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926B1 -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926B1
KR100446926B1 KR10-2001-0054379A KR20010054379A KR100446926B1 KR 100446926 B1 KR100446926 B1 KR 100446926B1 KR 20010054379 A KR20010054379 A KR 20010054379A KR 100446926 B1 KR100446926 B1 KR 10044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semiconductor
sensor data
processing resul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21324A (en
Inventor
다나카준이치
기츠나이히로유키
가고시마아키라
시라이시다이스케
야마모토히데유키
이쿠하라쇼지
마스다도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2001-005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926B1/en
Publication of KR2003002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9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917Plasma diagnostics
    • H01J37/32935Monitoring and controlling tubes by information coming from the object and/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3Process monitoring, e.g. flow or thickness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제조장치를 그 처리결과를 예측하면서 제어 또는 감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while predicting the processing result thereof.

그 시스템은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센서데이터를 보존하는 센서데이터보존부와, 제조장치에서 처리한 반도체디바이스의 처리결과의 측정치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와, 입력된 처리결과 측정치의 보존부와, 보존된 센서데이터와 처리결과 측정치로부터 모델식을 생성하는 모델식 생성부와, 생성된 모델식을 보존하는 모델식 보존부와, 보존된 모델식과 센서데이터로부터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에 의한 예측부와, 예측된 처리결과로부터 제조장치의 처리조건을 제어하는 처리조건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ystem includes 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a sensor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sensor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measurement values of processing results of semiconductor devices processed by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input processing result measurement values. A preservation unit, a model equ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model equations from the stored sensor data and processing result measurements, a model equation preservation unit for storing the generated model equations, and a prediction result of the processing results from the stored model equations and sensor data. And a processing condi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rom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Description

반도체제조장치의 감시 및 제어방법과 그 실시장치{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METHOD OF MONITORING AND / 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반도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리결과를 예측하여 장치의 가동률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반도체처리장치 및 반도체제조장치를 감시 및/또는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onitoring and / 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to improve the operation rate and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최근, 반도체디바이스의 치수는 미세화되고 있어 가공의 치수 정밀도도 0.1㎛ 이하의 게이트전극을 10% 이하의 치수정밀도로 가공하지 않으면 안될 만큼 엄격해지고 있다. 한편 열이나 플라즈마를 사용하여 반도체웨이퍼를 물리화학적으로 가공하는 반도체제조장치에서는 장치 내부의 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생성물 등이 장치의 내벽에 부착하여 잔류하고, 시간과 함께 웨이퍼의 처리상태를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웨이퍼의 처리를 몇매나 겹쳐짐에 따라 웨이퍼상의 반도체디바이스의 가공형상이 서서히 변화하여 성능이 열화한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통상은 챔버 내벽의 부착물을 플라즈마에 의해 세정하거나, 챔버벽의 온도를 올려 부착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하는 등의 대책이 취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들 대책은 완전하지 않아, 결국 반도체디바이스의 가공형상은 서서히 변화하여 버린다. 이 때문에 가공형상이 문제가 될 수록 바뀌기 전에 제조장치 부품의 교환이나 세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퇴적막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상태의 변동이 웨이퍼 가공형상의 변동에 관여한다. 이 때문에 반도체체조장치 내부의 처리상태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반도체제조처리장치의 입력에 피드백하여 처리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의 연구가 고안되어 왔다.In recent years, the size of semiconductor devices has become finer, and the dimensional accuracy of processing has become so severe that a gate electrode of 0.1 µm or less must be processed with a dimensional accuracy of 10% or less. On the other hand,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processes heat and plasma physically and chemically, the semiconductor wafer is formed by the reaction product generated by the chemical reaction inside the device, which remains on the inner wall of the device and changes the processing state of the wafer with time. Let's do it. For this reason, as the number of wafer processes is overlapped, the processing shap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on the wafer gradually changes, and performance deteriorates. 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measures are usually taken such that the deposit on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is cleaned by plasma, or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wall is raised to make the deposit difficult to attach. However, in most cases, these countermeasures are not perfect, and eventually the processing shape of the semiconductor device gradually changes. For this reason, as the machining shape becomes a problem, the parts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must be replaced or cleaned before the change. In addition to the deposition film, variations in the state of various apparatuses are involved in variations in wafer processing shape. For this reason, studies have been devised to detect a change in the processing state inside the semiconductor gymnastics apparatus and to keep the processing state constant by feeding back the detection result to the input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ing apparatus.

플라즈마처리의 변동을 감시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12566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플라즈마처리특성과 장치의 전기신호의 관계식을 사용하여 장치성능을 예측하거나 플라즈마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그 방법으로서는 3개의 전기신호와 장치의 플라즈마처리특성의 관계를 나타내는 근사식을 중회귀분석에 의해 구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또 하나의 예가 일본국 특개평11-87323호에 나타나어 있다. 이 공보에는 기존의 복수의 검출기를 설치한 일반적인 검출시스템을 반도체제조장치에 적용하여 그 검출신호의 상관신호로부터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 상관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는 6개의 전기신호의 비에 의한 계산식이 개시되어 있다. 또 하나의 예가 미국특허제5658423호에 나타나 있다. 이 공보에는 빛이나 질량분석기의 수 많은 신호를 도입하여 상관신호를 생성하여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이 상관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A method of monitoring variation in plasma processing is disclos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25660. This publication shows a method for predicting device performance or diagnosing the state of plasma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signals of the device. As a method, an approximation equation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electrical signals and the plasma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is shown by mean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ther example is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87323. This publication discloses a method of applying a conventional detection syste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isting detectors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the state of the device from the correla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ignal. As a method of generating the correlation signal, a calculation formula based on a ratio of six electrical signals is disclosed. Another example is shown in US Pat. No. 5,565,223. This publication shows how to introduce a number of signals from a light or mass spectrometer to generate a correlation signal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device. As a method of generating this correlation signal, a metho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has been shown.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10-125660호의 방법에서는 장치를 감시하는 센서데이터가 많은 종류 있었을 때에 예측하고자 하는 처리성능과 무관한 많은 신호가 설명변수에 들어가기 때문에 중회귀분석에 의한 예측을 잘 할 수 없게 된다. 또 일본국 특개평11-87323호의 방법은 잘 알려진 복수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복수의 검출신호의 상관을 취한 신호를 진단에 사용한다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개시된 상관을 취하는 방법도 몇가지 신호의 비를 취한다는 종래의 방법이고, 많은 변동원인에 따라다양한 상태를 취하는 반도체제조장치의 상태를 정확하게 감시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미국특허제5658423호에는 이상의 방법과 달리 장치로부터 모니터한 다량의 데이터를 주성분 분석하여 장치상태의 변동을 촉진함으로써 플라즈마의 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의 양산에 사용되는 반도체제조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일반적인 통계처리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만으로는 잘 가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성분이 어떻게 변화하면 처리결과가 어떻게 되는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However, in the method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25660, when there are many kinds of sensor data for monitoring a device, many signals irrelevant to the processing performance to be predicted are included in the explanatory variable, so the prediction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comes difficult. . In addition, the method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87323 is a general method in which a signal obtained by correlating a plurality of detection signals from a plurality of well-known detection means is used for diagnosis. The method of taking the disclosed correlation is also a conventional method of taking a ratio of several signal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 system that accurately monitors the state of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taking various states depending on many causes of variation. US Pat. No. 5,565,23 discloses a method of monitoring the state of plasma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a large amount of data monitored by the device, unlike the method described above, to promote the variation of the state of the device. However,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actual mass production does not operate well by simply applying the method of general statistical processing. This is because, for example, it is often impossible to know how the treatment result will change if the main component changes.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처리하는 반도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처리상태를 모니터하여 모니터출력에 의거하여 이상처리를 검출 또는 처리결과를 예측함으로써 장치의 가동률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반도체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various types of devices, where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improves the operation rate and reliability of the apparatus by monitoring the processing state and detecting abnormal processing or predicting the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monitor output; To provide a way.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반도체디바이스의 처리장치의 제어시스템의 블록도,1A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ystem of a processing apparatus for a semiconductor devic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의 제어시스템의 수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FIG. 1A;

도 2는 도 1의 처리상태 감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 of FIG. 1;

도 3은 부처리상태 감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bprocess state monitoring unit;

도 4는 디바이스의 처리상태의 감시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도,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a device;

도 5a는 모델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5A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model generator;

도 5b는 n매의 웨이퍼의 처리결과 판정치의 예측법을 예시하는 테이블,5B is a table for illustrating a method of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determination value of n wafers;

도 6은 이상데이터프리의 예측모델생성법을 설명하는 도,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diction model generation method of the abnormal data free;

도 7은 모델식 작성을 위한 플로우도,7 is a flow chart for creating a model formula;

도 8은 처리조건제어부의 보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8 is a table for explaining a correction operation of the processing condition controller;

도 9는 처리조건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도,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processing condition generating unit;

도 10은 처리조건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processing condition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채용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ollowing method was adopted.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는 반도체처리장치는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와,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에 의하여 처리한 반도체웨이퍼의 처리결과의 측정치를 입력하는 처리결과 입력수단과,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측정치에 의거하여 상기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서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생성하는 모델식 생성부와,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처리결과 예측부와, 상기 예측한 처리결과와 미리 설정한 설정치를 비교하여 그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제어하는 처리조건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and a processing result input for inputting measurement values of processing results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Means, a model formula generator for generating a model formula for predicting a process result as the explanatory variable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measured value, and a process result based on the model formula and the sensor data And a processing condi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to correct the deviation by comparing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with a preset setting valu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제조장치로부터 센서에 의하여 모니터데이터를 취득하고, 시료의 처리결과를 측정하기 전이나 또는 측정하는 일 없이 처리결과를 모델식에 의해 예측함으로써 반도체제조장치의 가동률과 신뢰성을 향상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rate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is obtained by acquiring the monitor data from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by the sensor and predicting the processing result by a model equation before or without measur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ample. And improve the reliability.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처리장치 (1)에는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2개의 처리상태 감시부(2)가 구비되어 있다. 처리상태 감시부(2)는 장치(1) 중에 조립되어 있어도 좋고, 장치(1)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네트워크 등을 거쳐 떨어진 장소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1b와 같이 기능의 일부가 네트워크 등을 거쳐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처리상태 감시부(2)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먼저, 처리장치(1)에서의 웨이퍼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3)를 가진다. 센서는 통상 몇가지 종류의 센서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플라즈마에칭장치나 플라즈마CVD장치 등에 있어서의 플라즈마처리에서는 센서(3)는 처리중인 플라즈마의 발광을 분광기를 사용하여 스펙트럼분해하고, 분해한 각 파장마다의 발광강도를 센서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예를 들면 1000채널의 CCD 어레이를 가지는 분광기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1000개의 센서데이터를 1회의 샘플링별로 취득할 수 있다. 또 장치의 압력이나 온도, 가스유량 등도 센서데이터로서 사용한다. 또 전류, 전압, 임피던스나 그것들의 고조파성분 등의 전기적 측정결과를 센서데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웨이퍼의 처리 중에는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이들 센서데이터가 취득되고, 취득된 센서데이터는 센서데이터보존부(4)에 보존한다. 한편 처리가 끝난 웨이퍼는 장치(1)의 외부 또는 장치에 조립된 처리결과 측정기에 의해 처리결과를 측정한다. 처리결과 측정에는 CDSEM에 의한 게이트폭의 측정이나 단면 SEM에 의한 단면형상과 같은 가공형상의 측정, 또는 가공한 디바이스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이다. 이들 측정은 모든 웨이퍼에 행할 필요는 없고, 통상 일부의 웨이퍼를 추출하여 처리결과를 측정하면 된다. 처리상태 감시부(2)는 이 처리결과의 측정치를 수취하기 위하여 처리결과 측정치 입력수단(5)을 가진다. 입력수단(5)은 유연한 디스크나 CDROM등의 운반가능한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이어도 좋고, 유선이나 무선의 네트워크접속장치이어도 좋다[입력수단 (56)]. 수취한 처리결과의 측정치는 처리결과 측정치 보존부(6)에 보존된다. 보존부(6)에는 각종 디바이스 등에 처리결과의 측정치가 보존된다. 모델식 생성부 (7)는 센서데이터 보존부(4)와 처리결과 측정치 보존부(6)로부터 동일한 종류의 디바이스이고, 또한 센서데이터와 처리결과 측정치의 양쪽의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 샘플을 인출한다. 이 샘플의 수가 예를 들면 3개 이상일 때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 하여 처리결과 측정치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작성한다. 통상 이때의 센서데이터의 종류나 수는 다수이고, 예측에 사용하는 센서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선출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다양한 디바이스가 처리되는 경우 등은 디바이스별로 예측에 유효한 센서데이터가 다르기 때문에 미리 예측에 사용하는 센서를 결정하여 두는 것은 곤란하다.1A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process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two 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s 2 for monitoring the processing state. The 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 2 may be assembled in the apparatus 1 o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apparatus 1. It may also be installed in a place away from the network or the lik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B, some of the functions may be separated through a network or the like. The 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 2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First, it has the sensor 3 which monitors the processing state of the wafer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 The sensor usually uses several kinds of sensors. For example, in a plasma processing in a plasma etching apparatus, a plasma CVD apparatus, or the like, the sensor 3 spectroscopically decomposes the emitted light of the plasma being processed by using a spectrometer, and acquires the light emission intensity for each decomposed wavelength as sensor data. For example, when a spectrometer having a 1000-channel CCD array is used, 1000 sensor data can be acquired for each sampling. The pressure, temperature and gas flow rate of the apparatus are also used as sensor data. In addition, electrical measurement results such as current, voltage, impedance, and their harmonic components can be used as sensor data.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wafer, these sensor data are acquired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and the obtained sensor data is stored in the sensor data storage section 4.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ed wafer is measured by a processing result measuring instrument which is assembled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1 or the apparatus. The measurement of the processing result is the measurement of the gate width by CDSEM, the measurement of the processed shape such as the cross-sectional shape by SEM, o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ed device. These measurements do not have to be performed on all wafers. Usually, some of the wafers are extracted and the processing results are measured. The 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 2 has processing result measurement value input means 5 to receive the measurement value of this processing result. The input means 5 may be a reader for reading information recorded on a portable medium such as a flexible disk or a CDROM, or may be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device (input means 56).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received processing result is stored in the processing result measurement value storage section 6. The storage unit 6 stores the measured values of the processing results in various devices and the like. The model generator 7 is a device of the same type from the sensor data storage section 4 and the processing result measurement value storage section 6, and draws out samples in which both data of the sensor data and the processing result measurement values are stored. .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samples is three or more, a model equation is generated that predict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treatment using sensor data as an explanatory variable. Usually, there are many types and numbers of sensor data at this time,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 sensor data used for prediction automatically.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various devices are processe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sensor to be used for the prediction in advance because the sensor data valid for the prediction is different for each device.

도 5a는 PLS법에 의한 모델식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LS법은 예측해야 할 데이터의 변동과 가장 상관이 강해지도록 설명변수를 다수의 센서데이터로부터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동시에 센서데이터로부터 설명변수를 계산하기 위한 함수도 얻어진다. 예를 들면 n매의 웨이퍼의 처리결과 측정치를 예측대상으로 하고, Yi에서 i번째 웨이퍼의 처리결과 측정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하나의 웨이퍼로부터 m개의 센서데이터가 얻어졌을 때에 Sij로 i번째 웨이퍼의 j번째 센서데이터를 나타낸다. 이 m개의 센서데이터는 동일한 센서의 다른 시간에 있어서의 데이터이어도 좋고, 다른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이어도 좋다. 도 5b는 센서데이터(Sij)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과 같이 장치(1)의 1매의 웨이퍼의 처리가 3단계의 처리조건으로 나뉘어져 있어 센서가 A, B, C 3종류일 때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j를 S11 내지 Sn9로 취하면 좋다. Sij는 각 단계처리 중의 센서데이터의 평균치로 하여도 좋고, 2승이나 역수 등의 센서데이터를 변환한 값인 쪽이 좋은 경우도 있다. PLS법을 사용하면 센서데이터(Sij)를 처리결과 측정치(Yi)의 변동과의 상관의 강도순으로 나열한 m개의 설명변수(Xik)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데이터(Sij)로부터 설명변수(Xk)로 변환하는 함수(Fk)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낸다.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model formulating process by the PLS method. As shown in FIG. 5A, the PLS method automatically generates explanatory variables from a plurality of sensor data so as to have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fluctuation of data to be predicted. At the same time, a function for calculating explanatory variables from sensor data is also obtained.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n wafers is a prediction target,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i-th wafer is represented by Yi. When m pieces of sensor data are obtained from one wafer, Sij represents the jth sensor data of the i-th wafer. The m sensor data may be data at different times of the same sensor, or may be data from different sensors. 5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sensor data Sij. As shown in this figure, the processing of one wafer of the apparatus 1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processing conditions. When the sensors are A, B, or C three types, Sij may be taken as S11 to Sn9. Sij may be an average value of the sensor data during each step processing, and may be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sensor data such as square and reciprocal. Using the PLS method, the sensor data Sij can be converted into m explanatory variables Xik, which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intensity of correlation with the variation in the measurement result Yi. The function Fk for converting the sensor data Sij into the explanatory variable Xk i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이 설명변수(Xik) 중의 몇가지를 사용하여 처리결과 측정치를 예측한다. 통상은 설명변수(Xi1)가 가장 처리결과 측정치(Yi)와의 상관이 강하기 때문에 Xi1, Xi2, Xi3 등을 설명변수로서 선택한다. PLS법에서는 수학식 2와 같은 예측식이 동시에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한 Xi1 등의 설명변수를 사용하여 수학식 2와 같은 예측식를 작성하는 것이 좋은 경우도 있다.Some of these explanatory variables (Xik) are used to predict treatment outcome measurements. Usually, since the explanatory variable Xi1 has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processing result measured value Yi, Xi1, Xi2, Xi3 and the like are select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 In the PLS method, it is sometimes preferable to prepare a prediction equation as shown in Equation 2 using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Xi1 described as simultaneously generating a prediction equation as in Equation 2.

한편, 처리결과 측정치 중에는 웨이퍼의 처리상태가 나쁘고 이상한 처리결과 측정치를 나타내는 웨이퍼의 데이터도 들어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에 대하여 통상의 중회귀분석으로 예측을 행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한 데이터에 영향을 받은 예측 정밀도가 나쁜 모델식이 생성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로버스트회귀분석을 예측에 사용한다. 로버스트회귀분석을 사용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상이 있는 데이터가 아웃라이어로서 예측대상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모델식을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processing result also includes the data of the wafer which indicates that the processing state of the wafer is bad and that the abnormal processing result is measured. When such data is predicted by a normal regression analysis, as shown in Fig. 6, a model equation with poor prediction accuracy influenced by abnormal data is generated. For this reason, robust regression analysis is used for prediction. Using robust regression analysis, an accurate prediction model equation can be generated because abnormal data as shown in FIG. 6 is out of the prediction object as an outlier.

도 7은 모델식 생성부(7)의 모델식 작성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도이다.7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model formulating process of the model formula generating unit 7.

모델식 생성부(7)에 있어서 센서데이터의 종류가 많이 있을 때에는 센서데이터의 주성분 해석을 행하고(단계 701, 702), 얻어진 주성분을 사용하여 로버스트회귀분석을 행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한다(단계 705, 706). 이 때 처리결과의 예측에 필요가 없는 주성분도 설명변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귀계수가 작은 주성분을 제거하여(단계 707) 다른 주성분(제 2 주성분)을 설명변수에 추가하고(단계 704), 다시 중회귀분석을 행한(단계 706)다는 처리에 예측에러가 설정치 이하가 되기까지(단계 708) 반복하여 행한다. 이들 회귀분석은 선형이어도 좋고, 처리의 물리적특성이나 경험치로부터 유도되는 비선형의 회귀분석을 사용하여도 좋다.When there are many kinds of sensor data in the model generator 7,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sensor data is performed (steps 701 and 702), and robust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obtained principal components (step 705). , 706). At this time, since the principal component that is not necessary for the prediction of the processing result is included in the explanatory variable, as shown in the flowchart, the principal component having a small regression coefficient is removed (step 707) to add another principal component (second principal component) to the explanatory variable ( In step 704,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regression analysis again (step 706) is repeated until the prediction error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step 708). These regression analyzes may be linear, or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derived from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eatment or the experience value may be used.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모델식은 도 1의 모델식 보존부(8)에 보존된다. 모델식은 동일 종류의 디바이스별로 작성되기 때문에 모델식 보존부(8)에는 처리장치에서 처리하는 디바이스 수만큼의 모델식이 보존된다.The model formula generated by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the model formula storage section 8 of FIG. Since the model formulas are created for each device of the same type, the model formula storage unit 8 stores as many model formulas as the number of device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처리장치(1)에 소정의 디바이스 웨이퍼가 로드되어 처리될 때 이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모델식이 예측부(9)에 로드된다. 이 디바이스를 처리 중에 센서(3)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필요하면 PLS법에 의해 얻어진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설명변수로 변환되거나 또는 주성분 분석에 의해 주성분으로 변환되어 수학식 2의 모델식에 의하여 처리결과의 예측치가 계산된다. 계산한 예측치는 처리조건 제어부(10)에 건네지고, 제어부(10)는 처리결과의 설정치와 예측치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처리조건을 변경한다.When a predetermined device wafer is loaded and processed in the processing apparatus 1, a model equ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s loaded in the predicting unit 9.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device,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sensor 3 is converted into explanatory variables using Equation 1 obtained by the PLS method, or converted into principal component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f necessary, and processed according to the model equation of Equation 2. The prediction of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predicted value is passed to the processing condition control unit 10, and the control unit 10 changes the processing condition so as to correct the deviation between the set value of the processing result and the predicted value.

다음에 상기한 처리조건제어부(10)에서 처리조건을 보정하는 구체적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다시 PLS법을 사용한다. 통상의 반도체디바이스의 처리에서는 가공의 요구로서 몇가지 상반되는 처리성능이 요구되는 일이 많다. 예를 들면 게이트전극의 에칭가공 등에서는 게이트전극의 측벽의 수직성과 밑바탕 산화막과 게이트폴리실리콘의 에칭선택성이 요구된다. 즉, 측벽의 수직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퇴적성이 낮은 에칭조건을 사용한 쪽이 좋고, 밑바탕 산화막과의 고선택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퇴적성이 높은 에칭조건을 사용한 쪽이 좋다. 이와 같이 2개의상반되는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처리조건의 제어는 어렵다. 도 8 내지 도 10은 이와 같은 상반요구를 만족시키는 처리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처리조건 1 [여기서는 가스(A)의 유량이라 한다)을 감소시키면 수직성이 좋아진다고 하여도 동시에 밑바탕 산화막의 선택성이 나빠져 처리조건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Next, a specific method of correcting the processing condition in the processing condition controller 10 will be described. Here we use the PLS method again. In the processing of a normal semiconductor device, some opposing processing performances are often required as processing requirements. For example, in etching the gate electrode, the verticality of the sidewalls of the gate electrode and the etching selectivity of the underlying oxide film and the gate polysilicon are required. That is, it is better to use etching conditions having a lower deposition property in order to achieve verticality of the sidewall, and to use high etching conditions attaining high selectivity with an underlying oxide film. If there are two conflicting demands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processing conditions. 8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processing conditions satisfying such an upper half requirement. For example, if the treatment condition 1 (here, referred to as the flow rate of gas A) is reduced, the verticality may be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lectivity of the underlying oxide film is deteriorated, which is not preferable as the treatment condition.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처리조건 1과 처리조건 2(여기서는 웨이퍼디바이스전력으로 한다)를 조합하여 측벽의 수직성을 개선하면서, 또한 밑바탕 산화막의 선택성이 악화하지 않는 조건을 찾아내지 않으면 안된다.For this reason,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processing condition 1 and processing condition 2 (herein, referred to as wafer device power) must be found to improve the verticality of the sidewalls and also to deteriorate the selectivity of the underlying oxide film.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이 통상으로 처리를 행하는 중심조건의 둘레에 수점 내지 수십점의 처리조건을 바꾼 실험조건을 설정하고, 가공처리를 행하여 처리결과를 측정한다. 도 10에 있어서의 점(1 내지 4)은 도 8의 실험조건(1 내지 4)에 해당한다. 여기서는 처리결과 측정치(A)로서 측벽의 수직성의 측정치를 취하고, 처리결과 측정치(B)로서 밑바탕 산화막 선택비를 취하는 것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8, experimental conditions in which several to several tens of processing conditions are changed around a central condition for processing are usually set, and processing is performed to measure processing results. Points 1 to 4 in FIG. 10 correspond to experimental conditions 1 to 4 of FIG. 8. Here, the measurement of the perpendicularity of the sidewall is taken as the processing result measured value A, and the underlying oxide film selectivity is taken as the processing result measured value B. As shown in FIG.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험에 대하여 PLS법을 적용하여 2종류의 처리조건과 2종류의 처리결과 측정치의 상관을 사용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수직성에 상관이 강한 조건의 방향(A)이 얻어진다. 또 마찬가지로 하여 PLS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밑바탕 산화막 선택비에 상관이 강한 방향으로부터 방향(A)에 직교하여 밑바탕 산화막 선택비에도 상관이 강한 방향(B)을 계산할 수 있다. 이 조건방향(A)과 조건방향(B)을 도 1a의 처리조건 제어부(10)에 설정하여 둔다. 이와 같이 하여 두면 모델식에 의거하여 예측부(9)에서 측벽의 수직성이 악화되어있다고 예측되었을 때에 처리조건을 조건방향(A)으로 수정하면 밑바탕 산화막 선택비를 희생하지 않고 측벽 수직성을 개선할 수 있다. 계산된 처리조건의 제어방향은 처리조건 제어방향 보존수단(14)에 보존되고, 모델식에 의한 처리결과 예측치가 설정치로부터 어긋난 경우에 처리조건을 수정하는 데에 사용한다.As shown in Fig. 9, if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ypes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two types of processing result measurements is applied to the experiment by applying the PLS method, the direction A of a condition having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sidewall perpendicularity as shown in Fig. 10 is shown. Is obtained. Similarly, the direction B having a strong correlation to the underlying oxide film selectivity can be calculated from the direction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underlying oxide film selectivity obtained by the PLS method. This conditional direction A and the conditional direction B are set in the process condition control part 10 of FIG. 1A. In this way,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verticality of the sidewall is deteriorated by the predictor 9 based on the model equation, if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modified in the conditional direction A, the sidewall perpendicularity is improved without sacrificing the underlying oxide selectivity. can do. The control direction of the calculated processing condition is stored in the processing condition control direction preservation means 14, and is used to correct the processing condition when the predicted value of the processing result by the model equation deviates from the set value.

여기서 든 예에서는 2종류의 처리조건을 변화시켰으나, PLS법에서는 다시 많은 종류의 처리조건을 변화시킬 수도 있어 많은 처리조건을 변화시킬 수록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 상반하는 처리결과 측정치도 2종류뿐 만이 아니라 더 많은 수의 처리결과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벽의 수직성과 밑바탕 산화막 선택비에 더하여 마스크 선택비 등을 취할 수 있다.In the examples here, two kinds of processing conditions were changed, but in the PLS method, many kinds of processing conditions could be changed again, and the more the processing conditions were changed, the more preferable the result was obtained. In addition, there are not only two types of measurements of contradictory treatment results but also a larger number of treatment results. For example, in addition to the perpendicularity of the sidewalls and the underlying oxide film selectivity, a mask selectivity and the like can be taken.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의 시스템은 도 1a의 시스템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나, 처리조건 제어부(10) 대신에 예측치 표시부(11)를 가지고 장치의 디스플레이 등에 이상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표시부분은 경보를 발하는 버저나 전자메일의 발신 등이어도 좋다.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of FIG. 2 has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system of FIG. 1A, but has a predictive value display section 11 instead of the processing condition control section 10 to display a message informing of an abnormality in the display of the apparatus or the like. This display portion may be an alarm buzzer or an e-mail transmission.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지금까지의 시스템은 모델식에 의한 처리결과의 예측에 의거하고 있으므로 모델식을 생성하고 있지 않은 종류의 디바이스의 처리를 감시할 수 없다. 처리결과의 측정에는 매우 시간이 결리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처리결과의 측정이 행하여지지 않은 일이 있어 그와 같은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모델식을 생성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 3과 같이 많은 종류의 센서데이터로부터 주성분 추출부(12)에서 주성분을 추출하고, 주성분의 변동의 불균일을 이상감시부(13)에서 감시함으로써 처리의 이상을 검출한다.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장치의 다음 웨이퍼의 처리착수를 정지하면 좋다. 이상의 검출에는 예를 들면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이라 불리우는 불균일의 관리방법을 사용하면 좋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처리 중의 주성분의 평균치와 분산을 기억하여 두고, 측정된 주성분이 평균치로부터 분산의 수배 이상 떨어졌을 때 처리를 이상으로 판정한다.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up to now is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processing result by the model expression, and thus cannot monitor the processing of the device of the type which does not generate the model expression. In many cases, the measurement of the processing result is very time consuming, and in most cases, the measurement of the processing result is not performed, and such a device cannot generate a model equation. For this reason, the main component extraction part 12 extracts a main component from many kinds of sensor data as shown in FIG. 3, and the abnormality monitoring part 13 monitors the nonuniformity of the fluctuation of a main component, and detects the abnormality of a process. When the abnormality is detected, the processing start of the next wafer of the apparatus may be stopped. For the above detection, a nonuniform management method called, for example,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may be used. To this end, the average value and variance of the main components in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re stored, and the processing is judged abnormal when the measured main component has fallen several times or more from the average value.

도 4는 처리상태 감시부(2) 및 부처리상태 감시부(2)의 양쪽을 구비한 처리장치에 적합한 처리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처리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모델식을 생성하여 보존하여 두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501). 모델식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는 처리상태 감시부(2)에 의해 감시제어를 실행한다(단계 502). 모델식이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처리상태 감시부(2')에 의해 감시제어를 실행한다(단계 503).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ing flow suitable for a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both the 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 2 and the sub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 2.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model equation for a device to be processed is generated and stored (step 501). If the model expression is stored, the monitoring state control unit 2 executes monitoring control (step 502). If the model expression is not stored, the monitoring control is executed by the 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 2 '(step 503).

도 1a, 도 2와 같은 모델식을 사용한 처리상태 감시부 뿐만 아니라 도 3과 같은 주성분만을 사용한 부처리상태 감시부의 2개를 겸하여 구비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모델식이 생성되어 보존되어 있는 디바이스이어도 아직 생성되어 있지 않은 디바이스이어도 처리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연성을 가진 감시시스템이 반도체제조장치의 감시에 적합하다.In addition to the 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 using the model formulas shown in Figs. 1A and 2 as well as two subprocessing state monitoring units using only the main components as shown in Fig. 3, the device having the model formula shown in Fig. 4 is generated and stored. Even if the device has not been created yet, the processing status can be monitored. Such a flexible monitoring system is suitable for monitoring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s.

Claims (17)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와;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예비 시험에서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한 반도체웨이퍼의 처리결과의 외부측정치를 입력하는 처리결과 입력수단과;Processing result input means for inputting an external measurement value of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in a preliminary test;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외부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생성하는 모델식 생성부와;A model equ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odel equation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using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s an explanatory variable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external measurement value;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처리결과 예측부와;A processing result predicting unit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model equation and the sensor data; 상기 예측된 처리결과와 사전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된 처리결과와 사전 설정치 사이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제어하는 처리조건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And a processing condi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to correct the deviation between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and the preset value by comparing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with a preset valu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델식 생성부는 PLS법(Partial Least Square method)을 사용하여 모델식을 생성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The model generating unit is a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model using a partial least square method (PLS).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와;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예비 시험에서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한 반도체웨이퍼의 처리결과의 외부측정치를 입력하는 처리결과 입력수단과;Processing result input means for inputting an external measurement value of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in a preliminary test;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외부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생성하는 모델식 생성부와;A model equ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odel equation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y using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s an explanatory variable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external measurement value;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처리결과 예측부와;A processing result predicting unit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model equation and the sensor data; 상기 예측된 처리결과와 사전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된 처리결과와 사전 설정치 사이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제어하는 처리조건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a processing conditio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to correct the deviation between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and the preset value by comparing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with a preset value. 상기 모델식 생성부는 로버스트회귀분석법(Robust Regression)을 사용하여 모델식을 생성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The model expression generator generates a model equation by using robust regression (Robust Regression).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와;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예비 시험에서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한 반도체웨이퍼의 처리결과의 외부측정치를 입력하는 처리결과 입력수단과;Processing result input means for inputting an external measurement value of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in a preliminary test;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외부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생성하는 모델식 생성부와;A model equ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odel equation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y using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s an explanatory variable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external measurement value;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처리결과 예측부와;A processing result predicting unit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model equation and the sensor data; 상기 예측된 처리결과와 사전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된 처리결과와 사전 설정치 사이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제어하는 처리조건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a processing conditio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to correct the deviation between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and the preset value by comparing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with a preset value. 상기 모델식 생성부는 주성분 로버스트회귀분석법(Principal Component Robust Regression)을 사용하여 모델식을 생성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The model expression generator generates a model equation using a principal component robust regression method (Principal Component Robust Regression).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와;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예비 시험에서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한 반도체웨이퍼의 처리결과의 외부측정치를 입력하는 처리결과 입력수단과;Processing result input means for inputting an external measurement value of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in a preliminary test;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외부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생성하는 모델식 생성부와;A model equ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odel equation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y using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s an explanatory variable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external measurement value;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처리결과 예측부와;A processing result predicting unit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model equation and the sensor data; 상기 예측치 또는 사전 설정치로부터 예측치의 어긋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반도체처리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eviation of the predicted value from the predicted value or the preset value.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 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와;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semiconductor wafer;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한 반도체웨이퍼의 처리결과의 측정치를 입력하는 처리결과 입력수단과;Processing result input means for inputting a measurement value of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측정치에 의거하여 상기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 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생성하는 모델식 생성부와;A model formula generator for generating a model formula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measured value;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처리결과 예측부와;A processing result predicting unit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model expression and the sensor data; 상기 예측한 처리결과와 미리 설정한 설정치를 비교하여 그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제어하는 처리조건 제어부와;A processing condition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to correct the deviation by comparing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with a preset set value; 상기 센서에 의하여 취득한 센서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성분을 추출하는 주성분 추출부와;A main component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main component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주성분의 변동의 불균일에 의거하여 처리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extraction unit includes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abnormality of the process based on the nonuniformity of the variation of the main component extracted, 상기 모델식 생성부에 모델식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상검출부가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 처리를 정지하며, 상기 모델식 생성부는 PLS법(Partial Least Square method)을 사용하여 모델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처리장치.If no model expression is generated in the model generation unit, the process stops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detects an abnormality, and the model expression generation unit generates a model expression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method (PLS).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에 의하여 취득한 센서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성분을 추출하는 주성분 추출부와;A main component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main component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주성분의 변동의 불균일에 의거하여 처리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부를 더 포함하여,The extraction unit further includes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process based on the nonuniformity of the variation of the main component extracted, 상기 모델식 생성부에 모델식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상검출부가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 처리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And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detects an abnormality, when a model expression is not generated in the model expression generating unit,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데이터를 보존하는 센서데이터 보존부, 및A sensor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nsor data, and 처리결과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처리결과를 보존하는 처리결과 측정치 보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모델식 생성부는 상기 각 관련 보전부에 보존된 센서데이터 및 측정치를 기초로 상기 모델식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식을 모델식 보존부에 보존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And a processing result measurement value storage section for storing the processing result inputted by the processing result input means, wherein the model express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model expression based on the sensor data and the measurement values stored in the respective preservation sections, and generates the result. A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storing the model formula in the model formula storage section. 처리대상을 처리하는 반도체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를 사용하여 반도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처리대상의 처리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a processing target in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by using 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processing target,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에 의하여 처리한 반도체대상의 처리결과의 측정치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measurement value of a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object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측정치에 의거하여 상기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서 사용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a model equation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using the sensor data as an explanatory variable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measured value;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반도체대상의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단계와;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object based on the model equation and the sensor data; 상기 예측한 처리결과와 미리 설정한 설정치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그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처리대상의 처리를 제어하는 방법.Controll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so as to compare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with a preset set value and correct the devi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How to control.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모델식 생성단계는 PLS법(Partial Least Square method)을 사용하여 모델식을 생성하는 처리대상의 처리를 제어하는 방법.The model generation step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to generate a model equation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method (PLS).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모델식 생성단계는 로버스트회귀분석법(Robust Regression)을 사용하여 모델식을 생성하는 처리대상의 처리를 제어하는 방법.The model generation step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to generate a model equation using the robust regression (Robust Regression).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모델식 생성단계는 주성분 로버스트회귀분석법(Principal Component Robust Regression)을 사용하여 모델식을 생성하는 처리대상의 처리를 제어하는 방법.The method of generating a model equa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to generate the model equation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robust regression (Principal Component Robust Regression). 처리대상을 처리하는 반도체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를 사용하여 반도체장치에서의 처리대상의 처리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monitoring the processing of a processing object in a semiconductor device by using 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a semiconductor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a processing object, 상기 반도체처리장치에 의하여 처리한 반도체대상의 처리결과의 측정치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measurement value of a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object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측정치에 의거하여 상기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서 사용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생성하는 단계와;Generating a model equation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using the sensor data as an explanatory variable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measured value;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단계와;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model equation and the sensor data; 상기 예측한 예측치 또는 그 예측치와 미리 설정한 설정치의 어긋남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에서의 처리대상의 처리를 감시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deviation of the predicted predicted value or the predicted value and a predetermined set value.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반도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반도체웨이퍼의 처리를 감시하기 위한 반도체 처리감시방법에 있어서,In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monitoring method for monitoring the processing of a semiconductor wafer in a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monitoring the processing state of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상기 복수의 센서가 취득한 복수의 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주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Extracting a main component based on a plurality of sensor data acqui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상기 추출한 주성분의 변동의 불균일에 의거하여 처리의 이상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웨이퍼의 처리를 감시하기 위한 반도체처리 감시방법.And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processing on the basis of the unevenness of the variation of the extracted main componen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복수의 센서가 취득한 복수의 센서데이터에 의거하여 주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Extracting a main component based on a plurality of sensor data acquir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상기 추출한 주성분의 변동의 불균일에 의거하여 처리의 이상을 검출하는 단계와;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process based on the nonuniformity of the variation of the extracted main component; 상기 모델식 단계에 모델식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상검출단계가 이상을 검출하였을때 처리를 정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반도체처리에 있어서 처리대상의 처리를 제어하는 방법.And stopping the processing when the abnormality detecting step detects an abnormality, when no model formula is generated in the modeling step.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센서데이터를 보존하는 센서데이터 보존단계 및 처리결과 입력단계에서 입력한 처리결과를 보존하는 처리결과 측정치 보존단계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모델식 생성단계는 상기 각 보존단계에서 보존한 센서데이터 및 측정치에 의거하여 상기 모델식을 생성하는 반도체처리에 있어서 처리대상의 처리를 제어하는 방법.A sensor data preservation step for preserving the sensor data and a process result preservation value preservation process for preserving the processing result input in the processing result input step are further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process to be processed in a semiconductor process that generates the model formula based on the method.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처리상태를 감시하는 센서와;A sensor for monitoring a processing state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semiconductor wafer; 상기 센서가 취득한 센서데이터 및 상기 외부측정치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센서데이터를 설명변수로 사용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식을 수신하여 보존하며, 상기 측정치는 예비 시험에서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한 반도체웨이퍼의 처리결과이인 모델식 보존부와;Receive and store a model equation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using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which is generated based on the sensor data acquired by the sensor and the external measurement value,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the measurement value is stored in the preliminary test. A model type preservation section which is a processing result of the semiconductor wafer processed by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모델식 및 상기 센서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결과를 예측하는 상기 모델식 보존부와 센서에 연결된 처리결과 예측부와;A model result storage unit for predicting a processing result based on the model expression and the sensor data and a processing result predictor connected to a sensor; 상기 예측된 처리결과와 사전 설정치를 비교하여 상기 예측된 처리결과와 사전 설정치 사이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상기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제어하는 처리조건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웨이퍼를 처리하는 반도체 플라즈마처리장치.And a processing condi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semiconductor plasma processing apparatus to correct the deviation between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and the preset value by comparing the predicted processing result with a preset value. Processing unit.
KR10-2001-0054379A 2001-09-05 2001-09-05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KR100446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379A KR100446926B1 (en) 2001-09-05 2001-09-05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379A KR100446926B1 (en) 2001-09-05 2001-09-05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324A KR20030021324A (en) 2003-03-15
KR100446926B1 true KR100446926B1 (en) 2004-09-08

Family

ID=3741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379A KR100446926B1 (en) 2001-09-05 2001-09-05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9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685A1 (en) * 2020-10-20 2022-04-28 Applied Materials, Inc. Enhanced process and hardware architecture to detect and correct realtime product substra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71B1 (en) * 2004-05-13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ditions of a processing tool
KR100660861B1 (en) * 2005-02-23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dicting semiconductor process result and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result
KR101286240B1 (en) 2007-10-23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Prognostic System Of Process Parameter Predicting Shape Of Semiconductor Structure, Semiconductor Fabication Equipment Having The Prognostic System Of Process Parameter And Method Of Using The Semiconductor Fabica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685A1 (en) * 2020-10-20 2022-04-28 Applied Materials, Inc. Enhanced process and hardware architecture to detect and correct realtime product substrates
US11735447B2 (en) 2020-10-20 2023-08-22 Applied Materials, Inc. Enhanced process and hardware architecture to detect and correct realtime product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324A (en)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8470B2 (en)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US7376479B2 (en) Process monitoring device for sampl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ample processing apparatus
JP5102488B2 (en) Method for fault detection in manufacturing equipment
US6952657B2 (en) Industrial process fault detec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P6676020B2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state prediction method
KR1004555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line monitoring process performance using measurable equipment signals
JP3732768B2 (en)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JP2004355330A (en) Diagnostic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KR100446926B1 (en)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JP4836994B2 (en)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JP2005051269A (en)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US6946303B2 (en) Electronically diagnosing a component in a process line using a substrate signature
IE20030437A1 (en) A method for process control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529827B1 (en) Method for detecting endpoint of plasma etching
TW511128B (en) Method of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KR20230055609A (en) Real time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or plasma appatus
US68907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substrate signature
IE83920B1 (en) A method of fault detection in manufactu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6