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404B1 -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404B1
KR100447404B1 KR10-2002-0024878A KR20020024878A KR100447404B1 KR 100447404 B1 KR100447404 B1 KR 100447404B1 KR 20020024878 A KR20020024878 A KR 20020024878A KR 100447404 B1 KR100447404 B1 KR 10044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ority
descriptor
target environment
digital item
descri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751A (ko
Inventor
김도년
박용현
송영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404B1/ko
Priority to AU2003230250A priority patent/AU2003230250A1/en
Priority to EP03723410A priority patent/EP1502204A4/en
Priority to PCT/KR2003/000890 priority patent/WO2003094039A1/en
Priority to CNA038101572A priority patent/CN1650293A/zh
Priority to JP2004502192A priority patent/JP2005524893A/ja
Priority to US10/428,948 priority patent/US7861220B2/en
Publication of KR2003008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환경을 고려한 적응적 환경 기술자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용 환경과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함에 있어,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 각각에 우선순위를 기술하거나, 디지털 아이템의 기술자들에 대하여 대체 선택에 관한 선호도를 기술하거나,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 각각에 우선순위를 기술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디지털 아이템을 적응적으로 변형하여 기술하기 위한 적응 조건을 기술함에 있어 대체 선택에 관한 선호도를 함께 기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Digital Item Configuration Of Adaptive Descriptor}
본 발명은 디지털 아이템의 기술자(descriptor)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생성, 가공, 거래, 전달, 관리, 저장, 소모 등의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취급 단위에 대하여 융통성, 일관성, 상호 호환적인 규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 상거래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전자 상거래를 위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취급 단위에 대한 정의 모델의 부재는 전자 상거래시의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는 잠재적 요인으로 잠복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전자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의 모든 사용자(디지털 아이템 생성자, 공급자, 분배자, 소비자, 지적 재산권 행사자, 산업 재산권 행사자, 금융 서비스자, 상거래 감시자 등, 전자 상거래의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된 모든 주체)의 역할 관계를 최대한 고려한, 국제 표준 기구인 ISO/IEC SC29/WG11 내의 MPEG-21에서 디지털 아이템 정의를 규정하고 디지털 아이템이 전자 상거래 상의 주체나 그와 관련된 요소 기술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융통성, 일관성, 상호 호환성을 갖도록 국제 표준으로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의 비즈니스 모델 구성 주체(혹은 사용자)나 그와 관련된 요소 기술과의 연관성을 고려하고, 서로 다른 기종의 네트워크나 터미널과 무관하게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모델은 전자 상거래에 필요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생성, 가공, 거래, 전달, 관리, 저장, 소모 등의 전자 상거래 활동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최소 단위로서 상호 호환성이 있어야 하고, 일관성과 융통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환경 하에서의 지적 재산 가치가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생성, 가공, 거래, 전달, 관리, 저장, 이용 등의 제반 취급 활동의 단위인 디지털 아이템은 크게 3가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컨텐츠 자체의 내용에 해당하는 자원(RESOURCE)(예를 들어 영상, 음성 등의 그 영화나 음악 자체)과, 그 컨텐츠 내용과 이용에 관해 기술하는 묘사정보(DESCRIPTOR)(예를 들어 영화나 음악의 제목, 장르, 작가 이름, 내용 요약문, 컨텐츠 이용 조건, 규칙 등)와, 디지털 아이템을 구성(Configuration)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선택묶음(CHOICE), 선택항목(SELECTION), 조건(CONDITION))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아이템은 리소스 자체 외에도 메타데이터(Metadata)를 포함하고 있는데, 메타데이터에는 리소스를 기술하는 묘사정보(DESCRIPTOR)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항목(SELECTION), 이러한 선택항목들의 묶음(CHOICE) 등이 있으며, 각각의 선택항목과 선택묶음은 특정 조건에서 유효함을 표시하기 위한 조건(CONDITION)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아이템은 많은 컴퍼넌트(실제 리소스(음악파일, 그림파일)와 묘사정보(DESCRIPTOR)를 갖는다)들을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컴퍼넌트를 선택하여 사용자에 맞는 디지털 아이템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지털 아이템과 컴퍼넌트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조건에서 유효함을 표시하기 위한 조건(CONDITION)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조건(CONDITION)은 선택항목(SELECTION)을 참조하며, 참조 리스트에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항목(SELECTION)이 있으면 이 조건은 참이 되고, 없으면 거짓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묶음(CHOICE)은 여러 선택항목(SELECTION)들의 대표적선택 이름이고, 조건(CONDITION)은 선택묶음과 그와 관련된 선택 항목들을 특정 조건 하에서 유효함을 표시하기 위한 조건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아이템은 기존에 이미 생성된 많은 디지털 아이템들을 다시 재구성하여 새로운 디지털 아이템(복합적 디지털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디지털 아이템들을 구성하여 앨범이라는 상위 디지털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이미지 디지털 아이템들은 독립적인 저장 단위로 존재하는 외부 저장 디지털 아이템이며, 새롭게 생성된 앨범 디지털 아이템이 이들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접근할 수 있는 참조정보(REFERENCE)들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건(CONDITION)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아이템을 구성할 때, 조건(CONDITION)의 효율적인 표현방법은 비교 연산의 효율 및 조건의 표현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조건 비교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조건(CONDITION) 표현방법이 요구된다.
도1은 디지털 아이템 정의모델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아이템 정의 언어(DIDL)에 선언(DECLARATION)과 컨테이터(CONTAINER), 아이템(ITEM) 등으로 디지털 아이템이 기술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컴퍼넌트(COMPONENT)는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 텍스트 등의 자원(RESOURCE)과, 상기 자원을 가리키는 앵커(ANCHOR), 컴퍼넌트를 기술하는 묘사정보(DESCRIPTOR)를 포함한다. 상기 컴퍼넌트나 아이템을 포함하는 묶음 형태의 상위 계층으로서 아이템(ITEM)을 가진다. 상기 아이템이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묶음 형태의 상위 계층으로서 컨테이너(CONTAINER)를 가진다.
도1에서는 디지털 아이템이 다른 디지털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음과, 외부 저장 디지털 아이템을 접근할 수 있는 참조정보(REFERENCE) 요소가 디지털 아이템에 정의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디지털 아이템은 선택묶음(CHOICE)과 선택항목(SELECTION)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구성을 선택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조건(CONDITION)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아이템을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때, 조건(CONDITION)의 효율적인 표현방법은 비교 연산의 효율 및 조건의 표현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따라서 조건 비교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조건(CONDITION) 표현방법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양한 사용의 환경에 따라 그 멀티미디어를 가장 최적인 상태로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의 터미널의 능력, 네트워크의 능력, 전송계층(delivery layer)의 능력, 사용자의 선호도 및 성별 등과 같은 사용자의 특성, 자연 환경 특성, 제공되는 서비스의 능력 등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그 멀티미디어를 가장 최적인 형태로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을 위해서 디지털 아이템 적응기술(Digital Item Adaptation)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환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자(Descriptor)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당위성에 근거할 때,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점점 다양해지고, 이를 향유하는 사용자의 환경도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에 맞추어 다양한 사용 환경 기술자(Usage Environment Descriptor)가 기술되고 또 가공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아이템 적응 기술에 다양하고 대량인 환경 기술자들 중에서 어떤 환경 기술자를 고려의 우선순위로 할 것인가에 관한 기술자 생성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우선순위에 의해서 결정된 환경 기술자들에 대해 차선책이 필요한 경우에는 차선책 즉, 대체 선택에 관한 선호도를 기술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즉, 후자의 경우 디지털 아이템 적응 기술에 상기 기술자 고려 우선순위에 의해서 선정된 환경 기술자에 대하여 이에 부합하는 환경 기술자 값에 대한 대체 선정 기준에 관한 기술자를 정의함으로써, 요구된 컨텐츠에 대한 차선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간의 우선순위를 기술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하의 다양한 요구를 가진 다양한 사용자에게 최선의 멀티미디어 사용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간의 우선순위에 의해서 결정된 환경 기술자들에 대하여 차선책이 필요한 경우 그 차선책인 대체 선택에 관하여 기술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하의 다양한 요구를 가진 다양한 사용자에게 최선의 멀티미디어 사용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디지털 아이템 정의 모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적응적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서 우선순위 선호도 기술자를 이용한 디지털 아이템 기술자 생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서 대체 선호도 기술자를 이용한 디지털 아이템 기술자 생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서 우선순위 및 대체 선호도 기술자를 이용한 디지털 아이템 생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용 환경과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함에 있어,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 각각에 우선순위를 기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용 환경과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함에 있어, 디지털 아이템의 기술자들에 대하여 대체 선택에 관한 선호도를 기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용 환경과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함에 있어,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 각각에 우선순위를 기술하고, 상기 디지털 아이템을 적응적으로 변형하여 기술하기 위한 적응 조건을 기술함에 있어 대체 선택에 관한 선호도를 기술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적응적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생성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두 단계 혹은 서로 독립적인 두 단계의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DID.xml(201)은 디지털 아이템 선언(Digital Item Declaration)을 xml형식으로 기술한 것을 표현한다. DID.xml(201)은 적응적 기술을 수행하기 전인 디지털 아이템을 나타낸다. 이 디지털 아이템(DID.xml)은 적응적 기술을 수행하는 블럭(204)의 입력으로 제공된다. DIA.xml(202)은 디지털 아이템 적응기술(Digigal ItemAdaptation)을 xml 형식으로 기술한 것을 표현하며, PAP.xml(203)은 우선순위 선호도(precedence preference) 기술자와 대체 선호(alternative preference) 기술자에 관한 내용을 xml형식으로 기술한 것(Precedence/Alternative Preference)을 표현한다.
디지털 아이템 적응기술 블럭(204)은 상기 DID.xml(201)과 DIA.xml(202), PAP.xml(203)을 입력으로 하여 사용자 환경 및 선호도에 최적인 변형된 디지털 아이템(Modified DID.xml)(205)을 생성한다.
한편, 이러한 환경 기술자나 선호도 기술자들이 기 생성된 디지털 아이템(DID.xml)을 변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지만, 우선 환경 기술자나 선호도 기술자들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우선순위 기술자와 대체 선호도 기술자에 의해서 먼저 적응적 기술의 형태로 변형된 후 적용될 수도 있다.
즉, DIA.xml(206)과 PAP.xml(207)에 대하여 디지털 아이템 적응기술 블럭(208)이 상기한 바와 같이 환경 기술자(DIA.xml)나 선호도 기술자(PAP.xml)에 의해서 먼저 적응적 기술의 형태로 변형된 Modified DIA.xml(209)의 형태로 기술되고, 이 변형된 DIA.xml(209)을 상기 디지털 아이템 적응기술 블럭(204)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환경 및 선호도에 최적인 변형된 디지털 아이템(Modified DID.xml)을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두 단계 혹은 서로 독립적인 두 단계의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실시예1]
도3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여준다. 도3에 표현된 기술은 사용 환경 기술자들 간의 우선순위를 기술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3에 표현된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은, 다양한 사용자 환경 기술자를 사용자의 여러 환경에 관한 선호도에 의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함에 있어서 최선의 만족을 주기 위해 사용자의 환경 기술자가 적응적으로 어떻게 기술되는가를 보여준다. 특히, 다양한 사용자 환경 기술자를 사용자의 여러 환경에 관한 선호도에 의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함에 있어서 최선의 만족을 주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즉, 디지털 아이템이 적응적으로 어떻게 기술되는가를 보여준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에 우선순위 기술자(301)를 기술한다. 이 우선순위 기술자(301)에 의해서 사용 환경 기술자들 중에서 어떤 것을 더 높은(혹은 더 낮은) 우선순위로 고려할 것인가를 기술할 수 있고, 이 우선순위 기술자(301)를 이용해서 여러 가지 환경 기술자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더 중요한 정보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이미 기술된 환경 변수의 값을 다시 제공받지 않고도 우선순위를 변경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미 기술된 환경 변수의 값을 다시 제공받지 않고도 환경 기술자들 간의 우선순위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가공 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반도 제공한다.
상기 우선순위 기술자(301)는 타겟 환경 기술자(302)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 조건(303) 및, 우선순위 종류(304)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우선순위 종류(304)는 우선순위 종류 타입(304a)에 의해서 기술되며, 우선순위 종류 타입(304a)은 기 지정 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305)와 순위 삽입방법(306)을 이용한 우선순위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기 지정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305)는 기 지정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타입(305a)에 의해서 기술되는데, 프리엄프티브(Preemptive)(313), 어펜드(Append)(314), 델리트(Delete)(315)에 의해서 각각 정의된다.
프리엄프티브(313)는 기존의우선순위및 고려중인 환경 기술자를 모두 버리고, 새로 제시된 타겟 선호도(target preference), 즉, 우선순위를 새로 제시한 환경 기술자만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어펜드(314)는 타겟 선호도 즉, 타겟 환경 기술자를 고려중인 환경 기술자 중에서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한다. 델리트(316)는 타겟 선호도 즉, 타겟 환경 기술자를 고려하지 않게 지정하는 방법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상기 우선순위 종류 타입(304a)을 기술하는 순위 삽입방법(306)은 순위 삽입 선호도 타입(306a)에 의해서 정의된다. 순위 삽입 선호도 타입(306a)은 타겟 선호도 이름(307)과 랭크 이름(308)에 의해서 기술된다. 타겟 선호도 이름(307)은 이 이름 앞에 삽입된 사용 환경 순위를 더 높게 고려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이 타겟 선호도 이름이 가지는 선호도보다 높은 선호도를 지정하는 방법이고, 선호도가 높은 선호도 이름을 앞에 삽입함으로써 우선순위를 높이는 방법이며, 이타겟 선호도 이름에 의해 삽입하는 방법은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 타겟 선호도 이름(307)에 비하여, 랭크 이름(308)에 의한 순위 삽입방법은 절대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이다. 절대 위치의 지정은 랭크 이름 타입(308a)에 의해서 정의되며, 랭크 이름 타입(308a)은 첫번째(309), 두번째(310), 세번째(311),...,마지막번째(312)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기술된다.
[실시예2]
도4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여준다. 도4에 표현된 기술은 환경 기술자에 의해서 디지털 아이템 적응기술을 하기 위한 적응조건을 기술함에 있어, 멀티미디어 컨텐츠, 디지털 아이템이 환경 기술자에 의해 요구한 사항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차선책으로 대체하여 선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을 보여준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에 대체 선호도 기술자(401)를 기술한다. 대체 선호도 기술자(401)에 의해서, 우선순위에 의해 결정된 환경 기술자들에 대해 차선책이 필요한 경우에는 차선책을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환경 하의 다양한 요구를 가진 다양한 사용자에게 최선의 멀티미디어 사용을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대체 선호도 기술자(401)는 타겟 선호도 기술자(402)와, 이 타겟 선호도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 조건(403)과 대체 선택 방법 종류(404)에 의해서 정의된다.
대체 선택 방법 종류(404)는 대체 선택 방법 종류 타입(404a)으로 기술되는데, 대체 선택 방법 종류 타입(404a)은 정확히 같을 경우(exactly same, 405), 가장 가까운 값을 가진 대체 선택의 경우(nearest, 406), 지정한 값 보다 낮은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하는 경우(nearest among lowers, 407), 지정한 값 보다 높은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하는 경우(nearest among uppers, 408), 지정한 값 보다 낮은 값들을 선택하는 경우(lower than, 409), 지정한 값 보다 높은 값들을 선택하는 경우(upper than, 410)로 각각 정의된다.
[실시예3]
도5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를 보여준다. 도5에 나타낸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용 환경과 선호도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함에 있어,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 각각에 우선순위를 기술하고, 또 상기 기술된 우선순위에 의해서 결정된 환경 기술자들에 대하여 대체 선택에 관한 선호도를 기술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에 우선순위 기술자(501)와 대체 선호도 기술자(502)를 기술하며, 우선순위 기술자(501)에 의해서 사용 환경 기술자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가 기술되고, 또 이 우선순위에 따른 환경 기술자에 대해서, 요구한 사항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의 차선책으로 대체 선택을 할 수 있는 기반이 함께 제공된다.
우선순위 기술자(501)에 의해서 사용 환경 기술자들 중에서 어떤 것을 더 높은(혹은 더 낮은) 우선순위로 고려할 것인가를 기술할 수 있고, 이 우선순위 기술자(501)를 이용해서 여러 가지 환경 기술자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더 중요한 정보에 집중할 수 있게하는 것은 물론, 이미 기술된 환경 변수의 값을 다시 제공받지 않고도 우선순위를 변경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미 기술된 환경 변수의 값을 다시 제공받지 않고도 환경 기술자들 간의 우선순위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 가공 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반도 제공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디지털 아이템이 환경 기술자에 의해 요구한 사항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체 선택 선호도 기술자(502)에 의해서 차선책으로 대체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우선순위 기술자(501)는 타겟 환경 기술자(503)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 조건(504) 및, 우선순위 종류(505)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우선순위 종류(505)는 우선순위 종류 타입(505a)에 의해서 기술되며, 우선순위 종류 타입(505a)은 기 지정 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515)와 순위 삽입방법(516)을 이용한 우선순위에 의해서 정의된다.
상기 기 지정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515)는 기 지정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타입(515a)에 의해서 기술되는데, 프리엄프티브(Preemptive)(523), 어펜드(Append)(524), 델리트(Delete)(525)에 의해서 각각 정의된다.
프리엄프티브(523)는 기존의 우선순의 및 고려중인 환경 기술자를 모두 버리고, 새로 제시된 타겟 선호도(target preference), 즉, 우선순위를 새로 제시한 환경 기술자만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어펜드(524)는 타겟 선호도 즉, 타겟 환경 기술자를 고려중인 환경 기술자 중에서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한다. 델리트(525)는 타겟 선호도 즉, 타겟 환경 기술자를 고려하지 않게 지정하는 방법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상기 우선순위 종류 타입(505a)을 기술하는 순위 삽입방법(516)은 순위 삽입 선호도 타입(513a)에 의해서 정의된다. 순위 삽입 선호도 타입(516a)은 타겟 선호도 이름(517)과 랭크 이름(518)에 의해서 기술된다. 타겟 선호도 이름(517)은 이 이름 앞에 삽입된 사용 환경 순위를 더 높게 고려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이 타겟 선호도 이름이 가지는 선호도보다 높은 선호도를 지정하는 방법이고, 선호도가 높은 선호도 이름을 앞에 삽입함으로써 우선순위를 높이는 방법이며, 이 타겟 선호도 이름에 의해 삽입하는 방법은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 타겟 선호도 이름(517)에 비하여, 랭크 이름(518)에 의한 순위 삽입방법은 절대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이다. 절대 위치의 지정은 랭크 이름 타입(518a)에 의해서 정의되며, 랭크 이름 타입(518a)은 첫번째(519), 두번째(520), 세번째(521),...,마지막번째(522)를 지정하는 방법으로 기술된다.
그리고, 상기 대체 선호도 기술자(502)는 타겟 선호도 기술자(506)와, 이 타겟 선호도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 조건(507)과 대체 선택 방법 종류(508)에 의해서 정의된다.
대체 선택 방법 종류(508)는 대체 선택 방법 종류 타입(508a)으로 기술되는데, 대체 선택 방법 종류 타입(508a)은 정확히 같을 경우(exactly same, 509), 가장 가까운 값을 가진 대체 선택의 경우(nearest, 510), 지정한 값 보다 낮은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하는 경우(nearest among lowers, 511), 지정한 값 보다 높은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하는 경우(nearest among uppers, 512), 지정한 값 보다 낮은 값들을 선택하는 경우(lower than, 513), 지정한 값 보다 높은 값들을 선택하는 경우(upper than, 514)로 각각 정의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환경과 사용자 선호도에 의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적응적으로 기술할 때, 사용자의 환경에 관한 기술자를 우선순위 선호도 기술자와 대체 선택 선호도 기술자를 이용해서 적응적으로 변형 기술한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즉, 디지털 아이템을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환경에 있는 다양한 사용자 뿐만 아니라 동적으로 사용 환경이 변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절한 적응적 변형 기술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만족할만한 수준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삭제
  2.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용 환경과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함에 있어,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 각각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우선순위 기술자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선순위 기술자는 우선순위를 기술할 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조건과 우선순위 종류로 구분하여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기술자는 우선순위를 기술할 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조건과 우선순위 종류를 기술하고; 상기 우선순위 종류는 기 지정 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나, 순위 삽입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나, 기 지정 방법 및 순위 삽입방법을 모두 이용한 우선순위에 의해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기술자는 우선순위를 기술할 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조건과 우선순위 종류를 기술하고, 상기 우선순위 종류는 순위 삽입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에 의해서 기술되며; 상기 순위 삽입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지정은 타겟 환경 기술자에 의해서 위치를 정하는 타겟 선호도 이름 지정방법이나, 절대 위치를 지정하는 랭크 이름 지정방법이나, 상기 타겟 선호도 이름 지정방법 및 랭크 이름 지정 방법을 모두 이용하여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기술자는 우선순위를 기술할 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조건과 우선순위 종류를 기술하고, 상기 우선순위 종류는 순위 삽입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에 의해서 기술되며; 상기 순위 삽입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지정은 절대 위치를 지정하는 랭크 이름 지정방법에 의해서 기술되고; 상기 랭크 이름에 의한 순위 삽입 방법은 절대위치를 지정하는 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기술자는 우선순위를 기술할 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조건과 우선순위 종류를 기술하고; 상기 우선순위 종류는 기 지정 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에 의해서 기술되며; 상기 기 지정 방법을 이용한 우선순위는 (a). 기존의 우선순위 및 고려중인 환경 기술자를 모두 버리고 새로 제시된 환경 기술자만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프리엄프티브(preemptive), (b). 타겟 환경 기술자를 고려중인 환경 기술자 중에서 가장 낮은 순위로 변경 지정하는 어펜드(append), (c). 타겟 환경 기술자를 고려하지 않게 지정하는 방법으로 순위를 변경 지정하는 델리트(delete)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기술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7. 삭제
  8.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용 환경과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함에 있어, 디지털 아이템의 기술자들에 대하여 대체 선택에 관한 선호도를 부여하기 위한 대체 선호도 기술자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대체 선호도 기술자는선호도 순위를 기술할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 조건과 대체 선택 방법 종류로 구분하여 기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선호도 기술자는선호도 순위를 기술할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 조건과 대체 선택 방법 종류에 의해서기술되고; 상기 대체 선택 방법 종류는, (a). 정확히 같은 경우(exactly same), (b). 가장 가까운 값을 가진 대체 선택(nearest), (c). 지정한 값 보다 낮은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nearest among lowers), (d). 지정한 값 보다 높은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nearest among uppers), (e). 지정한 값 보다 낮은 값들을 선택(lower than), (f). 지정한 값 보다 높은 값들을 선택하는 경우(upper tha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경우에 의해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10. 삭제
  11.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사용 환경과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함에 있어, 디지털 아이템의 사용 환경 기술자 각각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우선순위 기술자를 기술하고, 상기 디지털 아이템을 적응적으로 변형하여 기술하기 위한 적응 조건을 기술함에 있어 대체 선택에 관한 선호도를 부여하기 위한 대체 선호도 기술자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로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선순위 기술자는 우선순위를 기술할 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조건과 우선순위 종류로 구분하여기술하고; 상기 대체 선호도 기술자는선호도 순위를 기술할타겟 환경 기술자와, 이 타겟 환경 기술자에 대한 기 충족 조건과 대체 선택 방법 종류로 구분하여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KR10-2002-0024878A 2002-05-06 2002-05-06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KR10044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878A KR100447404B1 (ko) 2002-05-06 2002-05-06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AU2003230250A AU2003230250A1 (en) 2002-05-06 2003-05-03 Method for generating adaptive usage environment descriptor of digital item
EP03723410A EP1502204A4 (en) 2002-05-06 2003-05-03 METHOD FOR GENERATING AN ADAPTIVE USE ENVIRONMENTAL DESCRIPTOR OF A DIGITAL ITEM
PCT/KR2003/000890 WO2003094039A1 (en) 2002-05-06 2003-05-03 Method for generating adaptive usage environment descriptor of digital item
CNA038101572A CN1650293A (zh) 2002-05-06 2003-05-03 生成数字项目的适应性使用环境描述符的方法
JP2004502192A JP2005524893A (ja) 2002-05-06 2003-05-03 デジタルアイテムの適応的使用環境記述子の生成方法
US10/428,948 US7861220B2 (en) 2002-05-06 2003-05-05 Method for generating adaptive usage environment descriptor of digital i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878A KR100447404B1 (ko) 2002-05-06 2002-05-06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751A KR20030086751A (ko) 2003-11-12
KR100447404B1 true KR100447404B1 (ko) 2004-09-04

Family

ID=2926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878A KR100447404B1 (ko) 2002-05-06 2002-05-06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61220B2 (ko)
EP (1) EP1502204A4 (ko)
JP (1) JP2005524893A (ko)
KR (1) KR100447404B1 (ko)
CN (1) CN1650293A (ko)
AU (1) AU2003230250A1 (ko)
WO (1) WO2003094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950202A0 (en) * 2002-07-11 2002-09-12 University Of Wollongong Methods for standard mechanisms for digital item manipulation and handling
KR100619317B1 (ko) * 2002-10-17 200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택묶음 우선 순위 기술자 및 디지털 아이템 선언문서의적응적 생성방법
KR100628655B1 (ko) * 2004-10-20 2006-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이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도메인간의 콘텐츠 교환을 위한방법 및 시스템
EP1834484A4 (en) * 2005-01-07 2010-04-07 Korea Electronics Telecom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BROADCASTING USING CLASSIFICATION SCHEMES FOR USE ENVIRONMENTAL DESCRIP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772A (ko) * 1999-09-22 2001-04-06 구자홍 멀티미디어 사용자 프로파일과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및 브라우징 방법
KR20010107394A (ko) * 2000-05-27 2001-12-07 구자홍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자 선호도 정보 구조와 객체표현정보 구성 방법 및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20060799A (ko) * 2001-01-12 200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상거래를 위한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
KR20020072113A (ko) * 2001-03-09 200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상거래를 위한 디지털 아이템 기술 정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550B1 (en) * 1997-01-21 2001-04-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in a client-server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messages from a first format to a second format compatible with a message retrieving device
US6317795B1 (en) 1997-07-22 2001-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modification of multimedia content
KR100605463B1 (ko) 1998-11-06 2006-07-28 더 트러스티스 오브 콜롬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상호 운용 멀티미디어 컨텐츠 설명 시스템 및 방법
JP2000278692A (ja) * 1999-03-25 2000-10-06 Victor Co Of Japan Ltd 圧縮データ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並びに記録再生システム
JP3711411B2 (ja) * 1999-04-19 2005-11-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音声合成装置
EP1244023A3 (en) * 2001-03-23 2003-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figuring digital items
KR20010070867A (ko) * 2001-06-15 2001-07-27 최용준 온라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웹스트리밍 기법과 자료구조 및 전송관리구조
US20030156108A1 (en) * 2002-02-20 2003-08-21 Anthony Vetro Consistent digital item adaptation
US6813489B1 (en) * 2002-03-01 2004-11-02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electronic messag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772A (ko) * 1999-09-22 2001-04-06 구자홍 멀티미디어 사용자 프로파일과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검색 및 브라우징 방법
KR20010107394A (ko) * 2000-05-27 2001-12-07 구자홍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사용자 선호도 정보 구조와 객체표현정보 구성 방법 및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방법
KR20020060799A (ko) * 2001-01-12 200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상거래를 위한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
KR20020072113A (ko) * 2001-03-09 200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상거래를 위한 디지털 아이템 기술 정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751A (ko) 2003-11-12
AU2003230250A1 (en) 2003-11-17
WO2003094039A1 (en) 2003-11-13
US7861220B2 (en) 2010-12-28
CN1650293A (zh) 2005-08-03
EP1502204A1 (en) 2005-02-02
EP1502204A4 (en) 2008-04-23
US20030208375A1 (en) 2003-11-06
JP2005524893A (ja)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3778A1 (en) Adaptive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AMIL) for adaptive multimedia applications and presentations
US20090077056A1 (en) Customization of search results
US20080250080A1 (en) Annotating the dramatic content of segments in media work
KR20020060799A (ko) 전자 상거래를 위한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
CN111523050B (zh) 内容推荐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KR100447404B1 (ko) 디지털 아이템의 적응적 기술자 생성방법
US82555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ser interactions and navigation during rich media presentations
EP1244023A2 (en) Method for configuring digital items
Adel et al. Automatic adaptation of multimedia documents
US20080320048A1 (en) Automated composition of services in a platform
CA24851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user policies
KR100493677B1 (ko) 앵커 선호도 기술자를 이용한 디지털 아이템 선언인스턴스 문서의 적응적 생성 방법
KR100619317B1 (ko) 선택묶음 우선 순위 기술자 및 디지털 아이템 선언문서의적응적 생성방법
KR100613911B1 (ko)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
KR100460220B1 (ko) 디지털 아이템 생성방법
Kumar et al. User-centric appliance aggregation
Schantz Quality of service
Kerhervé et al. Metadata Modeling for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in Distributed Multimedia Systems.
Pellan et al. Authoring of scalable multimedia documents
Malheiro et al. Dynamic personalisation of media content
Saleemi et al. Exploiting smart spaces for interactive TV applications development
Furno et al. Context-aware design of semantic web services to improve the precision of compositions
Wittig Intelligent Media Agents: Key Technology for Interactive Television, Multimedia and Internet Applications
Soetens et al. Applying domain knowledge to multistep media adaptation based on semantic web services
Oinas-Kukkonen et al. Requirements for web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 method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