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059B1 -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059B1
KR100485059B1 KR10-2002-0063474A KR20020063474A KR100485059B1 KR 100485059 B1 KR100485059 B1 KR 100485059B1 KR 20020063474 A KR20020063474 A KR 20020063474A KR 100485059 B1 KR100485059 B1 KR 10048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map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914A (ko
Inventor
가미카와노리유키
마츠모토야스오
오타다카시
야마구치다카오
후지모토쇼지
다케우치히로시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218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78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665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123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8248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0446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의 현재위치를 아주 쉽게 파악하게 하고, 또한 현재위치 주변의 실제 상황에 대해서도 아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동일 영역에 대하여 축척이 상이한 두 타입 이상의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축척(S1)의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한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V1)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지시가 있으면, 축척(S1)과 상이한 다른 축척(S2)의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한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V2)으로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표시전환수단을 장비(裝備)한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Image display}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어,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화상에 대응하는 실화상(實畵像)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4는, 종래의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차의 속도로부터 연산하여 주행거리를 취득하기 위한 차속센서(2)와 진행방향을 취득하기 위한 자이로센서(3)가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연산한 주행거리 및 진행방향에 의거하여 자기 차의 위치를 계산해 내게 되어 있다(자율항법).
GPS수신기(4)는, 안테나(5)를 통해서 위성으로부터의 GPS신호를 수신하는 것이고,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접속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GPS신호에 의거하여 자기 차의 위치를 계산해 내게 되어 있다(GPS항법).
또한, 전자 지도 데이터 등이 기억된 DVD-ROM〔7(CD-ROM 등의 기억장치도 가능)〕으로부터 전자 지도 데이터 등을 받아들일 수 있는 DVD 드라이브(6)가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0)는, 계산해 낸 자기 차의 위치와 전자 지도 데이터를 정합함(이른바, 맵매칭 처리를 함)으로서, 자기 차의 위치가 정확하게 나타난 지도화면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지도의 갱신이 가능한 DVD-RAM이나 HDD(자기 하드 디스크)에 전자 지도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모컨(8)에 설치된 조이스틱(8a)이나 버튼 스위치(8b)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나, 표시장치(9)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9a)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입력되어, 이들 스위치 신호에 따른 처리가 마이크로 컴퓨터(10)로 행해지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이들 스위치로부터 이동 목적지의 정보를 받아들이면, 자기 차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여, 이것을 유도경로로서 지도화면과 함께 표시패널(9b) 위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표시패널(9b)에 지도화면이 표시되어, 그 지도 위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목적지, 그 목적지까지의 유도경로, 자기 차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자기 차의 위치 마크 및 그때까지 자기 차가 주행한 궤적(軌跡) 등이 겹쳐서 표시되게 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 표시패널(9b)을 순서대로 참조함으로써 진로정보를 얻을 수가 있고, 그 진로정보에 따라서 목적지에 도달할 수가 있는 뛰어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표시되는 지도화상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도화상을 통하여 자기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거나,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의 실제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상기 지도화상에서는 입체 교차하는 도로 등의 상하의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 어려우며, 또한 실제로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되지 않는 도로나 건물 등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항공사진 데이터로부터 작성되는 항공사진의 화상 위에 자기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것과 같은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평5-113343호 공보). 상기 항공사진의 화상을 이용하면, 안표(眼標)가 되는 건물 등이 매우 알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기 쉬워지며, 또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의 실제상황에 대해서도 쉽게 파악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발명과 같이, 단지 항공사진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가 충분히 만족할 만한 네비게이션장치를 실현할 수가 없었다.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된 지도화상보다도 항공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된 항공사진의 화상 쪽이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기 쉬우며, 또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쉬워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기 지도화상 쪽이 상기 항공사진의 화상보다도,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기 쉬운 경우도 있다.
따라서, 차세대의 네비게이션장치는, 항공사진의 화상만을 이용한 것이 아니고, 물론 종래의 지도화상만을 이용한 것도 아니며, 항공사진의 화상과 지도화상을 둘 다 이용한 것이 주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중요하게 되는 것은, 이들 두 개의 상이한 특징을 가진 항공사진의 화상과 같은 실화상과, 지도화상을 적절하게 잘 가려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특히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어, 항공사진의 화상과 같은 실화상의 표시와,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지도화상을 둘 다 적절히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는,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1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1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축척과 상이한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2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축척의 전환 지시가 있으면 상기 제2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으로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제1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사진화면 작성수단 및 제2사진화면 작성수단이 확대처리를 행하지 않고 상기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는, 동일 지역에 대해서 축척이 상이한 두 타입 이상의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2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소정 축척의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3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3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2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제2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소정의 축척과 상이한 다른 축척의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축척과 상이한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4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축척의 전환 지시가 있으면 상기 제4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으로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제2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표시되는 화면의 축척 전환을 행할 수가 없는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축척률이 크면(상세한 표시가 됨) 테마파크 등의 큰 시설은 표시화면 내에 완전히 들어가지 않아 전체의 모습을 모르는 경우가 있고, 한편, 축척률이 작으면(광역 표시가 됨) 시설의 상태 등을 자세하게 볼 수가 없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느끼게 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1) 또는 화상표시장치(2)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축척의 전환 지시가 있으면,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예를 들면,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축척과 상이한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으로의 표시의 전환을 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기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화상표시장치(1)에 의하면, 확대처리를 행하지 않고 이들 사진화면이 작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에 화소 1도트당 2m 축척의 사진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소 1도트당 2m의 축척보다도 확대된, 화소 1도트당 1m 축척의 사진화면은 작성되지 않는다. 즉, 달무리(Halo)가 진 사진화면이 표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선명한 사진 화상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사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량이 매우 많고, 사진 데이터는 기억장치로부터의 판독이나, 화상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화면의 확대, 축소 처리를 단시간에 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2)에 의하면, 동일 지역에 대해서 축척이 상이한 두 타입 이상의 사진 데이터(예를 들면, 화소 1도트당 1m 축척의 사진, 화상 1도트당 2m 축척의 사진 등)에 의거하여, 상이한 축척의 사진화면이 두 개 이상 작성되기 때문에, 화면의 확대, 축소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박진감 넘치는 표시전환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3)는,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지역을 한정하여 기억된 제3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과, 그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3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4)는,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지역을 한정하여 기억된 제3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과, 그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어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한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 지시가 있으면 상기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4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5)는,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지역을 한정하여 기억된 제3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과, 그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스위치를 형성하는 제1스위치 형성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지시 스위치가 ON이 되면, 상기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5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사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량이 매우 많고, 예를 들면 화소 1도트당 1m의 축척으로 전국을 총 망라한 사진 데이터를 DVD-ROM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시키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기 때문에,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는 전국의 모든 곳을 망라하여 기록시키는 한편, 사진 데이터에 대해서는 주요도시 등에 한정하여 기록시킨다는 것을 생각할 수가 있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3)에 의하면, 사진 데이터가 기록된 지역(예를 들면, 도쿄, 오사카 등의 주요도시) 내에 들어가면, 자기(예를 들면, 자기 차 등)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이 자동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의 모습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화상표시장치(4) 또는 화상표시장치(5)에 의하면,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할 경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 지시가 있으면 상기 사진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할 때에 상기 사진화면을 표시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화상표시장치(5)에 의하면,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할 경우에만,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스위치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그 지시 스위치가 화면을 접촉함으로써 ON이 되는 터치 버튼의 경우에는, 화면 위에 터치 버튼이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사진화면을 볼 수가 있는 지역에 들어가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6)는,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유도경로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유도경로 위 또는 그 유도경로 주변에 존재하는 소정의 장소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6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6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소정의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6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6)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스위치를 각 장소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제2스위치 형성수단을 장비(裝備)함으로써 그 제2스위치 형성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지시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ON이 되면, 상기 제6사진화면 표시수단에 의해 ON이 된 상기 지시 스위치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네비게이션장치로 표시되는 지도화면에서는 표현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인터체인지 등과 같이 높낮이의 차이가 있는 장소나 복잡한 구조를 한 장소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6)에 의하면, 유도경로 위 또는 그 유도경로 주변에 존재하는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인터체인지나 서비스지역, 관광명소 등)를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된다. 따라서, 지도화면에서는 표현이 어려웠던 장소를 사진화면에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 만한 곳이 많은 관광명소 등도 사진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드라이브 등을 보다 즐겁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스위치가, 각 장소에 대응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희망하는 장소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7)는,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7사진화면 표시수단과, 소정의 장소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가 기억된 상세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 내에 존재하는 장소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장소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세정보 제공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7)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상세정보의 제공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스위치를 각 장소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제3스위치 형성수단을 장비(裝備)함으로써 그 제3스위치 형성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지시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ON이 되면, 상기 상세정보 제공수단에 의해 ON이 된 상기 지시 스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7)에 의하면, 사진화면이 비추어진 지역 내에 존재하는 장소(예를 들면, 유희시설이나 레스토랑 등)에 관한 상세정보(예를 들면, 입장료나 영업일 등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만족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상기 상세정보의 제공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스위치가, 각 장소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희망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8)는,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목적지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목적지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8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8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8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9)는, 상기 화상표시장치(8)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면, 상기 제8사진화면 표시수단이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0)는, 상기 화상표시장치(8)에 있어서,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가 상기 목적지 부근까지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자기위치 판단수단을 구비하고, 그 제2자기위치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가 상기 목적지 부근까지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8사진화면 표시수단이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8) 내지 화상표시장치(10)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목적지가 도심부인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나, 도로의 폭이 넓은지 좁은지에 관한 정보나, 취락밀도가 높은지 낮은지에 관한 정보나, 유희시설이나 주차장의 유무에 관한 정보 등 상기 목적지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취득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화상표시장치(9)에 의하면,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면,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미리 상기 목적지 주변의 상황을 파악해 둘 수가 있고, 또한 상기한 화상표시장치(10)에 의하면, 자기가 상기 목적지 부근까지 도달하면,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기 직전에 상기 목적지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1)는,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지도화면으로부터 상기 사진화면으로의 표시전환 및/또는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을 상기 지도화면이 나타내는 지역과 상기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을 일치시켜 행하는 제3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1)에 대해서는, 상기 제3표시전환수단은, 예를 들면, 페이드인(fade-in) 및/또는 페이드아웃(fade-out)의 화면처리(각종 표시효과를 부여)를 하여, 표시의 전환을 행하게 된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11)에 의하면, 지도화면으로부터 사진화면으로의 표시전환 및/또는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이, 상기 지도화면이 나타내는 지역과 상기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을 일치시켜 행하여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안게 하는 일 없이 이들 표시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페이드인 및/또는 페이드아웃 등의 화상처리(예를 들면, 화면표시의 투과율을 100∼0%로 가변함)를 행하여, 표시의 전환을 행하도록 하면, 시각적으로 뛰어난 표시의 전환을 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2)는,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9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9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9사진화면 표시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사진화면 위에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제1현재위치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2지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지역을 작게 하고, 한편 상기 지도화면의 표시지역을 크게 해나가, 상기 자기의 이동에 맞추어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을 단계적으로 행하는 제4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제4표시전환수단이 상기 사진화면으로 비추어내는 지역과 상기 지도화면으로 나타내는 지역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표시의 전환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사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량이 매우 많고, 사진 데이터는 기억장치로부터의 판독이나, 화상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예를 들면, 자기의 현재위치 마크를 디스플레이 위에 고정시켜 두고, 상기 자기의 이동에 맞추어 화면을 갱신시키는 것을 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진화면을 디스플레이 위에 고정시켜 두고,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마크를 상기 사진화면 위에서 이동시켜가면 좋지만, 상기 사진화면은 상기 자기의 이동에 맞추어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마크는 상기 사진화면(즉 디스플레이) 위로부터 빠져버리게 된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12)에 의하면, 사진화면의 표시지역을 작게 하고, 한편 지도화면의 표시지역을 크게 해나가, 자기의 이동에 맞추어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이 조금씩 행하여지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뛰어난 표시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마크가 상기 사진화면(디스플레이) 위로부터 빠지기 전에 상기 지도화면 위에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마크가 오도록, 상기 표시의 전환을 행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과 상기 지도화면이 나타내는 지역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표시의 전환을 행하도록 하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느끼게 하는 일 없이 표시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3)는, 동일 지역에 대해서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상태로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4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10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0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10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13)에 의하면, 동일 지역에 대해서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상태(예를 들면, 계절별이나 시간대별 등)로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4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겨울에 찍은 사진 등)에 의거하여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된 사진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12월과 같은 경우에는 겨울에 찍힌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한 사진화면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계절감이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4)는,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 및 상기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사진화면을 동일 표시화면 위에 표시하는 멀티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14)에 의하면, 지도화면(비교적 주요 도로의 배치상태를 파악하기 쉬운 화면)과 사진화면(비교적 주변상황을 파악하기 쉬운 화면)이 동일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어느 시가지에 있어서의 도로의 배치상태와 주변상황을 효율 좋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5)는,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7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이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한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화상표시장치(15)에 의하면,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시간대 등)에 의거하여, 소정의 화상처리(예를 들면, 필터처리 등)를 행하여 작성된 사진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일몰 후에는 야간의 사진화면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만족도가 높은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6)는, 지도데이터와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동일 지역에 관하여 동일 축척의 지도화상과 실화상을 표시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상기 지도화상과 상기 실화상 중 어느 한쪽의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소정의 영역에 다른 한쪽의 화상을 겹치게 하여, 겹쳐진 영역에 대해서,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만이 보이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6)에 의하면, 상기 지도화상과 상기 실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 중 어느 한쪽의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에, 동일 축척으로 다른 한쪽의 화상이 겹쳐져 표시되고, 더욱이 이들 화상이 겹쳐진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만이 보이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였을 경우,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는 상기 지도화상의 합성계수를 0으로 하고, 한편 상기 실화상의 합성계수를 1로 하며,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실화상만이 보이게 되어, 그 결과로 상기 표시화면 위에는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그 일부분에 상기 실화상만이 편성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목표물 등을 다각적으로 포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7)는, 지도데이터와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동일 지역에 관하여 동일 축척의 지도화상과 실화상을 표시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상기 지도화상과 상기 실화상 중 어느 한쪽의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소정의 영역에 다른 한쪽의 화상을 겹치게 하여, 겹쳐진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해서, 이들 화상 중 한쪽의 화상 아래로부터, 다른 한쪽의 화상이 들여다보이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7)에 의하면, 상기 지도화상과 상기 실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 중 어느 한쪽의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에 동일 축척으로 다른 한쪽의 화상이 겹쳐져 표시되어, 예를 들면,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였을 경우, 상기 표시화면 위에는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그 일부분에 상기 실화상이 겹쳐 표시되기 때문에, 목표물 등을 다각적으로 포착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화상표시장치(17)에 의하면, 이들 화상이 겹쳐진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해서는, 이들 화상 중 한쪽의 화상 아래로부터 다른 한쪽의 화상이 들여다보이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였을 경우, 상기 소정의 영역에서는 상기 지도화상의 합성계수를 α(0≤α≤1)로 하고, 한편 상기 실화상의 합성계수를 β(=1-α) 로 하고,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여, 상기 소정의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실화상(전부 또는 일부분) 아래로부터 상기 지도화상이 들여다보이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매우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8)는, 상기 화상표시장치(17)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합성도(合成圖)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도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겹쳐진 영역에 대해서, 상기 합성도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합성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의 합성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8)에 의하면, 상기 합성도의 설정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들 화상이 겹쳐져 있는 영역에 대해서 상기 지도화상의 표시 휘도(輝度)를 높게(상기 실화상의 표시 휘도를 낮게) 하거나, 반대로 상기 실화상의 표시 휘도를 높게(상기 지도화상의 표시 휘도를 낮게) 하는 조정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표시상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19)는, 상기 화상표시장치(17) 또는 화상표시장치(18)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상기 겹쳐진 영역으로부터 그 영역 밖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배경이 되어 있는 화상의 표시 휘도가 높아지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9)에 의하면, 상기 겹쳐진 영역으로부터 그 영역 밖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배경이 되어 있는 화상의 표시 휘도가 높아지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기 때문에, 상기 겹쳐진 영역으로부터 그 영역 밖으로의 화상의 추이(推移)를 매끄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0)는, 상기 화상표시장치(16) 내지 화상표시장치(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자기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자기의 주변지역, 상기 목적지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목적지의 주변지역, 소정 시설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소정 시설의 주변지역,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소정 위치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소정 위치의 주변지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0)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자기의 주변지역, 상기 목적지의 지역, 상기 소정 시설(예를 들면, 역)의 주변지역,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기 소정 위치(예를 들면, 자택 위치)의 주변지역 중 어느 하나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였을 경우,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상기 실화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주목해야 할 지역에 대해서는 배경 화상과는 질(質)이 상이한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주목해야할 지역과 그 이외의 부분과의 차별화를 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1)는, 상기 화상표시장치(16) 내지 화상표시장치(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표시화면 위의 대체로 위 반쯤의 영역 혹은 대체로 아래 반쯤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1)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표시화면 위의 대체로 위 반쯤의 영역/대체로 아래 반쯤의 영역이기 때문에, 대체로 위 반쯤의 영역을 상기 지도화상으로 표시하고, 대체로 아래 반쯤의 나머지 영역을 상기 실화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대체로 위 반쯤의 영역을 상기 실화상으로 표시하고, 대체로 아래 반쯤의 나머지 영역을 상기 지도화상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는, 표시화면의 아래쪽 부분에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화면의 위쪽 부분에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가 표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화상표시장치(21)에 의하면,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바로 앞쪽과 먼 쪽으로 화상의 차별화를 꾀할 수가 있다(도 18 참조).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2)는, 상기 화상표시장치(16) 내지 화상표시장치(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경로에 관한 경로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경로 주변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2)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경로 주변지역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였을 경우, 상기 경로 주변지역에 대해서는 상기 실화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경로 주변지역에 대해서는, 배경 화상과는 질(質)이 상이한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경로 주변지역과 그 이외의 부분과 차별화를 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3)는, 표시화면 위에, 지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 장소의 지도 위에 있어서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위치좌표와 대응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 장소의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를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3)에 의하면, 상기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주유소나 학교, 공원 등이 있는 장소)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를 찍은 상기 실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이 표시된다(도 23 참조).
예를 들면,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에서는,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화상의 상황을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지도화상 위에 주유소나 학교 등의 눈에 띄는 마크, 이른바 랜드마크가 표시되어 있었지만, 상기 화상표시장치(23)에서는,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주유소나 학교 등의 시설을 찍은 실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되어 있는 장소가 실화상인 것은 물론이거니와, 크기(부지면적)에 대해서도 실제와 동일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지도화상이 나타내는 상황을 매우 파악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4)는, 표시화면 위에, 지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 장소의 소재지를 나타낸 소재지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가 포함되는 구획을 산출하는 구획 산출수단과, 그 구획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구획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3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4)에 의하면, 상기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주유소나 학교, 공원 등이 있는 장소)가 포함되는 구획(예를 들면, 공원 등이 간선도로 등 비교적 폭이 넓은 도로로 구획된 범위)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상기 실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이 표시된다(도 25 참조).
따라서,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되어 있는 장소가 실화상인 것은 물론이거니와, 크기(부지면적)에 대해서도 실제와 동일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지도화상이 나타내는 상황을 매우 파악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장소뿐만이 아니라, 그 장소가 포함되는 구획에 대해서도 실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장소뿐만 아니라, 그 주위에 대해서도 실제의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지도화상 위에, 후에 설명하는 도 23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소정의 장소만을 잘라낸 것과 같은 실화상을 표시할 경우, 시설에 관한 정보로써 학교 등의 시설영역〔즉, 면(面)〕을 나타낸 영역정보(즉, 2차원적 정보)가 필요하게 되지만, 상기 소정의 장소가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할 경우에는, 학교 등의 시설 소재지〔즉, 점(点)〕를 나타낸 소재지정보가 있으면 좋다. 따라서, 상기 화상표시장치(24)에 대해서는, 레벨이 높은 상기 영역정보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레벨이 낮은 상기 소재지정보를 준비하여 두면 좋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5)는, 표시화면 위에, 지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 장소의 지도 위에 있어서의 영역을 나타낸 소재지정보 및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 장소의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를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소정 장소의 소재지를 나타낸 소재지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가 포함되는 구획을 산출하는 구획 산출수단과, 그 구획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구획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3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제2표시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와, 상기 제3표시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를,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잘 가려서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전환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5)에 의하면, 상기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장소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를 찍은 상기 실화상을 표시하는 기능과,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장소가 포함되는 구획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상기 실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며, 더욱이 상기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이들 기능의 적절한 사용방법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조건에 따라 실화상이 적절한 사용방법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보다 의의가 있는 표시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도 27 참조).
더욱이 상기 소정의 조건으로서는 상기 장소의 용도별(예를 들면, 시설의 종별)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공원 등과 같이 경계가 애매하여 알아보기 어려운 곳에 대해서는, 공원 그 자체만이 아니고, 공원을 포함한 넓은 범위(구획)를 찍은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6)는, 상기 화상표시장치(23) 내지 화상표시장치(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정한 장소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소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장소가, 상기 장소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특정의 장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6)에 의하면, 상기 장소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특정의 장소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으며, 더욱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장소를 찍은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희망에 합치하는 표시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7)는, 상기 화상표시장치(23) 내지 화상표시장치(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소의 용도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용도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장소가, 상기 용도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장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7)에 의하면, 상기 용도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장소의 용도(예를 들면, 시설의 종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으며, 더욱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장소를 찍은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희망에 합치하는 표시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8)는, 상기 화상표시장치(23) 내지 화상표시장치(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자기에 있어서의 과거의 주행 이력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어느 특정한 장소를 산출하는 장소 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장소가, 상기 장소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장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8)에 의하면, 상기 자기에 있어서의 과거의 상기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산출되었던 어느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방문한 적이 있는 시설이 있는 장소)를 찍은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과거의 이력에 관련한 장소를 실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는 내용을 통해서, 과거의 이력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29)는, 표시화면 위에, 지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구획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4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29)에 의하면, 상기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 구획(예를 들면, 공원 등이 간선도로 등 비교적 폭이 넓은 도로로 구획된 범위)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구획을 찍은 상기 실화상이 표시된다(도 31 참조).
즉, 상기 소정의 구획 영역에, 상기 실화상이 끼워 넣어진 것처럼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지도화상이 나타내는 상황을 매우 파악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30)는, 상기 화상표시장치(29)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자기에 있어서의 과거의 주행 이력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어느 특정한 구역을 산출하는 구역 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구획이, 상기 구역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구역을 포함한 구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30)에 의하면, 상기 자기에 있어서의 과거의 상기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산출되었던 어느 특정한 구획(예를 들면, 방문한 적이 있는 시설이 있는 장소를 포함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과거의 이력에 관련한 구획을 실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는 내용을 통해서 과거의 이력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31)는, 표시화면 위에,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5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5표시제어수단이, 소정의 구획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구획과 그 이외의 부분을 차별화하여 상기 실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31)에 의하면, 상기 표시화면 위에 상기 실화상이 표시될 때에, 상기 소정의 구획(예를 들면, 사용자가 과거에 방문한 적이 있는 구획)과 그 이외의 부분(예를 들면, 사용자가 과거에 방문한 적이 없는 구획)을 차별화하여 상기 실화상이 표시된다(도 33 참조).
따라서, 사용자가 더욱더 주목해야할 구획 등을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기 때문에, 매우 의의가 있는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표시의 차별화를 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한쪽을 컬러표시로 하고, 다른 한쪽을 흑백표시로 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32)는, 상기 화상표시장치(31)에 있어서, 특정한 구획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구획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구획이, 상기 구획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특정구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32)에 의하면, 상기 구획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특정구획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으며, 더욱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구획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표시의 차별화를 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희망에 합치하는 표시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33)는, 상기 화상표시장치(31)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자기에 있어서의 과거의 주행 이력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어느 특정한 구역을 산출하는 구역 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구획이, 상기 구역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구역을 포함한 구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33)에 의하면, 상기 자기의 과거의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산출되었던 어느 특정한 구획(예를 들면, 방문한 적이 있는 시설이 있는 장소를 포함한 구획)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표시의 차별화를 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을 통해서, 사용자는 어느 지역을 방문한 적이 있는지를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34)는, 표시화면 위에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5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5표시제어수단이 공원이나 시설 등 어느 특정한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영역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34)에 의하면, 어느 특정한 영역(예를 들면, 공원 및 시설 등)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화면 위에 상기 특정영역을 찍은 실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공원이나 시설 등만을 잘라낸 위성사진 등을 상기 표시화면 위에 표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실화상의 표시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공원이나 시설의 부지(영역)에 관한 정보를 미리 준비해 두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35)는, 표시화면 위에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와, 자기 위치 등 어느 특정한 위치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위치 주변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6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된 실화상 위에, 상기 특정위치를 나타내는 특정위치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35)에 의하면, 상기 표시화면 위에 있는 특정위치(예를 들면, 자기 차의 위치 등) 주변을 찍은 실화상이 표시되며, 더욱이 그 실화상 위에 상기 특정위치 등이 나타난다. 따라서, 위성사진 등의 실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자기 차가 어느 근처을 주행하고 있는 것인지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34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속센서(2)와, 자이로센서(3)가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1)는 연산한 주행거리 및 진행방향에 의거하여 자기 차의 위치를 계산하도록 되어 있다(자율항법). 또한, GPS수신기(4)가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1)는 GPS신호에 의거하여 자기 차의 위치를 계산하도록 되어 있다(GPS항법).
또한, 전국을 총 망라한 전자 지도 데이터 및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사진 데이터가 기록지역(예를 들면, 주요도시 등)을 한정하여 기록된 DVD-ROM〔17(CD-ROM 등의 기억장치도 가능)〕으로부터 전자 지도 데이터나 사진 데이터 등을 받아들일 수 있는 DVD 드라이브(6)가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1)는 계산한 자기 차의 현재위치에 의거하여, DVD-ROM(17)으로부터 필요한 지도 데이터나 사진 데이터를 호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1) 내의 버퍼메모리(18)에 일시적으로 기억시켜 놓도록 되어 있다. 또한, DVD-ROM(17)에는 동일 지역의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화소 1도트당 1m의 축척과 4m의 축척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표시패널(9b)의 상하좌우에는 복수의 적외선 LED와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가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되어 손가락이 표시패널(9b)에 접촉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검출된 결과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1)에서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1)가 행하는 처리동작①을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여〔스텝(S1)〕, 산출한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버퍼메모리(18)에 기억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지도화면을 작성한다〔스텝(S2)〕. 또한 작성한 지도화면에 관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버퍼메모리(18)에 기억되고, 표시 타이밍에 맞추어 판독된다.
이어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버퍼메모리(18)에 기억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가 상기 기록지역(예를 들면, 도쿄, 오사카 등의 주요도시)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3)〕, 상기 자기 차가 상기 기록지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버퍼메모리(18)에 기억되어 있는 두 타입의 축척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두 타입(예를 들면, 광역표시한 사진화면이나 상세하게 표시한 사진화면 등)의 사진화면을 작성한다〔스텝(S4)〕. 또한 작성한 사진화면에 관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버퍼메모리(18)에 기억되고, 표시 타이밍에 맞추어 판독된다.
이어서 표시패널(9b)에 표시되는 화면이 지도화면으로부터 사진화면으로 전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5)〕, 플래그(f1)가 1이 아니라고, 즉 사진화면으로 전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사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즉 상기 자기 차가 상기 기록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2)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6)〕, 플래그(f2)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지도화면으로부터 사진화면으로 표시전환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터치 스위치)를 형성하고〔스텝(S7)〕, 그 후, 플래그(f2)를 1로 하여〔스텝(S8)〕, 스텝(S9)으로 진행한다. 도 4(a), 도 4(b)는 표시패널(9b)에 지도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에는 지도화면 위에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스텝(S6)에 있어서, 플래그(f2)가 1이라고, 즉 이미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7, S8)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9)으로 진행한다.
스텝(S9)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를 제거하여〔스텝(S10)〕, 플래그(f2)를 0으로 하고〔스텝(S11)〕, 이어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예를 들면, 광역표시한 사진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진화면 위에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표시한다〔스텝(S12)〕. 더욱이 상기 사진화면 위에 상기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진 데이터가 나타내는 장방형 영역의 왼쪽 위 및 오른쪽 아래의 위도ㆍ경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스텝(S12)에 있어서의 처리 후, 더욱이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으로의 표시의 되돌리기를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뒤로" 버튼 스위치와, 상기 사진화면의 축척 전환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축척 전환" 버튼 스위치를 형성하고〔스텝(S13, S14)〕, 그 후 플래그(f1)를 1로 한다〔스텝(S15)〕. 도 5에, 표시패널(9b)에 사진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스텝(S9)에 있어서,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의 갱신을 행한다〔스텝(S16)〕.
그런데, 스텝(S5)에 있어서, 플래그(f1)가 1이라고, 즉 사진화면으로 표시가 전환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7)〕,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화면 위로부터 "뒤로" 버튼 스위치와 "축척 전환" 버튼 스위치를 제거하고〔스텝(S18, S19)〕, 그 후 플래그(f1)를 0으로 한다〔스텝(S20)〕.
그 후,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지도화면을 표시하고〔스텝(S21)〕, 이어서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를 형성하여〔스텝(S22)〕, 그 후 플래그(f2)를 1로 한다〔스텝(S23)〕.
한편, 스텝(S17)에 있어서,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축척 전환"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4)〕, "축척 전환"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사진화면의 축척 전환을 행하고〔스텝(S25)〕, 이어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사진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갱신한다〔스텝(S26)〕. 도 6에, 사진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자기 차 위치의 마크가 갱신된 상태를 나타낸다.
더욱이 사진화면의 축척 전환은, 예를 들면, 광역표시한 사진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퍼메모리(18)로부터 상세하게 표시한 사진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세하게 표시한 사진화면을 표시하고, 한편 상세하게 표시한 사진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퍼메모리(18)로부터 광역표시한 사진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광역표시한 사진화면을 표시하도록 하여 행한다.
또한, 스텝(S24)에 있어서, "축척 전환"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사진화면의 축척을 전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텝(S25)을 건너뛰고 스텝(S26)으로 진행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사진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갱신한다.
그런데, 스텝(S3)에 있어서, 상기 자기 차가 상기 기록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지도화면으로부터 사진화면으로 표시가 전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31)〕, 플래그(f1)가 1이 아니라고, 즉 상기 지도화면이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사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즉 상기 자기 차가 상기 기록지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2)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32)〕.
플래그(f2)가 1이라고, 즉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를 제거하고〔스텝(S33)〕, 그 후 플래그(f2)를 0으로 한다〔스텝(S34)〕.
한편, 스텝(S32)에 있어서, 플래그(f2)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33, S34)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31)에 있어서, 플래그(f1)가 1이라고, 즉 사진화면이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에 의해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35)〕,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뒤로" 버튼 스위치와 "축척 전환" 버튼 스위치를 제거하고〔스텝(S36, S37)〕, 이어서 플래그(f1)를 0으로 하고〔스텝(S38)〕, 그 후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지도화면을 표시한다〔스텝(S39)〕.
한편, 스텝(S35)에 있어서,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지도화면으로 표시를 되돌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자기 차가 사진 데이터가 기록된 지역(예를 들면, 도쿄, 오사카 등의 주요도시) 내에 들어가면,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진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지역에 진입하고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면, 지도화면으로부터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으로 표시전환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사진화면을 봄으로써,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현재위치 주변의 실제상황에 대해서도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진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지역에 진입했다는 것을 전하도록 하여, 이 "사진화면" 버튼 스위치가 터치됨으로써 표시의 전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자기 차의 위치 마크의 형상이나 색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진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지역에 진입했다는 것을 전하도록 하거나, 또한 형상이나 색 등이 변화한 자기 차 위치의 마크가 터치됨으로써 표시의 전환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지도화면으로부터 사진화면으로 완전히 전환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사진화면을 표시시킬 때 상기 지도화면의 표시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빈 스페이스에 상기 사진화면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한 상기 사진화면을 상기 지도화면 위에 겹쳐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전환의 지시에 따라 사진화면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자기 차가 상기 기록지역 내에 들어가면 자동적으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 이 경우에는 지도화면으로부터 사진화면으로 완전히 전환하는 방법도 좋지만, 지도화면의 표시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빈 스페이스에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사진 데이터는 데이터량이 매우 많고, 사진 데이터는 기억장치로부터의 판독이나, 화상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를 감안하여, 동일 지역에 대해서 축척이 상이한 두 타입의 사진 데이터가 기록된 DVD-ROM(17)을 채용하고 있지만, 사진 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 등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게 되면, 두 타입 이상의 사진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가 아니고, 축척이 작은(예를 들면, 화소 1도트당 1m의 축척, 즉 상세한 화상 데이터) 사진 데이터가 한 타입 기록된 기록매체를 채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1)를 제외하고, 도 1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가하여,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1A)가 행하는 처리동작②를 도 7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S41∼S43)에 있어서, 뒤에 기술하는 플래그(f3∼f5)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플래그(f3∼f5)가 모두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44)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목적지 등이 입력되어, 루트의 설정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루트의 설정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를 종료하고, 한편 루트의 설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설정된 루트가 DVD-ROM(17)에 기록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의 기록지역(예를 들면, 주요도시) 내를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45)〕, 상기 기록지역 내를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설정된 루트 위 또는 그 루트 주변에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인터체인지나 관광명소 등)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46)〕.
상기 루트 위 또는 그 루트 주변에 상기 소정의 장소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DVD-ROM(17)으로부터 필요한 사진 데이터(즉 상기 루트 위 또는 그 루트 주변에 존재하는 상기 소정의 장소에 관한 사진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한다〔스텝(S47)〕. 더욱이 작성한 상기 소정의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에 관한 데이터에 대해서는 버퍼메모리(18)로 보존된다.
이어서, 상기 루트를 화면 위에 표시하여〔스텝(S48)〕, 상기 소정의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의 표시를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를, 상기 장소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하고〔스텝(S49)〕, 그 후 상기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4)를 1로 한다〔스텝(S50)〕. 도 8에, 지도 위에 상기 버튼 스위치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더욱이 상기 버튼 스위치에 대해서는,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장소의 종별마다 표시내용이 결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인터체인지는 "IC", 서비스지역은 "SA"라고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희망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이어서, 리모컨(8) 등이 조작됨으로써, 루트 표시의 종료 지시를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51)〕, 사용자에 의해 루트 표시의 종료 지시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IC" 등의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52)〕.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를 종료하고, 한편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터치된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는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고〔스텝(S53)〕, 루트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으로의 표시의 되돌리기를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뒤로" 버튼 스위치를 형성하여〔스텝(S54)〕, 플래그(f4)를 0으로 하고〔스텝(S55)〕, 그 후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5)를 1로 한다〔스텝(S56)〕.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57)〕,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48)으로 되돌아가 루트를 표시하고, 한편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S5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루트 표시의 종료 지시가 행하여졌다고 판단하면, 메뉴화면을 표시하고〔스텝(S58)〕, 플래그(f4)를 0으로 한다〔스텝(S59)〕.
또한, 스텝(S45)에 있어서, 설정된 루트가 상기 기록지역 내를 주행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거나, 스텝(S46)에 있어서, 설정된 루트 위 또는 그 루트 주변에 상기 소정의 장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스텝(S60)으로 진행하여, 상기 루트를 표시하고, 이어서 종래와 같은 모습으로 루트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3)를 1로 한다〔스텝(S61)〕.
다음에, 리모컨(8) 등이 조작됨으로써, 루트 표시를 종료하는 지시가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62)〕, 사용자에 의해 루트 표시를 종료하는 지시가 행하여졌다고 판단하면, 메뉴화면을 표시하고〔스텝(S63)〕, 플래그(f3)를 0으로 한다〔스텝(S64)〕. 한편, 종료하는 지시가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S41)에 있어서, 플래그(f3)가 1이라고, 즉 종래와 같은 모습으로 루트가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62)으로 진행하고, 또한 스텝(S42)에 있어서, 플래그(f4)가 1이라고, 즉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가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51)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루트 표시의 종료 지시가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스텝(S43)에 있어서, 플래그(f5)가 1이라고, 즉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57)으로 진행하여,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설정된 루트의 노상(路上) 또는 그 루트 주변에 존재하는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인터체인지나 서비스지역, 관광명소 등)를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된다. 따라서, 지도화면으로는 표현이 어려웠던 장소를 사진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 만한 곳이 많은 관광명소 등도 사진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드라이브 등을 보다 즐겁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가, 각 장소에 대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희망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1) 및 DVD-ROM(17)을 제외하고, 도 1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 및 DVD-ROM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DVD-ROM(17B)에는 전국을 총 망라한 전자 지도 데이터,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사진 데이터 및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유희시설이나 레스토랑 등)에 관한 상세 데이터(예를 들면, 입장료나 영업일 등에 관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더욱이 사진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록지역(예를 들면, 주요도시 등)이 한정되어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1B)가 행하는 처리동작③을 도 9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진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6)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71)〕, 플래그(f6)가 1이 아니라고, 즉 사진화면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사진화면의 표시 타이밍(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사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의 지시가 있었을 경우 등)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2)〕.
사진화면의 표시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③을 종료하고, 한편 사진화면의 표시 타이밍이라고 판단하면, 표시되는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 내에, 상세 데이터가 기록된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유희시설이나 레스토랑 등)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3)〕.
상기 소정의 장소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소정의 장소에 관한 상세정보의 제공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를, 각 장소에 대응하여 형성 함과 동시에〔스텝(S74)〕, 상기 사진화면을 표시하여〔스텝(S75)〕,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바로 앞 화면으로의 표시의 되돌리기를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뒤로" 버튼 스위치를 형성하고〔스텝(S76)〕, 그 후 플래그(f6)를 1로 한다〔스텝(S77)〕.
한편, 스텝(S73)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장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스텝(S74)을 건너뛰고, 스텝(S75)으로 진행한다.
그런데, 스텝(S71)에 있어서, 플래그(f6)가 1이라고, 즉 사진화면이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장소에 관한 상세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7)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78)〕, 플래그(f7)가 1이 아니라고, 즉 상기 상세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각 장소에 대응하여 형성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9)〕.
상기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대응하는 장소에 관한 상세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한 상세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장소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고〔스텝(S80)〕, 플래그(f7)를 1로 한다〔스텝(S81)〕.
한편, 스텝(S79)에 있어서, 상기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82)〕, 사용자에 의해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뒤로" 버튼 스위치를 제거하여〔스텝(S83)〕, 플래그(f6)를 0으로 하고〔스텝(S84)〕, 이어서 상기 사진화면의 바로 앞 화면을 표시한다〔스텝(S85)〕. 한편,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③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78)에 있어서, 플래그(f7)가 1이라고, 즉 상기 상세정보가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에 의해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86)〕,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후 플래그(f7)를 0으로 하고〔스텝(S87)〕, 상기 사진화면을 표시한다〔스텝(S88)〕. 한편, "뒤로"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③을 종료한다.
상기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표시되어 있는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 내에 존재하는 장소(예를 들면, 유희시설이나 레스토랑 등)에 관한 상세정보(예를 들면, 입장료나 영업일 등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만족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상세정보의 제공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가, 각 장소에 대응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희망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1)를 제외하고, 도 1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1C)가 행하는 처리동작④를 도 10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91)〕, 이어서 목적지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를 DVD-ROM(17)으로부터 판독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8)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2)〕.
플래그(f8)가 1이 아니라고, 즉 상기 사진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가 상기 목적지에 10분 이내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93)〕, 10분 이내에 도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④를 종료하고, 한편 10분 이내에 도달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목적지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를 DVD-ROM(17)으로부터 판독하고, 버퍼메모리(18)에 보존하여〔스텝(S94)〕, 플래그(f8)를 1로 하고〔스텝(S95), 스텝(S96)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S92)에 있어서, 플래그(f8)가 1이라고, 즉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미 판독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93∼S95)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96)으로 진행한다.
스텝(S96)에서는,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가 상기 목적지에 3분 이내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3분 이내에 도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④를 종료하고, 한편 3분 이내에 도달한다고 판단하면, 버퍼메모리(18)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목적지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여〔스텝(S97)〕, 작성한 사진화면을 표시하고〔스텝(S98)〕, 플래그(f8)를 0으로 한다〔스텝(S99)〕.
상기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목적지가 도심부인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나, 도로의 폭이 넓은지 좁은지에 관한 정보나, 취락밀도가 높은지 낮은지에 관한 정보나, 유희시설이나 주차장의 유무에 관한 정보 등 상기 목적지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취득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자기 차가 상기 목적지 부근까지 도달하면,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기 직전에, 상기 목적지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상기 자기 차가 상기 목적지 부근에 도달하면,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사진화면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표시 지시가 있었을 때에 상기 사진화면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는 지도화면 및 사진화면이나 상세정보를 나타낸 화면 등에 대해서는,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로써 다종다양한 화면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가 효율 좋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동일 화면 위에 다종다양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중요도나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등에 의해, 표시 스페이스 등의 차별화를 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지도화면으로부터 사진화면으로의 표시전환 및/또는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을, 상기 지도화면이 나타내는 지역과 상기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을 일치시켜(양화면의 축척, 방향, 위치를 맞춤) 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안게 하는 일 없이 이들 표시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페이드인(fade-in) 및/또는 페이드아웃(fade-out)의 화상처리(예를 들면, 화면표시의 투과율을 100∼0%로 가변함)를 행하고, 표시의 전환을 행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매우 뛰어난 표시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들 양화면의 축척, 방향, 위치를 맞추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도 데이터가 나타내는 장방형 영역의 왼쪽 위 및 오른쪽 아래의 위도ㆍ경도와, 사진 데이터가 나타내는 장방형 영역의 왼쪽 아래 및 오른쪽 아래의 위도ㆍ경도를 맞추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그런데, 사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데이터량이 매우 많고, 사진 데이터는 기억장치로부터의 판독이나, 화상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예를 들면, 자기의 현재위치 마크를 디스플레이 위에 고정시켜 두고, 상기 자기의 이동에 맞추어 화면을 갱신시키는 것을 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하나로써,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사진화면을 표시패널(9b) 위에서 고정시켜 두고,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마크를 상기 사진화면 위에서 이동시켜가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사진화면은 상기 자기의 이동에 맞추어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마크는 상기 사진화면〔즉 표시패널 (9b)〕 위로부터 빠져버리게 된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11(a) 내지 도 11(h)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에 표시를 전환하는 경우에, 그 지도화면이 나타내는 지역과 상기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을 일치시키면서, 상기 자기 차의 이동에 맞추어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지역을 작게 하고, 한편 상기 지도화면의 표시지역을 크게 해나가,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마크가 상기 사진화면(표시패널 9b)으로부터 빠지기 전에 상기 지도화면 위에 상기 현재위치 마크가 오도록, 상기 표시전환을 조금씩 행해가는 방법을 들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매우 뛰어난 표시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동일 지역에 대해서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상태(예를 들면, 계절별이나 시간대별 등)로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로부터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겨울에 찍은 사진 데이터 등)에 의거하여 판독하고,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한 사진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12월과 같은 경우에는 겨울에 찍은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된 사진화면(눈이 쌓인 시가지의 상황 등)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부가 가치가 높은 네비게이션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시간대 등)에 의거하여, 소정의 화상처리(예를 들면, 필터처리 등)를 행한 사진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일몰 후에는 야간의 사진화면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만족도가 높은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2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차의 속도로부터 연산하여 주행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차속센서(2)와, 진행방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자이로센서(3)가 마이크로 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어, 마이크로 컴퓨터(1)는 연산한 주행거리정보 및 진행방향정보에 의거하여 자기 차의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자율항법).
GPS수신기(4)는, 안테나(5)를 통해서 위성으로부터의 GPS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는 상기 GPS신호에 의거하여 자기 차의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GPS항법).
또한, 지도 데이터 및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의 실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DVD-ROM〔17C(다른 기억장치도 가능)〕으로부터 상기 지도 데이터나 상기 실화상 데이터 등을 받아들일 수 있는 DVD 드라이브(6)가 마이크로 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어, 마이크로 컴퓨터(1)는 계산해 낸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나, 뒤에 기술하는 유도경로에 관한 경로정보 등에 의거하여, DVD-ROM(17C)으로부터 필요한 상기 지도 데이터나 상기 실화상 데이터를 마이크로 컴퓨터(1) 내의 RAM(1a)에 기억시켜 두게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실화상 데이터를, 위치좌표와 대응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실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장방형 영역의 왼쪽 위 및 오른쪽 아래의 위도ㆍ경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는 계산해 낸 자기 차의 현재위치와 상기 지도 데이터(상기 실화상 데이터)를 정합하는 맵매칭 처리를 행함으로써, 자기 차의 현재위치가 정확하게 나타난 지도화상(실화상)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모컨(8)에 설치된 조이스틱(8a)이나 버튼 스위치(8b)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나, 표시장치(9)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9a)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1)에 입력되어, 이들 스위치 신호에 따른 처리가 마이크로 컴퓨터(1)에서 행해지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는 이들 스위치로부터 목적지나 경유지 등의 정보를 받아들이면,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상기 경유지를 경유한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여, 이것을 유도경로로서 지도화면과 함께 표시패널(9b) 위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패널(9b)의 상하좌우에는 복수의 적외선 LED와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손가락이 표시패널(9b)에 접촉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검출된 결과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에서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가 행하는 처리동작①을 도 13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101)〕,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의 지역(E1), 예를 들면,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한 반경 수백 미터의 영역을 산출하고〔스텝(S102)〕, 이어서 RAM(1a)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지역에 관하여, 지도화상을 배경으로서 표시패널(9b)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지역(E1)에 실화상을 표시하고〔스텝(S103)〕, 그 후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나타낸 마크(M)를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04)〕.
여기에서, 스텝(S103)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해 둔다. 마이크로 컴퓨터(1)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도화상을, 지역(E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지역(E0)〕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α0(=1)〕를 곱하고, 한편 지역(E1)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α1(=0)〕를 곱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실화상을, 지역(E0)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β0(=1-α0, 즉 0)〕를 곱하고, 한편 지역(E1)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β1(=1-α1, 즉 1)〕를 곱한다.
즉, 합성계수(α0)가 1〔합성계수(β0)가 0〕이기 때문에, 지역(E0)에는 상기 지도화상만이 표시되고, 또한 합성계수(α1)가 0〔합성계수(β1)가 1〕이기 때문에, 지역(E1)에는 상기 실화상만이 표시되게 된다. 도 14에, 지역(E0)에 상기 지도화상이 표시되고, 지역(E1)에 상기 실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지역(E1)에,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실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만이 편성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목표물 등을 다각적으로 포착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은,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를 제외하고, 도 12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A)가 행하는 처리동작②를 도 15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111)〕, 이어서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의 지역(E1), 예를 들면,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한 반경 수백 미터의 영역을 산출하고〔스텝(S112)〕, 이어서 RAM(1a)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지역에 관하여,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표시패널(9b)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지역(E1)에 실화상을 표시하고〔스텝(S113)〕, 그 후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나타낸 마크(M)를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14)〕.
여기에서, 스텝(S113)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해 둔다. 마이크로 컴퓨터(1A)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도화상을, 지역(E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지역(E0)〕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α0(=1)〕를 곱하고, 한편 지역(E1)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α1 (0 ≤α1 ≤1), 예를 들면, 0.5를 곱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A)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실화상을, 지역(E0)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β0(=1-α0, 즉 0)〕를 곱하고, 한편 지역(E1)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β1(=1-α1, 예를 들면 0.5)〕를 곱한다.
즉, 합성계수(α0)가 1〔합성계수(β0)가 0〕이기 때문에, 지역(E0)에는 상기 지도화상만이 표시되고, 또한 합성계수(α1)가 0.5〔합성계수(β1)가 0.5)〕이기 때문에, 지역(E1)에는 상기 실화상아래로부터 상기 지도화상이 들여다보이도록 표시되게 된다.
상기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지역(E1)에,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실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이 겹쳐져 표시되기 때문에, 목표물 등을 다각적으로 포착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실화상 아래로부터 상기 지도화상이 들여다보이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매우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지역(E1)에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α1(=0.5)〕를 곱하고,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β1(=1-α1)〕를 곱하여, 이들을 합성한 것을 지역(E1)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에서는, 합성계수(α1)를 지역(E1) 내에서 변동 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지역(E1)의 중앙부에서는 합성계수(α1)를 0으로 하고〔합성계수(β1)를 1로 하고〕, 지역(E0)과의 경계선에 가까워짐에 따라, 합성계수(α1)를 크게 해나가, 정확히 상기 경계선에서 합성계수(α1)가 1이 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실화상으로부터 상기 지도화상으로의 화상의 추이(推移)를 매끄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은 '합성도 설정' 화면을 통해서, 합성계수(α1), 즉 상기 실화상에 대한 상기 지도화상의 투명도를 결정하는 계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마이크로 컴퓨터(1A)가 '합성도 설정' 화면을 통해서 설정된 내용에 의거하여,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표시상태를 실현할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합성도 설정' 화면(도 16 참조)을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위성사진 우선'이 선택된 경우에는 합성계수(α1)를 0.3으로서 화상의 합성을 행하고, '표준'이 선택된 경우에는, 합성계수(α1)를 0.5로서 화상의 합성을 행하고, '지도화면 우선'이 선택된 경우에는, 합성계수(α1)를 0.7로서 화상의 합성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5실시예 또는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지역(E1)에, 상기 실화상을 겹쳐져 표시하는 경우에만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실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지역(E1)에, 상기 지도화상을 겹쳐져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각각의 상태 전환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5실시예 또는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지역(E1)에, 상기 실화상을 겹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목적지 주변지역이나, 소정 시설(예를 들면, 역)의 주변지역, 미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상기 소정 위치(예를 들면, 자택 위치)의 주변지역에, 상기 실화상을 겹치도록 하거나, 더욱이 상기 목적지에 유도하기 위한 유도경로에 관한 경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유도경로의 주변지역에 상기 실화상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지도화상을 배경으로서, 상기 유도경로를 따르도록 상기 실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은,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를 제외하고, 도 12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B)가 행하는 처리동작③을 도 17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121)〕, 이어서 RAM(1a)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 및 상기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포함한 지역에 관하여, 표시패널(9b)에 있어서의 위쪽 지역(EU)에 실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패널(9b)에 있어서의 아래쪽 지역(ED)에 상기 실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지도화상을 표시하고〔스텝(S122)〕, 그 후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나타낸 마크 M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23)〕.
여기에서, 스텝(S122)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해 둔다. 마이크로 컴퓨터(1B)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도화상을, 지역(EU)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αU(=0)〕를 곱하고, 한편 지역(ED)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αD(=1)〕를 곱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B)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실화상을, 지역(EU)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βU(=1-αU, 즉 1)〕를 곱하고, 한편 지역(ED)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합성계수〔βD(=1-αD, 즉 0)〕를 곱한다. 도 18에, 위쪽 지역(EU)에 상기 실화상이 표시되고, 아래쪽 지역(ED)에 상기 지도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표시패널(9b)에 있어서의 위쪽 지역(EU)에는 상기 실화상이 표시되고, 표시패널(9b)에 있어서의 아래쪽 지역(ED)에는 상기 지도화상이 표시된다.
그런데,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는, 표시패널(9b)에 있어서의 아래쪽 부분에,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이 표시되고, 표시패널(9b)에 있어서의 위쪽 부분에,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가 표시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상기한 것처럼, 지역(EU)에 상기 실화상을 표시하여, 지역(ED)에 상기 지도화상을 표시함으로써(물론, 반대라도 좋음),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바로 앞쪽과 먼 쪽으로 화상의 차별화를 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도 14 및 도 18에 나타낸 화상은 모두 대체로 바로 위(내려본각 θ=90도)로부터 지구의 표면을 본 것(평면적인 화상)이지만, 본 발명은 대체로 바로 위로부터 본 화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사 방향(0도<내려본각 θ<90도, 예를 들면, 내려본각 θ= 60도)으로부터 지구의 표면을 본 것(입체적인 화상)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어서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를 도 12에 나타낸 블럭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차의 속도로부터 연산하여 주행거리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차속센서(2)와, 진행방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자이로센서(3)가 마이크로 컴퓨터(1C)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C)는 연산한 주행거리정보 및 진행방향정보에 의거하여 자기 차의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자율항법).
GPS수신기(4)는, 안테나(5)를 통해서 위성으로부터의 GPS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1C)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C)는 상기 GPS신호에 의거하여 자기 차의 위치를 계산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GPS항법).
또한, 지도 데이터 및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이고, 상기 지도 데이터와 동일한 축척으로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DVD-ROM〔17C(다른 기억장치도 가능)〕으로부터 상기 지도 데이터나 상기 실화상 데이터 등을 받아들일 수 있는 DVD 드라이브(6)가 마이크로 컴퓨터(1C)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C)는 계산해 낸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나, 뒤에 기술하는 유도경로에 관한 경로정보 등에 의거하여, DVD-ROM(17C)으로부터 필요한 상기 지도 데이터(특히, 뒤에 기술하는 도로 데이터나 시설 데이터 등) 및 상기 실화상 데이터를 마이크로 컴퓨터(1C) 내의 RAM(1a)에 기억시켜 두게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실화상 데이터를, 위치좌표와 대응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실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장방형 영역의 왼쪽 위 및 오른쪽 아래의 위도ㆍ경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지도 데이터는, 도로 데이터나 시설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더욱이 상기 도로 데이터는, 노드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로부터 구성되고, 상기 노드 데이터의 부속 데이터로서는, 좌표, 노드 ID 및 접속 정보가 있고, 상기 링크 데이터의 부속 데이터로서는, 양단의 노드 ID, 도로 형상(보간점 좌표), 도로 종별 및 폭이 있다.
도 19는, 노드, 링크 및 상기 보간점(補間点)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9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노드는 도로와 도로가 서로 엇갈리는 교차점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노드 또는 상기 보간점과 상기 노드 또는 상기 보간점을 접속하는 선분이고, 상기 보간점은 상기 링크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점이다.
또한, 상기 시설 데이터는, 도 20에 나타낸 것처럼, 시설의 종별(예를 들면, 학교, 편의점, 은행, 공원 등), 소재지를 나타내는 소재지 좌표 및 그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정보 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도 21은, 상기 소재지 좌표 및 상기 영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시설(A)의 영역정보는 (x11, y11) 내지 (x14, y14)의 좌표 4점으로부터 되고, 시설(B)의 영역정보는 (x21, y21) 내지 (x25, y25)의 좌표 5점으로부터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시설(A)의 소재지 좌표는 (x10, y10)이고, 시설(B)의 소재지 좌표는 (x20, y2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C)는 계산해 낸 자기 차의 현재위치와 상기 지도 데이터(상기 실화상 데이터)를 정합하는 맵매칭 처리를 행함으로써, 자기 차의 현재위치가 정확하게 나타난 지도화상(실화상)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모컨(8)에 설치된 조이스틱(8a)이나 버튼 스위치(8b)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나, 표시장치(9)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9a)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1C)에 입력되어, 이들 스위치 신호에 따른 처리가 마이크로 컴퓨터(1C)로 행해지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C)는 이들 스위치로부터 목적지나 경유지 등의 정보를 받아들이면,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상기 경유지를 경유한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여, 이것을 유도경로로서 지도화면과 함께 표시패널(9b) 위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표시패널(9b)의 상하좌우에는 복수의 적외선 LED와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손가락이 표시패널(9b)에 접촉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검출된 결과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C)로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C)가 행하는 처리동작①을 도 2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131)〕, 이어서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상기 지도 데이터(특히 도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지도화상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32)〕.
이어서, 표시패널(9b)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33)〕, 해당하는 시설이 존재한다고, 즉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해야할 시설〔예를 들면, 뒤에 기술하는 도 23에서 나타내는 학교(P1), 공원(P2), 야구장(P3)〕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해당하는 시설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을 찍은 실화상에 대응하는 실화상 데이터를 RAM(1a)으로부터 판독하고〔스텝(S134)〕, 그 후 판독한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해야할 영역(즉, 상기 영역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에 표시한다〔스텝(S135)〕. 한편, 스텝(S3)에 있어서, 해당하는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도 23은,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화상 위에, 학교 등의 시설을 찍은 실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 중 M은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나타내고, 또한 도면 중 P1 내지 P3은 각각 학교, 공원, 야구장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시설(예를 들면, 학교, 공원, 야구장 등의 시설)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시설을 찍은 상기 실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되어 있는 시설이 실화상인 것은 물론이거니와, 크기(부지면적)에 대해서도, 실제와 동일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지도화상이 나타내는 상황을 매우 파악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C)를 제외하고, 도 12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D)가 행하는 처리동작②를 도 24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141)〕, 이어서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상기 지도 데이터(특히 도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지도화상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42)〕.
이어서, 표시패널(9b)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43)〕, 해당하는 시설이 존재한다고, 즉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해야할 시설〔예를 들면, 뒤에 기술하는 도 25에서 나타내는 학교(P1), 공원(P2), 야구장(P3)〕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해당하는 시설의 소재지를 나타낸 소재지 좌표 및 도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예를 들면, 간선도로 등 비교적 폭이 넓은 도로로 구획된 범위이고, 도 25에서 나타내는 구획(E1∼E3)〕을 산출한다〔스텝(S144)〕. 더욱이 상기 구획을 산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범위를 나타내는 노드의 좌표 및 보간점의 좌표를 골라내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이어서, 상기 구획의 영역정보(예를 들면, 상기 범위를 나타내는 상기 노드의 좌표 및 상기 보간점의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이 포함되는 상기 구획을 찍은 실화상에 대응하는 실화상 데이터를 RAM(1a)으로부터 판독하고〔스텝(S145)〕, 그 후 판독한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해야할 영역(즉, 상기 영역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에 표시한다〔스텝(S146)〕. 한편, 스텝(S143)에 있어서, 해당하는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②를 종료한다.
도 25는,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화상 위에, 학교 등의 시설이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 중 M은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나타내며, 도면 중 P1 내지 P3은 각각 학교, 공원, 야구장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고, 또한 도면 중 E1 내지 E3은 각각 학교(P1), 공원(P 2), 야구장(P3)이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시설(예를 들면, 학교, 공원, 야구장 등의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예를 들면, 학교 등이 간선도로 등 비교적 폭이 넓은 도로로 구획된 범위)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상기 실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되어 있는 시설이 실화상인 것은 물론이거니와, 크기(부지면적)에 대해서도 실제와 동일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지도화상이 나타내는 상황을 매우 파악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시설 만이 아니라, 그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에 대해서도 실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시설 뿐만이 아니라, 그 주위에 대해서도 실제의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가 있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지도화상 위에 상기 시설만을 잘라낸 것과 같은 실화상을 표시할 경우,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는, 학교 등의 시설영역〔즉, 면(面)〕을 나타낸 영역정보(즉, 2차원적 정보)가 필요하게 되지만, 상기 시설이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할 경우에는, 학교 등의 시설 소재지〔즉, 점(点)〕를 나타낸 소재지정보가 있으면 좋다. 따라서, 상기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에 대해서는, 레벨이 높은 상기 영역정보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레벨이 낮은 상기 소재지정보를 준비하여 두면 좋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C)를 제외하고, 도 12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E)가 행하는 처리동작③을 도 26(a)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151)〕, 이어서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상기 지도 데이터(특히 도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지도화상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52)〕.
이어서, 표시패널(9b)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53)〕, 해당하는 시설이 존재한다고, 즉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해야할 시설〔예를 들면, 뒤에 기술하는 도 27에서 나타내는 학교(P1), 공원(P2), 야구장(P3)〕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해당하는 시설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또는 상기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을 찍은 실화상, 또는 상기 구획을 찍은 실화상에 대응하는 실화상 데이터를 RAM(1a)으로부터 판독하고〔스텝(S154)〕, 그 후 판독한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해야할 영역(즉, 영역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에 표시한다〔스텝(S155)〕. 한편, 스텝(S153)에 있어서, 해당하는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③을 종료한다.
여기에서, 스텝(S154)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을 도 26(b)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해 둔다. 더욱이 상기 처리동작은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해야할 각 시설에 대하여 행하는 동작이다.
우선, 상기 시설이 구획표시에 의해 표시해야할 시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54a)〕. 더욱이 구획표시에 따라 표시해야할 시설인지의 여부에 관한 판단에 대해서는, 시설의 종별이나 시설의 크기 등에 의거하여 판단하고, 예를 들면, 경계가 비교적 뚜렷한 학교나 야구장 등에 대해서는, 시설만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한편 경계가 비교적 애매한 공원 등에 대해서는,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스텝(S154a)에 있어서, 구획표시해야할 시설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당해 시설〔예를 들면, 도 27에서 나타내는 학교(P1), 야구장(P3)〕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을 찍은 실화상에 대응하는 실화상 데이터를 RAM(1a)으로부터 판독한다〔스텝(S154b)〕.
한편, 구획표시해야할 시설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당해 시설〔예를 들면, 도 27에서 나타내는 공원(P2)〕의 소재지를 나타낸 소재지 좌표 및 도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예를 들면, 간선도로 등 비교적 폭이 넓은 도로로 구획된 범위, 도 27에서 나타내는 구획(E2)〕을 산출한다〔스텝(S154c)〕. 이어서, 상기 구획의 영역정보(예를 들면, 상기 범위를 나타내는 상기 노드의 좌표 및 상기 보간점의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이 포함되는 상기 구획을 찍은 실화상에 대응하는 실화상 데이터를 RAM(1a)으로부터 판독한다〔스텝(S154d)〕.
도 27은,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화상 위에, 학교 등의 시설이나, 공원이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 중 M은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나타내고, 도면 중 P1 내지 P3은 각각 학교, 공원, 야구장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고, 도면 중 E2는 공원(P2)이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시설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시설을 찍은 상기 실화상을 표시하는 기능과,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상기 실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며, 더욱이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이들 기능의 가려 쓰기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조건에 따라, 실화상 표시의 가려 쓰기가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의의가 있는 표시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8실시예 내지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 모두에 대해서, 실화상으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설 종별 선택' 화면을 통해서, 위성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시키는 시설의 종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C, 1D, 1E)가 '시설 종별 선택' 화면을 통해서 설정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실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실화상 표시를 시설의 종별이 아니라, 어느 특정한 시설(예를 들면, 시설의 명칭이나 소재지 등)에 대해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과거의 주행 이력 데이터를 불휘발성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보존해 두고, 상기 주행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방문한 적이 있는 시설을 계산해 내어, 방문 시설을 상기 실화상으로서 표시해야할 시설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1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C)를 제외하고, 도 12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1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F)가 행하는 처리동작④를 도 29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161)〕, 이어서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상기 지도 데이터(특히 도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지도화상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62)〕.
이어서, 표시패널(9b)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을, 소정의 조건에 따라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눠, 구획을 형성한다〔스텝(S163)〕. 더욱이 구획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도로 데이터에 의거하여, 간선도로 등 비교적 폭이 넓은 도로에 따라, 몇 개의 구획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형성된 상기 구획의 영역에 대해서는, 노드의 좌표 및 보간점의 좌표로 나타낼 수가 있다. 도 30은,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화상을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면 중 Ea 내지 En은 각 구획의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예를 들면, 학교, 공원, 야구장 등)을 포함한 구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64)〕, 해당하는 구획〔예를 들면, 뒤에 기술하는 도 31에서 나타내는 구획(Ea, Ej, En)〕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상기 구획의 영역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이 포함되는 상기 구획을 찍은 실화상에 대응하는 실화상 데이터를 RAM(1a)으로부터 판독하고〔스텝(S165)〕, 그 후 판독한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실화상을, 상기 지도화상 위에 표시해야할 영역(즉, 상기 영역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영역)에 표시한다〔스텝(S166)〕. 한편, 스텝(S164)에 있어서, 해당하는 구획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④를 종료한다.
도 31은,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지도화상 위에, 학교 등의 시설이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 중 M은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나타내고, 도면 중 P1 내지 P3은 각각 학교, 공원, 야구장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며, 또한 도면 중 Ea, Ej, En은 각각 학교(P1 ), 공원(P2), 야구장(P3)이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지도화상 위에 형성된 구획 중, 표시해야할 시설을 포함한 구획의 영역(예를 들면, 학교 등이 간선도로 등 비교적 폭이 넓은 도로로 구획된 범위)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상기 실화상이 표시된다.
즉, 표시해야할 시설을 포함한 구획의 영역에, 상기 실화상이 끼워 넣어진 것처럼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지도화상이 나타내는 상황을 매우 파악하기 쉽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1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에 대해서는 모두 실화상으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면, '시설 종별 선택'(도 28 참조) 화면을 통해서, 위성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시키는 시설의 종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F)가 '시설 종별 선택' 화면을 통해서 설정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실화상의 표시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실화상 표시를 시설의 종별이 아니라, 어느 특정한 시설이나 구역에 대해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과거의 주행 이력 데이터를 불휘발성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보존해 두고, 상기 주행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방문한 적이 있는 시설이나 구역을 계산해 내어, 방문한 적이 있는 시설이나 구역이 포함되는 구획을 상기 실화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1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상기 네비게이션장치에 대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C)를 제외하고, 도 12에 나타낸 네비게이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상이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제1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G)가 행하는 처리동작⑤를 도 32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GPS신호 등으로부터 자기 차의 현재위치를 산출하고〔스텝(S171)〕, 이어서 표시패널(9b)에 표시해야 할 상기 자기 차의 위치 주변의 영역에,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72)〕.
스텝(S172)에 있어서, 해당하는 시설〔예를 들면, 뒤에 기술하는 도 33에서 나타내는 학교(P1), 공원(P2), 야구장(P3)〕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해당하는 시설의 소재지를 나타낸 소재지 좌표 및 도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예를 들면, 간선도로 등 비교적 폭이 넓은 도로로 구획된 범위이고, 도 33에서 나타내는 구획(E1∼E3)〕을 산출한다〔스텝(S173)〕. 더욱이 상기 구획을 산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범위를 나타내는 노드의 좌표 및 보간점의 좌표를 골라내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이어서, 스텝(S171)에서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RAM(1a)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실화상을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74)〕. 더욱이 이때 상기 구획의 영역정보(예를 들면, 상기 범위를 나타내는 상기 노드의 좌표 및 상기 보간점의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시설이 포함되어 있는 구획〔예를 들면, 구획(E1∼E3)〕에 대해서는 컬러로 실화상을 표시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흑백으로 실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양자의 차별화를 꾀한다.
또한, 스텝(S172)에 있어서, 해당하는 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표시의 차별화를 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텝(S171)에서 산출한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정보 및 RAM(1a)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 차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실화상을 흑백으로 표시패널(9b)에 표시한다〔스텝(S175)〕.
도 33은, 표시패널(9b) 위에 실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 중 M은 자기 차의 위치 마크를 나타내고, 도면 중 P1 내지 P3은 각각 학교, 공원, 야구장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며, 또한 도면 중 E1 내지 E3은 각각 학교(P1), 공원(P2), 야구장(P3)이 포함된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의하면, 표시패널(9b) 위에 상기 실화상이 표시될 때에,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컬러표시)과, 그 이외의 부분(흑백표시)을 차별화하여 상기 실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더욱더 주목해야할 구획 등을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기 때문에, 매우 의의가 있는 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1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상기 시설 데이터로서 등록되어 있는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과, 그 이외의 구획을 차별화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예를 들면, '시설 종별 선택'(도 28 참조) 화면을 통해서, 시설의 종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G)가 '시설 종별 선택' 화면을 통해서 설정된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과, 그 이외의 구획을 차별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서는, 실화상 표시를 시설의 종별이 아니라, 어느 특정한 시설에 대해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과거의 주행 이력 데이터를 불휘발성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보존해 두고, 상기 주행 이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방문한 적이 있는 시설이나 구역을 계산해 내어, 방문한 적이 있는 시설이나 구역이 포함되는 구획과 그 이외의 구획을 차별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로써, 표시패널(9b) 위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을 통해서, 사용자는 어느 지역을 방문한 적이 있는지를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8실시예 내지 제1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에서는, 소정의 시설(예를 들면, 학교, 공원, 야구장 등)을 찍은 실화상이나, 상기 소정의 시설이 포함되는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할 경우에만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소정의 시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장소를 찍은 실화상이나, 상기 소정의 장소가 포함되는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논이나 밭, 저수지 등을 찍은 실화상이나, 논이나 밭, 저수지 등이 포함되는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며, 항공사진의 화상과 같은 실화상의 표시와,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지도화상 모두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요부(要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a), 도 4(b)는 표시패널에 지도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표시패널에 사진화면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진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는 자기 차 위치의 마크가 갱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지도 위에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a) 내지 도 11(h)는 사진화면으로부터 지도화면으로 표시가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3은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의 일례(一例)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제7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노드 및 링크, 보간점(補間点)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DVD-ROM에 기억되어 있는 시설 데이터에 관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시설의 소재지 좌표 및 영역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제8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5는 제9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a), 도 26(b)는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7은 제10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제1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30은 지도화상을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1은 제11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제1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33은 제12실시예에 관계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화면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종래의 화상표시장치가 채용된 네비게이션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1F : 마이크로 컴퓨터
11, 11A∼11C : 마이크로 컴퓨터
1a : RAM
17, 17B, 17C : DVD-ROM
8 : 리모컨
9 : 표시장치
18 : 버퍼메모리

Claims (35)

  1.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1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1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축척과 상이한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2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축척의 전환 지시가 있으면, 상기 제2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으로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제1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사진화면 작성수단 및 제2사진화면 작성수단이, 확대처리를 행하지 않고 상기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 동일 지역에 대해서 축척이 상이한 두 타입 이상의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2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소정 축척의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3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3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소정 축척의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2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제2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소정의 축척과 상이한 다른 축척의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축척과 상이한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4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사용자에 의한 축척의 전환 지시가 있으면 상기 제4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다른 축척의 사진화면으로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제2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지역을 한정하여 기억된 제3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과,
    그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3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지역을 한정하여 기억된 제3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과,
    그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어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한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 지시가 있으면 상기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4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지역을 한정하여 기억된 제3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과,
    그 제1자기위치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스위치를 형성하는 제1스위치 형성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지시 스위치가 ON이 되면, 상기 제5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5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유도경로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유도경로 위 또는 그 유도경로 주변에 존재하는 소정의 장소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6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6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소정의 장소를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6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7.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7사진화면 표시수단과,
    소정의 장소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가 기억된 상세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 내에 존재하는 장소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장소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세정보 제공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8.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목적지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목적지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8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8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8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면, 상기 제8사진화면 표시수단이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가 상기 목적지 부근까지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자기위치 판단수단을 구비하고,
    그 제2자기위치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가 상기 목적지 부근까지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8사진화면 표시수단이 상기 목적지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1.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지도화면으로부터 상기 사진화면으로의 표시전환 및/또는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을, 상기 지도화면이 나타내는 지역과 상기 사진화면이 비추어내는 지역을 일치시켜 행하는 제3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2.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판독한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에 관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9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9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주변을 나타낸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9사진화면 표시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사진화면 위에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제1현재위치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2지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자기의 현재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사진화면의 표시지역을 작게 하고, 한편 상기 지도화면의 표시지역을 크게 해나가, 상기 자기의 이동에 맞추어 상기 사진화면으로부터 상기 지도화면으로의 표시전환을 단계적으로 행하는 제4표시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3. 동일 지역에 대해서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상태로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4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10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0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10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4. 지도 데이터가 기억된 지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면을 작성하는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을 표시하는 제1지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과,
    상기 제1지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지도화면 및 상기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사진화면을 동일 표시화면 위에 표시하는 멀티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5. 지구의 표면을 찍은 사진 데이터가 기억된 제1사진 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사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과,
    그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는 사진화면을 표시하는 제7사진화면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7사진화면 작성수단이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한 사진화면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6. 지도 데이터와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동일 지역에 관하여 동일 축척의 지도화상과 실화상을 표시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 제어수단이 상기 지도화상과 상기 실화상 중 어느 한쪽의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소정의 영역에 다른 한쪽의 화상을 겹치게 하여, 겹쳐진 영역에 대해서 상기 다른 한쪽의 화상만이 보이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7. 지도 데이터와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동일 지역에 관하여 동일 축척의 지도화상과 실화상을 표시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 제어수단이 상기 지도화상과 상기 실화상 중 어느 한쪽의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소정의 영역에 다른 한쪽의 화상을 겹치게 하여, 겹쳐진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분에 대해서, 이들 화상 중 한쪽의 화상 아래로부터 다른 한쪽의 화상이 들여다보이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합성도(合成圖)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도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수단이, 겹쳐진 영역에 대해서 상기 합성도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합성도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의 합성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수단이 상기 겹쳐진 영역으로부터 그 영역 밖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배경이 되어 있는 화상의 표시 휘도(輝度)가 높아지도록 이들 화상의 합성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자기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자기의 주변지역,
    상기 목적지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목적지의 주변지역,
    소정 시설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소정 시설의 주변지역,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소정 위치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소정 위치의 주변지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표시화면 위의 대체로 위 반쯤의 영역 혹은 대체로 아래 반쯤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소정의 영역이, 상기 경로에 관한 경로정보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상기 경로 주변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3. 표시화면 위에,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 장소의 지도 위에 있어서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 장소의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를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4. 표시화면 위에,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 장소의 소재지를 나타낸 소재지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가 포함되는 구획을 산출하는 구획 산출수단과,
    그 구획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구획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3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5. 표시화면 위에,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 장소의 지도 위에 있어서의 영역을 나타낸 소재지정보 및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 장소의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를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 제어수단과,
    상기 소정 장소의 소재지를 나타낸 소재지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가 포함되는 구획을 산출하는 구획 산출수단과,
    그 구획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구획의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3표시 제어수단과,
    상기 제2표시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와, 상기 제3표시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를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잘 가려서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전환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특정한 장소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소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장소가, 상기 장소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특정의 장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장소의 용도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용도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장소가, 상기 용도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장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자기에 있어서의 과거의 주행 이력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어느 특정한 장소를 산출하는 장소 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장소가, 상기 장소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장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9. 표시화면 위에, 지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도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구획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지도화상 위에 있어서의 상기 구획의 영역에, 상기 지도화상과 동일한 축척으로 상기 소정의 구획을 찍은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4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자기에 있어서의 과거의 주행 이력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어느 특정한 구역을 산출하는 구역 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구획이, 상기 구역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구역을 포함한 구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1. 표시화면 위에,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5표시 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5표시 제어수단이 소정의 구획 영역을 나타낸 영역정보 및 상기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구획과 그 이외의 부분을 차별화하여 상기 실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특정한 구획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구획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구획이, 상기 구획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특정구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로나 지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기를 상기 목적지까지 유도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에 채용되는 경우로서,
    상기 자기에 있어서의 과거의 주행 이력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주행 이력에 의거하여 어느 특정한 구역을 산출하는 구역 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구획이, 상기 구역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구역을 포함한 구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4. 표시화면 위에,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구의 표면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5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5표시제어수단이, 공원이나 시설 등 어느 특정영역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영역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5. 표시화면 위에, 위치좌표와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화상 데이터와, 자기 위치 등 어느 특정위치의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위치 주변을 찍은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화상을 표시하는 제6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된 실화상 위에, 상기 특정위치를 나타내는 특정위치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02-0063474A 2001-10-19 2002-10-17 화상표시장치 KR100485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1823A JP4107827B2 (ja) 2001-10-19 2001-10-19 画像表示装置
JPJP-P-2001-00321823 2001-10-19
JPJP-P-2002-00166512 2002-06-07
JP2002166512A JP2004012307A (ja) 2002-06-07 2002-06-07 画像表示装置
JPJP-P-2002-00182480 2002-06-24
JP2002182480A JP4240446B2 (ja) 2002-06-24 2002-06-24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914A KR20030035914A (ko) 2003-05-09
KR100485059B1 true KR100485059B1 (ko) 2005-04-22

Family

ID=2734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474A KR100485059B1 (ko) 2001-10-19 2002-10-17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39572B2 (ko)
KR (1) KR100485059B1 (ko)
CN (1) CN1003768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3259B2 (ja) * 2002-03-14 2008-02-0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GB2400175B (en) * 2003-02-26 2007-11-28 Tomtom Bv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between resident applications
KR100800746B1 (ko) * 2003-06-03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위치정보 표시방법
US20070129889A1 (en) * 2003-07-29 2007-06-07 Philippe Alessandrini Vehicle With A Navigation System
US20050060299A1 (en) * 2003-09-17 2005-03-17 George Filley Location-referenced photograph repository
JP2005165045A (ja) 2003-12-03 2005-06-23 Denso Corp 地図表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05201763A (ja) * 2004-01-15 2005-07-28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7978232B1 (en) 2004-02-05 2011-07-12 Navteq North America, Llc Photograph location stamp
CA2559726C (en) * 2004-03-24 2015-10-20 A9.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n online directory
US7460953B2 (en) * 2004-06-30 2008-12-02 Navteq North America, Llc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using images
US8751156B2 (en) 2004-06-30 2014-06-10 HERE North America LLC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using images
US20060002590A1 (en) * 2004-06-30 2006-01-05 Borak Jason M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a geographic database for use with a navigation system
DE102004038739A1 (de) * 2004-08-10 2006-02-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Karteninformationen
DE102004038740A1 (de) * 2004-08-10 2006-02-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Karteninformationen
US7498955B2 (en) * 2005-03-08 2009-03-0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Geographic image strorage, transmission and display system
US7495582B2 (en) * 2005-03-08 2009-02-24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Geographic information storage, transmission and display system
BRPI0520043A2 (pt) * 2005-03-09 2009-04-14 Tom Tom Int Bv sistema de navegação, método para receber dados gráficos vetoriais,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e portador de dados
US7508400B2 (en) * 2005-03-23 2009-03-24 Zenrin Co., Ltd. Digital map data processing system
WO2006121986A2 (en) * 2005-05-06 2006-11-16 Facet Technology Corp. Network-based navigation system having virtual drive-thru advertisements integrated with actual imagery from along a physical route
JP2007093661A (ja) * 2005-09-27 2007-04-12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図表示装置
FI20051119L (fi) * 2005-11-04 2007-05-05 Igglo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kuvallisen informaation tarjoamiseksi tietoverkon avulla kiinteistönvälitystoiminnassa
WO2007062739A1 (de) * 2005-12-02 2007-06-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navigationssystem
US20070290039A1 (en) * 2006-06-20 2007-12-2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 vehicle low price fuel finder
EP2110797B1 (en) * 2006-12-05 2015-10-07 Fujitsu Limited Traffic situation display method, traffic situation display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5029874B2 (ja) * 2006-12-28 2012-09-1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286876B2 (ja) * 2007-03-01 2009-07-0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
US8855856B2 (en) * 2007-05-08 2014-10-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roll control method using controllable friction force of MR dampers
US8487957B1 (en) * 2007-05-29 2013-07-16 Google Inc. Displaying and navigating within photo placemarks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1354255B (zh) * 2007-07-27 2012-07-04 佛山市顺德区顺达电脑厂有限公司 电子地图显示系统及其方法
US7692558B2 (en) * 2007-08-01 2010-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forming a traffic route visualization
US20090112455A1 (en) * 2007-10-24 2009-04-30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simplified point finding maps
US8019536B2 (en) 2007-12-28 2011-09-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eo-tagged photographic image augmented GPS navigation
TWI352192B (en) * 2007-12-31 2011-11-11 Htc Corp Satellite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CN101482417B (zh) * 2008-01-08 2011-08-24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卫星导航方法及系统
DE102008045994A1 (de) * 2008-09-05 2010-03-11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TWI408340B (zh) * 2009-07-27 2013-09-11 Htc Corp 導航路徑顯示方法、導航裝置及電腦程式產品
US20110022301A1 (en) * 2009-07-27 2011-01-27 Htc Corporation Method,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arking information
JP4862930B2 (ja) * 2009-09-04 2012-01-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82768B1 (ko) * 2009-09-21 2010-09-20 (주)올라웍스 단말기의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292404B2 (en) * 2009-12-28 2012-10-23 Xerox Corporation Superoleophobic and superhydrophobic surface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5677073B2 (ja) * 2010-12-15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制御装置及び画像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007397B2 (en) * 2010-12-15 2015-04-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ontrol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GB201204657D0 (en) * 2011-11-18 2012-05-02 Tomtom North America Inc Methods for providing 3D building information
CN104536597B (zh) * 2014-12-22 2018-11-27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笔记本电脑实现多点触控的方法及装置
GB201509923D0 (en) * 2015-06-08 2015-07-22 Tomtom Int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azard information
CN109410626B (zh) * 2017-08-17 2020-11-03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站点标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76844B2 (en) 2018-12-26 2020-12-29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loading and tracking maps on a vehicle
CN113748418B (zh) * 2018-12-26 2024-04-30 北京航迹科技有限公司 用于在车辆上加载和跟踪地图的系统和方法
CN114072784A (zh) * 2018-12-26 2022-02-18 北京航迹科技有限公司 用于在车辆上加载物体几何数据的系统和方法
JP7173062B2 (ja) * 2020-01-23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変化点検出装置及び地図情報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8161B (sv) * 1981-10-14 1983-06-06 Philips Svenska Ab Anleggning for atergivning av valbar bakgrundsinformation kombinerad med valbar overlagringsinformation pa en bildskermsanordning samt anvendning av en dylik presentationsanleggning
JP2554112B2 (ja) 1987-12-21 1996-11-13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
JP2619456B2 (ja) 1988-01-29 1997-06-11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地図データ表示装置
US4876651A (en) * 1988-05-11 1989-10-24 Honeywell Inc. Digital map system
JP2570500B2 (ja) * 1990-12-19 1997-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5113343A (ja) * 1991-10-22 1993-05-07 Pioneer Electron Corp ナビゲーシヨンシステム
JP3385624B2 (ja) 1992-03-02 2003-03-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321158B1 (en) * 1994-06-24 2001-11-20 Delorme Publishing Company Integrated routing/mapping information
JP3408645B2 (ja) * 1994-11-11 2003-05-19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道路地図表示制御方法および道路地図表示装置
EP1429292B1 (en) * 1994-11-11 2011-03-30 Xanavi Informatics Corporation Map display apparatus for motor vehicle
JP3781795B2 (ja) * 1995-01-20 2006-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688751B2 (ja) * 1995-04-13 2005-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EP0762362B1 (en) * 1995-09-08 2002-12-04 Aisin Aw Co., Ltd.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s
JP3617887B2 (ja) * 1996-10-14 2005-02-09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
US5982298A (en) * 1996-11-14 1999-11-0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traffic display and trip planner
JP3419648B2 (ja) * 1997-05-27 2003-06-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1184375A (ja) * 1997-12-25 1999-07-09 Toyota Motor Corp デジタル地図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地図データ処理方法
JP3514626B2 (ja) * 1998-04-14 2004-03-31 インクリメント・ピー株式会社 ルート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wwwサーバ、並びに、ルート情報提供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wwwサーバ
US6285317B1 (en) * 1998-05-01 2001-09-04 Lucent Technologies Inc. Navigation system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
JP3383587B2 (ja) * 1998-07-07 2003-03-04 株式会社東芝 静止画像連続情報記録方法と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の情報再生装置と情報再生方法
US6182010B1 (en) * 1999-01-28 2001-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real-time visual information on an automobile pervasive computing client
JP4219474B2 (ja) 1999-03-31 2009-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走行位置表示装置
US7151546B1 (en) * 1999-12-22 2006-12-19 Adobe Systems Incorporated Restricting scope of blending modes in 2-D compositing using isolated groups
US6914626B2 (en) * 2000-02-21 2005-07-0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ation-informed camera
US20010035880A1 (en) * 2000-03-06 2001-11-01 Igor Musatov Interactive touch screen map device
US6621423B1 (en) * 2000-03-06 2003-09-16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n electronic visual map device
DE10012471A1 (de) * 2000-03-15 2001-09-20 Bosch Gmbh Robert Navigationssystem
JP3513084B2 (ja) * 2000-06-14 2004-03-3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機器及び情報処理方法
US6895126B2 (en) * 2000-10-06 2005-05-17 Enrico Di Bernardo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storing, and utilizing composite images of a geographic location
JP2002258740A (ja) * 2001-03-02 2002-09-11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とそれらの方法
JP3705747B2 (ja) * 2001-03-30 2005-10-12 富士通株式会社 画像データ配信方法、画像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109212B2 (ja) * 2001-05-01 2012-12-26 ソニ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生成方法、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914A (ko) 2003-05-09
CN100376869C (zh) 2008-03-26
CN1412525A (zh) 2003-04-23
US7539572B2 (en) 2009-05-26
US20030078724A1 (en) 200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059B1 (ko) 화상표시장치
KR100509450B1 (ko) 화상표시장치
US6587784B1 (en) Stereoscopic map-display method and navigation system using the method
US6360168B1 (en) Navigation apparatus
EP1189176B1 (en) Map display method
CN101523158B (zh) 导航系统、便携终端装置及路径向导方法
US7042370B2 (en) Navigation device
EP1596163A2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ap using the same
JP4043259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334406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06092853A1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JP2005165045A (ja) 地図表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H11142171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200411783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7306054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H109664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107827B2 (ja) 画像表示装置
JP4207317B2 (ja) 目的地特定支援装置、当該装置を備え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211604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264100A (ja) 経路探索表示装置
JP200027660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16257A (ja) 画像表示装置
JP3065535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341753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239074A (ja) 地図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