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433B1 -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433B1
KR100469433B1 KR10-2002-0045061A KR20020045061A KR100469433B1 KR 100469433 B1 KR100469433 B1 KR 100469433B1 KR 20020045061 A KR20020045061 A KR 20020045061A KR 100469433 B1 KR100469433 B1 KR 100469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put
japanese
ke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279A (ko
Inventor
류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433B1/ko
Priority to JP2003109660A priority patent/JP2004062863A/ja
Priority to CNB031365485A priority patent/CN1239041C/zh
Publication of KR2004001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를 손쉽게 입력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어 입력 장치는 단순히 50음도의 각 행을 숫자키에 대응시키고 이를 중복하여 누름으로써 원하는 단의 문자를 입력하게되므로 많은 키 입력이 필요하며, 탁음, 반탁음, 장음, 촉음, 요음 입력 및 카타카나와 히라가나의 변경을 위해서는 메뉴 변경을 비롯한 많은 키 조작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일본어 히라가나 'あ'단이 적절히 배치된 숫자키들, 탁음/반탁음 선택 기능과 장음/촉음/요음 선택 기능을 가지는 '*'와 '#'키들, 상기 숫자키로 선택된 행의 단을 선택하는 다수의 기능키들, 그리고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를 전환할 수 있는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들을 판단 및 조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적절한 일본어 폰트를 선택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일본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종래의 일본어 입력에 비해 입력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 방법에 쉽게 친숙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TYPING JAPANES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키패드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를 손쉽게 입력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속한 기능향상과 통신망의 유연한 확장으로 인하여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전자 메일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채팅 프로그램의 이용 역시 가능하게 되었다. 즉,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의 사용 증가 추세에 따라 알파벳을 사용하는 라틴 국가 언어뿐만 아니라 한글, 일본어, 중국어들의 입력도 한층 더 중요해지게 되었다.
이들 중에서, 지리적 위치와 문화 교류에 따라 일본어의 입력 방법이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본어는 한자와 히라가나 및 카타카나로 구성된다. 한자의 초서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히라가나는 인쇄, 필기를 막론하고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카타카나는 외국어, 외래어, 의성어, 의태어, 기사, 동식물 이름, 그리고 전보등에 사용한다.
도 1은 히라가나의 기본 50음도와 탁음, 반탁음, 장음, 촉음, 요음이 표시된 도표로서, 히라가나의 모든 표현 방법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행과 단의 구성은 히라가나를 공부할때부터 익히는 것이므로 일본어를 공부한 적이 있다면 대단히 친숙할 것이다. 도면의 내용 중 괄호로 나타낸 것은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 고어이다.
도 2는 카타카나의 기본 50음도와 탁음, 반탁음, 장음, 촉음, 요음이 표시된 도표로서, 카타카나의 모든 표현 방법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은 히라가나의 구성과 동일하며, 발음 역시 동일하다. 역시 괄호로 나타낸 것은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 고어이다.
도 1과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일본어의 기본 50음도는 10개의 행과 5개의 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배열을 따라 일본어 문법이 설명되기 때문에 일본어 사용자라면 각 문자가 몇번째 행의 몇번째 단인지를 알고 있을 것이다. 또한, 일본어의 특징으로서, 기본 50음도 외에 " 과˚을 추가한 탁음과 반탁음이 사용되고, 글자의 크기를 줄여서 음의 길이나 사잇소리를 나타내는 장음, 촉음, 요음이 사용된다. 카타카나는 그 사용 용도가 다를뿐, 그 발음과 구성 방법은 히라가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문자들을 표시할 수 있으면 한자를 제외한 일본어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한자는 히라가나로 대용할 수 있다.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입력 방법은 아직 사용 중인 것이 없으며, 컴퓨터 키보드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한적 키패드 크기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어 입력 방법을 예로들어 설명할 것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괄하는 문자 입력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영어, 일본어, 중국어등 대부분의 문자체계에 적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으로, 크게 중앙프로세서(1)와; 상기 중앙 프로세서(1)와 연결되고, 화면 전환키, 숫자 입력키, 입력 완료키 등의 다수의 키로 구성되는 키패드(2)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상기 키패드(2)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프로세서(1)에서 처리된 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키패드(2)에서 입력된 키 값을 표시해주는 액정 표시장치(3)와; 상기 중앙프로세서(1)와 연결되어 폰트를 내장하고 있는 메모리(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키패드(2)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받아들이고, 입력된 키 값을 상기 중앙프로세서(1)가 처리하며, 입력된 숫자 값은 그대로 표시하고, 해당 언어에 따른 키 값은 상기 메모리(4)에 저장된 문자 폰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키 값을 검색 및 대조하여 원하는 폰트를 표시한다. 이때 적절한 폰트는 입력에 대한 오토마타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장치(3)에 표시된다.
상기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일 수도 있으며, 상기 언어는 일본어일 수 있다. 여기서는 일본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으로 간주하면 된다.
이제, 일본 산요(SANYO) 사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키패드를 예제로 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도 4는 일본에서 현재 사용중인 산요사의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10)로서, 히라가나의 10개 행을 1~0 키에 할당하고 있다. 즉, 1번 키에는 'あ', 2번 키에는 'か', 3번 키에는 'さ', 4번 키에는 'た', 5번 키에는 'な', 6번 키에는 'は', 7번 키에는 'ま', 8번 키에는 'や', 9번 키에는 'ら', 그리고 10번 키에는 'わ'와 같이 히라가나 50음도 중에서 'あ'행을 기본으로 각 숫자키에 할당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히라가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가 속한 'あ'행의 키를 반복해서 누름으로써 해당하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か'행의 글자들인 'か', 'き', 'く', 'け', 'こ'를 입력하기위해서는 2번키를 'か'행의 단 수에 따라서 눌러야 하는데, 마지막인 'こ'를 입력하기위해서는 2번 키를 5번 눌러야 한다. 만일 입력 중 실수하여 원하는 문자를 넘긴 경우에는 다시 5번의 재 입력이 필요하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おもしろい(재미있다)"를 입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한다.
'お'는 숫자키 1을 5번 누른다(1,1,1,1,1).
'も'는 숫자키 7을 5번 누른다(7,7,7,7,7).
'し'는 숫자키 3을 2번 누른다(3,3).
'ろ'는 숫자키 9을 5번 누른다(9,9,9,9,9).
'い'는 숫자키 1을 2번 누른다(1,1).
이와 같이 5자의 히라가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를 19번 누르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50음도 내의 히라가나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촉음, 요음 및 카타카나를 이용한 입력 중 외국어 표현시 사용되는 장음의 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글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메뉴키를 이용하여 다른 방식을 이용해야하며, 탁음을위해 필요한 '"', 반탁음을 위해 필요한 '˚'를 추가하기위해서는 키 입력이 부가된다. 기기에 따라서는 탁음과 반탁음 및 작은 문자들을 기호로 분류하기 때문에 기호를 나타내는 메뉴를 선택하여 나타나는 기호 중에서키 조작으로 해당 문자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히라가나와 카타카나의 상호 변환은 히라가나, 카타카나, 숫자, 영어등의 메뉴를 선택하는 것으로 실시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일본어 입력 기능을 가지는 특정 제조사의 제품을 예로들어 설명한 것이지만, 대부분의 일본어 입력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탁음, 반탁음, 장음, 촉음, 요음 입력을 위해서 메뉴 선택을 포함한 다수의 키 조작이 필요하며, 카타카나와 히라가나 간의 전환을 위해서도 메뉴 선택을 통한 문자 종류의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처음 사용하는 사람이 일본어 입력 방법에 숙달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기계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의 경우 메뉴 선택을 통한 기호 선택 및 문자 종류 전환에 어려움을 겪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일본어 입력 장치는 단순히 50음도의 각 행을 숫자키에 대응시키고 이를 중복하여 누름으로써 원하는 단의 문자를 입력하게되므로 많은 키 입력이 필요하며, 탁음, 반탁음, 장음, 촉음, 요음 입력 및 카타카나와 히라가나의 변경을 위해서는 메뉴 선택을 포함한 많은 키 조작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키 패드에 기능 키를 추가하고, 일반 숫자키와 기능키들의 조합을 통해 원하는 일본어를 최소한의 키 조작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보자가 쉽게 친숙해질 수 있는 키패드 구성 및 조합 방법을 통해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히라카나의 도표이다.
도 2는 카타카나의 도표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일본어 입력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종래 일본어 입력용 키패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본어 입력용 키패드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키입력 방법의 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일본어 키패드 21:탁음/반탁음 선택키
22:장음/촉음/요음 선택키 23:제 1기능키
24:제 2기능키 25:제 3기능키
26:제 4기능키 27:제 5기능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일본어 히라가나 'あ'단이 적절히 배치된 숫자키들, 탁음/반탁음 선택 기능과 장음/촉음/요음 선택 기능을 가지는 '*'와 '#'키들, 상기 숫자키로 선택된 행의 단을 선택하는 다수의 기능키들, 그리고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를 전환할 수 있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들을 판단 및 조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적절한 일본어 폰트를 선택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라가나 'あ'단이 적절히 배치된 숫자키들 및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를 반복 선택하는 것으로 히라가나와 카타카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다수의 숫자키들을 통해 입력 문자의 행을 선택하고 다수의 기능키들을 통해 원하는 입력 문자의 행을 선택하여 50음도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원하는 입력 문자가 탁음 혹은 반탁음이면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를 반복 선택하는 것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입력된 문자를 탁음 혹은 반탁음으로 전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원하는 입력 문자가 장음, 촉음, 또는 요음과 같이 작은 크기의 문자이면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입력된 문자를 장음, 촉음, 또는 요음으로 전환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도 3의 문자 입력 장치를 기본으로 키 입력을위한 키패드를 적절히 변형하고, 이를 통한 키 입력들을 판단하여 원하는 폰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중앙 프로세서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본어 입력을 위해 종래와는 상이한 키패드를 이용하는데, 이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키패드의 일 실시예로서, 종래의 키 패드에 기능키들이 5개 추가된 것이다. 당연하게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능키들의 배치와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패드(20)는 통화 및 메뉴 선택을 위한 기능키들인 'send', 'end' 키들을 가지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향 키들과 메뉴 선택 키들이 부가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숫자 키들(1~0)에는 각각 히라가나 'あ'행이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50음도의 제 1단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50음도의 행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종래 키패드와 동일하다.
하지만, 종래와는 상이하게, 전화용 키패드에 포함되는 '*'와 '#' 기능키들(21, 22)을 각각 탁음/반탁음 선택 키와 장음/촉음/요음 선택키로 설정한다. 이들의 할당은 반대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자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21)를 탁음/반탁음 선택 키로 사용하고, '#'키를 장음/촉음/요음 선택키로 사용한다.
추가되는 기능키들(23~26)은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일본어 입력에있어서는 상기 숫자키들(1~0)에의해 선택된 제 1행에 대한 단을 선택하기위해 사용된다. 기능키들 중 하나(27)는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며, 역시 일본어 입력이 아닌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능키(27)를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히라가나 입력 상태와 카타카나 입력 상태가 전환되므로, 이를 통해 입력할 문자의 종류를 선택한다. 이는 한번 선택으로 이후의 모든 입력을 선택된 문자 종류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한 문자에만 해당하도록 할 수 있고, 히라가나를 기준으로 입력한 후 최종적으로 이를 카타카나로 변환할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히라가나/카타카나 변환을 위한 기능키(27)는 문자 종류의 변환을 1번의 키 입력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라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키(27)로 문자 종류를 선택하면 상기 기능키(27)로 다른 문자 종류를 선택할때 까지는 선택된 문자 종류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기능키(27)는 단순히 히라가나/카타카나의 전환 외에도 숫자/영문자/특수문자/이모티콘 등의 문자 세트를 선택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숫자키(1~0)에 할당된 'あ'행 중 입력할 문자가 속한 행의 숫자키를 누르면, 해당하는 문자가 입력된다. 만일 원하는 문자가 'あ'행에 속한 문자라면 이것으로 입력이 완료된다. 하지만, 원하는 문자가 2번 단에서 5번 단 사이에 속한 문자라면, 기능키들(23~26)에 할당된 'あ'단 중 해당하는 기능키를 누르는 것으로 50음도에 속한 기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단 2번의 키 입력으로 50음도에 속하는 모든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키(s1)(23)에 'い'단을, 기능키(s2)(24)에 'う'단을, 기능키(s3)(25)에 'え'단을, 그리고 기능키(s4)(26)에 'お'단을 할당한다.
상기 숫자키(1~0)는 현재 일본어 입력 모드이며, 행을 선택하기 위해서 여러번 숫자키를 누를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가적인 기능으로 해당 숫자키를 여러번 누르는 것으로 숫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은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서 얻게되는 부가적인 이점이라 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를 2번 누르는 것으로 50음도 중에서 원하는 기본 문자를 입력한 후,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탁음이라면 '*'키(21)를 1번 더 누르고, 만일 반탁음이라면 '*'키(21)를 추가로 1번 더 누른다. 만일,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장음/촉음/요음이라면 문자를 작은 폰트로 전환하기위해 '#'키(22)를 1번 더 누른다.
부가적으로, 50음도에는 포함되지만, 숫자키에 할당되지 않은 'ん'의 경우에는 설계자가 임으로 키 조합을 할당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0번 숫자키를 2번 누르는 것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이는 'あ'행의 관습적인 흐름 상 'ん'가 'わ' 다음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마지막 할당인 0번 숫자키를 두번 누르는 것으로 할당하면 사용자 입장에서 기억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술한 방법으로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를 이용한 모든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을 위한 키의 조합은 종래의 조합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게된다. 또한, 메뉴의 사용과 같은 부대적인 키 조작이 줄어들게 되므로 입력이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비록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데 있어 몇번의 키 입력이 줄어드는 것에 불과하지만, 이는 한 문단의 일본어를 입력하는데 있어 수십번의 키 입력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오게된다.
상기 본 발명의 가장 큰 이점 중의 하나는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일본어 입력 방법이 일본어 사용자에게 쉽게 친숙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어 문법의 가장 기본인 50음도의 배열을 숙지하고 있다는 가정은 종래의 일본어 입력 방법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즉, 원하는 문자가 어떠한 행에 위치하는지를 알아야 종래 일본어 입력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일본어 사용자는 50음도 배열에 익숙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본어 입력 방법을 통한 50음도 내의 문자 표시 역시 특별한 숙달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탁음과 반탁음의 선택은 실제 수기를 통한 일본어 기록과 같이 50음도 내의 기본 문자를 기록한 후 추가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흐름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어 새롭게 익혀야하는 내용은 아니다. 또한, 장음/촉음/요음은 비록 그 문법적 의미는 달라도 입력의 측면에서는 작은 글자를 사용한다는 면에서 모두 같으므로 50음도의 문자를 기록하고 '#'키(22)를 한번 더 입력한다는 것만 기억한다면 본 발명의 일본어 입력 방법을 처음 접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단시간에 사용 방법을 익힐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전송이나 E-mail의 교환은 물론이고 극단적인 경우인 채팅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단히 유용하며, 주 고객층에게 상당한 매력이 될 수 있다.
이제, 전술한 일본어 입력 방법을 통해 실제로 일본어를 입력해 보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논의하도록 한다.
만일 전술된 예제인, "おもしろい(재미있다)"를 입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お'는 숫자키 1을 누른후 기능키 s4(26)를 누른다.
'も'는 숫자키 7을 누른후 기능키 s4(26)를 누른다.
'し'는 숫자키 3을 누른후 기능키 s1(23)을 누른다.
'ろ'는 숫자키 9을 누른후 기능키 s4(26)를 누른다.
'い'는 숫자키 1을 누른후 기능키 s1(23)을 누른다.
이와 같이 5자의 히라가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를 10번 누르면 된다. 종래에는 19번 눌러야 했으므로 거의 절반의 키 입력으로 줄어들게 된다. 만일 입력 중 실수하여 기능키를 잘못 눌렀다면, 올바른 기능키를 다시 누르는 것으로 정정할 수 있으므로 오타에 대한 수정 역시 종래의 반복적인 입력에 따른 수정에 비해 대단히 용이하다. 예를 들어, 'ろ'를 입력하고자 숫자키 9를 누른 후 기능키를 잘못 눌러 s1(23)을 선택했다면 단순히 기능키 s4(26)를 다시 누르는 것으로 정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술한 기능들은 본 발명의 이점 중 일부에 불과하며, 탁음, 반탁음 및 작은 문자(장음, 촉음, 요음)의 입력에 있어서는 그 효용이 더욱 뛰어나다.
'がざだば'행에 해당하는 탁음의 경우 먼저 숫자키들과 기능키들을 통한 'かさたは'행에 따른 50음도의 기본 문자를 입력하고 '*'키(21)를 한번 눌러서 상기 기본 문자에 '"'를 추가한다. 또한, 'ぱ'행과 같은 반탁음의 경우에는 6번 키와 기능키들을 이용하여 'は'행에 따른 기본 문자를 입력한 후 '*'키(21)를 두번 눌러서 상기 기본 문자에 '°'를 추가한다. 따라서, 실제 문자를 쓰는 것 처럼 원하는 탁음/반탁음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키 입력이 대단히 용이해지며, 다른 메뉴를 통해 원하는 문자를 검색하기위해 문장 입력이 지연되지 않는다.
'きゃく(손님)', 'ぎゅにゅう(우유)', 'しょさい(서재)'등에 사용되는 'ゃゅょ'등의 요음은 'や'행을 이용한 일반적인 50음도 입력을 통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한 후 '#'키를 눌러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요음을 입력한다. 즉, 'ゃ'는 8번 키, '#'키를 차례로 누르면 되고, 'ゅ'는 8번키, s1(23)키, '#'키를 차례로 누르면 되며, 'ょ'는 8번키, s4(26)키, '#'키를 차례로 누르면 된다. 즉, 최대 3번의 키 입력으로 요음을 입력할 수 있다.
'いっかい(일층)', 'まっすぐ(똑바로)', 'いっぱい(가득, 한잔)'등의 단어에서와 같이 'かさたぱ'행에 선행하여 강하게 발음하는 촉음'っ'의 경우 역시 'た'행을 나타내는 4번키, 'う'단을 나타내는 s2(24), 그리고 작은 문자를 나태내는 '#'키(22)를 눌러 촉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있어서, 촉음'っ'는 'た'행에서 하나만 존재하므로 4번키를 누른 후 '#'키(22)를 두번 누르는 것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입력 속도가 조금이라도 빨라지게된다.
'あ'단을 작게 표시하는 장음'ぁぃぅぇぉ'는 히라가나 보다는 카타카나에서 주로 사용되며, 외국어를 일본식 발음으로 표기하기위해 사용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글자를 완성한 후 '#'키(22)를 누름으로서 장음을 입력할 수 있다.
카타카나의 경우 역시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입력절차는 생략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카타카나로 입력 문자 종류를 변경하기 위해서 기능키 s5(27)를 한번만 선택하면 되기 때문에 히라가나와 카타카나의 입력 전환이 대단히 용이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위해 카타카나로 입력해야하는 내용을 히라가나로 대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자 종류 전환의 용이성 때문에 입력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표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을 주목하기 바란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은 일본어 사용자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단과 행으로 할당된 숫자키와 기능키들의 조합에 필요한 경우 한 두번의 키 입력을 추가하는 것으로 기본 50음도는 물론이고 탁음, 반탁음, 장음, 촉음, 요음에 이르는 모든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한 입력 방법을 통해 입력 가능한 모든 문자들에 대한 키 입력 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 50음도는 2번의 키 입력이면 충분하고, 탁음의 경우 상기 기본 50음도의 입력 후 한번의 '*'키 입력이 부가되기 때문에 3번의 키 입력이면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탁음의 경우, 기본 50음도를 선택한 후 '*'키를 두번 눌러주면 되기 때문에 최대 4번의 키 입력이 필요하지만, 같은 키를 연속으로 누르기 때문에 지연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그 외의 장음, 촉음, 요음은 상기와 같이 50음도를 선택한 후 '#'키를 한번 더 입력하면 되므로 최대 3번의 키 입력이면 충분하다. 여기서, 촉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2가지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괄호로 나타낸 것은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 고어이지만, 이 역시본 발명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음를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기능키들을 부가한 키패드를 이용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한 소정의 키 입력을 분석하여 메뉴의 전환 없이도 히라가나와 카타카나의 모든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일본어 입력에 비해 입력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 방법에 쉽게 친숙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뉴의 전환 없이도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로 이루어진 모든 문자를 최소한의 키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향후 개발되는 문자 통신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본어 히라가나 'あ'단이 적절히 배치된 숫자키들, 탁음/반탁음 선택 기능과 장음/촉음/요음 선택 기능을 가지는 '*'와 '#'키들, 상기 숫자키로 선택된 행의 단을 선택하는 다수의 기능키들, 그리고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를 전환할 수 있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와; 일본어 폰트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들을 판단 및 조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적절한 일본어 폰트를 선택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들은 일본어 입력 모드가 아닌 경우 다른 기능들이 할당되며, 상기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를 전환하기위한 기능키는 히라가나/카나카나의 전환 기능에 부가적으로 숫자/영문자/기호등의 부가적인 문자 종류 전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는 반복 입력을 통해 숫자 입력과 일본어 행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장치.
  4. 히라가나 'あ'단이 적절히 배치된 숫자키들 및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일본어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를 반복 선택하는 것으로 히라가나와 카타카나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다수의 숫자키들을 통해 입력 문자의 행을 선택하고 다수의 기능키들을 통해 원하는 입력 문자의 행을 선택하여 50음도 내의 문자를 입력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원하는 입력 문자가 탁음 혹은 반탁음이면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를 반복 선택하는 것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입력된 문자를 탁음 혹은 반탁음으로 전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원하는 입력 문자가 장음, 촉음, 또는 요음과 같이 작은 크기의 문자이면 상기 기능키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입력된 문자를 장음, 촉음, 또는 요음으로 전환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 사용되는 기능키는 기본 기능키들인 '*'과 '#' 중 하나이고, 상기 제 4단계에 사용되는 기능키는 상기 기본 기능키들 중 나머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 방법.
KR10-2002-0045061A 2002-07-30 2002-07-30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69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061A KR100469433B1 (ko) 2002-07-30 2002-07-30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3109660A JP2004062863A (ja) 2002-07-30 2003-04-14 移動通信端末機の日本語入力装置及び方法
CNB031365485A CN1239041C (zh) 2002-07-30 2003-05-23 移动通信终端设备的日语输入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061A KR100469433B1 (ko) 2002-07-30 2002-07-30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279A KR20040011279A (ko) 2004-02-05
KR100469433B1 true KR100469433B1 (ko) 2005-02-02

Family

ID=3043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061A KR100469433B1 (ko) 2002-07-30 2002-07-30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062863A (ko)
KR (1) KR100469433B1 (ko)
CN (1) CN123904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46B1 (ko) 2006-04-24 2008-08-19 정영재 휴대단말기 등의 키패드어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852B1 (ko) * 2005-12-19 2007-04-18 김민서 휴대용 단말기의 자판
CN100354805C (zh) * 2006-06-28 2007-12-12 梁金宝 手机智能日文输入法
KR100876096B1 (ko) 2008-03-25 2008-12-26 윤영식 휴대용 단말기의 일본어 입력방법 및 그 장치
CN101630199B (zh) * 2008-07-16 2015-01-14 创新科技有限公司 利用按键输入字符集中的字符的方法、键盘及信息处理装置
KR101284771B1 (ko) * 2011-09-21 2013-07-17 김호성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425259B (zh) * 2013-06-14 2016-10-19 吴礼明 基于五元音的数字键盘日语复笔输入法
CN107885348A (zh) * 2017-11-27 2018-04-06 牡丹江师范学院 一种移动通信终端设备的日语输入装置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196A (en) * 1988-07-18 1989-10-03 Motorola, Inc. Telephone keypad input technique
JP2000330705A (ja) * 2000-03-06 2000-11-30 Voc Direct:Kk 携帯用通信端末における文字入力システム
JP2001075708A (ja) * 2000-07-11 2001-03-23 Misawa Homes Co Ltd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20020046518A (ko) * 2000-12-15 2002-06-21 황재엽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196A (en) * 1988-07-18 1989-10-03 Motorola, Inc. Telephone keypad input technique
JP2000330705A (ja) * 2000-03-06 2000-11-30 Voc Direct:Kk 携帯用通信端末における文字入力システム
JP2001075708A (ja) * 2000-07-11 2001-03-23 Misawa Homes Co Ltd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20020046518A (ko) * 2000-12-15 2002-06-21 황재엽 휴대폰용 가나입력코드발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46B1 (ko) 2006-04-24 2008-08-19 정영재 휴대단말기 등의 키패드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9041C (zh) 2006-01-25
JP2004062863A (ja) 2004-02-26
CN1472979A (zh) 2004-02-04
KR20040011279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75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chinese-characters through virtual keyboards to data processor
CN1530815B (zh) 简化键盘输入的装置及方法
US20030023426A1 (en) Japanese language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KR100469433B1 (ko)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87321A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322914B1 (ko)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641448B1 (ko)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50007859A (ko)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KR100750634B1 (ko) 한자 입출력 장치
KR100350781B1 (ko) 조그다이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20050023584A (ko) 한자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0587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JP4599430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2278688A (ja) 文字等の入力方法、および文字等の入力装置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200200229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JPS63128468A (ja) キヤラクタ入力装置
JP2002318655A (ja) 文字入力機能付き電話機、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3088476B2 (ja) ミャンマー語入力装置
KR1003643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어 입력방법
KR20230173009A (ko)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