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496B1 -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496B1
KR100516496B1 KR10-2001-0075928A KR20010075928A KR100516496B1 KR 100516496 B1 KR100516496 B1 KR 100516496B1 KR 20010075928 A KR20010075928 A KR 20010075928A KR 100516496 B1 KR100516496 B1 KR 100516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mer
bite
bytes
fresh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986A (ko
Inventor
김영일
강귀철
배중록
선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4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2Clean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의 두께가 2.0mm ~ 6.0mm 인 소재를 냉간압연 작업을 함에 있어서 용접부위의 슬래그 두께 변화가 많아 이를 제거하는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트 사이의 간격오차로 인한 오류를 재 조정함으로써, 슬래그 제거 오차를 감소시키고 정확하게 트리밍을 하여 후공정으로 이송함으로써 압연 조건을 최상으로 하기 위한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기에서 용접된 부분의 슬래그를 제거해주는 바이트들을 상,하에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들이 장착된 바이트 홀더들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 실린더와, 상기 바이트 홀더의 상,하위치를 미세조정하는 미세조정 실린더들을 구비한 트리머 블럭부;와, 상기 트리머 블럭부의 바이트 사이로 진입가능한 한쌍의 누름판과 변위 센서들을 갖추고, 상기 변위 센서들이 바이트 홀더의 바이트들이 실제로 이동하는 값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간격 측정부;및, 상기 변위 센서로 부터의 검출값을 받아 설정값과의 차이를 검출하고, 그 차이값을 근거로 상기 승하강 실린더와 미세조정 실린더들을 위치조정하여 상기 차이만큼을 교정하도록 하는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는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BLOCK GAP OF FRESH TRIMMER}
본 발명은 스트립의 맞대기 용접시, 전,후의 스트립의 융착부위에서 스트립의 상,하면으로 돌출되는 슬래그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스트립의 두께가 2.0mm ~ 6.0mm 인 소재를 냉간압연 작업을 함에 있어서 용접부위의 슬래그 두께 변화가 많아 이를 제거하는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트 사이의 간격오차로 인한 오류를 재 조정함으로써, 슬래그 제거 오차를 감소시키고 정확하게 트리밍을 하여 후공정으로 이송함으로써 압연 조건을 최상으로 하기 위한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래쉬 트리머(FRESH TRIMMER)란 스트립의 맞대기 용접 작업을 하게 되면 그 용접 된 부위에는 용접 슬래그가 발생 되는데, 이를 제거하지 않고 압연을 하게 되면 롤 등으로 부터 직접적인 악 영향을 받아 스트립의 파단 및 롤 마크등이 스트립상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함을 방지 하기 위하여 용접 부위의 슬래그등을 상, 하부에서 적정의 두께로 긁어내어 스트립의 두께에 일치시킴으로써 압연 작업 시 무리와 피로도를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제 1도에는 일반적인 스트립 용접작업과 프레쉬 트리밍작업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용접기(300)의 고정 전극(301)과 피드 전극(302)에 고정된 스트립(S)이 로터리 절단기(미도시)로 절단된 후, 서로 맞대기 용접을 하여 맞대기 용접이 완료가 되면, 그 용접부에는 용접 슬래그(310)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용접 슬래그(310)는 프레쉬 트리머(400)에 갖춰진 바이트 홀더(408)의 바이트(B)들을 통하여 용접 슬래그(310)를 제거하는 작업을 하고 용접 슬래그(310)가 제거된 스트립(S)을 냉간 압연제품으로 생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접 슬래그(310)를 바이트(B)등으로 트리밍작업을 할 때, 용접 슬래그(310)를 제거함에 있어서, 제 2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슬래그(310)가 용접부위로 부터 완전히 제거가 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는 출측의 롤 스탠드(420)를 통과 시, 롤 마크등을 형성하여 롤에 피해를 준다.
한편, 제 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슬래그(310)가 너무 많이 제거가 되어 홈(3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냉간압연시에 용접부에서 스트립 파단이 일어날 수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프레쉬 트리머(400)의 바이트(B) 간격을 조정함에 있어서, 작업자간의 수작업에 의한 임의 수정이 이루어지고, 작업 소재인 2.0 mm ~ 6.0 mm 두께의 스트립(S)이 그 두께의 변화가 많음으로써 빈번한 바이트 간격조정에 의하여, 그리고 바이트 홀더(25)(408)의 과부하에 의하여 바이트 고정볼트(미도시)의 풀림과 밀림 현상등으로 상,하부 바이트(B)간의 간격이 불량하게 되고, 이와 같이 사이 간격이 불량해진 바이트(B)들을 이용하여 트리밍을 하게 될 때, 용접부 슬래그(310)가 완전히 제거 되지 않거나, 용접부 슬래그(310)가 너무 많이 과다로 제거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압연을 하게 되면, 롤이 손상되고 스트립(S)의 파단등 위험이 많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접부위의 슬래그를 제거하는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트사이의 간격오차로 인한 오류를 재 조정함으로써, 슬래그 제거 오차를 감소시키고 정확하게 트리밍 작업을 완료하여 후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압연 조건을 최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립의 맞대기 용접시, 전,후의 스트립의 융착부위에서 스트립의 상,하면으로 돌출되는 슬래그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용접기에서 용접된 부분의 슬래그를 제거해주는 바이트들을 상,하에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들이 장착된 바이트 홀더들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 실린더와, 상기 바이트 홀더의 상,하위치를 미세조정하는 미세조정 실린더들을 구비한 트리머 블럭부;와, 상기 트리머 블럭부의 바이트 사이로 진입가능한 한쌍의 누름판과 변위 센서들을 갖추고, 상기 변위 센서들이 바이트 홀더의 바이트들이 실제로 이동하는 값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간격 측정부;및, 상기 변위 센서로 부터의 검출값을 받아 설정값과의 차이를 검출하고, 그 차이값을 근거로 상기 승하강 실린더와 미세조정 실린더들을 위치조정하여 상기 차이만큼을 교정하도록 하는 제어 컴퓨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1)는 용접기에서 스트립(S)간의 맞대기 용접 후에 용접 된 부분의 용접 슬래그(310)를 제거 해주는 트리머 블럭부(10)를 갖는 바, 상기 트리머 블럭부(10)는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이트부(12)와 하부 바이트부(12')를 갖추고, 그 사이를 스트립(S)의 용접부가 이동하면서 서로 대향된 다수의 바이트(B)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용접부에 형성된 슬래그(310)들이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하부 바이트부(12)(12')들은 서로 동일한 구성과 작용효과를 가지고, 단지 스트립(S)의 이동선(C)을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그중의 하나에 대해서만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다른 하나에는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를 표시하여 도시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바이트부(12)는 일정크기의 고정 베이스(14)를 갖추고, 상기 고정 베이스(14)의 하방으로는 복수의 블록 승하강 실린더(16)들을 장착하며, 상기 블록 승하강 실린더(16)의 로드(16a)들은 ∩형 단면의 보호 베이스(18)를 관통하여 그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블록 승하강 실린더(16)의 전면에는 상기 보호 베이스(18)의 후면이 다수개의 볼트(20)들을 통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16)의 로드(16a)에는 상기 보호 베이스(18)의 내측에서 ∩형의 단면을 가진 연결대(22)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연결대(22)의 하단에는 바이트 홀더(25)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바이트 홀더(25)에는 각각 바이트(B)가 다수개 일렬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22)의 중앙에는 상기 보호 베이스(18)의 하단에 다수개의 볼트(27)들을 통하여 상부면이 연결된 받침대(32)를 갖추며, 상기 받침대(32)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연결대(22)의 수직 내측면이 끼워져서 이동안내되는 가이드 홈(35)들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32)의 상부면에는 각각 오목홈(37)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37)의 중앙에는 미세조정 실린더(40)가 그 로드(42)를 양측으로 하여 장착되고, 각각의 로드(42)에는 쐐기형 받침구(45)가 연결되어 상기 받침구(45)의 경사면(45a)에 상기 연결대(22)의 내측면 상단이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32)의 일측으로는 상하방향의 긴 요홈(49)들이 각각 양측면에 형성되며, 이 긴 요홈(49)들에는 상기 바이트 홀더(25)을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실린더(미도시)의 로드(50)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바이트부(12)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16)에 의해서 로드(16a)와 연결대(22)들을 통하여 상기 바이트 홀더(25)이 승하강되고, 상기 미세조정 실린더(40)의 로드(42)가 인출되면 쐐기형 받침구(45)의 경사면(45a)이 수평방향으로 상기 받침대(32)상에서 위치조정되어 상기 연결대(22)의 내측면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연결대(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미세한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연결대(22)에 고정된 바이트 홀더(25)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트리머 블럭부(10)는 상,하부 바이트부(12)(12')의 가장 내측 바이트(B)(B')들이 스트립 이동선(C)을 기준으로 각각 100mm 만큼씩 이격되어 상,하 서로 200mm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바이트 홀더(25)의 상,하 간격을 조정하여 주는 트리밍 간격 측정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형의 구조를 갖는 절첩식 센서 고정대(62)를 축으로 하여 그 끝단에는 ⊃형 단면의 장착구(65)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구(65)의 상,하부 플랜지(67)에는 각각 변위 센서(70a)(70b)가 상하부를 향하여 장착되며, 상기 변위 센서(70a)(70b)의 검출봉(72a)(72b)들은 그 선단에 누름판(75a)(75b)들을 갖추며, 검출봉(72a)(72b)의 외측으로는 코일 스프링(77a)(77b)들이 개재되어 상기 누름판(75a)(75b)을 외측으로 탄력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75a)(75b)들의 내면에는 각각 상,하부 플랜지(67)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 구(67a)에 끼워지는 가이드 봉(80)들을 구비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대칭적으로 위치되는 상기 누름판(75a)(75b)들은 그 상,하면 사이의 간격이 180 mm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 그 중심으로 부터 상하 90mm 씩 위치되도록 사전에 조절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고정대(62)의 상단측에는 그 내측으로 끼워지는 회전대(83)를 갖추며, 상기 회전대(83)의 상단은 프레쉬 트리머(400)에 연결된 브라켓트(86)상의 모터(88)의 축(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브라켓트(86)에 장착된 모터(88)는 그 축이 브라켓트(86)를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고, 그 축에 상기 회전대(83)의 상단이 고정됨으로서 상기 모터(88)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대(83)와 센서 고정대(62)는 그 축을 따라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모터축의 회전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대(83)의 일측에는 검지봉(92a)(92b)들을 일정 간격으로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트(86)의 일측에는 센서(94)를 장착하여 상기 센서(94)에 의해서 검지봉(92a)(92b)들이 검출됨으로써 상기 모터(88)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대(83)에는 센서 고정대(62)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 실린더(98)가 장착되며, 이는 그 몸체가 상기 회전대(83)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 로드(98a)는 센서 고정대(6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98)의 작동으로 센서 고정대(62)가 승하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트리머 블럭부(10)의 승하강 실린더(16), 미세조정 실린더(40)들은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제어 컴퓨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제어되고, 트리밍 간격 측정부(60)의 변위 센서(70a)(70b)들과 모터(88)도 모두 제어 컴퓨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 7도및 제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이동선(C)을 중심으로 상기 트리머 블럭부(10)는 상,하부 바이트부(12)(12')의 가장 내측 바이트(B)(B')들이 각각 100mm 만큼씩 이격되어 상,하 서로 200mm 이격되어 있고, 상기 트리밍 간격 측정부(60)는 그 누름판(75a)(75b)들이 상,하면 사이의 간격이 180 mm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 스트립(S) 이동선(C)으로 부터 상하 90mm 씩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트리머 블럭부(10)는 상,하부 바이트부(12)(12')의 가장 내측 바이트(B)(B')들과 각각의 누름판(75a)(75b)과의 사이에 각각 10mm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용접기(300)에서 용접이 끝난 후 트리밍작업을 할 때, 상위 컴퓨터(미도시)로 부터 제어 컴퓨터(110)에 스트립(S) 두께에 관련된 정보를 받아서 동작된다.
이는 제 8도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이동 실린더(50)가 홈 포지션의 위치에 있으면 스트립(S)의 두께 정보를 제어 컴퓨터(110)에서 수신받아 작업 준비를 한다.
그리고 제 8도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측정부(60)가 수직 실린더(98)에 의해 하강되고 트리머 블럭부(10)의 승하강 실린더(16)들이 작동되어 바이트 홀더(25)(25')들의 사이를 벌리고, 간격 미세조정 실린더(40)는 쐐기형 받침구(45)를 양 측면으로 전진시켜 바이트 홀더(25)들의 사이가 최대로 멀어지도록 하고, 후진하여 상기 바이트 홀더(25)들의 가장 내측 바이트(B)(B') 사이의 간격이 200mm로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제 8도의 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측정부(60)가 상,하부 바이트 홀더(25)(25')의 사이로 회동되어 진입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바이트 홀더(25)(25')들의 바이트(B)(B') 사이의 간격은 200mm 이고, 트리밍 간격 측정부(60)의 누름판(75a)(75b)들의 간격이 180 mm로 이루어짐으로써, 아무런 장애 없이 그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8도의 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머 블럭부(10)의 승하강 실린더(16)가 작동되어 바이트 홀더(25)(25')들이 서로 근접하도록 작동시켜 바이트 홀더(25)(25')들의 가장 내측 바이트(B)(B') 들이 간격 측정부(60)의 누름판(75a)(75b)들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바이트 홀더(25)(25')들이 이동하는 거리는 대략 10 mm 내지 15mm 중에서 선택하여 상기 승하강 실린더(16)가 작동 되도록 한다. 만일 13mm 만큼 상기 바이트 홀더(25)(25')들이 승하강 실린더(16)에 의해서 이동되었다면, 간격 측정부(60)의 변위 센서(70a)(70b)들은 각각 3 mm의 변위값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바이트 홀더(25)(25')의 바이트(B)(B')들이 바이트 고정 볼트의 풀림과 밀림 현상 등으로 상,하부 바이트(B)(B')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변위 센서(70a)(70b)들에 의해서 검출되는 값들이 3mm와 다르게 될 것이다. 따라서, 그 차이 △P 를 제어 컴퓨터(110)가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상,하부 바이트(B)(B')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되어 있다면, 상기 변위 센서(70a)(70b)들에 의해서 검출되는 값들이 3mm에 일치할 것이고, 상기 △P 는 0일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누름판(75a)(75b)을 지지하고 있는 완충용 스프링(77a)(77b)과 가이드 봉(80)들은 누름판(75a)(75b)이 직선적으로 완충효과를 얻으면서 눌리워지도록 하여 상기 변위센서(70a)(70b)에서 정확한 누름판(75a)(75b)의 위치이동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그 차이값 △P 를 검출하면 다음의 제 8도의 e)및 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컴퓨터(110)는 트리머 블럭부(10)의 승하강 실린더(16)를 다시 작동시켜서 13 mm 만큼 이동시켜 바이트 홀더(25)(25') 사이를 200mm로 벌리고, 그 사이에 위치된 간격 측정부(60)의 누름판(75a)(75b)들을 모터(88)의 역회전 작동으로 그 사이로 부터 취외시킨다.
또한, 상기 트리머 블럭부(10)의 승하강 실린더(16)와 미세 조정 실린더(40)들을 통하여 상기 바이트 홀더(25)들을 미세 위치조절하게 되는 바, 이때에는 상기 차이 △P 가 (-) 값인 경우는 그 차이 △P 만큼 승하강 실린더(16)를 동작시켜 바이트 홀더(25)(25')의 사이가 좁아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차이 △P 가 (+) 값인 경우는 그 차이 △P 만큼 미세조정 실린더(40)를 동작시켜 바이트 홀더(25)(25')의 사이가 넓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차이 △P 가 (-) 값인 경우는 상,하부 바이트 홀더(25)(25')들의 바이트(B)(B')들 사이가 과도하게 △P 만큼 벌어져서 스트립(S) 용접부의 슬래그(310)들을 상,하면에서 상기 차이 △P만큼 절단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각각 △P 만큼 승하강 실린더(16)들을 이용하여 그 사이 간격을 좁힌다는 것이며, 상기 차이 △P 가 (+) 값인 경우는 상,하부 바이트 홀더(25)(25')들의 바이트(B)(B')들 사이가 과도하게 △P 만큼 좁아져서 스트립(S) 용접부의 슬래그(310)들을 상,하면에서 상기 차이 △P만큼 과도하게 깊게 절단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그 차이 △P 만큼 미세조정 실린더(40)를 동작시켜 바이트 홀더(25)(25')의 사이가 넓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바이트 홀더(25)(25')들을 차이 △P 만큼 위치를 미세 조정한 다음에는, 제 8도의 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의 두께에 일치하도록 상기 트리머 블럭부(10)의 승하강 실린더(16)들이 동작하여 바이트 홀더(25)(25')들의 사이 간격을 좁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만일, 스트립(S)의 두께가 2mm 라면, 상기 바이트 홀더(25)(25')들의 이동거리는 각각 99mm 가 될 것이고, 스트립(S)의 두께가 6mm 라면, 상기 바이트 홀더(25)(25')들의 이동거리는 각각 97mm 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바이트 홀더(25)(25')들을 위치이동시키면, 상기 바이트 홀더(25)(25')들에 장착된 바이트(B)(B')들은 스트립(S)의 두께에 해당하는 정확한 사이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용접부의 슬래그(310)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작업자에 의한 바이트 간격조정, 바이트 고정 볼트의 조임과 늘어남및, 바이트의 트리밍 작업의 누적된 피로도로 인한 바이트 풀림 현상등에 따라서 바이트가 바이트 홀더에 정확하게 장착되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해소된다.
즉, 상,하부 바이트 홀더(25)(25')에 장착된 상,하부 바이트(B)(B')들의 위치가 변위되어 바이트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지거나, 좁아진 경우 그 변위량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위치 교정함으로써 스트립 용접부의 슬래그가 미절단 된다던가, 과도하게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부위의 슬래그(310) 두께 변화가 많아 이를 제거하는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트(B)(B')사이의 간격오차로 인한 오류를 재 조정함으로써, 슬래그(310) 제거 오차를 감소시키고 정확하게 트리밍을 하여 후공정으로 이송함으로써 압연 조건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제 1도는 일반적인 용접작업과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프래쉬 트리머의 작업을 도시한 설명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프래쉬 트리머의 작동 상태도로서,
a)도는 슬래그가 미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도는 슬래그가 과다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의 구성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의 상부 블록 프레임 구성도로서, a)도는 측면도, b)도는 분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의 하부 블록 프레임 구성도로서, a)도는 측면도, b)도는 분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에 갖춰진 간격 측정부의 구성도로서, a)도는 측면도, b)도는 분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의 측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 장치의 동작 순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 설명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간격 조정 장치의 두께 측정 값 변화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16'.... 승하강 실린더 22,22'.... 연결대
25,25'.... 바이트 홀더 40,40'.... 미세조정 실린더
45,45'.... 받침구 60..... 간격 측정부
62..... 회전대 70a,70b... 변위 센서
75a,75b... 누름판 77a,77b... 스프링
88..... 모터 110.... 제어 컴퓨터
300.... 용접기 400.... 프래쉬 트리머

Claims (4)

  1. 스트립(S)의 맞대기 용접시, 전,후의 스트립(S)의 융착부위에서 스트립(S)의 상,하면으로 돌출되는 슬래그(310)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용접기(300)에서 용접된 부분의 슬래그(310)를 제거 해주는 바이트(B)(B')들을 상,하에 구비하고, 상기 바이트(B)(B')들이 장착된 바이트 홀더(25)(25')들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 실린더(16)와 , 상기 바이트 홀더(25)(25')의 상,하위치를 미세조정하는 미세조정 실린더(40)들을 구비한 트리머 블럭부(10);와, 상기 트리머 블럭부(10)의 바이트 사이로 진입가능한 한쌍의 누름판(75a)(75b)과 변위 센서(70a)(70b)들을 갖추고, 상기 변위 센서(70a)(70b)들이 바이트 홀더(25)(25')의 바이트(B)(B')들이 실제로 이동하는 값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도록 된 간격 측정부(60);및, 상기 변위 센서(70a)(70b)로 부터의 검출값을 받아 설정값과의 차이 △P를 검출하고, 그 값을 근거로 상기 승하강 실린더(16)와 미세조정 실린더(40)들을 위치조정하여 상기 차이△P 만큼을 교정하도록 하는 제어 컴퓨터(11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머 블럭부(10)는 상부 바이트부(12)와 하부 바이트부(12')를 갖추고, 그 사이를 스트립(S)의 용접부가 이동하면서 서로 대향된 다수의 바이트(B)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용접부에 형성된 슬래그(310)들이 제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바이트부(12)(12')는 일정크기의 고정 베이스(14)(14')를 갖추고, 상기 고정 베이스(14)(14')의 하방으로는 복수의 블록 승하강 실린더(16)(16')들을 장착하며, 상기 블록 승하강 실린더(16)(16')의 로드(16a)(16a')들은 보호 베이스(18)(18')를 관통하여 그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16)(16')의 로드(16a)(16a')에는 상기 보호 베이스(18)(18')의 내측에서 연결대(22)(22')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연결대(22)(22')의 하단에는 바이트 홀더(25)(25')의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바이트 홀더(25)(25')에는 각각 바이트(B)(B')가 다수개 일렬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22)(22')의 중앙에는 상기 보호 베이스(18)(18')의 하단에 상부면이 연결된 받침대(32)(32')를 갖추며, 상기 받침대(32)(32')의 상부면에는 각각 오목홈(37)(37')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37)(37')의 중앙에는 미세조정 실린더(40)(40')가 그 로드(42)(42')를 양측으로 하여 장착되고, 각각의 로드(42)(42')에는 쐐기형 받침구(45)(45')가 연결되어 상기 받침구(45)(45')의 경사면(45a)(45a')에 상기 연결대(22)(22')의 내측면 상단이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간격 측정부(60)는 절첩식 센서 고정대(62)를 축으로 하여 그 끝단에는 장착구(65)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구(65)의 상,하부 플랜지(67)에는 각각 변위 센서(70a)(70b)가 상하부를 향하여 장착되며, 상기 변위 센서(70a)(70b)의 검출봉(72a)(72b)들은 그 선단에 누름판(75a)(75b)들을 갖추며, 검출봉(72a)(72b)의 외측으로는 코일 스프링(77a)(77b)들이 개재되어 상기 누름판(75a)(75b)을 외측으로 탄력지지하고;
    상기 누름판(75a)(75b)들의 내면에는 각각 상,하부 플랜지(67)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 구(67a)에 끼워지는 가이드 봉(80)들을 구비하여 상하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대(62)의 상단측에는 그 내측으로 끼워지는 회전대(83)를 갖추며, 상기 회전대(83)의 상단은 프레쉬 트리머(400)에 연결된 브라켓트(86)상의 모터(88)의 축(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모터축의 회전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대(83)의 일측에는 검지봉(92a)(92b)들을 일정 간격으로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트(86)의 일측에는 센서(94)를 장착하여 상기 센서(94)에 의해서 검지봉(92a)(92b)들이 검출됨으로써 상기 모터(88)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대(83)에는 센서 고정대(62)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 실린더(98)가 장착되며, 이는 그 몸체가 상기 회전대(83)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 로드(98a)는 센서 고정대(62)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98)의 작동으로 센서 고정대(62)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KR10-2001-0075928A 2001-12-03 2001-12-03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KR10051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28A KR100516496B1 (ko) 2001-12-03 2001-12-03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28A KR100516496B1 (ko) 2001-12-03 2001-12-03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986A KR20030045986A (ko) 2003-06-12
KR100516496B1 true KR100516496B1 (ko) 2005-09-23

Family

ID=2957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928A KR100516496B1 (ko) 2001-12-03 2001-12-03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95B1 (ko) * 2002-07-19 2008-10-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플래시 트리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0472B2 (ja) * 2007-01-16 2009-08-26 Smc株式会社 チャッ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673A (ja) * 1984-03-09 1985-09-30 Hitachi Zosen Corp スラグ除去装置
JPH0957450A (ja) * 1995-08-25 1997-03-04 Nkk Corp スケール除去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フラッシュ溶接装置
JPH1133785A (ja) * 1997-07-22 1999-02-09 Nkk Corp 鋼帯溶接接合部のエッジビード除去装置
KR100321024B1 (ko) * 1997-05-19 2002-06-24 이구택 강판용접부 자동타격 및 스케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1673A (ja) * 1984-03-09 1985-09-30 Hitachi Zosen Corp スラグ除去装置
JPH0957450A (ja) * 1995-08-25 1997-03-04 Nkk Corp スケール除去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フラッシュ溶接装置
KR100321024B1 (ko) * 1997-05-19 2002-06-24 이구택 강판용접부 자동타격 및 스케일 제거장치
JPH1133785A (ja) * 1997-07-22 1999-02-09 Nkk Corp 鋼帯溶接接合部のエッジビード除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95B1 (ko) * 2002-07-19 2008-10-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플래시 트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986A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8978A (en) Trimming strip material
RU97119797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
KR100516496B1 (ko) 프레쉬 트리머 블록 자동 간격 조정장치
KR20200104022A (ko) 조관 라인용 파이프 절단장치
EP042626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overlapping strip joints
KR102280857B1 (ko) 코일 용접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24409A (ko) 맞대기 용접 장치 및 그 방법
KR100816792B1 (ko) 회전식 커터를 이용한 용접부위 트리밍 장치
KR20230051874A (ko) 박판 코일 용접 시스템
CA1211512A (en) Device for electrical resistance welding of long pinched seams
JPH08290281A (ja) レーザー溶接機
SU990456A1 (ru) Машина дл стыковой сварки полос
KR200237473Y1 (ko) 강판의용접부절단장치
EP0073139B1 (en) Cutting apparatus
JPH0796415A (ja) 剪断される走行金属板の押さえ装置
KR950010839B1 (ko) 용접 금속관 내면 비드 절삭장치
EP0770446B1 (en) Resistance butt-weld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welding annular objects
CN220279920U (zh) 数控榫槽机精准定位机构
CN219684420U (zh) 一种调轴校准器
CN219852855U (zh) 一种电池盒底板的预拼接工装
CN214976883U (zh) 卷板机
CN216028991U (zh) 一种侧板组对工装
KR0137559Y1 (ko) 용접팁 세팅 지그
KR0146801B1 (ko) 슬라브 절단설 자동제거장치
JPS63411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