이 표시되나 상기 기록표시란(151)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저장부(153) 및 상태 입력부(154)가 표시된다. 이때, 상태 저장부(153)는 상태 입력부(154)를 통해 입력된 환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환자정보 관리부(13)로 저장하도록 하거나 또는 입력된 정보에 대한 서명을 날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2E,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shown in FIG. 2D may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parts, a record selection box 151, a state storage unit 153, and a state input unit 154. That is, only the record selection column 151 is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as shown in FIG. 2D, but when one menu of the record display field 151 is selected, as shown in FIG. 2E. The state storage unit 153 and the state input unit 154 are displayed. In this case, the state storage unit 153 may store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tate input unit 154 to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or seal the input information. To perform.

한편, 도 2e 에 도시된 환자정보 입력부(150)의 기록선택란(151), 상태 저장부(153)는 기록선택란(151)에서 선택된 메뉴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표현되나 상기 상태 입력부(154)는 기록선택란(151)에서 선택된 메뉴의 종류 또는 선택된 메뉴 내의 또 다른 세부 메뉴에 따라서 그 형태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ord selection box 151 and the state storage unit 153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illustrated in FIG. 2E are expressed in the same form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menu selected in the record selection field 151. )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menu selected in the record selection box 151 or another detailed menu in the selected menu.

즉, 도 2e 는 기록선택란(151)에서 외래초진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으로써, 외래초진 메뉴의 경우에는 상태 입력부(154)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래초진 중에 필요한 세부 메뉴로써 7가지를 포함하고 있는 외래초진 메뉴부(154a)와 상기 외래초진 메뉴부에 의해 선택된 상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154a-1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래초진 메뉴부(154a)는 외래초진을 선택한 상태에서는 그 형태가 변하지 않으며, 다만 외래초진 메뉴부에 의해 선택되어진 메뉴에 따라 입력창(154a-10)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That is, FIG. 2E is a screen that appears when the outpatient menu is selected in the record selection box 151. In the case of the outpatient menu, the state input unit 154 shows seven types of detailed menus required during the outpatient visit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osed of a window (154a-10) for inputting the foreign initial menu portion 154a and the status information selected by the foreign initial menu portion.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input window 154a-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enu selected by the foreign initial menu unit.

이때, 상기 외래초진 메뉴부(154a)는 주증상(CC), 현재 상태(PI), 과거 병력1(PHx1), 과거 병력2(PHx2), 리뷰(ROS), 신체검증(PE) 및 진료계획(A/P)의 7가지 세부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e 에 도시된 상태 입력부(154)에는 상기 7가지 메뉴 중 특히 주증상(CC) 메뉴를 선택한 경우의 주증상 상태 입력부(154a-10)가 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outpatient menu menu (154a) is the main symptom (CC), the current state (PI), past history 1 (PHx1), past history 2 (PHx2), review (ROS), physical verification (PE) and treatment plan It consists of seven detailed menus of (A / P), and the state input unit 154 shown in FIG. 2E has a main symptom state input unit 154a-10 when the main symptom (CC) menu is selected, among the seven menus. ) Is displayed.

한편, 환자의 주증상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의사는 상태 저장부(153)의 저장 단축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며, 이때 입력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된다. 이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154a-10)에 표시된 각종 정보들은 사용자에 의해 체크되거나 입력을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증상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주증상에 대한 사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main symptom of the patient is input, the doctor selects the storage shortcut icon of the state storage unit 153, and the inpu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 In this cas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window 154a-10 through which information can be input are in a form of being checked or received by the user.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ain symptoms or to input the information about the main symptoms.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래초진 메뉴부(154a)의 나머지 6개 메뉴들을 선택한 후 각각 필요한 환자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내용을 저장하게 된다.In the same manner as mentioned above, after selecting the remaining six menus of the outpatient menu 154a, the respective patient information is input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stored.

한편, 도 2e 의 환자정보 열람부(140)에는 외래초진 정보를 열람하는 화면 이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140 of Figure 2e is a screen for viewing the outpatient examination information is shown.

이때, 도 2a 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환자정보 열람부(140)는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람 메뉴부(141) 및 열람 표시부(142)로 구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과정을 통해 입력된 외래초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열람 메뉴부(141)의 외래초진 메뉴(141a)를 선택하게 된다. 즉, 의사가 열람 메뉴부(141)의 외래초진 메뉴(141a)를 선택하게 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부(11)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서 해당 환자의 외래초진 정보를 불러봐 상기 의사의 의사용 단말기(20)로 전송하게 되며, 열람 표시부(14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140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2A is divided into a reading menu unit 141 and a reading display unit 142 as shown in FIG. 2E, and in particular, outpatient initi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bove process. In order to check the selection of the outpatient menu 141a of the viewing menu unit 141. That is, when the doctor selects the outpatient menu 141a of the reading menu unit 141, the control unit 11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calls outpatient outpatient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 for output through the view display unit 142.

한편, 열람 표시부(142)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로서, 기록선택(151) 메뉴 중 외래초진 메뉴를 선택하여 세부 7개 메뉴 즉, 주증상(CC), 현재 상태(PI), 과거 병력1(PHx1), 과거 병력2(PHx2), 리뷰(ROS), 신체검증(PE) 및 진료계획(A/P) 별로 입력된 정보들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reading display unit 142 is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as described above, by selecting the outpatient menu from the record selection menu 151, namely, the main symptoms Information entered by (CC), current status (PI), past medical history 1 (PHx1), past medical history 2 (PHx2), review (ROS), physical verification (PE) and care plan (A / P).

따라서, 도 2e 의 열람 표시부(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7가지 메뉴별로 입력된 정보들이 표시되어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the browsing display unit 142 of FIG. 2E, information input for each of the seven menus is displayed.

즉, 주증상(CC) 메뉴를 통해 입력한 정보(142a-1), PHx-1 메뉴를 통해 입력한 정보(142a-2,142a-3), ROS 메뉴를 통해 입력한 정보(142a-4) 및 나머지 메뉴들에 의해 입력한 정보들이 열람 표시부(142)에 도시되어 있다.That is, information 142a-1 entered through the main symptoms (CC) menu, information 142a-2 and 142a-3 entered through the PHx-1 menu, information 142a-4 entered through the ROS menu and Information input by the remaining menus is shown in the view display unit 142.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의 기록선택란(151)에 표시된 또 다른 메뉴들을 선택한 경우에도 도 2e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환자정보가 입력되어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된 후 환자정보 열람부(140)를 통해 상기 출력된다. Meanwhile, even when another menu displayed in the record selection box 151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is selected, patient information is input by the method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2E and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fter the output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140.

다음으로, 도 2f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f 는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환자정보 열람부(140) 및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의 또 다른 메뉴 및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Next, FIG. 2F is described. 2F illustrates another menu and functions of the patient information viewing unit 140 and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which are not described above.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사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 마의 메뉴부(120), 주 메뉴부(130), 환자정보 열람부(140) 및 환자정보 입력부(150)로 크게 나눌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doctor web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the menu unit 120 of the village, the main menu unit 130, the patient information viewing unit 140, an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Can be divided into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환자정보 열람부(140)는 도 2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람 메뉴부(141)와 열람 표시부(142)로 나뉘어 질 수 있으며, 열람 메뉴부(141)의 메뉴 중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메뉴들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140 described above may be divided into a reading menu unit 141 and a reading display unit 142 as illustrated in FIG. 2F, and described above in the menu of the reading menu unit 141. Menus are shown.

즉, 열람 메뉴부(141)에는 상기에서 설명된 메뉴들 외에도, 수진이력(141-1), 기록지 이력(141-2), 오더(141-3), 검사조회(141-4), vital sheet(141-5) 및 간호일지(141-6)에 대한 메뉴들이 더 포함되어 있다. That is, the reading menu unit 141, in addition to the menus described above, the history of the photograph 141-1, the record sheet history 141-2, the order 141-3, the inspection query 141-4, vital sheet Menus for (141-5) and nursing journals (141-6) are further included.

먼저, 수진이력(141-1)은, 환자가 진료를 받은 이력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수진이력(141-1)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가 진료받은 내역을 표시한 팝업창이 뜨게 된다.First, the patient history 141-1 is to allow a patient to read a history of receiving medical treatment. When the patient history menu is selected, a popup window displaying the details of the patient's medical treatment is displayed. Will float.

다음으로, 기록지 이력(142-2)은,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 환자정보가 입력된 이력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기록지 이력(142-2)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에 대해 상기 기록 선택란(151)의 각 메뉴별로 기록된 이력을 표시한 팝업창이 뜨게 된다.Next, the recording sheet history 142-2 allows the user to view the history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When the recording sheet history 142-2 menu is selected, For example, a pop-up window displaying a history recorded for each menu of the recording selection box 151 is displayed.

다음으로, 오더(141-3)는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더 입력창(170)을 통해 입력된 오더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오더(141-3)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열람 표시부(142)에 입력된 오더 내용이 출력되게 된다.Next, the order 141-3 is used to view the contents of the order input through the order input window 170 as shown in FIG. 2C. When the order 141-3 menu is selected, the order 141-3 is selected. The contents of the order input to the browsing display unit 142 are output.

다음으로, 검사조회(141-4)는 상기 환자에 대해 각종 검사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각 검사실의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통해 입력되어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결과 내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검사조회(141-4)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검사결과에 대한 내용이 열람 표시부(142)에 출력되게 된다. 한편, 검사실 직원이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이용하여 환자의 검사 또는 치료 결과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4a 내지 도 4o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Next, the examination query (141-4) is to be able to read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various tests for the patient. In other words, the test results inputted through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of each laboratory to be able to read the test result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when selecting the test query (141-4) menu The contents of various test result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re output to the reading display unit 142.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the laboratory staff to input the test or treatment result information of the patient using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will be summarized in the description of Figures 4a to 4o below.

마지막으로, vital sheet(141-5) 및 간호일지(141-6)는 간호사용 단말기(30)에 의해 입력된 정보들로서, 예를 들어 환자의 체온, 몸무게, 혈압 등 간호사들이 측정한 내용들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Vital sheet(141-5) 메뉴를 선택하게 되며, 간호사가 일반적으로 환자를 간호하면서 기록한 간호일지에 대한 내용을 열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호일지(141-6)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즉, 간호사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정보들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열람 표시부(142) 또는 팝업창으로 출력되게 된다. 한편, 간호사가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통해 환자의 간호 중에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3a 내지 도 3f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Lastly, the vital sheet 141-5 and the nursing journal 141-6 are information input by the nurse terminal 30, for example, the patient's body temperature, weight, blood pressure, etc. If you want to see the information, you can select the Vital sheet (141-5) menu, and if you want to see the contents of the nursing log recorded by the nurse in general, the nursing log (141-6) menu. Will be chosen. That i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nurse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nd when the menu is selected, th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reading display unit 142 or a popup window. 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the nurse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nursing care of the patient through the nurse terminal 30 will be summarized in the description of Figures 3a to 3f below.

다음으로,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will be described.

즉,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는 도 2a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그인한 의사의 이름 및 입력 날자를 포함한 정보(110-1)가 출력 되며, 로그인한 상기 의사가 도 2b 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정보(110-2)와 함께 상기 환자가 속한 진료과 및 지정의와 주치의에 대한 정보(110-3)가 출력된다.That is,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outputs the information 110-1 including the name and input date of the logged-in doctor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2A, and the logged-in doctor is shown in FIG. 2B. In the case where the patient is selected by the patient, information 110-3 on the medical department to which the patient belongs, and the designated doctor and the attending physician are output together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110-2.

또한, 도 2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에는 메뉴부(110-4)가 출력되어 있는데, 상기 메뉴부는 환자 또는 진료 의사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입력 또는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F, a menu unit 110-4 is output to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and the menu unit may input or view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or the doctor.

즉, 도 2f 에는 상기 메뉴부(110-4)의 세부 메뉴로써 협진의, 처방약품, 환자정보, Alert 및 Reminder를 포함하고 있다.That is, FIG. 2F includes a consultation, prescription medicine, patient information, alert, and reminder as a detailed menu of the menu unit 110-4.

먼저, 협진의 메뉴는 상기 환자에 대해 주치의 외의 또 다른 의사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의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메뉴이다. First, the menu of consultation is a menu that allows the doctor to check the doctor when another doctor other than the attending physician is designated for the patient.

다음으로, 처방약품 메뉴는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된 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메뉴이다.Next, the prescription drug menu is a menu to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prescribed medicine for the patient.

다음으로, 환자정보 메뉴는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 출력된 환자정보(110-2) 보다 상세한 환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메뉴이다. Next, the patient information menu is a menu for confirming detailed patient information than the patient information 110-2 output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마지막으로, Alert 메뉴 및 Reminder 메뉴는 상기 환자의 진료에 있어 중요한 사항에 대해 체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Alert 메뉴의 경우에는 환자가 알러지 반응이 있는 경우에 그것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부작용이 있는 약품에 대한 사용을 금지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입력해 놓을 수도 있고, 임신 여부에 대한 항목을 체크하여 놓을 수도 있다. 즉, 상기 Alert 메뉴는 환자를 진료하는 중에 발생된 환자의 특이 정보를 의사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Reminder 메뉴는 이후의 진료과정에 있어서 의사가 한번쯤은 확인하고 넘어가야 할 사항들에 대해 입력해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Alert 메뉴 및 Reminder 메뉴는 의사가 직접 환자를 진료하는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입력된 정보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 팝업창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Lastly, the Alert menu and Reminder menu allow the user to check the important matters of the patient's care. In the case of the Alert menu, the patient may check it if there is an allergic reaction. You can either enter a message to ban the use of this drug or check the box for pregnancy. That is, the Alert menu allows the doctor to directly input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generated during the treatment of the patient. In addition, the Reminder menu is to allow the doctor to enter the items to be checked and skipped once in the subsequent treatment process. That is, the Alert menu and the Reminder menu allow the doctor to input necessary information while consulting a patient directly. The inpu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nd a pop-up window is displayed when the menu is selected. Can be output via

한편, 협진의, 처방약품, 환자정보에 대한 메뉴들 역시 해당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팝업창을 통해 화면 조회 또는 입력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때 의사가 직접 입력하여 환자정보 관리부(13)에 등록할 수도 있고, 기타 단말기(30, 40, 50)에 의해 상기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만 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menus for consultation, prescription drugs, patient information can also be displayed screen or input screen through a pop-up window when the corresponding menu is selected, the doctor directly inputs to register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lternatively, other terminals 30, 40, and 50 may check only the content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므로써, 의사는 환자들에 대한 진료 정보를 진료 즉시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정보 관리부(13)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상기 환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using the onlin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octor can store the medical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to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through the network immediately upon treatment, if desired The patient information can be viewed.

또한, 의사는 간호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 직원들에게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각종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호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 직원이 입력한 각종 환자 정보를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octor can not only send various orders necessary for the patient's care to the nurse, the laboratory staff or the general staff through the network, but also can retrieve the various patient information input by the nurse, the laboratory staff or the general staff at any time. .

한편,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f 를 참조하여 간호사용 단말기(30)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Meanwhile,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the nurse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F.

즉, 도 3a 내지 도 3f 는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시도이다That is, FIGS. 3A to 3F are various exemplary views of a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for nurses.

먼저, 도 3a 는 간호사가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 즉,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호사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 마이 메뉴부(220), 주 메뉴부(230), 환자 선택부(240) 및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의 다섯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First, FIG. 3A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itial screen for providing various medical information when a nurse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nurse terminal 30 and performs a normal login process.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A, the nurse web screen includes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the my menu unit 220, the main menu unit 230, the patient selection unit 240, an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50. It can be divided into five blocks.

먼저, 사용자 정보 표시부(100)는 로그인한 간호사의 정보(사용자)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접속한 간호사가 정보의 열람 및 입력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이름, 병원내에서의 환자 등록번호, 치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되며, 이외에도 진단명, 수술명, 협진의, 처방약품 등에 대한 정보 중 해당되는 사항들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 또한,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3b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First,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00 outputs the logged-in nurse information (user). In addition, when the connected nurse selects a patient who wants to view and input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patient's name, patient registration number in the hospital, treatment department, designated doctor, and the attending physician is displayed. Information about consultations, prescription drugs, etc.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bove 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In addition, a method of selecting a patient will be summariz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B below.

다음으로, 마의 메뉴부(220)는 각 사용자(간호사)가 주메뉴부(230)에 있는 다수의 메뉴들 중 자신이 즐겨쓰는 메뉴에 대하여 설정된 단축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마의 메뉴부(220)는 각 간호사별로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주 메뉴부(230)에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의 메뉴부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주 메뉴부(130)에 구비되어 있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 메뉴부 내의 "My menu"란 메뉴 버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의 메뉴부(220)에 표시되어 있는 단축 아이콘 들은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메뉴로써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Next, the menu unit 220 of the village displays a shortcut icon set for a menu that is used by each user (nurse) among the plurality of menus in the main menu unit 230. That is, the menu unit 220 of the forehead can be set by selecting the menu desired by the nurse in the main menu unit 230 for each nurse, the menu for setting the menu unit of the fore is provided in the main menu unit 130 As shown or shown in the figure, a menu button called "My menu" in the My Menu section may be used. In addition, the shortcut icons displayed on the menu portion 220 of the forehead may be preset as a menu that is commonly used.

다음으로, 주 메뉴부(230)는 간호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메뉴들을 정리한 것으로써 주 메뉴부(230) 내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다양한 메뉴가 트리형태로 출력되며, 의사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게 된다.Next, the main menu 230 summarizes all the menus available to the nurse. When the menu button in the main menu 230 is clicked, various menus are output in a tree form, and the doctor selects a desired menu. do.

다음으로, 환자 선택부(240)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정보들 중 정보 검색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블록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도 3b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Next, the patient selecting unit 240 is a block for selecting a patient to search for information among the pati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B below. I will summarize it in the explanation.

다음으로, 환자정보 입출력부(250)는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도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으로써, 도 3a 의 단계에서는 아직 환자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이며 기본적으로 오더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창이 활성화 되어 있다. Next,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50 is a block that allows the nurse to input or check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while the nurse is nursing the patient. In the step of FIG. 3A, the patient has not yet been selected and basically confirms the order contents. A window can be activat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250)를 통해 간호사가 입력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며, 간호사가 간호사용 웹화면의 마의 메뉴부(220) 또는 주 메뉴부(230)의 메뉴 클릭을 통해 해당 정보에 대한 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간호사용 웹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nurse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it 250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e nurse menu menu 220 of the forehead of the nurse's web screen Or, if a request for the information is made by clicking the menu of the main menu unit 230, th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output through the nurse web screen.

다음으로, 도 3b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b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환자 선택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간호사가 로그인을 하여 도 3a 와 같은 간호사용 웹화면이 활성화되는 경우, 간호사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환자들 중 정보를 원하는 환자를 상기 환자 선택부(24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Next, FIG. 3B will be described. 3B is for explaining a patient selection unit of the nurse web screen. That is, when the nurse logs in and the nurse web screen as shown in FIG. 3A is activated, the nurse may select a patient who wants information from the patients in charge through the patient selector 240.

이때,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호사가 제1 환자 선택 버튼(240-1)을 클릭하게 되면, 병동, 응급, 외래, 수술장, 투석, 주사처치 등의 메뉴가 활성화 되며, 병동을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인 경우에는 병동을 선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인 경우에는 응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수술실에 있는 간호사인 경우에는 수술장을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nurse clicks the first patient selection button 240-1, as shown in FIG. 3B, menus such as ward, emergency, outpatient, operating room, dialysis, and injection treatment are activated and are in charge of the ward. If you are a nurse, you will choose a ward. Similarly, a nurse in an emergency room can choose an emergency, and a nurse in an operating room can select an operating room.

이때, 간호사가 병동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환자 선택 버튼(240-2)이 표시되며, 상기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병원내의 각 병동이 표시되고, 이때 간호사가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병동을 선택하면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병동의 환자 목록(240-3)이 출력된다. 간호사는 상기 환자들의 목록(240-3) 중에서 정보를 원하는 환자를 선택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nurse selects the ward, as shown in FIG. 3B, the second patient selection button 240-2 is displayed. When the button is clicked, each ward in the hospital is displayed, and the nurse is in charge of the ward. When the ward is selected, the patient list 240-3 of the ward is output as shown in FIG. 3B. The nurse selects a patient who wants information from the list of patients 240-3.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설정에 따라 각 간호사별로 환자의 정보를 열람 및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을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each nurse may be given a different authority to view and input patient information.

다음으로 도 3c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c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환자를 선택한 경우의 사용자 정보 표시부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도 3b 의 화면에서 간호사가 정보 검색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의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이다. Next, FIG. 3C will be described. 3C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when a patient is selected from a nurse web screen, and an example for describing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when a nurse selects a patient for information search on the screen of FIG. 3B. Screen.

즉, 환자 선택부(240)의 환자목록(240-3)에서 이용세란 환자의 목록(240-4)을 선택하게 되면, 간호사용 웹화면의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에는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That is, when the user list 240-4 is selected from the patient list 240-3 of the patient selection unit 240, the information on the patient is displayed on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of the nurse web screen. Is displayed.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에는 도 3a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그인한 간호사의 이름 및 접속일자를 포함한 정보(210-2)가 출력 되며, 선택된 환자의 정보(210-1)와 함께 상기 환자가 속한 진료과 및 지정의와 주치의에 대한 정보(210-3)가 출력된다.In this case,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A,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outputs the information 210-2 including the name of the logged in nurse and the access date,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210-1 of the selected patient. Information 210-3 about the medical department to which the patient belongs, the designated doctor, and the attending physician are output.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에는 메뉴부(210-4)가 출력되어 있는데, 상기 메뉴부(210-4)는 환자 또는 진료 의사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입력 또는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menu unit 210-4 is output to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The menu unit 210-4 may input or view additional detailed information about a patient or a doctor. I would have to.

즉, 도 3c 에는 상기 메뉴부(210-4)의 세부 메뉴로써 협진의, 처방약품, 환자정보, Alert 및 Reminder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세부 메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2g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at is, FIG. 3C includes a consultation, prescription medicine, patient information, alert, and reminder as a detailed menu of the menu unit 210-4. In this case,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menu will be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as the content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2G.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가 선택되면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를 통해 환자 정보가 출력되며, 마의 메뉴부(220)의 각 메뉴들도 사용가능한 상태로 활성화 된다.Meanwhile, when the patient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and each menu of the menu unit 220 of the village is also activated in a usable state.

즉, 환자가 선택된 후에는 상기 마의 메뉴부(220) 또는 주 메뉴부(230)의 각종 환자 관리 메뉴들을 통해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fter the patient is selected,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may be input or browsed through various patient management menus of the menu unit 220 or the main menu unit 230 of the forehead.

한편, 상기 마의 메뉴부(220)의 세부 단축 아이콘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정 불가능하게 셋팅되어져 있을 수도 있으며, 사용하는 간호사에 의해 추가 및 삭제가 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shortcut icons of the menu portion 220 of the forehead may be set to be unmodifiable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added and deleted by the nurse to use.

도면에서는, 오더수행, 라벨&Name Card 출력, 간호일지, 임상관찰, 중환자 간호기록, 간호활동 수행, 초기 간호 정보, 퇴원간호계획, 수술전 간호 상태 확인표, 간호일지 및 간호활동 조회, 환자위치 이동확인, 처치발행, 식이발행 및 조회, 투약라벨 출력, 처치라벨 출력, 수혈라벨 출력, 검체라벨 출력, 검사결과 조회, 퇴원진행 및 프린트 등 20개의 단축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단축아이콘에 따른 메뉴들 중 오더수행 및 간호일지 메뉴에 따른 간호사용 웹화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In the drawing, order execution, label & name card output, nursing journal, clinical observation, critical care nursing record, nursing activity performance, initial nursing information, discharge nursing plan, pre-operative nursing status check table, nursing log and nursing activity inquiry, patient position movement confirmation 20 shortcut icons are displayed, such as treatment issuance, dietary issuance and inquiry, dosage label output, treatment label output, blood transfusion label output, sample label output, test result inquiry, discharge progress and print, and the following Among the menus, I will explain the web screen for nurses according to the order performance and nursing journal menu.

즉, 도 3d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마의 메뉴부에서 오더수행 단축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의 예시도이다.That is, FIG. 3D is an exemplary view when an order performance shortening icon is selected in a menu section of a nurse's web screen.

즉, 마의 메뉴부(220)의 오더수행 단축 아이콘(220a)을 선택하게 되면,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에는 오더내역(250a-5)이 출력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order performance shortcut icon 220a of the menu unit 220 of the village is selected, the order details 250a-5 are output to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50 as shown in FIG. 3D.

이때, 상기 오더내역(250a-5)은 상기 환자의 담당 의사가 상기 도 2c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입력한 내용으로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던 것이다.At this time, the order 250a-5 is inputted by the doctor in charge of the patient by the method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2C and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한편, 오더수행 단축 아이콘에 의해 출력된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에는 오더내역(250a-5) 뿐만 아니라 수행시간, 약접수시간 등의 항목들도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내용을 확인하였는지를 체크할 수 있는 업무확인 버튼(250a-1) 및 익일오더확인 버튼(250a-2)과 전일오더확인 버튼(250-3)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을 통해 내용을 확인한 후 원래의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복귀 버튼(250a-4)도 표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50 outputted by the order performance shortcut icon displays not only the order details 250a-5 but also items such as the execution time and the reception time, an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ontents are confirmed. There is a business confirmation button (250a-1) and the next day order confirmation button (250a-2) and the previous day order confirmation button (250-3) is displayed, so that you can return to the original screen after checking the contents through the button The screen return button 250a-4 is also displayed.

즉, 상기와 같은 오더내역 확인을 통해 간호사는 환자에 대해 의사가 지시한 오더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order as described above, the nurse performs an order instructed by the doctor for the patient.

다음으로, 도 3e 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e 는 간호사용 웹화면 중 마의 메뉴부에서 간호일지 단축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의 예시도이다.Next, FIG. 3E will be described. Figure 3e is an example of the case of selecting a nursing journal short cut icon in the menu section of the nurse web screen.

즉, 마의 메뉴부(220)의 간호일지 단축 아이콘(220b)을 선택하게 되면, 도 3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250)에는 날짜별로 환자를 간호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내용들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출력되며, 간호사는 상기 입력창에서 해당 내용(대변봄)(250b-2)을 선택해 클릭하게 되며, 이때 선택된 내용은 간호기록란에 표시된다. That is, when the nursing journal shortening icon 220b of the menu unit 220 of the village is selected, as shown in FIG. 3E,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50 may input contents generated while nursing the patient by date. The input window is output, and the nurse selects and clicks the corresponding content (stool spring) 250b-2 from the input window, and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nursing record field.

한편, 상기 입력창은 병동과 공유 폴더로 구분되어 있어서, 각 병동별로 필요한 세부 메뉴를 정리하거나 또는 병원전체에서 사용되는 메뉴로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e 에 도시된 입력창은 병동폴더에서 해당 환자가 속해있는 병동을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목록을 표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window is divided into a ward and a shared folder, it is possible to organize the detailed menu required for each ward or to a menu used throughout the hospital. For example, the input window shown in FIG. 3E displays a list that appears when the ward to which the patient belongs is selected in the ward folder.

상기와 같이 입력한 내용을 간호기록란에서 확인한 후 저장버튼(250b-1)을 클릭하게 되면, 입력된 내용은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는 한편, 간호일지 표시란(250b-3)에 출력된다.After confirming the input contents as described above in the nursing record column and clicking the save button 250b-1, the input contents are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nd outputted in the nursing journal display field 250b-3. do.

또한, 입력된 내용이 간호문제와 관련된 경우에는 별도의 창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간호활동과 관련된 경우역시 별도의 창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 입력된 간호일지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content is related to nursing problems, it may be output through a separate window, and when related to nursing activities, it may be output through a separate window. In addition, a window may be displayed to check the contents of a nursing journal recently input.

즉, 상기와 같은 간호일지 내용의 입력 및 출력을 통해 간호사는 각 날짜별로 환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해 입력된 간호일지는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는 한편, 상기 도 2f 에서 설명된 간호일지 메뉴(141-6)에 의해 의사가 열람해볼 수 있게 된다.That is,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of the contents of the nursing journal as described above, the nurse can check the state of the patient for each date. In addition, while the nursing journal input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the doctor can view the nursing journal menu 141-6 described in FIG. 2F.

한편, 상기에서 언급된 마의 메뉴부(220)의 메뉴들 외에도 환자의 간호에 필요한 다양한 메뉴들이 있으며, 간호사는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내용을 열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내용을 입력하므로써 환자의 상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menus of the menu unit 220 of the above-mentioned town, there are various menus necessary for the nursing of the patient, and the nurse can select the corresponding menu to read the corresponding contents and, if necessary, input new content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actively cope with changes in the patient's condition.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므로써, 간호사는 환자들에 대한 간호 정보를 간호 즉시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정보 관리부(13)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상기 환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using the online nurs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nurse can store the nursing information for the patient to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through the network immediately after nursing, if desired At any time, the patient information can be read.

또한, 간호사는 의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 직원들에게 환자의 간호에 필요한 각종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 검사실 직원 또는 일반 직원이 입력한 각종 환자 정보를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nurse can not only send various orders necessary for the care of the patient to the doctor, the laboratory staff or the general staff through the network, but also can retrieve the various patient information input by the doctor, the laboratory staff or the general staff at any time. .

한편,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30)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각종 검사실의 직원들이 상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정상적으로 접속한 경우에, 상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를 통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Meanwhile,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staff of various laboratories are normally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rough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the online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rough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is provided. I will explain how to manage information.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될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검사 요청을 열람하고 검사 결과를 입력하는 주체는 검사실 직원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결과를 열람하거나 판독내용을 입력하는 주체는 의사 또는 간호사가 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 한정되어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의사용 단말기(20) 및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통해서도 검사 결과를 열람하거나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 상기 검사실 직원, 의사, 간호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검사요원"이란 명칭을 사용하겠으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단말기"란 명칭을 사용하겠다. 다만, 검사실 직원, 의사, 간호사를 구분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 해당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겠다. However,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described below, a subject who reads a test request and inputs a test result may be referred to as a laboratory staff, but a subject who reads a result or inputs a reading may be a doctor or a nurs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That is, the doctor may also read or input the test result through the terminal 20 and the nurse terminal 30. Therefore, hereinafter, the concept including the laboratory staff, doctors and nurses using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use the name "inspection personnel",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the doctor terminal ( 20), as a concept including a nurse terminal 30, the term "terminal" will be used. However, if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laboratory staff, doctors, and nurses, each name will be use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될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의사, 간호사 및 검사실 직원 모두에게 공유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들과 차이점이 있다. 즉, 의사용 단말기(20)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의사에게 부여된 아이디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사용자에게만 허용되는 것이며, 간호사용 단말기(30)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간호사에게 부여된 아이디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사용자에게만 허용되는 것이나,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그 특성상 검사실 직원 뿐만 아니라 의사 또는 간호사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is different from the methods described above in that it can be shared to all doctors, nurses and laboratory staff. That is,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executed in the doctor terminal 20 is allowed only to a user logging in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with an ID given to the doctor, and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executed in the nurse terminal 30. Is permitted only to a user who logs in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with an ID assigned to a nurse, but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executed in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laboratory staff but also to doctors or nurses. have.

따라서,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에서 실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기본적으로 출력되는 화면 정보를 달리하도록 하므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Accordingly,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executed in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convenience in use may be given by varying screen information that is basically output according to information of a user who logs in to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It may be.

즉, 의사가 이하에서 설명될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판독화면 또는 검사결과 조회화면을 기본적으로 출력해주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간호사의 경우에는 검사결과 조회화면을 기본적으로 출력해주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검사실 직원의 경우에는 의사가 발급한 오더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을 기본적으로 출력해 주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기본출력 화면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운영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octor uses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the doctor may set to output the reading screen or the test result inquiry screen by default, and the nurse may be set to output the test result inquiry screen by default. . In addition, the laboratory staff may be set to output a screen to search the order contents issued by the doctor by default. However, the above-mentioned basic output screen may be variously set by the operator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검사는 그 수행 업무에 따라 크게 네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다. 즉, 심전도, 근전도, 뇌파검사 등 각 진료과별로 할당된 검사를 담당하는 기능 검사, 물리치료, 작업치료 등을 담당하는 재활의학, 건강체크를 위한 검사를 담당하는 건강증진검사 및 방사선 치료를 담당하는 방사선치료의 네가지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spec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its performance. In other words, ECG, EMG, electroencephalography, etc., assigned to each department of examination, functional examination,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rehabilitation medicine for health checkup, health checkup for the health checkup and radiation therapy It can be divided into four areas of radiation therapy.

이하에서는, 상기 기능 검사, 재활의학, 건강증진검사 및 방사선치료의 네가지 업무분야에서 실행될 수 있는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방법에 대해 각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n onlin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at can be executed in four work areas of the functional test, rehabilitation medicine, health promotion test, and radiation therap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a 내지 도 4o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 중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예시도이다4A to 4O are various exemplary diagrams of a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for a laboratory among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s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 내지 도 4e 는 검사요원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기능검사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들이다. First, FIGS. 4A to 4E illustrate various screen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 function test when a test agent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terminal and performs a normal login process.

즉, 도 4a 는 검사요원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네가지 메뉴 중 기능 검사를 선택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That is, FIG. 4A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itial screen for providing various medical information when a test agent selects a function test among the four menus after accessing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his terminal and performing a normal login process. .

한편,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요원이 정상적인 로그인을 거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한 경우에 활성화 되는 웹브라우져 화면(이하, 간단히 "검사실용 웹화면"이라 함)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a), 주 메뉴부(330a),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의 세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4A, a web browser scree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n “laboratory web screen”) that is activated when an inspection agent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rough a normal login is a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 310a), the main menu unit 330a, an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a may be divided into three blocks.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a)는 로그인한 검사요원의 정보(사용자)를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310a outputs the information (user) of the logged-in inspection personnel.

또한, 접속한 검사요원이 정보의 열람 및 입력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경우에는 환자의 이름, 병원내에서의 환자 등록번호, 치료과, 지정의, 주치의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되며, 이외에도 진단명, 검사이력, 수진이력 등을 조회할 수 있는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기능 검사실이 세분화 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검사실을 검색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환자 정보는 병원내의 환자접수를 담당하는 일반직원들에 의해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입력된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connected test staff selects a patient who wants to view and input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patient's name, patient registration number, treatment department, designated doctor, and the attending physician is displayed.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the visit, etc.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functional laboratory is subdivided, a menu for searching the laboratory may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basic patien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hrough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by the general staff in charge of patient reception in the hospital.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자 번호" 메뉴를 클릭한 경우에 출력되는 환자선택 창에서 정보의 입력 및 열람을 원하는 환자를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atient selection window that is output when the "patient number" menu as shown in the figure is clicked, a patient who wants to input and view information can be selected.

또한, 주 메뉴부(330a)는 검사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열해 놓은 것으로써, 상기 메뉴들 중 중요한 메뉴들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4b 내지 도 4e 에 대한 설명에서 정리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menu unit 330a lists menus that can be used by the inspector, and important menus of the menus will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FIGS. 4B to 4E.

또한,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는 검사요원이 해당 환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으로써, 아래의 도 4b 내지 도 4e 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정리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a is a block for allowing the inspector to input or confirm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which will be described together in the description of FIGS. 4B to 4E below.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를 통해 검사요원이 입력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며, 검사요원이 검사실용 웹화면의 주 메뉴부(330a)의 메뉴 클릭을 통해 해당 정보에 대한 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검사실용 웹화면을 통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입력된 정보가 이미지인 경우에는 이미지 정보 관리부(14)에 상기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test personnel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it (350a)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e test personnel the main menu portion of the laboratory web screen When a request for the information is made by clicking on the menu (330a), th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output through the laboratory web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an image, the image may be separately stored and managed in the image information manager 14.

다음으로, 도 4b 는 상기 주 메뉴부(330a)의 메뉴 중 오더조회 메뉴(330a-1)를 선택한 경우의 검사실용 웹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써, 원하는 환자를 선택한 후 상기 오더조회 메뉴(330a-1)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에 대하여 의사 또는 간호사가 요청한 오더(Order)가 오더조회 메뉴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1)를 통해 출력된다. 즉, 도 2c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의사 또는 간호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도중에 요청한 검사항목 내용이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1)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오더의 내용들은 의사용 단말기(20) 또는 간호사용 단말기(30)를 통해 입력되어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 즉, 검사요원 특히 실제로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 검사실 직원은 상기 환자에 대한 오더를 확인한 후 그에 따라 필요한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Next, FIG. 4B illustrates a laboratory web screen when the order inquiry menu 330a-1 is selected among the menus of the main menu unit 330a. After selecting a desired patient, the order inquiry menu 330a-1 is shown. ), An order requested by a doctor or a nurse for the patient is output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a-1 for the order inquiry menu. That is,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2C, the test item contents requested by the doctor or the nurse while the patient is being treated are output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a-1. At this time, the contents of the order to be output 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is input through the doctor terminal 20 or the nurse terminal 30. In other words, the laboratory personnel, in particular, the laboratory staff who will actually perform the inspection will check the order for the patient and perform the necessary inspection accordingly.

다음으로, 도 4c 는 상기 주 메뉴부(330a)의 메뉴 중 접수메뉴(330a-3)를 선택한 경우의 검사실용 웹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접수메뉴(330a-3)를 선택하게 되면 검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 검사항목 및 검사일정 등을 접수받을 수 있는 접수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3)가 출력되게 되며, 검사요원은 상기 입출력부(350a-3)에 해당 내용을 입력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검사실 접수를 완료하게 된다. 즉, 검사요원은 환자에 대한 오더를 열람하고 그에 따른 검사를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 대한 검사 접수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도 있다.Next, FIG. 4C illustrates a web screen for a laboratory when the reception menu 330a-3 is selected among the menus of the main menu unit 330a. When the reception menu 330a-3 is selected, the inspection is performe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a-3 for receiving a test item and a test schedule for the required patient is outputted, and the test personnel input the corresponding contents to the input / output unit 350a-3 to the patient. The laboratory will complete the application. That is, the inspector can not only view the order for the patient and perform the test accordingly, but also input or view the test receipt for the patient.

다음으로, 도 4d 는 상기 주 메뉴부(330a)의 메뉴 중 시행메뉴(330a-4)를 선택한 경우의 검사실용 웹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시행메뉴(330a-4)를 선택하게 되면 검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 수행해야할 검사의 목록을 확인하고 검사 시행 결과를 체크할 수 있는 시행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4)가 출력되게 되며, 검사요원은 상기 입출력부(350a-4)에 해당 내용을 입력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검사 시행을 완료하게 된다. Next, FIG. 4D illustrates a laboratory web screen when the trial menu 330a-4 is selected among the menus of the main menu unit 330a. When the trial menu 330a-4 is selected, the test is performe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a-4 for outputting a check list of tests to be performed for the required patient and checking the test result is output, and the test personnel have corresponding contents in the input / output unit 350a-4. This completes the test run on the patient.

즉, 도 4d 에 표시된 시행 메뉴에 따른 화면은 해당 검사과의 검사실로 의뢰된 검사중 접수된 검사를 실시처리하는 화면이다. That is, the screen according to the trial menu shown in FIG. 4D is a screen for performing processing of the inspections received during the inspection requested to the inspection room of the inspection department.

즉, 검사요원은 환자에 대한 오더를 열람하고 그에 따른 검사를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 대한 검사 접수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도 있다.That is, the inspector can not only view the order for the patient and perform the test accordingly, but also input or view the test receipt for the patient.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메뉴들 외에도 주 메뉴부(330)에는 예약조회, 검사예약, 통계, 검사코드관리, 검사실예약생성, 검사실기준정보 등록 및 검사실등록과 같은 다양한 메뉴들이 있으며, 이러한 메뉴들은 검사실을 찾는 환자들을 관리하거나 다수개의 검사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들이다. 즉, 검사를 시행할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 또는 열람하거나, 검사를 실시한 환자의 정보(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입력 또는 열람하거나, 각 검사실별로 필요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들이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menus described above, the main menu unit 330 includes various menus such as reservation inquiry, inspection reservation, statistics, inspection code management, laboratory reservation generation, laboratory standard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laboratory registration. It is to manage patients who seek or to systematically manage multiple laboratories. That is, menus for inputting or viewing information on patients to be examined, inputting or viewing information (text or image) of patients who have been examined, or register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each laboratory.

이때, 검사를 실시한 환자의 정보가 특히 엑스레이사진, CT촬영사진, 초음파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들을 컴퓨터에서 검색할 수 있는 이미지로 변환하여 이미지 정보 입력 메뉴를 통해 이미지 정보 관리부(14)에 저장하게 된다. 즉, 검사 장치에 의해 바로 컴퓨터에서 검색할 수 있는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검사 장치로부터 해당 이미지를 읽어와 상기 검사실용 웹화면의 이미지 등록 메뉴를 통해 바로 입력을 할 수 있으며, 직접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스캐너와 같은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검색할 수 있는 이미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이미지 관리부(15)에 저장되며,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된다.At this time, if the information of the patient subjected to the examination is image information, such as X-ray photographs, CT photographs, ultrasound pictures, and the like, the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 converts the images into images that can be searched by a computer and through an image information input menu. ). That is, when the inspection device can be directly output as an image that can be retrieved from the computer, the image can be read directly from the inspection device and can be directly input through the image registration menu of the laboratory web screen. If this is impossible, a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n image, such as a scanner, is converted into an image that can be retrieved from a computer and stored.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above process is stored in the image management unit 15, when the request of the doctor, nurse or laboratory staff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output.

마지막으로, 도 4e 는 상기 주 메뉴부(330a)의 메뉴 중 판독메뉴(330a-5)를 선택한 경우의 검사실용 웹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판독메뉴(330a-5)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환자에 대해 실시된 검사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판독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a-5)가 출력되게 되며, 의사는 상기 입출력부(350a-5)에 출력되는 검사 내용을 확인하므로써 검사결과에 대한 판독과정을 수행하게 된다.Finally, FIG. 4E illustrates a laboratory web screen when the reading menu 330a-5 is selected among the menus of the main menu unit 330a. When the reading menu 330a-5 is selected, the selected patient is selecte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a-5 for reading which can read the contents of the test performed for the output is outputted, and the doctor confirms the test contents output to the input / output unit 350a-5 for the test result. The reading process is performed.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검사 결과에 대한 각종 수치 또는 자료가 상기 입출력부(350a-5)의 우측화면에 출력되게 되며, 의사는 상기 수치 또는 자료들을 검색하면서 각 수치 또는 자료에 따라 해당 체크란에 체크를 하므로써 상기 검사 결과에 대한 판독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various numerical values or data on the test result are output on the right screen of the input / output unit 350a-5, and the doctor checks the corresponding value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numerical values or data while searching the numerical values or data. By checking the column, the test result is read.

즉, 검사실 직원은 상기와 같은 메뉴들을 통하여 요청된 오더에 따라 환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의사는 실시된 검사 내용을 판독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정확한 검사결과를 추출해 낼 수 있고, 그에 따라 환자에 대한 진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laboratory staff can perform a test on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requested order through the menus as described above, and the doctor can extract an accurate test result on the patient by reading the test content, and accordingly the patien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medical treatment.

다음으로 도 4f 내지 도 4i 는 검사요원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재활의학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들이다. Next, FIGS. 4F to 4I illustrate various screen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rehabilitation medicine when an inspector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terminal and performs a normal login process.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재활 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과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 검사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의 차이점은, 상기 기능 검사에서 시행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는 검사결과를 의사가 판독하는 과정이 수반되는 것이나, 재활 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물리치료, 작업치료와 같은 치료를 위한 것으로써 판독과 같은 절차가 반드시 수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At this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the rehabilitation medicine and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the functional test described abov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in the functional test process of the doctor reads the test results This entails, but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in rehabilitation medicine is for the treatment such as physio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procedure such as reading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먼저, 도 4f 는 검사요원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네가지 메뉴 중 재활 의학을 선택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First, FIG. 4F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itial screen for providing various medical information when an inspector selects rehabilitation medicine among the four menus after accessing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his terminal and performing a normal login process. .

한편, 도 4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사실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b), 주 메뉴부(330b), 환자정보 입출력부(350b)의 세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aboratory web screen as shown in Figure 4f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blocks,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310b, the main menu unit 330b,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it 350b.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b)는 도 4a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그 외에도 이하에서 상기 도 4a 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310b is the same as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the description of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310b will be omitted.

또한, 주 메뉴부(330b)는 검사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열해 놓은 것이다.In addition, the main menu unit 330b lists the menus available to the inspector.

또한, 환자정보 입출력부(350b)는 검사요원이 해당 환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이다.In addition,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b is a block that allows the inspector to input or confirm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즉, 재활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주 메뉴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원환자 조회, 신환조회, 접수, 치료사 배정, 치료예정 조회, 치료 및 통계 등이 있을 수 있다.That is, the main menu used for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in rehabilitation medicine may include discharge patient inquiry, retrieval inquiry, receptionist, therapist assignment, treatment schedule inquiry, treatment and statistics as shown in the figure.

이중 퇴원환자 조회는 재활의학에 등록되어 있는 환자들 중에서 퇴원환자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기 의한 것이며, 신환조회는 새롭게 재활의학 서비스에 등록된 환자를 검색하기 위한 메뉴이다.Dual inpatient inquiry i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ischarge patient among patients registered in rehabilitation medicine, and the retrieval inquiry is a menu for searching patients newly registered in rehabilitation medicine services.

또한, 도 4g 에 도시된 접수메뉴(330b-1)는 검사요원이 직접 환자에 대해 재활의학에 접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뉴로서 도 4g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해 검사요원이 접수를 받게 된다. 상기 도 3b 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접수된 환자 정보 및 수가 내용은 환자정보 관리부(13) 또는 일반원무 관리부(16)에 각각 저장되게 된다.In addition, the reception menu 330b-1 illustrated in FIG. 4G is a menu for allowing the examination staff to directly receive the rehabilitation medicine for the patient and receive the reception staff through the screen as shown in FIG. 4G. do. The patient information and number received through the screen shown in FIG. 3B are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r the general office management unit 16, respectively.

또한, 도 4h 에 도시된 화면은 재활의학이 요구되는 환자들에 대해 각각 치료를 담당할 치료사를 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다. 즉, 재활의학실을 담당하는 선임 또는 담당자는 도 4h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료사 배정 화면에서 치료사 배정 메뉴(330b-2)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치료사를 배정할 수 있는 창(350b-2)이 출력되며, 담당자는 환자정보 및 치료 내용에 따라 각 환자별로 치료사를 배정하게 된다. 이때 배정된 치료사의 정보는 환자정보와 함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된다.In addition,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4H is a screen for assigning a therapist who will be in charge of each treatment for patients in need of rehabilitation medicine. That is, the senior or person in charge of the rehabilitation medicine room selects the therapist assignment menu 330b-2 on the therapist assignment screen as shown in FIG. 4H. At this time, a window 350b-2 for assigning a therapist is output, and the person in charge assigns a therapist for each patient according to patient information and treatment contents. At this time, the assigned therapist'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together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또한, 도 4i 에 도시된 화면은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들의 목록과 치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화면이다. 즉, 각 치료사는 치료 메뉴(330b-3)를 선택한 후 자신에게 배정된 환자들의 목록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치료를 수행한 후 그 수행결과를 치료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b-3)에 체크하여 저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4I is a screen for checking a list of patients to be treated and whether to be treated. That is, each therapist selects a treatment menu (330b-3), checks the list of patients assigned to him, performs treatment accordingly, and checks the result of the treatment in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b-3 for treatment. Will be saved.

상기 메뉴들 외에도 치료예정 메뉴는 치료가 예정된 환자들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메뉴이며, 통계 메뉴는 치료에 따른 각종 정보에 대한 통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이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nus, the menu to be treated is a menu for viewing information on patients scheduled for treatment, and the statistics menu is a menu for performing statistical processing on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reatment.

즉, 상기와 같은 메뉴들을 통하여 검사실 직원은 요청된 치료 오더에 따라 환자에 대한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기록하므로써 의사 또는 간호사는 상기 환자에 대해 정상적으로 치료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rough the menus described above, the laboratory staff can perform the treatment for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requested treatment order, and by recording the result, the doctor or the nurse can confirm whether the treatment is normally performed for the patient. .

다음으로 도 4j 내지 도 4m 은 검사요원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건강증진검사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들이다. Next, FIGS. 4J to 4M illustrate various screen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 health promotion test when an inspection agent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terminal and performs a normal login process.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건강증진검사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의사에 의한 환자의 치료와는 상관없이 건강증진검사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에 대하여 건강증진검사 신청을 받고 그 검진 결과를 입력한다는 점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검사 및 재활의학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각종 검사를 수행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in the health promotion tes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applied to the users who wish to receive the health promotion test regardless of the treatment of the patient by the doctor and receives the health promotion test application and inputs the result of the checkup. However, the functional test and rehabilitation medicine department described above can be said to be different in nature. However, it can be said to be similar in that various tests are performed.

먼저, 도 4j 는 검사요원이 정상적인 로그인을 거쳐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한 경우에 활성화 되는 검사실용 웹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실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c), 주 메뉴부(330c),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세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First, FIG. 4J illustrates an example of a laboratory web screen that is activated when an inspection agent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hrough a normal login. As illustrated in FIG. 4A, the laboratory web screen is user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310c, the main menu unit 330c, an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c may be divided into three blocks.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c)는 도 4a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그 외에도 이하에서 상기 도 4a 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310c is the same as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the description of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310c will be omitted.

또한, 주 메뉴부(330c)는 검사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열해 놓은 것이다. 이때, 도 4j 에 도시된 검사실용 웹화면에서는 도 4a 또는 도 4f 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주메뉴 버튼이 있고 상기 주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전체 메뉴가 트리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menu unit 330c lists the menus available to the inspector. At this time, in the laboratory web screen illustrated in FIG. 4J, unlike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4A or 4F, there is a main menu button, and when the main menu button is clicked, the entire menu is displayed in a tree form.

또한,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는 검사요원이 해당 환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이다.In addition,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c is a block that allows the inspector to input or confirm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즉, 건강증진검사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주 메뉴는 건증(건강증진검사의 약어, 이하 동일)예약 관리, 건증검사, 건증판정관리, 마스터관리의 네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상기 메뉴 각각에는 소메뉴가 있을 수 있다. That is, the main menus used in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in the health promotion test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dry management (abbreviation of health promotion test, hereinafter abbreviated), schedule management, dryness test, health decision management, and master management. There may be a submenu.

먼저, 건증예약관리 메뉴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ry beverage reservation management menu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즉, 주메뉴부(330c)에서 건증예약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4k 와 같은 건증예약 화면이 출력된다. 이때, 도 4k 에 도시된 화면은 건강증진검사 예약을 등록하는 화면으로써 해당 환자를 등록한후 환자가 원하는 패키지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환자가 추가적인 검사를 원하는 경우에는 추가검사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dry reservation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unit 330c, the dry reservation screen shown in FIG. 4K is output. In this case, the screen shown in FIG. 4K is a screen for registering a health promotion test reservation, and after registering the patient, the patient may select and store a desired package. If the patient wants an additional test, the screen may be selected. .

즉, 도 4k 의 건증예약용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왼쪽 상단부에는 패키지 종류 선택란(350c-1)이 있으며, 검사요원은 환자가 원하는 건강증진검사의 패키지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키지란 건강증진검사에 포함된 다수의 검사 목록을 연령별, 성별, 현재의 건강상태별 등으로 구분하여 각 분류별로 건강증진검사 항목을 지정해 놓은 것을 말한다. 이렇게 검사항목을 패키지화하므로써 사용자들은 간편하게 필요한 건강증진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re is a package type selection box 350c-1 at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dryness reservation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c of FIG. 4K, and the inspecting agent selects a package of a health promotion test desired by the patient. In this case, the package refers to a plurality of test lists included in the health promotion test classified by age, sex, and current health status, and the like, and specify the health promotion test item for each classification. By packaging the test items, users can easily receive the necessary health promotion tests.

한편, 상기 패키지 종류 선택란(350c-1)을 통해 패키지의 종류가 선택되면, 그에 따른 추가오더 및 검사실 목록이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왼쪽 하단부에 출력된다. 즉, 상기 패키지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는 검사항목이 출력될 수 있으며 환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 오더를 발행할 수 있다. 또한, 추가오더를 실시하는 검사실을 선택하거나 지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type of the package is selected through the package type selection box 350c-1, the additional order and the laboratory list corresponding thereto are output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c. That is, test items that can be additionally received in relation to the package can be output and additional test orders can be issued according to the patient's sel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or designate a laboratory to place additional orders.

마지막으로, 건강증진검사를 시행할 날짜를 선택한 후에는 예약등록을 하므로써, 입력된 패키지 및 사용자 정보 등이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된다.Finally, after selecting a date for the health promotion test, the registered package and the user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by registering a reservation.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주메뉴부(330c)의 오더발행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건강증진검사 외에서 시행하는 검사에 대한 오더를 발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건강증진검사를 신청한 환자들 중 별도의 검사를 추가적으로 원하는 경우에 검사오더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f the order issuance menu of the main menu unit 330c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issue an order for the test to be performed outside the health promotion test. In other words, the test order can be issued when the patient who applied for the health promotion test wants an additional test.

또한, 도 4l 에 도시된 화면은 건강증진검사를 시행하기 위한 화면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좌측에는 건강증진검사를 수진하는 환자의 정보가 출력되게 되며, 그 우측에는 실시될 건강증진검사의 목록이 출력되게 된다. 이때, 검사실 직원은 상기 목록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게 되며, 검사 항목에 대한 코멘트 및 검사 결과들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creen shown in FIG. 4L is a screen for performing a health promotion test. As shown in the drawing, information on a patient undergoing a health promotion test is output on the left side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c. On the right side is a list of health promotion tests to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laboratory staff performs th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list, and can input comments and inspection results for the inspection item. The inpu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또한, 도 4m 에 도시된 화면은 건강증진검사검사를 시행한 후에 그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화면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정보 입출력부(350c)의 좌측에는 건강증진검사를 수진한 환자의 정보가 출력되며, 그 우측에는 실시된 건강증진검사의 결과가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검사 결과는 상기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이다.In addition, the screen shown in Figure 4m is a screen that can read the results after performing the health promotion test test, as shown in the patient patient of the health promotion test on the left side of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it (350c) Information is outputted, and on the right side, the result of the health promotion test performed is outputted. In this case, the output test results 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즉, 상기와 같이 검사요원은 건강증진검사를 받고자 하는 환자들에 대한 예약을 접수받고, 그에 따라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도 조회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the inspection agent receives a reservation for the patients who want to undergo the health promotion test, and can perform the test accordingly, and the result can be inquired.

이 외에도 주 메뉴부(330c)에 도시된 다양한 메뉴들에 의해 검사 요원은 환자들에 대한 건강증진검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입력하며 조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the various menus shown in the main menu unit 330c, the inspecting agent can perform a health promotion test for the patients and input and search the results.

다음으로 도 4n 및 도 4o 는 검사요원이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경우에 방사선 치료에 따른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들이다. Next, FIGS. 4N and 4O illustrate various screen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radiation treatment when an inspector accesses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a terminal and performs a normal login process.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방사선치료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검사 또는 재활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능검사 또는 재활의학에서 다루는 검사 또는 치료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방사선 치료를 관장하는 이유로 하여 별도로 구분할필요가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the radiation treatment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operated by a method similar to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the functional test or rehabilitation medicine described above.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it separately from the functional examination or the rehabilitation medicine dealing with the reason that the radiation therapy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examination or treatment.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방사선치료에서의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그 메뉴체계 및 표현방식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상기한 기능검사 또는 재활의학에서의 의료정보 방법을 활용하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in radiation therapy,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differ in its menu system and expression method, but may be achiev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al test or medical information method in rehabilitation medicine.

먼저, 도 4n 은 검사요원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네가지 메뉴 중 방사선치료를 선택한 경우에 각종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First, FIG. 4N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itial screen for providing various medical information when an inspection agent selects radiation treatment among the four menus after accessing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his terminal and performing a normal login process. .

한편, 도 4n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사실용 웹화면은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d), 주 메뉴부(330d), 환자정보 입출력부(350d)의 세개 블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aboratory web screen as shown in FIG. 4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blocks: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310d, the main menu unit 330d, an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d.

이때, 사용자 정보 표시부(310d)는 도 4a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며, 다만 출력되는 정보의 내용은 상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310d is the same as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A, but the content of the output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또한, 주 메뉴부(330d)는 검사요원이 이용할 수 있는 메뉴들을 나열해 놓은 것이다. 이때, 도 4n 에 도시된 검사실용 웹화면에서는 도 4a 또는 도 4f 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주메뉴 버튼이 있고 상기 주메뉴 버튼을 클릭하면 전체 메뉴가 트리 형태로 나타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menu unit 330d lists the menus available to the inspector. At this time, in the laboratory web screen shown in FIG. 4N, unlike in FIG. 4A or FIG. 4F, there is a main menu button, and when the main menu button is clicked, the entire menu is displayed in a tree form.

또한, 환자정보 입출력부(350d)는 검사요원이 해당 환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한 블록이다.In addition,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d is a block that allows the inspector to input or confirm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한편, 방사선치료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주 메뉴는 도 4o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검사 또는 재활의학에서의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방사선 치료를 받을 환자에 대한 접수 및 예약, 접수상태의 확인, 방사선 치료의 시행 및 결과 입력, 방사선 치료의 결과 판독 및 열람 등의 메뉴가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menu used for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in radiation therapy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shown in FIG. 4O, and as described in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in functional examination or rehabilitation medicine, radiation therapy There may be menus such as reception and reservation of a patient to be received, confirmation of reception status, execution of radiotherapy and result input, reading and viewing of radiotherapy results.

즉, 검사 요원은 도 4o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 메뉴부(330d)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출력되는 환자정보 입출력부(350d)를 통해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열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inspecting agent can input or view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adiation therapy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350d outputted by selecting a desired menu from the main menu unit 330d as shown in FIG. 4O. .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므로써, 검사실 직원은 환자들에 대한 검사 또는 치료 결과 정보를 검사 또는 치료 즉시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정보 관리부(13)로 저장시킬 수 있으며, 검사실 직원, 의사 또는 간호사는 원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상기 환자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onlin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the labora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laboratory staff to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through the network as soon as the test or treatment result information on the patient or the examination or treatment The laboratory staff, doctor or nurse can view the patient information at any time if desired.

또한, 검사실 직원은 의사, 간호사 또는 일반 직원들에게 환자의 검사 또는 치료에 필요한 각종 오더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 간호사 또는 일반 직원이 입력한 각종 환자 정보를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aboratory staff can send doctors, nurses, or general staff various orders necessary for the examination or treatment of patients through the network, as well as retrieve any patient information entered by the doctor, nurse or general staff at any time. do.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의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의료정보 관리 방법에 의해,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은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의 진료, 간호, 검사 및 치료 결과를 공유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환자에 대한 진료를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mplemented in the terminal of the doctor, nurse, laboratory staff as described above, the doctor, nurse, laboratory staff can share the results of the patient's care, nursing, examination and treatment through the network The patient can be treat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특히 의료 정보 관리 방법과의 연관관계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will be described a medical business management method of the onlin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진료지원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일반관리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의 일예시도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병원 업무 처리 방법은 의료 정보 관리 방법과 의료 업무 관리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다시 상기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은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 진료지원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 및 일반관리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5A to 5C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 medical treatment management method for online medica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to 6C illustrate medical treatment during an online medical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xamples of the medical care management method for support,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general medical care management method of th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may be divided into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medical business management method, and again, the medical business management method may be a medical service management method for medical services, medical business management method for medical support, and medical care for general management. It can be divided into management methods.

먼저,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management method of medical care for business in the circle.

일반적으로 환자가 처음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에 상기 병원에 신상정보 등을 등록 하여야 하며, 이때 일반 직원은 원무용 단말기(50)에 탑재되어 있는 원무 지원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되며, 상기 원무 지원용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양식에 따라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입력되는 정보로는 이름, 성별, 나이,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진료받고자 하는 진료과 등이 있을 수 있다.In general, when a patient visits a hospital for the first tim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should be registered in the hospital. At this time, the general staff executes a business support program installed in the business terminal 50 and is supported by the business support program. According to the form to enter th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The input information may include a name, gender, age, social security number, address, and medical department to be treated.

한편, 상기과정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above process is to be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network.

이때, 상기과정에 의해 저장된 정보는 상기 도 2 내지 도 4 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방법들에 의해 이용된다. 즉, 의사의 경우에는 외래초진시, 외래경과 진료시, 입원초진시, 입원경과 진료시 등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stored by the above process is used by the method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S. 2 to 4. That is, in the case of a doctor, it is possible to read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in the outpatient examination, the outpatient examination, the inpatient examination, the inpatient examination.

또한, 간호사의 경우에도 상기 환자를 간호하는 도중에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연람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nurse, while accessing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while caring for the patient,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can be viewed.

또한, 검사실 직원의 경우에도 각종 검사에 앞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연람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boratory staff,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may be viewed by accessing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prior to various examinations.

이외에도, 도 5a 내지 도 5c 의 메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서는 예약관리(의사진료일정관리, 외래예약, 병실, 입원예약)업무, 환자관리 업무(외래환자, 응급환자, 입원환자), 진료비관리(외래/응급)(외래진료비수납, 외래예약금수납, 외래/응급진료비조회, 응급진료비 수납, 건증수납집계), 진료비관리(입원)(진료비 처방 입력, 진료비 조회, 처방내역 조회, 환자오더 조회, 퇴원계산서 발행, 중간계산서 발행, 유형변경, 퇴원금 수납, 입원수납집계, 병명별 진료비 조회, 식사이력조회, 환자별 미수잔액 내역 조회, 보험 심사자 배분), 미수관리(미수금 수납), 기초코드관리(직원가족확인, 계약처 정보관리, 공휴일)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he menu of Figures 5a to 5c in the medical care management method of the hospital management (medical schedule management, outpatient appointment, hospital room, hospitalization reservation) tasks, patient management tasks (outpatients, emergency patients, Inpatient), medical expenses management (outpatient / emergency) (outpatient medical expenses storage, outpatient reservation payment, outpatient / emergency medical expenses inquiry, emergency medical expenses storage, accumulating receipts), medical expenses management (hospitalization) (medical expenses prescription input, medical expenses inquiry, prescription details) Inquiry, patient order inquiry, discharge statement issuance, interim statement issuance, type change, discharge payment, hospitalization collection, medical expenses inquiry by disease name, meal history inquiry, history of unpaid balance by patient, insurance examiner allocation), receivable Storage), basic code management (employee family identification, contractor information management, holidays), etc.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업무들은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되며,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은 상기 정보들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상기에서 설명한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열람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tasks as described above are stored and managed 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the doctor, nurse or laboratory staff using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described above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You can read it.

즉, 상기에서 설명된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은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에 대한 접수를 받아(도 5b)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 저장하므로써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및 진료 지원 단말기(40)를 통해 저장되어진 진료 정보를 이용하여 각 환자별로 비용을 청구하는 한편(도 5c), 보험사와의 업무 협조를 통해 보험료와 관련된 각종 업무를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말해 상기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은 병원을 들어오고 나가는 환자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및 진료 비용 등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edical treatment management method described above is received by the patient visiting the hospital to receive the treatment (FIG. 5b)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of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doctor, nurse, laboratory In addition to making the staff available, billing for each patient is made using the medical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e doctor terminal 20, the nurse terminal 30, and the medical support terminal 40 (FIG. 5C). In cooperation with insurance companies,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insurance premiums. In other words, the medical care management method is to take charge of basic information and medical expenses for patients entering and leaving the hospital.

또한,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들의 진료일정을 등록할 수도 있으며, 의사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의사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통해 진료일정을 확인해 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a can also register the doctor's schedule, the doctor can check the schedule through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the doctor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진료지원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method of managing medical work for medical support.

상기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 의해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신상 정보가 등록된 환자는 상기 도 2 내지 도 4 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에 의해 진료, 치료 및 검사를 받게 되며, 이때, 상기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은 상기 환자에 대해 필요한 오더를 자신의 단말기(20,30,40)를 통해 각각 입력하게 되며, 입력된 정보들은 환자 정보 관리부(13)에 저장된다.Patients whose personal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by the medical care management method of the medical service are subjected to medical treatment, treatment, and examination by doctors, nurses, and laboratory staff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t this time, the doctor, nurse, and laboratory staff input the necessary orders for the patient through their terminals 20, 30, and 40, respectively, and the input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한편, 상기 과정에서 입력된 오더 중에는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이 수행하여할 사항들이 있으며, 상기 사항들은 상기 도 2 내지 도 4 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의해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들에 의해 각각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among the orders entered in the process there are things to be performed by the doctor, nurse or laboratory staff, the above are each performed by the doctor, nurse or laboratory staff by the method described in Figures 2 to 4 do.

그러나, 상기 과정에서 입력된 오더 중에는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이 수행할 수 없는 사항들이 있을 수 있다.However, some of the orders entered in the above process may not be performed by the doctor, nurse or laboratory staff.

예를 들어, 입원 환자의 경우 병증상에 따라 각각 부여되는 급식의 내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의사 또는 간호사가 환자의 특성에 따라 상기한 방법들에 의해 발급한 급식 오더는 병원내의 영양사가 열람할 필요가 있다. 즉, 영양사는 자신의 원무 지원용 단말기(50)를 통해 각 환자별로 부여된 급식 정보를 열람한 후 그에 따라 급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For example, for inpatients,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meals given according to the symptoms, and the food order issued by the doctor or nurse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is viewed by the nutritionist in the hospital. Needs to be. In other words, the nutritionist should read the feeding information given to each patient through his or her terminal support terminal 50, so that the meal can be made accordingly.

또한, 의사 또는 검사실 직원에 의해 발급된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약사는 자신의 원무 지원용 단말기(50)를 통해 각 환자별로 발급된 약조제 오더를 확인한 후 그에 따라 약을 조제하게 되는 것이다(도 6a).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ispense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ssued by the doctor or the laboratory staff, the pharmacist checks the medicine order issued for each patient through his business support terminal 50 and then prepares the medicine accordingly. (FIG. 6A).

또한, 채혈실의 직원은 자신의 원무 지원용 단말기(50)를 통해 의사 또는 검사실 직원으로부터 요구된 환자의 채혈 접수 업무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도 6c), 상기 검사실에서 수행될 수 없는 또 다른 검사 요청이 있는 경우 검사실의 직원은 자신의 원무 지원용 단말기(50)를 통해 환자에 대한 검사 요청을 확인한 후 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도 6b). In addition, the staff of the blood collection room may perform the blood collection reception task of the patient required from the doctor or the laboratory staff through his office support terminal 50 (Fig. 6c), another test request that can not be performed in the laboratory In this case, the staff of the laboratory may perform the test after confirming the test request for the patient through his business support terminal 50 (FIG. 6B).

즉, 상기 진료지원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은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환자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오더 중 상기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이 수행할 수 없는 오더, 예를 들어 급식이라든지 약조제, 채혈접수, 각종 검사와 같은 오더에 대해 영양사, 약사, 검사실 직원등이 자신의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오더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의사, 간호사 또는 검사실 직원의 진료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the medical support management method for the medical support is inputted through a terminal of a doctor, nurse, or laboratory staff and stored in a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which cannot be performed by the doctor, nurse, or laboratory staff, for example, a meal or a medicine. In order to support the medical treatment of doctors, nurses or laboratory staff by allowing nutritionists, pharmacists, laboratory staff, etc. to check the orders through their terminals 50 for orders such as blood collection and various tests. .

한편, 상기 약사들은 각 환자별 또는 각 병증상별로 각종 약종류를 분류한 정보, 서로 상극인 약제 정보, 혼합률에 따라 그 성능이 달라지는 약제의 경우에는 정확한 수량 정보, 약제의 정확한 명칭 정보, 병원내의 약 보유현황 정보 등 의사 또는 간호사들이 약에 대한 오더를 내릴 때 참고할 수 있는 정보들을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의사 또는 간호사는 상기에서 설명한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서 다양한 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의사의 경우에는 현재 병원이 보유하고 있는 약의 정보를 확인한 후 약조제 오더를 내릴 수 있으며, 상기 정보들을 참고하여 서로 상극인 약제의 조제를 금할 수도 있다. 또한, 간호사들의 경우에도 수시로 상기 정보들을 열람해 보므로써 각종 상황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harmacist is the information that classified the various types of drugs for each patient or each symptom, drug information that is opposite to each other, the exact quantity information, the exact name information of the drug, the hospital in the case of the performance varies depending on the mixing rat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when doctors or nurses place orders for medicines, such as drug retention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general medical terminal 50, and the doctor or nurse may manage the medical information described above. You can get information about various medicines from the method. That is, in the case of a doctor, after confirming the information of the medicine currently owned by the hospital, the medicine order may be lowered, and the preparation of the drug which is opposite to each other may be prohibited by referring to the above information.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nurses by reading the information from time to time,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various situations.

마지막으로, 일반관리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Lastly, the medical management method for general manage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일반관리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은 환자에 대한 진료 행위와는 상관없이 병원내에서 수행되는 각종 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인사관리, 직원들에 대한 봉급부여, 병원 유지에 필요한 각종 관리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물류에 대한 정보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The medical management method for general management is to manage various tasks performed in the hospital irrespective of the medical treatment for the patient, for example, personnel management, salary for the employees, and various kinds of hospital maintenance. The purpose of this is to efficiently perform management through the network.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information about various logistics used in a hospital may be managed.

이러한 정보들 역시 필요한 경우에는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이 상기 도 2 내지 도 4 에서 설명된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통해 열람할 수 있게 된다.Such information may also be viewed by doctors, nurses, and laboratory staff through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병원내의 모든 조직이 각종 형태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상에서 공유하도록 하므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병원의 기본적인 기능은 환자에 대한 치료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치료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환자의 치료를 보조하거나 기타 병원내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이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의료 정보 관리 방법과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을 연계하여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진료 및 각종 행정 업무를 유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llows all organizations in the hospital to sha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line through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enable faster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In other words, the basic function of the hospital is to treat patients, and such treatment is made more efficiently by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s, and medical care management is provided to assist the treatment of patients o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other hospital organizations. The method is implemented. In addition, by linking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the medical task management method to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organically perform the treatment and various administrative tasks for the patient.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병원내에서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이 종이 챠트를 이용하여 환자들에 대한 진료, 간호, 검사, 치료 정보를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해당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해 주므로써,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들이 환자들을 진료, 간호, 검사, 치료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that doctors, nurses, laboratory staff in the hospital to enter the medical treatment, nursing, examination, treatment information for the patients using a paper chart, connected via a network By storing various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the doctors, nurses, and laboratory staff can more accurately and easily treat, treat, examine, and treat patients. It has an excellent effect.

또한,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하여 두도록 하므로써 상기 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이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상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환자에 대한 신속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sto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nyone who has the authority to view the information can read th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so that excellent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can be obtained quickly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병원내의 모든 조직이 각종 형태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상에서 공유하도록 하므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병원의 기본적인 기능은 환자에 대한 치료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치료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환자의 치료를 보조하거나 기타 병원내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이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enables all organizations in the hospital to sha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line via a network, it is possible to enable faster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In other words, the basic function of the hospital is to treat patients, and such treatment is made more efficiently by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s, and medical care management is provided to assist the treatment of patients o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other hospital organizations. The method is implemen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의료 정보 관리 방법과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을 연계하여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환자에 대한 진료 및 각종 행정 업무를 유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linking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the medical task management method to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perform the treatment and various administrative tasks for the patient organically.

도 1a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병원 업무의 일실시예 계략도.Figure 1a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ospital ser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Figure 1b is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a 내지 도 2g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의사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2A to 2G are various exemplary views of a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for a doctor in a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f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간호사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3A to 3F are various exemplary views of a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for nurses in a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o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검사실용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Figures 4a to 4o are various examples of the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for the laboratory of th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원무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5A to 5C are various exemplary views of a medical care management method for medical services in a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진료지원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의 다양한 일예시도.6a to 6c are various examples of the medical care management method for the medical care support method of the onlin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중 일반관리용 의료 업무 관리 방법의 일예시도.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of a method for managing medical work for general management of onlin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on-line hospital business processing method applied to the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 각각으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의료정보 관리를 위한 의사용 웹화면, 간호사용 웹화면, 검사실용 웹화면을 전송하는 한편, 상기 웹화면을 통해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된 의료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각 웹화면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저장 하므로써 환자를 진료하는데 필요한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제 1 단계; Each of the doctor terminal 20, the nurse terminal 30, and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which ar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or an intrane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provides a doctor web screen fo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nursing. Transmitting the use web screen, the laboratory web screen, and st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s through the web screen so tha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can share through the respective web screen A first step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일반 원무용 단말기(50) 자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전송되어온 의료정보 이외의 병원 내 일반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관리하는 제 2 단계; A second step in which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manages general information in a hospital other than medical information transmitted by a program executed in a general business terminal 50 itself 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network; 상기 의사용 웹화면, 간호사용 웹화면, 검사실용 웹화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일반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일반정보를 상기 웹화면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A third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l information to the web screen when a request is made to view the general information from any one of the doctor web screen, the nurse web screen, and the laboratory web screen; And 상기 원무용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의료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의료정보를 상기 원무용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통해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A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through a program of the medical terminal when a request for reading the medical information is requested through a program executed in the medical terminal, 상기 제 2 단계의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의료 업무에는, 환자등록, 진료예약, 입원예약, 진료비 수납 업무를 포함하는 원무용 의료 업무와, 급식, 주사처치, 처방전 발급을 포함하는 진료지원용 의료 업무와 병원내부의 인사관리, 각종 행정업무를 포함하는 일반관리용 의료 업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며,Medical service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general medical terminal 50 of the second step, medical services, including patient registration, medical appointment, hospital reservation, medical expenses storage tasks, meals, injection treatment, prescription issuance At least one of the medical support for medical support, general management medical services, including human resources management, various administrative services, etc. 상기 검사실용 웹화면은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간호사 또는 의사가 사용하는 간호사용 단말기(30) 또는 의사용 단말기(20)로도 출력이 가능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 환자정보 입출력부(250)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의료정보를 하나의 환자정보 관리부(13)에서 공통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가, 상기 의사용 단말기(20), 간호사용 단말기(30),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부터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웹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고,The laboratory web screen can also be output to the nurse terminal 30 or the doctor terminal 20 used by the nurse or doctor with the right to us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is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250 and the medic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of the third step are commonly managed by one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 and the doctor terminal 20 and nursing care. When a request for reading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the terminal 30 may output the web screen of the terminal.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의료정보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저장된 병원 내 일반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관리함으로써, 상기 의사용 웹화면, 간호사용 웹화면, 검사실용 웹화면을 통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저장된 병원 내 일반정보가 열람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의료정보가 상기 일반 원무용 단말기(50)에서도 열람될 수 있으며,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manages the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ep and the general information in the hospital stored in the second step in one database, thereby allowing the doctor web screen, the nurse web screen, and the laboratory web. Not only the general information in the hospital stored in the second step can be viewed through the screen, but also the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ep can be viewed in the general medical terminal 50, 상기 제 1 단계는,The first step is,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의사용 단말기(20)로부터 의사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110), 마의 메뉴부(120), 주 메뉴부(130), 환자정보 열람부(140),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포함하는 의사용 웹화면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의사용 단말기(2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진료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140)로부터 상기 진료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환자정보 열람부로 상기 진료정보를 출력하는 제 1-1 단계;In the case where the service request is made by a person who has the right to use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for doctors from the doctor terminal 2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or an intranet,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and the menu menu 120 ), The doctor web screen including the main menu unit 130, the patient information viewing unit 140, and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ransmits to the doctor terminal 20.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stores the medic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unit 150, an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reading the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140, the medical information to the patient information reading unit. A first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간호사용 단말기(30)로부터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210), 마의 메뉴부(220), 주 메뉴부(230), 환자 선택부(240), 환자정보 입출력부(250)를 포함하는 간호사용 웹화면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간호사용 단말기(3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간호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간호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 상기 간호정보를 출력하는 제 1-2 단계; 및In the case where the service request is made by a person who has the right to use the nurs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from the nurse terminal 3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or an intranet,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and the menu unit 220 ), The main menu unit 230, the patient selection unit 240,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it 250 including a nurse web scree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o transmit to the nurse terminal 30 Meanwhile,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stores the nurs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and outputs the nursing information to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when a request for reading the nursing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Step 1-2; And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부터 검사실용 의료정보 관리 서비스에 대한 정당한 사용권한이 있는 자에 의한 상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표시부, 주 메뉴부,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기능 검사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담당하는 재활의학 검사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건강체크를 위한 검사를 담당하는 건강증진 검사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방사선 치료를 담당하는 방사선치료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검사실용 웹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검사실 직원용 단말기(4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검사 또는 치료와 관련된 검사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저장하여 두었다가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검사정보를 상기 환자정보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며,In the case where the above service request is made by a person having a right to use the laboratory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from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or an intranet, the user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main menu unit, and patient information Laboratory web screen for outputting functional test information, including input / output unit, laboratory web screen for outputting rehabilitation medical test information for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health promotion test information for health check At least one of the laboratory web screen for outputting the laboratory, the laboratory web screen for outputting the radiation treatment for radiation treatmen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10 to transmit to the laboratory staff terminal 40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to the tes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est or treatment input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it When ball system 10 dueotdaga to be stored in the read request and to a second step 1-3 to output the test information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portion, 상기 제 2 단계는,The second step,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일반 원무용 단말기 자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부터, 환자의 신상정보, 진료 예약 관리 정보, 환자 관리 정보, 진료비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원무용 일반정보가 전송되어온 경우, 상기 원무용 일반정보를 저장하는 제 2-1 단계;When the general general information including the medical information, medical appointment management information, patient management information, medical expense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atient is transmitted from a program executed in the general medical terminal itself connected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Step 2-1 of storing general information; 상기 프로그램으로부터, 환자들에 대한 급식 정보, 약조제 정보, 채혈정보를 포함하는 진료지원용 일반정보가 전송되어온 경우, 상기 진료지원용 일반정보를 저장하는 제 2-2 단계; 및A second step of storing general medical support information when the general medical support information including the feeding information, medicine preparation information, and blood collection information for the patients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program; And 상기 프로그램으로부터, 인사관리 정보, 직원들의 봉급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일반관리용 일반정보가 전송되어온 경우, 상기 일반관리용 일반정보를 저장하는 제 2-3 단계Steps 2-3 of storing general information for general management when general information for general management, including personnel management information and salary-related information of employees,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program 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병원 업무 처리 방법. Hospital treatment method online includ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3-0038566A 2003-06-14 2003-06-14 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 KR100538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566A KR100538580B1 (en) 2003-06-14 2003-06-14 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566A KR100538580B1 (en) 2003-06-14 2003-06-14 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899A KR20040107899A (en) 2004-12-23
KR100538580B1 true KR100538580B1 (en) 2005-12-22

Family

ID=3738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566A KR100538580B1 (en) 2003-06-14 2003-06-14 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5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102A (en) * 2017-08-11 2019-02-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using patient management application
KR20240043885A (en) 2022-09-27 2024-04-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Discharge review autom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based on smart insurance revie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2923A1 (en) * 2007-07-17 2009-01-22 Walkingshaw Nathan 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KR102377793B1 (en) * 2018-12-05 2022-03-22 김준환 Hospi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335956B1 (en) 2019-12-11 2021-12-06 정요한 System for assisting a medical order input
KR20210126974A (en) * 2020-04-13 2021-10-21 (주)피오텍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CN112024002B (en) * 2020-08-27 2023-12-01 四川沃文特生物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laboratory system for hospital external detection
KR102514829B1 (en) * 2020-09-14 2023-03-28 국립암센터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are services
KR102467117B1 (en) * 2021-06-08 2022-11-16 주식회사 웰니스헬스케어 The hospi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connection with meal ser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502538B1 (en) * 2022-03-22 2023-02-23 김관익 Hospital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service system that supports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evaluation
KR102429336B1 (en) * 2022-05-11 2022-08-08 주식회사 닥터봄 Hospital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102A (en) * 2017-08-11 2019-02-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using patient management application
KR101996354B1 (en) 2017-08-11 2019-10-0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 using patient management application
KR20240043885A (en) 2022-09-27 2024-04-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Discharge review autom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based on smart insurance revie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899A (en)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866E1 (en) System for maintaining patient medical records for participating patients
KR100538577B1 (en) Method For Standardization Of Computer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US830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KR100538584B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For Doctor In On-line
US20080249804A1 (en)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Online
JP2013242745A (en) Diagnosis data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disease diagnosis cooperation system in cooperation with diagnosis data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201600785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care management
JP6660655B1 (en) Medical system
KR100538580B1 (en) Method For Conducting A Hospital Business In On-line
US201001457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associated wit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US20050107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JP2002063274A (en) Collaboration support information system for interoperating medical institutions as affiliated hospital and affiliated clinic
Sainfort et al. Human–computer interaction in healthcare
JP2003303240A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econd opinion
De Clercq Problem-oriented patient record model as a conceptual foundation for a multi-professional electronic patient record
KR100538573B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In On-line
KR100538581B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For Examine-Department In On-line
KR20070106942A (en) Method for service of anticipatory medical diagnosis
JP5348903B2 (en)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Lorence et al. Toward a patient–centric medical information model: issues and challenges for US adoption
KR100538583B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For Nurse In On-line
JP2020123354A (en) Medical system
KR102666179B1 (en)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checkup program recommendation service
KR100538574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tandardized medical service
WO2023234852A1 (en) Personal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peh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