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746B1 -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746B1
KR100488746B1 KR10-2001-7008403A KR20017008403A KR100488746B1 KR 100488746 B1 KR100488746 B1 KR 100488746B1 KR 20017008403 A KR20017008403 A KR 20017008403A KR 100488746 B1 KR100488746 B1 KR 10048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output
printing
outpu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1340A (ko
Inventor
아오키미키오
타니구치신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9Providing operational support to end devices by off-loading in the network or by emulation, e.g. when they are unavai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손쉽게 입수할 수 있는 동시에,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휴대 단말에 대한 메모리의 증설이 불필요하며 게다가 휴대 단말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저감하는데 알맞는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이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100)과, 각지에 점재하여 설치된 인쇄장치(PR1 내지 PRn)와, WWW 서버(DS1 내지 DSm)와 인터넷(400)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휴대 단말(100)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받아,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WWW 서버(DS)에서 취득하고, 복수의 인쇄장치(PR)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그 선택한 인쇄장치(PR)에 출력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DATA OUTPUT CONTROLLER AND METHOD OF PROVIDING DATA OUTPUT SERVICE}
본 발명은, 이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과 각지에 점재하여 설치된 복수의 인쇄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휴대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받아,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어느 것인가의 인쇄장치에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며, 특히,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손쉽게 입수할 수 있는 동시에,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휴대 단말에 대한 메모리의 증설이 불필요하며 게다가 휴대 단말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저감하는데 알맞는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인터넷의 정보는, 예를 들면, NTT이동통신망주식회사(NTT DoCoMo)가 제공하는 i모드(등록상표)를 이용함으로써, 어디에서나 손쉽게 입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 단말은, 인터넷의 정보를 어디서나 손쉽게 입수할 수 있는 반면, 휴대 단말의 소형화나 절력화를 도모하는 등의 이유 때문에 표시수단이 간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되는 정보는 통상의 PC로 표시하는 데 비하여 꽤 간소화된 것이며, 이용자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을 실현한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휴대 단말의 소형화나 절력화를 유지하면서, 상세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과 인쇄장치를 조합시키고, 대략적인 정보는 휴대 단말로 표시하고, 상세한 정보는 인쇄장치로 인쇄하는 형태를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휴대 단말과 인쇄장치를 조합시킨 형태에서는, 기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몇개인가의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인쇄장치는 대형이므로 휴대 단말에 부수하여 들고 다니기가 곤란한 것이므로, 상세 정보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통상, 가정이나 오피스에 설치된 인쇄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고정된 특정한 인쇄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는, 정보를 어디서나 손쉽게 입수할 수 있다 하기는 어렵고,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쇄장치를 휴대 가능한 정도까지 소형화하거나, 또는 임의의 인쇄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자의 경우는, 현 단계에서는 기술적으로 달성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며, 현실적이 아니다. 후자의 경우는, 인쇄장치마다 고유의 드라이버가 필요한 것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모든 인쇄장치의 드라이버를 휴대 단말에 조립되어야 하며, 역시 현실적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면, 상세 정보를 인쇄장치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에서는, 인쇄 대상이 되는 인쇄용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인쇄용 데이터를 인쇄장치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쇄장치에 출력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 인쇄용 데이터 및 인쇄장치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는 비교적 용량이 크기 때문에, 이것을 판독하거나 생성하기도 하는데 충분한 용량을 갖는 메모리를 휴대 단말에 마련하여야 하며, 또한, 인쇄장치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처리 부하가 관계되어, 유효시간 내에 데이터 변환을 하는데 충분한 기능을 갖는 처리장치를 휴대 단말에 마련하여야 하고, 모두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의 소형화나 절력화를 도모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미해결의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손쉽게 입수할 수 있는 동시에,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휴대 단말에 대한 메모리의 증설이 불필요하며 게다가 휴대 단말에 드는 처리 부하를 저감하는데 알맞는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3항 내지 제 10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를 적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휴대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데이터 인쇄 요구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데이터 출력 제어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제 1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는, 데이터의 출력 요구를 발하는 통신 단말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단말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출력 요구를 받아 그 데이터 출력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단말에 출력하는 장치로서, 또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 축적 단말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단말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출력 요구를 받으면, 그 데이터 출력 요구에 관한 데이터가 데이터 축적 단말로부터 취득되어, 취득된 데이터가 출력 단말에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 단말에 의해 그 데이터가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 단말은,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더라도 좋으며, 이것에는 예를 들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데이터를 음성 등으로 하여 출력하는 소리 출력수단, 또는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구비한 것이 포함된다. 이하, 제 2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있어서도 같다.
또한, 통신 단말은 적어도 당해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더라도 좋으며, 이것에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휴대 가능한 휴대 단말, PC 또는 전화가 포함된다. 이하, 제 2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있어서도 같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는, 데이터의 출력 요구를 발하는 통신 단말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 단말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출력 요구를 받아 그 데이터 출력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단말에 출력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출력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선택한 출력 단말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출력 요구를 받으면, 복수의 출력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그 데이터 출력 요구에 관한 데이터가 선택된 출력 단말에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 단말에 의해 그 데이터가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 단말을 선택하는 데는 복수의 출력 단말 중에서 예를 들면, 휴대 단말에 의해 지정된 출력 단말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으며, 휴대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다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는 예를 들면,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얻도록 하여도 좋고, 해당 장치 및 통신 단말 이외의 곳으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얻도록 하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즉, 또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 축적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로부터 취득하는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선택한 출력 단말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통신 단말로부터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받으면, 취득수단에 의해,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가 데이터 축적 단말로부터 취득되고, 취득된 데이터가 선택된 출력 단말에 출력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 3항 내지 제 10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3항 내지 제 10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 3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소지하여 데이터의 인쇄 요구를 발하는 휴대 가능한 휴대 단말(20)과 각지에 점재하여 설치되어 데이터를 인쇄하는 복수의 출력 단말(21)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휴대 단말(20)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받아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단말(21)에 출력하는 장치로서, 또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 축적 단말(22)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22)에 축적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요구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22)로부터 취득하는 취득수단(11)과, 상기 복수의 출력 단말(2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12)과, 상기 취득수단(11)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선택수단(12)에서 선택된 출력 단말(21)에 출력하는 출력수단(13)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데이터 축적 단말(22)에 축적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요구인 데이터 인쇄 요구를 휴대 단말(20)로부터 받으면, 취득수단(11)에 의해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가 데이터 축적 단말(22)로부터 취득되고, 선택수단(12)에 의해 복수의 출력 단말(21)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출력수단(13)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가 선택된 출력 단말(21)에 출력된다. 그리고, 출력 단말(21)에 의해 그 데이터가 인쇄된다.
여기서, 선택수단(12)은 복수의 출력 단말(2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더라도 좋으나,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에 의해 지정된 출력 단말(21)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면 좋다.
또한, 휴대 단말(20), 출력 단말(21) 및 데이터 축적 단말(22)에는, 어느것이나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으며, 각각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각각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12)은, 상기 복수의 출력 단말(21) 중에서, 상기 휴대 단말(20)의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21)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선택수단(12)에 의해 복수의 출력 단말(21) 중에서, 휴대 단말(20)의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21)이 선택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20)의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21)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다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21), 휴대 단말(20)의 이용자의 목적지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다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21), 출력 단말(21)의 데이터 출력 속도를 고려하여 이용자가 시간적으로 가장 빨리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21), 또는 출력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대가가 가장 싼 출력 단말(21)을 들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12)은, 상기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단말(2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선택수단(12)에 의해,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복수의 출력 단말(21)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는, 예를 들면, 해당 장치(10)로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얻도록 하여도 좋으며, GPS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20)에서 그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얻도록 하여도 좋고, 휴대 단말(20)이 접속하는 기지국에서 휴대 단말(20)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얻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항 및 4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인쇄 요구는,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22)의 상기 네트워크상에서의 위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상기 취득수단(11)은, 상기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 축적 단말(22)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휴대 단말(20)로부터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받으면, 취득수단(11)에 의해,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 축적 단말(22)로부터 데이터가 취득된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22)이 접속하는 네트워크는 인터넷이며, 상기 데이터 인쇄 요구는, 상기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말의 위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er)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수단(11)은, 상기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URL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 축적 단말(22)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휴대 단말(20)로부터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받으면, 취득수단(11)에 의해,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URL에 의해 특정되는 데이터 축적 단말(22)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가 취득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6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22)에는, 상기 휴대 단말(20)에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와, 상기 표시용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출력 단말(21)에서 인쇄하기 위한 인쇄용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으며, 상기 취득수단(11)은, 상기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로서 상기 인쇄용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22)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휴대 단말(20)로부터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받으면, 취득수단(11)에 의해,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로서 인쇄용 데이터가 데이터 축적 단말(22)로부터 취득된다. 또한, 휴대 단말(20)에서는, 데이터 축적 단말(22)에 액세스하면, 표시용 데이터가 판독되고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7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항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취득수단(11)에서 취득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데이터가 상기 출력 단말(21)에서 인쇄되었을 때의 이미지 화상인 상기 휴대 단말(20)에서 표시 가능한 이미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수단(14)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수단(13)은, 상기 화상 데이터 생성수단(14)에서 생성된 이미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20)에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 화상 데이터의 출력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20)로부터 데이터 인쇄 실행 요구를 받았을 때는, 상기 취득수단(11)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선택수단(12)에서 선택된 출력 단말(21)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화상 데이터 생성수단(14)에 의해, 취득수단(11)에서 취득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데이터가 출력 단말(21)에서 인쇄되었을 때의 이미지 화상인 휴대 단말(20)에서 표시 가능한 이미지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리고, 출력수단(13)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화상 데이터가 휴대 단말(20)에 출력되고, 이미지 화상 데이터의 출력에 대한 응답으로서 휴대 단말(20)로부터 데이터 인쇄 실행 요구를 받으면, 취득수단(11)에서 취득된 데이터가, 선택수단(12)에서 선택된 출력 단말(21)에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8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항 내지 7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해당 장치(10)가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상기 휴대 단말(20)이 이용한 결과에 따라서 요금부과를 행하는 요금부과수단(15)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요금부과수단(15)에 의해, 해당 장치(10)가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상기 휴대 단말(20)이 이용한 결과에 따라서 요금부과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해당 장치(10)가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휴대 단말(20)이 이용한 결과로서는, 예를 들면, 취득한 인쇄용 데이터의 용량, 출력 단말(21)에서의 인쇄 매수, 출력 단말(21)의 인쇄 사양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9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항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취득수단(11)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단말(21)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수단(16)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수단(13)은,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16)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수단(12)에서 선택된 출력 단말(21)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데이터 변환수단(16)에 의해, 취득수단(11)에서 취득된 데이터가 출력 단말(21)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고, 출력수단(13)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가 선택수단(12)에서 선택된 출력 단말(21)에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10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항 내지 9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13)은 상기 선택수단(12)에서 선택된 출력 단말(21)이 설치되어 있는 설치장소까지 상기 휴대 단말(20)의 이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나타내는 안내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2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출력수단(13)에 의해 데이터가 출력 단말(21)에 출력되는 동시에, 안내 데이터가 휴대 단말(20)에 출력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20)에서는 안내 데이터에 의거하여 안내 정보가 표시되므로, 휴대 단말(20)의 이용자는 그 안내 정보에 의거하여 출력 단말(21)이 설치되어 있는 설치장소까지 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제 11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은, 각지에 점재하여 설치되어 데이터를 인쇄하는 복수의 출력 단말 및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 축적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로부터의 데이터의 인쇄 요구에 따라서,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단말에 출력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에 축적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요구인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발하는 발신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해서는,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로부터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복수의 출력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스텝과, 상기 취득스텝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선택스텝에서 선택된 출력 단말에 출력하는 출력스텝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스텝은 복수의 출력 단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어떠한 방법이더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출력 단말을 선택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12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은, 제 11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스텝은 상기 복수의 출력 단말 중에서, 상기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을 선택한다.
여기서,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로서는, 예를 들면, 이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다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 이용자의 목적지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다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 또는 출력 단말의 데이터 출력 속도를 고려하여, 이용자가 시간적으로 가장 빨리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는 출력 단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데 있어서는, 데이터 출력에 관한 처리가 통신 단말 이외의 곳에서 행하여지므로, 통신 단말에 대한 메모리의 증설이 불필요하며 게다가 통신 단말에 드는 처리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통신 단말에 데이터를 판독해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시간이 저감되며,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적어진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통신 단말의 기능에 의하지 않고, 쾌적한 출력 환경이 되는 출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2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손쉽게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3항 내지 제 10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손쉽게 입수할 수 있는 동시에, 상세 정보를 인쇄하는데 있어서는, 데이터 출력에 관한 처리가 휴대 단말 이외의 곳에서 행하여지므로, 휴대 단말에 대한 메모리의 증설이 불필요하며 게다가 휴대 단말에 드는 처리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휴대 단말에 데이터를 판독해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시간이 저감되고,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적어진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 단말의 기능에 의하지 않고, 쾌적한 인쇄 환경이 되는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4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기 쉽게 되어,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더욱 손쉽게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5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모든 데이터 축적 단말에 있는 상세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6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에서는 대략적인 정보가 표시되고, 출력 단말에서는 상세 정보가 인쇄되므로, 휴대 단말에서는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입수할 수 있으며 또한 쾌적한 처리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더욱 쾌적한 인쇄 환경이 되는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7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이용자가 틀린 데이터를 인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8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인쇄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서의 서비스 이용 요금을 명확히 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인쇄 서비스 제공을 받을 때마다 차례로 서비스 이용 요금을 계산하지 않고 종료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 요금 정산을 위한 사무수속이 용이하게 되고, 그위에, 이용자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 요금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어,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9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출력 단말이 새롭게 증설되어도, 서비스 제공자측에서 그 새로운 출력 단말에 관해서만 설정을 변경하면 되며, 이용자측에서 아무런 설정의 변경을 하지 않아도, 그 새로운 출력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출력 단말의 증설에 따르는 설정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그위에,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10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의하면, 이용자는 안내 정보에 의거하여 출력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설치장소까지 갈 수 있으므로, 출력 데이터를 비교적 확실히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제 11항 또는 12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손쉽게 입수할 수 있는 동시에, 상세 정보를 인쇄하는데 있어서는, 데이터 출력에 관한 처리가 휴대 단말 이외의 곳에서 행하여지므로, 휴대 단말에 대한 메모리의 증설이 불필요하며 게다가 휴대 단말에 드는 처리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휴대 단말에 데이터를 판독해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시간이 저감되고,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적어진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 단말의 기능에 의하지 않고, 쾌적한 인쇄 환경이 되는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 12항에 기재된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기 쉽게 되어, 네트워크상의 상세 정보를 더욱 손쉽게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소지하는 휴대전화 등의 휴대 단말(100)과, 각지에 점재하는 복수의 점포(S1 내지 Sn)에 각각 설치된 인쇄장치(PR1 내지 PRn)와 인터넷(400)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로부터의 데이터의 인쇄 요구에 따라,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WWW(World Wide Web) 서버(DS1 내지 DSm)중 어느 하나로부터 취득하여 인쇄장치(PR1 내지 PRn)중 어느 하나에 출력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관해서 적용한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휴대 단말(100)을 1대밖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다른 복수 기종의 휴대 단말(100)이 인터넷(400)에 접속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를 적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를 적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인터넷(40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인터넷(400)과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210)과,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장치(PR1 내지 PRn)와, 데이터를 축적하는 WWW 서버(DS1 내지 DSm)와,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WWW 서버(DS1 내지 DSm)중 어느 하나로부터 취득하여 인쇄장치(PR1 내지 PRn)중 어느 하나에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취득한 데이터를 인쇄장치(PR1 내지 PRn)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이 접속되어 있다.
중계국(210)에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기지국(200)이 접속되어 있으며, 중계국(210)은 휴대 단말(100)이 인터넷(400)에 접속할 때는, 휴대 단말(100) 대신에 인터넷(400)상에서의 1단말이 되고, 기지국(200)을 통하여 수신한 휴대 단말(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인터넷(400)을 통하여 목적하는 단말에 송신함과 동시에, 인터넷(400)상에 있는 목적하는 단말의 데이터를 기지국(200)을 통하여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적어도 3개의 기지국(200)과 동시에 통신을 하며, 중계국(210)은 휴대 단말(100)로부터의 전파가 그들 기지국(200)에 도달하기 까지 시간의 각각의 시간차를 측정하고, 측정한 시간차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WWW 서버(DS1 내지 DSm)는, 휴대 단말(100)에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와, 표시용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쇄장치(PR1 내지 PRn)에서 인쇄하기 위한 인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중계국(210)이나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 등의 인터넷(400)에 접속되는 단말에서의 리퀘스트에 따라서 그 단말에 기억부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리퀘스트 처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리퀘스트 처리부는, 도시하지 않은 CPU가 외부 기억장치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외부 단말(휴대 단말(100),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 등)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리퀘스트가 있을 때는, 기억부의 표시용 데이터 또는 인쇄용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용 데이터 또는 인쇄용 데이터의 어느쪽을 송신하는 가는, 데이터 송신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URL에 의해 판정된다. 또한, 기억부에는 인쇄용 데이터로서 텍스트 데이터, 정지화상 데이터, 사운드 데이터, MPEG 등의 동화 데이터, VRML 등의 3D 화상 데이터, 또는 JAVA 등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각종의 파일이나,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취득한 데이터를 인쇄장치(PR1 내지 PRn)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단말로서,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의 처리 부하에 따라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선택하고, 선택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서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의 처리 부하가 작은 순으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 중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에 필요한 어느 것인가 또는 복수를 선택한다.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가 실행되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로부터 데이터 포맷 변환 요구 및 변환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에 의해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취득한 데이터중 소정 포맷의 데이터를, 인쇄장치(PR1 내지 PRn) 중 대응하는 것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3)에서 포맷 변환처리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취득한 데이터중 소정의 포맷 A(예를 들면, HTML 형식)의 데이터를, 인쇄장치(PR1 내지 PR5)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고,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2)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취득한 데이터중 소정의 포맷 B(예를 들면, JPEG 형식)의 데이터를, 인쇄장치(PR6 내지 PR10)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되고,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3)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취득한 데이터중 소정의 포맷 C(예를 들면, WORD(등록상표)문서 형식)의 데이터를, 인쇄장치(PR11 내지 PR15)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외관상으로는, 인쇄장치(PR1 내지 PR5)는 소정의 데이터 포맷 A의 데이터를 전용으로 인쇄하는 장치가 되며, 인쇄장치(PR6 내지 PR10)는 소정의 데이터 포맷 B의 데이터를 전용으로 인쇄하는 장치가 되고, 인쇄장치(PR11 내지 PR15)는 소정의 데이터 포맷 C의 데이터를 전용으로 인쇄하는 장치가 된다.
또한,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가 실행되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취득한 데이터를 변환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100)의 각 기종마다, 그 표시기능(표시 가능 행수, 표시 해상도 등)에 따라서,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취득한 데이터가 인쇄장치(PR)에서 인쇄되었을 때의 이미지 화상인 휴대 단말(100)에서 표시 가능한 프리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리뷰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장치(PR)에 대응하고 있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 대하여, 데이터 포맷 변환 요구 및 WWW 서버(DS)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응답으로서,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장치(PR)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 및 프리뷰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에, 휴대 단말(1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휴대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연산 및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30)와, 소정 영역에 미리 CPU(30)의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는 ROM(32)과, ROM(32) 등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나 CPU(30)의 연산과정에서 필요한 연산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RAM(34)과, RAM(34)의 특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44)에 출력하는 LCDC(Liquid Crystal Display Controller)(36)와, 외부장치에 대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매개하는 I/F(38)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인 버스(39)로 상호간에 또한 데이터 수수가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I/F(38)에는, 외부장치로서, 휴먼 인터페이스로서 복수의 키에 의해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키 패널(40)과, 기지국(200)과 무선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송수신 제어장치(42)와,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LCD(44)와, 현재 지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장치(46)가 접속되어 있다.
ROM(32)에는, CPU(30)의 제어 프로그램 외에,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당한 이용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RAM(34)은, 특정 영역으로서, LCD(44)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VRAM(35)을 가지고 있으며, VRAM(35)은 CPU(30)와 LCDC(36)에서 독립적으로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LCDC(36)는, VRAM(35)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용 데이터를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소정주기로 차례로 판독하고, 판독한 표시용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LCD(44)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 측정장치(46)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현재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신호를 송신하는 주회(周回) 위성으로부터 시각 신호를 수신하고, 그들 시각 신호에 의해 나타내는 시각의 어긋남 및 각 주회 위성의 주회 궤도에 의거하여, 현재 지점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CPU(30)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 등으로 이루어지며, ROM(32)의 소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그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4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데이터 인쇄 요구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데이터 인쇄 요구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데이터 인쇄 요구 처리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대하여,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발함으로써, 이용자가 지정하는 WWW 서버(DS)의 데이터를 인쇄장치(PR1 내지 PRn)중 어느 것인가로 인쇄하는 요구를 행하는 처리로서, CPU(30)에 있어서 실행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100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0에서는, 이용자에 의한 키 패널(40)의 입력에 의해, 데이터 인쇄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데이터 인쇄 요구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스텝 S102로 이행하여 위치 측정장치(46)에 의해 현재 지점의 위치를 측정하고, 스텝 S104로 이행하여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한다. 이용자는, 이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인쇄 대상이 되는 인쇄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WWW 서버(DS)의 인터넷(400)상에서의 위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URL이나,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희망하는 대략적인 장소인 제공 희망지역이나 용지 사이즈, 컬러/흑백사진 별, 인쇄 정밀도 또는 인쇄속도 등의 인쇄장치(PR)의 인쇄 사양이나, 인쇄 대상이 되는 인쇄용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나, 인쇄장치(PR)를 직접 지정하는 경우는 그 인쇄장치(PR)를 식별하기 위한 인쇄장치 ID를 입력한다. 이들 입력 항목은 모두 필수 항목이 아니라,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단, WWW 서버(DS)의 URL은, 특히 지정이 없을 때는, 이용자가 휴대 단말(100)로 현재 열람하고 있는 WWW 서버(DS)의 URL이 자동적으로 입력된다.
이어서, 스텝 S106으로 이행하여 입력된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시키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시키는 데이터는, 스텝 S102에서 측정한 현재 지점의 위치를 그 현재 지점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로서, WWW 서버(DS)의 URL을 그 URL을 나타내는 인쇄 대상 저장위치 데이터로서, 제공 희망지역이 입력되었을 때는 그 제공 희망지역을 나타내는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로서, 인쇄장치(PR)의 인쇄 사양이 입력되었을 때는 그 인쇄 사양을 나타내는 인쇄 사양 데이터로서, 데이터 포맷이 입력되었을 때는 그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인쇄포맷 데이터로서, 인쇄장치(PR)의 인쇄장치 ID가 입력되었을 때는 그 인쇄장치 ID를 나타내는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로서 생성된다.
이어서, 스텝 S108로 이행하여 데이터 인쇄 요구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하고, 스텝 S110으로 이행하여 그 응답으로서,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몇개의 인쇄장치(PR)의 후보가 리스트업된 인쇄장치 후보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장치 후보 데이터에 의거하여 리스트업된 인쇄장치(PR)의 후보를 LCD(44)에 표시하고, 스텝 S112로 이행한다.
스텝 S112에서는, LCD(44)에 표시된 인쇄장치(PR)의 후보 중에서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희망하는 인쇄장치(PR)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LCD(44)에 표시된 인쇄장치(PR)의 후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선택을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함으로써,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희망하는 인쇄장치(PR)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스텝 S114로 이행한다.
스텝 S114에서는, 인쇄장치(PR)를 결정한 것을 나타내는 결정 신호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하고, 스텝 S116으로 이행하여 결정 신호 송신의 제1 응답으로서, 결정된 인쇄장치(PR)에 관한 상세 정보(인쇄장치(PR)의 설치장소, 인쇄 사양 등)인 인쇄장치 정보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장치 정보에 의거하여 인쇄장치(PR)에 관한 상세 정보를 LCD(44)에 표시하고, 스텝 S118로 이행한다.
스텝 S118에서는, 결정 신호 송신의 제2 응답으로서, 휴대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결정된 인쇄장치(PR)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장소까지 이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정보(길 순서 정보, 지도 정보 등)를 나타내는 안내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안내 데이터에 의거하여 안내 정보를 LCD(44)에 표시하고, 스텝 S120으로 이행하여 결정 신호 송신의 제3 응답으로서, 프리뷰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프리뷰 데이터에 의거하여 결정된 인쇄장치(PR)에서 인쇄되었을 때의 이미지 화상을 LCD(44)에 표시하고, 스텝 S122로 이행한다.
스텝 S122에서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용 데이터가 LCD(44)에 표시된 이미지 화상으로 틀림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LCD(44)에 표시된 이미지 화상으로 틀림 없다는 취지의 선택을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함으로써, LCD(44)에 표시된 이미지 화상으로 틀림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스텝 S124로 이행한다. 이 때, 프리뷰 데이터가 복수의 데이터로 이루어질 때는, 그들중 인쇄를 희망하는 부분을 특히 지정할 수도 있다.
스텝 S124에서는, 데이터 인쇄 실행 요구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하고, 스텝 S126으로 이행하여 ROM(32)의 인증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하고, 스텝 S128로 이행하여 그 응답으로서,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LCD(44)에 표시하고, 스텝 S130으로 이행하여 데이터의 인쇄가 종료된 것을 나타내는 종료 신호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종료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지만, 그렇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종료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스텝 S128을 반복한다.
한편, 스텝 S122에서, LCD(44)에 표시된 이미지 화상이 잘못되었다는 취지의 선택을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함으로써, LCD(44)에 표시된 이미지 화상이 잘못되엇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스텝 S132로 이행하여 데이터의 인쇄를 중단하는 요구인 중단 신호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12에서, LCD(44)에 표시된 인쇄장치(PR)의 후보 중에서 희망하는 인쇄장치(PR)가 없다는 취지의 선택을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함으로써,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희망하는 인쇄장치(PR)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스텝 S134로 이행하여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인쇄장치(PR)를 재검색하는 요구인 리트라이 신호를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하고, 스텝 S104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100에서, 이용자로부터 데이터 인쇄 요구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데이터 인쇄 요구가 있을 때까지 스텝 S100에서 대기한다.
다음에,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휴대 단말(100)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인쇄장치(PR1 내지 PRn) 중 데이터를 인쇄해야 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그 선택한 인쇄장치(PR)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연산 및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CPU(50)와, 소정 영역에 미리 CPU(50)의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는 ROM(52)과, ROM(52) 등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나 CPU(50)의 연산과정에서 필요한 연산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RAM(54)과, RAM(54)의 특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 변환되고 출력하는 CRTC(56)와, 외부장치에 대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매개하는 I/F(58)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인 버스(59)로 상호간에 또한 데이터 수수가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I/F(58)에는, 외부장치로서, 휴먼 인터페이스로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장치(60)와, 데이터나 테이블 등을 파일로서 저장하는 기억장치(62)와,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64)와, 인터넷(400)에 접속하기 위한 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RAM(54)은, 특정 영역으로서, 표시장치(64)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VRAM(55)을 가지고 있으며, VRAM(55)은, CPU(50)와 CRTC(56)에서 독립적으로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CRTC(56)는, VRAM(55)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용 데이터를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소정주기로 차례로 판독하고, 판독한 표시용 데이터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장치(64)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기억장치(62)에는, 인쇄장치(PR1 내지 PRn) 중 데이터를 인쇄해야 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인쇄장치(PR)에 관한 인쇄장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인쇄장치 정보는, 각 인쇄장치(PR1 내지 PRn)마다, 그 인쇄장치(PR)의 설치장소를 특정하기 위한 인쇄장치 위치 데이터와, 그 인쇄장치(PR)에 대응하고 있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이 변환 가능한 데이터 포맷(즉, 그 인쇄장치(PR)가 인쇄 가능한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인쇄포맷 데이터와, 그 인쇄장치(PR)의 인쇄 사양을 나타내는 인쇄 사양 데이터와, 그 인쇄장치 ID를 나타내는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를 등록하여 구성되어 있다.
CPU(50)는, 마이크로프로세싱 유닛(MPU) 등으로 이루어지며, ROM(52)의 소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그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도 6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데이터 출력 제어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데이터 출력 제어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데이터 출력 제어처리는, 휴대 단말(100)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인쇄용 데이터를 WWW 서버(DS)에서 취득하고, 휴대 단말(100)의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어느 것인가의 인쇄장치(PR)를 선택하고, 취득한 인쇄용 데이터를 그 선택한 인쇄장치(PR)에 출력하는 것으로서, CPU(50)에 있어서 실행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200으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스텝 S200에서는, 데이터 인쇄 요구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데이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스텝 S202로 이행하여 수신한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데이터(적어도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 및 인쇄 대상 저장위치 데이터를 포함한다)를 취득하고, 스텝 S204로 이행하여 휴대 단말(100)의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어느 것인가의 인쇄장치(PR)를 선택한다.
이 스텝 S204에서는, 구체적으로 취득한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장치 위치 데이터를 검색하고,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다고 생각되는 몇개의 인쇄장치(PR)를 선택한다. 데이터 인쇄 요구에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장치 위치 데이터를 검색하고,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지역에 있는 모든 인쇄장치(PR)를 선택한다. 데이터 인쇄 요구에 인쇄 사양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취득한 인쇄 사양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 사양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인쇄 사양 데이터에 해당되는 모든 인쇄장치(PR)를 선택한다.
또한, 데이터 인쇄 요구에 인쇄포맷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취득한 인쇄포맷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포맷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인쇄포맷 데이터에 해당되는 모든 인쇄장치(PR)를 선택한다. 데이터 인쇄 요구에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취득한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와 일치하는 인쇄장치(PR)를 선택한다. 또한, 데이터 인쇄 요구에 이들 데이터가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때는, 각각의 데이터를 기초로 압축을 행한다. 단,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지역에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에 의한 압축은 행하지 않고, 또한,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때는, 다른 데이터에 의한 압축은 행하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S204에서는, 스텝 S202에서 선택된 인쇄장치(PR)를 리스트업한 인쇄장치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쇄장치 후보 데이터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스텝 S208로 이행한다.
스텝 S208에서는, 결정 신호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결정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스텝 S210으로 이행하여 취득한 인쇄 대상 저장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URL에 의해 특정되는 WWW 서버(DS)에서 인쇄용 데이터를 취득하고, 스텝 S211로 이행하여 취득한 인쇄용 데이터를, 그 인쇄용 데이터를 변환 가능하고 또한 결정된 인쇄장치(PR)에 대응하고 있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 송신하고, 그 응답으로서 결정된 인쇄장치(PR)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 및 프리뷰 데이터를 그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서 취득하여 스텝 S212로 이행한다.
스텝 S212에서는, 결정된 인쇄장치(PR)에 관한 인쇄장치 정보를 기억장치(6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인쇄장치 정보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스텝 S214로 이행하여 결정된 인쇄장치(PR)에 관한 안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내 데이터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스텝 S216으로 이행하여 프리뷰 데이터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스텝 S218로 이행한다.
스텝 S218에서는, 데이터 인쇄 실행 요구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데이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스텝 S220으로 이행하여 인증 데이터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고, 스텝 S222로 이행하여 수신한 인증 데이터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100)의 이용자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당한 이용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처리를 실행하고, 스텝 S224로 이행한다.
스텝 S224에서는, 스텝 S222의 인증처리의 결과, 휴대 단말(100)의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정당한 이용자라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스텝 S226으로 이행하여 결정된 인쇄장치(PR)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를 그 인쇄장치(PR)에 송신하고, 스텝 S228로 이행하여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휴대 단말(100)이 이용한 결과에 따라서 요금부과를 행하는 요금부과처리를 실행한다.
이 스텝 S228에서는,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100)의 통화 요금(예를 들면, 1분마다의 통화 요금)을 산출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100)에 의한 이용의 결과로서, 예를 들면, 취득한 인쇄용 데이터의 용량, 인쇄장치(PR)에서의 인쇄 매수, 인쇄장치(PR)의 인쇄 사양에 대하여 인쇄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서의 서비스 이용 요금을 정한 요금 산출규정 테이블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100)에 의한 이용의 결과에 따른 서비스 이용 요금을 산출하고, 산출한 서비스 이용 요금을 통화 요금에 가산하고, 가산한 합계 금액을 휴대 단말(100)의 이용자에의 청구 금액으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S230으로 이행하여 스텝 S228의 요금부과처리에 의해 산출된 서비스 이용 요금을 나타내는 요금부과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스텝 S232로 이행하여 데이터의 인쇄가 종료하였다는 취지의 종료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스텝 S234로 이행하여 종료 신호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24에서, 휴대 단말(100)의 이용자가 정당한 이용자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때(No)는, 스텝 S236으로 이행하여 부정 이용자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18에서, 데이터 인쇄 실행 요구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스텝 S238로 이행하여 중단 신호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중단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지만, 그렇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스텝 S218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208에서, 결정 신호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스텝 S240으로 이행하여 리트라이 신호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리트라이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되었을 때(Yes)는 스텝 S200으로 이행하지만, 그렇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스텝 S208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200에서, 데이터 인쇄 요구를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때(No)는, 데이터 인쇄 요구를 수신할 때까지 스텝 S200에서 대기한다.
다음에, 상기 실시의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당한 이용자가, 자기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100)을 조작하여, 예를 들면, WWW 서버(DS1)에 액세스하면, 그 WWW 서버(DS1)의 표시용 데이터가 LCD(44)에 표시된다. 이 때, 이용자가 LCD(44)에 표시된 데이터의 상세 데이터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용자가 목적하는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 인쇄 요구를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한다.
휴대 단말(100)에서는 데이터 인쇄 요구가 입력되면, 스텝 S100, S102를 거쳐, CPU(30)에 의해 위치 측정장치(46)에 의해 현재 지점의 위치가 측정되고,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의 입력요구가 LCD(44)에 표시된다. 여기서, 이용자는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서 열람하고 있는 WWW 서버(DS1)의 URL을 지정함으로써 입력하면, 스텝 S104 내지 S108을 거쳐, 입력된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 및 인쇄 대상 저장위치 데이터가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시키는 데이터로서 생성되고, 데이터 인쇄 요구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된다.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는, 데이터 인쇄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S200 내지 S204를 거쳐, CPU(50)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데이터(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 및 인쇄 대상 저장위치 데이터)가 취득되며, 취득된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장치 위치 데이터가 검색되고,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다고 생각되는 몇개의 인쇄장치(PR)가 선택된다. 이 때, 인쇄장치(PR1 내지 PR5)가 선택되었다고 하면, 스텝 S206을 거쳐 인쇄장치(PR1 내지 PR5)를 리스트업한 인쇄장치 후보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인쇄장치 후보 데이터가 휴대 단말(100)에 송신된다.
휴대 단말(100)에서는, 인쇄장치 후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S110을 거쳐, 수신된 인쇄장치 후보 데이터에 의거하여, 리스트업된 인쇄장치(PR1 내지 PR5)가 LCD(44)에 표시된다. 여기서, 이용자는 인쇄장치(PR1)의 선택을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하면, 스텝 S112, S114를 거쳐 인쇄장치(PR1)를 결정한 것을 나타내는 결정 신호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된다.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는 결정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208 내지 S211을 거쳐, 취득된 인쇄 대상 저장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URL에 의해 특정되는 WWW 서버(DS1)로부터 인쇄용 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인쇄용 데이터가, 그 인쇄용 데이터를 변환 가능하고 또한 결정된 인쇄장치(PR1)에 대응하고 있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예를 들면,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에 송신되며, 그 응답으로서 결정된 인쇄장치(PR1)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 및 프리뷰 데이터가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로부터 취득된다. 그리고, 스텝 S212 내지 S216을 거쳐, 결정된 인쇄장치(PR1)에 관한 인쇄장치 정보가 기억장치(62)로부터 판독되고, 판독된 인쇄장치 정보가 휴대 단말(100)에 송신되며, 결정된 인쇄장치(PR1)에 관한 안내 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안내 데이터가 휴대 단말(100)에 송신되며, 프리뷰 데이터가 휴대 단말(100)에 송신된다.
휴대 단말(100)에서는, 인쇄장치 정보, 안내 데이터 및 프리뷰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S116 내지 S120을 거쳐, 수신된 인쇄장치 정보에 의거하여, 인쇄장치(PR)에 관한 상세 정보가 LCD(44)에 표시되고, 수신된 안내 데이터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인쇄장치(PR1)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장소까지의 안내 정보가 LCD(44)에 표시되고, 수신된 프리뷰 데이터에 의거하여, 결정된 인쇄장치(PR1)에서 인쇄되었을 때의 이미지 화상이 LCD(44)에 표시된다. 여기서, 이용자는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용 데이터가, LCD(44)에 표시된 이미지 화상으로 틀림 없다는 취지의 선택을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하면, 스텝 S122 내지 S126을 거쳐, 데이터 인쇄 실행 요구 및 ROM(32)의 인증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된다.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는, 데이터 인쇄 실행 요구 및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S218 내지 S222를 거쳐 수신된 인증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증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서, 이용자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당한 이용자이므로, 스텝 S224 내지 S234를 거쳐 결정된 인쇄장치(PR1)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가 인쇄장치(PR1)에 송신되고, 요금부과처리가 실행되며, 요금부과 메시지, 종료 메시지 및 종료 신호가 휴대 단말(100)에 송신된다.
휴대 단말(100)에서는, 요금부과 메시지, 종료 메시지 및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스텝 S128, S130을 반복 경과하여, 요금부과 메시지 및 종료 메시지가 LCD(44)에 표시된다. 한편, 인쇄장치(PR1)에서는 인쇄장치(PR1)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가 행하여진다.
이용자는, 종료 메시지가 표시된 후, LCD(44)에 표시된 안내 정보를 보면서 인쇄장치(PR1)가 설치되어 있는 점포(S1)까지 가서, 인쇄장치(PR1)로 인쇄된 데이터를 수취한다. 이 인쇄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서의 서비스 이용 요금은, 휴대 단말(100)의 통화 요금에 합산되어 청구된다.
이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자는 인쇄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서의 서비스 이용 요금을 통화 요금과 합산하여 이용자에게 청구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의 대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서,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희망하는 대략적인 장소인 제공 희망지역을 입력한 경우는, 그 제공 희망지역을 나타내는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되고,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는, 취득된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장치 위치 데이터가 검색되고, 제공 희망지역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지역에 있는 모든 인쇄장치(PR)가 선택된다.
또한, 이용자가,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서, 인쇄장치(PR)의 인쇄 사양을 입력한 경우는, 그 인쇄 사양을 나타내는 인쇄 사양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되고,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는, 취득된 인쇄 사양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 사양 데이터가 검색되고, 그 인쇄 사양 데이터에 해당되는 모든 인쇄장치(PR)가 선택된다.
또한, 이용자가,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서 데이터 포맷을 입력한 경우는 그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인쇄포맷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되며,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는 취득된 인쇄포맷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포맷 데이터가 검색되고, 그 인쇄포맷 데이터에 해당되는 모든 인쇄장치(PR)가 선택된다.
또한, 이용자가 인쇄장치(PR)를 직접 지정하기 위하여,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정보로서 인쇄장치(PR)의 인쇄장치 ID를 입력한 경우는, 그 인쇄장치 ID를 나타내는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송신되고,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는 취득된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를 기초로 기억장치(62)의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가 검색되며, 그 인쇄장치 식별 데이터와 일치하는 인쇄장치(PR)가 선택된다.
또한, 이용자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당한 이용자가 아닌 경우는, 이미지 화상이 LCD(44)에 표시되었을 때,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용 데이터가, LCD(44)에 표시된 이미지 화상으로 틀림 없다는 취지의 선택을 키 패널(40)로부터 입력하여도, 인쇄장치(PR1)에 의해서 목적하는 데이터가 인쇄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WWW 서버(DS)에서 취득하고, 복수의 인쇄장치(PR)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그 선택한 인쇄장치(PR)에 출력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에 비하여, 인터넷(400)상의 상세 정보를 손쉽게 입수할 수 있는 동시에, 상세 정보를 인쇄하는데 있어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의해 인쇄용 데이터 및 인쇄장치(PR)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가 처리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100)에 대한 메모리의 증설이 불필요하며 게다가 휴대 단말(100)에 드는 처리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휴대 단말(100)에 데이터를 판독해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통신시간이 저감되고,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적어진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 단말(100)의 기능에 의하지 않고 쾌적한 인쇄 환경이 되는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휴대 단말 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복수의 인쇄장치(PR)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100)의 위치에 관계가 있는 인쇄장치(PR)에 의해 데이터가 인쇄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거리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다고 생각되는 인쇄장치(PR)를 선택하도록 하면,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기 쉽게 되어, 인터넷(400)상의 상세 정보를 더욱 손쉽게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복수의 인쇄장치(PR) 중에서 휴대 단말(100)의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는 데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인쇄장치(PR)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이용자가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기 쉽게 되어 인터넷(400)상의 상세 정보를 더욱 손쉽게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데이터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URL에 의해 특정되는 WWW 서버(DS)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인터넷(400)에 접속되는 모든 WWW 서버(DS)에 있는 상세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로서 인쇄용 데이터를 WWW 서버(DS)에서 취득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100)에서는 대략적인 정보가 표시되고, 인쇄장치(PR)에서는 상세한 정보가 인쇄되기 때문에, 휴대 단말(100)에서는 인터넷(400)상의 상세 정보를 입수할 수 있으며 또한 쾌적한 표시처리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더욱 쾌적한 인쇄 환경이 되는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서 생성된 프리뷰 데이터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고, 프리뷰 데이터의 출력에 대한 응답으로서 휴대 단말(100)로부터 데이터 인쇄 실행 요구를 받았을 때는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인쇄장치(PR)에 출력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이용자에 대하여 출력 데이터의 제공에 앞서서 그 프리뷰 데이터를 통지함으로써, 이용자가 잘못하여 데이터를 인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이 제공하는 인쇄 서비스를 휴대 단말(100)이 이용한 결과에 따라서 요금부과를 행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인쇄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서의 서비스 이용 요금을 명확히 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인쇄 서비스 제공을 받을 때마다 차례로 서비스 이용 요금을 계산하지 않고 종료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제공 요금 정산을 위한 사무수속이 용이하게 되고, 그위에, 이용자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 요금을 명확히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인쇄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서의 서비스 이용 요금을 통화 요금과 합산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이용자는 서비스 이용 요금의 지불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이용 요금의 회수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되는 동시에 서비스 이용 요금 정산을 위한 사무수속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인쇄장치(PR)에 출력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인쇄장치(PR)가 새롭게 증설되어도, 서비스 제공자측에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의 설정을, 그 새로운 인쇄장치(PR)에 관해서만 변경하면 되고, 이용자측에서 아무런 설정의 변경을 하지 않아도, 그 새로운 인쇄장치(PR)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인쇄장치(PR)의 증설에 따르는 설정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그위에,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은, 휴대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결정된 인쇄장치(PR)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장소까지 이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나타내는 안내 데이터를 휴대 단말(100)에 송신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이용자는, 안내 정보에 의거하여 인쇄장치(PR)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장소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출력 데이터를 비교적 확실히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은,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의 처리 부하에 따라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선택하고 선택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서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처리 부하가 작은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서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의 처리 부하에 의하지 않고,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개략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쾌적한 인쇄 환경이 되는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휴대 단말(100)은, 제 1 또는 2항에 기재된 통신 단말에 대응하고, WWW 서버(DS1 내지 DSm)는, 제 1항, 3항, 5항, 6항 또는 11항에 기재된 데이터 축적 단말에 대응하고, 인쇄장치(PR1 내지 PRn)는, 제 1항 내지 4항, 6항, 7항, 9항 내지 12항에 기재된 출력 단말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스텝 S108은 제 11항에 기재된 발신스텝에 대응하고, 스텝 S210은 제 3항, 5항 내지 7항 또는 9항에 기재된 취득수단 또는 제 11항에 기재된 취득스텝에 대응하고, 스텝 S204는 제 3항, 4항, 7항, 9항 또는 10항에 기재된 선택수단 또는 제 11 또는 12항에 기재된 선택스텝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스텝 S226은 제 3항 또는 9항에 기재된 출력수단 또는 제 11항에 기재된 출력스텝에 대응하고, 스텝 S216은 제 7항에 기재된 출력수단에 대응하고, 스텝 S212, S214는 제 10항에 기재된 출력수단에 대응하고,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은, 스텝 S228은, 제 8항에 기재된 요금부과수단에 대응하고, 제 7항에 기재된 화상 데이터 생성수단 또는 제 9항에 기재된 데이터 변환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장치(PR1 내지 PRn)를마련하고, 휴대 단말(100)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인쇄장치(PR)에서 인쇄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데이터를 표시하며 또는 음성 등으로서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마련하고, 휴대 단말(100)로부터의 데이터 출력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출력장치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서 프리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 프리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은,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의 처리 부하에 따라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선택하고, 선택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에서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특정한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에서 데이터 포맷 변환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4 및 도 6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는, 특정한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서 행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에서 보도록, 복수의 데이터 출력 제어용 단말을 마련하여 두고,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데이터 출력 제어용 단말의 처리 부하에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출력 제어용 단말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데이터 출력 제어용 단말에서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처리 부하가 작은 데이터 출력 제어용 단말에서 도 4 및 도 6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인터넷(400)의 전송 부하 또는 데이터 출력 제어용 단말의 처리 부하에 의하지 않고, 출력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개략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에 대하여 더욱 쾌적한 인쇄 환경이 되는 인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를, 인터넷(400)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물론 인터넷(400) 이외의 네트워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100)과,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과, WWW 서버(DS1 내지 DSm)와, 인쇄장치(PR1 내지 PRn)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을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과 휴대 단말(100),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과 데이터 포맷 변환용 단말(CS1 내지 CSl),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과 WWW 서버(DS1 내지 DSm), 및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과 인쇄장치(PR1 내지 PRn)를 각각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4 및 도 6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는 어느것이나, ROM(32, 5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이들의 순서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매체로부터, 그 프로그램을 RAM(34, 54)에서 열어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기억매체란, RAM, ROM 등의 반도체 기억매체, FD, HD 등의 자기기억형 기억매체, CD, CDV, LD, DVD 등의 광학적 판독방식 기억매체, MO 등의 자기기억형/광학적 판독방식 기억매체이고, 전자적, 자기적, 광학적 등의 판독 방법의 여하에 관계 없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이면, 모든 기억매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300)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로부터의 데이터의 인쇄 요구에 따라서,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WWW 서버(DS1 내지 DSm)중 어느 하나로부터 취득하여 인쇄장치(PR1 내지 PRn)중 어느 하나에 출력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관해 적용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다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데이터의 인쇄 요구를 발하는 휴대 가능한 휴대 단말과, 각지에 점재하여 설치되고 데이터를 인쇄하는 복수의 출력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데이터 인쇄 요구를 받아 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단말에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일정 Web 서버에 인쇄장치에서 인쇄하기 위한 인쇄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중계국이나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등에 접속되는 단말에서의 리퀘스트에 따라 해당 단말에 상기 기억부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리퀘스트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를 축적하는 Web 서버인 데이터 축적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며,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에 축적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요구인 데이터 인쇄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축적 단말로부터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출력 단말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복수 종류의 데이터 변환수단과,(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데이터 출력 제어 단말로부터 데이터 변환요구 및 변환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변환처리에 의해, 데이터 출력 제어단말이 취득한 데이터 중 소정의 포맷 데이터를, 복수의 인쇄장치인 출력단말 중 대응 하는 것에서 인쇄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제어단말로 송신함.)
    상기 복수 종류의 데이터 변환수단 중에서 상기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데이터를 변환가능한 데이터 변환수단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데이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를 출력가능한 복수의 출력단말 중 어느 하나의 출력단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인쇄 가능한 데이터를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출력 단말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1-7008403A 1999-11-01 2000-11-01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88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11597 1999-11-01
JP31159799 1999-11-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226A Division KR100601489B1 (ko) 1999-11-01 2000-11-01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KR20040034864U Division KR200377707Y1 (ko) 1999-11-01 2004-12-08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340A KR20010101340A (ko) 2001-11-14
KR100488746B1 true KR100488746B1 (ko) 2005-05-11

Family

ID=180191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226A KR100601489B1 (ko) 1999-11-01 2000-11-01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KR10-2001-7008403A KR100488746B1 (ko) 1999-11-01 2000-11-01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226A KR100601489B1 (ko) 1999-11-01 2000-11-01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57749B2 (ko)
EP (1) EP1158411B1 (ko)
KR (2) KR100601489B1 (ko)
CN (1) CN100470514C (ko)
AU (1) AU1053901A (ko)
DE (1) DE60033917T2 (ko)
WO (1) WO2001033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552001A (en) * 2000-01-12 2001-07-24 Seiko Epson Corporation Data output control devic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AU2552101A (en) * 2000-01-12 2001-07-24 Seiko Epson Corporation Data output control device and personal digital terminal
EP1176502B1 (en) * 2000-01-12 2006-09-27 Seiko Epson Corporation Personal digital terminal and data output control system
US7143141B1 (en) 2000-01-25 2006-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providing internet-related services in response to a handheld device that is not required to be internet-enabled
JP2001296985A (ja) 2000-04-17 2001-10-26 Fuji Xerox Co Ltd 情報出力システム
JP4306248B2 (ja) * 2000-07-13 2009-07-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ウェブデータ出力管理装置およびウェブデータ出力方法
JP2002215721A (ja) * 2001-01-16 2002-08-0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コンピュ―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US7321443B2 (en) 2001-06-29 2008-0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device and program product for supporting print by reference methods
US7385718B2 (en) 2001-06-29 2008-06-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by reference method for portable wireless devices
US7760375B2 (en) 2001-06-29 2010-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by reference service method
US7190476B2 (en) 2001-06-29 2007-03-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by reference service communication protocol and interface
US7299490B2 (en) 2001-06-29 2007-1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wireless device and software for printing by reference
US20030002072A1 (en) * 2001-06-29 2003-01-02 Berkema Alan C. Print by reference communication methods for portable wireless device printing
US7031661B2 (en) * 2001-06-29 2006-04-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L.P. Portable wireless device and print device print by reference protocol
US6922725B2 (en) * 2001-09-07 2005-07-2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service requests originating from a mobile computing device
US7536182B2 (en) 2001-09-18 2009-05-19 Ne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handheld devices using local resources
JP3763466B2 (ja) * 2001-12-11 2006-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コマンド制御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該装置に接続するプリンタ、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699053B2 (en) 2002-01-24 2014-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rinting from a desktop operating system using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20040001217A1 (en) * 2002-06-26 2004-01-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rs of mobile computing devices to print documents
US20040039932A1 (en) * 2002-08-23 2004-02-26 Gidon Elaza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documents in a digital appliance
US7979700B2 (en) * 2002-08-23 2011-07-12 Sandisk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documents in a digital appliance
WO2004086363A2 (en) * 2003-03-27 2004-10-07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Data storage device with full access by all users
WO2005013133A2 (en) * 2003-07-28 2005-02-10 Sandisk Secure Content Solution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orage device
US7787423B2 (en) 2003-09-10 2010-08-31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and program product for the same
JP3958283B2 (ja) * 2003-12-15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WO2005076576A2 (en) * 2004-02-03 2005-08-18 Sandisk Secure Content Solutions, Inc. Protection of digital data content
US8150617B2 (en) * 2004-10-25 2012-04-03 A9.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location-specific images on a mobile device
US9460094B1 (en) 2005-01-10 2016-10-04 Novel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nearest network resource using GPS coordinates
JP4039433B2 (ja) * 2005-05-09 2008-01-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データ送信装置及び画像データ送信方法
US8078788B2 (en) 2005-12-08 2011-12-13 Sandisk Technologies Inc. Media card command pass through methods
US8839005B2 (en) * 2006-09-13 2014-09-16 Sandisk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censed digital content between users
US20080065552A1 (en) * 2006-09-13 2008-03-13 Gidon Elazar Marketplace for Transferring Licensed Digital Content
KR100707936B1 (ko) 2006-09-29 2007-04-18 정용주 데이터출력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서비스 시스템
US9032154B2 (en) 2007-12-13 2015-05-12 Sandisk Technologies Inc. Integration of secure data transfer applications for generic IO devices
JP6318940B2 (ja) * 2013-07-30 2018-05-09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データ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453A (ja) * 1996-12-24 1998-07-21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転送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H10333845A (ja) * 1997-06-02 1998-12-18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4151B2 (ja) * 1989-07-03 1999-10-1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方式
US5668948A (en) * 1994-09-08 1997-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dia streamer with control node enabling same isochronous streams to appear simultaneously at output ports or different streams to appear simultaneously at output ports
JPH08166915A (ja) * 1994-12-13 1996-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伝送装置および伝送方法
JPH09214580A (ja) * 1996-02-06 1997-08-15 Canon Inc 通信システム
JP3910272B2 (ja) * 1996-11-18 2007-04-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フォトサービスシステム
JPH10222527A (ja) * 1997-02-07 1998-08-21 Casio Comput Co Ltd 情報出力システム
GB9707615D0 (en) * 1997-04-14 1997-06-04 British Telecomm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JP4086360B2 (ja) 1997-04-24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システム
SE512474C2 (sv) * 1997-06-27 2000-03-20 Ericsson Telefon Ab L M System, förfarande och applikationsservermedel för att tillhandahålla papperskopior av dokument och/eller meddelanden
JPH1166051A (ja) * 1997-08-18 1999-03-09 Fuji Xerox Co Ltd 電子文書のファイリ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H11136394A (ja) * 1997-08-26 1999-05-21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出力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出力方法
JPH11126189A (ja) * 1997-10-22 1999-05-11 Sony Corp コンピュータ装置
US6505252B1 (en) * 1997-12-24 2003-01-07 Seiko Epson Corporation Data transfer utilizing preview data
JPH11191081A (ja) * 1997-12-26 1999-07-13 Casio Comput Co Ltd 情報データ転送遠隔制御システム
US6208644B1 (en) * 1998-03-12 2001-03-27 I-Cube, Inc. Network switch providing dynamic load balancing
US6195703B1 (en) * 1998-06-24 2001-02-27 Emc Corporation Dynamic routing for performance partitioning in a data processing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453A (ja) * 1996-12-24 1998-07-21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転送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H10333845A (ja) * 1997-06-02 1998-12-18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3365A1 (fr) 2001-05-10
KR20010101340A (ko) 2001-11-14
KR20050012893A (ko) 2005-02-02
US6757749B2 (en) 2004-06-29
EP1158411A4 (en) 2003-07-09
KR100601489B1 (ko) 2006-07-19
DE60033917D1 (de) 2007-04-26
EP1158411A1 (en) 2001-11-28
US20020013870A1 (en) 2002-01-31
DE60033917T2 (de) 2007-07-05
CN1342284A (zh) 2002-03-27
AU1053901A (en) 2001-05-14
CN100470514C (zh) 2009-03-18
EP1158411B1 (en)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746B1 (ko)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88747B1 (ko)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KR100431255B1 (ko) 휴대단말 및 데이터 출력제어 시스템
KR100488749B1 (ko)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및 데이터 출력 네트워크 시스템
KR100467464B1 (ko) 데이터 출력 제어 장치 및 휴대 단말
KR100601488B1 (ko)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KR20010113737A (ko) 데이터 출력 제어 장치 및 휴대 단말
KR200377707Y1 (ko)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KR200377841Y1 (ko) 데이터 출력 제어장치
JP2007026466A (ja) 携帯端末及びデータ出力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